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현장적용 현황과 발전방안*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al implementation andfuture tasks of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three to five
  • 비영리 CC BY-NC
ABSTRACT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현장적용 현황과 발전방안*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Nuri Curriculum for ages three to five is implemen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ettings by conducting a survey as a quantitative method, as well as field observations, curriculum analyses, and in-depth interviews as qualitative method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65 teachers who serve in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used as part of the collection of data.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hoctest were employed in the analyses of this data.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y using criteria and inductive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evel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Nurri Curriculum’ and ‘the lesson plan and practice based on Nuri Curriculum’ were of high standard in both kindergarten and child care settings. However,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implementation of Nurri Curriculum’, and ‘the lesson plan and practice based on Nuri Curriculum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such as institution types, teaching experienc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Finally, the qualitative results indicate that some difficulties were observed in educational application and working conditions.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suggested, such as reduction of administration hours, use of diverse teaching/learning materials, providing for intensive teacher training services, and developing a web-site with daily theme based activities for implementation of Nurri Curriculum.

KEYWORD
누리과정 편성·운영 , 누리과정 교육계획과 실행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OECD를 비롯한 세계 여러나라에서는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의 국가발전 토대로서 우수한 인적자원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동시에 유아기 교육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점차 강화하는 추세에 있다. OECD는 질 높은 영유아 교육과 보육을 제공하는 것이 사회적 경제적 효과와 함께, 부모를 위한 지원, 여성의 사회 진출 지원 및 영유아의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특히 저소득층 영유아의 교육적 불이익을 극복하도록 돕는 것이기 때문에(Roseveare & Taguma, 2011) 국가적 지원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특히 OECD는 유아 교육과 보육의 질 관리를 위하여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입학 전의 유아를 위한 관장부서를 일원화하는 유아교육체제 구축을 제안하고(OECD, 2001), 유아교육과 보호 체제의 질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무엇보다도 교육제도의 분류기준에 유아교육 단계를 강조하고 교육과정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OECD, 2013).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생애 초기 교육복지 투자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영유아기 교육과 보육에 대한 다양한 정책적 변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지원이 증가하면서 그동안 양적 측면에서 급속한 팽창을 이루어 왔던 유아 교육 및 보육 분야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 질적인 측면에서의 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2011년 유아교육·보육을 보편교육의 출발점으로 인식하고 유·보 통합의 기틀을 마련하는 역사적인 정책으로 「5세 누리과정」을 발표하였고, 2012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개발하고 2013년 3월부터 만 3-5세 유아에게 공통된 교육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이원화되어 있던 유아교육·보육과정을 일원화하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인생의 기초가 되는 유아기에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의 질적 격차를 줄이는데 국가적 책임을 강화하였다(육아정책연구소, 2012).

    교육과정(Curriculum)은 유아들의 학습과 발달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며, 교사에게 적합한 교육학적 전략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손수연, 이기숙, 2012). 또한 부모가 유아들의 발달을 잘 이해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교육과정은 교육의 질적 수준을 보장해 줄 수 있다. 특히,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시설 및 연령 간 질적 수준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고, 평등한 체계를 제공하며,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유아교육의 접근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OECD, 2013). 따라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들에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것은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교육의 방향과 기준을 일관성 있게 제시함으로써 취학전 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생애 초기 출발점에서의 평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이 교육현장에 효율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기초로 각 기관의 실정과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실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인 유아 교사가 누리과정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편성·운영 지침에 따라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사의 교육적 역량은 유아의 발달과 더불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며, 새로운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성패는 단지 전반적인 실행 여부가 아니라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교육과정을 어떻게 실행하느냐 즉,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육평가를 실행해 나가는 교사의 실행수준에 좌우될 수 있다(박승렬, 2008).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로서 교사가 갖는 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해볼 때,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교육과정 사용자’ 또는 ‘수동적 전달자’가 아니라 자율적이고 주도적으로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교육과정 개발자’로서 (정선아, 2013),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개발하여 직접 행동에 옮기는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이 요구된다(염지숙, 2011). 따라서 교육과정 실행 주체인 교사가 누리과정을 어느 정도 적용하고 있는지, 적용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향후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것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유아교육·보육 현장 안착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 볼 수 있다.

    누리과정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특히 다수를 차지하는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인식에 관한 연구로는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한 연구(이윤선, 이영신, 김보연, 2012), 5세 누리과정의 5개 영역에 따른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 간 인식 차이를 알아본 연구(이경선,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대한 인식과 실행수준을 살펴본 연구(손수연, 이기숙,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 이해, 각 영역별 실행의 어려움 및 장애 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연구(전혜미, 서영숙, 2012) 등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 정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각 세부 내용 범주와 평가 부분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교사의 실행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누리과정 실행에서의 어려움과 관련한 질적 연구를 살펴보면, 조혜영과 황인주(2012)는 5세 누리과정을 현장에서 적용할 때 나타나는 담당교사들의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개선방안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연구결과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들은 5세 누리과정 지침서, 유아교육 확장활동의 다양성, 유아교육활동의 유용성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기대에서 오는 절망감과 낮은 질의 형식적 교사연수 참여에 대한 부정적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누리과정에 관한 연구는 주로 5세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교사의 인식이나 적용을 알아본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며, 5세 누리과정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개선방안을 알아보는 질적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최근에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현장운영 및 이용실태를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한 연구(권미경, 김정숙, 이경진, 장현실, 2013)는 있으나, 실제 교실 현장을 관찰하고 심층면접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심도 있게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누리과정의 적용실태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어 다루고 있으나 교사관련 변인에 따른 차이뿐 아니라 누리과정의 개선 및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의 학력 및 경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현장적용 현황 및 개선방안을 설문지 조사와 현장관찰 및 심층 면담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이 지난 1년간 유아교육과 보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 및 실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누리과정의 개선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향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성공적인 현장 정착 및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2. 연구 내용

    Ⅱ. 연구 방법

       1. 설문지 조사

    1) 연구대상

    연구대상 기관은 누리과정 현장 적용 현황에 대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지역별 안배를 고려하여, 총 6개 지역, 즉 서울(경기), 대전(충남), 충북, 대구(경북), 광주(전남), 부산(경남)의 13개 도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선정하였으며, 근무유형별 현장 적용 현황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유치원은 공립과 사립 기관으로 구분하고, 어린이집은 국·공립과 법인 및 민간 기관으로 구분하여 선정하고, 이들 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565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대상인 교사는 일반적 배경 중 학력과 경력, 교육하는 유아의 연령을 고려하여 균형 있게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배경

    label

    연구대상의 배경

    2) 연구도구

    본 연구도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적용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및 지침서와 선행연구(권미경 외, 2013; 김은설 외, 2012; 이경선, 2013; 이윤선, 이영신, 김보연, 2012; 이윤진, 이정원, 김문정, 2013; 이정욱 외, 2013; 손수연 외, 2013)의 연구에서 사용한 누리과정 관련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적용수준 측정 문항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의 내용에 근거하여 ‘편성운영의 적용’,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의 적용’ 2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편성운영의 적용’은 구성방향, 편성지침, 운영지침, 운영평가지침의 4개 항목으로,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의 적용’은 목적 및 목표, 교수ㆍ학습방법, 유아평가지침, 영역별 목표, 영역별 내용의 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8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누리과정 편성·운영의 적용정도와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의 적용정도는 각 문항별로 개방형 문항으로 제시하여 적용하는 부분과 적용이 어려운 부분과 그 이유에 대해 각 1문항씩 포함하였다. 설문지의 내용 타당도는 유아교육 전공 교수 3인, 전공 박사5인, 누리과정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 경력 10년 이상 교사 각 3인에 의해 검증받았다. 또한 유치원 과 어린이집 교사 10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연구자 협의를 거쳐 최종 설문지에 반영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전혀 반영하지 않는다’는 1점, ‘반영하지 않는다’는 2점, ‘보통이다’는 3점, ‘반영한다’는 4점, ‘적극 반영한다’는 5점으로 평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반영의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현장적용 현황과 어려움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의 하위 영역별 문항 수와 Cronbach’s α를 산출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설문지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label

    설문지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3) 자료 수집

    본 연구를 위해 전국 13개 도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총 6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589부 가운데 문항에 대한 응답이 불명확하게 표기된 설문지 24부를 제외하고 최종 사용된 설문지는 565부(83.1%)이다.

    4) 자료 처리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평균과 표준편차 및 일원변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도가 있을 경우에는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하여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2. 현장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1) 현장 참여관찰

    (1) 연구 참여기관

    현장 참여관찰은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국공립 유치원 1개 기관, 사립유치원 1개 기관, 국공립어린이집 1개 기관, 민간어린이집 1개 기관, 법인어린이집 1개 기관, 직장어린이집 1개 기관의 총 6개 기관이다.

    (2) 현장 참여관찰

    현장 참여관찰은 표 3의 준거에 의해 실시되었다.

    [<표 3>] 현장 참여관찰

    label

    현장 참여관찰

    (3) 현장 참여관찰 실시

    현장 참여관찰은 2014년 3월부터 4월까지 총 3주간 기관별로 2-3회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이들 연구 참여기관과 협의하여 현장 참여관찰 날짜와 시간을 미리 선정해 놓고, 본 관찰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유아교육기관의 행사나 유아교사의 학급운영 상황에 따라 날짜와 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절하였다. 1회 참여관찰 소요시간은 평균 20~30분 정도이며, 생활주제에 따라 대·소집단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상황 및 기관 실내, 실외 환경 전반을 관찰하였다.

    2) 심층면담

    (1) 심층면담 참여자

    심층면담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3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유치원 교사 10명, 어린이집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심층면담 준거

    교사 심층면담을 위해 조사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지의 내용을 토대로 면담지를 작성하고 이에 따라 반구조화된 면담이 이루어졌다. 반구조화된 면담지는 누리과정의 구성방향, 누리과정의 편성과 운영, 교수학습방법, 평가지침, 목표 및 내용, 교사용 지침서 및 지도서, 적용의 어려움 및 개선 방안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현장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심화되거나 보완되어야 할 내용을 추가로 질문하는 비구조적 질문이 함께 이루어졌다. 심층면담 준거는 표 4와 같다.

    [<표 4>] 심층면담 준거

    label

    심층면담 준거

    (3) 심층면담 실시

    심층면담은 표 4의 준거에 의하여 2014년 4월 3째 주부터 5월 1째 주까지 3주 동안 연구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이루어졌으며, 주로 유아교사가 근무하는 교육기관의 교실에서 유아들과의 하루 일과를 마치는 오후 4시 이후에 이루어졌다. 교사 한 명당 1~2회 이상의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1회 면담 시간은 4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 내용은 유아교사의 동의하에 녹음과 기록의 방법을 병행하였으며, 전사과정에서 불확실한 내용은 전자메일이나 전화를 통해 수시로 확인하여 완전한 자료를 확보하였다.

    (4) 자료분석

    현장 참여관찰, 교육과정 문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Creswell(1994)과 `Patton (1991)의 연구에 사용되었던 전사 및 통합, 내용분석 및 자료 분류, 분류된 내용의 해석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범주화는 Bogdan과 Biklen(2006)이 제시한 여러 번 집중된 읽기 과정을 거쳐 본 연구의 주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부분을 표시한 후 반복되어 나타나는 내용을 토대로 최초 의미단위선정, 의미단위의 범주화, 소주제화, 주제화의 단계에 따라 결과로 제시되었다. 또한 자료 분석의 결과는 연구 참여자 2인에게 분석에 대한 오류나 정확성에 대한 검토를 의뢰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설문지 조사 결과

    1)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상의 적용정도

    교사들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상의 적용정도를 누리과정의 구성방향, 누리과정의 편성지침, 누리과정의 운영지침, 누리과정운영평가지침의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상의 적용정도

    label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상의 적용정도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상의 적용정도를 살펴본 결과, 「누리과정 구성방향」은 평균 4.26(SD=0.53), 「누리과정 편성지침」은 평균 4.26 (SD=0.58), 「누리과정 운영지침」은 평균4.26(SD=0.53), 「누리과정 운영평가지침」은 평균4.14(SD=0.58)로 대체적으로 적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누리과정 편성운영의 적용정도는 평균 4.14에서 4.26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누리과정 구성방향」은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5개영역을 중심으로 구성한다’를 가장 높게 적용한 반면,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0-2세 표준 보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구성한다’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적용정도를 보였다. 「누리과정 편성지침」은‘유아의 발달 특성 및 경험을 고려하여 놀이를 중심으로 편성한다.’를 가장 높게 적용한 반면, ‘일과 운영시간에 따라 심화확장 할 수 있도록 편성한다, 1일 3-5시간을 기준으로 편성한다’는 상대적으로 낮게 적용하고 있었다. 「누리과정 운영지침」은 ‘연간, 월간, 주간, 일일계획에 의거하여 운영한다.’를 가장 높게 적용한 반면, ‘부모와 각 기관의 실정에 따라 부모교육을 실시한다’는 낮게 적용하고 있었다. 「누리과정 운영평가지침」은 ‘운영 내용 및 활동이 유아의 발달수준과 흥미·요구에 적합한지를 평가한다’를 가장 높게 적용한 반면, ‘계획안 분석, 수업 참관 및 모니터링, 평가척도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한다’는 상대적으로 낮게 적용하고 있었다.

    (1) 교사의 경력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상의 적용정도

    교사의 경력별 「누리과정 구성방향」의 현장 적용 정도는 ‘15년 이상’과 ‘12-15년 미만’이 ‘3년 미만’, ‘3-6년 미만’. ‘6-9년 미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높은 적용 정도를 보였다(F=7.35, p<.001). 「누리과정 편성지침」에서는 ‘15년 이상’과 ‘12-15년 미만’은 ‘6-9년 미만’과 ‘3-6년 미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5.46, p<.001). 「누리과정 운영지침」에서는 ‘15년 이상’이 ‘9-12년 미만’, ‘6-9년 미만’, ‘3-6년 미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6.17, p<.001). 「누리과정 운영평가지침」에서는 ‘15년 이상’이 ‘9-12년 미만’, ‘6-9년 미만’, ‘3-6년 미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4.34, p<.01).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누리과정 구성방향」과 「누리과정 편성지침」은 교사경력이 12년 이상의 교사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적용하는 정도가 높은 반면, 「누리과정 운영지침」, 「누리과정 운영평가지침」은 교사 경력이 15년 이상의 교사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적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2) 교사의 학력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상의 적용정도

    교사의 학력별에 따른 「누리과정 편성지침」의 편성ㆍ운영 적용은 교사학력 ‘대학원졸’이 ‘4년제졸’과 ‘2-3년제졸’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10.64, p<.001). 「누리과정 편성지침」에서는 ‘대학원졸’이 ‘4년제졸’에 비하여 ‘4년제졸’은 ‘2-3년제졸’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5.66, p<.001). 「누리과정 운영지침」에서는 ‘대학원졸’이 ‘4년제졸’과 ‘2-3년제졸’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7.51, p<.01). 「누리과정 운영평가지침」에서는 ‘대학원졸’이 ‘2-3년제졸’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7.74, p<.001).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누리과정 구성방향」, 「누리과정 편성지침」, 「누리과정 운영지침」, 「누리과정 운영지침」 모두 대학원졸의 교사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적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3)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상의 적용정도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별 「누리과정 구성방향」 편성ㆍ운영의 적용은 ‘국공립유치원’이 ‘민간어린이집’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5.62, p<.001). 「누리과정 편성지침」에서는 ‘국공립유치원’이 ‘사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고, ‘사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은 ‘민간어린이집’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24.71, p<.001). 「누리과정 운영지침」에서는 ‘국공립유치원’, ‘법인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이 ‘사립유치원’과 ‘민간어린이집’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1.01, p<.001). 「누리과정 운영평가지침」에서는 ‘국공립유치원’과 ‘직장어린이집’이 ‘사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2.25, p<.01).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누리과정 구성방향」, 「누리과정 편성지침」, 「누리과정 운영지침」, 「누리과정 운영평가지침」은 국공립유치원교사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적용하는 정도가 높은 반면, 민간어린이집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적용정도가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 적용정도

    교사들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 적용정도를 누리과정의 목적과 목표, 누리과정 교수학습방법, 누리과정의 영역별 목표, 누리과정의 영역별 내용, 유아평가지침의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및 실행정도

    label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및 실행정도

    표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 적용정도를 살펴본 결과, 「누리과정목적 및 목표」는 평균 4.27(SD=0.56), 「누리과정 교수학습방법」은 평균 4.32(SD=0.55), 「누리과정 영역별 목표」는 평균4.30(SD=0.55),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은 평균4.29(SD=0.56), 「유아평가지침」은 평균 4.19(SD=0.60)으로 대체적으로 인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 적용정도는 평균 4.19에서 4.32로 대체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누리과정목적 및 목표」는 ‘기본 운동 능력과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습관을 기른다.’가 가장 높은 적용정도를 보인 반면, ‘호기심을 가지고 주변세계를 탐구하며, 일상생활에서 수학적·과학적으로 생각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는 낮은 적용정도를 보였다. 「누리과정 교수학습방법」은 ‘실내·실외활동, 정적·동적 활동, 대·소집단 활동 및 개별활동, 휴식 등이 균형 있게 이루어지도록 한다.’가 가장 높은 적용정도를 보이는 반면, ‘유아의 관심과 흥미, 발달이나 환경 특성 등을 고려하여 개별 유아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학습하도록 한다.’는 낮은 적용정도를 보였다. 「누리과정 영역별 목표」는 ‘안전한 생활습관을 기른다’를,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은 ‘안전하게 생활하기’가 가장 높은 적용정도를 보이는 반면, ‘수학적 탐구하기’는 낮은 적용정도를 보였다. 「유아평가지침」은 ‘유아 평가 결과는 유아에 대한 이해와 누리과정 운영 개선 및 부모 면담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가 가장 높게 적용정도를 보이는 반면, ‘누리과정 목표와 내용에 근거하여 유아의 특성과 변화 정도를 평가한다.’는 낮은 적용정도를 보였다.

    (1) 교사의 경력에 따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및 실행 정도

    교사의 경력별에 따른 「누리과정 목적 및 목표」의 교육계획 및 실행에서는 ‘15년 이상’이 ‘3년 미만’, ‘3-6년 미만’, ‘6-9년 미만’, ‘9-12년 미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4.79, p<.001). 「누리과정 교수학습방법」에서는 ‘15년 이상’이 ‘3-6년 미만’, ‘6-9년 미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4.79, p<.001). 「누리과정 영역별 목표」에서는 ‘15년 이상’이 ‘3-6년 미만’, ‘6-9년 미만’, ‘9-12년 미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5.84, p<.001).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에서는 ‘12-15년 미만’, ‘15년 이상’이 ‘3-6년 미만’, ‘6-9년 미만’, ‘9-12년 미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5.60, p<.001). 「유아평가지침」에서는 ‘15년 이상’이 ‘3-6년 미만’, ‘9-12년 미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4.19, p<.01).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누리과정목적 및 목표」, 「누리과정 교수학습방법」, 「누리과정 영역별 목표」, 「유아평가지침」은 15년 이상의 교사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적용정도가 높은 반면,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은 12년 이상의 교사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적용정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2) 교사의 학력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및 실행정도

    교사의 학력에 따른 「누리과정 목적 및 목표」의 계획ㆍ실행에서는 ‘대학원졸’이 ‘4년제졸’과 ‘2-3년제졸’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1.02, p<.001). 「누리과정 교수학습방법」에서는 교사학력 ‘대학원졸’이 ‘4년제 졸’과 ‘2-3년제 졸’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2.85, p<.001). 「누리과정 영역별 목표」에서는 교사학력 ‘대학원졸’이 ‘4년제 졸’과 ‘2-3년제 졸’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1.02, p<.001).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에서는 교사학력 ‘대학원졸’이 ‘4년제 졸’과 ‘2-3년제 졸’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1.20, p<.001). 「유아평가지침」에서는 교사학력 ‘대학원졸’이 ‘4년제 졸’과 ‘2-3년제 졸’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7.67, p<.01).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누리과정 목적 및 목표」, 「누리과정 교수학습방법」, 「누리과정 영역별 목표」,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 「유아평가지침」 모두 대학원졸 교사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별 누리과정 교육계획 및 실행정도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별에 따른 「누리과정 목적 및 목표」의 교육계획 및 실행은 ‘국공립유치원’, ‘법인 어린이집’, ‘직장 어린이집’이 ‘사립 유치원’, ‘민간 어린이집’에 비하여 교육 계획·실행상의 적용정도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0.07, p<.001). 「누리과정 교수학습방법」에서는 ‘국공립유치원’, ‘국공립 어린이집’, ‘직장 어린이집’, ‘법인 어린이집’이 ‘사립유치원’, ‘민간 어린이집’에 비하여 교육 계획·실행상의 적용정도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4.92, p<.001). 「누리과정 영역별 목표」에서는 ‘국공립유치원’, ‘직장 어린이집’이 ‘사립 유치원’, ‘민간 어린이집’에 비하여 교육 계획·실행상의 적용정도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9.30, p<.001).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에서는 ‘국공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이 ‘민간 어린이집’에 비하여 교육 계획·실행상의 적용정도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1.37, p<.001). 「유아평가지침」에서는‘국공립유치원’과 ‘직장 어린이집’이 ‘사립 유치원’, ‘민간 어린이집’에 비하여 교육 계획·실행상의 적용정도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였다(F=11.51, p<.001).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누리과정 목적 및 목표」, 「누리과정 교수학습방법」, 「누리과정 영역별 목표」,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 「유아평가지침」은 국공립 유치원교사/국공립 어린이집/직장 어린이집/법인 어린이집 교사, 사립유치원/민간어린이집 교사 간 적용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현장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분석 결과

    1) 누리과정 편성운영 적용정도 및 지원방안

    (1) 누리과정의 구성방향에 대한 인식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모두 누리과정 구성방향을 전반적으로 적극 수용하고 있었으며, 국가수준에서 제시하는 기본방향이므로 반영하여야 된다고 보고 있었다. 그러나 표준보육과정과 초등교육과정과의 연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① 인성, 전인발달, 발달적 특성의 구성방향 반영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대다수가 질서, 배려, 협력 등 기본생활습관과 바른 인성, 자율성과 창의성 및 전인발달, 3-5세 발달 특성을 고려한 구성을 가장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생활습관과 인성, 자율성과 창의성 및 전인발달을 중요하게 반영한다는 교사들을 살펴보면, 다음 사례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아기가 기초가 되며, 유아가 길러야 할 중요한 발달 과업은 기본생활습관, 인성이므로 이를 중요하게 반영한다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② 초등 및 표준보육과정 연계 미흡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모두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0-2세 표준보육과의 연계성은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다음 사례와 교육계획안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그 이유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부족으로 보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과 양성 및 현직교육에서 초등 및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2) 누리과정의 편성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모두 누리과정 편성지침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유형과 소극적으로 반영하는 두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심화 확장 수업편성, 반편견의 반영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① 누리과정 편성지침 반영의 두 유형

    적극적 반영: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대부분이 다음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학급 특성에 따른 융통성있는 편성, 놀이중심의 편성, 유아의 발달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편성, 5개 영역을 중심으로 한 편성을 가장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반영: 중요하다고 생각하나,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반영하지 못하며, 그 이유로는 다음 사례와 교육계획안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교사의 역량 부족과 시간 부족, 학부모의 인지교육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사 및 부모 대상 교육을 제시하였다.

    ② 1일 3-5시간 운영, 심화 확장 수업편성, 반편견 반영

    1일 3-5시간 운영, 일과 운영시간에 따른 심화 확장 수업, 다양한 배경 등으로 인한 편견이 없는 편성은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그 이유에 대해 부모의 인식 부족과 운영 여건의 어려움이 크다고 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인식 전환 교육 및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3) 누리과정의 운영지침

    ① 운영지침과 기본원리 적극 반영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는 실내·외 환경을 흥미영역으로 구성하는 것과 연간·월간·주간·일일계획안에 의거한 운영을 가장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다음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교육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교육 계획과 환경구성이 중요하므로 이를 중요하게 반영한다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② 부모 및 지역사회 협력 미흡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모두 교사 재교육, 부모교육, 지역사회협력은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다음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교사 재교육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부모의 참여의 어려움과 이에 대한 재교육에 참여할 기회 자체가 부족하므로 잘 반영하지 못한다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수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컨설팅이나 교사 재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2)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의 적용정도 및 지원방안

    (1) 누리과정의 영역별 목표 및 내용

    ① 자연탐구영역, 의사소통영역, 예술경험영역의 목표와 내용을 반영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모두 자연탐구영역, 의사소통영역, 예술경험영역의 목표와 내용을 잘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특히 자연탐구영역을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는 교사들을 살펴보면, 다음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교사의 수학과 과학에 대한 지식의 부족과 교수방법에 이해 부족이 제시되었다.

    (2) 교수·학습 방법

    ① 누리과정 교수·학습 방법 적극 반영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모두 누리과정 교수·학습 방법을 잘 인식하고 전반적으로 골고루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주제를 중심으로 한 통합 활동과 놀이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활동을 가장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다음 사례와 교육계획안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유아들의 발달을 최적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인성·창의성 발달에 도움이 되므로 이를 중요하게 반영한다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② 교사용 지침서와 지도서 활용의 두 유형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다수가 교사용 지침서 및 지도서를 잘 활용하고 있는 반면, 소수의 교사는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적극적 활용: 교사용 지침서와 지도서를 잘 활용하고 있는 교사들을 살펴보면, 교육계획안을 작성하거나 일과를 운영할 때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활용: 업무량의 과다로 인한 시간 부족으로 손쉽게 다운 받아 활용 가능한 인터넷 자료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다수가 사례 20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만으로는 부족하여 교사용 지침서 및 지도서 외에 각종 상업화된 교수자료와 교육청 장학 자료, 인터넷 자료, 전공 서적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누리과정 유아 평가지침 반영 미흡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모두 공통적으로 유아의 지식, 기능, 태도를 포함한 평가, 누리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근거한 유아 평가는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그 이유로는 객관적인 평가도구나 준거의 부족, 교사의 이해 부족이 제시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 연수 및 객관적인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3) 누리과정 적용의 어려움 및 개선 방안

    (1) 누리과정 적용의 어려움

    ① 교육과정 구성 측면: 교사용 지도서 내의 활동 부족, 1일 5시간 편성

    교육과정 구성 시 누리과정 적용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교사용 지도서 내의 활동 부족과 1일 5시간 편성을 하는 것이 어렵다는 인식이 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교사들의 반응은 다음 사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② 교사 측면: 누리과정 활동에 대한 이해 및 실행 능력 부족, 교사교육의 미흡

    교사 측면에서 누리과정 적용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누리과정 활동에 대한 이해 및 실행 능력 부족과 교사 교육의 미흡이 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교사들의 반응은 다음 사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③ 근무 환경적 측면: 누리과정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교재, 교구의 부족, 교사의 과다한 행정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 기관의 교육과정과 누리과정 간의 차이

    근무 환경적 측면에서 누리과정 적용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누리과정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교재·교구의 부족, 교사의 과다한 행정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 기관의 교육과정과 누리과정 간의 차이로 인해 어렵다는 인식이 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교사들의 반응은 다음 사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2) 개선을 위한 요구 사항

    ① 현장에서 쉽게 활용 가능하며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

    추후 누리과정 개발 시 반영되었으면 하는 사항으로 현장에서 쉽게 활용 가능하며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요구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교사들의 반응은 다음 사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② 심화된 누리과정 연수 및 누리과정 관련 홈페이지 개발

    추후 누리과정 개발 시 반영되었으면 하는 사항으로 심화된 누리과정 연수 및 누리과정 관련 홈페이지 개발을 요구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교사들의 반응은 다음 사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현장적용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을 서울(경기), 강원, 대전(충청), 대구(경북), 부산(경남), 광주(전남) 6개 권역으로 나누고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56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누리과정 실행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자료수집을 위해 6개 유치원 및 어린이집 현장 관찰과 30명의 유치원 교사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편성·운영상의 적용현황을 살펴본 결과, 양적, 질적 연구 공통적으로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모두 누리과정 편성·운영을 적용하는 정도가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동안 유아 교육과 보육 현장에서 5세 누리과정이 먼저 적용되면서 연수 참여와 누리과정 적용경험을 통해 유아교사들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도와 인식수준이 높아진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정도와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준 선행 연구들(안정민, 2012; 전혜미, 2012)과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긍정적임을 밝혀준 연구(손수연 외, 2013)와 맥을 같이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의 시행초기에 비해 시간이 흐른 후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서동숙, 2004)와는 조금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경우 시행초기임에도 불구하고 실행수준이 상당히 높이 나타난 것은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인 홍보와 연수를 실시하여 유아교사들이 누리과정 실행을 선택이 아닌 필수로서 당위성을 인식한데 기인한다고 볼 수 있으며, 지도서 보급과 관련자료 제공을 통해 지원한 것 또한 실행수준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편성·운영 각 영역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누리과정 구성방향은 양적, 질적 연구 모두 ‘질서, 배려, 협력 등 기본생활습관과 바른 인성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어 구성한다’는 항목이 높게 나타난 반면,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0-2세 표준보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구성한다’의 적용수준은 구성방향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5세 누리과정에서 강조해 오던 기본생활습관과 인성교육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자 하는 기본 방향을 중요하게 인식한 결과에 기인한 것이라 본다. 그러나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0-2세 표준 보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구성한다’는 부분의 실행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누리과정 이전에 실시하던 유치원 교육과정 인식과 적용에서도 이 부분이 낮게 나타난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김영옥 외, 2005). 한편, 심층면담을 통해 볼 때 유아교사들은 연계성 자체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나, 표준보육과정이나 초등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이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는 자신감이 매우 결여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방안으로 표준-누리-초등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과 교사교육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현장적용의 순조로운 정착에 이어 표준-누리과정-초등교육과정의 연계성의 문제는 추후 보완되어야 할 새로운 과제라 하겠다.

    누리과정 편성지침에서는 양적, 질적 연구 공통으로‘유아의 발달특성 및 경험을 고려하여 놀이를 중심으로 편성한다’가 높게 나타난 반면, ‘일과 운영시간에 따라 심화확장 할 수 있도록 편성한다’와 ‘1일 3-5시간을 기준으로 편성 한다’는 항목은 적용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교사들이 유아들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놀이 중심의 편성을 가장 적극적으로 실행 한 결과는 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그리고 표준 보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유아들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과 놀이 중심의 편성이 강조되어 온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김영옥 외, 2005; 문미옥 외, 2008). 그러나 ‘일과 운영시간에 따라 심화확장 할 수 있도록 편성한다’ 와 ‘1일 3-5시간을 기준으로 편성 한다’는 항목에서 실행수준이 낮게 나타난 것은 누리과정 관련 다른 연구들에서도 이 부분이 낮게 나타난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김은설, 2012; 손수연 외, 2013). 한편, 심층면담과 교육과정 문서 분석을 통해 볼 때 교사들은 1일 3-5시간 운영 및 심화 확장할 수 있는 편성을 중요하게 인식하나, 학부모의 인지 중심의 교육에 대한 요구로 인해 이를 적용하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는 유아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학부모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특별활동을 실시하고 있어 누리과정에 의한 수업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김경민, 2012). 또한 이 결과는 누리과정의 1일 3-5시간 편성에 대한 논란과도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누리과정 정착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운영지침의 경우 양적, 질적 연구 결과 공통적으로 연간, 월간, 주간, 일일계획에 의거한 운영을 높게 반영한 반면, 교사 재교육, 부모교육, 지역사회 협력에 기반한 운영은 낮은 적용 정도를 보였다. ‘연간, 월간, 주간, 일일계획에 의거하여 운영한다’가 가장 높은 실행수준을 나타낸 것은 그동안 유치원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인증제가 실행되어 오면서 유아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연간교육계획에 근거하여 월간, 주간, 일일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는 것에 대한 인식과 실행수준이 높아진데 기인했음을 알 수 있다(지효정, 2011). 그러나 교사재교육, 가정과 지역사회 연계 및 부모 교육 실시는 기관의 여건상의 문제와 부모들의 참여 부족으로 인해 가장 낮은 실행수준을 나타내었다. 심층 면담 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누리과정에 따른 수업준비와 교재개발 및 교육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어 교사 재교육 및 가정과 지역사회 연계, 부모교육은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효율적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방안으로 다양한 교사 재교육 기회 및 참여를 위한 시간 할애, 다양한 맞춤형 부모교육 및 지역사회협력 관련 교재 개발과 계획을 위한 시간 등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누리과정 편성·운영 적용 정도는 교사의 배경변인(경력, 학력)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근무기관별로도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별로 살펴보았을 때, 교사경력 ‘15년 이상’과 ‘12-15년 미만’이 그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에 비해 누리과정 편성·운영 적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누리과정 편성·운영 적용 정도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경력(서원정, 2010; 한수진, 2010; 한순화, 2009)과 학력(강송아, 2004; 부성숙, 1999)이 높을수록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다른 연구결과들과 일치한다. 그러나, 교사의 경력과 학력에 따른 교육과정 실행 수준에 차이가 없었다는 연구결과도 제시되고 있어(서동숙, 2004; 양현선, 2006; 서원정, 2010) 누리과정 편성·운영 적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경력과 학력 관련 변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근무기관 유형별로는 ‘국공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누리과정 편성·운영 적용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간 어린이집’과 ‘사립유치원’교사들의 적용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에서도 ‘국공립 유치원’과 ‘국공립 어린이집’이 민간 유아교육기관에 비해 교육과정의 실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과 일치한다(서동숙, 2004; 한순화, 2009; 함현, 2009). 국공립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민간 기관에 비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을 받고 있으며 연수와 교육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는 근무기관 유형별 누리과정 실행수준의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에서의 적용정도를 양적, 질적으로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잘 적용하고 있다는 반응이 나타나 대체적으로 적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편성·운영 상의 적용 수준이 높은 것과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또한 누리과정의 교육 계획 및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적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일치한다(이정욱, 2012; 이정욱 외, 2013).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에서의 적용 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이 누리과정연수로 인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및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데서 기인한 것이라 볼 수 있다(이정욱, 2013).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을 영역별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누리과정 목적 및 목표 선정에서는 양적연구 결과, ‘기본 운동 능력과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습관을 기른다’ 의 적용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호기심을 가지고 주변세계를 탐구하며, 일상생활에서 수학적·과학적으로 생각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는 적용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 개정 시 유아교사들의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며 기본생활습관을 기른다’는 항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김영옥 외, 2004; 문미옥 외, 2008). 기존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뿐 아니라 누리과정 제정의 기본 방향에서도 생활습관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유아교사들은 교육목표에서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지속적으로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영역의 목표에 비해 자연탐구영역의 목표 선정에서 가장 낮은 적용수준을 보인 것도 표준보육과정 영역별 운영실태와 5세 누리과정 운영실태와 관련한 선행연구 결과들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박지현, 2011; 서진경, 2009; 김은설 외, 2012; 이윤선, 이영신, 김보연, 2013). 선행연구들은 유아교사들이 누리과정 5개 영역을 대체적으로 균형 있게 편성하고 운영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나, 다른 영역에 비해 자연탐구 영역의 목표설정과 실행 비중이 가장 낮은 것으로 밝혀주고 있다(박지현, 2011; 이정욱 외, 2013). 유아교사들은 다른 영역에 비해 자연탐구 영역을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연수 시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지적하고 있었다(김정주, 2013). 교사들이 지적하였듯이 자연탐구 영역에 대한 교사 전문성 부족은 학습지나 선행학습의 요구를 수용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따라서 자연탐구 영역에 대한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심층면담 결과에서도 자연탐구영역 외에 의사소통영역 및 예술경험영역을 잘 적용하지 못한다는 반응이 다소 나타났는데, 그 이유로는 부모의 인지중심의 교육에 대한 요구와 교사의 과학 및 수학 개념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 결여 및 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도 부족이 제시되었다.

    교수학습 방법 영역의 경우 양적연구에서는 실내·실외, 정적·동적, 대·소집단 및 개별, 휴식 등의 균형에 대한 항목의 적용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질적연구에서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 통합활동과 놀이를 중심 활동 항목에 대한 적용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양적, 질적 연구 공통으로 유아의 관심과 흥미, 발달이나 환경 특성 등을 고려하여 개별유아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학습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용수준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이 교육계획 수립과 실행 시 어려운 점에 대해 조사한 선행연구에서 유아들의 발달수준과 흥미 등 개인차를 고려하는 수업을 어려워 한다는 결과와 유사하다(김영옥 외, 2005). 누리과정 영역별 목표는 양적연구 결과, ‘안전한 생활습관을 기른다’ 와 ‘건강한 생활습관을 기른다’의 적용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 동네, 우리나라, 다른 나라에 관심을 갖는다’, ‘생활속의 여러상황과 문제를 논리·수학적으로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초능력을 기른다’와 ‘주변의 관심있는 사물과 생명체 및 자연현상을 탐구하기 위한 기초능력을 기른다’는 문항의 적용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의 목적 및 목표 선정과 일관성 있게 나타난 것이라 볼 수 있다. 유아교사들이 누리과정의 주요 특성인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습관 기르기를 중요시한 결과 목표 선정에서 가장 많이 반영하였으며 하위목표 선정과도 연결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자연탐구 영역의 하위목표 가운데 두 가지가 낮은 적용 수준을 나타낸 것도 목표 선정과 유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우리 동네, 우리나라, 다른 나라에 관심을 갖는다’는 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선행연구에서 유아교사들이 사회관계 영역 가운데 ‘사회에 관심 갖기’ 영역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며(문미옥 외, 2008), 유아교사의 현직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에서 자연탐구 영역과 사회관계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도 관련되는 결과라 볼 수 있다(김정주, 2013).

    한편,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에서의 적용정도를 교사 경력별로 살펴보면 ‘15년 이상’ 경력을 가진 교사들이 그 이하 경력을 가진 교사들에 비해 교육계획 수립과 실행에서의 적용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 교사들의 교육계획 수립과 실행에서의 적용정도를 살펴본 경우 ‘대학원 졸’이 ‘4년제 졸’과 ‘2-3년제 졸’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적용정도를 보여주었다. 근무기관 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 ‘국공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이 ‘사립유치원’, ‘민간어린이집’에 비해 교육계획 수립과 실행 적용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를 통해 교사의 경력과 학력, 유아교육기관 유형이 누리과정 편성·운영의 적용에서 뿐 만 아니라 누리과정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도 동일하게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밝혀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편성과 운영 실행에서의 결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누리과정 적용의 어려움 및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결과, 어려움으로는 누리과정 운영 측면에서 교사용 지도서 내의 활동 부족 및 1일 5시간 편성이 제시되었으며, 교사 측면에서 누리과정 활동에 대한 이해 및 실행 능력 부족, 교사교육의 미흡이 제시되었고, 근무 환경적 측면에서는 누리과정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교재·교구의 부족, 교사의 과다한 행정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 기관의 교육과정과 누리과정 간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이 제시되었다. 개선방안으로는 누리과정 운영 시간의 축소, 현장에서 쉽게 활용 가능하며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 심화된 누리과정 연수 및 누리과정 관련 홈페이지 개발, 생활주제별 활동의 충분한 제시가 제시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선행 연구(전혜미, 서영숙, 2012; 조혜영, 황인주, 2012)와 유사한 결과로, 누리과정의 효율적 정착을 위해서는 현장의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이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를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 논의를 토대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효율적 현장적용을 위한 시사점 도출과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 교사의 학력, 경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음을 고려할 때, 교사들의 학력과 경력, 기관 유형별로 어려움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연수 및 교육 자료 제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민간어린이집, 사립유치원의 보다 효율적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요구나 의견을 수렴하여 지원책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 및 근무기관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자율적 운영을 위한 교사의 전문적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누리과정 적용사례를 수집하여 홍보하거나 안내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특히 자연탐구영역의 교사전문성 강화를 위한 수학 및 과학교과 교육학지식 및 교수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방안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누리과정의 효율적 정착을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유아교육 전반에 걸친 이해와 함께 유아교육기관에서 누리과정을 충실하게 실행하여야 함을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초등 교육과정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3-5세를 담당하는 교사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와 초등 교사의 통합 연수 또는 독립된 연수를 통해 상호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표준 보육과정 및 초등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위한 구체적인 정보 및 자료제공이 필요하며,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시 표준, 누리, 초등교육과정 간 연계를 도모하는 연구진 구성 체제 구축 등이 필요하다.

    다섯째, 누리과정 적용 시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최소화하는 하는 지원책 마련 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구성 측면에서 교사용 지도서 내의 활동 부족과 1일 3-5시간 편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생활주제별 활동의 충분한 개발과 보급 및 1일 3-5시간 편성의 적절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현대 사회의 특성, 부모의 요구, 유아 발달에의 적합성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 측면에서는 누리과정 활동에 대한 이해 및 실행 능력 부족과 교사교육이 부족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다양한 컨설팅 체제 및 누리과정 관련 홈페이지를 구축, 교사교육의 기회 확대와 심화 연수 등이 요구된다. 근무 환경적 측면에서는 누리과정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교재교구의 부족, 교사의 과다한 행정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 기관의 교육과정과 누리과정 간의 차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 1. 권 미경, 김 정숙, 이 경진, 장 현실 (2013) 3-4세 누리과정 운영 및 이용 현황과 개선 방안. google
  • 2. 김 영옥, 조 부경, 홍 혜경, 김 희진 (2005)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유아교육연구] Vol.25 P.53-80 google
  • 3. 김 정주 (2013) 효율적인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현직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 [유아교육연구] Vol.33 P.319-336 google
  • 4. 김 희연, 정 선아, 오 문자 (2011) 2007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의 조직체계와 운영전략에 관한 비판적 검토:유치원교육과정 개편의 방향설정을 위한 제언. [교육과정연구] Vol.29 P.69-98 google
  • 5. 문 미옥, 조 부경, 이 연승, 신 은수, 김 지영, 안 진경, 김 영실 (2008) 2007년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시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P.357-379 google
  • 6. 박 승렬 (2008) 교사변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 분석. google
  • 7. 손 수연, 이 기숙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유아교육연구] Vol.33 P.119-144 google
  • 8. 염 지숙 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Vol.15 P.295-310 google
  • 9. 유 수정, 강 문숙, 김 석우 2013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P.435-458 google
  • 10. (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연수 자료집. google
  • 11. 이 경선 (2013) 5세 누리과정 실행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Vol.13 P.375-390 google
  • 12. 이 윤선, 이 영신, 김 보연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어린이집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Vol.78 P.189-213 google
  • 13. 이 윤진, 이 정원, 김 문정 (2012) 5세 누리과정 이용실태 및 요구조사. google
  • 14. 이 정욱, 박 진이 (2013) 어린이집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 실태-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Vol.33 P.339-365 google
  • 15. 이 정욱, 양 지애 (2012) 5세 누리과정 정책과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Vol.16 P.167-192 google
  • 16. 전 혜미, 서 영숙 (2012)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방과후아동지도연구] Vol.9 P.23-45 google
  • 17. 정 선아 (2013) ‘적응(application)’에서 ‘실행(practice in action)’의 영유아보육과정(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으로.모두가 행복한 “유보통합”의 방향을 위한 진단과 모색.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 추계학술대회] P.59-83 google
  • 18. 조 혜영, 황 인주 (2012) 5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유아교육연구] Vol.32 P.181-205 google
  • 19. 황 해익, 서 보순 (2010)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실태. [유아교육연구] Vol.30 P.117-140 google
  • 20. (2001) Starting Strong 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google
  • 21. (2013) Starting Strong Ⅲ: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google
  • 22. Roseveare D., Taguma M. (2011) Incesting in high-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KOREA Policy Forum] P.6-26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의 배경
    연구대상의 배경
  • [ <표 2> ]  설문지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설문지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 [ <표 3> ]  현장 참여관찰
    현장 참여관찰
  • [ <표 4> ]  심층면담 준거
    심층면담 준거
  • [ <표 5>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상의 적용정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편성?운영상의 적용정도
  • [ <표 6>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및 실행정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육계획 및 실행정도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