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재능기부 자원봉사의 여가적 의미와 가치 탐색 Exploring the Leisure Meaning and Values of Skilled Volunteer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재능기부 자원봉사의 여가적 의미와 가치 탐색

This study examined the leisure value and meaning related to satisfac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of skilled volunteers on college students for improving the volunteering. Along with these volunteers who were proficient in the English language, "The outreach English play for institutionalized child" was planned, prepared and performed in six different facilities. The leisure value and meaning ascribed to the activities of skilled volunteers and the effect of their continuous participation were analyzed b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process by Giorgi's 4-four steps. First, the leisure value of the skilled volunteers was self-development. Through skill confirmation and exhibition, the skilled volunteers became the initiations of self-development. Second, the skilled volunteers had the leisure meaning in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Subjects ha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rough feeling confidence and accomplishment. They also were increased sociality through increased level of intimacy,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ty consciousness. Finally, the skilled volunteer served as motivators, so their continuous leisure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ir sense of frustration and vision for the future.

KEYWORD
skilled volunteer , English Play , leisure value , leisure meaning , continuous participation
  • Ⅰ. 서론

    현대사회의 여가는 자유시간이나 휴식보다는 자아실현과 삶의 질 향상이라는 맥락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평균수명의 증가도 여가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요구하고 있으며, 다양한 여가활동에 주목하게 만든다.

    Stebbins(2001)는 자원봉사란 자유시간을 의미있고 만족스럽게 사용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선택한 활동이며, 이는 여가활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최근 국내의 노인이나 청소년 관련 분야에서 봉사활동을 여가의 일종으로 이해하는 연구가 생겨나기 시작했다(김동희, 2009; 김예성, 2010). 박준홍, 이환, 조수연, 김매이(2011)는 대학생 자원봉사를 자원봉사 관광 개념을 적용한 야가의 한 형태로 전제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대학생의 긍정적 자원봉사경험은 인격적 성장, 잠재능력의 실현이나 공동체 의식,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는 기회가 된다(김욱, 송미영, 2007; 홍연숙, 2002).

    자원봉사 실태를 보면 봉사자의 수는 늘어났지만 실제 자원봉사 참여자는 부족하다. 자원봉사활동의 질이나 활동영역의 경우도 일상생활 및 비정기적 행사성 봉사활동에 편중되어 있다(박세경, 2010). 경기도의 경우 자원봉사 등록자 중 21.7%만이 실제 사업에 참여하였고, 자원봉사에 대한 낮은 만족도나 부정적인 이미 지로 인해 자원봉사를 중단하는 경우도 많다.

    대학생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대학생들은 자신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해 ‘보람을 느낄수 없어서(68.2%)’, ‘자기발전과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아서(45.5%)’ 등의 이유로 불만족해하며 봉사를 중단한다(최재영, 1998).

    자원봉사는 현대인이 자아실현이나 삶의 질과 연관되는 적극적 여가활동이다. 그런데 자원 봉사가 여가활동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선행되어야 한다. 어린 시절 경험한 긍정적 여가활동은 성인이 되어서 이어질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Sofranko & Nolan, 1972; Yoesing & Bukhead, 1973).

    대학 재학중 자원봉사 경험은 졸업후 지속적인 봉사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이현미, 2002). 따라서 사회인이 될 대학생에게 어떠한 자원봉사활동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어떤 방법으로 만족도를 높일 것인가 하는 것은 여가적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가 된다.

    재능기부는 본인 스스로가 의미있고 만족스러운 자유시간을 보내기 위해 자발적으로 선택한 활동이므로 여가로 이해될 수 있다(조수연, 박준홍, 이환 재인용; 2011). 또한 재능기부는 단순 노력봉사나 육체적 봉사활동에 비해 개인의 역량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와 만족 감을 얻을 수 있는 한 단계 진화된 기부방식이다(박소현, 2011).

    재능기부 자원봉사는 사회적 관계와 사회성에 주목한 ‘사회적 여가활동’으로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다른 여가활동과는 달리 관계성과 사회적인 가치를 가지는 활동이라는 점에서(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여가적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재능기부 자원봉사가 대학생 들에게는 어떤 여가적인 의미와 가치를 가지며, 참여지속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재능기부 자원봉사를 준비하고 운영하는 전과정은 질적 연구법을 적용하였으며 재능봉사에 대해 인식하는 여가적 의미와 가치 및 참여 지속의 영향정도를 탐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생 자원봉사와 여가적 가치

    1966년부터 국내 많은 대학들은 지역사회의 당면한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어려운 이웃을 돕는 봉사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자원봉사활동을 시작하였다. 1995년 이후 사회봉사 관련 교과목이 개설 운영되었고, 2005년부터 POSCO 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산‧학정의 협력 기틀을 마련하여 전문적인 봉사활동을 펼쳐왔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은 사회를 경험하고 바람직한 사회적 윤리관, 인간성, 창의력을 개발할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김상경, 2012; 이은승, 2008).

    대학생의 자원봉사는 성인의 자원봉사와 유사한 점이 있지만 “교육적 목적”을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김덕주, 2008). 많은 대학 들은 자원봉사활동에 학점을 부여하는 등 의무 성과 강제성을 가지는 봉사학습을 운영하고 있다. 봉사학습이론에 따르면 자원봉사경험과 학습에 대한 기대가 일치해야만 봉사학습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김성이, 박영희, 2003).

    대학생들은 자원봉사의 과정이나 결과를 통해 자신에게 돌아오는 ‘보상’에 대해 관심이 많으며 사회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추구하는 성향도 나타낸다(오효근, 김욱, 2008). 보상은 물질적 보상이 아니더라도 인정, 칭찬, 존경, 감사, 보람, 만족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대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활동의 수행이 성공할 것이라는 기대, 이익을 얻을 것이라 는 기대, 그리고 활동의 결과가 긍정적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특정한 활동을 참여한다는 것이다(Vroom, 1964).

    따라서 대학생들의 자원봉사를 활성화 하고 자원봉사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원봉사의 가치와 자세를 확립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에 대한 체계화된 지도와 교육 및 훈련이 매우 중요 하다(구혜영, 2006; 김성종 엄성호, 2002;김욱, 2011). 또한 기대에 부합하는 활동을 선택하게 한다거나 활동을 통해 유무형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계획해야 자원봉사의 지속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미칠 수 있다(김광희, 1999; 안은영, 2002; 이희태, 2001).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은 자발성, 이타성, 유능감, 행복감과 같은 여가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대학생의 자원봉사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이들의 봉사경험이 향후 여가활동의 선택이나 지속에 영향을 미친 다는 여가적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2. 재능기부의 정의와 역사

    1) 재능기부의 정의

    기부란 개인이나 단체가 대가를 바라지 않고 공익을 위해 제도적으로 인정된 방식으로 조직을 통해 금품, 용역(자원봉사활동), 부동산을 자발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 뿐 아니라 경험이 수반된 자신만의 독특한 능력을 봉사에 접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형태의 봉사를 ‘재능기부’라 일컫는다.

    기부는 본래 유형의 기부(현금과 현물, 부동산, 신체의 일부(헌혈 등) 기부)와 무형의 기부(시간과 재능, 기술을 나누는 자원봉사)로 구별할 수 있고, 무형의 기부는 다시 (1)단순 노동력을 제공하는 자원봉사와 (2) ‘재능’이라는 특수한 활동을 통한 자원봉사로 구별할 수 있다(박소현, 2011). 따라서 재능기부(talent donation)는 무형의 기부이자 단순 노동력을 제공하는 자원봉사가 아닌 ‘재능’이 라는 특수한 활동을 통한 ‘전문봉사활동’이다.

    미국의 경우 재능기부를 ‘skilled volunteer' 로 표기하는데, 이는 재능기부가 자원봉사의 일환이면서도 일반 자원봉사활동와는 차별화되어 특수한 기술이나 기능을 활용한 자원봉사로 특화된 것임을 의미한다(박소현, 2011). 재능기부는 기부자와 수혜자 간에 상호 교환하고 소통하는 쌍방항적인 나눔이며, 민주주의와 성숙한 시민사회의 수준을 보여주는 하나의 척도가 된다(김수진, 2012; 주성수, 2005).

    2) 재능기부의 역사

    한국의 기부문화는 개인의 유형 기부 중심이었고, 1990년대 초반까지 기업기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다가 1997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법과 2005년 자원봉사활동기본법을 제정되고, 2007년에는 기부금품 모집 규제법과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면서 기부의 유형이 다양화되기 시작했다(박소현 2011).

    이명박 정부는 2009년 15대 중점과제로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나눔문화와 노블레스 오블리주 확산’을 제시하였으며, 2010년 국정운영성과에 공정한 나눔 및 봉사문화 확산 성과로 전문자원봉사자와 사회복지 자원봉사자의 활동 확대를 설명하였다(박소현, 2011). 이러한 상황에서 재능기부는 새로운 기부문화의 트랜드로 부상하게 되었으며, 가진 사람 또는 여유 있는 사람만이 할 수 있다고 인식되었던 기부 개념이 남녀노소, 가진 사람과 못 가진 사람을 불문하고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재능기부는 범국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 행정안전부 전국전문자원봉사단은 자원 봉사센터의 허브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전국 의사, 기술자 등 37만명의 전문직 종사자를 하나로 묶어 전국전문자원봉사단을 운영하고 있다. 특허청에서는 중소기업의 지식재산의 문제 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 대학과 기업, 협회 등 의 지식재산 전문가와 함께‘지식재산 재능나눔 사업’을 시범추진 하였다농림수산식품부도 ‘스 마일 재능뱅크’를 운영하고 있는데, 2012년 농어촌 재능기부 신청자가 2만 명을 돌파하였다. 이들은 지역개발과 농림어업, 의료/복지/교육, 사업경영과 마케팅 분야의 재능기부를 하고 있다(김인중 2012).

    서울시 자원봉사센터에 의하면 서울시 어르신들은 녹색환경조성, 인형극 봉사, 치매지원센터 프로그램 보조 진행 및 안내 등의 재능과 지식, 기술, 경험을 활용한 다양한 나눔봉사를 통해 즐겁고 재미있는 제2의 인생을 설계하고 있다(신은경, 2011). 보건복지부는 전직원의 자발적 기부로 발생한 수익금으로 나눔을 실천하는 ‘재능나눔은행’을 설립하였다. 또한 단체, 기관, 언론 및 국민들의 추천을 받아 숨은 나눔 인을 적극 발굴 포상하며, 국가사회봉사모델로서 대한민국 사회봉사단 Korea Hands사업을 시행하고 있다(김수진, 2012).

    재능기부는 사실 최근에 시작된 것은 아니다. 미국변호사협회는 1993년 변호사를 쓸 여건이 되지 않는 어려운 사람들에게 연간 50시간 이상 무료변론이나 법률상담 서비스와 같은 사회공헌 활동을 하도록 규정하였다(워키백과, 2012).

    재능을 나누는 것은 단순 노력봉사의 한계와 일시적 행사, 자선적 동기에 의한 자원봉사활 동의 단편성 및 일회성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김수진, 2012). 재능기부는 기부를 받아야 할 대상이 다양한 만큼 기부할 수 있는 재능도 다양화된 새로운 자원봉사이자 여가활동으로의 의미를 가진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C대학교 사회복지과 재학생 중에서 영어에 재능이 있고 영어재능봉사를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어면접과 영어 대본 리딩을 통하여 영어연극에 참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대상자를 선별하였으며, 그 결과 사회복지과 1, 2학년 여학생 총 10명이 선발되었다.

       2. 연구절차

    본 연구는 2013년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 동안 전라남도 순천지역에서 시설아동을 위한 찾아가는 영어연극을 기획하고, 준비하고, 공연하는 전반의 과정에 걸친 개개인의 변화를 여가적 관점에서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영어연극의 준비과정, 대본외우기, 소품제작, 공연연습, 실제 공연과정,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동안 개인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자신의 경험에 관련하여 반성적 일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공연 이후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역 아동센터와 아동시설을 대상으로 6회의 공연을 모두 마친 다음 주에 총 2시간에 걸쳐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의 내용은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반구조화된 질문형태로 진행되었으며, 그밖에도 재능 기부 자원봉사 전반에 걸친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면접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 아래 녹음 되었고, 녹취록은 면접 이후 모두 전사하였으며, 녹취록의 정확성을 위해 녹음된 음성자료와 비교 점검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자들에게 면접을 시작하기 전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면담내용의 비밀보장을 약속하는 등 윤리적인 연구기준을 준수하였다.

       3. 자료분석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질적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참여자의 반성적 일지와 집단상담이라는 다양한 자료의 원천을 활용한 자료 삼각검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기록하였으며 기술된 내용들을 Giorgi(1985)의 현상학적 분석과정의 4단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는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따라 녹음 자료가 필사된 문사자료와 반성적 일지를 수차례 반복하면서 내용을 파악한 후 의미단위를 도출하고, 도출된 의미단위들을 다시 연역적 접근으로 돌아가 자료를 재검토하면서 첨가 혹은 제외 되어야 할 단위들과 합해져야 할 단위 들을 재정리하여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묶어서 의미단위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요약된 의미단위들을 포함하는 보다 상위개념과 하위 구성요소들을 도출한 후 하위구성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경험의 일반적 구조를 찾기 위해 동질적이라고 판단되는 하위 구성요소 들을 묶어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재정리하였다. 또한 질적연구의 객관성과 엄격성을 확보하기 위해 2인의 사회복지 전문가가 연구자료 분석에 대한 교차검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연구자 개인적 관점 에서 해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Ⅳ. 결과 및 논의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현상학적 분석과정에 따라 도출된 의미단위를 요약하여 하위구성요소를 만들고 이를 재정리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재능기부 자원봉사의 여가적 의미는 재능훈련과 재능발휘라는 하위구성요소를 나타냈으며, 이는 자기계발이라는 의미로 요약되었다. 재능기부의 여가적 가치는 심리적 만족, 사회 성향상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심리적 만족의 하위구성요소로는 자신감과 성취감이, 사회성 향상은 친밀감, 상호이해, 공동체의식으로 분류 되었다. 참여지속의 측면에서 볼 때 영어연극 재능기부 자원봉사 활동은 아쉬움과 비전발견의 하위요소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재동기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표 1.] 영어연극 재능기부 자원봉사에 대한 질적 분석

    label

    영어연극 재능기부 자원봉사에 대한 질적 분석

       1. 재능기부의 여가적 의미

    1) 자기계발

    재능기부 자원봉사는 대학생들에게 자신의 재능을 훈련하고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자기계발’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바람직한 여가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체험을 통한 경험, 자발적 참여, 자신의 장점에 의한 동기부여가 필요하다(Neulinger, 1981).

    정현숙(2005)도 청소년이 자원봉사활동 장소를 ‘스스로’ 선택했을 때 자신감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봉사활동 참여동기가 사회성에 영향을 준다고 밝힌 바 있다. 재능기부는 자신의 재능이라는 장점 중심의 활동으로 바람 직한 여가로서의 의미를 드러냈다.

    (1) 재능훈련

    대상자들은 봉사를 통해 자신의 재능을 훈련할 수 있었다고 응답했다. 영어연극을 준비하는 동안 자기 자신이 맡은 역을 소화시키기 위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개인적인 노력을 하면서 재능을 훈련하고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2) 재능발휘

    영어연극이라는 자원봉사를 통해서 재능발휘의 기쁨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노력봉사와는 달리 재능봉사는 준비된 봉사, 전문성을 가진 봉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고 진술하였다.

    많은 사람들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 경험이 수반되어야만 누군가를 도와줄 수 있다고 생각 하는데 이는 극히 일부의 경우에 지나지 않는 다(진무두, 2012) 또한 작은 재능이라도 갈고 닦지 않으면 의미없이 사장될 수 있다.

    대한민국 대학생 대부분은 오랜 영어교육으로 영어에 대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영어 재능기부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지역적 양극화를 해소하는 자원봉사가 될 수 있다. 2003년 학업성취도 조사에 의하면 영어우수학력 학생과 기초 또는 미달학력 학생의 비율은 도농간 상당한 격차를 나타냈다(김희삼. 2010). 전남지 역의 경우 영유아기 공공보육 및 기회가 부족하고, 취약가정 아동들은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며(전남발전연구원, 2009) 시설아동, 빈곤아동, 소외계층의 경우 영어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김희삼, 2010). 따라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영어 재능기부는 더욱 큰 가치를 가질 수 있다.

       2. 재능기부의 여가적 가치

    재능기부는 여가의 측면에서 심리적 측면의 만족감이나 성취감이 크다고 하였으며, 특히 다른 활동보다 사회적 측면에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심리적 측면

    (1) 만족감

    반성적 일지에 의하면 학생들은 영어 연극을 시작할 때 자신감 보다는 호기심과 미련을 갖고 시작하였으며 영어연극을 소화해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걱정이 많았다고 기록했다. 하지만 영어연극 준비과정을 통해 영어에 대한 학습의 기회를 다시 가질 수 있었고, 자신감과 보람, 재미를 느낄 수 있었으며, 앞으로도 하고 싶을 만큼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진술하였다.

    (2) 성취감

    공연을 준비하고 정해진 6회의 공연을 잘 마무리 하게 되면서 무언가를 해냈다는 대한 성취감을 가졌으며, 개인적으로도 자신의 단점을 극복하기도 하였으며, 결과물을 만들어냈다는 기쁨과 뿌듯함을 보였다.

    2) 사회적 측면

    (1) 친밀감

    영어연극 공연을 준비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만나면서 친하지 않았던 사이가 가까워지고 서로에 대한 친밀감이 깊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2) 상호이해

    연극 준비과정을 통해서 시간약속을 정하고 만나면서 자신의 개인적인 시간과 전체 약속시간 때문에 갈등하였고, 그 과정에서 상호 불만 족한 부분도 있었지만 집단에 대한 미안함을 전하고 서로 도와주고 배려하면서 서로를 이해 하는 과정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3) 공동체 의식

    하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함께 하지 않으면 해낼 수 없다는 공동체 의식을 자연스럽게 가지게 되면서 강인한 결속력과 시너지를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적이고 과제수행형 재능 봉사의 의미를 상기시킨다.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남은영, 이재열, 김인혜(2012)의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이은 사회공헌적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관계성과 자율성, 유능감을 경험하게 하였고, 궁극적으로 행복감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하였다.

    집단적이고 프로젝트형 재능기부는 현대사회의 사회적 고립의 문제해결과 사회적 응집성향 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재능기부 자원봉사가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

    1) 재동기부여

    (1) 아쉬움

    활동 평가를 통해서 활동에 대한 아쉬움을 많이 나타냈으며, 부족한 부분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 다음 기회에 재능기부 활동을 보완하고 지속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드러냈다.

    (2) 향후비전 발견

    봉사활동을 통해서 앞으로 어떤 자원봉사를 할 것인지를 생각해보고 자원봉사에 대한 새로운 동기를 갖게 되었으며 향후 미래에 대한 방향도 고민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 재능기부는 재동기부여의 역향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수연(2011) 등이 대학생 자원봉사는 ‘경험추구’, ‘자긍심’, ‘사회적 인정’, ‘타인기대부응’의 욕구가 충족될 수록 지속가능성이 크다고 한 연구결과와 일맥 상통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시설아동을 위한 찾아가는 영어 연극‘이라는 대학생의 재능기부 봉사활동 여가적 의미와 가치,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재능기부의 여가적 의미는“자기계발”로 나타났으며, 이는 재능기부가 자신의 재능을 훈련하고 발휘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재능기부의 여가적 가치는 심리적 만족감과 사회성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감, 성취감 등 심리적 만족감이 증대되고, 친밀감, 상호이해, 공동체의식과 같은 사회성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집단적이고 과제수행형 재능기부가 갖는 사회적 가치는 현대사회 고립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셋째, 재능기부는 참여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재능기부 자원봉사는 아쉬움과 향후 비전발견 등 향후 참여에 대한 재동기부여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앞으로 여가 연구는 다양한 여가활동 유형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개인주의 팽배와 집단따돌림 등의 사회문제와 관련하여 사회적 관계 중심의 관계형 여가나 사회공헌형 여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재능기부에 있어서는 대학생들의 특성과 재능, 학과를 중심으로 한 특성화된 재능기부 자원봉사 유형에 대한 후속적 연구가 필하다. 향후 대학생 재능기부 문화 정착은 학생 개개인의 행복은 물론 사회 공공의 가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1. http://news1.kr/articles/1015338 google
  • 2. (2009) 2015 전남 발전 비전과 전략 google
  • 3. (2010) 700여명의 프로보노들, 사회적 기업의 성공을 돕다-전문성 기부라는 보다 앞선 사회 공헌활동 google
  • 4. Ulziibayar Jigjid (2011) 청소년 자원봉사의 지속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 요인 연구. google
  • 5. 구 혜영 (2006) 공공조직 자원봉사자의 활동효과성 영향 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8 P.111-136 google
  • 6. 김 광희 (1999)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지속성 유지방안에 관한 연구. google
  • 7. 김 덕주 (2008) 중학생의 자원봉사 활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google
  • 8. 김 동희 (2009) 당뇨병 노인의 여가와 자원봉사활동. [임상당뇨병] Vol.10 P.172-175 google
  • 9. 김 상경 (2012) 기독교 여대생의 영어재능기부: 영어예배 보조교사로서의 봉사학습 연구. [기독교 교육정보] Vol.33 P.205-234 google
  • 10. 김 성은 (2009)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google
  • 11. 김 성이, 박 영희 (2003) 자원봉사총론. google
  • 12. 김 성종, 엄 성호 (2002)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지속성 영향요인 연구. [공공정책연구] Vol.11 P.59-82 google
  • 13. 김 수진 (2012) 재능기부를 통한 문화예술 창작 및 향유 활성화 방안 연구. google
  • 14. 김 예성 (2010) 바람직한 청소년 여가문화 활동으로서의 자원봉사활동. [청소년문화포럼] Vol.24 P.243-251 google
  • 15. 김 욱 (2011) 대학생의 자원봉사 교육경험과 자원 봉사의 중요성 인식 및 참여태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Vol.18 P.301-329 google
  • 16. 김 욱, 송 미영 (2007)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 참여도와 정책적 함의-참여빈도, 참여기간, 참여강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Vol.28 P.5-29 google
  • 17. 김 인중 (2012) 스마일재능뱅크: 농어촌 재능기부 신청자 2만명 돌파. google
  • 18. 김 희삼 (2010) 영어 격차의 실태와 과제. [2010 한국사회보장학회 춘계정기학술대회 자료집] P.179-210 google
  • 19. 남 은영, 이 재열, 김 민혜 (2012)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Vol.46 P.1-33 google
  • 20. 박 관숙 (2012)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시민의식 형성에 미치는 효과. google
  • 21. 박 세경 (2010) 자원봉사 활성화를 통한 나눔문화의 확산. P.83-92 google
  • 22. 박 소현 (2011)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활성화 방안 연구. google
  • 23. 박 준홍, 이 환, 조 수연, 김 매이 (2011)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5 P.89-101 google
  • 24. (2010) 복지부 재능나눔 은행 공식 출범.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google
  • 25. 신 소미 (2012) 음악전공 대학생의 재능기부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예술교육연구] Vol.10 P.83-100 google
  • 26. 신 은경 (2011) 서울시 실버봉사단, 나눔으로 행복한 제2의 인생. 서울특별시 google
  • 27. 안 은영 (2002) 자원봉사관리과정이 자원봉사활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google
  • 28. 안 혜리 (2011) 미술교육과 봉사학습의 연계 가능성. [조형교육] Vol.41 P.91-113 google
  • 29. 오 효근 (2007)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google
  • 30. 오 효근, 김 욱 (2008)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 결정요인에 대한 경로분석. [사회복지정책] Vol.35 P.297-327 google
  • 31. 우 남희, 이 종희 (1994) 국제화에 대비한 조기 외국어 교육의 현황과 방향-한국의 조기 영어 교육실태조사. [한국아동학회 학술 발표논문집] P.21-42 google
  • 32. http://ko.wikipedia.org/wiki/%EC%9E%AC%EB%8A%A5%EA%B8%B0%EB%B6%80 google
  • 33. 윤 상연 (2013) 자원봉사 등록자 5명중 1명만 참여. 경기도 자원봉사 정착사업 겉돌아. google
  • 34. 이 경호 (2011) 의무복무 중 재능기부 활동과 복무만족도의 관계. google
  • 35. 이 은승 (2008)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 봉사학습에 대한 인식. [홀리스틱 교육연구] Vol.12 P.85-102 google
  • 36. 이 현미 (2002) 대학생의 사회복지시설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대한 연구. google
  • 37. 이 희태 (2001) 공공부문 자원봉사센터 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행정논집] Vol.13 P.443-471 google
  • 38. 임 현선, 서 영아, 권 대봉 (2008) 학습으로서의 자원봉사활동의 이해. [평생교육학연구] Vol.12 P.147-170 google
  • 39. 정 성국 (2003)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영어듣기 학업 성취도 실태 분석. google
  • 40. 조 수연, 박 준홍, 이 환 (2011)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여가로서의 지속적인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참여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스포츠문화?과학연구지.] Vol.18 P.23-32 google
  • 41. 주 성수 (2005) 자원봉사이론?제도?정책. google
  • 42. 진 무두 (2010) 재능기부에 대한 이해와 활성화 방안. [도시와 빈곤] Vol.98 P.23-31 google
  • 43. 최 재영 (2008)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Vol.10 P.195-218 google
  • 44. (2008) 여가 그리고 정책-여가를 통해 미래사회를 바라본다. google
  • 45. 홍 기원 (2011) 예술계 전공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현황과 특징 분석. [예술교육연구] Vol.9 P.49-70 google
  • 46. 홍 연숙 (2002)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결정요인. [청소년복지연구] Vol.4 P.76-97 google
  • 47. Giorgi A. (1985)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Vol.28 P.235-261 google cross ref
  • 48. Neulinger J. (1981) To leisure: An introduction. google
  • 49. Smith D. H., Macaulay J. Associates (1980) Participation in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google
  • 50. Sofranko A. J., Nolan M. F. (1972) Early life experiences and adult sports particip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4 P.6-18 google
  • 51. Stebbins R. A., Graham M. (2004) Volunteering as Leisure/Leisure as Volunteering. google
  • 52. Stebbins R. A. (1996) Volunteering a serious leisure perspective.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ly] Vol.25 P.211-224 google cross ref
  • 53. Vroom V. H. (1964) Work and Motivation. google
  • 54. Yoesting D. R., Burkhead D. L (1973) Significance of childhood recreation experience on adult leisure behavior. An exploratory analysi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5 P.25-36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영어연극 재능기부 자원봉사에 대한 질적 분석
    영어연극 재능기부 자원봉사에 대한 질적 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