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Relationship of Physical Respect,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Leisure Identity Factors of the Recreational Sports Club Membership 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 요인에 따른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의 관계
  • 비영리 CC BY-NC
ABSTRACT
Relationship of Physical Respect,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Leisure Identity Factors of the Recreational Sports Club Membership

이 연구는 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 요인이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0년 서울?경인지역의 생활체육동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편의표집방법으로 총 477명의 자료를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여가정체성이 신체적 존중감에서 신체적건강에 동일시가 부의 영향을, 신체적자신감은 정서적애착에서 정의 영향을 보였다. 둘째, 여가정체성이 심리적 행복감에서 즐거움에 정서적애착과 동일시가 정의 영향을, 자신감은 정서적애착과 존중감이 정의 영향을 보였다. 셋째, 여가정체성이 생활만족에서 외적만족에 동일시가 정의 영향을, 정신만족은 동일시, 정서적애착, 존중감이 정의 영향을, 대인만족은 정서적애착과 존중감이 정의 영향을, 내적만족은 동일시와 정서적애착이 정의 영향을 보였다. 넷째, 신체적 존중감이 심리적 행복감에서 즐거움에 신체적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자신감은 신체적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보였다. 다섯째, 신체적 존중감이 생활만족에서 외적만족과 정신만족은 신체적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신체적건강은 부의 영향을, 대인만족은 신체적자신감과 신체적건강이 정의 영향을, 내적만족은 신체적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보였다. 여섯째, 심리적 행복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적만족에 즐거움과 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정신만족은 즐거움과 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대인만족은 즐거움과 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내적만족은 즐거움이 정의 영향을 보였다.

KEYWORD
Leisure identity , Psychological happiness , Life Satisfaction , Recreational Sports Club Membership
  • Ⅰ. 서론

    보는 스포츠에서 참여스포츠로의 전환은 주 5일 근무제와 삶의 질이라는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체험적 여가를 즐기는 생활체육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문화관광부, 2006). 한국인의 긍정적 생활유형의 변화는 생활체육 각 종목별로 동호인 활동의 활성화를 가져왔으며, 이를 통한 자기개발로 발전하였고 스포츠 활동을 통하여 삶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스포츠 활동이 주요 관심사인 생활체육은 개인의 취미와 환경에 따라 여가시간에 자율에 의해 참여하는 신체활동으로 현대인의 정신과 건강을 풍요롭게 하는 매우 바람직한 여가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가치관과 의식수준에도 큰 변화를 주어 개인의 삶에 대한 가치부여 를 양적인 물질만족에서 질적 측면에 두도록 하였으며, 그 수단과 방법으로써 스포츠 활동에 큰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이원희, 정연성, 공성배, 김원경, 2009).

    이와 같이 생활체육은 유아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를 대상으로 한 조직적이고 자발적인 비영리적인 동시에 사회적으로 영위하는 계획적인 체육활동이며(김유미, 2000) 여가활동인 것이다. 그러므로 스포츠 활동의 참여는 신체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뿐만 아니라 활동자체에서 오는 즐거움과 기쁨을 느끼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가활동이다(김준희, 이효열, 2008).

    여가활동의 저변을 확대하는 측면에서 생활체육동호인 조직은 공통적인 관심이나 목표를 추구하는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결성된 단체로 강제적으로 참여하거나 생계를 위한 전문적 활동을 위하여 결성된 조직과는 성격이 다르다. 생활체육동호인은 스포츠 애 호가들에 의해 결성된 자발적인 조직체로 특정 스포츠를 매개로 하여 취미나 관심이 같은 성원에 의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체라 할 수 있으며, 생활체육동호인은 이러한 조직에 자율적으로 가입하여 활동하는 스포츠인이라 할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족, 친 구관계, 종교단체, 직업, 지역사회 등 다수의 다양한 관계망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데, 다수의 연구자들은 이러한 사회적 관계망이 개인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으며, 사람들은 사회적 관계망에 참여함으로써 유지되는 역할을 통해 사회적 경험과 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권중승, 2007; Stryker & Burke, 2000).

    통상적으로 정체성은 사회과학적 의미에서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자답으로써 사람들이 자신에 대한 자기다움의 사상을 의미한다(고동우, 2007; 김경동, 1982). 그러나 생활체육동호인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정체성이라는 개념이 어떤 의미상의 변화를 겪어왔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구창모, 2005). 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이란 특정한 여가활동에 대한 지속적 참여의 결과로 여가집단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형성되는 내면화된 역할기대로 정의할 수있다(박유진, 2002). 여가활동을 경험함으로써 얻게 되는 경험은 개인의 주관적인 정서적, 인지적 경험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여가활동을 통해 형성된 여가만족감은 개인의 전체적인 자아형성에 독특하고 중요하게 나타날 수 있다(이미연, 2004).

    여가정체성은 여가행동 영역의 자기 개념이지만 주요 여가행동은 인생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즉 자발적인 기회에 해당되는 여가장면에서 사람들은 활동 참여를 통해 자기 가치관, 성격, 능력, 외모, 사회적 지위 등을 표현하고자 한다는 것이다(고동우, 김상욱, 2008; 성영신, 고동우, 정준호, 1996). 예를 들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의 한 종류인 자극추구 성향에 따라 여가활동선호 경향이 다르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으며(조상희, 2008), 이외에도 여가관여도와 여가태도의 관계(강혜숙, 조수현, 2006),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태도 평가차이(한승엽, 김홍렬, 윤설민, 2006) 등과 같은 연구들은 여가경험이 개인의 핵심가치와 자신의 여러 가지 역량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여가정체성의 가정과 일관된 맥의 결과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고동우, 김상욱, 2008; 도무환, 2009).

    개인은 여가활동 참여를 통하여 나름대로 여가경험영역에 한정된 여가정체성을 구축하고 확인하려는 경향을 인정할 수 있다. 즉 여가정체성은 개인의 주요한 여가 동기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전체적인 혹은 완성된 자기 개념을 형 성하는데 있어 여가정체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다(고동우, 김상욱, 2008; 이연주, 2007).

    또한, 개인마다 여가활동을 통해서 오는 사회, 정신적 건강과 자연적으로 따라오는 외형적인 신체적 미도 갖추게 된다. 즉 어느 시대나 사회를 막론하고 자기 생활권에서 자기 신체적 외양을 소유하고 또 이를 유지하려는 욕망을 갖는 것은 자연스럽고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지태옥, 1997). 신체에 대한 사고는 내적 신체감각에 대한 의식과 신체외모에 대한 개인차에 관련된 것이며 인간 형성을 위한 근거, 어떤 주어진 맥락에서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가이드로서 이용 가능한 가장 직접적이고 독특한 특성이다(Cash, Lewis & Keeton, 1987). 이러한 신체 존중감은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개인의 느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신체 존중감은 각 개인마다 각기 다른 개인적 기초에서 자신의 신체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순수하게 주관적이라 할 수 있으며, 신체에 대한 개인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것이 신체 존중감이다.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경향을 많이 띈다면 신체 존중감 이 높은 것이며, 그렇지 않다면 신체 존중감은 낮은 것이다(이정숙, 2001). 즉 신체 존중감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만족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신체 존중감과 신체 만족도는 같은 의미를 가지고 신체존중감은 신체에 대한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가장 보편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Koff, Rierdan & Stubbs, 1990).

    개인이 자기 신체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은 전반적인 자기 존중감을 높게 하여 심리적 행복감을 지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이계원, 1994). 행복과 관련하여 양명환(1998)은 심리적 행복감에 대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긍정적인 인지적-정서적 상태라고 하였으며, 능동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운동 후에 반복적으로 보고하는 정서적 반응 중의 하나가 쾌락적 즐거움 또는 감정호전 현상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경제수준의 향상, 여가시간의 증대, 여가에 대한 인식변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욕구충족 부분을 자극하여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과 인간관계 환경과 관련하여 삶의 질에 대한 개념을 바꾸고 있다. 이러 한 개념에 비추어 생활체육의 각 종목은 국민 건강에 많은 이바지를 해왔고, 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증대, 생활수준의 향상, 그리고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 할 수 있는 종목 위주로 재편되고 있으며 생활체육은 사회 병리현상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 하여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생활체육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강봉화와 김홍석(2000)은 여가활동 유형 중 생활체육 활동 같은 능동적 여가가 수동적 여가보다 여가만족 또는 생활만족에 크게 기여한다고 보고하였다. 문용(2002)은 여가활동선호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모형을 연구했는데 선호하는 여가활동에 따라 자아정체성과 직업만족도, 가족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백원칠과 김수겸(2004)은 스포츠 활동은 정서의 정적 변화를 초래하여 정신적 안정을 찾게 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고 하였다.

    여가와 관련한 선행연구로는 김경태(1996)는 여가활동 유형이 여가태도의 행동적, 정의적, 인지적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박유진과 김재휘(2002)는 여가정체성이 낮은 사람은 여가경험과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였고 이근모와 김준(2007)은 해양스포츠 참여동기는 참여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각각의 선행연구는 연구대상을 달리하거나 종목을 바꾸어 여가 참여동기, 정체성, 만족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과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의 관계를 이해하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파악된 다. 즉 생활체육 동호인들은 여가정체성을 통해 신체적건강을 추구하고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의 만족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 연구에서는 생활체육동호인을 대상으로 여가정체성,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에 대한 관계를 조사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에 대하여 여가정체성,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가정체성은 신체적 존 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여가정체성은 심리적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여가정체성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신체적 존중감은 심리적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신체적 존중감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여섯째, 심리적 행복감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는 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 심리적 행복감, 신체적 존중감 및 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0년 서울․경인지역의 생활체육동호인 조직(생활체조, 배드민턴, 탁구, 테니스, 마라톤, 기타등)에 소속되어 있는 참가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 다. 연구대상의 표본추출방법은 스포츠 활동 참가자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표집 틀을 작성하기 어려운 관계로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집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500명을 표집 인원으로 선정한 후 설문지 분류 검색과 정을 통하여 무성의하거나 문항이 누락된 23명을 제외한 후 총 477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최종분석에 사용된 생활체육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label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조사방법

    이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진행의 원활화를 위해 연구목적을 이해한 보조연구자 10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경인지역을 연구자와 연구보조자가 직접 방문하여 이 연구의 취지와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고 조사를 허락받은 후 조사대상에 게 설문지를 배포한 다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고 완성된 설문지는 즉시 회수하였다.

       3. 조사도구

    이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문항, 여가정체성,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모든 문항들은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구성한 후 생활체육을 전공하고 있는 교 수 및 박사 5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한 후 전문가를 통해 1차 적으로 내용타당도를 거치고 생활체육참여자 100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을 수정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의 주성분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요인구조의 단순화를 위하여 직교회적 방법(Orthogonal Rotation) 중 배리맥스(Varimax)를 이용하였다. 공통요인 추출방법은 고유치(Eigenvalue) 1.0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요인부하량(Factor Loading)은 .50 이상의 문항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은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보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세부 구성은 <표 2>와 같다.

    [표 2] 설문지의 구성 지표

    label

    설문지의 구성 지표

    1) 여가정체성

    여가정체성 척도는 Callero(1985)가 개발하고 Laverie(1995)박유진(2002), 이원희 등(2009)이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여가정체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는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가정체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3개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여가정체성 요인에 대한 고유값(Eigenvalues)은 동일시 3.679, 정서적애착 3.119, 존중감 2.298로 고유값이 1.0 이상인 인자추출의 기준으로 볼 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적 분산은 60.649%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정체성에 대한 신뢰도 검증결과 동일시 .870, 정서적애착 .840, 존중감 .696으로 나타났다.

    2) 신체적 존중감

    신체적 존중감 척도는 Franzoi와 Shields(1984)가 개발하였으며, 강명옥(1999)이 번안한 설문지로 박태경과 박주영(2002)이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신체적 존중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는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체적 존중감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2개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존중감 요인에 대한 고유값(Eigenvalues)은 신체적건강 2.308, 신체적자신감 1.522로 고유값이 1.0 이상인 인자추출의 기준으로 볼 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적 분산은 63.837%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존중감에 대한 신뢰도 검증결과 신체적건강 .832, 신체적자신감 .609로 나타났다.

    [표 3] 여가정체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label

    여가정체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표 4] 신체적 존중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label

    신체적 존중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표 5]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label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표 6] 생활만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label

    생활만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표 7] 여가정체성,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의 상관분석

    label

    여가정체성,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의 상관분석

       4. 자료처리

    이 연구는 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에 따른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거된 설문지중 신뢰성이 없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유효 표본만을 코딩의 지침에 따라 부호화하였다. 코딩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SPSS 17.0 프로그램으로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상관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7>과 같이 나타났다. 상관행렬에서는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여야 하며, 동시에 상관계수가 1이어서는 안 된다. 상관계수가 1이라는 귀무가설을 기각시키면 요인들은 판별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된다(노동연, 2006).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Pearson의 상관계수를 통한 상관분석 결과 그 값이 .635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의 기준인 .80보다 작으므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무시해도 좋다고 판단된다(김계수, 2008).

       2. 여가정체성이 신체적 존중감에 대한 영향

    <표 8>은 여가정체성이 신체적 존중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이다. 신체적 건강의 β값을 보면 동일시 (β=-.132)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0.4%를 설명하고 있다. 신체적 자신감의 β값을 보면 정서적애착(β=.360)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13.4%를 설명하고 있다.

    [표 8] 여가정체성의 신체적존중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label

    여가정체성의 신체적존중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3. 여가정체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영향

    <표 9>는 여가정체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이다. 즐검움의 β값을 보면 정서적애착(β=.446)과 동일시(β=.173)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34.7%를 설명하고 있다. 자신감의 β값을 보면 정서적애착(β=.275)과 존중감(β=.139)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17.4%를 설명하고 있다.

    [표 9] 여가정체성의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label

    여가정체성의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4. 여가정체성이 생활만족에 대한 영향

    <표 10>은 여가정체성이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이다. 외적만족의 β값을 보면 동일시(β=.406)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설명력은 전체변량의 21.6%를 설명하고 있다.

    [표 10] 여가정체성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label

    여가정체성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표 11] 신체적 존중감의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label

    신체적 존중감의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정신만족의 β값을 보면 동일시(β=.321), 존중감(β=.214), 정서적애착(β=.107)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설명력은 전체변량의 29.3%를 설명하고 있다. 대인만족의 β값을 보면 정서적애착(β=.391)과 존중감(β=.123)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27.3%를 설명하고 있다. 내적만족의 β값을 보면 동일시(β=.237)와 정서적애착(β=.173)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13.0%를 설명하고 있다.

       5. 신체적 존중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영향

    <표 11>은 신체적 존중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이다. 즐거움의 β값을 보면 신체적 자신감(β=.343)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11.3%를 설명하고 있다. 자신감의 β값을 보면 신체적자신감(β=.508)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25.5%를 설명하고 있다.

       6. 신체적 존중감이 생활만족에 대한 영향

    <표 12>는 신체적 존중감이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이다. 외적만족의 β값을 보면 신체적자신감(β=.100)은 정(+)의 영향을, 신체적건강(β=-.317)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11.2%를 설명하고 있다. 정신만족 의 β값을 보면 신체적자신감(β=.146)은 정(+)의 영향을, 신체적건강(β=-.105)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3.1%를 설명하고 있다. 대인만족의 β값을 보면 신체적자신감(β=.321), 신체적건강(β=.103)의 순으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10.5%를 설명하고 있다. 내적만족의 β값을 보면 신체적자신감(β=.152)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1.9%를 설명하고 있다.

    [표 12] 신체적 존중감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label

    신체적 존중감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표 13] 심리적 행복감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label

    심리적 행복감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7. 심리적 행복감이 생활만족에 대한 영향

    <표 13>은 심리적 행복감이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이다.

    외적만족의 β값을 보면 즐거움(β=.163), 자신감(β=.152)의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7.5%를 설명하고 있다. 정신만족의 β값을 보면 즐거움(β=.298), 자신감(β=.239)의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22%를 설명하고 있다. 대인만족의 β값을 보면 즐거움(β=.386), 자신감(β=.280)의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34.2%를 설명하고 있다. 내적만족의 β값을 보면 즐거움(β=.391)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변량의 16.8%를 설명하고 있다.

    Ⅳ. 논의

    이 연구는 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 요인과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생활체육에 대한 동호인 활동이 현대인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 이유는 산업화의 진전에 따라 인간의 신체활동이 줄어들어 신체활동 시간이 부족하게 된 반면, 여가시간은 오히려 늘어나 이를 선용해야겠다는 사회적 욕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21세기 복지 국가를 가늠하는 척도는 삶의 질을 높이는 생활체육 활동의 질과 양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된 가설을 설정하여 살펴봄으로써, 과학적인 연구방법의 처리절차를 통해 이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장에서는 연구에서 나타나는 여가정체성,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심층적으로 논의 하고자 한다.

    첫째, 여가정체성이 신체적 존중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동일시는 신체적건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애착과 존중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정체성이 신체적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정서적애착은 신체적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시와 존중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시의 경우 낮아도 신체적건강은 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서적애착이 클수록 신체적자신감 역시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여가정체 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적애착이 신체적 존중감에 가장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생활체육참여는 자기가치를 긍정적으로 지각하여, 신체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자기를 형성할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백원칠, 김수겸, 2004; 오주훈, 조만태, 2000)를 지지해 주고 있다. 이것은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건강한 사람들이 스포츠 참여 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고 상대 적으로 더 건강해 질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으면 그로 인하여 자신의 능력을 더 많이 발휘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여가정체성이 심리적 행복감의 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정서적애착과 동일시가 즐거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존중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애착과 동일시가 클수록 즐거움은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여가정체성 이 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인 정서적애착과 존중감이 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시는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애착과 존중감이 클수록 자신감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도무환(2009)은 여가정체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적애착은 주관적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행복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존중감은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여 이 연구와 상이함을 보여주고 있다. 정서적애착과 동일시는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즐거움에, 정서적애착과 존중감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에 영향을 끼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원희 등(2009)의 테니스 동호회 활동에서 얻어진 여가정체성이 행복감과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 정서적애착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생활체육관련 직종에 있는 실무자들은 각각의 생활체육동호인이 동호회나 클럽과 같은 조직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고 클럽 및 동호회 조직에 대한 애정을 높임으로써 조직에 대한 동일시와 정서적애착 그리고존중감을 느낄 수 있도록 보다 많을 관심을 기울여야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여가정체성이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동일시가 외적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애착, 존중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시가 클수록 외적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동일시, 존중감, 정서적애착의 순으로 정 신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시, 존중감, 정서적애착이 클수록 정신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정서적애착과 존중감이 대인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애착과 존중감이 클수록 대인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동일시와 정서적애착이 내적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존중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시와 정서적애착이 클수록 내적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최성범과 최종인(2009)의 연구에서 여가정체성이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권중승(2007)은 테니스 동호인의 여가정체성과 생활만족과의 관계 연구에서 여가정체성의 하부요인 중 존중감은 대인만족, 내적만족, 외적만족에서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동일시는 정신만족에서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여 이 연구결과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손원일, 장진우, 김성문(2008)은 생활체육 참여자의 여가정체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 요인이라고 보고하였다. 박유진과 김재휘(2002)는 적극형여가 참여자 중 여가정체성이 높은 집단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여 이 연구의 결과를 일부 뒷받침 해주고 있다. 윤영선(2001)은 여가정체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존중감이었으며, 정서적 만족에는 동일시, 존중감, 정서적애착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존중감이 었으며, 자아적 만족에는 정서적애착, 존중감, 동일시 순으로 영향력이 도출되었다. 박유진(2002)은 특정한 여가활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형성된 여가정체성은 참여자의 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기에 충분한 변수로 작용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동호인의 여가정체성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끼침을 확인할 수 있다. 동일시, 정서적애착, 존중감은 건전한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 지도자들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러한 것이 결국 생활만 족으로 이어짐을 확인할 때 개인별에 대한 구체적 연구 도 진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신체적 존중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신체적 존중감은 자기신체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와 건강상태, 그리고 신체 능력 등을 나타내며, 생활체육은 개인의 신체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신체에 대한 지각에 긍정적 변화를 일으켜 건전한 성격발 달에 형향을 미치므로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킨다(정계순, 2009). 심리적 행복감은 신체활동으로부터 경험되는 긍정적인 인지적, 정서적 상태를 묘사하는 것으로 삶의 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보다는 활발한 신체활동으로부터 경험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인지적 정서적 상태에 형성해주고 있다(백혜경, 2007). 또한, 신체활동이신체적 자기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활발한 신체운동은 심리적 안녕감과 정신적 복지(조민복 2007; Berger & Owen, 1988; Martisen, 1990)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결과 신체적자신감이 즐거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건강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자신감이 클수록 즐거움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체적자신감이 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건강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자신감이 클수록 개인의 자신감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숙(2010)의 연구에서 신체 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신체 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에서는 신체 존중감을 느끼는 수준에 따라 자아수용 정도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또한, 임승현과 남인수(2008)는 신체적 존중감의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 심리적 행복감은 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이 긍정적인 사고와 삶의 자세를 가지고 있어 더 높은 심리적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고 하여 이 연구결과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정계순(2009)이 건전한 성격발달에 영향을 미치므로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는데 이 연구결과도 신체적 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은 심리적 행복감의 즐거움에 영향을 끼쳐 생활체육동호인은 건강문제보다 즐거움 자신의 존재감에 대하여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신체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생각은 생활만족과도 연결되는 데 이러한 생활만족이란 매일의 생활을 구성하는 활동으로부터 기쁨을 느끼며, 긍정적자아상을 지니고, 자신을 가치 있다고 여기며, 낙천적인 태도와 감정을 갖는 것이라고 말한다(Neugarten et al., 1961). 생활만족은 일상생활에서 신체, 정신, 사회적 요인에 의한 개인의 반응으로서 여러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김귀분, 전은영, 1998), 생활만족의 연구분야에서 근간을 이루는 주요 패러다임인 ‘활동이론(activity theory)'에 의하면 생활만족이나 행복은 인간활동의 과정에서 생겨나는 부산물이라는 것이다(Diener, 1984).

    이 연구결과 신체적자신감은 외적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건강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자신감이 클수록 외적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체적자신감은 정신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건 강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자신감이 클수록 정신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체적자신감과 신체적건강이 대인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자신감과 건강이 클수록 대인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체적자신감이 내적만 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건강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자신감이 클수록 내적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신체적건강과 생활만족의 상관관계에서 외적만족과 정신만족에서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신체적건강이 강하지 못함에 따라 외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부정적 신체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람들은 자신 스스로의 만족감과 남에게 과 시하고자 하는 몸짱 같은 신체를 만들고자 다양한 신체활동에 참여하는데(황향희, 2004), 생활체육활동은 여성들에게 체중, 건강, 몸매 등을 포함하는 신체상을 보여주는 최적의 수단이 될 수 있다(Igbanag & Gutin, 1978).

    신체에 대한 존중감과 생활만족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는 벨리댄스 참여자의 신체상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몸치장에 대한 평가, 사회적 종속성 요인이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상에 대한 긍정적 영향은 생활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강동훈, 2009),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화숙(2003), 김현욱(2006)의 연구가 이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생활체육동호인들의 경우 신체적 존중감이 생활만족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끼치고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적건강은 생활만족의 외적만족과 정신만족에 부의 상관이 있었지만 생활만족에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점은 개인이 스스로 느끼는 신체적자신감이 생활만족 즉 생활의 활력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오랫동안 생활체육을 통한 신체활동을 함으로써 건강때문에 생활에 만족하는 정도는 낮은 것으로 보인다. 생활체육 지도자들은 생활체육동호인의 신체적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고민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심리적 행복감이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즐거움과 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즐거움, 자신감이 클수록 외적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심리적 행복감이 정신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즐거움 과 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즐거움과 자신감이 클수록 정신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심리적 행복감이 대인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즐거움과 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즐거움과 자신감이 클 수록 대인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심리적 행복감이 내적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즐거움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즐거움이 클수록 내적만족도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심리적 행복감은 심리적 안녕감을 연구한 Bradburn(1969)의 연구를 시작으로 사용되었으며, 백경숙과 권용신(2005)은 노인이 지각한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연구에서 자신의 생활에 대하여 스스로 공헌하는 행복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또한, 윤순덕(2004)은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연구에서 노인에게 심리적 행복은 심리적 건강뿐만 아니라 성공적 노화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안녕, 생활만족도, 고독감, 자아존중감등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되어 왔다고 하였다. 이러한 측정요인 중 이 연구에서는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가 이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정계순(2009)은 운동프로그램 참가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심리적 행복감은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여 이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Russell(1990)은 생활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한 사람들은 일상의 모든 활동에서 긍정적인 감정을 갖고 있으며, 생활체육의 활동에 직접 참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가치와 효능에 만족해서 심리적으로 행복감을 느끼며, 더 나아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일에 대해서 만족감을 느낀다고 하였다. 또한, 이윤주(2002)는 개인의 신체능력 증진은 신체 존중감에 긍정적 변화를 주어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며 규칙적인 운동습관을 가진 사람들은 긍정적인 사고와 삶의 자세를 가지고 있어 더 높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이 높다고 하였다. 선행연구와 이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생활체육동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서 즐거움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생활체육 관계자는 삶의 질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참여자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시설, 환경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이 연구는 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 심리적 행복감, 신체적 존중감 및 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0년 서울․경인지역의 생활체육동호인 조직(생활체조, 배드민턴, 탁구, 테니스, 마라톤, 기타등)에 소속되어 있는 참가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47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정체성이 신체적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건강에 동일시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자신감은 정서적애착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정체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즐거움에 정서적애착과 동일시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은 정서적애착과 존중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정체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적만족에 동일시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만족은 동일시, 정서적애착, 존중감이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만족은 정서적애착과 존중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적만족은 동일시와 정서적애착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적 존중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즐거움에 신체적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은 신체적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체적 존중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적만족에 신체적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신체적건강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만족은 신체적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신체적건강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만족은 신체적자신 감과 신체적건강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적만족은 신체적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심리적 행복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적만족에 즐거움과 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정신만족은 즐거움과 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만족은 즐거움과 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적만족은 즐거움이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생활체육은 여가활동으로써 신체적 건강은 물론 심리적 행복감을 통하여 생활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그 기능을 한다. 특히 각 종목별 여가정체성은 동호회 활동 속에서 소속감을 높이는 계기와 동호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교류는 물 론 신체적 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 심리적 행복감, 신체적 존중감 및 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심층적인 질적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지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 1. 강 동훈 (2009) [한국미용학회지] Vol.15 P.1074-1082
  • 2. 강 명옥 (1999)
  • 3. 강 봉화, 김 흥석 (2000) [한국체육학회지] Vol.34 P.1001-1013
  • 4. 강 혜숙, 조 수현 (2006) [호텔관광연구] Vol.8 P.16-26
  • 5. 고 동우 (2007)
  • 6. 고 동우, 김 상욱 (2008) [호텔관광연구] Vol.10 P.38-51
  • 7. 공 혜원 (2007)
  • 8. 구 창모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P.57-66
  • 9. 권 중승 (2007)
  • 10. 김 경동 (1982)
  • 11. 김 경태 (1996)
  • 12. 김 계수 (2008)
  • 13. 김 귀분, 전 은영 (1998) [성인간호학회지] Vol.10 P.548-558
  • 14. 김 유미 (2000)
  • 15. 김 준희, 이 효열 (2008)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2 P.165-175
  • 16. 김 현욱 (2006)
  • 17. 노 동연 (2006)
  • 18. 도 무환 (2009)
  • 19. 문 용 (2002)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22 P.95-110
  • 20. (2006)
  • 21. 박 유진 (2002)
  • 22. 박 유진, 김 재휘 (2002) [한국심리학회지] Vol.21 P.141-161
  • 23. 박 태경, 박 주영 (200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19 P.939-953
  • 24. 백 경숙, 권 용신 (2005) [노인복지연구] Vol.28 P.379-402
  • 25. 백 원칠, 김 수겸 (2004) [한국체육학회지] Vol.43 P.249-260
  • 26. 백 혜경 (2007)
  • 27. 서 수연 (2005)
  • 28. 성 영신, 고 동우, 정 준호 (1996) [소비자학연구] Vol.7 P.35-57
  • 29. 손 원일, 장 진우, 김 성문 (2008)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4 P.1629-1638
  • 30. 안 종연 (2002)
  • 31. 양 명환 (1996) [제34회 한국체육학회학술발표회논문집] P.298-305
  • 32. 오 주훈, 조 만태 (2000)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13 P.321-332
  • 33. 유 화숙 (2003)
  • 34. 윤 순덕 (2004)
  • 35. 윤 영선 (2010)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4 P.195-204
  • 36. 이 계원 (1994)
  • 37. 이 근모, 김 준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P.117-130
  • 38. 이 미숙 (2010)
  • 39. 이 미연 (2004)
  • 40. 이 연주 (2007)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1 P.19-30
  • 41. 이 원희, 정 연성, 공 성배, 김 원경 (200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3 P.17-27
  • 42. 이 원희, 정 연성, 조 중민, 김 원경, 공 성배 (200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3 P.267-281
  • 43. 이 윤주 (2002)
  • 44. 이 정숙 (2001)
  • 45. 임 승현, 남 인수 (2008)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2 P.527-536
  • 46. 정 계순 (2009)
  • 47. 조 민복 (2007)
  • 48. 조 상희 (2008) [호텔관광연구] Vol.10 P.272-285
  • 49. 지 태옥 (1997)
  • 50. 최 성범, 최 종인 (200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3 P.41-51
  • 51. 한 승엽, 김 흥렬, 윤 설민 (2006) [호텔관광연구] Vol.8 P.141-153
  • 52. 황 향희 (2004) [한국스포츠리서치] Vol.15 P.527-540
  • 53. Berger B. G., Owen D. R. (1988) Stress reduction and mood enhancement in four exercise model: Swimming, body conditioning, hatha yoga, and fencing.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Vol.59 P.148-159 google cross ref
  • 54. Bradburn N.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google
  • 55. Callero P. L. (1985) Role-identity salience. [Social Psychology Quarter] Vol.48 P.203-212 google cross ref
  • 56. Cash T. F., Lewis R. J., Keeton P. (198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ody-image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 A measure of body-related cognitions. google
  • 57. Diener E., Emmosns R, A, Larson R. J., Griffins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P.71-76 google cross ref
  • 58.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542-575 google cross ref
  • 59. Franzoi S .L., Schields S. A. (1984) The body-esteem scale: multidimensional structure and sex difference in a college popul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8 P.173-178 google cross ref
  • 60. Igbanag J. E., Gutin S. (1978)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google
  • 61. Koff E. Rierdan, J., Stubbs M, L. (1990) Gender, body image, and self-concept in early adolescenc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February] Vol.10 P.56-68 google cross ref
  • 62. Laverie. D. A. (1995) The influences of identity related consumption, appraisal, and emotions on identity salience: a multi-method approach. google
  • 63. Martisen E. W. (1990) Benefits of exercise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Sport Medicine] Vol.9 P.380-389 google cross ref
  • 64. Neugarten B. L., Harvighurst R, J.,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P.141 google cross ref
  • 65. Russell R. V. (1990) Recreation and quality of life in old age: A caus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9 P.77-90 google cross ref
  • 66. Stryker S., Burke P. J. (2000)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n identity theory. [Social Psychology Quarterly] Vol.63 P.284-297 google cross ref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 표 2 ]  설문지의 구성 지표
    설문지의 구성 지표
  • [ 표 3 ]  여가정체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여가정체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 [ 표 4 ]  신체적 존중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신체적 존중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 [ 표 5 ]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 [ 표 6 ]  생활만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생활만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결과
  • [ 표 7 ]  여가정체성,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의 상관분석
    여가정체성,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의 상관분석
  • [ 표 8 ]  여가정체성의 신체적존중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여가정체성의 신체적존중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 [ 표 9 ]  여가정체성의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여가정체성의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 [ 표 10 ]  여가정체성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여가정체성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 [ 표 11 ]  신체적 존중감의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신체적 존중감의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 [ 표 12 ]  신체적 존중감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신체적 존중감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 [ 표 13 ]  심리적 행복감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심리적 행복감의 생활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