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Parental Role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Early Childhood Parental Role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a five stage ADDIE (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evaluation) model.

In order to develop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 review of literature and a demand survey were conducted. Then, a practical parenting program was developed in a concrete manner. The program was designed with a focus on three concrete components including ‘parent child-rearing efficacy’, ‘parenting satisfaction’ and ‘parent child-rearing behavior; and five activities, such as ‘mother’s ego consolidation’, ‘parent-child interaction’, ‘acquisition of child-rearing information’, child-rearing behavior’, and ‘child-rearing guidance.’ The specific contents and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program were reviewed by a conference of specialists, and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ir comments. In addition, a pretest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retest, the early childhood parental role program was completed. Based on the issues presented during the course of program development, suggestions for future programs on parental role for multicultural families are presented.

KEYWORD
다문화가정 , 유아기 , 부모역할
  • Ⅰ. 서론

    오늘날 한국사회는 세계화의 흐름에 서로 다른 문화들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다민족, 다문화사회로 급변해 가고 있다. 이제는 우리 주변에서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를 만나는 것은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다민족 사회로 변화되는 한국사회는 인종적‧문화적 다양성을 받아들이고 거기에서 파생되는 여러 민족 집단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상호주의적 태도를 요구한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대부분 결혼 초기에 육아에 대해 준비 없이 자녀를 출산하게 되어 양육의 정보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갖게 되며 대부분 자녀의 육아 시기는 결혼이주여성 어머니의 문화적응 시기와 겹쳐져 혼란과 자녀양육의 고충에 대한 두려움, 불안 등을 갖게 될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오성배, 2005). 또한 한국사회가 자녀들의 양육에 아버지의 역할보다는 어머니의 역할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에, 결국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교육을 전담할 수밖에 없는 양육환경에 대한 어려움이 있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 자신도 한국에 대해 아는 것이 부족한데 아이들을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지 상당히 어려울 수밖에 없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경우 자녀에 대한 적절한 양육 및 교육법을 모르거나,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가족과의 양육방식의 차이, 지지체계의 부족으로 자녀양육을 도와 줄 사람이 부족하며, 학습지도와 관련한 어려움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사교육비와 양육비의 부담 등으로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송미경 외, 2008). 또한 대부분의 다문화가정은 사회경제적으로 취양한 계층으로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더욱 심각할 것이다. 더군다나 첫 자녀를 출산하는 시기가 평균 25.1세(한경선, 2008)로 일반가정 어머니보다 나이가 어리며 나이가 어린 어머니는 자녀 양육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의 부족으로 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김춘화, 2009), 한국생활 기간이 짧을수록 양육스트레스의 강도가 높았고, 자녀연령이 만 3세일 경우가 만 4세 이상보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강도가 높았다. 이러한 생활에서 다문화가정은 자녀의 주 양육을 맡게 되는 어머니들이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 양육에 대한 지식 부족, 문화 간 양육태도의 차이 등으로 한국가정의 어머니들보다 자녀양육에 더 어려움을 느낄 것이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혈연, 지연, 학연 등 한국사회의 중요한 관계형성 통로가 결여된 채로 가족외부에서 관계를 맺을 기회가 거의 없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신들의 자신 없는 언어능력으로 인한 여러 가지 갈등으로 한국 사람들과의 접촉을 꺼리기도 한다. 가족 내에서도 고립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남편이 곁에 없을 경우에나 주위에 도움을 청할 대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자녀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양육자, 즉 어머니가 자녀와 충분한 의사소통을 하기 힘들기 때문에 자녀의 성장기 내내 자녀에게 필요한 양육을 적절하게 제공하기 힘들다.

    가정은 인간교육이 실시되는 최초의 환경이 되며 기본생활양식과 습관형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개인의 성격발달 및 미래의 삶에 미치는 교육적 가치는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자녀에게 있어 부모는 최초로 맺는 인간관계로서 부모가 제공하는 환경은 아동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의 중심 역할을 한다. 특히 유아는 부모로부터 외부세계에 대한 지식을 얻고 사회화의 기초를 형성하며 여러 지식을 획득한다. 그러므로 어머니는 자녀의 특성을 잘 이해하며 아이들의 내면화 학습과정에서도 적절히 도움을 줄 수 있어 다른 어떤 성인들보다 아동에게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고 격려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친숙함을 지닌 존재로 아동발달에 대한 어머니양육행동이 중요하다. 또 어머니는 자녀의 특성이나 행동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개별적인 욕구가 다르며, 서로 다른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인식하고(Binger, 1985), 그에 따른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여 자녀에게 적절한 경험과 환경, 더 나아가서 발달을 북돋아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러한 어머니와 유아 간의 올바른 상호작용은 궁극적으로 유아의 신체, 인지, 사회, 정서 등 모든 측면의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는 유아가 기본적인 신뢰감을 갖게 되고, 또래들과의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대인관계를 맺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유아기의 사회‧정서‧언어적 발달은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라 지적발달, 언어발달, 학업 준비도에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이양희‧김연수, 2001). 그러므로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초등학교 입학 후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고 보다 잘 적응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적 능력이 현저하게 발달하는 유아기부터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고 특히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자녀양육을 도울 필요가 있다.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가정의 증가와 더불어 다문화가정의 자녀의 수도 크게 증가하여 2012년 기준 168,585명으로 2011년 대비 11.5% 증가되는 추세이며 이 중 유아기 자녀는 104,694명으로 전체 자녀의 62.1% 비중을 차지(행정안전부, 2012)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양육의 문제는 향후 한국사회의 미래에 미치게 될 영향력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결혼이주여성의 자녀들은 부모들의 상이한 가치관과 문화로 인해 많은 갈등과 혼란을 경험하며 서로 다른 언어와 양육방식으로 자녀들의 언어발달이 늦어지고 외부로는 편견으로 인한 놀림과 따돌림, 소외 등과 같은 불평등 문제를 경험할 수 있다. 자녀를 양육하는 행위는 인류의 탄생과 더불어 시작되었으며 지금까지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 활동이다. 세계적으로 공통이 되는 양육방식이 있는 반면 문화에 따라 각기 다른 만큼 양육방식도 부모의 사회적, 교육적, 종교적, 문화적 영향에 따라 다양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어머니는 가정에서 자녀의 주 양육자다. 따라서 어머니의 신념과 지식은 자녀에게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녀의 출산과 양육은 가족의 기본 기능으로, 주로 어머니가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어머니는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화적 가치와 규범에 따라 자녀를 양육하게 된다. 나라마다 습관, 문화가 다르듯이 결혼이주여성 개개인별로 부모역할에 대한 소신이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급변하는 한국의 사회에 맞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부모역할에 대한 새로운 정립이 필요하다. 그뿐 아니라,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우리사회의 구성원으로 자녀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자녀의 바른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역할에 대한 지속적이며 보다 깊은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관심은 우리사회의 후세대를 건전하게 양육한다는 관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또한 다문화가정에서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적응하여 자녀양육에 적절한 가정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부모교육, 부모역할훈련, 상담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들의 욕구에 따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다문화가정의 자녀양육과 관련한 문제 해결 방안에 있어서 논의와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의 부모 역할에 있어서, 부모는 자기인식과 정확한 양육정보와 문화 흐름에 적응하기 위해 양육목표를 세워야 한다.

    현재까지 다문화와 관련한 많은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증가에 따라 2000년 중반 이후부터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유아의 양육과 교육에 대해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자녀 양육의 어려움과 자녀의 발달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송미경 외 2008; 오성배, 2005)되었으며 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하여 유아의 적응과 발달에 촉진적 역할을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의 자녀양육과 관련된 기능약화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정의 기능과 역할을 보완하고 자녀양육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 부모가 자녀의 발달적 특성과 요구를 이해하고 지원함으로써 자녀가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즉, 부모에게 양육에 대한 정보나 지식을 전달하는 프로그램에서 부모역할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회적지원 프로그램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부모가 부모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과 교육방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함으로서 자녀의 발달을 적극적으로 도울 뿐 아니라 부모의 효율적 양육행동이 증가하고 성공적인 부모역할을 수행하여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는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상의 요구조사를 기반으로 적절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매체를 선정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개발 및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선행연구 고찰

    국내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모의 다문화에 대한 변인, 다문화가정 부모대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다문화가정 부모–자녀 프로그램 관련 연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다문화에 대한 변인에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다문화가정 부모 및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김정원‧이주영‧김경본, 2009)가 있으며 다문화가정 부모의 특성과 인식 연구(김경숙‧공진희. 이민경, 2007)가 이루어졌다. 또한 다문화가정 부모변인에 관련된 연구로 김도희‧이경은(2009)우현경‧정현심‧최나야‧이순형‧이강이(2009)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연구하였고,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식과 효능감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연구(김민경‧김경은, 2009)가 이루어졌다.

    둘째, 다문화가정 부모대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 프로그램 개발로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김연수, 2008), 베트남출신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김지현, 2009)와 신생아 자녀를 둔 이주여성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이진희, 2009), 강기정(2009)의 다문화가정 모의 부모역량 강화를 위한 경험연구가 있었다. 또한 아버지의 역할 정립, 자녀양육과 교육, 가족관계 증진에 관한 요구사항이 반영되어 5회기 다문화가족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이윤정‧강기정, 2010)와 남편에게 결혼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아내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부부간의 의사소통방법과 갈등 해결 방법을 습득하여 부부간의 의사소통에 변화가 있음(김오남‧김경신‧이정화, 2008)을 보여준 연구도 있었다. 부부 중심의 연구는 부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부부관계 활용에 활용한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소병숙, 2009)과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의 부부를 대상으로 가족문화 알기, 부부갈등 해결방법을 내용의 프로그램(김숙경, 2008) 실시결과 부부관계가 향상되었다. 부모-자녀 통합 프로그램에서 민성혜 외(2011)는 8회기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부모자녀 관계의 어려움과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해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둔 다문화가정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긍정적 정서를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게임과 역할극 등의 방법으로 다문화가정 모자녀의 부정적 정서를 완화 시키며 다문화가정 아동의 긍정적 정서인 안녕감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김은경, 2010), 현은애(2011)는 결혼이주여성과 유아를 위한 어머니대상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으로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 능력과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그림책을 이용하여 효과가 있다고 검증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부모-자녀 프로그램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우현경‧정현심‧최나야‧이순형‧이강이(2009)는 영유아 기본 학습능력 발달 지원사업 결과 보고에서 다문화가정 부모-자녀 통합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적용사례를 발표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부모대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 프로그램 개발로는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김연수, 2008), 베트남출신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김지현, 2009)와 신생아 자녀를 둔 이주여성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이진희, 2009)이 있다.

    이러한 다문화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첫째, 자녀의 성정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족의 신념이나 가치관 등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 대부분의 프로그램 내용들이 어머니와 자녀와의 관계에만 한정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어, 남편의 지지와 자원을 활용 부분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부모가 자녀양육에 필요한 적절한 지식과 기술이 부족한 존재로 보고, 교육을 통해 이를 전달하고자 하기 때문에 부모의 능력과 잠재된 가능성, 그리고 강점이 프로그램을 통해 발견 및 개발되고 충분히 활용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넷째, 유아를 자녀로 둔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 연구들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이와 같은 기존 프로그램의 제한점을 극복하면서 아동복지학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부모의 능력과 잠재력, 가족체계의 강점과 신념, 그리고 가족 자원을 활용하는 것에 강조점을 두었다.

       2. 부모역할의 구성요소

    부모역할이란 사회적으로 ‘부모’라는 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일반적으로 기대되어지는 일련의 행동과업을 말한다. 이것은 아동기 및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보호와 훈육, 사랑과 지도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한 부모역할은 시대와 문화를 초월하여 아동의 사회화뿐 아니라 건강하고 인간적인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데에 까지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Sanders, 2003). 이러한 부모역할은 기존 연구들에서는 부모교육(parent education), 부모훈련(parent training), 부모지지(parent support) 등의 용어들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연구자에 따라 선택을 달리하여왔다.

    부모가 제공하는 환경은 아동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의 중심 역할을 한다. 특히 유아는 부모로부터 외부세계에 대한 지식을 얻고 사회화의 기초를 형성하며 여러 지식을 획득한다. 그러므로 어머니는 자녀의 특성을 잘 이해하며 아이들의 내면화 학습과정에서도 적절히 도움을 줄 수 있어 다른 어떤 성인들보다 아동에게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고 격려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친숙함을 지닌 존재로 아동발달에 대한 어머니양육행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Cleminshaw, & Guidubaldi, 1989). 또 어머니는 자녀의 특성이나 행동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개별적인 욕구가 다르며, 서로 다른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인식하고(Binger, 1985), 그에 따른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여 자녀에게 적절한 경험과 환경, 더 나아가서 발달을 북돋아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이영환‧오미연, 2006). 자녀를 양육하는 행위는 인류의 탄생과 더불어 시작되었으며 지금까지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 활동이다. 세계적으로 공통이 되는 양육방식이 있는 반면 문화에 따라 각기 다른 만큼 양육방식도 부모의 사회적, 교육적, 종교적, 문화적 영향에 따라 다양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어머니는 가정에서 자녀의 주 양육자다. 따라서 어머니의 신념과 지식은 자녀에게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녀의 출산과 양육은 가족의 기본 기능으로, 주로 어머니가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어머니는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화적 가치와 규범에 따라 자녀를 양육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부모역할의 개념은 아동복지 실천에 있어서 가족 내‧외의 자원과 능력을 동원하여 가족 스스로의 문제해결 능력을 강화시키고 적응과 성장을 이루는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실용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다문화가정에서의 양육문제와 자녀의 발달간의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여러 연구에서 양육효능감을 중요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양육 효능감은 자녀를 잘 양육하고 훈육하며 자녀와 문제가 생겨도 잘 해결할 수 있다는 부모로서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Johnston & Mash, 1989) 어머니의 높은 양육효능감은 자녀의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발달과 자녀의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주며(Brody et. al., 1999), 사회성발달(문태형, 2002), 인지적 발달(Bandura, Barbarenelli, Caprara, & Pastorelli, 2001; Brody et al., 1999)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유아의 학문적 능력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자신이 효율적이라고 믿는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유아의 인지적 능력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방법으로 행동하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발달목표를 높게 설정하고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유아에게 도움이 되는 양육행동을 더 많이 하고 이것은 유아의 자기 조절을 거쳐 유아의 학문적 능력과 긍정적 상관이 있다(Brody et al., 1999)고 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에서는 어머니들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발달을 이끌 수 있는 적절한 환경을 조직해 주고 자녀의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행동을 보임으로써 유아의 발달과 긍정적인 상관을 보이며, 바람직한 양육 행동을 나타내며 이것은 자녀의 효능감 발달에까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혁준, 2000). 이러한 자기 효능감을 양육의 측면과 연관시켜볼 때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높은 부모는 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자원을 잘 활용하여 적절한 대처행동을 시도하며 그 행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신숙재, 1997). 즉, 문제상황에 직면할 때 효능감이 높으면 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반면, 자기 효능감이 낮으면 문제상황을 회피하거나 포기하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인지된 자기효능감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크므로, 개인이 추구하는 행위의 방향과 강도 뿐 아니라 개인의 생활양식과 정서반응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부모로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인 양육효능감은 자녀와의 상호작용이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자녀의 발달 측면에까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하나는 부모역할 만족감이다. 부모역할 만족감이란 부모라는 사회적 위치에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일을 수행하도록 기대되어지는 특징적 행동이다. 부모로서의 역할을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어머니들은 자녀를 애정적인 태도로 대하며 통제를 덜 사용하여 보다 긍정적인 어머니–자녀관계를 이끌어 가며(도현심‧김지신, 1997), 부모역할 만족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자녀양육행동을 보이며, 부모역할을 만족스럽게 느끼는 부모들은 자녀에게 동기유발을 많이 하고 애정적인 관심을 많이 보임으로써 자녀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모역할에 만족하지 못한 부모들은 자녀의 요구에 회피적 반응을 보이거나 거부적인 태도를 취해 자녀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다(Lerner & Galambos, 1985).

    특히 어머니 역할만족은 어머니 자신의 자아성취 및 자아 존중감을 강화시켜자녀에 대하여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자신의 역할에 만족하는 어머니는 불만족하는 어머니보다 자녀관계에 질에 있어 높은 수준을 보였고(Lamb, 1982), 만족스러운 어머니-자녀관계는 자녀의 인성발달에 영향을 주게 되어 자녀의 사회적 유능성, 긍정적 정서, 학업성취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Cleminshaw & Guidubaldi, 1989). 또한 어머니의 역할 만족과 유아의 어머니양육능력에 대한 지각과의 연구에서 비교적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 역할 만족은 자신의 역할에 대한 지각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녀양육의 실제에 영향을 주게되어 유아자신에 대한 지각과도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곽은복, 1991). 그러므로 부모역할수행은 자신의 부모역할에 대한 만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자녀양육 태도나 구체적인 역할수행 행동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는 자녀의 행동이나 발달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어머니가 느끼는 역할의 어려움은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양육행동과 관련되어 자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Abidin, 1990). 즉, 부모역할에 대한 만족감이 떨어지면 부모역할에 회의를 느끼고 자녀에게 좀 더 지지적이지 못하고 관망적인 행동을 보여 결국에는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문제를 낳게 된다. 또한, 부모역할 어려움을 적게 느낄수록 자녀의 사회적 유능성은 높다(Ladd & Mize, 1983). 부모로서의 역할을 만족하게 느끼는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애정적인 태도를 보여 자녀의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부모역할에 만족하지 못하는 어머니들은 자녀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다(Lerner & Galambos, 1985). 즉 어머니로서의 역할 만족감은 긍정적인 어머니-자녀관계로 이끌며 자녀의 발달을 촉진시킨다고 하였다(Lamb, 1982).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에 영향을 주는 변인 중의 또 다른 하나는 양육행동이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부모들의 자녀들과 관계를 맺고 양육하는 양식으로 애정을 주고, 표현하고, 가르치는 과정에서의 태도 및 행동으로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현재의 발달뿐만 아니라 먼 훗날의 발달에 이르기까지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한 영육행동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식하고 실행하는 것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이라 볼 수 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온정‧수용적인 경우 통제적인 경우에 비해 긍정적 사회적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임귀성, 1999), 문제행동을 덜 보이며, 또래와의 관계에서 더 사교적이고 친사회적이며 주도적인 경향이 있고, 또래로부터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박혜원, 2003). 특히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인성이나 행동, 성장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일생을 결정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이미경, 2002).

    이처럼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부모로서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양육효능감은 자녀와의 상호작용이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고, 어머니의 효능감은 나아가 자녀의 발달적 측면까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어머니의 역할 만족감은 자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자녀의 행동이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부모역할 프로그램과 부모역할의 개념 틀에 근거하여 부모역할의 요소로 양육효능감, 역할 만족감, 양육행동으로 구성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부모역할의 핵심요소들은 <표 1>과 같이 요약된다.

    [<표 1>] 부모역할의 주요 요소

    label

    부모역할의 주요 요소

    Ⅲ. 연구방법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논의에 따라 수립된 체계적 모형에 따라 분석(Analysis), 학습목표 설 등의 설계(Design), 내용과 수업계획 등 프로그램 개발(Development) 및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게 된다(Schwab, 1983; Tyler, 1971; Walker, 1971).

    송길원(1998)이 제시한 프로그램개발 단계는 목적과 목표 설정 단계, 내용선정단계, 실행단계, 평가단계로 구성하며, 목적과 목표 설정단계에서는 개인이나 그룹, 사회의 요구를 수집하고, 실현가능성, 경제성, 프로그램 환경, 인적자원, 과거의 경험 등의 조건을 파악한 후 목표를 설정하며 부모의 흥미와 관심, 계절과 실생활, 제한된 학습시간, 부모의 학습능력, 상호간의 연관성, 전체 내용체계에서 다양성, 등의 내용을 고려하여 학습내용의 배열 원리를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에서는 홍보, 시간 선정, 장소선택, 교수-학습활동, 프로그램 진행자 선정, 관리자 등을 선정하였다. 평가과정에서는 부모교육 참여자와 부모교육 시행자들이 평가 과정과 결정의 여러 단계에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 김정원(1999)은 국내외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분석하면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각 단계의 구체적인 활동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단계는 목표,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프로그램 실시, 프로그램 평가의 4단계로 제시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설정에는 국가와 사회의 요구, 부모의 흥미와 요구, 문헌연구를 통한 전문가의 견해를 포함하였으며,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에서는 교육과정 개발과 성인교육 원칙에 관한 이론,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을 기초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에 근거하여 부모들의 교육 요구에 부합하는지 예비연구와 본 연구를 실시한 후에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교육내용을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실시에는 대상 선정과 교수-학습 활동의 계획, 부모교육자 선정에 대한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주제에 대한 자유토론, 생각, 경험 나누기와 주제에 대한 지식과 정보 제공, 자녀들의 구체적이 경험담 이야기 나누기 등의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하며, 전반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관하여 전문가가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부모들의 바람직한 부모 역할을 격려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평가에서는 요구와 과정, 결과를 평가하고,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수정한 뒤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인용(2002)은 부모교육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기초로 잠재적인 대상에 대한 요구와 사회의 요구, 개인의 요구를 분석하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운영환경과 내용 전문가, 개발자와 관련된 인적 자원을 파악한 자료를 기반으로 학습목표, 목표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 체계, 목표에 따른 내용, 부모교육의 진행방법과 운영방법을 설계를 하였다.

    이와 같은 모형은 학교 현장이나 교육과정 개발의 중심모형이 되고 있으며,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하는데 있어서도 기초적인 틀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Dick & Carey(2005)Morison & Master(1991)의 교수설계 모형으로 ADDIE모형에서 제시한 단계에 따라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의 수요자인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 및 내용 분석, 프로그램 개발, 실행, 평가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문헌연구를 하였다. 2010년 6월부터 국내‧외 다문화가정의 사례와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다문화 가정의 현황과 문화적응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다문화가정의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실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어려움과 자녀양육의 어려움, 자녀들의 어려움 등에 관한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다루어져야 하는 내용 등에 관한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범주와 하위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

    두 번째 단계는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필요성 확인과 요구 조사 및 분석의 단계이다. 이는 프로그램의 실시 전에 프로그램 개발 목표, 내용, 진행과정을 평가하고(김진화‧정지웅, 1997) 또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를 잘 반영해야(변창진, 1994)한다는 제안에 따른 것으로 2010년 9월부터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요구조사를 하였다. 서울‧경기에 거주하는 유아기 이상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구를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자녀양육의 어려움,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부모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는 질문지로 구성되어 있다. 질문지는 이원영‧배소연(2000)김정원(2001)이 개발한 연구도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다문화가정의 실정에 맞게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아동복지전공 교수 1인과 다문화관련 전문가 2인, 아동복지전공 박사과정생 2인을 통해 안면타당도를 구했으며 Cronbach’s α는 .86이었다. 이 과정을 통해 추출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의 적합성과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설문지 분석을 통해 연구자가 계획한 부모교육내용과 방법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 검토하였고 심층면담을 통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정보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요구를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단계는 프로그램 구성단계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와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방법을 선정하고 이 내용을 기초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강의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아동복지과 교수 2인, 부모교육 전문가 1인, 아동복지과 박사과정수료자 2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의 협의를 거쳐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증된 프로그램을 예비실시를 통해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선정한 교육내용이 다문화가정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들의 요구와 흥미를 잘 반영하였는지(변창진, 1994), 그리고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반응을 분석하여 차기 강의 내용에 반영하였다.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모형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Ⅳ.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

       1.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인 부모들을 능력 있는 존재로 보아야 한다는 (이기숙, 1992; Powell, 1984) 제안에 따라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는 부모들의 의견을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김정원(1999)의 연구에서도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어 부모의 능력을 존중하여 부모와 전문가의 상호협력적인 관계에 기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에 대해 제시하였으나 관련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다문화가정의 경우 부모들의 특성에 가장 적합하게 개발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부모들의 특성이나 양육하고 있는 자녀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만든 프로그램을 찾아보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부모들이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내용이 다문화가정 부모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한경님(2012)은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유아기 이상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동남아시아 출신이면서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느끼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에서 자녀양육에 대한 어려움, 부모교육의 필요성, 부모교육 내용, 부모교육 운영방법 등 자녀양육을 위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교육에 대해 요구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필요에 대해 62.4%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력히 시사해 주었으며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자녀에게 어떻게 해줘야 하는 지’ 즉, ‘적합한 상호작용의 방법을 알고 싶어서’, ‘양육에 대한 부담감과 자녀에 대한 미안함을 줄이기 위해서’, ‘자녀를 잘 키우고 싶어서’, ‘친구를 사귀기 어렵고 자녀양육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등에 응답을 하였다. 응답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문화가정 자녀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부모–자녀관계의 문제나 자녀양육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개방형 질문에 응답한 교육내용은 첫째, 임신과 출산으로부터 부모역할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한국에 적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임신과 출산의 어려움과 부모역할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이 부모교육의 내용으로 가장 많았으며, 적절한 부모역할과 자녀양육의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한 교육내용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을 원했다. 둘째, 주변가족들에 대한 교육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 본인의 교육도 중요하겠지만 가족 즉, 남편과 시부모의 교육이 절실하다고 본다. 남편의 교육과 시부모의 관계, 가족 간의 갈등 특히 남편과의 갈등관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한국생활문화의 이해교육으로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한국생화문화의 차이 이해와 예절교육, 한국의 교육제도의 이해가 실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에 요구되는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요구 내용

    label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요구 내용

       2. 프로그램의 기본관점

    부모역할 프로그램이란 자녀에 대한 보호와 훈육, 사랑과 지도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Sanders, 2003), 부모에게 자녀양육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 및 부모역할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행동전략과 기술들을 제공하는 일련의 교육적 프로그램으로 정의할 수 있다.

    부모역할은 매우 힘이 드는 것으로 주위의 도움으로 필요하다. 특히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고 부모가 된 이후에도 필요한 도움 제공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자녀양육에 있어 도움을 받고 있다. 자녀양육에 있어 중요한 지원체계는 특히 친정어머니나 먼저 결혼하여 이미 자녀양육을 경험한 자매들 그리고 가까운 친구와 이웃의 도움을 많이 받는다. 그러나 외국인 어머니는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는 자녀 관련문제에 대한 의논상대로 남편이나 시댁식구, 친정 부모나 친구 등 실제로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발달적 관점에서 발달적 관점이란 일반적으로 개인체계에 적용될 때는 한 사람이 태어나서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이 되고,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발달과정을 거치는 것을 말하며, 가족체계에 적용될 때는 부부가 만나 새로이 가족을 형성하고, 자녀를 낳고, 양육하고, 출가시키고, 배우자의 죽음으로 가족이 해체기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발달적 과정을 거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발달적 관점은 개발 프로그램에 있어 크게 두 가지의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첫째, 모든 가족은 체계로서의 가족과 그 속에 속한 개개인이 일련의 생활주기에 따른 발달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즉, 가족은 생활주기 상의 특정시기에 따른 도전을 경험하고 있으며, 부모는 가족과 자녀의 발달단계에 관해 잘 이해하고 이에 따른 도전에 슬기롭게 잘 대처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가족을 통해 어떻게 변화, 발전해왔으며, 특히 스트레스와 위기상황에 어떻게 잘 대처하고 적응해왔는지를 발견하여 가족의 강점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달적 관점은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기본 관점으로서 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을 구성하는데 기본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

       3. 프로그램의 목표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가 다문화가정의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지만 부모교육의 최종목적은 부모역할을 잘 하게 하는 것이므로 부모역할의 효과적 수행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는 자녀의 특성이나 행동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자녀의 발달단계에 그에 따른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여 자녀에게 적절한 경험과 환경, 더 나아가서 발달을 북돋아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녀의 발달을 적극적으로 도울 뿐 만 아니라 부모 자신이 인간으로서의 성장의 기회를 얻고 현실생활의 적응을 돕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목표는 부모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과 교육방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함으로서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하는 것이다.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여 부모자신의 가치를 발견한다.

    둘째, 올바른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와 기술을 습득하여 부모로서의 역할을 기능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와 기술은 부모가 가족체계 내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따라서 부모는 잘못된 자녀의 행동에 대해 지침을 제공해주고, 바람직한 행동을 장려할 수 있는 일련의 기술들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바람직한 부모의 양육행동방법을 알게 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넷째,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과 효능감을 증진시킨다. 이는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통해 부모의 자녀양육에 관한 자신감과 효능감을 증진시킴으로서 자신이 부모로서의 역할들을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4.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의 내용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인 요소를 찾을 수 있었으며, 부모교육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선행연구를 통해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내용요소들을 분류하여 이를 정리하였다. 자녀양육의 관련 요인은 ‘부모 양육 효능감’, ‘부모 역할 만족감’, ‘부모 양육 행동’ 차원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 양육 효능감’은 거의 모든 문헌들을 통해서 자녀양육에 중요한 요소로 일관성 있게 제시되어 있다. 또한 ‘부모역할 만족감’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수행능력을 위한 필수요소로 여러 문헌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한편 자녀양육에 있어 ‘부모 양육 효능감’과 ‘부모역할 만족감’은 부모의 자녀양육행동의 변화를 주며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행동이 부모역할 수행에 중요한 요인으로 제안하였다.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내용 선정을 위하여 선행연구 결과 일반 부모교육과는 차별화된 다문화가정의 특성을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부모의 양육 효능감, 부모의 역할 만족감, 부모의 양육행동이 자녀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관련문헌을 고찰하여 프로그램의 3개 범주별 하위 요소를 자아강화, 상호작용, 양육정보습득, 양육행동, 양육지도의 5개 내용요소를 선정하였다. 연구자가 구성한 24개의 강의안과 활동 시안은 아동복지과 교수 2인, 부모교육 전문가 1인, 아동복지과 박사과정수료자 2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내용을 검토 받았다. 검토는 강의안과 활동 시안의 적합성 여부를 중심으로 각 활동들이 ‘프로그램내용 요소를 적절하게 포함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역할과 연관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교육목적과 목표를 이루기에 적합한지, 교수–학습방법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특성과 요구에 적합한지, 활동 전개의 흐름이 자연스러운지’ 등을 검토하였다. 검토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선행연구와 요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구성요소에 따른 목표별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은 <표 3>과 같다.

    [<표 3>]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내용

    label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내용

    1) 양육효능감

    양육효능감이란 자녀를 잘 양육하고 훈육하며 자녀와 문제가 생겨도 잘 해결할 수 있다는 부모로서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Johnston & Mash, 1989). 본 연구에서처럼 양육효능감을 아동의 바람직한 발달과 관련된 행동을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부모의 믿음이라 정의한다면(Dorsey, et al., 1999), 부모들이 자녀 양육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양육효능감은 부모와 자녀사이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예측케 하며, 특히 다문화가정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증진 시키는 것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문화가정 부모의 양육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겠다.

    따라서 양육효능감 구성요소에서는 어머니의 자아강화를 위하여 어머니의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모자신을 발견함으로서 자신감을 갖도록 하였다. 다문화가정어머니의 자신의 욕구와 강점을 발견하고 강점기술 익히기와 실습을 통해 강점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하여 양육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있어서 문화적 차이를 발견하고 한국에서의 부모역할을 탐색하고 적용되는 긍정적인 부모역할을 재발견하도록 하였다.

    2) 역할 만족감

    어릴 때의 부모와의 관계는 어머니와의 관계에 집중되어 부모–자녀관계 중 어머니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이러한 부모–자녀관계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부모와 자녀는 서로의 행동이나 태도에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따라서 역할 만족감 구성요소에서는 다문화가정 부모가 자녀와 의사소통이 상호 교환되도록 일상생활에서 자녀와의 대화와 놀이를 통한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녀의 연령별 발달특성과 그에 맞는 양육기술을 길러 일상생활에서 자녀도록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부모의 역할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3) 양육행동

    부모는 자녀가 출생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이 되기까지의 성장과정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하며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어떠한가에 따라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어머니가 바람직한 양육행동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식하고 실행하는 것은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이라 볼 수 있다. 이에 어머니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이나 양육행동을 통해 영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기능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이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영유아의 현재의 발달뿐만 아니라 먼 훗날의 발달에 이르기까지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도현심 외, 2007).

    따라서 양육행동 구성요소에서는 바람직한 양육기술을 습득하여 자녀의 바른 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녀의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올바른 지도 방법을 습득하도록 하였다.

       5.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으려면 교수–학습방법이 적절하게 선정 되어야 한다. 교수–학습방법을 교수–학습의 원리, 교수방법, 교수매체, 교수자의 역할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원리로 학습자가 성인이기 때문에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한 후 경험나누기를 해야 학습내용을 실생활에 적용시킬 수 있다. 즉 자발적 학습, 상호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을 포함시켰다(권두승‧조아미, 2001; 김정미, 2000). 또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한 후 경험나누기를 해야 학습내용을 실생활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경아(2004)는 동기유발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도록 실제에 적용해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원리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교수–학습 원리는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학습자 간의 경험나누기,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교육으로 정리할 수 있다.

    둘째, 교수방법으로 강의, 토의, 상담, 자기분석, 모델링, 실습, 과제, 사례연구, 세미나, 워크샵 등 매우 다양한 교수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중에서 다문화가정 부모들에게 부모역할이나 양육지식을 전달하는데 제일 대중적 방법은 강의와 토론인 것으로 나타났으며(Kessen, 1979), 토론과정을 통해 강의내용을 더 심도 깊게 생각하고 실제 자녀양육에 적용할 수 있으며 부모역할의 자신감이 생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담과정에서 자녀문제의 해결하고, 자기평가를 통해 부모들은 자신의 상태를 되돌아보며 자녀양육에서 자신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수정하려는 노력으로 좋은 부모로 거듭날 수 있다. 모델링과 실습은 부모의 역할수행을 직접 보여주는 것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언어로 된 강의 이외에 강의내용을 실제에 적용한 사례를 봄으로서 강의내용을 더 정확히 인지하고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과제를 통해 강의에서 배운 것을 정리하여 내면화 할 수 있고 자녀에게 직접 적용해 봄으로서 부모역할의 변화가 오며 부모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 더 갖게 되어 부모로서 효능감을 높일 수 있다.

    셋째, 교수매체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성인이지만 한국어 구사능력의 부족과 언어적 이해도와 표현력이 부족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교육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그림과 사진, 인쇄자료, 실물같은 시청각 자료를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넷째, 교수자의 역할로 문혁준(2000)은 강의 및 부모들 간의 친밀감을 조성하는 것을, 소병숙(2009)이경아(2004), 이진희(2009)는 학습과제의 모니터링으로, 김정미(2000)는 어머니들에게 자주 볼 수 있는 부족한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선정하여 소단위로 피드백을 줄 것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정리해보면 교수자의 역할은 강의, 상담, 학습동기유발, 학습가치부여, 과제를 통한 피드백, 모니터링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수자의 역할은 교수할 내용을 구성하고 교육내용을 전달하며, 학습자들이 공동체를 이루어 상호 교류하는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공동체 안에서 소속감을 느끼며 학습에 참여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오도록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성인학습의 교수–학습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교수학습 원리로는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자 간의 상호학습,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등의 방법의 적용이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수방법으로 성인교육의 특징인 강의와 토의, 실습등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교수매체로는 비디오나 CD 등 시청각 자료, 책이나 교육책자 등 인쇄물, 사진이나 그림 등에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매체임을 알 수 있었다.

       6. 프로그램의 운영 및 평가

    다문화가정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10-15명 정도로 구성된 부모집단으로 첫째 자녀가 만 5세미만을 대상으로 집단프로그램으로, 교육 및 토론을 함께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집단프로그램으로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간의 정보나 의사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기존 부모교육 프로그램들도 집단으로 운영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총 진행기간은 총 16회 정도로 하며, 각 회기 당 프로그램 진행시간은 2시간 정도가 적합할 것이다. 프로그램의 진행 장소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내 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로서 예방적 차원에서 부모역할의 기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부모나 효과적인 부모역할 수행에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부모 모두 대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한국말의 소통이나 이해가 서툴기 때문에 부부가 함께 참여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상황이 허락하지 않을 때는 한쪽의 부모가 참여하지만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해서는 부부가 함께 공유하도록 권장한다.

    프로그램의 진행자는 먼저 다문화에 대한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집단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과 기술이 있어야 한다. 즉 부모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적절한 부모역할의 방식과 기술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집단을 활용한 지지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평가는 프로그램의 실시를 통한 적용효과의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의 평가 기준은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목적과 성과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효과성,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성과 관계되는 적절성, 교육내용 자체가 부모에게 주는 유익성의 정도인 실용성이다(박혜정‧권경안‧권기욱, 1985).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어머니에게 나타난 변화 중 양육효능감과 어머니 역할만족감, 양육행동에 대한 검사와 측정으로 평가한다. 프로그램의 적절성은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어머니들의 요구사항과 질문, 교육방법과 내용에 대한 어머니들의 면담결과와 활동평가서에 나타난 결과를 내용 분석한다. 프로그램의 실용성은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에 이루어진 검사지를 통한 전반적인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성과를 살펴본다.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여 부모자신의 자신감을 갖고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는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고찰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5단계로 구성된 개발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모형에서 중요한 것은 요구분석의 단계와 본 프로그램을 확정하기 전의 예비프로그램 실시 단계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 구성 전에 프로그램 개발 목표, 내용, 진행과정을 평가하고(김진화‧정지웅, 1997) 프로그램이 학습자와 욕구와 흥미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학습자의 교육내용에 대한 반응은 어떤지를 파악할 수 있는 예비프로그램 실시(변창진, 1994)에 대한 선행연구의 제언에 부합한 것이다.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에 적용된 주요 교수방법은 전문가의 강의와 토론이다. 이는 전문가가 부모들의 자녀양육에 도움을 주는데 효과적이라는 Kessen(1979)의 견해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강의와 더불어 토론을 교수–학습방법으로 사용했는데 이것은 토론과정을 통해 강의내용을 더 심도 깊게 생각하고 부모들이 부모역할을 하는데 요구되는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제공한다는 Powell(1989)의 제안에 부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모델링과 실습을 통해 강의내용을 실제에 적용한 사례를 봄으로서 강의내용을 더 정확히 인지하고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과제를 통해 강의에서 배운 것을 정리하여 내면화 할 수 있고 자녀에게 직접 적용해 봄으로서 부모역할의 변화가 오며 부모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 더 갖게 되어 부모로서 효능감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이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한 내용을 실제 자녀와의 관계에서 적용한 것에 대한 전문가의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는(Wood & Thompson, 1980) 맥락과 같다.

    이상을 통해 볼 때 프로그램 대상자의 특성까지 고려하여 지식의 습득을 넘어서 태도와 감정의 변화와 이것이 양육행동의 변화로까지 연결되도록 하였으므로 교수전략과 교수–학습 방법 면에서도 타당하게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 분석결과 다문화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들은 첫째는 자녀의 성정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족의 신념이나 가치관 등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둘째는 대부분의 프로그램 내용들이 어머니와 자녀와의 관계에만 한정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어, 남편의 지지와 자원을 활용 부분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는 부모가 자녀양육에 필요한 적절한 지식과 기술이 부족한 존재로 보고, 교육을 통해 이를 전달하고자 하기 때문에 부모의 능력과 잠재된 가능성, 그리고 강점이 프로그램을 통해 발견 및 개발되고 충분히 활용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넷째는 유아를 자녀로 둔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 연구들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와 같은 기존 프로그램의 제한점을 극복하면서 아동복지학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부모의 능력과 잠재력, 가족체계의 강점과 신념, 그리고 가족 자원을 활용하는 것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선행연구의 분석결과 본 연구의 의의 및 아동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적용대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들이다. 최근 들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 자녀양육 및 부모역할에 대해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정보를 제공받는다고 볼 수 있지만, 특별히 생의 기초를 형성하는 시기인 유아기 부모에게 부모 스스로가 선택하고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을 가진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은 부모에게 자녀양육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 및 부모역할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행동전략과 기술들을 제공하는 일련의 교육적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부모역할에 대한 중요성은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데 방법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부모역할에 어려움을 지닌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예방적 차원에서 부모역할 수행 능력을 강화하여 건강한 가정으로 적응과 성장을 이루는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실용적인 틀을 제공하고 지지해준다는 측면에서 앞으로도 활용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다문화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부모역할은 아동복지 실천에 있어서 부모가 주체가 되어 가족이 스스로의 강점과 자원을 찾고 이를 활용하며, 가족원에 대한 서로의 시각을 보다 긍정적으로 전환하고, 상호 간에 애정과 수용, 존중 및 친밀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아동복지 실천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후속연구에서의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문화가정의 자녀양육을 위한 사회‧문화적‧실천적 차원을 고려한 실제적이고 활용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모든 다문화가정들이 각각의 특성을 가지며 그들을 둘러싼 환경에 따라 경험하게 되는 문제나 해결을 위한 요구에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출신국가별, 교육수준별, 자녀연령별 등을 고려한 실제적인 내용으로 다문화가정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실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실제 다문화가정의 삶 속에서 장기적으로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의 역할을 향상시키도록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째,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지역의 지역적 제한과 출신국의 제한을 두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요구를 조사하여 적용하였기에 프로그램 내용을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각 지역의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개별적인 요구와 각각의 능력과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여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위한 교육 내용의 프로그램의 필수요소와 공통요소를 추출하고, 다문화가정의 민족적, 문화적 특성을 구분하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본다.

    향후 다문화가정의 자녀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적인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인프라 조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을 전담 운영할 수 있는 전문가를 배치하여 다문화가정의 초기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협력적인 체제를 구축하여 구심점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 1. 강 기정 2009 “다문화가정 모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한 부모코칭 경험 연구”. [『한국 가족복지학』] Vol.14 P.111-125 google
  • 2. 곽 은복 1991 “어머니의 역할만족도와 유아의 지각된 자기능력과의 관계”. google
  • 3. 권 두승, 조 아미 2001 “성인학습 및 상담”. google
  • 4. 김 경숙, 공 진희, 이 민경 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P.311-335 google
  • 5. 김 도희, 이 경은 2009 “다문화 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경로분석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4 P.77-98 google
  • 6. 김 민경, 김 경은 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양육태도와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Vol.30 P.119-135 google
  • 7. 김 숙경 2008 “농촌지역 국제결혼이주 가정의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의 효과 연구?관계성 이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개발연구』] Vol.14 P.229-247 google
  • 8. 김 연수 2008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적용연구”. [『한국가족복지학』] Vol.24 P.189-222 google
  • 9. 김 오남, 김 경신, 이 정화 2008 “결혼이민자 남편의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Vol.26 P.69-84 google
  • 10. 김 은경 2010 “다문화가정 모?자녀의 긍정심리성향 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프로그램 개발”. google
  • 11. 김 정미 2000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실시 방법에 관한 0-1세 영아 부모의 요구도 조사연구”. [『한국보육학회지』] Vol.1 P.75-90 google
  • 12. 김 정원 1999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에 관한 연구”. google
  • 13. 김 정원, 이 주영, 김 경본 2009 “다문화가정 부모 및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Vol.13 P.7-26 google
  • 14. 김 정원 2001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실시 방법에 관한 0-1세 영아 부모의 요구도 조사연구.” [『한국보육학회지』] Vol.1 P.75-90 google
  • 15. 김 지현 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위한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google
  • 16. 김 진화, 정 지웅 1997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실제. google
  • 17. 김 춘화 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google
  • 18. 도 현심, 김 지신 1997 “사회적 지지 및 부모역할만족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 [『대한가정학회지』] Vol.35 P.127-135 google
  • 19. 문 태형 2002 “어머니의 사고방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Vol.23 P.49-62 google
  • 20. 문 혁준 2000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형태와 운영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집』] Vol.20 P.25-42 google
  • 21. 민 성혜, 김 경은, 김 리진 2011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한국아동학회』] Vol.32 P.31-49 google
  • 22. 박 혜정, 권 경안, 권 기욱 1985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 취학전 자녀의 부모를 대상으로”. google
  • 23. 박 혜원 2003 “유아기 부모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생활과학논문집』] Vol.4 P.85-95 google
  • 24. 변 창진 1994 프로그램 개발. google
  • 25. 소 병숙 2009 “결혼이민여성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 이론을 기초로”. google
  • 26. 송 길원 1998 부모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논문집] Vol.3 P.29-61 google
  • 27. 송 미경, 지 승희, 조 은경, 임 영선 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P.497-517 google
  • 28. 신 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9. 양 옥경, 김 연수 2003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 연구”. [『사회복지학연구논집』] Vol.11 P.115-147 google
  • 30. 오 성배 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Vol.32 P.61-38 google
  • 31. 우 현경, 정 현심, 최 나야, 이 순형, 이 강이 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Vol.30 P.23-36 google
  • 32. 이 경아 2004 “성인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전략간의 상관관계 연구.” [『평생교육연구』] Vol.10 P.19-45 google
  • 33. 이 기숙 1992 유아교육과정. google
  • 34. 이 영환, 오 미영 2006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 연구.” [『한국가정학회지』] Vol.9 P.47-62 google
  • 35. 이 윤정, 강 기정 2010 “다문화가정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P.223-239 google
  • 36. 이 원영, 배 소연 200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아동학회지』] Vol.20 P.17-31 google
  • 37. 이 인용 2002 ADDIE 모형에 기초한 웹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google
  • 38. 이 진희 2009 “이주여성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이 모성역할자신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신생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google
  • 39. 한 경님 2012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Vol.73 P.171-190 google
  • 40. 2012 가족통계 google
  • 41. 현 은애 2011 “여성결혼이민자와 유아를 위한 어머니대상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google
  • 42.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google
  • 43. Bandura A., Barbaranelli C., Vitorio Caprara G., Pastorelli C. 2001 “Self-efficacy beliefs as shapers of childen’s aspirations and career trajectories”. [Child Development] Vol.72 P.187-206 google cross ref
  • 44. Binger J. J. 1985 Parents-child relations an introduction to parenting. P.57-136 google
  • 45. Brody G. H., Flore D. L., Gibson N. M. 1999 “Linking maternal efficacy beliefs, developmental goals,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 competence in rural singe-parent African American Families”. [Child Development] Vol.70 P.1197-1208 google cross ref
  • 46. Cleminshaw H. K., Guidubaldi J. 198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eminshaw-Guidubaldi parent-satisfaction scale. In M. J. fine, (Ed.), The second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contemporary perspectives 257-277. google
  • 47. Dick W., Carey L. 2005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tion. google
  • 48. Dorsey S., Klein K., Forehand R. 1999 “Parenting self-efficacy of HIV-infected mother: The role of social”. [Journal of Marrige and family] Vol.61 P.295-305 google cross ref
  • 49. Johnston C.,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8 P.197-175 google
  • 50. Kessen W. 1979 The American child and other cultural in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Vol.34 P.85-820 google cross ref
  • 51. Ladd G. W., Mize J. 1983 “A cognitive social learning, model of social skill training”. [Psychological Review] Vol.90 P.127-157 google cross ref
  • 52. Lamb M, E. 1982 Individual Differences in Parental Sensitivity: Origins, Components and consequences. In Lamb, M. E., and herrod, L. R. (Ed.), Infant Social Cognition: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P.127-154 google
  • 53. Lerner J. V., Galambos N. L. 1985 “Maternal role satisfactio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 temperament: A process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1 P.1157-1164 google cross ref
  • 54. Morison A., Master K. A. 1991 “Health consequence of loneliness in adolescents”. [Reseach in Nursing and Health] Vol.16 P.23-31 google
  • 55. Powell D. R. 1984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An analysis of program assumptions. In L. Karz.(Ed)., 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121-139. google
  • 56. Sanders M. R. 2003 “Triple P-Positive Program. Toward and empirically validated multilevel parenting and family support strategy of the prevention of behavior and emotional problems in children”.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Vol.2 P.71-90 google cross ref
  • 57. Schwab J. J. 1983 The practical 4: Something for curriculum professors to do. [Curriculum Inquiry] google
  • 58. Tyler R. W. 1971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google
  • 59. Walker D. F. 1971 A naturalistic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P. H. Tyler & K. A. tye. (Eds), Curriculum, School, and Society. google
  • 60. Wood F. H., Thompson S. R. 1980 Guidelines for better staff development. [Educational Leadership] Vol.37 P.374-378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부모역할의 주요 요소
    부모역할의 주요 요소
  • [ <그림 1> ]  ADDIE모형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개발과정
    ADDIE모형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개발과정
  • [ <표 2> ]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요구 내용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요구 내용
  • [ <표 3> ]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내용
    다문화가정 유아기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내용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