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창업동기요인이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on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focusing on potential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창업동기요인이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Increasing unemployment rate and creation of new jobs are most important issues around the world recently. Then many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Republic of Korea, establish and enforce a variety of start-up activation policies to increase employment rate and boom up the national economy. Establishing linkage of entrepreneurship motivatio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firm performance, focusing on potential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 it could provide personalized and targeted entrepreneurial policy programs to increase entrepreneurship, because entrepreneurship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activate startups.

On this study, it established factor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on potential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and analyzed the linkage of factor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intention(potential entrepreneurs) and firm performance(entrepreneurs). For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o verify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to analyze influence between factors.

Potential entrepreneurs group has 202 samples, and findings show self-efficacy, social network, economic status and government policy influence on entrepreneurship positively. And self-efficacy, startup education, economic status and government policy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oo.

Entrepreneurs group has 212 samples, and findings show self-efficacy, social network and economic status influence on entrepreneurship. And each linkage has a positive effect, that self-efficacy -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tartup education -financial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social network - financial performance, economic status -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government policy - financial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KEYWORD
예비창업자 , 기창업자 , 창업동기 , 기업가정신 , 창업의지 , 기업성과
  • Ⅰ. 서론

    실업과 고용창출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대기업 중심의 경제성장으로는 고용 없는 성장이라는 한계를 타계할 수 없음에 따라, 고용률을 높이고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선진국은 다양한 창업활성화 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이는 창업기업이 혁신적인 활동을 통해 시장을 선도하며 고용창출의 원천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11년간(’01~‘11) 창업중소기업이 연평균 113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한 것에 반해, 기존 기업의 경우 폐업 및 구조조정 등을 통해 연평균 79만개의 일자리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KISED, 2013). 이처럼 창업기업이 국가경제성 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각국은 창업활성화 정책 수립에 주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새 정부 출범 이후에 창업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관련법과 규제를 완화하고, 실패한 창업자가 재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창업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선진화 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창업활성화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기업가정신이다. 기업가정신은 시장기회를 발견하고,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Shane & Venkataraman, 2000)으로, 위기일 때 더 활성화 되어야 하는 것이 기업가정신이다.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는 자본주의 경제에 있어서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한 Schumpeter(1934) 이후 많은 연구에서 이론적실증적으로 다루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기업가정신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연구 역사가 비교적 짧고 다양하지 못하다(Bea & Cha, 2005; Yoon, 2012). 기존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창업의지 혹은 경영성과의 선행요인이나 창업교육의 결과변수로서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Choi & Jeong, 2008; Yoon, 2004; Lee, 2000; Kim & Park, 2009; Jung & Ban, 2008; Park, 2009).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규명 및 창업동기요인과 기업가정신, 그리고 창업성과 관계를 연구한 논문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Yoon, 2012), 더욱이 이미 창업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동기요인, 기업가정신 그리고 기업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정부가‘08년 이후부터 창업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정부정책을 창업동기요 인으로 인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동기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서 정부정책의 영향력을 규명하고, 연구대상을 예비창업가와 기창업가로 구분하여 창업동기요인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예비창업가) 및 기업성과(기창업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화를 하고자 한다. 창업동기의 유형과 기업가정신 그리고 성과의 관계를 밝힌다면, 창업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정부정책을 마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동기요인을 대상별로 분류함으로써 기업가정신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대상별 맞춤형 창업정책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2.1. 창업동기

    창업의 활성화와 기업가정신의 고취를 위해서는 창업을 하는 동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창업 동기는 창업 뿐 아니라 창업 이후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다루어져왔다(Begley & Boyd, 1987). 창업동기 요인을 통해 기업가 정신을 자극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예비창업자에게는 창업의지를 불러일으키게 될 것이고, 기창업자에게는 창업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다. 하지만 국내연구에서 창업동기를 유형화 하는 연구는 제한적이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잠재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의지를 조사하고 있어, 실제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가의 창업동기와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학문적으로나 실제 창업지원정책에도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창업 동기는 개인의 창업동기요 인과 창업과정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환경요인은 개인적 환경요인과 사회적 환경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인의 창업동기 요인으로서 창업하는 사람들의 개인적인 특질(trait)은 주로 연구가 이루어진 것 중 하나이다(Yoon, 2004). 창업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질로 가장 많이 연구된 요인은 개인의 위험선호 성향, 성취욕구, 자기유능성, 자기효능감, 자율욕구 등이 있다(Sexton & Bowman, 1985; Kreuger & Brazeal, 1994; Greenberger & Sexton, 1988). Reynolds(1992)는 창업의사 결정요인으로 경제적 환경, 경력 환경, 개인의 성향을 제시하였다. 한편, 창업과정은 창업자의 개인요인으로만 설명될수 없고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Greenberger & Sexton, 1988). Gnyawali and Fogel(1994)은 창업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정부정책, 사회경제조건, 창업 경영 기술, 재무적 지원, 비재무적지원 등으로 분류하였다.

    2.1.1 개인특질 : 자기효능감

    Shapero(1975)의 창업행동모형에서는 동기 부여된 개인의 창업행동을 이끌어 내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써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설명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사회학습이론으로부터 비롯된 개념으로 특별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다(Bandura, 1977). 자기효능감은 과거의 경험과 예상된 미래의 장애물을 바탕으로 형성되며, 특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믿음에 영향을 준다(Gist & Mitchell, 1992). 또한 자기효능감은 선택, 노력, 인내에 영향을 준다(Cox, Muller & Moss, 2002).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을 개발시키고 이에 대한 믿음을 강하게 하는 것은 숙달된 경험(Mastery Experiences), 롤모델(Modeling), 사회적 설득(Social Persuasion), 자신의 생리적인 상태에 대한 판단 (Judgements of Their Own Physiological States)에 영향을 받아 생성된다(Bandura, 1982: Wood & Bandura, 1989). 앞서 살펴본 다양한 선행 연구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 구체적인 활동과 높은 상관관 계를 가지고 있다.

    2.1.2 개인적 환경요인 : 창업교육, 인적 네트워크, 경제적 요인

    창업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개인적 환경요인과 사회적 환경요인의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Carsrud, Gaglio & Olim, 1987). 최근 연구에서 우리나라는 고용 없는 성장에 따른 일자리 창출 부족과 청년실업률 증가라는 사회적 문제에 봉착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청년실업률 증가는 향후 국가 경제발전에 큰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됨으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청년 창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창업교육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Kim & Park, 2011). 창업교육은 예비창업자들이나 업력이 짧은 초기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정부관련 창업전문기관이나 대학에서 창업교육을 하는 것으로, 단기 교육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Cho, Kim & Song, 2012). 이러한 예비 창업자들은 창업을 하기 전에 창업교육을 통하여 아이템과 경영능력을 습득할 수 있으며, 사업계획서 작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미래의 창업과정을 경험을 하여, 창업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고(Lee & Hwang bo, 2010), 기업가정신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Park & Kang, 2010)는 활발한 창업은 국가경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용 창출과 기업 활동의 혁신을 위해서 창업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Kim(2009)의 창업의지에 관한 초기 연구에서는 개인 특성요인, 심리특성요인, 환경요인 등을 창업자의 창업의지 결정요인으로 연구하였으나, 점차 동기부여, 기술력, 비전과 목표 등으로 그 요인이 확대되어 창업교육이 미치는 영향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Yu & Yang(2008)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창업은 그 의지가 있으며, 창업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20대 후반에서 30대 중반까지의 창업전문교육을 받은 혁신적인 사람들에게서 많이 성취된다. Seo(2006)의 연구에 따르면 대학은 기업가 생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천이므로 대학에서의 창업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창업을 할 경우에 정서적, 기술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지원세력이 존재하는지 또한 창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개인적 환경요인이다(Carsrud, Gaglio & Olm 1987; Manning, Bieley & Norbuen 1989). 개인적 환경요인으로서 많이 제시되고 있는 것은 사회적 지원세력인 인적네트워크이다(Carsrud, Gaglio, & Olim, 1987). 개인 네트워크는 창업에 있어서 지원과 동기부여, 사례와 역할모델, 전문적 조언과 상담, 정보 및 자원에의 접근을 제공한다(Manning, Bieley, & Norburn, 1989). 따라서 창업자들은 창업과정 중 어려움을 가장 많이 호소하는 창업 초기단계에서 기존 창업자나 본인의 창업 업종과 유사성이 높은 사람들과의 접촉을 시도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창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어려 움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창업을 이끌어 내기 위해 노력한다(Kim, 2009). Kovereid(1996)는 개인의 도전과 경제적 여유 그리고 자율성을 바탕으로 동기요인을 구분하였다.

    2.1.3 사회적 환경요인 : 사회적 인식, 정부정책

    창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 환경요인으로는 창업 또는 기업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들 수 있다(Yoon, 2004). 창업이 국가나 사회에 기여하며, 창업을 하는 기업가 또한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는 대중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지각은 창업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각 개인이 창업을 고려하는데 있어 적극성을 띌 수 있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Yoon, 2012).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세계 각국에서는 창업의 긍정적인 인식을 제고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 우수 창업가에 대한 시상, 창업 아이디어와 자본을 가진 사람에 대한 이민혜택 제공 등 다양한 정책으로 창업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자 노력 하고 있다(Gnyawali & Fogel, 1994). 이처럼, 창업이나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적 인식이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은 창업의 활성화를 저해한다(Gnyawali & Fogel, 1994). 이는 창업기업이나 창업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재무적 안정을 위하여 과도하게 기업이익이나 창업자 개인의 이익을 취하기 위한 노력이 나타 나게 되면, 창업기업이나 창업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형성될 것이며, 이에 대한 가치판단을 통해 나타나는 창업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창업을 고려하는 많은 예비창업자들에 있어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그리고 기업성과에 있어 사회적 인식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창업의지와 창업성공을 위해서는 기업경영, 투자 자와의 연결 등 창업의 사회적 인프라가 중요하다. 이스라엘의 경우 창업인큐베이션을 통해 고품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창업단계별로 벤처캐피탈을 지원함으로써 창업 및 창업기업의 성공을 이끌고 있다(Nam, Chun & Park, 2013).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벤처기업활성화를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창업촉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환경은 벤처기업의 생존력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Lee & Lee, 2004)할 뿐 아니라 창업의지를 높이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다수의 정부 창업지원제도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술분약에서 정부정책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Nam, Chun & Park(2013)은 창업준 비와 창업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정부의 창업지원제도의 조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조절작용 후 설명력은 증가하였으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2. 기업가정신

    기업가정신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마다 다르기 때문에 통일된 정의를 내기기 어렵지만 개인이나 조직에서 통제 가능한 자원에 구애받지 않고 기회를 추구하는 과정(Stevenson & Jarllio, 1990), 새로운 조직의 창조(Gartner, 1989), 창업하거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단순한 조직의 소기업과 관련된 정신(Mintzberg, 1989), 또는 기업이 새로운 무엇을 창출하기 위해 이를 탐색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것(Baron & Shane, 2005) 등으로 정의된다(Yoon, 2012). Schumpeter(1934)의 연구에서 기업가정신의 개념을 사회를 변화시키는 지속적인 혁신적 창조적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기업가정신이 중요해짐에 따라 관련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는 기업가의 개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와 기업가정신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들로 이루어져왔다(Covin & Slevin, 1991: Zahra, 1993: Zahra & Covin, 1995: Lumpkin & Dess, 2001: Casillas, Moreno & Barbero 2010). Miller(1983)에 따르면 기업가정신을 혁신성(innovation), 위험감수성(risk taking), 그리고 사전대응성(proactiveness)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이는 기업가정신이 창업에 대한 위험을 감수하고, 제품 및 시장에 있어 혁신을 추구하고자 경쟁자에 대하여 진취적으로 대응하는 자세라는 의미에서 구분된 것이다(Miller, 1983). Gartner(1989)는 기업가정신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개인, 환경, 조직, 과정의 네 가지 차원에서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Choi & Jeong, 2008). Hornsby et al.(1993)은 상호작용 모형을 통해, 조직의 특성과 개인의 특성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특히 개인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 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열정 등의 3가지를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기업가정신과 기업성과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성과 및 신제품 개발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가 다수 발표 되었다(Keh, Nguyen, & Ng, 2007: Frishammar & Horte, 2007). Keh, Nguyen, & Ng(2007)은 기업가정신이 중소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킨다고 하였고, Yuan et al.(2008)Frishammar & Horte(2007)의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이 신제품 개발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Zahra & Covin(1995)은 기업가정신과 기업의 재무성과와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재무성과는 자산수익률(Return On Assets: ROA), 매출액수익률(Return On Sales: ROS), 수입성장률(Growth in Revenue: GR)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umpkin & Dess(2001)는 기업가지 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을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경쟁적인 저돌성(competitive aggressiveness), 자율성(autonomy) 등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기업가지향성이 기업의 성과와 관련성이 있다고 하였다. Casillas, Moreno & Barbero(2010)Lumpkin & Dess (2001)의 연구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는데, 혁신성과 진취 성이 기업의 성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창업의지

    창업활동은 우연한 발생이 아닌 계획된 행동이라는 관점에서 해석이 되어왔고, 이러한 창업활동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개인의 창업의지(entrepreneurial intention)를 측정하는 것이다(Katz & Gartner, 1988). 의지는 특정 목표 또는 진로를 달성하기 위해 관심을 가지고 행동하고 경험하고자 하는 의식 적인 사고로서(Sanchez, 2013), 창업의지는 미래에 새로운 기업을 설립하고자 하는 개인의 의지라 할 수 있다(Thompson, 2009). 즉, 창업의지는 현재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 아닌 향후 창업활동을 하려는 개인의 가능성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이다. 개인에게 창업의지가 형성되는 과정을 파악하여 어떻게 창업에 대한 결심을 내리는지에 대한 것은 미래의 창업활동을 예측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창업교육의 효과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Shapero(1975)가 제시한 창업행동(entrepreneurial event) 모형에서는 개인의 욕구, 실현가능성 그리고 개인의 행동성향에 기반을 둔 창업의지를 잘 설명하고 있다. Boyd & Vozikis(1994)의 연구에 따르면, 창업의지는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진로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게 나타나며, 창업가로서 활동을 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부모의 영향, 창업교육, 개인성향, 경력환경 등의 요인이 주로 연구되어 왔다(Scherer et al., 1989; Ronstadt, 1984; Leazar, 2002). 하지만, 개인이 속하고 있는 사회나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변화하게 될 것이다(Lee, Kim and Kim, 2013). 이러한 연구들은 개인은 다양한 환경과 배경 그리고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각자 다른 동기가 설정이 되고 이는 창업의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공통적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Lee, 2013).

    Ⅲ.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본 연구에서는 앞서 검토한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동기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창업동기요인, 기업가정신, 창업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그림 1>과 같은 연구 모형을 제시한다.

       3.2. 가설설정

    3.2.1 창업동기와 기업가정신

    자기효능감은 사회학습이론으로부터 비롯된 개념으로 특별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Bandura, 1977) 과거의 경험과 예상된 미래의 장애물을 바탕으로 형성되며, 특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믿음에 영향을 준다(Gist & Mitchell, 1992). 이러한 자기효능감은 개인이나 조직에서 통제 가능한 자원에 구애받지 않고 기회를 추구하는 과정(Stevenson & Jarllio, 1990), 새로운 조직의 창조(Gartner, 1989), 창업하거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단순한 조직의 소기업과 관련된 정신(Mintzberg, 1989), 또는 기업이 새로운 무엇을 창출하기 위해 이를 탐색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것(Baron & Shane, 2005) 등으로 정의되는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주는 공통적인 요소는 환경특성, 조직특성, 개인특성 등을 들 수 있다(Choi & Jeong, 2008). 이러한 요인 중에서 환경특성과 조직특성은 기업가의 외부 요인으로 개인의 통제가 어려운 반면, 개인특성은 교육을 통해 조절이 가능한 요인으로서 기업가정신은 교육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Yoon, 2012). 또한, 인적네트워크는 창업에 있어서 지원과 동기부여의 역할을 하며(Manning, Bieley & Norburn, 1989), 창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창업의 성공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밑바탕이 된다(Kim, 2009). Pickle & Abrahamson(1990)은 기업가정신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진력, 정신력, 인간관계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기술력 등을 제시 하였으며, 또한 각 요인에 대하여 세부요인을 제시하였다. 세부요인을 살펴보면, 추진력은 열정, 책임감, 인내력, 달성의지로, 정신력은 지능지수, 사고력, 분석능력으로, 인간관계 능력은 정서적 안정, 대인관계 기술, 사교성, 타인배려, 감정이입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말‧문서를 통한 의사전달 능력으로, 그리고 기술력은 전문적인 지식‧기술로 그 세부요인을 제시하였다(Pickle & Abrahamson, 1990). 또한, Yoon(2004)은 개인특성과 환경요인을 기초로 한 창업의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환경요인 중 창업이나 기업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상기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H1 : 창업 동기는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2 창업동기와 창업성과(창업의지, 기업성과)

    초기 창업자들의 창업동기요인과 창업의지 관계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 왔다(Carter et al.2003; Edelman et al. 2010). 자기효능감은 창업 또는 창업의지와의 사이에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Krueger, 1993), 창업자의 개인의 능력에 대한 믿음은 창업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한편, 훌륭한 창업가는 사화적, 문화적인 환경에서 교육을 통해 성장하여 탄생할 수 있는 것으로, 창업자의 자기학습동기와 교육내용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춰욕구, 내적통제, 자기유능감, 네트워크 등과 같은 개인특성 또한 창업 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 Chang, 2003; Jung & Ban, 2008). 창업의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은 개인적 네트워크이다(Gnyawali & Fogel, 1994; Carsrud, Gaglio, & Olim, 1987, Yoon, 2012)). 인적 네트워크는 개인이 창업을 할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세력으로서 사례와 역할모델, 전문적 조언과 상담, 기회, 정보, 자원에의 접근성 등을 꼽을 수 있다(Manning, Bieley, & Norburn,1989). 사회적 인식도 창업의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적 분위기 및 인식은 창업을 활성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정적인 사회적 분위기 및 인식은 창업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Kim, 2009; Yoon, 2012).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예비창업자>

    H2 : 창업 동기는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창업자>

    H 2 : 창업 동기는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3 기업가정신과 창업성과(창업의지, 기업성과)

    Leffel(2008)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창업이 전반적으로 바람직하다고 느끼는 것과 개인적으로 진취적인 행동성향 지니는 것 그리고 창업의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느끼는 것 등 3가지를 제시하여 이들이 긍정적일수록 창업을 하고자 하는 열망이 높아지게 되며, 이를 통해 형성된 기업가적 태도가 행동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진취성은 위험감수성과 함께 기업가정신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불확실한 창업환경에서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Sung & Kim, 2011; Crant, 1996). 기업가정신은 불확실한 환경에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으로, 혁신적이고 진취적으로 활동하여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업가의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Zahra & Covin(1995)은 기업가정신과 기업의 재무성과와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연구결과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umpkin & Dess(2001)는 기업가지향성을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경쟁적인 저돌성, 자율성 등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기업가지향성이 기업의 성과와 관련성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예비창업자>

    H 3 :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창업자>

    H 3 : 기업가정신은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선행연구에 바탕으로 창업동기 요인을 개인특질인 자아효능감, 개인의 환경적요인인 창업교육, 인적네트워크, 경제적요인 마지막으로 사회 환경적요인인 사회적인식과 정부정책으로 구분 하여 측정하였다.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창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창업에 대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스스로 믿는 정도이고 가지고 있는 기대치에 대한 수준을 나타낸다(DeWitz & Walsh, 2002). 본 연구에서는 Cox, Mueller & Moss(2002)의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자아효능감을 느끼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Jung & Ban(2008)Kim(2009)의 연구를 바탕으로 6개의 측정항목을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창업교육은 개인에게 창업동기를 부여하고, 기업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관련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Yoon(2013), Jung & Ban(2008)Kim(2009)의 연구를 바탕으로 6개의 측정항목을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창업의 개인적 환경요인으로 제시되는 인적네트워크는 Sparrowe, Liden, & Kraimer(2001), Yoon(2004)의 연구를 바탕으로 8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경제적요인은 Kim(2009)의 연구에 따라 8개의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창업동기 가운데 사회적인식은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요인으로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창업에 영향을 미친다(Yoon, 2004). Yoon(2004)의 연구에 따라 4개 항목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업성공을 위해서는 사회적 인프라가 중요한데, 이와 같은 사회적 환경적 요인으로 최근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을 들 수 있다(Nam, Chun & Park, 2013). 다수의 정부정책이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정부정책이 기업가정신이나 창업의지 및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제 창업 지원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창업교육,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 컨설팅, 사후관리 지원으로 구분하여 17개 항목을 구성하였다. 기업가정신은 Miller(1983), Zahra(1991), Kim(2009), Yoon(2012)의 연구를 토대로 혁신성추구, 위험감수성, 진취성의 7개 항목 7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예비창업자의 실제적인 창업활성은 개인의 계획된 행동의 결과로 나타나므로 창업의지를 측정하는 것이 실제 창업을 예측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Kickul, et al.(2009)의 연구에서 사용된 항목을 이용하여 향후 창업 가능성이 있는지를 측정하였다. 기업의 성과는 크게 재무적 성과와 비재김무적 성과로 구분되며(Stuart & Abetti 1987), 혁신기술기업에 관한 분야의 경우 기술적성과도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Ban, Park & Seo(2009)의 연구를 토대로 재무적성과 4개 항목을 측정하였고, Kwun(2010)의 연구에 따라 비재무적성과 3개 항목, 마지막으로 Lee(2009)의 연구를 토대로 기술적성과 5개 항목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Ⅳ. 실증분석결과

       4.1. 예비창업자

    4.1.1. 자료의 수집과 인구통계적 특성

    본 연구를 위해 창업정책 수혜를 받고 있는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2014년 8월1일부터 8월31일까지 총 250부를 방문 조사하여 최종 247부를 회수하였고, 그 가운데 응답이 부실한 45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02부를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표본 자료는 SPSS 20.0, AMO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통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54.0%, 여성이 46.0%로 남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가 26.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력별로는 대학교 졸업이 42.1%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경험은 없는 응답자가 55.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관심업종으로는 제조업이 27.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abe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4.1.2. 구성개념 검증

    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해 SPSS 22.0을 이용하였다. 신뢰성검증은 동일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항목을 이용하는 경우에 신뢰도를 저해하는 항목을 제외시키는 방법인 Cronbach's alpha(α)를 사용하였다. 요인분석은 총 분산을 이용하여 정보의 손실을 줄이고, 변수들의 총 분산을 가능한 많이 설명할 수 있는 효과적인 추출방법인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s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요인간의 상호독립성을 검증하는데 유용한 직교회전(Varimax)을 요인의 회전방법으로 이용하였다. <표 2>~<표 4>까지 변수에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2>]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actor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label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actor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표 3>]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ship(Single dimension)

    label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ship(Single dimension)

    [<표 4>]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ingle dimension)

    label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ingle dimension)

    <표 2>에 나타난 창업동기요인 요인분석결과 요인적재량이 최소 0.840에서 최대 0.954까지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신뢰성 분석결과 Cronbach's alpha(α)이 모두 0.963을 넘어 측정변수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표 2>에 나타난 기업가정신 요인분석결과 요인적재량이 모두 0.891 이상으로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신뢰성 분석결과 Cronbach's alpha(α)이 0.940으로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표 3>에 나타난 창업의지요인 요인분석결과 요인적재량이 모두 0.918 이상으로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신뢰성 분석결과 Cronbach's alpha(α)이 0.961로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앞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선택된 측정항목들에 대해 AMOS 22.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 모형의 부합도 지수는 χ2 = 688.951(df=194, p<0.001), GFI=0.770, CFI=0.949, NFI=0.931, RMR=0.048로 나타나 측정모 형을 분석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측정항목과 구성개념을 연결하는 요인 부하량이 모두 유의(t>1.96)하게 나타났고, 부하량도 모두 0.5이상으로 수렴타당성이 확인되었다.

    각 연구단위들 간의 전반적인 관계성과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이 실시되었다. <표 5> 과 같이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방향성이 일치하였으며, 판별타당성 분석결과 구성개념간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Φ계수의 신뢰구간(즉, Φ±2SE)에 1.0이 포함되지 않았으며 구성개념간 상관계수가 0.85를 넘지 않아 소비자 특성변수 구성개념간의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었다.

    [<표 5>]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ab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4.1.3. 가설검증

    각 창업동기가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표 6>의 회귀모형(R2=0.861, F=201.285, P=0.000)은 유의한 식으로 판명되었으며, 창업동기 가운데 자기효능감, 인적네트워크, 경제적요인, 정부정책은 기업가정신의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가설 H1-1, H1-3, H1-4, H1-6은 채택되었다. 하지만 창업교육은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Yoon(2012)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Correlation analysis

    label

    Correlation analysis

    각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표 7>의 회귀모형(R2=0.789, F=121.449, P=0.000)은 유의한 식으로 판명되었으며, 창업동기 가운데 자기효능감, 경제적 요인, 정부정책은 기업가정신의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가설 H2-1, H2-2, H2-4, H2-6은 채택되었다.

    [<표 7>]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ship

    labe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ship

    [<표 8>]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intention

    labe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intention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H3을 살펴 보기 위해 단순회귀를 분석한 결과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3은 채택되었다.

    [<표 9>]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labe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표 10>] Hypothesis testing results

    label

    Hypothesis testing results

    4.1.4. 기업가정신 매개효과 검증

    추가적으로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단계별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변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4단계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1단계),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2단계). 다음으로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분석하여야 한다(3단계). 마지막으로 2단계의 회귀계수(β)와 3단계의 회귀계수 값(β)을 비교하였을 때, 2단계의 베타값이 3단계의 베타값보다 커야 한다. 이때 2단계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3단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분석결과 창업동기 요인과 창업의지 요인과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 창업교육, 사회적인식의 경우 기업가정신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네트워크, 경제적요인, 정부정책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창업의지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창업동기뿐 아니라 기업가정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표 11>] Mediated effect on entrepreneurship

    label

    Mediated effect on entrepreneurship

       4.2. 기창업자

    4.2.1. 자료의 수집과 인구통계적 특성

    본 연구를 위해 창업정책 수혜를 받은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2014년 8월1일부터 8월31일까지 총 2,000부를 배포하여 최종 268부를 회수하였고, 그 가운데 응답이 부실한 56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12부를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표본 자료는 SPSS 20.0, AMO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통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81.6%, 여성이 18.4%로 남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가 36.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업종별로는 전기기기가 32.1%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규모는 10억 미만이 46.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2. 구성개념 검증

    기창업자의 경우에도 예비창업자의 검증방법과 동일하게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α)를 이용하여 신뢰성을 검증 하였다. 또한, 요인분석도 베리맥스 회전에 의한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요인간의 상호독립성을 검증하였다. <표 12>~<표 15> 까지 변수에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abe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표 13>]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actor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label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actor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표 14>]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ship(Single dimension)

    label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ship(Single dimension)

    [<표 15>]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irm performance

    label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irm performance

    <표 12>에 나타난 창업동기요인 요인분석결과 요인적재량이 최소0.772에서 최대 0.937까지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신뢰성 분석결과 Cronbach's alpha(α)이 모두 0.895를 넘어 측정변수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기업가정신 요인분석결과 요인적재량이 모두 0.847 이상으로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신뢰성 분석결과 Cronbach's alpha(α)이 모두 0.926으로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표 16>에 나타난 창업동기요인 요인분석결과 요인적재량이 최소0.559에서 최대 0.889까지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신뢰성 분석결과 Cronbach's alpha(α)이 모두 0.807를 넘어 측정변수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표 1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ab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앞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선택된 측정항목들에 대해 AMOS 22.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의 부합도 지수는 χ2 = 487.718(df=155, p<0.001), GFI=0.836, CFI=0.937, NFI=0.911, RMR=0.078로 나타나 측정모형을 분석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측정항목과 구성개 념을 연결하는 요인 부하량이 모두 유의(t>1.96)하게 나타났고, 부하량도 모두 0.5이상으로 수렴타당성이 확인되었다.

    각 연구단위들 간의 전반적인 관계성과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이 실시되었다. <표 16> 과 같이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방향성이 일치하였으며, 판별타당성 분석결과 구성개념간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Φ계수의 신뢰구간(즉, Φ±2SE)에 1.0이 포함되지 않았으며 구성개념간 상관계수가 0.85를 넘지 않아 소비자 특성변수 구성개념간의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었다.

    4.2.3. 가설검증

    각 창업동기가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표 17>의 회귀모형(R2=0.587, F=48.6, P=0.000)은 유의한 식으로 판명되었으며, 창업동기 가운데 자기효능감, 인적네 트워크, 경제적요인은 기업가정신의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가설 H1-1, H1-3, H1-4는 채택되었다.

    [<표 17 >] correlation analysis

    label

    correlation analysis

    창업동기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기업성과를 재무적성과, 비재무적성과, 기술적성과로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표 18>과 같이 나타났다. 재무적 성과에는 자기효능감, 창업교육, 경제적요인, 정부정책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재무적성과에는 자기효능감, 인적네트워크, 경제적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기술적성과에는 창업교육, 정부정책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설 H2-1, H2-2, H2-4, H2-6, H2-7, H2-9, H2-10, H2-14, H2-18는 채택되었다.

    [<표 18>]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ship

    labe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ship

    [<표 19>]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fim performance

    labe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fim performance

    기업가정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H3을 살펴보기 위해 단순회귀를 분석한 결과 기업가정신은 재무적성 과, 비재무적성과, 기술적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3-1, H3-2, H3-3이 모두 채택되었다.

    [<표 20>]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fim performance

    labe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fim performance

    [<표 21>] Hypothesis testing results

    label

    Hypothesis testing results

    4.2.4. 기업가정신 매개효과 검증

    추가적으로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단계별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변수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4단계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1단계),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2단계). 다음으로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분석하여야 한다 (3단계). 마지막으로 2단계의 회귀계수(β)와 3단계의 회귀계수 값(β)을 비교하였을 때, 2단계의 베타값이 3단계의 베타값보다 커야한다. 이때 2단계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3단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분석결과 창업동기 요인과 재무적성과의 관계에서 기업가정 신이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재무적성과의 경우 자기효능감, 창업교육, 인적네트워크, 경제적요 인, 정부정책의 경우 기업가정신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인식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재무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창업동기뿐 아니라 기업가정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기술적성과의 경우 인적네트워크 및 사회적인식과 성과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의 창업동기와 기술적성과와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은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4>] Mediated effect on entrepreneurship

    label

    Mediated effect on entrepreneurship

    Ⅴ. 결론

    창업이 국가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됨에 따라 최근 정부는 창업단계별 그리고 생애주기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창업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의지와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창업동기를 실증적으로 검증 함으로써 정부의 효과적인 창업지원정책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정부 창업지원수혜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 분석결과 자기효능감, 경제적요인, 정부정책 요인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jzen(1991, 1998, 2002) 이후 많은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듯 본 연구에서도 자기효능감이 기업정신과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많은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정책의 경우 그간 실증분석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정부정책 수혜자를 대상으로 한 본연구결과 창업교육, 물리적 인프라, 투자지원, 사후관리로 이루어진 정부정책이 기업가정신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밝힘으로써 정책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창업교육의 경우 기업가정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창업의지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이루어지는 창업교육이 기업가정신 함양보다는 회계, 마케팅 등 기업 운영에 필요한 지식의 교육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는 현재의 창업교육이 실제 창업을 앞둔 예비창업자에게 실직적인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가로서의 소양을 갖추는데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아형성기에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근본적인 기업가정신 함양과 관련한 소양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보고서에서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기업가정신 함양에 도움이 된다고 언급되고 있지만, 선행연구와 달리 기업가에 대한 인식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샘플이 정부의 창업정책 수혜자들로 구성되어 있어, 예비창업자들의 경우에 이미 창업의지를 가지고 상당한 수준 이상의 기업가정신을 갖추고 있는 집단이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정책의 수혜자가 아닌 일반인에 있어서는 선행연구와 같은 결과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 분석결과 자기효능감, 인적네트워크, 경제적요인은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업교육, 사회적인식, 정부정책은 기업가정 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의 경우 예비창업자와 마찬가지로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기업운영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대부분으로 판단되므로 근본적으로 혁신성, 도전성 등 기업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창업동기와 기업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기업성과를 재무적성과, 비재무적성과, 기술적성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사회적인식을 제외하고 동기별로 각각의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동기가 혼재하여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창업교육, 경제적요인, 정부정책은 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인적네트워크, 경제적요인은 비재무적성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 정부정책은 기술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부분은 창업동기 가운데 가설이 기각된 창업교육과 사회적인식 마지막으로 기창업자를 위한 정부정책으로 판단된다.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 모두 창업교육과 사회적인식은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의 경우 혁신성, 진취성, 도전정신을 함양하는 기업가정신에 관한 교육보다는 기업경영 일반에 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와 기업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창업교육을 분석하여 향후 기업 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창업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예비창업자는 정책이 기업가정신이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쳤으나 기창업자의 경우 정부정책은 기업가정신과 비재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부정책은 창업교육, 공간지원, 자금유치, 사후관리지원 프로그램에 치중하기 보다는 기업가정 신을 함양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 정부정책은 기업의 매출액, 투자와 같은 기업의 재무적성과와 기술혁신을 통한 비용감소와 같은 기술적성과를 위한 정책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정책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성장잠재력이나 비전달성과 같은 비재무적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부정책을 개발한다면 향후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앞서 제시한 실무적 시사점 외에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창업동기의 유형화에 관한 시도이다. 창업의 동기가 창업의지와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동기들이 있는지에 관한 선행연구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창업동기를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환경요인을 개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에 해당하는 창업동기와 창업의지 및 기업성과를 관계를 실증분석 함으로써 창업동기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특히 다양한 정부지원정책이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실증분석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던 정부정책을 동기에 포함하였고, 다른 연구에서와 달리 정부정책수혜자를 대상으로 시행 하였으므로 정부정책에 대한 성과를 분석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를 구분하여 실증분석 함으로써 실제 두 그룹간의 창업동기와 기업가정신 그리고 창업의지 및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에 창업자 대상별로 효과 적인 창업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 막으로, 일반적으로 기업가정신이 높을수록 기업성과도 높을 것이라는 선행연구가 다수 수행되었지만, 창업동기와 기업성과 관계에서 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이 매개역할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창업동기와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 기업가 정신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창업동기를 높이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기업가정신을 함양하는 정책도 함께 필요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동기요인을 분류함으로써 기업가정신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창업정책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앞서 도출된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한 시사 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연구 한계를 지니고 있다. 선행연구 에서 실증분석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던 정부정책을 창업동기로 살펴봄에 따라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지만, 이론적 토대가 아직은 미흡하다.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세부적인 정부정책과 기업가정신 그리고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정부정책 마련의 근거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에서는 정부지원 수혜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향후 일반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보다 보편적으로 기업가정신과 창업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정책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P.179-211 google cross ref
  • 2. Ajzen I. (1998) Models of human social behaviour and their application to health psychology [Psychology and Health] Vol.13 P.735-739 google cross ref
  • 3. Ajzen I. (2002)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2 P.665-683 google cross ref
  • 4. Baron R., Shane S. (2005) Entrepreneurship: A Process Perspective google
  • 5. Baron R. M.,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1173-1182 google
  • 6.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191-215 google cross ref
  • 7.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37 P.122 google cross ref
  • 8. Ban S. S., Park J. H, Seo S. G. (2009)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Support of Business Incubator Center on Corporate Performance [Productivity review] Vol.23 P.215-234 google cross ref
  • 9. Bea J. T., Cha M. S (2005) Recent Trend in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Management Research: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American Journals (1998-2004) [The Journal of Small Business Innovation] Vol.8 P.57-94 google
  • 10. Begley T. M., Boyd D. P. (1987)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in Entrepreneural Firms and Smaller Business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2 P.79-93 google cross ref
  • 11. Boyd N G., Vozikis G.S. (1994)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ac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8 P.63-63 google
  • 12. Carsrud A.L., Gaglio C.M., Olim K.W. (1987) Entrepreneurs-Mentors, Networks, and Successful Venture Development: An Exploratory Study,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2 P.13-18 google
  • 13. Casillas J. C., Moreno A. M., Barbero J. L. (2010) A Configurational Approa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Growth of Family Firms [Family Business Review] Vol.23 P.27-44 google cross ref
  • 14. Carter N. M., Gartner W. B., Shaver K. G., Gatewood E. J. (2003) The career reasons of nascent entrepreneur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18 P.13-39 google cross ref
  • 15. Cho J. H., Kim C. J., Song M. K. (2012) A Study of the Entrepreneurship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Business School and Management Consulting [Korea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Vol.25 P.19-39 google
  • 16. Choi J. Y, Jeong H. J. (2008) A Study On Effect Of Management Education To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15 P.213-230 google
  • 17. Covin J. G., Slevin D. P. (1991) A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as Firm Behavi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6 P.7-25 google
  • 18. Cox L. W., Mueller S. L., Moss S. E. (2002)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Vol.1 P.229-245 google
  • 19. Crant J. M. (1996) The proactive personality scale as a predictor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34 P.42-49 google
  • 20. DeWitz S. J., Walsh W.B. (2002) Self-efficacy and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10 P.315-326 google cross ref
  • 21. Edelman L. F., Brush C. G., Manolova T. S., Greene P. G. (2010) Startup Motivations and Growth Intentions of Minority Nascent Entrepreneur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48 P.174-196 google cross ref
  • 22. Frishammar J., Horte S. A. (2007) The role of Market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for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Firms [Technology Analysis and Strategic Management] Vol.19 P.756-788 google cross ref
  • 23. Gartner W. B. 1989 Who is an Entrepreneur? Is the Wrong Ques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3 P.47-68 google
  • 24. Gist M. E., Mitchell T. R. (1992) Self-efficacy: A theoretical analysis of its determinants and malleabil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7 P.183-211 google
  • 25. Gnyawali D. R., Fogel D.S. (1994) Environments for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Key Dimensions and Research Implica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8 P.43-62 google
  • 26. Greenberger D. B., Sexton D. L. (1988) An Interactive Model of New Venture Creation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26 P.107-127 google
  • 27. Hornsby J. S., Naffziger D. W., Kuratko D. F., Montagno R. V. (1993) An Interactive Model of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Proces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7 P.29-37 google
  • 28. Jung Y. W., Ban S. S. (2008) A Study on the Teenag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Korea Entrepreneurship Society] Vol.3 P.45-67 google
  • 29. Katz J. A., Gartner W. B. (1988) Properties of emerging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3 P.429-441 google
  • 30. Keh H.T., Nguyen T.T.M., Ng H.P. (2007)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rketing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SM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22 P.592-611 google cross ref
  • 31. Kickul J., Gundry L. K., Barbosa S. D., Whitcanack L. (2009) Intuition Versus Analysis? Testing Differential Models of Cognitive Style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the New Venture Creation Proces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33 P.439-453 google cross ref
  • 32. Kim J. M., Park J. P. (2011) (A) study on the model of entrepreneurship index [Korea Small Business Institute] Vol.11 P.103-108 google
  • 33. Kim H. S., Park B. J. (2009) The Demand Level for Business Start-up Education and Willingness of Starting a Busines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ity] Vol.4 P.139-165 google
  • 34. (2013) The effect of startups on national economy and job creation. google
  • 35. (1996) Organizational employment versus self-employment: Reasons for career choice intentions [Entrepreneurship : Theory and Practice] Vol.20 P.23-31 google
  • 36. Kreuger N. F., Brazeal D. V. (1994) Entrepreneurial potential and potential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 Theory and Practice] Vol.18 P.91-104 google
  • 37. Krueger N. F. (1993) The Impact of Prior Entrepreneurial Exposure on Perceptions of New Venture Feasibility and Desirability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8 P.5-21 google
  • 38. Kwun M. Y. (2010)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Networks on Firm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google
  • 39. Leazar E. P. (2002) Entrepreneurship google
  • 40. Lee I. W. (2009) An Empirical Study on the Technological - orientation & Market - orientation of Startup enterprises and Their Effect on Managerial Performance google
  • 41. Lee J. W. (2000)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Korean Association of Small Business Studies] Vol.22 P.121-146 google
  • 42. Lee J. W., Lee S. H. (2004) Failure Factors of High-tech Ventures : an Empirical Study [Korean Strategic Management Society] P.49-82 google
  • 43. Lee S. J., Hwang bo Y (2010) Exploratory study on a psychological traits changes by entrepreneurship short-term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5 P.19-44 google
  • 44. Lee S. M., Chang D. S. (2003) A Comparative Study on Venture Creation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Improvement between Korea and USA [Korea Business Review] Vol.7 P.7-24 google
  • 45. Lee. W. J. (2013) The Study on the Collage Students’Career Reasons Affecting o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8 P.113-124 google
  • 46. Lee W. J., Kim J. S., Kim Y. T. (2013)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to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Vol.28 P.105-131 google
  • 47. Leffel H. (2008) Influencing Entrepreneurial Intent for New Technology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in a University and Entrepreneurs in a University Environment [PICMET 2008 Proceedings] google
  • 48. Lumpkin G. T., Dess G. G. (2001) Linking two 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o firm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 and life cycl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16 P.429-451 google cross ref
  • 49. Manning K., Bieley S., Norburn D. (1989) Developing a New Ventures Strategy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4 P.68-76 google
  • 50. (1983)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Management Science] Vol.29 P.770-791 google cross ref
  • 51. Mintzberg H. (1989) Visionary leadership and Strategic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0 P.17-32 google cross ref
  • 52. Nam J. M., Chun B. J., Park J. W. (2013) Success Factors of Start-ups -An Empirical Study-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0 P.27-43 google
  • 53. Park C., Kang Y. R. (2010) A Comparative Study on Entrepreneurship Among Korea, China, Mongolia, and Cambodia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Vol.32 P.225-246 google
  • 54. Park K. Y. (2009) A Study on Entrepreneurship and Its Effects on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15 P.153-165 google
  • 55. Pickle H. B., Abrahamson R. L. (1990) Small Business Management google
  • 56. Reynolds P. D. (1992) Sociology and Entrepreneurship: Concepts and Contribu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6 P.47-70 google
  • 57. Ronstadt R. (1984) Ex-entrepreneurs and the decision to start an entrepreneurial career,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P.437-460 google
  • 58. Sanchez J. C. (2013) The Impact of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o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Intention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51 P.447-465 google cross ref
  • 59. Sexton D., Bowman N. (1985) The Entrepreneurs: A Capable Executive and Mor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1 P.129-140 google cross ref
  • 60. Scherer R. F., Adams J. S., Carley S., Wiebe F. A. (1989) Role model performance effects on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career preferenc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3 P.53-71 google
  • 61. Schumpeter J. A. (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google
  • 62. Seo J. H. (2006) The Thinking of the University Students about an Entrepreneur in Korea, China, and Japan [Business Education Review] Vol.43 P.153-171 google
  • 63. Shane S., Venkataraman S. (2000) The promise of entrepreneurship as a field of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5 P.217-226 google
  • 64. Shapero A. (1975) The displaced, uncomfortable entrepreneur [Psychology Today] Vol.9 P.83-88 google
  • 65. Sparrowe R. T., Liden R. C., Wayne S. J., Kraimer M. L. (2001) Social networks and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and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4 P.316-325 google cross ref
  • 66. Stevenson H. H., Jarllio J. C. (1990) A Paradigm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Management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Vol.2 P.17-27 google
  • 67. Stuart R., Abetti P. A. (1987) Startup Ventures: Towards the Prediction of Initial Succes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2 P.215-230 google cross ref
  • 68. Sung C. S., Kim J. S. (2011)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enior Entrepreneurship [The Korean Association of Small Business Studies] Vol.33 P.112-133 google
  • 69. Thompson E. R. (2009) Individual entrepreneurial intent: Construct clarification and development of an internationally reliable metric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33 P.669-694 google cross ref
  • 70. Wood R., Bandura A. (1989) Impact of conceptions of ability on self-regulatory mechanisms and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6 P.407-415 google cross ref
  • 71. Yoon B. S. (2004)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Korean Business Review] Vol.17 P.89-106 google
  • 72. Yoon N. S. (2012) The Effect of Potential Entrepreneurial Motivations on Entrepreneurship and Commitment to Starts-up: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25 P.1537-1557 google
  • 73. Yoon N. S.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s,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between the Students of the Cyber University and the Traditional University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6 P.491-510 google
  • 74. Yu Y. H., Yang D. W. (2008)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Career Orientation, Social & Cultural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Support Program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1 P.2347-2368 google
  • 75. Yuan Li, Zhao Yongbin, Justin Justin, Liu Yi (2008)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Market Orientation-Performance Linkage: Evidence from Chinese Small Firm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46 P.113-133 google cross ref
  • 76. Zahra S. A. (1991) Predictors and financial outcome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6 P.259-285 google cross ref
  • 77. Zahra S. A. (1993) Environment,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Financial Performance: A Taxonomic Approach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8 P.319-340 google cross ref
  • 78. Zahra S. A., Covin J. G. (1995) Contextual influences on the corporate e ntrepreneurship performance relationship :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10 P.43-58 google cross ref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Research Model
    Research Model
  • [ <그림 2> ]  Entrepreneur
    Entrepreneur
  • [ <표 1>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 <표 2> ]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actor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actor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 [ <표 3> ]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ship(Single dimension)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ship(Single dimension)
  • [ <표 4> ]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ingle dimension)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ingle dimension)
  • [ <표 5> ]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 <표 6> ]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 [ <표 7> ]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ship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ship
  • [ <표 8> ]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intention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intention
  • [ <표 9> ]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 <표 10> ]  Hypothesis testing results
    Hypothesis testing results
  • [ <표 11> ]  Mediated effect on entrepreneurship
    Mediated effect on entrepreneurship
  • [ <표 12>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 <표 13> ]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actor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actor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 [ <표 14> ]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ship(Single dimension)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entrepreneurship(Single dimension)
  • [ <표 15> ]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irm performance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irm performance
  • [ <표 16> ]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 <표 17 > ]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 [ <표 18> ]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ship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ship
  • [ <표 19> ]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fim performanc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fim performance
  • [ <표 20> ]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fim performanc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fim performance
  • [ <표 21> ]  Hypothesis testing results
    Hypothesis testing results
  • [ <표 24> ]  Mediated effect on entrepreneurship
    Mediated effect on entrepreneurship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