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태양인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aeyang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BSTRACT
태양인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
KEYWOR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Clinical Practice Guideline , Taeyangin
  • Ⅰ. 緖 論

    태양인 병증은 外感腰脊病과 內觸小腸病의 表裏病으로 구분된다. 外感腰脊病은 表病으로 解㑊證이라고도 하며, 內觸小腸病은 裏病으로 噎膈反胃證이라고도 한다. 태양인 外感腰脊病은 哀心이 깊이 편착되어 腰脊의 表氣를 손상하고, 氣液呼吸에 있어 胃脘의 呼散力에 비해 小腸의 吸聚力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태양인 內觸小腸病은 小腸에서 氣液을 빨아들이는 陰凉한 기운이 부족하면 胃脘에서 氣液을 내뿜는 陽溫한 기운이 지나치게 되므로 胃脘의 혈액이 건조하고 마르게 되어 噎膈反胃가 발생한다1.

    태양인에 관한 연구는 김종원 등의 사상체질진단 표준안 연구2, 곽창규 등의 태양인 소증 증례 보고3, 장은수 등의 태양인 체형, 안면, 음성, 성격 특성 연구4, 박은경 등의 태양인 환자 증례 보고5 등이 있었다.

    이전의 연구들이 증상을 위주로 한 임상 증례 보고에 편중되어 태양인 병증 정의, 진단 및 분류, 치료 등의 임상 활용 지침으로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어 2015년에 각 대학교 사상체질의학과 교수들을 중심으로 태양인 임상진료지침 개발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사상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Clinical Practice Guideline, CPG) 개발 작업의 결과인 태양인병증 임상진료지침의 개발 과정, 정의, 분류, 표준증 후, 치료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 硏究對象 및 方法

       1. 문헌검색

    본 연구는 태양인체질병증 표준증후 및 임상진료지침(CPG)을 작성하기 위하여 『東醫壽世保元⋅辛丑本 』, 사상의학 교과서1, 사상체질과 임상편람6,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KIOM 보고서)7 및 태양인체질병증 관련 논문 등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및 정리 작업이 이루어졌다. 논문 검색 방법은 김 등4의 선행 연구 방법을 따랐다. 논문을 검색하기 위하여 각 학회1)의 학회지를 창간호부터 수기 검색을 하였으며, 온라인 검색도 실시하였다. 온라인 검색은 각 학회의 홈페이지와 전통의학정보포털(http://oasis.kiom.re.kr)을 활용하였다. 국외 논문의 경우 pubmed와 Cochrane library를 통하여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임상시험 혹은 임상연구(clinical trial or clinical study) and 임상 혹은 인간(clinical or human)을 사용하였다.

       2. 문헌평가 및 자료추출

    문헌의 1차 선택은 김 등4의 연구에 따라 총 17종의 한의학 학술지에서 온라인과 수기로 검색한 논문 12,653편과 국외 database를 검색한 논문 41편에 대하여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중 In vivo, In vitro, 문헌고찰 논문을 제외한 1,004편의 임상논문을 1차적으로 대상으로 하였다. 그 후 임상진료지침 각각의 위원들이 신뢰성 있고, 학문적 가치가 높은 논문을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사상체질과 관련된 논문 25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25편의 논문 중 태양인체질병증과 관련 없는 논문 24편을 제외한 1편의 논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Figure 1, 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Trial

    label

    Characteristics of Trial

       3. 임상진료지침 작성

    『東醫壽世保元⋅辛丑本 』에 실린 내용 가운데 태양인체질병증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표준증후2)를 작성하였으며, 사상의학 교과서,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KIOM 보고서) 및 태양인체질병증 관련 논문9 등을 참조하여 임상진료지침(CPG) 표준보고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작성하였다. 근거수준과 권고수준은 2013년 한의학연구원(KIOM) 한의임상진료지침 개발팀 권고안을 따랐다.

    Ⅲ. 結 果

       1. 外感腰脊病 Exterior-Origin Lower Back (Oegam-yocheok) disease

    개론

    태양인 表病의 발생기전은 ‘外感腰脊’으로 제시되는데 이는 哀性深着으로 인해 肌肉에서의 氣液代謝인 吸聚之力이 약화되어 그 병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肌肉에서의 氣液代謝 산물인 소변의 문제로부터 그 증후가 나타난다. 順病에 해당되는 腰脊 病順病과 逆病에 해당되는 腰脊病逆病(解㑊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腰脊病順病 Lower Back (Yocheok) favorable symptomatology

    개론

    腰脊病順病에는 腰脊病輕證이 포함된다

    (1) 腰脊病輕證 Lower Back (Yocheok) mild pattern

    서론

    腰脊病輕證은 表病의 공통증상인 小便不多不數의 증후와 腰脊表氣가 충실하기 때문에 肌肉에서의 氣液代謝가 심하게 약화되어 나타나는 解㑊증상은 없이 身體痛, 惡寒發熱 등의 증후가 출현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腰脊病輕證의 진단은 表病의 주요 증상인 小便不多不數과 함께 身體痛, 惡寒發熱을 주요증상으로 한다3). 치료는 肌肉에서의 氣液代謝인 吸聚之力의 확보를 원칙으로 하며, 처방은 五加皮壯脊湯을 활용한다4). 五加皮壯脊湯을 복용한 후에 환자자각 호전도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사상체질설문지(QSCCII) 보다 개량한 사상체질설문지 사용이 우수함을 검증하기 위해 태양인으로 진단된 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전후비교 연구 결과, 五加皮壯脊湯 투여 후 피로에 두통, 현훈을 동반한 경우 가장 많은 호전도(38%)를 보였다5. 그 외에 腰脊病輕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腰脊病輕證은 小便不多不數, 身體痛, 惡寒發熱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五加皮壯脊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3. 腰脊病輕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2) 腰脊病逆病(解?病) Lower Back (Yocheok) unfavorable symptomatology (Paraparesis (Haeyeok) symptomatology)

    개론

    腰脊病逆病(解㑊病)은 外感腰脊의 병리에 肝局 吸聚之氣 손상이 더한 것으로, 肝局 吸聚之氣 손상 정도에 따라 解㑊病險證과 解㑊病危證으로 구분된다.

    (1) 解?病險證 Paraparesis (Haeyeok) severe pattern

    서론

    解㑊病險證은 腰脊病逆病(解㑊病)의 주요 증상인 小便不多不數, 性情偏急甚化證(恍惚)과 外感腰脊의 병리에 肝局 吸聚之氣 손상이 더하여, 肌肉에서의 吸聚之氣가 더욱 약화되어 肌肉이 약화되게 되고 이로 인해 ‘下體解㑊然’ 등의 腰脊表氣가 손상된 증상이 출현하게 된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解㑊病險證의 진단은 腰脊病逆病(解㑊病)의 주요 증상인 小便不多不數,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下體解㑊然과 함께 解㑊을 주요증상으로 한다5). 치료는 肌肉에서의 氣液代謝인 吸聚之力의 확보 뿐만 아니라, 肝局 吸聚之氣의 확보를 원칙으로 하며, 처방은 五加皮壯脊湯을 활용하고, 戒深哀 遠嗔怒 修淸定 해야 한다6). 그 외에 解㑊病險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解㑊病險證은 小便不多不數,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下體解㑊然, 解㑊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五加皮壯脊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3. 解㑊病險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2) 解?病危證 Paraparesis (Haeyeok) critical pattern

    서론

    解㑊病危證은 腰脊病逆病(解㑊病)의 주요 증상인 小便不多不數,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下體解㑊然의 증상에 肝局 吸聚之氣 손상이 극에 달해 解㑊증상 뿐만 아니라, 小腸裏氣 또한 손상되어 裏病의 증상인 噎膈을 동반하게 되는 경우이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解㑊病危證의 진단은 腰脊病逆病(解㑊病)의 주요 증상인 小便不多不數,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下體解㑊然과 함께 解㑊兼噎膈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7). 치료는 肌肉에서의 氣液代謝인 吸聚之力의 확보 뿐만 아니라, 肝局 吸聚之氣와, 小腸裏氣의 확보를 원칙으로 하며 처방은 五加皮壯脊湯을 활용하고, 戒深哀 遠嗔怒 修淸定 해야 한다8). 그 외에 解㑊病危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解㑊病危證은 小便不多不數,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下體解㑊然, 解㑊兼噎膈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五加皮壯脊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3. 解㑊病危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2. 內觸小腸病 Interior-Origin Small Intestine (Naechok-sojang) disease

    개론

    태양인 裏病은 順證인 小腸病順病과 逆證인 小腸病逆病(噎膈病)으로 분류된다. 병리적으로 順證과 逆證의 차이는 肝局 吸聚之氣의 손상여부에 있는데, 小腸病順病은 肝局 吸聚之氣가 건재하고 小腸裏氣가 충실한 순증이고, 小腸病逆病(噎膈病)은 肝局 吸聚之氣가 손상되어 小腸裏氣가 약화된 역증이다.

    1) 小腸病順病 Small Intestine (Sojang) favorable symptomatology

    개론

    小腸病順病은 小腸病輕證을 포함한다. 小腸病輕證의 주된 병리는 ‘內觸小腸’으로 이는 怒情暴發로 인해 小腸에서의 氣液代謝인 吸聚之力이 약화되어 그 병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대변의 문제로부터 그 증후가 나타난다.

    (1) 小腸病輕證 Small Intestine (Sojang) mild pattern

    서론

    小腸病輕證은 裏病의 공통증상인 대변의 문제로 大便澁의 증후와 小腸裏氣가 충실하여 噎膈 증상은 없이 腹痛, 腸鳴, 泄瀉, 痢疾 등의 증후가 출현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小腸病輕證의 진단은 小腸病順病의 주요 증상인 大便澁 등의 대변증후와 腹痛, 腸鳴, 泄瀉, 痢疾 등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9). 치료는 小腸에서의 氣液代謝인 吸聚之力의 확보를 원칙으로 하며, 처방은 獼猴藤植腸湯을 활용한다10). 그 외에 小腸病輕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하,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小腸病輕證은 大便澁, 腹痛, 腸鳴, 泄瀉, 痢疾 등의 증상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獼猴藤植腸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3. 小腸病輕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2) 小腸病逆病(?膈病) Small Intestine (Sojang) unfavorable symptomatology (Regurgitation (Yeolgeok) symptomatology)

    개론

    小腸病逆病(噎膈病)은 內觸小腸의 병리에 肝局 吸聚之氣 손상이 더하여, 小腸에서의 吸聚之氣가 더욱 약화되고 상대적으로 胃脘에서의 上達而呼散하는 작용이 지나치게 항진되어 나타나는 ‘噎膈’ 등의 小腸裏氣가 약화된 증상이 출현하게 된다. 이는 肝局 吸聚之氣 손상 정도에 따라 噎膈病險證과 噎膈病危證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膈病險證 Regurgitation (Yeolgeok) severe pattern

    서론

    噎膈病險證은 裏病의 공통증상인 대변의 문제로 大便澁의 증후와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嘔逆과 함께 小腸에서의 吸聚之氣가 더욱 약화되고 상대적으로 胃脘에서의 上達而呼散하는 작용이 지나치게 항진되어 나타나는 ‘噎膈’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噎膈病險證의 진단은 大便澁 등의 대변증후와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嘔逆과 함께 噎膈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11). 平居嘔逆은 平居飮食如常이면서12), 性情偏急甚化證이 있으면 有時有就嘔逆, 平居惡心, 鳩尾之下積塊, 口中多泡沫 등이 발생할 수 있다13). 噎膈은 음식물이 밖에서 들어가면서부터 방해를 받는 것을 噎, 안에서 받아들이는 것이 거부되는 것을 膈이라 한다14). 먹은 것을 시간이 지나서 토하지만 腹痛, 腸鳴, 泄瀉, 痢疾 등의 증상이 없다15). 치료는 小腸에서의 氣液代謝인 吸聚之力의 확보 뿐만 아니라, 肝局 吸聚之氣를 확보하여, 胃脘에서의 上達而呼散하는 작용이 지나치게 항진되는 것을 막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처방은 獼猴藤植腸湯을 활용하고, 遠嗔怒 斷厚味 해야 한다16). 그 외에 噎膈病險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하,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噎膈病險證은 大便澁,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嘔逆, 噎膈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獼猴藤植腸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3. 噎膈病險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2) ?膈病危證 Regurgitation (Yeolgeok) critical pattern

    서론

    噎膈病危證은 裏病의 공통증상인 대변의 문제로 大便澁의 증후와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嘔逆과 함께 肝局 吸聚之氣 손상이 극에 달해 噎膈 증상 뿐만 아니라, 腰脊表氣 또한 손상되어 表病의 증상인 解㑊이 나타나 噎膈兼解㑊을 주요 증상으 로 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噎膈病危證의 진단은 大便澁 등의 대변증후와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嘔逆과 함께 噎膈兼解㑊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17). 解㑊과 噎膈은 모두 重證이지만 重證 중에서도 輕重의 등급이 있으니, 解㑊에 噎膈을 겸하거나 噎膈에 解㑊을 겸한다면 그것이 위험한 證이라는 것을 더 말할 여지가 없다18). 噎膈에 解㑊을 겸한 것은 죽을 지경에 이르기 전까지는 平居飮食如常하여 예사로운 병으로 보기 쉬우나 重險病이다19). 치료는 小腸에서의 氣液代謝인 吸聚之力의 확보 뿐만 아니라, 肝局 吸聚之氣와 腰脊表氣의 확보를 원칙으로 한다. 처방은 獼猴藤植腸湯을 활용하고, 遠嗔怒 斷厚味 해야 한다20). 그 외에 噎膈病危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하,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噎膈病危證은 大便澁 등의 대변증후와 性情偏急甚化證(恍惚), 平居嘔逆과 함께 噎膈兼解㑊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2. 치료는 獼猴藤植腸湯 등을 활용한다.(근거수준 Ⅲ 권고수준 B)

    3. 噎膈病危證을 치료하기 위해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性情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Ⅲ 권고수준 B)

       2. 태양인체질병증 표준증후

    연구된 내용을 바탕으로 태양인체질병증 표준증후를 작성하였다 (Table 2).

    [Table 2.]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Taeyangin Disease

    label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Taeyangin Disease

    Ⅳ. 考 察

    본 임상진료지침에서 설정한 태양인 병증 분류는 다음과 같다. 대분류는 表裏辨證에 따라 외감요척병과 내촉소장병으로 분류하였다. 중분류는 順逆辨證에 따라 외감요척병은 요척병순병과 요척병역병으로 분류하였으며, 내촉소장병은 소장병순병과 소장병역병으로 분류하였다. 소분류는 輕重險危辨證에 따라 腰脊病順病은 腰脊病輕證 1개로 분류하였으며, 腰脊病逆病은 解㑊病險證과 解㑊病危證 2개로 분류하였다. 現證辨證과 素證辨證에 의한 세분류는 분류하지 않았다.

    태양인 외감요척병의 공통 증상은 小便不多不數이며, 내촉소장병의 공통 증상은 大便澁이다. 소변불다불삭은 腰脊의 表氣가 손상되고 氣液 呼吸에 있어 胃脘의 呼散力에 비해 小腸의 吸聚力이 부족하여 발생한 증상이며, 대변삽은 小腸의 裡氣가 손상되어 발생한 병으로 소장지기의 흡취하는 기능이 약하고 상초 위완에서 호산하는 기운이 태과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上逆의 증상이므로 표병과 리병의 각 공통 증상으로 선정하였다. 대변삽은 대변의 성상이 아니라 자각적으로 양이 줄고, 後重感을 느끼며, 대변이 滑하지 않고 體大而多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외감요척병의 중분류인 순역변증의 증상 구분은 순병은 身體痛, 惡寒發熱이 있으며, 역병은 性情偏急 甚化證(恍惚)과 平居下體解㑊然이 있다. 순병의 증상인 신체통은 腹痛을 제외한 頭面 및 項强部 痛症, 腰背痛, 四肢肢節痛 등을 포함하며, 오한 발열은 전신적 오한 및 전신, 두면부, 사지, 피부 등의 부분적 자타각적 냉증과 더불어 발열 등을 포함한다. 역병의 증상은 폐의 호산지기가 성하고 간의 흡취지기가 부족하여 上盛下虛로 특징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性情偏急 甚化證(恍惚)은 태양인의 恒心에 해당하는 急迫之心이 性情의 偏急으로 인한 心病證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肝血이 不和하여 생기는 증상이며, 황홀이란 심리적 불안감, 강박증, 불면 등을 포함하며, 平居下體解㑊然은 상체는 完健하고 하체는 풀린것 같아 걸을 수 없는 병증인 해역이 발생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起居如常이면서 성정편급심화증 있으면 근무력감, 근피로감이 발생하는 것이다.

    내촉소장병의 중분류인 순역변증의 증상 구분은 순병은 腹痛, 腸鳴, 泄瀉, 痢疾이 있으며, 역병은 性情偏急 甚化證(恍惚)과 平居嘔逆이 있다. 腹痛, 腸鳴, 泄瀉, 痢疾은 소장지기의 흡취하는 기능이 약하고 상초 위완에서 호산하는 기운이 태과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상역의 병증 증상이다. 平居嘔逆은 平居飮食如常이면서, 성정편급심화증 있으면 有時有就口逆, 平居惡心, 鳩尾之下積塊, 口中多咆沫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본 작업을 통하여 태양인 병증을 상세하게 분류하는 의미있는 성과를 얻었으나 기존에 임상과 관련된 체계적인 선행 연구가 부족하여 대부분의 임상지침권고안이 전문가의 합의와 동의수세보원 등의 원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태양인은 다른 체질에 비해서도 임상논문의 수가 현저히 적어 임상진료지침의 근거를 작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권고사항의 기술에 있어서도 처방이 제시되기는 하였으나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구체적인 지침의 상세한 기술을 위한 체계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임상진료지침을 기본으로 향후 다양한 임상 연구가 시행된다면 향후 개정될 임상진료지침에서는 타당성과 객관성이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 1. 2012 The revised and enlarge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272-273, 300-305 google
  • 2. Kim JW, Jung SI, Choi MO, Kim KK, Lee EJ, Kim JY 2005 Study on Golden Standard for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Vol.19 P.1504-1512 google
  • 3. Kwak CK, Lee EJ, Song IB, Kim KS 2002 A Case report of the Ordinary symptoms on a Taeyangin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Vol.14 P.146-152 google
  • 4. Jang ES, Do JH, Jang JS, Ku BC, Yoo JH, Choi HS 2013 The Characteristics of Taeyangin on Body Shape, Face, Voice and Temperament [J Sasang constitut Med] Vol.25 P.145-157 google cross ref
  • 5. Park EK, Park SS 2001 3 Case Study That Classified and Performed a Treatment as Taeyangin [J Korean Oriental Med] Vol.22 P.164-170 google
  • 6. 2010 The Clinical Guide Book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The Literature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google
  • 7. Koh BH 2008 Fundamental research to standardize diagnosis of Sasang Constitutinal Medicine google
  • 8. Kim JS, Hwang MW, Lee JH, Lee EJ, Koh BH, Yoo JH 2013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ymptomatology [J Sasang Constitut Med] Vol.25 P.23-33 google cross ref
  • 9. Lim MH, Oh YS, Kwak MA, Jang WS, Kim BS, Song KK 2003 The Clinical Observation on 43 Case of Patients Treated with Ogapijangchuk-tang And Plan of Improving Taeyangin Parts About QSCCII [Korean J Orient Int Med] Vol.24 P.171-180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Figure 1. ]  Selection of article included in clinical guideline for Taeyangin disease
    Selection of article included in clinical guideline for Taeyangin disease
  • [ Table 1. ]  Characteristics of Trial
    Characteristics of Trial
  • [ Table 2. ]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Taeyangin Disease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Taeyangin Disease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