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n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Functional Mask for Protection in Fashion Mask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n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Functional Mask for Protection in Fashion Mask
KEYWORD
mask , integration , playfulness , duplicity , decoration
  • 1. 서 론

    인류역사에서 일찍이 마스크는 주술용, 의례용으로 신이나 조상의 얼굴, 동물 등의 형상으로 각 시대와 나라마다 전해져 내려온 민속적인 아이템이었다. 마스크는 시대마다 인간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문화적 기호이며, 오늘날 현대사회에서는 일상생활 및 특수직업, 특수상황의 등장과 그에 따른 필요성 및 목적에 의해 적합한 기능과 디자인으로 세분화된 모습(Kim et al., 2005)을 보여주고 있다.

    역사적으로 현대적인 마스크의 출현은 20세기 이후 기능주의의 확산과 연관이 있다. 과거 사람이나 동물, 미스터리한 자연의 형상으로 표현되었던 마스크들은 현대 사회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해 방지를 중심으로 한 합목적적인 용도로 전향되어 모던하면서 추상적인 형태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사회문화적 트렌드의 변화와 개인의 개성 및 취향이 반영되어 기능성을 토대로 한 마스크의 범위도 차츰 확장되는 추세에 있다. 가령, 얼굴의 일부분을 가리는 안경, 가짜 수염 등이 마스크에 포함됨으로써 계속되고 있는 진행형의 대상(Kim et al., 2005)이 되고 있으며, 또한 패션디자이너들은 이러한 모던한 형태의 마스크를 이용한 개성 있는 컬렉션으로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가고 있다. 오늘날의 모던한 대부분의 기능적 마스크 형태들은 단지 인물, 동물, 미스터리한 형상 등과 같은 전통적 마스크처럼 구체적인 대상을 모방한 형태를 띠고 있지는 않지만 현대 테크놀로지 사회를 묘사하고 직접적이고 파워풀하게 우리 시대를 표현하는 문화적 기호이기도 하다(Nunley et al., 1999).

    현재까지 마스크에 대한 연구는 축제 및 연극에 관여된 마스크의 형상들을 인간의 욕망이라는 관점에서 심층 분석한 연구(Kim, 2003; Kim et al., 2005; Rhee, 2003), 현대적 디자인 이미지로서 가면을 제안한 연구(Han, 2009), 가면 희극으로서 이태리극과 한국가면극의 공통점과 차이를 통해 한국적 민족연극에서의 이론적 토대를 제안한 연구(Kim, 2009), 패션컬렉션에서의 활용 특징과 상징성을 분류한 연구(Kim, 2008),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 및 지구 환경과 연계하여 실제적인 제품개발을 시도한 연구(Kim & Ro, 2009), 무용의상과 관련한 가면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가면을 통해 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임을 연구한 논문(Kim & Lee, 2002) 등으로 다양한 마스크를 토대로 미적인 부분과 상징성, 그리고 디자인 개발 연구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현대의 다양한 직업, 환경에 따른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 유형을 포괄하여 오늘날 패션에서의 현대화된 마스크의 특성과 의미를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1세기 현대인들의 모던한 환경에 대한 대안적 아이템으로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 유형의 패션화 사례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에서 착안된 모던한 패션 마스크 형태들이 오늘날의 우리 시대를 표현하는 또 하나의 사회, 문화적 매개체임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이론적 고찰에서 마스크와 관련된 국내외 관련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사례 분석에서는 패션 관련 연구논문, 패션 전문잡지, 패션서적 및 인터넷 자료 등에 수록된 2000년대 이후 패션 사진자료를 선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2000년대 이후는 특히 신종 바이러스 출현, 자연 위해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 인간 스스로 부주의에 의한 원자력 사고 발생, 아랍의 민주화 시위 등에 따른 생물학적, 자연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들이 미디어에 집중적으로 조명됨으로써 대중들의 신체에 대한 보호 욕구도 점차 증가되고 있음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례 분석을 위한 사진 자료의 선정 범위를 2000년대 이후로 하였음을 밝힌다.

    2. 이론적 배경

       2.1. 마스크의 개념 및 시대적 활용양상

    마스크는 아이덴티티를 바꾸거나 새로운 페르소나를 맡는 가장 오래된 고대의 수단이다. 마스크라는 단어의 기원은 분명하지는 않으나, 아라빅(arabic)의 maskhara(mashara)에서 유래하였으며, 그 의미는 동물, 괴물, 또는 기형적인 것으로 ‘위조하기 위한 것’ 또는 ‘변형하기’를 의미한다. 중세 이집트 왕국에서 이 단어는 msk로서 가죽이나 ‘제2의 피부’로 사용되었다. 이태리 단어로는 ‘maschera’이며, 결국 영어인 ‘mask’로 기입되었다(Nunley et al., 1999). 일반적으로 오늘날 마스크는 얼굴을 가려 새로운 페르소나를 창출하거나 혹은 어떤 위해로부터 얼굴 혹은 신체를 방호하기 위한 도구적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마스크는 사실상 세계 모든 지역에서 나타난다. 여러 지역 속에서 마스크는 인간의 생존과 번영, 유지 또는 아이덴티티를 재창조하기 위한 방편이었으며, 더불어 그들의 욕구와 도전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겨났다(Nunley et al., 1999). 인류문화의 가장 오래된 유산 중 하나인 마스크는 구석기 시대 그림에서 동물 마스크를 쓴 인간의 모습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신석기 시대에는 사슴의 전두골과 뿔로 이루어진 마스크가 제식용, 사냥용으로 사용되었다(Kim et al., 2005).

    마스크는 이후 인류 문명의 진원지인 고대 그리스, 로마, 이집트, 아시리아 등지에서 주요 통치자의 얼굴을 재현할 때 직접 그 사람의 얼굴에서 틀을 뜨는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이때의 마스크는 그 사람의 권위, 위엄을 존중하고 기리는 뜻에서 제작된 것으로 ‘얼굴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는 믿음과도 관련이 있었다. 로마인들은 특히 전쟁이나 격투기에서도 마스크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원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것보다는 적을 위협하고 주술력을 얻기 위한 것이었다. 서기 2세기경 제작된 로마의 전투용 청동 마스크는 무거워서 착용하기에는 고통이 따르지만, 로마 군인들은 날카로운 창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나쁜 기운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기꺼이 얼굴에 썼던 기록이 남아 있다. 로마의 전투용 마스크는 통치자의 것과는 다른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즉 통치자의 마스크가 그 사람 자체의 얼굴을 표현했던 데 비해 전투용 마스크는 다른 존재로의 ‘변신’을 나타냈던 것이다. ‘내’가 아닌 ‘남’으로의 변신은 성스러움의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적을 물리치거나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변모하는 계기가 되었다(Park, 1997).

    중세에 이르면 마스크는 이전과는 또 다른 양태를 띠게 된다. 크리스트교에서는 변신의 어떤 형태도 용납하지 않았으며, 변신에의 추구는 전적으로 이교도적인 행위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마스크는 악마가 인간의 영혼을 타락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이자 착용자에게 고통을 가하는 마법의 원천으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데올로기적 억압과 배척 속에서도 마스크는 새로운 형태와 의미를 취해감으로써 생명력을 이어갔다(Kim et al., 2005).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전까지 부유한 여성들은 여행을 가거나 경우에 따라 블랙의 벨벳, 실크 또는 종이 마스크를 쓰고 다녔다. 이 마스크는 날씨로부터 보호하고 창백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사용되어 햇볕에 탄 노동자와 일하지 않는 여성사이의 사회적 구분을 분명하게 하였다. 당시 여성들은 종종 도덕적인 이유로 머리를 덮기도 하였으나 마스크를 쓴 여성들은 익명성에 의해 자유를 누릴 수도 있었다(Baan et al., 2007).

    르네상스기에서 18세기까지는 사교모임, 연극, 가장 무도회 등에서 하프마스크(half mask)가 애용되었다(Kim et al., 2005). 무도회에서의 마스크는 본래 얼굴 전체를 가리는 것이었으나 세련미를 강조하는 귀족 사회의 독특한 분위기 때문에 점차 눈 부분만을 상징적으로 가리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안경처럼 눈 부분만 가리는 나비 모양의 마스크는 귀족적이고도 다소 신비스런 매력을 띠게 되었다(Park, 1997).

    20세기에 들어서서 마스크가 지니는 상징성과 표현양식이 극에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자 새로운 의미를 지닌 현대적 가면극이나 무용작품에서 다의적으로 해석되었으며(Park, 2010), 일상에서는 특별한 직종 혹은 천직과 연결되어 육체적인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모던한 마스크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모던한 마스크는 일상적인 것을 넘어서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 혹은 위험이나 타인을 위해 그들의 목숨을 희생해야 하는 사람들과 같은 사회적인 영웅들-경찰, 소방관, 우주비행사, 운동선수 혹은 군인들-로 지칭되는 직업군에서 사용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사람들이 착용하는 마스크는 유니폼의 한 구성요소로서 집단의 충성심, 소속감을 높이고, 권위에 대한 복종으로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였다(Nunley et al., 1999).

    20세기에는 또한 영화를 통해 마스크가 신비스러운 변신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여겨졌다. 영화에 등장하는 쾌걸조로나 배트맨은 언제나 악당을 물리치기 위해 초능력자로 변신하는데 이때 이들은 눈만 가리는 마스크를 씀으로써 변신했음을 의미하였던 것이다(Park, 1997). 또한 영화 아이언맨에 나타나는 금속재질의 헬멧형 마스크는 연약한 인간존재에 대한 두려움에 따른 방어적 기능과 동시에 적에게 공포감을 심어주는 사이보그 이미지를 구현하는 메타포이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는 아주 다양한 형태로 서로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각양각색의 사람들, 의식에 참여하는 사람, 치료사, 연극배우, 축제에서 공연하는 사람, 레슬링 선수, 무도회에 초대받은 손님, 사형집행인과 사형수, 강도와 테러리스트, 큐 클럭스 클랙(남부 백인들이 조직한 극우 비밀결사), 용접공과 외과의사, 아이스하키 선수와 검객 등이 흔히 쓰는 상투적인 수단으로서(Mack, 1994/2000)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개인의 아이덴티티를 바꾸기 위한 도구로서의 기능 뿐 아니라 생물적, 화학적, 물리적, 자연적 위해와 관련하여 얼굴 및 신체를 보호하는 것에 주요한 초점을 두고 있다.

       2.2. 현대 사회 속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의 유형

    본 절에서는 현대사회 속에서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를 생물 및 화학적, 물리적 그리고 자연적 위해 방지를 위한 것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2.2.1. 생물 및 화학적 위해방지를 위한 마스크

    생물 및 화학적 위해방지를 위한 마스크는 전염병, 화재, 폭발, 화학물 사고 등에서 미세 세균(virus), 분진(dust)이나 퓸(fume)등의 위해한 생물이나 화학적 찌꺼기 입자로부터 호흡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2011년 일본 원자력 발전소의 폭발로 인한 방사능 오염물질과 같은 새로운 오염원의 등장은 생물 및 화학적 위해 방지를 위한 마스크 수요의 급증을 가져왔다.

    생물적 위해로서 미세세균의 전염을 막기 위한 마스크로는 의료용 마스크가 있다. 의료용 마스크는 중세 유럽에서부터 사용된 기나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당시 흑사병 기간 동안 베네치아 의사들이 극단적으로 긴 코를 가진 카니발용 마스크를 사용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이것은 환자들 혹은 병으로부터 특정한 거리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오늘날에는 등가물로서 위생마스크가 있다(Nunley et al., 1999). 이외에도 호흡을 보호하기 위한 현대의 의료용 마스크로서 원활한 산소 공급을 위한 산소마스크, 마취용 마스크, 외과용 마스크, 투명한 페이스 실드(face shield), 호흡을 잡아주는 포켓 마스크(pocket mask or CPR mask) 등 얼굴전체를 가리는 형태인 전면형과 얼굴의 일부를 가리는 반면형이 환자 및 전문의의 호흡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과거 의료용으로 사용되었던 마스크는 환자들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되었다. 이는 환자가 자신의 얼굴, 표정, 언어, 태도를 덮어버렸던 것을 스스로 발견하고 드러내줄 수 있는 통로로 작용하여 억압된 무의식을 드러내고 이를 치유하는 심리 치료 기능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Kim et al., 2005). 생물적 위해 방지를 위한 의료용 마스크는 현재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소재의 첨단화가 주요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20세기 초 산업사회에서 마스크들은 미스터리한 것들에 대한 방어를 위해 사용되어졌다. 그 가운데 가스 폭발, 위험한 쓰레기, 테러리즘, 전쟁, 핵폭발 등과 같은 화학적 사고가 빈번히 일어난 가운데, 이스라엘 대다수 가구에서는 가스 마스크 (Fig. 1)를 구비하고 있을 정도가 되었다(Nunley et al., 1999). 산업사회 이후 화학적 위해의 출현이 잦은 관계로 이를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스 마스크가 일상화 되기에 이른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적 위해방지를 위한 마스크는 직업군에 따른 산업현장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마스크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신선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는 급기식 호흡기와 유해 가스를 필터 등을 통해 여과하여 공기 속의 오염원을 차단하는 여과식 보호구로 나뉘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식 호흡기는 송기 마스크와 자급식 호흡기로서 개방식 산소호흡기, 반 개방식 호흡기, 반폐쇄순환식 호흡기, 순환식 호흡기로 나뉜다. 여과식 보호구는 무동력 여과식 보호구로서 방진마스크, 방독마스크, 일산화탄소용 자기(CO 마스크)가 있으며, 동력부착여과식보호구로서 전동팬 부착 분진용 공기 정화 호흡용 보호구가 있다(Ha, 2004).

    호흡을 위한 마스크로는 이외에도 산업 현장에서 금속 가루나 분진에 대해 호흡을 보호하기 위한 방진마스크(Fig. 2)와 눈을 보호하기 위한 고글형 마스크(Fig. 3), 용접 마스크, 투명 마스크(face shield) 등이 있으며, 주로 전면형과 반면형의 형태를 띠며 위험 직업군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

    2.2.2. 물리적 위해 방지를 위한 마스크

    물리적 위해는 전쟁, 교통사고, 건물붕괴, 시설물사고, 스포츠 사고, 특수 직업에서의 위험을 의미한다. 이러한 위험적 충돌에 대한 보호막으로써 마스크는 수세기동안 대부분 전투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대표적인 호신용 무구는 위해를 막는 순수한 목적으로서 얼굴에 착용되어지는데, 특히 눈과 코를 가리는 구조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일찍이 전쟁용 마스크가 두려운 것은 초자연적인 정령의 화현으로 믿겨지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마스크를 매개로 해서 전사(戰士)는 실제로 거의 초인간에 가깝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색칠한 마스크는 공격과 방어의 이중효과를 가지고 있다(Be'douin, 1961/1986). 말하자면 호신용 무구는 얼굴에 씌워져 각 기관을 가리키고 있다는 것과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마스크로 간주되며, 얼굴을 보호하는 기능도 있지만 상대방에게 위압감과 신성한 신비감을 자아내며, 자신의 안위를 지키고 존재감을 확대시키는 기능을 한다(Park, 2010). 전쟁에 사용된 마스크는 또한 개인의 아이덴티티와 취향의 독특한 표현 형태들로 다양하게 있으며, 전쟁동안 신원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기도 하였다(Nunley et al., 1999). 오늘날에는 케블라 섬유로 제조되어 총탄을 막을 수 있는 방탄용 마스크로 진화하였다.

    현대에 와서 물리적 위해가 발생되는 또 다른 영역으로는 스포츠, 레저 분야가 있다. 흔히 스포츠 경기에서 사용되는 마스크는 위험한 신체 활동으로서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된다. 더불어 경기 향상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인간공학적 적합성과 편안함을 가미하여 최적의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가령, 풋볼선수들의 어깨 패드와 헬멧은 지난 2세기 동안 더 아늑한 피트성, 최대강도의 힘, 더 나은 충격흡수, 그리고 더 가벼운 무게로 두개골 골절에 대비한 최적의 보호로 진화되고 있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해 가벼운 중량의 이중적인 물질로 확장된 폴리스틸렌 폼, 강화된 플라스틱, 케블러(kevlar) 등의 소재로 점점 더 최첨단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Nunley et al., 1999).

    일반적으로 스포츠 및 레저용 마스크 종류로는 펜싱용(Fig. 4), 야구 캐처용, 스키용, 스쿠버 다이버용, 아이스하키용 골리 마스크, 스피드 스키용(Fig. 5), 봅슬레이용, 페인트볼용(paintball mask), 바이커용, 싸이클용, 미식축구용 헬멧 페이스 마스크, 아웃도어용 게임인 서바이벌용 마스크 등 위험한 운동경기 및 레저 활동시에 안면 및 두개골 보호용으로 착용하는 헬멧형의 마스크 형태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정교한 기술 장비와 보호 장비로서의 마스크 유형들은 사람들을 위험한 행동에 이끌리게 하고, 직면한 위험 속에서 인간의 위업을 실행하도록 그들을 한계에 밀어붙이게 하는(Nunley et al., 1999) 역할을 한다. 마스크 착용은 곧 타자(他者)가 되는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한계로부터 벗어나는 역할을 한다(Be'douin, 1961/1986). 특히 복면형의 마스크 유형들은 모호한 미스터리한 형상으로 인해 강한 인상을 만들어 상대방에게 위협적인 인상을 심어주는 양면적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도 한다.

    2.2.3. 자연적 위해 방지를 위한 마스크

    현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 가운데 하나로서 자연환경의 오염이 있으며, 이로 인해 호흡기 및 피부와 관련된 문제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주요한 환경오염의 원인으로는 보다 편리한 인간생활을 위한 기술의 발달과 물질 지향적 성향의 소비 패턴을 꼽고 있다. 이처럼 환경오염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응 방안으로서 마스크가 주요한 아이템으로 부상하였다.

    지구환경 오염의 주요한 원인인 이산화탄소 배출은 결국 지구 온난화 현상을 초래하였으며, 강렬한 자외선에 노출될 가능이 높아짐으로 해서 야외 활동이 제한되고 있다. 무엇보다 피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노화, 잡티, 주근깨, 기미 등의 피부 질환 및 피부암의 위험성이 그러하다. 대다수 사람들은 자외선의 노출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모자, 썬 크림 바르기 그리고 자외선 차단용 가리개, 선글라스(Fig. 6), 버프(buff) 등의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의 또 다른 문제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는 겨울철

    [Table 1.] Classification of functional mask types

    label

    Classification of functional mask types

    극심한 한파이다. 예전과 달리 기온이 급격히 하강하고 있으며, 연이어 지속되는 현상으로 방한용 마스크가 필수 아이템이 되고 있다. Fig. 7은 복면 형태의 방한용 마스크로서 헬멧 안에 착용할 수 있도록 타이트하게 얼굴과 밀착된다. 최근에는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방한과 함께 위생성을 높인 형태 및 소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적 위해 가운데 지역적 특색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문제도 심각하다. 그 예로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내륙지방으로부터 발생한 공해 물질이 모래바람과 섞여 거대한 양의 황사로 변해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Kim & Ro, 2009). 사람들은 황사로 인해 야외 활동이 자제되거나 보호 의복 착용 혹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일이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그리고 황사와 함께 미세한 분진의 한 형태로 거대한 화산 폭발에 의한 화산재가 심각한 공해로 등장하였으며, 이로 인해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의 방진 마스크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지구 환경의 변화는 해를 거듭할수록 위해 건수가 증가추세에 있으며, 호흡기 관련 질환, 피부염증 등의 피해 사례를 낳고 있다. 자연적 위해 방지를 위한 마스크는 일반 대중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가장 활용도 높은 아이템으로서 착용감과 호흡, 커뮤니케이션 등에서 용이성을 최적화하고 나아가 패션성을 가미한 디자인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 Table 1은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의 유형에 따른 마스크 타입과 형상을 정리한 것이다.

    3.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를 응용한 패션 마스크의 표현특성

    본 장에서는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 유형이 패셔너블한 마스크 아이템으로 응용된 사례를 수집하고, 그 특성을 구조와 기능의 통합, 유희적 기호, 방어와 위협의 이중성, 화려한 장식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3.1. 구조와 기능의 통합

    20세기 후반은 고정관념의 해체, 여러 영역간의 해체적 불확정성으로 인해 표현에서의 획일성이 탈피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패션에서도 영역간의 해체적 불확정성은 서로 다른 기능과 용도의 통합으로 관습적 형태를 벗어난 경계의 모호함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 유형에서 착안된 마스크에 있어서도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염려와 더불어 남과 차별화되고자 하는 패션에서의 개성적 욕구가 맞물려 효율성과 편의성을 갖춘 모호한 형태의 디자인들이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특히 머리를 덮는 보온 기능의 후드 패션이 마스크 형태로 확장· 변형되거나 혹은 다른 패션 아이템와 결합하여 반면형, 전면형의 형태로 변형되는 사례가 주요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 사례로 먼저 실험적인 패션디자인을 선보이기로 유명한 후세인 살라얀(Hussein Chalayan)은 2007년 F/W에서 후드 티셔츠와 마스크가 통합된 에어본 코트(Airborne Coat)로서 테크놀로지화된 오리가미기법이 적용되었다(Fig. 8). 오리가미는 전통의식, 놀이 등에서 비롯되어 과학, 수학, 교육, 디자인, 예술 분야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IT 분야와 접목되어(Choi & Choi, 2009) 테크놀로지화된 사례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살라얀의 기능성 마스크가 접목된 에어본 코트(Airborne Coat)에서도 날씨에 따라 반응하는 헬멧과 헤드기어 등을 후드 안에 부착하여 헤드 캡이 자동적으로 펼쳐지고 접히는 오리가미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캡은 날씨에 따라 반응하여 기상이변으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날씨변화와 오염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적이며(Kim, 2010), 현대인들의 유목적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욕구와 맞물린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후드와 마스크의 통합화 사례는 C.P. Company의 2000년 F/W Goggle Jacket 디자인(Fig. 9)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이 작품에서는 특히 눈을 보호하는 아이 마스크(eye mask) 형태와 후드의 결합으로서 수퍼 모던 의상의 사례 가운데 하나이다. 수퍼 모던 의상으로서 이러한 통합 사례는 여러 도시에서의 위해 환경 요소들로부터의 방어이자 심리적으로 주변 보행자들로부터 개인의 아이덴티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Bolton, 2002).

    후드 패션이 또 다른 기능성 마스크와 통합한 사례로서 Fig. 10은 장 폴 골티에(Jean Paul Gaultier)가 디자인한 것으로 모자의 브림(brim)과 후드를 통합적으로 해석한 디자인이다. 매쉬 형태의 브림에 의한 반면형의 디자인은 전방인지가 가능하며,

    자외선 차단의 기능성과 함께 착용자의 아이덴티티를 모호하게 하여 타인의 불편한 시선으로부터 벗어난 심리적인 해방감을 얻을 수 있다.

    하나의 도구에 다른 속성이 접목될 때 두 가지 성질이 서로 섞이면서 또 다른 형태의 사물이 창출되는데, 새롭게 창출된 사물은 이전과 동일한 형상을 하거나 완전히 이질적인 모습을 보일 수도 있다. 새롭게 나타난 도구에 이전의 것이 완전히 흡수되는 경우도 있고, 기존의 것이 새로운 것을 흡수해 한층 더 발전적인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Jun & Ha, 2009). 이러한 사례로 Fig. 11은 급기식 산소호흡기와 가방을 구조적으로 통합한 디자인이며, Fig. 12는 다이빙 장비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구명조끼와 급기식 호흡기를 통합하여 조끼에 있는 산소를 호흡기로 전달받을 수 있는 독특한 통합의 사례이다.

    이외에도 위급할 땐 마스크로 일상에서는 가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위급 시 방독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수 브래지어 등이 아이디어 상품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처럼 구조와 기능이 통합된 마스크는 일상에서의 화학적, 자연적, 심리적 위해에 대한 불안의식을 반영하고, 유목적인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하거나 빈번하게 노출되는 개인의 아이덴티티를 감추기 위한 방법으로서 포터블 아이템, 혹은 의상과의 혁신적인 결합을 추구하고 있다.

       3.2. 유희적 기호

    호이징가(Johan Huizinga)는 모든 형태의 문화 속에는 놀이라는 요소가 내재해 있으며, 예술과 놀이 사이에는 아갈마(agalma), 즉 환희, 기쁨이라는 놀이의 요소인 유희성이 내재한다고 보았다. 그의 저서 호모 루덴스에는 놀이와 마스크의 긴밀한 관계를 언급하며 아이들의 공포, 환상, 즐거움, 경외심이 뒤얽혀 있음을 설명하였다(Huizinga, 1968/1981).

    유희성은 현실을 대하던 것과 같은 ‘진지함’의 구조가 변형됨으로써 생성되는데, 이는 실제 현실로부터의 이탈이라기보다 실제 현실과의 다른 관계가 마련되는 것이라 하겠다. 마스크를 매개로 하여 인간은 새로운 소통의 길을 개척하며, 얼굴 뒤에 숨겨져 있던 내면을 투사하고 현실 속에서 숨죽여 있던 또 다른 자아의 표상을 통해 또 다른 현실로 나아간다(Kim et al., 2005). 기능성 마스크유형에서 착안된 패션화된 마스크에서도 독특한 유희적 기호들이 블렌드(blend)되어 반영된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Fig. 13의 경우는 인간의 변신 욕망에서 기인한 것으로 위생마스크를 변형하여 침팬지라는 동물 형상을 대입한 것이다(“Tokyofiber”, 2009). 독특한 형태의 이음새 없는 마스크 디자인은 열이 가해지면 쉽게 형태 변형되는 열가소성 수지인 스매쉬(smash)로 불리는 넌우븐(nonwoven) 패브릭을 소재로 하여 침팬지 고유의 특징이 표현되어 웃음을 자아낸다. 이러한 동물 형태와 아주 유사한 형태로 표현된 마스크는 일찍이 여러 나라의 발견되는 동물 머리를 매개로 한 마스크에서도 그러했듯이, 뒤섞인 종(種)을 통해 무력한 자연 속 인간의 존재조건으로부터 탈출하고 해방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가 작동한 것이다.

    방한 마스크에서 착안된 Fig. 14는 2012년 F/W 발터 반 베이렌동크(Walter Van Beirendonck)의 휴머노이드 이미지의 작품이다. 재킷과 동일 소재의 전면형 마스크 형태를 활용한 독특한 눈, 코, 입은 마치 살아 있는 장난감 로봇 인형의 이미지 표현하며 유희적 특성을 드러낸다. Fig. 15에서는 위생마스크의 기능을 살린 로봇 이미지 형태의 마스크로서 비행기 내에서의 독감 예방을 위한 디자이너만의 개성이 묻어나는 디자인이다. 이러한 독특한 형태의 기능성을 지닌 위생마스크는 쾌락, 자유를 가치로 여기는 사람들에게 기능을 넘어서는 색다른 소구 용품으로 공감을 자아내고 있다.

    위생마스크에 적용된 유희성은 개성을 통한 새로운 패션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욕구와 맞물려 다양한 프린팅 디자인을 통해서도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키덜트적 감성의 다양한 동물 캐릭터, 입술, 콧수염 등이 문양으로 표현되어 기분 전환의 오락성을 더해준다. 얼굴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어 새로운 페르소나를 창출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위생 마스크들은 보호적 목적과 더불어 현실을 이탈한 쾌감을 자아내며, 인간내면의 다양한 욕구를 표출하는 캔버스와 같은 역할도 하고 있다.

    유희는 자유롭고 진지하지 않으며, 현실세계가 지닌 중압감에서 벗어난 세계로 현실을 도망하는 수단이 된다. 긴장해소 및

    기분전환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유희는 기능성 마스크 본연의 목적과 함께 타인의 불쾌한 시선에서 벗어나 해방감을 느낌으로써 심리적으로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현대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공항이나 터미널, 백화점, 대형마트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감시 카메라는 프라이버시 침해와 불안감을 조성하는 주요한 매개체이다. 또한 통행자와 통행자 사이의 일시적이거나 어느 정도의 지속적인 시선교차가 불가피하고 익명적인 타인의 응시는 정상적인 수준을 넘어서서 불쾌감을 느끼게도 한다(Kim, 2007). 이러한 측면에서 일상화된 위생 마스크는 긴장해소 및 기분전환에 유용한 아이템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안면 보호용의 펜싱마스크에서 착안된 Fig. 16은 머리카락을 땋아 엮은 형태로 일반적인 마스크 소재가 아닌 파격성을 드러내며 물리적인 방어의 역할로서의 기능성을 왜곡하고 성적 은밀함을 드러내며 페티시즘을 연상시킨다. 체모를 활용한 이질적 오브젝트와 접목은 기괴함과 불가능한 이미지를 만들며 사물 본래의 기능적 용도를 벗어남으로 인해 웃음을 자아낸다.

       3.3. 방어와 위협의 이중성

    앞서 살펴보았듯이 모던한 현대적 기능성 마스크 유형들은 자연환경의 위험 혹은 변화된 다양한 사회적 환경의 위험에 대처하는 보호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것들은 주로 신체에 가해지는 외적 위해의 유형들이다. 마스크 착용은 이러한 외적 위해에 대한 방어적 수단이자 동시에 개인에게 용기와 힘을 줄 수 있으며, 억제된 것이 줄어들고 착용자가 심리적으로 안전한 느낌을 부여받게 된다(Nunley et al., 1999). 그리고 나아가 타인에게 두려움을 유발시키는 도구로도 그 의미가 확장되기도 한다.

    드러내는 것과 감추거나 보호하는 것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브래들리 퀸(Bradly Quinn)은 드러내는 것과 감추는 것의 이중성은 지속적으로 이동하며 결점을 위장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이야기 한 바 있듯이(Quinn, 2003),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에서도 위해에 따른 1차적인 방어성과 함께 형태 변형에 따라 주어진 본연의 자아가 가진 약점을 극복하고 공격적

    의미를 지닌 이중적 효과까지도 갖출 수 있다. 방어성과 공격성은 많은 동물들의 위장 사례에서도 찾아 볼 수 있듯이 진화이론으로서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인간생활에서도 위장은 동물세계와 유사하게 실제의 모습보다 의도되고 만들어진 모습으로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어(Han, 2010)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성 마스크가 활용되고 있다고 하겠다.

    오랜 역사 속에서 방어이자 위협적 형태를 지닌 마스크로는 호신용 무구가 있으며, 이는 개인에게 심리적으로 초인적 힘을 부여하며, 상대방으로 하여금 불안감을 극대화시키고 두려움을 유발시키는 대표적인 마스크의 형태였다. 과거 눈, 코, 입을 뚫었던 헬멧형의 호신형 무구는 미스터리함, 공격적 함의를 가진 Fig. 17의 가레스 푸(Gareth Pugh)의 작품과 같이 날카롭고 미래적인 복면형으로 표현되거나 Fig. 18의 톰 브라운(Thom Browne) 작품에서처럼 모히컨 스타일의 머리카락을 연상시키듯 스파이크 스터드를 복면형에 부착함으로써 위협적 펑크 이미지의 패션 컨셉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Fig. 19의 베이렌동크의 마스크 디자인에서는 눈, 코, 입을 제외하고 얼굴 전면을 덮는 복면형으로서 신축성 있는 니트 소재에 다양한 컬러로 강렬한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며 타인에게 심리적 위축감을 준다.

    복면은 과거 처형이나 범죄시에서처럼 전적으로 정체성을 감추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Kim et al., 2005). 그럼으로 인해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불안을 야기한다. 그러나 이러한 복면형은 지구환경변화에 따라 방한을 위한 경량성 원단과 통기성, 보온, 커뮤니케이션 기능 그리고 장식까지 두루 갖춤으로써 멀티 형의 마스크로 주요하게 나타나고 있다. 패션에서 나타나고 있는 눈, 코 혹은 입을 드러내거나 감춘 복면형의 마스크 디자인은 개인의 아이덴티티를 감추는 동시에 마스크 착용자로 하여금 안전한 느낌을, 그리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모호함으로 인한 두려움을 유발시키는 특징을 종종 갖고 있다. 흔하게는 몸판의 지퍼를 후드까지 연결한 복면형 마스크 형태에 죽음을 상징하는 스컬(skull) 문양이 프린트되어 타인에게 위협적 존재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프린트 디자인으로서 방어적인 기능의 마스크에 위협적 문양이 사용되고 있는 또 다른 예로서 Fig. 20은 만화에서의 영웅을

    새롭게 해석한 판타스틱 패션이다. 위생마스크에 프린트된 스파이더맨 형상, 거미 모티프의 의상 그리고 공격적인 펑키 헤어가 다분히 미국 만화의 신화적 영웅성을 비튼다.

    이처럼 기능성 마스크에서 착안된 방어와 위협의 이중성은 위협적인 함의를 지닌 복면형과 위협적 의미의 프린팅 패턴 장식이 주요한 특징을 이루고 있다.

       3.4. 화려한 장식성

    패션에서 보호적 기능의 마스크가 새로운 컨셉과 예측불허, 모호한 형태로 나아가고 있는 가운데 장식이 기능을 전복하는 특징도 나타나고 있다. 수백 개의 다이아몬드 또는 큐빅(Cubic)이 장식된 가스 마스크를 아트 프로젝트로 표현한 루이비통(Louisvuitton)과 구찌(Gucci)는 럭셔리 브랜드 컨셉의 시각화를 통해 우리의 극단적인 욕망에서 비롯된 집단적 탐욕과 소비문화를 보여준 바 있다(“Luxury Gas Mask”, 2009). 냉전시대 리얼한 상황을 암시하듯 가스 마스크는 시대적 격변기를 상징하며 오늘날에도 패션에서는 밀리터리적 요소를 표현하는 하나의 아이템이기도 하다. 또한 미래 지구 환경에는 꼭 필요할 지도 모르는 패션 액세서리로도 표현되기도 한다. 그 사례로 멕시코

    디자이너 지안 프랑코 레니(Gian franco Reni)는 2010년 F/W 컬렉션에서 크리스탈이 코팅된 가스 마스크를 디자인하여 미래에 등장할지 모르는 패션 액세서리로 표현한 바 있다(Fig. 21).

    표면적 장식에서 큐빅, 시퀸, 금, 은과 같은 글리터리 소재는 일찍이 여러 민속의상에서 의복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 디자인에서도 새로운 개성과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장식은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효과보다 과잉 장식을 통한 맥시멀리즘의 특성이 반영되어 극도의 화려함과 기괴함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2012년 F/W 마르틴 마르지엘라(Martin Margiela)의 오뜨꾸띄르 컬렉션에서는 얼굴 전체를 덮는 펜싱 마스크와 유사한 전면형의 디자인에 시퀸 장식을 집중화하여 모호함과 상상력 그리고 고급화를 추구하였다(Fig. 22). 얼굴을 모두 가리는 펜싱마스크 형태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위험을 방지하며 액티브한 스포티즘을 전달하는 것에 비해 패션 디자이너들의 마스크 작품에 반영된 디자인은 의상의 예술성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며 컨셉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장식 소재를 활용하여 퀄리티를 높인 마스크 디자인의 또 다른 사례인 Fig. 23은 2006년 F/W에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과

    [Table 2.] Applied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masks in fashion masks

    label

    Applied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masks in fashion masks

    스와롭스키(Swarovski)의 콜라보레이션 작품으로서 선글라스형의 마스크 디자인이다. 자외선 차단을 통한 눈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인 선글라스가 고가의 장식용 소재로 표면화되어 지위적 신분 및 익명성을 함축하고 있다.

    하이 퀄리티의 장식성과 달리 화려함의 또 다른 표현방법으로는 Fig. 24에서와 같이 일반 위생마스크의 소재에서 벗어나 관능적인 시스루 레이스 소재로 표현되거나 Fig. 25의 2012년 F/W 꼼므 데 가르송(Comme des Garcons) 작품에서와 같이 강렬한 색상 대비가 있는 꽃무늬 프린팅 마스크로 새로운 개성과 가치를 드러내기도 한다.

    이와 같이 기능성 마스크 유형에서 영감을 얻은 화려한 장식적 성향의 패션 마스크는 표면 장식의 추가, 소재 및 문양의 차별화로 새로운 컨셉, 기능성의 가치를 전복할 만 한 고급화 경향을 통해 은폐와 동시에 드러냄이라는 이중성을 보여준다.

    다음 Table 2는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를 응용한 패션 마스크의 표현방법과 의미특성에 대해 정리한 것이다.

    4. 결 론

    마스크는 세계 모든 지역에서 문화적 기호로 유지, 발전, 재창조되어 왔다. 현대에 이르러 생물 및 화학적 재해, 물리적 재해, 자연적 재해에 대한 기능적 욕구의 증가로 마스크는 대표적인 보호용 기능성 아이템이 되었으며, 그 형태에서도 과거 주술적, 의례적 목적의 디자인과는 확연히 다른 모던한 형태들로 변화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기능성 마스크들은 패션에서 시대의 패러다임과 인간의 여러 욕구와 맞물려 다양한 형태로 변화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를 응용한 패션 마스크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 표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와 기능의 통합화에서는 후드 티셔츠와 마스크의 테크놀로지화, 모자의 브림과 후드를 통합, 급기식 산소호흡기와 가방의 통합, 구명조끼와 급기식 호흡기의 통합 그리고 일상의 포터블한 아이템과의 통합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표현 특징들은 현대인들의 유목적인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고 개인 아이덴티티의 모호함을 통한 해방적 욕구 그리고 일상 속 화학적, 자연적 위해 그리고 심리적인 불안 의식에 깔려있다.

    둘째, 유희적 기호는 동물 이미지의 접목, 휴머노이드 이미지의 접목, 키덜트적 감성의 다양한 동물 캐릭터, 입술, 콧수염 등의 프린팅 디자인 그리고 체모와 같은 이질적인 소재와의 접목과 같은 기능적 용도의 이탈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들은 고정된 자아 표상에 대한 해방과 현실이탈을 통한 진지함의 상실, 긴장의 해소, 쾌락 그리고 자유에 대한 인간의 욕구를 반영하고 있다.

    셋째, 방어와 위협의 이중성은 미래적, 공격적 함의의 밀폐형 복면, 눈, 코, 입 개방형의 강렬한 컬러를 지닌 복면형, 혐오스럽고 위협적인 해골과 같은 모티브로의 형태 변형 그리고 위협적인 모티브의 프린팅 문양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들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약점을 극복하고 의도되고 만들어진 모습의 또 다른 자아의 표현 그리고 초인적 힘에 대한 욕구에서 기인하고 있다.

    넷째, 화려한 장식성은 크리스탈 코팅된 가스 마스크, 극도의 화려한 글리터리 장식의 복면형, 고가의 장식용 소재가 부착된 선글라스, 화려하고 복잡하며 강렬한 프린팅 장식이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표현 특징들은 인간의 극단적 욕망과 오늘날의 소비문화의 한 측면, 고급화 추구를 통한 지위적 신분의 드러냄과 동시에 위장을 통한 익명성의 상반된 심리의 충돌 그리고 새로운 개성과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인간의 여러 욕구들이 상호 공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에서 응용된 패션 마스크들은 시대의 패러다임과 인간의 새로운 페르소나 창출, 현대 사회에서의 여러 위협으로부터 보호받고자하는 욕구,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해방적 심리, 현실세계가 지닌 중압감에서 벗어난 세계로 현실을 도망하고자 하는 심리, 새로운 개성의 창출 욕구 등과 맞물림으로써 일상에서의 합목적적 형태와 기능에서 나아가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으로서 그리고 디자이너가 의도하는 패션메시지 전달에서도 효과적인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1. Baan E. D., Berg N. V. D., Donath J., Liu C. M., Elzingre M., Gomes-Koizumi A., Koning G., Lipovetsky G., Marchette L., Mulder A., Richard B., Schacknat K., Smelik A., Teunissen J., Unger M., Viallon V., Vos M. (2007) Fashion & Accessories. google
  • 2. Be'douin J. L., Lee K. Y. (1986) Les masques. google
  • 3. Bolton A. (2002) The supermodern wardrobe. google
  • 4. Braddock S. E., O'Mahony M. (2002) SportsTech: Revolutionary fabrics, fashion and design. google
  • 5. Chalayan H. (2011) Hussein halayan: From fashion and back. google
  • 6. Choi J. H., Choi Y. J. (2009)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origami fashion based on functiona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1 P.515-526 google
  • 7. (2006) 'Christian Dior' Style.com. google
  • 8. (2012) 'Comme des Garcons'. Style.com. google
  • 9. 'Fencing mask'. (n. d.). Doopedia. google
  • 10. (2012) 'Gareth Pugh'. Style.com. google
  • 11. 2010 'Gian franco Reni'. Northern Star. google
  • 12. Ha Y. J. (2004) A study on the facemask design for the fire and rescue. google
  • 13. Han S. J. (2009) A study of the masks for the carnival festiv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9 P.34-49 google
  • 14. Han S. J. (2010) A study on camouflage military uniform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Vol.8 P.46-54 google
  • 15. Huizinga J., Kim Y. S. (1981)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google
  • 16. (2009) 'Jean Paul Gaultier'. Style.com. google
  • 17. Jun H. J., Ha J. S. (2009)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s intelligent 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9 P.70-86 google
  • 18. Kim C. J., Ro M. K. (2009) The development of face cover designs to activate outdoor lif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9 P.47-59 google
  • 19. Kim H. J. (2009) A study on costume feature of italian masque commedia dell'arte and korean masqu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47 P.15-26 google
  • 20. Kim H. K. (2003) Die maske im deutschsprachigen theater. [Bertolt Brecht und das moderne Theater] Vol.11 P.343-386 google
  • 21. Kim H. K., Lee Y. I., Ahn S. H., Rhee H. K., Ko H. S. (2005) Mask and desire: Face of culture. google
  • 22. Kim K. H., Lee O. H. (2002) A study on symbolic of the mask danc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0 P.404-418 google
  • 23. Kim M. S. (2010) Multifunctional fashion design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future environment. google
  • 24. Kim S. Y. (2008) The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masks a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8 P.13-25 google
  • 25. Kim W. J.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coping with supermodern environment. google
  • 26. 2009 'Luxury gas mask'. Ebuzz. google
  • 27. Mack J., Yoon G. S. (2000) Masks and the art of expression. google
  • 28. (2012) 'Martin Margiela'. Firstview. google
  • 29. 2010 'Masked in flight'. Dvice. google
  • 30. Nunley J. W., McCarthy C., Emigh J., Ferris L. K. (1999) Masks: faces of culture. google
  • 31. Park E. S.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asks on expression of dance expression. google
  • 32. Park Y. S. (1997) Face in imagination, culture in face. google
  • 33. Quinn B. (2003) The fashion of architecture. google
  • 34. Rhee H. K. (2003) Feste, masken und die begierde des menschen. [Bertolt Brecht und das moderne theater] Vol.11 P.448-472 google
  • 35. 2013 'Sunglasses'. Wikipedia. google
  • 36. 2009 'Swine flu fashion' Metro. google
  • 37. (2012) 'Thom BrowneB'. Style.com. google
  • 38. 2009 'Tokyofiber 09-senseware'. Yatzer. google
  • 39. Toscani O., Saillard O. (2009) Workwear: Work fashion seduction. google
  • 40. (2012) 'Walter Van Beirendonck'. Style.com.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Fig. 1. ]  Dustproof mask. Toscani & Saillard (2009), p. 50.
    Dustproof mask. Toscani & Saillard (2009), p. 50.
  • [ Fig. 2. ]  Respirator. Toscani & Saillard (2009), p. 84.
    Respirator. Toscani & Saillard (2009), p. 84.
  • [ Fig. 3. ]  Indirect vent goggles. Toscani & Saillard (2009), p. 180.
    Indirect vent goggles. Toscani & Saillard (2009), p. 180.
  • [ Fig. 4. ]  Fencing mask. www.doopedia.co.kr
    Fencing mask. www.doopedia.co.kr
  • [ Fig. 5. ]  Speed Ski mask. Nuney et al.(1999), p. 293.
    Speed Ski mask. Nuney et al.(1999), p. 293.
  • [ Fig. 6. ]  Sunglasses with interchangeable leses.en.wikipedia.org
    Sunglasses with
interchangeable leses.en.wikipedia.org
  • [ Fig. 7. ]  Balaclava. Toscani & Saillard (2009), p. 210.
    Balaclava. Toscani &
Saillard (2009), p. 210.
  • [ Table 1. ]  Classification of functional mask types
    Classification of functional mask types
  • [ Fig. 8. ]  07 F/W Hussein Chalayan. Chalayan (2011), p. 60.
    07 F/W Hussein
Chalayan. Chalayan (2011),
p. 60.
  • [ Fig. 9. ]  00 F/W C.P. Company's Goggle jacket. Bolton (2002), p. 84.
    00 F/W C.P.
Company's Goggle jacket.
Bolton (2002), p. 84.
  • [ Fig. 10. ]  09 F/W Jean Paul Gaultier. 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
    09 F/W Jean Paul
Gaultier. 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
  • [ Fig. 11. ]  Swine flu fashion. www.metro.co.uk
    Swine flu fashion.
www.metro.co.uk
  • [ Fig. 12. ]  Urban life guards. Braddock & O'Mahony (2002), p. 85.
    Urban life guards.
Braddock & O'Mahony
(2002), p. 85.
  • [ Fig. 13. ]  Tokyofiber 09-senseware. www.yatzer.com
    Tokyofiber 09-senseware.
www.yatzer.com
  • [ Fig. 14. ]  12 F/W Walter Van Beirendonck. www.style.com
    12 F/W Walter Van
Beirendonck. www.style.com
  • [ Fig. 15. ]  'Masked in flight' medical mask. www.dvice.com
    'Masked in flight' medical
mask. www.dvice.com
  • [ Fig. 16. ]  06 F/W Viktor & Rolf. Baan et al. (2007), p. 166.
    06 F/W Viktor & Rolf.
Baan et al. (2007), p. 166.
  • [ Fig. 17. ]  12 S/S Gareth Pugh. www.style.com
    12 S/S Gareth Pugh. www.style.com
  • [ Fig. 18. ]  12 F/W Thom Browne. www.style.com
    12 F/W Thom Browne.
www.style.com
  • [ Fig. 19. ]  03 F/W Walter van Beirendonck. Bann et al. (2007), p. 170.
    03 F/W Walter van Beirendonck.
Bann et al. (2007), p. 170.
  • [ Fig. 20. ]  08 S/S Noki by J. J. Hudson. Bolton (2002), p. 36.
    08 S/S Noki by J. J.
Hudson. Bolton (2002), p. 36.
  • [ Fig. 21. ]  10 F/W Gian Franco Reni. www.northernstaronline.com
    10 F/W Gian Franco
Reni. www.northernstaronline.com
  • [ Fig. 22. ]  12 F/W Martin Margiela. www.firstview.com
    12 F/W Martin
Margiela. www.firstview.com
  • [ Fig. 23. ]  06 F/W Christian Dior. www.style.com
    06 F/W Christian
Dior. www.style.com
  • [ Fig. 24. ]  08 S/S Louis Vuitton, Toscani & Saillard (2009), p. 137.
    08 S/S Louis
Vuitton, Toscani & Saillard
(2009), p. 137.
  • [ Fig. 25. ]  12 F/W Comme des Garcons. www.firstview.com
    12 F/W Comme des
Garcons. www.firstview.com
  • [ Table 2. ]  Applied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masks in fashion masks
    Applied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masks in fashion masks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