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ridging systems and plastic film mulch types on growth, yield, and profitability of potato (
Two potato cultivars (‘Goun’, and ‘Atlantic’) were grown at paddy field located in Gangneung in spring. For treatments, ridging systems were one-row ridge (OR) and two-row ridge (TR). Mulch types were no-mulch (NM), black plastic film mulch (BPM), and transparent plastic film mulch (TPM). Emergence of sprout was affected by the mulch types and the fastest level was shown at TPM treatment. Accumulative soil temperature during sprouting was 16.2℃ higher at TR than at OR and also higher at TPM than at BPM or NM. Stem length was not affected by ridging systems or mulch types. Leaf area index (LAI) was influenced by mulch types, while not by ridging systems. The highest LAI was shown at TR with TPM and OR of BP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or dry matter rate by ridging systems and mulch types. Tuber yield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idging systems and mulch types. Mean tuber weight was heavier at OR treatment than at TR and also the heaviest at TPM among mulch types. The highest marketable yield was found at OR with BPM. Based on marketable tuber yield and market price, the highest income ratio in two cultivars was found at OR with BPM and it was 20~82% higher than the ratio at TR with TPM.
In spring potato cropping using paddy field, OR with BPM is better for high yield and is more profitable for farmer’s income than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method, TR with TPM.
감자(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에서 봄감자의 논재배 시 주요 감자 품종별 작휴방식과 PE 멀칭재료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을 구명하고, 경제성분석을 통하여 농가의 소득향상에 유리한 방식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강원도 강릉(해발 5 m)에 위치한 논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시험에 공시된 감자품종은 최근 가공원료 생산을 목적으로 봄철 논재배가 증가하고 있는 ‘고운’(‘Goun’)과‘대서’(‘Atlantic’)였다. 품종별 시험재료의 생리적 균일성을 위하여 전년도에 고령지농업연구소의 대관령 소재 망실포장에서 여름재배로 증식한 병이 없는 건전한 씨감자를 시험에 이용하였다. 씨감자는 파종하기 25일전에 저온저장고에서 출고하여 산광최아를 충실하게 실시하였으며, 맹아가 1 cm 가량 출현하였을 때 씨감자 절편 1개의 무게가 30-40 g 내외가 되도록 절단하여 파종에 사용하였다.
포장조성을 위하여 파종 30일전 ha 당 퇴비20톤, 석회 2톤을 포장전면에 살포한 후 깊이갈이를 하였다. 이후 파종 3일전 농촌진흥청의 감자 봄재배 시비처방 및 토양 검정을 기준하여 감자전용복비(N:P:K=10:10:11, 감자1호, 남해화학) 1,500 kg을 포장전면에 골고루 뿌린 후 재차 경운하였으며, 씨감자 파종 직전에 Fig. 1과 같이 1조식 및 2조식 작휴를 조성하였다. 조성된 작휴에 무공 투명 PE멀칭(0.03 mm), 무공 흑색 PE멀칭(0.03 mm), 그리고 무멀칭으로 처리 후 준비된 각 품종의 씨감자를 3월 29일 파종하였으며, 최종 수확은 파종후 100일경인 7월10일 실시하였다. 시험구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고, 중간생육조사는 각 시험구에서 5주씩, 최종 수확조사는 40주씩 채취하여 생육, 품질, 수량성, 생리장해 등을 조사하였다.
지온은 감자의 괴경이 주로 위치하는 지중 15 cm 깊이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데이터로거(WatchDog 1000 series, Spectrum Tech. Inc., USA)로 측정하였다. 경장과 엽면적지수는 파종후 70일경 조사하였으며,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를 위하여 길이 1 cm 이상의 엽들을 채취한 후, 엽면적 측정기(LI-3100 Area meter, LI-COR, inc. USA)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괴경의 비중은 파종후 100일경 최종 수확 시 Kleinkopf 등(1987)의 방법을 준용하여 공기중 괴경무게를 측정한 후 물속에서의 무게를 측정하여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건물율은 잘게 썬 감자를 영하 80℃의 초저온냉동고에 24시간동안 보관한 후, 진공동결건조시스템(PVTFD 20R, Il Shin Co. Ltd., Korea)으로 건조시켜 건조전 무게에 대한 건조후 무게의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상서율은 총수량 중 80 g 이상의 상품성 있는 건전한 괴경의 무게를 백분율로 계산하였으며, 기타 수량특성 등은 농촌진흥청의 연구조사분석기준을 준용하여 조사하였다(RDA, 2005). 처리별 경제성분석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6월에 시장 출하된 봄감자의 평균가격을 기준가격으로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데이타의 통계분석은 SAS enterprise guide 4.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analysis of variance)를 실시하였으며, 5% 유의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DMRT)로 검정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논 시험포장의 재배 전 이화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았으며,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논토양의 특성을 보였다. 작휴 및 멀칭처리에 따른 감자 품종별 맹아의 출현특성은 Fig. 2와 같았으며, 작휴방식에 따른 차이보다 멀칭처리에 의한 차이가 두드러졌다. 두 품종 모두 투명 PE 멀칭구에서 맹아출현이 가장 빨랐고, 흑색 PE 멀칭구, 무멀칭구 순으로 출현이 늦었다. 파종후 35일경 맹아 출현율을 보면 투명 PE 멀칭구의 경우 90%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흑색 PE 멀칭구는 80% 내외, 그리고 무멀칭구는 45-60%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저온기에 감자 맹아의 출현은 토양습도보다는 지온에 더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Yamaguchi
[Table 1.] The initial chemical properties of surface soil of the experimental paddy field
The initial chemical properties of surface soil of the experimental paddy field
또한, 작휴 및 멀칭처리에 따른 일평균지온은 2조식 작휴가 1조식 작휴보다 0.5℃ 가량 더 높았고, 무멀칭구 대비 흑색 PE 멀칭구가 1.1℃, 투명 PE 멀칭구가 2.4℃ 더 지온이 높았다. 이러한 작휴와 멀칭처리에 따른 지온상승 경향은 Fig. 2에서 맹아 출현율의 변화 양상과 일치하였다. 즉, 지온이 높게 형성된 처리구일수록 맹아의 출현이 촉진되었다. 이는 맹아출현에 부적합한 저온 조건에서 봄파종이 이루어졌기 때문인데, 맹아 출현에 적정한 지온은 21.1-23.4℃인데 반해(Yamaguchi
작휴 및 멀칭처리에 따른 품종별 생육과 품질특성은 Table 2와 같았다. 작휴처리는 감자의 생육조사 항목 중 지상부 무게와 지하부 무게 비율인 TR율에 대해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으며(P≤0.01), 멀칭처리는 엽면적지수(LAI) (P≤0.05)와 TR율(P≤0.01)에 대해 유의성을 나타냈다. 이에 반해 경장이나 비중에 대해서는 작휴 및 멀칭처리에 따른 영향이 유의성이 없었다.
Stem length, leaf area index (LAI), top-root ratio (TR ratio), and specific gravity in two potato cultivars as affected by ridging systems and mulch types in spring potato cropping
멀칭처리에 유의성이 있었던 엽면적지수(LAI)는 작휴처리 별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1조식 작휴의 경우 흑색 PE 멀칭구에서, 2조식 작휴에서는 투명 PE 멀칭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TR율은 2조식 작휴가 1조식 작휴보다 그리고 흑색 PE 멀칭구와 무멀칭구가 투명 PE 멀칭구보다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2조식 작휴의 경우 1조식 작휴보다 동일한 면적에 밀식 파종되는 효과가 있어 지상부 도장이 발생하여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며, 투명 PE 멀칭구의 경우는 저온기에 흑색 PE 멀칭구나 무멀칭구보다 지온상승효과가 우수해서 결과적으로 근 생육이 촉진(Dodd
한편, 감자의 건물율은 전분함량이나 감자 가공품의 수율과 높은 상관성이 있어서 매우 중요한 품질로 알려져 있다(Schippers, 1976; Simmonds, 1977; Kolbe and Stefan-beckmann, 1997). 본 시험에서 작휴 및 멀칭처리에 따른 생육 시기별 감자의 건물율은 Fig. 5에서와 같이 차이가 크지 않았다. 다만, 품종에 따라 ‘고운’감자는 출현이 완료된 직후인 괴경형성 초기(파종후 40일경)에 2조식 작휴 및 투명 PE 멀칭구에서 건물율이 일시적으로 높았던 반면, 출현이 늦었던 대서는 같은 시기에 작휴 및 멀칭처리에 의한 차이가 눈에 띄지 않았다. 두 품종 모두 파종후 50일경 모든 처리에서 건물율이 급격히 증가한 후 최종 수확기(파종후 100일경)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감자의 건물율은 품종 고유의 유전적 소질이나 생육단계, 그리고 강우, 기온 등 환경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작휴 및 멀칭처리에 따른 영향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되었다(Ifenkwe
수량 관련 특성은 작휴 및 멀칭처리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다(Table 3). 작휴 및 멀칭처리에 대해 통계적 수준 차이는 있었지만, 총괴경수, 상서수, 평균괴경무게, 상서율, 상서수량 모두 유의성을 나타냈다. 특히, 경제성 분석에서 수익성 산출의 기초요소가 되는 상서수량은 품종(P≤0.05), 작휴(P≤0.001), 멀칭(P≤0.001) 각각의 요인뿐만 아니라 품종×작휴(P≤0.01), 작휴×멀칭(P≤0.01), 품종×작휴×멀칭(P≤0.05) 모두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총괴경수와 상품성 있는 건전한 괴경수는 2조식 작휴보다 1조식 작휴에서 더 많았다. 그리고, 1조식 작휴 중에서는 흑색 PE 멀칭구에서 가장 많은 수의 괴경이 생산되었다.
Yield characteristics in two potato cultivars as affected by ridging systems and mulch types in spring potato cropping
한편, 평균괴경무게는 1조식 작휴가 2조식 작휴보다, 그리고 투명 PE 멀칭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더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 상품성 있는 괴경 비율을 의미하는 상서율도 평균괴경무게와 유사하였다. 상서수량은 ‘고운’과 ‘대서’감자 모두 1조식 작휴의 흑색 PE 멀칭구에서 가장 많았다. 작휴 및 멀칭방식은 개별적인 작용뿐만 아니라(Chung, 1987; Kim
작휴 및 멀칭방식에 따른 생리장해 발생율은 처리 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녹화서 비율이 두 품종 모두 투명 PE 멀칭구와 무멀칭구에서 증가하였다(Fig. 7). 녹화서는 독성성분인 글리코알카로이드가 생성됨에 따라 식품원료로써 가치를 상실하게 되는데, 그 원인은 광에 노출되어 표피에 색소가 침착되기 때문이다(Edwards
Correlation of leaf area index (LAI) and top-root ratio (TR ratio) with total number of tubers (TNT), number of marketable tubers (NMT), mean tuber weight (MTW), marketable tuber rate (MTR), and marketable tuber yield (MTY) in two potato cultivars as affected by ridging systems and mulch types in spring potato cropping
다수확이 가능하더라도 작휴방식이나 멀칭 유무에 따라 씨감자비, 파종비, 멀칭비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하여 결국 순수익 즉, 소득성이 낮아질 수 있다. 감자의 관행적인 봄재배 방식인 2조식 투명 PE 멀칭 재배의 수익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작휴 및 멀칭방식 별 경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Table 5). ‘고운’과 ‘대서’감자 모두 상서수량이 가장 많았던 1조식 흑색 PE 멀칭구가 국내 봄감자의 관행방식인 2조식 투명 PE 멀칭구보다 각각 15% 및 66% 소득지수가 더 높았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논을 이용한 봄감자 재배 시 ‘고운’ 및 ‘대서’감자 모두 1조식 작휴에 흑색 PE 멀칭하여 재배하는 것이 관행 재배방식보다 상서수량 증대나 농가 소득 증진 측면에서 더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감자의 봄재배 시 품종별 엽면적지수를 높게 확보하는 작휴 및 멀칭방식의 적용이 상서수량성 증대와 관련하여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Economic analysis of income in production of two potato cultivars as affected by ridging systems and mulch types in spring potato cropp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