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한반도 중서부 지역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현황 Status of Birds using Rice Fields in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BACKGROUND:

Rice fiel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habitats for various bird species. The list of bird species occurred in rice fields in Korean peninsula have been documented. However, information of listed bird species is included not only rice fields but also other wetland habitats such as lakes, tidal flats and rivers.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status of bird observed in rice fields of Korea.

METHODS AND RESULTS:

Birds using rice fields defined as birds which forage or rest on rice paddies, levees, ditches and farming roads. Birds using rice fields recorded as total 124 species belonging to 40 families. Anatidae and Scolopacidae were the best represented family, followed by Ardeidae, Accipitridae, Motacillidae and Emberizidae; 50% of species belonged to these six families. 18 of 124 endangered wild species, which designated threatened at the national scale, found in this study regions.

CONCLUSION:

Despite interest in birds using rice fields of Korean peninsula, knowledge of birds and rice fields there is extremely limited. We need more studies to understand and conserve for birds in rice fields of Korea.

KEYWORD
Agriculture , Avifauna , Korean peninsula , Rice fields
  • 서 론

    논은 인류에게 대표적인 식량자원인 쌀을 재배하는 생산지이며, 습지생태계로서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들이 이용하는 서식지이다(Elphick, 2010; Han et al., 2011; Nam et al., 2015). 향후, 논습지를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은 조류 보전 측면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Elphick, 2015).

    전 세계적으로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에 대한 연구는 과거부터 많이 수행되었지만 나라별로 국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연구 내용 및 그 양의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Elphick, 2015). 최근에서야 대륙별 조류상이나 보전관리에 관한 연구 등의 결과들로 통합 및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Elphick, 2010). 한반도는 논습지가 넓게 분포하여 다양한 조류가 이용하는 특성을 보이지만, 논습지에 도래하는 조류상에 대한 연구는 실질적인 관찰을 기초로 하기보다는 문헌자료를 기초로한 조류상에 대한 정리가 전부이다(Kim et al., 2013). 또한 이러한 문헌 자료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논습지뿐만 아니라 그 주변 갯벌이나 호수 등과 같은 습지에 서식하는 조류들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어 조류의 서식지로서 논의 역할을 설명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관찰을 기반으로 한 조류 연구는 백로과 조류나 오리기러기류와 같은 일부 수조류(waterbirds) 그룹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전체 조류상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Yoo et al., 2007, Choi et al.,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연구 동향에 맞춰 실제 한반도의 중서부지역에서 직접 관찰에 의해서 확인된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상에 대한 자료 축적의 일환으로 조류상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조사는 한반도 중서부지역인 충남 아산시 둔포면, 영인면, 인주면(36° 54′N, 126° 59′E)과 당진시 석문면(37° 02′N, 126° 30′E) 지역의 논습지에서 수행되었다. 선정된 조사지역들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며 계절에 따라 다양한 조류들이 이용하는 곳이다. 아산 지역은 2009년 4월부터 2010년 3월, 2011년 4월부터 2014년 3월까지, 당진 지역은 2013년 7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월 1회씩 조사하여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상을 확인하였다.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종은 본답, 논둑, 농로, 수로에서 취식 또는 휴식하고 있는 개체로 제한하였지만, 맹금류나 제비와 같은 종들은 논습지 범위 내에서 비행 중인 경우도 포함하였다. 조류 조사는 농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쌍안경(Leica 10 × 42)과 필드스코프(Leica ×25-50)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종 목록의 정리는 Gill과 Donsker(2014)에 따른 분류학적 체계와 종 배열 순서에 따라 정리하였다. 실제 관찰된 시기는 벼 재배기와 비재배기로 나누었으며, 환경부지정 법적보호종(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Ⅱ급) 여부도 확인하였다.

    결과 및 고찰

    조사 지역인 한반도 중서부 지역 논습지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40과 124종이었다(Table 1).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종은 오리과(13종, 10.5%)와 도요과(13종, 10.5%)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백로과(12종, 9.7%), 수리과(10종 8.1%), 할미새과(8종 6.5%) 등의 순이었다. 관찰된 조류 중 보호종에 포함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은 황새, 저어새, 노랑부리백로, 매 등 4종이 관찰되었고, Ⅱ급은 큰기러기, 큰고니, 큰덤 불해오라기, 새호리기, 독수리, 잿빛개구리매 등 14종이 관찰되었다. 이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 61종 중 29.5%가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논습지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조사는 전체 한반도 논습지 면적 중 극히 일부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실제로 한반도 전역에서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Yoo et al., 2007).

    [Table 1.] Birds using rice fields in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ith descriptions of their occurring season and conservation status. Occurring season defined rice growing season (GS: May-August) and rice non-growing season (NGS: September-April). Threatened species in related to conservation status are considered Endangered Wild Species Class I (EN-I) and Endangered Wild Species Class II (EN-II)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EN-I species that are facing extinction due to tremendous decreases from natural or artificial threats. EN-II species that are facing extinction in the near future unless threatening factors are eliminated or mitigated

    label

    Birds using rice fields in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ith descriptions of their occurring season and conservation status. Occurring season defined rice growing season (GS: May-August) and rice non-growing season (NGS: September-April). Threatened species in related to conservation status are considered Endangered Wild Species Class I (EN-I) and Endangered Wild Species Class II (EN-II)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EN-I species that are facing extinction due to tremendous decreases from natural or artificial threats. EN-II species that are facing extinction in the near future unless threatening factors are eliminated or mitigated

    도래시기와 종을 고려했을 때,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는 벼 재배기에 40종, 비재배기에 50종, 두 기간 모두 출현한 종은 34종이었다. 계절별 이용하는 조류 군집에 차이가 뚜렷하게 보이며, 재배기에는 중간기착지와 번식지로 이용하는 도요 물떼새류나 백로류와 같은 종들이, 비재배기에는 월동지로 이용하는 오리기러기류와 같은 종들이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논습지를 서식지로 이용하는 조류에 관한 연구는 대륙 별 국지적으로 진행된 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일반화하는 과정 중이다. 이러한 동향에 따라, 국내에서도 다양한 지역에서의 논습지를 주 서식지로 이용하는 조류에 대한 자료의 축적과 조류의 논습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 1. Choi Y. S., Kwon I. K., Yoo J. C. (2008) A study of feeding methods in five species of herons and egrets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31 P.147-151 google
  • 2. Elphick C. S. (2010) Why Study Birds in Rice Fields? [Waterbirds] Vol.33 P.1-7 google cross ref
  • 3. Elphick C. S. (2015) A history of ecological studies of birds in rice fields. [Journal of Ornithology] Vol.156 P.239-245 google cross ref
  • 4. Gill F., Donsker D. (2014) IOC World Bird List (v 4.1). google
  • 5. Han M. S., Kim M. H., Bang H. S., Na Y. E., Lee D. B., Kang K. K. (2011)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diving beetles (Dytiscidae) in Korean paddy ecosyste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ol.30 P.209-215 google cross ref
  • 6. Kim M. R., Nam H. K., Kim M. H., Cho K. J., Kang K. K., Na Y. E. (2013) Status of birds using a rice paddy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ol.32 P.155-165 google cross ref
  • 7. Nam H. K., Choi Y. S., Choi S. H., Yoo J. C. (2015) Distribution of waterbirds in rice fields and their use of foraging habitats. [Waterbirds] Vol.38 P.173-183 google cross ref
  • 8. Yoo S. H., Lee K. S., Yoo J. C. (2007) Reaction to the Vehicle and Trade-off Between Vehicular Interruption and Food Resources of Cranes - Focused on the Wintering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1 P.526-535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Birds using rice fields in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ith descriptions of their occurring season and conservation status. Occurring season defined rice growing season (GS: May-August) and rice non-growing season (NGS: September-April). Threatened species in related to conservation status are considered Endangered Wild Species Class I (EN-I) and Endangered Wild Species Class II (EN-II)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EN-I species that are facing extinction due to tremendous decreases from natural or artificial threats. EN-II species that are facing extinction in the near future unless threatening factors are eliminated or mitigated
    Birds using rice fields in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ith descriptions of their occurring season and conservation status. Occurring season defined rice growing season (GS: May-August) and rice non-growing season (NGS: September-April). Threatened species in related to conservation status are considered Endangered Wild Species Class I (EN-I) and Endangered Wild Species Class II (EN-II)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EN-I species that are facing extinction due to tremendous decreases from natural or artificial threats. EN-II species that are facing extinction in the near future unless threatening factors are eliminated or mitigated
  • [ ] 
  • [ ]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