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지리교육 연구의 대안적 연구 방법으로서 QCA(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의 적용 Alternative Methods i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 Application of QCA(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본 논문은 그동안 지리교육 연구 방법에 주로 사용되는 양적 연구 방법론 및 질적 연구 방법론의 동향을 고찰하고, 그 한계점을 알아본 후 대안적 방법으로 QCA(Qualitative Content Analysis, 질적 내용 분석)를 제시한다. 기존에 행해졌던 양적 연구 방법론은 교육 현장의 현실을 모두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대안으로 제시된 질적 연구 방법론의 경우도 그 연구 결과가 일반화되기 어렵고 연구의 과정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지리교육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연구 방법론에 대한 회의가 계속 잠재되어 왔던바 최근 교육 연구에서는 질적·양적 연구의 통합 또는 양 연구 방법 모두를 활용하는 혼성적 연구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어 왔다. QCA는 현상의 기술 및 가설의 검증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으로 질적 연구 및 양적 연구 방법론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시가 가능하다.

QCA는 첫째, 수집된 다량의 질적 연구 자료를 연구 질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자료의 양을 축약할 수 있으며 둘째, 자료의 분석과 함께 개념 도출 및 가설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론이기 때문에 질적 분석과 동시에 양적인 접근 또한 가능하게 하고 셋째, 연구의 과정에 있어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적극적으로 고려함으로서 간주관적 의미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가진 QCA를 실제 지리교육 맥락에 적용시킴으로서 QCA의 지리교육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i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nd sugges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QCA) as an alternativ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method can’t reflect the actual educational environment exactly. And qualitative method is not only hard to generalize but als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re low.

Because of these limits researchers are continuing to search for an alternative research method. QCA can do description and hypothesis testing at the same time, so QCA can be an alternative method in educational research. First, QCA can reduce data so that the researcher can concentrate on research questioning. Second, QCA can both us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because it includes data analyzing and hypothesis testing. Third, through using the QCA method, the researchers can concern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that makes intersubjective meaning possible. In this study QCA method was used i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nd also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its possibility in this field.

KEYWORD
양적 연구 , 질적 연구 , 내용 분석 , 질적 내용 분석 , 연구 방법 , 지리교육
  • I. 서 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교과교육 연구에 있어서 어떠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교육 현장의 여러 현상과 학습자의 본질적 특성을 가장 적절하게 드러낼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 되고 있다. Mason(2010), Bogdan과 Biklen (2003) 등은 양적 연구의 한계를 비판하며 질적 연구가 이를 보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양적 연구를 옹호하는 학자들은 질적 연구 수행 시 연구자의 편견이 반영될 수 있다고 우려하며, 양적 연구만이 객관적 결과를 보장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Creswell(2011)이나 Tashakkori와 Teddie(2003, 2010) 등의 학자들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혼합된 혼합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혼합 연구 방법론이 그 기저를 이루는 패러다임 상의 차이로 인해 두 연구 방법 간 혼합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한다(Lincoln & Guba, 2000). 따라서 어떠한 연구 방법이 교육 현상을 가장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다양하며 또한 그에 대한 많은 견해가 존재한 다고 할 수 있다.

    교육 연구는 인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량화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진다. 인간을 하나의 숫자로 대체하기에는 그 과정에서 손실되는 정보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질적 연구의 수행 시에는 수집된 자료의 방대함으로 인해 올바른 분석이 어려워지기도 한다. 교과교육학 논문의 경우 연구의 결과가 다수의 학생들에게 적용되기 위해 일반화될 필요성도 있지만, 동시에 학습이라는 하나의 맥락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기 때문에 연구에 있어서 어떠한 방법론을 적용해도 부족한 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안적 연구 방법으로서 QC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이하 QCA)가 지리 교육 연구에 어떻게 도입될 수 있는지의 가능성 탐색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지리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지리교육에 적용된 질적 연구 방법론과 양적 연구 방법론의 특징을 알아볼 것이다.

    이를 통해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교육 연구에 있어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대안적 연구 방법으로 QCA라는 혼성적 연구 방법이 적용되었을 때 어떠한 장점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실제 교육 현상에 QCA를 적용하여 QCA가 교과교육 연구에 적용되었을 때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를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이며 양적인 특성을 동시에 가진 QCA 방법론을 지리교육 연구에 소개함으로써 앞으로의 지리교육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지리교육 연구 방법의 동향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각 대학 지리(교육)과에서 2000년 이후 제출된 국내 박사학위 논문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1) 분석 대상은 지리 교육을 다루는 논문에 한정하였으며, 지리학의 일반적인 내용을 다루는 논문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논문의 연구 방법 분류 시에는 저자가 연구 방법으로 논문에 명시한 내용에 의거하여 연구 방법을 구분하였다. 또한 문헌 연구(6건)의 경우는 향후 연구 방법론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2000년~2013년 14년간의 박사학위 논문을 살펴본 결과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총 32건의 지리교육 관련 박사 논문이 검색되었다. 그 중 양적 연구로 분류할 수 있는 논문은 11건, 질적 연구로 분류할 수 있는 논문은 11건이며, 문헌 연구로 분류된 논문은 총 6건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의 방법으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모두 활용한 혼성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논문은 4건이었다.

    [표 1.] 지리교육 연구 방법론 동향

    label

    지리교육 연구 방법론 동향

    전체 지리교육 연구에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그리고 혼성적 연구의 비율을 분석하면 그림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지리교육 연구에 있어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는 전체 연구 중 각각 34%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혼성적 연구 방법은 전체 연구 중 13%, 문헌 연구는 전체 연구 중 19%를 차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리교육 연구에 서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동일한 비중으로 활용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육 연구에서 질적인 측면과 양적인 측면이 모두 중요하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지리교육 연구에 있어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는 모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방법을 혼합하여 적용하는 혼성적 연구의 경우는 전체 연구 중 4건으로 13%를 차지하였다. 이는 지리교육 연구에서 혼성적 연구 방법이 질적 연구나 양적 연구 방법론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2000년 이후 지리교육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가 동일한 비중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혼합되어 적용되는 혼성적 연구 방법은 전체의 13%로 그 적용이 아직은 활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1)박사학위 논문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한 이유는 적용한 연구의 방법이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고 이를 통해 시대별 연구 동향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사학위 논문은 riss에서 검색이 가능한 국내 박사 논문 중 원문 보기가 가능한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그 주제가 지리교육에 관련된 논문으로만 범위를 한정하였다.

    II. 양적 연구 방법론과 질적 연구 방법론

       1. 양적 연구 방법론의 성립과 한계

    Ragin(1987)에 의하면 과학적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로 분류할 수 있다. 질적 연구는 중요한 사실을 설명하고자 하며, 일련의 현상에 대한 원인을 탐구하고자 한다. 반면 양적 연구는 변수 지향적이며 이론 중심적이다. 또한 검증될 가설을 상술하고, 적절한 관측을 통해 폭 넓은 모집단을 묘사하며, 그들의 상호연관성을 탐구하는 것이 양적 연구의 기본적인 토대이다(이광성, 2004, 166).

    이러한 양적 연구는 그 이론적인 기반을 논리 실증주의와 행동주의에 둔다. 논리 실증주의자들은 일련의 과학적 명제들이 경험적인 방법으로 증명되어야만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양적 연구자들은 객관적 실제가 존재한다고 믿고, 인간 행동에서 규칙성을 도출하고자 하며, 변인 통제가 가능하다고 가정한다(조영남, 2001, 310). 이러한 가정을 통해 양적 연구자 들은 사회현상에 대해 일반적인 법칙을 발견하고 설명할 수 있음을 믿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적 연구자들은 개인의 의도나 사회 현상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가 가능하다고 본다. 그들은 이 과정에서 연구자 개인의 주관성을 통제하며, 연구 설계 에서 개인적인 관점이나 편견 그리고 연구 대상에 대한 정향의 영향력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 이를 통해 양적 연구에서는 연구 가설의 검증이나 일반적인 법칙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Stanley(2001)는 사회과에서 양적 연구를 적용하는 많은 연구들이 개념과 연구 수행에 있어서 문제가 있으며, 이론에 기반을 두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 하였다. 또한 연구에 대한 다양한 분석의 부족, 빈약한 연구 설계, 종속 변수를 위한 적절한 신뢰도와 타당도의 부족, 단기간의 실험 수행 기간 그리고 교육적 중요 성에 주목하지 못하는 점 등의 비판이 제기된다(이광성, 2004, 168).

    지리교육 연구에서 양적 연구는 주로 하나의 개념에 대한 교사나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거나 평가 도구를 제작하는 등의 연구에 활용 되었다. 이와 같은 인식 분석이나 평가도구 제작과 같은 연구들은 대부분 가설 검증과 일반화 도출을 위해 많은 사례들이 필요한 연구 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 분석이나 평가도구 제작 등의 연구 수행 시 연구자들이 타당하고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의 도출을 위해 양적 연구 방법을 적용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양적 연구 방법이 적용된 지리교육 연구의 주제는 기후 및 인구 개념의 인식(양재영, 2013), 교사들의 지리교육 인식(박병석, 2011), u-러닝 체험학습에 대한 인식(정재승, 2010), 구성주의 웹 활용 지리수업 모형 개발(박철웅, 2002), 공간적 사고 평가도구 개발(마경묵, 2010) 등이 있다.

       2. 질적 연구 방법론의 대두와 한계

    양적 연구는 실제로는 매우 복잡한 현상에 대해 파편화된 견해(이광성, 2004, 170)만을 제시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비판으로 인해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교육 연구는 인간의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교사의 교과에 대한 이해, 학 생들의 학습 내용 수용 방법 그리고 이와 같은 현상의 독특성에 주목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의 독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질적 연구는 그동안 양적 연구에 의해 설명되지 못한 것들을 설명해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Denzin과 Lincoln(2005, 3)는 이러한 질적 연구 방법론을 다음과 같이 정의 내렸다.:

    다시 말해 질적 연구는 현상에 대한 설명을 위해 상황‧맥락‧사건에 대한 상세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 방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질적 연구 결과 도출되는 결론은 연구 현장의 맥락과 발생한 사건을 바라보는 논리적 창을 제공한다(나장함, 2006, 266).

    Creswell(2010, 62-64)은 최근에 나온 질적 연구 개론서를 분석하여 질적 연구의 특성들을 자연스러운 연구 상황, 귀납적‧순환적‧상호작용적 자료 분석, 말 또는 이미지 등의 다양한 자료 원천, 참여자들의 관점‧그들의 의미‧주관적 시각에의 초점, 유연한 설계, 현상에 대한 총체적 이해 등으로 제시하였다.

    질적 연구는 앞서 제시한 것과 같이 양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두되었으며, 1970년대 이후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나 현상에 대한 이해 등을 목적으로 한 연구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Bogdan & Biklen, 2003).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에 비해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자료를 수집하며, 이렇게 얻어진 자료를 귀납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질적 연구는 면접, 관찰, 비디오 자료, 일기 등의 다양한 자료를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질적 연구는 그 연구의 과정이 양적 연구와 같이 상세화되고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유연하다.

    이러한 질적 연구 방법론 또한 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질적 연구의 한계로는 연구자 주관성의 개입, 지나치게 미시적인 상황 및 개인에 대한 연구, 일반화 가능성의 어려움으로 인한 연구 효용성의 논란 등이 제기되며 이를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질적 연구는 맥락의 해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성이 크게 작용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상황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각 개인의 해석은 모두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의 주관성으로 인해 질적 연구는 그 해석의 타당성에 대한 의문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질적 연구는 연구자 편향성(bias)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타당성과 신뢰도 획득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둘째, 질적 연구는 지나치게 미시적인 상황이나 개인에 대한 연구로 연구의 타당성 측면에서 많은 지적을 받는다. 질적 연구의 여러 방법론 중 내러티브 연구의 경우는 접근 가능하고 독특한 1명의 연구 대상자 (Creswell, 2010)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1명의 연구 대상자에 대한 연구의 결과 도출된 결론이 교육 전반에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개별 사례에 대한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이 타당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도 제기된다.

    셋째, 일반화 가능성의 어려움은 질적 연구의 가장 큰 한계라고 할 수 있다. 과연 하나의 사례, 몇 명의 개인에게서 도출된 결론이 일반화될 수 있는지 혹은 이렇게 도출된 결론이 교육 현장에서 다수의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지는 질적 연구가 뛰어넘어야 하는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지리교육에서 질적 연구는 다양한 방면으로 적용되고 있다. 지리교육의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와 같이 뚜렷한 흐름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지리교육 연구의 경우 크게 ‘관찰’이라는 공통점을 추출해 낼 수 있다. 즉, 지리교육에서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에 대한 관찰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는 양적 연구의 가설 검증 및 일반화 가능성 도출과는 상반된 흐름이라 할 수 있다.

    질적 연구 방법을 도입한 지리교육 연구의 주제는 학생들의 비밀장소 만들기(신재철, 2013), 고등학교 학생들의 상품 세계 인식(김병연, 2012), 대화적 공간으로 지리교실 관찰(한희경, 2010), 일상 공간에서 어린 이의 지리학적 자아형성 관찰(장혜정, 2007), 지리과 교실 수업 탐색(김혜숙, 2006), 장소기반 환경교육이 장소감과 환경 의식에 주는 영향 탐색(권영락, 2005) 등이 있다.

       3.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의 혼합: 혼성적 연구

    질적‧양적 연구 방법론의 이러한 한계로 인해 최근 두 방법의 혼합을 주장하는 논의도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임도빈, 2009; 조영남, 2001; 박승배, 2009; 이종원, 2002; 김미숙, 2006, Creswell, 2011; Tashakkori & Teddie, 2001). 이와 같은 혼합 연구 방법론은 저자들에 따라 통합이 가능하다는 주장(김미숙, 2006; 임도빈, 2009; 조영남, 2001)과 철학적 근거의 상이성으로 인한 차이로 인해 통합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이종원, 2002; 박승배, 2009)이 맞서고 있다.

    철학적 근거의 차이로 인해 통합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있다는 것은 아직 혼성적 연구 방법론의 철학적 기반이 완전하게 형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도 있다(Smith & Heshusius, 1986). 또한 질적인 양적 연구, 양적인 질적 연구 등의 혼성적 연구 방법론은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본격적으로 진행된 적이 없다는 주장(김미숙, 2006, 44)이 제기되기도 한다. 따라서 질적인 연구 방법과 양적인 연구 방법의 장점을 아우를 수 있는 혼성적 연구 방법에 대한 논의 및 연구가 좀 더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혼성적 연구 방법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져야만 다양한 교육 현상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리교육에서 혼성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논문들을 분석하면 4건의 혼성적 연구 대부분이 양적 연구를 선행 한 후 양적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연구를 설계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설계는 Creswell이 제시한 혼합 연구 모형 6가지2) 중 순차적 설명 설계(sequential explanatory design)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리교육에서도 혼성적 연구 방법이 활용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혼성적 연구는 질적 연구나 양적 연구 방법론에 비해서는 적용되는 사례가 많지 않다. 혼성적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적 연구 방법인 만큼 이와 같은 혼성적 연구가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 된다면 지리교육 연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하나의 교육 현상을 해석 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한계점을 지닐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두 방법을 혼합한 혼성적 연구 방법이 좀 더 연구된다면 질적 연구 또는 양적 연구만을 적용했을 때는 얻지 못했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혼성적 연구방법으로서 QCA(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CA)를 제시한다. QCA는 질적 그리고 양적인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연구 방법이다. 이와 같이 교육 현장의 질적 그리고 양적인 측면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이 적용된다면, 지리교육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측면을 드러낼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순차적 설명 설계란 양적 자료의 수집 및 분석 후에 질적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지는 연구이며, 순차적 탐색 설계란 연구의 첫 단계에서 질적 자료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지고 그 이후에 양적 자료수집 및 분석이 일어나는 연구 방법을 의미한다. 순차적 변형 설계는 하나의 연구 방법이 다른 하나에 앞서며, 어느 쪽이 우선권을 가져도 상관이 없고, 결과는 해석 단계에서 통합되는 연구 방법을 말한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는 혼합 연구의 방법은 동시적 삼각측정 설계이라고 한다. 동시적 포섭 설계란, 질적 혹은 양적 연구 방법이 둘 중 우세한 연구 방법 내에 포함되는 연구 방법을 뜻한다. 연구자가 가진 특정한 이론적 관점의 영향을 주로 받는 연구 방법은 동시적 변형 설계라고 한다(Creswell, 2003; 홍서영, 2014, 9).

    III. 대안적 방법론으로서 QCA

       1. QCA의 역사 및 정의

    내용 분석은 17‧8세기 교회의 통치자들이 비종교적이거나 비정통적인 무언가가 교회의 이름을 더럽힐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교적 텍스트를 분석하며 시작되었다(Schreier, 2012, 8). 이후 내용 분석은 신문과 잡지 등의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다량의 텍스트가 등장하면서 이러한 텍스트의 분석을 위해 활발하게 적용되었다. 매스미디어에 대한 내용 분석 적용이 처음 나타난 것은 1920년대 미국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에서이다 (Glaser & Laudel, 2012, 272).3)

    내용 분석은 이후 커뮤니케이션학 외에 많은 분야에서 연구 방법론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교육학 분야에서 내용 분석은 교과서의 가독성 측면의 분석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Flesch(1948)는 가독성이 텍스트에서 평균 문장 길이, 평균 단어 길이, 개인적 단어의 수 그리고 개인적 문장의 수에 기반을 둔다고 주장했다(Schreier, 2012, 12). 오늘날 내용 분석은 의사소통, 저널리즘, 사회 학, 심리학, 경영학 등에서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으며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Neundorf, 2002). 이와 같이 텍스트의 양적인 분석에 초점을 맞춘 내용 분석을 양적 내용 분석(quantitative content analysis)4)이라 한다.

    이러한 양적 내용 분석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경험적 사회과학의 연구 방법으로 발전하였다. 이들 사회과학 개념은 내용 분석이 단순한 빈도수의 측정에서 벗어나 주제의 평가와 같은 가치 지향적 분석을 시도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이 단순한 빈도수의 분석이 아닌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분석이 보다 많이 이루어지는 내용 분석을 이전에 이루어지던 내용 분석과 구별하여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이라 칭한다.

    QCA는 연구자가 포착하고자 하는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수집한 질적 자료를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코딩 프레임(coding frame)을 구성 하고 수집한 자료를 각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자료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Schreier, 2010, 1). QCA를 사용하는 연구는 대부분 텍스트의 질적인 특성 이나 의사소통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이때 QCA의 분석 대상이 되는 자료들은 구두 혹은 인쇄물, 내러티브적 응답, 개방형 조사 질문, 인터뷰, 포커스 그룹 관찰, 잡지, 책, 매뉴얼과 같은 인쇄 매체 등으로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홍서영‧서태열, 2014, 154).

    QCA는 양적 내용 분석과 같이 단순히 단어의 빈도 수를 세는 것을 넘어 분석의 대상이 되는 질적 자료들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 까지를 그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QCA는 수집된 다양한 질적 자료들의 맥락적 의미를 연구자의 연구 질문에 맞추어 압축하고 축약한 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방대한 질적 자료 안에서 본인이 파악하고자 했던 현상의 의미를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Hsieh과 Shannon(2005, 127)은 QCA 의 목적을 현상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QCA는 다음과 같이 정의내릴 수 있다. 먼저, QCA는 코딩과 패턴의 규명 과정을 통한 체계적인 분류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를 주관적으로 해석한다. 둘째, QCA는 의사소통적 맥락 안에서 분석 대상인 자료 들을 경험적, 방법론적으로 접근한다. 셋째, QCA는 다량의 질적 자료를 분석의 과정을 통해 축소하고 이를 통해 일관성을 가진 의미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한다(Zhang & Wildemuth, 2009, 1).

       2. 대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 QCA의 강점

    QCA의 목적은 연구자의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주어진 자료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것이다. 이러한 텍스트 분석 방법론으로서 QCA는 다른 양적‧질적 분석 방법론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체계성, 융통성 그리고 자료의 축약성이다.

    첫째, QCA는 체계적이다. QCA에서 연구자는 모든 자료를 검토하며, 각 부분이 코딩 프레임 어디에 위치 할지 결정한다(Shapiro & Markoff, 1997). 또한 연구 자의 자료 유형과 연구 질문에 관계없이 QCA는 항상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이러한 체계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QCA는 코딩 과정에서의 일관성과 타당도 그리고 신뢰도를 높인다(Schreier, 2012, 6).

    둘째, QCA는 높은 융통성을 가진 방법이다. QCA 가 높은 융통성을 가졌다는 것은 연구자가 언제든지 자신의 코딩 프레임을 자료에 맞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Boyatzis, 1998). 이것은 양적 연구 방법론과의 중요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QCA는 자료를 축약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방대한 양의 자료를 수집한다. 여타의 질적 연구 방법론은 이러한 방대한 자료들을 줄이기보다는 그 안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며, 더 많은 자료 생성을 가져온다. 하지만 QCA는 연구자의 연구 질문에만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를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QCA를 사용하는 연구자는 모든 정보를 기술하기 보다는 자신의 연구 질문과 관련된 측면에만 분석을 한정하면 된다. 또한 QCA에서 사용되는 코딩 프레임은 높은 수준의 추상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실적 자료에서 얻을 수 있는 것 보다 더 압축된 정보를 제공해 준다(Schreier, 2012, 7).

       3.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통합하는 QCA의 특징

    QCA는 텍스트에 내포된 의미를 찾는 과정에서 질적인 특성과 양적인 특성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방법론 이다. QCA를 활용한 분석은 질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만, 동시에 여러 양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신뢰도나 타당도의 측정 과정에서 특히 잘 드러난다.

    이러한 이유로 QCA는 질적 연구 방법론의 강점과 양적 연구 방법론의 강점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즉, QCA는 상황의 맥락을 고려하여 이를 기술하고, 그 특성 안에서 결론을 도출한다는 질적 연구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가설 검증이나 가설의 입증 등 양적 연구의 강점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QCA는 또한 질적 연구의 대표적인 약점으로 꼽히는 객관성의 부족 및 연구자의 편향성을 극복할 수 있게 하며, 양적 연구의 한계인 맥락 고려의 부족 또한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적이고 질적인 특징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QCA는 교과교육 연구에서 보다 더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과교육 연구는 기본적으로 실제 교수‧학습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간주관적인 의미의 파악을 그 연구 목적으로 상정한다. 또한 연구의 대상이 되는 교사와 학생은 주관적 의미를 형성 하는 하나의 인격체이기 때문에 연구의 과정에서 의미 형성의 맥락과 그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또한 교과교육 연구는 이렇게 파악된 연구의 결과를 다수의 학생들에게 적용했을 때의 효과성도 알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이론 및 법칙의 형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과교육 연구의 특징 상 적용되는 연구 방법은 이와 같은 연구 특성을 모두 반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QCA는 그 연구 방법 자체에 있어서 앞서 제시한 것과 같이 이러한 질적 그리고 양적 특성을 아우를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기 때문에 교과교육 연구에 특히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지리교육의 경우 다른 과목 보다 교과의 특성 상 QCA 방법론이 특히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지리교육은 개념의 위계와 그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과목이며 이 개념들이 학생들에게 제시되었을 때 어떠한 의미를 형성하는지 그리고 그 의미 형성의 과정이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가 다수를 이루기 때문이다. 또한 QCA는 어느 정도 해석을 필요로 하는 자료(Schreier, 2012, 2) 에 알맞은데 지리교육 연구에서 수집되는 질적 자료의 경우 연구자의 해석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교과교육 연구에서 이러한 QCA의 강점은 자료의 축약, 양적‧질적 연구 방법 통합 가능성, 간주관적 의미 도출 가능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QCA는 맥락과 상황을 고려하여 수집된 방대한 양의 자료를 그 분석의 대상으로 하나 분석의 과정 에서 자료의 양을 줄이고 연구 목적이 되는 주제를 축약시켜 보여줄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질적 연구는 해석의 과정에서 자료의 양이 더욱 방대하게 늘어나 연구자의 시간 소모가 크며, 이로 인해 체계적인 연구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QCA는 이러한 질적 연구 방법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연구자는 QCA를 사용해 방대한 질적 자료의 양을 늘리기 보다는 연구 질문에 맞추어 축약함으로서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결론 도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QCA는 연구의 과정이 체계적이기 때문에 질적 연구의 단점 중 하나인 연구자의 편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연구의 일관성과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Schreier, 2012, 6). 이러한 일관성과 신뢰도의 증가는 질적 연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좀 더 체계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QCA를 활용한 연구에서 연구자가 제기한 연구 질문은 수집된 질적 자료 중 어떤 측면을 주목하여 볼 것이지를 결정하는 앵글이 된다(Schreier, 2012, 4). 연구의 과정에서 수집된 질적 자료는 매우 유용하나 그 방대함으로 인해 모든 의미를 포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방대한 양의 자료는 본질의 초점을 흐리게 한다. 따라서 QCA를 사용해 질적 자료를 분석하는 것은 선택된 특정 측면에 주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QCA는 질적 자료의 방대한 양을 축약해주지만 또한 각각의 의미를 소홀히 하지 않고 연구자가 수집한 자료에 있는 모든 의미를 ‘해석’하여 코딩 프레임의 카테고리 안에 위치시킨다(Shapiro & Markoff, 1997). 이 과정은 연구자가 어떤 자료도 간과하지 않도록 한다(Glaser & Laudel, 2012, 282). 이는 다른 질적 연구 방법과의 비교에서 QCA가 가지는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자료의 각 부분이 연구의 개념과 아이디어에 부합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 수집된 자료는 이렇게 위치 지어진 후 체계적으로 분류되어 연구자의 연구 질문에 대한 답변을 도출한다.

    QCA는 또한 체계적인 연구 방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결론의 도출에 있어서 일관성과 신뢰도가 높은 연구 방법이다. QCA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일정한 단계에 따라 자료의 분석을 실시하게 된다. QCA의 단계는 그림 2와 같다(Schreier, 2012, 6).

    이러한 체계적인 연구의 과정은 연구자가 질적 자료의 모든 측면을 검토할 수 있게 해 주며 이를 통해 보다 분석적이며 체계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한다.

    둘째, QCA는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틀인 코딩 프레임을 구성할 때 양적 연구의 특성이 강한 개념 지향적 (concept driven)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질적 연구의 특성이 강한 자료 지향적(data driven)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Schreier, 2012, 83). 이는 QCA를 통해 양적 연구의 특징인 가설의 검증과 동시에 질적 연구의 특징인 자료 해석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적 연구는 주로 가설의 검증을 목적으로 하며 질적 연구는 자료의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QCA는 이 두 가지 목적 중 연구자가 원하는 방향에 따라 코딩 프레임의 구성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즉, QCA는 질적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가설의 검증 및 개념 형성을 목적으로 할 수도 있으며, 자료의 해석을 통한 현상과 맥락의 설명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는 QCA가 질적 그리고 양적인 방법론을 포괄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개념 지향적 코딩 프레임은 연구자가 선행 지식에 근거를 두어 연역적인 방법으로 코딩 프레임을 구성해 새로운 개념을 도출하거나 가설을 검증할 수 있게 해준다. 자료 지향적 코딩 프레임은 분석의 대상이 되는 질적 자료에서 귀납적인 방법으로 카테고리를 도출하여 현상을 해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연구 질문에 따라서는 이들 두 전략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개념 지향적 코딩 프레임은 이론, 선행 연구, 일반적인 매일의 지식, 논리, 인터뷰 가이드 등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Schreier, 2012, 84-87). 이러한 자료들로 코딩 프레임을 구성한다면 연구자는 자신이 수집한 질적 자료 중 이와 관련되지 않는 것들을 배제할 수 있다. 이 중 이론을 근거로 한 개념 지향적 코딩 프레임의 경우 특히 가설을 테스트 할 때 매우 유용하 다.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한 개념 지향적 코딩 프레임은 다른 연구자들이 사용한 방법을 코딩 프레임 설계시 적용하며, 이는 현재 연구의 결과와 선행 연구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QCA의 코딩 프레임을 구축하는 또 다른 방법은 귀납적으로 수집된 자료에 근거하여 main category와 subcategory를 구축하는 자료 지향적 방법이다. 코딩 프레임 구축을 위한 자료 지향적 전략은 특히 연구자의 연구 목적이 수집한 자료를 상세히 서술하는 것 일 때 적합하다.

    QCA는 코딩 프레임이 얼마나 귀납적인지 혹은 연역적인지에 따라 질적인 방법론의 특성을 강하게 나타낼 수도 있으며 양적인 방법론의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Zhang & Wildemuth, 2009, 2). 즉, QCA는 이와 같이 양적인 연구 방법론과 질적인 연구 방법론의 특성을 포괄할 수 있다. 이는 양적 혹은 질적 연구로 편향되어 있는 현재의 연구 방법론을 통합할 수 있는 QCA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셋째, QCA는 신뢰도와 타당도의 추출에 매우 엄격 하다. QCA는 신뢰도의 추출을 위해 코딩 후 코딩에 참여한 사람들 간의 합의의 계수(coefficient of agreement)를 도출하여 코딩의 과정이 객관적이었는지를 검증한다.

    QCA는 많은 양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자가 묘사하고 싶은 주제를 분류하고 체계화하는 연구 방법론이다. QCA에서 연구자의 주장에 대한 신뢰도가 높으려면 다른 사람들도 같은 현상에 대해 같은 해석을 해야 한다. 즉, 이 자료는 같은 공동체 안에 있는 사람 들에게 같은 의미를 가짐을 입증해야 한다는 것이다 (Schreier, 2012, 169). 복수의 분석자가 해석상의 불일치를 가져왔다는 것은 그 해석이 모호하며, 연구자의 결과가 신뢰성을 가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QCA는 이러한 해석상의 모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합의의 계수를 산출하여 코딩에서의 신뢰도를 도출한다. 합의의 계수는 분석에 참여한 분석자들이 전체 코딩의 단위 중 몇 개에 합의하였는지를 계산 하면 도출해낼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image

    위의 수식에 따르면 연구에서 수행된 코딩의 신뢰도가 높을수록 결과가 100%에 가깝게 도출된다.5) 만약 합의의 계수가 낮게 도출된다면 각 분석자 간에 하나의 현상을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는 분석자들이 분석 대상 자료와 코딩 프레임에 다른 시각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코딩 프레임의 수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분석자 간 합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합의는 분석 과정에서 높은 객관성을 도출한다. QCA는 분석자 간 합의의 정도를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합의된 의미에 가능한 한 가까운 결론을 도출하고자 노력한다(Schreier, 2012, 169).

    QCA에서 강조되는 이와 같은 신뢰도(reliability)는 양적 사회과학 연구 방법론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양적 연구에서는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몇 가지 전략이 고안되어 있다(Bryman, 2008, 149; Creswell, 2009, 190). QCA의 코딩 프레임을 평가할 때에는 이중 연구자 간 비교와 시점 간 비교의 두 가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자 간 비교는 복수의 분석자가 독립적으로 코딩 (blind coding)을 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때 신뢰도에 기반이 되는 개념은 간주관성이다. 코딩 프레임은 그것의 적용 범위를 주관적이 아니라 간주관적으로 넓혔을 때에도 신뢰도가 있어야 한다(Schreier, 2012, 168). 즉, 연구자 간 비교를 했을 때에도 신뢰도가 있어야 한다.

    시점 간 비교는 한 명의 분석자가 같은 코딩 프레임을 사용하여 같은 코딩의 단위를 분석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때 신뢰도에 기반이 되는 개념은 안정성이다. 한 명의 연구자에 의한 분석의 결과는 시간이 지나도 같은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이와 같은 신뢰도의 확보를 통해 QCA는 하나의 현상에 대해 객관적 타당성을 가진 의미를 도출하고자 노력한다. 이는 질적 연구 방법론의 단점으로 꼽히는 연구자 해석의 편향성을 보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QCA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3)초기 내용 분석의 예로는 Berelson & Salter(1946)의 연구를 들 수 있다. Berelson & Salter는 미국의 잡지에 실린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어떤 계층에 속하는지를 조사하고 미국 인구의 실제 분포와 비교하여 그 분포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들은 이 분석을 통해 미국 잡지에 등장하는 이야기의 주인공들은 주로 백인 계층이며, 실제 백인 계층이 차지하는 분포도보다 훨씬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그 이외의 계층은 대중 매체에서 차지하는 빈도에서 열세를 보인다는 것을 입증하였다(Mayring, 2007, 13).  4)양적 내용 분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양적 내용 분석은 분석 대상 자료의 명백한 의미에 초점을 맞추며 자료의 맥락을 덜 고려한다. 또한 신뢰도를 엄격하게 처리하며 신뢰도 확인을 타당도 확인보다 더 중요시한다. 또한 분석 단계를 엄격하게 준수한다. 이에 비해 질적 내용 분석은 자료의 잠재된 의미에 초점을 맞추며, 자료 분석 시 더 많은 맥락을 필요로 한다. 또한 신뢰도 처리에 있어서 좀 더 가변적이며 맥락에 대한 더 많은 추론을 하게 된다. 또한 분석 단계에 있어서도 양적 내용 분석에 비해 더 많은 가변성을 가진다(Schreier, 2012, 16).  5)QCA에서는 합의의 계수에 대한 해석 또한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Schreier, 2012, 171) 합의의 계수가 어떤 범위에 있을 때 도출된 결과의 신뢰도가 높은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더 복합적인 계수인 Scott’s pi, Cohen’s kappa 그리고 Krippendorff’s alpha가 고안되었다. 이러한 계수들은 평정자 간 신뢰도 계수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특히 Cohen’s kappa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Cohen’s kappa의 경우 카파 계수가 0.2 이하로 도출되었을 경우 신뢰도의 부족을, 카파 계수가 0.8 이상 도출되었을 경우 평정자 간 신뢰도의 우수성을 나타낸다(Landis & Koch, 1977, 159-174). 따라서 여기에서 제시한 합의의 계수의 경우에도 도출된 값이 신뢰로운지 아닌지의 여부는 연구자의 해석상의 문제이나 Cohen’s kappa에서 제시되는 계수의 구간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Schachter & Singer(1962)의 연구에서는 분석자 간 합의의 정도가 88%로 도출되었다.

    IV. QCA의 적용

       1. 연구 질문의 제시

    QCA는 연구자가 밝혀내고자 하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 방법론이다. 따라서 QCA를 적용하는 연구의 경우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질문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질문에 따라 이후 QCA의 적용 방법이 결정되며 수집된 질적 자료를 어떠한 측면에서 분석할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QCA 방법론의 특성에 맞추어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2. 연구의 설계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지리 학습에 대한 글쓰기를 토대로 학생들의 지리 학습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학생들의 주관적 인식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서 QCA를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개념 지향적 접근과 자료 지향적 접근의 방법 중 자료 지향적 방법을 주로 적용하고 개념 지향적 접근 방법을 일부 적용하였다.

    코딩 프레임 구성 시 일부 subcategory의 경우 연구 자가 중학교 학생들의 특성을 예상하여 subcategory 를 미리 설정하는 개념 지향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였다. 나머지 항목들의 경우 수집된 질적 자료를 살펴 본 후 이를 토대로 subcategory를 설정하는 자료 지향적 방법을 적용하여 코딩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 중 앞서 제시한 연구 질문에 알맞은 자료들만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연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연구를 설계하였다.

       3.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S중학교 1학년 학생 51명(남학생 27명, 여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학교는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교육열이 비교적 높다는 지역적 특성을 가진다. 연구 대상 학교가 위치한 지역의 경제적 수준은 중산층이라 할 수 있으며,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분포해있다. 학생 들의 학업 수준은 대체로 중상 정도이며 95% 이상의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6)

       4.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의 질적 자료 수집을 위해 학생들에게 ‘지리는 왜 배워야 하는가?’라는 글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글을 작성하는 시간은 제한하지 않았으며 그 서술의 양 또한 제한을 두지 않았다. 자료의 수집은 2014년 10월 7일 수업 시간 중 이루어졌다.

       5.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자료 지향적 접근을 선택하였으며, 개념 지향적 접근을 일부 적용하였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자료 지향적 접근은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귀납적으로 코딩 프레임을 설정하는 분석 방법이며, 개념 지향적 접근의 경우는 연역적으로 코딩 프레임을 구성하는 분석 방법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지리 인식을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코딩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예상할 수 있는 학생들의 발달적 특성 및 이에 따른 성향을 반영하여 일부 카테고리의 경우는 자료 분석 이전에 연역적으로 설정하였다. 연역적으로 설정한 카테고리의 경우 일부는 자료 분석 이후 타당성의 결여로 인해 폐기되었다.

       6. 연구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

    양적 연구 방법에 있어서 최대의 비판점은 맥락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질적 연구 방법에서의 가장 큰 비판점은 객관성의 결여이다. QCA는 양 방법론의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질적 자료를 대상으로 맥락을 고려하면서도 도출된 연구 결과의 타당성과 신뢰 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를 위해 QCA는 코딩 프레임의 구축 후 코딩을 수행하는 분석자 간 합의의 계수를 도출(Schreier, 2012, 170)하여 객관성을 확보 한다.

    본 연구에서도 연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연구자를 포함한 3명의 분석자가 코딩한 일관성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3명의 분석자에 의한 합의의 계수는 아래와 같다.

    image

    합의의 계수가 약 92%로 도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일관성은 매우 높으며 연구의 신뢰도 또한 높다고 할 수 있다.7)

    자료지향적 코딩 프레임의 안면 타당도 평가를 위해 연구의 과정에서 잔여 카테고리의 발생, 하나의 subcategory에 대한 높은 코딩 빈도, 지나친 추상화 등의 사례가 발생하는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코딩 프레임에 배정되지 못한 잔여 카테고리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코딩 프레임에 반영되지 못한 잔여 카테고리가 일부 발생하였으나 그 빈도가 높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연구 과정의 안면 타당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개념지향적 접근으로 형성된 subcategory의 경우 잔여 카테고리가 일부 발생하였으나 그 수는 많지 않았다. 또한 연구의 과정에서 특정 subcategory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코딩의 빈도 또한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코딩 프레임의 지나친 추상화로 인해 너무 많은 개인적 자료가 감소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를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연구자와 두 명의 분석자가 연구의 과정에서 주관 적으로 안면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를 위해 설계된 코딩 프레임의 경우 추상화의 정도가 지나차게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Schreier, 2012, 186-187).

       7. 내용 분석 결과

    지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표 2와 같이 총 4개의 main category와 8개의 subcategory가 도출되었다. 각각의 main category는 ‘지역 이해’, ‘생활 활용’, ‘문제 해결’, ‘지도 사용 능력 향상’ 이었다.

    [표 2.] QCA의 방법으로 도출된 카테고리

    label

    QCA의 방법으로 도출된 카테고리

    제시된 main category 중 첫 번째 ‘지역 이해’ 카테고리의 경우 조사 참여 학생 51명 중 37명의 학생이 언급하여 학생들은 지리교육의 필요성으로 가장 먼저 지역 이해를 떠올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ubcategory 인 다른 나라 이해에 대해 언급한 학생이 13명, 우리나라 이해에 대해 언급한 학생은 16명, 여행을 언급한 학생은 23명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여행과 함께 우리나라 및 세계에 대한 이해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생활의 활용 측면에서 주장하기도 하였다. 두 번째 ‘실생활 활용’ 카테고리를 통해 학생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혹은 미래의 생활에서 지리를 활용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문제 해결’ 카테고리의 경우 학생 들은 지리교육을 통해 인구 문제, 지역 문제, 기후 문제 등의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리교육은 의사소통의 증진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마지막 ‘지도 사용 능력 향상’ 카테고리의 경우 길 찾기나 지리정보의 활용 등을 제시하며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지리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main category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지역 이해

    학생들은 지역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지리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지역 이해’ 카테고리의 경우 가장 많은 수의 학생이 언급한 카테고리로 이를 통해 학생들은 이 카테고리가 지리를 배워야 하는 중요한 이유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다른 나라 이해

    학생들은 다른 나라의 문화나 기후, 지형, 생활모습 등을 이해하기 위해 지리교육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일부 학생들은 지리교육을 통해 세계 시민성을 길러야 함을 제시하여 학생들은 민주시민성이 지리 교과를 통해 함양될 수 있다고 인식함을 드러냈다.

    (2) 우리나라 이해

    학생들은 지리교육을 배워야 하는 이유로 세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우리나라에 대한 이해를 들었다. 우리나라 이해 카테고리의 경우 애국심의 측면에서 언급한 경우가 다수 있었다. 학생들은 영토 인식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3) 여행에 이용

    학생들은 지리교육의 필요성으로 여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지리를 ‘여행’에 도움을 주는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조사 대상 학생들의 대부분은 ‘여행’의 유형으로 해외여행을 제시하였다. 이는 최근의 해외여행 활성화를 반영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학생들의 인식은 지리교육에 여행이라는 주제가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2) 실생활 활용

    학생들은 지리교육의 필요성으로 실생활 활용 측면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일상생활 혹은 미래의 생활 에서 지리가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언급하여 지리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지리교육이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는 과목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몇몇 학생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리교육에 흥미를 가질 수 없음을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학습자의 반응은 앞으로 지리교육이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1) 일상생활에의 활용

    학생들은 지리교육이 평소 자신의 삶에서 다양한 기여를 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날씨 예보나 최적지 선정 등에 지리 지식이 기여함을 근거로 하여 지리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일부 학생들은 많은 사람들이 유사한 지리 지식을 갖추게 된다면 의사소통이 좀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며 지리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2) 미래의 삶에 활용

    일부 학생들은 지리가 자신의 미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지리교육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학생들은 지리교육이 자신들의 미래에 제공해 줄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로 취업이나 구직 시의 유리함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리교육을 통해 획득한 지리 지식을 근거로 하여 자원 개발 등을 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하였다.

    3) 문제 해결

    분석 결과 학생들은 지리교육을 통해 다양한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기후 문제, 인구 문제, 지역 문제 등 현대 사회가 당면한 다양한 문제를 제시하며 지리교육이 이러한 문제들에 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언급하였다.

    (1) 다양한 지리 문제 해결에 활용

    학생들은 기후 문제, 인구 문제, 지역 문제뿐만 아니라 지리교육을 통해 자연 재해나 전쟁 등의 문제 발생 시에 대처 방법을 학습 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수집된 연구 자료에서 학생들은 지리교육을 통해 태풍 발생 시 대피 지역 등을 알 수 있다고 언급하여 자연 재해 등의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지리교육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된다고 언급하였다.

    4) 지도 사용 능력 향상

    조사 대상 학생 중 많은 수가 지리교육의 고유한 영역으로 지도 학습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지리교육을 통해 지도에서 지역의 위치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길찾기 등의 기본적인 생활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1) 지도 활용 능력 향상

    학생들은 지리교육을 통해 지도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지리교육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지도는 위치파악이나 길 찾기, 최단거리 파악 등에서 이용된다. 학생들은 이와 같은 기능을 습득하면 일상생활이 편리해질 수 있음을 제시하여 이를 근거로 지리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2) 지리 정보의 활용

    많은 수의 학생들이 지리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또한 지리교육을 통해 이러한 지리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고 하여 지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9. 논의

    총 51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은 총 39개의 코딩 단위로 나누어졌다. 코딩은 3명의 분석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합의의 계수를 도출한 결과 약 92%의 합의의 계수가 도출됨으로서 신뢰도가 높은 코딩의 과정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지리교육 필요성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크게 4개의 main category가 도출되었다. 각각의 카테고리는 ‘지역 이해’, ‘실생활 활용’, ‘문제 해결’, ‘지도 사용 능력 향상’이며 8개의 subcategory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학생 중 37명의 학생들이 지리교육의 필요성으로 지역 이해를 제시하여 학생들은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지역 이해의 측면에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지역 이해를 통해 세계 시민성이나 애국심 등이 고양된다고 언급하여 이들이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단순한 지역 이해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정의적 영역으로까지 확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사 대상 학생들은 지리가 일상생활에 유용한 교과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지리교육으로 획득한 지식을 통해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다고 주장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지리교육이 현실에서 동떨어진 지식을 제공하는 교과가 아니라 자신의 삶에 도움을 주는 지식을 제공하는 교과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사 참여 학생 51명 모두는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대상 학생 중 대부분이 지리를 배울 가치가 있는 교과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연구 대상 학생 중 2명은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지리 학습에 있어서 지루함을 언급하여 지리 교수‧학습 방법이 개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게 하였다.

    6)2014년 10월 21일 S중학교 교사 인터뷰 내용 중.  7)앞서 제시한 것과 같이 QCA에서는 연구자 간 합의의 정도를 신뢰도로 활용하기 때문에 합의의 정도가 낮을 경우 코딩 프레임의 수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Cohen’s kappa에서 제시된 신뢰도의 우수성(0.8)을 기준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코딩 전 연구자 외 분석에 참여한 2인을 대상으로 사전 오리엔테이션을 2회 실시(2014.10.24, 2014.10.29)하였다. 또한 합의의 계수가 낮게 도출되었을 때에는 분석자 간 합의를 통해 코딩 프레임을 수정하여 코딩 과정에서 일관성을 높였다.

    V. 요약 및 결론

    본 논문은 질적 그리고 양적 방법론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지리교육 연구에서 QCA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대안적 방법론으로 제시된 QCA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질적 연구의 장점인 맥락과 상황을 고려하여 수집된 방대한 양의 자료 중 연구 목적에 맞는 자료 만을 축약시켜 보여줄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둘째, QCA의 적용을 통해 양적 연구의 특징인 가설의 검증이 가능하며, 동시에 질적 연구의 특징인 자료의 해석도 또한 가능하다. 셋째, QCA는 신뢰도와 타당도의 추출에 매우 엄격하다. QCA는 합의의 계수를 도출하여 코딩의 과정이 객관적이었는지를 수량적으로 검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장점을 가지는 QCA의 실제 적용의 예를 제시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 51명을 대상으로 지리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지리교육 필요성에 대한 글을 작성 하게 한 후 이를 QCA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신뢰도와 타당도의 유지를 위해 3명의 분석자가 코딩 과정에 참여하였고 이들 3명 분석자 간 합의의 계수는 약 92%로 코딩 과정의 일관성이 증명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조사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본 논문은 지리교육 연구에서 대안적 방법론으로 QCA를 소개하였으며 그 적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국내에서 QCA를 연구의 방법으로 삼은 논문은 드물며, 교과교육학에서의 적용은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교과교육 연구는 인간의 학습을 다루기 때문이 질적인 측면이나 양적인 측면 중 어느 한 측면만이 중요하다고 할 수 없다. QCA가 교과교육 연구에 적용된다면 교수‧학습의 질적이고 양적인 측면 모두를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QCA를 적용한 많은 교과교육학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 1. 강 지영 2006 고등학교 지리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google
  • 2. 강 창숙 2002 지리개념 발달과 상보적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google
  • 3. 권 영락 2005 장소기반 환경교육에서 장소감의 발달과 환경의식의 변화: ‘시화호 생명지킴이’ 생태안내자 양성과정을 사례로 google
  • 4. 김 다원 2008 세계 지역에 대한 위치 지식과 위치 학습 연구 google
  • 5. 김 미숙 2006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통합에 대하여” [교육사회학연구] Vol.16 P.43-64 google
  • 6. 김 병연 2012 생태시민성과 지리과 환경교육: ‘관계적 지리’ 담론과 적용 google
  • 7. 김 재일 2007 초등학생들의 스케일 선호도에 근거한 지평확대법의 비판적 논의 google
  • 8. 김 진국 2005 지리교육과정 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google
  • 9. 김 학희 2005 세계지리에서 동남아시아 지역의 정형성에 대한 재조명: 일상음식을 통한 글로벌 교육의 지리적 대안 개발 google
  • 10. 김 혜숙 2006 교실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한 중등 지리 수업의 질적 사례연구 google
  • 11. 나 장함 2006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Vol.19 P.265-283 google
  • 12. 마 경묵 2010 지리과 교실수업 평가에서의 공간적 사고의 평가도구 개발 google
  • 13. 박 병석 2011 지리 교사의 지리교육 내용에 대한 현실 관련성(relevance) 인식 연구 google
  • 14. 박 승배 2009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혼합 논리로서 프래그머티즘과 교육학 연구방법에 대한 듀이의 입장 고찰” [교육과정연구] Vol.27 P.63-81 google
  • 15. 박 은아 2003 연결망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내용 구성 google
  • 16. 박 찬선 2013 정보화 사회의 교육격차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경기도를 사례로 google
  • 17. 박 철웅 2002 구성주의적 웹 활용 지리 수업의 방법에 관한 연구 google
  • 18. 서 정훈 2011 평생학습사회의 지역학습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구리시 지리 학습동아리를 중심으로 google
  • 19. 신 영재 2009 상업 지역의 지가 형성 요인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특성 연구 google
  • 20. 신 재철 2013 행복 지리적 관점에서의 초등사회과 지리교육: 아동의 ‘비밀 장소’를 중심으로 google
  • 21. 양 재영 2013 초등학생의 지리 개념 인식에 나타난 심리적 위계: ‘기후’ 및 ‘인구’ 개념을 중심으로 google
  • 22. 윤 옥경 2003 地域에 대한 學習 內容 構成에 관한 硏究: 牙山灣 地域을 사례로 google
  • 23. 이 간용 2001 지리교육의 지능공정한 참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 google
  • 24. 이 광성 2004 “사회과 교육에서 양적 연구의 가능성과 한계” [시민교육연구] Vol.36 P.165-180 google
  • 25. 이 종원 2002 “교육과정 탐구 방식으로서 절충주의의 오류와 한계” [교육과정연구] Vol.20 P.179-196 google
  • 26. 이 훈정 2011 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지역중심 환경수업 전략 google
  • 27. 임 도빈 2009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 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질적 연구” [정부학연구] Vol.15 P.155-188 google
  • 28. 임 은진 2009 상황인지론에 근거한 지리 수업 모델의 개발과 적용 google
  • 29. 장 의선 2004 지리교과 교수요소간 유기적 정합성: 내용특성과 학습스타일, 스캐폴딩을 중심으로 google
  • 30. 장 혜정 2007 어린이의 일상공간과 지리적 자아 형성 google
  • 31. 정 재승 2010 지리과 u-러닝 체험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google
  • 32. 조 영남 200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7 P.307-329 google
  • 33. 조 성욱 2000 고등학교 경제지리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에 관한 연구 google
  • 34. 하 태기 2000 南·北韓 中等學校 地理敎育 硏究: 敎科書를 中心으로 google
  • 35. 한 희경 2010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지리 교실 읽기: 제3공간으로의 국면 전환 가능성 탐색 google
  • 36. 홍 서영 2014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지리교육에의 적용 google
  • 37. 홍 서영, 서 태열 2014 “QCA를 통해 분석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사회과 수업에 대한 인식” [사회과교육연구학회] Vol.53 P.153-166 google
  • 38. Berelson B., Salter P. J. 1946 Majority and minority Americans: An analysis of magazine fiction [Public Opinion Quarterly] Vol.10 P.168-190 google cross ref
  • 39. Bogdan R., Biklen S. 2003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google
  • 40. Boyatzis R. E. 1998 Transforming qualitative information: Thematic analysis and code development google
  • 41. Bryman A. 2008 Social Research Methods google
  • 42. Creswell J. W. 2009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google
  • 43. Creswell J. W. 2011 Controversies in mixed methods research. 269-284. In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Denzin, N. K., & Lincoln, Y. S. (Eds.) google
  • 44. Creswell J. W. 2012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google
  • 45. Denzin N. K., Lincoln Y. S. 2005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google
  • 46. Downe Wamboldt B. 1992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Vol.13 P.313-321 google cross ref
  • 47. Glaser J., Laudel G. 2010 Experteninterviews und qualitative Inhaltsanalyse google
  • 48. Hsieh H. F.,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5 P.1277-1288 google cross ref
  • 49. Krippendorff K. 1980 Content analysis google
  • 50. Krippendorff K. 2012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google
  • 51. Landis J. R., Koch G. 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ics] Vol.33 P.159-174 google cross ref
  • 52. Lincoln Y. S., Guba E. G. 2000 Paradigmatic controversities, contradictions and emerging confluences.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Denzin, N. K. & Lincoln Y. S. (Eds) google
  • 53. Mason M. 2010 Sample Size and Saturation in PhD Studies Using Qualitative Interviews [Qualitative Social Research] Vol.11 google
  • 54. Mayring P. 2007 Mixed methodology in psychological research google
  • 55. Neundorf K. 2002 The Content Analysis Guidebook google
  • 56. Ragin C. C. 1987 The Comparative Method google
  • 57. Ragin C. C. 1994 Introduction to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299-345. In The comparative political economy of the welfare state, Janoski, T., & Hick, A. M. (Eds.) google
  • 58. Sandelowski M. 1995 Sample size in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18 P.179-183 google cross ref
  • 59. Schachter S., Singer J. 1962 Cognitive, social, and physiological determinants of emotional state [Psychological review] Vol.69 P.379-399 google cross ref
  • 60. Schreier M. 2010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Practice google
  • 61. Shapiro G., Markoff J. 1997 A matter of definition, Tex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Methods for drawing statistical inferences from texts and transcripts P.9-34 google
  • 62. Smith J. K., Heshusius L. 1986 Closing down the conversation: The end of the quantitative-qualitative debate among educational inquirers [Educational researcher] Vol.15 P.4-12 google cross ref
  • 63. Stanley W. B. 2001 Critical Issues in Social Studies Research for the 21st Century google
  • 64. Tashakkori A, Teddie C 2003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and behavioral research google
  • 65. Tashakkori A., Teddlie C. 2010 Sage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 behavioral research google
  • 66. Zhang Y., Wildemuth B. M. 2009 Qualitative analysis of content, Applications of social research methods to questions in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P.308-319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지리교육 연구 방법론 동향
    지리교육 연구 방법론 동향
  • [ 그림 1. ]  지리교육 연구 방법 동향 분석
    지리교육 연구 방법 동향 분석
  • [ 그림 2. ]  QCA 분석의 단계
    QCA 분석의 단계
  • [ ] 
  • [ ] 
  • [ 표 2. ]  QCA의 방법으로 도출된 카테고리
    QCA의 방법으로 도출된 카테고리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