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Troubles and the Wishes of Teachers at a Workplace Nursery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이 근무하면서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과 그에 따른 바람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총4개월 동안 10명의 직장 어린이집 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과 관련문서, 연구자의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의 요소는 긴 근무시간과 과중한 사무업무, 학부모의 고압적 태도,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바람으로는 현실적인 근무시간을 위한 인력충원, 전문가로서 받아야 할 급여와 복지,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보육교사 자격기준의 강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러 가지 유형의 어린이집 중 직장어린이집의 특징적인 어려움으로서 보육의 질 개선을 위해 제도의 개선이나 행정적, 재정적 도움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various troubles experienced by teachers at a workplace nursery and their consequent wishes by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10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le working at a workplace nursery; research on relevant literature; and the researcher’s journal writing for a total of 4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4. The results showed that long working hours, excessive office work, parents’ overbearing manners, and negative social perception about them contributed to the problem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at the workplace nursery; and their consequent wishes were found to be increased personnel recruiting to ensure practical working hours; sufficient payment and welfare they deserve as specialists; and higher standards for qualification of nursery teachers to improve social perception about them. These results show the troubles characteristic of workplace nurseries among various types of nurseries and imply that there is need for an improvement of the system 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al quality.

KEYWORD
직장어린이집 , 보육교사 , 근무환경 , 어려움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 사회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여성의 사회참여가 늘어나고 맞벌이 가정이 늘어났다.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취업모들에게 있어 자녀양육은 큰 어려움이 되고 있고, 이는 저출산 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국여성개발원(2002)의 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의 연령에 따른 취업률은 M자형 분포를 보이고 있어 자녀양육으로 인해 취업이 감소되었다가 자녀들이 성장한 후 다시 취업을 하여 자녀양육에 있어 여성들이 갖는 책임과 어려움에 대해 알 수 있다. 때문에 직장을 다니고 있는 취업모들에게 있어 어린 연령의 자녀를 안심하고 맡아줄 보육시설은 자녀뿐만 아니라 취업모 개인의 행복과 자아실 현을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정부에서도 가족친화정책 중 하나로 직장보육시설의 설치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1991년부터 2011년까지 기간 동안 전체 보육시설 대비 직장보육시설의 비중은 0.51%에서 1.13%로, 보육 아동 비중은 0.81%에서 1.85%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김정호, 2013). 뿐만 아니라 영유아보육법시행령 20조 1항에 의하면 상시 여성근로자 300인 이상 또는 근로자 500인 이상 직장에 대하여 직장어린이집 설치를 의무화하여 정부에서는 직장어린이집 설치를 권고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하는 기업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직장보육시설은 기혼여성 및 취업모의 일할 권리를 보장하고 부모와 영유아의 안정된 애착을 갖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영유아의 잠재능력을 키울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박금숙, 1998). 때문에 취업모에게는 적절한 보육과 일에서의 성공을 지원하고 영유아 입장에서는 건전한 발달을 하고 질 좋은 보육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직장보육시설의 질향상이 필요하다. 직장보육시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각을 통해 직장보육시설을 바라보고 연구함으로서 직장보육시설을 운영하고 그 안에서 일하고 있는 이들에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그동안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연구는 필요성에 의해 수요자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부모의 요구나 스트레스, 불안에 관한 부모의 입장에 관련된 연구(김효민, 2003; 남주현, 2003; 김현주, 2004)나 부모의 만족도(김선희, 2001; 김주미, 1995)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이는 저출산 문제와 여성 경제활동인구 증가로 인해 직장보육시설 확충이 필요했기 때문에 자연스레 필요성 위주의 연구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장보육시설의 이점과 중요성, 요구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된 지금 직장보육시설의 질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이화경(2011)은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인식이 영유아 애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하며 보육교사와 보육서비스의 질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근주(2011)는 교사가 영유아에게 가장 중심이 되는 보육환경이며 보육의 질을 결정짓는 요인 중 하나라고 이야기 하였다. 이렇듯 여러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보육서비스에 대한 질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보육교사 행동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에서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교사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보육교사가 담당하는 아동이나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교사의 행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신혜영, 2004).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을 때 자신의 직업에 대한 투철한 사명의식을 갖고 최적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민혜영, 윤미정, 2011). 그러므로 보육교사가 안정된 분위기 속에서 직무에 만족을 느끼고 적극적으로 과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육교사의 생활을 이해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연구는 보육교사의 질 향상을 위해, 더 나아가 보육서비스의 전반적인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직장어린이집 또한 어린이집의 여러 유형 중 하나로 보육교사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서 보육교사의 질이 보육서비스의 질로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직장보육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직장보육 관련 연구의 주요 주제가 직장어린이집의 설치 및 운영이나 일반적 효과에 대한 주제가 주를 이루었다고 하였다. 또한 보육종사자에 대한 연구는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이 되므로 보육교사와 관련된 연구주제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에서 문헌조사나 설문조사의 방법보다는 관찰 및 면접 등의 현장 중심의 질적 조사 방법이 부족하다는 것을 밝히며 다양한 조사 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이주연, 윤정민, 2014). 또한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2)는 연구에서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장어린이집의 질적 향상에 관련된 중요한 변인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로 살펴보았기 때문에 심층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때문에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살아있는 목소리를 담아내는 연구의 필요성을 이야기 하였다. 박찬옥, 조현정(2006) 또한 부모와 교사가 인식한 직장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을 탐색하는 연구에서 설문조사로 보여주지 못하는 직장보육 시설 내 근무하는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는 질적 연구가 직장보육시설의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하였다. 송경섭(2006)의 연구에 의하면,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교사와 다른 집단의 교사의 생활문화를 비교하며 이러한 특수성에 의해 다양한 부분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이처럼 여러 연구에서 직장어린이집의 보육교사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한 질적 방법의 필요성,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어린이집의 보육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대해 질적 연구를 통해 좀 더 그들의 이야기를 심층적으로 들어보고 그 속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바라는 점들을 연구하여 직장어린이집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Ⅱ. 연구방법

    Clandinin과 Connelly는 교육연구는 교사와 학생들의 삶의 경험으로부터 출발해야 하며 내러티브 탐구는 삶의 경험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고 하였다(Clandinin & Connelly, 2000/2007). 이에 본 연구는 Connelly와 Clandinin(1990)이 개념화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연구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1. 연구 참여자와 연구자

    연구자1은 7년째 직장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로서 직장어린이집에서 근무하며 교사로서 느끼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주변에서 매일 만나는 교사들의 고충 등을 듣고 이를 해결해 나가고자 토론하며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어려움과 바람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연구자2는 직장어린이집의 위탁운영을 맡고 있는 대학의 유아교육과 교수로서 여러 직장어린이집에 대한 장학과 조언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자의 지인이거나 지인의 소개로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선정의 기준은 직장어린이집에 최소 2년이상 근무하여 직장어린이집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가지고 있는 현재 재직중인 교사로 10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를 얻었다. 연구참여자들의 배경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참여자들의 배경

    label

    연구 참여자들의 배경

       2. 연구 진행 및 자료 수집

    1) 연구기간과 일정

    다양한 유형 및 경력의 직장보육시설에서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 10명을 선정하여 각 2회 이상의 심층면담이 진행되었다. 2014년 9월 예비면담을 실시하여 질문내용, 질문방식의 적절성, 면담시간 등을 확인하였으며, 심층면담은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각각 2회 이상 진행되었다.

    2) 자료수집 방법

    주된 연구 자료는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으로 수집되었으며, 1차 면담에서는 직장 보육시설 교사로서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보고 1차 면담의 내용을 전사하여 본인에게 확인 후 2차 면담에서는 1차 면담 때 이야기 했던 어려움에 대한 바람이나 추가적으로 경험한 어려움, 다른 경험에 비추어 생각나는 바람에 대해 들어보았다. 자료수집의 방법과 수집된 자료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자료수집 방법 및 수집된 자료

    label

    자료수집 방법 및 수집된 자료

    (1) 심층면담

    직장보육시설 교사 10명의 심층면담은 자연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회차별 30~80분 가량의 면담이 이루어 졌으며 1차 면담 후 면담 내용의 전사본을 본인에게 확인하여 2차에서 이루어질 면담의 내용을 계획하여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을 진행하기 전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는 예비면담을 하였는데, 면담을 진행하기 전 연구 참여자가 자연스럽고 솔직한 대화가 가능하도록 전화 및 문자메시지를 통해 연락하며 래포를 형성하였다. 또한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연구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하는 데 있어 부담을 갖지 않도록 신분노출이 되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으며, 중간에 연구에서 참여하는 것을 언제든지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사전에 충분히 설명해 주었다. 또한 사전에 면담에 필요한 질문을 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직장보육시설 교사로서의 경험을 회상해 볼 수 있도록 <표 3>과 같은 면담의 준거와 내용을 만들어 면담에 활용하였다.

    [<표 3>] 면담의 준거 및 내용

    label

    면담의 준거 및 내용

    (2) 그 외 자료수집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함과 동시에 연구 참여자의 배경과 근무하는 시설의 환경을 알아보고자 운영계획서와 보육시설 홍보자료 등을 탐색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저널은 심층면담 후 전사를 하며 그날 면담의 내용을 회상하고 직장보육시설 교사인 연구자의 생각이나 그때의 느낌에 대해 기록하며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았다. 뿐만 아니라 다음 면담을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연구 참여자의 이야기를 확인하고 다음 면담의 질문을 재점검 해 보기 위해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을 활용하였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생성된 자료는 연구자별 2회 이상의 심층면담 녹취 총 24회와, 전사자료 52매와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24매, 문서자료이다. 녹취된 자료는 전사하여 문서화 작업을 하였으며, 이를 연구 참여자 본인에게 확인하는 작업을 거쳤다. 그리고 심층 면담의 전사 자료는 처음에는 면담 일자별로 묶어 두었다가 면담이 끝난 후 생성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주제어가 될 수 있는 부분을 체크하고 자료 속에 함축된 의미에 맞는 주제나 용어를 찾고 의미를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첫째, 연구 참여자에 의한 연구 결과의 평가 작업으로 연구자의 분석과 해석에 대해 연구 참여자가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연구자가 직접 수집한 녹취 자료와 연구자 노트를 활용하여 기억의 한계나 주관성을 극소화 시켰다. 셋째,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쓰기를 하며 연구자의 관점과 시각이 연구 초기에 비해 변화해 가는 것을 기록하고 반성하는 작업을 거쳤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직장어린이집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

    1) 새벽부터 밤까지 어린이집에 내 시간을 쏟아 붓기

    직장보육시설의 특성상 부모님들이 맞벌이인 경우가 많고 보육시설이 직장에 가까이 있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출근하며 아이를 등원시키고 퇴근하며 하원 시키고 있다. 그러나 윤기설(2014)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노동자의 근로 시간은 2011년 기준 연평균 2090시간으로 OECD국가 중 2번째로 많은 근로 시간을 유지하고 있다. 법정 근로 시간인 주40시간, 연장근무 12시간보다 더 장시간 일하고 있는 학부모들이 많다는 것이다. 때문에 아이가 직장보육시설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이는 보육교사의 어려움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직장어린이집의 교사들은 학부모의 출근 시간보다 일찍, 그리고 퇴근시간보다 늦게까지 아이들을 돌봐야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보육 시간이 긴 것에 대한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으며, 국가에서 정해진 노동시간보다 더 긴 보육시간으로 인한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뿐만 아니라 길어지는 보육시간으로 인해 생기는 파생적인 어려움도 있었다.

    교사가 출근하는 시간부터 퇴근하는 시간까지 모든 시간을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다보니 교사는 아이들을 돌보는 업무 외의 추가적인 업무를 할 시간이 부족하고 이는 자연스럽게 야간근무로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야간근무를 하며 근무 시간이 늘어나게 되었고 이는 교사의 개인생활 시간이 줄어들어 교사의 어려움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한시도 아이들과 떨어지지 않아 교사는 휴식시간의 부족을 이야기 하였다. 교사들이 근무하는 시간인 9시간 중에서 1시간은 휴게시간으로 책정되어 있으나 실제 아이들을 돌보며 자리를 마음대로 비울 수 없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휴게시간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직장보육시설의 교사들은 학부모의 근로시간으로 인해 장시간 아이를 돌보게 되어 보육교사로서 해야 할 여러 업무들을 근무시간 내에 끝내지 못해 야간근무를 해야한다는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또한 보육교사가 근무하는 시간 내내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다보니 자리를 비울 수 없어 휴게시간을 사용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표현하였다.

    2) 주객전도-사무업무 때문에 소홀해진 보육업무

    보육교사들은 아이들을 돌보는 업무 외에도 많은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강문숙, 황해익(2008)은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에서 보육교사는 모두 146개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영유아에게 제공하는 보육업무 이외에 과다한 사무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보육교사는 많은 업무를 담당하고 직장보육시설 교사들은 과중한 업무들에 대한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문서적인 업무의 과다는 비단 직장어린이집 교사만의 어려움은 아니나 다른 유형의 보육교사가 경험하고 있는 과다한 문서 업무에 대해 어려움을 토로함과 동시에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어려움을 표현하였다.

    직장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공모전 참여는 좋은 보육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교사들로 하여금 실적을 내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보육 외 과중한 업무로서 교사들을 힘들게 하는 또 다른 업무로서 인식되고 있었다.

    직장어린이집의 교사들은 보육교사로서 맡는 다양한 업무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수행해야 할 이러한 과중한 업무들이 교사가 아이들을 돌보는 데 있어 심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스트레스가 된다는 것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아이들에게 질 좋은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 는데 있어 이러한 과중한 업무가 걸림돌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위와 같이 과중한 업무는 교사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며 이는 교사의 업무 능률을 떨어트리는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3) 부모와 교사관계가 아닌 갑과 을의 관계

    보육교사와 부모의 관계는 영유아의 발달을 위한 상호 협력적 관계로 많은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더군다나 직장보육시설은 장시간 영유아를 보육시설에 맡김으로서 부모의 안정감과 보육시설에 대한 믿음이 더욱더 필요한 곳이다. 그러나 직장보육시설은 설립 목적이 직장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복지를 위한 시설 이다보니 보육시설은 자신들을 위한 서비스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이윤미, 박선영, 2010).

    직장보육시설에서 나타나는 부모의 이러한 태도는 직장보육시설이 근로자인 부모를 위해 설립되었다는 취지에 기인하며 다른 보육기관보다 강화된 부모를 위한 서비스를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는(이윤미, 박선영, 2010) 것으로부터 비롯되어 보통의 어린이집에서 인식되는 부모-교사와의 관계를 넘어서서 같은 직원도 아닌 하급직원으로 대하거나 운영에 대한 지나친 간섭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교사의 자존감을 떨어트리는 결과가 나타나게 되었다.

    4) 교사를 지치게 하는 주변의 시선들

    최근 각종 매체에서 아동학대를 하는 보육교사에 대해 자주 비춰지면서 보육교사에 대한 나쁜 인식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보육교사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은 다른 전문직들에 비해 장시간의 근무, 낮은 임금, 열악한 복지혜택으로 인해 과거부터 진행되어 왔다(김은숙, 오현경, 2013). 직장어린이집 교사도 보육교사로서 이러한 낮은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심적 고충을 겪고 있었다.

    김은숙, 오현경(2013)은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낮아진다고 하였다. 이는 사회적으로 보육교사를 신뢰, 관심으로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록 보육교사의 자신감과 업무만족도가 상승하며 반대로 사회에서 보육교사를 의심하고 부정적이며 냉소적으로 대할수록 성취감이 감소되고 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현 시대의 보육교사에 대한 좋지 못한 인식은 직장어린이집 교사들로 하여금 자존감을 낮추고 업무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바람

    1) 현실적인 근무시간을 위한 인력충원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어려움에서 나타났던 것과 같이 교사의 근무시간에 대한 개선은 교사들의 바람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교사들은 많은 업무에 비해 긴 보육시간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근무시간에 대한 바람을 이야기 하였다.

    교사들은 근무시간의 단축 보다도 교사의 여유로운 업무시간에 대한 바람을 이야기 하였다. 이는 근무시간 초과의 원인이 긴 보육시간과 많은 업무량이라는 것을 교사 스스로도 알고 있으며, 이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 단순한 시간의 단축이 아닌 업무를 효율적으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직장어린이집의 특성상 영유아 보육시간이 지금보다 줄어드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근무시간을 단축하기 보다는 법정 근무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해결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현재 오랜 시간 영유아를 맡길 수밖에 없는 학부모의 상황이나 이러한 부모의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는 시설의 상황을 교사들 모두 잘 인지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타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방식은 다르지만 2명의 교사가 교대근무를 하거나 보조교사를 활용하는 것으로 노동력의 추가 지원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전문가로서 받아야 할 급여와 복지

    직장어린이집은 사업주가 다양하듯이 그에 따른 재정규모나 교사에 대한 임금 정책, 복지, 처우에 대한 부분이 각양각색이다. 기업마다 내부규정이 달라 다른 보너스나 수당이 책정되지만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이 함께 바라는 것은 급여 수준의 상승과 복지혜택의 확대, 보육 전문가로서 받아야 할 처우의 개선이었다.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스스로를 전문직에 종사한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전문가로서의 대우를 받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권영미(2014)는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급여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이야기 하였다. 이처럼 교사들은 스스로의 직무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로서 받아야 할 충분한 급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하였다.

    현재 보육교사들의 급여는 시설의 원 운영비에서 지출되는 상황이어서 보육현장에서는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경력이 낮은 교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연구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평균 경력은 5년 4개월이라고 한다(나정 외, 2006). 그러나 보육의 질과 보육교사간의 관련성을 제시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보육교사가 교육경험을 많이 가지고 있고 적절한 경력을 가지고 있을 때 보육 프로그램이나 보육교사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유희정 외, 2004; 이경선, 2000; 서경숙, 2007). 이처럼 현장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갖춘 보육교사가 전문직 종사자로서 그에 따른 올바른 처우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 교사들의 바람이다.

    정은영(2012)은 보육교사들이 일하는 여성을 위해 존재하면서 일하는 여성들이 누리는 국가적 서비스로부터 많은 차별을 겪고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직장보육시설 교사들도 일하는 여성을 위해 설립된 기관에 재직하고 있으면서 여성으로서 누리는 서비스 중 하나인 생리휴가를 이용하지 못하고 돌보는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은 항상 신경쓰면서 정작 자신의 건강을 돌보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달라졌으면 하는 바람을 나타냈다.

    3) 사회 인식 개선을 위한 보육교사 자격강화

    직장어린이집의 교사들은 어려움 중 하나로서 낮은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이야기 하였다. 때문에 다음과 같이 사회적 인식이 바뀌기를 바라고 전문가인 보육교사로서 사회적으로 인정받기를 바랐다.

    교사들은 보육교사에 대한 인식이 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육교사 자격강화에 대해 요구하였다. 보육교사 자격증을 쉽게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쉽게 보육교사가 될 수 있다는 것이고 그러한 자격증의 남발은 보육교사 전체의 질을 떨어뜨린다고 인식하였다. 때문에 보육교사 자격의 강화로 보육교사들의 수준을 전체적으로 높이고 그에 따른 사회적 인식이 전문가로서의 보육교사로 바뀌기를 바라는 것이었다.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자격기준을 강화할 것을 요구하였고, 또한 인턴제도와 같이 사전 검증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 기준을 높이고 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위치를 높이는 것을 바랐다. 또한 앞에서 말한 것들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야기 하였다.

    보육교사의 전문성 제고에는 정책과 관련한 제도적 요인들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한 제도적 요인으로는 교사 양성과정, 자격기준, 수요와 공급, 재교육과정, 근무여건, 사회적 인식 등을 들 수 있다(이미화 외, 2006; 김은설 외. 2010). 때문에 이러한 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위해서는 자격기준의 재설정이 필요하다.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유형의 보육시설 중 현재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 직장어린이 집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근무하며 겪는 다양한 고충과 그에 따른 바람을 들어봄으로서 직장어린이집이란 특수성을 가진 곳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근무환경에 대한 문제 점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해결 방안을 찾아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하여 논의하고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의 어려움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직장보육시설은 시설의 특성상 영유아들의 보육시간이 길고 교사가 근무하는 거의 모든 시간을 보육하며 아이들과 함께 보낸다. 때문에 교사들은 부모님의 출근시간 전 출근을 하고 퇴근시간 후 퇴근을 하며 긴 시간을 근무하거나 보육업무 외 다른 업무를 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 아이들이 하원 한 후 퇴근시간이 지나서도 업무를 하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노총 중앙연구원의 2012년 자료에 의하면 노동자가 초과근로를 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으로 업무량이 근무시간에 처리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고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나타난 원인은 업무의 특성상 정규 근무시간 외에 수행해야 하는 업무가 있다고 나타났다. 위의 두 가지 원인은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이 장시간 일하게 되는 원인과 같은 것으로 근무시간 중 다른 업무를 처리할 수 없이 오직 아이들을 돌봐야 하는 보육업무 시간이 근무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다보니 그 외의 수많은 업무를 처리할 수 없고 이는 자연스럽게 초과근로로 나타나게 되어 교사들로 하여금 보육교사 업무 수행에 있어 고충으로 느껴지게 되었다. 현재 근로기준법 제59조에는 업무의 특성상 필요한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에 대하여 근로자 대표와 서면합의 한 경우에는 1주 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하게 하거나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고 되어있다. 보육시설은 사회복지사업으로 위의 기준에 포함되어 보육교사는 1주 12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를 하고 휴게시 간을 보장받지 못하여도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재욱(2014)은 연구에서 이러한 법문은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개선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근로 시간과 노동의 질, 노동자의 건강 및 안전이 상관관계가 있음을 고려한다면 보육교사의 근로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법제화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보육교사 인력 충원은 경력교사의 재취업률이 낮은 보육교사들의 취업률 향상과 국가에서 권하는 시간제 일자리 창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보육 외 기타업무에 있어 고충을 토로하였다. 보육 외해야 할 서류업무가 많다보니 정작 중요한 보육업무에까지 소홀하게 된다는 점을 이야기 하였다. 보육교사는 보육업무 외에도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사무업무, 행정업무, 상담업무 등 다양한 보육 외 업무가 있다. 이러한 보육교사의 많은 다양한 업무에 더불어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공모전 참가나 프로그램 개발, 보고서 작성으로 추가적인 업무를 진행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장에 보급하고자 하는 의도나 좋은 아이디어를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고 노력한 교사를 칭찬하고자 한 본래의 취지는 잊혀진 채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이를 또 하나의 업무로 여기고 일이 늘어났다고 느꼈으며, 교사들은 공모전 참가나 프로그램 개발, 보고서 작성의 원인을 직장어린이집은 위탁을 받는 곳이기 때문에 외부에 ‘잘 보여야’해서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이 공모전 참가나 프로그램 개발, 보고서 작성을 외부의 시선 때문이라고 여기게 된 것은 직장어린이집의 특성상 외부에 보고하거나 감사 받는 일이 많고 그것을 위한 서류작성이 원인이다. 또한 공모전 참가나 프로그램 개발, 보급은 문서로 정리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교사로서 정작 중요한 보육업무의 실행은 소홀해지고 서류, 문서업무가 늘어나 이를 보육활동과 연계하여 긍정적으로 활용하기 보다는 당장 눈앞에 닥친 사무업무를 해결하는 데 급급하여 본래의 의미가 퇴색된 것이다.

    강문숙, 황해익(2008)은 연구에서 보육교사는 총 146개의 직무를 수행하며 그 중 보육 교사의 직무 영역 중 보육 활동 실제가 28개, 사무 관련 업무가 26개로 보육교사의 업무 비율 중 가장 중요한 업무인 보육 활동 실제만큼 사무 업무도 많다고 하였다. 그만큼 보육교사는 많은 사무업무를 처리하고 있으며 직장어린이집 교사는 과중한 업무에 추가적으로 공모전 참가나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교사의 직무부담 가중과 비본 질적 업무의 증가는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저하시키고, 결과적으로 우수 인재가 교직을 떠나도록 하는 동인으로 작용한다는(정영수 외, 2012) 연구에 비추어 보았을 때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인력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공모전 참여 및 프로그램 개발은 교사들과 협의를 통해 결정하는 노동자와 사측의 협의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직장보육 시설의 설립목적은 직장에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근로자가 안정감 있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자 하는 것이다. 때문에 학부모는 어린이집을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생겨난 서비스라고 인식하고 직장어린이집의 교사들을 하급 직원 처럼 대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직장보육시설은 직장 내에 위치하여 부모의 간섭을 많이 받는다는 유현정(2003)의 연구 결과나 보육시설 종사자들도 부모들을 위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는 송경섭(2006)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부모들의 태도는 교사들로 하여금 자존감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나타내게 되었다.

    부모와 교사는 아이를 양육함에 있어서 상호협력적 관계이며 특히 아이를 장시간 보육 하는 직장보육시설의 교사는 그 역할이 더 중요할 것이다. 교사들의 자존감이 낮아지고 직무 스트레스가 늘어난다면 이는 보육활동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교사로 하여금 부모와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 심리적인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어색하고 불편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사소통은 상대방과의 관계 형성이 있어 부정적인 역할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관계형성은 교사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 받고 아이에 대해 상담하며 자주 의사소통을 하게 될 학부모에게 있어서도 불편한 상황이 될 것이다. 때문에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윤미(2010)는 연구에서 부모들은 교사들을 교사와 부모의 관계보다는 복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자로 여기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때문에 이러한 학부모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설치기업에서는 보육시설을 직원들에게 복지차원으로서 제공하는 서비스로서의 측면에 대한 홍보 보다는 질 좋은 보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독립된 보육기관으로서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비단 자신들에 대한 시선만이 아닌 보육교사에 대한 전체적인 낮은 사회적 인식에도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어린이집의 교사들 또한 다른 유형의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보육교사와 같은 보육교사 직군에 포함되어 있고 전체 어린이집 중 직장어린이집이 1.4%의 비율(이주연, 윤정민, 2014)로 전체에 비해 미미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직장어린이집의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여 다른 보육교사와 동등한 사회적 인식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전문가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사람들에게 전문적인 직업이 아닌 누구나 할 수 있는 쉬운 일인 것처럼 인식되고 아이를 학대할지도 모른다는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들은 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직업에 대해 자긍심을 떨어트리고 존중받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도록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인식에 따라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준다는 서홍숙(2014)의 연구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박지현(2006)은 연구에서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스트레스 지각 수준이 낮으며, 자기효능감이 강할수록 스트레스 지각 수준이 낮다고 하였다. 같은 맥락으로 김리진, 홍영애(2013) 또한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보육교사 업무에 따른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진다는 것을 이야기 하며 양질의 보육환경으로 보육교사는 업무환경이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보육교사의 개인내적 특성인 자아기능과 심리적 만족감을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이야기 하였다.

    이처럼 보육교사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이 그들을 불신하고 의심하여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이 낮을수록 교사들이 느끼는 스트레스 수준은 높아질 것이며, 곱지 않은 사회의 시선에 따른 자기효능감 저하도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느끼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사의 자아기능과 심리적 만족감을 높이는 것은 양질의 보육환경으로 가기 위해 업무환경이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때문에 보육교사에 대해 지지하고 신뢰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다양한 정책이나 언론의 순기능이 필요하다.

    둘째,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의 바람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우선 근무시간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바람을 이야기 하였다. 현재의 직장어린이집 근무시간은 다른 유형의 보육시설에 비해 장시간의 보육활동으로 인해 교사가 수업준비나 사무업무 등의 보육업무 외의 기타업무를 실행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때문에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안으로 보조 교사의 지원이나 보육교사 인력의 충원을 제안하였다.

    보육교사의 생활만족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 이상 교사 개인의 문제로 맡겨두기보다는 보육교사가 보육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여러 스트레스원을 경감할 수 있는 실질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권연희, 2013). 특히 보육시설의 인력충원과 같은 행,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교사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국가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때문에 국가에서는 직장 어린이집의 확대 및 보육환경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의 근무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보조교사 지원이나 보육료 자율화와 같은 행, 재정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스스로 전문직에 종사하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문가로서 받아야 할 정당한 급여와 복지체계가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자격증을 취득해야 근무할 수 있는 전문직이지만 타 직종에 비해 낮은 임금은 교사로 하여금 자신이 받아야 할 충분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느끼게 하고 있었다. 더군다나 경력이 높아질수록 운영자들은 운영비 때문에 채용하기 꺼려하는 현 세태와 호봉 간 낮은 격차는 교사들이 오랜 기간 동안 보육시설에 근속하고 풍부한 교육경험으로 높은 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된다고 하였다. 때문에 전문직으로서 받아야 할 충분한 급여가 필요하며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갖춘 보육교사가 전문직 종사자로서 대우받아야 한다고 이야기 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보육교사가 바라는 점일 수 있다. 그러나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여성 직장인들을 위한 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또 다른 여성으로서 상대적으로 좋은 복지혜택을 받고 있는 학부모와 직장보육시설 교사인 자신의 상황이 대조되며 그것이 바람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와 같은 맥락으로 박근영(2011)의 연구에서는 민간보육시설의 교사와 직장보육 시설 교사의 보수에 대한 만족도가 비슷한 평균점수로 낮게 나타났으며, 보수가 학력, 경력, 능력을 고려해 볼 때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더 많은 보수를 받을 수 있는 타 직종이 나타나면 이직할 의사가 있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있는 교사의 확보와 그에 따른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라도 정부차원에서 자격과 대우를 현실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여성들이 많이 근무하는 직종으로서 타 직종의 여성들이 누리는 국가적 서비스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국가적 지원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그들 또한 수많은 보육교사들 중 하나로서 현재 사회적으로 보육교사의 사회적인 인식이 낮음을 느끼고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되기를 바라며 그 방안으로 보육교사 자격기준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이 개선되기를 바라며 보육교사라는 직업을 전문가로서 인정받기를 원하는 직장 어린이집 교사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육교사 자격기준의 강화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 라고 이야기 하였다. 교사 스스로 전문직임을 깨닫고 전문성을 길러 강화된 자격기준에 따라 자격이 미달되는 교사가 선별되어야 한다는 것을 느끼고 있었던 것이다. 최수아(2005)는 연구에서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는 자신의 역할수행에 있어서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공민정(2011)도 연구에서 직장보육시설 교사는 질 높은 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을 위해 정기적인 교사 연수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는 것을 이야기 하였다. 직장어린이집의 보육교사들은 자신의 역할수행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그만큼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전문적인 지식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김현숙 서병선(2008)은 연구에서 보육교사는 가장 작은 수의 과목이수로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이 되었으며, 비전공자라 할지라도 쉽게 자격증을 따서 보육의 핵심 현장으로 진입하는 데 아무런 여과장치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직업현장이다 보니 보육의 전문성 확보가 되지 않고 전공자의 보호 장벽도 없는 유일한 자격증이라고 이야기 하였다. 실질적으로 자격을 취득하는 데 전문성 확보의 검증단계가 부족하고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구분이 희미하다 보니 사회적 인식으로도 보육교사라는 직업이 전문성이 떨어지고 급여나 처우도 낮다보니 좋은 직업으로 여겨지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 자격취득의 진입장벽을 높여 전문 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검증단계를 거쳐 보육교사로서 전문성이 있는지, 질 높은 보육을 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어려움과 바람에 대해 알아보았다.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본인이 보육교사이면서 직장어린이집이라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보육교사로서, 직장어린이집 교사로서 동시에 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바람을 이야기 하였다. 때문에 여러 유형의 어린이집들 중 직장어린이집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그에 따른 특별한 어려움이나 해결방안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유형별 어린이집의 특성을 이해하고 여러 유형의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보육교사들의 어려움과 바람을 알고 그에 따라 다른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마련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로서 유형별 어린이집 교사들의 어려움과 바람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그 속에서 느끼는 다양한 생각들을 들어보고자 심층면담으로 진행되었다. 교사들은 어려움을 이야기 하며 그에 따른 바람을 이야기 하였고 이러한 바람을 이루고자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후속 연구로 이러한 제안들이 현실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행정적 재정적 도움 방법이나 제도적 개선 방향등 구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강 문숙, 황 해익 (2008)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내용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4 P.57-80 google
  • 2. 공 민정 (2011) 직장보육시설과 일반보육시설 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보육교사, 보육교사, 부모의 인식. google
  • 3. 권 연희 (2013) 보육교사의 생활만족에 대한 조직풍토,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Vol.74 P.131-151 google
  • 4. 권 영미 (2014)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google
  • 5. 김 리진, 홍 연애 (2013)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P.55-74 google
  • 6. 김 선희 (2001) 직장탁아 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google
  • 7. 김 은설, 안 재진, 최 윤경, 김 의향, 양 성은, 김 문정 (2010) 보육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google
  • 8. 김 은숙, 오 현경 (2013)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전문성 인식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의 관계 연구. [한국한부모가정학] Vol.6 P.27-48 google
  • 9. 김 정호 (2013) 직장보육시설과 여성의 고용안정. [노동정책연구] Vol.13 P.127-154 google
  • 10. 김 주미 (1995) 보육서비스가 취업모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google
  • 11. 김 현숙, 서 병선 (2008) 보육료지원체계 개편방안연구. 연구보고. google
  • 12. 김 현주 (2004) 직장보육시설 이용 만족도가 취업모의 직무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google
  • 13. 김 효민 (2002) 취업모의 직장 및 비 직장 보육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에 관한 연구. google
  • 14. 나 정, 서 문희, 이 미화, 김 문정 (2006) 2004 전국보육 교육 실태조사 자료 심층분석. google
  • 15. 남 주현 (2003)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를 중심으로. google
  • 16. 민 혜영, 윤 미정 (2011)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P.147-168 google
  • 17. 박 근영 (2011)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교사 직무만족도 및 학부모 만족도. google
  • 18. 박 금숙 (1998) 취업모의 직장보육에 관한 요구조사 연구: 광주광역시 전문직?사무직을 중심으로. google
  • 19. 박 지현 (2006)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google
  • 20. 박 찬옥, 조 현정 (2006) 부모와 교사가 인식한 직장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Vol.44 P.1-18 google
  • 21. 서 경숙 (2007) 보육교사직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google
  • 22. 서 홍숙 (2014)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집단자존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3. 송 경섭 (2006)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google
  • 24. 신 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5. 유 현정, 서 영숙 (2003) 직장보육시설의 근무환경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아동연구] Vol.17 P.60-82 google
  • 26. 유 희정, 이 미화 (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google
  • 27. 윤 기설 (2014) 근로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google
  • 28. 이 경선 (2000) 보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연구. google
  • 29. 이 근주 (2011)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Vol.15 P.75-94 google
  • 30. 이 미화, 장 명림, 신 나리, 김 문정, 김 현철 (2006) 육아지원인력의 수급전망과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google
  • 31. 이 미정 (2009) 보육교사 자격제도 개선 방아. [한국보육학회지] Vol.9 P.113-128 google
  • 32. 이 윤미 (2010) 직장보육시설의 조직문화 탐색. google
  • 33. 이 윤미, 박 선영 (2010)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부모관계의 특질. [영유아교육학논집] Vol.4 P.69-91 google
  • 34. 이 정민, 윤 정민 (2014) 직장보육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지] Vol.5 P.63-85 google
  • 35. 이 화경 (2011)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 google
  • 36. 정 영수, 김 숙이, 김 이경, 김 민희 (2012) 직무분석을 통한 교원의 적정 업무량 산정 방안.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P.397-420 google
  • 37. 정 은영 (2012) 보육교사의 일과 양육 병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google
  • 38. 최 수아 (2005)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조사 연구. google
  • 39. 황 해익, 김 미진, 탁 정화 (2012)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P.313-335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 참여자들의 배경
    연구 참여자들의 배경
  • [ <표 2> ]  자료수집 방법 및 수집된 자료
    자료수집 방법 및 수집된 자료
  • [ <표 3> ]  면담의 준거 및 내용
    면담의 준거 및 내용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