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The Change in the Father’s Role through the Enneagram Emotional Leadership Program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통해서 본 아버지 역할의 변화
  • 비영리 CC BY-NC
ABSTRACT
The Change in the Father’s Role through the Enneagram Emotional Leadership Program

본 연구는 아버지의 감성리더십이라는 부모역량을 증진시키고자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감성리더십의 각 영역에서의 하위요인 중에서 아버지 역할에 해당되는 구인을 문헌고찰을 거쳐 전문가 내용타당도로 영역별로 선별하여 추출하였다. 감성리더십 증진을 위해 선별된 아버지역할 구인은 자기 감성력의 이해, 책임감, 공감 그리고 대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11월 27일부터 2010년 12월 18일까지 예비아버지를 포함하여 아버지 9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총 8시간 8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참여한 아버지들의 단계별 변화과정과 각 구인별로 나타나는 변화내용과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들의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의 변화는 반성적인 사고를 통해서 나타나며, 감성리더십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는 진행 중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변화과정은 아버지 역할과 나의 감성을 읽는 지혜, 내안의 보물 다스리기와 타인 입장 이해하기, 자녀와의 대화로 사랑과 행복한 가족으로 향하기였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전·후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감성리더십의 각 구인별 변화내용은 자기 감성이해력의 이해, 책임감, 공감, 대화능력기술이 향상되었으며, 그 경험은 자기 감성력을 이해하기, 아빠는 아이의 장래의 모습이며, 아이 표정이 환해지고, 경청과 맞장구를 치게 되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
Emotional Leadership , Enneagram , Emotional Leadership Program , Father’s Role
  • Ⅰ. 서론

    최근에 한 아동이 작성한 ‘아빠는 왜’라는 시가 화제가 되었다. 간략히 보면 엄마는 있어 좋다. 나를 이해해 주어서, 하지만 아빠는 왜 있는지 모르겠다는 내용이다(조선일보, 2011년 6월 8일자). 한 아동의 시가 말해 주듯이, 가족 내에서 자녀들은 아버지의 존재감을 거의 느끼지 못하고 아버지들은 점차 소외되어져 가고 있다. 이런 사회의 현실 속에서 아버지들은 부모로서 자녀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즉 부모의 역할에 대해서 고민하고 반성해 보아야 한다. Cowan(1988)에 의하면 남성은 보통 아버지가 되면서 자신의 인생을 재검토하고, 자기 존재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등 일상에서 한 발 물러나 자신의 삶을 관찰하는 기회를 갖는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아버지들은 부모로서 시대가 요구하는 자신의 역량을 강화시켜 자녀에게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전통적인 가정에서는 자녀양육과 교육이라는 부모역할을 주로 어머니가 담당하였지만 현대사회에서는 핵가족화와 여성의 경제적인 사회진출 등으로 인해 아버지들도 어머니 못지않은 부모역할이 강조되고 있다(김정옥‧정영숙, 2003: 142; Hobson, 2002; Palkovitz, 2001). 그동안 사회적으로 자녀양육에서 배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는 아버지들에게 자녀양육의 책임을 부여하는 것이며 미래시대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엄격한 이분법적인 부모역할 분담은 이제 크게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인 변화 속에서 부모역할의 변화와 더불어 부모-자녀관계에서도 새로운 인식과 전환이 요구된다. 부모는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은 최근 조직에서 새로운 사회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는 출발에서이다. 조직의 변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여러 변인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직의 리더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직에서 사용하는 리더십의 개념과 원칙들을 가족과 부모-자녀관계에 적용하여 해결하려는 움직임들이 나타나고 있다(이소희, 2008a).

    훌륭한 리더십1)은 조직 상황 속에서도 필요하지만 가족 안에서도 훌륭한 리더십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이소희, 2008a). 특히 가족 안에서 부모는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는 관계적 존재이며, 이러한 특성을 지닌 리더십은 가족 집단 및 부모-자녀관계에서 적용될 수 있다(이문용 외, 1988). 가족 내에서 가족관계의 핵심인 부모는 조직에서와 마찬가지로 리더십이 필요하며, 이렇듯 자녀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부모리더십이라고 한다(이소희, 2008a). 부모는 부모리더십을 발휘하여 자녀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자녀의 모델이 되어 자녀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도적인 역할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훌륭한 부모는 가족 내에서 자녀에게 가치관의 형성, 생활 태도 등 여러 영역에서 영향을 주어야 하며, 자녀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모델이 되어 자녀를 이끄는 지도적인 존재여야 한다.

    최근에는 조직에서 지도자의 리더십에 대한 관점에서 기술적인 능력보다도 감성적인 면이 부각되고 있다. Tran(1998)에 의하면 그동안의 조직연구에 있어서는 감성적인 면보다도 합리적이고 규범적인 면들이 연구의 주류를 차지하였지만, 최근의 동향에서는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 감성이라는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신동한, 2009).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일종인 감성리더십은 리더의 감성지능 역량의 중요성과 함께 최근에 주목을 받기 시작하게 되었다(Colins, 2001).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2003)에 의하면 유능한 지도자들은 높은 수준의 감성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리더십 발휘에 있어서 지능도 중요하지만 감성능력의 중요성은 더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부모의 감성리더십은 부모-자녀관계로서 서로에 대한 이해와 공감, 사랑이 전제되어 있는 조직이라는 점에서 어쩌면 당연시되어 왔던 것으로 비추어졌다. 하지만 사회의 변화로 인한 가족의 바쁜 일상생활, 가족의 개인주의적인 경향성 등 다양한 사회적 변인으로 가족 간의 대화 단절로 인한 이해부족 등을 초래하는 현실을 볼 때, 어느 때보다도 부모의 감성리더십 발휘는 중요하다. 특히 그동안 어머니에 비해 자녀양육의 부모역할에서 배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는 아버지들에게 감성리더십2)은 더 필요하다.

    리더십의 기본적인 출발이 자기 자신에서 비롯(조성환, 2004)되듯이 감성리더십 역시 마찬가지다. 감성리더십은 자기 자신의 이해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러한 사실은 동서고금의 리더십의 역사를 들추어보아도 어김없는 사실이다. 동양에서의 말을 빌자면 수신(修身)을 하라는 말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감성리더십은 리더 스스로가 먼저 자신의 내면을 깊이 있게 성찰하는 데서부터 시작하여 다른 사람의 감성 및 욕구를 이해하고 배려함과 동시에 서로가 함께 추구해 가야 할 지향점으로서 공동의 선을 찾아 이를 향해 자연스럽게 구성원들을 리드할 수 있는 능력이다(이화용, 2005). 부모-자녀관계에서 훌륭한 리더로서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것이 바로 감성리더십이다.

    Ginger(2008)에 의하면 이러한 감성리더십의 개발에 있어 고대의 심리학적이며 인간 이해를 위한 에니어그램은 감성지능을 개발하기 위한 가장 강력하고 통찰력 있는 유효한 도구로 이용된다. 에니어그램은 인간의 내면의 깊이를 제공하며 특히 자신과 타인에 대해서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김환영‧박혜영 역, 2008). 한편 에니어그램은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자신의 성격패턴을 인식하고 자신을 정직하게 탐험하려는 용기에 의해 우리를 영혼의 깊은 곳으로 안내해 주는 도구이기도 하다(주혜명, 2000). 무엇보다도 에니어그램은 성과 인종을 초월하여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부모에게도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에니어그램의 도구를 활용하여 감성리더십을 개발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감성리더십을 다룬 최근까지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조직연구에서 지도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은 조직성과와 조직학습, 조직 감성, 조직몰입 등의 조직 변인에 대한 영향을 다룬 연구가 대부분이다(이화용, 2004; 정현영, 2006; 이석열, 2006; 장경성, 2006; 이미라, 2007; 강경석‧김철구, 2007; Tran, 1998; Goleman, D., Boyatizis, R. &, McKee, A. 2002). 또한 조직과 기업부분의 연구(이화용, 2004; 정현형, 2005)와 학교조직에 적용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이미라, 2007; 강경석‧김철구, 2007; 최현우, 1997; 김화자, 2001; 곽상기, 2004; 김재덕, 2006)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제까지 에니어그램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 중에서 부모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해서 보면 부모의 양육태도(황경란, 2005)와 자녀와의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황정희, 2008)에 관한 연구가 있으며, 자기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에니어그램에 대한 워크숍의 연구(김병채‧김영복, 2000; 60)결과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타인의 입장에서 보게 되면 타인에 대한 이해 폭이 넓어지고 대인관계도 향상된다는 연구가 있다. 하지만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부모교육프로그램에서 감성리더십을 다룬 연구는 없는 실정이며, 특히 아버지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을 활용해서 감성리더십을 다룬 연구는 이제까지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부모-자녀관계에서 자녀양육자로서 아버지의 부모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에니어그램을 활용해서 아버지를 대상으로 감성리더십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조화하는 것은 부모교육의 실천적인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체계적인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아버지들이 자녀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자녀와의 인간관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서 아버지들의 역할에서의 변화과정과 그 내용에 대해서 탐색하고자 하며,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을 택한다. 질적 연구방법은 실제로 어떤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의 시각으로부터 살아있는 경험에 대한 이해를 얻음과 동시에 그들의 삶으로부터 어떤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활용된다(Padgett, D. K, 2001). 아버지의 역할에서의 변화는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서 드러나는 그들의 언어 속에서 드러난다.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며, 아버지 감성리더십프로그램에 참여한 그들이 참여하기 전 아버지역할에 대한 인식과 프로그램 참여 후 아버지역할에 대한 변화와 경험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밝혀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리더십과 관련된 아버지의 역할을 구성해보고,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해본다.

    둘째,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아버지 역할에서의 변화과정과 경험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탐색해보고자 한다.

    1)훌륭한 리더십은 정치, 경제, 사회 조직의 성장과 안녕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왔다(이문용 외, 1988 재인용). 훌륭한 리더십은 조직의 사명을 확립하게 하고, 최종 목표가 달성되게 하며,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중요한 결정과 세부목표들을 성취하도록 한다. 한편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어 개인의 성장과 발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훌륭한 리더십은 조직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2)본 연구에서의 감성리더십은 남성‧여성의 이분적인 성격관점에서 논의되는 것이 아니라, 부모역할에서 논의되는 리더십의 일종이라 볼 수 있는 감성리더십으로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게 필요하며 교육되어져야 한다는 관점이다.

    Ⅱ. 이론적인 배경

       1. 아버지 역할과 감성리더십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2002)는 감성리더십을 리더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구성원의 감성 및 필요를 배려함과 동시에 조직의 구성원들과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조직의 감성역량을 높이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2002)가 정의한 감성리더십의 기본 요인은 4가지 기본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4가지 구성요인은 자기인식 능력(Self-Awareness), 사회적 인식 능력(Social-Awareness), 자기관리능력(Self-Management), 관계관리능력(Relationship-Management)이다.

    첫째, 자아의식 능력은 자신의 감정을 헤아릴 줄 알고 자신이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 분명히 아는 것을 일컫는다. 곧 자신의 감정, 능력, 한계, 가치, 목적에 대해서 깊이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자아인식의 능력을 갖춘 리더는 자신의 가치, 목표, 꿈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 자기인식능력이 투철한 리더는 자신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결정을 내리기에 자신들의 일에 열정을 가지고 임하며, 충동적으로 행동하기 전에 자신의 결정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2).

    둘째, 자기관리능력은 자기인식에서 비롯되며, 리더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갖춰야 할 보다 구체화된 힘이다. 자기관리능력은 자기 자신과 나누는 내면의 대화라고 할 수 있으며, 우리가 감정의 노예가 되지 않도록 하는 감성지능의 한 요소이다. 한편 그것은 리더십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우리를 정신적으로 깨어 있게 만들고 우리의 힘을 한곳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2). 리더십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흔들리는 마음을 다스리고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인식능력은 감정이입의 능력이다. 이는 다른 사람의 얼굴과 목소리를 통해 그 사람의 감정을 읽어내고 대화 도중에 상대방의 감정에 동조하는 능력을 말한다. 감정이입의 능력은 공감을 불러일으켜야 하는 리더의 과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정한 순간에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 것에 동조함으로써 리더가 그에 알맞은 말과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다른 사람의 관점에 귀를 기울이고 받아들이는 감정이입을 통해 리더는 사람들의 감성적 채널에 주파수를 맞추게 되고 그리하여 공감을 불러일으키게 된다(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2).

    넷째, 관계 관리능력은 자기인식, 자기관리, 감정이입의 세 가지 요소가 결국 하나로 엮어진 것이다. 관계를 잘 관리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다룬다는 말이다. 이를 위해 리더는 자신의 감성을 자각하고 있어야 하며, 감정이입을 통해 자신이 이끄는 사람들의 감성에 파장을 맞출 수 있어야 한다. 한편 관계관리 능력이 뛰어난 리더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사람들을 이끌어 나갈 수 있다(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2).

    감성적인 리더는 이러한 4가지 영역에서 능력이 뛰어난 리더를 의미하며 이러한 감성적 리더가 발휘하는 리더십이 감성리더십이다. 감성리더십의 구성요소를 제시하면 <표 1>과 같다.

    [표 1] 감성리더십의 구성요인

    label

    감성리더십의 구성요인

    감성리더십은 최근에 조직사회에서 주로 사용되어져 왔지만 부모-자녀관계의 가족에서도 중요한 리더십의 일종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부모-자녀관계에서 감성은 환경 내에서 분화하고 발달하며, 특히 유아기의 정서적 경험은 성장한 이후 감성반응 형태에 영향을 미치고 감성발달의 토대를 형성하게 한다(Goleman, 1995). 자녀의 감성발달은 일차적인 양육자인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많은 영향을 받아 형성되기 때문에 자녀의 감성발달에서 중요한 정서적 환경은 부모라고 볼 수 있다. 나무가 뿌리를 내리고 있는 토양과 태양, 바람, 비에 의해서 모양이 형성되듯이 부모의 여러 가지 태도에 의해 형성된 정서발달은 자녀의 감성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Salovey & Mayer(1996)에 의하면 부모-자녀와의 상호관계에서 부모의 감성관련지식은 자녀 특히 유아의 감성지능의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자녀는 그들의 역할모델인 부모로부터 감정 정보와 감정 경험 등을 처리하고 조절하는 양식을 학습하게 된다. 이를테면 자신‧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배려할 줄 아는 부모에게서 양육되는 자녀들은 그렇지 않은 자녀보다 감성지능이 발달되어 부모와의 관계도 좋으며, 애정적이며, 서로간의 갈등도 적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부모는 자녀의 감성지능의 학습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존재라고 볼 수 있다.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은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리더십은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자녀의 감성발달이라는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변화를 위해서 부모는 역량을 발휘하여 리더로서, 자녀에게 감성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자녀의 역할 모델인 부모의 감성리더십의 개발은 자녀양육에서 중요한 부모 리더십의 한 형태이며, 오늘날 시대가 요구하는 부모역할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부모역할의 모델3)은 자녀양육의 책임은 어머니이며,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어머니가 실질적이고 중요한 양육자로 여겨져 왔다. 어머니들은 가사와 자녀양육 그리고 가족의 정서적 유대관계 등의 ‘표현적 역할’을 담당해 왔으며 반면에 아버지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도구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되어져 왔다(함인희, 1997). 그러나 현대사회로 들어오면서 도시화‧핵가족화의 가족구조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하여 자녀양육의 부모역할이 전통적인 관점의 어머니만이 자녀양육자로서의 표현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그 책임을 져야 하는 것에서 아버지 역시 자녀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녀와 친근하게 상호작용하는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점차 커지게 되었다(이숙현, 서혜영, 2002).

    Biller(1971)에 의하면 아버지가 자녀를 따뜻하게 보살피고, 자녀가 원할 때 함께 행동하는 것은 자녀의 성역할 발달 및 정체감(gender identity)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Sears(1953)의 연구에 의하면, 인형놀이에서 아버지 역할을 자주 맡는 유치원 남아는 따스하고 애정적인 아버지를 둔 아동이었다. 한편 아버지의 양육은 남아의 또래관계에서의 성공과도 관련이 되며, 아이들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도 아버지의 긍정적인 행동을 모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광웅‧ 박성연 역, 1995).

    아버지와 자녀관계의 질은 아동의 정서, 인지, 대인관계 등 다양한 발달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성역할 형태를 학습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는 유아의 인지‧학업 및 지적발달을 도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김광웅‧ 박성연 역, 1995). Parke(1996)에 의하면, 아버지와 신체놀이를 한 유아는 어머니와 신체놀이를 한 유아보다 인지발달이 잘 이루어지며 특히 아들은 인지발달이 잘 되며 딸은 언어적 상호작용이 더 잘된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역할 수행을 자녀의 사회‧정서적발달과 연관지었던 많은 연구들(이인수, 1997; 허선자, 1992; Lamb, 1975; Maccoby & Parke, 1984; Parke, 1995, 1996; McDowell, 2001)에서는 아버지와의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자녀의 사회성‧정서적인 대인관계가 원만하다고 보고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아버지의 부모역할은 오늘날 사회 현실 속에서 자녀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자녀의 상호 작용 속에서 자녀양육자로서의 아버지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 아버지의 감성리더십의 개발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부분이다.

       2. 에니어그램의 이해와 감성리더십

    에니어그램(Enneagram)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에니어(Ennea, 아홉)와 그램(gram, 모형)의 합성어로서(Palmer, 1995: Ginger, 2008), 아홉 개의 점을 갖는 그림을 말한다. 에니어그램4)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성적인 심리학의 한 체계이다(Hurly & Dobson 1990). 에니어그램은 개개인의 독특함을 인정하고 그것에 따라 성격을 아홉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면서 각 유형이 어떻게 다르고, 또 서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 지를 한눈에 보여준다(김현정 역, 2001).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사람들이 갖고 있는 힘의 중심에 따라 세 가지 힘의 중추 즉 본능형, 감정형, 사고형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이 세 가지 유형은 인간의 신체 중심들과 관련되어 있으며, 인간의 성격의 근간을 본능, 감정, 사고로 구분한다. 장 중심(본능중심)은 제1유형, 8유형, 9유형이며, 가슴중심(감정중심)은 제 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그리고 머리중심(사고중심)은 제5유형, 제6유형, 제7유형을 말한다(Perry, 1996).

    본능중심의 사람들은 무게중심이 하복부에 있기 때문에 본능적이고 습관에 따라 행동하고 압도적인 감정은 ‘분노’이며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일에 에너지를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조주영, 2006). 이들은 규율을 잘 지키고, 대중의 개인적인 감정을 거의 고려하지 않으며, 결정과정에서 ‘당연’과 ‘의무’를 가지고 있다. 원칙적이고 비타협적인 이들은 누구의 찬성과 반대에도 개의치 않으며 명확하게 자신의 입장을 표명한다.

    감정중심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예민하며, 상황파악을 잘하는 사회적인 유형이다. 이 유형은 다른 사람과 관계하는 것에 주된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결정과정에서 관여된 사람들이나 자기의 결정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될 사람들을 고려한다(Riso & Hudson, 1996; 우재현, 2002).

    사고중심의 사람들은 관찰, 분석, 비교, 대조의 사고과정을 통하여 상황을 파악하며, 사물을 볼 때 구체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상황 전체를 넓게 본다. 결정과정에서 이들은 자기의 결정이 논리적이고 이성적이며 타당한가 그리고 그것이 권위자와 자기가 속한 단체에서 받아들여지는가에 대해 염려한다. 특히 이들은 문제를 풀거나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권위자가 주는 지침이나 명령을 감사하게 여긴다(이정순 역, 1994).

    에니어그램 이론에 의하면, 사람들은 아홉 가지 성격유형의 모든 요소를 어느 정도 모두 가지고 태어난다. 성장하면서 그중 한 가지가 중심유형으로 굳어지게 되고 나머지 유형들은 날개, 화살, 그림자 유형으로 잠재된다. 한 가지 중심 유형의 안경을 쓰고 살아가면 익숙해서 편할 수 있겠지만 나머지 여덟 가지 유형의 긍정적인 면을 개발하여 나가면 더 유형하고 균형 잡힌 삶을 살아 갈 수 있다(김현정 역, 2001). 하나의 중심 유형은 어느 날개로 기울어졌는지, 어느 화살로 움직이고 있는가에 따라 여러 가지 역동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에니어그램으로 자신의 성격유형을 알게 되면 의도적으로 날개와 화살 유형의 장점과 능력을 취하게 되고, 부정적인 면은 조절하면서 중심 유형의 균형을 잡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삶의 경험은 더 폭넓어지고 모든 일에 유연하게 대응한다.

    에니어그램은 인간의 내적 성장에 대한 갈망을 도와주는 유용한 도구로 평가되며 그 힘은 인간의 본질을 보는 명확한 관점을 제시해주어 스스로가 자신의 자각을 정화하고 자신에 대해 정직해지도록 하여(Rohr & Ebert, 1989). 자신의 내적 발전과정에 개입하도록 도와준다(Rebecca & Rogacion, 1988). 결국 자신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전체적으로 더 깊이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게 한다(Rohr & Ebert, 1989; Baron & Wagele, 1995).

    한편 인간의 9가지 성격유형을 역동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은 다양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부모들의 현재 상태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접근성과 수용성이 용이하다. 건전한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부모 자신의 성격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부모-자녀가 스스로 성장하고 변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이론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감성능력과 리더십의 관계에서 보자면, Wall, B(2007)에 의하면 감성능력은 리더로서 성공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성공한 리더 중에 뛰어난 기술적인 능력으로 인한 경우도 있지만 미래에 리더로서 성공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요소는 감성능력이다(이화용 역, 2007). 감성은 훌륭한 리더를 만드는 데 있어서 가장 믿을 만한 단서이며 그 사람이 리더로서 성공할 수 있을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데 가장 강력한 것이다. Ginger(2008)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감성은 2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자기이해 혹은 자기 자신을 파악하고 받아들이며 자기 관리 및 자기 동기부여를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인간관계 혹은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능력이다(김환영‧박혜영 역, 2008).

    리더로서 감성리더십을 잘 발휘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진정으로 누구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을 아는 것은 곧 인간을 이해하는 것이며 자신을 아는 만큼 타인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고대로부터 발전되어 온 에니어그램의 이론은 Ginger(2008)에 의하면, 하나의 지식체계로서 오늘날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조직변화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리더십 분야에서 감성의 요소를 가장 잘 개발할 수 있는 강력하고 통찰력 있는 유효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감성 리더십을 발휘하는 한 개인으로서 성장하고 발전해 나가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의 에니어그램 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에니어그램 9가지 성격유형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서로 다른 방식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무엇보다 에니어그램 유형은 그 사람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특수한 발달 경로와 관련이 있다(김환영‧박혜영 역, 2008). 개인은 에니어그램에서 하나의 위치 혹은 유형에 속하게 되며, 개인의 성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4가지 에니어그램 유형이 존재한다. 이는 핵심유형의 두 날개와 스트레스 포인트 및 안정 포인트를 말한다. 여기서 날개란 각각의 기본 성격유형의 좌우에 있는 유형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일컫는다. 예를 들자면 제 1유형은 9유형과 2유형의 날개를 모두 가질 수도 있으며, 둘 중에 하나만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날개는 기본 유형과 혼합하여서 기본유형을 변형시킨다.

    스트레스 포인트는 스트레스가 증가할 때 나타나며, 자신의 성격으로 이겨내지 못하면 다른 어떤 유형으로 향하게 된다. 각 유형의 스트레스 방향은 제1유형-제4유형-제2유형-제8유형-제5유형-제7유형-제1유형이며 제9유형-제6유형-제3유형-제9유형의 순서로 나아간다. 예를 들어 제 1유형이 스트레스 방향에 있을 때에는 제4유형의 특성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안정방향은 의식의 성장에 따라 고도의 의식 차원에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의식적인 선택에 의하여 나타난다(Riso & Hudson, 1996) 안정방향은 제1유형-제7유형-제5유형-제8유형-제2유형-제4유형-제1유형이며 제3유형-제6유형-제9유형-제3유형의 순서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서 제1유형이 안정 방향에 놓이게 되면 제7유형의 성격특성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에니어그램은 자기이해를 높이도록 만들어졌으며(Perry, 1996; Palmer, 1995; Riso, 1993), 개인의 성장방향을 제시해주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감성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위한 충분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감성리더십을 갖춘 리더로서 성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아성찰을 바탕으로 한 자신의 내적 발전뿐만이 아니라 타인과의 사회적 역량을 계발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3.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은 감성리더십 구인에 따른 아버지역할로 구성되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의 아버지역할은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2)의 감성리더십 구성요인에 포함되는 각 하위요인 중에서 부모역할과 관련된 것이다. 문헌자료를 고찰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감성리더십의 각 하위요인 중에서 부모역할로서 아버지역할과 일치하는 4가지 구인을 전문가 3인의 내용타당도를 거쳐 아버지 역할로 선별 채택하였다. 각 구인별 채택된 4가지 아버지 역할 및 그 추출근거는 다음과 같다. 자기인식능력의 하위요인으로는 감성이해력(한영진, 2004: 박순덕, 2005), 자기관리능력은 책임감(신용주, 2008: 현미숙, 2003: 한영진, 2004), 사회적 인식능력은 공감(Rossi, A. S. 1984,: 현미숙, 2003: 김응자, 2004), 그리고 관계 관리능력의 하위요인은 커뮤니케이션(Palkovitz, 1997: 김응자, 2004: 박순덕, 2005)으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구인을 바탕으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2]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내용

    label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내용

    3)가족 내 자녀양육에 있어서 아버지의 역할과 어머니의 역할로 엄격하게 구분되어져 온 것은 서구의 자본주의 이후 가족가치관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서구의 자본주의 이후 낭만주의 사상이 가족의 가치관을 지배한 이래 가족은 사랑‧배려‧신뢰‧연대성을 토대로 한 ‘보살핌’이 요구되는 친밀한 관계가 중시되는 공간으로 여겨져 왔다(이재경, 1997).    4)구지에프가 소개한 에니어그램은 칼 융(Carl Gustav Jung)의 집합적 무의식과 일맥상통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집합적 무의식이란 인간의 성격기반을 이루는 것으로 인류의 원초적 경험을 대표하는 원시적 심상의 ‘무의식적 원형’을 말한다. 융의 이론의 특징인 상정주의와 신비주의는 그동안 심리학자에 의해 등한시되었지만, 최근에 이르러 신비주의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면서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융의 집합적 무의식의 역사성과 선천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경기지역의 C유치원에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프로그램에 대한 소개를 한 후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대상자를 우선 목적적으로 표집하였다. 목적표집(purposeful sampling)은 질적 연구에서 탐구 대상이 되는 현상을 가장 직접적이며 연구대상자를 의도적으로 표집 하는 것을 말한다(성태제 ‧ 시기자, 2006).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가능한 한 많은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고자 하였으나, 아버지의 적극적인 참여가 생각보다 그리 쉽지만은 않았다. 예비아버지를 포함하여 아버지들은 대부분 직장에 다니고 있기 때문에 평일은 불가능하여 시간이 허락하는 토요일 저녁,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한 아버지 9명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실시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참여자 1은 29세로 유아체육교사를 하고 있으며, 예비아버지이다. 그는 어릴 때 형들과 힘들게 자랐던 기억을 가지고 있으며, 성격은 에니어그램 1번 유형으로 2번 날개를 사용하고 있으며, 성취욕이 강하고 정직하며, 솔직하다. 참여자 2는 32세로 유아체육교사를 하고 있으며, 예비아버지로서 동료의 권유로 참여하게 되었다. 성격유형은 1번 유형으로 소극적이며 차분하게 연수에 임하는 자세를 보였다. 참여자 3은 32세로 유아체육교사를 하고 있으며, 역시 예비아버지로 동료의 권유로 참여하게 되었다. 성격유형은 7번 유형이며 연수에 참여한 횟수는 한번이다. 참여자 4는 32세의 회사원으로 역시 예비 아버지이다. 형이 전화해서 참석을 권하였으며 동시에 예비 아내가 자녀교육을 위해서 연수에 참여하기를 원해 외조라고 생각하고 연수에 참석하였다. 성격유형은 9번 유형이다. 참여자 5는 36세의 회사원이며, 자녀를 2명을 두고 있다. 큰아이와의 관계가 별로 좋지 않으며, 아내의 권유로 연수에 참석을 하게 되었으며, 자녀와 자신 그리고 아내에 대해서 이해를 하고 싶어서 연수에 참석하였으며, 연수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성격유형은 8번 유형이다. 참여자 6은 38세로 회사원이며, 자녀를 1명을 두고 있으며, 자녀에 대한 관심과 아내에 대한 이해가 높은 편이다.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연수를 회사에서 많이 받아 본 경험이 있으며, 아내의 권유로 연수에 참여하게 되었다. 성격유형은 2번 유형이다. 참여자 7은 42세의 회사원으로 자녀를 1명두고 있으며, 자녀에 대한 관심이 많아 연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내가 에니어그램에 대해서 연수를 받고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권하게 되어 연수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한다. 성격유형은 7번 유형이다. 참여자 8은 32세의 회사원으로 자녀를 2명을 두고 있으며, 아내의 권유로 연수에 참여하게 되었고 연수 참여하면서 자신의 어린 시절을 돌이켜보면서 울기도 하였다. 성격유형은 2번 유형이다. 참여자 9는 33세의 회사원으로, 자녀를 1명을 두고 있으며, 참여 동기는 역시 아내의 권유로 오게 되었고 연수 시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질문도 많이 하였다. 성격유형은 7번 유형이다.

    [표 3]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label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2. 연구 절차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유아를 둔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워크숍 활동을 진행하면서 그들의 아버지 역할의 변화과정과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프로그램 진행에 개입한 상황이기에 최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조 진행자와 함께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가지고 워크숍을 2010년 11월 27일부터 2010년 12월 18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6시부터 8시까지 총 8시간 실시하였다. 진행자는 연구자와 보조진행자 포함해서 3명이었다. 본 워크숍은 4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매 주마다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총 8회기 중 2회기를 실시하였다.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프로그램은 감성리더십의 네 가지 하위요인 즉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사회적 인식 능력, 관계 관리능력에 따라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각 요인에 따라 4주로 나누어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각 요인에 해당하는 아버지의 역할 즉 감성이해력, 책임감, 공감, 대화의 영역으로 나누어 아버지 역할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워크숍의 진행은 각주의 목표를 제시하고, 강의를 하며, 참여한 아버지들과 활동을 하면서 발표와 경험나누기를 하였다. 첫째 주에서 넷째 주까지 프로그램을 가지고 강의를 하면서 서로 자유롭게 자신의 경험을 나누는 식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주 마지막에는 경험보고서를 작성하게 하였다. 경험보고서의 양식은 반구조화된 질문지와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주에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역할변화와 그 내용에 대한 연구대상자의 경험과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해서 각 구인별 총체적인 대화형식의 면담을 워크숍 중에 실시하였으며, 그들의 면담내용을 녹취하여 자료를 풍부하게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반구조화된 질문지인 경험보고서, 면담을 통해서 프로그램 참여자의 자유로운 생각과 감정을 최대한으로 끌어내어 아버지 역할에서의 프로그램 단계별 변화과정을 알아보고 프로그램 참여 전‧후 변화와 그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그들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는 워크숍을 통해 나타나는 참여자들의 반응과 표정 및 전체적인 분위기에 대한 관찰, 회기 중에 작성한 활동지 그리고 경험보고서와 워크숍 중에 실시되었던 면담의 자료를 중심으로 감성리더십의 변화와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워크숍 중에 기록한 참여노트와 연구 참여자가 작성한 활동지 및 경험보고서와 수집된 면담의 자료를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반복해서 읽었으며, 참여자들이 자신의 감정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었던 주요 표현이나 반복해서 드러나는 부분들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자료를 범주화하고 주제별로 정리하면서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구자는 Guba와 Lincoln(1985: 314, 316)이 제시하는 연구 참여자의 확인(member checks)5)과 최대한 상세한 묘사(thick description)6)를 사용하여 독자가 읽었을 경우, ‘아하’가 나올 수 있도록 연구의 진실성7)을 높이고자 하였다.

    5)Guba와 Lincoln(1985: 314)은 참여자의 확인(member checks)의 방법은 신빙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기법이라고 하였다.  6)풍부하고 상세한 기술은 독자들이 전이가능성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한 기술을 통해 연구자는 독자들로 하여금 정보를 다른 세팅에 옮길 수 있도록 하고 연구결과가 공유된 특성들 때문에 옮겨질 수 있을 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Lincoln & Guba,1985: 316).  7)Lincoln & Guba(1985: 294; 1986: 73)는 타당도(validity)의 용어 대신에 진실성(trustworthiness)이란 용어로 대체하였으며, 진실성이란 독자들이 연구 결과의 가치와 진정성을 인정하고 믿어주는 정도를 말한다.

    Ⅳ. 연구결과

       1. 프로그램 참여단계에 따른 변화과정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변화과정을 보기 위해 프로그램의 도입단계‧중기단계‧종결단계에 따라 구분해서 살펴보았으며, 각 단계별로 나타나는 참여자들의 변화과정은 단계별 범주화된 경험과 주제에 따른 참여자의 변화내용이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먼저 자신의 감성을 이해하면서 현재 자신의 모습을 생각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자녀의 감성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들이 그림으로 표현한 아버지 역할에는 자녀에 대한 사랑뿐만 아니라 가족의 행복을 위하는 마음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성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요구되는 아버지 역할들의 습득은 결국 감성리더십을 드러내는 종합적 성격이라 할 수 있는 자녀와의 의사소통 기술인 대화를 통해서 표현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고, 참여자들은 자신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인식과 변화는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서 변화하고 있는 과정 중이라고 하였다.

    1) 도입단계: 아버지역할과 나의 감성을 읽는 지혜

    (1) 아버지 역할에 대한 비전

    도입단계에서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인식은 훌륭한 아버지가 되기 위한 비전을 품게 함으로써 그들이 원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마음속에 가지게 하여 그 모습이 되도록 노력을 하게 되면 아버지들은 스스로 변화하여 달라진다.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에게 먼저 아버지 역할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해서 질문을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그들이 생각하고 있는 아버지 역할에 대해서 그림으로 표현을 하게 하였다. 참여한 아버지들은 자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아버지 역할에 대해서 그림으로 재미있게 표현을 하였으며, 그림에 대한 설명도 덧붙이면서 활기찬 모습을 보였다. 우선 아버지 역할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의미 있는 대답은 첫째, ‘가족과 함께 어디론가 가고 싶어요.’, 둘째, ‘아이와 멋지게 놀고 싶어요.’, 셋째, ‘가족을 사랑하고 행복의 길로 인도하고 싶어요.’로 범주화되었다. 그들이 대답한 아버지 역할은 현재 참여자들이 자녀에게 적극적으로 해 주지 못하고 있는 것들로서 자녀와 ‘더 하고 싶은 것’의 희망사항을 나타내는 것들이라 볼 수 있으며, 자녀에게 아버지 역할을 해 주지 못하고 있어서 아버지로서의 미안함과 힘든 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참여한 아버지들이 표현한 그림을 범주화해서 설명과 함께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4] 참여자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비전

    label

    참여자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비전

    (2) 자기 감성의 이해와 수용

    아버지들은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우선 자신의 감성과 성격을 이해하게 되면서 이제까지 인정하지 않던 자신에 대해서 이해를 하기 시작하게 되었으며, 자신의 감성에 대해서 돌아보는 반성적인 사고를 보였다. 자신의 감성과 성격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가 자신의 감성을 이해하고서는 이때까지 가족에게 했던 일들에 대해서 다시 한 번 돌아보게끔 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자신의 감성에 대한 이해는 곧 타인에 대한 이해에 대해서 열린 마음을 가지게 하는 바탕이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자신의 감성을 인식하는 능력은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과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버지들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서 발견하게 된 자기 감성이해는 계속 탐색중인 상태라고 생각하였으며, 또한 자녀에게 대하는 자신의 감성과 행동에 대해서도 반성해보고는 자녀에게 사랑으로 대하는 것이 만사를 위한 길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자녀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인 만큼 자신을 먼저 이해하게 됨으로써 자녀를 비로소 이해하게 되자 아버지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였으며, 자신에 대해서도 수용적인 변화를 보였다.

    2) 중기단계: 내 안의 보물 다스리기와 타인의 입장 이해하기

    (1) 책임감에 대한 인식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은 워크숍 형태의 아버지 교육을 처음 받아보지만 중기단계에 접어들면서, 점차적으로 다른 부모들과의 대화교류를 통해서 서로 함께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자 아버지교육에 더욱 더 활발하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분위기를 보였다.

    아버지로서의 책임감에 대한 인식은 자녀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아버지로서 필요한 부분들을 해 주려고 하는 방향으로 변화를 나타내었다. 현재 아버지로서 자녀들에게 잘 해주지는 못하고 있지만, 차츰 필요를 채워주려는 책임을 다하려는 모습을 보여 주었고 자녀들과 함께 그리고 가족과 함께 해야겠다는 책임감을 느끼며, 가정에 충실한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다해야겠다고 노력중임을 보여주었다.

    (2) 감정이입능력 익히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은 평소 자녀와 자신은 서로 공감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아버지 교육을 받으면서 내가 과연 자녀와 공감하고 있는가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면서 그동안 자녀와의 관계에서 공감의 마음이 없었다고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녀의 감성을 정확하게 한번이라도 읽었는지 의문이 든다고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실토한다. 이런 점에서 아버지 교육의 효과는 매우 크다고 스스로 느끼게 되었으며, 예전에 동료가 아버지 교육을 한다고 같이 가자고 하였을 때 같이 갔다면 지금보다는 더 좋은 아버지가 되어있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3) 종결단계: 자녀와의 대화로 사랑과 행복한 가족으로 향하기

    (1) 자녀와 소통하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은 중기단계에서 익힌 자녀와의 공감능력을 바탕으로 하여 자녀와의 대화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점차 보여주었으며, 이로 인해 아버지와 자녀와의 관계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참여한 아버지들은 그 전에는 자녀와 공감을 하지 않아서 소통이 잘 되지 않았지만 자신의 마음을 다잡고 다시 한 번 자신을 반성하면서, 자녀들의 말에 경청을 하는 모습으로 변화를 보였다. 특히 경청을 통한 소통은 자녀관계 뿐만이 아니라 아내를 대할 때의 대화에서도 상대방의 말에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끼게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자녀와의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모의 태도는 바로 들어주기임을 알 수 있다.

    (2) 사랑이 충만한 행복한 가족 만들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은 종결단계에서 처음 프로그램 도입단계에서 그들이 바라는 아버지역할에 대한 비전에 점차적으로 다가가는 듯한 희망을 가지게 되었다. 종결단계에서는 활동과정 중에 아버지 역할에 대해 실제적으로 가정에서 자녀와 공감을 하면서 적극적인 대화를 실천하려는 노력들을 보여주었다. 한결 아버지 역할의 수행에 대해서 자신감을 가지는 모습으로 변화를 보였다. 참여한 아버지들은 이제까지의 자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자기 감성력의 이해, 아버지로서의 자녀에 대한 책임감과 자녀의 마음을 읽는 공감능력 그리고 결국 대인관계기술로서의 통합적인 성격을 지닌 자녀와의 대화를 통해서 가정이 한층 사랑과 행복이 가득해질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냈다. 이제부터가 변화의 시작이며, 가정의 행복은 이제 막 닻을 올린 셈이다.

       2.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프로그램 참여 전?후 경험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참여 전‧후 경험은 아버지역할 구인 즉 자기 감성력의 이해, 책임감, 공감, 커뮤니케이션의 범주별 주제를 중심으로 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자기 감성력의 이해: 자신의 감성을 이해하게 되었어요.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아버지들은 우선 자신의 성격에 대해서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인지라,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자신의 기분에 따라서 행동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자신이 왜 자녀에게 그렇게 행동하는 지에 대해서 이해를 할 수가 없다고만 생각했었다. 이러한 자신의 성격과 감성에 대한 불이해는 결국 자녀와의 불화 나아가서는 아내와도 불화를 유발하게 하는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아버지들은 점차 에니어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여 자신의 감성에 대해서 이해를 하게 됨으로써 내가 왜 그랬는지에 대해서 스스로 반성을 하면서 점차 아이의 감성을 살피게 됨으로써 시작하게 되어 가족이 생기 있게 활력을 얻게 되었다고 말한다.

    아버지인 참여자로서 자신의 감성을 읽는 마음은 아버지와 자녀관계에서 자녀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있는 마음의 문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자신의 감성을 인식하는 능력은 자신의 기분을 알고 동시에 그 기분에 대한 자신의 생각도 아는 것이다(Salovey & Mayer, 1996). 일반적으로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어떤 상황에 대한 타인의 느낌이 나의 느낌과 다를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기 위해서는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러한 자신의 정서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은 자기이해의 결정적 요인이 되며, 감성지능의 기초요인이다(강문희‧정욱환‧김승경‧ 2007). 이런 점에서 볼 때, 자신의 감성이해는 감성리더십을 발휘하는 기초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볼 때, 에니어그램은 스스로가 자신의 자각을 정화하고 자신에 대해 정직해지도록 도와 줄 뿐만이 아니라(Rohr & Ebert, 1989) 자신과 남을 이해하게 해주며, 우리 자신의 내적 발전과정에도 개입하여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Rebecca & Rogacion, 1988). 아버지가 자신의 성격과 감성을 이해함으로 인해서 아버지와 자녀간의 관계는 원만하게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결국 가정의 일상생활 속에서 아이의 감성력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책임감: 아빠는 아이의 장래 모습이다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아버지들은 아버지로서 내가 가족을 이끌어 나가야 하지만 어떻게 해야 될지를 잘 모르는 상황이었다. 이는 자신이 어렸을 때 자신의 아버지로부터 경험을 해 본 적이 없었으며, 배워본 적이 없었으므로 무엇을 자녀에게 해 주어야 하는지에 대한 책임감이 부재하다는 것이었다. 이제까지 대부분 어머니들이 자녀양육에의 책임감, 즉 자녀에게 무엇을 먹이고, 어떻게 훈육해야 하는지에 대한 것을 느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책임감이라는 아버지 역할을 익히면서, 참여한 아버지 또한 과거 자신의 아버지를 떠올리면서 아버지가 자신에게 보여주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한 모습들을 연상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처럼 아버지 역할의 모델을 배우는 것은 자신의 아버지로부터이며, 아버지의 모습이 자신에게 그대로 대물림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아버지로서의 책임감 역시 아버지로부터의 경험에 의해서 후천적으로 학습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참여한 아버지들은 자녀에 대해서 자신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자녀의 미래 모습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아버지로의 책임감이 막중함을 깨닫게 되었다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녀양육에 있어서 아버지 역할로서 책임감은 (Lamb, Pleck, Charnov와 Levine(1987: 125)가 제시하는 아버지 참여 모형 중에 하나로서, 책임감은 자녀가 보호받고 있다고 느끼고 또 자원 활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이는 자녀가 필요로 하는 자원을 조달해주고 자녀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아버지의 역할로서 책임감은 자녀가 광범위한 활동과 경험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 아버지가 기회를 마련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부모역할하기의 관리기능을 의미한다(신용주, 2008: 51).

    프로그램을 참여한 후 아버지들은 아이들이랑 밥 먹기 전까지 무얼 해야 되는지와 자녀가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을 일로 생각하지 않고 아이를 키우고 있다는 즐거움을 가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아이와 함께 하는 즐거움 자체를 아버지의 책임으로 깨닫게 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국 자녀는 아버지의 삶 자체를 보면서 아버지로서의 책임감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을 것이다.

    3) 공감: 아이의 표정이 밝아졌어요.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아버지들은 아이입장에서 생각을 하지 않고 자신중심으로 생각을 하다 보니 무조건 아이를 혼내는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또한 아이의 입장에서 감성을 다시 물어 볼 생각조차도 하지 않았으나,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아버지들은 자녀뿐만 아니라 가족과의 공감대를 많이 가지고 한 번 더 생각하는 마음으로 함께 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한편 아이의 마음을 읽고 아버지로서 좀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으며, 자녀와 공감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공감 혹은 감정이입은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이다. 쉽게 말하자면 다른 사람의 정서를 공유하는 것으로 다른 사람이 슬퍼할 때 그 감정의 슬픔을 인식하면서 함께 슬퍼하고, 다른 사람이 행복해 할 때 행복감을 인식하고 같이 행복할 수 있는 능력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감능력은 위에 제시한 참여자의 진술에서 보듯이, 여성 즉 어머니들이 아이가 어릴 때부터 얼굴 표정이나 몸의 움직임을 읽고 아이를 잘 돌보고 다룰 수 있는 경험에서 남성 즉 아버지들보다 앞선다(신용주, 2008: 52 재인용). 즉 아버지들은 어머니들보다 자녀와의 공감능력이 다소 떨어지므로 아버지들은 아이의 표정을 보고 아이의 감정을 읽을 수 있는 기술과 지원들이 더 필요하리라고 본다. 따라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통한 자녀와의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의 습득은 아버지들에게서 절실히 필요하다.

    4) 대화: 경청과, 맞장구를 치게 되었어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아버지들은 아이와 대화 시 간단한 질문과 답변식의 대화패턴과 자녀와 대화 시 부정적인 언어를 자주 사용하였다고 말한다. 예를 들자면 “유치원에 잘 다녀왔니? 동생이랑 잘 지냈니?” 등의 대화패턴과 “하지 마라”, “너는 왜 그러니”, “안 돼”, “못해”등의 표현을 구사했다. 참여한 아버지들의 이러한 부정적인 언어의 사용은 자신의 입장에서 자녀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아버지들은 자녀와의 대화 시 단답형의 질문 패턴에서 벗어나 서로 재미있는 구체적인 이야기도 나누고, 친구에 관한 이야기도 나누는 등 적극적인 대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특히 자녀의 말에 귀담아 들어주는 경청을 하게 되었으며, 자녀의 말에 맞장구를 쳐주니 크게 화내는 일이 줄어들었고 자녀와의 관계가 이전보다 훨씬 더 즐거워졌다고 말한다.

    경청은 온몸과 마음으로 진지하고, 겸손하게 들어야 하는 것이다(이소희, 2008b). 즉 경청은 처음에는 귀로 듣고 그 다음에는 입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음으로 들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경청의 의미에서 보자면, 아버지들은 자녀와 대화 시 먼저 자녀를 이해하는 마음 즉 공감이 전제되어져야 하며, 자녀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위의 참여자의 진술을 토대로 해서 볼 때, 아버지들은 단답형의 간단한 질문식의 대화와 부정어를 사용하는 대화패턴 대신에 아버지들은 자녀의 입장에서 진심으로 많이 들어주고, 자녀가 더 많은 이야기보따리를 풀어헤칠 수 있도록 독려하고 맞장구를 쳐 주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맞장구는 곧 자녀에게 열심히 듣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며, 자녀가 자신이 하고 있는 말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느끼게 해주는 행동이다. 또한 아버지가 자녀를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자녀와의 대화는 아버지들의 자기 감성력의 이해와 아버지로서의 책임감 그리고 자녀와의 공감능력을 바탕으로 해서 이루어지는 통합적인 기술로 볼 수 있으며, 이럴 때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의 꽃은 활짝 피어날 수 있을 것이다.

    [표 5]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참여 전?후 경험 비교

    label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참여 전?후 경험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오늘날 아버지 부모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아버지들이 부모-자녀관계에서 훌륭한 리더로서의 아버지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감성리더십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아버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감성 개발을 위한 도구인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그 효과성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참여 전‧후 변화과정과 그 내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에서 활용한 에니어그램은 아버지들 자신의 감성을 이해하는 데 기본적이며, 유용한 이론으로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 증진을 위해 요구되는 아버지 역할 구인은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 중에서 부모역할로서의 아버지 역할에 관한 문헌고찰을 근거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아버지 역할 구인은 자기 감성력의 이해, 책임감, 공감 그리고 대화로 선택되었다.

    에니어그램을 활용해서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실행한 결과, 참여한 아버지들의 역할에 있어서 변화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은 감성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아버지 역할 즉 자기 감성력의 이해, 책임감, 공감 그리고 대화능력이 참여 이전과 다르게 변화된 경험들을 보여 주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 후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은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은 그들의 감성리더십 증진을 위한 아버지역할의 변화는 진행과정 중에 있다고 밝혔다.

    정범모(1981)는 교육은 인간행동의 계획적인 변화라고 하였다. 즉 교육은 인간의 지식‧사고력‧태도‧가치관에서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에는 교육을 통한 인간의 노력에 따라 지금보다 나아질 수 있다는 가정이 전제되어 있다. 교육의 이러한 정의를 통해서 볼 때, 본 연구에서의 감성리더십 증진을 위한 아버지역할의 변화는 프로그램이라는 교육활동을 통해서 알아본 것이며, 그 결과 아버지들의 역할에 대한 가치관들이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ewey(1916)가 지적했듯이, 변화는 곧 성장(이홍우 역, 2007)을 말하는 것으로 아버지들의 이러한 변화는 곧 아버지로서의 성장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리더십이 다른 많은 영역에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지만, 가족 내의 부모의 경우 당연시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향으로 그다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인 가족의 영역에서 감성리더십은 중요하게 여겨져야 할 것이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아버지역할이 강조되는 여러 환경에 비추어볼 때, 자녀 양육에서 기본적인 감성에 대한 교육은 어머니들 못지않게 아버지들에게서 더욱 더 요구된다. 따라서 실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 계발을 위한 역량을 키워주는 부모역할의 학습에 대한 프로그램들이 많이 개발되어져야 하며,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다양한 기관들에서 많이 실천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에서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추후에는 부모들의 감성리더십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구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가지고 아버지 역할의 변화과정과 내용에 대해 질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후속으로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의 변화에 대한 양적인 연구방법도 기대해 본다. 한편 본 연구는 자녀관계에서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중요성과 증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넷째, 추후 에니어그램의 각 유형에 따른 아버지들의 감성리더십의 변화 즉 아버지 역할에서의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 1. 강 경석, 김 철구 (2007) [교육행정연구] Vol.25 P.1-24
  • 2. 강 문희, 정 욱환, 김 승경 (2007)
  • 3. 곽 상기 (2004)
  • 4. 김 병채, 김 영복 (2000) [창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생활연구] Vol.13 P.43-79
  • 5. 김 응자 (2004)
  • 6. 김 재덕 (2006)
  • 7. 김 정옥, 정 영숙 (2003) [생활과학연구논총] Vol.7 P.141-161
  • 8. 김 화자 (2001)
  • 9. 박 순덕 (2005)
  • 10. 서 혜영 (1999)
  • 11. 성 태제, 시 기자 (2006)
  • 12. 신 동한 (2009)
  • 13. 신 용주 (2008) [생활과학연구] Vol.13 P.45-55
  • 14. 우 재현 (2002)
  • 15. 이 문용 (1989)
  • 16. 이 미라 (2007)
  • 17. 이 석열 (2006) [교육행정학 연구] Vol.24 P.51-77
  • 18. 이 소희 (2008a) [추계학술대회집.]
  • 19. 이 소희 (2008b)
  • 20. 이 숙현, 서 혜영 (2002) [가족과 문화] Vol.14 P.3-30
  • 21. 이 인수 (1997)
  • 22. 이 재경 (1995) P.47-69
  • 23. 이 화용 (2004)
  • 24. 이 화용 (2005)
  • 25. 장 경성 (2006)
  • 26. 정 범모 (1981)
  • 27. 정 현영 (2006)
  • 28. 2011
  • 29. 조 성환 (2004)
  • 30. 조 주영 (2006) [에니어그램 연구] Vol.3 P.37-61
  • 31. 주 혜명 (2000)
  • 32. 최 현우 (1997)
  • 33. 한 영진 (2004)
  • 34. 함 인희 (1997) [가족과 문화] Vol.9 P.1-24
  • 35. 허 선자 (1992)
  • 36. 현 미숙 (2003)
  • 37. 황 경란 (2005)
  • 38. 황 정희 (2008)
  • 39. Baron R., Wagele E. (1995) The ennergram made easy. google
  • 40. Biller H. B. (1971) Father, child, and sex role. google
  • 41. Collins V. (2001)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success.[Diss] google
  • 42. Cowan P. A. (1988) Becoming a father. In P. Bronstein & C. P. Cowan(Eds.), Fatherhood Today: Men’s Changing Role In The Family. P.13-35 google
  • 43. Dewey J. (2007)
  • 44. Elizabeth Wagele (2001)
  • 45. Ginger Lapid-Bodge (2008)
  • 46.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google
  • 47. Goleman Daniel, Boyatis Richard, McKee Annie (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google
  • 48. Goleman Daniel, Boyatis Richard, McKee Annie (2003)
  • 49. Hobson B. (2002) Making men into Fathers: Men, Masculinities, and the Social Politics of Fatherhood. google
  • 50. Hurly K. V., Dobson T. E. (1990) What my type? google
  • 51. Lamb M. E. (1975) Fathers: Forgotten contributors to child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Vol.18 P.245-266 google cross ref
  • 52. Lamb M. E., Pleck J. H., Charnov E. L., Levine J. A (1987) A bio-social perspective on parental behavior and involvement. In J. B. Lancaster. J. Altmann, A. S. Rossi & L. R .Sherrod (Eds.). Parenting across the lifespan: Bio-social perspective P.111-142 google
  • 53. Lincoln Y. S., Guba E. G. (1985) Establishing Trustworthiness. Naturalistic Inquiry. P.289-331 google
  • 54. Lincoln Y. S., Guba E. G (1986) But is it rigorous? Trustworthiness and Authenticity in Naturalistic in Naturalistic Evaluation. In D. D. Williams(Ed.,) Naturalistic Evaluation: New Direction for Program Evaluation, (30) P.73-84 google
  • 55. Maccoby K., Parke R. D. (1984) Bridging the gap: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Vol.23 P.29-44 google
  • 56. McDowell D. J. (2001) Parental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Relations with social competence. google
  • 57. Lamb Michael E. (1995)
  • 58. Padgett D. K. (2001)
  • 59. Palkovitz R. J. (2001) Involved fathering and men’s adult development: Provisional balances google
  • 60. Palmer H. (1995) The pocket enneagram: understanding the 9 types of people google
  • 61. Parke R. D. (1995) Fathers and Families. In M.H.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 P.22-63 google
  • 62. Parke R. D. (1996) Fatherhood. google
  • 63. Perry Ann Kolasinski (1996) Leading with skill and soul: Using the enneagram and the brent personality assessment system(Edd). google
  • 64. Rebecca ?, Rogacion ? (1988)
  • 65. Riso D. R. (1993) Enneagram transformations. google
  • 66. Riso D. R., Hudson R. (1996) Personality types google
  • 67. Rohr R., Ebert A. (1989) Discovering the ennergram: An ancient tool for a new spiritual journey. google
  • 68. Rossi Alice. S. (2001) Caring and doing for others: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domains of family, work and community google
  • 69. Salovey P., Mayer J. D. (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 Sluyter, D.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 google
  • 70. Sears P. S. (1953) Child-rearing factors related to playing of sex-typed roles. [American Psychologist] P.431 google
  • 71. Tran Veronique (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n learning organizations. [The Learning Organization] Vol.5 P.99-103 google cross ref
  • 72. Wall B. (2007)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감성리더십의 구성요인
    감성리더십의 구성요인
  • [ 표 2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내용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아버지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내용
  • [ 표 3 ]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 [ 표 4 ]  참여자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비전
    참여자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비전
  • [ 표 5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참여 전?후 경험 비교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참여 전?후 경험 비교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