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기계경비실습실 설치 및 운영의 발전방향 Proposals fo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Electronic Security Lab
  • 비영리 CC BY-NC
ABSTRACT
기계경비실습실 설치 및 운영의 발전방향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in the US from 1970, electronic security has grown to a industry with high added value. In Korea, electronic security was introduced in early 1980s and was classified as an officially permitted industry in 2001. Currently, about 150 companies are in the business throughout the country. Since the study on security science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the mid-1990s, a department of security science has been opened in about 70 universities. Electronic security is one of the main subjects of the department. To provide students with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ience at the same time, some departments have an electronic security lab. However,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at have an electronic security lab is very limited, and how the lab is installed and operated varies depending on each university's situation such as its academic focus and investment capacity.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scholars yet in the field, and thus the lab is established and operated relying mainly on the electronic security companies’ needs and know-how.

The security service in this modern society is evolving into a total security system. Therefore, companies request universities to educate both theory and practice which are essential for them by offering both a theory-oriented curriculum and an applicationoriented curriculum.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ims to discuss and make proposals on how to improve electronic security labs installed in security science or police science departments.

Facilities related to electronic security such as electronic security labs, experience centers and PR centers should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more universities, organizations, institutes and companies. In addition, an electronic security lab can properly do its role only when it is designed multi-purpose and systematized and integrated toward substantive education. In order to guarantee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its contents should be diversified to include a real-life security alarms system, access control system, CCTV system, and perimeter intrusion detection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lab can further develop in conjunction with Security EXPO. In addition, support from the related institutes such as Korea Security Association should be expanded so that universities and companies can coexist. Lastly, the standardization and R&D on electronic security system should be continued hand in hand.

KEYWORD
기계경비 , 기계경비실습실 , 경비업법 , 방범경보시스템 , 경호학과
  • Ⅰ. 서 론

    대한민국 ‘국보 1호’ 숭례문이 복구에 들어간 지 5년 3개월 만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예전의 모습과는 달리 숭례문은 첨단방재시스템을 통해 보호받게 된다. CCTV 18대, 372m 길이의 광센서형 열감지기, 라이터의 불꽃까지 잡아내는 적외선 불꽃감지기도 설치됐다. 화재가 감지되면 문루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152개가 가동되고, 소방서에 자동 통지되는 설비를 갖추게 된다.1) 여기에 포함되는 시스템들은 기계경비시스템 중 CCTV는 영상감시시스템, 열감지기 등은 방재시스템의 가장 대표적인 시스템 및 구성요소들이다. CCTV와 같은 기계경비시스템들은 지난 경기 서남부지역 부녀자 연쇄살인사건의 범인을 검거하는 계기가 되는 등 범죄자 검거의 ‘일등 공신’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범죄예방과 범죄수사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시스템으로 채택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는 복잡 다변화됨에 따라 날로 범죄 및 위험요소가 증대되고 있으며, 기존의 인력경비로는 첨단화되는 위험요소를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기계경비시스템을 통한 범죄예방과 위험 감소작용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21세기는 그 어느 세기보다 사회 변화가 큰 시대이다. 이른바 후기 산업사회 또는 근대성이라고 일컬어지면서 사회가 더욱 복잡해지고 다원화되어 가고 있다. 사회 변화는 고도 기술화 및 정보화가 촉진되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2) 경찰과 함께 협력치안을 효율적으로 행하고 있는 민간경비업무는 기존의 인력경비에 국한되지 않고, 이러한 기술화·첨단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계경비시스템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들은 안전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CCTV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하거나 또는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현재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의 경우 380만 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고, 수도권 시민은 자신도 모르게 하루 평균 83번 CCTV에 찍힌다. 거리를 걸으면 9초에 한 번씩 화면에 포착된다. 많으면 하루 110차례 CCTV에 찍힐 수 있고, 밖에서는 일거수일투족이 고스란히 화면에 기록3)되는 사회에 살고 있다. 방범용 CCTV는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는 늘 기계경비시스템과 함께 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현대사회의 보안서비스는 토탈시큐리티시스템으로 전개될 것이며 이에 따라 기계경비시스템의 활용도와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경비업법령에서도 기계경비실습실에 관한 규정과 일반경비원·특수경비원에 대한 신임교육, 그리고 경비지도사 기본교육 시 기계경비관련 교과목들이 필수적으로 편성되어 있어 그 중요성을 알 수 있다. 기계경비는 민간경비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영역인 것이다. 2020년경 기계경비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는 98조원, 국내시장 규모는 약 2.1조원으로 예상되며,4) 무엇보다 기계경비는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기계경비는 국민들에 대한 기초적 이해5)는 물론 시큐리티 직무수행자에게는 필수적인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기계경비와 같은 민간경비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우수한 인력을 배출하고, 기술을 개발하며, 새로운 경비시장의 수요를 창출하여 궁극적으로 범죄예방을 가능케 하여 주는 원동력은 바로 대학의 역할과 기능에 달려있다.6) 그러나 최근 대학들은 학령인구의 급감 등 교육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스스로가 교육의 질을 높이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생존방법을 찾고 있다. 또한 그에 맞는 정책을 추진하여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형 인재를 육성하고, 국가의 미래를 창조하는 연구 인력을 육성해야 할 의무도 가지고 있다. 기업들 또한 대학들에게 실무형 교육과, 주문식 교육 등 시대적으로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실현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학생들에게 전공관련 교과목에서 기업에서 현실적으로 필요한 이론과 실습의 병행교육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전국 경호경비관련학과는 50여개7)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기계경비실습실 설치의 당위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기계경비실습실이 적정하게 설치되어 운영되는 곳은 소수에 불과하며, 전반적으로는 소규모의 실습기자재·장비들만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기계경비에 정통한 학자들이 많이 배출되지 않아 소수 기계경비업체의 의견을 바탕으로 품목들이 정해지고 그 구성내용들도 특정 기계경비업체의 기존 시스템들이 채택되고 있으며, 또 대학의 환경에 따라 최소한의 시스템들만 구입하여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치안정책이라는 큰 틀에서 민간경비의 육성 및 기계경비의 확산, 경찰과 민간경비의 상호협력8)이라는 사회적 요청에서 출발하였으며, 미시적으로는 교육역량강화 차원에서 경찰 및 경호관련학과에 설치되는 기계경비실습실 구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방향을 제시하며 발전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아직 이와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지 않은 실정에서 본 연구자는 그 간 최대 규모의 민간경비업체(기계경비업무 포함)에서 SC(security consulting) 및 SP(security planning)9)를 수행해 온 경력과 실제 대학에서 기계경비실습실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강의 및 자문해온 경력을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이고 통합화된 기계경비실습실의 구성을 제안하고 나아가 현재의 한계점과 발전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구성내용 제안과 관련하여 연구자의 해석과 제안은 객관성이 일부 결여 될 수가 있어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계경비관련 이론을 다루고 있는 단행본(기계경비시스템에 관한 내용), 현재 기계경비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양대 업체의 시스템, 그리고 현재로서 가장 잘 설치되었다고 평가되는 주요 대학의 기계경비실습실 설치 사례 분석을 병행하였다.

    1)이영희, “불꽃·열 감지기 17대⋯숭례문 24시간 지키는 수문장”, 중앙일보, 2013. 5. 2.  2)이창용, 뉴테러리즘과 국가위기관리, 대영문화사, 2007, 13쪽.  3)김효은, “380만 대 CCTV 해킹 무방비⋯ATM 비밀번호 훔쳐 볼 수도”, 중앙일보, 2013. 1. 26.  4)Freedonia, Frost & Sullivan, IDC 2011; 정용택, 물리보안용 센서의 원리와 응용, 인포더북스, 2012, 13쪽 재인용.  5)실제 기계경비 오경보의 주된 원인은 고객(기계경비시스템에 대한 무지 등으로 인한 사용자 실수)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경보로 인해 불필요한 기계경비 출동요원의 출동과 경찰의 출동이 파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비업자들은 고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에 노력을 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6)이윤근, “한국 민간경비산업의 과제와 발전방안”, 치안정책연구 제5호, 치안정책연구소, 1996, 48-49쪽.  7)김태민(2011: 141-144)이 대학알리미자료를 기초로 하여 2011년 4월 기준 전국대학 홈페이지에서 경호학과(학과나 전공에 ‘경호’용어 포함된 학과) 현황을 전수조사한 결과 경호학과는 총 60여개교에 개설(4년제 대학교 20개, 전문대학 39개교)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2013년 5월 재조사한 결과 현재는 47개교(4년제 대학교 18개, 전문대학 29개교)로 파악되었다.  8)특히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경찰과 민간경비의 상호협력프로그램으로서 기계경비 대응체제, 오경보 문제 등에 대하여 상호 의견을 교환하고 대책을 강구해 나가고 있다.  9)완벽한 기계경비시스템은 무감지와 오보가 발생하지 않는 시스템이며, 센서의 원리를 충분히 이해하고 원리에 맞도록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 작업을 SP(Security Planning)라 한다. 좋은 SP를 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풍부한 경험과 센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훌륭한 SP를 할 수 있는 전문가가 있어야 하고, 좋은 보안회사는 SP를 잘할 수 있는 전문가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손익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정용택, 앞의 책, 42쪽).

    Ⅱ. 기계경비의 이론적 근거와 시스템

       1. 기계경비의 의의

    기계경비산업은 1970년대 초 미국에서 전자공학의 발달과 응용기술의 혁신에 따라 “Electronic Security System”으로 불리면서 성장하기 시작하였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 분야의 산업을 체계화해 왔다.10) 기계경비는 생명·재산·시설물의 안전보호를 목적으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24시간 265일 항상 같은 상태·같은 조건으로 감시하여 경비목적물을 보호하고 지키는 경비이다.11) 이러한 기계경비체계는 로컬(Local) 기계경비와 무인 기계경비로 구분되고 있다. 로컬 기계경비는 자체의 상주경비원(특히 시설경비)이 CCTV와 각종 기계장치들을 활용하여 자체 경비실(종합상황실, 보안실 등)을 통해 감시·통제 및 경비하는 체계이다. 이에 비해 무인 기계경비는 「경비업법」상의 경비업무 형태(기계경비업무)로 경비대상시설에는 출동경비원이 없이 기계장치들만 설치되고, 원격지에 설치된 관제센터에서 감시·통제하는 체제로서, 이상상황 발생시 관제요원은 해당 경비대상시설 최근접 거리에 위치한 출동요원에게 현장 출동을 지령하여 대응하게 하는 경비체계이다.

    한국에서 기계경비업무란 「경비업법」 제2조(정의)에 따라 “경비대상시설에 설치한 기기에 의하여 감지ㆍ송신된 정보를 그 경비대상시설외의 장소에 설치한 관제시설의 기기로 수신하여 도난ㆍ화재 등 위험발생을 방지하는 업무”이다(경비업법 2조). 현재 기계경비는 무인전자경비, 시스템경비, 기계경비시스템, 방범경보시스템, 무인경비시스템, 전자시스템경비, 전자보안시스템 등 경비업체 간 상이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12)

    한국의 기계경비업무는 1981년 3월 국내 최초로 기계경비 영업을 개시한 삼성 에스원을 필두로 ADT캡스(1984년 8월 무인기계경비사업 시작), 케이티텔레캅 등의 업체들이 현재 전국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기계경비업을 주도하고 있다.13) 기계경비업은 인력경비업에 비해 경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첨단 컴퓨터와 장비를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성·신속성·계속성을 기대할 수 있고, 소규모 인원으로 감시구역 전체를 통제할 수 있으며 범죄자 등에 대한 경고 효과도 크다. 뿐만 아니라 고객으로부터 신뢰성이 높고, 사고발생시 표시·기록장치가 있으므로 증거보존의 효과가 있으며, 책임한계를 명확히 확보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경비업자의 기업운영측면에서 저비용고효율이라는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14)

       2. ‘경호학’과 기계경비관련 교과목, 시설

    사전적 의미에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은 ‘경호’를 “위험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미리 조심하고 보호함”으로, ‘학문’은 “어떤 분야를 체계적으로 배워서 익힘. 또는 그런 지식.”으로 정의한다. 법률 상 ‘경호’에 대한 용어정의는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에 따라 “경호란 경호 대상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신체에 가하여지는 위해(危害)를 방지하거나 제거하고, 특정 지역을 경계·순찰 및 방비하는 등의 모든 안전 활동”을 말한다(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2조). 그리고 ‘경호학’은 경호에 관한 체계적 지식과 학문으로 경호에 관련된 다양한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15)

    학문적 측면에서 대학의 경우 1996년 용인대학교에 ‘경호’용어가 최초로 사용된 경호학과가 최초로 신설된 이후, <표 1>과 같이 2013년 현재 경호관련학과는 47개교에 이르고 있다. 또 대학원과정(석·박사과정)에도 경호학이 신설되어 경호학 박사, 경호보안(안전)학 박사들이 배출되고 있다.

    [<표 1>] 경호관련학과 현황

    label

    경호관련학과 현황

    경호관련학과에서는 기계경비관련 과목들을 필수적으로 교육과정에 편성하고 있다. 이들 학과에서 채택하고 있는 기계경비관련 교과목들은 <표 2>와 같이 기계경비개론, 기계경비실습, 기계경비기획 및 설계, 전자보안시스템, 호신장비실무 등이다.

    [<표 2>] 경호관련학과의 기계경비관련 주요 교과목

    label

    경호관련학과의 기계경비관련 주요 교과목

    또 경호경비원들의 관리자자격으로 유일한 국가공인자격인 기계경비지도사 시험의 2차시험 과목은 기계경비개론 또는 기계경비기획 및 설계 중 1과목을 택하도록 되어 있다. 즉 공인자격시험의 과목으로는 ‘기계경비개론’, ‘기계경비기획 및 설계’ 두 과목이다.

    마지막으로 경비업법령에 따라 시행되는 일반경비원, 특수경비원, 경비지도사교육 과목에도 기계경비관련 과목들이 편성되어 있다.

    일반경비원 신임교육 28시간 중의 과목으로는 ‘기계경비실무’ 2시간, ‘장비사용법’ 2시간, ‘사고예방대책(테러 대응요령, 화재대처법 및 응급처치법을 포함한다)’ 3시간이 편성되어 있다. 특수경비원 신임교육 88시간 중의 과목에는 ‘ 기계경비 실무’ 3시간이 편성되어 있다. ‘테러 대응요령’, ‘폭발물 처리요령’, ‘화재대처법’, ‘응급처치법’, ‘분사기 사용법’, ‘민방공(화생방 관련 사항을 포함)’ 등의 과목들도 유사과목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본다. 경비지도사 자격시험 합격 후 이수해야 하는 일반경비지도사 교육 44시간 중의 과목으로는 ‘기계경비개론’ 3시간, ‘일반경비현장실습’ 5시간 등이 편성되어 있고, 기계경비지도사는 ‘기계경비운용관리’ 4시간, ‘기계경비기획및설계’ 4시간, ‘기계경비현장실습’ 5시간이 편성되어 있다. 이외에 ‘분사기 사용법’, ‘응급처치법’, ‘화재대처법’, ‘응급처치법’ 등도 유사과목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경비업법 시행규칙」 제14조(특수경비원에 대한 신임교육의 실시 등) 제1항에 따라 특수경비원 신임교육의 과정을 개설하고자 하는 기관 또는 단체는 별표 3의 규정에 의한 시설 등을 갖추고 경찰청장에게 지정을 요청하여야 한다(경비업법 시행규칙 14조). 그 중 기계경비 실습실은 <표 3>과 같이 감지장치·수신장치 및 관제시설을 갖춘 132제곱미터 이상의 시설을 요구하고 있다.

    [<표 3>] 특수경비원 교육기관 시설 기준

    label

    특수경비원 교육기관 시설 기준

       3. 기계경비시스템 이론서 검토

    대학에서 기계경비관련 교과목의 이론서로 채택되고 있는 국내외 기계경비관련 단행본의 내용을 파악한다면, 실제 이론에서 다루고 있는 기계경비관련 교과목의 이론적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무에 응용되어야 하는 시스템들도 유추하여 해석하고 향후 기계경비실습실의 구성에 참고되고 구성되어야 할 시스템들이 어떤 것이 있을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국내에서 발행되고 있는 기계경비관련 단행본들은 극소수로 한정되어 있어 아쉬운 점들이 많다. 여기에서는 신상엽(2011)의 ‘기계경비론(2004년 초판발행~현재)’, 이강열(2013)의 ‘기계경비개론(2004년 초판발행~현재)’, 정태황(2001)의 ‘기계경비론(2001년 초판발행~현재)’의 이론적 내용 구성 및 목차 등을 살펴 <표 4>와 같이 비교하여 표로 정리한다.

    [<표 4>] 기계경비관련 단행본의 시스템 내용 구성 비교

    label

    기계경비관련 단행본의 시스템 내용 구성 비교

    기계경비 단행본에서 설명되고 있는 기계경비시스템들은 크게 방범경보시스템(침입감지시스템으로도 명명), 출입통제시스템, CCTV시스템, 기타 시스템, 보안장비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방범경보시스템은 크게 주장치, 감지기, 주변기기들에 대한 내용들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다. 이는 실제 「경비업법」상 방범경보시스템(또는 침입감지시스템)을 활용하여 기계경비업무가 시행되는 것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계경비실습실의 구성도 방범경보시스템을 기본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현실적으로 기계경비실습실을 갖추지 못한 대학들은 이러한 방범경보시스템 시뮬레이터(주장치와 약간의 감지기를 연결하여 시스템을 이해하게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설비)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는 곳들도 소수 있다.

       4. 양대 기계경비업체의 시스템 및 사업영역

    대한민국의 기계경비업은 삼성에스원과 ADT캡스가 양대 회사로 기계경비업을 선도하고 있고, KT텔레캅이 그 뒤를 이어 사세를 확장하려 하고 있다.

    (주)에스원은 1977년 창립이래 현재 대한민국 시큐리티업계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2020년 세계 10대 보안회사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현재 시스템경비(기계경비)에서 벗어나 건강·환경·에너지·정보보안까지 영역을 확대하려 하고 있다. 사업영역은 시스템보안, 홈시큐리티사업, 이동체보안사업, 국방·공공사업, U-City 사업,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융합보안사업, 에너지사업, 헬스케어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1998년 국내 최초로 4만5천평 대지 위에 시큐리티 전문연수원인 ‘천안연수원’을 설립하여 인재양성에 기여하고 있으며,16) 천안연수원 내에 기계경비 실습실을 두어 활용하고 있다. 각 대학의 경호학과들도 천안연수원을 주요 체험교육 코스로 활용하고 있다.

    에스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콤’브랜드는 시스템보안 서비스 브랜드로 이 브랜드가 기계경비를 대변하는 용어로 국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에스원의 시스템보안 업무는 사무실, 매장, 병원·약국, 공장·창고, 빌딩·관공서, 주택, 학교·학원, 금융기관별로 적합한 시스템을 구성하여 사업하고 있다.에스원은 홈페이지에서 상품·서비스는 세콤서비스(업종별 서비스 제안), 정보보안(에스원 NS, 에스원 PS, 보안관제, 세이프독), 영상보안(NVR/DVR, 카메라, 지능형 영상보안솔루션), 생활안전상품(에스원 지니콜, 휴엔 세이프, AED), 보안 솔루션(보안 컨설팅, 에너지 효율화 사업, 헬스케어 사업, 이동체 보안사업, 모바일시큐리티)으로 안내하고 있다. 사무실의 경우에는 기본서비스로 방범서비스, 긴급출동 서비스, 비상통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부가서비스로 출입관리 서비스, 근태·식당 관리 서비스, SMS서비스, 영상관제 서비스, 스페셜 보상 서비스 등도 제공하며, 또 영상보안(CCTV), 정보보안 서비스, AED, 안전금고 서비스도 제공17)할 수 있다.

    ADT캡스는 1971년 (주)한국보안공사로 출발하여, 현재는 세계적 보안전문그룹 Tyco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계경비업무를 제공하고 있다. 홈페이지에서 주요서비스로 무인경비 서비스, 영상감시 서비스, 출입통제 서비스, ADT캄, ADT사이드큐브, ADT옥타넷, AED, 경호서비스, 도난방지솔루션, 인력경비로 안내하고 있다. 또 업종별로 사무실·매장(오피스, 24시간매장, 레스토랑·로드샵, 쥬얼리, 약국·병원, 유치원·어린이집), 가정(주택, 아파트·공공주택, 워킹맘 패키지), 기업·공공시설(빌딩, 공장·창고, 은행, 초중고교, 대학교, 공공기관)별로 구분하여 사업을 안내하고 있다. 사무실의 경우 제공되는 서비스는 무인경비 서비스, 출입통제 서비스, CCTV 영상감시(ADT뷰가드),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 세트·해제 SMS 서비스, 비무장 SMS 알림 서비스, 비무장 출동 서비스, 자동 점등 서비스, 근태관리 서비스, ADT안심플러스 특약, 화재 복구 지원금의 서비스를 제공18)할 수 있다.

    10)신상엽, 기계경비론, 백산출판사, 2011, 3쪽.  11)이강열, 기계경비개론, 진영사, 2013, 105쪽.  12)김태민, “기계경비지도사 제도의 발전과제 - 일본 기계경비업무관리자와의 비교를 통한 제언”, 한국치안행정논집 제9권1호, 한국치안행정학회, 2012, 163쪽.  13)김태민, “기계경비업무 사건들과 정책적 함의”, 한국경찰연구 제8권1호, 한국경찰연구학회, 2009, 155쪽.  14)박동균·김태민, “한국 기계경비업무의 오경보 대응책”,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30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12, 37쪽.  15)김태민, “경호학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치안행정논집 제8권1호, 한국치안행정학회, 2011, 139쪽.  16)삼성 에스원, 브로슈어, 2013, 18-35쪽 참조.  17)삼성 에스원, “상품/서비스”, https://www.s1.co.kr(2013. 5. 1. 검색).  18)ADT캡스, “ADT서비스”, http://www.adtcaps.co.kr(2013. 5. 1. 검색).

    Ⅲ. 기계경비실습실 구성과 설치 사례

       1. 사례1(체험형 실습실) : A대학교

    A대학교 ‘경호학부’는 2001년 신설되어, 현재 국내 최대의 기계경비실습실을 보유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실습실을 체험형으로 구성하였다는 점이다. 명칭도 ‘디지털시큐리티체험관’으로 명명하여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는 실습실 중앙부에 종합상황실 및 관제센터 형식으로 관제탁을 구성하여 건물 전체를 CCTV카메라로 촬영하여 저장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책걸상을 비치하여 강의실로도 활용하고 있다. 사방에는 각종 시스템들과 시뮬레이터를 구성하고 전시하여 경호경비 장비와 시스템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장비 및 시스템 구성 품목들은 <표 5>와 같으며, 시스템 배치도는 <그림 2>와 같다.

    [<표 5>] A대학 ‘디지털시큐리티체험관’의 시스템 구성

    label

    A대학 ‘디지털시큐리티체험관’의 시스템 구성

    이 곳의 장비 및 기계경비시스템들은 크게 종합상황실 및 관제센터, 시스템 시뮬레이터, 기계경비시스템, 경호·경비·테러·방재 장비들로 구분할 수 있다. 시스템 시뮬레이터들은 방범경모시스템 시뮬레이터, 출입통제시스템 시뮬레이터, 주택·아파트 시스템 시뮬레이터, 금융기관시스템 시뮬레이터들로 설치되었다. 기계경비시스템들은 방범경보시스템, 출입통제시스템, 생체인식시스템, 화상감시시스템, 도청방지시스템, 홈시큐리티스템, 빌딩관리 시큐리티시스템들로 구성되었다. 경호·경비·테러·방재 장비들은 경호 호신 장비, 경호 통신 장비, 경호 검색 장비, 경호 탐지 장비, 경호 감시 장비, 호송 경비 장비, 통신보안장비, 대테러 장비, 화생방전 대응 장비, 재난구조 및 방재 장비, 응급구조 장비들로 구성하고 있다.

       2. 사례2(나열형 실습실) : B대학교, C대학교

    B대학교 ‘경호비서학과’는 2004년 신설되어 현재 ‘기계경비실습실’이라 명명하여 실습실을 운영중이다. 현재 기계경비실습실이 설치되어 있는 학과들은 통상 이런 형태의 실습실로 운영하고 있다. 중앙은 강의실형으로 책걸상을 비치하고, 사방으로는 나열형 안내판과 진열대에 시스템을 부착하거나 진열하여 전시하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장비 및 시스템 구성 품목들은 <표 6>과 같으며, 시스템 배치도는 <그림 4>와 같다. 이 곳의 장비 및 기계경비시스템들은 크게 통합관제시스템(관제탁), 경호장비, 검측 및 탐지시스템, 폭발물과 보안검색장비, 침입감지시스템, 출입통제시스템, CCTV시스템, 방재 및 구조장비들로 설치되었다. 경호장비로는 통신장비, 호신장비, 감시장비, 방탄복 등이 있고, 검측 및 탐지시스템으로는 검측장비, 탐지장비, 도청방지장비 등을 보유하고 있다. 폭발물과 보안검색장비로는 X-Ray검색기, 문형금속탐지기, 휴대형금속탐지기 등이 있고, 침입감지시스템(방범경보시스템)으로는 주장치와 각종 감지기들을 보유하고 있다. 또 출입통제시스템으로는 일반 출입통제장치로서 컨트롤러, 인식장치-카드리더기, 카드, 전기정 등이 있고, 생체인식출입통제시스템으로 지문·얼굴·정맥·홍채인식출입통제시스템들로 구성하고 있다. CCTV시스템은 카메라와 DVR로 구성하여 관제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타 방재장비, 구조장비, 소방장비들을 보유하고 있다.

    [<표 6>] B대학 ‘기계경비실습실’의 시스템 구성

    label

    B대학 ‘기계경비실습실’의 시스템 구성

    C대학교 ‘경호전공’은 2000년 신설되어 ‘경호시스템실’이라는 실습실을 운영중이다. 학과단위가 아닌 전공단위의 규모이다. B대학교와 마찬가지로 중앙은 강의실형으로 책걸상을 비치하고, 사방으로는 나열형 안내판과 진열대에 시스템을 부착하거나 진열하여 전시하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보유하고 있는 시스템들은 중앙관제탑, 침입감지시스템, 출입통제시스템, CCTV시스템, 검색장비(X-Ray검색기, 신발검색기 등), 검측·통신보안장비, 경호·통신장비, 방범장비, 방재·구조장비들이다.

    Ⅳ. 기계경비실습실 설치 및 운영 제안

       1. 기계경비실습실 구성 제안

    기계경비시스템의 구성의 콘셉트(concept)는 ‘통합시큐리티시스템 구축’의 방향으로 정해야 한다. 또 시스템들은 수요자 지향적으로 이해하고 알기 쉽도록 설치되어야 하고 체험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의 보안서비스는 토탈시큐리티시스템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도 융합보안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즉 기계경비시스템과 인력경비의 결합, 그리고 IT와의 융합도 고려되어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통합보안솔루션 제공이라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시큐리티 컨설팅 기법인 프리즘(PRISM : Proactive Resources for Integrated Security Management- 통합보안관리를 위한 적극적 지원) 방법론19)과 연계하여 기획하고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먼저 기계경비실습실은 종합상황실(관제센터)이 구성되어야 한다. 종합상황실을 통해 CCTV카메라들을 운용하고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구심점이 설계되어야 한다.

    기본적인 기계경비시스템으로는 방범경보시스템, 출입통제시스템, CCTV시스템, 외곽침임감지시스템, 전자보안시스템·장비, 네트워크보안시스템, 경호장비, 방재장비 등으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계경비시스템은 현재 업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들을 반영해야 한다. 기계경비업체에서의 주요 시스템은 방범경보시스템(침입감지시스템), 영상보안시스템, 출입통제시스템, 정보보안시스템, 보안솔루션, 도난방지솔루션 등이다. 또 무인기계경비시스템은 업종별로 다양하게 서비스를 개발·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방범경보시스템 등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치들과 시스템들로 구성하고, 하나의 기계경비실습실에 업종별 구성이 불가능하므로 홈시큐리티시스템, 금융기관시큐리티시스템, 방범경보시스템 시뮬레이터, 출입통제시시템 시뮬레이터 등으로 시뮬레이션화 된 인테리어 및 구조로 설치·운용하게 된다면 다양화된 업종의 시스템을 체험하고 실습하는 것은 물론 학습자의 이해도 빠를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단행본, 현재 운용하고 있는 기계경비실습실의 구성 내용, 기계경비업체의 시스템을 참고하여 <그림 6>과 같이 기계경비실습실의 시스템 구성을 제안하였다.

    방범경보시스템(Security Alarm System)은 침입감지시스템과 같은 개념이다. 무인경비시스템, 무인기계경비, 도난경보시스템, 전자보안시스템이라는 용어로도 불린다.「경비업법」에 의한 기계경비업무는 경비대상시설에 설치된 주장치와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이상상황을 통신장치를 통하여 관제센터에 송·수신하게 하고, 관제센터에서는 이상상황이 발생된 경비대상시설의 최근접에 위치한 출동대처요원에게 지령하여 대응하게 하는 체계인 무인기계경비시스템을 의미한다. 방범경보시스템의 주장치는 경비대상시설에 설치되어 사용자와 대처요원이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하며, 각종 감지기 혹은 통보스위칭서 발생한 이상신호를 분석·판별 및 제어하여 표시하고, 경보장치를 작동케 하거나 통신채널을 통하여 관제수신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기기를 주장치(제어기, 컨트롤러, Control Panel, Controller)라 한다.20) 이와 연결되어 범죄자나 이상상황을 보고, 듣고, 맡고, 느낄 수 있는 감각기관에 해당하는 감지기(Sensor)들이 있다. 감지기는 응용분야에 따라 방범용, 방재용으로 구분되고, 감지대상물의 화학량, 전기량, 물리량, 자계량의 변화가 출입문을 열 때, 유리가 깨질 때, 셔터를 올릴 때 등 평상시와는 다른 상태에서 발생되며, 광, 온도, 전기량, 진동, 자력, 압력, 가스, 수분 등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확인가능하도록 전자신호로 출력하는 기기가 감지기이다.21) 감지기는 자석감지기, 열선감지기, 적외선감지기, 유리감지기, 음향감지기, 셔터감지기, 펜스감지기, 진동감지기, 초음파감지기, 마이크로웨이브감지기, 금고감지기, RF감지기, 화재용감지기(정온식·차동식·광전식·불꽃감지기), 가스감지기, 누수감지기 등 감지원리와 물리적 원리에 따라 다양한 감지기를 선택하여 설치해야 한다. 기계경비실습실은 이러한 방범경보시스템을 가장 기초적인 시스템으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중요한 시스템이 CCTV시스템과 출입통제시스템이다.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은 ‘영상감시를 목적으로 제한된 지역에서 독립적인 텔레비전 회로를 구축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고, 보안 및 공정감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22) CCTV는 촬상부, 전송부, 수상부로 구성된다. 특히 촬상부인 카메라와 렌즈, 카메라 하우징, 그리고 촬상부에서 확보된 신호를 수상부에 전달하기 위한 전송부, 전송된 영상신호를 수신·재생하는 수상부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DVR, NVR, VTR 등의 녹화장치와 영상보안솔루션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출입통제시스템(Access Control System)은 지정 시설물 또는 장소에 사전 승인된 사람이나 차량들만 출입할 수 있도록 통제·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연구기관, 사무실, 오피스텔, 금융기관 등 규제가 필요한 곳의 출입문에 저지장치(Deterrent)에 전기정이나 전동기를 설치하고, 인식·인증장치에 의해 허가된 사람이나 차량을 식별하여 저지장치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손님은 별도 장소에서 안내와 통제를 받을 수 있게 운영된다.23)

    이를 위해 각종 승인 및 인식·인증할 수 있는 방법들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는 키패드(Keypads), 바코드(Barcode Card Authentication), 천공카드(Hollerith Cards Authentication), 바륨페라이트(Barium Ferrite Card Authentication), 자기스트립카드(Magnetic Strip Card Authentication), 광카드(Optical Card Authentication), 비접촉/RF카드(RF Card Authentication), 집적회로카드/스마트카드(IC Card/Smart Card Identification) 인식 등이 있다.24) 특히 현대에 와서는 생체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이 개발되고 상용화 되고 있다. 우리가 널리 사용하고 있는 지문인식, 그 외에 얼굴인식, 홍채인식, 손모양 인식, 망막인식, 정맥인식, 음성, 필체, 체중인식 등이 있다.

    장비로서 전자보안시스템·장비는 도난방지시스템(EAS System), 도청방지시스템, 통신보안장비 들을 구성하여 최근 이슈가 되어 왔던 도·감청에 대한 학습, 그리고 매일 접하는(상점, 백화점·대형마트, 도서관, 찜질방 등) 도난방지시스템에 대한 학습도 이루어져야 한다. 경호장비로스는 방탄복·방검복 등의 기본장비와 호신장비, 통신장비, 검색장비(특히 X-Ray검색기와 금속탐지기는 많이 사용), 탐지장비, 감시·채증장비, 호송장비, 응급구조장비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방범 이외에 화재, 화생방, 재난 등에 대비하기 위한 각종 방재장비 및 설비 등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시스템·장비 품목은 <표 7>과 같이 정리하여 제안한다.

    [<표 7>] 기계경비실습실 시스템 및 품목 구성 제안

    label

    기계경비실습실 시스템 및 품목 구성 제안

       2. 기계경비실습실 설치·운영의 발전방향

    기계경비실습실 설치와 관련하여 기계경비실습실의 구성형태는 복합형으로 설계되기를 제안한다. 실제 실습실 설치는 ①판넬형 ②나열형 ③체험형 ④복합형으로 할 수 있다. 첫째, 판넬형은 기계경비시스템 및 경호장비·시스템을 허가 또는 소지의 문제점으로 확보하지 못할 경우 그래픽위주의 사진으로 설명 판넬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확보할 수 없는 장비·시스템 실물에 대한 설명의 형태로 사용하면 된다. 둘째, 나열형 실습실이다. 벽이나 테이블에 기계경비시스템이나 장비들을 진열하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현재 대개의 기계경비실습실들은 이러한 나열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셋째, 체험형 실습실이다. 이것은 제품 나열형에서 한단계 진화된 형태라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장비와 시스템들을 직접 만져보고, 작동해보며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체험형은 시큐리티 장비·시스템의 운용방법과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대국민 인식상향의 측면에서도 좋은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은 사용하기 쉽고, 안전한 시큐리티 체험을 득하게 됨으로서 흥미는 물론 시큐리티업무를 편안한 업무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합형 실습실은 전술한 판넬형+나열형+체험형의 장점들을 모은 형태이며, 기계경비실습 장비·시스템의 고유 특성에 따라 복합적으로 구성한다면 최적의 기계경비실습실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대학의 환경에 따라 기계경비실습실은 실습실로 배정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기계경비실습실 내에서 기계경비 교과목에 대한 강의가 이루어지므로, 설치는 이론강의가 가능한 실습강의실 형태로 운영이 되면 효율적일 수 있다.

    그리고 기계경비시스템에 대한 표준화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경호관련학과의 교수들과 경호학자들의 노력으로 이루어져야한다. 기업은 이윤추구의 집단이라 이러한 표준화에 상당부분 애로사항이 있다. 따라서 학계에서 마련해 나가는 방안이 가장 적절하다고 본다. 경호관련협의체를 구성하거나, 경호관련학회 주도로 연구용역을 시행하는 방법, 그리고 (사)한국경비협회 주도로 추진하는 방법 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정책적 측면에서 ‘세계보안엑스포(International Security Conference & Exhibition)’와의 연계를 제안한다. 실제 기계경비 학자들과 업계에서는 이러한 행사에 참여하여, 학술발표는 물론 현장에서 새로 개발된 장비·기자재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 대학 및 학과에서 구매로 연결되고 있다.

    [<표 8>] 세계보안엑스포2013 전시품목

    label

    세계보안엑스포2013 전시품목

    세계 보안 엑스포는 ‘모든 보안장비 및 시스템을 총망라한다’는 컨셉으로 홈랜드 시큐리티 산업전, 통합 보안기기 산업전, 정보보호 산업전, 지능형 교통안전 산업전, 국가위기관리 및 대테러 산업전 등 세부적으로 전시관을 나눠 구성되고, 국내외 최신 보안 솔루션을 직접 시연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보안기술 세미나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마련하여 최근 글로벌 보안이슈 및 시장동향과 보안체계 구축전략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기도 한다.25)

    특히, 산·학·연·정 연계 공동 개최를 하기 때문에 기계경비시스템 뿐만 아니라 보안산업 전반의 현황과 정책들을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루가 달리 바뀌는 첨단 장비와 시스템들을 확인할 수 있어, 시스템 업그레이드 시 실제 구매로 연결하기에도 편리하며, 보안산업의 육성 및 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기계경비시스템에 대한 꾸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의 범죄는 지능화·첨단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전 기계경비시스템 감지기 등의 원리를 역이용하여 범죄를 저지른 일은 엄청난 충격을 주고 있다. 기계는 사람이 아니라서 오작동을 하게되고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기계경비업체 및 관련업체, 기술연구소 등지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 세계보안엑스포와 같이 산·학·연·정이 연계되어 연구·개발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기계경비실습실이든 체험관이든 홍보관이든 해당 기관장의 관심과 과감한 투자 등으로 기계경비실습실 설치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9)시스템 공학적인 시큐리티 설계 모델로서 대처방안 개발과 하나의 통합보안 시스템을 위한 기초가 되며, 위험한 사건들을 예상하고 상호 보완적인 시큐리티 대처방안(예방전략·탐지전략·통제전략·개입전략)을 통합함으로써 위험요소를 감소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송재운, “첨단 우주센터의 통합보안 시스템 구축방안”, 시큐리티월드, 2002.10, 91쪽).  20)신상엽, 앞의 책, 70쪽.  21)이강열, 앞의 책, 143쪽.  22)지창환, CCTV 시스템 구축, 인포더북스, 2011, 14쪽.  23)Robert L. Barnard, “Intrusion Detection System, Second Edition”, Boston MA: Butterworth-Heinemann, 1988, pp.357-358; 신상엽, 앞의 책, 235쪽 재인용.  24)Joel Konicek and Karen Little, “Security, ID System and Locks”, Boston MA: Butterworth-Heinemann, 1997, p.27; 신상엽, 앞의 책, 240-249쪽 재인용.  25)세계 보안 엑스포 2013, 브로슈어, 2013, 6-7쪽 참조.

    Ⅴ. 결론 및 제언

    기계경비는 인력경비에 대응되는 경비형태의 용어로서, 1970년대 미국에서 전자공학의 발달에 힘입어 급성장하고 있는 경비산업이며, 고부가가치산업 중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초에 기계경비업이 도입되었고, 2001년에는 「경비업법」을 개정하여 정식 허가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현재 전국 기계경비업체는 150여개에 달하고 있다. 한편 1990년대 중반 경호관련학과가 탄생되어 현재는 전국 70여개의 대학에 경호관련학과가 자리를 잡고 있다. 기계경비는 이러한 경호관련학과의 주요 교과목(기계경비개론, 기계경비기획 및 설계, 전자보안시스템, 기계경비실습 등) 중의 하나이다. 또 이론과 실무를 겸비하기 위해 경찰·경호관련학과에서는 기계경비실습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기계경비실습실 운영은 대학의 관심과 시설투자 등 해당 대학이 처한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운용되고 있다. 특히 기계경비실습실이 적정하게 설치되어 운영되는 곳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더불어 기계경비에 정통한 학자들이 많이 배출되지 않아 기계경비업체의 단순 제안에 의존해 최소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사회의 경호경비서비스는 토탈시큐리티시스템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계경비시스템의 활용도와 역할은 증대되고 있어 대학뿐만 아니라 관련 협회와 기업에서도 산·학·연 연계체제를 가동하여 교육·연구·산학협력 분야의 신기술 및 현장 정보교환, 시설 및 장비·기자재의 공동 활용 등의 물적교류, 공동 기술개발 및 기술교류회 개최, 산학 현장실습 및 인턴십 등을 상호협력하고 있다. 기업들은 대학들에게 실무형 교육과 주문식 교육 등 기업에서 현실적으로 필요한 이론과 실습의 병행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육역량강화를 위해 기계경비실습실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고 발전방안을 논의하였다.

    우선 기계경비관련 기계경비실습실, 체험관, 홍보관 등의 시설이 전국 대학, 기관, 협회, 기업 등에 설치·운영되어야 하고 확대 되어야 한다. 또 설치되는 기계경비실습실은 복합형으로 설계될 때 효율성과 실용성이 배가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체계화되고 통합시스템화가 되어야 실질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계경비실습실의 구성은 현실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범경보시스템, 출입통제시스템, 영상감시시스템, 외곽침입감지시스템, 방재시스템, 홈시큐리티시스템, 전자보안시스템, 경호경비 및 경찰 장구·장비, 도청방지시스템 등으로 다양화하여 구성하는 것이 실질적이고 실효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시큐리티엑스포 등과 연계·협력하여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한국경비협회나 한국경비지도사협회와 같은 유관협회의 지원과 역할도 확대되어야 대학은 물론 기업들과 상생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대학은 기계경비관련 학문의 탐구와 연구, 전문성 있는 교육을 시행해야하며, 또한 경호관련 대학원에서는 미래를 예측하여 많은 기계경비 석·박사들을 배출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계경비시스템에 대한 표준화와 연구개발도 병행되어야 대한민국의 기계경비 및 민간경비산업, 그리고 경호관련학과의 교육역량도 강화될 것이다.

참고문헌
  • 1. 신 상엽 2011 기계경비론 google
  • 2. 이 강열 2013 기계경비개론 google
  • 3. 이 창용 2007 뉴테러리즘과 국가위기관리 google
  • 4. 정 용택 2012 물리보안용 센서의 원리와 응용 google
  • 5. 지 창환 2011 CCTV 시스템 구축 google
  • 6. 김 태민 2012 “경호관련학과 기계경비실습실 운영의 발전방안” [2012년 대한지방자치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267-278 google
  • 7. 김 태민 2011 “경호학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치안행정논집] Vol.8 P.137-164 google
  • 8. 김 태민 2009 “기계경비업무 사건들과 정책적 함의” [한국경찰연구] Vol.8 P.153-180 google
  • 9. 김 태민 2012 “기계경비지도사 제도의 발전과제 - 일본 기계경비업무관리자와의 비교를 통한 제언” [한국치안행정논집] Vol.9 P.161-185 google
  • 10. 김 효은 2013 “380만 대 CCTV 해킹 무방비?ATM 비밀번호 훔쳐 볼 수도” [중앙일보] P.20 google
  • 11. 박 동균, 김 태민 “한국 기계경비업무의 오경보 대응책” [한국경호경비학회지] P.33-60 google
  • 12. “상품/서비스” google
  • 13. 2013 브로슈어 P.18-35 google
  • 14. 2013 세계 보안 엑스포 2013, 브로슈어 P.6-7 google
  • 15. 송 재운 2002 “첨단 우주센터의 통합보안 시스템 구축방안” P.91 google
  • 16. 이 영희 2013 “불꽃·열 감지기 17대?숭례문 24시간 지키는 수문장” [중앙일보] P.25 google
  • 17. 이 윤근 1996 “한국 민간경비산업의 과제와 발전방안” [치안정책연구] P.33-56 google
  • 18. “ADT서비스” google
  • 19. Konicek Joel, Little Karen 1997 Security, ID System and Locks P.27 google
  • 20. Barnard Robert L. 1988 Intrusion Detection System P.357-358 google
  • 21. 2011 Frost & Sullivan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경호관련학과 현황
    경호관련학과 현황
  • [ <표 2> ]  경호관련학과의 기계경비관련 주요 교과목
    경호관련학과의 기계경비관련 주요 교과목
  • [ <표 3> ]  특수경비원 교육기관 시설 기준
    특수경비원 교육기관 시설 기준
  • [ <표 4> ]  기계경비관련 단행본의 시스템 내용 구성 비교
    기계경비관련 단행본의 시스템 내용 구성 비교
  • [ <표 5> ]  A대학 ‘디지털시큐리티체험관’의 시스템 구성
    A대학 ‘디지털시큐리티체험관’의 시스템 구성
  • [ <그림 1> ]  A대학 ‘디지털시큐리티체험관’ 현장 사진
    A대학 ‘디지털시큐리티체험관’ 현장 사진
  • [ <그림 2> ]  A대학 ‘디지털시큐리티체험관’ 배치도
    A대학 ‘디지털시큐리티체험관’ 배치도
  • [ <표 6> ]  B대학 ‘기계경비실습실’의 시스템 구성
    B대학 ‘기계경비실습실’의 시스템 구성
  • [ <그림 3> ]  B대학 ‘기계경비실습실’ 현장 사진
    B대학 ‘기계경비실습실’ 현장 사진
  • [ <그림 4> ]  B대학 ‘기계경비실습실’ 배치도
    B대학 ‘기계경비실습실’ 배치도
  • [ <그림 5> ]  C대학 ‘경호시스템실’ 현장 사진
    C대학 ‘경호시스템실’ 현장 사진
  • [ <그림 6> ]  기계경비실습실의 시스템 구성 제안
    기계경비실습실의 시스템 구성 제안
  • [ <표 7> ]  기계경비실습실 시스템 및 품목 구성 제안
    기계경비실습실 시스템 및 품목 구성 제안
  • [ <표 8> ]  세계보안엑스포2013 전시품목
    세계보안엑스포2013 전시품목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