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유아의 경제개념과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conomic education games on young children’s conceptions of economy and their decision making ability
  • 비영리 CC BY-NC
ABSTRACT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유아의 경제개념과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conomic education games on young children’s concepts of economy and their decision making ability. subjects were 56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the J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8 and a comparison group of 28. The economic concept factors for young children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a literature search. Games which centered on the concepts to be learned were constructed. The experimental group played the economic concepts games while the comparison group engaged in listening to stories with economic concept themes and discussing them. Data from the results of pre-and post-tests were analyzed with t-test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Findings are as follows. Economic education through gam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young children’s concepts of economy and their decision making ability. Therefore, economic education through games should be considered as a meaningful alternative method for teaching young children economic concepts.

KEYWORD
게임 , 경제교육 , 경제개념 , 의사결정력
  • Ⅰ. 서 론

    세계화·다양화·정보화 되어가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이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재화를 획득하고 이용하는 경제활동은 사회의 유능한 구성원으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 요건중의 하나이다. 국민소득이 높아지고 물질이 풍부해지며 과소비 경향이 많아진 오늘날의 경제활동으로 말미암아 영유아들이 물건에 대한 소중함을 잊어버린 채 놀잇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갖고 싶어 하는 물건은 무조건 구입해야 하고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은 쉽게 버리는 등 충동적인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다. 경제활동을 영위하는데 기초가 되는 경제개념의 발달은 아주 어린 시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유아기 내내 이루어진다. 유아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경제활동을 경험하면서 경제 개념을 인식해 나가며 이러한 과정은 민주시민으로서의 역할, 즉 소비자, 생산자 등의 역할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Laney & Schug, 1998). 이처럼 유아기는 소비 주체로서의 역할과 행동을 학습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경제기본개념과 이에 대한 유아의 올바른 이해력을 기르기 위한 적절한 경제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김영옥, 윤경선, 정상녀, 이나영, 2007; 윤선영, 2007; 윤주현 외, 2012; Banaszak, 1987; Seefeldt, 2001; Vanfossen, 2003).

    경제는 인간이 공동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재물이나 돈을 획득하고 활용하며 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회관계를 말한다. 합리적인 결정에 따라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능력은 급변하는 경제현상과 문제해결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이 현명하게 선택한 일에 대하여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민주시민으로서의 기본 능력이 되는 자질이기도 하다(김영옥, 박미자, 2008). 경제교육지원법(2009)에 의하면 경제교육을 ‘소비, 생산 및 금융 등의 분야를 포함한 경제와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고 의식을 함양하며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와 관련된 모든 교육’이라고 정의한다. Seefeldt(2001)는 미래의 세계를 살아갈 유아들에게 필요한 사회교육의 내용으로 지리, 역사, 환경 그 밖의 사회적 문제들이 포함될 것을 주장하면서 동시에 경제에 대한 교육도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김영옥(2014)에 의하면 사회과학 중 경제의 주요 요소는 소비, 돈, 물건 구매/시장 개념, 생산, 광고, 자원이며 이를 통해 경제 주요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모든 사람과 사건을 포함하여 사회현상과 관련된 사회적 탐구활동으로 확장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유아경제교육의 목적은 단순히 경제개념을 전달하는 교육이 아닌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경제 관련문제를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돕고 바람직한 경제생활의 기초적 원리를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한진수, 2003). 이에 근거한 바람직한 경제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영유아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경제교육활동을 고안하고 실천하도록 해야 한다.

    경제생활과 관련하여 누리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12)에서는 사회관계 영역에서 다양한 체험 중심의 경제교육활동을 통해 물건을 살 때 돈이 필요함을 알고 일상생활 속에서 돈의 쓰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경제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2013년 시행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2013)의 사회관계영역에서도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기’ 중 사회적 가치를 알고 지키기는 다른 사람의 소유물과 생각, 행동을 존중하고, 자연과 자원을 아끼는 습관을 기르는 것을 알아보고 있으며, ‘사회에 관심 갖기’ 중 지역사회에 관심 갖고 이해하기는 동네이웃의 다양한 직업 등을 알아보기도 하고, 일상생활에서 돈의 필요성과 쓰임새 등을 알아보는 유아 경제교육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NCSS(2010)에서도 사회과에서 다루는 10가지 주제(Ten Thematic Stands in Social Studies) 중 생산, 분배, 소비와 같은 경제개념을 포함하여 유아경제교육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김영옥, 2014; 이은화, 김영옥, 2000).

    과거에는 성인이 되어서야 비로소 소비활동을 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유아는 소비자로서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으나 오늘날의 유아들은 자유로이 쓸 수 있는 용돈이나 소비하려는 의사를 지닌 소비자로 인식됨으로써 기업의 판매 전략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 유아는 갖고 싶은 재화를 직접 구매할 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를 위한 구매용품의 선택에서도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구매영향력자로서 활동하고 있는 현재의 소비자이므로 경제교육을 통한 바람직한 지원이 필요하다(김혜영, 2000). 유아를 위한 경제교육은 단지 돈 계산을 잘 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가 경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경제문제와 선택에 있어서 자신의 욕구를 조절하고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경제적 개념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있다(이세원, 2006). 또한 적절한 시기에 시작되는 경제교육은 유아들에게 합리적인 소비생활습관을 길러줄 뿐만 아니라 책임감 있는 의사결정을 키워주며 체계적인 경제의 기본 원리 및 현실적인 경제문제를 이해 할 수 있는 경제적 사고력을 키우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한국경제연구소, 2003).

    유아 경제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극놀이를 통한 경제교육(김은아, 2009; 박선화, 2013; 윤선영, 김갑순, 2012; 이숙재외, 2006), 경제동화를 통한 연구(김혜영, 2002; 김혜진, 김혜순, 2011; 이명옥, 2001; 장수정, 2004; 채영란, 2010), 토의활동을 통한 경제교육(이영미, 2006; 조은숙, 2006), 시장놀이를 통한 경제개념 관련 연구(이영자, 2001), , 전통문화에 기초한 연구(김희선, 2012), 체험 중심 연구(김정숙, 조은진, 2008)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유아 경제교육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속에서 경제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화, 극놀이, 토의활동 등을 활용한 경제교육 관련 교수‧학습 방법들에 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나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여전히 경제교육에 대해 어려워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유아경제교육의 실태 및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조사한 선행연구(김덕순, 2004; 김미성, 2013; 김숙자, 김현정, 이미진, 변선주, 2010; 김숙자, 박현진, 김혜승, 2010; 김혜승, 2010; 서현아, 고은미, 지은주, 신경민, 2005; 이정진, 2005; 임현진, 2004; 장명주, 2003; 채영란, 2011)에 따르면 교사들이 유아경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적절한 경제교육을 통해 유아가 경제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알지만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적합한 내용이나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경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숙재 등(2004)은 경제 개념이나 지식의 암기를 중심으로 한 지식교육의 틀을 벗어나 실제 경험을 통한 생활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놀이중심, 활동 중심의 교수법, 통합적 교수법으로 지도할 때 교육적 효율성이 높다고 하였으며, 기존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에 통합적 운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김영옥 외(2007)의 연구에서에서도 텃밭가꾸기 중심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하였고, 유아경제교육활동이 경제개념에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김미현, 1997); 김효영, 2012)와 경제동화를 활용한 극놀이가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임병아(2007)의 연구에서도 놀이중심의 경제교육활동을 제안하고 있다. 유아들의 흥미를 고려한 놀이중심, 활동 중심의 경제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가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게임이다. 게임은 유아발달 정도에 적합한 학습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유아의 흥미를 자극하여 자발적 활동으로 이끌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환경 및 물리적 성질에 대한 학습과 다른 사람과의 상호 개입적 행동에 대한 학습, 사회적 상호작용의 과정을 학습할 기회를 갖도록 한다(정진, 성원경, 2004). 따라서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은 유아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여 경제개념에 대한 지적욕구를 발달시키고 더불어 유아가 경제개념을 보다 자연스럽고 자발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개념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유아들이 게임 활동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의 해결방법을 찾아보는 경험들은 지적・도덕적 자율성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며 서로 의논하여 전략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상대방의 입장을 존중하여 생각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더불어 게임내용에 포함된 수, 공간, 위치 등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물리적 특성과 논리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유아의 인지발달을 돕는다(정진, 성원경, 2004). 이처럼 유아는 게임활동 과정 속에서 흥미를 가지고 게임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개념을 습득할 수 있으며 게임의 규칙, 전략 등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의사를 결정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박형준 외(2002)의 의사결정 모형개발 연구에 의하면 의사결정 과정을 ‘아는 것’과 ‘할 수 있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다른 문제이며, 의사결정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지식을 습득함과 동시에 실제로 행동하는 경험이 요구되므로 실제로 경험하는 기회를 통해 의사결정 능력의 향상을 꾀하고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참여적 행동을 모색하라고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성희(2009)는 만 5세 유아들이 놀이 방법이나 주제 제안 등과 같은 사회적 단서가 제공될 때 의사결정을 하기 시작한다고 주장하면서 놀이상황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경제교육활동을 게임이라는 놀이상황에 적용하여 또래 및 교사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게임 방법 및 규칙 등을 유아들 스스로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유아가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는 경험은 유아의 의사결정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 및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경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의 2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위치한 J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56명으로 실험집단 28명(남14명, 여14명)과 비교집단 28명(남13명, 여15명)이다. 연구대상은 모두 같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지역여건, 유치원 환경, 연령이 비슷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집단 유아의 평균 월령은 68.83개월이고, 비교집단 유아의 평균 월령은 67.90개월이었다. 두 집단의 성별 및 연령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으므로 두 집단은 동질집단으로 간주하였다(t=263, p>.05). 연구 대상 유아의 평균 월령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 월령 및 성별 구성

    label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 월령 및 성별 구성

       2. 연구도구

    1) 유아 경제개념

    유아의 경제개념 습득을 알아보기 위하여 박미자(2008)의 유아 경제개념 검사를 사용하였다. 도구의 내용은 크게 7개의 하위영역으로 즉, ‘희소성과 선택’ 4문항, ‘기회비용’ 2문항, ‘소비’ 8문항, ‘상품과 서비스’ 4문항, ‘화폐’ 4문항, ‘직업과 일’ 2문항, ‘가격과 교환’ 3문항, ‘시장’ 4문항으로 총 31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각 문항별로 유아의 경제개념에 대해 묻는 그림과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유아의 경제개념의 각 문항은 채점 기준에 따라 ‘0점’, ‘1점’, ‘2점’으로 처리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경제개념의 습득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하위 요소 별로 검사문항 수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문항 수로 나눈 평균점수를 산출하였다. 그러므로 하위영역별 점수 분표는 0점에서 2점까지이며, 7개 하위요소의 평균점수를 합산한 총점의 점수 분포는 0점부터 62점까지이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유아경제개념 검사도구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희소성과 선택, 기회비용 .72, 소비 .68, 재화와 서비스 .77, 화폐 .76, 직업과 일 .79, 가격과 교환 .75, 시장 .74, 전체 .84였다. 검사도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유아 경제개념 검사도구의 구성 내용

    label

    유아 경제개념 검사도구의 구성 내용

    2) 의사결정력

    유아의 의사결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영(2012)이 제작한 교사용 유아 의사결정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자기조절력’ 5문항, ‘상황분석능력’ 5문항, ‘정서활용능력’ 6문항, ‘문제대처능력’ 9문항, ‘참조적 의사소통능력’ 7문항의 5가지 하위영역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32문항이다. 교사평정용 척도로 담임교사가 평소 유아의 행동을 관찰하여 각 유아의 의사결정력을 직접 평가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까지 평정한다. 유아의 의사결정력 총점은 최저 32점에서 최고 128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의사결정력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검사도구의 신뢰도계수 Cronbach’s α는 자기조절력 .79, 상황분석능력 .80, 정서활용능력 .78, 문제대처능력 .74, 참조적 의사소통능력 .76, 전체 .90이였다. 본 검사도구의 내용은 표 3과 같다.

    [<표 3>] 유아 의사결정력 검사의 구성 내용

    label

    유아 의사결정력 검사의 구성 내용

       3. 연구절차

    본 연구를 위한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연구

    본 연구에서 구성한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의 적절성 및 활동 소요시간,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는 J유치원 인근에 위치한 G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0명을 실험집단 10명과 비교집단 10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하고 유아의 경제개념, 의사결정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 결과, 활동에 참여하는 유아들이 경제개념에 대한 사전 경험이 풍부할 때 원활한 경제교육활동이 이루어짐을 발견하고 실험처치가 이루어지기 전 뿐만 아니라 활동이 이루어진 8주간 매주 교사와 활동 전에 관련 경제개념에 대하여 충분히 상호작용하며, 활동 자료와 교구를 미리 준비하여 유아들이 친숙하게 경제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실험처치 활동은 만 5세 유아의 발달과 학습 수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 소요시간은 유아의 집중시간을 고려하여 30-40분 정도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2) 교사 훈련 및 검사자간 일치도

    교사 및 검사자간 일치도 훈련은 2013년 6월 10일부터 6월 14일까지 5일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교사는 학력과 연령 및 경력이 비슷하였으며 특정한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교사 훈련은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 교사가 연구의 목적 및 방법 등에 관해 이해하고 실험 처치할 게임의 내용, 방법, 진행과정, 교사의 역할 등에 관한 논의 및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유아 경제개념 검사는 독립된 공간에서 유아와의 개별면접으로 이루어졌으며 25-3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본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가 직접 평정하였으며, 검사 전 유아들과 친밀감을 쌓도록 시간을 충분히 갖도록 하였다. 의사결정력 검사는 교사에 의해서 평정되는 검사지이다. 따라서 의사결정력 검사 문항에 대해 검토를 하고 이해하지 못하거나 의미파악이 어려운 문항에 대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교사간 토론 및 협의를 통해 일치를 이루도록 하였다. 또한 평정자들 간의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Y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종일반 유아 5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의 평정자들이 5일 동안 오후 종일반 교육활동 시간에서 관찰되어지는 유아의 행동을 바탕으로 어떻게 평정할 것인지에 대해 합의하고 논의한 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평정자간 일치도는 .94로 나타났다.

    3) 사전검사

    본 연구를 위한 사전검사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경제개념검사, 의사결정력검사에 대한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3년 6월 17일부터 21일까지 5일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경제개념검사는 본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가 유아와 1:1 개별 면접 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의사결정력검사는 유아의 행동을 관찰한 후 담임교사가 평정하도록 하였다.

    4) 본 연구

    (1) 실험처치의 기간 및 운영

    본 연구의 실험은 2013년 7월 1일부터 2013년 8월 16일까지 8주에 걸쳐 일주일에 2회씩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각 반 교실에서 실시하였다.

    [<표 4>]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활동 과정

    label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활동 과정

    (2) 경제교육 활동 게임의 선정

    본 연구의 게임 선정을 위하여 누리과정 지도서(2013)와 정진‧성원경(2004)의 「유아놀이와 게임」, 김영옥, 최윤정, 최수경(2005)의 「유아금융교실」을 중심으로 생활주제에 맞는 게임 30개를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 교사 2인 및 교수 1인의 자문을 구해 유아의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며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으로 활용했을 때 유아들이 경제개념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활동으로 유아의 발달 수준, 활동 소요시간 등을 고려하여 총 16개를 선정하여 수정・보완하였다.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경제개념을 추출하기 위하여 여러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학자들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김영옥, 홍혜경, 1998; Banaszak, 1987; Hansen et al., 1977; Laney, Frerichs & Pak, 1995; Melendez, Bech & Fletcher, 2000; NCSS, 1998; Schug, 1994; Seefeldt, 2001; Sunal, 1990) 유아기에 다루어야 할 기본적인 경제개념에 대해서는 박미자(2008)의 연구에서도 제시한 바, 경제적 희소성, 선택, 기회비용, 교환, 가격, 돈, 생산(자), 소비(자), 분배, 시장, 경제적 욕구, 상품과 서비스, 직업(일), 소득, 신용, 저축, 투자, 구매, 광고, 서비스, 절약 등의 개념을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선택, 희소성, 기회비용, 화폐, 가격, 교환, 상품과 서비스, 소비, 저축, 시장, 직업과 일의 11개 요인을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경제교육활동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경제개념 구성요인을 살펴보면 표 5와 같다.

    [<표 5>] 경제개념 구성 요인

    label

    경제개념 구성 요인

    경제개념 구성요인을 고려하여 선정된 16개의 게임은 경제교육 활동 게임의 목적이나 취지에 맞게 실시하도록 하였으며 게임의 전개 순서는 간단하고 쉬운 게임에서 점차 게임의 경험이 많아질수록 게임의 복잡성 및 게임 자료의 수 등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전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에 사용된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살펴보면 표 6과 같다.

    [<표 6>] 실험집단의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label

    실험집단의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3) 경제교육 활동 게임의 진행 과정

    유치원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게임들을 관찰 분석한 최기영(1996)의 연구에 의하면 그룹게임 중심의 집단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전개과정도 게임 실시전 도입, 본 게임, 게임 평가의 과정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최기영(1996)은 집단게임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게임준비 및 도입→ 게임이름 및 방법 정하기→ 집단 형태 구성 및 게임도구 배치→ 시범 게임과 규칙 정하기→ 게임 실시→ 결과 판정→ 종합적 평가 및 정리의 7단계로 이루어진 게임 전개 단계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게임의 형태를 대부분 그룹게임으로 선정하였으며 게임에서 포함된 경제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6단계로 구성된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단계를 다음과 같이 구안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의 과정은 [그림 1]과 같다.

    경제교육 활동 게임은 도입, 전개, 마무리 단계로 구성하여 교실에서 실시하였다. 먼저 도입단계에서는 인형이나 실물자료 등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고 게임자료에 대해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개단계에서는 게임이름과 방법의 토의, 게임 규칙 함께 정하기, 게임 실시, 결과 판정을 한 다음 게임 안에서 제시한 경제요소를 이해하기의 순으로 진행하도록 하였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게임을 하면서 느낀 점이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이야기하고 정리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활동 단계별 교수 학습 내용은 [그림 2]와 같다.

    (4) 실험집단의 활동 전개 과정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주 2회씩 8주에 걸쳐 총 16회 동안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을 실시하도록 하고 대그룹 활동 시간에 교실에서 진행하며 활동의 소요시간은 40분 정도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실험집단의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계획안은 다음 표 7과 같다.

    [<표 7>] 실험집단의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계획안의 예

    label

    실험집단의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계획안의 예

    (5) 비교집단의 활동 전개 과정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주 2회씩 8주에 걸쳐 총 16회 동안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비교집단의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 계획안은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비교집단의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 계획안의 예

    label

    비교집단의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 계획안의 예

    5) 사후검사

    사후검사는 실험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8주간의 실험처치 후 2013년 8월 18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하며 사전검사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 자료분석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al Package Social Science)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 연령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실시에 따른 유아의 경제개념, 의사결정력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각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에 대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1.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미치는 영향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점수를 t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 경제개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label

    경제개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먼저 각 집단 내의 사전, 사후간 평균점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경제개념의 평균점수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전체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경제개념 평균 점수 또한 전체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경제개념’의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M=34.79, SD=5.123)과 통제집단(M=34.00, SD=7.542)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456, p>.05).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경제개념 평균점수(M=52.68, SD=4.252)가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M=37.36, SD=7.233)의 경제개념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t=9.663, p<.001). 이러한 결과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특히 경제개념의 하위 영역인 ‘선택과 희소성, 기회비용(t=-1.355, p>.05)’, ‘소비(t=780, p>.05)’, ‘재화와 서비스(t=-.492, p>.05)’, ‘화폐(t=1.128, p>.05)’, ‘직업과 일(t=-.949, p>.05)’, ‘가격과 교환(t=1.586, p>.05)’, ‘시장(t=1.146, p>.05)’에 대한 두 집단의 사전 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보다 ‘선택과 희소성, 기회비용(t=6.545, p<.001)’, ‘소비(t=7.748, p<.001)’, ‘재화와 서비스(t=3.017, p<.01)’, ‘화폐(t=6.311, p<.001)’, ‘가격과 교환(t=8.081, p<.001)’, ‘시장(t=7.331, p<.001)’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과 일(t=1.441, p>.05)’, 은 점수의 평균비교에 있어서는 향상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보다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 경제개념의 하위영역 중 ‘직업과 일’ 항목을 제외한 선택과 희소성, 기회비용, 소비, 재화와 서비스, 화폐, 가격과 교환, 시장에 대한 경제개념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점수를 t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의사결정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label

    의사결정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먼저 각 집단 내의 사전, 사후간 평균점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의사결정력의 평균점수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전체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의사결정력 평균 점수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전체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의사결정력’의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M=76.68, SD=7.329)과 비교집단(M=74.32, SD=10.202)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993 p>.05).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의사결정력 평균점수(M=87.82, SD=9.290)가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M=65.89, SD=11.259)의 의사결정력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t=7.949, p<.001). 이러한 결과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의사결정력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의사결정력의 하위 영역인 ‘자기조절력(t=1.377, p>.05)’, ‘상황분석능력(t=1.008, p>.05)’, ‘정서활용능력(t=974, p>.05)’, ‘문제대처능력(t=-.423, p>.05)’, ‘참조적 의사소통능력(t=930, p>.05)’에 대한 두 집단의 사전 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보다 ‘자기조절력(t=2.867, p<.01), ‘상황분석능력(t=4.779, p<.001)’, ‘정서활용능력(t=8.573, p<.001)’, ‘문제대처능력(t=9.702, p<.001)’, ‘참조적 의사소통능력(t=6.370, p<.001)’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 의사결정력의 하위영역인 자기조절력, 상황분석능력, 정서활용능력, 문제대처능력, 참조적 의사소통능력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유아에게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적용한 후 유아의 경제개념과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은 유아의 경제개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경제개념 하위영역인 선택과 희소성 및 기회비용, 소비, 상품과 서비스, 화폐, 가격과 교환, 시장의 개념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선행연구들(김미현, 1997; 김효영, 2012; 윤주현, 배지희, 2012)과 관련이 있으며, 체험 중심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을 형성하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들(김영옥 외, 2007; 김정숙, 조은진, 2008; 김혜진, 김혜순, 2011)과 경제동화를 활용한 극놀이가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들(김은아, 2009; 이세원, 2006; 임병아, 2007)의 견해와도 맥을 같이 한다.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은 유아의 흥미, 호기심, 경제개념에 대한 지적 욕구를 발달시켜 경제개념 형성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게임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은 경제개념을 보다 자연스럽고 자발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즉, 경제개념에 대한 이야기나누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아가 습득해야할 경제개념을 놀이 중심의 활동적인 게임으로 전개하여 유아에게 풍부한 학습 상황을 제공해주고 보다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유아가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경제개념 발달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낸 결과로 생각된다.

    경제개념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선택과 희소성 및 기회비용, 소비, 상품과 서비스, 화폐, 가격과 교환, 시장의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제한된 돈이나 물건을 선택하고 포기하는 게임의 과정에서 바람직한 선택을 하고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해 포기해야 하는 기회의 가치에 대해 알도록 함으로써 선택과 희소성 및 기회비용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선택과 희소성 및 기회비용’의 개념이 유아가 이해하기에는 어렵지만 적절한 교육활동이 주어진다면 개념 발달이 가능하다는 Seefelt(1997)의 견해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교육활동을 유아에게 적용했을 때 선택의 개념이 향상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들(김미현, 1997; 이명옥, 2001; 이세원, 2006)이 발표된바 있다. 또한 유아들이 기회비용에 대한 개념을 쉽게 이해하지 못함을 지적한 Kourilsky(1987)의 연구결과를 볼 때 이와 관련된 추후 탐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경제교육을 놀이중심의 활동적인 게임으로 제공한 점이 유아들이 경제 개념 중 선택과 희소성 및 기회비용의 개념을 재미있게 이해하도록 돕고, 개념을 보다 자연스럽게 형성하게 만들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후속연구에서 게임의 형태와 방법 그리고 또 다른 매체를 활용한 유아 경제교육 효과를 검증하여 규명해 갈 필요가 있다.

    ‘상품과 서비스, 소비’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김은아, 2009; 김정숙 외, 2008; 김혜진 외, 2011) 유아들은 부모에게 자신이 필요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줄 것을 요구하기도 하고,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직접 구매함으로 스스로 경제적인 결정을 하는 소비자라는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건을 사고 파는 게임활동 속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자신이 원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해 합리적으로 돈을 쓰는 경험을 하여 소비의 개념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고 유추된다. 예를 들면 컵이나 젓가락과 같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물건을 더 많이 파는 사람이 이기는 ‘누가 더 잘 팔았나요’ 게임에서 흥미있는 방법으로 상품을 선택하고 물건을 사고 파는 경험을 통해 소비의 개념을 익히도록 하였다.

    또한 ‘화폐, 가격과 교환, 시장’의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교육활동이 화폐가치를 돈의 크기나 모양과 같은 물리적 특성과 연관 짓는 단계를 넘어서 기능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김정숙 외, 2008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맥락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품과 서비스를 사고 파는 지불 수단으로서의 화폐의 개념을 이해하고 필요에 의해 서로 교환하는 경험을 함으로써 유아가 경제개념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게임활동을 통해 물건을 사고 팔며 교환이 이루어지는 시장의 개념 또한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직업과 일’ 하위영역에서는 점수의 평균비교에 있어서는 향상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동화를 통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 중 ‘직업과 일’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고 주장한 김은아(2009)의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경제개념의 하위항목인 ‘직업과 일’은 지역사회(병원, 우체국, 경찰서, 소방서)에는 다양한 일을 하는 사람이 있으며 각각의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물건이 있음을 인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을 실시한 만 5세 유아의 경우, 교육과정 안에 직업과 일에 관련된 내용이 이미 포함되어 있어서 다양한 직업 및 관련 내용에 관한 사전 지식이 풍부하였고, 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은 유아의 의사결정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의사결정력의 하위영역인 자기조절력, 상황분석능력, 정서활용능력, 문제대처능력, 참조적 의사소통능력에서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집단게임에 필요한 방법이나 규칙을 정하는 단계에서 의사결정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으며, 규칙이 있는 게임을 통하여 타인에 대한 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이 증진되고 탈중심화가 일어난다고 주장한 정진‧성원경(2004)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며, 집단게임은 단체의 일원으로서 규율을 지키고 공통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협력해야 함을 배우며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사회적 결단력을 학습하게 된다고 한 이정환(1997)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또한 이성희(2009)는 만 5세 유아들이 놀이 방법이나 주제 제안 등과 같은 사회적 단서가 제공될 때 의사결정을 하기 시작한다고 주장하면서 놀이상황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경제교육활동을 게임이라는 놀이상황에 적용하여 또래 및 교사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게임 방법 및 규칙 등을 스스로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유아가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도록 한 본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의사결정력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자기조절력’에 있어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유아들은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고 자신의 욕구와 정서를 조절하며 주어진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경험을 통해 자기조절력 향상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집단게임놀이가 유아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미쳤다고 주장한 강명화(2012)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며, 유아들이 그룹게임을 통해 자신과 타인간의 감정과 욕구의 차이에 대해 알고 자신의 감정과 행동 조절의 필요성을 느낌으로써 자기조절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 김현희(2011)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의사결정력의 하위영역 중 ‘상황분석능력’에 있어서도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실험과정 중 게임 속에 포함된 경제요소를 이해하는 경험을 포함하도록 하였으며 게임의 인과관계나 규칙에 대해 탐색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함으로써 유아가 목표와 합리성을 고려한 적절한 상황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고려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이 자유선택활동시 놀이과정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탐색능력, 문제해결력, 자기조절력, 학습적응능력 등이 습득될 수 있다고 주장한 양옥승(2003)의 연구결과를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정서활용능력과 문제대처능력’ 또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또래와 게임을 하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정서를 수용하고 정서에 대한 조절전략을 사용하는 경험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나아가 문제상황에 직면했을 때 원인을 탐색하고 최선의 해결책을 선택하려는 문제대처능력에도 긍정적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유아가 의사결정의 과정에 참여하면서 타인의 목표를 더 잘 이해하고 의사결정 경험이 많아지면서 선택을 위한 개인적 준거를 가지게 되며 갈등상황에서도 더 많은 대안을 찾아낸다고 주장한 박지영(2012)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의사결정력의 하위영역 중 ‘참조적 의사소통능력’에 있어서도 실험집단 유아들이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게임방법 및 규칙을 의논하고 결정해보는 경험을 통해 다양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하게 되며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견과 선택기준을 설명하고 이해시키려는 참조적 의사소통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같은 또래의 유아들이 의사결정시 서로 경쟁하면서 빈번한 상호작용, 뚜렷한 자기 주관 및 주도성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한 김희태(2008)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게임이라는 경쟁적 놀이 상황을 통해 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증가하고 또래간 의사소통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경제개념과 의사결정력이 높게 향상되었다. 즉,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은 유아들에게 선택과 희소성 및 기회비용, 소비, 상품과 서비스, 화폐, 가격과 교환, 시장에 대한 경제개념을 이해하도록 하는데 긍정적 효과를 미쳤으며 의사결정력의 하위영역인 자기조절력, 상황분석능력, 정서활용능력, 문제대처능력, 참조적 의사소통능력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을 통하여 유아가 경제개념을 보다 자연스럽고 자발적으로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 호기심, 경제개념에 대한 지적 욕구를 발달시켜 경제개념 형성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 것으로 보인다. 게임은 즉각적 반응을 통한 흥미와 선택 및 자율성을 유도하고 다중양식을 이용한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뇌발달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이른바, ‘뇌 활동의 맥락, 의존적 활성화’를 동기화하게 된다. 본 연구는 활동 과정에서 다양한 의사소통을 통해 합리적 사고를 하고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도록 하여 바람직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은 유아들이 어렵게 느끼는 경제개념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적극적으로 흥미를 유발하고 경제개념을 포함한 게임을 다양하게 진행하도록 하며, 활동과정에서 유아들이 다양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 56명을 대상으로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유아를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유아의 연령이나 성별, 개별적 특성 등 다양한 변인에 따라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의사결정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경제개념과 의사결정력의 평균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모두 향상되었으나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경우 경제개념의 평균점수는 향상되었고 의사결정력의 평균점수는 사전보다 사후에 오히려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유아가 경제개념의 의미 파악을 어려워하고 이야기나누기를 하는 과정에서 경제개념 이해를 돕기 위해 인지적 측면만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인하여 유아의 경제개념 이해는 높아졌으나 유아가 스스로 판단하고 자발적으로 사고하는 의사결정력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을 통해 자발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향후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간 의사결정력 점수가 하락한 부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가에 대한 집단내 추후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G 광역시에 위치한 특정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이므로 다른 지역이나 다른 대상 또는 확대된 대상을 선정하여 반복 연구를 통한 재검증도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뿐만 아니라 차기에 경제개념 이해의 강조여부가 의사결정력의 지지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에 대한 점도 면밀히 주목해 본다면 종속변인의 선정이나 매개효과에 대한 시사도 가능할 것이다.

    넷째, 유아에게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경제개념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교사의 경제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교사 교육이나 자료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본 연구는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을 계획, 적용한 후 이에 대한 효과를 양적 차이로 비교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나 향후 유아 경제교육활동에서 어떤 장면과 유형의 게임이 대안적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탐색과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참고문헌
  • 1. 강 명화 (2012) 집단게임놀이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유치원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google
  • 2. (2007) 경제교육 표준 정립에 관한 연구. google
  • 3. (2012) 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0호. google
  • 4.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6호. google
  • 5.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6호. google
  • 6. 김 덕순 (2004)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google
  • 7. 김 미성 (201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조사. google
  • 8. 김 미현 (1997) 유아경제교육 활동이 경제기본 개념에 미치는 영향. google
  • 9. 김 숙자, 김 현정, 이 미진, 변 선주 (2010) 유아 경제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분석 ?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경험학습 중심의 공동체적 유아 경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 Ⅳ. [유아교육학논집] Vol.14 P.101-132 google
  • 10. 김 숙자, 박 현진, 김 혜승 (2010) 유아 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분석: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P.283 google
  • 11. 김 영옥 (2014) 유아사회교육. google
  • 12. 김 영옥, 박 미자 (2008) 유아 경제개념의 발달적 경향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5 P.231-267 google
  • 13. 김 영옥, 윤 경선, 정 상녀, 이 나영 (2007) 텃밭가꾸기 중심 통합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Vol.49 P.209-229 google
  • 14. 김 영옥, 최 윤정, 최 수경 (2005) 유아금융교실: 유치원 교사를 위한 금융교육 지도 자료. google
  • 15. 김 영옥, 홍 혜경 (1998) 유아의 소비생활 인식과 경제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모색.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39-63 google
  • 16. 김 은아 (2009) 동화를 통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7. 김 정숙, 조 은진 (2008) 체험 중심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Vol.29 P.43-63 google
  • 18. 김 현희 (2011) 구성주의에 근거한 그룹게임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google
  • 19. 김 혜승 (2010) 경제개념별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google
  • 20. 김 혜영 (2000) 동화에 나타난 경제개념 내용 분석 google
  • 21. 김 혜영 (2002) 경제동화를 활용한 통합 활동이 유아의 화폐개념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2. 김 혜진, 김 혜순 (2011) 전래동화에 기초한 경제교육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수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0 P.545-560 google
  • 23. 김 효영 (2012)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미치는 효과. google
  • 24. 김 희선 (2012)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google
  • 25. 김 희태 (2008)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협동과 경쟁. [유아교육연구] Vol.28 P.243-268 google
  • 26. 박 미자 (2008) 유아 경제개념 검사도구 개발 연구. google
  • 27. 박 선화 (2013) 직업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진로인식 및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8. 박 지영 (2012) 교사용 유아 의사결정력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google
  • 29. 박 형준, 고 은희 (2002) 브레인라이팅 의사결정 모형 개발. [시민교육연구] Vol.34 P.123-148 google
  • 30. 서 현아, 고 은미, 지 은주, 신 경민 (2005)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및 실시현황.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P.131-151 google
  • 31. 양 옥승 (2003) 자유선택활동에서 유아의 선택과 의미. [유아교육연구] Vol.23 P.131 google
  • 32. 윤 선영 (2007) 비판적 사고 교수 접근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google
  • 33. 윤 선영, 김 갑순 (2012) 가게놀이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소비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Vol.16 P.379 google
  • 34. 윤 주현, 배 지희 (2012) 현장중심의 통합적 경제교육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Vol.15 P.203-225 google
  • 35. 이 명옥 (2001) 경제동화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에 미치는 영향. google
  • 36. 이 성희 (2009) 만 5세반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시 의사결정 상황과 반응 [한국 유아교육·보육 행정 연구] Vol.18 P.277-298 google
  • 37. 이 세원 (2006) 경제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과 역할놀이가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및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google
  • 38. 이 숙재, 이 봉선 (2004) 창의적 극놀이를 통한 유아 경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Vol.24 P.121-144 google
  • 39. 이 숙재, 이 봉선, 김 종선, 이 방실 (2006) 연극놀이를 통한 유아경제교육. google
  • 40. 이 영미 (2006) 토의식 경제관련 활동이 유아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google
  • 41. 이 영자 (2001) 시장놀이가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습득에 미치는 영향. google
  • 42. 이 은화, 김 영옥 (2000) 유아사회교육. google
  • 43. 이 정진 (2005) 경제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google
  • 44. 이 정환 (1997) 유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google
  • 45. 임 병아 (2007) 경제동화를 활용한 극놀이가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및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google
  • 46. 임 현진 (2004) 초등학교 아동의 금융소비자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google
  • 47. 장 명주 (2003)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google
  • 48. 장 수정 (2004) 극놀이를 통한 유아 경제교육에 관한 연구. google
  • 49. 정 진, 성 원경 (2004) 유아 놀이와 게임. google
  • 50. 조 도근 (1991) 사회과에서의 경제교육 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google
  • 51. 조 은숙 (2006) 유아의 토의활동을 통한 경제교육이 경제기본개념 획득에 미치는 영향. google
  • 52. 채 영란 (2010)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을 연계한 유아 경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P.205-237 google
  • 53. 채 영란 (2011)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9 P.33-60 google
  • 54. 최 기영 (1996) 유치원 집단게임 활동과정의 사회화 기능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Vol.16 P.49-69 google
  • 55. (2003) 어린이 경제교육은 왜 필요할까?. google
  • 56. 한 진수 (2003) 어린이와 경제교육 -왜, 언제, 무엇을, 어떻게-. [한국어린이육영회 학술대회: 어린이와 경제교육] P.1-33 google
  • 57. Banaszak R. A. (1987) The nature of economic literacy. google
  • 58. Hansen W. L., Bach G. L., Calderwood J. D., Saunders P. (1977) Master curriculum guide in economics for the nation’s school: A framework for teaching economic concepts. google
  • 59. Laney J. D., Schug M. C. (1998) Teach kids economics and they will learn. [Social Studies and the Young Learner] Vol.11 P.13-17 google
  • 60. Melendez W. R., Bech V., Fletcher M. (2000) Teaching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google
  • 61. (1997) Voluntary national content standard in economics. google
  • 62. (1998) Social studies for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eparing for the 21th century. google
  • 63. (2010) national curricula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google
  • 64. Schug M. C. (1994) Introducing children to economic reasoning: Some beginning lessons. [The Social Studies] Vol.6 P.114-118 google
  • 65. Seefeldt C . (2001) Social student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 google
  • 66. Seefeldt C. (1997) Social studies in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integrated curriculum. In C. H. Hart, D. C. Burts, & R. Charlesworth (Eds.), Integrated curriculum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Birth to age eight P.171-199 google
  • 67. Sunal C. S. (1990)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google
  • 68. Vanfossen P. J. (2003) Best practice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ocial Education] Vol.67 P.90-94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 월령 및 성별 구성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 월령 및 성별 구성
  • [ <표 2> ]  유아 경제개념 검사도구의 구성 내용
    유아 경제개념 검사도구의 구성 내용
  • [ <표 3> ]  유아 의사결정력 검사의 구성 내용
    유아 의사결정력 검사의 구성 내용
  • [ <표 4> ]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활동 과정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활동 과정
  • [ <표 5> ]  경제개념 구성 요인
    경제개념 구성 요인
  • [ <표 6> ]  실험집단의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실험집단의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 [ [그림 1] ]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진행 절차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진행 절차
  • [ [그림 2] ]  활동 단계별 교수 학습 내용
    활동 단계별 교수 학습 내용
  • [ <표 7> ]  실험집단의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계획안의 예
    실험집단의 게임을 통한 경제교육활동 계획안의 예
  • [ <표 8> ]  비교집단의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 계획안의 예
    비교집단의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경제교육활동 계획안의 예
  • [ <표 9> ]  경제개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경제개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 [ <표 10> ]  의사결정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의사결정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