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초등환경교재의 텍스트 구성전략* Text Constructing Strategy for Elementary Environmental Textbook*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초등환경교재의 텍스트 구성전략*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new perspective i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chil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read a text and answer 20 questionnaires that were made up to be measured by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test were fifth and sixth grade, 57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used were reason and affect(love and fear) that has been regarded as a important persuasion mechanism in communication domai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type of reason and affect,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s were positively changed. Thus, just by reading text, it was found that will for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could be built up. Second, types of reasonal appeal were not significant in developing environmentally responsible action. Third, reasonal appeal had positively influenced on all subcategory. As effect of reasonal appeal, especially, active environmental action, such as physical action or financial action, were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persuading.

KEYWORD
텍스트 , 소구 , 환경책임행동
  • I. 연구의 필요성 및 문제제기

    오늘날 산업발전은 인류의 삶에 부와 번영을 가져왔으나, 경제 개발의 진행과정에서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이 계속된 결과, 곳곳에서 크고 작은 환경문제가 속속 발생하고 있다. 기후변화, 환경오염 등의 문제는 이제 우리의 생존뿐 아니라 미래세대까지 위협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현재 세대와 아울러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위해, 환경적으로 소양있는 시민을 기르고, 책임있는 환경행동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환경교육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이행할 학습 자료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1960년대 중반부터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시작한 ‘환경교육’은 초등학교의 경우 제 7차 개정교육과정 이후 다양한 교과의 내용 안으로 스며들었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환경 교육은 책임 있는 환경 행동과 올바른 환경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환경소양을 함양하고자 하는 교육으로, Tbilisi Declaration(1977)에 의하면 적절한 교자재가 갖추어져 있을 때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다(최돈형 외, 2007). 환경교육의 내용 및 방법이 점차 다양한 형태로 확장됨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의 중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환경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최근에는 언어중심의 교육방법에 치우쳤던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교육을 위한 웹 기반 멀티미디어의 다양한 학습 자료 유형들도 결국은 텍스트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으며(차민정, 2009), 학교환경교육을 위해서 제공되는 환경교과서의 종류가 늘어나고 있는 현실과 관련지어 봤을 때 효과적인 텍스트 서술형식 역시 여전히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텍스트의 메시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장치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긍정적, 부정적인 메시지로 나누어 메시지습득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메시지 프레이밍(message framing) 연구가 최근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프레이밍은 중요한 문제의 한계를 정하는 한편, 그 주요 요소들에 관심을 집중시키는 정보를 그릴 수 있는 ‘하나의 창’ 혹은 ‘사진 틀’이다(Tankard, et al., 1991; Hallahan, 1999; 한균태 외, 2004 재인용).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프레이밍은 광고학이나 저널리즘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소재이다. 근래에는 교육 분야에서도 텍스트의 메시지프레이밍의 효과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어, 캠페인 문구나 공익광고용 텍스트뿐만 아니라 교재의 텍스트 연구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탐구하려는 노력들이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학교교육을 위한 환경교재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교과서텍스트의 단락이나 단어 그 자체와 같은 단편적인 메시지프레이밍에 국한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불어 메시지프레이밍과 관련된 초등학교 학생들 대상의 환경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가 않다. 특히 메시지프레이밍의 효과를 직간접적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진 소구유형(訴求類型: Appeal Type)에 대한 연구는 환경교육과 관련해서는 거의 없었다. 이제 환경교육 교재의 텍스트에 대한 논의를 충분히 하고, 텍스트가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제공하는 데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다양한 방법으로 밝히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환경교육이 교과서뿐 아니라 환경동아리 및 교외 환경교육과 관련한 체험활동이 많아졌다. 더 이상 단일화된 텍스트만을 통해 환경교육을 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제는 환경교육을 하고자 할 때 이루어지는 시‧공간의 상황에 맞게, 환경교육을 하는 단체나 개인이 적절한 텍스트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경교육의 중요한 목적인 환경책임행동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적인 텍스트 구성에 대한 연구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의 환경교육에서 이미 많이 연구되었던 긍정적/부정적 프레이밍에 관한 효과를 제외하고, 소구유형이 수용자의 요인에 따른 친환경 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에 많이 제공되어왔던 정보중심의 이성소구와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정서소구가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각 소구별 텍스트 유형을 읽고, 사전과 사후측정을 함으로써 환경책임행동의 변화를 확인하도록 하겠다. 이를 통해 환경텍스트를 구성하는 데 있어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정보가 바탕이 되는 이성소구 유형과 감정을 중심으로 하는 정서소구 유형의 텍스트가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로 보다 효과적이고 구체적인 환경교육 메시지의 구성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현장에서 수업에 필요한 자료의 종류는 교과나 수업 활동에 따라 다양하게 나누어진다. 흔히, 환경교육의 교수-학습 자료는 읽기자료와 비읽기자료로 구분된다(최석진, 1990). 읽기 자료에는 교과용 도서, 학습지나 배운 책, 자료집, 홍보자료, 정기간행물 등과 같은 인쇄자료가 해당되고, 비읽기자료에는 슬라이드, 화보, 라디오 및 녹음테이프, TV 및 VCR자료 등과 같은 시청각 자료가 해당된다(차민정, 2010). 이와 같은 구분은 환경교육교과뿐 아니라 모든 교과의 교수-학습 자료를 구분하는 기준에 해당될 수 있다.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데 있어 환경교육은 어느 한 쪽에 치우침 없이 다양한 자료를 사용하게 된다. 이는 환경교육이 나이, 성별, 학교급, 지역 등과 관계 없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평생교육과 같아서 앞서 제시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모두 제시받을 기회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대중매체의 환경캠 페인, 환경공익광고, 환경관련 다큐멘터리와 같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도 직‧간접적으로 교육내용을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까닭에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메시지가 좀 더 설득력있게 전달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재휘‧신진석(2004b)에 따르면, 현재 환경과 관련한 메시지프레이밍 연구는 환경공익광고의 메시지 소구가 ‘자연을 보호합시다.’나 ‘맑은 공기는 생명의 원칙입니다.’라는 계몽형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에서, 환경문제의 피해를 전달하는 위협소구 형태의 광고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김재휘‧신진석 (2004a)의 연구결과에서는 수자원 보호와 절약에 있어서 메시지프레이밍이 환경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쳤 다는 것이 드러났다. 소비자심리를 메시지프레이밍으로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하이브리드카, 그린워시, 그린마케팅 등에서 진행되기도 한다. 이처럼 환경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저널리즘과 광고학 분야에서 많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의 환경교육이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진다고 볼 때 환경교육 분야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교육 분야에서도 프레이밍과 소구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신지혜‧류재명(2009)은 환경과 관련된 용어의 틀짓기를 통해 은유와 프레이밍의 언어적 특성을 소개하고, 환경교육에서 언어를 다룰 때 주의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정원영(2010)의 긍정적‧부정적 정보 제시 순서에 따른 지역이미지와 흥미도 형성에 관한 연구에서 초두효과에 주목한 지역 이미지 형성의 논의와 유수진(2009)의 메시지프레이밍이 지리적 가치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로 환경태도형성에는 부정적 프레이밍이 효과적이라는 결과 등도 있다. 이미나(2011)의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문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 고등 학교 사회교과서 텍스트 프레이밍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서은정‧류재명‧김태연(2011)은 친환경메시지 디자인이 대학생의 먹거리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 박미진(2013)은 감정이입에 따른 긍정과 부정의 메시지 프레이밍이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이처럼 최근에는 메시지프레이밍 연구가 광고학이나 저널리즘 분야가 아닌 교육학 분야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환경교육과 관련된 분야에서는 메시지프레이밍만이 주목되고 있으며, 소구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다. 특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적 메시지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메시지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가 않다. 다만 공익광고의 효과 면에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이 어떤 방식으로 광고를 이해하고 수용하는가를 밝히기 위한 한규희(2008)의 연구나,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광고에 대한 의식 및 수용 태도를 분석한 성경숙(2003)의 연구 등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광고의 효과 및 광고수용 능력과 관련된 연구가 광고에서 드러나는 메시지가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된 몇 편의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의 메시지에 대한 이득과 손실 중심의 메시지 프레이밍에 대한 효과는 충분히 연구되고 있다고 보아, 소구를 통한 메시지의 변화가 초등학생의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주안점을 두기로 하였다.

       1. 소구유형

    프레이밍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는 성별에 따른 차이, 교육 정도의 차이, 주제에 따른 차이 등이 있고, 많은 연구들이 메시지 프레이밍의 소구유형에 따라 차이가 크다고 밝혔다. 따라서 메시지의 소구유형이 프레이밍에 주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광고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인 소구(appeal)의 어원은 하나의 사건, 운동의 취지를 널리 사회 계층에 알려 공감을 얻으려는 것으로, 문서에 인쇄해 배부 하는 것을 가리키거나 어떤 선정된 주제를 어떻게 잘 표현하여 주제의 재현을 극대화하느냐 하는 일종의 표현기법을 의미한다(최지현, 2008). 소구유형이란 메시지 전달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주장이나 내용을 수용자가 받아들이도록 호소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달자가 메시지를 어떤 소구유형으로 전달하느냐에 따라 설득의 효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소구 유형이 설득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김정현(2008)에 따르면 소구유형에는 물리적 특징이나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여 수용자의 이성에 호소하는 이성적 소구와 수용자의 가치 추구 성향에 근거하여 수용자의 심리적 의사결정에 호소하는 정서적 소구가 있다. 또한 수용자의 유머 기제에 작용 하는 유머소구, 감각적 자극을 통하여 공포심을 유발 하는 공포소구, 성적인 부분에 호소하는 성적소구 등도 있다. 다른 측면으로는 메시지를 개인주의적 성향에 맞추어 소구하는 개인소구 방법과 집단주의적 성향 에 맞추어 소구하는 사회소구 방법 등 다양한 소구방법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김승필, 2011). 이처럼 소구유형은 분류기준과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는데, 크게는 이성과 정서소구로 나누는 것이 대표적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이성소구는 이성적 판단에 소구하는 것이다. 자신의 신념이나 의견을 주장할 때 그것을 뒷받침해주는 실증적 논리 및 논리적 자료들로 메시지를 줌으로써, 수용자로 하여금 주장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반해 정서소구는 논리를 넘어서 인간의 정서에 호소하는 것으로 태도와 행동에 유형을 미치는 소비자의 감성 또는 정서를 야기하는 것이다(최지현, 2008).

    부경희(2001)에 의하면 정서소구에 관한 연구로는 Obermiller(1995)의 Sick Baby/ Well Baby 메시지 테스트가 있다. Obermiller(1995)의 연구는 사회적 마케팅에서 주로 쓰이는 정서소구인 Sick baby/ Well Baby 메시지를 환경관련 커뮤니케이션에 적용하여 이슈 중요도 인식과 심각도를 매개 요인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Sick baby 메시지와 같이 부정적 정서소구가 주목도와 기억을 증진시키기는 하나, 이슈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이미 높은 상태에서는 오히려 효과를 반감 시킬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이 연구에서 가장 명확하게 밝혀진 결과는 이슈에 따라 메시지 효과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신뢰와 같은 추상적 가치를 주제로 메시지의 다양한 중개요인을 고려하여 살펴본 메시지 귀인 효과 실증 연구에서, 문제가 단순히 실천이 쉽고 통제가 가능하다고 믿는 경우 더욱 감성적인 메시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어떤 주제의 메시지를 전달할 때 이성소구가 효과적인지, 정서소구가 효과적인지에 관한 논의는 합의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이다. 특히 친환경메시지가 소구유형별로 갖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가 않아, 이성소구와 정서소구 유형 중 어떤 것이 효과적 인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2. 선행연구

    메시지프레이밍과 소구유형을 결합한 환경관련 텍스트의 효과적인 접근유형을 살펴보자면 박유식과 경종수(2002)가 메시지프레이밍(긍정/부정), 소구유형 (개인이익/공익), 정보제공형/이미지형으로 조작된 8가지 수질오염 관련 공익광고를 제작한 실험연구를 들수 있겠다. 결과로는 프레이밍에 따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공익광고에서 개인의 행동과 혜택을 강조하는 것이 일반 대중의 행위나 혜택을 강조하는 것보다 행동의도를 높일 수 있는 광고유형임을 밝혔다. 김정현(2008)은 메시지프레이밍과 소구유형이 지구온난화 경고, 공익 광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는데, 개인소구 광고보다 사회소구 광고에 접한 수용자가 광고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김찬년(1994)은 환경을 주제로 한 메시지 유형과 수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공익광고를 정보적 광고와 정서적 광고로 구분한 후, 특성에 따른 효과성을 살펴봤을 때 메시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없거나, 정서적일 때 더 효과 적이고, 성별의 차이도 있다고 했다. 그러나 위협소구 (부정적 정서소구)나 부정적 메시지를 담는 공익광고는 수용자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대안적인 긍정적 메시지가 없다면 수용자의 부정적 태도를 유발할 수도 있다(최지현, 2008). 이와 같이 환경관련 연구에 있어서 소구유형에 따른 메시지의 효과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같은 주제나 같은 메시지프레이밍이라도 소구유형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볼 수 있어 소구유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최현경(2010)에 따르면, Bang et al.(2004)이 소구유형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연구로 미국과 한국의 서비스 잡지 광고에서 어떠한 소구 유형을 주로 사용 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 저-맥락 문화권(low-context culture)인 미국에서는 이성소구를 고-맥락 문화권(high-context culture)1)인 한국에서는 정서소구를 주로 사용할 것이라는 가설과는 달리 미국과 한국 두 국가 모두에서 이성소구를 주로 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그러나 환경을 주제로한 공익광고에서는 이성소구가 아닌 정서소구 중 환경 오염의 문제를 다루는 공포소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보전이나 대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느낄 수 있는 긍정적인 정서를 유도하는 것보다 환경문제의 결과를 통한 위협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드러난 것처럼 최근 환경과 관련된 매체의 보도내용을 환경 교육적 차원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환경 교육뿐 아니라 교육 전반에 걸쳐 스마트 기기가 확산되고, 학생들이 어디에서나 접할 수 있고, 내용이 주시적(週時的)이고 흥미롭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경과 관련된 매체의 보도를 사용하기에 앞서 어떤 소구 유형이 학생들에게 유용한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시기에 학생들이 환경에 대한 일반적 지식 등의 기본 개념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나 가치관, 신념이나 감수성 등을 통해 환경 친화적인 행동이 형성된다(서우석, 1999). 이러한 시기에 편향된 소구유형을 활용한 텍스트를 제공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소구유형을 선택하여 환경교육이 이루어진 다면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이나 감수성을 제공 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는 다음의 연구결과에서도 드러나는 문제점이다. 최지현(2008)은 이성소구와 정서소구를 이용한 공익 광고에서 인쇄된 매체를 이용할 경우, 이성소구 방법이 정서소구 방법에 비하여 광고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태지향집단과 사회지향집단의 광고효과가 이성소구를 사용했을 때 더욱 높았다고 했다. 또한 환경을 주제로 한 인쇄 공익광고에 있어서 이성소구 방법과 사회집단과 생태집단을 주 타깃으로 했을 때가 보다 효율적인 계몽 및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는 공익광고와 관련된 것이긴 하지만 최근 환경과 관련된 공익광고를 환경교육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교육적 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의미가 있다. 즉 환경과 관련된 소구유형이 현재 편향된 공포소구 유형보다 오히려 이성소구를 사용했을 때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과는 현재 제공 되고 있는 텍스트의 소구유형을 고려하는 데 바람직한 방향을 제공해 줄 수 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교육의 텍스트가 인지적 측면에 치중되어 제공된다는 것은 고려해볼 사항이다.

    앞선 연구들의 결과를 통해 환경관련 텍스트의 소구 유형이 매우 다양하며, 메시지 지향성이나 주제유형 등으로 표현되는 소구유형이 메시지가 갖는 설득 효과를 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이성소 구와 정서소구의 영향에 대한 상반된 연구결과가 있다는 것과 정서소구 중 공포소구가 가질 수 있는 문제점도 알게 되었다. 이렇게 다양한 연구결과는 이성소구와 정서소구로 나누거나, 이성,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로 나누는 등의 구체적인 실험연구의 결과는 아니 었다. 또한 환경책임행동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 것도 아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선 논의 중 상반된 연구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이성소구와 정서소구 유형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설득의 소구유형이 무엇인지 판단하도록 하겠다.

    따라서 환경문제 중 대표적인 주제인 기후변화문제에 대한 텍스트를 통해 다음의 연구가설을 증명하고자 한다.

    1)홀(Hall, 1977)은 의사소통과 관련하여 ‘고맥락/저맥락 (high context/low context)’ 개념을 제시하였다. 저맥락 문화에서는 의사소통이 주로 표현된 내용(대화, 글)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표현은 직설적인 편인 반면, 고맥락 문화에서는 의사소통은 표현된 내용으로부터 상대방의 진의를 유추하는 단계를 중요하게 여긴다(강준만, 2005).

    III. 연구방법

       1. 연구과정

    본 연구는 실험연구를 통해 이성소구와 정서소구가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에서는 텍스트가 제공하고 있는 이성과 정서소구 유형을 받아들일 수 있는 인지능력을 제외한 모든 감각적 자극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환경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멀티 미디어 및 매체의 학습 자료 유형들도 결국은 텍스트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어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기 위해 서는 텍스트 이외의 장치는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 연구와는 달리 사진과 그림을 함께 제공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제거 하고 텍스트의 소구유형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실험텍스트는 18줄 이내의 동일한 양으로 구성하였다. 텍스트에 제시된 정서만으로도 환경책임행동에의 영향력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면, 이후 다양한 매체활용까지도 의미를 확대할 수 있어 유용할 것이라는 전제가 담겨있다. 지구의 기후변화가 전 세계적 관심사로 부각되어 국내외적으로 환경재난을 다룬 영화나 다큐멘터리의 상영이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장르로 대중을 찾아 기후변화의 이해를 돕고 환경책임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따라서 주된 환경문제로 등장하는 ‘기후변화’를 주제로 텍스트를 구성하였다.

       2. 변인 및 측정도구

    1) 종속변인: 환경책임행동

    Smith-Sebasto와 D’Acosta(1995)의 연구 이후 오해섭(1998)이재영‧김인호(2002)가 수정하여 사용한 환경책임행동 척도를 토대로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적, 신체적, 설득적, 시민적, 경제적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Smith-Sebasto와 D’Acosta(1995)에서 밝힌 환경적 행동의 5개 범주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Smith-Sebasto와 D’Acosta(1995)의 연구에는 법적 행동(Hungerford & Peyton, 1976)도 포함되어 있으나,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 법적 행동을 하기에는 제약이 있다고 보아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은 범주별로 구성된 문항은 3∼5개이며,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2) 독립변인: 이성소구, 정서소구

    커뮤니케이션의 소구유형에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소구유형의 기본적인 분류인 이성과 정서 유형의 두 변인이 행동에 주는 효과성이 상반되는 경우가 종종 드러났다. 따라서 이성과 정서 유형으로 텍스트를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정서유형은 이준웅 외(2008)의 연구결과로 드러난 한국인의 대표정서2) 중 환경문제를 다룰 때 자주 사용되는 사랑과 공포로 정서소구를 나누었다. 정서의 위계적 구조는 일반적으로 최상위 수준에서는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2가지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이에 사랑의 긍정적 정서와 공포의 부정적 정서를 정서 유형으로 구성 하여,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는 독립변수인 정서를 긍정과 부정적 정서로 구분 하여 구체적인 정서소구에 접근하기 위함이다. 이성, 사랑, 공포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3) 통제변인: 학생의 일반적 특성

    환경책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개인적 특성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가 유의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실험대상자를 동일 학군의 5, 6학년, 그리고 비슷한 성별의 인원으로 구성 하여 실험처치를 하였다. 또한 환경책임행동의 하위요 소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2. 실험설계와 표집

    1) 실험설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후변화문제에 대한 텍스트를 소구유형에 맞게 설계하였다. 실험은 이성/정서로 설계되었다. 환경책임행동의 사전‧사후를 분석하기 위하여 소구유형에 따른 3개의 실험텍스트를 읽은 후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환경책임행동의 사후측정 설문지의 응답은 ‘∼할 것이다’로 행동의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Kaiser et al.(1999)의 연구 결과에서 드러난 것처럼 환경행동의지는 행동의 실천과 상관관계가 높으며, 행동으로 드러난다는 점에서 환경행동의지를 통해 환경책임행동에 대한 영향을 비교 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보았다. 실험은 텍스트를 읽고, 응답에 참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후측정에서는 행동 의지를 담은 어미 ‘∼할 것이다’를 사용하여, 사전측정에서는 경험한 행동 ‘∼한다’와는 달리 환경책임행동의 미래의지를 측정하고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

    설문의 측정방법은 Likert의 5점 척도를 이용하여 ‘1점 전혀 아니다, 2점 약간 아니다, 3점, 보통, 4점 그렇다, 5점 매우 그렇다’로 점수를 주어 측정된 점수를 합산하였다. 총 점수의 범위는 20∼100점이다.

    2) 실험대상

    실험대상은 서울시 송파구 소재의 M, J, S초등학교3)의 5, 6학년 575명(남: 296명, 여: 279명)으로 반을 편의표집하였다. 설문지는 반별로 무선할당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은 형식적 조작기로 텍스트를 이해하고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금지헌(2011)이 밝힌 것처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의 대부분이 5, 6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이유가 그 때문이다. 본 연구는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과 더불어 본인의 환경책임행동을 설문을 통해 체크하는 설문이므로 적절한 실험대상을 5, 6학년으로 정하였다.

    실험 처치 및 설문지 조사는 2013년 11월 11일부터 15일까지 실시하였다. 배포한 총 설문지는 589부이며, 회수된 설문은 582부였다. 이 가운데 응답을 하지 않은 자료와 불성실하다고 추측되는 응답 7부의 표집을 제외한 총 57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처치조건에 따른 응답자의 수는 표 2와 같다.

    [표 2.] 이성과 정서유형의 실험대상

    label

    이성과 정서유형의 실험대상

       3. 분석방법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작성된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거친 후 t-test를 통해 연구가설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연구결과를 증명하기 위해 SPSS 버전 18.0의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사전‧사후 대응 t-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환경책임행동 사전‧사후의 수준을 각 소구유형별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고 유효수준에 해당되는지를 밝힌다. 이후 유형별 전체 평균의 차를 비교하여 텍스트의 소구유형과 환경책임행동의 상관관 계를 알아보았다. 환경책임행동은 총합뿐 아니라 범주 별로 분석하여 영향관계를 파악하도록 하였다.

    2)이준웅 외(2008)에 따르면 기쁨, 긍지, 사랑 등의 긍정적 정서들과 공포, 분노, 연민, 수치, 좌절. 슬픔과 같은 부정적 정서들 등 총 9개의 정서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M, J, S 초등학교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의 국어, 영어, 수학과목에서 과목별 80%내외 ∼ 90% 이상이 보통 이상의 성취수준을 보였다. 기초학력 수준에 미달된 학생은 전체의 1% 이내로 타 지역에 비해 학업 성취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의 거주지역인 송파구는 경제 수준이 중산층 수준으로 부모와 학생의 교육기대 수준이 중상이며, 자녀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매우 높은 편이다. 학생 또한 학습에의 의지가 강하다(학교알리미 http;//www.schoolinfo.go.kr,2014.1.27).

    IV. 연구결과

       1. 신뢰도검증

    환경책임행동의 사전‧사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 지의 신뢰도 분석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사전·사후 설문 신뢰도(Cronbach’s alpha)

    label

    사전·사후 설문 신뢰도(Cronbach’s alpha)

    환경책임행동 사전‧사후설문의 신뢰도 분석결과 전체문항의 내적일치도(Cronbach’s alpha)는 환경책임행동은 사전에 .874 > 이고, 사후에는 .929>으로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각 영역별 내적일치도도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한 실험도구로 사용이 가능하다.

       2. 연구결과

    1) 이성/ 정서의 환경책임행동 변화

    이성‧정서 유형의 텍스트를 읽고 변화된 환경책임 행동의 하위범주를 사전‧사후 인식의 차이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성과 정서의 사전-사후 환경책임행동을 비교해보면 표 4그림 1와 같다.

    [표 4.] 유형별 환경책임행동의 변화

    label

    유형별 환경책임행동의 변화

    ‘이성’ 유형의 텍스트를 읽은 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는 t값이 -6.513/p=.000으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서’ 유형의 텍스트를 읽은 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값이 -13.883/p=.000으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이성/ 정서 유형의 텍스트가 초등학생들의 환경 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이었다. 따라서 ‘<가설 1> 이성소구와 정서소구 텍스트 유형은 초등학생의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일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이성과 정서소구 유형 모두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자극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환경교육 텍스트는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공간적 특징에 맞게 다양한 유형으로 개발되는 것이 필요하다. 초등학생들은 환경관련 텍스트에 노출 되는 것만으로도 환경책임행동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 하위범주별 책임행동 변화

    이성‧정서 유형의 텍스트를 읽고 변화된 환경책임 행동의 하위범주를 사전‧사후 인식의 차이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성’ 유형의 텍스트를 읽은 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5 와 같다. 설득적 행동에서는 t값이 -8.520/p=.000, 신체적 행동에서는 t값이 -3.017/p=.003, 경제적 행동에서는 t값이 -5.773/p=.000, 시민적 행동에서는 t 값이 -2.828/p=.005, 환경책임행동 전체에서는 t값이 -6.513/p=.000으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5.] 이성유형의 하위범주별 책임행동

    label

    이성유형의 하위범주별 책임행동

    즉 이성 유형은 환경책임행동의 설득적 행동, 신체적 행동, 경제적 행동, 시민적 행동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적 행동’ 영역에서는 의미가 없었다. 일방적인 정보 혹은 환경에 관련된 지식의 전달을 통해 교육적 환경책임행동을 향상시키는 데는 큰 효과가 없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서’ 유형의 텍스트를 읽은 학생들에 대한 환경책임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설득적 행동은 t값이 -14.332/ p=.000, 교육적 행동은 t값이 -5.137/ p=.019, 신체적 행동은 t값이 -8.852/ p=.000, 시민적 행동은 t값이 -8.039/ p=.000, 경제적 행동은 t값이 -11.026/ p=.000으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서 유형의 텍스트를 읽은 학생 들의 환경책임행동은 모든 범주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에 긍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 6.] 정서유형의 하위범주별 책임행동

    label

    정서유형의 하위범주별 책임행동

    즉 정서 유형의 환경커뮤니케이션은 초등학생의 환경책임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환경에 대한 설득적, 경제적 책임행동에 더욱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

    환경책임행동의 사전‧사후 변화는 이성 유형보다 정서 유형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환경 책임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 이성보다는 정서유형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할 수 있겠다.

    이로써 ‘<가설 2> 정서소구 유형이 이성소구 텍스트 유형보다 초등학생의 환경책임행동의 하위범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이성과 정서 유형의 텍스트에 따른 환경책임행동의 하위범주의 변화를 비교해보면 그림 2과 같다.4)

    이성 유형은 환경책임행동의 설득적 행동, 신체적 행동, 경제적 행동, 시민적 행동, 환경책임행동 전체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적 행동’ 영역에서는 의미가 없었으므로, 일방적인 정보 혹은 환경에 관련된 지식전달의 환경커뮤니케이션은 교육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환경교육 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정서를 활용하여 환경과 관련된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은 이성적인 자극을 위한 정보전달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환경책임행동 전반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들에게 있어 환경과 관련된 공익광고, 캠페인, 슬로건 등의 환경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환경교육을 한다면 정서를 활용하는 것이 정치적, 경제적 환경행동을 유발하기에 효과적일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환경교육에 있어 이성과 정서유형의 텍스트가 환경책임행동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전략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환경책임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서는 이성, 정서 유형에 상관없이 환경 교육적 교수-학습 자료를 접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등학생들은 환경문제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를 갖는 것만으로도 환경 책임행동을 실천하려는 행동의지가 함양되는 것이다.

    둘째, 초등학생들이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환경이슈와 환경문제를 주제로 한 매체에 흥미를 갖거나, 학습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등의 교육적 환경책임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이성소구의 교수-학습 자료는 지양하는 것이 좋다.

    셋째, 신체적, 경제적 행동과 같은 초등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환경책임행동을 실천하게 하기 위해서는 정서소구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아울러 초등학생들에게 있어 교육적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환경책임행동을 실천하는 데있어 큰 의미가 있다는 것과 경제적, 정치적 환경책임 행동이 보다 적극적인 환경책임행동일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볼 때, 이성소구보다는 정서소구 유형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끄는 데 도움을 준다고 판단할 수 있겠다.

    4)그림 3의 하위범주는 이성소구와 정서소구 모두 설득적, 교육적, 신체적, 시민적, 경제적 행동의 순서이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환경교육이 점차 다양한 형태로 발전함에 따라 시‧공간적으로 적절한 텍스트를 찾고자 하는 데있어 효과적인 구성전략을 이성과 정서소구 유형을 통해 찾고자 하였다. 환경교육은 학습자의 환경책임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미래사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초등학생들을 위한 환경교재의 텍스트는 환경책임행동으로의 실천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성적인 판단이나 인지적인 사고에 의한 자극과 정서적 자극이 환경문제에 대해 책임행동의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를 사전‧사후측정을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에 대한 18줄의 이성과 정서(사랑, 공포) 유형의 텍스트를 제작하여, 초등학생들이 유형별 텍스트를 읽고 변화되는 환경책임행동을 살펴보았다.

    이성과 정서 유형의 텍스트를 통해 초등학생 5, 6학년 577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한 결과, 사랑이나 공포를 담은 정서 유형의 텍스트를 읽은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이 더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정서유형의 텍스트는 환경책임행동의 하위범주인 설득적 행동, 교육적 행동, 신체적 행동, 경제적, 시민적 행동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이성유형은 교육적 행동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성이나 정서소구 유형 모두 초등학생들의 환경 책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이성소구 유형에만 의존하는 것보다는 정서를 활용한 텍스트의 구성도 활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특히 기후 변화를 어려운 과학적 사실이나 추상적인 위협으로 받아들일 경우 학습자는 기후 변화와 관련한 문제를 자신과는 동떨어진 국가나 과학자의 일로 생각할 수 있다(권주연ㆍ문윤섭, 2009).

    이성과 정서 유형은 모두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을 향상시켰다. 유형에 관계없이 환경교육과 관련된 텍스트에 노출되는 것만으로도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은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환경텍스트가 개발되어 교육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환경교육은 환경책임행동의 실천을 목표로 끊임없이 발전하고 성장해왔다. 그러나 형식‧비형식 교육에서의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과정 운영, 학습목표의 개발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제 환경교육의 목표에 접근하기 위한 효과적인 설득의 방법을 개발하는 데 보다 집중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의 환경교육은 정형화된 틀 안에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학생들은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가족들과 저녁식사를 하는 중에 듣게 되는 언론의 보도를 통해서, 친구들과 버스에서 우연히 듣게 되는 공익광고를 통해서도 환경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환경교육의 텍스트는 말 그대로 읽을 수 있는 정형화된 틀을 벗어나, 환경교육과 관련될 수 있는 모든 자료에 담긴 설득의 언어로 이해해 야만 한다. 본 연구의 실험도구로 사용된 텍스트는 말 그대로의 텍스트일 뿐이나 본 연구의 결과로 드러난 소구유형과 환경책임행동 간의 관계는 환경교육과 관련된 모든 자료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환경교육은 우리의 삶과 연결된 평생교육이므로, 특정한 소구유형에 치중된 교육내용의 제시는 적합하지 않다. 환경이 이성소구인 지식으로만 접근되어, 나와는 동떨어진 다른 별개의 존재로 인식되거나, 두렵고 위협적인 존재로 다가온다면 지속적인 관계맺음을 회피하게 될 수도 있다. 이에 정서의 적극적인 활용은 환경 책임행동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환경에 대한 책임행동은 환경을 내가 긍정적인 마음으로 다가가서 사랑의 마음을 갖게 되는 것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환경에 대한 사랑의 정서 위에서 자발적으로 실천한 책임행동만이 지속성을 갖는다. 이성적인 판단만으로 시작하게 되는 환경행동은 더 이상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없는 경우 행동에 옮기지 않게 될지도 모른다.

    환경감수성의 형성이 가장 중요시되는 유아기와 초등학교시기에는 오감을 활용할 수 있는 야외체험학습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시‧공간적인 제약으로 텍스트 만을 활용한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경우, 혹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환경교육을 할 경우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소구유형을 통해 환경에 대한 책임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텍스트의 구성전략이 있음을 깨닫고, 충분히 심사숙고한 뒤 소구유형을 선택하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환경 관련 텍스트를 통해 실험을 진행한 것이므로 다른 주제의 텍스트를 활용한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소구유형에는 이성과 정서소구뿐 만 아니라 사회적소구와 개인적소구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므로 다른 소구유형으로 구성전략을 세워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 아울러 초등학생들이 받아들이는 환경에 대한 정서와 책임에 대한 정서가 사랑과 공포만 있는 것은 아니니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정서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나아가 후속연구에서는 교육적 효과의 파지를 보기 위한 지속성을 논의해보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강 준만 (2005) 세계문화 사전: 지식의 세계화를 위하여 google
  • 2. 금 지헌 (2011) 초등학생의 환경행동과 환경지식, 통제 소재, 환경태도 및 환경행동의도의 인과적 관계 google
  • 3. 김 승필 (2011) 메시지 프레이밍과 주제 유형이 공익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google
  • 4. 김 정현 (2008) 메시지 프레이밍과 소구 유형, 지각된 위험 및 자기 검색도가 지구 온난화 경고 공익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P.357-381 google
  • 5. 김 재휘, 신 진석 (2004a) 환경행동 유형에 따른 공익광고 메시지의 프레이밍 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283-284 google
  • 6. 김 재휘, 신 진석 (2004b) 공익광고 메시지의 프레이밍과 결과 지각이 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Vol.5 P.65-86 google
  • 7. 김 찬년 (1994) 메시지 유형과 수용자 특성에 따른 공익 광고의 효과 연구: 환경주제를 중심으로 google
  • 8. 박 미진 (2013) 정서이입에따른메시지프레이밍이환경태도에미치는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학술대회자료집 [한국환경교육학회] P.169-171 google
  • 9. 박 유식, 경 종수 (2002) 환경보전 공익광고에서 소구방향, 관여도, 자기검색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영] Vol.16 P.105-123 google
  • 10. 부 경희 (2001) 공익광고 메시지의 귀인(attribution)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언론학회] Vol.12 P.7-35 google
  • 11. 서 우석 (1999) 초등학교 실과 교과를 통한 환경 교육의 방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P.73-90 google
  • 12. 서 은정, 류 재명, 김 태연 (2012) 에너지시설에 관한 친환경 메시지 디자인이 대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 Vol.25 P.242-253 google
  • 13. 성 경숙 (2003) 광고가 초등학생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4. 신 지혜, 류 재명 (2001) 환경 이해에 있어서 은유와 프레이밍에 대한 경계 [한국환경교육학회] Vol.6 P.84-88 google
  • 15. 양 윤, 백 미희 (2009) 공포소구와 결합된 자기책임성 정서와 자기 효능감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Vol.20 P.207-218 google
  • 16. 오 해섭 (1998) 청소년의 환경 책임성 행동에 관한 연구 google
  • 17. 유 수진 (2009) 메시지 프레이밍이 학습자의 지리적 가치 태도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8. 이 미나 (2011) 사회문제해결 행동의도 향상을 위한 교과서텍스트 구성전략 연구 [시민교육연구] Vol.43 P.25-54 google
  • 19. 이 재영, 김 인호 (2002) 환경교육 연구의 새로운 측정치-주관적으로 책임있는 환경 행동 [환경교육] Vol.15 P.61-75 google
  • 20. 이 준웅, 송 현주, 나 은경, 김 현석 (2008) 정서 단어 분류를 통한 정서의 구성 차원 및 위계적 범주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Vol.52 P.85-116 google
  • 21. 정 원영 (2010) 긍정적?부정적 정보 제시 순서에 따른 지역이미지와 흥미도 형성에 관한 연구: 중학교 1학년 세계지리 단원을 중심으로 google
  • 22. 차 동필 (2006) 공포소구 메시지에서 위협과 효능감의 역할 [한국광고홍보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P.11-16 google
  • 23. 차 민정 (2009) 환경교육을 위한 웹 기반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의 내용 및 유형 분석. google
  • 24. 최 돈형, 손 연아, 이 미옥, 이 성희 (2007) 환경교수학습방법 google
  • 25. 최 석진 (1990) 한국의 환경교육 교수 - 학습 자료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P.133-145 google
  • 26. 최 지현 (2008) 이성, 감성소구유형과 환경가치지향에 따른 공익광고 효과 연구: 일회용품 사용자제 인쇄 광고물을 중심으로 google
  • 27. 최 현경 (2010) 메시지 프레이밍과 소구유형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google
  • 28. 한 균태 (2011) 현대사회와 미디어 google
  • 29. 한 규희 (2008) 텔레비전 광고에 대한 어린이의 수용 양상 연구: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google
  • 30. Frome E. (1956) Art of Loving, 이형서(역). 1994. 사랑의 기술. google
  • 31. Hungerford H.R., Peyton R.B. (1976) Teaching Environmental Education. google
  • 32. Kaiser F. G., Ranney M., Hartig T., Bowler P. A. (1999) Ecological Behavior, Environmental Attitude and Feelings of Responsibility for the Environment [European Psychologist] Vol.4 P.59-74 google cross ref
  • 33. Smith-Sebasto N. J., D.Acoasta A. (1995) Desining a Likert-type scale to predict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in undergraduat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27 P.14 google cross ref
  • 34. Sternberg Robert J., Susan Grajek (1984) The nature of lo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7 P.312 google cross ref
  • 35. http;//stdweb2.korean.go.kr/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과정
    연구과정
  • [ 표 2. ]  이성과 정서유형의 실험대상
    이성과 정서유형의 실험대상
  • [ 표 3. ]  사전·사후 설문 신뢰도(Cronbach’s alpha)
    사전·사후 설문 신뢰도(Cronbach’s alpha)
  • [ 표 4. ]  유형별 환경책임행동의 변화
    유형별 환경책임행동의 변화
  • [ 그림 1. ]  환경책임행동 변화
    환경책임행동 변화
  • [ 표 5. ]  이성유형의 하위범주별 책임행동
    이성유형의 하위범주별 책임행동
  • [ 표 6. ]  정서유형의 하위범주별 책임행동
    정서유형의 하위범주별 책임행동
  • [ 그림 2. ]  소구유형 하위범주변화의 비교
    소구유형 하위범주변화의 비교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