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부모애착 및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Smart Phone Use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of Freshmen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smart phone use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of college freshmen. The participants were 417 male and female students of D university for whom the scales of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parental attach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al attachment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were positively related and smart phone addiction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were negatively related. Th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alienation of parental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djustment and social adaptation of the student when it came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Smart phone addi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only the academic adjustment of the student when it came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mart phone addiction had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djustment of the student when it came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than parental attachment did.

KEYWORD
대학생활적응 , 부모애착 , 스마트폰
  • Ⅰ. 서론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들이 이루어야 할 가장 큰 과업 중 하나는 대학생활에 적응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기존의 교육환경과는 완전히 다른 교육적 환경과 교육방식을 경험하게 되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들에 적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생활 적응이란 학생이 대학의 학문적, 사회적, 심리적 환경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대학 환경에 적극 대처해 나아가는 과정을 말한다[29].

    대학생활 적응은 대학생들이 대학생활 속에서 겪게 되는 변화와 도전에 따른 일련의 반응과 대처과정이므로, 이러한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게 되면 대학생활의 부적응이 유발되고 이후 발달의 지연이나, 불안, 우울, 분노 등 심리사회적 어려움과 신체적 증상들을 유발하기도 한다[22]. 대학생활의 적응은 심리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졸업 후의 사회적 적응에 관련한 진로준비에도 영향을 미칠 수있다. Son[40]의 연구에 의하면 대학생의 학문적 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 부모애착은 개인의 심리적 변인으로서 중요하게 연구되어 온 요인이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부모애착은 가장 중요한 발달적 맥락이고 나아가 사회 환경에 적응하는 기틀이 된다고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독립심을 강조하는 서구와 달리 가족의 유대와 융합을 중시하기 때문에 부모와의 유대와 친밀함을 뜻하는 애착개념을 대학생활과 연결시켜 살펴볼 필요가 있다[41].

    Kenny에 의하면 부모와의 긍정적인 애착 관계는 자녀가 집을 떠나 있는 동안에도 환경을 극복하고 사회적 능력을 계속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부모와 안정하게 애착된 학생들은 자신의 부모를 이해, 수용, 존중, 독립을 격려하는 사람으로 설명하고 부모에게 존경심을 나타낸다고 보았다[18].

    대학생의 주양육자와의 애착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선행 연구결과에 의하면 애착정도에 따라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0].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이 대학생활 적응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교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중점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대학교 1학년 신입생의 경우 대학생활 부적응시 중도탈락과 이후의 학교 부적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결정적 시기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대학교 신입생에 대한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는 중요하다.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하여 부모애착과 함께 고려하여야 할 요인은 스마트 폰이다. 스마트폰은 사회와 인간관계와 관련된 정보를 얻고 소통하는 매개체임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적절하지 못한 사용으로 인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장애가 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스마트 폰 과다 사용은 새로운 사회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2012년 5월에는 2,756만 명을 넘어서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청소년 세대의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다른 연령에 비해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39].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모습을 보았을 때 시시때때로 스마트폰을 켜고 메일,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점검하고 확인하는 습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중 77.4%가 ‘특별한 이유가 없어도 스마트폰을 자주 확인한다’고 하였다.[32] 이러한 현상들을 보았을 때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감을 느끼거나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친구나 연인을 만나도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으며, 스마트폰이 필요하지 않은 일에도 스마트폰부터 꺼내어 인터넷을 검색하며, 심지어 화장실을 가면서도 한 손에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반복 행동 등을 볼 때 스마트폰 사용 현상이 심각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사용은 부모애착과도 관련성을 지니는데 Seong[39]의 연구에 의하면 나이가 적은 청소년보다 나이가 많은 청소년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노출되기 쉬우며 어머니와의 애착이 잘 형성되고 안정될수록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나이가 많은 청소년기 즉 후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에게 스마트폰이 과다하게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학의 강의 시간 중이나 친구와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사이에서도 스마트폰을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대학생들은 학업 적응과 대학생활에서의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의 과다사용과 관련된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의 문제에 대해서는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적응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부모애착과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부모애착과 스마트폰이 대학 신인생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는 인간관계의 가장 기본이 되는 부모와 개인적으로 가장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물리적인 도구인 스마트 폰의 활용이 대학 신입생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 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건강한 관계의 형성이 건강한 사회의 적응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부모애착은 대학생활 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스마트 폰 사용은 대학생활 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 적응이란 대학이라는 환경 속에서 생활하면서 학업,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 기술, 가치관 정립, 의사결정과 행동양식 습득 등 새로운 생활양식을 정립하고, 자신이 당면한 여러 가지 심리적. 사회적, 개인적인 문제들을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여 적응하는 시기를 말한다[3].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초기 연구에서는 학업적 성취수준이 곧 적응여부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학업 적응 외에도 대학생활 적응에 있어서 정서적, 사회적 적응이 중요한 요소라는 주장[5]이 대두된 이후 점차 전반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에 초점을 준 많은 도구들이 제작되었다[22], [26], [36]. 이는 대학생활 적응이 단순히 지적 기능의 발달이나 기술의 습득에만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고 사회적으로 동화하고 적응성을 지니는 인격을 형성하는데도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1]. 즉 대학 생활의 적응은 인성으로 개체와 환경과의 조정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양자 사이에 긴장이나 감정적 대립이 없이 자신을 위하여 사회를 위하여 사회적 역할을 보다 능률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 감정과 가치관 등을 가진 역동적인 체제로 이른바 적용할 수 있는 인성을 길러줌에 사회적응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즉 대학생활 적응은 주로 학업성취 측면, 그리고 대인관계 측면 등에서의 적응을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현상을 대학생활 적응의 예측과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 학업적응과 사회적응을 포함한 대학생활 적응을 중심으로 진로 및 학업 관련 연구[35], [36], [43]가 활발할 편이며, 스트레스, 불안 등의 부적응 연구[24], [11], [9] 및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등 대학생의 개인적 측면에 관한 연구[36], [27]가 주로 보고 되었고, 그 중 Baker와 Siryk[5]는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부모애착과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를 집중분석 하였다.

    Baker와 Siryk은 대학생활적응을 내적인 적응과 개인을 둘러싼 환경과의 적응을 모두 포함하여 정의 내리고 학업 적응, 사회 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 적응의 하위영역으로 나누었다[5]. 학업적응은 대학에서 요구하는 여러 가지 학업적 요구에 얼마나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며, 사회적 적응은 대학에서의 사회적 활동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대학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한다. 개인-정서적 적응은 일반적인 심리적 문제와 신체적 건강 문제 등을 측정하며, 대학환경 적응은 대학에 대한 애착정도와 대학의 질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학업적 목표에 대한 몰입정도를 분석한 결과 실제로 많은 대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이성문제, 학업문제, 진로 및 취업 문제, 대인관계 문제, 경제 문제, 가치관 문제 등 적응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대학생활 적응의 성공은 학생들에게 개인의 지적욕구뿐만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바람직한 태도를 지닌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 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42].

       2. 부모애착과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중요한 변인으로 가족관계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개별화 과정과 가족 간의 응집력에 관한 것이다. 이에 관한 연구에서는 심리적인 독립정도가 자아 정체감 형성과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고 개별화 과정에서 생긴 갈등으로부터의 독립과 정서적인 독립정도가 개인적, 학업적 적응과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다. 부모로부터의 독립과정, 특히 부모와의 갈등으로부터 독립할수록 학업적, 사회적, 정서적 적응도 높게 나타나며 우울증과 정서적 문제를 덜 보인다[13]. 가족형태와 가족관계는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변수이다. 부모가 생존해 있고, 함께 살고 있는 가정의 학생들이 부모가 돌아가셨거나 이혼, 별거 중인 가정의 학생들보다 개인적, 정서적 적응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가족 내의 갈등이 적은 학생들이 높은 적응을 보였다.

    그밖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 변인으로 애착을 들 수 있는데 애착이란 주 양육자와 접촉하고 근접하려는 성향을 지속적으로 갖고 있는 정서적 유대감이다[1], [6].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이 대학생활 적응에 상당한 영향력이 있으며[4], [22], 아동기에 수립된 애착체계는 성인의 사회적 관계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12]. 이는 인간의 성장 발달에 있어서 부모와의 안정된 애착이 이후 발달과업의 수행과 삶의 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의 비중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불안정하더라도 자아탄력적인 대학생은 대인관계 문제를 덜 경험하며 매우 적응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즉 변화하는 상황의 요구에 대해 좌절하지 않고 효율적인 적응의 노력을 설명하는 개념인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변인임을 유추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부모애착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심층 파악하도록 한다.

    대학생활 중 사회 구성원이 되기 위한 준비의 과정으로 진로준비행동과 관련하여 Jin[16]의 연구에서는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높고, 정서지능이 높으면 진로결정과 관련한 여러 가지 과제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강하고, 이러한 자신감은 진로준비행동을 활발히할 수 있도록 이끌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스마트폰 사용과 대학생활 적응

    오늘날 우리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언제든지 정보탐색이나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라 불리는 스마트폰 전용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직접 제작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폰의 활발한 보급 이면에는 SNS 중독, 온라인 왕따, 유해 콘텐츠 노출 등 문제점[10]들이 지적되고 있으며 특히 아동과 청소년기의 스마트폰 사용은 심각한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31].

    Ko[25]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 연구에서 중독적 사용의 현상으로 과다사용 및 통제력 상실, 심리적 부적응을 제시하면서 스마트사용 현상이 대학생활 적응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하고, 대학생들과의 관계에서 불안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불만족이 클수록 스마트폰 사용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스마트폰의 보급 및 사용률 추이와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 취향에 맞춰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고려할 때 스마트폰 사용은 앞으로 더 심화될 개연성이 높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하였다[14]. 또한 Lee[28]는 스마트폰이 가져다준 긍정적인 부분도 많지만 부정적인 측면에 사회문제로 재생산될 수 있음을 지적하면서 자기감시와 외로움, 스트레스 증가가 스마트폰 사용을 야기한다고 하였으며, 일상적인 스트레스, 충동감, 우울감, 불안, 자기통제와 같은 정신건강문제[38]와 부정적인 대인관계형성이 사회적 발달 저해[7] 등을 야기한다고 하였다. 그밖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 변인으로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지지, 가족의 기능수준 등이 일상생활 장애 및 통제력 상실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Kim[21]은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지나친 사용과 몰입으로 스스로의 통제력을 상실해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하고, 이에 의존성이 높아져 사용하지 못한 경우 심각한 심리적 불안함을 느끼는 상태를 의미하며, 현실세계보다 가상공간에서의 대인관계형성을 편안하게 느끼면서 이를 추구하게 되는 상태가 스마트폰 중독이라 하였다.

    이 같은 연구들은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리고 개인적 차원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적 요인의 영향도 파악할 수 있는 예측 변수들을 발견하고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성도 파악한다면 올바른 대학생활을 할 수 있는 변인들을 찾는 계기가 되므로 정밀한 수준에서 검증할 필요가 있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를 위하여 D대학교에 다니는 대학교 신입생 42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D대학교에서 교양강좌를 수강하는 연구대상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의 QR코드 앱을 다운 받아 본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426개의 설문 응답 중 응답이 불성실한 9개를 제외하고 417개가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es

    label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es

       2. 측정도구

    1)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 척도는 Baker와 Siryk이 제작한 것으로 대학생활에 있어서의 적응정도를 측정하는 검사도구이다[5]. 첫째 학업적응 (academic adjustment)척도는 24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학생들이 대학 내에서 학업과 관련된 생활(수업, 시험 등)에 적응하는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다. 둘째 하위 척도는 사회적응(social adjustment) 척도로 20문항이며 대학생들이 대학 내에서 대인관계나 과외활동과 같은 생활에 적응하는 정도를 측정한다. 대학생활 적응 척도는 9점 척도로 응답자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1)’에서 ‘매우 그렇다(9)’ 사이에 응답하게 되어 있다. 채점은 먼저 부적응적인 내용의 문항들을 역산한 후각 하위 척도에 해당하는 문항의 응답들을 합하여 하위척도의 총점을 산출하고 전체 44문항의 응답들을 합하여 전체척도의 총점을 산출하였다.

    2) 부모애착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Armsden과 Greenberg의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4] 개정판(IPPA: Inventory of Parent and PeerAttachment-Revised: IPPA-R)을 옥정이 번안하여 수정 및 보완한 척도에서 또래애착을 제외하고 부모애착 척도만을 사용하였다[33]. IPPA-R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와 또래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의 애착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애착대상에 대해 느끼는 안정성의 수준을 평정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IPPA-R은 전체 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애착의 세 가지 차원(의사소통의 질, 상호신뢰감, 소외감)을 측정하고 있다. 의사소통의 질(4문항)은 부모와의 언어적 의사소통의 정도와 질을 측정하고, 신뢰감(6문항)은 자녀의 정서적 욕구에 대한 부모의 반응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소외감(3문항)은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유리 또는 부모를 향한 분노를 측정한다. 그 중 신뢰감 문항 6개 중 1문항은 학생들의 불성실한 대답으로 인하여 신뢰도에 많은 영향을 미쳐 이를 제외한 총 5개 문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부모애착 점수는 신뢰감과 의사소통 차원을 합한 점수와 소외감 문항을 역채점하여 합산한 점수를 합한 것이다[16].

    3) 스마트폰 사용

    스마트폰 사용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15문항으로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금단, 내성의 4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상생활의 장애를 묻는 5개 문항은 스마트폰이 성적이나 과제 수행 저하의 원인이 되는지,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대한 타인의 지적 경험이 있는지,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 일상 집중에 대한 장애 요인인지를 분석한다. 가상세계 지향성을 묻는 2개 문항은 스마트폰 사용의 자기 충족도를 측정하며, 금단 현상을 묻는 4개 문항은 스마트폰 사용 중단으로 인한 정서적 불안의 정도를 검사한다. 마지막 스마트폰 사용의 내성에 대한 4개 문항은 스마트폰 사용의 무의식적 습관도를 측정한다. 문항은 “매우 그렇다”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까지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부정적인 문항은 역채점으로 처리하였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부모애착 및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교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문항간 내적합치 신뢰도계수(Cronbach α)를 구하였다. 분석결과는 아래의 Table 2와 같다. 변인별 신뢰도 검증결과 Cronbach’s α는 학업적응 .863, 사회적응 .783, 의사소통 .825, 신뢰감 .813, 소외감 .685, 일상생활장애 .782, 가상세계지향성 .551, 내성 .882, 금단 .821이었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변인의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부모애착, 스마트폰 사용,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대학생활 적응의 영향력 있는 변인을 밝히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 Scales Reliability

    label

    Scales Reliability

    Ⅳ. 연구결과

    본 연구문제 분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대학생활 적응, 부모애착, 스마트폰 사용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Table 3과 같다. D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능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응(M=6.31)은 학업적응(M=5.2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Parent Attach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N=417)

    labe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Parent Attach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N=417)

    부모와의 관계는 신뢰감(M=4.08)이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능력(M=3.82) 및 부모로부터의 소외감(M=3.6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인한 일상생활장애는 공부나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스마트폰 사용으로 지적을 받거나 가족이나 친구로부터 불평을 받고 있는 것은 보통수준을 보였으며(M=2.87),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면 세상을 잃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있는 것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 즐거운 가상세계지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M=1.87).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거나 중단했을 때 정신적으로 초조하고 불안을 겪는 금단현상(M=2.46)은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려고 시도해보았지만 실패하고 스마트폰 사용이 습관화되어 있는 것(M=3.06)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1. 부모애착, 스마트폰 사용,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 스마트폰 사용,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부모애착과 대학생활 적응 간에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사용과 대학생활 적응 간에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학생활 적응관계에서도 학업적응과 사회적응(r=.495, p<.01)은 정적상관관계가 높으며, 부모 애착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보았을 때도 의사소통과 학업적응(r=.225, p<.01), 신뢰감과 학업적응(r=.211, p<.01), 소외감과 학업적응(r=.309, p<.01)이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label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스마트폰 사용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보았을 때 일상생활에 대한 장애와 학업적응 (r= -.385, p<.01), 가상세계지향성과 학업적응(r= -.108, p<.05), 내성과 학업적응(r= -.329, p<.01), 금단현상과 학업 적응 (r= -.190, p<.01)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과 사회적응과의 관계에서는 의사소통과 사회적응(r=.259, p<.01), 신뢰감과 사회적응(r=.234, p<.01), 소외감과 사회적응(r=.302, p<.01)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스마트폰 사용 현상과 사회적응과의 관계는 의미있는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밖에 부모애착과 스마트폰 사용과의 상관관계를 보았을 때,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사용에서의 일상생활장애(r= -.098, p<.05), 가상세계지향성과 의사소통(r= -.10, p<.05)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소외감이 일상생활장애 (r= -.180, p<.01), 가상세계지향 (r= -.140, p<.01), 내성( (r= -.137, p<.01), 금단 (r= -.129, p<.01)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모애착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이 대학생활 적응 중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 Table 5와 같다. 부모애착과 학업적응과의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업적응과 소외감(.313), 의사소통(.224), 신뢰감(.212) 순으로 p<.001수준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애착과 학업적응(F=13.711, p<.001)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중 소외감만(t=4.423, p<.001)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신뢰감이나 의사소통은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학업적응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나타났다.

    [

    ]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Academic Adjustment

    label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Academic Adjustment

    부모애착이 대학생활 적응 중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부모애착과 사회적응과의 중다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응과 소외감은 p<.001 수준에서 매우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소통 및 신뢰감은 p<.05수준에서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응과 부모애착(F=4.831, P<.05)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중 소외감만(t=2.231, p<.05)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신뢰감이나 의사소통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Social Adaptation

    label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Social Adaptation

       3.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생활 적응 중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able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사용과 학업적응(F=16.845, p<.001)은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일상생활장애(t= -4.480, p <.001수준)가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며, 내성(t= -.738, p<.05) 또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그러나 가상세계를 지향하고 금단현상은 학업적응에는 유의하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

    ]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abel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생활 적응 중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사용과 사회적응은 F=1.684, p<.001 수준에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 하위요인 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abel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Ⅴ.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스마트폰 사용 현상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D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신입생 41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를 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과 스마트폰 사용 및 대학생활 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 부모애착(의사소통, 신뢰감, 소외감) 및 대학생활 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과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과 부모와의 상호신뢰감 및 소외감에 따라 대학 내에서 학업과 관련된 생활의 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대학 내에서 대인관계나 과외 활동과 같은 생활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의 애착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정적 상관을 보고한 연구[18], [12], [9][23]와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 중독(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내성, 금단)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 과다 사용은 학교 성적 하락과 집중력 저하 등 학교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울, 불안 등을 동반하여 산만하고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학교생활의 부적응을 나타낸 연구[15], [27]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부모애착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 요인들이 학업적응과 사회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중 부모와의 소외감 등이 학업 적응과 사회적응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만, 의사소통 및 신뢰감은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나타났다.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은 대학 생활적응에 영향력이 있는 요인[22], [4], [26]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해 주고 있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안전한 기지로서의 지속적인 역할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고 부모가 대학생의 자율성 및 독립성을 지지하고 격려한다면 만족한 대학생 적응을 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을 분석한 결과 학업적응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 행동과 이용량이 갈수록 늘어나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으면 불안해하는 증상이 나타나고 이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많은 불편한 문제가 생기므로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과도한 몰입으로 생기는 불안, 초조함과 같은 일상생활의 장애나 불편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과업을 수행하지 못해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갈등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에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0]. 그밖에도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해도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습관화된 증상으로 스마트폰을 친구들과 함께 있어도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데도 자신은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며,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수면시간도 부족하게 나타나며, 시력이 감퇴하며 체력이 떨어져 학업적응에도 영향을 미친다[31]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교 신입생들은 대학생활 적응에 여전히 가족의 주요 구성원인 부모와의 관계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관계를 이루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 활용되는 스마트 폰은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와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에 들어가면 부모로서의 모든 역할을 끝마쳤다는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부모의 역할은 어는 순간에 끝이 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관계가 필요하다는 인식의 확산이 필요하다. 대학 입학 후에도 대학생은 여전히 청소년 후기의 발달단계 있으며, 이 단계에서 과업을 이루기 위하여 부모의 요소가 중요하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활 속에서 스마트 폰은 대학생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었다. 하지만 스마트 폰의 지나친 사용은 특히 학업적응에 방해 요소가 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대학생들이 이를 인식하고 자율적인 자정노력을 위한 프로그램 실시가 필요하다. 즉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게 된다면 학습효과 및 사회적응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직접 체험하게 해주는 인성교육, 자기관리 리더십, 코칭 관련 등의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학에 따라, 교수의 재량에 따라 수업 시간이나 대학 활동에서 과도한 스마트 폰 사용이 금지되기는 하지만 대학생의 자율성 침해로 인하여 강제성을 갖지 못하는 현실에서 스마트 폰이 대학생 스스로에게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그 이외의 학제에 적응해야하는 학생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학제 상의 발달 단계에 맞는 영향력을 살펴보아 사회 환경 적응에 좀 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중요한 요인인 부모애착과 스마트 폰 사용이라는 주제를 대학 신입생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개인적인 특성에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 이후 연구에서는 남녀, 성격, 또는 개인적인 환경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 1. Ainsworth M. D. S. (1989) Attachments beyond infancy. [The American Psychologist] Vol.44 P.709-716 google cross ref
    • 2. Ainsworth M. D. S., Blehar M. C., Waters E.,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study on the Strange Situation. google
    • 3. Arkoff A. (1968)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google
    • 4. Armsden G. C.,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16 P.427-454 google cross ref
    • 5. Baker R. W.,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1 P.179-189 google cross ref
    • 6. Bowlby J. (1988)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google
    • 7. Choi H. S., Lee H. K., Ha J. C. (2012)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 -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google
    • 8. [Journal of Statistical Theory and Methods] Vol.23 P.1005-1015
    • 9. Choi M. S (2013)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Self-Esteem, Life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Regional Social Development] Vol.38 P.31-37 google
    • 10. Goldberg I. K. (1995)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google
    • 11. Ha J. H. (2006) The Relationships among Perfectionism, Str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Self-Efficacy, College Adjustmen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7 P.595-611 google
    • 12. Hazan C., Shaver P. R. (1990) Love and work: An attachment theoretical erspective. [Jo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P.270-280 google cross ref
    • 13. Hoffman J. a. (1984) Psychological Separation of Late Adolescents from Their Par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1 P.170-178 google cross ref
    • 14. Jang S. P., Kim J. I. (2013) Longitudinal Investigation on Casual Relationship between Smart-Literacy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 Comprehensive research] Vol.11 P.67-90 google
    • 15. Jung J. Y., Ha J. H. (2013) The Effects of General Stress and Emotional Expression o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 Phone Addiction. [Family and Counseling] Vol.3 P.61-77 google
    • 16. Jin H. J. (2010)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Interdependence and Empathic Ability in the Close Relationships on Empathic Responses. google
    • 17. Jo H. J. (2013)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google
    • 18. Jo S. J.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Pare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google
    • 19. Kang H. Y., Park C. H.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31 P.563-580 google
    • 20. Kang S. A. (2012) The Relationship of Affection and Self-Resilience and Adjustments to College Life in University Students. google
    • 21. Kim B. N. (2013)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Youth's Sociality Development.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3 P.208-217 google cross ref
    • 22. Kenny M. E., Donaldson G. (1991) Contributions of parental attachment and family structure to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8 P.479-486 google cross ref
    • 23. Kim J. W., Choi M. S. (2013)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achment, Ego-Resilience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Youth studies research] Vol.20 P.45-68 google
    • 24. Kim K. H., JO Y. H. (2011)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Career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Freshme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8 P.197-218 google
    • 25. Ko G. S., Lee M. J., Kim Y. E. (2012) A Research on Addictive Use of Smartphone by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Vol.13 P.501-516 google cross ref
    • 26. Lapsley. D. K., Rice K.G, Shadid. G.E. (1989)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Joura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6 P.286-294 google cross ref
    • 27. Lee H. S. (2013) The Effects of Cellular Phone Addiction and Impulsive Behavior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Stress research] Vol.21 P.203-212 google
    • 28. Lee M. S. (2011) Study for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google
    • 29. 1.ee S. J., You J. H. (2008)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and Career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Vol.22 google
    • 30. (2013) Wire and Wireless statistics google
    • 31. (2013)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google
    • 32. (2013) Final report for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2013 google
    • 33. Ohk J.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mpetence. google
    • 34. Over 45 : High-Risk user group, Between 42-44 : Potential-Risk user group, Under 41 : Normal user group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ternet Addiction Response Center). google
    • 35. Park J. Y. (2010) A Study on the Academic Resilience and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Non-traditional Student. [Lifelong education research] Vol.16 P.1-29 google
    • 36. Park J. Y. (2012)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cademic Resilience, Self-Esteem on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Non-traditional Students. [Korean local government research] Vol.14 P.47-75 google
    • 37. Park M. J., Ham Y. L., Oh D. N. (2012) Levels and their Correlations of Decision-Making-Competency, Adjustment to College Life,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in Freshmen.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12 P.327-337 google
    • 38. Park Y. M. (2011) A Study on Adults' Smart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google
    • 39. Seong Y. J. (2013) The influence of the alienation on the excessive use of mobile smart phone among teenagers :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and peer group attachment among them. google
    • 40. Son M. G. (2013) Effect of the academic achi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 of taegwando on adaptation of college life and the attitude toward course decision. google
    • 41. Yang H. S. (2004) The effects of the attachment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google
    • 42. Yoon H. S., Hwang Y. M., Kim D. B., Jang S. H. (2011) The effects self-differentiation stress coping methods and mental health on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Vol.10 google
    • 43. You H. S. (2014)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Participants in College Career Courses. [Open education study] Vol.22 P.89-111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es
    • [ <Table 2> ]  Scales Reliability
      Scales Reliability
    • [ <Table 3> ]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Parent Attach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N=417)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Parent Attach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N=417)
    • [ <Table 4> ]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 [ <Table 5> ]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Academic Adjustment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Academic Adjustment
    • [ <Table 6> ]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Social Adaptation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Social Adaptation
    • [ <Table 7> ]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 <Table 8> ]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