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Marital Satisfaction on the Parenting Efficacy of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BSTRACT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is research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ing efficacy as perceived by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Korean fathers who had at least one child and had married women from foreign countries by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Family-of-origin experiences consisted of two variables: family-of-origin health and attachment to parents in the family-of-origin. Parenting efficacy measured two dimensions: efficacy as a parent and frustration/anxiety as a parent. The results of exploratory analyses showed that family-of-origin experienc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education levels, religion, monthly average income, and family types, while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efficacy differed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ir age, education levels, religion, income, and their foreign wives’ Korean communication abilitie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fathers’ parenting 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of-origin experiences. Final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ported that marital satisfaction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affecting both of the dependent variables: efficacy as a parent and frustration as a parent, while attachment to the father in their family-of-origin also influenced their efficacy as a paren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ome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clinicians working with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were also discussed in terms of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cusing on this new type of family in Korea.

KEYWORD
다문화가정 , 원가족 경험 , 결혼만족도 , 양육효능감
  • Ⅰ. 서론

    최근 우리나라는 한국 남성과 결혼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로 다문화적 양상을 지닌 사회로 급속 하게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자녀들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3년 다문화 가정이 75만명, 즉 우리나라 인구 비율의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추후 지금보다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49].

    다문화가정은 현재 국내에 정주하고 있는 국제결혼가정을 통상적으로 의미한다. 현재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 대부분이 한국이 남성과 외국인 여성이 결혼하는 경우로 전체 국제결혼 건수의 다수를 차지하 며, 한국 남성과 결혼한 결혼이주여성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가정에서 성장하는 아동의 비율 역시 증가 추세이다. 특히 어린 세대로 갈수록 다문화 진행 속도가 빨라져 2050년에는 우리나라 영아 (0~2세) 3명 중 1명이 다문화 가정 출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38]. 다문화 가정 자녀의 연령별 현황을 살펴보면, 다문화가정의 18세 이하 자녀 중에서 만 6세 이하가 104,694명(62.1%)으로 취학 전 아동이약 60%의 비율을 차지한다.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자녀가 있는 다문화 가정의 가장 큰 어려움은 자녀 양육이며[24],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신들의 문제보다 자녀들의 부적응 문제에 더 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농어촌 또는 도시의 저소득층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대부분은 언어소통 능력의 한계와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인해 자녀양육 전담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적응은 자녀들의 성장․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아니라 이후 학업 수행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주고 있다고 보고하였다[20].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녀 양육의 어려움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인 아버지들 역할의 중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한국인 아버 지들이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 어머니들의 양육을 보완함으로써 어머니 양육역할을 간접적으로 지지 할뿐 아니라, 직접적으로는 자녀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52].

    그러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역할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행되고 있는 많은 연구들은 주로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사회에 적응해가면서 양육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 [27, 36, 53]와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관한 연구[24, 44]가 대부분이며 이에 비해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1, 35]는 양적 · 질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의 역할이 배우자와 자녀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점을 놓고 볼 때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에 관한 연구가 활발 하게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부모의 양육에 대한 관심은 오래 전부터 계속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부모의 양육행동에 관한 최근 연구[10, 46]에 따르면 부모의 양육행동과 자녀발달 간의 일차적 관계, 부모의 사회적 환경을 넘어서 부모의 양육행동에 선행하는 인지적 특성으로 양육효능감에 주목하고 있다. 즉, 환경적 요인 이외에 양육에 대한 부모의 인지에 대한 관심, 탄력성과 같은 극복기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양육효능감의 연구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37]. 부모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양육효능감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양육효능감이 높은 부모는 바람직한 양육행동과 부모와 자녀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심리, 사회적 적응과 인지능력을 포함한 자녀의 전반적인 발달을 긍정적으로 이끈다 [16].

    다문화 가정 아버지는 일반 가정 아버지와 같이 가장으로서 경제적인 책임을 지고 있는 동시에 한국의 문화와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아내의 어머니 역할까지 감당해야하기 때문에 그 어려움과 양육스트 레스가 크다고 보고되고 있다[31]. 따라서 다문화 가정 아버지들이 어려운 양육 상황에서도 긍정적 개념으로 양육에 임할 수 있는 양육효능감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밝히는 것도 중요하 다고 할 수 있다.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Jeon과 Park[30]의 연구 결과를 보면, 원가족 경험이 양육효능감에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은 원가족의 경험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고 있음을알 수 있다. 어린 시절 원가족에서 부모가 자신에게 보인 양육경험은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데, 건강한 가족에서 성장한 개인은 성인이 되어서도 건강한 정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고 하였다[47]. Belsky[5]의 가족과정모델에서도 과거에 경험한 부모와의 관계 및 심리적․정서적 건강성 정도가 자녀와 관계의 질을 예측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원가족 경험은 부모자녀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쳐 자녀의 양육을 비롯한 부모로서의 양육효능감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될것이라고 예측된다.

    Belsky[5, 8 재인용]는 부모의 양육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의 경로를 제시하며 어린 시절 자신의 부모와 형성한 애착 관계 뿐 아니라 현재의 결혼 생활에서 느끼는 결혼 만족도 역시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하였다.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직접적인 관계를 살펴본 Kang[34]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부부관 계가 원만하면 긍정적인 양육행동이 나타났다는 선행연구들[3, 62]과 일치하는 결과이며,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역할수행이 높다는 선행 연구들[7, 39]과 유사한 결과라 볼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해보면, 원가족의 경험은 현재의 관계, 정서, 그리고 행동방식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며, 어린 시절 부모 자신의 원가족 경험은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 부모의 양육 행동은 결혼만족도에 의해 직간접적인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결혼 만족도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를 설정하고 이들이 양육효능감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 중 전생애적 관점에서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을 함께 고려하여 살펴본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므로 본 연구는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있겠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따른 원가족 경험,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의 차이도 살펴보고자 한다. 다문화가정 아버지에 대한 양적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원가족 경험,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은 다문화가정 아버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여 다문화 아버지 교육 및 부부, 부모-자녀 교육에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Ⅱ. 선행연구 고찰

       1. 원가족 경험

    원가족 경험이란, 원가족 내에서 개인이 성장하는 동안 접하게 되는 특별한 경험[40]을 의미하며 원가족 내의 가족원들 각자의 인성과 인종적, 문화적 유산이 독특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험이라 할 수 있다[30].

    원가족 경험에 관심을 갖는 학자들은 원가족 내에서의 역동적인 경험과 그 가족 속의 개인, 그리고 가족 전체가 삼각형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가정하며[47] 원가족 내에서의 역동적 경험과 가족 간상호작용 양상이 세대 전이됨으로써, 자녀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결혼 생활의 만족과 적응 그리고 갈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2, 33]. 즉, 원가족 경험은 개인이 성장한 가정에서의 경험으로서 개인의 성장 발달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성인이 된 후의 생식가족 및 대인관계와 생활 자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념으로 개인과 부부 그리고 가족 연구의 기본적인 개념이라 정의할 수 있다. 원가족 경험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원가족 건강성,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의 아동기 경험, 원가족 부모와의 관계, 원가족의 자율성과 친밀감, 가족규칙, 원가족 분화 경험, 원가족 부모 와의 애착[9, 28, 30, 43] 등을 원가족 경험의 하위변인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원가족 경험은 원가족 건강성과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

       2. 결혼만족도

    결혼만족도는 결혼 생활에 대한 개인의 만족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혼만족도 개념화 문제는 학자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결혼만족도 개념은 만족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만족을 한 개인이 가지는 기대와 그 사람이 실제로 받는 보상 사이의 일치정도로 정의하는 것이다. 이 견해에 따르면 결혼만족도는 “개인이 결혼에 대해 가지는 기대와 결혼의 결과 사이의 일치 정도[57, 58, 65]” 라고 정의된다.

    둘째로는 만족을 “주관적으로 경험되어진 즐거움 대 즐겁지 않음, 행복 대 불행, 충족감 대 부족의 현상”으로 보는 것이다. 이 때 결혼만족은 기대와 보상 사이의 일치 정도 이외에 더욱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는 주관적으로 경험되어진 반응을 의미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결혼만족도는 “결혼 생활 전반에서 경험하는 즐거움, 행복, 만족 등의 주관적 감정이며 일종의 태도[22, 66]”라고 정의 할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만족도의 개념을 결혼생활 전반에 걸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 Hawkins[22]의 정의에 따라 결혼만족이란 “결혼 생활 전반에 대한 행복, 만족과 기쁨의 주관적 감정”으로 정의 내리고자 한다.

       3. 양육효능감

    양육효능감은 Bandura[4] 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개념에서 파생된 것으로, 자기 효능감을 양육의 차원에 적용시킨 것이라 볼 수 있으며 적절한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주요한 요인이다. 구체적으로 학자들이 정의한 양육효능감의 개념을 살펴보면, Dorsey와 그의 동료들[16]은 '자녀의 적절한 발달과 관련된 가치 있는 행동을 수행하는 부모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라고 정의하였으며, Johnson과 Mash[32]는 '자녀를 잘 양육하고 훈육하며 자녀에게 문제가 생겨도 잘 해결 할 수 있다는 부모로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이라고 정의하였다. Teti와 Gelfand[71]는 양육효능감을 ‘효율적으로 양육을 하는 능력에 대한 부모의 믿음'이라고 정의하였고, 양육효능감에 대한 많은 문헌적 고찰을 통해 양육효능감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는 Coleman과 Karraker[13]는 ’부모가 자신을 양육과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으로 지각하는 정도‘라고 정의하였다.

    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은 양육효능감을 인지적 차원의 부모로서의 효능감과 정서적 차원인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으로 구분하였는데, 부모효능감은 부모역할에서의 유능감이나 부모 자녀 관계에서 부모로서의 문제 해결 기술과 능력에 대한 어머니 자신의 기대를 말하고, 부모로서의 불안감은 자녀를 키우면서 느끼는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을 말한다[69]. 이처럼 양육효능감은 자녀를 바람직하게 잘 양육하고 지도하며, 자녀와의 문제가 생겨도 이를 잘 해결할 수 있다는 부모 역할 수행 능력에 대한 부모 자신의 믿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 및 양육효능감의 관계

    1)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부부의 안정된 결혼생활을 예견하는데 행복한 어린 시절과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58]. 원가족은 개인의 성장과 성인이 된 후의 관계 맺기 그리고 결혼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념으로 개인과 가족을 연구하는데 기본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28]. 원가족 경험의 하위 요인인 원가족 건강성,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 건강성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면, 원가족 건강성은 결혼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여 원가족 건강성이 높다고 지각한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28, 33]. 이와 비슷한 결과로 원가족의 정서 수준이 높은 가정에서 자란 부부가 높은 적응을 보였다고 한 Couillard[14]의 연구와 원가족 건강성과 부부친밀감이 정적 상관이 있다고 한 Yang[73]의 연구가 있다.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및 정서 심리적 특성이 결혼 적응에 미치는 영향[68]이라는 연구 결과를 살펴 보면, 결혼 이주 여성의 원가족 관계와 현재 가족의 특성이 결혼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원가족 건강성은 생식 가족의 건강 수준뿐만 아니라 부부 관계에서 결혼 적응, 결혼 만족, 부부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즉,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수 준과 원가족에서 부모와 경험한 상호관계의 질은 개인의 정서적 건강뿐만 아니라 결혼 적응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7, 40].

    둘째,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과 결혼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면,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은 결혼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안정애착은 결혼 친밀감과 관련이 있으며[59], 결혼 생활에서더 많이 긍정적으로 행동하고[15], 결혼 생활의 문제가 적었다[70, 72]. 즉, 아동기 때 자신의 부모와의 관계를 안정적이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부모들은 자신의 결혼만족도를 높게 보고하였다[29]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애착의 불안 차원과 회피 차원이 높은 경우 결혼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21], 부모와의 어린 시절 애착 및 자율성이 균형 있게 발달한 집단의 결혼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74]. 이상을 종합해볼 때, 원가족 경험(원가족 건강성, 부모와의 애착) 은 결혼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거의 일반 가정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이며,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2) 원가족 경험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아버지들의 원가족 경험과 양육효능감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므로, 양자 간의 관련성은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부모-자녀 관계, 양육행동 간의 관계, 양육 경험의 세대 간전이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어린 시절 원가족에서 부모가 자신에게 보인 양육경험은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데, 건강한 가족에서 성장한 개인은 성인이 되어서도 건강한 정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고 하였다[47]. Belsky[5]의 가족과정 모델에서도 과거에 경험한 부모와의 관계 및 심리적ㆍ정서적 건강성 정도가 자녀와 관계의 질을 예측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부모들의 원가족에서의 경험은 개인의 건강한 정서와 상호작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부모자녀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쳐 자녀의 양육을 비롯한 부모로서의 양육효능감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될 것이라고 예측된다. 원가족 경험의 하위 요인인 원가족 건강성,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과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가족 건강성과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살펴 본 연구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원가족 건강성과 부모-자녀관계의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버지의 원가족 정서분위기는 성장 후 개인의 인성발달과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를 총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중요한 예측요인 으로 보고되고 있다[18]. 아동기에 가정에서 긍정적인 사회화 경험을 한 아버지가 자신의 아버지와 동일시 과정을 통해 건강한 방식의 양육참여를 하는 반면, 부정적인 사회화 경험을 한 아버지는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보상심리로 과잉 허용적 이거나 통제적인 양육패턴을 가진다고 밝힘으로써 원가족의 정서분위기가 자녀양육 참여의 질을 결정한다고 하였다[5]. 또한 Jang[28]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기 때 원가족에서 부모로부터 돌봄을 많이 받은 경우 현재 자기 자녀에게 돌봄을 많이 하며, 부모에게 과보호를 많이 받은 경우 자녀에게 과보호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가 현재 자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과 아버지 양육효능감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살펴 본 연구 또한 소수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양자 간의 관련성은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 양육경험의 세대 간 전이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 유추 할 수 있다. 애착이론은 부모의 아동기 경험과 현재 자녀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틀을 제공하는데, 어릴 때 형성된 부모와의 애착은 자녀와의 관계와 양육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일생동안 변화의 가능성은 있지만 어느 정도 일관성 있게 유지 되고 양육행동을 통해 자녀에게 세대전이[51]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Kim[39]과 Chae[8]의 연구를 살펴보면 아버지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친밀한 정서적 유대관계를 형성하였을 경우 양육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원가족 경험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Jeon과 Park[30]의 연구 결과를 보면, 원가족 경험과 관련된 변인들의 영향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원가족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한각 모델에서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이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은 어머니보다 원가족의 경험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원가족에서 부모와 높은 정서적인 유대 감을 형성하여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 및 긍정적인 양육을 경험한 아버지는 원가족에서 보고 자라왔던 긍정적인 양육방식을 모델링하여 자녀의 양육에 있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이는 곧 양육의 세대 간 전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관련 연구들은 아버지 보다는 어머니에 초점을 둔 경우가 많으며, 양육효능감보다는 양육행 동이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또한 대부분이 일반가정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며,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아버지들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3)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관계

    아버지들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드물기 때문에 양자 간의 관련성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행동, 부모-자녀 관계, 양육 참여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 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다.

    먼저,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직접적인 관계를 살펴본 Kang[34]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부부관계가 원만하면 긍정적인 양육행동이 나타났다는 선행연구들[3, 62]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역할수행이 높다는 선행 연구[7,39]들과 유사한 결과라 볼 수 있다.

    결혼만족도와 아버지의 양육 행동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7]에 의하면 낮은 결혼만족도는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배우자로부터 지지받지 못한 아버지로 하여금 부모역 할에 대한 무능력감을 느끼게 해 부모-자녀관계에 어려움을 초래한다고 하였다. 더욱이 결혼만족도가 어머니보다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5] 보고되고 있어 결혼만족도가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에 중요한 예측요인이 될 수 있음을 지지하고 있다.

    결혼만족도와 양육행동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결혼만족도 수준에 따라 양육행동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결혼만족도가 높으면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온정적 양육 행동을 더 많이 나타내는 반면, 결혼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온정적 양육행동은 낮고 거부-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을 보였다[29]. 즉,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자녀에게 애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며 결혼만족도가 낮을수록 거부적이며 통제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64]. 부부관계의 질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배우자가 주요한 사회적 지지체계가 되므로 대부분의 경우에 부부관계가 원만하면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보이는 반면, 부부관계가 불만족스러우면 자녀양육에도 소홀하게 된다[6, 29 재인용].

    이처럼 부부 간 결혼 관계의 질은 아버지의 역할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아버지들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 행동과 참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가정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본 연구의 대상은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한국인 아버지이며, 자료 수집은 경기, 충남, 전북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다문화 가족 유관 기관,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들의 자조모임, 다문화가정 방문교육을 실시하는 방문 교육 지도사들을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에 다문화 가정 아버지들이 직접 응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응답자의 사생활 보호와 비밀 유지를 위해 설문지를 개별 봉투에 담아 배포하였으며, 설문지 회수는 응답자의 응답이 끝난 후 설문지를 담아 뒷면을 봉한 후 회수 하도록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3년 2월 25일부터 4월 20일까지 8주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배부된 350부 중 235부가 회수되었으며, 부실기재 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32부가 제외되어 총 203부가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조사 대상자의 연령, 학력, 직업, 월평균 소득, 종교의 유무, 아내의 출신 국가 및 한국어 실력 등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label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2. 측정도구

    1) 원가족 건강성 척도

    본 연구에서는 원가족 건강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Hovestadt와 그의 동료들[25]이 제작한 Family of Origin Scale(FOS)을 기초로 한국 가족의 정서에 적합하도록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Choi[11]의 원가족 척도(the Family of Origin Scale-55) 중 원가족에 대한 인식의 전반적인 건강성을 측정하는 16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문항은 원가정에서 자율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격려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문항들의 예를 살펴보면, ‘내가 자란 가정에서는 내가 가지고 있는 어떤 감정이든 표현할 수 있었다’, ‘내가 자란 가정에서는 서로 다른 사고방식이나 생활방식을 존중하였다’ 등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식 척도로 측정되었다. 부정적 의미의 문항을 역채점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원가족이 정서적으로 건강함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 원가족 건강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원가족 건강성 신뢰도는 Chronbach's α=.92 로 나타났다.

    2)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가 아동기 때 원부모와의 정서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한 원부모와의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Hazan과 Shaver[23]가 개발한 성인 애착 척도(Adult Attachment Scale, AAS)를 번안한 Kwahk[50]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다문화 가족 아버지가 성장기 원가족에서 경험한 부ㆍ모와의 애착관계에 대해 지각하는 것으로, 각각 16문항씩 총 32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항들의 예를 들어 살펴보면, ‘나는 아버지(어머니)와 자연스럽게 가까워질 수 있었다.’ 등의 안정, ‘나는 아버지(어머니)가 나를 깔보거나 무시할까봐 걱정했다.’ 등의 불안, ‘나는 아버지(어머니)로부터 독립된 시간이 필요했다.’ 등의 회피를 나타내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 까지 5점 Likert식 척도로 측정되었다. 부정적 의미의 문항을 역채점 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아버 지가 아동기 때 자신의 부ㆍ모와 형성한 애착의 안정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원가족 아버지와의 애착 신뢰도는 Chronbach's α=.85, 원가족 어머니와의 애착 신뢰도는 Chronbach's α=.82로 나타났다.

    3) 결혼만족도

    결혼만족도를 측정하는 도구는 Roach, Frazier와 Bowden[66]에 의해 개발된 MSS(Marital Satisfaction Scale)의 문항을 우리의 문화실정에 맞게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Rho와 Lee[64]의 예비조사를 거쳐, Hur[26]이 사용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총 18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문항들의 예를 살펴보면, ‘나는 지금의 아내와 결혼한 것을 후회한 적이 있다’, ‘나는 지금의 결혼 생활이 영원히 지속되기를 원한다’, ‘나는 확실히 나의 결혼 생활에 만족한다’ 등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식 척도이다. 부정적 의미의 문항을 역채점 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결혼만족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결혼만족도 신뢰도는 Chronbach's α=.93으로 나타났다.

    4) 양육효능감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척도는 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이 개발한 16문항으로 이루어진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PSOC)를 Shin[69]가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PSOC는 인지적 차원인 부모로서의 효능감(9문항)과 정서적 차원인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4문항) 총 13문항 으로 측정하였다.

    하위 요인별 문항들의 예를 살펴보면, 인지적 차원인 부모로서의 효능감은 ‘나는 자녀가 무엇을 힘들어하는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나는 부모로서 해야 할 일을 잘 알고 있다’ 등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서적 차원인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은 ‘나는 좋은 부모가 될 수 없을 것 같아 걱정이 다’, ‘나는 부모로서 긴장하고 있으며 불안하다’ 등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척도는 ‘전혀 그렇지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식 척도이다. 인지적 차원인 ‘부모로서의 효능감’의 부정적 문항은 모두 역채점 처리 하였으며, 정서적 차원인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은 부정적 문항 점수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양육효능감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부모로서의 효능감 신뢰도 Chronbach's α=.84,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은 신뢰도 Chronbach's α=.72로 나타났다.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1.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라 다문화 가정 아버지가 지각하는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 및양육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결과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

    ] Results of Difference Analyses in Major Variables

    label

    Results of Difference Analyses in Major Variables

    첫째, 조사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혼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40세 이하의 연령집단이 다른 연령대의 집단보다 결혼만족도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F=3.95, p<.01).

    둘째, 조사대상자의 학력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가족 경험 하위변인 중 어머니와의 애착, 결혼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졸이하 집단보다 고졸과 대졸이상 집단이 원가족 어머니와의 애착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5.54, p<.01), 결혼만족도는 대졸 이상의 집단에서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6.74, p<.01).

    셋째, 조사대상자의 종교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가족 경험 하위변인 중 원가족건강성과 어머니와의 애착,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 하위변인 중 부모로서의 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종교가 있는 아버지들이 원가족 건강성(t=3.50, p<.01), 어머니와의 애착(t=2.09, p<.05), 결혼만족도(t=3.86, p<.001), 부모로서의 효능감(t=3.99, p<.001)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가족 경험 하위변인 중 모 애착,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 하위변인 중 부모로서의 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소득수준이 150만원 이상인 집단이 150만원 이하인 집단보다 원가족 어머니와의 애착(F=3.59, p<.05), 부모로서의 효능감(F=3.30, p<.05)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한편, 결혼만족도는 251만원 이상의 소득 수준에서 결혼만족도를 가장 높게 지각하였다(F=7.23, p<.01).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직업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혼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 며, 구체적으로 판매직ㆍ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아버지들의 결혼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농업ㆍ 임업 어업ㆍ축산업에 종사하는 아버지들의 결혼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F=4.59, p<.01).

    여섯째,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혼만족도 및 양육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이 ‘상’인 집단이 결혼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F=12.92, p<.001), 부모로서의 효능감(F=8.20, p<.001)도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이 ‘상’인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은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이 ‘하’인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 났다(F=4.14, p<.05).

    일곱째, 조사대상자의 가족형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가족 경험 영역 가운데 원가족건강성 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현 가족형태가 확대가족(부모님+부부+자녀)인 아버지들이 핵가족(부부+자녀)인 아버지들보다 원가족 건강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1.99, p<.05). 이 외에도, 배우자의 연령, 종교 유무, 출신국가, 학력, 배우자를 만난 경로, 자녀 수, 첫 자녀의 나이, 결혼 기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으나 이러한 변인에 따라 원가족 경험이나 결혼만 족도 그리고 양육효능감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원가족 경험, 결혼만족도 및 양육효능감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 및 양육효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

    ]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es

    label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es

    첫째, 다문화 가정 아버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원가족 경험의 하위 영역 원가족 건강성(r=.50, p<.001), 아버지와의 애착(r=.42, p<.001), 어머니와의 애착(r=.40, p<.001)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원가족 건강성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어린 시절 부모와의 애착을 안정 적으로 지각할수록 결혼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다문화 가정 아버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과 양육효능감의 상관관계는 원가족 건강성, 아버지와의 애착, 어머니와의 애착 모두 부모로서의 효능감,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하위 영역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부모로서의 효능감(r=.39, p<.001)은 원가족 건강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r=-.35, p<.001)은 원가족 건강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원가족 건강성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 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은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원가족 아버지와의 애착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로서의 효능감(r=.40, p<.001)은 아버지와의 애착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r=-.37, p<.001)은 아버지와의 애착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어린 시절 아버지와의 애착을 안정적으로 지각 할수록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가족 어머니와의 애착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로서의 효능감(r=.32, p<.001)은 어머니와의 애착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r=-.33, p<.001)은 어머니와의 애착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애착을 안정적으로 지각 할수록 부모로서의 효능감과 전체 양육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가정 아버지가 지각한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상관관계는 부모로서의 효능 감은 r=.48(p<.001) 수준에서 결혼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은 r=-.52(p<.001) 수준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가정 아버지들의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일차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의 일반적 특성 변인 중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을 통제변수로 투입하고(조사대상자의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0, 대학교 졸업 이상=1, 조사대상자 종교 유무는 무=0, 유=1로 가변수화 하였음), 이차적으로 원가족 경험 하위변인과 결혼만족도를 각각 독립변수로 투입한 후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 가정의 위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Durbin-Watson 계수를 산출하여 잔차 간의 독립 여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1.83~2.24로 잔차 간에 자기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회귀분석의 모델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

    ]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label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첫째,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하위영역 중 부모로서의 효능감에 대한 영향력은Ⅰ단계에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종교 유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교가 있는 아버지 집단이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배경 변인의 부모로서의 효능감에 대한 설명력은 12% 로 나타났다. Ⅱ단계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 하위영역 3가지와 결혼만족도를 추가적 으로 투입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종교 유무와 원가족 경험 하위 영역 중 아버지와의 애착 그리고 결혼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교가 있는 아버지들이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높았으며, 다문화 가정 아버지들이 어린 시절 아버지와의 애착을 안정적으로 지각 할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을 수록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Ⅰ단계보다 19%가 증가한 31%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하위영역 중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에 대한 영향력은 Ⅰ단계에서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이 낮을수록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배경 변인의 부모로서의 효능감에 대한 설명력은 6%로 나타났다. Ⅱ단계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 하위 영역 3가지와 결혼만족도를 추가적으로 투입하였으며, 결혼만 족도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 가정 아버지들이 결혼만족도가 낮을수록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Ⅰ단계보다 24%가 증가한 30%로 나타났다.

    Ⅴ.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 및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기초로 다문 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버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다문화 가정 아버지 교육 및 부부교육에 실증적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원가족경험,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중, 우선 원가족 경험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일반적 변인 중 조사대상자의 학력, 종교의 유무, 월평균 소득 수준, 가족형태에 따라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력이 고졸과 대졸 이상인 아버지 집단이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애착 관계를 안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이는 교육 수준이 대졸 이상인 경우에 원가족 건강성을 높게 지각하였다는 Kim[47]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 종교를 가진 아버지들이 원가족 건강성을 높게 지각하고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애착관계를 안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이는 종교가 없는 집단이 종교가 있는 집단보다 원가족 건강성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는 연구결과[28]와 일치한다. 또, 월평균 소득 수준이 150만원 이상인 집단이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애착 관계를 안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확대가족 집단이 원가족 건강성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평균 소득이 높은 집단이 더 높게 원가족 건강성을 지각하였다는 연구결과[28]와 일치한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결혼만족도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 변인 중 연령, 최종학력, 종교의 유무, 월평균 소득 수준, 직업,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연령이 40세 이하 집단이 41세 이상 집단보다 결혼만족도를 높게 지각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젊은 연령층에서 더 높은 결혼만족도를 보였다는 선행 연구 결과[54]와 일치한다. 국제결혼의 경우 한국 남성과 결혼이주여성의 연령차가 큰 편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40세 이하 집단이 41세 이상 집단 보다 결혼만족도를 높게 지각한다는 결과는 한국 남성과 결혼 이주여성의 연령차가 적은 부부가 높은 결혼만족도를 보인다는 결과로도 해석 할 수도 있다.

    최종 학력에서는 대졸 이상인 경우에 결혼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결혼 부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다는 연구[54]도 보고되고 있다. 종교의 유무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 에서는 종교가 있는 아버지들의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종교 활동 참여도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Pyo[63]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월평균 소득수준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는 소득이 250만원 이상인 집단이 250만원 이하인 집단 보다 결혼만족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ee[54]의 연구에서도 다문화 가정 경제 수준이 결혼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다문화 가정의 아버지는 한국 사회의 주변인인 경우가 많고 어머니는 자국의 경제적 어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홀로 이주해 온 여성들로 경제적 소외계층이다[45]. 다문화 가정의 경우 결혼이주여성의 모국 가정의 경제적 상황까지 책임져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경제적인 문제로 위기를 경험하는 가정도 많다[60]. 즉 다문화 가정의 소득 수준은 결혼만 족도와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직업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는 농업ㆍ임업ㆍ어업ㆍ축산업이 결혼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판매 직ㆍ서비스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남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67]에서는 사무직 이나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남편들이 생산직이나 농 · 축산업에 종사하는 남편보다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최종 학력에 따라 달라지고 직업의 종류에 따라서 이들의 월평균 소득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 세 가지 요인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는 결혼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이 ‘상’ 인 집단의 아버지들이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아내의 의사소통 능력이 높을수록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높아지며 아내의 의사소통 능력이 낮을수록 남편의 결혼만족도 또한 낮아진다고 보고한 Kim과 Jang[45]의 연구와 일치한다. 만족스러운 결혼 생활을 위해서는 아내의 원활한 한국어 구사 능력이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내 의사소통은 결혼만족도와 관련된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양육효능감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 변인 중 종교의 유무, 월평균 소득 수준,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종교의 유무에 따른 양육효능감의 차이 결과는 종교가 있는 집단의 아버지들이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활동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하나의 유력한 사회적 지지의 자원이 가능성이 높다[61]. 다문화 가정 아버지들은 종교 활동을 통해 정서적 지지 혹은 여러 가지 정보들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물질적 혹은 정서적 지지와 격려는 아버지들의 결혼만족도는 물론 양육효능감에도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 사료된다.

    월평균 소득수준에 따른 양육효능감의 차이는 소득이 150만원 이상인 집단이 150만원 이하 집단보다 부모로서의 효능감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입이 높은 아버지가 양육효능감이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Lee[55]의 연구와 일치한다. 자녀를 양육 할 때 부모는 금전적으로 많은 지출을 하게 되는데, 아버지들은 가족을 잘 부양할 때 자신이 아버지로서 주된 책임을 잘 수행하고 있고 아버 지로서 유능하다고 인지하는 반면, 수입인 낮은 아버지는 경제적 안정이 부족하므로 자녀 양육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불안과 좌절감을 많이 느끼기 때문[55]이다.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서도 양육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아버지들이 지각한 배우자의 한국어 수준이 ‘상’인 집단의 아버지들이 부모로서의 효능 감을 높게 지각하고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은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이 서로 어떠한 상관관계에 있는가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원가족 건강성, 아버지와의 애착, 어머니와의 애착 모두 결혼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원가족 건강성이 높을수록, 어린 시절 부모와의 애착을 안정적으로 지각할수록 결혼만족 도가 높다는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원가족에 대해 지각한 정서적 건강수준이 부부 모두 높을 때 결혼 적응이 가장 높은 반면, 정서적 건강 수준이 부부 모두 낮을 때 결혼 적응이 가장 낮다는 Couillard[1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어린 시절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도 부모와의 안정애착은 높은 결혼 친밀감을 가지고 있으며[59], 결혼생활에서 더 긍정적으로 행동하고[15], 결혼생활의 문제가 적었다[70, 72 재인용]. 즉, 가족 경험과 같은 관계 속에서 형성된 애착은 이후 자기와 타인과 관계에 대한 지도의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고, 이는 원가족 경험이 현재의 핵가족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원가족 건강성, 아버지와의 애착, 어머니와의 애착, 모두 양육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원가족 건강성이 높을수록, 어린 시절 부모와의 애착을 안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양육효능감이 높다는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양육효능감이 정적 상관을 보인다는 Jeon과 Park[30]의 연구결 과와 일치한다. 이는 원가족에서 자신의 부모와의 긍정적인 경험이 자신의 자녀를 양육함에 앞서 부모 로서의 효능감을 가지는데 중요한 변인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부모로부터 독립성을 인정받고 수용적인 양육방식을 경험하였을수록, 자신의 자녀에게 온정적, 수용적인 양육행동을 많이 한다고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62]와도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부부관계나 부모-자녀관계와 관련하여 자신의 원가족 관련 요인의 영향을 유의하게 받는다고 밝혀 원가족의 정서분위기가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에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해주고 있다[33].즉, 원가족에서 부모와 높은 정서적인 유대감을 형성하여 긍정적인 부모-자녀 관계 및 긍정적인 양육을 경험한 아버지는 원가족 에서 보고 자라왔던 긍정적인 양육 방식을 모델링하여 자녀의 양육에 있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이는 곧 양육의 세대 간 전이를 의미하는 것[42]으로 사료된다.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다는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다는 Kang[34]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높다는 선행 연구들[7, 39]과 유사한 결과라 볼 수 있다. 더욱이 결혼만족도가 어머니보다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어 있어[5] 결혼만족도가 아버지의 자녀 양육에 중요한 예측 요임임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관련 변인들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양육효능감의 하위영역인 부모로서의 효능감에는 종교의 유무, 원가족 아버지와의 애착, 결혼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교가 있는 아버지 집단이, 원가족 아버지와의 애착이 안정적일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 력은 31%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양육효능감의 하위영역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에는 결혼만족도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만족도가 낮을수록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30%로 나타났다.

    이로써 어린 시절 아버지와의 안정적인 애착 관계와 결혼만족도가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생애 초기에 경험한 양육행동이나 가족관계는 개인의 성격 형성에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어 가정을 이루었을 때 배우자에게는 행동방식으로, 자녀에게는 양육행동으로 나타난다는 Belsky[5]의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아버지가 부모와 친밀한 정서적 유대관계를 형성하였을 경우 더욱 적극적으로 자녀양육에 참여한다는 선행 연구 결과[39]와 비슷하 다. 특히, 원부모와의 애착 중 아버지와의 애착관계가 다문화 가정 아버지들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자신의 원가족 어머니에 대한 경험보다 원가족 아버지에 대한 경험이 아버지의 양육행 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Lee와 Baek[56]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사회학습 이론에 준거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어린 시절 원부모와 긍정적인 사회화 경험을 한 경우 특히 자신의 원아버지를 역할 모델로 삼아 그 행동을 학습하고 성인이 되어 자녀가 생기면 그 학습된 양육 행동을 모방하여 나타난다. 또한 어머니에 비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은 원가족의 경험을 더 많이 받고 있어[30], 아버지에게 있어서 원가족에서의 경험들이 자신의 자녀에게 그대로 전수될 가능성이 높다.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결혼만족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아버지의 역할수행의 질을 예측하는 심리요인으로서 결혼만족도나 부부 관계의 질이 주목을 받고 있다는 이론[5]과 맥락을 같이 한다. 즉, 대부분의 남성은 부부관계가 친밀하고 신뢰가 있을 때, 아버지 역할에 긍정적이며, 부부관계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 아버지는 자녀양육에 많이 관여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41]. 나아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부모 역할 자신감과 자녀양육에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Kim[48] 의 연구와도 비슷한 결과이다. 가정에서의 원만한 부부관계는 부모로서의 양육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자녀의 성장 환경 및 발달영역 전반에 걸쳐 긍정적 기여를 한다[34]. 다문화 가정의 특성상 결혼이주여성들에게 한국인 남편은 주요한 사회적 지지체계가 된다. 다문화 가정의 부부관계가 원만하면 결혼이주여성들 또한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보이게 된다. 이와 비례하여 다문화 가정의 한국인 아버 지들 또한 부부관계가 원만하면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보이는 반면, 부부 관계가 불만족스러우면 자녀 양육에도 소홀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부모 교육이나 역할 훈련을 통한 역할 자신감 향상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으며 부부 관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병행해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바를 통해 본 연구가 지니는 학문적 의의를 언급하는 동시에 이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무엇보다도 다문화 가정의 가장 큰어려움은 자녀양육의 문제이다[12, 24]. 다문화가정의 양육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는 대부분 결혼이민여성의 영향력과 관련된 연구들이 주를 이루어왔다. 최근, 다문화가정 자녀 양육에 있어 아버지의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초점을 두고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에서 그 역할을 입증하였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전 생애적 관점에서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 결혼만족도, 양육효능감 모두를 함께 고려하여 살펴본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의 양육효능감을 다양한 관점 에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의 양육효능감에 과거 아버지와의 관계 및 현재 부부 관계의 질이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 가정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다문화 가정의 가족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러한 학문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접근이 어려운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진행하여 그들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경기도, 충남, 전북 지역의 다문화가정 아버지 203명만은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다문화가정 전체 아버지에 대한 결과라고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여러 지역과 다양한 연령대로 확대하여 후속연구를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 다문화아버지에 관련된 연구는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모두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설문 지를 통한 다문화가정 아버지에 대한 인식과 함께 다문화가정 아버지와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도 함께 병행 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아버지들과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저학력, 저소득층이 많은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을 위하여 소득별, 학력별 기준에 맞는 수준별 프로그램으로 장기적 지원이 가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아버지들이 자신의 원가족과의 관계에서 형성한 정서적 경험이 어떠한지 되돌아보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필요한 가정에 한해서는 가족 상담도 병행 되어야 할 것이다. 부부 관계 향상을 위한 부부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자녀 양육 및 교육에 대한 어려움을 예방하고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 할 수 있도록 부부가 함께하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도 활발하게 시행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 1. Ahn T. Y., Jun Y. C. (2014) Qualitative Case Study on a Father’s Child Raising Experiences in a Multicultural Famil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17 P.29-60 google
    • 2. Allison M, Sabatelli R. A. (1988) Differengiation and Individuation as Mediators of Identity and Intimacy in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3 P.1-6 google cross ref
    • 3. An M. E. (2007)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Daily Stress. google
    • 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191-215 google cross ref
    • 5.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Vol.55 P.83-96 google cross ref
    • 6. Belsky J., Isabella R. A. (1985)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to the family of origin and marital change following the birth ot a baby : A retrospective analysis. [Child Developmentm] Vol.56 P.342-349 google cross ref
    • 7. Belsky J., Youngblade L., Rovine M., Voling B. (1991) Patterns of marital change and parent-child inter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3 P.489-498 google
    • 8. Chae J. Y. (2011) P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ts F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29 P.75-83 google
    • 9. Cho S. H., Chung H. J. (2008) The Effects of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and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n the Nuclear Family among Married Men and Women. google
    • 10. Choi G. W.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fficasy,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Mothering Behaviors. google
    • 11. Choi H. M. (1997) A Study of the Family-of-Origin Scale with a Sample of Couples in their Early Marriage. google
    • 12. Choi S. W. (2009)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internalizing problem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Focused on Those in the Areas of Daejeon and Chungcheung Province. google
    • 13. Coleman P., Karraker k. (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Vol.18 P.47-85 google cross ref
    • 14. Couillard M. (1999) Differences in marital adjustment among couples with similar and dissimilar levels of emotional health in their family of origin. google
    • 15. Diehl M., Elnick A, V., Bourbeau L. S., Labouvie-vief G. (1998) Adult attachment styles: Their relations to family context and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4 P.1656-1669 google cross ref
    • 16. Dorsey s., Klein K., Forehand R. (1999) Parenting self-efficacy of HIV-infected mothers: The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1 P.295-305 google
    • 17. Fine M. (1988)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on family of origin level of state and trait anxiety. [Family Therapy] Vol.15 P.51-57 google
    • 18. Forrest M. (1991) Family-of-origin Emotional Health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t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Dissertation Abstract Interational-A] Vol.53 P.2688-2692 google
    • 19. Gibaud-Wallston J., Wandersman L. P.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google
    • 20. Gu S. Y. (2007) Qualitative Research on the Lives Children of the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 in a Child Care Center and Their Famili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2 P.95-124 google
    • 21. Han H. Y. (2005) The Associ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google
    • 22. Hawkins J. L. (1968) Association between Compan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30 P.647-648 google cross ref
    • 23. Hazan C., Shaver P. R. (1992) Broken attachment. In Orbuch, T. L. (ed.), Close Relationship Loss: Theoretical Approaches google
    • 24. Hong Y. S. (2007) A study on children's educational problem of multicultural family and it's implications. google
    • 25. Hovestadt A. J., Anderson W. T., Piercy F. P., Cochran S. W., Fine M. (1985) A Family-of-Origin Scale. [Journal of Marigal and Family Therapy] Vol.2 P.287-297 google cross ref
    • 26. Hur Y. J. (1996) Research for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ype of Marital Relationship : Focusing on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Methods. google
    • 27. Hur Y. R., Kwak J. S. (2011) A Case Study of Parenting Difficulties for a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ed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Vol.6 P.57-99 google
    • 28. Jang S. W. (2008) The Influence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on Marital Intimacy and Parent-Child Relation. google
    • 29. Jeon H. J., Park S. Y. (1999) Childhood Experience,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 Relationship to Parenting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20 P.153-169 google
    • 30. Jeon J. H., Park J. Y. (2010) Influence of Parents' Family-of-Origin Experience on Parenting Efficacy.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14 P.127-150 google
    • 31. Jeong S. G. (2011) The parental stress of fathers and mother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oogle
    • 32. Johnson C., Mash E. J. (1989) A measure of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18 P.167-175 google
    • 33. Jun C. A., Park S. Y. (1994) The effect of couple's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 of - origin emotional health on marital st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32 P.117-133 google
    • 34. Kang J. E. (2007) Relation of Marital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Efficacy among Middle class fathers in Seoul. google
    • 35. Kang J. H (2012) The 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Family Father's Participation in Rearing of Children and the Children's Adaptability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google
    • 36. Kim C. H. (2009) Study of Mother's Stress Caused by Rearing and Need for Support in Multicultural Family. google
    • 37. Kim D. H., Lee K. E. (2009) The Study on Path Analysis for Parenting 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at Multi-Culture Family.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Vol.14 P.77-98 google
    • 38. Kim D. J. (2010) Issues and Corrective Measures of Support Polic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Support] Vol.5 P.101-130 google
    • 39. Kim H. J. (1997) The Varibles Related to Father’s Child Rearing Practices and Involvement Behavior. google
    • 40. kim H. J. (1999) The effect of family-of-origin experience on couple’s Marital Acjustment. google
    • 41. Kim J. J., Kim Y. M. (2008)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fluences on Father's Parenting Efficacy with General Characteristic of One's Parent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54 P.269-287 google
    • 42. Kim J. W.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Father Involvement,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google
    • 43. Kim K. J. (2004) The Influences of Family of Origin and Self Differentiation on Family Functioning Among Married People. google
    • 44. Kim K. S. (2006) A Study on the realities of child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google
    • 45. Kim K. S., Jang Y. J. (2009) A Study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Korean Husbands in Inter-ethnic Marriage Statu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23 P.223-248 google
    • 46. Kim S. H. (2005)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n Young Children's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5 P.191-209 google
    • 47. Kim S. K. The Effects of Family-of-origins’s Emotional Health and Ego-ident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Young Adults. google
    • 48. Kim Y. H., Shin H. J., Chae Y. M. (2007) Effects of Emotional Climate in Family of Origi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Role Competence o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Welfare] Vol.12 P.67-87 google
    • 49. Kim Y. K. (2011) Multicultural Aspects of Family Change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175 P.45-62 google
    • 50. Kwahk S. H. (2005) Path model analysis of the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emotion,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google
    • 51. Lee H. S. (2000) The Effect of Childhood Attachment on Parent's Caring Behavior. [Sook-Myung Journal of Child Study] Vol.14 P.19-36 google
    • 52. Lee J. S. (2007) A Study of Childcare and Education, Fathers` Childcare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2 P.21-42 google
    • 53. Lee K. A. (2010)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in multicultural family on parenting behavior. google
    • 54. Lee K. S. (2000) A study on causes of couple conflict within internationally-married family : focused on Korean and Japanese families. google
    • 55. Lee S. G. (2005) The Effect of Work-father Role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google
    • 56. Lee Y. W., Baek J. E. (1998)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ParentingBehavior and Preschooler’s Attachment and Social Competence. [The Joru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5 P.1-28 google
    • 57. Lenthall G.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a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Counselling] Vol.(1977) google
    • 58. Lewis R. A., Spanier G, B. (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marriage. In Burr, W., Hill. R., Nye, L., & Reill, I. (Eds), Contemporary theories adlut the family, vol 1 google
    • 59. Mayseless O., Sharabany R., Segi A. (1997) Attachment concerns of mothers as manifested in parental, spousal, and friendship relationships. [Personal Relationships] Vol.4 P.255-269 google cross ref
    • 60. Na J. I. (2011) The Future of Biracial Families in Korea. google
    • 61. Nam Y. H.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Religious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Stabilization. google
    • 62. Park S. Y., Jeon H. J. (1999) Childhood Experience,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Relationship to Parenting Behaviors.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Vol.20 P.153-169 google
    • 63. Pyo H. Y. (2004) A Study on the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Satisfactory Degree of Marriage Show in the Mixed Couple’s Home-Centering on the Province of Gyeongsangnam-do. google
    • 64. Rho M. H., Lee S. (1991) The Relationship of th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 Child - 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29 P.181-206 google
    • 65. Rice P. F. (1979) Marriage and parenthood. google
    • 66. Roach A. J., Frazier L. P., Bowden S. R.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3 P.359-367 google
    • 67. Seo J. S. (2010) Socio-Demographic Variables, Marriage Background, and Couple's Communication and Marital Conflict Related to Korean Male's Marital Satisfaction in International Marriage Context. google
    • 68. Shin J. H. (2009) The Effects of Familial and Emotion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Marriage Migrant Women on Marital Aejustment. google
    • 69. Shin S. J., Chung M. J. (1997)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google
    • 70. Suk J. E.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ong effect of schema. google
    • 71. Teti P. H. (1991) Parental attitudes. [Journal Genetic Psychology] Vol.144 P.105-113 google
    • 72. Volling B. L., Nataro P. C., Larsen J. J. (1998) Adult attachment styles: Relations with emotional well-being, Marriage, and parenting. [Family Relations] Vol.47 P.55-367 google cross ref
    • 73. Yang J. S. (2004)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Marital Intimacy, Self-Esteem and Family-of-Origin’s Health. google
    • 74. Yoo E. H., Park S. Y. (1991) Research :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Attachment and Autonomy as Related to Young Adults' Marital Satisfac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29 P.139-158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 [ <Table 2> ]  Results of Difference Analyses in Major Variables
      Results of Difference Analyses in Major Variables
    • [ <Table 3> ]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es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es
    • [ <Table 4> ]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