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노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Ambivalence of Adult Children toward Their Aged Parents
ABSTRACT

This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d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The subjects were 552 adult children,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liabilit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the elderly's ambivalence of their adult children was 8.22(median: 15.5). The mean value in the importance of aged parents showed to be 2.22(median: 2). Meanwhile, the average of adult children's depression was 21.3(median: 30). The overall role importance of adult children wa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of 3. 2) The elderly's ambivalence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ouse, the relationship with the old parents, depression, the health condition of the old parents, the role importance of the worker, the importance of old parents, the economic status of the old parents, the role importance of the spouse, the economic status of the adult children, the monthly living expenses, the role importance of the parents, children, and face-to-face contact. 3)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elderly's ambivalence level were the importance of the old parents, the role importance of the parents, the economic status of the old parents, educa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old parents, the spouse, the health condition of the old parents, the health condition of the adult children, telephone contact, religion, face-to-face contact, the role importance of the spouse, and the economic status of the adult children, which explained about 45% of the total variance.

KEYWORD
성인자녀 , 노부모 , 양가감정 , 영향 요인
  • Ⅰ. 서론

    평균수명의 연장은 인간이 가장 바라는 염원이었지만 실제 전체 인구에서 노인인구가 치지하는 절대적 비중이 커진 오늘날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류사회에 도전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즉 인구의 고령화는 경제성장, 투자, 소비, 노동시장, 연금, 세금 및 세대 간의 관계 등 우리생활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노인세대는 물론 미래의 노인을 위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정서적, 의료적 지원 등 사회 전반적인 관심과 준비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노인을 부양하는 비용 측면에서의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2006년 통계청의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 노인부양비는 13.2%로 나타났으며 노인 한명을 부양하는데 필요한 생산가능 인구는 7.6명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의 고령화 속도에 의하면 2020년에는 4.7명, 2030년에는 2.8명, 2050년에는 1.5명이 부양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사실은 가족과 더 나아가 국가가 행해야 하는 노인부양에 어려움을 절감하게 되며 또한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25].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가족에 의해 노부모 부양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사회의 변화에 따른 가족구조와 가치관 및 의식의 변화는 노부모 부양을 가족이 부담하기보다는 사회로 이양하거나 자기 스스로 해결하기 바라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재정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국가는 노인부양에 대한 사회적인 대책이 부족하고 이를 여전히 가족에게 맡기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노후를 스스로 준비하고 이를 해결해야 하는 노부모 입장에서는 그 동안 노후준비를 할 수 있는 제반 여건이 조성되지 않아 우리나라 노인의 과반수 이상은 노후준비를 못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와 같이 노인부양을 위한 사회적인 대책은 여전히 미미하여 노부모부양은 여전히 가족이 안고 있으며 또한 전통적인 가족관계나 사회‧문화적인 제반 여건을 감안할 때 가족에 의한 부양체계는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자녀에 의한 돌봄과 부양이 보편화 되어있는 우리의 상황에서 노부모 부양은 이용가능한 자원과 관계의 친밀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가족원이 행하는 가족지원이 노부모의 자아정체감과 심리적 복지감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는 여러 연구결과[1, 21, 51, 62, 63]를볼 때 가족자원의 근간이 되는 성인자녀는 우리의 가족체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노부모-성인자녀 관계는 인간수명의 연장으로 관계기간이 그 어느 때보다도 길어지고 있다. 또한 과거 노년기의 부모-자녀관계가 의무적이었다면 요즈음은 자발적인 관계로 바뀌어지고 있으며 높은 삶의 질과 독립성을 추구하는 경제적으로나 신체적으로 건강한 노인들이 등장하고 있어 노부모-성인자녀 관계는 과거와 사뭇 다른 모습으로 변화를 맞고 있다. 예를 들면 이전에는 결혼한 성인자녀들이 노부모에게 규범적으로 예를 다하고 부양의 책임을 맡았다면 요즈음은 독립이 늦거나 경제적 기반이 약한 적은 수의 자녀에게 오히려 노부모가 도움을 주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과도기적 변화는 윤리와 규범의 혼재를 드러냄으로써 노부모 부양 및 노부모 복지에 심각성이 나타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이 부모-자녀 관계는 일생동안 서로 상호 간에 영향을 주고 받으며 도움과 의존이라는 역동적인 관계를 갖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자녀가 어릴 적에는 부모가 양육을 통해 자녀를 성장시키지만 자녀가 성년이 되고 부모가 노인이 되면 역할역전(role reversals)이 되면서 그동안 이루어져 온 도움과 의존의 균형은 뒤바뀌게 된다. 그런데 노부모-성인자녀 간에 만들어지는 상호성은 규범적 의무감에 의해 이루어지기 보다는 호혜성에 근거한 교환이 이루어질 때 갈등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8, 56, 57]. 그러나 만약 노부모-성인자녀 간에 교환이 호혜적이지 못하고 일방적인 의존과 도움이 이루어진다면 도움을 제공하는 편에서는 갈등, 긴장, 부담, 스트레스 등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되고 도움을 제공받는 편에서도 불편감, 죄의식, 걱정, 우울감 등을 가지게 된다. 특히 이러한 노부모-성인자녀 간에 나타나는 불편한 감정은 그 동안 부모-자녀관계로 맺어온 유대감과 서로 간 책임과 도리를 다한다는 규범의식, 그리고 책임을 다하지 못한다는 죄의식 등이 함께 동반한 복합적인 감정인 양가감정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부모-성인자녀 간에 나타날 수 있는 정서인 애정과 갈등이라는 단일감정보다는 이러한 정서가 혼재되어 나타나는 양가감정에 초점을 맞추고 노부모 부양여부와 관계없이 일상생활을 함께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을 알아보고 더 나아가 양가감정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노부모에 대해 성인자녀가 가질 수 있는 양가감정을 줄여 더 나은 부모-자녀 관계를 도모할 수 있고 노년기 노인들의 삶의 질과 더불어 노부모와 함께 생활해 가는 성인자녀의 심리적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자녀가 인지하는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 관계의 중요도, 우울감, 역할의 중요도는 어떠한가 ?

    둘째, 성인자녀가 인지하는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은 제 변인(성인자녀와 노부모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그들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

    셋째, 성인자녀가 인지하는 양가감정에 대한 제 변인(성인자녀와 노부모의 특성)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

    Ⅱ. 이론적 배경

       1. 노부모-성인자녀 관계와 양가감정(ambivalence)

    부모-자녀 관계는 일방이 사망하게 됨으로써 관계가 종결되는 인간발달 과정에서 가장 길게 지속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더구나 인간의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관계 지속기간은 예전에 비해 더욱 길어지고 있는데 그들 간의 관계의 질은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의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한다. 그 중에서도 노부모-성인자녀 관계는 한 가족의 발전적 생활주기에서 파생해 나가는 새 가족의 시작으로서 심리적 문제를 내포한 인간관계의 재조정 단계이다[31].

    가장 먼저 노년사회학에서 주장한 노부모-성인자녀 관계에 대한 패러다임은 결속(애정)-갈등 model인데 결속-갈등 모델은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관계를 양극화된 감정 또는 인식으로 판단하여 응집과 갈등의 정도로 노년기 부모-자녀 관계와 그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Luescher와 Pillemer[38]등 비평이론가들은 실제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그리고 심리적인 모순으로 어떤 단일한 감정이 나타나기보다는 긍정과 부정적인 정서가 함께 혼합된 복잡한 양가감정이 일어난다고 하면서 양가감정 model을 소개하였다.

    이와 같이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여러 연구의 흐름에 있어 가장 먼저 소개되었던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결속에 관한 국내‧외 초기의 연구는 주로 측정하기가 간편한 서비스의 교환, 접촉의 빈도, 도움의 양 등 외현적이고 가시적인 가족생활의 객관적 유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즉상호작용의 양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고 노부모의 생활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애정, 친밀감의 정도 등 상호작용의 질적인 측면인 주관적 유대에 관해서는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세대 간에 갖는 애정적 유대는 노부모-성인자녀 양자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자녀와의 애정, 일치, 의무감 등의 관계의 질은 노부모의 건강과 심리적 복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애정적 친밀감은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상호작용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결속가족에서는 가족이 잠재적으로 노부모 부양의 자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리적 이동에도 불구하고 상호 빈번한 접촉을 한다고 하였다. 또한 접촉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세대 간의 긍정적인 감정의 수준이 높아 친밀하다고 하였으며 전반적인 가치와 사회‧정치적인 태도에 있어서는 부모-자녀 간에 높은 일치도를 보인다. 그리고 서로 간에 호혜적인 교환이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노부모가 성인자녀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을 원치 않지만 자녀로서의 의무감은 강하다고 하였다[5]. 이와 같이 부모와 자녀가 서로에 대한 존경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관계를 가질 때 부모-자녀 간 유대는 강화되고 친밀감이 많을수록 상호교류의 빈도가 높아진다. 연구들[5, 11, 44, 49, 60]에 의하면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성인자녀와 애정적 유대가 더욱 강하며 특히 어머니와 딸 간의 유대가 강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노부모와 거주지가 가깝고 접촉행위가 많을수록 애정적 유대는 커진다고 하였으나 Thompson과 Walker[56]에 의하면 모녀가 서로 비슷하게 도움을 주고 받는 호혜적 관계에서는 애정의 정도가 유사하나 비호혜적 관계에서는 가장 낮은 애정을 보인다고 하였다. 이렇듯 부모-자녀 간의 애정적 측면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는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객관적이고 비호혜적인 상호유대가 양자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로 인해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였다[3, 54]. 즉 노부모-성인자녀 간에 있어 일방적이고 객관적인 상호작용은 양자의 복지를 설명하는 적절한 요인이 되지 못하고 부모-자녀 간에 더욱 중요한 것은 상호작용의 주관적인 측면이라는 것이다[47].

    한편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갈등은 심리적 욕구나 가치관, 성격이나 의견, 가족 내 자원의 사용과 분배 등 관계의 제 측면에서 대립 내지 충동이 일어난다고 지각하는 심리적 불균형과 부조화를 의미한다. 특히 요즈음과 같이 급격한 사회변화는 부모가 지닌 전통적 가치관과 자녀세대의 미래지향적인 사고가 일치할 수 없어 경우에 따라서는 반목과 갈등을 야기한다. 또한 부모의 노년기로의 진입은 경제력과 건강의 감퇴를 가져오기 때문에 성인자녀에 대한 기대와 의존은 부양자녀에게 부담감을 갖게 하고 결국 노부모와 성인자녀 간에 갖는 역할의 전이에서 비롯된 갈등이 나타난다. 하지만 Bengtson 등[4]은 가족 간에 일어나는 갈등은 인간 삶의 자연스러운 부분이고 노화(aging)를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로 갈등적 관계를 조망하였다.

    갈등은 세대 간에 적용되는 교환이론에 의해서도 설명이 되고 있는데 교환이론의 주된 개념이 자신이 지불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보상이 극대화되는 관점에서 인간관계를 선택한다는 것을 볼 때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갈등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즉, 역할에서 오는 결과나 보상은 주어지거나 고정되거나 미리 정해진 것도 아니고 협상에 따라 유동적이며 변화하는데[10] 이러한 관계 내에서의 호혜성 부족은 불공평하며 불균형된 교환과 갈등을 일으킨다.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갈등의 원인에 대해서는 Simos[48]는 노부모가 성인자녀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며 매사에 개입하고 간섭할 때 갈등이 생기고 현재 도움을 주고 있는 자녀에게 지나친 훈계나 충고를 고집하기 때문에 관계가 악화된다고 하였다. Suitor와 Pillemer[53]는 노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성인 자녀를 대상으로 2년에 걸친 종단적 연구를 통해 노부모의 건강이 좋지 않고, 노부모가 자녀에게 의존하며, 노부모와 성인자녀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르고 한쪽의 배우자가 부재할 때, 자녀의 나이가 적은 경우, 어머니-딸, 어머니-아들 관계가 아버지와 아들 관계보다 갈등은 많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노부모와 동거하는 성인자녀는 노부모부양으로 인해 자유롭게 외출하기 어렵고 따라서 생활상의 계획과 사생활에 대한 제약이 일어나며 이러한 부담은 노부모 및 다른 가족원 간의 관계에 영향을 주어 갈등이 확산되기도 한다[35].

    한편 연구를 통해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관계를 양가적 관계라고 실증적으로 소개한 Walker 등[59]은 모녀를 대상으로 한 관계연구에서 그들 간에는 호혜적인 교환에서 비호혜적인 교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계가 형성됨을 제시하였다. 크게 분류된 3가지 관계형태는 애정적 관계, 갈등적 관계, 양가적 관계로 나타났는데 애정적 관계는 호혜적이고 서로 간에 상호성을 갖는 모녀관계로 이들은 서로를 동등하게 지각하고 갈등도 적으며 갈등이 있다 하더라도 빨리 해결되며 서로에게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비호혜적인 교환을 통해 이루어진 모녀관계는 갈등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이들은 적은 보상과 많은 비용으로 빈번한 갈등을 경험하고 상대방에 대한 배려보다는 자기중심적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그 연속체 상에서 중간에 위치한 양가적 관계는 주로 노모가 성인 딸에게 보상을 기대하는 측면이 더 많은 상호성이 결여되고 애정과 갈등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관계이다. 다시 말해 양가적 관계는 서로 간에 비호혜적인 교환으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만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그 동안 부모-자녀 관계로 맺어온 유대감과 더불어 서로 간 책임과 도리를 다한다는 긍정적 정서가 함께 동반하여 나타나는 데[17, 61] 한가지의 감정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더 많은 부담 및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양가감정에 대한 초기 연구자들이었던 정신분석학자들은 양가감정은 인간이 한 시점에서 서로 상충되는 것을 원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만족을 경험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를 경험하는 개인의 욕구는 성인으로서 느끼는 욕구인 동시에 어린아이가 느끼는 욕구이기도 하고, 남성적인 것인 동시에 여성적인 것이기도 하며,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것인 동시에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의미에서 Bleuler[7]는 양가감정(ambivalence)을 ‘심리적으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동기나 목적이 대립하는 상황’을 의미하는 갈등과는 다른 개념으로 한 가지 상황에서 동시에 긍정적인 지시, 부정적인 지시 둘 다를 갖는 정신활동 경향‘이라고 하였다.

    다시 말해 양가감정은 양면가치라고도 부르며 애정과 증오, 존경과 경멸 등 동일대상에 대해 정반대의 감정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뜻한다[17, 18, 26, 32, 37]. 즉, 어떤 동일대상에 대한 모순된 상반된 감정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며 이 감정은 서로 모순되면서도 팽팽하게 맞서기 때문에 두 가지 모두를 충족시키기가 힘들다. 그 이유는 어느 한 감정을 포기해야 갈등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그럴 수 없기 때문에 양가감정은 심한 스트레스와 긴장상태를 유도하게 된다는 것이다[34].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를 한 Novak와 Guest[40]는 부양부담에 있어 가장 힘든 것은 노부모에 대한 부정적 느낌과 더불어 이러한 자신의 감정이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느끼는 ‘자식으로서의 도리와 책임’에 대한 죄책감, 또한 어렸을 때 부모가 베풀어 준 은혜에 대해 자신을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감정이 혼재되어 나타날 때 더욱 스트레스를 갖게 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자녀의 입장에서 본 양가감정의 발생은 노부모 부양에 따른 의무감에 수반되는 요구가 과다한 부담으로 작용할 때 나타나며 이러한 감정은 노부모와의 관계에서 긴장과 갈등을 초래하며 자기 만족과 가치감을 얻는 긍정적인 결과보다는 전반적으로 잠재된 부정적인 결과를 낳게 된다[46, 50].

    이와 같이 양가감정은 자기 가치, 도덕성 또는 사랑받을 만함에 대한 자신의 신념이 대립되기 때문에 이는 강박적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주어 심리적인 부적응을 초래하고[19, 27] 더 나아가 신체적 문제를 일으키며 이 정도가 심할수록 삶에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한다[14, 23, 24]. 많은 학자들[12, 18, 22, 28, 37]은 성인자녀의 양가감정 발생이 성인자녀는 물론 은연중에 상대방에게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노부모의 삶의 질을 매우 낮게 하는 원인이 된다고 하면서 양가감정과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 있다.

       2. 양가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가감정은 서로 상반되는 가치를 지닌 감정들이 마음 안에서 갈등하고 있는 형태로서 성인자녀가 노부모에 대해 갖는 양가감정은 애정과 갈등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애정과 증오, 존경과 경멸 등 동일대상에 대해 정반대의 감정이 동시에 나타나는데 어느 한 감정을 포기해야 갈등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그럴 수 없어 서로 모순되면서도 팽팽하게 맞서기 때문에 심한 스트레스와 긴장상태를 유도하게 된다.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양가감정은 개인마다 다양한데 정서표현에 있어 양가감정을 연구한 Emmons와 Colby[14]는 정서표현에 갈등을 느끼는 사람은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어서 타인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감정과 의사소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공감이나 사회적 지지를 덜받는다고 하면서 이러한 정서표현의 양가성은 심리적, 신체적인 문제, 대인관계, 부모의 양육태도가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양가감정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양가감정을 갖는다고 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는데[12, 61, 58]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기쁨과 슬픔, 분노, 공포 등 더 강렬한 정서를 체험하고 어머니나 딸이 아버지나 아들보다 가족 간의 접촉이나 의사소통에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성들은 가족들에 대해 헌신적인 돌봄과 의무감 또는 다른 사회적 요구를 갖기 때문인데 이와 같이 성과 관련된 사회구조적 요인이 여성에게 더 강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머니들은 자녀와의 유대에 더 민감하고 성인자녀들도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에 대해 더 친밀한 감정을 갖는다고 하였다. Fingerman 등[16]도 친밀하지 않은 사람보다 친밀한 사람에게 오히려 더 많은 양가감정을 가지며 다양한 역할에 많은 양의 에너지를 투입해야 하는 사람들 역시 그들 부모나 자녀에 대해 더 많은 양의 양가감정을 갖는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자녀와 가정 내 역할에 충실하면서 그로 인한 스트레스가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성인자녀인 아들과 딸을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17, 18, 41, 61]에서는 부모에 대해 갖는 양가감정이 성별에 의한 아들과 딸 간에는 차이가 없다고 밝히기도 하였다.

    또한 양가감정은 경험하는 사람의 연령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데 Diener 등[13]은 연구를 통해 20-39세의 자녀세대가 50-58세 부모세대보다 더 강한 양가감정의 정서를 체험한다고 하였다[17, 24].

    한편 가족과 사회구조에 따른 규범, 태도, 신념, 또는 모순된 기대가 양가감정을 낳는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개인적 특성인 부모 또는 자녀가 갖는 개인적 소양인 신경증, 우울증 등과 같은 부정적이고 민감한 정서상태가 관계 경험에 더 민감하여 양가감정을 낳는다고 연구들[9, 17, 18, 20, 14, 45]은 지적한다. 왜냐하면 양가감정이 정서의 조절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재정적으로 의존하는 성인자녀에 대해 양가감정이 높아진다는 Pillemer와 Suitor[41]의 연구결과와 같이 경제상태가 양가감정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노부모의 건강여부는 성인자녀의 양가감정과 매우 높게 관련되어 있어[18, 61] 건강하지 않은 노부모를 부양하는 성인자녀들이 많은 양의 양가감정을 갖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미국인이 유럽인보다 양가감정의 더 많이 경험하며 도시보다는 아직도 전통이 잔존해 있는 시골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그리고 개인주의보다는 집단주의를 표방하는 문화에서 더 많은 양가감정을 갖는 것으로 보아 인종, 지역, 문화, 거주지역에 의해 양가감정 수준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12, 17, 39, 52, 61].

    Jung과 Dayton[26]은 세대 간에 갖게 되는 양가감정에 대한 widowhood 효과에 관한 연구에서 양가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노년기에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가져다 주는 삶의 전이사건인 배우자의 상실을 들고 있다. 그렇지만 배우자 상실을 경험하는 초기가 후기보다 양가감정이 높고 그 이후에는 widow의 삶에 적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가감정은 줄어든다고 하여 홀로 된 시점의 영향에 대해서도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이 홀로 됨 초기에 양가감정이 높은 이유는 부모가 홀로 됨으로써 부모-자녀 간의 관계에서 새롭게 협상이 요구되고 더구나 그 관계에서 호혜성의 균형이 깨질 때 더 많은 양가감정을 낳는다는 것이다[41, 54]. 배우자의 상실은 자녀의 도움을 더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부모에 대한 도움의 정도는 양가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61, 58]되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자녀에게 더 많은 지지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이외에도 접촉빈도[12], 자녀수와 가족크기[15, 17], 직업유무[17], 종교[61] 등이 양가감정과 관련된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존경하는 사람이 자신을 실망시키거나 상대방이 자신보다 관계에 덜 투자할때 양가감정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결국 성인자녀가 노부모에 대해 갖는 양가감정의 가장 근원이 되는 요인은 의존감과 비호혜성으로서 노부모의 의존은 성인자녀의 자율성을 방해하고 부담을 증가시킨다.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남 동부지역의 K, S, Y 시에 거주하는 노부모가 생존해 계시는 기혼 성인남녀이다. 조사기간은 2013년 5월 6일부터 6월 8일까지이며 본 연구를 위한 조사원은 연구자의 수업을 듣는 대학원생과 학부생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자료의 수집은 사전 교육을 받은 조사원들이 연구의 의도에 적합한 연구대상자를 임의 표집하였으며 조사원으로부터 설명을 듣고 조사대상자가 자기보고식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총 600부를 배부하였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하여 자료로써 충분하지 못한 48부를 제외한 총 552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2. 조사도구

    성인자녀가 인지하는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는 구조화된 질문지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질문지는 조사대상자인 성인자녀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는 문항, 성인자녀가 수행해 오고 있는 역할에 대한 중요도, 성인자녀의 우울감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 성인 자녀의 양가감정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 등 총 4부분으로 구성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노부모-성인자녀 관계, 연령, 형제자매 수, 교육수준, 은퇴이전 직업, 종교, 배우자의 유‧무, 거주형태, 건강상태, 월 생활비, 경제상태, 노부모와의 접촉상태(전화 또는 이메일, 직접 만남), 노부모의 중요도, 노부모의 건강상태, 노부모의 경제상태 등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 역할에 대한 중요도 척도

    역할의 중요도는 성인자녀가 가정 내‧외에서 행하고 있는 부모 역할, 배우자 역할, 직업인으로서 역할에 대해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를 각각 알아보는 것으로서 중요도가 가장 높음(5점)에서 중요도가 가장 낮음(1점)까지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역할에 대한 중요도 척도의 신뢰도 계수 Cronbach α는 .68 이었다.

    3) 우울감 척도

    본 연구에 사용된 우울감 척도는 Radloff[42]가 개발한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를 Liang 등[36]이 재검토한 것을 사용하였다. Radloff의 우울감 척도는 5개 차원으로 이루어진 20문항으로 구성되었는데 Liang 등[36]은 이중 3개 차원의 12문항을 추출하였는데 본조사에서는 이중 문항 간의 상관관계가 낮은 2문항을 제외한 10문항을 가지고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평소에 느끼는 정도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에 1점부터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5점 Likert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우울감 척도의 신뢰도 계수 Cronbach α는 .91 이었다.

    4) 양가감정 척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양가감정 척도는 Fingerman 등[18]이 연구에서 사용한 양가감정 척도를 우리의 노부모-성인자녀 관계에 맞게 수정‧보완한 14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양가감정은 자신의 친부모와의 관계를 동‧별거와 상관없이 물었는데 ‘나는 아버지/어머니를 이해한다’, ‘나는 아버지/어머 니와 협조적이고 사이가 좋다’ 등 긍정적 질문 7문항과 ‘나는 아버지/어머니의 생각이 나와 다르다고 생각한다’, ‘나는 아버지/어머니가 일처리를 제대로 못한다고 생각한다’ 등 7문항은 부정적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매우 그렇다’에 5점, ‘대체로 그렇다’에 4점, ‘보통이다’에 3점, ‘별로 그렇지 않다’ 에 2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 1점을 부여한 5점 Likert 척도로 측정되었는데 성인자녀가 갖는 양가감정은 Griffin의 양가감정 산정공식을 적용하여 점수를 산정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에 사용된 Griffin의 양가감정 산정공식이다.

    Griffin의 양가감정 산정 공식: (Positive + Negative)/2 - [Positive - Negative] +1.5

    공식을 통해 노부모에 대해 긍정적 감정을 묻는 7문항과 부정적 감정을 묻는 7문항이 동시에 가장 높은 점수로 존재하는 36.5점을 양가감정이 가장 높다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어떤 한쪽의 감정이 가장 높은 점수로 7문항 전체가 존재하고 앞선 감정과 다른 감정이 가장 낮은 점수로 7문항이 존재할 때 얻게 되는 -5.5점을 가장 낮은 양가감정을 낳는다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양가감정 척도의 신뢰도 계수 Cronbach α는 .76 이었다.

       3.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SAS Package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는데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인 성인자녀의 양가감정, 관계의 중요도, 우울증의 정도, 역할의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인 성인자녀의 특성에 따른 양가감정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과 상관관계(correlation) 분석을 하였다.

    넷째, 성인자녀가 갖는 양가감정에 대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을 하였다.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다음 Table 1과 같다.

    [

    ]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labe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2.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 관계의 중요도, 우울증, 역할 중요도

    성인자녀가 갖는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 관계의 중요도, 우울증, 역할 중요도의 정도가 다음 Table 2에 나타나 있다. 표에서와 같이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의 정도는 8.22점(최대: 36.5점, 최소:-5.5점)으로 중앙값인 15.5점보다 낮아 조사대상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Fingerman 등[18]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노부모의 성인자녀에 대한 양가감정을 알아보았던 Lee[34]의 연구에서 노부모의 성인자녀에 대해 갖는 양가감정이 서구 노부모의 양가감정보다 높았다는 결과와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노부모가 성인자녀보다 양가감정을 더 많이 갖는 것은 자신의 노후를 준비하지 못할 정도로 모든 것을 자녀에게 바치며 기대감을 갖았지만 그 기대에 못 미치는 성인자녀에 대한 서운함과 열악한 노년의 삶이 양가감정으로 표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반대로 오늘날의 성인자녀는 개인주의적인 가치관과 더불어 노부모와 독립된 생활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부모에 대한 기대나 원망이 덜 한 것으로 보인다.

    [

    ] Ambivalence, Importance of Relation, Depression, Role Level of Offspring

    label

    Ambivalence, Importance of Relation, Depression, Role Level of Offspring

    성인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어머니-아들 간의 관계에서 양가감정이 가장 높고(평균 9.00점) 그 다음이 어머니-딸 간의 관계(평균 8.94점), 아버지-딸 간의 관계(평균 8.01점), 아버지-아들간 관계(평균 6.92점) 순이었다. 즉 노부모의 성별에서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높았으며 그 중 어머니-아들 간의 관계에서 양가감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버지-아들 간의 관계에서 양가감정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렇듯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양가감정이 더 높게 나타난 결과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데 그 이유는 여성이 남성보다 가족생활에서 자녀들과 접촉 또는 의사소통을 통한 돌보는 역할 등에서 더 밀접하게 연루되어 있기 때문이다[12, 17, 18, 61]. 그런데 서구에서는 딸들이 노부모 돌봄을 주로 담당하기 때문에 딸과 어머니 간에 양가감정이 높게 나타난다고 하는 결과에 반해 본 연구결과에서 어머니-아들 간에 양가감정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우리나라에서는 노부모부양은 아들이 주로 담당하며 특히 어머니들의 아들에 대해 거는 기대가 큰 한국사회가 갖는 남아선호사상이라는 사회문화가 빚어낸 결과로 보인다.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중요도에 있어서는 중요도 점수의 중앙치인 2점보다 높은 평균 2.22점을 나타내 중요도는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성인딸이 아버지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으며 성인아들의 어머니에 대한 중요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인 성인자녀가 갖고 있는 우울증의 정도는 평균 21.3점으로 중앙치인 30점보다 낮게 나타나 정신건강의 측면에서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3. 성인자녀와 노부모가 갖는 변인 특성에 따른 양가감정

    성인자녀와 노부모가 갖는 변인 특성에 따른 양가감정은 다음 Table 3과 같다. 표에서와 같이 성인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은 배우자 유‧무(F=4.28, p<.01), 노부모와의 관계(F=2.29, p<.05)에서 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 배우자가 없는 성인자녀가 배우자가 있는 성인자녀보다, 어머니-아들 그리고 어머니-딸 간의 관계가 그 이외의 관계보다 양가감정의 정도가 높았다.

    [

    ] Ambivalence by Background Variables

    label

    Ambivalence by Background Variables

    그리고 성인자녀의 우울증( r =.3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부모의 중요도( r = -.46, p<.001),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중요도( r = -.32, p<.001), 노부모의 경제상태( r = -.28, p<.001), 대면접촉( r = -.28, p<.001), 배우자로서의 역할 중요도( r = -.23, p<.001), 한달 생활비( r = -.22, p<.001), 성인자녀의 건강상태( r = -.17, p<.001), 부모로서의 역할 중요도( r = -.17, p<.001), 노부모의 건강상태( r = -.16, p<.001), 형제자매수( r = -.16, p<.001), 전화접촉( r = -.11, p<.0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의 우울증이 높을수록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은 높았으며 노부모에 대한 중요도가 낮을수록, 직업인으로서의 역할 중요도를 낮게 생각할수록, 노부모의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노부모와 얼굴을 보는 횟수가 적을수록, 배우자로서의 역할 중요도를 낮게 생각할수록, 성인자녀의 한달 생활비가 적을수록, 성인자녀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부모로서의 역할 중요도를 낮게 생각할수록, 노부모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형제자매수가 적을수록, 노부모와의 전화접촉이 적을수록 성인자녀가 인지하는 양가감정은 높았다.

    이러한 결과 가운데에서 배우자가 없는 성인자녀가 배우자가 있는 성인자녀보다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이 높았다는 연구결과는 비록 노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긴 하지만 사별을 통해 홀로 된 노인들이 자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기대에 못 미칠 때 양가감정이 높았다는 연구[26]와 일치한다. 배우자가 없는 성인자녀 역시 가정내‧외의 다중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그러한 상황에서 노부모에 대한 책임감까지 과중된다면 노부모에 대해 애정과 갈등의 혼합된 정서를 낳는 일은 당연한 것으로 해석할수 있다. 한편 우울증을 가진 성인자녀가 양가감정이 높았다는 본 연구결과는 양가감정이 우울증, 강박증, 신체화장애, 불안과 같은 심리적 문제와 관련이 깊다는 여러 선행연구 결과[9, 17, 18, 20, 14, 45]와 일치한다. 그리고 Lee[33]를 비롯한 여러 연구에서 노부모부양 스트레스를 가져오는 주된 요인이 노부모의 건강상태와 경제상태 그리고 정서‧사회적인 정신능력의 의존이며 이와 같이 노부모의 자녀에 대한 과다한 의존은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고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노부모의 건강상태, 경제상태가 좋지 않을 때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이 높아지고 있었다. 부모, 배우자,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생각할수록 양가감정이 낮아진다는 본 연구결과는 가정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여러 역할에 관심 정도가 높고 현재 자신의 삶에 대해 충실할 때 부정적인 정서인 양가감정이 희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노부모를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양가감정이 줄어든다는 본 연구결과는 선행연구 결과[16, 34]와 상반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조사대상이 다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노부모는 자녀를 중요한 대상으로 여길수록 자녀에 대한 기대감이 크기 때문에 양가감정이 높아지지만 성인자녀는 노부모를 중요한 대상으로 여길수록 양가감정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성인자녀의 형제‧자매수에 의해 양가감정정도가 다른 이유는 형제‧자매수에 의해 자녀 한사람에게 할당되는 의무의 정도가 적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노부모와의 대면접촉과 전화접촉이 적을수록 양가감정이 높아진다는 본 연구결과는 노부모-성인자녀 간에 이루어지는 유대감이 주관적이든 객관적이든 서로 간에 이루어지는 교환의 양이나 빈도에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접촉, 도움 등과 같은 객관적인 상호유대가 규범이나 의무감에서 이루어진다면 오히려 그들 간의 관계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오지만 성인자녀의 애정에 기초한 노부모와의 만남은 그들 양자의 복지에 더 중요하다고 한 여러 연구결과[2, 3, 6, 29]와 일치한다.

    그러나 선행연구들[13, 17, 24]에서 지적한 성인자녀의 연령, 교육수준, 경제상태는 본 연구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

       4. 성인자녀가 갖는 양가감정에 대한 제변인의 영향력

    성인자녀가 갖는 양가감정에 대한 여러 변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에 걸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단계 Ⅰ에서는 성인자녀의 배경변인을 투입하고 단계 Ⅱ에서는 단계 Ⅰ에 노부모변인을 투입하였으며 단계 Ⅲ에서는 단계 Ⅱ에 성인자녀가 갖는 소양변인을 투입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회귀진단 과정으로 잔차분석을 통한 Durbin-Watson 계수를 알아 본 결과 Durbin-Watson 계수가 모두 2에 근접하고 있어 잔차 간에 자기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0.00 < r < - 058로 선형관계가 존재하지 않았고 1.33 < VIF < 2.87의 범위로 VIF가 10이상일때 발생하게 되는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 Table 4에 제시되어 있다. 표에서와 같이 성인자녀의 배경변인만을 투입한 단계 Ⅰ에서는 성인자녀가 갖는 양가감정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은 총 32%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그 중노부모의 중요도(β= -.45), 종교(β= -.21), 노부모와의 관계(β= -.16)에서는 p<.001 수준에서, 자녀수(β = -.13)는 p<.01 수준에서, 대면접촉(β= -.10)에서는 p<.05 수준에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즉 노부모의 중요도가 적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어머니-아들 관계일수록, 형제‧자매수가 적을수록, 대면접촉이 적을수록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은 높았다.

    [

    ] Variables Influencing on Ambivalence

    label

    Variables Influencing on Ambivalence

    다음으로 노부모변인을 투입한 단계 Ⅱ에서는 노부모의 중요도(β= -.37), 노부모의 경제상태(β= -.31), 자녀수(β= -.17), 종교(β=.16), 교육수준(β= -.16)에서는 p<.001 수준에서, 대면접촉(β=.15), 부모와의 관계(β=.14), 전화접촉(β= -.10)에서는 p<.01 수준에서, 거주형태(β= -.10)에서는 p<.05 수준에서 총 36%의 영향력을 나타내어 전 단계에 비해 4%의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즉 노부모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을수록, 노부모의 경제상태가 나쁠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대면 접촉이 적을수록, 어머니-아들 관계일수록, 전화접촉이 많을수록 성인자녀가 갖는 양가감정은 높았다.

    마지막으로 단계 Ⅱ에 성인자녀가 갖는 소양변인을 투입한 단계 Ⅲ에서는 전체 변인이 갖는 영향력은 45%로 전 단계에 비해 9%가 상승하였다. 단계 Ⅲ에서는 노부모의 중요도(β= -.38), 부모로서의 역할 중요도(β= -.31), 노부모의 경제상태(β= -.27), 교육수준(β= -.25), 노부모와의 관계(β=.24), 배우자유‧무 (β=.19)에서는 p<.001 수준에서, 노부모의 건강상태(β= -.14), 성인자녀의 건강상태(β= -.13), 전화접촉(β = -.11), 종교(β=.11)에서는 p<.01 수준에서, 대면접촉(β= -.10), 배우자로서의 역할(β= -.10), 성인자녀의 경제상태(β= -.09)에서는 p<.05 수준에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즉 노부모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수록, 부모로서의 역할중요도를 낮게 인지할수록, 노부모의 경제상태가 나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어머니-아들관계일수록, 배우자가 없을수록,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전화접촉이 적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대면접촉이 적을수록, 배우자로서의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수록, 성인자 녀의 경제상태가 나쁠수록 성인자녀가 갖는 양가감정은 높았다.

    모든 변인을 투입한 마지막 단계에서 양가감정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인 노부모의 중요도는 부모-자녀 간 관계에 가장 중요한 것은 그들 간의 애정에 기초한 결속이라고 한 연구결과[8, 16, 17, 43, 55, 64]와 일치하는 것으로 노부모와의 관계가 어떤 규범이나 의무에 의해 이루어진다면 ‘가짜 친밀감‘을 가져올 뿐 이러한 상황에서 호혜성이 부족하게 되면 어느 일방이 양가감정 또는 스트레스를 가져온다. 또한 자신의 현재 역할 가운데 부모로서의 역할을 중요시하고 본인의 자녀들에게 충실히 부모역할을 하는 경우에 자신의 부모에 대해서 양가감정이 낮았다는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즉 자신이 부모로서의 최선을 다한다는 것은 그들 부모로부터 학습되어 온 것으로 자신도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성인으로서 성장했음을 인식하기 때문에 그들 부모에 대해서도 좀 더 헌신적이고 애정적인 마음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선행연구들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부양자의 과중한 책임은 노부모가 건강하지 못하고 경제적으로 의존적일 때 더욱 커지며 거기에다가 부양자인 성인자녀도 건강하지 못하고 경제적으로도 힘들 때 자녀로서의 의무감에 이러한 요구가 갈등을 일으키며 양가감정은 커진다고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접촉과 대면접촉이 적은 경우 양가감정이 높아짐은 노부모와의 친밀함이 접촉을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이러한 행위는 자식으로서의 규범이나 의무감에 의해서라기보다는 노부모에 대한 애정이 마음에서 우러나올 때 양가감정은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V.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노부모-성인자녀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들 관계에서 나타나는 혼란된 정서인 양가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자 한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남 동부지역의 K, S, Y 시에 거주하는 노부모가 생존해 계시는 총 552명의 성인남녀로서 조사기간은 2013년 5월 6일부터 6월 8일까지였으며 조사원들의 개별면접을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의 정도는 8.22점(최대: 36.5점, 최소:-5.5점)으로 중앙값인 15.5점보다 낮아 조사대상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어머니-아들 간의 관계에서 양가감정이 평균 9.00점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어머니-딸 간의 관계(평균 8.94점), 아버지-딸 간의 관계(평균 8.01점), 아버지-아들 간 관계(평균 6.92점) 순이었다.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중요도에 있어서는 중요도 점수의 중앙치인 2점보다 높은 평균 2.22점을 나타내 중요도는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성인딸이 아버지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으며 성인아들의 어머니에 대한 중요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인 성인자녀가 갖고 있는 우울증의 정도는 평균 21.3점으로 중앙치인 30점보다 낮게 나타나 정신건강의 측면에서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성인자녀가 생각하는 역할의 중요도에 있어서는 전체적인 점수에 있어서 평균 3.58점으로 중앙치인 3점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구체적인 역할에 있어서는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부모로서의 역할 그리고 마지막이 배우자로서의 역할을 꼽고 있었다. 관계에 따른 역할의 중요도에 있어서는 어머니와의 관계를 진술한 성인딸이 역할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답하고 있었으며 아버지와의 관계를 진술한 아들이 역할의 중요도를 가장 낮게 답하고 있었다.

    둘째,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은 배우자 유‧무, 노부모와의 관계에서 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 배우자가 없는 성인자녀가 배우자가 있는 성인자녀보다, 어머니-아들 그리고 어머니-딸 간의 관계가 그 이외의 관계보다 양가감정의 정도가 높았다. 그리고 성인자녀의 우울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부모의 건강상태, 직업인으로서의 역할 중요도, 노부모의 중요도, 노부모의 경제상태, 배우자로서의 역할 중요도, 성인자녀의 경제상태, 한 달생활비, 부모로서의 역할 중요도, 형제자매수, 대면접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의 우울증이 높을수록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은 높았으며 노부모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직업인으로서의 역할 중요도를 낮게 생각할수록, 노부모의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배우자로서의 역할 중요도를 낮게 생각할수록, 성인자녀의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형제자매수가 적을수록, 노부모와 대면접촉이 적을수록 성인자녀가 인지하는 양가감정은 높았다.

    셋째, 변인의 투입내용에 따라 3단계에 걸친 회귀분석의 결과 단계 Ⅰ에서는 성인자녀가 갖는 양가감정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은 총 32%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그 중 노부모의 중요도, 종교, 노부모와의 관계에서는 p<.001 수준에서, 자녀수는 p<.01 수준에서, 대면접촉에서는 p<.05 수준에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즉 노부모의 중요도가 적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어머니-아들 관계일수록, 형제‧자매수가 적을수록, 대면접촉이 적을수록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은 높았다.

    다음으로 노부모변인을 투입한 단계 Ⅱ에서는 노부모의 중요도, 노부모의 경제상태, 자녀수, 종교, 교육수준에서는 p<.001 수준에서, 대면접촉, 부모와의 관계, 전화접촉에서는 p<.01 수준에서, 거주형태에서는 p<.05 수준에서 총 36%의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즉 노부모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을수록, 노부모의 경제상태가 나쁠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대면접촉이 적을수록, 어머니-아들 관계일수록, 전화접촉이 많을수록 성인자녀가 갖는 양가감정은 많았다.

    마지막으로 성인자녀의 소양변인을 투입한 단계 Ⅲ에서는 전체 변인이 갖는 영향력은 45%로 전 단계에 비해 9%가 상승하였는데 노부모의 중요도, 부모로서의 역할 중요도, 노부모의 경제상태, 교육수준, 노부모와의 관계, 배우자유‧무에서는 p<.001 수준에서, 노부모의 건강상태, 성인자녀의 건강상태, 전화접촉, 종교에서는 p<.01 수준에서, 대면접촉, 배우자로서의 역할, 성인자녀의 경제상태에서는 p<.05 수준에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즉 노부모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수록, 부모로서의 역할중요도가 낮게 인지할수록, 노부모의 경제상태가 나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어머니-아들관계일수록, 배우자가 없을수록,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전화접촉이 많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대면접촉이 적을수록, 배우자로서의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수록, 성인자녀의 경제상태가 나쁠수록 성인자녀가 갖는 양가감정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결론과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자녀들은 노부모에 대해 양가감정을 가지고는 있었지만 매우 낮은 수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직계주의를 지향했던 가족구조 및 ‘효’를 사회적인 미덕으로 여겼던 우리의 전통적인 규범이 과거보다는 많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잔존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사회보장제도가 발달하지 못한 우리나라의 경우 노부모의 부양책임은 자식의 의무이자 도리로 여겨 노인생활의 기본욕구 충족에 필요한 자원의 원조는 가족에 의해 보장되었던 결과가 성인자녀로 하여금 부모부양을 자녀가 지녀야 할 기본적인 도덕감 내지는 윤리로 받아들이지 않았나 사료된다. 그리고 조사대상의 선정에 있어 자신의 친부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기 때문에 양가감정의 정도가 크지 않았다고 보인다. 본 연구결과에서 중앙치 이하의 낮은 수치로 양가감정이 조사되었지만 양가감정은 노부모나 성인자녀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천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된 양가감정의 극복에 대해서도 한 개인과 한 가족의 문제로 여기지 말고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고 발생이전의 예방적인 차원의 노력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먼저 예방차원의 방법에서는 젊은 세대가 노인과 노화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중‧고등학교 교육에서부터 노년학, 노인학, 노인복지학 등의 내용을 중요하게 다루고 평생교육적인 차원에서 시민대학, 지역사회교육관 등에서 노인관련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의 전통적인 미덕인 ‘효’의식의 고취를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차원에서 접근하여 노부모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이 성인자녀를 중심으로만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노부모를 대상으로 젊은 세대와 어울려 사는 방법 등을 다루는 교육도 병행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양가감정을 위해서는 노부모와의 관계개선이 필요한 기혼자녀들이 서로의 긴장과 부정적인 정서를 함께 나누고 해결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자조모임 또는 지지체계를 마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노부모를 부양하는 성인자녀의 고충을 들어주고 상담해 주는 전문적인 상담서비스, 부양정책개발 등 사회적인 서비스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은 어머니-아들 간의 관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어머니의 아들에 대한 중요도와 기대감이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과거로부터 어머니들이 아들에 대해 거는 기대가 크고 노부모부양에 대한 책임도 장남에게 일임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남아선호사상’과 같은 한국적 자녀 가치관을 낳기도 하였다. 하지만 사회의 변화에 따른 가족의 변화는 더 이상 노부모부양 책임이 장남에게보다는 모든 가족원 또는 국가로 이양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어머니와 아들 간에 나타나는 양가감정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가 노부모부양에 대한 책임감이 아직도 아들에게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면 그러한 고통과 규범을 경감할 수 있는 사회제도적인 보완책으로 노부모 부양자를 위한 면세혜택, 보조금 지급, 직업알선 등의 각종 혜택과 서비스의 후원으로 양가감정을 극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서구와 같이 정서적으로 노부모와 더 많은 친밀감을 갖는 딸의 역할이 노부모와의 관계에서 오히려 강조됨으로써 실제 부양의 책임을 아들과 함께 맡고 있는 며느리의 부담도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결과에서 성인자녀가 인지하는 양가감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노부모를 얼마나 소중하게 생각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하였다. 여러 연구들은 노부모의 과도한 의존이 성인자녀에게 부담을 가져오고 더 나아가 노부모에게 잘못 대하거나 물리적 학대까지 할 수 있다고 염려한다. 물론본 연구도 노인의 복지적 차원에서 성인자녀가 되도록 노부모에게 부정적 정서인 양가감정을 갖지 않거나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그 어떤 조건에서도 노부모와의 애정적 친밀감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어려움을 이겨내는 요인으로 보인다. 애정적 유대감이 생애 어느 시기에 일시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만큼 부모-자녀 관계의 애정적 유대가 성인자녀의 어린 시절부터 형성될수 있도록 부모교육, 가족생활교육, 생애교육 등이 이루어져 부모로서의 책임을 다할 때 그 자녀는 성장하여 양육에 대한 보답으로 노부모를 보살피는 행위로 자녀로서의 성숙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부모가 건강하지 못하고 경제적으로 의존할 때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에서 노인 스스로 노후에 갖는 자신의 생활에 대한 통제력으로 갖도록 준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생활하는데 여건이 부족한 노인들에게는 생활비 보조, 세금우대나 할인혜택, 가족수당과 노령연금의 지급 등 직‧간접적인 사회적 차원에서의 소득보장정책이 우선되어 노인들이 갖는 경제적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도 필요하며 현재 국가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치매노인을 위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 같은 국가정책은 그나마 노인건강이 여의치 못해 가족에게 의존하고 있었던 노인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좋은 정책으로 보인다.

    넷째,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이 부모로서의 역할과 배우자로서의 역할에 중요성을 두는 경우 양가감정이 낮았다는 점에서 가정 내 역할에 관심이 많고 충실한 경우 부모에 대한 부정적 정서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본인 스스로가 부모로서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고 자신의 자녀에게 최선을 다하는 만큼 부모님도 자신을 이렇게 성장시켰을 것이라고 여기는 마음과 배우자에게 충실한 생활을 통해 가정의 소중함을 함께 여기는 마음이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을 낮추는 것으로 해석해 볼 때 성인 자녀의 양가감정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모로부터 받는 가정교육의 중요성과 더불어 가정생활을 중요하게 여기는 마음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 성인자녀가 노부모를 소중하게 여기는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는 매우 바람직하다고 보인다. 노인들에 있어 성인자녀와의 관계는 단순한 인간관계를 떠나 그들의 생활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노년기 삶의 질에 중요한 자원이 된다. 따라서 가족의 지지를 많이 인지하는 노인일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는데 특히 가족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우리의 가족문화에서는 성인자녀의 영향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연구결과에서 노부모와의 전화접촉이나 직접 만나서 노부모의 얼굴을 뵙는 만남이 잦을수록 성인자녀의 양가감정이 낮아진다는 점을 때 노부모와 성인자녀가 외형상으로는 핵가족이지만 근거리에 거주하거나 한 울타리 내에 거주하면서 서로 자주 왕래하며 도움을 주고 받는 수정확대가족, 수정핵가족과 같은 거주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성인자녀가 갖는 정신병적인 소양인 우울증, 강박증, 신경증, 불안 등이 양가감정을 높이는 주요인으로 지적하고 있으나 본 연구결과에서는 영향력이 매우 낮아 영향변인에서 제외되었다. 그 이유는 본 연구대상인 성인자녀들의 우울증 정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 양가감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연구가 지적하듯이 정서상태의 혼란인 양가감정이 우울증의 결과일 수 있다는 사실은 부모-자녀 관계에 있어서도 정신건강의 중요함을 일깨워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성인자녀가 일상생활에서 친 노부모에서 가질 수 있는 양가감정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았다. 그런데 양가감정이 갖는 특성상 조건(예: 부양여부, 동거여부 등)의 통제가 있을 때 양가감정에 대한 영향요인을 더 명확히 찾을 수 있고 또한 되도록이면 성인자녀만을 대상으로 한 일방적인 조사보다는 노부모가 함께 pair로 참여하여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관계조사가 병행하여 이루어진다면 더 좋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는 전남 동부권에 위치한 도‧농 복합의 성격을 지닌 중소도시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적인 특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성인자녀가 노부모에 대해 갖는 양가감정을 알아봄으로써 세대 간에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감정의 격차를 줄임으로써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관계 향상을 도모하고 더 나아가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1. Antonucci T., Akiyama H. (1987) Social networks in adult life and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convoy model.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2 P.519-527 google
    • 2. Arling G. (1976) The elderly widow and her family, neighbors. and frien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38 P.757-768 google cross ref
    • 3. Beckman L. J. (1981) Effects of social interaction and children's relative inputs on older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1 P.1075-1086 google cross ref
    • 4. Bengtson V., Giarrusso R., Mabry B., Silverstein M. (2002) Solidarity, conflict and ambivalence: Complimentary or competing perspectives on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4 P.568-576 google cross ref
    • 5. Bengtson V. L., Mangen D. J., Landry P. H. (1984) The multi-generation family: Concepts and findings. In V. Garms-Homolova, E. M. Hoering & D. Schaeffer(Eds.).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google
    • 6. Blau Z. S. (1973) Old age in a ching society. google
    • 7. Bleuler E. (1950) The fundamental symptoms. Inf Bleuler E., Dementia Praecox or Group of Schizophenias. google
    • 8. Brody E. M. (1985) Parent care as a normative family stress. [The Gerontologist] Vol.25 P.19-29 google cross ref
    • 9. Carver C. S. (1997) Adult attachment and personality: Converging evidence and new measure.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3 P.865-883 google cross ref
    • 10. Cho B. E., Shin H. Y. (1992)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on qualit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d daughters/daughters-in-law and their elderly mothers/mothers-in-law.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12 P.83-98 google
    • 11. Cicirelli V. G. (1983) Adult children's attachment and helping behavior to elderly parents: A Path model.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5 P.815-825 google cross ref
    • 12. Connidis L. A., McMullin J. A. (2002) Ambivalence, family ties, and doing sociolog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4 P.594-602 google cross ref
    • 13. Diener E., Sandvik E., Larsen J. (1985) Age and sex effects for emotional intensity.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1 P.542-546 google cross ref
    • 14. Emmons R. A., Colby P. M. (1995)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8 P.947-959 google cross ref
    • 15. Fingerman K. L. (2001) Aging mothers and their adult daughter: A study in mixed emotion. google
    • 16. Fingerman K. L., Hay E., Birditt K. S. (2004) The best of ties, the worst of ties: Close, problematic, and ambivalence relationships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6 P.792-808 google cross ref
    • 17. Fingerman K. L., Chen P. C., Hay E., Cichy K. E., Lefkowitz E. S. (2006) Ambivalent reactions in the parent and offspring relationship. [Journal of Gerontology] Vol.61B P.152-160 google cross ref
    • 18. Fingeman K. L., Pitzer L., Lefkowitz E. S., Birditt. K. S., Mroczek D. (2008) Ambivallent relationship qualities between adults and their parents: Implications for the well-being of both parties.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Vol.63B P.362-371 google cross ref
    • 19. Guidano V., Liotti G. (1983) Cognitive progress and emotional disorders. google
    • 20. Gunthert K. C., Cohen L. H., Armeli S. (1999) The role neuroticism in daily stress and cop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7 P.1087-1100 google cross ref
    • 21. Han K. H., Hong J. K. (2000) Intergenernation social exchan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amily and Culture] Vol.12 P.55-80 google
    • 22. Hay E. L., Fingerman K. L., Lefkowitz E. S. (2007) The experience of worry in parent-adult children relationships. [Personal Relationships] Vol.14 P.605-622 google cross ref
    • 23. Heo S., Cho H. I. (2009) The relationship a self-consciousness and the mental-health.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Vol.11 P.229-252 google
    • 24. Hyoo J. H. (2000) The relationship of among ambivalent feeling, social support and psychology well-being. google
    • 25. Jeong O. B., Kim D. B., Jung S. W., Son W. H. (2012) Social welfare with the aged. google
    • 26. Jung H. H., Dayton B. I. (2008) The Effect of widowhood on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 Vol.43B P.S49-S58 google
    • 27. Jung S. H. (2010) A relationship on ambivalence adult attachment and decision-making style among university student. google
    • 28. Kenny D. A., Cook W. (1999) Parter effects in relationship research: Conceptual issues, analytic difficulties, and illustrations. [Personal Relationships] Vol.6 P.433-448 google cross ref
    • 29. Larson R., Mannell R., Zuzanek J. (1986) Daily well-being of older adults with friends and family. [Psychology and Aging] Vol.12 P.117-126 google cross ref
    • 30. Lee G, R., Netzer J. K., Coward R.T. (1995) Depression among older parents: The Role of intergrnerational exchang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7 P.823-833 google cross ref
    • 31. Lee H. J. (1989) The family and society. google
    • 32. Lee S. M., Oh K. J. (2006) The Effects of emotional awareness defici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expressivity on psychological maladaptation of middle-aged, marri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5 P.113-128 google
    • 33. Lee S. S. (1994) A study on the care-giving stress of married daughters. -on solidarity with aged mother-. google
    • 34. Lee S. S. (2013) A study on ambivalence of elderly parents toward their adults childr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2 P.633-647 google cross ref
    • 35. Lerner M. J. (1991) Adult children as caregivers: Egocentric biases in judgements of sibling contributions. [The Gerontologist] Vol.31 P.746-755 google cross ref
    • 36. Liang J., Van T., Krause N., Markides K. S. (1989)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the CES-D scale in Mexican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Vol.44 P.S110-120 google cross ref
    • 37. Lowenstein A. (2007) Solidarity-conflict and ambivalence: Testing two conceptual frameworks and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for older family member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2B P.S100-S107 google cross ref
    • 38. Luescher K., Pillmer K. (1998)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parent-child relations in later lif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0 P.413-425 google cross ref
    • 39. Matsumoto D. (1990)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display rules. [Motivation and Emotion] Vol.14 P.195-214 google cross ref
    • 40. Novak M., Guest C. (1989) Application of a multidimens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The Gerontologist] Vol.29 P.798-803 google cross ref
    • 41. Pillemer K., Suitor J. J. (2002) Explaining mothers' ambivalence toward their adult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4 P.602-613 google cross ref
    • 42.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P.385-401 google cross ref
    • 43. Robinson B. (1983) Validation of a caregiver strain index. [Journal of Gerontology] Vol.38 P.344-348 google cross ref
    • 44. Rossi A. S., Rossi P. H. (1990) Of human bonding: Parent-child relations across the life course. google
    • 45. Rusbult C. E., Van Lange P. A. M. (2003) Interdependence,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4 P.351-375 google cross ref
    • 46. Seelbach W. C. (1978) Correlates of aged parents'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and realizations. [The Family Coordinator] Vol.27 P.341-350 google cross ref
    • 47. Shanas E. (1980) Older people and their families the new pionee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2 P.9-18 google cross ref
    • 48. Simos B. G. (1973) Adult children and their aging parents. [Social Work] Vol.18 P.75-85 google
    • 49. Song H. A. (1993) A study on the stress perceived by daughters-in-law of parents-in-law caregiving. google
    • 50. Stehn M., Wilson F. R. (2012) Ambivalence: The tension between 'yes' and 'no'. [Journal of Creativity in Mental Health] Vol.7 P.153-164 google cross ref
    • 51. Stoller E. P. (1985) Exchange patterns in the informal support networks of the elderly: The impact of reciprocity on moral. [Journal of Marriage & the Family] Vol.47 P.335-342 google cross ref
    • 52. Suh E. M. (1994) Emotion norms, salues, famili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 cross-cultural examination. google
    • 53. Suitor J. J., Pillemer K. (1988) Explain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 when adult children and elderly parents lives togethe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0 P.1037-1047 google cross ref
    • 54. Talbott M. M. (1990) The negative side of relationship between older widows and their adults children : The mothers' perspective. [The Gerontologist] Vol.30 P.595-603 google cross ref
    • 55. Thompson E., Doll W. (1982) The burden of families coping with the mental ill: An invisible crisis. [Family Relations] Vol.31 P.379-388 google cross ref
    • 56. Thompson E., Walker A. T. (1984) Mother and daughters: Aid patterns and elderly parents: A Path model.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6 P.313-322 google cross ref
    • 57. Uhlenberg P., Cooney T. M. (1990) Family size and mother-child relations in later life. [The Gerontologist] Vol.30 P.618-625 google cross ref
    • 58. Umberson D. (1992) Relationship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 Psychology consequences for both gener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4 P.664-674 google cross ref
    • 59. Walker A. J., Pratt C. C., Martell L. K., Martin S. S. K. (1991) Perception of aid and actual aid in intergenerational caregiving. [Family Relations] Vol.40 P.318-323 google cross ref
    • 60. Whitbeck L. B., Simons R. L., Conger R. D. (1991) The effect of early family relationships on contemporary relationships and assistance patterns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Gerontology] Vol.46 P.330-337 google cross ref
    • 61. Willson A. E., Shuey K. M., Elder G. H. (2003)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of adult children to aging parents and in-law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5 P.1055-1072 google cross ref
    • 62. Yoon H. S. (2003) The impact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paren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3 P.15-28 google
    • 63. Yu E. S.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self-identity. google
    • 64. Zarit S. H., Todd P. A., Zarit J. M. (1986) Subjective burden of husbands and wives a caregivers: A longitudinal study. [The Gerontologist] Vol.26 P.260-266 google cross ref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 [ <Table 2> ]  Ambivalence, Importance of Relation, Depression, Role Level of Offspring
      Ambivalence, Importance of Relation, Depression, Role Level of Offspring
    • [ <Table 3> ]  Ambivalence by Background Variables
      Ambivalence by Background Variables
    • [ <Table 4> ]  Variables Influencing on Ambivalence
      Variables Influencing on Ambiva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