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책무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evaluation in terms of accountability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책무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kindergarten evaluation in terms of accountability,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improvement of kindergarten evaluation. For this direction,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455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for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do province and near th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overall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evalua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the purpose of kindergarten evaluation as ‘enhance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expertise and provision of opportunity for working hard.‘ For effec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they chose ‘provision of evaluation system assessing educational practice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teachers also perceived ‘educational planning’ as a judgment criterion of kindergarten accountability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y highly agreed with the role of teachers as primary contributor to kindergarten evaluation.

Second, in perception about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in kindergarten evaluation index, teacher was perceived as a key evaluation person for ‘educational goals and plann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evaluation implementation’, ‘young children’s health management and guidance’, and ‘young children’s development’. Kindergarten director was perceived as a key person in ‘in/outdoor educational environment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nd ‘furnishment/provision of educational materials’, ‘kindergarten staffs’ personnel welfare and expertise’, ‘budget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nd ‘networking between family and community as well as extra-curriculum management’. Parent was chosen as a key person for ‘education satisfaction’.

Third, for opening of the resul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they highly disagreed with open to the public. The reason was found that they concerned about the main direction of evaluation could be changed to a show to the public. For the public offering, in terms of target and range of evaluation results, ‘open the results to the kindergarten staffs only who took evaluation’ was perceived high priority. For the opening methods, ‘pass/fail and opening of kindergartens’ strength and weak points includ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ere highly agreed. In terms of utilization methods of evaluation results, a strong consensus was on ‘evaluated kindergartens utilize autonomically the results as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s quality’. For opening of the results after categorization of kindergartens by local conditions were marginally agreed. The primary reason was that it is fair to open the evaluation results after categorizing kindergartens in terms of local/starting conditions. Opening path and main conten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opening were chosen as ‘kindergarten homepage’ and ‘curriculum’ respectively. The impact of public offering on parents’ selection of kindergarten was also investigated. The teachers highly agreed with ‘positive impact’ of kindergarten evaluation on parents’ selection. They also agreed with impact of kindergarten evaluation on selection of kindergarten through their job hunting process.

KEYWORD
책무성 , 유치원 평가 , 유아교사
  • Ⅰ. 서 론

    유치원을 책무성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것은 유아교육의 질을 공적 시스템의 일환으로 이해하고 그 질을 관리함에 있어서도 학부모의 선택권, 참여권, 요구권을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뜻이다(조석훈, 2010). 이는 유치원 교육이 더 이상 사적 영역이 아닌 공적 맥락에서 다루어짐을 의미하며 최근 들어 무상교육 확대나 누리과정 시행 등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손순복, 권경숙, 2012). 즉, 이제 유치원 교육의 계획과 실행은 책무성 시스템 안으로 들어오게 되었고 유치원 평가는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점검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그 결과, 유치원 평가를 통해 교육수요자의 입장을 중요하게 다룸은 물론 그 성과에 대한 점검과 공유까지도 고려하는 상황으로 발전하였다.

    유아교육에서 책무성을 말하면서 특히 공적 자금이 투여된 프로그램의 성과를 논하는 것은 저소득층 유아가정 대상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을 국가적으로 시행한 미국의 Head Start정책으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이후 교육에 대한 다양한 공적지원 및 그 성과 공유에 대한 노력은 최근까지 이어져 ‘No Child Left Behind’ 정책으로까지 이어져 왔는데 이 과정에서 책무성에 대한 강조와 압박의 수위는 더 높아졌다(Bullough, Hall-Kenyon, & MacKay, 2012). 적어도 국민의 세금이 활용되는 프로그램이라면 예외없이 책무성 시스템의 틀 속에서 다루어졌고 지금도 그러한 정책기조에는 변함이 없다.

    이러한 책무성 관점의 질관리 시스템이 미국에서 작동할 수 있었던 것은 이미 1965년에 ESEA(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법령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소위 “1달러 사용했으면 1달러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라”는 미국식 정책집행의 아이디어를 그대로 반영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단순히 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경제적 가치마저 추구한다는 관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국민과의 교육가치 공유라는 맥락이 담겨져 있기에 이에 준하는 노력 또한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유아를 대상으로 한 교육임에도 불구하고 국가적인 차원의 다양한 교육적 표준이 설정되고 교사나 프로그램 실행자들은 이에 따른 노력을 경주하게 되었다. 그 결과 학습준비도 향상과 같은 전통적인 학업관련 기능을 강조하는 기조가 유지되었고 교사들 역시 표준화 검사의 사용이나 성취도 향성에 초점을 맞추는 노력을 하게 되었다(Pyle & Deluca, 2013). 그러나 이러한 유아교육의 책무성 이행과정에서 교사들은 더 많은 업무에 시달리고 유아교육 본연의 철학에 집중하기 힘든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Bullough, Hall-Kenyon, MacKay, & Marshall, 2014).

    이렇게 보면 책무성 관점의 교육질 관리는 미국식 토양에서 자라난 시스템에 가깝기에 여전히 한국의 상황에 접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일단, 책무성을 말하려면 그에 앞서 개별 유치원 차원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 유치원 운영 상황을 보면 책무성의 틀에서 바라보기는 쉽지 않다. 특히, 유치원의 상당수가 사립임을 감안하면 미국식 책무성 시스템을 한국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유치원 평가를 통해 책무성 개념이 언급되는 것은 그만큼 유아교육의 질관리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관심이 증대되고 나아가 일반국민들과 그 성과를 공유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진 결과라 할 수 있다(이진희, 윤은주, 2012).

    우리나라의 경우, 책무성 개념은 지난 1995년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가 학교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하나의 시스템으로 제안하면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그 당시 교육개혁위원회는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해 학교평가를 제안하였고 그 후 정부는 교육개발원에 학교평가 연구를 위탁하고 시범평가 사업을 시작하였다(Kim, Kim, & Suen, 2011). 또한 1996년부터 16개 시‧도교육청은 각자 독자적인 학교평가 모형을 개발하면서 관할 초‧중등학교에 대한 학교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후 국가 수준의 평가와 시도 수준의 학교평가의 중복성 문제가 제기되면서 국가가 직접 실시하는 학교평가는 중단되었고 현재는 시도교육청이 주로 주관하면서 학교단위의 자체평가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책무성 관점에서 학교교육의 질을 점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학교를 평가의 단위로 한 평가활동을 통해 교육의 질 개선은 물론 책무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김주후, 김주아, 2006; 이진희, 윤은주, 2012; Nevo, 1995; Sanders & Davidson, 2003).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교육의 투입, 과정,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학교교육의 성과 중의 하나인 학업성취도의 평가와 결과공개는 주요 쟁점 중의 하나로 급부상하였다. 이는 막대한 세금이 투입되는 학교교육의 질과 그 결과에 대해 보다 상세한 정보와 설명을 얻고자 하는 국민적 관심사를 대변해 주고 있다. 다시 말해 학교교육을 통해 성취해 내는 열매에 대해 교육전문가들 만이 아니라 일반 학부모들에게도 교육의 과정과 성과를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일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학교교육의 책무성은 이러한 요구에 응하는 일과 무관치 않으며 학교평가는 바로 이러한 책무성 차원의 질문에 답하는 평가행위라 할 수 있다.

    학교평가 시스템에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부분 중의 하나는 과연 학교교육의 성과를 점검하는 책무성 점검기제로 작동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었다(김영철, 2005; 배호순, 1996, 신현석, 2002). 특히, 교육수요자의 요구와 관심을 반영하고 교육의 성과를 일반 국민들과 공유하는 관점에서 교육의 책무성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의 질을 높이려는 시도에 주목하였다. 학교평가가 여전히 시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최종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아쉽게도 단위학교의 자율성이 충분히 보장되어 있지 않는 한국의 교육 상황을 감안해 볼 때, 책무성 점검 기제로서 학교평가의 역할은 제한적이었다(Kim et al., 2011).

    학교평가가 가지는 한계점과 한국 상황에서 책무성 기제로 작용하기 쉽지 않다는 점을 이해하면서 유치원 평가 역시 학교평가의 기본적인 틀을 차용하여 시작되었다. 유치원 평가는 지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시‧도교육청 주관으로 전국의 8,300여개 공‧사립 유치원에 대한 1주기 평가를 마쳤다. 그 후 2011년부터 2013년에 걸쳐 2주기평가가 실시되어 전국 8,292개(99.2%) 유치원 평가가 마무리 되었으며, 2014년 현재는 3주기 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별 유치원의 질을 점검하고 나아가 유아교육의 책무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물론 Head Start에서 발견되는 미국식 책무성 점검기제의 관점에서 접근했다고 보기는 어렵고 여전히 한국 상황을 감안한 평가 시스템 구축의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부분은 책무성 관점에서 학교를 평가하고 논의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이슈들은 유치원 평가 과정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우선 책무성의 개념을 들여다보면서 유치원 교육의 책무성을 논하고자 한다면, 누가 어떤 의무나 임무를 유치원에 부여하였고 또 유치원은 그에 상응하는 어떤 보고나 설명을 하는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유치원 교육의 성과를 무엇으로 보고 또 그 결과를 어떤 방식으로 누구에게 공개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 또한 뒤따르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책무성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를 이해한다는 것은 여전히 낯선 일처럼 보인다.

    이런 논의를 좀 더 심도 있게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책무성 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우선, 책무성이라는 말을 듣게 되면 흔히 책임과 의무라는 두 개의 단어가 합성된 것으로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책무성은 단순히 주어진 업무에 대한 책임소재를 가리거나 부여된 의무를 성실히 수행했는가를 점검하는 것을 넘어선다. 책무성의 개념은 “법적이고 사회적으로 부여한 의무(obligation),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려는 책임(responsibility), 직무 또는 본분(duty), 자격‧권한부여(entitlement), 보고(report)‧설명(explanation)‧해명(justification) 등이 결합된 것”이라고 본다(조석희, 김흥원, 김명성, 김규태, 김주아, 2006: 18). 즉, 책무성은 주어진 업무에 대해 일정 자격과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주어진 직무나 본분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지고 나아가 이에 대한 보고, 설명, 해명의 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런 개념정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말하는 책임(responsibility)은 책무성 개념의 조건으로서 책임 그 자체가 책무성은 아니다. 책임은 주어진 사안에 대한 권한과 임무에 한정된 내용이라면 책무성은 법적 근거를 토대로 부여된 권한과 책임에 대해 보고‧설명‧해명하는 것까지 포괄하는 보다 광의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김규태, 2005).

    이렇게 볼 때,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유치원의 책무성 보다는 약간 막연한 수준의 확대된 책임 개념이 널리 통용되어온 셈이다. 예를 들어 유아들의 부적절한 행동이 나타나면 “유치원에서 무얼 어떻게 가르쳤길래 이렇게 되었느냐?”는 관점에서 접근하곤 한다. 또한 유치원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사고부터 일부 기관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나 안전사고 등 유치원운영에 있어서 원장이나 교사에게 거의 무한책임을 묻는 경우가 많다. 즉 원장 및 교사에게 부여된 고유의 권한이나 자격 그리고 책무의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으면서 광범위한 책임만을 묻게 되고, 담당 교육청 역시 책임소재를 가리는 차원에서만 접근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맥락은 최근 들어 일부 유치원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나 안전사고를 다루는 언론의 관점이나 이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그런가 하면 유치원 교육이 반드시 달성하고 그 정도를 평가하여 교육수요자들과 공유해야 하는 책무성의 내용과 범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논의가 충분치 않았다. 특별히, 유치원이 입증해야 할 책무의 구체적인 행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유치원 과정을 졸업하게 되면 ‘약 000개 이상의 어휘를 활용하여 자기만의 생각을 발표할 수 있다’와 같은 매우 구체적이면서도 평가 및 확인이 가능한 유치원 교육의 결과를 상세하게 규정하기는 쉽지 않다. 이런 수준에서 성과를 정의하기 어렵다면 책무성 점검은 제한 받을 수밖에 없고 나아가 일반국민들과 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기는 더더욱 어렵게 된다.

    책무성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를 이해해 보려는 과정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맥락은 과연 유치원 교사들이 자신들을 책무성 이행의 당사자로 이해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예를 들어 유치원의 책무성을 따지기 위해서는 먼저 자율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데(김규수, 2012)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책무성의 기본전제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다면 유치원 평가가 책무성 점검 기제로 작용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우리나라 유치원의 상당수가 사립임을 감안하면 책무성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를 이해함에 있어 교사보다 교육수요자인 학부모의 관점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교육수요자 관점에서 책무성을 논한다고 해도 일단 평가를 진행하는 실무자는 교사이기 때문에 책무성 점검은 교사의 인식으로부터 이해될 필요가 있다. 교육의 결과를 바탕으로 책무성을 점검하게 되는 당사자 역시 교사이고 나아가 교육의 성과를 설명하고 공유하는 주체 역시 교사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가 어떤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평가결과를 활용하게 될 것인가는 평가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유치원 평가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면서 학술적인 연구도 진행되어 왔는데 초기에는 유치원 평가 및 교원 평가체제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이대균, 김선구, 2008; 최민수, 2009)가 진행되었고 그 후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다루는 연구들(강수경, 2009; 김정은, 2009; 서현미, 2009; 이지은, 2009; 임정호, 2009)이 이루어졌다. 또한 상당수의 연구들은 평가의 실태나 적합성을 검토하였고(강민정, 2011; 김경철, 김안나, 2009; 심은주, 이경화, 2010; 황해익, 최혜진, 배인숙, 2009), 책무성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를 분석한 연구(김안나, 2011; 박선미, 홍창남, 2012; 정지현, 2011; 조석훈, 2010)가 이루어졌고, 최근에는 학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평가의 책무성에 대한 연구(황자순, 2014)도 발견된다. 그러나 아직 유치원 평가를 둘러싼 쟁점이나 학술적인 관점에서 집중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책무성 이행 당사자인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은 아직 초보적인 수준의 논의에 머물고 있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책무성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사의 전반적 인식을 알아보고, 유치원 평가지표와 관련한 책임 당사자에 대한 인식과 유치원 평가 공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유아교사들이 유치원 평가를 책무성 점검기제로 이해하고 나아가 교사 자신을 책무성 이행 당사자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유치원 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유치원에 대한 정보공개 등을 통해 교육성과를 공유하는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치원 평가가 교육의 질 향상과 유아교육의 책무성에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 논의를 이끌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는 책무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경기도 및 인근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경기도 수원, 화성, 오산, 평택, 안산 등 주요 7개 도시에 소재한 유치원 중 참여의사를 밝힌 42개 유치원 교사에게 설문지를 직접 전달하였으며, 천안, 광명, 구리 등 그 이외 지역의 유치원에는 E-mail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은 표 1과 같다. 응답교사의 배경에 관하여 살펴보면 성별은 여자가 99.8%, 남자가 1.1%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도는 전문대학 졸업이 45.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년제 대학교 졸업 44.6%, 대학원 졸업 10.3%로 나타났다. 직위는 원장이 3.7%, 원감 5.3%, 일반교사 83.5%였으며 유치원 유형에서 국공립은 12.3%, 사립은 87.5%로 나타났다. 유치원 규모는 6-10학급이 45.5%, 11학급 이상이 25.9%, 3-5학급은 22.5%, 2학급 이하는 5.3%로 나타났다. 담당유아의 연령은 만 5세 30.8%, 만 4세 26.8%, 만 3세 26.2%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평균 나이는 만 30.15세로 나타났고, 평균 경력은 6년 8개월로 나타났으며 현재 근무하는 유치원에 평균 3년 6개월 재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소재지는 수원 21.3%, 용인 6.4%, 오산 10.1%, 화성 17.1%, 안산 5.7%, 평택 7.9%, 안성 0.4%, 의왕 1.5%, 군포 0.2%, 성남 10.5%, 구리 1.8%, 천안 8.1%, 부천 0.2%, 광명 4.6%, 하남 1.5%로 나타났다.

    [<표 1>] 연구 대상 교사의 일반적 배경

    label

    연구 대상 교사의 일반적 배경

    응답교사의 2주기 평가에 대한 경험은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91.4%의 교사들이 전국의 모든 공‧사립유치원을 대상으로 2주기 유치원 평가를 실시한 것에 대해 알고 있었고 2주기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63.1%로 나타났다.

    [<표 2>] 2주기 유치원 평가 경험

    label

    2주기 유치원 평가 경험

       2.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책무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국공립유치원 교사 및 사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책무성의 개념을 어떤 업무에 대해 자격과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그에 대해 책임과 의무를 지고 그 책임에 대한 보고와 설명을 포함하는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책무성의 관점과 유치원 평가를 관련지어 분석을 시도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그리하여 학교 책무성 강화를 위해 기관 평가체제의 개선방안을 심도 있게 다룬 (조석희 외(2006)의 연구에서 구성한 설문조사(학교 교원용)문항을 본 연구의 설문문항 구성에 참고하였다. 이는 자율성에 기반을 둔 교원의 책무성을 학교평가체제를 통해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본 연구 목적에 부합되는 방향을 지녔다고 판단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유치원 평가지표 관련 책임 당사자에 대한 인식과 유치원 평가 공개에 관련된 인식 문항 일부를 구성하였다. 설문문항 중 초‧중‧고등학교의 맥락에서 구성된 문항은 유치원 평가 체제에 맞추어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책무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평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를 연구한 황자순(2014)의 연구는 유치원 평가의 맥락에서 파악될 수 있는 책무성에 대해 다루고 있어 이 연구의 설문지를 토대로 유치원 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 문항과 유치원 평가 공개에 관련된 인식 문항 일부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황자순(2014)이 구성한 설문지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제작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설문지의 문항 일부를 교사에게 적용하여 수정하였다. 또한 연구자 간 협의 하에 평가결과 공개에 대한 문항을 추가하여 예비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이에 대해 유아교육전공 교수 3인의 검토 및 유치원 교사 10인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를 거쳐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서 선택 문항을 추가하여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교사의 일반적 배경 11문항, 유치원 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 4문항, 유치원 평가지표관련 책임 당사자에 관한 인식 11문항, 유치원 평가 공개에 관한 인식 9문항으로 총 35문항이 구성되었다.

       3. 연구 절차

    1) 예비조사

    본 연구를 실시하기 전 연구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설문지 응답 소요 시간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2014년 9월 16일부터 9월 19일까지 유치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은 10분 정도였으며, 설문지의 문항을 수정 보완해 유아교육전공 교수 3인의 검토와 현장 교사 10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아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2) 본 조사

    본 연구에 동의한 경기도 주요 7개 도시 및 인근 지역 국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23일에서 9월 30일 사이에 설문지를 배부한 후 10월 14일까지 수거를 완료하였다. 설문지는 유치원에 직접 전달하거나 E-mail을 이용하여 발송하고 회수하였다.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였고, 회수된 478부 중 무응답률이 높은 설문지 23부를 제외한 후 45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4.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평균 연령 및 경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국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카이제곱(chi-square)검정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치원 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 유치원 평가지표 관련 책임 당사자에 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공개에 관한 인식에 대해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이 응답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

    1) 유치원 평가 실시 목적

    유치원 평가를 실시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에 대해 교사들의 응답을 살펴본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유치원 평가 실시 목적

    label

    유치원 평가 실시 목적

    유치원 평가 실시 목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및 노력의 기회 제공’이 49.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유치원의 교육적 사회적 책무성 제고’ (30.8%), ‘유치원의 물리적 교육환경 개선’ (10.9%), ‘유치원 경영의 투명성 제고’ (7.9%), ‘기타’ (1.2%)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유형에 따라 국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유치원 평가를 통해 기대되는 긍정적 효과

    유치원 평가를 통해 기대되는 가장 긍정적인 효과에 관해 살펴본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유치원 평가를 통해 기대되는 긍정적 효과

    label

    유치원 평가를 통해 기대되는 긍정적 효과

    유치원 평가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와 운영자에게 자신이 수행하는 교육 실제를 평가하도록 하는 평가체제 마련’이 35.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유치원이 갖는 교육 및 보호기능의 질적 수준에 대한 자발적 관리능력 향상’ (28.1%), ‘유치원 질적 수준 확인을 위한 명확한 기준을 제공하는 평가체제 구축’ (26.1%), ‘유아의 발달과 학습능력함양’ (7.5%), ‘부모들이 유아교육기관 선택 시 도움이 될 정보 제공’ (2.7%)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국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국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교사와 운영자에게 자신이 수행하는 교육 실제를 평가하도록 하는 평가체제 마련’이 39.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치원이 갖는 교육 및 보호기능의 질적 수준에 대한 자발적 관리능력 향상’ (37.5%), ‘유치원 질적 수준 확인을 위한 명확한 기준을 제공하는 평가체제 구축’ (14.3%), ‘부모들이 유아교육기관 선택 시 도움이 될 정보 제공’ (8.9%) 순으로 나타났다. 사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교사와 운영자에게 자신이 수행하는 교육 실제를 평가하도록 하는 평가체제 마련’이 35.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치원 질적 수준 확인을 위한 명확한 기준을 제공하는 평가체제 구축’ (27.8%), ‘유치원이 갖는 교육 및 보호기능의 질적 수준에 대한 자발적 관리능력 향상’ (26.8%), ‘유아의 발달과 학습능력함양’ (8.6%), ‘부모들이 유아교육기관 선택 시 도움이 될 정보 제공’ (1.8%) 순으로 나타났다.

    3) 유치원 책무 수행에 대한 판단 준거

    유치원이 책무를 제대로 수행했는지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준거라고 인식하는 것에 대해 교사들이 응답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유치원 책무 수행에 대한 판단 준거

    label

    유치원 책무 수행에 대한 판단 준거

    전체적으로 ‘교육 계획(학교 운영 및 교육과정 운영계획 등)’이 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과정 운영 실태(교육과정 편성 운영, 특별수업 등)’ (28.1%), ‘교육여건(유치원규모, 물리적 환경, 교원의 질)’ (18.9%), ‘교육의 결과(인성 및 도덕성, 교육의 다양성, 포트폴리오)’ (6.8%)순으로 나타났으며 ‘행 재정 운영실태(시설, 교직원관리)’가 3.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유치원 평가 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

    유치원 평가 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에 대해 교사들이 응답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유치원 평가 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

    label

    유치원 평가 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

    교사들의 응답을 살펴보면 유치원 평가에서 ‘교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66.5%가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원장‧원감’ (17.8%), ‘유아교육 전문가(교수 학자 등)’ (8.9%), ‘유아교육담당 장학사(관)’ (5.5%), ‘학부모’ (1.4%) 순으로 나타났다.

       2. 유치원 평가지표 관련 책임 당사자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지표와 관련하여 각 사항의 수행이나 결과에 대해 일차적으로 책임을 져야하는 당사자에 대해 교사들이 응답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유치원 평가지표 관련 책임 당사자에 대한 인식

    label

    유치원 평가지표 관련 책임 당사자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지표 중 ‘교육목표 및 교육계획 수립’, ‘교육활동 및 평가의 실시 및 활용’, ‘유아의 건강관리 및 지도’, ‘유아의 안전관리 및 지도’, ‘유아의 발달’의 항목에서 일차적으로 책임을 져야하는 당사자로 ‘교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실내외 교육환경의 구성 및 관리’, ‘교재교구의 구비 및 제공’, ‘교직원의 인사 복지 및 전문성’, ‘예산의 편성 및 운영’, ‘가정‧지역사회 연계 및 방과 후 과정 운영’의 항목의 일차적 책임 당사자로 ‘원장’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만족도’에 관하여는 ‘학부모’가 일차적 책임 당사자라고 인식한 비율이 가장 높게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 중 ‘교육목표 및 교육계획 수립’, ‘교재교구의 구비 및 제공’, ‘예산의 편성 및 운영’, ‘가정‧지역사회 연계 및 방과 후 과정 운영’, ‘교육만족도’의 항목에서 국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목표 및 교육계획 수립’에 대해 국공립유치원 교사들은 일차적 책임 당사자로 ‘교사’의 응답비율이 73.2%로 가장 높았고 ‘원장’은 16.1%를 차지한 반면, 사립유치원 교사들은 ‘원장’ 38.2%, 교사 33.6%라고 응답하여 차이를 보였다. ‘교재교구의 구비 및 제공’에서 국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1, 2위 대상자의 순위는 같았으나 비율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국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은 ‘원장’이 49.1%, ‘교사’가 47.3%로 나타났고, 사립유치원의 경우 ‘원장’이 68.2%, ‘교사’는 17.4%로 보고되었다. ‘예산의 편성 및 운영’에서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1순위와 2순위를 ‘원장’, ‘교육부’순으로 응답한 점은 같으나 ‘교사’에 대해 국공립은 18.5%, 사립은 0.8%의 비율을 보인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가정‧지역사회 연계 및 방과 후 과정 운영’의 항목에서는 국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교사’(44.6%)가, 사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원장’(51.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만족도’에서 국공립유치원 교사는 일차적 책임 당사자에 대해 ‘교사’(57.1%), 사립유치원 교사는 ‘학부모’(45.0%)라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3. 유치원 평가 공개에 관한 인식

    1) 유치원 평가 외부 공개에 대한 찬?반 인식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계획이나 과정, 결과를 외부 대상자에게 공개하는 것에 대해 찬성과 반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표 8과 같다. 유치원 평가 외부 공개에 대해 반대가 66.2%로 찬성(33.8%)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기에서 국공립유치원 교사의 20.0%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35.7%가 찬성한다고 하였고, 반대하는 응답은 국공립 80.0%, 사립이 64.3%로 국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 외부공개에 대해 반대율이 높았으며 이는 유치원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찬성하는 이유로는 ‘공개를 통해 유치원, 교원의 책무성을 제고할 수 있으므로’(52.3%)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교육수요자(학부모)가 알아야할 권리이고, 유치원이 해야 할 의무이므로’(37.9%)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하는 이유는 ‘평가를 위한 평가가 되어 외부에 보이기 위한 평가로 변질 될 수 있으므로’(58.0%)라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평가준비로 인한 교사의 업무 증가로 인해 유아에 대한 지도가 소홀해질 수 있으므로’(20.8%), ‘유치원 간 경쟁을 유도하므로 교육적, 사회적 부작용이 생기므로’(11.7%), ‘평가기준을 신뢰할 수 없으므로’(9.5%)순으로 나타났다.

    [<표 8>] 유치원 평가 외부 공개에 대한 찬·반 인식

    label

    유치원 평가 외부 공개에 대한 찬·반 인식

    2)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대상 및 범위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대상 및 범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표 9에서 볼 수 있듯이 ‘평가를 받은 해당 유치원의 교직원에게만 평가 결과를 공개’가 55.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평가를 받은 사실 여부만 시‧도 교육청 홈페이지에 공개’(29.2%), ‘평가를 받은 모든 유치원의 평가결과를 시‧도교육청 홈페이지에 공개’(10.0%)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가를 받은 유치원뿐만 아니라 유치원 학부모 및 지역사회에 평가결과를 공개’가 5.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표 9>]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대상 및 범위에 대한 인식

    label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대상 및 범위에 대한 인식

    3)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방법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방법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표 10과 같다. ‘통과/ 미통과, 순위보다는 유치원의 강점과 약점, 개선사항 공개’의 경우가 6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평가 영역별로 일정한 기준에 도달한 유치원과 도달하지 못한 유치원으로 구별(통과/ 미통과)하여 공개’(24.2%), ‘평가 영역별로 등급(3~5등급)을 매겨서 공개’(6.2%), ‘우수 유치원만(상위 10-20%정도) 대상으로 공개’(5.5%), ‘평가 영역별로 순위를 매겨서 공개’(1.8%)순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국공립 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1, 2순위는 ‘통과/ 미통과, 순위보다는 유치원의 강점과 약점, 개선사항 공개’, ‘평가 영역별로 일정한 기준에 도달한 유치원과 도달하지 못한 유치원으로 구별(통과/ 미통과)하여 공개’로 같은 양상을 나타냈으나 3순위부터 국공립유치원 교사는 ‘우수 유치원만(상위 10-20%정도) 대상으로 공개’(2.1%)로 나타났고 그 이외의 항목에서는 응답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립유치원 교사는 ‘평가 영역별로 등급(3~5등급)을 매겨서 공개’(7.0%), ‘우수 유치원만(상위 10-20%정도) 대상으로 공개’(6.0%), ‘평가 영역별로 순위를 매겨서 공개’(2.1%)순으로 나타났다.

    [<표 10>]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방법에 대한 인식

    label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방법에 대한 인식

    4) 유치원 평가 결과 활용 방법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 활용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표 11과 같다. 교사들은 바람직한 유치원 평가 결과 활용 방법으로 ‘해당 유치원이 자율적으로 유치원 질을 관리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74.2%)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우수유치원을 선정하여 사례발표를 하고 그 사례를 다른 유치원에 일반화’(19.3%), ‘평가 결과에 따라 재정 지원에 차등을 두는 근거 자료로 활용’(4.0%), ‘전국 시‧도 교육청 홈페이지에 공개하여 학부모에게 정보를 제공’(2.4%)순으로 응답하였다.

    [<표 11>] 유치원 평가 결과 활용 방법에 대한 인식

    label

    유치원 평가 결과 활용 방법에 대한 인식

    5) 유치원 범주화 후 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에 대한 찬?반 인식

    유치원 여건(도시/농촌, 대규모/중규모/소규모 등)에 따라 유치원을 범주화하고 이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통과/미통과, 등급, 순위 등)를 공개하는 방식에 대해 찬성과 반대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표 12와 같다. 유치원 범주화 후 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에 대해 찬성이 52.9%로 반대(47.1%)보다 높게 나타났다. 찬성하는 이유는 ‘여건이나 출발선이 비슷한 유치원끼리 묶어서 평가하는 것이 공정한 것이므로’(42.7%)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그렇지 않다면 여건이 좋은 유치원이 항상 우수한 평가를 받으므로’(22.2%), ‘열악한 여건 속에서 노력하여 개선해 가는 유치원을 보다 많이 선정해서 보상해 줄 수 있으므로’(22.2%), ‘여건이 열악한 유치원들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동기를 갖게 하므로’(13.0%)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하는 이유는 ‘평가는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모든 대상자들을 차별없이 평가하는 것이므로’(50.7%)라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여건이 비슷한 유치원들끼리 범주화하면 전체 유치원 중에서 해당 유치원의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지므로’(24.4%),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차별 없이 평가해야 여건이 나빠서 성취가 좋지 않은 학교를 확인하고 지원할 수 있으므로’(19.1%), 기타(5.7%)순으로 나타났다.

    [<표 12>] 유치원 범주화 후 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에 대한 찬·반 인식

    label

    유치원 범주화 후 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에 대한 찬·반 인식

    6)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경로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경로에 대해 1순위와 2순위로 선택하도록 하여 나타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표 13과 같다. 1순위로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것은 ‘유치원 홈페이지’(37.9%)였으며 2순위로는 ‘안내문 활용’(41.0%)의 경우를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3>]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경로에 대한 인식

    label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경로에 대한 인식

    7) 유치원 평가 결과 중 중요 공개 항목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 중 가장 중요한 공개 항목에 대해 1순위와 2순위로 선택하도록 하여 나타난 결과는 표 14와 같다. 교사들의 과반수 이상이 ‘교육과정’(58.0%)을 1순위로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2순위는 ‘교육환경’(30.1%), ‘운영관리’(29.6%)순으로 나타났고 ‘종일반운영’에 대한 항목은 1순위나 2순위 선택에서도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표 14>] 유치원 평가 결과 중 중요 공개 항목에 대한 인식

    label

    유치원 평가 결과 중 중요 공개 항목에 대한 인식

    8) 유치원 평가 결과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가 학부모의 유치원 선택 및 취업 시 교사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표 15와 같다.

    [<표 15>] 유치원 평가 결과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label

    유치원 평가 결과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먼저 유치원 평가 결과가 학부모의 유치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59.2%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국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보통이다’가 4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영향을 미친다(36.4%),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4.5%)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사립유치원 교사는 ‘영향을 미친다’의 경우가 62.3%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보통이다’(33.9%),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3.5%)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평가가 교사들이 취업할 때 유치원 선택에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4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기에서도 국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국공립유치원 교사의 응답은 ‘보통이다’(43.6%),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32.7%), ‘영향을 미친다’(23.6%)순으로 나타났고, 사립유치원 교사의 경우는 ‘영향을 미친다’(53.2%), ‘보통이다’(35.9%),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0.6%)순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치원 평가를 통해서 교사가 유아교육의 책무성에 대해 어떤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사의 전반적 인식, 평가지표 영역별 책임 당사자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결과 공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및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사의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 본 결과, 유치원 평가를 실시하는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및 노력의 기회 제공’과 ‘유치원의 교육적 사회적 책무성 제고’ 라는 인식이 높게 났다. 이러한 경향은 공‧사립 유치원 교사 모두에게 나타난 결과이다. 이처럼 유치원 평가목적에 있어서 사회적 책무성을 비중 있게 다룬 점은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체제에 함의된 유아교육의 공적책임과 의무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국가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유치원 평가 시스템이 유치원 교사로 하여금 유아교육을 보다 공적 관심사로 여기게 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수행되는 일들을 더 이상 사적영역이 아닌 공적영역으로 인식하게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향은 2009년 ‘유치원 선진화 추진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09)을 통해 유아교육의 책무성 일환으로 유치원 평가가 논의된 이래 2014년 현재 3주기 평가에 접어드는 시점에서 국가수준의 평가가 유치원 현장교사에게 유아교육이 갖는 사회적 책임, 공공성 등으로 점차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유치원 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에 대해 공사립 유치원 교사 대부분 ‘교사’라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유아교육현장에서 평가에 임하는 주체자로서의 교사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치원 평가의 계획 및 실행, 평가과정에서 교사의 주체성, 능동성 등이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유치원 평가를 통해 기대되는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은 ‘교사, 운영자에게 자신이 수행하는 교육실제에 대한 평가체제 마련’, ‘유치원 질적수준에 대한 자발적 관리능력 향상’, ‘유치원 질적 수준확인을 위한 명확한 기준 제공’ 등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평가와 관련하여 선행된 교사 인식연구들(서현미; 임정호; 황해익, 최혜진, 배인숙, 2009)에서 유치원 평가의 목적이 유아교육의 질 향상에 있다는 결과에 부합된다. 이러한 경향은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체제를 실제 교육수행에 대한 전문성강화나 유치원에 대한 전반적 질 관리 제도로서 작동하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즉 유치원 교사들이 현재의 국가수준의 평가 시스템을 통해 거시적인 안목에서 책무성 제고라는 목적의식은 갖고 있으나, 기대되는 효과 면에서는 교사나 원장의 실제교육행위에 대한 교육자적 전문성과 전반적 질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어 책무성이 갖는 포괄적이고 사회적인 관점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진행되어온 기관평가의 방향이 학교교육과정의 모니터링을 통한 학교교육 개선에만 초점이 맞추어 지고 책무성에 대한 이해도나 관심은 미비하다는 지적(조석희 외, 2006)과 일맥상통하는 결과이다.

    또한 평가의 기대효과 측면에서 공‧사립 유치원의 유형별 차이가 나타났다. 국공립 교사의 경우 ‘질적 수준의 자발적 관리 인식’이 사립 유치원 교사보다 높았으며, 이에 비해 사립 교사들은 유치원 평가가 ‘유치원 질적 수준확인을 위한 평가체제를 구축’한다는 인식이 높았다. 즉 평가를 통한 질 관리에 있어서 국공립 유치원 교사가 자발성을 더욱 강조한 데 비하여 사립 교사의 경우 평가체제 구축을 통한 질 관리에 더욱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평가를 통한 책무성 인식에서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자발성, 자율성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며 책무성은 자율성을 전제할 때 타당성을 지닌다는 측면에서 볼 때(정지현, 2011), 유치원 평가에 대한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더욱 확보될 필요가 있다.

    이외 유치원 책무수행에 대한 판단준거는 공․사립교사 모두 교육계획 및 교육과정 운영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이 교육과정을 운영하여야 할 책임을 지닌 교육기관으로서 갖는 지위(조석훈, 2010)에 입각한 책무성 인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책무성에 대한 포괄적 정의(김규태, 2005)에 비추어 볼 때 책무란 단순히 주어진 사안에 대한 임무에 한정된 내용을 넘어선 법적, 사회적 권한과 책임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교사들이 유치원 책무수행에 대한 판단 준거를 교사 주요업무인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에 초점을 두는 경향은 현재 평가체제가 교사의 실제 역할 및 임무에 대한 협의의 책무의식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유치원 평가에서 교육과정 관련영역의 비중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책무수행의 판단 준거에서 교육결과에 대한 인식이 공․사립 교사 모두에게 낮게 나타난 것에 비추어 볼 때도, 차후 유치원 평가가 현장교사들로 하여금 책무성에 대해 보다 포괄적이고 사회적인 의미로 적용될 수 있도록 보완․개선될 필요가 있다. 즉 ‘책무성이 단순한 책임과 의무 수준에서 나아가 적극적 의미로서 그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능력 또는 상태’ (김영철, 2005: 62)라는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시스템이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유아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책무성 인식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책무성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평가지표영역 관련 책임 당사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중 교육목표 및 계획수립영역에서 국공립 교사와 사립 유치원 교사 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립 유치원 교사에 비해 공립교사가 교육목표 계획 및 수립에서 일차적 책임을 더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경우 유아교육 비전공자인 초등학교장이 유치원 원장의 지위를 갖고 있고, 대부분 소규모의 조직에서 담임교사에게 유치원 운영에 대한 여러 업무가 부여되는 실정이므로 교육목표의 계획수립 단계부터 교사의 역할비중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사립의 경우 유치원 운영 전 과정에서 원장의 참여 및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국공립 교사에 비해 교육계획 수립에 대한 책임인식이 낮게 나타나 것으로 보여 진다. 교육부에 대한 책임인식 비율 또한 사립 유치원 교사가 공립유치원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난 점을 고려할 때, 사립 교사의 경우 교육계획 수립에 있어 공립유치원 교사에 비해 중앙관리적, 하향식 책임체제 실정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교재교구 구비 및 제공, 예산편성 및 운영영역은 경제적 맥락과 관련된 부분으로서 일선 교사들의 자율 및 통제권이 미약한 영역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교사보다 원장을 책임당사자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기관유형별 분석에서 국공립 유치원 교사와 사립 유치원 교사간의 인식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교재교구 구비 및 제공에서 국공립 교사의 경우 원장과의 책임인식 비율 차이가 크지 않은데 비해, 사립의 경우 교사보다 원장이 책임당사자라고 인식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예산편성 및 운영에서도 사립 유치원 교사가 국공립 유치원교사에 비해 낮은 책임인식을 보였다. 이외 가정‧지역사회 연계 및 방과 후 과정 운영, 교육만족도에 있어서도 국공립교사의 경우 책임 당사자로서의 인식이 강한 반면 사립 교사의 경우 책임의식이 약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치원 책무성을 논할 때 유아교육 기관의 설립주체, 운영방식 등에 따라 책무성이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요구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책무성이란 자율성과 병행될 때 확보될 수 있는 개념이므로 유아교육기관의 실제 운영맥락에 따라 교사에게 보장되는 자율성의 범위가 달라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의 경제 논리적 교육정책에 근거를 둔 책무성은 우리나라 교육실정과 사회문화, 경제적으로 차이가 있으므로 투입자원에만 초점을 둔 책무성 평가 논의에는 무리가 있다고 보인다. 즉 무상보육, 통합교육과정 등의 정책은 유아교육 대한 재정투입 증가를 가져와 교육현장의 책무성 기대수준을 높이고 있으나, 사립유치원이 유아교육현장의 대부분을 맡고 있는 우리의 교육현실에서 자원증대-책무성 확대가 교사의 자율성 확보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은 투입자원에만 초점을 둔 책무성 평가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다양한 유아교육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책무성 요구가 필요하다는 연구(정지현, 2011)나 유치원 교육의 책무성 확립을 위해 다양성과 자율성 전제를 강조한 연구(박선미, 홍창남, 2012) 등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유아교육현장에 적합한 책무성 개념 및 수준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합의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나아가 해당 유치원과 유아를 둘러싼 부모, 지역사회 등 생태맥락적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유아교육 책무성 논의가 요구되며, 유아교육 운영 및 평가에 대해 현장 맥락적인 접근과 함께 교사의 의사권, 재량권, 참여권 보장이 병행되는 책무성 이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평가 과정이나 결과를 외부에 공개하는 것에 대한 찬성과 반대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 인식은 찬성보다 반대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찬반 인식을 기관유형별로 분석해 보면, 국공립의 경우 사립에 비해 찬성보다는 반대의견 비율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사립의 경우도 반대의견 비율이 높았으나 찬반의 차이가 국공립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즉 국공립 교사의 경우 유치원 평가의 외부공개에 대한 반대와 거부감이 더욱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볼 때 유치원 교사에게 평가를 통한 책무성 인식은 책무에 대해 ‘누가, 누구에게, 무엇을 보고하고 설명, 해명하는 행위’(김규태, 2001: 290)까지를 포함한 총체적인 차원으로 이해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공개를 찬성한 교사들의 이유를 살펴보면‘공개를 통한 책무성 제고’, ‘교육수요자(학부모)가 알아야할 권리이자 유치원의 의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공개찬성의 근거가 책무성 확보 방식의 하나인 정보공개적 접근(information approach: Cibulka, 1999), 수요자 중심 교육의 의미(조석훈, 2010)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개를 반대하는 주요 이유로는‘외부에 보이기 위한 평가로의 변질’, ‘평가준비로 인한 업무증가로 유아지도 소홀’ 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된 유치원 평가관련 교사인식 조사에서 평가업무의 과중으로 교육활동에 지장을 주고(김정은; 이지은, 2009), 기존의 초중등학교 대상 학교평가가 교원의 교육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결과(김주후, 정책희, 김주아, 김승훈, 2004), 유치원 교사들이 좋은 수업의 방해요인으로서 외부에 보여주기 위한 장학, 평가준비를 지적한 연구(송주연, 황해익, 2010) 등과 유사한 맥락이다.

    평가결과 공개 방법은 전체적으로는 ‘기관의 약점, 강점, 개선사항 공개’, ‘평가영역별 기준의 도달 여부(통과/ 미통과)’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평가공개가 유치원 기관별로 처한 특수한 교육상황(강점, 약점, 개선사항)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기관유형별 차이에서 공립 유치원 교사의 경우 등급이나 순위를 매기는 서열화 공개 항목에 대해 무응답으로 응해 사립 교사와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국공립 교사의 경우 국가차원의 일관된 지위를 지녔으며 그 동안도 국가적 재정‧행정 감독체제 안에서 운영되어 온 동일수준의 조직이라는 인식이 작용하여 사립에 비해 순위에 의한 서열화에 대해 반대 입장이 분명하게 나타났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평가결과 활용방법에 있어서는 공‧사립 모두 해당유치원이 자율적으로 유치원 질 관리에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에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위의 평가공개에 따른 교사의 인식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교사들은 평가 공개 방법이나 결과 활용에 있어서 자율성과 해당유치원의 상황맥락(강점, 약점, 개선사항)에 기초한 공개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는 평가공개를 통한 책무성 요구는 교사 본인들이 참여하는 교육현장 맥락에서 책무성을 스스로 인식하고 책무성 확립에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범위 내에서 시작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경향은 책무성의 성공적 반영은 외적 책무성(external accountability)보다 학교 내 조직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내적 책무성(internal accountability)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Newmann, King, & Ridgon, 1997)는 관점을 지지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평가과정 및 평가결과 공개에 앞서 이에 대한 내용 및 범위 등에 대해 교사의 의사참여, 기관구성원 내의 협의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평가결과가 자율적인 질 관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평가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안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기관이나 교사 평가결과 활용에 대한 구체적 피드백 제공의 어려움으로 인해 유아교육과정 개선에 평가결과 활용이 원활하지 않음을 보고한 선행연구들(강수경; 김경철, 김안나; 2009)의 지적에서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치원 평가결과 공개를 통한 책무성 요구는 책무성이 교사의 책임과 의무, 직분이행 뿐 아니라 이에 대한 성과보고와 설명을 아우르는 포괄적 개념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유치원 평가가 교사들에게 구체적으로 어떠한 책무를 요구하며, 책무결과를 보여주는 실제적 내용 및 범위, 보고체계, 활용은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 등에 대해 보다 명확한 안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교육적 준비와 합의를 토대로 유치원 평가공개에 대한 교사의 책무를 묻고 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과정에서 유치원 평가가 책무성 관점으로 재조명되면서 유아교육의 질 향상 및 공교육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유치원 교사들은 유치원 평가체제에 함의된 유아교육의 공적책임과 의무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교사 자신이 유치원 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평가 과정이나 결과를 외부에 공개하는 것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반대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책무성을 어떤 업무에 대해 자격과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그에 대해 책임과 의무를 지고 성과를 보고하고 설명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봤을 때, 유치원 교사들은 자신 업무의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은 높다고 하겠으나 유치원 평가를 통해 교육의 성과를 교육수요자들과 공유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공감이 어려운 상태로 보여 아직 높은 수준의 책무성 인식에 이르렀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공공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서 나아가 책무성의 관점에서 교사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평가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공적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로는 여러 지역으로 표집범위를 확대하여 유아교육의 책무성에 대해 보다 폭 넓은 교사인식 조사가 이루어지고, 책무성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을 밝히는 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국공립 유치원 교사나 원장 및 원감의 수가 전국적 비율에 비해 부족한 편이므로 유치원 유형별, 교사의 직위별 연구대상을 충분히 표집하여 각 변인에 따른 책무성 인식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유치원 유형이나 교사의 직위에 따라 책무성 인식이 어떠한 경험과 맥락에서 나타나는지 관찰, 면담 등의 질적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책무성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실제적인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 1. 강 수경 (2009)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 google
  • 2. 강 민정 (2011) 유치원 평가 받기 전과 후의 평가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Vol.31 P.419-439 google
  • 3. (2009)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계획. google
  • 4. 김 경철, 김 안나 (2009)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 향유 개선을 위한 교사들의 논의.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P.79-101 google
  • 5. 김 규수 (2012)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와 전망. [유아교육연구] Vol.32 P.395-413 google
  • 6. 김 규태 (2001) 교육적 책무성의 개념적 구조. [교육행정학연구] Vol.19 P.287-308 google
  • 7. 김 규태 (2005) 교육의 책무성. google
  • 8. 김 안나 (2011) 국가수준유치원 평가위원의 책무성과 그 한계. [유아교육학논집] Vol.15 P.343-368 google
  • 9. 김 영철 (2005) 학교의 책무성 제고 방안. [한국교육] Vol.32 P.59-80 google
  • 10. 김 정은 (2009)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google
  • 11. 김 주후, 김 주아 (2006) 교육성과를 포함한 책무성 중심 학교평가 모형 개발 및 적용. [교육평가연구] Vol.19 P.21-43 google
  • 12. 김 주후, 정 책희, 김 주아, 김 승훈 (2004) 시?도 교육청 주관 학교평가 실태 분석. [교육평가연구] Vol.17 P.237-257 google
  • 13. 박 선미, 홍 창남 (2012) 유치원 교원의 목소리를 통한 유아교육 책무성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Vol.32 P.321-341 google
  • 14. 배 호순 (1996) 교육적 책무성 확립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교육학연구] Vol.34 P.167-185 google
  • 15. 서 현미 (2009) 유치원 기관평가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google
  • 16. 손 순복, 권 경숙 (2012) 유치원 교사의 책무성과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P.485-504 google
  • 17. 송 주연, 황 해익 (2010)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P.339-363 google
  • 18. 신 현석 (2002) 단위학교 책무성의 동향분석 연구: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Vol.20 P.151-178 google
  • 19. 심 은주, 이 경화 (2010) 국가수준 유치원평가의 내용 적합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소속유치원의 설립주체 및 규모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P.25-47 google
  • 20. 이 대균, 김 선구 (2008) 시, 도 교육청 주관 유치원 평가 제도 수립을 위한 논의.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P.49-72 google
  • 21. 이 지은 (2009) 유치원 평가참여에 따른 평가 및 교직 전문성에 대한 교원의 인식과 변화. google
  • 22. 이 진희, 윤 은주 (2012) 헤드스타트 국가보고체제 논쟁으로부터의 교훈: 바람직한 유아평가를 위한 시사점. [영유아교육학논집] Vol.16 P.115-133 google
  • 23. 임 정호 (2009) 유치원 시범평가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google
  • 24. 정 지현 (2011) 교육과정 자율화와 책무성 확보를 통한 유아교육 선진화의 의미와 쟁점. [유아교육연구] Vol.31 P.285-307 google
  • 25. 조 석훈 (2010) 유아교육의 공교육체제 강화와 유치원의 책무성. [유아교육연구] Vol.30 P.5-25 google
  • 26. 조 석희, 김 흥원, 김 경성, 김 규태, 김 주아 (2006) 학교책무성 강화를 위한 학교평가 체제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google
  • 27. 최 민수 (2009) 유아교원평가 시스템 구성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6 P.361-393 google
  • 28. 황 자순 (2014) 책무성 관점에서 본 2주기 유치원 평가에 대한 사립유치원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google
  • 29. 황 해익, 최 혜진, 배 인숙 (2009)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P.1-24 google
  • 30. Bullough R, V., Hall-Kenyon K, M., MacKay K, L. (2012) Head Start teacher well-being: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Vol.40 P.323-331 google cross ref
  • 31. Bullough R, V., Hall-Kenyon K, M., MacKay K, L., Marshall E, E. (2014) Head start and the intensification of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37 P.55-63 google cross ref
  • 32. Cibulka J. G. (1999) Moving toward an accountable system of K-12 educ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challenges. In G. J. Cizek(Ed), Handbook of educational policy P.184-213 google
  • 33. Kim J., Kim J. A., Suen H. (2011) School evaluation policies in Korea: A social validity issues and challenges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8 P.3-28 google
  • 34. Newmann F. W., King M. B., Ridgon M. (1997) Accountability and school performance: Implication form restructuring schools.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67 P.41-69 google cross ref
  • 35. Nevo D. (1995) School-based evaluation: A dialogue for school improvement. google
  • 36. Pyle A., Deluca C. (2013) Assessment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An empirical study of teachers’ assessment approaches.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41 P.373-380 google cross ref
  • 37. Sanders J. R., Davidson E. J. (2003) A model for school evaluation. In T. Kellaghan & D. L. Stufflebeam(Ed.), edited by Thomas, Int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al evaluation P.807-826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 대상 교사의 일반적 배경
    연구 대상 교사의 일반적 배경
  • [ <표 2> ]  2주기 유치원 평가 경험
    2주기 유치원 평가 경험
  • [ <표 3> ]  유치원 평가 실시 목적
    유치원 평가 실시 목적
  • [ <표 4> ]  유치원 평가를 통해 기대되는 긍정적 효과
    유치원 평가를 통해 기대되는 긍정적 효과
  • [ <표 5> ]  유치원 책무 수행에 대한 판단 준거
    유치원 책무 수행에 대한 판단 준거
  • [ <표 6> ]  유치원 평가 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
    유치원 평가 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
  • [ <표 7> ]  유치원 평가지표 관련 책임 당사자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지표 관련 책임 당사자에 대한 인식
  • [ <표 8> ]  유치원 평가 외부 공개에 대한 찬·반 인식
    유치원 평가 외부 공개에 대한 찬·반 인식
  • [ <표 9> ]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대상 및 범위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대상 및 범위에 대한 인식
  • [ <표 10> ]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방법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방법에 대한 인식
  • [ <표 11> ]  유치원 평가 결과 활용 방법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 활용 방법에 대한 인식
  • [ <표 12> ]  유치원 범주화 후 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에 대한 찬·반 인식
    유치원 범주화 후 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에 대한 찬·반 인식
  • [ <표 13> ]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경로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경로에 대한 인식
  • [ <표 14> ]  유치원 평가 결과 중 중요 공개 항목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 중 중요 공개 항목에 대한 인식
  • [ <표 15> ]  유치원 평가 결과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