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child care teacher’s needs for Character Strengths on the education program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hild care teacher’s Character Strengths requests to improve the their education program. To collect dat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00 Child Care Teachers. PASW 18.0 and Excel 20.0 Program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and paired t-test, Borich reques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tilized. All 6 Virtues and 24 Character Strength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desirable level. From the analysis with the Borich request scale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persistence, prudence, self-regulation, fairnes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Child Care Teacher’s Character Strengths.

KEYWORD
보육교사 , 성격강점 , 교육 요구도 , 긍정교육
  • Ⅰ. 서 론

    긍정심리학의 등장은 우울증, 정신병 등 인간의 문제를 치료하기 위한 병리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삶의 가치를 추구하고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 대해 주목할 필요성을 고취시켰다(Seligman & Csikszentmihalyi, 2000). 행복에 대한 논의는 고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논의를 시작으로 러셀까지 사변적인 관점에서 주로 이루어졌지만(이경민, 2009) 과학적으로 접근하려는 긍정심리학자의 노력은 개인, 집단, 사회가 함께 성장하고 번영하는 삶을 추구함과 동시에 인간이 최선의 기능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향을 마련하고자 현재에도 진행 중이다(권석만, 2011; Peterson & Seligman, 2004).

    일반적으로 삶의 풍요로움과 행복을 추구하는 긍정심리학의 연구주제는 긍정상태, 긍정 특질, 긍정기관의 3가지 축으로 구분되는데(Peterson, 2006) 긍정특질(positive individual trait)은 개인이 가진 성격특성과 강점연구에 초점을 둔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 특질은 가변적이기보다는 한 개인이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행동양식이자 성품, 덕목을 의미한다(Seligman & Peterson, 2004). 성격강점에 대한 논의는 2000년 성격강점과 덕목이라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인간이 가진 좋은 성품(good of a person)을 밝히기 위해 수행된 이후에(Seligman, 2004/2009) 약점에서 강점으로, 최악을 평균수준으로 회복 하는 것에서 최고의 것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인식변화가 이루어졌으며, 개인과 조직적인 측면까지 성격강점을 다루어야하는 영역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강점의 인식과 활용은 행복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대표강점을 발휘하는 경험은 긍정 심리학에서 행복증진기술로 가장 많이 권유되는 방법 중의 하나로(Miller & Frisch, 2009/2015) 개인생활과 조직생활에서 대표강점을 자주 인식하고 활용할 경우 일시적인 행복 상태가 아닌 긍정적 정신건강이 지속되는 상태인 “행복플로리시”가 보장될 수 있다 (탁정화, 2015; 황해익, 탁정화, 2014; Bulter & Kern, 2013; Hone, Jarden, & Duncan, 2014). 따라서 보육교사의 직무성향에서 요구되는 성격강점과 개인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 강점에 대한 고찰과정은 보육교사에게 행복의 연속성, 지속성, 높은 빈도를 보장하는 성격강점을 규명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 보육교사의 번영(flourish)을 보장하는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긍정심리학에서 주로 논의하는 강점은 덕목, 성격강점, 대표강점에 대한 용어로 구분되어진다. 덕목은 이질성이 있는 3-5개의 성격강점을 포함하고 있는 상위개념이며 성격강점은 덕목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이며, 대표강점은 개인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사용되는 강점을 의미한다(권석만, 2011; 2012; Donaldson, Csikzentmihalyi, & Nakamura, 2011; Seligman & Peterson, 2004). 역사, 문화, 철학, 심리학 등 범학문적인 특성을 포괄하는 VIA 분류체계(Values-in Action Classification Strengths and Virtues)로 강점은 유목화 되었으며, 5가지 덕목과 24가지 성격강점을 이룬다(Peterson & Seligman, 2004). 강점 관련 내용을 선정할 때 보편성, 자아실현추구, 도덕적 가치, 다른 사람의 강점을 저해하지 않음, 부정적인 반의어, 특질적임, 차별성, 전형적 인물, 신동, 선택적 결여, 촉진제도에 대한 가치판단과정을 통하여 성격강점을 추출한 것이다.

    각 덕목과 성격강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권석만, 2010; Magyar-Moe, 2009/2012; Peterson, 2006/2009), 첫째 지혜와 지식(wisdom & knowledge)은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인지적 강점으로 창의성(creativity), 호기심(curiosity), 개방성(open-mindness), 학구열(love of learning), 지혜(wisdom)의 6가지로 구성된다. 둘째, 인애(humanity)는 긍정적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대인 관계적 강점으로 개인 간에 나타날 수 있는 강점을 의미한다(Peterson, 2006/2009). 인애 관련 핵심덕목은 사랑(love), 이타성(altruism, kindness),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의 3가지로 구성된다. 셋째, 용기(courage)는 내•외적 난관에 맞서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의지를 실현하려는 강점으로 의지 관련 강점을 의미한다. 용기 관련 핵심덕목은 용감성(bravery), 진실성(authenticity), 끈기(persistence), 활력(vitality)의 4가지로 구성된다. 넷째, 정의(justice)는 건강한 공동체 생활을 유지하는 사회적 강점으로 개인과 집단 간 상호작용을 건강하게 만드는 사회적 강점이다. 일대일 인간관계를 넘어서 가족, 지역, 나라, 세상과 같은 관계 맺는 대상의 범위가 확장되면서 시민으로 갖추어야 하는 강점을 의미하는데 정의 관련 핵심덕목은 공정성(fairness), 시민의식(citizenship), 리더십(leadership)의 3가지 강점으로 구성된다. 다섯 째, 절제(temperature)는 욕망과 욕구를 알맞게 조절하여 지나침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주는 중용적인 강점이다. 겸손은 교만, 신중성은 단기적 쾌락, 용서는 미움과 증오, 자기조절은 극단적 감정을 조절하는 강점이다. 이러한 강점은 활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활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절제 관련 핵심덕목은 겸손(modesty), 신중성(prudence), 용서(forgiveness), 자기조절(self-regulation)의 4 가지 성격강점으로 구성된다. 여섯째, 초월(transcendence)은 현상과 행위에 의미를 부여하고 우주와의 연결성을 추구하는 초월적이고 영적인 강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초월은 보편적, 이상적, 성스러운 거룩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삶의 초월적인 부분에 대한 믿음 이나 신념으로 초월의 원형은 영성이다. 초월 관련 핵심덕목은 감사(gratitude), 낙관성(optimisim), 심미안(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유머감각(humor), 영성(spirituality)의 5가지 성격강점으로 구성된다.

    직업과 관련하여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것은 한 개인이 가진 긍정적 특질과 긍정조직의 노력이 결합될 때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개인의 성격강점을 자신이 속한 업무에 적용하는 것은 행복한 삶을 구축하는 3가지 특성 중 몰입하는 삶과 의미있는 삶으로 연결된다(Harzer & Ruch, 2013; Littman-Ovadia & Steger, 2010). 몰입하는 삶은 자신이 가진 강점을 발휘함과 동시에 개인의 능력과 결합될 때 이루어질 수 있으며(Csikszentmihalyi, 1990/2004) 개인이 가진 성격강점이 직업상황과 조화를 이룰 경우 개인의 성격강점의 활용과 업무수행정도는 높아진다(김미진, 김병만, 2014; Donaldson, Csikzentmihalyi, & Nakamura, 2011). 또한 강점을 바탕으로 업무적 성취를 이룰 때 직업에서의 즐거운 삶, 의미있는 삶, 몰입하는 삶을 추구할 수 있으며 직업만족도와 조직몰입정도 또한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성격강점에 대한 연구는 성격강점의 분포정도를 살펴보는 연구, 심리적 변인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성격강점의 활용정도를 살펴보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이루어졌다. 우선, 개인이 가진 성격강점의 인식을 살펴보는 연구가 수행됨으로써 각 나라별 성격강점의 특성(Park, Peterson, & Seligman, 2006; Shimai, Otake, Park, Peterson, & Seligman, 2006; Ruch, Proyer, Harzer, Park, Peterson, & Seligman, 2010)을 파악하고, 성격강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Seligman, Steen, Park, & Peterson, 2005)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소아암을 이겨낸 생존자(Guse & Eracleous, 2011), 15-18세 청소년 (Toner, Haslam, Robinson, & Williams, 2012), 유아(Stone, Otten, Engels, Vermulst, & Janssens, 2010; 박영아, 이미나, 2014) 등 특수한 대상이 가진 성격강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성격강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도 수행되었는데, 스위스와 독일 성인의 삶의 만족도와 높은 관련성이 보고된 성격강점으로 사랑, 희망, 호기심, 활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Peterson, Ruch, Beermann, Park, & Seligman, 2007) 미국인의 삶의 만족도를 예언하는 강력한 변인으로 감사를, 스위스인은 인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성인을 대상으로 성격강점을 살펴본 연구에서는 호기심, 사랑, 공정성, 용서, 자기조절의 성격강점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성격강점활용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Alex, Maltby, Wood, Joseph, Harrington, Peterson, Park, & Seligman, 2007).

    또 다른 성격강점 관련 연구의 추세는 성격강점이 실현되는 특정상황에 주목하여 개인이 가진 성격강점과 적합한 환경적 특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는 개인이 가진 성격강점과 상황적합성이 연결될 때 긍정적 경험을 촉진될 수 있는데, 한 개인이 지속 적으로 나타내는 성격강점이 있기는 하지만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성격강점이 있음을 가정하여 접근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미국 군인을 대상으로 24가지 성격강점을 살펴본 결과 용기라는 성격강점이 나타난 것은 군인이라는 특수한 업무적 상황이 성격강점의 활용에 영향을 끼쳐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으며(Matthews, Eid, Kelly, Bailey, & Peterson, 2006) 친절은 생활 전반에서 나타나는 강점이지만 영성은 수녀와 성직자와 같은 특정직업군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권석만, 2011; Ten Berge & De Raad, 1999). 유아교사의 직업적 특성에 바탕을 두고 추출한 성격강점으로 사랑, 감사, 낙관성, 친절인 것으로 나타났는데(김미진, 2015; 최윤정, 이경민, 2012),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직무에서 나타나는 성격강점은 일반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자신의 대표강점보다는 직무와 관련된 변인들 속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시말해, 직무수행은 특정한 역할을 강조하고 개인생활 보다는 특정한 기능과 역할행동이 요구되므로 보육교사의 직업군에서 요구되는 성격강점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은 보육교사의 직무수행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고 보육교사 직무에서 요구되는 성격강점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격강점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뿐만 아니라 강점을 생활 속에서 활용하려는 노력 또한 중요하다. 행복한 사람은 강점을 더 활용하고 있으며(Park, Peterson, & Seligman, 2004; Seligman, Steen, Park, & Peterson, 2005) 강점의 활용은 최적의 기능과 수행이 가능하도록 생각하고 행동하는 능력으로 간주되는데(Linley & Harrington, 2006), Snyder와 Lopez(2003)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장 탁월한 것이 무엇 인지를 이해하는 강점인식과 활용을 위한 노력은 부진과 취약성을 보완하는 과정만큼이나 의미있는 작업이기 때문에 강점의 활용은 최적의 수행을 도모함에 있어 긍정적인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Peterson & Seligman, 2004). 강점의 활용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한 Govindji와 Linley(2007)은 강점의 활용은 성취, 잠재력의 실현, 활력의 증가,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변인이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대표강점을 근무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활용하는 경우 직업에서의 긍정적 경험은 높아질 수 있으며 즐거운 삶, 몰입하는 삶, 의미있는 삶의 경험을 촉진하고 직업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보았다(Hart & Ruch, 2013). 강점의 활용은 정적 정서를 높이고 부정정서를 감소시키며 희망과 효능감을 높이는 심리적 변인이라는 이점을 가지므로(박부금, 이희경, 2012), 보육 교사를 대상으로 성격강점의 중요도와 필요도를 살펴보는 것은 보육교사가 행복한 삶을 설계하고 향유함에 있어서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강점의 인식과 활용에 대한 논의는 긍정심리학적 변인에 기반을 두고 유아교사 교육방안을 구안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로는 성격강점을 추출하여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김미진, 2005; 최윤정, 2009) 성격강점을 전체적 차원에서 변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거나(서현아, 김미옥, 2013; 이형양, 이완정, 2012) 유머, 정서지능, 낙관성 등 개별적 차원에서 변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황해익, 2013;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4a, 2014b;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한종화, 2014)들이 수행되었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를 종합해볼 때, 성격강점은 심리적 안녕감, 행복감, 직무만족도(서현아, 김미옥, 2013; 최윤정, 이경민, 2012)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유아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에서 요구되는 성격강점을 개발 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김성숙, 2013)에서는 영성, 용감성, 자기조절, 학구열, 활력이 낮게 나타났 으며 감사, 사랑, 낙관성, 개방성, 친절성, 유머, 진실성, 시민정신이 높은 성격강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존에 이루어진 성격강점을 측정한 평가도구는 연구자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즉, 예비유아교사의 성격강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VIA-IS의 24 개 강점 중 대표성이 강한 6문항을 선정하여 구성된 권석만(2011)의 간편형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최윤정과 이경민(2012)은 행복과 직무만족이 높은 상위집단군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성격강점을 추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요구도에 대한 다성적 목소리를 듣는 과정은 단일화된 채널로 구성됨에 따라 배제될 수 있는 보육교사의 결핍과 결여의 상태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다성적이고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접근이 기반이 될 때 규범적 요구, 인지된 요구, 표출된 요구, 상대적 요구 등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오인경, 최정임, 2008; Kaufman, Oakley-Brown, Watkins, & Leigh, 2003; Watkins,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교육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성격강점에 대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요구수준, 필요수준,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개인적 차원에서 논의되는 행복은 건강, 관계, 일 성취 등 가정과 사회조직의 번영과 유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며 자신의 직무에 대하여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몰입하고 개입함으로서 감성, 지각, 인성적 측면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Biswas-Diener, 2010; Buckingham, 2008/2009). 보육교사의 직업조직에서 성격강점을 살펴보는 것은 보육교사가 가진 고유한 역할과 가치를 규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유아의 긍정적 내적특성을 형성함에 있어 모델이 되기 때문에 교사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 교사의 행복감은 역할수행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으며(이경민, 2014; 이경민, 최윤정, 이경애, 2012), 보육교사는 영유아를 돌보고 교육함에 있어 한 학급을 책임져야하기 때문에 모든 가치판단의 과정은 책무성이 기반이 된다. 또한 영유아기는 생애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발달의 시기이며, 장시간 보육시간으로 인하여 보육교사가 가진 인성적 측면은 영유아의 생활태도형성과 성취에 결정적인 과정의 질로 역할을 한다(구은미, 김광웅, 2005; 김민정, 2013; 안선희, 2013). 유아 또한 자신의 행복감과 관련되는 주요한 대상으로 유아교사와의 긍정적 관계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3) 보육교사가 요구하는 성격강점을 살펴보는 것은 유아교육현장에서 행복감, 강점의 가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요구사정을 위한 논의는 무엇보다 중요 하다. 현재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의 격차를 의미하는 요구(Needs)는 성장발전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도움을 주며 현재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나 취약점을 발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김석우, 2009; 성태제, 2014). Borich의 요구도분석은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교육대상자의 경력과 전문성 발달을 고려하여 성장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효율적인 방법이며(Garton & Chung, 1996; Layfield & Dobbins, 2002)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육내용을 선정할 때, 교육 목표와 실제수행사이의 간극을 줄여주는데 효과적이다(Borich, 1980). 하지만 교육요구분석을 위하여 기존에 수행된 연구들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응답의 평균과 비율을 바탕으로 살펴보는 연구들이 수행됨에 따라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조대연, 2009). 따라서 교육요구분석은 관련내용의 종사자들의 의견을 단순히 조사하는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한 우선순위를 하는 방향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우선순위 결과는 성격강점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중요하게 다루어야하는 교육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24가지 성격강점 중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이 높은 성격강점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육교사라는 직업군에서 특히 요구되는 성격강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담론화하는데 긍정적 기여를 할 것이며 생명성과 관계성에 기반한 어린이집의 긍정조직문화를 창출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덕목에 대한 교육 요구도 및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 요구도 및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P대학 보육교사교육원 직무연수과정에 참여한 보육교사 230명을 편의 표집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218부가 회수되어 94.78%의 회수율을 보였다. 이 중 설문문항에 무응답이 많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8부를 제외한 자료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보육교사 200명의 일반적 배경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label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면, 근무기간의 설립형태는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가 102명으로 51.0%를 차지하였으며 연령은 45세 이상이 48명으로 24.0%, 교사경력은 1∼3년인 보육교사가 147명으로 73.5%의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학력은 전문대졸은 83명으로 41.5%, 대학교졸은 82명으로 41.0%를 차지하였고 연령은 영아반 136명(68.0%)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2. 연구도구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Borich 요구도모델 관련 연구(조대연, 2006, 2009; 조혜진, 2012; 조혜진, 김옥주, 2012; Alibaygi, & Zarafshani, 2008; Kitchel, Cannon, & Duncan, 2010; Zarafshani, & Baygi, 2008)와 성격강점 관련 연구(손봉기, 2009; 안선영, 2010; Harzer & Ruch, 2013; Proctor, Maltby, & Linley, 2012)를 바탕으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보육교사가 인식한 성격강점에 대한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을 살펴 보기 위하여 5점 척도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바람직한 수준은 관련 성격강점이 보육교사의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정도를, 현재수준은 현재 보육교사의 직무를 수행 할 때 실행하는 정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완성된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에 대한 5문항과 성격강점관련 48문항으로 전체 5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VIA에 제시된 덕목과 성격강점으로 구성된 내용에 대한 개념 및 신뢰도를 살펴보면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label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3. 연구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 설문지 제작이 이루어졌다. 성격강점, 긍정심리학, 요구도 분석 관련 국내․외 논문, 긍정심리학 관련 도서, 연구기관 및 교육행정기관에서 작성한 문헌과 선행연구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둘째, 2014년 7월 3일부터 2014년 7월 10일까지 8일에 걸쳐 보육교사 10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 조사도구의 타당성, 문제점 및 소요시간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구성된 설문지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긍정심리관련 연구를 5편 이상 수행하고 긍정심리학 관련 세미나에 3년 이상 참여한 내용전문가 5인(박사수료 2인, 유아교육과 교수 3인)의 검토를 바탕으로 최종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예비조사과정을 통하여 애매한 문항이나 잘 이해되지 않는 문항을 수정하고 설문지 편집양식을 조절하였다. 셋째, 예비조사 후 완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4년 7월 28일부터 2014년 8월 1일까지 1주간 보육교사 230명을 대상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본 연구목적을 사전에 설명한 뒤, P기 관의 연구협조를 바탕으로 설문지 응답에 수거하기를 희망하는 대상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설문지는 당일 오전에 연구자가 직접 배부한 뒤, 자발적으로 반송 상자에 넣어 회수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4.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분석은 PASW 18.0프로그램과 Excel 2010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역량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검증, Borich(1980)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Mink et al, 1991)를 살펴보는 3단지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교육요구도를 바탕으로 관련 성격강점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조대연(2009)이 제시한 요구우선순위를 결정 5가지 단계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단계별 진행사항을 나타내면 다음 그림 1과 같다.

    1단계는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의 평균차이를 산출하기 위해 PASW 18.0을 활용 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2단계는 Borich 요구도 공식을 통하여 교육요구도 값을 산출하는 과정으로, 1단계에서 도출된 대응표본 t-검증의 결과에 따라 요구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경우,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의 단순 차이만을 비교하여 결과가 도출되기 때문에(박미정, 2008; 이현숙, 조혜진, 2013) Borich(1980)공식을 활용하여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 그림 2에서는 도출된 공식과 “요구되는 수준, 현재수준, 요구되는 수준 평균”에 대한 기술통계분석을 바탕으로 Excel 20.0프로그램을 활용한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3단계는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산출하는 단계로, 좌표평면에 나타내어 시각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Mink, Shultz, & Mink, 1991). 즉, 가로축은 각 항목의 필요수준이며 세로축은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불일치정도를 4분면으로 도식화된다(Zarafshani & Baygi, 2008). 그림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The Locus for Focus 모델(Mink et al, 1991)은 좌표평면으로 구성된 X축의 중앙값은 필요수준의 평균값이며 Y축의 평균값은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1사분면의 값은 요구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영역으로 필요수준이 높으면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불일치 정도가 높은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는 24가지 성격강점을 좌표평면에 Excel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표화하였다.

    4단계는 Borich의 요구도 값 산출을 통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한 뒤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면에 나타난 항목과의 비교하는 단계이다.

    5단계는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결과에 의해 중복 확인된 성격강점을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지표로 결정한다.

    Ⅲ. 연구결과

       1. 보육교사의 덕목에 대한 교육 요구도 및 우선순위

    보육교사의 덕목에 대한 교육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Borich(1980)의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 유형(Mink et al, 1991)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 그림 4와 같다.

    [<표 3>] 보육교사의 덕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label

    보육교사의 덕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육교사가 높게 인식한 덕목에 관한 현재수준으로는 자애(M=3.89, SD=.70)이였으며 지혜 및 지식(M=3.54, SD=.56)에 대한 현재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필요수준이 높게 나타난 덕목으로는 자애(M=4.52, SD=.56)이었으며 초월(M=4.21, SD=.61)에 대한 필요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인식한 덕목에 대한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6가지 덕목 모두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수준보다 필요수준의 평균이 높음을 의미한다. Borich 요구도로 우선순위를 산출한 결과, 정의(3.205), 절제(3.139), 용기(3.110)의 순으로 요구도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초월(2.471) 관련 덕목이 상대적으로 낮은 교육 요구도를 보였다. 이는 현상과 행동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영적 강점을 높이는 ‘초월’관련 강점보다는 개인과 집단 간의 건강한 상호작용을 강조는 ‘정의’, 건강한 공동생활을 도모하고 지나침으로부터 균형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절제’ 및 어려움을 극복하고 목표를 성취하려는 의지적 특성인 ‘용기’에 대한 요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덕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시각화하여 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덕목 필요수준의 평균은 4.329이며, 불일치 수준의 평균은 .685이었다.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결과는 제 1사분면에 포함되는 우선순위 역량으로 ‘정의’ 관련 덕목으로 나타났으며, ‘정의’ 관련 덕목은 사회적 강점과 관련된 것으로 개인과 집단 간의 건강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에 대한 보육교사의 교육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2.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 요구도 및 우선순위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Borich(1980)의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 유형(Mink et al, 1991)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 표 4와 같다.

    [<표 4>]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label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표 4에 나타난 것처럼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중 현재수준이 높은 성격강점으로는 친절성(M=3.95, SD=.78), 감사(M=3.92, SD=.83), 사랑(M=3.91, SD=.83), 진실성(M=3.86, SD=.90), 희망(M=3.82, SD=.8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수준이 낮게 나타난 강점으로는 용감성(M=3.26, SD=.83), 창의성(M=3.32, SD=.79), 영성(M=3.35, SD=1.16), 호기심(M=3.46, SD=.80), 리더십(M=3.49, SD=.83)의 순으로 현재수준이 낮게 인식되었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중 필요수준이 높은 것으로 인식된 성격강점으로는 사랑(M=4.56, SD=.65), 친절성(M=4.50, SD=.63), 사회지능(M=4.50, SD=.65), 감사(M=4.47, SD=.7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성(M=3.83, SD=1.12), 용감성(M=4.09, SD=.80), 창의성(M=4.14, SD=.75), 유머(M=4.16, SD=.75), 호기심(M=4.17, SD=.79)은 필요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성격강점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인식한 성격강점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인식 값을 비교하여 나타내면 다음 그림 6과 같으며 상•하위 성격강점을 도출하여 순위로 나타내면 표 5와 같다.

    [<표 5>]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순위

    label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순위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를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격강점으로 도출된 24가지에 대한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로 우선순위를 산출한 결과, 공정성(3.748), 끈기(3.594), 자기조절(3.480), 창의성(3.415), 용감성(3.395), 리더십(3.381), 신중성(3.354), 용서(3.218), 학구열(3.168), 통찰(3.167)에 대한 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영성(1.838), 진실성(2.376), 개방성(2.381), 감사(2.459), 시민정신(2.491)에 대한 요구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각 성격강점에 대한 우선순위를 시각화하여 나타내면 그림 7과 같다. 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성격강점 필요수준의 평균은 4.315이며, 불일치 수준의 평균은 .682이었으며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결과는 제 1사분면에 포함되는 우선순위 역량으로 ‘공정성’, ‘끈기’, ‘자기조절’, ‘신중성’, ‘학구열’, ‘활력’, ‘사회지능’의 7가지 성격강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1사분면에 위치한 성격강점이 총 몇 개인지를 우선적으로 파악한 후 그 개수만큼 Borich 요구도 값에 의해 파악된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7번째까지 직무역량을 선택하였다. 최종적으로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 방법을 통해 공통적으로 높은 교육요구를 보인 최우선순위 성격강점은 ‘끈기’, ‘신중성’, ‘자기조절’, ‘공정성’의 4가지 성격강점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관련 교육요구 항목을 정리해보면, 다음 표 6과 같다. 이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을 증진하기 위한 교사교육 실시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표 6>]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모델 분석

    label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모델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와 우선순위는 어떠한지 살펴보는 과정을 통하여 보육교사직에서 중시되는 성격강점과 교육 요구도가 높은 성격강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생명성과 관계성에 기반한 어린이집의 긍정조직문화를 창출하는데 필요한 교육 요구도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에 따라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높게 인식한 덕목에 관한 현재수준으로는 자애였으며 지혜 및 지식에 대한 현재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 직무에서 높게 활용되는 성격 강점으로는 다른 사람을 보살피고 친밀해지는 개인관계적 덕목인 자애에 대한 현재수준이 높았으며 더 나은 삶을 위하여 지혜와 이성을 구현하는 인지적 강점을 의미하는 지혜 및 지식덕목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시말해, 보육교사에게 필요한 성격강점으로 일대일의 관계맺음에 의미를 부여하는 자애에 대한 필요수준이 높았으며 세계인인 우주와의 연결성을 추구하고 현상과 행동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 초월적인 영적인 강점으로 구성된 초월관련 덕목이 낮게 나타났다. 긍정심리학에서 제시한 VIA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덕목을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속에서 살펴본 연구(이형양, 이완정, 2012)에서도 보육교사가 보고한 덕목 중 인간애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혜와 지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보고된 덕목으로 비슷한 결과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각 성격 강점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 뒤 성격강점의 현재 실행수준 정도를 5점 평정하도록 제작하 였으나 이형양과 이완정(2012)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선희도를 고려한 성격강점검사(CST) 척도를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서로 다른 척도를 활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격강점검사와 성격강점인식 질문지를 활용하였을 때와 서로 유사한 일치정도를 보였다는 결과(안선영, 2010)의 타당성을 한번 더 입증한 것이다. 자기보고법에 기반하여 자신의 성격강점을 간편형으로 측정하는 방법과 성격강점척도의 평정결과가 유사하다는 주장하는 긍정심리학자들의 의견(Lopez, 2012; Lyubomirsky, 2012; Peterson & Seligman, 2009)과도 일치한 결과이다.

    보육교사가 인식한 덕목에 대한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 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6가지 덕목 모두에서 보육교사의 현재 수준은 이상적인 수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성격강점은 모든 동시대의 문화에서 가치있게 여기는 항목들로 추출되어져 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권석만, 2011; 윤병오, 2011; Donaldson, Csikzentmihalyi, & Nakamura, 2011). 따라서 모든 덕목이 보육교사의 윤리성과 인성을 증진하는데 필요한 교육내용이자 교사에게 필요한 덕목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중 현재수준이 높은 성격강점으로는 친절성, 감사, 사랑, 진실성, 희망이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수준이 낮게 나타난 성격강점으로는 용감성, 창의성, 영성, 호기심, 리더십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성격강점의 빈도를 살펴본 김미진(2015) 및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성격강점을 조사한 김성숙(2012)의 연구에서와 유사하게 사랑, 감사, 낙관성, 친절성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성격강점은 유아교사 직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임영진, 2012)에서도 행복감과 높은 관련성이 보고된 성격강점이다. 하지만 행복도가 높고 직무만족도가 높은 유아교사에게 나타난 성격강점 중 학구열이 상위수준에 있었으나(최윤정, 이경민, 2012)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중 호기심, 창의성 등 지식 및 지혜 관련 성격강점은 낮게 나타났다. 김미진(2015)의 연구에서도 학구열, 영성, 리더십, 창의 성, 용감성이 유아교사에게 드물게 보고되는 성격강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맥을 같이한다. 이는 자연스러운 상황 속에서 생태적 타당도를 극대화하고 심층적 이해를 도모 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일상재구성법(Cain, Depp & Jeste, 2009; Moskowitz & Young, 2006)으로 도출된 김미진(2015)의 결과에서처럼 보육교사는 유치원교사와 달리 장시간 영유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연수참여기회의 부족, 돌보는 역할이 교육활동을 진행하는 역할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가진다는 사회적 인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남에 따라 학구열에 대한 특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보고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보육교사에게 필요수준이 낮게 나타난 성격강점으로는 영성, 용감성, 창의성, 유머, 호기심이었는데, 한국과 일본의 대학생들에게도 영성은 낮은 인식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임영진, 2010; Shimai et al, 2006). 영성과 창의성은 직업생활보다는 개인생활에서 자신을 돌볼 때 활용되는 성격강점이며(Harzer & Ruch, 2013) 종교행사에 참여하거나 기도와 명상을 통하여 절대적인 것, 영원한 것, 성스러움을 추구하는 영성은 지극히 개인적인 관심과 믿음에 기반하여 발현되는 성격강점이기 때문에 필요수준이 낮은 성격강점인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교사의 유머는 교실분위기를 즐겁고 유쾌하게 만들어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허영주, 2009;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4) 유희적 유머감각은 장난기(playfulness)와 결합하여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장난을 억제하려는 요인과 문화는 유머의 가치를 과소평가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교사의 유머는 창의적 분위기를 만들고(진경희, 2012) 직무성과와 일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므로(Miller & Frisch, 2009/2015)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중 필요수준이 높은 성격강점으로는 사랑, 친절성, 사회지능, 감사의 순으로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필요수준이 낮게 나타난 성격강점으로는 영성, 용감성, 창의성, 유머, 호기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는 영유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다른 학교급 교사에 비하여 사랑, 친절과 같은 역할이 많이 요구된다. 즉, 기저귀정리, 이유식하기, 식습관지도, 옷입고 벗기 등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보육계획을 세우고 영유아의 개별적 특성에 맞추어 영유아를 돌보는 과정에서(이영미, 2006; 조혜진, 김옥주, 2012; 탁정화, 황해익, 2012) 관련 성격강점에 대한 필요수준이 높게 인식되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종합해볼 때, 유아교육은 지식을 무장한 교사가 아니라 돌봄과 배려의 교육이 중심이므로(임부연, 최혜림, 2006; Day, 2004/2007; Gilligan. 1982/1994; Noddings, 2002) 사랑, 친절 관련 강점이 높게 보고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보살핌의 과정 속에 교사와 영유아 간의 진정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도덕적 덕목을 경험할 수 있다는 Goldstein(1997/2001)의 접근과 유사한 맥락이다. 특히 친절한 행동을 하는 경우(Lyubomirsky, 2012) 자신을 호의적이고 유능한 사람 인식하고 긍정정서를 높이고 긍정적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Donaldson, Csikzentmihalyi, & Nakamura, 2011; Littman-Ovadia & Steger, 2010) 관련 강점을 보육교사의 직업에서 요구하는 성격강점으로 인식한다면 개인의 플로리시한 삶을 직업적 행복한 삶으로 포괄적으로 확장될 것이다.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24가지 성격강점에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가지 성격강점 모든 영역에서 교육에 대한 요구가 있으며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 파악된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유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는 학구열, 끈기, 활력, 사회지능, 신중성, 자기조절, 공정성의 7가지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특성을 종합하여 공통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교사교육의 내용으로는 끈기, 신중 성, 자기조절, 공정성의 4가지 성격강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사교육을 실시할 때는 끈기, 신중성, 자기조절, 공정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보육교사의 직업군에서 교육 내용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끈기는 난관과 좌절에도 불구하고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지속하는 능력으로 시작한 일을 마무리하고 완수하는 태도를 의미한다(권석만, 2011; Peterson & Seligman, 2009). 보육교사는 영유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연간교육계획안을 바탕으로 월간계획, 일일계획을 세우고 하루일과를 운영하며 영유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봉착하는 문제점에 굴복하지 않고 교사의 삶을 살아가야한다. 끈기는 만족지연, 자기통제, 학습된 근면성 이론과의 관련성 속에서 시작한 일을 마무리하고 완성하는 것에 긍정적 가치를 부여하는 성격강점으로(권석만, 2009) 노력훈련(effort training)과 귀인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끈기를 함양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다양한 방법으로 성격강점을 기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신중성과 자기조절 관련 성격강점은 사적인 욕구나 감정에 얽매이기 보다는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는 일로, 삶의 목표인 도덕적 완성을 이루는 지름길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성격강점이다(조긍호, 2007; 임영진, 2010, 재인용). 여기서 신중성은 조심스러운 선택과 후회할 말이나 행동을 하지 않는 능력이며, 자기조절은 지향하는 목표와 기준에 도달하기 위하여 생각, 충동, 행동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권석만, 2011; Peterson & Seligman, 2009). 이러한 강점은 한국인의 삶과 가치관 속에 내재되어져 있는 유학사상에서 도리이자 한국 교직문화에서 요구되는 이상적 교사상에 해당된다. 게다가 최근 들어 보육교사의 교사교육인 직무교육, 원내장학 등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나 직무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보육교사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도덕관련 측면이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교사의 역할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보육교사 프로그램의 컨텐츠로 담론화 되지 못하여 나타난 문제일 수도 있다. 보육교사의 윤리와 자질에 대한 문제가 최근 들어 대두되고 있는 만큼 신중성과 자기조절 관련 성격강점을 길러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신중성은 급변하고 새로운 흐름에만 가치를 두어 기존의 우리모습을 버리기에만 급급했던 교사문화를 되짚어보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며 자기조절은 교사자신의 문제에서 벗어나 보육교사의 역할과 직무라는 것이 사회적인 공공성을 가진 직무라는 부분을 끊임없이 고찰하고 자신을 반성적으로 회고함으로써 성장하는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공정성은 실제 대표강점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는 강점 중의 하나로, 안선영(2010)는 미인식되는 강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지원을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아동의 성격강점을 부모가 보고한 연구(문용린 외, 2008)에서도 공정성은 지각되지 못한 성격강점의 한 유형이었음에 기반해 볼 때, 보육교사가 스스로의 강점으로 미인식하였기 때문에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하지만 50개국을 대상으로 성격강점의 분포를 살펴볼 때(Park, Peterson, & Seligman, 2006) 공정성은 미국(2위), 영국(2위), 중국(2위), 일본(3위)를 차지하며 전세계적으로 높은 분포를 보이는 성격강점 중의 하나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관련 내용에 대한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교사교육프로그램(김미진, 2015; 최윤정, 이경민, 2012)에서는 행복감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성격강점만을 추출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직업생활과 개인생활에서 다르게 활용될 수 있는 성격강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직업에서 요구되는 성격강점의 특성을 반영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게다가 모든 교사들은 업무처리와 수업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지기도 하며, 모든 학생들에게 공정성의 입장에서 어떻게 동일 화와 개별화를 추구할 것인지에 끊임없이 고민하는 실존적 존재이다(서근원, 2009; 이종각, 1988; 이혁규, 1996). 보육교사들 또한 하루일과를 운영함에 있어서 공평성에 대한 문제에 지속적으로 반성하고 고민하는 소통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보육교사 혼자만의 문제 아니라 함께 나누고 공정한 보육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한 합의의 목소리가 기반이 될 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는 교육과정 운영시 담론화 되지 않고 교사 개인적 역량으로 논의되었던 공정성 관련 논의가 인문학적 소양 및 도덕적, 철학적 특성에 바탕을 두고 어린이집 현장과 연결지어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긍정심리학을 교육분야로 적용한 행복교육(Positive education)을 위한 노력이 미국의 KIPP와 뉴욕주의 Riverdale 학교, 영국의 Wellington 학교, 호주의 Geelong Grammar 학교, Mount Barker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탁정화, 2015). 이렇듯 긍정심리학을 교육적으로 도입하여 학생의 행복한 삶을 위한 노력은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과 동반될 때 그 효과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살펴보는 것은 그동안 행복한 삶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 위주로 연구된 문화를 새롭게 비틀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와의 연관성 속에서 성격강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본 연구는 국가별, 연령별 분포를 연구해오던 흐름에서 벗어나 직업 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성격강점의 인식과 활용정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원교육 및 방안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어린이집의 긍정조직문화를 창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할 성격강점 관련 내용을 바탕으로 한 교사교육의 방안마련 및 담론형성이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방식으로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살펴보았다. 교육요구 도는 교사의 발달단계, 담당연령 등에 따라 강조되는 성격강점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교육요구도 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살펴본 연구로 성격강점 관련 교육을 실시할 때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목표, 관련 내용, 교수학습방법 등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 요구분석의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므로 추후 델파이조사, 포커스그룹 인터뷰, 개념도 등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성격강점과 보육교사의 직무를 연결 시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확장하여 실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반영한 보육교사의 행복증진프로그램이나 개별맞춤식 성격강점 개발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1. 구 은미, 김 광웅 (2005) 영유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 변인의 인과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P.139-157 google
  • 2. 권 석만 (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 긍점심리학의 관점. google
  • 3. 권 석만 (2012)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google
  • 4. 김 미진 (2015) 성격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 행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google
  • 5. 김 미진, 김 병만 (2014)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Vol.23 P.143-162 google
  • 6. 김 민정 (2013)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5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에 미치는 영향. google
  • 7. 김 석우 (2009) 교육평가의 이해. google
  • 8. 김 성숙 (2012) 예비유아교사의 성격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Vol.32 P.35-53 google
  • 9. 김 성숙 (2013) 유아가 인식한 행복의 의미탐색. [유아교육연구] Vol.33 P.377-400 google
  • 10. 문 용린, 원 현주, 백 수현, 안 선영 (2008)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성격 강점 및 덕목 분석. [인간발달연구] Vol.15 P.17-35 google
  • 11. 박 영아, 이 미나 (2014) 한국과 중국 부모가 지각한 유아의 성격강점 비교분석. [유아교육연구] Vol.34 P.327-346 google
  • 12. 서 근원 (2011)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교육인류학의 수업 이해. google
  • 13. 서 현아, 김 미옥 (2013) 유아교사의 성격강점이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Vol.17 P.435-453 google
  • 14. 성 태제 (2014) 현대교육평가. google
  • 15. 손 봉기 (2009) 성격적 강점이 군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6. 안 선영 (2010) 성격 강점에 대한 청소년의 자기 인식 연구. google
  • 17. 안 선희 (2013) 교사-유아관계의 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의 기질과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P.281-299 google
  • 18. 오 인경, 최 정임 (2008)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google
  • 19. 윤 병오 (2011) 긍정심리학의 성격강점과 덕목의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윤리과교육연구] Vol.33 P.155-182 google
  • 20. 이 경민 (2009)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Vol.8 P.165-181 google
  • 21. 이 경민 (2014) 유아와 교사의 행복력 기르기. 한국유아교육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 학술자료집 P.1-17 google
  • 22. 이 경민, 최 윤정, 이 경애 (2012)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Vol.32 P.509-523 google
  • 23. 이 영미 (2006) 멘토링을 통한 2세 영아교사의 보육프로그램 수행 과정 탐색. google
  • 24. 이 종각 (1988) 학교수업방법의 사회문화적 맥락:학교학습탐구. google
  • 25. 이 혁규 (1996) 중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에 대한 일상생활 기술적 사례. google
  • 26. 이 형양, 이 완정 (2012)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Vol.12 P.63-86 google
  • 27. 임 부연, 최 혜림 (2006) 유아교사의 여성성 탐구: 돌봄과 해방 담론의 아이러니. [유아교육연구] Vol.26 P.119-143 google
  • 28. 임 영진 (2010) 성격강점과 긍정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9. 조 대연 (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Vol.35 P.165-187 google
  • 30. 조 대연 (2006) 국내 성인교육훈련의 요구분석 동향: 1990-2005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Anderagogy Tonday] Vol.9 P.85-106 google
  • 31. 조 대연 (2009) 교사 발달단계별 직무역량 요구분석 : 서울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P.365-385 google
  • 32. 조 대연, 박 용호, 김 벼리, 김 희영 (2010) 학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P.293-315 google
  • 33. 조 혜진 (2012)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역량 분석연구. [유아교육연구] Vol.32 P.471-494 google
  • 34. 조 혜진, 김 수연 (2013) 어린이집 신규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직무교육과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P.1-22 google
  • 35. 조 혜진, 김 옥주 (2013) 유치원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와 직무연수과정 분석. [유아교육연구] Vol.33 P.297-319 google
  • 36. 진 경희 (2011) 보육교사의 유머감각과 임파워먼트 및 직무성과 간의 인과모형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P.119-137 google
  • 37. 진 경희 (2012) 어린이집 교사 유머감각과 창의적 분위기와의 관계. [창조교육학회지] Vol.14 P.21-231 google
  • 38. 최 윤정 (2009)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연구: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google
  • 39. 최 윤정, 이 경민 (2012) 유아교사의 행복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강점계발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Vol.32 P.395-416 google
  • 40. 탁 정화 (2015)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P.235-264 google
  • 41. 탁 정화, 황 해익 (2012)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P.73-103 google
  • 42. 하 승수 (2012) 청소년의 성격강점과 기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google
  • 43. 한 종화 (2014)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Vol.18 P.271-287 google
  • 44. 허 영주 (2009) 교사유머의 교육적 효과와 성공적 활용의 조건 및 전략탐색. [교육방법연구] Vol.21 P.115-139 google
  • 45. 황 해익, 강 현미, 탁 정화 (2014a)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Vol.18 P.341-363 google
  • 46. 황 해익, 강 현미, 탁 정화 (2014b)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낙관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Vol.34 P.323-346 google
  • 47. 황 해익, 김 미진, 탁 정화 (2013) 만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2 P.93-122 google
  • 48. 황 해익, 탁 정화 (2014)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3 P.153-177 google
  • 49. 황 해익, 탁 정화, 홍 성희 (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Vol.17 P.411-432 google
  • 50. Alibaygi A., Zarafshani K. (2008) Training needs of Iranian extension agents about sustainability: The use of Borich’s need assessment model. [African Journal of Agriculture Research] Vol.3 P.681-687 google
  • 51. Biswas-Diener R. (2010) Practicing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Assessment,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success. google
  • 52.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Th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l P.39-42 google cross ref
  • 53. Buckingham M. (2009) 나를 가슴 뛰게 하는 에너지 강점. (강주헌 역). google
  • 54. Butler J., Kern M. L. (2013) The PERMA-Profiler: A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flourishing. google
  • 55. Csikszentmihalyi M. (2004)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최인수 역). google
  • 56. Day C. (2007) 열정적으로 가르치기(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 역). google
  • 57. Donaldson S., Csikzentmihalyi M., Nakamura J. (2011) Applied Positive Psychology: Improving everyday life, health, schools, work, and society. google
  • 58. Garton B. L., Chung N. C. (1996) The inservice needs of beginning teachers of agriculture as perceived by beginning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stste supervisors [Journal of Agriculture Research] Vol.37 P.52-58 google
  • 59. Gilligan C. (1994) 다른 목소리로: 심리이론과 여성발달(허란주 역). google
  • 60. Goldstein L. S. (2001) 사랑으로 가르치기: 유아교육에 대한 페미니스트 접근(염지숙 역). google
  • 61. Govindji R., Linley P. A. (2007) Strengths use, self concordance and well-being: Implications for Strengths coaching and coaching psychologists.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Vol.2 P.143-153 google
  • 62. Guse T., Eracleous G. (2011) Character strengths of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Health SA Gesondheid] Vol.16 P.544-550 google cross ref
  • 63. Haines G. (2010) Enriching the context of lifelong learning: The challenge of accessing the authentic self by developing self-knowledge using strengths-based positive psychology measures through teaching pre-service art education. [Action Research] Vol.9 P.426-443 google cross ref
  • 64. Harzer C., Ruch W. (2013) The Application of Signature Character Strengths and Positive Experiences at Work.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4 P.965-983 google cross ref
  • 65. Hooper J. (2013) 아이의 플로리시(우문식, 이명원, 허현자 역). google
  • 66. Huppert F. A., So T. C. (2013) Flourishing across Europe: Application of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defining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110 P.837-861 google cross ref
  • 67. Kitchel A., Cannon J., Duncan D. (2010) Professional development priorities of Idaho Business teachers: An examination of a set of competencies associated with teaching and learning. [The Delta Pi Epsilon Journal] Vol.52 P.138-151 google
  • 68. Littman-Ovadia H., Steger M. F. (2010)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among volunteers and employees: Toward an integrative model.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5 P.419-430 google cross ref
  • 69. Lopez S. J. (2013) The Encyclopedia of Positive Psychology. google
  • 70. Lyubomirsky S. (2012)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오혜경 역). google
  • 71. Magyar-Moe L. (2012) 긍정심리치료: 치료자 가이드.(이훈진, 최현정 역). google
  • 72. Matthews M. D., Eid J., Kelly D., Bailey J. K. S., Peterson C. (2006)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of development military leaders: An international comparision. [Military Psychology] Vol.18 P.57-68 google cross ref
  • 73. Miller C. A., Frisch M. (2015) 나는 이제 행복하게 살고 싶다. (우문식, 박선령 역). google
  • 74. Mink O. G., Shultz J. M., Mink B. P.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google
  • 75. Park N., Peterson C., Seligman M. E. P. (2006) Character strengths in fifty-four nations and the fifty US state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1 P.118-129 google cross ref
  • 76. Peterson C. (2009) 크리스토퍼 피터슨의 긍정심리학 프라이머. (문용린, 김인자, 백수현 역). google
  • 77. Peterson C.,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google
  • 78. Peterson C., Rush W., Beerman U., Park N. S., Seligman M. E. P. (2007) Strengths of character,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2 P.149-156 google cross ref
  • 79. Proctor C., Maltby J., Linley P. (2012) Strengths Use as a Predictor of Well-Be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2 P.153-169 google cross ref
  • 80. Ruch W., Proyer R. T., Harzer C., Park N., Peterson C., Seligman M. E. P. (2010)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German Version and the Development of a Peer-Rating Form.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Vol.31 P.138-149 google cross ref
  • 81. Seligman M. E. P. (2009)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김인자 역). google
  • 82.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google
  • 83. Seligman M. E. P., Csickszenthmihllyi M. (2000)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Vol.11 P.774-788 google
  • 84. Seligman M. E. P., Ernst R. M., Gillham J., Reivich K., Linkins M. (2009) Positive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 and classroom intervention. [Oxford Review of education] Vol.35 P.293-311 google cross ref
  • 85.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Vol.60 P.410-421 google cross ref
  • 86. Shimai S., Otake K., Park N., Peterson C., Seligman M. E. P. (2006) Convergence of character strengths in American and Japanese young adult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7 P.311-322 google cross ref
  • 87. Stir J. (2006) Restructuring teacher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student involvement through a “strengths mod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14 P.830-836 google cross ref
  • 88. Stone L. L., Otten R., Engels R. C. M. E., Vermulst A. A., Janssens J. M. A. M. (2010) Psychometric Properies of the Parent and Teacher Versions of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for 4-to 12-Year Olds: A Review [Clinical Child Family Psychology Review] Vol.13 P.254-274 google cross ref
  • 89. Toner E., Haslam N., Robinson J., Williams P. (2012)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in adolescence: Structure and correlates of the 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for Childre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52 P.637-642 google cross ref
  • 90. Zarafshani K., Baygi A. H. A. (2008) What can a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tell us about in-service training needs of faculty in a college of agriculture? The case of Iran. [Th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Vol.14 P.347-357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 [ <표 2> ]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 [ [그림 1] ]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5단계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5단계
  • [ [그림 2] ]  Borich 요구도 공식 및 Excel 프로그램활용 사례
    Borich 요구도 공식 및 Excel 프로그램활용 사례
  • [ [그림 3] ]  The Locus for Focus 모델
    The Locus for Focus 모델
  • [ <표 3> ]  보육교사의 덕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보육교사의 덕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 [ [그림 4] ]  보육교사의 덕목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인식비교
    보육교사의 덕목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인식비교
  • [ [그림 5] ]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한 덕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결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한 덕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결과
  • [ <표 4> ]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 [ [그림 6] ]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인식비교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인식비교
  • [ <표 5> ]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순위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순위
  • [ [그림 7] ]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한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 결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한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요구도 결과
  • [ <표 6> ]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모델 분석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모델 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