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지역 정체성이 지역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local identity on the local image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지역 정체성이 지역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local image of the residents according to the local identity which consists of the intera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local identity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local community includ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The study can provide the differential perspective of the local image in terms of the analysis the intrinsic local image of the residents, which is contrary to the analysis of the external local image such as the local symbol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intrinsic local image consists of the young image which implies the enterprising spirit, the traditional image which implies the emotional warmth, and the future-oriented image which implies the strong and vivid spiri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of the local identity and those of the local image are al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the local identity on the intrinsic local image show that the more local activities, the more active local image of the resident. The more involvement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local activities, the more positive local image in terms of the evaluative dimension. It also shows that the mor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local community including the affective interaction with the residents, the more emotional ties with the residents.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community has the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the all the components of the local image.

KEYWORD
지역 이미지 , 지역 정체성 , 지역 관여도 , 정서적 유대감 , 지역 신뢰도
  • 1. 문제 제기

    정치, 경제, 문화 등 우리 사회 주요 부문들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으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은 낙후된 지역을 살리기 위해 지역에 대한 관심과 지역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들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그동안 지역 경쟁력은 지역 특산물이나 지역 축제 및 관광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수익 창출 등 주로 지역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 경제 활성화 등 사회 구조적 문제의 해결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지역민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애정, 지역사회에 대한 참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특히,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민이 지역사회에 대해 어느 정도의 관심과 소속감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지역사회 참여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지역 발전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역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소속감은 지역 정체성(local identity)을 통해 나타나게 되는데, 지역 정체성은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반영하는 개념이기도 하다(Puddifoot, 1996).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는 지역민이 지역사회에 대해 갖고 있는 관심과 애정, 그리고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 등을 통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요인들이 지역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지역 정체성이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활동과 참여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성향은 지역 소속감을 반영하는 지역 공동체 의식과도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Anderson, 2010). 즉,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지역 사회 참여율이 높아지고, 이는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을 높여 지역 공동체 의식의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 정체성은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반영할 뿐 아니라 지역적 특성에 따라 차별적 양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면,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사는 지역의 지역민이 인지하는 지역 정체성은 동질적 집단의 지역민이 갖는 지역 정체성에 비해 다층적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Hummon, 1986), 지역 정체성 구성에 지역적 특성이 차별적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역 정체성이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지역 사회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이나 평가 등을 상징하는 지역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지역사회에 대한 참여나 관심 등에 따라 지역에 대한 평가나 태도를 반영하는 지역 이미지 형성에 차별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 이미지는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지역에 대한 직, 간접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지역 이미지가 가정이나 학교, 미디어 등을 통한 사회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는 쿤지크(Kunczik, 1997)의 설명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지역 이미지가 지역에 대한 직접적 경험을 비롯하여, 가정을 포함한 학교나 매스 미디어 등 사회 제도를 통해 얻게 되는 간접 경험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지역 이미지는 특정 지역에 대해 사람들이 갖고 있는 직, 간접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신념이나 인상 등이 총체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지역 이미지는 다양한 지역 정보의 조합과 인지적 과정을 거쳐 나타나게 된다(Kotler, et al., 1993). 볼딩(Boulding, 1956: Elizur, 1987에서 재인용)은 지역 이미지란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하면서, 그 지역에 대해 알고 있는 인지적 차원, 지역에 대해 느끼는 감성적 차원, 지역이나 지역 주민들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적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지역 이미지에 대한 평가는 외부인과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 사이에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처럼 지역 이미지가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상호 관계성을 반영하는 내재적 차원을 포함하여 다각적으로 논의될 수 있음에도 기존의 지역 이미지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지역의 외형적 이미지(최영재, 2009; 김정헌, 2004)나 미디어에 투영된 지역 이미지(이재승‧고영철; 문성민, 2010) 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으며,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반영하는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분석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이 지역성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지역 정체성에 따라 내재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이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분석하여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이 지역에 대한 내재적 평가의 지역 이미지에 어떻게 투영되는지 실증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지역민의 지역 이미지 구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역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지역 정체성 강화 방안을 실용적으로 마련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관련 문헌 연구

       1) 지역과 지역 정체성

    지역 정체성은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는데, 푸디푸트(Puddifoot, 1996)는 지역 정체성이 지리적 구분과 지역 내의 사회적 관계에 따라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이는 지역의 특성과 함께 지역 사회 내에서 지역민이 갖고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관계를 바탕으로 지역 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강형‧문종대(2006)는 지역 정체성 개념을 지리적 공간을 바탕으로 한 우리 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 개념을 설명하면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민들과 지역 사회와의 관계, 소속감 등을 반영하는 것이 지역 정체성이라고 설명한다.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지역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그리고 지역사회 참여를 통한 지역 사회와의 관계 및 소속감 등이 어우러져 지역 정체성으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지역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특성은 지역성과도 상통하는 것인데, 매케인과 로우(McCain & Lowe, 1990)는 지역성이란 지리적 구분과 함께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문화적 가치나 취향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고 설명한다. 지역성이 지역민들의 문화적 가치나 취향을 반영한다는 것은 지역의 사회, 문화적 가치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지역성이 지역 문화를 기반으로 형성된다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지역 문화란 지역민들이 오랫동안 함께 공유한 고유의 생활양식이라고 볼 수 있다(김세철 등, 1997). 즉, 오랜 기간 같은 지리적 공간에서 유사한 가치관이나 생활양식을 공유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이 바로 지역 문화인데, 이러한 지역 문화는 공동체적 성향을 갖게 된다.

    지역의 공동체적 성향은 지역에 대한 결속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버크너(Buckner, 1988)는 이를 응집(cohesion)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지역성이 강하고 지역 사회에 대한 애정이나 상호작용이 활발할 경우, 지역사회와의 응집 성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역적 특성을 갖고 있으면서 지역 사회에 대한 관심이 많고, 지역 사회 내의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지역 사회에 대한 소속감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응집력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한편, 지역 공동체와 관련하여, 앤더슨(Anderson, 2010)은 지역민들의 지역 소속감을 나타내는 지역 공동체 의식(sense of community)이란 개념을 통해 지역 공동체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지역민들이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이 높을수록 지역 공동체 의식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상호 관계도 활발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반영하는 지역 공동체 의식은 복합적 구조로 형성된다고 볼 수 있는데, 맥밀란 등(McMillan & Chavis, 1986)은 이를 구성원의식(membership), 영향력(influence), 통합과 욕구 충족(integration and fulfillment of needs), 정서적 교류(shared emotional connection) 등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들 구성 요인들을 살펴보면, 구성원 의식은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을 반영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영향력은 지역사회에 대한 공헌, 통합과 욕구 충족은 지역민과의 화합과 지역사회 활동에 대한 만족도 등과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정서적 교류는 지역민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유대감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지역 이미지

    일반적으로 이미지(image)는 특정 대상에 대해 개인이 갖고 있는 신념이나 아이디어의 총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감각적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표상이나 지각, 혹은 연상을 통해 느껴지는 감각적 인상이라 할 수 있다(Kotler,1984). 에크너와 리치에(Echtner & Ritchie, 1993)는 이미지를 세 가지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미지 대상의 개별적 속성과 이를 총합하는 전반적 이미지 요인과 기능적이고 심리적인 요인, 그리고 일반적인 속성과 구별되는 차별성등의 요인으로 구분하고 있다.

    지역 이미지는 지역이라는 공간적 구분을 대상으로 형성된다고 볼 수 있는데, 지역 이미지에 대한 개념을 코틀러 등(Kotler et al., 1993)은 특정 지역에 대해 사람들이 갖고 있는 신념이나 이상, 인상 등의 총합으로 나타난다고 설명 한다. 이러한 지역 이미지는 지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조합과 인지적 과정을 거쳐 단순화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Kotler et al., 1993), 쿤지크(1997)는 지역 이미지가 가정이나 학교, 미디어 등 다양한 사회 제도를 통한 사회화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다고 설명한다.

    볼딩(1956)은 지역 이미지란 지역에 대한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특성이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것이라 설명하면서, 이러한 지역 이미지는 거주민들과 외부인들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지역 이미지는 그 지역에 대해서 알고 있는 정도의 인지적 차원, 그 지역에 대해서 느끼는 감성적 차원, 그 지역이나 주민들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적 차원, 그리고 그 지역에 이주하거나 거주, 방문, 투자 여부 등에 관련된 행동적 차원으로 구분 할 수 있지만, 이들 차원이 개별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서로 간에 영향을 주어 혼재된 형태로 나타난다고 설명한다(Avraham & Ketter, 2008).

    지역 이미지는 지방자치단체나 지역민, 관광객 등 그 주체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자신의 경험이나 사회 제도를 통해 얻는 지식이나 정보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영철, 1999). 이는 지역 이미지가 대상과 주체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 이미지와 관련하여 에브라함과 케터(Avraham & Ketter, 2008)는 과거 산업사회에서 산업 도시들은 경제적 문제나 공해, 사회적 불안 등의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었던데 비해 후기 산업사회에 들어오면서 깨끗함이나 고도 산업, 사회 부유층 등의 이미지를 가지려는 성향이 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사회가 발달하고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지역이 원하는 이미지도 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 이미지와 유사한 개념으로 코틀러 등(Kotler et al., 1993)은 장소 이미지(place image)를 들고 있는데, 그들은 장소 이미지를 “풍성한(rich)" 혹은 ”빈약한(poor)" 이미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풍성한” 이미지는 사람들이 그 지역에 대해서 직, 간접 경험이나 다양한 정보 등을 통해 많이 알고 있는 경우에 해당되며, 이에 비해 “빈약한” 지역 이미지는 그 지역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거나 정보 채널이 극히 제한적인 경우에 해당된다고 설명한다.

    지역으로서 도시 이미지는 도시와 관련된 정보와 연상 등을 통해 갖게 되는 신념이나 아이디어, 인상의 총합이라고 볼 수 있다(Gertner & Kotler, 2004). 스턴과 크라코버(Stern & Krakover, 1993)는 도시 이미지는 인지적 이미지와 평가적 이미지, 감정적 이미지가 결합되어 총체적 도시 이미지를 형성한다고 하였다. 린치(Lynch, 1960)는 도시를 중심으로 지역 이미지를 설명하고 있는데, 그는 지역민과 지역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유사한 문화적, 사회경제적 특성을 가진 개인들은 유사한 도시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3) 지역 이미지 관련 연구 경향

    지역 이미지가 지역에 대한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특성이 조합되어 나타나는 것이며, 인식 주체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에도(Boulding, 1956: Elizur, 1987에서 재인용), 기존 지역 이미지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지역의 외형적 이미지나 미디어에 투영된 지역 이미지를 중심으로 논의 되어 왔다. 지역 상징물을 통해 지역 이미지를 분석한 연구들로는 서울시의 상징물 분석(서울시정개발원, 2005)과 강원도의 상징물 분석을 통해 강원도의 이미지 분석을 시도한 연구(최영재, 2009) 등이 있다. 대구시에 대해서는 섬유산업과 패션, 사과, 한약 등 지역적 특성과 특산물을 반영한 지역 상징물을 중심으로 이미지 분석을 하기도 하였다(김정헌, 2004).

    미디어에 투영된 지역 이미지에 대한 연구로는 제주시를 대상으로 분석한 고영철‧최낙진(2008)의 연구가 있는데, 이들 연구에서는 제주시가 관광 산업 위주의 이미지에서 문화, 예술, 스포츠 개최지로 이미지가 변화하고 있음을 분석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국내 관광 자원지의 이미지에서 국제적인 휴양관광지로 제주시의 이미지가 확장되고 있음을 밝힌 연구(문성민, 2010)도 있다.

    이밖에, 지역 이미지 효과에 대한 국내 연구들은 주로 지역 홍보 차원에서 그 효과가 논의되어 왔는데, 문광석‧김찬석(2012)은 천안시의 이미지 특성과 이에 따른 지역 주민들의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바 있으며, 이수범 등(2004)은 시민 관계성 개념을 중심으로 인천시의 도시 이미지를 분석하기도 하였다.

    한편, 지역 마케팅 차원에서 장소 브랜딩(place branding) 개념을 사용하여 도시 이미지를 분석한 연구들도 있는데, 김유경‧최장원(2006)은 도시브랜드 개념을 사용하여 도시의 경쟁력을 분석한 바 있으며, 박한나(2008)는 서울과 부산 지역의 도시 이미지를 도시브랜드 개성으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상훈‧최일도(2007)는 부산, 대전, 대구, 광주, 울산, 인천 등 6개 광역 도시의 이미지를 도시 브랜드 개성과 연계하여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도 하였다. 오주연(2012)은 국내 도시 뿐 아니라 국제 도시들 간의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여 뉴욕, 북경, 시드니, 도쿄, 파리, 서울의 도시 이미지를 도시 브랜드 차원에서 비교, 분석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지역 이미지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지역의 상징물 등 외형적 특성이나 미디어에 투영된 지역 이미지 등 외부인이 인지하는 지역 이미지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또한 지역 홍보나 지역 마케팅 차원에서 분석한 지역 이미지도 대외적 관점에서 그 효과가 분석, 논의되고 있다. 관련 문헌에서 밝힌 바와 같이, 지역 이미지가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에서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나타나고, 인식 주체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에도 기존 지역 이미지 연구들은 미디어나 외부인 등 대외적 시각을 중심으로 그 효과가 논의되어 왔다. 즉,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이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에서 인지하는 내재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아직 미흡하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지역 정체성이 지역민이 인지하는 지역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가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 이미지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시도하고, 지역민의 지역 이미지 구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3. 연구 문제 및 가설

    지역 정체성은 지역적 특성과 함께 지역민과 지역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지역사회 관계성을 내포하는 개념이다. 지역 정체성이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소속감과 정서적 유대감, 지역사회에 대한 관여도 등을 포함하는 지역 공동체 의식과 상통하는 면이 있다. 지역 공동체 의식은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을 바탕으로 지역민들의 의식구조를 반영하게 되는데, 지역민의 지역 및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는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역 이미지가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복합적 구조이면서 인식 주체에 따라 차별적 이미지 구성이 가능함에도, 기존 지역 이미지에 대한 연구들은 지역 상징물이나 미디어에 투영된 이미지 등 대외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를 중심으로 그 효과가 논의되어 왔다. 이에 비해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이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지역 정체성에 따른 내재적 지역 이미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이미지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위해 지역민의 지역성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반영하는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대외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가 아닌,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이 인지하는 지역 이미지 분석을 통해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이 지역 이미지 구성에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나고, 차별적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를 분석하기에 앞서, 지역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의 구성 요인들을 먼저 분석하고,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를 단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상정하고자 한다.

    지역 이미지는 지역에 대해 개인이 갖는 표상이나 지각 등 감각적 인상을 포함하며, 이 과정에서 지역에 대한 개인의 직, 간접 경험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역 이미지는 지역에 대한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인식이 총체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외향적 차원에서 인지되는 지역 이미지가 아닌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이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분석을 통해 내재적 차원에서 인식되는 지역 이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지역민이 인식하는 지역 이미지 분석을 통해 지역 이미지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지역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지역 정체성 강화 방안을 모색 해보고자 한다.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 분석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4. 연구 방법

       1) 조사 방법 및 절차

    본 연구는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반영하는 지역 정체성이 지역에 대한 평가 및 태도로 나타나는 지역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일대 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는데, 조사 대상은 전북 전주시의 대학생들과 전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 방법으로는 전주 지역 대학생들과 성인들을 대상으로 할당 표집을 사용하였다. 표집 과정에서 응답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를 고려하여 표본을 선정하였으며 설문 조사는 2013년 9월 28일부터 10월 7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 지역을 전주시로 선정한 이유는 전주시가 중소도시로서 대도시와는 구별되는 점이 있으며, 전통성이나 문화적 측면에서 동질성이 높아 지역 정체성에 따른 효과 분석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2) 표본의 특성

    본 연구의 총 응답자수는 280명이었으며, 이들 중 불성실한 응답자들을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한 표본은 273명이었다. 표본의 성별 분포는 남성이 48.9%, 여성이 51.1%였으며, 직업별 분포는 학생 27.1%, 직장인 36%, 자영업자 13.9%, 주부 12.5%, 기타 10.5%로 나타났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38.26세(SD=12.18)였으며, 학력 분포는 고졸 24.3%, 대학 재학 및 졸업이 63.6%,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이 12.1%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현 거주지의 평균 거주 기간은 19.82년(SD=14.86)이었다.

       3) 연구 변인의 측정

    (1) 지역 정체성

    지역 정체성은 지역적 특성과 함께 지역민과 지역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형성된다.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은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이나 친밀감, 관여도를 높인다는 점에서 지역 공동체 의식과도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정체성을 지역적 특성과 함께 지역 사회와의 관계성을 반영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항목들을 측정하였다. 지역 정체성 측정은 지역 정체성이 지역사회 소속감과 친밀감, 관여도 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앤더슨(2010)이 사용한 지역 공동체 의식 관련의 일부 항목들과 지역 정체성 연구에서 사용한 항목들(이강형‧문종대, 2006) 중 일부를 선정하여 측정에 사용였다.

    측정에 사용한 항목들은 ‘나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관심이 많다’, ‘나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주민들에 대해 관심이 많은 편이다’, ‘나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애정이 많다’, ‘나는 지금 살고 있는 지역에서 노후를 보내고 싶다’,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을 자랑스럽게 말한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은 나에게 매우 따뜻한 느낌을 주는 편이다’, ‘지역 사회에 문제가 생길 경우, 내가 살는 지역의 지역민들이 이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등을 포함한 총 18개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지역 정체성 관련 항목들을 요인 분석한 결과, 지역 애정도(평균값 3.41, SD= .77, α=.88), 지역 관여도(평균값 3.14, SD= .64, α=.86), 정서적 유대감(평균값 2.53, SD= .60, α=.68), 지역 신뢰도(평균값 3.16, SD= .64, α=.73) 등의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 요인들은 추후 분석에서 개별적으로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2) 지역 이미지

    지역 이미지는 지역에 대해 갖고 있는 신념이나 이상, 인상 등이 결합하여 총체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인식들이 총합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이미지는 인식 주체에 따라 차별적 효과를 가질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역 이미지를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이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인지하는 내재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에서 지역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에크너와 리치에(1993)가 제시한 이미지 요소들과 엘리저(1987)의 연구에서 제시한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이미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측정 항목을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지역 이미지에 대한 측정은 모두 20개의 항목으로 측정하였는데, 이들 항목들은 ‘부유하다’, ‘따뜻하다’, ‘젊다’, ‘세련되다’, ‘활기차다’, ‘창의적이다’, ‘품위 있다’, ‘진취적이다’, ‘전통적이다’, ‘평화롭다’, ‘믿을 수 있다’, ‘정감이 있다’, ‘미래지향적이다’, ‘강인하다’, ‘다양하다’, ‘친근하다’, ‘친절하다’, ‘생동감 있다’, ‘자유롭다’, ‘화려하다’ 등이다. 이들 각 항목에 대한 평가는 5점 척도(1점-전혀 그렇지 않다, 5점-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다. 이들 측정 항목들은 요인 분석을 통해 주요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분석 결과 활기찬 이미지(평균값 2.71, SD=.70, α=.92), 친근한 이미지(평균값 3.42, SD=.68, α=.90), 미래지향적 이미지(평균값 2.61, SD=.97, α=.72) 등 세 가지 차원의 이미지로 구분되었다. 이들 요인들은 추후 분석에서 개별적으로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5. 연구 결과

    본 연구는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반영하는 지역 정체성을 중심으로 지역 이미지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지역의 상징물이나 외부인이 인식하는 외형적 지역 이미지와는 달리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이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갖게 되는 지역사회 소속감이나 유대감, 관여도 등을 바탕으로 지역민이 인지하는 내재적 지역 이미지 분석이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를 분석하기에 앞서, 지역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의 구성 요인에 대한 분석을 먼저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를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문제 1>에 대한 분석 결과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측정 항목들을 대상으로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역 정체성은 지역에 대한 애정 및 만족도를 나타내는 지역 애정도(α=.88),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지역 참여도를 반영하는 지역 관여도(α=.86), 지역민들과의 정서적 관계를 나타내는 정서적 유대감(α=.68), 지역민들에 대한 지역 신뢰도(α=.73) 등 네 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요인들은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상호 관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역민이 지역사회에 대해 갖는 소속감이나 관여도 등을 나타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들 네 요인들은 추후 지역 정체성 효과 분석에서 각 요인별로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역 정체성 분석에 이어, 지역 이미지 구성 요인들에 대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역 이미지 측정 항목들을 요인 분석 한 결과, 지역 이미지는 세 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요인들은 젊고, 세련되고 진취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활기찬 이미지(α=.92)와 전통성과 함께 따뜻하고 정감을 느끼는 친근한 이미지(α=.90), 강인함을 바탕으로 한 미래지향적 이미지(α=.72)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지역 이미지 요인들은 추후 분석에서 개별적으로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표 1>]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에 대한 요인 분석

    label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에 대한 요인 분석

    [<표 2>] 지역 이미지에 대한 요인 분석

    label

    지역 이미지에 대한 요인 분석

       2) <연구 문제 2>에 대한 분석 결과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 분석에 앞서, 지역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 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역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 요인 간의 상호 관계는 정서적 유대감과 활기찬 이미지, 그리고 미래 지향적 이미지 간의 상호 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간의 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지역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 간의 상관관계 분석

    label

    지역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 간의 상관관계 분석

    요인 별 연관성을 살펴보면, 지역 애정도와 활기찬 이미지나 친근한 이미지, 미래지향적 이미지와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관여도 역시 세 가지 이미지 요인들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유대감의 경우 다른 지역 정체성 요인들과는 달리, 친근한 이미지와의 연관성은 높게 나타났으나 활기찬 이미지나 미래지향적 이미지와의 상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지역 신뢰도 요인은 활기찬 이미지나 친근한 이미지, 미래 지향적 이미지와 모두 유의미한 상호 관련성을 나타냈다.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 분석은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들을 모두 독립변인으로 하고 지역 이미지 요인들을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아래 <표 4>에 제시되었는데, 우선 지역 정체성에 따른 활기찬 이미지 효과는 지역 애정도(β=.399, p<.001)와 지역 신뢰도(β=.253, p<.001)가 높을수록 지역에 대해 활기찬 이미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지역과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과 신뢰가 클수록 거주 지역에 대해 활력과 생동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이 클수록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고 이에 따라 지역민이 인지하는 지역 이미지가 보다 역동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표 4>] 지역 정체성 요인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label

    지역 정체성 요인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친근한 이미지의 경우, 지역 애정도(β=.405, p>.001)와 정서적 유대감(β=.182, p>.001), 지역 신뢰도(β=.345, p>.001)가 높을수록 친근한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역과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과 신뢰가 높고, 지역민과 정서적 유대가 높을수록 지역에 대한 친근한 이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적 유대감의 경우, 다른 지역 이미지와는 달리 친근한 이미지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 지역민과의 정서적 유대관계가 지역사회에 대한 정감을 표현하는 친근한 이미지 형성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활기찬 이미지나 친근한 이미지, 미래지향적 이미지 중 친근한 이미지가 지역에 대한 정감이나 신뢰 등 감성적 측면을 내포하고 있어 정서적 유대감 요인과 상통하는 것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미래지향적 이미지 효과는 지역 애정도가 높고(β=.170, p>.05), 지역 관여도(β=.217, p>.01)가 높을수록, 그리고 지역 신뢰도(β=.145, p>.05)가 높을수록 미래지향적 이미지 효과가 크게 나타나, 지역과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과 신뢰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지역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정체성 요인 별 지역 이미지 효과를 비교, 분석해 보면, 지역 애정도는 활기찬 이미지나, 친근한 이미지, 미래지향적 이미지 모두에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 지역과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이 많을수록 모든 지역 이미지 요인들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지역 관여도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활기찬 이미지나 친근한 이미지 형성에는 부적 영향력을 보인 반면, 미래지향적 이미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결과에 대한 보다 자세한 논의는 뒷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흥미로운 것은 정서적 유대감과 지역 관여도에 따라 상반된 지역 이미지가 나타난 것이다. 즉, 지역 관여도가 높을수록 미래지향적 이미지가 높게 나타난 반면, 정서적 유대감이 높을수록 친근한 이미지가 높게 나타난 것이다. 지역 관여도는 지역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논의 등 적극적인 지역사회 참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역사회 활동에 적극적인 지역민은 지역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지역사회와 정서적 유대감이 높은 지역민은 지역과의 감성적 교류를 반영하는 친근한 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역 관여도 효과와는 대조를 보였다.

    지역 신뢰도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는 활기찬 이미지나 친근한 이미지, 미래지향적 이미지 모두에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가 내재적 지역 이미지 평가에 상당히 긍정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반영하는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분석을 통해, 지역민이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형성되는 지역사회 소속감이나 유대감, 관여도 등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들이 내재적 지역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에 따른 차별적 지역 이미지 형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지역 상징물이나 지역의 외형적 이미지를 분석한 기존의 지역 이미지 분석 시각과는 달리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를 분석하여, 내재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 구성 효과를 분석하였다는데 기존 연구들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 논의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역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 구성 요인

    먼저, 지역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 구성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지역 정체성은 지역에 대한 애정과 만족도를 나타내는 지역 애정도,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지역 관여도, 지역민과의 정서적 교류를 나타내는 정서적 유대감, 지역민에 대한 지역 신뢰도 등으로 구분되었다.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역설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역 정체성 강화를 통한 지역민의 지역사회 소속감을 높이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의 분석을 통해, 지역 정체성 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여도를 높이고 정서적 유대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 이미지는 젊고 진취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활기찬 이미지와 전통성과 함께 따뜻한 정감을 포함하는 감성적 차원의 친근한 이미지, 강인함을 바탕으로 한 평가적 차원의 미래지향적 이미지로 각각 구분되었다. 이는 볼딩(1956)이 구분한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 속성과도 상통하는 것으로, 지역민이 인식하는 지역 이미지가 복합적 구조로 구성됨을 보여준다.

       2)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 분석 결과, 지역과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과 신뢰가 높을수록 지역에 대해 활기찬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역 사회에 대한 애정이 많을수록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고 이에 따른 지역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역민으로서 지역사회 내에서의 활동이 활발할수록 내재적인 지역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쳐 보다 역동적인 지역 이미지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지역 애정도와 정서적 유대감, 지역 신뢰도가 높을수록 친근한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역에 대한 애정과 신뢰가 높고 정서적 유대관계가 깊을수록 감성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지역 애정도와 지역 관여도, 지역 신뢰도가 높을수록 지역에 대한 미래지향적 이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에 대한 참여와 관여도가 높을수록 평가적 차원의 인지성향이 높아져 지역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 분석에서 흥미로운 것은 정서적 유대감과 지역 관여도에 따라 인지하는 지역 이미지가 상반되게 나타난 것이다. 즉, 지역 관여도가 높을수록 미래지향적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난 반면, 정서적 유대감이 높을수록 친근한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난 것이다. 지역 관여도는 지역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논의나 지역사회 활동 등 지역사회 내에서 적극적인 참여활동을 반영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현안에 대한 논의나 지역사회 활동 등 활발하게 지역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지역 미래에 대해 평가적 차원의 긍정적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절대적이라는 주장에 대한 실증적 뒷받침이기도 하다.

    이에 비해 지역사회와 감성적 교류를 나타내는 정서적 유대감에 따라 친근한 이미지 효과가 높게 나타난 것은 지역사회 내에서 지역민과 유대 관계가 깊고 정서적 교류가 많을수록 지역에 대한 정감 등 감성적 인지성향이 높아져 지역사회와 친밀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지역 신뢰도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가 감성적, 평가적 차원에서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지역민의 지역 이미지 고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지역 정체성이 지역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는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내재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 지역민의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는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역민이 인지하는 지역 이미지가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에서 차별적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지역 내에서 지역사회 활동이 활발할수록 역동적인 지역 이미지를 갖는 것을 확인했으며,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여도를 높이고 정서적 유대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 사회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지역민의 지역사회 소속감을 높일 뿐 아니라 지역 정체성 강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민이 인식하는 지역 이미지 고양을 위해서는 무엇 보다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 사회 구조의 수도권 집중이라는 편향적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지역의 자생력을 높이고,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무엇보다 지역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 소속감을 높이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지역 정체성 강화를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는 것이 지역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갖는 몇 가지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 자료의 수집 과정에서 할당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제한점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지역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을 선정하여 지역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 조사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지역 이미지와 관련하여 인지적,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항목들을 중심으로 측정되었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차원의 지역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민이 인식하는 지역 이미지와 관광객 등 외부인이 인식하는 지역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는 작업도 추후 연구를 통해 논의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반영하는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분석을 통해 지역 이미지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시도하고,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지역 이미지 효과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역민의 지역 이미지 구성 효과와 지역 발전을 위한 지역 정체성 강화 방안 및 지역 이미지 고양책을 모색해 보았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참고문헌
  • 1. 고 영철 (1999) 제주도 이미지에 관한 연구 [사회발전연구] Vol.15 P.169-224 google
  • 2. 고 영철, 최 낙진 (2008) 중앙일간지에 나타난 제주 이미지 연구 [정책연구] Vol.38 google
  • 3. 김 세철 (1997) 지역사회와 언론 google
  • 4. 김 유경, 최 장원 (2006) 장소브랜드의 역할과 전략적 관리에 대한 개념적 고찰 [동서언론] P.3-32 google
  • 5. 김 정헌 (2004) 지역활성화를 위한 지역 identity 및 이미지 인식 실태와 과제 [행정논총] Vol.2 P.229-328 google
  • 6. (2012) 지방자치단체 환경행정 이미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Vol.56 P.26-48 google
  • 7. 문 성민 (2010) 신문으로 본 제주관광발전사(1960-1979) google
  • 8. (2005) 서울시 이미지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 연구 [공개 토론회자료집] google
  • 9. 오 주연 (2012) 도시 브랜드 이미지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4 P.182-217 google
  • 10. 이 강형, 문 종대 (2006) 지역민들의 ‘지역 정체성’이 지역뉴스 시청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Vol.6 P.342-377 google
  • 11. 이 상훈, 최 일도 (2007) 도시브랜드 개성의 유형과 형성 요인에 대한 연구: 6개 광역도시를 대상으로 [광고학연구] Vol.18 P.57-73 google
  • 12. 이 수범, 신 성혜, 최 원석 (2004) 시민 관계성이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Vol.15 P.7-31 google
  • 13. 이 재승, 고 영철 (2012) 국제방송 뉴스에 나타난 제주지역 이미지: Arirang TV, KBS, MBC, SBS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Vol.26 P.530-574 google
  • 14. 최 영재 (2009) 강원도 비전 이미지와 브랜드 창출 전략 google
  • 15. 최 일도, 박 한나 (2008) PR 캠페인을 통해 대학생 계층이 인식하는 도시브랜드 개성 유형과 태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과 부산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광고학연구] Vol.19 P.237-254 google
  • 16. Anderson M. R. (2010) Community psychology, political efficacy, and trust [Political psychology] Vol.31 P.59-84 google
  • 17. Avraham E., Ketter E. (2008) Media strategies for marketing places in crisis: improving the image of cities, countries, and tourist destinations google
  • 18. Buckner J. C. (1988)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neighborhood cohes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6 P.771-791 google
  • 19. Echtner C. M., Ritchie B. (1993) The measurement of destination image: An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31 P.3-13 google
  • 20. Elizur J. (1987) National images google
  • 21. (2004) How can a place correct negative image? [Place Branding] Vol.1 P.50-57 google
  • 22. 박 기순, 박 정순, 최 윤희, Grunig J., Hunt T. (2006) Managing Public Relations, PR의 기능과 운영 google
  • 23. Kotler P. (1984)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and control(5th ed.) google
  • 24. (1993) Marketing places google
  • 25. Kunczik M. (1997) Images of nations and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google
  • 26. Lynch K. (1960) The image of the city, Mass google
  • 27. McCain T. A., Lowe G. F. (1990) Localism in Western European Radio Broadcasting: Untangling the Wireles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0 P.86101 google
  • 28. McMillian D. W.,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a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4 P.6-23 google
  • 29. Puddifoot J. E. (1996) Some initial considerations in the measurement of community ident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4 P.327-336 google
  • 30. Stern E., Krakover S. (1993) The formation of a composite urban image [Geographical Analysis] Vol.25 P.130-146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에 대한 요인 분석
    지역 정체성 구성 요인에 대한 요인 분석
  • [ <표 2> ]  지역 이미지에 대한 요인 분석
    지역 이미지에 대한 요인 분석
  • [ <표 3> ]  지역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 간의 상관관계 분석
    지역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 간의 상관관계 분석
  • [ <표 4> ]  지역 정체성 요인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지역 정체성 요인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