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 비영리 CC BY-NC
ABSTRACT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KEYWORD
교사 , 학습자 , 연구 동향 , 교사 요인 , 학습자 요인
  • 1. 들어가며

    한국어 교수·학습의 과정은 한국어와 한국에 관한 교수·학습의 내용을 매개로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수·학습의 내용에 관한 연구와 해당 방법론 관련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된 데 반해 한국어 교실의 중요한 인적 구성원인 교사와 학습자에 대한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연구는 드물다.

    2000년 이후 2010년까지 발표된 연구 동향 관련 연구들 16편1) 중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연구는 찾아볼 수 없고 2011년에 발표된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 동향 연구들2)은 대부분 한국어교육의 내용에 해당하는 주제들이다.3) 또한 연구 동향 관련 연구는 2012년에 6편,4) 2013년에 7편5) 등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한국어 교실의 두 주체라고 할 수 있는 교사와 학습자에 초점을 맞춘 연구 주제는 소수에 불과하다.6) 강승혜(2011)의 연구는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있으나 이정희(2011)의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이 제외되어 있어 진정한 의미에서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7). 상대적으로 한국어교육 분야 연구에서 교육 내용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많이 수행됨으로써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 자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물의 동향을 살펴본 연구가 드물어 최근까지 수행된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한국어교육 연구의 하위 주제로서 교사와 학습자 연구에 대한 반성과 향후 과제를 짚어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 전체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 이후 최근까지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의 연도별 동향을 살펴본다. 둘째,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들의 유형별(학위논문/학술지) 동향을 살펴본다. 셋째,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의 대상별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넷째,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의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1)이들 16편은 강승혜(2003ㄱ), 김상수·송향근(2006ㄱ), 김상수· 송향근(2006ㄴ), 박수연(2006), 이주희(2007), 나카가와 마사오미(2008), 마쯔자키 마히루‧나카가와 마사오미(2008), 윤여탁(2008), 김희섭·최윤정(2009), 장미경(2009), 강현화(2010), 권혜경(2010), 신은경(2010), 왕연(2010), 이유미(2010), 지현숙(2010) 등이다.  2)2011년 이중언어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지 47호에 실린 기획 논문들의 연구 주제들을 말한다.  3)이들 연구물 중 한국어교육의 내용에 해당하는 주제들은 한국어 발음 교육, 어휘 교육, 문법 교육, 표현 교육, 이해 교육, 담화와 화용 교육, 한국문화 및 한국 문학 교육 외에 교재 관련 연구들이다.(강현화, 2011; 김영규, 2011; 방성원, 2011; 정명숙, 2011; 정희정, 2011; 최정순, 2011; 송향근, 2011; 한상미, 2011;  황인교, 2011)  4)강승혜(2012), 이미혜(2012), 조용준(2012), 조은영· 심윤진‧안재린‧김영규(2012), 최정순(2012), 최정순‧윤지원(2012) 등이다.  5)강현화(2013), 김영주‧백준오(2013), 박석준‧김용현(2013), 박지순(2013), 박혜경(2013), 윤경원(2013), 이화숙(2013) 등이다.  6)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 동향(강승혜, 2011)과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이정희, 2011)이 있다.  7)구체적으로 이정희(2011)의 연구는 한국어 교사관련 연구 중 교사 교육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고 강승혜(2011)의 연구는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 관련 연구 중 교사 교육만 분석에서 제외함으로써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총체적인 연구 동향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2.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

       2.1. 연구 절차

    2.1.1. 분석 대상 선정

    연구의 분석 대상 연구물들은 한국어교육 연구 분야에서 비교적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는 2000년 이후 지금까지 발표된 학술 논문들이다.8) 연구 유형별 자료로는 국내 대학(원)에서 발표된 석사,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등을 수집하여 분류, 분석하였다.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물도 포함시켜 분석하였다.9)

    2.1.2. 자료 수집 절차

    자료 수집 절차와 방법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인 RISS 검색엔진을 통해 ‘한국어 교사’, ‘한국어 학습자’ 등의 핵심어 검색을 통해 1차 검색하여 전체 목록을 구성하였고 이들 목록 중 검토하여 적합 여부를 판단한 후 2차 목록을 작성하였다. 학위논문과 학회지 논문은 RISS에서 제공하고 있는 연구물들을 수집하여 목록을 구축하였고 재검토 작업을 위해 한국어교육 관련 학회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학회지 등을 검색하여 본 연구의 대상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2.2. 분석 방법

    분석 대상에 적합한 자료의 범위를 정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전체 목록을 구축한 결과 총 255편의 분석 대상 연구물들을 기초로 한국어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전체 연구물 목록을 연도별, 유형별, 주제별 분류 코드를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연도별 분류는 해당 연구물이 발표된 연도를 말하며 유형별 분류는 연구의 발표 유형을 학위 논문과 학회지로 구분하였다. 학위 논문의 경우 석사 학위 논문과 박사 학위 논문으로 구분하였으며 한국어교육 관련 주요 학회지를 중심으로 구분하였다.10) 주제별 분류의 경우 크게 대상에 따라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 한국어 학습자 관련 연구, 한국어 교사-학습자 관련 연구 등으로 분류하고 각 주제별로 하위 주제로 분류하였다.

    8)국내에서 발표된 학위 논문과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등을 중심으로 심사 학술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나 대학 내 연구소 등에서 간행된 학술지도 포함시켰다. 단,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 보고서와 학술대회 발표집 등에 실린 자료들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9)이중언어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지로 간행된 제47호에 실린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의 연구물들을 재검토한 후 포함시켰다.  10)분석 결과에서는 학술지 전체 편수로 제시하였으나 학술지는 ‘이중언어학’, ‘한국어교육’, ‘기타 학술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중언어학’의 경우 1983년 1호가 창간되었고 ‘한국어교육’의 경우 1989년에 1권이 ‘한국말교육’으로 창간되었다. 이 두 간행물이 한국어교육 관련 학슐지로서 1980년대부터 간행된 핵심적인 학술지로 자리잡았다고 할 수 있다.

    3.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3.1. 연도별 연구 동향

    한국어 교사, 학습자 연구의 연도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도표 3-1>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0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2001년부터 10편 내외로 발표되던 추세가 2008년 이후 좀 더 증가 추세로 수행되다가 2011년 이후 지난 3년간(2011-2013) 전체의 37%를 차지하는 연구 수행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3.2. 유형별 연구 동향

    발표된 유형에 따라 연구물들을 학위 논문과 학술지로 구분했을 때 학위 논문(석, 박사 포함)이 전체의 56%(143편)을 차지할 만큼 주를 이루고 있다. 이들 학위 논문 중 박사학위 논문이 8편이 발표되었던 것이 눈에 띄는 점이다. 2010년 은선경(2010)의 연구를 비롯하여 2011년에 2편, 2012년에 4편, 2013년에 1편 발표되었다.11) 또한 학술지의 경우 전체 112편으로 나타나 학위 논문과 학술지 연구물이 거의 비슷한 비율과 연구물들이 발표되었다.12)

    연도별‧유형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2000년대 전반(2000-2005)에 석사학위 논문 29편인데 반해 2000년대 후반(2006-2010)에 57편으로 두 배 가까운 논문들이 발표되었고 2011년부터 2014년 전반까지 50편에 가까운 논문들이 발표됨으로써 석사학위 논문의 경우 2000년 이후 학위논문의 양적인 증가가 현저히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학술지의 경우 역시 2000년대 전반에 28편, 2000년대 후반에 37편, 2010년대 전반(2014년 전반까지) 47편의 연구물들이 발표되면서 양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3.3. 연구대상별 연구 동향

    한국어 교사, 학습자 연구들을 연구 대상별로 ‘교사’, ‘학습자’, ‘교사-학습자’로 구분했을 때13) 연구대상별 연구 동향의 분포는 다음 <도표 3-3>과 같다. 이전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자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반면 본 연구의 경우 교사 관련 연구가 102편, 학습자 관련 연구 120편, 교사-학습자 관련 연구가 33편으로 집계되었다.

    연도별‧연구대상별 연구 동향의 경우 2000년대 전반과 2000년대 후반 모두 학습자 관련 연구가 교사 관련 연구에 비해 거의 2배 가까이 많이 수행되었으나14) 2010년대 전반15)의 경우 교사 관련 연구가(53편) 학습자 관련 연구(31편)보다 훨씬 많이 수행되었다.

       3.4. 주제별 연구 동향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들은 <표 3-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대상에 따라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 한국어 학습자 관련 연구, 한국어 교사-학습자 관련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표 3-1>] 주제별 연구 분류 기준 및 분포

    label

    주제별 연구 분류 기준 및 분포

    첫째,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들의 하위 주제로는 교실 내 교사말(혹은 교사 발화)을 중심으로 교사의 교수 전략적 측면의 피드백 등에 관련된 연구(35편), 다양한 한국어 교사 요인 관련 연구(20편),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37편), 한국어 교사의 역할 및 자질에 관련된 연구(10편)로 나눌 수 있다.

    둘째, 한국어 학습자 관련 연구들의 경우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시 사용하는 전략을 중심으로 학습과정에서 사용하는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35편), 학습자 요인 관련 연구(67편), 교육과정 개발이나 교재개발을 위한 학습자 대상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18편)로 나눌 수 있다.

    셋째, 한국어 교사-학습자 관련 연구들은 교실 운영을 비롯한 교실 내 활동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교수-학습 전략, 교실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16편), 교사와 학습자 요인에 관한 연구(13편),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요구 분석 연구(4편)로 분류할 수 있다.

    3.4.1.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 동향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교사말(혹은 교사 발화), 교사 피드백 관련 연구(35편) 둘째, 교사 요인 관련 연구(20편) 셋째, 교사 교육 관련 연구(37편) 넷째 교사의 역할 및 자질 관련 연구(10편) 등이다.

    교사 관련 연구 동향의 연도별 동향을 살펴보면, 2000년대 전반 16편, 2000년대 후반 33편, 2010년대 전반 53편 등으로 지속적으로 연구물이 발표됨으로써 양적으로 매우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왔다고 할 수 있다. 2000년대 전반에는 교사말, 교수전략 관련 연(7편)구와 교사 역할과 자질에 관한 연구(4편) 등이 다른 주제에 비해 많았다. 2000년대 후반의 경우는 주로 교사 교육 관련 연구들(19편)이 가장 많았고 교사말, 교수 전략 관련 연구(7편)가 발표되었다. 교사 관련 연구의 하위 주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교사말, 교사 피드백 관련 연구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 총 102편 중 교사말, 교사 피드백 관련 연구(35편)가 교사 교육 관련 연구(37편) 다음으로 많이 수행된 주제로 나타났다. 교실 내 교사가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연구들에서 ‘교사 언어’는 ‘교사말(한상미, 2001ㄱ; 강수경, 2009; 서정애, 2011)’, ‘교실 언어(곽부모, 2004)’, ‘교사 발화(문선미, 2007; 백승주, 2011; 김상수, 2013; 백승주, 2013, 이미향, 2013)’, ‘교수 언어(이원기, 2013)’, ‘메타 언어(홍은실, 2005; 장혜진, 2008)’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교사말이 대화상의 발판(scaffold)이 되도록 기능하는 측면에서 교사말을 ‘스캐폴딩(scaffolding)’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는데(진제희, 2002; 정미혜, 2009) 이를 ‘디딤말하기(scaffolding)(김주은, 2013)’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사 언어’ 중 교사의 문법 설명의 측면에서 ‘언어 사용(홍윤의, 2004)’, ‘문법 용어(김호정‧김은성‧남기영‧박재현 2012)’ 등의 용어를 사용한 연구도 있었다. 교실 내 교사가 사용하는 언어에 관해서는 학습자 모어 사용에 관한 연구(축문영, 2012)도 있었다.

    교사 피드백에 대한 연구들 중에는 쓰기 관련 교사 피드백(이수민, 2002; 박주현 2007; 이유림‧김영주 2013; 박영지, 2013; 송운옥, 2014)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이외에 교실 내 한국어 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심규성, 2007), 한국어 교사의 신체언어를 분석한 연구(한승희, 2009) 등 한국어 교사의 비언어적 교실 언어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2) 교사 요인 관련 연구

    교사 요인 관련 연구들은 교사 집단의 특성을 밝히거나 교사 관련 요인으로 수행된 연구들을 말하는데 교사 요인으로는 ‘교사 효능감’에 관련된 연구(안정민, 2011; 안정민‧김재욱 2011; 정지은, 2012; 이경, 최은지‧류선숙 2013)가 많았고 스트레스, 불안 등 정의적 요인에 관련된 연구(심상민‧정아름 2011; 연준흠, 2011; 윤지원, 2013), 한국어 교사의 문화적 요인에 관련된 연구들(원미진, 2009; 김민성, 201216); 이민경, 2013)이 있으며 교수 행위 요인에 대한 연구(최효선, 2010; 이기영, 2012)도 수행되었다. 특히, 연준흠(2011)의 연구의 경우 초보 교사들의 일지를 분석하여 불안 요인 등을 분석한 질적 연구와 같이 연구 방법적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또한 교사 요인 관련 연구 중 비원어민 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Fraschini, 2012)와 필리핀 한국어 교사에 대한 연구(Bae Kyung Min‧Jay Ar M., 2012) 등 비원어민 교사에 관한 연구도 몇 편 소개되었다. 교사 요인 관련 연구는 비교적 몇 가지 주제에 제한되어 수행된 경향이 나타났다.

    3) 교사 교육 관련 연구

    교사 교육 관련 연구는 <표 3-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어 교사 대상 요구 분석 연구, 교사 교육과정 혹은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수요목 및 교과목 관련 연구, 교사 평가 관련 연구, 그 밖의 제도 및 정책 관련 연구 등이다.17)

    [<표 3-2>] 교사 교육 관련 연구의 하위 주제별 연구 동향 분포

    label

    교사 교육 관련 연구의 하위 주제별 연구 동향 분포

    첫째, 한국어 교사 대상 요구 분석 연구는 강현화(2002), 신인환(2008), 황인진(2008), 최문석(2012) 등 4편이 있다. 이들 중 두 편의 연구는 러시아 지역(강현화, 2002), 카자흐스탄(황인진, 2008)과 같이 해외 지역 한국어 교사들에 관련된 연구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둘째, 교사 교육 교육과정 혹은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들로 교사 양성 과정에 대한 연구만 아니라 재교육 과정 혹은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들(이정희‧김중섭 2006; 최유하 2007; 박지순‧최진희, 2010; 서상영, 2011; 백인선, 2012)이 수행되었다. 언어권으로는 일본(최은규‧안경화 2003), 중국(이정희‧김중섭 2006), 우즈베키스탄(안여경, 2010) 지역에 대한 연구가 있으며 사이버 혹은 인터넷 활용 교사 교육에 대한 연구(김중섭‧조현용‧이정희, 2006; 육효창, 2013)도 발표되었다. 교사 교육 연구의 하위주제별 연구 중 교육과정 혹은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16편).

    셋째, 교사 교육 교육과정의 교수요목 혹은 교과목에 관한 연구로 ‘국어학’(김제열, 2004), ‘이문화 교육’(양민애, 2008), ‘한국어 교육실습’(김유미, 2009; 손상미, 2010), 한국어 교사의 수업 구성에 대한 연구(진대연, 2009)가 있으며 이외에 교사 교육용 교재(김선정, 2010) 등을 들 수 있다.

    넷째, 교사 교육 관련 연구 중 교사 평가 관련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관리와 평가(안경화, 2011), 교사의 자기 평가(김새롬, 2010; 백장미, 2014), 한국어 교사 교수 평가(원초희, 2013) 등이 있다.

    다섯째, 교사 교육 관련 기타 연구로는 교사 양성 제도(최은규, 2002; 김준희, 2006; 박춘태·권연진 2010), 한국어 교육자 네크워크 구축 방안(조항록, 2011),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이정희, 2011) 등 의 연구들이 있다.18)

    4) 교사의 역할 및 자질 관련 연구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 중 한국어 교사의 역할 및 자질에 관한 연구는 주로 한국어 교사의 역할 혹은 자질에 대한 연구(민현식, 2005; 고경숙, 2008; 김세진, 2010; 김은주, 2011; 원해영, 2013),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이나 교수 지식 관련 연구(김경주, 2001; 정대현, 2011)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3.4.2. 한국어 학습자 관련 연구 동향

    한국어 학습자 관련 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의사소통 전략과 학습 과정에서 사용하는 학습 방법 및 학습 전략에 관련된 연구 둘째,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인에 관련된 연구 셋째, 학습자 대상 요구 분석에 관련된 연구들이다. <도표 3-6>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요인 관련 연구가 67편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전략이나 학습 전략에 관련된 연구가 35편, 학습자 대상 요구 분석이 18편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관련 연구의 연도별 동향을 살펴보면, 2000년대 전반에는 학습자들의 학습전략, 의사소통전략에 관한 연구(11편)나 학습자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10편)에 비해 학습자 요인에 관한 연구(14편)가 좀 더 많이 발표되었다. 2000년대 후반 역시 학습자 요인에 관한 연구(33편)가 학습전략, 의사소통전략에 관한 연구(10편)나 요구 분석 관련 연구(5편)보다 많았다. 2010년대 전반 역시 학습자 요인(18편) 연구가 다른 연구들에 비해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1) 학습 전략, 의사소통 전략 관련 연구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전략이나 학습 전략은 언어 기능별로 구분할 때 다음 <도표 3-7>에 제시된 바와 같은 분포로 나타났다. 말하기 관련 의사소통 전략이나 학습 전략에 관한 연구 11편, 듣기 전략 훈련 1편, 쓰기 관련 전략 5편, 읽기 관련 전략 12편, 2개 이상의 전략을 포함하는 통합 전략 6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능별로 읽기 관련 전략 연구와 말하기 관련 전략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표되었다.

    2) 학습자 요인 관련 연구

    전체 학습자 관련 연구 중 67편으로 학습자 요인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는데 학습자 요인을 구체적으로 구분해 보면 <도표 3-8>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의 학습 일반에 관한 연구(11편), 인지적 요인 관련 연구(13편), 정의적 요인 관련 연구(25편), 사회문화적 요인 관련 연구(16편), 기타 2편의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정의적 요인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이들 중에서도 11편이 불안(학습 불안, 읽기 불안, 쓰기 불안, 언어 불안 등) 관련 연구로 나타났다.

    3) 학습자 요구 분석 관련 연구

    학습자 요구 분석 관련 연구는 대부분 교육과정 혹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강승혜, 2003ㄴ; 전수정, 2004; 김정선, 2005; 임미경, 2005; 황현주, 2006; 김미강, 2008; 김혜원, 2013; 이혜지, 2013; 이윤혜, 2014)과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강승혜, 2003ㄷ; 김해동, 2004; 이정희, 2004; 추혜정, 2004; 김정우, 2005; 강현화, 2006)으로 나눌 수 있다.

    3.4.3. 한국어 교사-학습자 관련 연구 동향

    한국어 교사-학습자 관련 연구19)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 교실 내 교사-학습자 상호작용 관련 연구(16편) 둘째, 교사-학습자 요인 관련 연구(13편) 셋째, 교사-학습자 대상 요구 분석 관련 연구들(4편)이다.

    1) 교사-학습자의 교수-학습 전략, 교실 상호작용 관련 연구

    한국어 교사-학습자 관련 연구 중 교실 내 상호작용 즉, 교사 질문과 교사-학습자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이경수, 2007; 이진영, 2007; 이유영, 2010; 김옥란, 2013), 교사 피드백이나 오류 수정에 대한 학습자 관련 연구(진제희, 2005; 이석란, 2009; 최은정·김영주 2011; 김영규‧설수연 2013; 정혜란, 2013), 선호 학습 방법(권미정, 2001) 등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다.

    2) 교사-학습자 요인 관련 연구

    교사-학습자 요인으로 구분된 것은 교사나 학습자와 관련되는 인지적, 정의적, 문화적 요인 관련 연구들(안진명, 2003; 김병선, 2006; 이추연, 2010; 남명애‧김영주 2011; 엄상란, 2011)과 기타 특정 요인에 대한 교사-학습자의 인식 관련 연구(공민정, 2011; 김창구, 2011; 김희영, 2012; 원해영‧손주희‧안희은 2012; 호욱문‧김영주, 2013)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교사-학습자 대상 요구 분석 관련 연구

    교사-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요구 분석의 경우는 한국어 수업에 대한 교사-학습자 요구 분석(신쪼오 후토시, 2004; 최수진, 2008; 방성원‧우인혜 2008)과 한국 문화 교육 항목 선정을 위한 교사-학습자 대상 요구 분석 연구(홍지혜, 2013) 등 총 4편이 발표되었다. 신쪼오 후토시(2004)의 경우 일본내 고등학교에서 수행되는 한국어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을 시도하여 다른 연구들과 차별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11)박사학위 논문으로 2011년에 백승주(2011), 손성희(2011)의 연구, 2012년에 김민성(2012), 백인선(2012), 조윤경(2012), Fraschini,(2012)의 연구, 2013년에 민진영(2013)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12)학술지 112편의 경우 ‘이중언어학’이 21편, ‘한국어 교육’이 23편, ‘기타 학술지’가 68편으로 나타났다.  13)이하 ‘교사’는 ‘한국어 교사’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며 ‘학습자’의 경우도 ‘한국어 학습자’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14)2000년대 전반 교사 관련 연구 16편, 학습자 관련 연구 35편 발표되었고 2000년대 후반에는 교사 관련 연구 33편, 학습자 관련 연구 54편 발표되었다.  15)2010년대 전반이란 2011-2014년 2월 기준을 말하며 이하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16)김민성(2012)의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국제학교 한국어 교사들의 학교 내 교사 역할의 적응과정을 밝힌 연구로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사 역할이 아닌 대부분 계승어로서의 한국어(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KHL) 학습자들이 대상인 다른 측면의 한국어 교사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17)이정희(2011: 723)의 연구에서는 교사 교육의 하위 주제를 네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첫째, 교사 자질 둘째, 교사 양성 및 재교육 관련 셋째, 교사 정책 넷째, 기타(교사 성찰 등) 등으로 구분하였다.  18)국립국어원에서 발간되는 ‘새국어생활’ 제21권 제3호에서 특집으로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의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한국어 교원과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 한국어 교원 양성 전반에 대한 다양한 주제들의 논문들을 소개하고 있다.  19)교사-학습자 관련 연구의 분류 기준은 연구 대상이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과 교사 집단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특정 요인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 집단의 인식 등 교사와 학습자가 동시에 관련되는 연구들을 이 연구 주제에 포함시켰다.

    4.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의 방향과 과제

    지금까지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교사와 학습자 관련 연구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유형별 연구 동향에서 밝힌 박사 논문 8편 중 5편(백승주, 2011; 김민성, 2012; 백인선, 2012; 조윤경, 2012; Fraschini, 2012)이 교사 관련 연구로 발표되었다는 것은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 분야가 전문성을 갖춘 연구 주제로 변모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위 논문은 상대적으로 폭넓고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고 학문적인 성과로 발표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교사 관련 연구 분야가 수준을 갖추어 가는 분야로 발돋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방법 측면에서 대화 분석, 내러티브 탐구, 델파이 기법 등 다양한 연구 방법들을 도입, 적용한 점은 연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요건을 갖추어가는 긍정적인 측면이라 평가할 수 있다. 한국어교육 연구 분야에서 교사, 학습자 관련 연구의 하위 주제 중 교사와 학습자 요인에 대한 연구는 다른 주제에 비해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이 요구되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학위 논문뿐 아니라 학술지 논문 혹은 연구들에서도 다양하고 타당한 연구 방법의 활용을 통해 요인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나 연구 대상 자체에 대한 탐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주제별 연구 동향에 나타난 특징을 중심으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교사 관련 연구와 학습자 관련 연구 두 가지 주제 연구 동향을 비교해 볼 때 학습자 관련 연구(120편)가 교사 관련 연구(102편)보다 다소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지나치게 불균형하게 수행된 것이 아니라는 점은 교사 관련 연구와 학습자 관련 연구 모두 한국어교육 분야 연구 주제로서 균형 있게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사 요인이나 교사의 역할 및 자질에 관련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어 이들 주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교사 요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사 집단의 특성을 밝히고 교사들에 대한 이해가 좀 더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이나 역할에 대해 적절한 논의가 선결되어야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사 관련 연구와 학습자 관련 연구의 하위 주제를 비교해 볼 때 교사말(교사 발화) 관련 연구(35편)와 학습자가 사용하는 전략 관련 연구(35편)는 동일한 수의 연구가 수행된 데 반해 교사 요인 관련 연구(20편)와 학습자 요인 관련 연구(67편)는 학습자 요인 관련 연구가 3배 이상 더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교사 관련 연구보다 학습자 관련 연구에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됨으로써 학습자 집단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이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들에게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사 요인을 밝히는 연구가 좀 더 많이 수행될 필요성에 대해서는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교사 집단에 대한 바른 이해가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교사 관련 연구의 하위 주제 중 교사 교육 관련 연구도 비교적 많이 수행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37편) 교사 교육 관련 연구의 하위 주제 중에서는 교사 교육 교육과정 혹은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들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는데(16편) 교사 교육 교육과정 혹은 프로그램은 크게 교사 양성과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하여 교사 양성 과정에 대한 반성과 검토도 필요하지만 한국어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한국어교육 현장의 교사들의 경력이 축적됨에 따라 경력 교사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내용들을 정기적으로 제공할 때 한국어교육 현장이 질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교사 교육 관련 연구의 하위 주제 중 기타 주제로 분류된 한국어교원제도 혹은 정책 관련 연구들이 좀 더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학계의 논의들을 통해 궁극적으로 한국어 교사의 지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행위로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어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자격과 요건들이 타당한가에 대한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논의를 비롯하여 자격을 갖춘 전문적인 교사들을 위한 지원 및 관련 정책 연구들 또한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 중 절실히 요구되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1. 강 수경 (2009) 한국어 교실에서의 교사말 연구: 메타언어적 기능을 중심으로 google
  • 2. 강 승혜 (2003ㄱ)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한국어 교육>] Vol.14 P.1-27 google
  • 3. 강 승혜 (2003ㄴ) 한국문화 프로그램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 요구분석: 일본 학습자 집단과 중국 학습자 집단의 비교 [<한국어교육>] Vol.14 P.1-29 google
  • 4. 강 승혜 (2003ㄷ)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분석: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학습자를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28 P.251-286 google
  • 5. 강 승혜 (2011)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P.687-712 google
  • 6. 강 현화 (2002) 해외 한국어 교사 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논의: 러시아 지역의 현지연수와 국내연수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Vol.13 P.21-38 google
  • 7. 강 현화 (2006) 외국인 학습자의 문화 요구조사: 문화교재 개발을 위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1 P.99-128 google
  • 8. 강 현화 (2010)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 동향 및 전망 : 연구사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Vol.155 P.39-78 google
  • 9. 강 현화 (2011)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방법론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P.453-479 google
  • 10. 고 경숙 (2008) 문화 간 의사소통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사의 역할 [<언어와 문화>] Vol.4 P.1-20 google
  • 11. 공 민정 (2011) ‘좋은’ 한국어 교사에 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 연구 google
  • 12. 곽 부모 (2004) 한국어교사의 교실언어 차이 연구: 남?여 한국어교사의 성선호적 언어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google
  • 13. 권 미정 (2001)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 방법 선호도 비교 [<한국어교육>] Vol.12 P.299-322 google
  • 14. 권 혜경 (2010) 한국어 읽기교육 연구의 흐름과 동향 [<언어학연구>] Vol.16 P.1-26 google
  • 15. 김 경주 (2001)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Vol.8 P.69-91 google
  • 16. 김 미강 (2008) 해외 입양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google
  • 17. 김 민성 (2012) 국제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google
  • 18. 김 병선 (2006) 외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교사와의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교사의 심리적 부적응에 관한 연구 google
  • 19. 김 상수 (2013) 한국어 교사 발화에 나타난 발문 전략 연구 [<한국어학>] Vol.60 P.167-188 google
  • 20. 김 상수, 송 향근 (2006ㄱ) 한국어 교육의 오류분석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P.1-33 google
  • 21. 김 상수, 송 향근 (2006ㄴ) 한국어 발음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학>] Vol.33 P.155-183 google
  • 22. 김 새롬 (2010) 한국어 교사의 자기 평가 연구 google
  • 23. 김 선정 (2010) 한국어 교사 교육용 교재의 개발 현황 및 개발 방향 [<교육문화연구>] Vol.16 P.59-83 google
  • 24. 김 세진 (2010) Tandem학습법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 google
  • 25. 김 영규 (2011) 한국어 이해 교육의 연구 경향 분석 [<이중언어학>] P.403-422 google
  • 26. 김 영규, 설 수연 (2013) 한국어 쓰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 및 선호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 Vol.24 P.109-138 google
  • 27. 김 옥란 (2013) 초급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질문 연속체 분석 연구: 교사?학습자 간 상호작용 과정을 중심으로 google
  • 28. 김 유미 (2009) ‘한국어 교육실습’ 교과목의 교수요목과 교육방안연구: 한국어교육 전공 학부과정을 대상으로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6 P.355-384 google
  • 29. 김 은주 (2011) 한국어교육에서의 교사 역할 연구 google
  • 30. 김 정선 (2005)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 언어?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원어민 영어 보조 교사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google
  • 31. 김 정우 (2005)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국 교수?학습자들의 요구분석 연구 [<한국어교육>] Vol.16 P.99-129 google
  • 32. 김 제열 (2004) 한국어 교사 교육을 위한 국어학 교수 요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29 P.87-116 google
  • 33. 김 주은 (2013) 한국어 교실에서의 교사의 디딤말하기(scaffolding) 양상 연구 google
  • 34. 김 준희 (2006)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의 실태와 전망: 국어기본법 시행 이후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Vol.18 P.37-65 google
  • 35. 김 중섭, 조 현용, 이 정희 (2006) 인터넷을 활용한 한국어 교사 교육 사례 연구 [<우리말연구>] Vol.18 P.261-289 google
  • 36. 김 창구 (2011) 구어 오류 처치에 대한 한국어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조사 [<동북아 문화연구>] Vol.27 P.61-81 google
  • 37. 김 해동 (2004) 외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학습자의 요구 비교: 한국어 학습자와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29 P.1-38 google
  • 38. 김 혜원 (2013) 웹기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학습자 지원 기능을 중심으로 google
  • 39. 김 호정, 김 은성, 남 가영, 박 재현 (2012) 한국어 교사의 등급별 문법 용어 사용 실태 [<국어교육>] Vol.139 P.589-616 google
  • 40. 김 희섭, 최 윤정 (2009) 중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동북아 문화연구>] Vol.19 P.169-186 google
  • 41. 김 희영 (2012)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언어 학습 신념 연구 google
  • 42. 나카가와 마사오미 (2008)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일본어교육에서의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한국어 교육>] Vol.19 P.1-30 google
  • 43. 남 명애, 김 영주 (2011) 교사의 동기 전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이 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새국어교육>] Vol.87 P.327-351 google
  • 44. 마쯔자키 마히루, 나카가와 마사오미 (2008) 일본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에서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Vol.5 P.87-114 google
  • 45. 문 선미 (2007) 교실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는 교사 발화 전략 연구 google
  • 46. 민 진영 (2013)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원 학업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google
  • 47. 민 현식 (2005) 21세기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 [<한국어교육>] Vol.16 P.131-168 google
  • 48. 박 수연 (2006) 한국어 학습 사전의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P.35-53 google
  • 49. 박 영지 (2013)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면담 피드백과 서면 피드백을 중심으로 google
  • 50. 박 주현 (2007) 교사 피드백 방법이 한국어 학습자 작문의 형태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교육] Vol.18 P.131-154 google
  • 51. 박 춘태, 권 연진 (2010) 교원 양성 제도와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원 수급 제고 [<언어와 문화>] Vol.6 P.163-182 google
  • 52. 방 성원 (2011)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P.591-626 google
  • 53. 방 성원, 우 인혜 (2008) 몽골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요구 분석 [<국어국문학>] P.509-535 google
  • 54. 백 승주 (2011) 한국어 교사 발화에 나타난 관여 유발 전략 google
  • 55. 백 승주 (2013) 예비 한국어 교사의 교사 발화 분석: 모의 문법 수업 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P.115-149 google
  • 56. 백 인선 (2012) 실시간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교사 현직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google
  • 57. 백 장미 (2014) 한국어 교사를 위한 자기평가 도구 개발 연구 google
  • 58. 서 정애 (2011) 초급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말 실태 연구: 문법 설명을 중심으로 google
  • 59. 손 상미 (2010) 한국어 교육실습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google
  • 60. 손 성희 (2011)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전략 분석 연구 google
  • 61. 송 운옥 (2014) 교사 피드백 유형이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google
  • 62. 송 향근 (2011) 한국어 교육의 대조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P.263-305 google
  • 63. 신 은경 (2010)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백양인문논집>] Vol.15 google
  • 64. 신 인환 (2008) 해외파견 전 한국어교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해외봉사단 한국어교사 훈련을 중심으로 google
  • 65. 신쪼오 후토시 (200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분석 연구: 일본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google
  • 66. 심 규성 (2007) 한국어 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교실 상황을 중심으로 google
  • 67. 심 상민, 정 아름 (2011) 한국어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우리말 글>] Vol.53 P.137-173 google
  • 68. 안 경화 (2011) 한국어교사의 관리와 평가 [<어문학논집>] Vol.30 P.127-150 google
  • 69. 안 여경 (2010)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google
  • 70. 안 정민 (2011) 한국어 교사 교육 능력 향상을 위한 교사 효능감 연구 google
  • 71. 안 정민, 김 재욱 (2011) 한국어 교사의 교사 효능감 연구 [<이중언어학>] P.109-132 google
  • 72. 안 진명 (2003) 한국어 학습에서의 학습양식 연구: 한국어 교사와 언어권별 학습자를 중심으로 google
  • 73. 양 민애 (2008) 한국어 교사 교육에서의 이문화(異文化)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이중언어학>] P.235-262 google
  • 74. 연 준흠 (2011) 초보 한국어 교사의 교사일지에 나타난 자신감과 불안 분석 google
  • 75. 왕 연 (201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와 문화>] Vol.6 P.201-238 google
  • 76. 원 미진 (2009) 한국어 교사의 이문화간 소통능력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어교육>] Vol.20 P.85-105 google
  • 77. 원 초희 (2013) 한국어 교사 교수 평가 방안 연구 google
  • 78. 원 해영 (2013) 한국어 교사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리말연구>] Vol.33 P.139-165 google
  • 79. 원 해영, 손 주희, 안 희은 (2012) 한국어 성취도 평가에서의 교사와 학습자간 난이도 불일치에 대한 연구 [<교육혁신연구>] Vol.22 P.1-23 google
  • 80. 육 효창 (2013) 재외 한글학교 교사 사이버연수 과정의 현황과 과제: 만족도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P.283-315 google
  • 81. 윤 여탁 (2008) 다문화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현실과 방법론 [<국어교육연구>] Vol.22 P.7-34 google
  • 82. 윤 지원 (2013)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Vol.10 P.99-129 google
  • 83. 은 선경 (2010)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google
  • 84. 이 경, 최 은지, 류 선숙 (2013) 아동 대상 한글학교 한국어 교사의 교수 방법과 교사 효능감 [<한국어교육>] Vol.24 P.365-390 google
  • 85. 이 경수 (2007) 중급 한국어 교실에 나타난 교사-학습자 구두 상호작용 양상: 동아시아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google
  • 86. 이 기영 (2012) 한국어 교사의 교수 행동과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상관관계 연구: 교사의 시선 처리 관찰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Vol.9 P.211-233 google
  • 87. 이 미향 (2013) 한국어 교사 발화에 나타난 외국인 말씨의 언어 유형별 기능 연구 [<이중언어학>] P.151-182 google
  • 88. 이 민경 (2013) 문화학습이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예비 한국어교사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9 P.109-135 google
  • 89. 이 석란 (2009) 교사의 오류 수정 유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6 P.457-485 google
  • 90. 이 수민 (2002)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사 피드백이 학생 수정에 미치는 영향 google
  • 91. 이 원기 (2013) 한국어 교사를 위한 교수언어 교육내용 연구 google
  • 92. 이 유림, 김 영주 (2013) 교사의 피드백 방법이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내 어휘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9 P.165-191 google
  • 93. 이 유미 (2010) 한국어 교육에서의 화용 연구 동향 및 전망 [<어문논집>] Vol.43 P.97-115 google
  • 94. 이 유영 (2010) 한국어 교실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교사 질문 훈련의 효과 google
  • 95. 이 윤해 (2014) 학령기 자녀교육을 위한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학교생활지도에 관한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google
  • 96. 이 정희 (2004) 한국어 부교재 개발에 관한 학습자 요구 조사 및 구성 방안 [<이중언어학>] P.233-254 google
  • 97. 이 정희 (2011)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P.713-733 google
  • 98. 이 정희, 김 중섭 (2006) 중국 대학 한국어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이중언어학>] P.227-251 google
  • 99. 이 주희 (2007) 한국어의 음절구조에 대한 연구 경향과 전망 [<한국언어문학>] Vol.61 P.57-81 google
  • 100. 이 진영 (2007) 교사의 질문이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01. 이 추연 (2010)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동기 유발에 관한 연구: 학습 환경(수업, 교사, 학습자 집단)을 중심으로 google
  • 102. 이 혜지 (2013) 중도입국 자녀 대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분석 연구 google
  • 103. 임 미경 (2005) 학습자 중심 문화교육을 위한 요구조사 비교 연구: 일본인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google
  • 104. 장 미경 (2009) 한국어 교육의 조사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우리어문학회>] Vol.33 P.547-581 google
  • 105. 장 혜진 (2008) 어휘 설명 시 한국어 교사의 메타언어 분석: 심리어휘 및 개념 어휘의 설명을 중심으로 google
  • 106. 전 수정 (2004) 학문 목적 읽기 교육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분석 연구 google
  • 107. 정 대현 (2011) 한국어 경력교사의 교수 지식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Vol.41 P.581-612 google
  • 108. 정 명숙 (2011)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이중언어학>] P.423-451 google
  • 109. 정 미혜 (2009) 초급 학습자의 수정된 출력을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 연구 [<이중언어학>] P.361-394 google
  • 110. 정 지은 (2012) 한국어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교사의 배경 변인과 직무환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google
  • 111. 정 혜란 (2013) 이메일을 통한 수정적 피드백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12. 정 희정 (2011) 한국어문법교육방법론의 연구 동향 및 과제 [<이중언어학>] P.481-506 google
  • 113. 조 윤경 (2012) 교사의 학습자 모어 사용이 교실 상호작용과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14. 조 항록 (2011) 한국어 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방안 [<한국어교육>] Vol.22 P.223-256 google
  • 115. 지 현숙 (2010) 한국어교육학에서 제재를 중심으로 한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시학과 언어학>] Vol.18 P.17-42 google
  • 116. 진 대연 (2009) 한국어 교사의 수업 구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Vol.34 P.429-466 google
  • 117. 진 제희 (2002) 교실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교사의 역할: 스캐폴딩의 관점에서 [<한국어교육>] Vol.13 P.243-264 google
  • 118. 진 제희 (2005) 한국어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과 학습자 반응 연구 P.371-390 google
  • 119. 최 문석 (2012) 한국어 듣기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연구 [<국어국문학>] Vol.161 P.281-320 google
  • 120. 최 수진 (2008) 효율적인 한국어 회화 수업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중국 대학의 교수와 학생의 학습 방법 선호도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Vol.14 P.51-70 google
  • 121. 최 은규 (2002)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의 실태 및 제안 [<국어교육연구>] Vol.9 P.5-37 google
  • 122. 최 은정, 김 영주 (2011) 한국어 초급 교실에서의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과 학습자 반응 [<응용언어학>] Vol.27 P.107-129 google
  • 123. 최 정순 (2011) 한국어 표현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 P.383-402 google
  • 124. 최 효선 (2010) 한국어교원의 의사소통 유형과 교수행동과의 상관관계 연구 google
  • 125. 추 혜정 (2004)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어 교재 구성을 위한 학습자 요구 조사: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google
  • 126. 축 문영 (2012)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교사의 학습자 모어 사용 전략 연구: 중국에서의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google
  • 127. 한 상미 (2001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말 연구: 상호작용 기능에 따른 유형을 중심으로 google
  • 128. 한 상미 (2001ㄴ) 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난 교사의 피드백 유형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25 P.453-505 google
  • 129. 한 상미 (2011) 담화 및 화용과 한국어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 P.507-551 google
  • 130. 한 승희 (2009) 초급 한국어 교사의 신체언어 분석 연구 google
  • 131. 호 욱문, 김 영주 (2013) 중국인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의 모어 사용에 대한 인식 조사 [<새국어교육>] Vol.97 P.387-414 google
  • 132. 홍 윤의 (2004) 한국어 초급교실에서의 언어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어 교사의 인식과 초급 문법교실의 언어사용 분석을 중심으로 google
  • 133. 홍 은실 (2005) 초급 한국어 수업의 교수 언어 연구: 메타언어 사용을 중심으로 google
  • 134. 홍 지혜 (2013) 태국 고등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항목 선정연구: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google
  • 135. 황 인교 (2011) 한국문화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 P.553-589 google
  • 136. 황 인진 (2008) 카자흐스탄 현지인 한국어 교사 연수 과정 개발 연구: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google
  • 137. 황 현주 (2006)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과제 단위 요구 분석: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1 P.229-257 google
  • 138. Fraschini Nicola (2012)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 정체성 연구 google
  • 139. Bae Kyung Min, Ar M Jay (2012) A Study on Non-native Teach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cused on Filipino KFL teachers [<한국어교육>] Vol.23 P.343-364 google
  • 140.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도표 3-1> ]  연도별 연구 동향
    연도별 연구 동향
  • [ <도표 3-2> ]  유형별 연구 동향
    유형별 연구 동향
  • [ <도표 3-3> ]  연구대상별 연구 동향
    연구대상별 연구 동향
  • [ <표 3-1> ]  주제별 연구 분류 기준 및 분포
    주제별 연구 분류 기준 및 분포
  • [ <도표 3-4> ]  교사 관련 연구 동향
    교사 관련 연구 동향
  • [ <표 3-2> ]  교사 교육 관련 연구의 하위 주제별 연구 동향 분포
    교사 교육 관련 연구의 하위 주제별 연구 동향 분포
  • [ <도표 3-6> ]  학습자 관련 연구 동향
    학습자 관련 연구 동향
  • [ <도표 3-7> ]  기능별 전략 연구 동향
    기능별 전략 연구 동향
  • [ <도표 3-8> ]  학습자 요인별 연구 동향
    학습자 요인별 연구 동향
  • [ <도표 3-9> ]  교사-학습자 관련 연구 동향
    교사-학습자 관련 연구 동향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