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유아음악교육에서교수의 감성리더십이 학습몰입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among professor’s emotional leadership, learning flow and attitude in music education for infant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유아음악교육에서교수의 감성리더십이 학습몰입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eaching students, including young children,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involves not only teaching them how to play that instrument in a technical sense but also how to use their whole body, mind and feelings to express the music that the composer has written. Music teachers who work with young children need to focus to a large extent on ascertaining each student’s level, ability and personality so as to be able to choo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motes a high level of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ructural model which demonstrat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motional leadership, learning flow and attitude toward a quality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3 music teachers from South Korea. The model was test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based on a sample of 293 surveys. Th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21.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arried out by using AMOS 21.0. For this the major findings of the empirical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of emotional leadership affects learning attitude. Second, except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of emotional leadership affects learning flow. Third, learning flow affects learning attitude. Since analyses of the model demonstrates the interrelatedness of the factors deemed necessary for a successful music education program., the inclusion of all of them forms the foundation for quality music education.

KEYWORD
감성리더십 , 학습몰입 , 학습태도
  • Ⅰ. 서 론

    유아들은 음악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의사 등을 표현하고, 즐거움을 느끼며 나아가 정서적 안정을 갖는다. 특히 전인발달에 있어서 유아음악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즉, 유아음악교육은 유아의 정서, 인지, 언어, 사회성, 창의력 등과 같은 정서적, 지적, 사회적 발달 등의 전인교육을 위한 중요한 교과 중 하나이다(고영자, 2014; Gordon, 1997). 따라서 유아의 음악적 잠재능력을 최대한 계발하고 다양한 음악적 개념을 형성해 주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지닌 유아음악 교사들이 많이 배출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양질의 유아음악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교육의 시간보다 교사를 양성하는 교수의 음악적 소양 및 질적 수준이 매우 중요하다(Chen, 2000; Fox, 2000; Scott-Kassner, 1999). 또한 대학에서의 유아음악교육은 유아들의 정서적 안정감, 감수성, 상상력 그리고 창의적이고 심미적인 사고능력 등을 발달시켜줄 수 있는 교육자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한 교육 목표이다(박주연, 이민정, 2013; 백은주, 이혜미, 2012). 따라서 교육자인 교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음악교육은 학습자들이 지속적인 음악경험에 체계적으로 참여하기에 교과목의 특성과 교수자에 따른 상황이 다양하며, 음악 실제를 경험하기에는 교과목이 갖는 제한점이 있다(이민정, 2011). 또한 실제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유아음악지도 시 유아들의 즐거움과 흥미를 이끌어내는 방법과, 가르쳐야할 자료부족, 그리고 전문성의 한계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박은영, 2009; 이민정, 2002). 그 원인으로 음악적 능력이나 개념은 단시간에 습득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음악적 능력이 부족한 교사는 음악 활동을 부담스러워 한다(임승렬, 윤지영, 2012).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에게 유아교육지도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기술 및 방법과 같은 교수행위만을 가르치는 전통적인 주입식 교육방식을 비판하고 있다(석은조, 이경하, 2012). 이러한 기조 아래 최근 일선 대학에서는 기존의 교수 중심의 강의 방법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사고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학습자중심의 교수방법을 요구하고 있다(김일영, 2014; 석은조, 2012). 즉, 효율적인 교육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교수와 학습자간 상호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교수와 학습자간의 원활한 인간관계가 균형을 이룰 때 긍정적인 교육이 성립되는 것이다. 특히 교수들은 학문적인 가르침 외에도 자신의 태도나 행동 등에 의해서도 학생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정택철, 2012). 또한 학생들을 지도함에 있어서 교수의 리더십은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집중력과 통제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배용직, 2004; 이민규, 주형철, 조성원, 강귀석, 2013). 이러한 점에서 대학의 교수는 학습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학습몰입과 태도 등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능력인 리더십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일반적으로 리더십이란 목표달성을 자발적으로 협조할 수 있도록 조직구성원들의 동기와 행동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행동을 의미한다(Fleishman, 1973). 이러한 리더십을 연구하는데 있어 리더의 어떠한 측면을 중요시 하느냐에 따라서 특성이론, 행동이론 그리고 상황이론 등으로 발전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적인 리더십 이론들은 리더의 특성을 제한적으로 적용하거나, 보편적이고 이상적인 개인의 특성이나 행동을 발견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사고와 접근을 요구하게 되었다(김기원, 2008; 이인석, 2011). 이에 변혁적, 거래적, 서번트, 도덕적, 감성리더십 등과 같은 다양한 새로운 대안적 접근법이 고안되었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일선 교육기관에 도입되고 다양한 관련 연구들이 축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감성리더십은 리더의 감정과 감성적인 부분을 자극하고 강조하려는 리더십이다(박성호, 2011; Julie, 2008). 이는 리더 스스로가 자신의 내면을 성찰 및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며, 더불어 조직구성원들의 감성 및 욕구를 이해하고 배려하여 상호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 및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능력이다(Goleman, Boyartzis, & McKee 2002). 교육현장에서 감성리더십이 중요한 이유는 이성적이고 감성적인 교수의 역량을 통해 교육의 효율성과 몰입, 나아가 학생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원활한 관계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윤인애, 김지영, 주형철, 2013; Dulewicz & Higgs, 2000; Hopfl & Linstead, 1997). 특히 유아음악교수의 역할은 이론뿐만 아니라 실기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 관심, 예술적 창의성, 표현 능력 등을 증진시키고,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참여활동을 장려하는 실천적인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수업특성을 지니고 있다(정다은, 2011; 조성일, 2009; 한수정, 한경훈, 2013). 또한 음악실습교육은 음악도구와 다양한 율동 등과 같은 실습이 동반되기 때문에 자칫 수업분위기가 산만해 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습교육이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에 부합되지 않거나, 적절한 대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그 수업의 질은 현저히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음악수업에 있어서 교육방법은 교수중심이 아닌 학생중심의 수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유아음악교수는 지시나 비판보다는 학생들을 이해하는 입장에서 칭찬과 격려, 배려 등을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장근주, 조대현, 2011; 조성일, 2009). 다시 말해, 대학의 유아음악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학습효과 촉진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교수는 일방적인 수업방식보다는 학생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하여 그들을 이해하고 배려해야 한다. 또한 확실한 비전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호응과 공감을 지속적으로 이끌어내면서 적절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감성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겠다.

    한편, 학생들이 수업에서 집중력과 흥미 그리고 재미 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또 다른 강한 촉진제는 바로 학습에 대한 몰입과 태도이다. Csikszentmihalyi(1990)에 의하면 몰입은 어떠한 조건, 비용, 장애 등이 있더라도 기꺼이 즐거운 마음으로 강렬하게 참여하려는 욕구 및 경험을 의미한다. 이때 몰입은 강한 집중과 끈기가 요구되는 도전적인 과제가 자신의 능력과 일치되었을 때 깊이 몰두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몰입의 개념을 학습상황과 관련지어서 정의하면, 학생들이 성취하고자 하는 학습목표 및 결과를 위해 쏟는 노력의 질(quality of effort)로 정리할 수 있겠다(Coates 2006). 그렇기 때문에 학습몰입은 집중력이 높은 상태에서 몰두하며, 나아가 수업에 대한 열의, 흥미 그리고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는 학습효과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김원식, 2011; 박재림, 2010; 이유나, 2013). 이때 학습몰입은 구체적인 교육목표가 설정되고, 분명한 피드백을 받으며, 무엇보다도 학생들의 지적호기심을 자극하여 학습에 대한 의욕을 향상시키는 등 학습자가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이 중요하다(곽소정, 길태숙, 2012; Coates, 2006).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볼 때, 학습몰입은 교수의 적절한 교수법과 친밀감 및 신뢰감 형성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나아가 학습자 스스로 성취욕구와 지적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아울러 효율적인 교육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지도자와 학생 간의 상호협력이 긴밀히 이뤄져야 한다. 다시 말해 수업의 효율성은 교수의 효율적인 교수법과 수업내용 등도 중요하지만, 교육내용을 받아들이는 학생들의 태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김갑식(김갑식, 김현식, 이제행, 2003). 이러한 측면에서 학습태도는 수업에 대한 흥미, 열의, 의욕, 동기, 학습습관 등을 부여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김은형, 2008; Bloom, 1976).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면 교수와의 관계, 교육 프로그램, 학습방법 등 다양한 변인들이 언급되고 있다(임봉호, 2008; 임채희, 김성회, 2009; McCoach & Siegle, 2003). 이러한 변인들을 살펴보면 크게 교육자와 학생들에 대한 태도, 그리고 수업에 대한 태도로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태도는 교육자인 교수의 역할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따라서 학습태도는 수업의 효율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실제적인 지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학습태도는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 지각, 성취, 의욕, 즐거움 등과 같은 학습몰입과 관계가 있는 요인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김대성, 2012; 이유나, 2013; Gonida, E., Kiosseoglou, G., & Leonadri, A. 2006; Kennett & Feefer, 2006). 이러한 측면에서 학습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 교수의 감성리더십과 학생들의 학습몰입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겠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유아들에게 흥미로운 활동 중심의 음악교육도 중요하기는 하지만, 향후 발달할 음악적 능력을 견고하게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한송이, 2013). 또한 유아를 위한 질 높은 유아교육 활동의 제공은 일차적으로 교사가 어떻게 음악 활동을 계획하여 제공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곽경화, 김지운, 박수경, 2013). 그러므로 유아음악 실기수업은 단순히 음악만을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감정으로 유아들을 지도해야 하는지, 어떠한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지 등을 지도해야 하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즉,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영유아와의 원활한 관계를 위해서는 유아를 사랑하는 마음, 친절함, 온화함, 정서적 안정, 인내심 등이 유아교사의 중요한 자질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의 감성노동이 요구된다(배소연, 2013; 한상근, 2013;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4). 무엇보다도 유아음악 실기수업의 경우, 악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활동을 포함한 실기와 이론을 병행하여 가르쳐야 하는 교과목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음악 및 유아교육학과 대학생들이 수강하고 있는 음악관련 수업들이 단편적 활동 위주의 수업으로 이뤄지고 있어(권수미, 2010; 박은영, 박찬옥, 2005), 학생 스스로 음악을 해석하는 해석능력과 창조능력 그리고 비평적 사고능력이 저하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최지은, 배수영, 2011).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학생 중심의 교수법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음악교수는 수업에서 자신의 감성을 활용하여 학습자를 진심으로 이해하고 배려함을 통해 학습목표를 달성하려는 능력인 감성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즉, 유아음악교수는 학생들의 위치로 내려가서 그 눈높이를 맞추고, 서로 마음을 열 수 있는 지도방식과 공감대를 형성하여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몰입을 향상시키려는 학습 분위기가 요구된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는 음악 및 유아음악 교육과 관련하여 교수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의 실기 수업에서 교수의 감성리더십이 학생들의 학습 몰입과 학습태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구체적인 연구가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강원도에서 유아교육 전공인 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37명을 제외한 293명을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의 경우 여자가 211명(72.0%)으로 82명(28.0%)인 남자보다 많이 구성되어 졌다. 나이의 경우 만 19세가 95명(32.4%), 만 20세가 122명(41.6%), 만 21세가 53명(18.1%) 그리고 만 22세가 23명 (7.9%)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년의 경우 1학년이 95명(32.3%), 2학년이 125명(42.7%), 3학년이 57명(19.5%) 그리고 4학년이 16명(5.5%)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결과

    label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결과

       2. 연구도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성리더십, 학습몰입, 학습태도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을 측정하는 총 33문항으로, 각 문항이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점 ‘매우 그렇다’의 Likert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첫째, 감성리더십의 경우 Goleman(1998), Wong 및 Law(2002), 김예나 및 안병환(2011) 그리고 이석열(2006)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으로는 자기인식능력 4문항, 자기관리능력 4문항, 사회적 인식능력 5문항 그리고 관계관리능력 6문항으로 총 1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감성리더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 19문항으로 추출되었으며, 신뢰도 값은 자기인식능력 .900, 자기관리능력 .897, 사회적 인식능력 .949 그리고 관계관리능력 .942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몰입의 경우 Agarwal 및 Karahanna(2000), Csikszentmihalyi(1975)Hoffman 및 Novak(1996)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한 몰입측정도구를, 또한 김나영(2009), 주영주, 김지연 및 최혜리(2009)의 연구에서 재구성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학습몰입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단일척도로 추출되었고, 또한 신뢰도 값 역시 .897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태도에 있어서는 Atkin 및 Block(1983), Homer(1990)의 연구에 기초하여 송종호 및 이경탁(2011)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학습태도의 경우 교수태도 3문항과 수업태도 3문항으로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학습태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개의 요인 6문항으로 추출되었으며, 신뢰도 값은 교수태도 .942 그리고 수업태도 .874로 나타났다.

    한편, 변인들 간의 관계가 성립하는지를 실증하기 위해 다변량 정규성을 가정하는 최대우도법(maximum likehood)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노형진, 2003). 이에 대한 결과는 표 2와 같으며, 감성리더십, 학습몰입 그리고 학습태도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FI, TLI 그리고 RMSEA값의 기준치를 모두 권장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2>]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label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넷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로서 성별, 나이 그리고 학년 등 3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연구절차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본 설문지를 음악교육을 전공한 박사 1인과 교수 1인에게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를 검증 받은 후 연구대상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본격적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4년 4월 21일부터 5월 2일까지 서울과 강원도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한 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의 표집은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중에서 목적표집법(purposeful sampling)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연구자가 응답자에게 설문에 대하여 연구의 목적과 설문의 구성내용 등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한 후에, 자기기입법(personal self-administration)을 통해 모든 응답이 이루어졌다.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된 자료 37부를 제외한 293부를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여 본 연구의 최종자료로 활용하였다.

       4. 자료분석

    표집한 전체 표본 중 본 연구에서 사용된 총 293부의 설문지를 SPSS 21.0 Version 프로그램과 AMOS 21.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SPSS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탐색적 요인분석(exokiratiry factor analysis)과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변인간의 방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AMOS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을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의 합치도 기준은 Bentler (1990)Bentler와 Bonett(1980) 그리고 Steiger와 Lind(1980)가 제시한 CFI(비교부합지수), TLI(표준부합지수), RMSEA(근사원소평균자승오차)를 주요한 합치도 지수로 사용하였다. 홍세희(2000)에 따르면 CFI와 TLI의 채택 기준은 .90이 넘어서고, RMSEA의 채택 기준은 .08보다 낮으면 양호한 적합도로 보고 있어 이를 채택기준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통계적 절차는 유의수준 .05에서 검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한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는 표 3과 같다.

    [<표 3>]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

    label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

       2. 상관관계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하위요인들의 상관계수 결과치가 .80보다 높게 나타나지 않아 다중공선성에 위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김계수, 2004). 또한 모은 변인들 간의 방향은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상관관계분석

    label

    상관관계분석

       3.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수행하였고, 구조모형의 모수 추정 방법으로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아래의 표 5와 같이 χ2는 810.652, 자유도(df)는 284, CFI값은 .915, TLI값은 .902 그리고 RMSEA값은 .080로 나타나 전체모형의 비교적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4. 연구결과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형은 [그림 1]과 같으며, 연구모형에 대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구조방정식 검정 결과

    label

    구조방정식 검정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음악교수의 감성리더십 중 사회적 인식능력과 관계관리능력만이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인식능력과 학습태도와의 경로계수가 .164(t=2.687, p<.007)로 나타났으며, 관계관리능력과 학습태도와의 경로계수는 .129(t=2.126, p<.03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인식능력과 학습태도의 경로계수는 -.026(t=-.582, p<.561), 그리고 자기관리능력과 학습태도의 경로계수는 -.044(t=-.780, p<.43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음악교수의 감성리더십 중 자기인식능력을 제외한 자기관리능력, 사회적 인식능력 그리고 관계관리능력이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기관리능력과 학습몰입의 경로계수는 .119(t=3.027, p<.002)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인식능력과 학습몰입의 경로계수는 .302(t=7.594, p<.001)로 나타났고, 관계관리능력과 학습몰입의 경로계수는 .239(t=5.817,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자기인식능력과 학습몰입의 경로계수는 -.015(t=-.480, p<.63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습몰입과 학습태도의 경로계수가 .312(t=2.914, p<.00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에서 교수의 감성리더십이 학습몰입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에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수의 감성리더십 중 사회적 인식능력과 관계관리능력만이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음악교육의 트렌드는 과거 전통적인 교육 방식이었던 교수중심의 지식 전달 위주의 강의식 교수법에서 벗어나, 학생들과 서로 소통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 패러다임으로 변화하였다(김영일, 2014; 석은조, 2012). 그 이유는 실제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이론과 실기를 원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지적호기심과 흥미 등 심리적 반응을 고려한 쌍방향 학습목표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박은영, 2009; 이민정, 2002; 최규일, 2005). 또한 유아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모든 오감을 활용하여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유아음악과 관련된 종합적인 교육연수가 요구된다(고영자, 2014). 무엇보다도 유아음악은 타 교과 영역과 달리 음악적 교육뿐만 아니라, 신체활동 및 놀이 그리고 문학 등의 통합적 교육이 요구되기 때문에 교수와 학습자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대인지향적인 관계가 요구된다(김연주, 조복희, 2012; 박주연, 이민정, 2013; Scoott-Kassner, 1999).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시키기 위해서 교수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음악교수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그들이 원하는 수업과 학습 분위기는 무엇인지, 그들이 어떠한 부분에서 어려워하는지를 파악해야만 한다. 그리고 실제로 현장에 나갔을 때 이론과 실제가 잘 융합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지적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유아음악교육에서 교수의 사회적 역량(social competence)과 사회적 관계성(social relationship)을 중시하는 감성리더십인 사회적 인식능력과 관계관리능력이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유아음악교수는 학생들의 감정을 잘 다스리고 파악하여, 상호유대감을 높이려는 감성능력인 사회적 인식능력과 관계관리능력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 중 자기인식능력과 자기관리능력이 학습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교육에 있어서 교수의 개인적 역량(personal competence)을 의미하는 자기인식능력과 자기관리능력보다는, 사회적 역량을 의미하는 사회적 인식능력과 관계관리능력이 더 유효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유아음악과 같은 실기수업의 경우 한 사람의 교수가 감당할 수 있는 학생의 수는 소규모인데, 수업의 특성상 적게는 40명에서 많게는 50명의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정계영, 2010). 특히 음악학습은 학습자의 인지, 심동, 정서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때 효율적인 학습이 이뤄지기 때문에, 학생들의 개인차와 다양성을 파악하는 것은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필수적이다(정진원, 신혜경, 2012).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리더십 중 인간적 리더십은 교육자에게 매우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을 향한 이해와 감성적 배려 그리고 충분한 교류가 이뤄져야 하는 전제를 갖고 있다(김예나, 안병환, 2011; 조병남, 2010; 홍석, 2012; Cheng, 1996). 따라서 유아음악교수는 자신의 감성을 명확하게 이해하려는 능력인 자기 인식능력과, 자기 자신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인 자기 관리능력 보다는, 학생들의 감성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인 사회적 인식능력과 다른 사람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관계관리능력이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유아음악교육에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수의 감성리더십 중 자기관리능력, 사회적 인식 능력 그리고 관계관리능력이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윤희(2012)에 의하면 학습몰입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수자 및 튜터는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학습을 이룰 수 있다는 확신과 신념을 가질 수 있도록 자신감을 회복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수는 학생의 개인차를 인정하면서 그 수준에 맞는 학습방법과 목표 그리고 비전을 제시하여 학습몰입을 고양시켜야 한다(정택철, 2012; 정진원, 신혜경, 2012). 이러한 점에서 긍정적 대인관계를 위한 따뜻하고 배려심 깊은 행동을 요구하는 감성적 리더십이 운동선수들의 운동 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김영갑(2013), 주형철, 윤인애 및 김지영(2013)의 연구결과가 본 연구결과를 간접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다. 특히 음악교육은 실습과 실기 등을 통한 학생들의 직접적 수업 참여활동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학생들의 음악적 개인차를 고려하는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동기, 흥미, 이해도, 몰입 등이 음악적 학습 성취도를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이다(정진원, 신혜경, 2012; 최은식, 신혜경, 2012).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집단을 하나로 휘어잡기 위해 학생들의 입장에서 배려하려는 능력을 의미하는 사회적 인식능력과 친밀하고 협력적인 사회적 관계관리능력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수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몰입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차와 다양성 그리고 성향 등을 발견하고 이를 위한 감성적 리더십 역량이 요구된다.

    한편, 감성 리더십 중에서 자기관리능력은 리더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갖춰야 할 보다 구체화된 힘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관리능력의 경우 혁신성과 헌신성, 자기주도성, 진취성 그리고 자기관리 및 책임의식 등과 관련이 있다(Goleman, Boyatzis, & McKee, 2002). 이와 관련해서 수업에 대한 교수의 신념, 태도와 같은 열정 등이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학습몰입과 같은 정서적 영역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권낙원, 민용성, 2004; 이은주, 2001)가 본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 이유는 자기관리능력을 통해 교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과 확신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배움에 대한 열정과 의지를 북돋아 줄 수 있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홍석, 2012). 이러한 점을 고려했을 때, 유아음악교수는 수업목표와 교수사명을 달성하기 위해 개인적인 희생을 감수하고, 수업준비를 최대한 철저히 하여서 높은 자기관리능력을 보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는 교육적 상상력과 교육적 감식안을 가지고 보다 의미가 있고 창조적인 수업을 이끌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교수의 개인적 역량을 발휘함으로써 학생들은 학습을 하고자 하는 동기가 부여되어 수업에 몰입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몰입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ikszentmihalyi(1975)에 의하면 몰입상태는 어떤 다른 일이나 행동에 관심이 없을 정도로 현재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하고 빠져있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또한 몰입을 경험하게 되면 학습에 대한 흥미유발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유병민, 김수욱, 박성열, 박혜진, 2010). 즉, 높은 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면, 학습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동기부여는 물론, 학습에 대한 지적호기심과 흥미를 느끼게 되어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시사해 주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몰입수준을 보이는 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 열정, 애착, 창의성 등의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겠다. 이렇게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가진 학습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상의 몰입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음악 교수는 학생들에게 맞는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그들이 성취할 수 있는 자율적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를 충족시켜야 할 것이다(Harter, 1992; Kowal & Fortier, 1999). 또한 수업과 학습에 대한 분명한 피드백을 주어, 학생들 스스로 학습에 대한 자기 통제를 할 수 있도록 수업 분위기를 이끌어야 할 것이다(곽소정, 길태숙, 2012; 이은주, 2001). 즉, 학생 스스로가 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을 마련해주고, 학습자 스스로 주도적인 학습을 이끌어갈 수 있는 환경과 수업커리큘럼을 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이처럼 학습태도와 학습몰입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교수가 학생들의 능력적 다양성과 그들이 선호하는 학습 방법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감성적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학생들 개개인의 학습 취향과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들이 가장 잘 이해하고 흥미 있게 배울 수 있는 학습 지도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개인적 차이와 성향 그리고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하려는 교수의 감성적 역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음악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이 느끼는 감성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교수의 감성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겠다. 무엇보다도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보다 효율적인 음악교육을 위해서는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트렌드를 민감하게 파악하여 교육에 적용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는 높은 수업의 만족도를 창출해내기 위해 새로운 수업을 끊임없이 계획하고, 학생들과 항상 소통할 수 있도록 자신의 감정을 잘 인식하여서 열린 자세로 수업에 임하는 모습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이어질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를 대학교 학생들과 유아음악교수에 한정지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자기보고식 검사로 교수의 감성리더십과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몰입 등을 측정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는 대상자에 있어 대학생들만 한정짓는 것이 아니라, 미취업생인 예비유아교사들까지 참여시킨다면 좀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더불어 대부분의 유아교육 교과목들은 이론과 실기수업이 함께 요구되므로 다른 교과목에 대한 교수들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한 연구법으로 참여관찰과 면접 등의 질적 연구방법이 병행된다면, 좀 더 심층적인 연구가 이뤄질 것이라고 여겨진다.

    둘째, 교수의 감성리더십은 다른 리더십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몰입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리더십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리더십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에만 초점을 맞춰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교수의 감성리더십이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이뤄진다면 더 가치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 1. 고 영자 (2014)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연구] Vol.43 P.1-20 google
  • 2. 곽 경화, 김 지운, 박 수경 (201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 관련 활동 분석. [유아교육연구] Vol.33 P.133-155 google
  • 3. 곽 소정, 길 태숙 (2012)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리듬액션 게임을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감상수업에서의 학습 평가, 학습 몰입, 학습 만족 연구. [한국게임학회논문지] Vol.12 P.113-122 google
  • 4. 권 낙원, 민 용성 (2004) 교수유형(teaching styles) 분석을 위한 준거 탐색. [교육과정연구] Vol.22 P.75-100 google
  • 5. 권 수미 (2010) 음악대학 피아노과 학생들의 졸업 후 피아노 실기 지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조사 연구. [한국음악학회논문집음악연구] Vol.44 P.1-27 google
  • 6. 김 갑식, 김 현식, 이 제행 (2003) 중학교 체육수업관리방법에 따른 학습태도의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Vol.42 P.181-190 google
  • 7. (2004)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google
  • 8. 김 기원 (2008) 상황적 리더십 이론의 검증: Kelly의 두 가지 부하의 차원을 중심으로. google
  • 9. 김 나영 (2009) 사이버교육에서 학습동기,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과 상호작용, 몰입 및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google
  • 10. 김 대성 (2012) 초등영재 학습몰입과 학교태도의 관계 연구. google
  • 11. 김 연주, 조 복희 (2012)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에 과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P.27-61 google
  • 12. 김 영갑 (2013) 대학 태권도선수가 지각한 감성적 리더십과 팀 신뢰 및 운동 몰입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2 P.413-422 google
  • 13. 김 예나, 안 병환 (2011)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감성적 리더십과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교육논단] Vol.10 P.113-135 google
  • 14. 김 원식 (2011) 체육프로그램 지도자 유형에 따른 참여자의 수업몰입과 참여지속의사간의 관계. google
  • 15. 김 일영 (2014) 음악과 토의?토론 수업모형 및 지도방안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P.455-478 google
  • 16. 박 성익, 김 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Vol.14 P.93-115 google
  • 17. 박 성호 (2011)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google
  • 18. 박 재림 (2010) 체육관시설 및 교사유형이 중학생의 체육수업몰입 수준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9. 박 주연, 이 민정 (2013) 유아음악활동의 지식, 인식 및 교수효능감에 따른 교사의 음악활동 실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Vol.34 P.343-368 google
  • 20. 방 은영, 박 찬옥 (2005) 유치원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에 관한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Vol.9 P.5-30 google
  • 21. 배 소연 (2013) 유아교사교육기준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 교사교육기준의 분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Vol.34 P.275-307 google
  • 22. 배 용직 (2004) 청소년지도자 리더십유형 분석 연구: 서울지역 청소년단체 지도교사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Vol.6 P.39-53 google
  • 23. 백 은주, 이 혜미 (2012)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목표, 교수활동과 평가, 교사역할에 대한 교수신념 유형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P.225-248 google
  • 24. 석 은조 (2012) 상황중심 팀 기반 협동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태도, 교우관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보건대학논문집] Vol.32 P.191-208 google
  • 25. 석 은조, 이 경하 (2012) 블렌리드 러닝에 기초한 현장연계 팀 학습활동이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 주도력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논문집] Vol.16 P.71-92 google
  • 26. 송 윤희 (2012)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업지연을 예측하는 요인 분석. [평생학습사회.] Vol.8 P.113-135 google
  • 27. 송 종호, 이 경탁 (2011) 교수의 신뢰성과 매력성이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Vol.19 P.79-96 google
  • 28. 유 병민, 김 수욱, 박 성열, 박 혜진 (2010) 웹 기반 학습에서 몰입수준과 인터넷 중독수준이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Vol.41 P.1-25 google
  • 29. 윤 대혁, 정 순자 (2008) 감성리더십과 조직 감성이 조직구성원의 몰입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5 P.57-86 google
  • 30. 윤 인애, 김 지영, 주 형철 (2013) 교양댄스수업에서의 학생들이 지각한 교수의 감성지능, 비언어적커뮤니케이션, 신뢰 및 참여지속의사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Vol.52 P.293-305 google
  • 31. 이 민규, 주 형철, 조 성원, 강 귀석 (2013) 중학생이 인식하는 방과 후 체육교사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자긍심, 운동 몰입 및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관계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P.361-378 google
  • 32. 이 민정 (2011) 예비유아교사의 음악능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Vol.31 P.265-269 google
  • 33. 이 유나 (2013) 초등학교 6학년의 전통적인 음악수업과 ICT를 활용한 음악수업에서의 학습자 비교: 흥미, 몰입, 만족도 중심으로. google
  • 34. 이 은주 (2001)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Vol.15 P.199-216 google
  • 35. 이 인석 (2011) 리더십이론 발전광을 통한 리더십개발에 관한 연구. google
  • 36. 임 봉호 (2008) 체육교사의 지도행동 유형과 학습태도와의 관계. google
  • 37. 임 승렬, 윤 지영 (2012) 음악수업 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음악교육연구] Vol.41 P.257-278 google
  • 38. 임 채희, 김 성회 (2009) 중학생용 학교태도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Vol.10 P.1165-1180 google
  • 39. 장 근주, 조 대현 (2011) 음악교사의 수업지도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음악교육공학] Vol.12 P.17-31 google
  • 40. 정 계영 (2010) 고등학교 관악부 지도자의 자질과 역할에 대한 리더십 연구. google
  • 41. 정 다은 (2011) 음악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 [음악교육연구] Vol.40 P.25-58 google
  • 42. 정 진원, 신 혜경 (2012) 음악수업에서의 개별화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음악교육연구] Vol.41 P.309-338 google
  • 43. 정 택철 (2012) 교수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의 학습몰입, 학과동일시 및 학교를 위한 시민행동 간의 관계 연구. [한국 산학기술학회 논문지] Vol.13 P.583-596 google
  • 44. 조 병남 (2010) 청소년 교육을 위한 교사의 셀프 리더십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논단] Vol.9 P.151-171 google
  • 45. 조 성일 (2009) 중학교 음악수업에서의 학습동기유발 실태조사 및 교수전략 개발: 켈러(J. M. Keller)와 악스(ARCS)전략을 중심으로. google
  • 46. 주 영주, 김 지연, 최 혜리 (2009)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Vol.25 P.101-124 google
  • 47. 주 형철, 윤 인애, 김 지영 (2013) GX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인식하는 지도자의 감성지능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운동 몰입, 고객만족 및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Vol.52 P.267-284 google
  • 48. 최 규일 (2005) 동기유발을 통한 음악 감상 수업의 효과적 지도방안. google
  • 49. 최 은식, 신 혜경 (2012) 개별화 음악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P.357-387 google
  • 50. 최 지은, 배 수영 (2011) 대학 피아노 전공 지도교수의 레슨 지도 담화와 학생의 레슨 경험 관계. [음악교육연구] Vol.40 P.297-322 google
  • 51. 한 상근 (2013) 감정노동의 직업별 실태. google
  • 52. 한 송이 (2013) 스토리텔링 계명 익히기와 현악기 운지법의 통합을 적용한 음악교수법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Vol.42 P.263-290 google
  • 53. 한 수정, 한 경훈 (2013) 대학 신입생의 음악교과 교양수업과 학업적응, 사회적응 및 정서적응의 관계. [음악교육연구] Vol.42 P.291-324 google
  • 54. 홍 석 (2012)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직무만족이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 HRD연구] Vol.8 P.160-189 google
  • 55. 홍 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Vol.19 P.161-177 google
  • 56. 황 해익, 강 현미, 탁 정화 (2014)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낙관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Vol.34 P.323-3456 google
  • 57. Agarwal R., Karahanna E. (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Quarterly] Vol.24 P.665-694 google cross ref
  • 58. Ashforth B. E., Humphrey R. H. (1993) Emotion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s: A conceptualization.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Vol.125 P.209-219 google
  • 59. Atkin C., Block. M. (1983) Effective celebrity endorser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3 P.57-61 google
  • 60.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P.238-246 google cross ref
  • 61. Bentler P. M.,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Psychological Bulletin] Vol.88 P.588-606 google cross ref
  • 62. Bloom. B. S. (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google
  • 63. Chen Y. Y. (2000) The self-perception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Kaosiung and Pingtung regions concerning the usefulness of the music content of their teacher training programs. google
  • 64. Cheng Y. C. (1996)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based management: a mechanism for development. google
  • 65. Coates H. (2006) Student engagement in campus-based and online education. google
  • 66.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google
  • 67.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google
  • 68. Dulewicz V., Higgs M. (2000) Emotional intelligence a review and evaluation study.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15 P.341-372 google cross ref
  • 69. Fleishman E. A. (1973) Current development in the study of leadership carbondale. google
  • 70. Fox D. B. (2000) Music and the baby’s brain: Early experiences. [Music Eduicators Journal] Vol.87 P.23-27 google cross ref
  • 71. Goleman D., Boyatzis R., McKee A (2002) Primal Leadership: Learning to Lea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google
  • 72. Gonida E., Kiosseoglou G., Leondari A. (2006)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and school achievement: Testing alternative models.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119 P.223-238 google cross ref
  • 73. Gordon E. E. (1997) The nature, descrip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music aptitudes google
  • 74. Harter 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mpetence, affect, and motivational orientation within the classroom; Process and patterns of change. In A. Boggiano & T. Pittman(Eds.), Achievement and motivation: A social developmental perspective (pp. 77-114). google
  • 75. Hoffman. D. L., Navak D. L. (1996)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 [Journal of Marketing] Vol.60 P.50-69 google cross ref
  • 76. Homer P. M. (1990)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Some additional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7 P.78-86 google cross ref
  • 77. Hoply H., Linstead S. (1997) Learning to feel and feeling to learn: emo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s. [Management Learning] Vol.28 P.5-12 google cross ref
  • 78. Julie A. R. (2008) The effect of a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follow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exploratory mixed methodology study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public human services. google
  • 79. Kennett D. J., Keefer K. (2006) Impact of learned resourcefulness and theories of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An integrated approach. [Educational Psychology] Vol.26 P.441-457 google cross ref
  • 80. Kowal J., Fortier M. S. (1999) Motivational determinants of flow: Contributions from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39 P.355-368 google cross ref
  • 81. McCoach D. B., Siegle D. (2003) The school attitude assessment survey-revised: A new instrument to identify academically able students who underachiev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3 P.414-429 google cross ref
  • 82. Scott-Kassner C. (1999) Developing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Music Educators Journal] Vol.86 P.19-26 google cross ref
  • 83. Steiger J. H., Lind J. M. (1980) Sta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Psychometric Society] google
  • 84. Wong C., Law K. S. (2002) The effect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3 P.243-274 google cross ref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결과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결과
  • [ <표 2> ]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3> ]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
  • [ <표 4> ]  상관관계분석
    상관관계분석
  • [ <표 5> ]  모형적합도
    모형적합도
  • [ [그림 1] ]  최종모델 경로분석결과
    최종모델 경로분석결과
  • [ <표 6> ]  구조방정식 검정 결과
    구조방정식 검정 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