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부모역할 책임의식이 부모양육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on Parenting Style
ABSTRACT
부모역할 책임의식이 부모양육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cross-cultur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on parenting sty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79 international parents, 40 Korean-American parent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and 36 Korean parents living in Korea who have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a total of 155 su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parent group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to th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the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Second,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parents, the sub-fac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and the social institution and that between the child and the family explain the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 sub-factor of physical health explains th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In the case of Korean-American parents, the sub-factor of material(food/clothing/shelter) explains the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The sub-factors of material and child care explain the permissive parenting style. A sub-factor of cognitive development explains th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In the case of Korean parents, the sub-factors of child care and survival skills explain the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 sub-factor of survival skills explains the permissive parenting style. Finally, the sub-factors of norms and social values explain th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KEYWORD
부모역할책임의식 , 부모양육스타일
  • Ⅰ. 서 론

    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부모의 적절한 보살핌과 양육은 필수적인 요소이자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많은 부모들은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함에 있어 부모로서 감당해야 하는 많은 역할과 책임을 요구받고 있다[6]. 즉, 부모는 자녀에게 보다 직접적으로 그리고 영향력을 보일 수 있는 대상이 되며 자녀 인생에서 가장 오랜 시간동안 상호작용 하는 관계이다. 이렇듯 부모는 자녀에게 있어서 생의 초기부터 매우 중요한 의미 있는 타자로서 자녀를 한 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으로 길러 내는 것은 부모로서의 중요한 책임이라고 할 수 있다.

    부모역할 책임의식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Adams와 Davis는 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서는 부모가 자신의 역할 중요성과 그 책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와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요한 변인이라고 하였다[1]. 그 이유는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책임의식과 양육태도는 가정 안에서 사회화 과정을 통하여 아동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27]. 구체적으로 부모로서의 역할책임과 관련하여 Duvall[12]은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을 자녀의 신체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 자녀가 규칙적인 습관을 갖도록 훈련하는 것, 도덕교육을 수행하는 것, 자녀 훈련을 담당하는 것, 자녀의 자신감과 자율성을 훈련하는 것, 자녀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 자녀의 사회성발달을 촉진하는 것, 자녀의 지적 성장을 자극하는 것, 자녀에게 양육환경을 제공하는 것, 개인의 발달적 욕구에 관심을 두는 것, 이해심을 가지고 훈육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8, 12]. Nye[30]는 부모역할 책임에 대한 의식을 자녀의 사회화 역할과 자녀양육 역할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또한 Gilbert와 Hanson[14]은 이와 관련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은 부모역할에 대한 책임의식을 크게 교육적인 면과 기본적인 욕구를 해결해 주는 일, 가족 및 사회와 자녀와의 관계를 돌보아 주는 일에 관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3, 재인용]. 이러한 부모로서의 역할책임의식은 부모로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에 실제적인 지표가 될 뿐 아니라[8, 23, 29, 31] 부모로서의 어떠한 역할을 수행 하는지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즉, 부모로서의 역할책임 의식은 부모역할 수행관련 특성들 또는 구체적인 양육 상황에서의 부모가 어떠한 역할을 주로 수행을 하는지를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27].

    한편, 국내에서 지금까지 부모역할책임의식과 부모양육과 관련 있는 선행연구들은 주로 부모역할 책임의식에 대한 성차, 부와 모 사이의 인식의 차이[3], 특별한 보호나 관심을 필요로 가정에서의 조부모의 책임의식[20]. 자녀의 발달적 수행 정도에 대한 부모의 책임의식[27], 어머니의 가족복지감이 양육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정도의 연구[8]가 진행되어 왔을 뿐 부모 역할책임의식과 포괄적인 차원에서 부모의 실제 양육행동 스타일을 관련 있게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는 시도되지 않은 실정이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객관적 요인, 부부갈등 및 위기와 같은 부모 또는 가족관계 요인, 부모의 가치관이나 부모로서의 책임감, 신념 등과 같은 부모의 양육에 대한 인지적 요인뿐만 아니라 부모의 문화적 배경 및 경험과 같은 사회문화적 배경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3, 4, 6, 9, 15, 16, 19, 20, 24, 25, 26, 29, 31, 34].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인간의 행동과 심리적‧인지적 기능은 문화적 그리고 사회적 맥락 안에서 나타나게 되며 개인의 행동과 심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가족 배경요인과 문화적 맥락 안에서 이해해야 할 필요에 대한 인식이 점증 하고 있다. 이에 부모양육스타일 또한 부모가 처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이해해아 한다는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11, 13, 18]. Super와 Harkness[36]는 부모가 경험한 문화적배경 특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부모역할 특성들을 서로 다르게 이끄는 요인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Chon[9]은 한국 부모들은 부모로서의 책임의식과 부모역할에 대한 믿음이 서구문화 배경을 지닌 부모와 다른 면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즉, 한국 부모들은 서구 문화의 부모들이 자녀에게 자녀 자신의 일에 대해 어떠한 결정을 내릴 때 이에 참여하게 하거나 의사결정 하도록 하는 것과는 달리 부모로서의 책임은 자녀에게 체계화되고 확고한 지도를 해야 하는 것에 있다고 믿는다. 더욱이 한국계-미국인 부모의 경우에 부모역할에 있어 이들이 처한 서구 사회의 문화적‧가치와 이들의 가족내부의 한국적 사고방식과 가치 사이에서 갈등과 충돌을 경험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부모-자녀관계에 대해 한국 문화와 서구문화의 가치 차이에 노출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가치충돌을 경험하며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유발하며 이민가정의 한국계-미국인 부모양육스타일은 서구 문화 부모들에 비해 더 엄격한 경향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9]. 더욱이 현재 우리사회는 다문화가정이 급증하고 있는 바, 이제 우리사회 역시 단일민족의 성격이 점차 느슨해지고 다문화 다인종이 함께 모여 사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32]. 이러한 사회적 흐름을 볼 때 앞으로 우리나라도 그 인종적 또는 민족적 성격이 서로 다른 부모와 그 안에서 생활하는 아동의 비율이 점증 할 것으로 되는 바, 문화와 민족적 특성을 고려한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의 부모역할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민족적 또는 문화적 경험이 다른 부모의 부모역할에 대한 책임의식과 부모양육스타일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다문화가정 사회에의 적용을 도모해 보고자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특히 본 연구는 미국 거주 다국적 부모와 이민가정 한국계-미국인 부모 그리고 한국부모의 부모역할 책임의식과 이들의 부모양육스타일을 비교해봄으로서 문화권이 다른 부모들의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감과 이를 통한 부모역할 스타일간의 관계 및 부모역할 책임의식이 이들의 부모역할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다문화 가정이 급증하는 우리사회가 당면할 수 있는 특성을 예견하고 이를 통해 적절한 부모교육이나 개입프로그램의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부모역할 책임의식

    부모가 그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느끼게 되는 스트레스와 갈등 요소들 가운데 하나가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한 책임의식이다[14]. 이러한 부모역할 책임의식에 대하여 Nye[30]는 부모역할에 대한 책임의식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영역으로 사회화역할과 아동보호 역할이라는 두 개의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화 역할은 적절한 의생활과 식생활 제공,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도록 도와주는 것, 옳고 그른 것에 대한 판단력을 길러 주는 것, 책임감을 길러주는 것, 학교 공부를 도와주는 것, 자녀를 훈육하는 것이라는 여섯 가지 과제로 규정하고 있다. 아동 보호역할은 자녀의 청결상태를 돌보아 주는 것, 자녀에게 음식을 제공하고, 자녀에게 따뜻한 애정을 보이는 것, 자녀를 두려움이나 위험으로 부터 보호하기라는 다섯 가지의 과제로 규정하였다.

    Gilbert와 Hanson[14]은 부모역할 책임의식을 3개의 요인(교육, 기본적인 욕구를 다루는 역할, 중재역할)에서 13개의 하위영역을 두고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육(부모역할에 대해 자녀의 인지발달을 도와주는 것, 정서적 안정감을 심어주는 것, 사회성 발달을 도와주는 것, 규범을 가르치고 사회적 가치관을 길러 주는 것, 신체적인 발달을 돕는 것, 위생 상태를 돌보아 주는 것, 생존 능력을 길러주는 것), 기본욕구(건강을 관리하는 것, 물리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 정서적인 욕구를 다루는 것, 보호 관리를 하는 것), 중재 역할(자녀에게 사회생활에 대한 의식을 심어주는 것, 가족공동체 의식과 가풍을 심어주는 것) 등이 그것이다[3, 재인용].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부모는 자녀에게 교육적‧문화적 활동을 제공하는 것, 자녀에게 애정적이며 원만한 교우관계를 형성하고 공동체 규칙을 지키고 올바른 가치관 확립과 도덕성 및 사회정의를 추구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가르치며 함께 참여하며 자녀가 청결하고 위생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돌보아 주고 자녀에게 비상시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 등을 가르치거나 위기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해 나가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 자녀의 건강 상태에 관심을 갖고 돌보아 주며 부모자신이 건강에 관한 지식을 알아야 하고 자녀의 건강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진하는 것, 자녀의 의식주 생활과 교육적이고 안전한 환경 조성, 가정에서 자녀의 사생활을 존중해 주는 것, 자녀와 대화시간을 가지면서 자녀의 심리적 갈등이 무엇인지를 알고 자녀가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일, 자녀의 등하교 및 잠자리를 돌보아 주고 여러 가지 방과 후 활동에도 데리고 다니면서 풍부한 생활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자녀의 학교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대한 교사 및 전문가와 의논하고 사회생활에서 민주시민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녀를 지도하는 것, 집안의 전통이나 가풍을 전달하고 자녀가 가족생활에 대한 올바른 의식을 갖도록 지도하는 것을 부모 역할 책임으로 제시하였다[3, 20, 재인용].

       2. 부모양육 스타일

    부모가 자녀양육 과정에서 보여 주는 양육스타일은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 과정, 부모행동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분위기를 뜻하는 것으로 양육을 위한 목표지향적인 행동과 몸짓, 목소리톤, 언어표현 등의 목표 지향적 이지 않은 행동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11, 26]. 선행연구들[26, 35]은 부모가 자녀양육 과정에서 보여주는 부모역할스타일은 부모의 자녀양육과 관련된 주관적·객관적 특성과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모역할 유형중 부모의 양육스타일은 자녀양육 과정에서 부모가 주로 어떠한 양육행동 방식을 보여 주는지를 알 수 있는 일반적인 척도임을 제시하고 있다. 부모양육스타일에 대한 이론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한 Baumrind[2]는 부모역할을 민감성(responsiveness)과 강제성(demandingness)라는 두 가지 특성을 통해 자녀에 대한 교육, 자녀에게 끼치는 영향, 통제(훈육)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Baumrind[2]가 정의한 부모의 민감성(responsiveness)은 지지와 보살핌으로 정의하면서 부모는 자녀로 하여금 자녀 스스로가 자기규제(self-regulation), 개성(individuality), 자기권리(selfassertion)에 대한 주장을 발달시키는 것을 돕는 역할로 개념화 하였다. 반면 부모의 요구(demandingness)는 자녀가 어른스러울 것에 대한 기대와, 관리감독, 훈육을 통해 자녀가 가족체계 안으로 통합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개념 지었다[38]. Baumrind[2]는 부모양육 스타일을 개념화하면서 통제와 수용의 수준에 따라 양육스타일을 권위형(Authoritative), 지배형(Authoritarian), 허용형(Permissive)으로 재구분 하였다[18]. 권위형(Authoritative) 부모양육 스타일은 자녀를 통제하고 훈육하되 자녀에게 온정적이며 처벌은 사용하지 않는다.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며 그 의견에 따라 부모자신의 행동을 바꾸기도 한다. 융통성을 발휘하지만 확고하고 통제와 훈육을 잘 유지하면서도 합리적 이유를 잘 설명해주고 부모역할에서의 유연성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유형의 부모는 자녀에게 부모의 기대에 대해서도 잘 의사소통 하면서도 언어적으로 상호 의사소통(주고받기)을 허용하는 유형이다. 즉, 부모의 통제와 수용이 균형잡힌 유형으로 자녀의 행동에 대해 분명하고도 일관된 양육태도를 보인다[2, 22, 37]. 이 유형의 부모는 자녀 스스로가 독립성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표현의 자유를 허락한다[5]. Baumrind는 이러한 권위형(Authoritative) 부모 양육스타일이 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가장 바람직한 유형임을 제시하였다[2]. 지배형(Authoritarian) 부모양육 스타일은 매우 지시적이고 부모의 가치에 복종하도록 요구하며 통제수준이 높고, 자녀로 하여금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토론과 논쟁을 허용하지 않는 유형이다. 즉, 부모의 통제 수준은 높으나 자녀에 대한 반응의 수준은 낮은 유형으로 합리적 설명없이 자녀가 부모에게 복종하기를 바라며 자녀의 행동을 통제 하고 권위지향적인 양육방법을 사용하는 유형이다. 이러한 부모 양육스타일에서 자란 아동은 불안과 위축 되는 경향을 보이며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 허용형(Permissive) 부모양육 스타일은 민주적 또는 지시적이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들은 통제나 처벌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부모역할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훈육보다는 수용적이고 긍정적으로 반응하려고 한다. 이 유형의 부모는 요구하기를 거의 하지 않으며 자녀로 하여금 자녀 행동의 대부분을 스스로 규제하도록 하는 유형이다. 이는 자녀로 하여금 규칙이나 제한을 지키게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한다[2, 26, 37].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절차

    본 연구는 만 18세 이하 자녀를 둔 영어가 가능한 미국거주 다국적 부모(79명), 이민 가정에서 자란 이민 1.5.세대, 2세대로서 부모가 된 한국계 미국인 부모 및 이민 1세대로서 이민 생활 10년 이상인 한국계-미국인 부모(40명), 한국 부모(36명) 전체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다국적 부모와 한국계 미국인 부모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 부모는 서울 및 수도권 거주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1).

    설문지는 영문과 한국어로 제작된 두 가지 유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영문으로 된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거쳤다. 영문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역한 설문지는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chool of Social Work and study at Hamovitch center for science in the human services에 근무하는 사회복지학전공 박사2), 영어전공(석사학위 취득)교사에게 검토를 받아 수정 및 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영문으로 작성된 원척도의 수정 및 보완에 대한 내용은 발달심리학 전공 교수, 부모-자녀관계를 주 연구 주제로 하는 심리학 전공 교수3)에게 검토를 받아 사용하였다.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은 영어 이해가 가능한 다국적 부모에게는 영문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한국계 미국인 부모는 영문으로 작성된 설문지와 한국어로 작성된 설문지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한국 부모에게는 한국어로 작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다국적 부모와 한국계 미국인 부모에게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쇼핑몰(Mall), 공원(park), 공항(Air Port) 스포츠클럽 등 부모들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공장소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설문 실시는 부모에게 먼저 구두로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 하고 연구 참여에 대한 사전 동의를 받은 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지에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 연구결과를 추후 연구보고서에 보고할 것임을 제시하여 연구 참여 부모로 하여금 확인하도록 하였다. 한국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은 한국 내에서 실시하였으며 백화점 또는 쇼핑몰(Mall), 패밀리 레스토랑, 커피숍 등에서 실시하였다. 영어판 설문지와 한국어판 설문지 모두 대체로 10분~15분 정도 소요 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은 다음 Table 1 과 같다.

    [

    ]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155)

    labe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155)

       2. 측정도구

    1) 부모역할책임의식

    본 연구에서는 부모역할책임의식을 Kim[20]과 Bang[3]이 Gilbert와Hanson[14]의 Perceptions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Scales(PPRS)의 78개의 문항을 번안한 것을 토대로 36개의 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에 Gilbert와Hanson[14]의 Perceptions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Scales(PPRS) 문항 내용의 일부 가운데 사회적 변화의 흐름에서 벗어난 문항들을 제외하고 본 연구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문항들을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척도별로 선택한 문항은 사회복지학전공 박사 1인, 발달심리학 전공 교수 1인, 부모-자녀 관계를 주 연구 주제로 하는 아동복지 전공 교수 1인에게 안면 타당도를 검증 받는 과정을 거쳤다. 영어판 설문지에는 PPRS 원척도에서 표현한 문항 그대로 사용하였고 한국어판 설문지에서는 김봉미[20]와 방은령[3]의 척도에서 표현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역할 책임의식을 13개 영역에서 총 40문항으로 측정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점 척도인 것을 4점 척도로 수정하여 전혀 중요하지 않다(1)~ 매우 중요하다(4)에 답하도록 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그 영역에 대한 부모로서의 책임의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부모역할 책임의식(PPRS)의 하위구인별 신뢰도 계수는 Table 2와 같으며 척도의 전체 신뢰도 계수(α)는 .97로 나타났다.

    [

    ] Cronbach’s ? of PPRS

    label

    Cronbach’s ? of PPRS

    2) 부모양육스타일

    Baumrind[2]의 부모양육 스타일(Parentaing Style and Dimensionns Questionnaire(PSDQ)) 원척도는 세 가지 부모양육스타일인 권위형(Authoritative), 지배형(Authoritarian), 허용형(Permissive)을 기초로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Colson[10]가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여 현 시점에 적합하지 않은 원척도의 문항들을 제외한 후 14문항으로 재구성한 부모양육스타일(Parentaing Style and Dimensionns Questionnaire(PSDQ))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양육스타일을 3개 영역에서 총 14문항으로 측정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점 척도인 것을 4점 척도로 수정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1)~ 매우 그렇다(4)에 답하도록 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그 영역에 대한 양육스타일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부모양육스타일 하위구인별 신뢰도 계수는 Table 3과 같으며 척도의 전체 신뢰도 계수(α)는 .72로 나타났다.

    [

    ] Cronbach’s ? of Parenting Style

    label

    Cronbach’s ? of Parenting Style

       3. 자료처리 방법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 부모, 한국 부모의 부모역할 책임의식과 부모양육 스타일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 부모, 한국 부모의 역할책임 의식이 부모양육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을 실시하였다.

    1)미국 캘리포니아 거주 부모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연구자가 연구년 수혜기간동안 연구지원 받은 기관(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chool of Social Work and study at Hamovitch center for science in the human services)이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하고 있어 연구 대상에의 접근이 용이한 지역이었고 한국 부모의 경우 서울 및 수도권 거주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자료를 수집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이나 상황이 도시지역의 부모중심 이었기 에 본 연구의 부모 집단별 사회경제적 수준이나 상황을 비슷하게 고려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2)한국계 유학생으로 박사학위 취득자  3)USC Faculty staff & Professor

    Ⅳ. 연구결과

       1. 부모의 역할책임의식과 부모양육스타일 관계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 부모, 한국인 부모 세 집단 모두에서 부모역할 책임의식과 지배형(Authoritarian), 권위형(Authoritative) 부모양육 스타일과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역할 책임의식과 허용적(permissive) 부모양육스타일과는 세 집단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부분적으로 한국계–미국인 부모에서는 자녀에게 공동체 의식과 가풍을 심어주는 일에 대한 책임의식과 허용적(permissive) 부모양육 스타일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국 부모에서는 자녀에게 생존능력을 길러 주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과 허용적(permissive) 부모양육 스타일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Correlation of PPRS and Parenting Style

    label

    Correlation of PPRS and Parenting Style

       2. 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1) 다국적 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다국적 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Table 5와 같다. 지배형(Authoritarian)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부모역할 책임의식 가운데 자녀의 사회성 발달을 도와주는 것과 자녀에게 규범을 가르치고 사회적 가치관을 심어주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형(Authoritative)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자녀의 신체 발달을 돕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역할 책임의식 가운데 허용적(Permissive) 부모양육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

    ] The Effect of International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label

    The Effect of International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2) 한국계-미국인 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한국계-미국인 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Table 6과 같다. 지배형(Authoritarian)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부모역할 책임의식 가운데 자녀에게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일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허용적(Permissive)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자녀에게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일, 자녀에 대한 보호 관리를 하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형(Authoritative)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자녀의 인지발달을 돕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

    ] The Effect of Korean-American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label

    The Effect of Korean-American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3) 한국 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한국 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Table 7과 같다. 지배형(Authoritarian)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부모역할 책임의식 가운데 자녀에 대한 보호 관리를 하는 것, 자녀에게 생존능력을 길러주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허용적(Permissive)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자녀에게 생존능력을 길러주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형(Authoritative)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자녀에게 규범을 가르치고 사회적인 가치관을 심어주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

    ] The Effect of Korean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label

    The Effect of Korean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4)Cognitive Development(CD)Handling of Emotions(HE) Social Skills(SoS) Norms and Social Values(N&V) Physical Health(PhH) Personal Hygiene(PeH) Survival Skills(SuS) HealthCare(HC) Material(Food/Clothing/Shelter:M) Meeting the Emotional Needs of the Children(EN) Child Care(CC) Between Child and Social Institutions(C&SI) Between Child and the Family obligation in child(C&F)

    Ⅴ.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미국거주 다국적 부모, 이민가정 한국계-미국인 부모와 한국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역할 책임의식과 부모양육 스타일의 관계 및 부모역할 책임의식이 부모양육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주요결과들을 중심으로 논의 하고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역할책임의식과 부모양육스타일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본 연구대상 부모 모두에서 부모역할 책임의식과 지배형(Authoritarian), 권위형(Authoritative) 부모양육 스타일과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역할 책임의식과 허용적(permissive) 부모양육스타일과는 세 집단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부분적으로 이민가정의 한국계–미국인 부모는 자녀에게 가족공동체의식과 가풍을 심어주려고 하는 책임의식이 높을수록 허용적이지 않은 양육스타일을 보였고 한국 부모의 경우 자녀에게 생존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책임의식이 높을수록 허용적인 부모양육스타일을 보였다. 이는 한국계 -미국인 이민가정을 대상으로 한 Chon[9]이 제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민가정의 한국계-미국인 부모는 자신의 부모세대의 가치를 그대로 이어 오는 경향이 짙은 바, 이는 한국의 전통적 가족가치 [9, 21]를 중요시함으로서 나타나는 결과로 사료된다. 한편 한국 부모의 경우 아시아 문화권이 서구 문화권보다 다소 더 경쟁적인 문화임을 고려할 때[33] 한국 부모는 자녀가 경쟁사회에서 잘 적응하고 위기상황에 적절하게 처신해 나가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을 부모로서의 중요한 책임으로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33, 7].

    둘째, 다국적 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지배형(Authoritarian)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부모역할 책임의식 가운데 자녀의 사회성 발달을 도와주는 것과 자녀에게 규범을 가르치고 사회적 가치관을 심어주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형(Authoritative)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자녀의 신체발달을 돕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모역할 책임의식 가운데 허용적(Permissive) 부모양육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볼 때 다국적 부모의 경우 부모-자녀관계에서 자녀의 건강과 신체발달과 관련한 개인적 차원의 활동에 대해서는 융통성과 유연성을 발휘하나 공동생활에서의 규칙 지키기와 정정당당하게 생활할 줄 아는 태도, 자녀가 삶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부분에 대해서는 엄격함과 통제수준이 높은 양육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McMurtry[28]의 부모양육 스타일 중에서 권위형과 지배형 양육스타일에서 인종적, 문화적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일부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이는 선행연구에서 서구 문화권의 부모들의 경우 집합 주의적 가치보다는 개인주의적 가치의 경향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결과[9, 17, 21, 33]와는 다소 다른 결과로 본 연구의 다국적 부모의 인종적ㆍ문화적 배경과 선행연구의 연구대상 부모의 인종적‧문화적 배경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다국적 부모의 인종적‧문화적 배경 특성을 보다 세분화해서 살펴봄으로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계-미국인 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지배형(Authoritarian)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부모역할 책임의식 가운데 자녀에게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일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허용적(Permissive)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자녀에게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일, 자녀에 대한 보호 관리를 하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형(Authoritative)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자녀의 인지발달을 돕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부모의 역할책임의식이 부모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지배형(Authoritarian)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부모역할 책임의식 가운데 자녀에 대한 보호 관리, 자녀에게 생존능력을 길러주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허용적(Permissive)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자녀에게 생존능력을 길러주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형(Authoritative) 부모양육 스타일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자녀에게 규범을 가르치고 사회적인 가치관을 심어주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결과를 볼 때 한국계–미국인 부모와 한국 부모들 간에 부모역할 책임의식이 부모양육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는 서로 다르지만 다소 유사한 점은 두 집단 부모 모두에서 지배형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는 허용형에도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계 미국인 부모나 한국 부모 집단 모두에서 부모역할로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바에 대해서는 지시적, 통제적이며 자녀에게 부모의 권위와 가치를 그대로 따르도록 하는 유형의 부모와 민주적, 비지시적 양육스타일을 취하되 부모가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에 대해 자녀 스스로 규제하도록 하는 양육스타일을 보이는 유형으로 대별되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부모역할 책임의식이 부모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은 다국적 부모의 경우 부분적으로 교육요인에 해당하는 책임의식들이 부모 양육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계-미국인 부모와 한국 부모의 경우에는 부모로서의 역할책임의식 가운데 부분적으로 교육 요인에 속하는 책임의식과 기본적 욕구에 속하는 책임의식이 부모 양육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부모역할 책임의식 가운데 교육과 관련한 책임의식은 세 집단 부모 모두에서 부모양육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사회문화권 특성에 상관 없이 자녀를 기르는 부모로서의 책임에 교육 이라는 부분을 중시하고 또한 그에 대한 책임의식을 높게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자녀의 교육에 대한 부모로서의 책임의식은 범사회적, 범문화적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계-미국인부모에서는 자녀에게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일에 대한 책임의식이 지배형과 허용형 양육스타일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부모에게는 자녀에게 생존능력을 길러주는 것에 대한 책임의식이 지배형과 허용형 양육스타일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논의에 덧붙여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국거주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 부모, 한국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추후 보다 심층적 분석을 위해 다국적 부모의 인종적 특성과 국적 등 다국적 부모의 배경적 요인이 되는 특성을 보다 구체화 시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국적 부모 안에서 서구문화 배경을 가진 부모와 아시아(Asian)문화 배경을 가진 부모를 구분하여 다국적 부모 안에서 부모의 인종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분석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이민가정의 한국계-미국인 부모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분석하였다. 그러나 즉, 이민 1세대와 1.5세대, 2세대 부모의 가치가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바, 추후 연구에서는 한국계 이민가정 부모의 경우 이민가정으로 자리매 김 된 시기와 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추후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와 더불어 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여 각 문화권별 부모를 대상으로 이들의 부모기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이 급증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 보다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1. Adams K. A., Davis L. V. (1978) The father’s perception of his role and the child’s development. P.177-306 google
    • 2. Baumrind D. (1991) 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 development. In R.M. Lerner, A.C.Peterson,&Brooks-Gunn(Eds.), Encyclopedia of adolescence(2nd Ed.) P.746-758 google
    • 3. Bang E. R. (1986)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Difference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google
    • 4. Bang K. S. (2004)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Child-rearing Burden, and Their Preschoolers Temperament. [Journal of Korean Maternal & Child Health] Vol.8 P.77-87 google
    • 5. Beck L. E. (2000) Child Development(5th Ed.). google
    • 6. Bennett A. E. (2004) Challenging Parents: Daily Management of Parental Work and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in a High-Achieving Sample. google
    • 7. Carr S. (1998) ‘Responsible Nurturing’: Asian Hindu Mothers’Perception of Parenting in Britain. google
    • 8. Choi J. W. (2005) The Influence of Mother’s Family Well-Being on Role Responsibility.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0 P.5-20 google
    • 9. Chon E. E. (2007) Parenting style of 1.5 generation Korean Americans. google
    • 10. Colson M. J. (2010) The investgating of research ? based home parental involvement practices, parental style and student achievement. google
    • 11. Darling N., Steinberg L. (1993) Parenting style as context: Anintegrative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Vol.113 P.487-496 google cross ref
    • 12. Duvall E. A. (1977) Marriage and Family Development. google
    • 13. Gatmon D. (1998) Cultural and Parental Role Models For combining work and family roles in Swedean and the united states. google
    • 14. (1983) Perception of Parenatal Role Responsibilities among Working Peopl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easur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Feburary P.203-212 google cross ref
    • 15. Han Y. G, Kim S. A (2007) A study on fair Parental Role Model of dual earner couples, their expectation for parenatal Nursing Capability and real Nursing Practic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25 P.39-48 google
    • 16. Harvey D. M., Curry C., J., Bray J. H. (1991) Individuation and intimacy in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and health: patterns across two generations. [Journal family psychology] Vol.5 P.204-236 google cross ref
    • 17. Christina J. (2002) Parenting Styles, Parental School involvement beliefs, and parental activities: Influenti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 readiness. google
    • 18. Kessler R. C., Berglund P., Chiu W. T., Demler O., Heeringa S., Hiripi E. (2004) The U.S.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NCR-R): Design and Field proced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thods in Psychiatric Research] Vol.13 P.69-92 google cross ref
    • 19. Ko K. H. (2008)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Rearing behavior and language control type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 children’s leadership google
    • 20. Kim B. M. (2005) The Social support for the grand parents from kinship cares and the recognition of responsibility in Parental roles. google
    • 21. Kim L. H. (2012) Second generation Korean American Parents: Social Context Influence on Parenting. google
    • 22. Kim M. K. (2006) Parental involvement, family process and parenting styles of first genertion Korea immigrants parent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google
    • 23. Lederman R. P., Weigarten C.G., Lederman E. (1981) Postpartum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Measure of Meternal Acaptation [Birth Defcts Original Article Series] Vol.XYⅡ google
    • 24. Lee G. E. (2008) Study of the influences that Parenting behavior of divorce family adolescent’s adaptation. google
    • 25. Lee K. E., Lee J. R. (2008)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self- esteem : mediation roles Parenting behavior and domestic violence. [The Journal of Play Therapy] Vol.12 P.1-15 google
    • 26. Lee S H, Go I. S, Shim J. S (2009) A. Study on Parent’s Perception of Family of orign, Parenting style and generation transi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4 P.111-134 google
    • 27. Lee J. H, Jeon K. S (1995)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and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Parents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33 P.1-20 google
    • 28. McMurtry S. L. (2013) Parenting style differences in Black American and White American young adults. google
    • 29. Mercer R. T. (1985) The process of Maternal Role Attainment over the First Year. [Nursing Research] Vol.34 P.198-204 google cross ref
    • 30. Nye F.Ivan (1976) Role structure and analysis of the family google
    • 31. Olson R. L., Michell E. S. (1989) Self-Confidence as a Critical Factor Breat Self Examination. [Journal of Obstels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Vol.18 P.476-481 google cross ref
    • 32. Oh J. Y. (2014) A comparative study on parenting quality of life and preschool acculturative stress of foreigner parent who have preschool children by their nationality.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18 P.32-57 google
    • 33. Otto W. J. (2013) East Asian parenting beliefs, styles, and practices : Korean-American children’s perceptions and achievement. google
    • 34. Park M. J. (2012)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their parents’ conflict, parenting behaviors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infants. google
    • 35. Song S. M., Song J. S. (2007) A on Study On Parenting Beliefs, Parental Satisfaction, and Child Rearing Stres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6 P.933-944 google cross ref
    • 36. Super C. H. (1986) The developmental nich:A conceptualization at the interface of child and culture. [International Joura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9 P.545-569 google cross ref
    • 37. Song B. Y. (2011) Differences in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paranoid tendency level and type. google
    • 38. Tiwari A. (2010) A comparison of the Parenting Perception of Indian Americans and Caucasian Americas.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155)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155)
    • [ <Table 2> ]  Cronbach’s ? of PPRS
      Cronbach’s ? of PPRS
    • [ <Table 3> ]  Cronbach’s ? of Parenting Style
      Cronbach’s ? of Parenting Style
    • [ <Table 4> ]  Correlation of PPRS and Parenting Style
      Correlation of PPRS and Parenting Style
    • [ <Table 5> ]  The Effect of International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The Effect of International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 [ <Table 6> ]  The Effect of Korean-American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The Effect of Korean-American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 [ <Table 7> ]  The Effect of Korean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
      The Effect of Korean parents PPRS on Parenting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