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유아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실제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allevel on child’s music appreciation activity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유아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실제 수준에 관한 연구*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al level on child’s music appreciation activity. Specifically,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practical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music appreciation activity ba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level and awareness of teachers. 350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342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and analyzed.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teps such as literature reviews, peer reviews, preliminary survey, and survey. Brief result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hown a slightly higher cor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al level and perception on child’s music appreciation activity. Among the sub-variables of music appreciation perception, perception about physical environment had the highest impact on the practical level followed by contents, teacher role, objectives, methods, plans and evaluation.

KEYWORD
유아음악감상활동 , 교사 인식 , 교사 실제수준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음악은 인간의 생애 전반을 통해 자연스럽게 제시된다. 인간은 태내기에서부터 어머니의 심장소리, 맥박, 호흡, 등으로 리듬을 느낄 뿐만 아니라 태어남과 동시에 주변의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음악을 접하게 된다. 즉, 음악과 인간의 삶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음악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중요한 환경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장은주, 2009). 따라서 유아의 음악경험은 일상을 통해 다양하고 자연스럽게 제시되어야 하며 특히 유아가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음악경험은 중요하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음악경험은 교사에 의해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제시되므로 유아의 음악경험에 있어 교사의 역할은 결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교사는 유아들의 음악적 성장을 이해하고 유아에게 적합한 음악경험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해야한다. 이러한 음악경험은 유아들의 음악적 능력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이상미, 2011; 이홍수, 1990).

    유아를 위한 음악활동은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듣기, 감상하기, 몸으로 표현하기, 음악 만들기 등 다양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장은주, 2009). 이러한 음악활동영역 중에서 음악 듣기와 감상하기는 모든 음악활동의 기초가 된다. 즉 음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는 듣기에서 시작되고 음악적 행위의 기초는 감상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남선옥, 김호, 2013). 유아들은 음악 감상활동을 통하여 발견한 음악적 개념과 이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음악 감상활동 과정에서 유아들이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음악적 환경과 다양한 소리의 탐색 및 음악적 표현기회는 유아들이 보다 즐겁게 활동에 참여하게하며, 음악적 개념 또한 자연스럽게 내면화 할 수 있게 한다(이상미, 2011). 즉, 음악감상활동은 유아들의 음악적 사고력과 상상력, 창조성 등의 기초를 마련할 뿐 아니라 감각과 능력을 바탕으로 보다 폭넓은 음악활동을 가능하게 한다(김광자, 박영옥, 2006; Leonhare & House, 2003). 따라서 유아기부터 음악을 듣고 감상하기를 체득하는 것은 음악활동의 의미 있는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김경애, 2003).

    한편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음악감상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유아음악활동의 실제에서 노래 부르기나 신체 표현하기에 비해 음악 감상은 빈도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곽이정, 1999; 남선옥, 김호, 2013). 선행연구에 의하면, 음악감상활동과 음악 창작활동에 대한 실제 비율이 낮은 이유는 감상활동 교수를 위한 음악 전문지식과 실제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이는 유아교육현장의 음악활동이 노래 부르기 혹은 음악에 따른 신체 표현활동에만 제한되게 하였음을 시사한다(문금희, 2006; 이민정, 2002). 교사들의 경우 음악 감상활동을 어려운 영역으로 인식하였으며, 놀이시간이나 간식시간에 배경음악으로 들려주는 간접감상이나 작곡가나 배경설명, 감상 후 느낌 이야기로 표현하는 정도로 제한되었다(김효정, 2003; 문혜련, 2005).

    최근 들어 음악감상활동에 관한 교사 인식 및 역할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통합적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구미란, 2005; 김승희, 2007; 김영미, 2010; 허은주, 2005), 음악감상활동의 교수법에 관한 연구(김광자, 박영옥, 2006; 김미숙, 2000; 김영희, 2001; 문금희, 이민정, 2007; 문혜련, 2007; 이상미, 2011), 음악감상활동을 위한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김혜전, 2004; 강성희, 2011)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유아의 풍부한 음악적 경험과 음악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는 주로 교사경력, 연령, 학력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배경 변인에 따른 인식 연구를 중심으로 시행되었으며(구미란, 2005; 김광자, 박영옥, 2006; 이민정, 2002; 이상미, 2011;이정남, 김법순, 2007; 임영애, 2010; 정미련, 2008),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음악활동 혹은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변인에 따라 살펴본 연구들은 시행되었으나,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인식과 실제 수준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일부 질적연구를 제외하고 미비한 실정이다(문금희, 2006). 요컨대, 음악감상활동의 목적, 내용, 방법, 환경, 교사역할, 평가 등과 같은 수업실행 전반에 관한 구체적인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박주연(2014)의 연구에 의하면 음악활동의 계획, 내용, 목적, 방법, 환경, 평가 등과 같은 변인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음악활동 실제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근거로 살펴볼 때,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일반배경요인, 교육 및 개별 음악경험 등과 같은 변인들 뿐만 아니라, 음악감상활동 계획, 내용, 방법, 교사역할, 환경, 평가 등과 같은 교수학습의 전반 과정에 관한 다양한 변인에 따라 영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인들에 따라 형성된 교사인식은 실제 유아교사들이 음악감상활동을 실행하는 실제 수준 간에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인식과 실제수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유아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실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울산, 김해, 경북(포항)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40개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 담당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에 관한 조사용 설문지 350부를 배부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 총 345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하게 작성된 3부를 제외한 342부(97.7%)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label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표 1에 의하면,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중 교사 연령별로는 25세 초과 30세 이하가 125명(36.5%)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30세 초과가 120명(35.1%), 25세 이하가 97명(28.4%)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별로는 2‧3년 대졸이 188명(55.0%)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4년제 대졸이 135명(39.5%), 대학원졸이 19명(5.6%)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경력별로는 3년 이하가 143명(41.8%)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3년 초과 7년 이하가 123명(36.0%), 7년 초과가 76명(22.2%) 순으로 나타났다. 담당학급연령별로는 만 4세가 109명(31.9%)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만 3세가 104명(30.4%), 만5세가 103명(30.5%), 혼합연령이 26명(7.6%)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유형별로는 사립유치원이 335명(98.0%)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공립유치원 7명(2.0%) 순으로 나타났다. 과거의 음악적 경험별로는 경험이 있다가 256명(74.9%)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경험이 없다가 86명(25.1%)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음악적 경험별로는 음악활동을 하지 않는다가 189명(55.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153명(44.7%)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경험별로는 경험이 있다가 248명(72.5%)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경험이 없다가 94명(27.5%)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감상활동 실시 횟수별로는 주1회 이상이 143명(41.8%)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월1회 이상이 94명(27.5%), 매일 실시한다가 91명(26.6%), 전혀 하지 않는다가 14명(4.1%) 순으로 나타났다.

       2. 연구도구

    1)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본 연구 도구의 일반배경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일반배경 문항은 교사의 연령 1문항, 최종학력 1문항, 교육경력 1문항, 담당학급연령 1문항, 기관유형 1문항, 음악경험정도 2문항, 음악교육경험 1문항, 음악 감상활동 실시 횟수 1문항으로 전체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교육경력, 담당학급연령, 근무기관유형은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변인에 관한 내용이며, 교사의 음악경험정도, 음악교육경험, 음악 감상활동 실수 횟수는 연구대상의 유아음악 강삼활동 실태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조사용 측정도구의 문항구성 및 내용은 구체적으로 표 2와 같다.

    [<표 2>]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조사용 측정도구의 문항구성 및 내용

    label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조사용 측정도구의 문항구성 및 내용

    2)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

    본 연구는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구미란(2013), 김승희(2007), 이민희(2013), 허은주(2006)의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지를 근거로 관련 문헌분석과 전문가 협의, 예비시안, 예비설문조사 등의 과정을 통해 구성되었다. 최종 설문지는 유아교육과 교수 2인, 석‧박사과정 5인, 10년 이상 경력교사 5인에게 문항 내용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목적에 대한 5문항,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내용에 대한 5문항,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계획에 대한 3문항,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방법에 대한 7문항,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환경구성에 대한 5문항,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교사역할에 대한 5문항,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평가에 대한 5문항, 전체 3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목적’에 대한 문항들은 유아의 음악적 사고력, 상상력, 창의력, 음악에 대한 이해도, 음악감상 태도, 심미적 체험과 표현력, 유아정서, 유아인지의 발달 등에 관한 내용이며,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내용’에 대한 문항들은 감상곡의 유형, 가락, 분위기, 감상방법, 사후활동 등에 관한 내용이다.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계획’에 대한 문항들은 유아음악의 사전 검토과정, 교사의 사전 지식 확인,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 준비 등에 관한 내용이며,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방법’에 대한 문항들은 감상 태도, 감상곡 제공방식, 감상곡을 통한 활동제시 방법, 음악 감상 교수법,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 활용, 통합 활동 등에 관한 내용이다.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환경구성’에 대한 문항들은 분위기, 교재교구, 영역구성, 음악에 대한 정보제공 등에 관한 내용이며,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교사역할’에 대한 문항들은 격려하기, 발문하기, 상호작용하기, 반복제공, 적정한 모델제시하기 등에 대한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평가’에 대한 문항들은 유아음악 감상활동 시 적절한 환경, 교수방법, 유아의 음악적 개념, 감상태도 및 참여도, 다양한 평가수단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 응답 시 교사 인식의 경우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동의수준으로 나타내도록 하였으며, 실제 수준의 경우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실제 수준은 실천정도를 나타내도록 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총 3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Likert척도(1점:전혀 그렇지 않다, 2점:그렇지 않다, 3점:보통이다, 4점:그렇다, 5점:매우 그렇다)로 평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인식(동의수준)과 실제수준(실천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점수범위는 각 하위요인별로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목적이 최저 5점에서 최고 25점,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내용이 최저 5점에서 최고 25점,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계획이 최저 3점에서 최고 15점, 유아음악 감상 활동의 방법이 최저 7점에서 최고 35점,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환경구성이 최저 5점에서 최고 25점,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교사역할이 최저 5점에서 최고 25점,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평가가 최저 5점에서 최고 25점으로 총점은 최저 35점에서 최고 175점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 측정도구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는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수준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label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수준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표 3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목적 .90,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내용 .88,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계획 .87,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방법 .91,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환경구성 .90,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교사역할 .92,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평가 .91, 전체 .9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실제수준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목적 .89,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내용 .00,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계획 .80,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방법 .77,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환경구성 .84,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교사역할 .80,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평가 .85, 전체 .8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 활용한 검사 도구는 매우 신뢰할만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는 4월 셋째 주 부터 터 10월 둘째 주 까지 진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절차는 문헌고찰, 전문가협의, 예비시안 작성, 예비조사, 본 조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연구 절차를 정리하면 다음 그림 1과 같다.

    1) 문헌고찰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관한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고찰함으로써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실제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수준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도구가 부족하여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측정도구를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설문문항 보완 및 수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2) 전문가 협의 및 예비시안 구성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한 설문문항에 대한 전문가 협의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유아교육과 교수 2인, 석‧박사과정 5인, 10년 이상 경력교사 5인에게 자문을 받아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예비시안을 작성하였다.

    3) 예비조사

    본 조사를 시행하기에 앞서 연구도구의 활용 가능성, 연구도구의 타당도 및 적합성 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4년 9월 1일부터 9월 19일까지 부산, 김해, 경북(경주, 포항)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11개 기관, 만 3-5세 유아 담당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문항으로 적절치 못한 문항은 삭제하고 문장에 대한 진술이 부적절한 문항은 보완한 후 유아교육학과 교수 2인, 유치원 원장 5인, 10년 이상 경력 교사 5인에게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검증받았다.

    4) 본조사

    본 조사에서는 예비조사에서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검증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2014년 9월 22일부터 10월 10일까지 부산, 김해, 경북(포항)지역에 위치한 유치원을 대상으로 임의표집을 하였다. 또한 다양한 교사들의 인식 및 실제수준을 연구결과에 반영하기 위해 기존에 섭외된 연구대상들의 소개를 받아 추가적으로 섭외하는 눈덩이표집을 병행하였다. 설문지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섭외된 기관에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배부 및 수거하거나 E-mail을 활용한 수거방법을 택하였으며, 총 40개 기관, 만 3-5세 유아 담당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유아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에 관한 설문지 350부를 배부하였고, 이 중 345부가 회수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연구에 사용할 수 없는 자료를 제외한 설문지 3부를 제외한 342부(97.7%)를 최종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4.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 질문지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r)를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실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본 연구는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으로 각각 구분하여, 총점 및 하위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 표 4와 같다.

    [<표 4>]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간의 관계

    label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간의 관계

    표 4에 의하면,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 간 r=.41로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총점 및 하위요인 모두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인식에는 내용에 대한 실제수준(r=.41, p<.01)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사역할에 대한 실제수준(r=.39, p<.01), 환경구성에 대한 실제수준(r=.36, p<.01), 목적에 대한 실제수준(r=.33, p<.01), 계획 및 방법에 대한 실제수준(r=.29, p<.01), 평가에 대한 실제수순(r=.26, p<.01)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실제수준에는 방법에 대한 인식(r=.38, p<.01)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환경구성에 대한 인식(r=.37, p<.01), 계획, 교사역할 그리고 평가에 대한 인식(r=.36, p<.01), 내용에 대한 인식(r=.34, p<.01), 목적에 대한 인식(r=.33, p<.01)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눈 간에는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p<.01).

    둘째, 이러한 관계성에 기초하여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표 5와 같다.

    [<표 5>]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

    label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

    표 5에 의하면,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은 16.5%(R2=.165)로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하위요인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유아음악 감상활동 중 환경구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19.9%(R2=.19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19.7%(R2=.197), 교사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17.3%(R2=.173),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16.5%(R2=.165),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14.8%(R2=.148), 계획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13.8%(R2=.138), 평강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11.8%(R2=.118)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p<.001).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수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유아 음악감상활동에 관한 교사의 실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유아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과 실제수준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음악감상활동 목적, 계획, 내용, 방법, 교사역할, 환경구성, 평가 등의 모든 변인들에서 교사인식과 실제 수준 간에 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이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실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 음악감상활동 중 환경구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음악감상활동은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본환경과 매체가 제공되지 않으면 이루어질 수 없다. 즉, 음악감상활동을 일상환경에서 형식적 혹은 비형식적으로 자주 제시하려면 음악환경이라는 최소한의 기본 여건 구성은 음악감상활동 실행에 있어 필수적인 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음악감상활동 내용 혹은 방법 등은 교육경험 등과 같은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음악환경은 음악감상활동을 실행할 수 있는지 혹은 없는지를 즉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요인이므로 음악감상활동 실제 수준에 대한 영향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음악감상활동에 환경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교사들은 음악감상활동을 교육현장에 맞도록 구성하고 배치하는 지식의 습득 기회 및 이해가 더 높게 나타난다는 김영미(2010)의 연구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유아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 실제수준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들은 유아 음악감상활동 내용, 교사역할, 목적, 방법, 계획, 평가 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가 음악감상활동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훈련, 멘토링, 컨설팅 등의 경험을 통하여 음악감상활동에 관한 내용과 방법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여야 하고 이러한 요인들은 교사의 인식 개선과 교수 실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김광자, 박영옥, 2006; 장영숙, 2005; 정현주, 2006; 조해영, 2005). 많은 선행연구들에 의해 제시된 것처럼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인식은 음악감상활동 실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음악감상활동 과정에서는 추상적인 청각 단위인 음악을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교수법과 교사역할이 요구된다. 즉, 음악은 음악을 듣고, 느끼고, 음악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교사의 음악적 모델링을 통해 유아들에게 구체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음악감상활동의 실제에 있어서 교사가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전달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음악감상활동 실제 수준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음악활동의 본질에 대한 교사의 이해는 교수방법을 주도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음악감상활동의 계획과 평가라는 전반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통한 몇 가지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음악 감상활동의 인식과 실제수준이 설문지를 통해 연구되었지만 후속 연구로는 설문지 및 현장 관찰과 교사면담을 통해 교수 실제 현상을 심층적으로 탐구 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 교사들이 알아야 할 음악 감상활동의 기본적 지식 및 발달에 적합하고 유아들의 흥미를 반영한 유아음악 감상활동의 프로그램을 개발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 1. 강 성희 (2011) 유아교육에서의 창의적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안 연구. google
  • 2. 강 경희 (2002) 포괄적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google
  • 3. 구 미란 (2005)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육환경과 교육이 실제. google
  • 4. 김 권일 (2010)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수효능감 연구. google
  • 5. 김 경애 (2003) 유아음악 감상하기가 유아의 음악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google
  • 6. 김 광자, 박 영옥 (2006) 영유아를 위한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 방안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Vol.47 P.151-173 google
  • 7. 김 명순, 조 경자 (2008)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google
  • 8. 김 은정 (2011) 유아의 음악적정, 음악적 성향과 교사의 음악관련 태도 변인간의 구조분석. [음악교육연구] Vol.40 P.221-249 google
  • 9. 김 승희 (2007) 설문을 통한 유아 음악 감상 실태 조사 연구: 5∼7세 지도교사 대상으로. google
  • 10. 김 영희 (2001) 유아를 위한 음악 감상지도 연구. google
  • 11. 김 영미 (2010) 음악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활동의 실태. google
  • 12. 김 영연 (1996) 유아음악교육론. google
  • 13. 김 현자, 이 윤경, 윤 혜원 (2008) 영유아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google
  • 14. 김 혜경 (2009) 영유아 음악교육. google
  • 15. 김 효정 (2003) 5.6세를 위한 음악 감상 교육지도안 연구 : 생상의 ‘동물의 사육제’를 중심으로. google
  • 16. 김 승희 (2007) 설문을 통한 유아음악 감상 실태 조사 연구 ?5∼7세 지도교사 대상으로-. google
  • 17. 남 선옥, 김 호 (2013) 통합적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P.241-263 google
  • 18. 문 금희, 이 민정 (2007) 포괄적 음악감상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P.395-424 google
  • 19. 민 경훈, 김 신영, 김 용희, 방 금주, 승 윤희, 양 종모, 이 연경, 임 미경, 장 기범, 조 순이, 주 대창, 현 경실 (2011) 음악교육학 총론. google
  • 20. 문 혜련 (2005)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음악감상 방법의 제안과 그에 따른 활동의 예. [어린이미디어연구] Vol.4 P.41-63 google
  • 21. 박 주연 (2014) 유아교사의 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인식 및 교수효능감 연구. google
  • 22. 이 홍수 1992)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google
  • 23. 장 은주 (2009) 유아음악교육. google
  • 24. 이 민정 (2002) 음악활동에 관한 교사의 태도 및 교수실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Vol.30 P.19-38 google
  • 25. 이 민정 (2004) 다감적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Vol.11 P.23-49 google
  • 26. 이 상미 (2011) 음악감상을 통한 음악적 표현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개념 학습과정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Vol.69 P.283-314 google
  • 27. 임 영애 (2010) 유치원교사의 음악감상활동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영향변인 연구. google
  • 28. 장 영숙 (2005)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Vol.12 P.53-74 google
  • 29. 정 현주 (2005) 유아음악교육의 현장 실제연구. google
  • 30. 정 미련 (2008)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에 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분석. google
  • 31. 허 은주 (2006)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실태. google
  • 32. Hall B. W (1992) Attributions that teachwe hold to account for student success and failure and their relationship to teaching level and teacher efficacy beliefs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 [ <표 2> ]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조사용 측정도구의 문항구성 및 내용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조사용 측정도구의 문항구성 및 내용
  • [ <표 3> ]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수준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수준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 [ [그림 1] ]  연구 절차
    연구 절차
  • [ <표 4> ]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간의 관계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수준간의 관계
  • [ <표 5> ]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
    유아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실제수준에 미치는 영향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