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유아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기질변인의 매개 효과 The effect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on preschooler’s creativity focusing mediating effect of temperament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유아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기질변인의 매개 효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mong the creative environment, temperament and creativity of preschooler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 confluence appro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57 preschoolers, selecte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Korea. In this study, Creative home environment(Oh & Choi, 2006), Temperament(Chen, 1993), Creativity of preschoolers Test(Lee, 2011)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b factors of creative environment, temperament, creativity were very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creative environment variables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creativity. Third, temperament variables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creativity.

KEYWORD
창의적 환경 , 창의성 , 기질 , 유아
  • Ⅰ. 서 론

    지식기반사회의 흐름과 함께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이 언급된 후 많은 교육 현장에서는 분야 간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적 전문성 시대에 대비한 인재양성을 강조하고 있다. 많은 미래학자들과 교육자들이 주장하고 있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은 교육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유아교육 현장에도 간과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있다. 미래사회는 창조적인 두뇌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학습자인 유아가 스스로 느끼고, 생각하고, 상상하고, 나누는 방법으로 다양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들이 활성화되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창의성이란 새롭고 적절한 것을 생성해 낼 수 있는 개인의 능력(Hennessey & Amabile, 1988)이라 정의할 경우, 유아들은 한정된 지식과 경험을 창의적으로 활용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는 과정에 있는 중요한 시기이다. 창조적 잠재력과 자발적 동기를 갖고 있는 유아들에게 추리적 인지 능력과 다양한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즉, 유아들에게 무엇인가를 배우는 것은 즐겁고, 보람되고, 행복한 일이라는 느낌을 갖도록 하여 ‘행복한 성공’을 꿈꾸게 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유경훈 외, 2012). 이러한 이유 때문에 유아들이 생활하는 현장의 창의적인 환경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유아기는 전 생애에 걸친 성장발달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어느 한 쪽에 편중된 경험은 유아의 균형 있는 발달을 저해할 뿐 아니라 유아가 자신만의 독특성을 찾아낼 수 있는 기회를 원천적으로 막아 버리게 된다. 창의성이란 다양하고 독특하게 생각하고 표현하는 능력과 이러한 능력을 뒷받침해 주는 창의적 성향이 합해진 것이다. 창의성을 ‘창의적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특성’이나 ‘새롭고 적절한 아이디어를 통한 창의적 행동이나 산출물’로 보는 등 다양한 관점과 이론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Amabile(1996)은 창의성을 사회ㆍ심리적 관점에서 연구하여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에는 사회적, 환경적 요인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즉,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보다는 외적 요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학습이나 사회적 환경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강조하였다.

    기존의 창의성 연구는 주로 창의적인 사람의 인지적, 정의적인 특성을 규명하려는 시도의 접근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개인의 창의적 능력에 관한 문제 외에도 환경적 측면에서의 상황적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논의되고 있다(성은현, Kaufman, 2012; 유경훈, 2010; Amabile, 1989; Zhou, Zing, & Oldham, 2001). 환경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가정환경과 창의성이 직접적으로 관련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Dave, 1963; Bradley et al, 1988). 창의적환경에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유아들의 창의적 능력과 관련된 환경변인으로는 가정환경과 유치원 환경 변인을 들 수 있는데 심리적 환경이 물리적 환경보다 중요하다고 하는 연구가 지배적인 현상이다(Hennessey & Amabile, 1989; Davis, 1999). 유아의 창의적 가정환경은 창의적 사고능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좀 더 과학적인 양상을 띠게 되었으며 후속적인 경험적 연구가 창의성에 대한 과학적인 가능성을 확신 시키는데 큰 진전을 이루었다(Runco, 2004). 그러나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주로 창의적 환경보다는 일반적인 가정환경이나 부모양육태도와 유아의 성취요소나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지적인 측면, 정의적 측면, 가정환경 등의 요인을 종합적인 관계로 연구한 것이 아니라 일대일 관계를 연구해왔다.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하여 환경 외에도 성격적 특성 즉 기질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기질은 일정한 행동양식을 지니도록 하는 내적속성이라고 볼 때 이러한 정의적인 특성은 창의성과 상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질은 비교적 안정된 개인의 상태로 개인의 기질은 개인의 행동과 관계가 있으며 상당히 일관성있게 유지되고 있다(Tomas & Chess, 1977). 창의성이 성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증거는 선행연구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Amabile, 1983; Barron & Harrington, 1981;Wycoff & Pryor, 2002). 따라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연구가 필요한 시점에서 정의적 접근의 관점에서 기질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양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유아들이 최초로 만나는 사회라고 할 수 있는 가정환경이 창의적인가의 여부는 유아의 창의성과 밀접한 상관이 있을 것이며 이러한 관련성에 있어서 유아의 기질변인은 어떤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유아들의 창의성 육성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환경

    Torrance(1977)는 유아기를 창의성 계발의 결정기로 보고, 창의성을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기에 체계적인 창의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창의성이 4세에서 5세 사이에 절정에 이르기 때문에 이 시기에 창의성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유아기는 창의성 계발에 있어서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시기이므로 창의성 계발의 최적기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이 시기는 논리나 사고가 아니라 비합리적이고 억제되지 않은 상징적 사고로 대표되는 전조작기 단계에 해당하며 창의성의 발현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창의성 교육에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Dacey는 인간은 전 생애를 통해 창의성이 발달하지만 0에서 5세가 그 1단계로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으며, Taylor(1973)는 0에서 6세를 표현적 자발성의 단계라고 하여 유아들의 자발적이고 즉각적인 행동이나 언어로 표출된다고 하였다. Meeker는 학령기 아동은 유아들에 비해 제한적으로 행동하고 교사 주도적 학습을 많이 하는 반면, 자신의 호기심이나 흥미에 따른 탐구학습을 많이 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창의성 교육을 실시했을 때 더욱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하주현, 2001 재인용).

    Torrance(1962)는 창의성에 있어 지적특성뿐만 아니라 성격적 특성까지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창의성 사고의 구성요인을 유창성, 정교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으로 보고 성격적 특성으로는 용기, 호기심, 사고와 판단에서의 독창성, 몰입, 직관 이용, 사물을 낯설게 보기, 모험심 등을 제시하였다. Williams(1980)는 창의성의 구성요소로 인지적인 측면과 정의적인 측면을 제시하고 구성요인으로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호기심, 모험심, 복합성, 상상력 등을 들고 있다.

    최근 창의성 연구는 과거에 이루어졌던 방식인 성격, 사고, 산물 각각에 대한 단일적 접근에서 벗어나 통합적이고 다면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Urban 외(1995)는 Amabile의 내적 동기유발이론과 Sternberg의 삼차원 모델을 기초로 창의성을 네 가지 요소, 즉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process), 창의성을 나타내는 산출물(products), 창의적인 사람의 성격(personality), 창의성을 촉발하는 환경(press) 또는 해결해야 할 문제(problem)로 설명하고 있다.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 가정환경, 사회적 환경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정에서 함께 생활하는 부모의 영향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가정이란 인간이 출생하여 최초로 경험하는 사회이고, 기본적인 행동양식을 학습하고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서 생활해 가는 가운데 타인과의 인간관계나 생활양식을 습득해 가는 곳이다. 부모의 양육방식은 유아의 성격, 사회성, 정서적, 인지 발달, 창의성 등 여러 측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에 의하면 창의성 연구에서는 창의적 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창의성의 발달은 개인내의 특성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또는 사회 문화적인 요소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유아의 경우는 다른 학습자와 달리 주변 환경의 영향에 크게 의존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일차적 환경은 가정이므로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에 가정환경의 영향력의 중요성은 간과될 수 없을 것이고(정민자, 2005), 예측변인으로서 많이 연구되어진 것이 부모 변인으로 나타난다(김호, 2008).

    Tannenbaum(1983)은 부모의 특성과 가정의 교육적 배경, 부모의 태도, 양육방법 등은 재능계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녀의 행동에 반응하는 부모의 태도는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유아를 존중하고, 풍부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독립심을 자극하고, 발달적으로 적합한 가정환경은 창의적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창의성이 높은 자녀의 어머니들은 자녀가 독립적으로 행동하기를 격려하는 어머니들이었으며 자녀에 대한 과도한 참견은 창의성을 제한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Michel & Dudek, 1991). 가정의 분위기는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즉, 것이며 가정에서 자발성이 강조되고 자유로운 자기의사를 표현할 기회가 많고,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고 순수한 동기를 권장하는 분위기를 경험할 때 창의성의 발달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성은현 외(2011)는 유아의 질문을 격려하고, 상상력 사용을 권하며, 유아를 존중하고, 집에 다양한 자극이 많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가진 유아가 학업성취가 높다고 하였고, 조성연(1997)은 창의적 가정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이 많은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발전시킨다는 점에서 창의적 가정환경이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이순복, 전귀연(2006)은 가족 가운데 아버지의 특성이 유아의 창의성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및 가정환경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창의적인 유아의 가정은 자유롭고, 편안하면서도 자극적인 분위기로 인하여 창의력 촉진이 매우 유리하다는 결과가 있으며(김정원, 2005; 박숙희, 1991). 유경훈 외(2013)의 연구에서 부모의 변인과 창의성 요인이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원(2005)은 창의성향 검사와 양육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가 창의성향과 정적상관이 있다고 하였다. 성은현(2004)은 부모의 내적통제성이 자녀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가정환경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숙희(1991)의 연구에서 어머니의 양육차원이 인지양식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원경 외(2001)는 부모의 온정적, 수용적인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높은 자아효능감이 긍정적인 창의적 문제해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아의 기질

    창의성과 정의적 변인들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Amabile(1983), Barron과 Harrington(1981) 등은 동기유발과 흥미나 태도 등이 창의적 능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성격적 변인이라고 강조하였으며 Wycoff와 Pryor(2002)는 유머성향이 창의성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기질은 유아의 중요한 정의적 변인 중 하나로 유아의 기질과 사회적 행동이나 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다(Hislam, 1996; 이시자, 2013; 공영숙, 임지영, 2012). 유아의 기질에 대한 성격심리학적 접근은 체액과 기질과의 관계로 기질을 성격구조의 부분으로 설명하는 체질적 측면이 강조된다.

    Goldsmith와 Gottesman(1981)는 기질은 유전적 성격 특질로서 매우 안정성을 가지며 유전된 기질적 특질은 행동을 직접 결정하기보다는 행동을 조성하는 요인으로 보았다. 정서성(emotionality), 활동성(activity), 사회성(sociality) 등을 중심 기질이론으로 보며 기질은 성격의 일부분으로 생리학적, 유전학적 요소에 의해 결정되며 변하지 않는 특성으로 보았다. 개인차 연구 접근은 일차정서를 표현하는 개인차로 정의하는데 Goldsmith와 Gampos(1982)는 심리생리학적 개념에 근거하여 기질을 정서표현을 조직하는 구조로 보며 분노, 두려움, 즐거움, 흥미, 접근, 운동적 활동 등의 기질차원에 관심을 두었다. Rothbart와 Derryberry(1981)는 정서적인 측면을 강조하면서 기질이란 반응성과 자기조절에서의 개인차로서 유전적 성숙과 경험의 영향을 받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반응성은 운동 활동, 미소, 두려움, 좌절 등의 경로를 뜻하며, 자기 조절은 주의 집중과 자기진정, 행동적인 접근과 회피 등이 포함된다(Bates, 1987 재인용).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아의 기질은 다양한 유아의 인지 및 태도 면에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기질과 놀이성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조은옥, 최영희, 2003), 기질과 자기조절능력(Eisenberg, Fabes, Muphy, Maszk, Smith, & Karvon, 1995)이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공영숙, 임지영(2012)은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 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으며 유아의 기질은 엄마의 기질과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음을 주장한 연구(이시자, 2013)가 있다.

    한편 유아의 기질이라는 변인과 창의성 혹은 창의적 행동이라는 변인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제시한 연구로는 김영연, 김미영(2011)은 유아의 기질과 음악적 창의성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정희(2000)는 유아의 기질에 따른 창의성의 점수 차이는 없었으나 기질하위요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김호, 유영의(2011)에서는 놀이성을 창의성의 주요변인으로 제안하고 있다. 김정원(2005)의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아동의 기질과 양육태도가 창의성과 상관이 있다고 하였다.

    창의성 교육은 개인에게 유의미하고 적합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유아의 기질에 대한 고려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창의성 교육에서 개인 적합성에 대한 고려의 차원에서 기질과 창의적 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실험설계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과 기질과 창의적환경 변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에 위치한 5곳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만 4세, 5세의 165명의 유아에게 유아용 통합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와 기질검사를 배포하였다. 누락되거나 성의없는 부모설문지와 검사를 제외한 15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유아의 연령별 구성을 보면 만 4세 유아가 86명(54.8%), 만 5세 유아가 71명(45.2%)이였고, 성별로 보면 남아가 70명(45%), 여자가 87명(55%)이었다.

       2. 측정도구

    가. 창의성 검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창의성 검사 도구는 언어검사와 도형검사로 구성되어 있는 유아용 통합 창의성 검사(이경화, 2005)를 사용하였다. 창의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는 언어창의성 3개 문항을 이용하여 상상력, 유창성, 독창성을 측정하였으며 도형창의성은 1개의 그림활동을 이용하여 호기심, 독립심, 모험심, 과제집착력을 측정하였다. 이 검사는 주로 확산적 사고 검사로 활용되며, 창의적 사고를 측정할 때 주로 사용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신뢰도는 .78으로 제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언어창의성은 .71, 도형창의성은 .82 이었다. 창의적 성격 검사는 30개의 문항으로 부모가 실시하며 하위요인은 호기심, 독립심, 모험심, 과제집착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원검사의 전체 신뢰도는 .762이며 본 연구에서의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호기심(.65), 독립심(.62), 모험심(.65), 과제집착력(.65), 전체 신뢰도는 .71 로 나타났다.

    나. 기질검사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위한 검사도구로는 Thomas와 Chess(1977)의 ‘부모용 기질검사(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를 수정보완하여 우리나라 아동들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천희영(1993)의 ‘연구용 기질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적응성(10문항), 활동성(9문항), 생리적규칙성(4문항), 반응성(6문항), 정서성(4문항)을 하위요인으로 하는 3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기질척도의 응답자는 유아의 어머니이며 문항별 반응양식은 Likert식 4점 척도로 ‘전혀그렇지않다’의 1점에서 ‘항상그렇다’의 4점 척도로 되어있다. 기질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영역들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기질을 유형으로 구분할 경우 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집단의 비율이 높고 유형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Thomas& Chess, 1977). 신뢰도는 .65∼.83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하위요인별로 적응성(.87), 활동성(.85), 생리적규칙성(.68), 반응성(.76), 정서성(.69)이 나타났다.

    다.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

    가정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Amabile(1989)의 ‘창의적 환경 체크리스트’, Wright와 Wright (1986)의 창의적 가족환경의 ‘세 가지 모델’ 그리고 Hills(1987)의 “온실(hot housing)가족”의 개념에 근거하여 오미형, 최보가(2006)가 개발한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 중 하위영역으로 아동존중, 풍부한 학습환경, 독립심 자극하기 3가지 하위요인의 총 24문항을 사용하였다. 창의적 가정환경채점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항상 그렇다 5점으로 되어 있어 총합이 높으면 해당 요인의 경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원검사 신뢰도는 .75∼.87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하위요인별로 아동존중(.82), 풍부한 학습환경(.80), 독립심 자극하기(.65)로 나타났다.

       3. 연구절차 및 분석

    유아들의 창의성 검사를 위하여 만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자와 유아가 1:1면접을 통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용한 작은 방을 선정하여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을 한명씩 개별적으로 약 20분 정도에 걸쳐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적 성격검사, 기질검사,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는 가정통신문과 함께 배부되었으며 양육자가 직접 실시하여 유치원으로 보내도록 안내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창의적환경, 기질, 창의성 간의 관계구조에 대한 이론적 모형이 수집된 자료와 합치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18.0을 사용하여 구조 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적용하였다. 구조방정식 추정방법으로는 완전정보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FIML)을 사용하였고 정상분포 가정의 충족정도를 살펴보고자 각 측정변인의 왜도(skewness)와 첨도(kurtosis)를 구하였다.

    4.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앞에서 제시된 연구문제를 설정한 뒤 선행연구들에서 실시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Ⅳ. 결과 및 해석

       1. 창의적 가정환경과 기질과 창의성 요인들의 기초통계량 및 상관

    유아들의 변인별 점수경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들의 언어창의성(14.61), 도형창의성(6.68)은 점수의 범위에 따라 중간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인성은 호기심(3.15), 과제집착력(3.10), 독립심(3.02), 모험심(3.00)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질은 신체움직임이 활발한 정도를 나타내는 활동성(3.69)이 가장 높은 점수였으며, 새로운 자극이나 변화에 대한 적응도를 나타내는 적응성(3.53)이 그다음 순이었으며, 약한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강한 반응행동을 보이는 반응성(3.47), 반응에 수반되는 정서상태가 긍정적인 정서성(3.15), 수면, 식사 등의 생리적 주기가 규칙적인 것을 의미하는 생리적규칙성(3.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위해 활용한 자료가 구조모형을 검증하기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각 측정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정규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왜도와 첨도를 구하였고, 그 결과는 표1에 제시된 것과 같다. 각 변인들의 왜도의 절대 값이 ‘3’을 넘지 않으며, 첨도 또한 절대 값 ‘10’을 넘지 않으므로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정규성에서는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1>]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정규성 검정

    label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정규성 검정

    유아들의 창의적 환경, 기질, 창의성 간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는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들에 대한 제 변인들의 상관은 합계점수와의 상관을 제외한 경우에 r=.14∼.31의 상관을 이루고 있어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의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표 2>]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정규성 검정

    label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정규성 검정

       2. 가설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 및 경로계수

    유아들의 창의적 환경과 창의성간의 관계를 좀 더 정교화하기 위해 연구모형의 결과분석에서 나타난 매개모형의 수정지수(modification indices)를 참조하여 하위영역들의 오차변량들 사이의 상관이 나타나 오차들 간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한 공분산처치를 하여 연구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모형에 대한 적합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RMSEA는 값이 작을수록 좋은 적합도를 나타내며 그 값이 .10보다 크면 바람직하지 않다(Brown & Cudeck, 1993). 수정모형의 RMSEA 값은 .03으로 만족스러운 수치를 보였다. 모형의 부합도를 평가하는 증분적합지수인 TLI, NFI, CFI는 모두 .90 이상이면 좋은 적합도로 판단하는데, 제시된 수정모형의 수치는 NFI를 제외하고는 모두 이를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연구모형과 수정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비교하였을 때 수정모형의 적합도 지수들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수정모형을 최종적인 모형으로 선택하였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된 최종적인 모형은 [그림 2]와 같으며, 이를 토대로 수정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는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표 3>] 연구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label

    연구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정모형을 최종모형으로 하여 각 변인들의 모수를 추정하였으며 창의적환경, 기질, 창의성 간의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모수치 추정결과인 <표 4>와 표준화 회귀계수로 구성한 최종경로 모형인 [그림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창의적 환경은 기질을 매개로 창의성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최종수정 모델에 기초하여 창의적 환경이 기질을 매개로 어떤 경로를 창의성을 설명해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의 경로계수, 공분산 측정 및 직·간접 효과를 살펴보았다(표 5 참조).

    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창의적 환경→생리적 규칙성, 활동성, 적응성에서 유의미성을 나타내고(p<.05) 있다. 반응성→창의성에 의미있는 설명력을 나타냈으며(p<.05), 활동성→창의성 의미있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창의적 환경→ 창의성에 대한 설명력도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창의성과 다중지능 관련 변인들 간의 경로계수

    label

    창의성과 다중지능 관련 변인들 간의 경로계수

       3. 창의적 환경 및 기질이 창의성에 미치는 직·간접효과

    창의적 환경과 기질이 창의성에 미치는 설명력에 있어서 각 변수들 간의 직·간접 및 총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창의적환경은 기질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기질 또한 창의성에 직접적인 효과만 존재하였으나 창의적 환경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의미있게 공존하는 것을 보여준다. 창의적 환경은 창의성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질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접효과보다 높은 간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창의적 환경은 직접적으로 창의성에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5>] 변인들 간의 효과

    label

    변인들 간의 효과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유아의 내적요인인 기질과 외적요인인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157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창의적환경, 기질, 창의성 검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 및 논의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창의적 가정환경은 기질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질은 창의성과도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단편적인 상관은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도 이미 관련성을 추측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다. 이는 성은현 외(2011)의 연구에서 창의적인 환경을 가진 유아들의 학업성취가 높다고 본 연구결과에서 환경이 유아들의 성취부분과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을 지지해준다. 유아들이 태어나서 가장 밀착되어서 접하게 되는 의미있는 환경은 가정환경일 수밖에 없다. 가정에서 다양한 경험을 유아 스스로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격려와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환경은 다양하고 독창적인 생각과 호기심을 갖고 도전하는 마음과 끝까지 과제를 완수하려는 성향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창의적 가정환경의 점수는 유아의 창의적 능력 점수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기질은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유아를 존중하고 풍부한 학습환경을 제공하며 독립심을 자극하는 가정환경을 제공해줄수록 유아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격이 증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창의적 환경이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질의 하위요인들이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의적인 가정환경은 유아의 생리적 규칙성, 활동성, 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며 생리적규칙성과 활동성이 증가할수록 창의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정의 양육환경이 유아의 기질과 상관이 있다고 주장한 공영숙, 임지영(2012) 연구의 주장을 뒷받침해준다고 할 수 있다. 기질은 선천적으로 지니고 태어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유아의 기질이 잘 나타나 자신의 독창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환경의 중요성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기질과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던 선행연구(김정원, 2005)의 결과에서와 같이 유아의 기질은 창의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응성이 높을수록 창의성은 낮아지고 자신의 신체적인 리듬을 잘 유지하고 적절하고 규칙적으로 생활하는 유아와 활동에 능동적으로 임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유아일수록 창의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자극에 대하여 강하고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정도가 높으면 도전하거나 새로운 것에 흥미를 갖는 성향이 낮아지며 음식섭취와 수면 등 생리적으로 안정적일수록 또한 다양한 대상에 대해 적극적으로 임하는 기질을 갖는 유아가 창의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창의적 가정환경, 유아의 기질요인들이 창의성에 미치는 표준화된 총효과를 비교해본결과 반응성, 활동성, 창의적환경, 생리적규칙성의 순으로 창의성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반응성은 부적인 설명력을 보여 지나치게 반응적인 경우 창의적인 능력이나 성격들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어진 자극대상에 대하여 강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창의성의 한 요인인 민감성과도 정적인 상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부적상관이 나타난 것은 의외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어진 자극에 대하여 지나치게 민감하고 날카롭게 반응하는 까다로운 기질을 갖는 유아는 그 자극의 고통에 집착하여 에너지를 사용하느라 창의성이 갖고 있는 다른 요인들을 충분휘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는 민감성과 반응성을 어떤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도 있을 것이므로 후속연구에서 측정방법에 다른 차이를 밝혀야 할 것이다.

    유아의 창의성을 창의적환경이 기질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준다는 연구는 처음 시도된 연구로 선행연구결과와의 차이를 논하기는 어렵지만 창의적 환경이 기질을 매개로 창의성에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가정에서 제시하는 창의적인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해볼 수 있는데 이는 상식적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을듯하지만 경험적으로 증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기질을 매개로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결과를 알아보았는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기질 이외의 정의적인 변인이나 내적인 요인들에 대한 탐색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유아들에게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인식이 중요한데 구광현, 김보현(2012)은 창의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사에 비하면 창의성교육을 실제로 실시하고 있는 교사의 비율은 높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가정환경의 중요성이나 유아의 기질에 대한 중요성이 창의성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고 현장에서 부모교육이나 유아들의 창의성교육 현장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 1. 공 영숙, 임 지영 (2012)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 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실행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Vol.32 P.351-376 google
  • 2. 구 광현, 김 보현 (2012) 창의성교육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 실태 [유아교육연구] Vol.32 P.343-371 google
  • 3. 김 영연, 김 미영 (2011) 유아 정서지능과 기질이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Vol.40 P.161-183 google
  • 4. 김 원경, 권 희경, 전 제아 (2001) 아동의 문제해결력 관련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Vol.22 P.63-73 google
  • 5. 김 정원 (2005) 아동의 기질 및 양육태도와 창의성향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Vol.19 P.933-951 google
  • 6. 김 호 (2012)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도 실태. [교육논총] Vol.32 P.109-129 google
  • 7. 김 호, 유 영의 (2011)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P.333-352 google
  • 8. 박 숙희 (1991) 가정환경, 인지양식, 창의성 간의 관계연구 google
  • 9. 성 은현 (2004) 어머니의 내외통제성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자녀의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P.79-93 google
  • 10. 성 은현, Kaufman J.C., 이 문정, 김 누리 (2012) 창의적 수업환경 질문지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Vol.12 P.113-131 google
  • 11. 성 은현, 김 누리 (2011) 소득과 거주지역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P.67-84 google
  • 12. 오 미형, 최 보가 (2006) 취학전 아동을 위한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개발. [대한가정학회지] Vol.44 P.1-10 google
  • 13. 유 경훈 (2010) 창의적산출물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정의·환경적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연구 [아시아교육연구] Vol.11 P.71-95 google
  • 14. 유 경훈, 강 순미 (2012) 유아의 환경변인과 창의적 사고력과의 관계연구. [창의력교육연구] Vol.12 P.229-249 google
  • 15. 유 경훈, 강 순미 (2013) 창의적 가정환경,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모형 관계연구 [미래유아교육] Vol.20 P.419-436 google
  • 16. 이 경화 (2003) The Developmental Trend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15th Biennial Conference of the World Council for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google
  • 17. 이 경화 (2005) 유아,초등학생용 한국형 개별 창의성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Vol.19 P.1023-1042 google
  • 18. 이 경화 (2009) 인지ㆍ창의ㆍ리더십 계발을 위한 글로벌리더 모형. [영재와 영재교육] Vol.8 P.23-41 google
  • 19. 이 순복, 전 귀연 (2006) 부모 및 가족 특성이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Vol.26 P.283-311 google
  • 20. 이 시자 (2013) 유아의 성별, 기질, 유아-어머니 간 기질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Vol.33 P.257-278 google
  • 21. 정 민자 (2005)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간의 구조모형 google
  • 22. 조 성연 (1997) 도시와 농촌 아동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및 어머니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Vol.2 P.17-32 google
  • 23. 천 희영 (1993)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Vol.14 P.17-34 google
  • 24. 하 주현 (2001) 창의적 인성검사의 연령별 타당화 및 연령별 발달경향 연구. [교육심리연구] Vol.15 P.323-351 google
  • 25.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5 P.357-376 google cross ref
  • 26. Amabile T. M. (1989)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 of creativity. google
  • 27.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google
  • 28. Barron F., Harrington D. M. (1981)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32 P.439-476 google cross ref
  • 29. Bates J. E (1987) Temperament in Infancy. in J. D. Osofsky(Ed), Handook of infant development. google
  • 30. Bradley R. H., Caldwell B. M. (1980) The relation of home environment, cognitive competence and IQ among male and females [Child Development] Vol.51 P.1140-1148 google cross ref
  • 31. Dave R. H. (1963)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of enviromental process variables related to educational achievement. google
  • 32. Davis G. A. (1999) Barriers to creativity and creative attitudes, In Runco, M.A., & Pritzker, S. T.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Vol. 2 google
  • 33. Eisenberg N., Fabes R. A., Murphy B., Maszk P., Smith M., Karbon M. (1995) The role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in chidren’s social functioning: A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Vol.66 P.1360-1384 google cross ref
  • 34. Goldsmith H. H, Gottesman T (1981) Origins of variation in behavior style: A longitudinal study of temperament in young twins. [Child Development] Vol.58 P.91-103 google cross ref
  • 35. Guilford J. P. (1971) Some misconceptions regarding measurement of creative behavior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5 P.77-87 google cross ref
  • 36. (1988) Storytelling as a means of assessing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ity Behavior] Vol.22 P.235-247 google cross ref
  • 37. Hennessey B., Amabile T. (1989) The role of the environment in creativity P.11-38 google
  • 38. (1978) The measurement of temperament in 3?7 year old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19 P.245-253 google cross ref
  • 39. Michel M., Dudek S. (1991)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Vol.4 P.281-286 google cross ref
  • 40. Runco M.A. (2004) “Creativ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5 P.657-687 google cross ref
  • 41. Tannenbaum A.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y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 google
  • 42. Tomas A,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google
  • 43. Torrance E. P. (1977) Discovery and nurturance of giftedness in the culturally different. google
  • 44.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google
  • 45. Urban K. K. (1995) Creativity-A componential approach. [Post conference China meeting of the 11th World conference on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google
  • 46. Williams F. (1980) Creativity assesment packet(CAP): manual google
  • 47. Wycoff E. B., Pryor B. (2003) Cognitive Processing, Creativity, Apprehension, and the Houmorous Personality [North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5 P.31-44 google
  • 48. Zhou Zing, Oldham G. R. (2001) Enhancing Creative performance: Effects of Expected Develop-mental Assessment Strategies and Creative Personalities.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35 P.151-167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연구모형
    연구모형
  • [ <표 1> ]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정규성 검정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정규성 검정
  • [ <표 2> ]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정규성 검정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정규성 검정
  • [ <표 3> ]  연구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연구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 [ [그림 2] ]  수정모형
    수정모형
  • [ <표 4> ]  창의성과 다중지능 관련 변인들 간의 경로계수
    창의성과 다중지능 관련 변인들 간의 경로계수
  • [ <표 5> ]  변인들 간의 효과
    변인들 간의 효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