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현직교사교육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teacher onkindergarten teacher core competency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4년까지 발행된 유아교육관련 모든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현직교사교육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유치원교사’와 ‘교사교육’ 검색어로 검색된 모든 연구물을 열어보고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 현직교사교육’에 해당하는 학술지논문 40편과 학위논문 27편, 총 67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핵심역량과 누리과정 영역, 교수학습방법, 현직교육유형의 네 가지 영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현직 교사교육은 교직인성 및 전문성 개발, 교육과정 운영,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순으로 비중있게 다루어졌다. 각 역량의 세부 내용별 연구의 경향을 보면, 교직에 대한 열정,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이해, 반성적 자기개발, 공동체 의식 및 태도형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누리과정 영역별 핵심역량 연구의 비중을 살펴보면, 자연탐구영역이 가장 많았고, 사회관계영역이 다음이었다. 마지막으로, 교사교육접근을 위한 교수방법으로 활용된 접근방안의 경향을 보면, 탐구중심과 반성적 교수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studies and journals in teacher education published from 1990 to 2014. For this study, research studies and journals of ‘kindergarten teacher’ and ‘teacher education’ were searched through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7 studies and 40 journals, in total of 67, dealing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y were selected for subjects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examined and analyzed upon four standards of analysis, which are core competence, NURI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ducational type. According to the analysis, kindergarten educations were most heavily dominated in following orders of subjects: developing teacher disposition and professionalism, curriculum operation and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s.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sub-content of each core competence, four categories were showed such as passion for teaching, understanding of teaching- learning process, reflective self-development and community awareness and attitude formation. Regarding the portation of sub-areas of NURI curriculum, the areas of nature and inquiry were placed first and social relationships secondly. Lastly, exploration and reflective inquiry-based teaching methods were mostly dealt for teaching method of teacher education apporach.

KEYWORD
유치원 교사 , 연구동향 ,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인적자원 개발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관심이 최근 들어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할 지식, 기술, 태도 측면의 소양을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하고 유아교육 단계에서부터 유아의 핵심역량을 규정하고 이를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과정을 잘 실행하기 위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사의 역량을 꼽을 수 있기 때문이다(박창현, 박찬옥, 2012).

    미래인재의 핵심역량을 규정하게 되면서 이를 제대로 교육할 수 있는 교원의 전문성이 강조되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핵심역량과 교원교육을 연계시키기 위해 교사의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체계화시키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교육부, 2010). 교사 핵심역량이란 교사가 수행해야 할 모든 직무에 관련된 포괄적 범위의 능력을 의미하므로,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보다 좀 더 포괄적 범위의 능력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을 정의하면, “유치원 교사의 특성, 유치원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성, 유치원 교사의 역할, 유치원 교사로서의 자질 등을 포괄하는 일종의 핵심적인 직무수행능력(competency)”으로서(성병창, 부재율, 한경임, 이경화, 2009), 유치원 조직에서 요구하는 교사의 직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교사의 행동특성, 지식, 태도,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교육부, 2010).

    현직교사교육에 있어서 교사핵심역량 개발과 적용이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교원핵심역량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유아교육 연구분야에서 교원의 핵심역량에 대한 관심은 성병창과 부재율, 한경임, 이경화(2009)가 처음으로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조사 연구 이후로 후속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후 핵심역량을 교사양성과정, 교원 임용, 교원평가 등과 연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유치원 교사 양성 및 임용 체제 개선 방안』 (교육부, 2010)을 통해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을 규명하는 작업이 이루어져 “유치원 교사 핵심 역량(안)”이 개발되었다. 교사핵심역량 개발의 목적은 현직교사들을 위한 교육과정을 통해 교사들이 그러한 능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규정한 핵심역량을 제대로 갖춘 유치원교사를 양성하고 현직교사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위함이라는 것이다.

    정부는 2012년 3월부터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모든 만 5세 유아에게 보편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5세 누리과정’을 도입하고 이어 2013년 3월부터 ‘3, 4세 누리과정’을 시행하고 있다(이윤옥, 2013). 누리과정이 의도하는 교육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개발된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 제대로 실행되어야 하는데(김정주, 2013; 손수연, 이기숙, 2013), 누리과정을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육현장에 적절하게 적용되느냐의 여부가 더 중요한 일이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을 현장에서 잘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보다 역량있는 교사를 양성하고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현직교육을 실행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은 유치원 교사의 계속된 훈련과 축적된 경험을 통해 쌓여진 역량으로 나타나는 전문적인 활동이기 때문이다(Hoyle & John, 1995). 이처럼, 점차 유치원 교사에게 누리과정의 성격과 방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교육과정 내용을 적합하게 실천하는 능력이 점차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이현주, 2014).

    이와 같은 교육과정 운영자로서의 교사역량 뿐 아니라 질높은 유아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교사 자신의 연구와 노력, 그리고 공적차원의 현직교육이 필요하다. 사실,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재교육을 실시하면 교사들에게 효과적일 뿐 아니라 유아들에게도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한다(Nichols & Honig, 1995). 또한, 체계적인 현직교사의 재교육은 현장교사가 교과별 교육을 원활하게 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송화진, 2011). 이미, 유아교사를 위한 현직교육은 과학(강은구, 2000; 김정주, 2013; 라정숙, 2001)와 동작(송화진, 2011), 음악(방은영, 2009; 장은주, 2007; 조형숙, 박수미, 2009), 창의성(박옥자, 2008), 컴퓨터(손유진, 2000), 영어(이현숙, 2013; 정재은, 2009) 등 다양한 교과별 현직 교사교육을 통해 효과가 입증되었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현직교사에게 재교육을 실시할 경우 유아교사가 교과별 지식을 높이고, 적절한 교수기술을 사용하여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교과에 대한 현직교사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현직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사회적 변화와 교육적 요구에 따라 변화하였다. 1980년대까지는 교사의 효과적인 교수기술이 강조되었다. 1990년대에는 교사의 지식과 사고가 중요하게 생각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다변화, 다문화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1980년대까지는 콩나물 학급으로 대표되는 과밀학급 문제가 유아교육기관 학급의 문제이기도 하여, 교사의 효율적인 교수기술이 요구되었다. 1990년대에는 과밀학급의 문제가 조금씩 해소되면서 유아에게 체계적으로 지식과 기술, 태도를 습득할 수 있도록 교사가 반성적 사고를 통한 유아에게 필요한 지식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 부각되었다. 이는, 구성주의적 교수방법이 유아교육에 영향을 미친 시기와도 일치한다. 2000년대 이후에는 급변하는 사회 현실 속에서 여러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교사의 태도가 중요해졌다. 이처럼, 교육현실의 요구에 따라 너무 빠르게 변화하는 현직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이전 시기의 교육적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현직 교사들은 근본적인 내용지식에 대한 탐구를 통한 수업계획보다 교육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이나 구체적인 교수방법에 더 관심을 보이고 있어(박은혜, 김소혜, 2003), 그동안 유아교육에서 통합적 접근 등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내용을 강조하여 내용지식에 대한 현직교육을 다소 소홀히 한 경향이 있다(장은주, 2007).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유아교사에게 교과관련 내용 지식의 습득을 도와 전문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은 현재 교사교육의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송화진, 2011)

    국내에서 교육과정 창안자로서의 교사의 소양 뿐 아니라 다변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창의성과 같은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1990년대 이후 유아교사교육관련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 졌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의 동향을 살피고, 향후 유아교사교육의 방향과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몇 편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특정 교과목 분야에서의 현직교사 교육연구 동향을 살피거나(김춘희, 남기원, 우영숙, 최순덕, 2011), 예비유아교사로 그 대상이 한정되어 있거나(김현자, 노희연, 이영, 2009), 교수능력이라는 특정 영역에 한정되어(신은미, 나은숙, 2007; 유수경, 황해익, 2009) 있어서,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에 기초하여 분석한 연구라고 보기 어렵다. 이제까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주로 교사의 역할과 자질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접근되어져 왔다. 이제 유아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교사의 능력으로서 핵심역량의 개념으로서 활발히 논의되는 시점에 이를 기초로 현직교사교육연구의 동향을 분석해 보는 것은 보다 미래지향적인 유치원 현직교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 교육 관련 연구의 핵심역량 연구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교사 교육 관련 연구의 누리과정 영역에 따른 연구 경향은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 교사 교육 관련 연구의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연구 경향은 어떠한가?

    넷째, 유치원 교사 교육 관련 연구의 현직교육유형에 따른 연구 경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범위

    본 연구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kr)에 수록된 유아교육 관련 연구 중에서 ‘유치원 교사’와 ‘교사교육’의 검색어로 검색된 모든 연구물들을 하나하나 열어보고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 현직교사교육’에 해당하는 연구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연구물은 모두 하나하나 읽어보고 적합한 내용인 연구들만 대상으로 하였으며, 1990년부터 2014년 5월까지 수행된 학술지논문과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물 중에서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 현직교사교육에 부합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 연구물을 연구자가 협의하여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선정된 연구대상은 학술지 논문 40편과 학위논문 27편으로, 모두 67편이었다.

    유치원 교사는 유아교사라는 말로 혼용되어 연구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어린이집 교사들을 포함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중에서 연구의 대상을 유치원 교사로 하여 수행된 연구물 만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교사교육이 실시된 논문들은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로 나누어 수행되었는데, 이 중에서 학생들에게 실시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은 제외하고, 현직유아교사에게 실시된 교사교육만을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분석대상을 확정하였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에게 실시된 연구와 현직유아교사에게 실시된 교육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며, 본 연구에서 일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유아교사에게 어떠한 교사교육이 실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앞으로 현직유아교사에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기 때문이다.

    그간 유아교사 관련 현직교육은 교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박옥자, 2009; 송화진, 2010; 이은지, 2012; 정성진, 2012; 한찬희, 2013)들이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 현직교사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의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후에 수행될 현직교사교육과 관련한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분석기준 및 방법

    현직교사교육 연구동향의 분석기준을 핵심역량과 누리과정 영역, 교수학습방법, 현직교육유형의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었고, 본 연구에서 기초가 되는 분석기준은 핵심역량이다.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나머지 누리과정 영역과 교수학습방법, 현직교육유형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세부분석기준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

    가장 핵심적인 연구동향 분석 기준인 유치원교사의 핵심역량은 『유치원 교사 양성 및 임용 체제 개선 방안』(교육부, 2010)에서 개발한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핵심역량의 내용은 교직 인성 및 전문성 계발, 학습자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 운영, 대인 관계 및 의사소통, 정보화 소양, 학급운영의 6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현직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지표로 본 연구에서 분석기준으로 하였다.

    교직 인성 및 전문성 계발의 세부 내용은 교직에 대한 열정, 창의성, 반성적 자기개발, 교직윤리로, 학습자에 대한 이해는 유아의 보편적 발달특성 이해, 유아의 개인적, 사회문화적 발달 특성 이해로, 교육과정 운영은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및 실행, 교과내용 지식이해, 다학문적 지식이해 및 활용,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 및 실행, 교수 학습과정에 대한 이해 및 실행, 평가의 이해 및 실행으로, 대인 관계 및 의사소통은 공동체 의식 및 태도 형성, 공동체 형성 및 지원, 의사소통 기술형성으로, 정보화 소양은 정보화 기술 이해, 정보화 기술 활용으로, 마지막으로 학급운영은 교실문화 조성, 문서작성 및 관리로 구분하였다. 유아교사의 핵심역량과 교수학습 방법은 한 개의 연구에서 여러 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중복표기 하였다.

    [<표 1>]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

    label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

    2) 누리과정 영역

    앞서 분류한 교육부(2010)의 핵심역량을 교육부와 보건복지부(2013)의 3-5세 누리과정 지침서 교사용 지도서에 나오는 누리과정 영역을 기본으로 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설정한 영역에 따라 다시 분류하였다. 누리과정 영역은 신체운동·건강 영역, 의사소통 영역, 사회관계 영역, 예술경험 영역, 자연탐구 영역, 기타의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신체운동·건강 영역은 건강교육과 안전교육, 실외놀이로 구분하였고, 의사소통 영역은 언어교육과 문학교육으로, 사회관계 영역은 사회교육, 정서교육, 부적응 유아교육, 상담으로, 예술경험 영역은 음악교육과 미술교육, 동작교육으로, 자연탐구 영역은 수학교육과 과학교육, 창의성교육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타 영역은 교육실습지도 관련 교사교육, 범교과적 레지오 협동학습 교육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3) 교수학습방법

    교수학습방법은 핵심역량(교육부, 2010)을 바탕으로, 탐구중심, PBL, 반성적 교수, 개념도 전략, 현장연계로 구분하였다. 탐구중심은 학습자가 주도하는 학습을 일컬으며, 학습자에게 자기 반성적 사고 혹은 구체적인 상황을 기초로 한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학습과제 등을 제시하는 교수학습방법이다. PBL은 문제기반학습으로, 공동의 문제를 함께 발견하고 해결해가는 과정이다. 학습 계획을 수립하고, 토론과 토의활동을 통해서 자기 주도적인 학습 및 평가가 이루어진다. 반성적 교수는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과 관련한 모든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수업 계획안을 직접 작성하고 유아에게 적용해보고, 반성적인 저널 활동 등을 통하여 평가한다. 개념도 전략은 특정 주제에 대해 학습자가 이해하고 있는 정도를 학습자가 시각적인 형태로 제시하는 것으로, 학습자들의 지식구조를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특정 교수형태에 대한 지식이 어떻게 변화, 발전하는지를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현장연계는 실제로 교실에서 일어난 수업상황이나 개별 교수방법에 대해 소개하여, 현실감 있는 교실 상황을 제공하여 문제해결방법, 사례에 적용된 이론을 유추하는 방법이다. 분석대상들은 한 연구에서 평균적으로 3-4개의 교수학습 방법이 활용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모두 중복표기하였다.

    4) 현직교육유형

    현직교육은 교육부(2010)의 핵심역량 분류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와 임상장학, 멘토링, 기타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학습공동체는 유아교사들이 함께 자발적인 모임을 구성하여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교육을 배우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집단이다. 임상장학은 장학담당자가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현장에서 대면하여 실제 수업 개선에 관심을 두고, ‘계획협의’ → ‘수업관찰’ → ‘피드백’의 과정이 협력적으로 일어난다. 멘토링은 멘티의 전문성 발달을 촉진시켜서 유아교육기관 안에서 유아교사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돕고, 자신감과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기타는 모두 시청각 교육이었다.

       3. 분석절차

    현직교사교육을 실시한 유아교사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유아수학교육 관련 연구동향(이효정, 노희연, 김성숙, 2007)의 자료 분석에서 사용한 자료 분석의 과정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자료 수집, 선행연구 고찰, 자료 분석 기준 수립, 예비분석, 최종 분석의 절차를 따랐다. 첫 번째, 자료수집 단계에서는 1990년부터 2014년 5월까지 다섯 종류의 학술지에 게재된 40편의 논문과 1990년부터 2014년 5월까지 나온 학위논문 27편을 국회도서관 홈페이지, 학회 홈페이지,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 한국학술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두 번째,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직교사교육 관련 유아교사와 관련한 연구를 고찰하여 본 연구에 대한 기본 분석 방향을 설계하였다. 세 번째, 자료 분석 기준 수립에서 연구동향 분석과 현직교사교육 관련 유아교사와 관련한 연구 내용을 기초로 자료 분석 기준을 수립하였다. 네 번째, 예비분석 단계에서는 확정된 자료 분석 기준에 따라서 연구자가 10편의 논문을 먼저 분석한 후 분석한 결과를 검토하여 불일치하는 부분에 대해서 재검토를 거쳐 자료 분석 기준을 수정·확립하였다. 예비분석은 연구방법과 연구내용의 준거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으로(조형숙, 김설한, 2011), 최종 분석 단계 이전에 중요한 단계에 해당한다. 다섯째, 최종 분석에서는 연구자가 수집된 전체 67편의 논문을 수정·확립된 자료 분석 기준에 의해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핵심역량 내용 영역별 연구동향

    유치원교사 핵심역량을 기준으로 분석한 현직교사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핵심역량별 분석

    label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핵심역량별 분석

    유아교사를 위한 현직교사교육을 핵심역량별로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 운영,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정보화 소양, 학급운영으로 구분하였다.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34.2%)과 교육과정 운영(25.0%),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22.5%)이 많이 연구되었고, 학습자에 대한 이해(9.6%)와 정보화 소양(7.6%), 학급운영(0.9%)는 상대적으로 적게 연구되었다.

    세부 하위요인으로 교직에 대한 열정, 창의성, 반성적 자기개발, 교직윤리, 유아의 보편적 발달 특성 이해, 유아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발달 특성 이해,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및 실행, 교과내용지식이해, 다학문적 지식 이해 및 활용,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이해 및 실행, 평가의 이해 및 실행, 공동체 의식 및 태도 형성, 공동체 형성 및 지원, 의사소통 기술 형성, 정보화 기술 이해, 정보화 기술 활용, 교실 문화 조성, 문서 작성 및 관리로 핵심역량의 내용 및 세부내용 별로 경향을 분석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세부 하위요인 중에서 가장 많이 수행된 연구는 반성적 자기개발(13.4%)과 교직에 대한 열정(11.5%), 공동체 의식 및 태도형성(10.1%) 였다.

    동일한 연구에서 여러 개의 핵심역량을 활용하였으므로 분석논문(67편)보다 많은 핵심역량(208개)이 분석되었다.

       2. 누리과정 영역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연구동향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현직교사교육이 수행된 연구들을 누리과정의 각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1) 의사소통 영역의 유치원교사 핵심역량별 분석

    현직교사교육이 수행된 연구 가운데 누리과정 영역 중 의사소통 영역을 주제로 실시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의사소통 영역별 분석

    label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의사소통 영역별 분석

    의사소통 영역 중에서 교육과정 운영(5회)이 50%로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고,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2회),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2회), 학습자에 대한 이해(1회)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소양과 학급운영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교육과정 운영 중에서 교과내용 지식 이해와 평가의 이해 및 실행,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중 의사소통기술형성이 각각 2회씩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교육과정 운영 중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이해 및 실행이 1회, 교직 인성 및 전문성 계발 중 창의성과 반성적 자기개발이 각각 1번씩, 학습자에 대한 이해 중 유아의 보편적 발달특성 이해가 1회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영역 중에서 문학교육은 실시되지 않았으며, 언어교육만이 10회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교육에서는 학위논문(6회)이 학술지(4회)보다 많이 수행되었다.

    2) 사회관계 영역의 유치원교사 핵심역량별 분석

    현직교사교육이 수행된 연구 가운데 누리과정 영역 중 사회관계 영역을 주제로 실시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사회관계 영역별 분석

    label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사회관계 영역별 분석

    사회관계 영역 중에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34회)과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33회)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교육과정 운영(20회)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11회), 학급운영(2회)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관계 영역을 알아보는 연구 중에서 정보화 소양을 알아보는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알아보면,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영역에서 의사소통기술 형성(17회), 공동체 의식 및 태도 형성(12회)과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 영역에서 반성적 자기 개발(15회), 교직윤리(11회)이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관계영역별 분석에서 사회교육이 47회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부적응 유아교육이 32회, 정서교육이 11회, 상담이 8회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3) 예술경험 영역의 유치원교사 핵심역량별 분석

    현직교사교육이 수행된 연구 가운데 누리과정 영역 중 예술경험 영역을 주제로 실시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예술경험 영역별 분석

    label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예술경험 영역별 분석

    예술경험 영역에서 교육과정 운영(6회)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5회),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4회), 학습자에 대한 이해(1회)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소양과 학급운영은 수행되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알아보면,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에서 반성적 자기개발(3회), 교직에 대한 열정(2회), 교육과정 운영에서 교과내용지식이해(3회),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이해 및 실행(2회),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에서 공동체 의식 및 태도 형성(2회), 공동체 형성 및 지원(2회)가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경험 영역을 음악교육과 미술교육, 동작교육으로 세부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음악교육 관련 논문이 12회 나타나 가장 많았고, 동작교육이 4회 나타났다. 미술교육은 수행되지 않았다. 음악교육과 관련한 학술지(10회)가 학위논문(2회) 보다 많은 것에 비해, 동작교육은 학위논문(4회) 만이 수행되었다.

    4) 자연탐구 영역의 유치원교사 핵심역량별 분석

    현직교사교육이 수행된 연구 가운데 누리과정 영역 중 자연탐구 영역을 주제로 실시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자연탐구 영역별 분석

    label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자연탐구 영역별 분석

    자연탐구 영역에서 교육과정 운영(25회)이 가장 많았고,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22회), 정보화 소양(14회), 학습자에 대한 이해(5회),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3회), 학급운영(1회) 순으로 나타났다. 다른 누리과정 영역별 분석에서 수행되지 않았던 정보화 소양이 전체의 20%를 차지하여 다른 누리과정 영역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알아보면,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 중 교직에 대한 열정(13회)이 가장 많았고, 교육과정 운영 중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이해 및 실행(11회)과 교과내용 지식 이해(10회)가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탐구영역에서 과학교육이 52회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수학교육이 13회, 창의성 교육이 5회로 과학교육에 비해 적게 수행되었다. 과학교육은 학술지가 38회, 학위논문이 14회로 학술지가 더 많았고, 수학교육은 학술지만 13회로 학위논문이 수행되지 않았다. 창의성 교육은 학위논문만이 5회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5) 기타 영역의 유치원교사 핵심역량별 분석

    현직교사교육이 수행된 연구 가운데 누리과정 영역 중 기타의 주제로 실시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기타 영역별 분석

    label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기타 영역별 분석

    기타 영역의 핵심역량 분석에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5회)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정보화 소양(4회),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2회), 교육과정 운영(1회) 순으로 수행되었다.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학급운영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에서 공동체 의식 및 태도 형성(3회), 공동체 형성 및 지원(2회), 정보화 소양에서 정보화 기술 이해(2회), 정보화 기술 활용(2회)이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현장교육이 7회, 레지오 협동 학습교육이 5회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세부적으로, 교육실습 현장교육은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3회)와 정보화 소양(4회)에서 수행되었고, 레지오 협동 학습교육은 교직 인성 및 전문성 계발(2회), 교육과정 운영(1회),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5회), 정보화 소양(4회)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수학습방법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동향

    현직교사교육이 수행된 연구 가운데 교수학습방법별 핵심역량의 분석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 교수학습방법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분석

    label

    교수학습방법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분석

    교수학습방법별로 수행된 모든 방법을 중복하여 표기하여 살펴보았다. 분석논문(67편)보다 많은 핵심역량(550개)가 분석되었다.

    현직교사교육 논문의 교수학습방법별 경향을 살펴보면,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164회)와 교육과정 운영(153회),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136회)가 많이 수행되었고, 학습자에 대한 이해(57회), 정보화 소양(36회), 학급운영(4회)가 적게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 중 반성적 자기개발(81회), 교직에 대한 열정(49회)과 교육과정 운영 중 교과내용 지식 이해(64회),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이해 및 실행(45회)와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중 공동체 의식 및 태도 형성(47회), 공동체 형성 및 지원(40회), 의사소통기술형성(49회)가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방법별로는 반성적 교수(158회)와 탐구중심(145회)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현장연계(97회), 개념도 전략(74회), PBL(45회), 기타(31회) 순으로 나타났다.

       4. 현직교육유형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동향

    직교사교육이 수행된 연구 가운데 현직교육유형별 핵심역량의 분석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 현직교육유형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분석

    label

    현직교육유형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분석

    수행된 모든 핵심역량별로 중복표기 하여 살펴보았고, 분석논문(67편)보다 많은 핵심역량(332개)가 분석되었다.

    현직교사교육 논문의 핵심역량별 분석을 실시하였더니, 교직인성 및 전문성 계발(108회)과 교육과정 운영(83회),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70회)가 많이 수행되었다. 학습자에 대한 이해(36회)와 정보화 소양(33회), 학급운영(2회)는 상대적으로 적게 수행되었다.

    현직교사교육 유형별로 살펴보면 학습공동체(116회)와 멘토링(104회)이 많이 수행되었고, 임상장학(63회)이 적게 수행되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현직 유아교사관련 연구의 동향을 교육부가 개발한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하여 현직교사교육의 관련 하위 내용으로 분석한 이유는 미래 교사교육의 방향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교사에게 필요하다고 설정한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가 어느 정도 탄탄하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보다 사회적, 교육적 요구에 부합하는 현직교사교육의 방향과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결과가 갖는 유아 현직교사교육에 있어서의 의미와 이것이 시사하는 미래지향적 방향에 대해 각 결과 별로 다음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의 논의는 핵심역량의 각 역량영역별 연구의 비중과 경향, 각 역량의 세부내용별 연구의 비중과 경향, 누리과정 영역별 핵심역량관련 연구의 비중과 경향, 그리고 현직교사교육접근의 경향에 대한 결과로 나누어 경향을 정리하고 향후 발전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현직교사교육 관련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누리과정 영역에 상관없이 전체적인 현직교사 대상 교육 연구가 핵심역량 가운데 어떤 영역을 주로 다루었는지를 살펴보면 교직인성 및 전문성 개발, 교육과정 운영,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순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현직교사의 경우 교수 기술보다 신념, 태도나 자신의 교육 실제를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자기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안부금, 2002; 안혜준, 2010; 최선희, 2012). 특히 유아교육의 경우 교육과정 계획과 운영에 있어서 교사 자율성의 타 학교급에 비해 높은 특성에 따라 교사의 가치관, 교육관과 신념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겠다. 또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능력의 경우 현직교사들이 동료교사, 관리자, 그리고 가장 어려운 대상으로 부모와의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김보영, 2013; 염지숙, 홍춘희, 2006).

    또한 핵심역량의 내용별 빈도 분석결과에 의하면,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학급운영에 대한 비중이 적은 것은 상대적으로 현직경험을 통해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초자료가 제시되지 않았기에 주요 개선의 주제로 다루어지지 않았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다문화 가정, 장애유아, 다양한 가족배경을 가진 유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현직교사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에 대해 보다 실제적으로 이해하고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연구가 향후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둘째, 각 역량의 세부 내용별 연구의 경향을 보면, 교직에 대한 열정,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이해, 반성적 자기개발, 공동체 의식 및 태도형성 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 반면, 창의성, 교직윤리, 평가의 이해 및 실행, 문서 작성 및 관리 관련 연구는 한편도 발견할 수 없었다. 최근 들어 교직윤리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화가 되고 다원화되어 가는 사회에서 더욱이나 교사로서의 철학과 윤리적 판단 및 실행능력이 요구되는 시점에 향후 교직윤리에 관한 현직교사교육 연구가 심도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누리과정 도입을 통해 국가수준 교육과정 실행의 결과를 유아, 교사, 기관의 측면에서 평가해보고 이를 교육과정운영에 반영하는 순환적 발전적 실천을 위해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실행능력은 더욱 중요한 역량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기에 이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셋째, 누리과정 영역별 핵심역량관련 연구의 비중과 경향을 살펴보면 자연탐구영역이 40%라는 비중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음으로 사회관계영역이 23.3%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전통적으로 유치원교사들이 어려운 영역으로 인식해온 수학, 과학교육과정 운영 능력에 대한 개선 요구와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된 결과라 하겠다. 또한 사회관계의 경우 유아간의 긍정적 관계형성과 갈등 해결 관련 교사 역량의 중요성과 함께 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기초연구가 제시한 연구결과에 따른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제 그동안 어려운 영역으로 인식되어온 두 영역에 대한 현직교사교육접근이 활발히 진행되었기에 최근에는 현직교사들이 어떤 영역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는지에 대한 기초 연구를 통해 실제 현직교사교육접근을 시도해보아야 할 영역이 어느 것인지를 파악하고 교사들의 영역별 전문성을 키워주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예술경험영역에 대한 연구도 매우 적은 비중으로 이루어졌으며 신체운동. 건강영역에 대한 연구는 한편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실 음악이나 동작 교육에 대해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이 만족스럽지 않다는 결과(방은영, 2009; 조형숙, 박수미, 2009)들이 제시되고 있는 반면 적극적인 현직교사교육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향후 관련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신체운동. 건강영역 관련 현직교사교육연구가 없는 것은 교사들의 준비가 예비교사교육과정을 통해 충분히 이루어졌기 때문인지 관심도가 낮기 때문인지에 대한 분석으로 통해 향후 대처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직교사교육접근을 위한 교수방법으로 활용된 접근방안의 경향을 보면, 탐구중심과 반성적 교수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직교사의 경우 전달식교육보다는 자신의 교수 실제를 인식하고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개선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문제해결과 직접 참여중심의 교수방법이 효과적이라고 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최근 상황중심교육접근이 대두되면서 제기된 PBL(Problem-Based-Learning) 접근에 의한 연구가 소수이지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BL 접근은 현직교사가 당면하고 있거나 만날 수 있는 실제적 교수상황 관련 문제를 교사에게 제시하고 협력학습 형태로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보는 과정을 통해 개선을 도모하도록 하는 접근으로 다양한 교육분야에서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향후 현직 유치원교사를 위한 교육접근으로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 및 현직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교사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을 양적으로 분석하여 그 경향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논의한 것이다. 본 연구가 양적 분석을 통해 결과를 제시하였기에 연구동향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논의를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동향에 대한 결과를 내용적으로 분석하여 핵심역량 영역별, 누리과정 영역별 또는 교수 방법적 측면에서 보다 미래지향적이면서 현실적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참고문헌
  • 1. 강 신영 (2005)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컴퓨터교육 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google
  • 2. 강 은구 (2000) 현장 적용 사례중심의 과학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조사. google
  • 3.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google
  • 4. (2010) 유치원 교사 양성 및 임용 체제 개선 방안. google
  • 5. 김 보영 (2013)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google
  • 6. 김 정주 (2013) 효율적인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현직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 [유아교육연구] Vol.33 P.319-336 google
  • 7. 김 정주 (2006) 과학영역 운영에 관한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google
  • 8. 김 춘희, 남 기원, 우 영숙, 최 순덕 (2011)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연구동향. Vol.15 P.569-597 google
  • 9. 김 현자, 노 희연, 이 영 (2009) 예비유아교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1999~2008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Vol.56 P.31-48 google
  • 10. 김 현정 (2007) 장애유아 통합교육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google
  • 11. 노 지영 (2002) 통합유아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유치원 교원의 요구를 중심으로. google
  • 12. 라 정숙 (2001) 개념변화 교수법에 기초한 과학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google
  • 13. 박 옥자 (2008)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google
  • 14. 박 은혜, 김 소혜 (2003) 유아교육기관에서 교과내용의 성격과 전문성. [제6차 대한어린이교육협회 정기총회 및 연구발표회] P.55-95 google
  • 15. 박 창현, 박 찬옥 (2012)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Vol.16 P.245-270 google
  • 16. 방 은영 (2009) 음악교육 전문가의 멘토링을 통한 유아교사의 음악 교수실제의 변화과정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P.365-395 google
  • 17. 성 병창, 부 재율, 한 경임, 이 경화 (2009)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조사. [수산해양교육연구] Vol.21 P.78-95 google
  • 18. 손 수연, 이 기숙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유아교육연구] Vol.33 P.119-144 google
  • 19. 손 유진 (2000) 유치원 교사를 위한 컴퓨터 교육 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 google
  • 20. 송 화진 (2011) 현직 교사를 위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google
  • 21. 신 은미, 나 은숙 (2007)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P.131-150 google
  • 22. 신 현경 (2012) 유치원 초임교사 교직역량개발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google
  • 23. 안 부금 (2002) 유아과학 교수실제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반성적 저널 쓰기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9 P.87-114 google
  • 24. 안 혜준 (2010) 유아교사의 반성적 정서저널쓰기 과정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Vol.14 P.287-314 google
  • 25. 염 지숙, 홍 춘희 (2006) 부모와의 관계형성에서 초임유아교사가 겪는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P.407-434 google
  • 26. 원 정자 (1987) 유치원에서의 동작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google
  • 27. 이 영만 (2014) 유치원 초임교사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google
  • 28. 이 윤옥 (2013)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교육연수 참여 실태 및 요구분석.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Vol.17 P.263-290 google
  • 29. 이 은지 (2012) 액션러닝 기법을 적용한 어린이집 교사교육 프로그램 실행과 그 의미. google
  • 30. 이 춘자 (1990) 유치원 교원단체의 활동을 통해서 본 현직교육에 관한 연구. -1980년대를 중심으로. google
  • 31. 이 현숙 (2013) 유아영어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google
  • 32. 이 현주 (2014) 누리과정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33. 이 효정, 노 희연, 김 성숙 (2007)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1996년~2006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Vol.9 P.205-227 google
  • 34. 장 은주 (2007)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google
  • 35. 정 성진 (2012)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google
  • 36. 조 형숙, 박 수미 (2009) 멘토링을 통한 유아교사의 음악교수실제 변화와 멘토의 역할 탐색. [유아교육학 논집] Vol.13 P.161-191 google
  • 37. 조 형숙, 김 설한 (2011) 유아환경교육의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Vol.15 P.419-445 google
  • 38. 정 재은 (2009) 유아영어 문자지도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효과. google
  • 39. 최 선희 (2012) 요리활동에 대한 반성적 임상장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교사의 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 google
  • 40. 한 진원 (2011)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google
  • 41. 한 찬희 (2013) 유아교사의 역할놀이 유능성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google
  • 42. Hoyle E., John P, D. (1995) Professional knowledged and professional practice. google
  • 43. Nichols B. L., Honig A. S. (1995) The influence of an inservice music educa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reponses to music.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113 P.19-29 google cross ref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
  • [ <표 2> ]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핵심역량별 분석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핵심역량별 분석
  • [ <표 3> ]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의사소통 영역별 분석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의사소통 영역별 분석
  • [ <표 4> ]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사회관계 영역별 분석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사회관계 영역별 분석
  • [ <표 5> ]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예술경험 영역별 분석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예술경험 영역별 분석
  • [ <표 6> ]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자연탐구 영역별 분석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자연탐구 영역별 분석
  • [ <표 7> ]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기타 영역별 분석
    현직교사교육 연구의 기타 영역별 분석
  • [ <표 8> ]  교수학습방법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분석
    교수학습방법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분석
  • [ <표 9> ]  현직교육유형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분석
    현직교육유형별 핵심역량내용에 따른 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