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 선택속성의 IPA* IPA of Industry-Academic Practical Training Selection Property by the Major of the Hospitality Industry
  • 비영리 CC BY-NC
ABSTRACT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 선택속성의 IPA*

For students majoring in hospitality industry, the opportunity of practical training in the field can be described as a professional training course to establish an identity as a professional employee and learn practical skills and qualifications required in the field. Therefore, this study targeted 453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in order to assess the importance of selection property that is considered important when selecting industry-academic practical training and to administe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importance-satisfaction level analysis, the students majoring in the hospitality industry feel satisfied with their major, and their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 their feelings of decision making and pendency i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However, the student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the prospect of major looks still low, and we can realize that an education on the prospect of hospitality industry is not being done yet. In addition, practical training should be included and operated in the regular curriculum of a school like in developed countries, and the evaluation of program should be made by school, company and students together so that the satisfaction on the practical training become high and contribute to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Therefore, the academic community and industry cooperatively apprehend the reasons of low satisfaction and students' practical training importance factors correctly, find and prevent predicted problems beforehand, and produce qualified talents of hospitality industry through improvement of practical training education satisfaction.

KEYWORD
Hospitality industry , industry-academic practical training , Selection property , IPA
  • Ⅰ. 서 론

    현재의 산업구도는 3차 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인적자원의 육성은 현 시대의 산업발전을 위해 중요한 기틀로 인식되고 있다. 인적자원의 개발을 위해서는 학술적인 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환대산업은 경제발전과 더불어 국민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증대하는 성장산업의 하나로서 노동집약적인 환대산업이 인적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시대에 맞춘 종사원 운영의 효율성과 새로운 기술 및 능력 변화, 유능한 인재양성을 위한 인력자원 시스템 확보가 환대산업발전에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서강태, 2014).

    현장실습은 1977년 3월 산학실습 시행령을 제정, 1997년 제정‧공포된 직업교육훈련촉진법에 의해 현장실습에 대하여 현장실습 이수기간, 실습업체 선정기준, 실습계약 체결 등에 관하여 규정하였다. 2010년 실습기간을 고등교육법 제 20조, 21조에 의거 교육과정 또는 학기의 범위 안에서 교육과학기 술부 장관이 정하는 교과 또는 실습기간으로 규정하고 있다(박창규, 2011)

    이에 대학에서는 교육과정 속에 현장실습을 필수 과정으로 지정하거나 현장실습 과정 이수 시 학점을 부여하는 등의 제도를 통하여 사회가 요청하는 인력 양성과 진로지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업에서는 경쟁력 있는 인재의 확보를 위해 산학실습과 같은 직무수행능력 개발을 통하여 실무에 능한 인력 확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에게는 산학실습을 통한 학습동기 유발과 현장 적응 능력 향상을 통하여 좁아지는 취업문의 현실 에서 진로를 결정 및 취업에 도움을 주는 매우 중요한 제도라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산학실습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환대산업과 관련하여 만족도(문민국‧조미나, 2009), 중요도 및 만족도(정효선‧윤혜현, 2004), 산학실습현황(정효선‧서경화‧윤혜현, 2004), 직무만족(허용덕‧원철식, 2000), 진로결정(정유경‧황현주‧허경숙, 2006), 프로그램 및 교육(조영림, 2003), 취업의사(안세길, 2009), 문제점 및 개선방향(위상배‧장양례, 2000) 등 산학실습과 관하여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환대산업 분야의 산학실습에 관한 연구 논문들이 중요도, 만족도, 직무만족, 진로결정, 교육 등 다양한 각도에서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나 환대 산업의 범위에 있어서는 조리 또는 관광 등 일부 산업 범위 또는 통합된 환대산업 내에서의 비교분석한 연구들이 대부분 이였다. 그러나 산업의 종류에 따라 근무환경에 많은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며, 환대산업에 있어서도 조리, 관광, 경영 등 직무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인지하고, 환대산업이라는 단일 산업군이 아닌 같은 조건에서 각각의 전공별 차이점을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 산학실습을 전공별로 비교하여 제시한 논문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대산업 각각의 전공별 비교연구가 필요함을 인지하고 전공에 따른 산학실습의 중요도, 만족도 차이를 살펴봄으로서 환대산업의 만족도뿐만 아니라 나아가 취업에 영향을 미칠 최적의 전공별 산학실습 환경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산학실습

    산학실습이란 기업과 교육기관이 교육, 연구 활동에서의 제휴, 협동을 통한 기술 교육과 생산성 향상을 기하고 산업체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인력을 재학 중에 산업계와 연계시켜 이론은 학교에서 배우고, 실습은 산업계에서 배우는 상호보완적인 교육방법이라 통합 정의 될 수 있다(안세길, 2009; 이희정, 2005).

    산학실습과 관련하여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전공 별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조리‧외식 전공에 있어서 문빈국‧조미나(2009) 는 산학 실습 근무 여건이 호텔 및 외식 전공 학생 들의 산학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산학실습 근무 여건이 산학실습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며, 실습 학생들은 산학 실습의 근무 여건 중 물리적 근무 환경을 높게 평가하는 반면 부서 및 업무 배치에는 낮게 평가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텔은 낮은 급료에도 근무환경과 실습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리조트는 높은 급료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근무환경, 실습선호도, 업체 만족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이종호(2007)는 조리 현장 실습 프로그램의 인식차이에 따른 집단간 만족도 비교연구를 통하여 재취업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업체환경, 학교환경, 실습의 적절성, 본인 의사 반영, 업체 기준 준수, 3주체의 노력, 실습의 효과 등의 7개 요인으로, 산학실습의 인식의 차이는 불만족형, 미스터리형, 만족형 등 4 개로 나타났으며, 인식차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정효선‧서경화‧윤혜현(2004)은 조리학 전공 대학생들의 산학실습현황을 연구한 결과, 다양한 현장경험이 산학실습에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으며, 단순한 업무위주의 실습이 산학실습에 불만족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의향이 추천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실습의향과 추천의향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정효선‧윤혜현(2004)은 산학실습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연구를 통하여 총 15개 항목과 2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학교, 학년, 연령, 실습업체 별로 차이검증을 통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산학실습 프로그램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4년제 대학이 2년제 대학보다,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22-25세 나이의 집단이 다른 집단 보다, 수도권에 가까운 대학 일수록 산학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관광학 전공에 있어서 서정모‧권태일(2009)은 호텔산학실습 경험이 있는 관광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인식속성 차이 및 필요도에 관한 연구 결과, 실습환경, 실습 업체 및 부서배치, 실습 후 결과가 산학실습 인식 속성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IPA 분석 결과 산학실습 필요, 적성과 성격에 맞음, 현장실습의 도움, 근무환경의 좋음, 실습 전 오리엔테이션 실시, 희망호텔 배정, 직원들의 업무 정보제공, 기술향상에 대한 도움, 호텔산업의 지식향상, 문제해결 기술습득, 업무수행 기술습득, 대인관계, 호텔취업의지 영향, 실습평가의 공정성의 항목에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연계의 항목에 있어 서는 높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떨어져 노력을 집중해야 할 항목으로 나타났다. 유기준‧최영희 (2013)는 관광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현장실습에 대한 가치 인식과 만족도가 취업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현장실습의 가치는 30개의 의미구성으로 도출 되었으며, 자발적 참여와 주거여건 및 급여조건, 엄부진행 결정권 등이 산학실습 만족도 요인임을 밝혔다.

    호텔/외식경영전공에 있어서 박영기‧윤지환 (2006)은 호텔 현장실습의 인식에 대한 집단간 비교를 한 결과,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에 따라, 호텔의 등급에 따라 인식의 차이와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결정에 영향에 있어서 업무의 스트레스에 따른 실습부서별로 큰 차이를 나타냈다. 함성필(2008)은 부산지역 호텔 식음료부서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현장실습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7개의 현장실습 요인 중 학교교육의 만족도를 제외한 프로그램 관리, 프로그램 적절성, 실습 업무환경, 실습참여 준비성, 실습생의 의견반영, 실습생의 성실성의 6가지 요인이 현장실습 만족 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환대산업에 있어서 산학실습에 관한 논문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산학실습의 만족이 곧 취업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을 때 체계적으로 산학 실습에 투자하는 것이야말로 취업률을 중요시 하는 현대의 대학의 실정에 발맞추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직무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부분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를 보면 국한된 전공이나 전공 구분 없이 통합적으로 연구되어진 논문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조리, 관광, 호텔/외식 경영 전공으로 분류하여 전공 특성별 산학실습의 중요도, 만족도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2. IPA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는 이용자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서 이용 전의각 속성들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이용 후의 만족도를 평가하여 각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평가하는 기법으로서 Martilla & James(1977)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그림 1>.

    1사분면(좋은 성과 지속유지: keep up the good work)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분야로서 서비스나 제품의 품질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기업은 상대적 우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2사분면(중점개선 영역: concentrate here)은 소비자들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서비스나 제품의 만족도은 낮은 경우를 의미한다. 즉 서비스나 제품을 고객 만족수준을 높이기 위해 가장 집중적으로 투자되어야 할 분야이다. 3사분면(낮은 우선순위: low priority)은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낮은 경우이다. 이러한 분야에 추가적인 자원을 배분할 필요성은 상 대적으로 매우 낮다. 4사분면(과잉노력 지양: possible overkill)은 만족도은 높고 중요도가 낮은 경우이다. 즉 중요하지 않은 요인에 대해 과잉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IPA분석은 차이가 발생하는 요소들에 대해 어떤 요소가 과잉투자 혹은 과소투자 되었는지를 파악하여 전략적 관점에서 개선책을 찾아내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분석방법이다(서정모, 권태일, 2009).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대학의 환대산업 전공자이며, 연구의 표본은 경기, 충청 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환대산업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3년 5월 10일부터 6월 20일까지 경기, 충청 지역 내 대학의 환대산업 전공자를 대상으로 연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설문조사에 대한 협조를 구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 기입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500 부(100.0%)가 회수되었으나 불성실한 설문지 47부를 제외한 453부(90.6%)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2. 설문지 구성 및 분석방법

    이 연구의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 선택속성 항목은 먼저 선행연구(김문락, 2005; 순덕기, 2010; 양영희, 2010; 한주빈, 2011)를 바탕으로 도출하여 최종 20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통계처리는 SPSS WIN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산학실습관련 일반적인 문항들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기 위해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중요도와 만족도 항목간의 차이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 중요도와 만족도의 기술통계분석과 평균값을 이용하여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Ⅳ. 분석 결과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총 응답자 453명 중 조리전공 53.4%, 관광학전공 33.3%, 호텔/외식경영전공 13.2%로 분석되었다<표 1>. 전체적으로 볼 때 여성이 60.9%, 20세-25세 미만이 73.3%, 2학년이 77.3%로 분포되었으며, 대학 소재지역은 경기지역이 47.1%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산학실습관련 분석

    전공별로 산학실습 인정학점에 있어서 조리전공은 2학점, 관광학전공과 호텔/외식경영전공은 3학점을 인정해주는 차이점을 나타냈으며, 실습지역에 있어서 모든 전공이 서울에서 실습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부서에 있어서는 조리전공은 조리부서에, 관광학은 식음료부서에서 가장 많이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텔/외식경영전공이 가장 많이 근무하는 부서는 조리부서로 나타났으나 타 전공과 달리 객실부서나 식음료부서의 근무도 고루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참여목적에 있어서 조리전공과 관광학전공은 졸업을 위한 필수 과정이기 때문에 참여한다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호텔/외식경영학전공의 경우는 다양한 사회경험을 쌓기 위해 참여한다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기관선택에 있어서 조리 전공은 학교에서 본인의 희망에 따라 배정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관광학전공과 호텔/외식경영전공은 본인이 주도적으로 섭외하여 신청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실습교육 필요성에 있어서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든 전공에서 과반 수 이상을 나타냈으며, 실습시기에 있어서는 여름방학 중에, 근무시간은 7-10시간, 급료는 30-40만원 미만, 졸업 후 환대산업으로의 진로계획 여부에 있어서 그렇다는 답변이 모든 전공에 있어서 과반 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표 2>] 응답자의 산학실습관련 특성

    label

    응답자의 산학실습관련 특성

       3.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 선택속성의 IPA

    1) 환대산업 전공별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차이분석

    환대산업 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선택속성의 중요도 속성은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교수진의 전문성, 산학실습 받은 장소가 본인의 전공과 일치, 관심업무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 습득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전공분야 업무 자신감 향상, 단체생활을 통한 유대감 형성, 자신의 도전의식과 의욕 고취, 실습 대상 업체의 사전 자료 습득 등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으로 분석되었다<표 3>. 환대산업 전공 대학생들의 선택속성 만족도는 교수 진의 전문성, 전공분야 이해 도움, 새로운 실무지식과 기술획득, 산학실습 업무 과정의 경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산학실습관리자의 관심도 및 평가의 공정성, 산학실습 실무 강화(다양한 프로그램),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시간의 비율, 실습 대상 업체의 사전 자료 습득은 낮게 평가되었다.

    [<표 3>]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 간 차이분석

    label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 간 차이분석

    구체적으로 어떠한 속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중요도-만족도 간 차이 점수는 관심업무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 습득,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산학실습 받은 장소가 본인의 전공과 일치, 산학실습관리자의 관심도 및 평가의 공정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습 대상 업체의 사전 자료 습득, 새로운 인맥형성, 새로운 실무지식과 기술획득 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단체생활을 통한 유대감 형성, 자신의 도전의식과 의욕 고취는 중요도-만 족도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환대산업 전체 전공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환대산업 전체 전공의 산학실습 중요도와 만족도는 각 속성들의 평균값(중요도=3.89, 만족도=3.67)을 이용하여(Martilla & James, 1977) 격자도를 그렸다<그림 2>.

    분석결과, 1사분면에는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전공분야 이해 도움, 향후 전공분야 학업계획수립 도움, 교수진의 전문성, 산학실습 받은 장소가 본인의 전공과 일치, 산학실습 업무 과정의 경험 등 6개 속성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사분면에는 전공 이론과 실무 접목 도움, 전공학습 동기 강화, 관심업무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 습득, 산학실습관리자의 관심도 및 평가의 공정성, 직원/동료관계 이해 등 5개 속성이 포함되었다. 3사분면은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시간의 비율, 전공분야 업무 자신감 향상, 자신의 도전의식과 의욕 고취, 실습 대상 업체의 사전 자료 습득, 산학실습 실무 강화(다양한 프로그램) 등 5개 속성이 포함되었으며, 4사분면은 새로운 인맥형성, 단체생활을 통한 유대감 형성, 새로운 실무지식과 기술획득, 산학실습 업체 근무환경 이해 등 4개 속성이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환대산업 전공별 선택속성 IPA 분석결과는 [그림 3, 4, 5]와 같이 각각 나타났으며, 세 전공의 선택속성 IPA 분석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비교

    label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비교

    각 사분면을 중심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환대 산업이라 하여도 다음과 같이 전공에 따라 다른 속성들을 나타내었다.

    첫째,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난 1사분면(좋은 성과유지)에서는 향후 전공분야 학업계획수립 도움, 교수진의 전문성, 산학실습 받은 장소가 본인의 전공과 일치, 산학실습 업무 과정의 경험이 세 기관 모두 동일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전공과 호텔/외식경영전공에서 관심업무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 습득이 같은 사분면에 나타났다. 이외에도 조리전공은 전공학습 동기 강화, 산학실습 실무 강화(다양한 프로그램), 직원/동료관계 이해가, 관광학전공은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전공분야 이해 도움이, 호텔/외식경영전공은 단체생활을 통한 유대감 형성, 자신의 도전의식과 의욕 고취, 새로운 실무지식과 기술획득이 추가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속성들은 현재 대학생들이 중요하면서도 만족하는 산학실습 항목들이지만 향후에도 만족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꾸준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중요도는 높은데 만족도가 낮은 2사분면인 중점개선영역에서는 조리전공과 관광학전공에서 전공 이론과 실무 접목 도움, 산학실습관리자의 관심도 및 평가의 공정성 항목이 같은 사분면에 나타났다. 또한 조리전공과 호텔/외식경영전공에서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항목이 동일한 사분면에 나타났다. 이외에도 조리전공은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전공분야 이해 도움,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시간의 비율이, 관광학전공은 전공학습 동기 강화, 관심 업무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 습득, 직원/동료관계 이해 항목이, 호텔/외식경영전공은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산학실습 실무 강화(다양한 프로그램)이 추가 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속성들은 현재 대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은 하지만 만족도가 떨어져 향후 구전 등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위 속성들에 대한 중점적인 개선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3사분면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나는 낮은 우선순위 영역으로서 세 전공 모두 전공분야 업무 자신감 향상, 실습 대상 업체의 사전 자료 습득이 나타났다. 또한 관광학전공과 호텔/외 식경영전공에서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시간의 비율 항목이 동일한 사분면에 나타났다. 이외에도 관광학전공은 자신의 도전의식과 의욕 고취, 산학 실습 실무 강화(다양한 프로그램)이, 호텔/외식경영 전공은 전공 이론과 실무 접목 도움, 전공분야 이해 도움, 전공학습 동기 강화, 산학실습관리자의 관심도 및 평가의 공정성 항목이 추가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속성들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낮아 일정 수준의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투자가 요구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넷째, 과잉노력지양 영역인 4사분면은 중요도는 낮으나 만족도가 높은 영역으로서 새로운 인맥형성이 세 기관 모두 동일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조리전공과 관광학전공에서 단체생활을 통한 유대감 형성, 새로운 실무지식과 기술획득, 산학실습 업체 근무환경 이해가 같은 사분면에 나타났다. 이외에도 조리전공에서 자신의 도전의식과 의욕 고취 항목이, 호텔/ 외식경영전공에 직원/동료관계 이해 항목이 추가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속성들은 만족도가 중요도에 비해 높아 현재의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다양한 측면에서 관리하고, 과잉노력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이 연구는 경기, 충청 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환대산업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살학실습 교육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중요시 여기는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와 이에 따른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별로 산학실습 인정학점에 있어서 조리전공은 2학점, 관광학전공과 호텔/외식경영전공은 3학점을 인정해주는 차이점을 나타냈으며, 모든 전공이 서울에서 실습을 가장 많이 하며, 조리전공은 조리부서에, 관광학은 식음료부서에서 가장 많이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참여목적에 있어서 조리전공과 관광학전공은 졸업을 위한 필수 과정이므로, 호텔/외식경영학 전공의 경우는 다양한 사회경험을 쌓기 위해 참여 한다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기관선택에 있어서 조리전공은 학교에서 본인의 희망에 따라 배정, 관광학전공과 호텔/외식경영전공은 본인이 주도적으로 섭외하여 신청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실습교육 필요성에 있어서 모든 전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타냈으며, 실습시기에 있어서는 여름방학 중에, 근무시간은 7-10시간, 급료는 30-40만원 미만, 졸업 후 환대산업으로의 진로계획 여부에 있어서 그렇다는 답변이 모든 전공에 있어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둘째, 환대산업 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선택 속성의 중요도 속성은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교수 진의 전문성, 산학실습 받은 장소가 본인의 전공과 일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환대산업 전공 대학생 들의 선택속성 만족도는 교수진의 전문성, 전공분야 이해 도움, 새로운 실무지식과 기술획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요도-만족도 간 차이 점수는 관심 업무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 습득,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산학실습 받은 장소가 본인의 전공과 일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산학실습 프로그램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평가된 것에 있어 정효선 등(2004)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전체 전공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분석 결과, 중점개선 영역으로 전공 이론과 실무 접목 도움, 전공학습 동기 강화, 관심업무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 습득, 산학실습관리자의 관심도 및 평가의 공정성, 직원/동료관계 이해 등 5개 속성이 포함되었다.

    조리전공의 선택속성 IPA 분석결과, 중점개선 영역으로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전공 이론과 실무 접목 도움, 전공분야 이해 도움,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시간의 비율, 산학실습관리자의 관심도 및 평가의 공정성 등 5개 속성이 포함되었다.

    관광학전공의 선택속성 IPA 분석결과, 중점개선 영역으로 전공 이론과 실무 접목 도움, 전공학습 동기 강화, 관심업무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 습득, 산학실습관리자의 관심도 및 평가의 공정성, 직원/ 동료관계 이해 등 5개 속성이 포함되었다.

    호텔/외식경영학전공의 선택속성 IPA 분석결과, 중점개선 영역으로 전공에 흥미/관심 도움, 산학실습 실무 강화(다양한 프로그램) 등 2개 속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는 다뤄지지 않았던 환대산업의 전공에 따른 산학실습의 선택속성을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경기‧충청 지역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한 것, 전공별 응답자의 비율이 일정치 않다는 것에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 적인 설문조사와 전공별로 일정비율을 둔 확률표본 추출방법으로 표본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차이를 비교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 1. 김 문락 (2005) 산학협동 현장실습생들의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카지노, 호텔 및 외식사업체 중심으로. google
  • 2. 문 민국, 조 미나 (2009) 산학 실습 근무 여건이 호텔 및 외식 전공 학생들의 산학 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5 P.725-738 google
  • 3. 박 영기, 윤 지환 (2006) 호텔 현장실습의 인식에 대한 진단간 비교. [『호텔경영학연구』] Vol.15 P.53-65 google
  • 4. 박 창규 (2011) 관광관련학과 산학연장실습 만족 동[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 여행사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학회』] Vol.7 P.179-200 google
  • 5. 서 강태 (2014) 대학생들의 산학실습 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google
  • 6. 서 정모, 권 태일 (2009) 호텔산학실습 참가자의 인식속성 차이 및 필요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Vol.23 P.103-120 google
  • 7. 순 덕기 (2010)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google
  • 8. 안 세길 (2009) 산학 실습 인식 및 경험이 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북 J대학교와 충남 C대학교의 호텔관광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5 P.31-44 google
  • 9. 양 영희 (2010)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체험 만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google
  • 10. 위 상배, 장 양례 (2000) 관광관련부문 산학협동 현장실습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2 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Vol.6 P.291-314 google
  • 11. 이 종호 (2007) 조리 현장 실습 프로그램의 인식 차이에 따른 집단간 만족도 비교. [『한국조리학회지』] Vol.13 P.91-104 google
  • 12. 이 희정 (2005) 산학협동에 대한 현장실습생의 인식이 실습생 만족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3. 정 유경, 황 현주, 허 경숙 (2006) 산학실습에 대한 만족이 조리학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Vol.22 P.702-711 google
  • 14. 정 효선, 윤 혜현 (2004) 산학실습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리학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Vol.13 P.257-275 google
  • 15. 정 효선, 서 경화, 윤 혜현 (2004) 조리학 전공 대학생들의 산학실습 현황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Vol.7 P.65-86 google
  • 16. 조 영림 (2003) 호텔 식음료 주방의 산학실습 교육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평가. [『한국외식경영학회』] Vol.6 P.45-57 google
  • 17. 한 주빈 (2011)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에 관한 연구 -학교요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google
  • 18. 함 성필 (2008) 대학생의 현장실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호텔 식음료부서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Vol.17 P.107-118 google
  • 19. 허 용덕, 원 철식 (2000) 관광관련학과 산학협동 현장실습생들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관광경영연구』] Vol.7 P.371-39 google
  • 20. Martilla J. A, James J. 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P.77-79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IPA 매트릭스
    IPA 매트릭스
  • [ <표 1> ]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2> ]  응답자의 산학실습관련 특성
    응답자의 산학실습관련 특성
  • [ <표 3> ]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 간 차이분석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 간 차이분석
  • [ <그림 2> ]  환대산업 전공 전체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환대산업 전공 전체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 [ ] 
  • [ <그림 3> ]  조리전공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조리전공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 [ <그림 4> ]  관광학전공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관광학전공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 [ <그림 5> ]  호텔/외식경영전공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호텔/외식경영전공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 [ <표 4> ]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비교
    환대산업 전공별 산학실습의 선택속성 IPA 비교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