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The Construction and Effect of Parents Coaching Program for Childhood Career Guidance
ABSTRACT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at parents can provide career guidance coaching for their children at home in conjunction with the primary education curriculum. The need for and importance of children to receive career guidance has been emphasized more and more, and career guidance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in children's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is purpose,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development of a parent coaching program for children's career guidance, and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were reviewed, reconfigured and verified. In developing the program, the requirements survey was conducted for 70 parents who had a child attended at elementary school on September 2013, and the result of this survey was reflected in the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8 sessions for 16 mothers who had a student of lower-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Suwon city, Gyeonggi-do, and the effect of this program was analyzed qualitatively.

This program supports the parents’ role of searching for, developing, and managing their children's career as a coach in their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Thus, this program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from children's career recognition to their selection of their own career.

KEYWORD
아동기 , 진로지도 , 부모코칭
  • Ⅰ. 서론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개인의 능력에 맞는 직업을 준비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진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진로의 결정은 전 생애를 통한 연속적인 과정으로, 진로인식, 탐색, 준비 및 전문화의 단계를 거치면서 성숙해지고 비로소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다[15]. Super[33]의 전생애적 진로발달의 관점에서 보면 초등학교 시기는 성장기로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호기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탐색활동을 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해 나간다. 즉 진로는 개인이 결정해야 하는 수많은 문제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초등기는 미래 학업 및 직업적 성취의 기초를 형성하고 성인 진로발달의 모체가 되는 중요한 성장기이며, 자신이 잘하는 것, 좋아하는 것에 대해 알며, 주변의 여러 가지 진로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직업에 대한 이해를 높여가는 진로인식기라고 할 수 있다[35]. 이 시기의 발달과업은 미래에 대한 초보적인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조절하며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가지고 진로 선택과 관련된 계획 및 실행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는 것이다.

    아동들의 진로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직업적 요인이 있다. 세요인 모두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지만 환경적 요인 즉, 부모 관련 요인은 아동들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자녀의 진로 발달에 부모가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진로발달 이론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 경험적인 연구의 결과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6, 27, 28, 34].

    우리나라 학부모들은 자녀의 성공과 본인의 성공을 동일시하며, 자녀교육을 위해서는 정신적ㆍ물질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 자녀교육에 있어 학부모들의 영향력은 지대하다[7, 9, 35]. 특히 자녀들의 대학 및 전공, 직업의 선택 등 진로 전반에 있어 학부모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조사되고 있다[5, 10, 22, 31]. 따라서 진로교육은 초등학교 과정에서부터 의도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생들에게 자신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 계발하면서 자아를 실현할 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하며, 자녀가 자신의 진로를 정확히 알도록 하기 위해 도와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녀의 강점을 찾는 것이다.

    그러나 Lee[21]에 따르면 진로장애 경험 여부와 관련한 질문에서 초․중․고 전체 3,051명의 응답자 중 65.9%, 이중 초등학생 598명의 54.8%가 진로장애를 경험하고 있으며, 성적과 능력이 부족하여 장래 희망을 이루기 어렵다고 느끼고 있다고 한다. 또한 전체 2,639명의 응답자 중 50.3%의 부모가 ‘어떤 기관에서 어떻게 진로지도를 하는지를 모른다’라고 답변을 하여 자녀의 진로지도를 견인하는 기관은 물론 제공되고 있는 구체적 서비스 내용이 무엇인지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기 학생들이 진로개발 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부재와 특히 자녀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원할 기관의 역할이 정립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진로교육에 대해 많은 학자들은 학교교육의 교과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주장 한다. 그러나 학교교육은 교과과정에서 성취되어야할 목표가 있고, 다수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아동 개개인의 특성과 강점을 고려하여 개개인을 고려한 진로교육을 진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아동기,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학교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진로교육을 아동 개개인을 고려하여 연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면에서 부모는 아동의 전생애에 영향을 미치고, 아동 진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라는 점을 감안할 때 진로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학부모진로교육은, 학부모 각자의 세부적인 요구를 반영하고 그들 자녀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여 지도해야 된다는 관점에서 보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더구나 아동기 진로지도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을 넘어 초등교육과 연계된 진로지도를 할 수있는 코치로서의 부모역할을 필요로 한다. 부모코칭은 부모가 일방적으로 지도하고,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최대로 이끌어 자녀가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양방향 의사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3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진로교육에 맞춰 부모코칭 기술을 적용하여 부모가 자녀의 코치가 되어 진로지도를 할 수 있도록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 접근 가능성을 검토하고 부모코칭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진로개발역량과 부모요구에 따른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기 진로발달

    1) 진로발달단계

    ‘진로’란 개인이 그의 생애 동안 하는 일과 관련된 모든 활동으로 이것은 한 개인의 직업발달과정과 내용을 함께 포함하는 내용이다. 과거와는 다르게 현대는 평생직업의 개념이 고도의 산업화, 정보화 사회로 변하면서 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진로는 직업의 개념과 구별하여 규정하게 되는데 ‘직업을 포함하여 개인이 일생 동안 하는 일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인식하게 되었다[19].

    아동기인 초등학교 시기는 진로인식(career awareness)의 단계로서 이 시기에는 개인의 진로발달 과정에서 개인의 일의 진가와 진로선택의 증거를 이해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직업에 대한 소양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단계는 진로발달 이론을 정립한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구분, 정의되어 왔다.

    Super[33]는 초등학생의 진로발달단계를 성장기(growth stage)로 구분했다. 성장기(growth stage)는 자기 주변에서 중요한 타인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자아 개념을 발달시키며, 초기에는 욕구와 환상이 지배적이지만, 사회참여와 현실 검증력이 발달하면서 흥미와 능력을 중시하게 된다. 성장기는 세 가지 (환상기, 흥미기, 능력기)의 하위 단계로 나누어진다.

    ① 환상기(fantasy substage, 4-10세): 아동의 욕구가 지배적이며 역할수행이 중시된다.

    ② 흥미기(interest substage, 11-12세): 진로의 목표와 내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아동의 취향이나 흥미가 중시된다.

    ③ 능력기(capacity substae, 13-14세): 진로선택에 있어서 능력을 중시하며 직업에서의 훈련조건을 중시한다.

    Tuckman[38]은 자아인식, 진로인식 및 진로의사결정이라는 주요요소를 포함하는 8단계의 진로발달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그 중에서 1단계부터 5단계까지를 초등학교 학생의 진로발달 수준과 과업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초등학교 시기의 진로발달 수준에 대해서 중요한 의미를 두었으며, 이 시기의 진로의식이 예상외로 성숙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① 1단계-일방적 의존성 단계(유치원-초등학교 1학년): 외적통제에 의해 진로발달이 의존되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도구들과 일에 대해듣게 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진로의식을 형성하게 되는 과정

    ② 2단계-자아주장의 단계(초등학교 1-2학년): 아동은 점차 자율성을 갖게 되고, 단순한 형태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며 일에 대한 간단한 지식이나 개념을 이해하기 시작함

    ③ 3단계-조건적 의존성의 단계(초등학교 2-3학년): 아동은 자아를 인식하기 시작하여 독립적 성향이 나타남. 동기와 욕구 그리고 친구와의 관계형성에 초점을 둠

    ④ 4단계-독립성의 단계(초등학교 4학년): 아동은 일의 세계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며, 직업에 필요한 기술과 직업세계에 대한 인식, 사회 내에서의 자신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진로결정에 관심

    ⑤ 5단계-외부지원의 단계(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은 외부의 칭찬이나 인정을 추구하게 되며, 직업적 흥미와 목표, 작업조건, 직무내용 등에 관심을 가지며, 외부의 승인이나 인정을 구함

    O'Brien[28]는 아동들의 진로발달을 조장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첫째 진로발달을 위한 준비도를 확립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어린이들이 직접 결정하고, 그 결과를 경험해 볼 수 있는 직접적 또는 가상의 경험을 제공해 주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프로그램 구성은 아동의 특성과 강점을 중심으로 경험하고 미래를 그릴 수 있도록 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2) 아동기 진로발달 특성

    진로발달(career development)은 ‘개인의 전 생애에 걸쳐 가장 보람된 삶을 추구하기 위해 자신의 진로를 정하고, 직업을 선택하며, 새로운 직업기회와 개인목표를 계획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있다[9].

    Miller[25]는 직업에 관한 지식, 직업에 대한 자아인식에 대해서 전국의 9세 아동 28,000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한 결과 초등학교 시기가 직업 활동과는 직접 관계를 맺고 있지는 않지만 자신의 능력과 흥미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또한 Boeding은 유치원 아동부터 초등학교 6학년까지의 42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진로인식이 일어나고 아동들도 일의 세계와 자기 자신의 관계를 알고 있다고 하였다[20]. 이러한 연구는 아동기부터 직업과 진로에 대한 인식을 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진로지도는 직업선택에 필요한 초보적인 지식 및 기능의 습득, 일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와 가치관의 형성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14].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일의 중요성을 이해하며 진로탐색과 계획 및 준비를 위한 기초소양을 키움으로써, 진로개발역량의 기초를 배양한다. 진로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시기는 진로교육의 첫 단계로서 그 뿌리가 된다는 점과, 다음단계로의 진행되는 진로교육의 기초및 방향 결정의 열쇠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23].

    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전인적인 성장의 기반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을 초중등학교 교육의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26]. 이에 따라 학교는 학생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일과 직업세계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평생에 걸친 자기주도적 진로 개척 역량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학교 급별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에 따라 학생의 특성과 학교의 교육환경 등을 반영하여 참여와 체험 그리고 교사의 조력을 통하여 다양한 진로교육활동을 전개한다. 진로지도는 학과나 전공 선택 같은 일회적인 행위가 아니라 일련의 결정들이 전 생애에 걸쳐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보아야 하므로 진로지도는 이르면 이를수록 좋다[11].

    초등학교의 진로지도 목표에 관한 연구들을 찾아보면 미국의 NOICC(National Occupational Information Coordinating Committee)에서는 포괄적인 능력 중심의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을 강화하기 위하여 모든 교육 수준에서의 포괄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는 국가수준 진로발달 지침(National Career Development Guidelines; NCDG)을 설정하였다. NCDG에는 진로발달 영역을 자아 인식(Self-Knowledge), 학업ㆍ직업적 탐색(Education and Occupational Exploration), 진로계획 (Career Planning) 3가지로 나누었고, 각 영역별로 발달과업을 설정하였다. 초등학교의 발달과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

    ] The career developmental tasks for elementary school presented at the career developmental guidance of United States

    label

    The career developmental tasks for elementary school presented at the career developmental guidance of United States

    Kim[14]은 진로지도를 사람들이 활동하는 생애동안 그들의 진로 발달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서 전문 상담가나 교사 등과 같은 전문인이 여러 다양한 장면에서 수행하는 활동이라 하였다. 즉 진로지도란 개인이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준비하며 선택하여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부모나 교사 등 전문인이 다양한 장면에서 도와주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13].

    한편 Kim[19]는 초등학교 시기의 진로발달 단계는 진로인식단계로서, 가능한 한 여러 가지 직업의 종류를 이해시키고 잠정적으로 직업과 관련하여 자아인식을 개발시키며 일과 사회에 대한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기반을 발전시키며, 모든 분야에 있어서 직업인에 대한 존경과 인정의 태도를 기르며, 학교수업을 통하여 직업군을 이해하고 잠정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갖추도록 도와주어야 하는 시기라고 하였다. 이 외에도 Kuldau와 Hollis[12]는 초등학교 시기에는 이미 일의세계에 대한 태도가 발달하며, 이 시기에는 일에 관해 돈, 지위와 권위, 근로조건, 직업에의 독립성, 자기표현 등의 요소가 나타난다고 보았다.

    3) 아동기 진로개발 역량

    아동기는 진로선택을 위한 진로인식단계이며, 진로의 환상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미래에 대한 많은 꿈의 그림을 그리고, 그 그림을 통해서 아동이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하고 싶은 것 등의 자기 강점을 중심으로 어떤 직업을 한정하기 보다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어떤 직업을 통해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한 고민과 꿈을 꾸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직업선택에 필요한 초보적인 지식 및 기능의 습득, 일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와 가치관의 형성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데, 구체적인 목표로는 자신을 이해하고, 다양한 직업역할의 유형에 대한 인식 및 자기가 한 일에 대한 책임의식 고취, 그리고 협동적인 사회행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자세의 함양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은 초등학교 단계의 진로개발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2와 같다.

    [

    ] Career develop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age

    label

    Career develop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age

       2. 부모코칭

    1) 아동기 부모역할

    가정은 가장 기초적인 사회단위이며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발달을 이루어 가는데 있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터전이다. 자녀의 성격발달을 위해서는 부모와 자녀의 원만한 관계가 중요하다. 특히 부모는 자녀의 진로발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부정적인 요인으로도 비쳐진다. 즉 아동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진로에 관한 모델링의 대상이 되는 부모는 아동의 전 생애에 걸쳐 다양한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자녀의 진로발달 및 선택행동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부모에 의해 이루어지는 진로지도 역시 아동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4, 5, 10, 17, 18, 24, 29, 30, 32].

    Gati는 청소년의 진로결정에서 부모와의 갈등을 청소년 진로미결정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분류하였다. 부모위주의 진로결정 또한 부정적인 영향[16]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모가 자녀에게 기대하는 내용이 실제로 자녀가 수행하는 내용과 부합되지 않아 상호간에 긴장과 욕구 불만이 쌓이게 되면 자녀의 과업 수행에 차질이 오게 된다. 또한 자녀가 부모로부터 무리한 요구를 받게 되면 역할갈등에 빠지게 된다. 즉, 기대는 타인의 행동을 유발시키는 동시에 그 결과를 평가하는 준거가 된다.

    하지만 우리사회에서는 청소년기에도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긴밀하며 자녀들도 부모의 조언이나 기대를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부모의 지지와 격려 그리고 도움행동은 자녀의 진로탐색을 촉진시키는 긍정적인 강화요인으로 작용한다[16, 18]. 진로에 대한 부모의 지지는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수학과 과학 과목에서 흥미를 추구하도록 하고, 특정한 진로 흥미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자녀의 효능감과 높은 상관이 있다[8]. 또한 자녀는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서 진로대안을 확장하거나 중요한 정보와 관점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현실성 있는 진로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으로 평가된다[31].

    부모가 자녀의 진로발달과 진로선택에 관여하는 방식은 자녀의 자기이해를 촉진하고 직업정보를 제공하며 의사결정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다. 또한 부모가 자녀의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해 부모의 지지와 격려 그리고 도움행동을 전달하여 자녀의 진로의사결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18].

    진로지도의 측면에서 부모의 관여는 ’신뢰와 위임‘, ’격려와 지지’, ‘정보제공 후 판단위임’, ‘구체적 정보와 방법제공’, ‘정보에 기초한 추천’, ‘부모의 경험에 기초한 권유’, ‘부적합한 조건에 대한 지적’ 등으로 나타난다[31].

    진로교육 및 진로지도의 관점에서 볼 때 초등학교 시기는 진로인식단계로 여러 가지 직업에 대해 알고 자신에 대한 이해 증가를 바탕으로 일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며, 인간관계에 대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일에 대한긍정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자신의 진로에 대해 탐색해 보는 시기이다. 아동들은 자신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한탐색 활동을 하고 탐색 활동에서 얻은 것들을 통해 흥미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만족스런 탐색을 한 아동들은 가정과 학교에서 접촉 하게 되는 중요한 인물들과의 동일시를 통해 자아 개념을 발달시키게 되고, 미래에 대한계획을 세우게 된다. 특히, 초등학교 아동들은 진로발달 단계 중 성장기로 자아개념을 중요한 타인에 대해 동일시 통해 형성한다[33].

    아동 발달 분야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들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도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고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진로지도는 직업선택에 필요한 초보적인 지식 및 기능의 습득, 일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와 가치관의 형성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다양한 직업역할의 유형에 대한 인식 및 자기가 한 일에 대한 책임의식 고취 그리고 협동적인 사회 행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자세의 함양을 들 수 있다[15]. 따라서 진로교육은 초등학교 과정에서부터 의도적이고 체계적으로 아동에게 자신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 계발하면서 자아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진행되어야 한다.

    2) 부모코칭 의의

    코칭(Coaching)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어떤 목적이나 방향으로 남을 이끌거나 지도하여 가르침 [21]을 뜻한다. 즉, 코칭이란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코치가 코칭을 받고자하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목표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고 성공으로 이끌거나 지도하는 과정이다.

    코칭의 정의를 바탕으로 부모코칭의 개념을 살펴보면, 부모코칭이란 부모가 자녀로 하여금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행복한 성공을 이룰 수 있도록 지지하는 쌍방향적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다[36].

    부모코치는 자녀와 함께 하고 자녀의 감정과 생각에 귀 기울이며 자녀 스스로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에너지와 행동계획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부모가 권위를 내세우거나 명령하는 수직적인 관계가 아닌 문제해결을 함께 찾는 파트너로서 경청과 질문을 통해 자녀들이 스스로생각하고 답을 찾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1, 2, 3].

    본 연구에서는 부모코칭을 부모가 자신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부모로서의 역량을 길러, 자녀와의 갈등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도록 훈련하여 자녀의 진로지도에서 코치의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본다.

    Ⅲ. 아동기 진로지도 영역에 따른 부모코칭접근 구성

       1.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 프로그램의 목표

    자녀의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은 부모로 하여금 자녀의 진로지도를 할 수 있는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모코칭 철학을 기반으로 한 부모역할 및 자녀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진로지도를 지원할 수 있는 부모코칭기술을 습득하여 자녀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가 있다.

    각 회기별 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1회기(부모코치의 패러다임) : 진로지도의 첫 번째 단계인 긍정적 자아개념과 태도 형성을 위해 부모자녀 관계를 촉진하고 안정된 부모자녀 관계를 통해 자녀가 긍정적으로 자신을 바라봄으로써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아동기 진로지도에 있어서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아동발달과 진로발달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아동기 진로지도에 있어서 자녀의 역량을 최대로 이끌어 자녀가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부모코칭의 개념과 부모코칭 철학을 통해 부모코치로서의 마인드를 갖도록 한다. 또한 현재 자녀와의 관계를 돌아보고 부모코치로서 자녀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통해 자녀에게 맞춤형 코치로서의 기초를 마련 할 수 있도록 한다.

    ② 2회기(부모로서 자녀인식하기) : 진로지도의 첫 번째는 자기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에니어그램 성격검사를 통해 자녀의 성격 특성을 파악하고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구체적인 행동특성과 마음, 사고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자녀는 부모와 다른 하나의 인격체라는 것을 인정함으로써 자녀에 대한 기초 지식과 정보를 습득한다.

    ③ 3회기(부모로서 자녀 수용하기) : 진로지도의 첫 번째는 자기이해 및 긍정적 자아개념과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자녀를 돕기 위해서는 자녀의 성격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 자녀의 성격적 강점 특성과 약점 특성을 파악하여 강점특성은 극대화하고, 약점특성의 보완보다는 그 약점을 긍정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자녀에게 대한 부정적 시각을 변화시키고, 자녀와 함께하는 강점 목록을 작성을 통해 자녀와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고 자녀는 부모로부터 자신의 강점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다.

    ④ 4회기(자녀의 진로 모델되기) : 진로지도의 두 번째는 직업세계의 이해 및 긍정적 가치ㆍ태도 형성이다. 아버지의 직업관과 직업에 임하는 자세는 자녀의 진로에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자녀가 아버지의 직장을 탐색하고, 아버지의 직업으로부터 직업 옆의 직업을 탐색해 봄으로써 다양한 직업의 세계에 대한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⑤ 5회기(자녀의 진로 인정하기) : 진로지도의 세 번째는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진로정보 탐색ㆍ해 석ㆍ활용이다. 세부적인 내용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들과 관련된 직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부모로서 진로와 관련하여 자녀가 좋아하는 것, 하고 싶은 것, 잘하는 것을 파악하고 자녀에게 소중한 것을 찾는 작업을 통해 자녀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그것을 통해서 자신에게 의미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색한다. 부모는 코치로서 자녀의 생각과 마음을 듣고 인정해주는 경청기술과 자녀가 보다 많은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진정한 자신의 목표를 향해 셀프코칭이 될 수 있도록 질문기술을 활용한다.

    ⑥ 6회기(자녀의 진로 계획하기) : 진로지도의 네 번째는 진로계획의 수립ㆍ관리ㆍ실천이다. 5회기에서 자녀가 자신의 강점을 활용해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자녀의 꿈 목록을 작성하고, 꿈지도 그리기를 통해 자녀의 꿈 계획을 보다 구체화 시킨다. 이때 부모코칭 기술 중 목표성취기술과 피드백기술을 활용한다.

    ⑦ 7회기(자녀의 진로 응원하기) : 진로지도의 다섯 번째는 진로 및 개인 삶의 목표 달성을 위한 평생학습 참여이다. 목표를 성취하는 것에는 목표를 명확히하고 그 목표에 대한 선명한 그림이 그려질때 목표성취는 높아진다. 7회기는 자녀가 선택하고 계획한 진로에 대한 미래의 성공이미지를 상상하고 그려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목표성취를 위해 아동기 현재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우선해야하는지 순위를 스스로 정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인정축하기술을 활용한다.

    ⑧ 8회기(자녀의 진로 관리하기) : 인간의 삶은 계속적이고 지속적인 시간의 흐름에 있다. 부모코칭의 최종목표는 자녀가 스스로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성취하여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8단계에서는 부모로서 아동발달의 각각의 단계마다 이후 성장단계에서도 부모코치로서의 역할을 통해 자녀를 지원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2.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 프로그램의 내용

    초등학교에서 초점을 두어야할 진로교육의 실천방향은 인생진로의 기초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부모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진로지도가 필요하다.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해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진로교육의 내용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기반으로 부모역할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내용에 따른 부모코칭 구성 및 내용은 Table 3과 같다.

    [

    ] Composition and content of parents coaching for child's career guidance

    label

    Composition and content of parents coaching for child's career guidance

    Ⅳ.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2014년 6 월부터 7월까지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부모의 요구도에 의해 학년별로 홍보하였으나 참여인원이 많지 않고, 초등 고학년의 부모의 신청이 저조하여, 저학년의 부모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은 Table 4와 같다.

    [

    ]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Research Participants

    label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Research Participants

       2. 측정도구

    본 연구는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프로그램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의 효과를 척도를 통해 검증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더구나 아동기는 진로를 선택하거나 결정하는 시기가 아니므로 척도선택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대안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구성한 질문지를 아동진로지도 전문가 3인의 검토를 받아 아동기 부모가 자녀와 활동을 하면서 느낀 점과 변화된 점을 분석하여 부모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3.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요구 분석

    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2013년 9월 초등학교 부모 70명을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을 통해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반영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행회기는 길면 많이 배울 수 있어서 좋지만 빠지는 것을 우려하여 주 1회 10회기를 넘지 않으며, 2시간-2시간 30분을 선호하였다. 둘째, 초등기 전체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것보다는 학년별로 집중적으로 다루어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있었다. 셋째, 이론 중심의 설명보다는 집에서 자녀와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활동중심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일부의 부모는 활동중심도 중요하지만 이론을 알고 싶어하기도 했다. 그래서 본 프로그램에서는 이론을 중심으로한 활동을 구성하고 활동에 앞서 이론과 활동을 연결하여 교육하였다. 넷째,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과 연계하여 가정에서 확장할수 있는 것을 선호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구성이 초등학교 진로개발 역량에 초점을 둔 이유이기도 하다. 다섯째, 과제를 내고 점검받고 피드백 받아 자신의 행동과 말을 수정할 수 있는 시간배정을 원하였 다. 여섯째, 자녀가 같이 참여하여 실습 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자신의 역할을 분석받기를 원했다. 일곱째, 아버지와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이 있으면 좋겠다는 요구가 있었다.

    본 요구도 조사를 통해 부모의 자녀와 실제적으로 활동하면서 자신이 잘하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프로그램은 활동중심이면서 초등기 진로 역량 개발에 대한 이론교육, 집에서 자녀와 할 수 있는 워크시트를 통한 과제, 과제에 대한 참여자의 경험나누기 등으로 구성하였다.

       4. 연구 절차 및 결과분석

    본 연구는 아동기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아동기 진로개발역량을 중점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완하였다. 또한 아동기 부모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추후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관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도록 교육 중 면담 녹취와 교육 후의 소감문, 기록 등의 경험적 자료를 토대로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을 선택한 이유는 조사 대상자의 수가 적고, 초등기 진로지도에 있어 효과를 질문지를 통해 검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채택하였다.

    Ⅴ.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연구 참가자들은 아동기 진로지도 부모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의 진로에 대해 아이가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에 강점이 있는지 보다 좋은 직업을 부모가 먼저 정해놓고 아이에게 주입 하듯이 했던 것을 반성한다. 아이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직접적으로 연습할 수 있어서 좋았다. 아이의 진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아이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알게되어 부모역할의 변화에 대한 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양육 가치관의 변화 -‘엄마는 해주고 싶은 마음, 아이는 버거움’

    많은 어머니들이 부모의 역할은 자녀가 올바른 길로 가도록 하는 것이다를 잘 알고 있었지만 ‘올바른 길’이라는 것 또한 어머니가 정한 방향임을 깨닫는 과정임을 보여주었다. 부모역할에 대해 익히 알고 있지만 왠지 아이를 그냥 두는 것은 방임인 것 같고, 부모로서 아무것도 안해 주는 것 같고, 지금 애들은 이정도는 기본이라는 생각에 아이를 끼워 맞추고 있었던 것 같다. 그게 부모역할이라고 생각했 다는 부분의 반성이 많았다.

    이상을 살펴보면 부모는 자녀에게 학원 수강이나 기타 학업 지원을 해주는 것이 부모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자녀들에게는 부담이나 압박으로 느껴질 수 있음을 부모가 인지하면서 부모 자녀 관계의 변화가 시작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자녀에 대한 인식변화-“엄마가 답답하거나, 자녀에게 나무라거나”

    자녀의 성격검사를 통해 막연히 알고 있던 자녀의 특성을 이해면서 답답하거나 고쳐주고 싶었던 것이 자녀의 특성임을 받아들일 수 있었지만 그래도 마음 한쪽에는 바꾸고 싶은 어머니의 욕구가 있음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녀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고, 성격적으로 강점인 부분이 어머니 자신의 기대로 인해 보이지 않았거나, 인정하고 싶지 않은 부분에 대한 반성도 하게 되었다가 참여자 어머니의 가장큰 변화였다.

    자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인지적 신념과 실제 자녀양육에서 자신의 비판적 모습을 비춰보면서 부모 스스로 자신의 양가적인 양육행동에 대해 반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의사소통 기술의 변화- “잘 알고 있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다른 문제”

    의사소통에 대한 것은 많은 어머니들이 알고 있는 지식도 많고 방법과 기술도 잘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연습하는 것에는 부끄러워 하였다. 또한 머리로 어떻게 해야한다는 것은 잘 알고 있었지만 지식에 그치는 경향이 많았다. 이번 교육을 통해 연습한 것을 자녀와 상호작용하면서 그동안의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되었다는 반성이 많았다.

    부모들은 이미 의사소통 지식과 기술에 대해 잘 알고 있었지만 정작 자녀와의 대화에서는 인지적으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이 잘 사용되지 않음을 알았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부모의 의사소통 능력이 발전하고 있음을 스스로 발견할 수 있었다.

       4. 아버지에 대한 존경과 가족애-“우리아이에게 아버지는 최고의 진로지도 선생님”

    아이들을 위해서 가족을 위해서 아버지는 경제를 책임져야한다는 생각이 많았고, 힘들어도 어쩔 수없다는 생각에서 그동안 남편의 어려움을 보려고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아버지가 아이들의 진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아이들도 아버지는 돈을 벌어오는 사람, 바빠서 안 놀아준다. 귀찮아서 안 놀아준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는데 이번에 아버지의 직장에 다녀오고 아버지에게 예의를 갖추는 모습이 생겨 어머니로서 뿌듯한 마음이 생겼다. 또한 가족이 머리를 맞대고 가족사명서를 쓰면서 우리 가족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고 그것이 아이의 미래에 긍정적 영향을 줄것을 기대하기도 했다.

    아버지는 직업인으로서 그리고 가정의 가장으로서 자녀의 진로교육을 위한 모범이 될 수 있음을 알수 있었음은 물론, 진로교육 또한 부모자녀의 관계회복이 기본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 16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진로지도는 기본적으로 개인이 잠재능력 발휘를 통해 사회적으로 유용한 가치를 생산하도록 돕는 활동이므로 대상과 시대에 관계없이 항상 필요한 활동이다. 다만, 진로지도가 과거보다 현대사회에서, 그리고 미래 사회에서 더욱 절실히 요구되는 까닭은 산업 및 직업 세계가 갈수록 세분화, 전문화되어 가는데 일차적인 원인이 있으며, 이차적으로는 실제로 청소년들 대부분이 진로 준비 및 선택 과정에서 갈등과 고민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로지도는 아동들이 다양한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하도록 도와주고, 올바른 직업관의 형성을 바탕으로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는데 그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부모의 진로지도 요구에 맞춰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면서 부모의 요구에 충실한 프로그램의 내용과 진행을 통해 부모는 아동기는 진로지도가 진로선택이나 결정의 단계가 아니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초등기 진로지도를 위해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고 자녀의 강점을 파악하면서 자녀가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는 기초과정임을 인식하는 효과를 가지고 왔다.

    둘째, 다양한 직업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아버지의 직업을 중심으로 탐색하면서 부모에 대한 존경의 마음과 가족에 대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녀의 진로지도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어떤 부분을 부모가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이 생겼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녀의 성격, 강점, 꿈 찾기 과정을 통해 자녀에 집중하면서 자녀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자녀를 더욱 더 이해할 수 있게 되면서 부모로서 자신을 내려놓는 과정을 경험하고, 아이와 작업하면서 어머니 자신의 성격과 강점, 꿈에 대해 생각하게 되면서 본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게 되었 다.

    본 연구의 후추 발전을 위한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서 진로지도에 앞서 자녀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는 반성과 함께 그래도 부모이므로 아이가 잘되는 쪽으로 아이가 못 느끼게 살짝 바꿔줘야 된다고 고민하는 부모들의 패러다임 전환을 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프로그램의 시간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과제를 통해 전회기 반영의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진로지도에 있어서 부모의 변화를 중점으로 파악하였으나, 아동기 진로 지도이므로 자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는 본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교육하였으나, 추후 아버지,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와 함께 참여하는 것으로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아동중심의 보다 맞춤형의 프로그 램으로 완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진로지도에 있어서 부모코칭의 적용은 부모가 자녀의 발달단계에서 코치로서의 역할을 통해 자녀의 진로를 찾고, 키우고,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아동의 진로인식 단계부터 선택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초등진로교육 단계에 맞춘 부모코칭을 적용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아동의 긍정적인 사회진출의 터전을 마련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자녀가 평생을 두고 자신의 삶에서 행복한 삶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 1. Do M. H., Chae K. S. (2006) The Coaching for Relationship of Parents-Children. [The 2006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P.19-45 google
    • 2. Do M. H (2007) The Application of Coaching Techniques for the Support of Mothers in Dual Income Famili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58 P.213-230 google
    • 3. Do M. H (2008) The Coaching Application for Development of Parent's Leadership―Focused on Coaching Model. [The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Parent Education Association] P.58 google
    • 4. Gwon H. H. (2004) (An) Analysis on factors of having effects on the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tudents. google
    • 5. Han S. G. (2001) The Study on the Career Plan of High School Students. google
    • 6. Holland J. L. (1985) Making vocationalchoice:A theory ofvocational personalitiesand work environments. google
    • 7. Jang S. M. (1989) Career Guidance Plans at Home. [Danammoonwon] Vol.1 P.206-211 google
    • 8. Jeynes W. H. (2005)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 of parental involvement to urban elementary school student academic achivement [Urban Education] Vol.40 P.237-269 google cross ref
    • 9. Jung C. Y. (1999)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of parents education for children's career guidance.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al Research] Vol.1999 P.227-260 google
    • 10. Jin M. S., Sohn Y. M. (2000) (A) study on the reforming of the career guidance system for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google
    • 11. Kang J. T. (2010) Ggumnarae 21. google
    • 12. Kuldau J. E, Hollis J. W. (1971) The development of attitudes to ward work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ages children. [Th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 P.387-397 google cross ref
    • 13. Kim M. S. (2002) The effect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eenagers' career guidance on mothers' rearing attitude. google
    • 14. Kim B. H., Jung C. Y., Kim B. S. (2000) School Career Counseling. google
    • 15. Kim B. H., Jung C. Y, Kim B. S. (2006) School Career Counseling. google
    • 16. Kim S. R., Lee J. C. (2007) Influence of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on Adolescent Career Maturity.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19 P.393-407 google
    • 17. Kim J. S., Choi J. S. (2001) Study on the Career Cognition of the 3rd and 4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7 P.91-106 google
    • 18. Kim J. Y., Kim K. Y., Yoo J. Y., Yoo U. Y., Hwang M. H., Roh K. R. (2007) The Study on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Career Guidance. google
    • 19. Kim C. K. (1986) The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for Career Direction. google
    • 20. (2008) Development of the Career Awareness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2nd Years)-Focused on the Result of Pilot Operation google
    • 21. Lee K. N. (2008) New Korean Dictionary. google
    • 22. Lee S. K. (2008)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of parents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The Study of Job and Employment Service] Vol.3 P.47-54 google
    • 23. Lee H. R., Ju M. J. (2007) The Effect of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al Research] Vol.20 P.181-191 google
    • 24. Moon S. T., Kim Y. H. (2002) The Study on Psychological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Career Decis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Vol.34 P.49-60 google
    • 25. Miller J. (1977) Career development needs ofnine-year-olds: How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google
    • 26. (2012a)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General Guidelines. google
    • 27. Mitchell L. K., Krumboltz J. D (1996) Krumboltz's learning the ory of career choice and counseling. In D. Brown, L. Brooks, & Associates (Eds.),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P.233-280 google
    • 28. O’Brien K. M. (1996)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 Women. [Th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8 P.257-274 google cross ref
    • 29. Park J. M. (2006) A Study on Course Guide and Improvement Method 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Busan City. google
    • 30. Park H. Y. (199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rents’reading materials for career guidance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P.99-14 google
    • 31. Seon H. Y. (2008) The difference of the parents` involvement styles in adolescent career decision-making situat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al Research] Vol.21 P.49-67 google
    • 32. Sung N. C., Choi J. S. (1999) A Study on the Career 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5 P.125-134 google
    • 33. Super D. E. (1974) Vocational development theory: Person, positionsand processe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1 P.2-9 google cross ref
    • 34. Super D. E. (1957) The Psychology of Career. google
    • 35. So Y. H. (2011) The Effect of Learners` Perception on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on Career Matur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30 P.203-220 google
    • 36. (1999) Theory and Practice of Career Education. google
    • 37. (2006) The Material for Parents Coaching. google
    • 38. Tuckman B. W. (1974) An age-graded model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Th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 P.193-212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The career developmental tasks for elementary school presented at the career developmental guidance of United States
      The career developmental tasks for elementary school presented at the career developmental guidance of United States
    • [ <Table 2> ]  Career develop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age
      Career develop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age
    • [ <Table 3> ]  Composition and content of parents coaching for child's career guidance
      Composition and content of parents coaching for child's career guidance
    • [ <Table 4> ]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Research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