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은퇴 교사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모형 개발* A Model on Perception Successful Aging of Retired Teachers: Focused on the Ability, Participation Learning, Social Relation Network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은퇴 교사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모형 개발*

This study was to examine a predictive model that could explain and predict the successful aging for retired teachers. The variables for the study includes ability, participation learning, social relation network, successful aging. The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ith a sample 316 persons of retires teach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AMOS program. The overall fitness of the hypothesis model to the data was good(X2=65.50, p<0.001, GFI=.954, CFI=.817, IFI=.827, AGFI=.901, RESEA=.082, SRNR=.023). Based on the constructed model, ab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of retired teachers. Participation learning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addition, factors such as ability, participation learning, social relation network revealed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on successful aging of retired teachers and the explanation power was 53.2%. Through thes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successful ag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bility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ersonnel. It is also indispensable to enhance the social relation network, participation learning.

KEYWORD
교사 , 성공적 노후 , 사회활동망 , 역량 , 은퇴 , 학습참여
  • Ⅰ. 서 론

    평균수명의 연장과 출산율 저하, 조기 은퇴, 부모부양 의식의 약화로 이제 스스로 노후를 책임져야 하는 은퇴계획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시대가 되었다(송근배 등, 2010).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인구의 11.8%(통계청, 2012)를 넘어섰으며 2010년을 기점으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향후 9년간 712만명 정도(전체 인구의 14.6%)가 은퇴를 하는 나이에 접어들게 된다(조선일보, 2010).

    최근 노인세대는 과거 세대에 비하여 갈수록 학력이 높아지고 전문직 출신의 은퇴자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들 학력, 지식, 전문적 사회경험을 갖춘 은퇴자들이 노년기에 긍정적인 삶의 의미를 추구하며 성공적인 노후를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일은 특히 그 중요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노화(aging)란 생물학적인 퇴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이 관련되어 노화과정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성공적 노화란 질병과 장애를 최소화하고, 높은 인지적, 신체적 기능을 유지하며, 활기찬 인간관계 및 생산적 활동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인생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기서 적극적 인생 참여란 광의의 의미로 이상적인 노동을 비롯하여, 자원봉사, 종교생활, 가족돌보기 등이 포함된 것을 의미하고 있다(Rowe & Kahn, 1998).

    노후생활은 인생의 절정기를 보내는 시기인 만큼 준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그 준비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노인으로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하고 어려운 문제들을 풀어갈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노후를 보낼 수 있게 된다. 고령화 사회에서 당면할 길어지는 노후생활을 의식하여 경제적 여유와 정신적, 신체적 건강의 유지, 사회활동 참여, 여가 및 취미활동의 개발 등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는 개인적인 준비와 가정적 대비는 반드시 필요하다(임미자, 2006).

    은퇴와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은 직업이며, 안정된 직업을 갖는다는 것은 일차적으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을 획득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일의 보람을 느끼고 무언가 바람직한 일을 한다는 자존감을 높여주기도 한다(이영경, 1990). 직업에서 전문직은 대학에서 그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쌓고 실습을 통하여 경험을 얻은 다음 그에 해당되는 자격증을 취득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가치 있는 행위를 베풀어주며 그로 인해 높은 신망을 얻을 수 있는 사회에서 인증된 학력과 자격증을 필요로 하는 직업에 종사함을 의미한다(Houle, 1980).

    교사는 나라의 흥망을 예견하게 하는 교육의 실천자로써 숭고한 권위와 이상을 가진 직업으로 자신이 전문직이라고 굳게 믿는 교사일수록 자기 직무에 대한 긍지와 사명감을 가지고, 평생을 바쳐 정성을 다할만한 직업으로 인식한다면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그 만큼 스트레스도 적게 받는다(조경희, 2000). 따라서 교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은퇴 후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며, 이는 교사가 지니고 있는 역량, 은퇴 이후 참여하는 교육 및 학습활동과 사회활동망 정도를 파악하고 상호연관성 및 인과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은퇴의 중요성이 사회적 관심사가 되면서 은퇴와 관련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 은퇴 이후에 필요한 소득금액과 은퇴자금에 대한 경제적 수준이나(원종욱, 2000; 이선형·이연숙, 2002; 여윤경, 2002; 안종범·전승훈, 2005; 백은영, 2008), 은퇴계획이나 은퇴설계와 관련된 연구(배문조·전귀연, 2004; 홍성희·곽인숙, 2008; 박창제, 2008; 차경욱 등, 2008; 송근배 등, 2010)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기존연구를 토대로 직종별 은퇴 후 바람직한 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모형제시가 요구되며, 현재 교사를 대상으로는 은퇴 후 재사회화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김기찬, 2013)가 보고되었으나 이와 연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성공적인 노후를 보낼 수 있는 실제적인 모형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공적 노후모형의 하위요인으로 자녀성공, 자기효능감, 인간관계, 자기통제 및 동반자를 포함시키고 성공적 노후 역량요인 보유수준, 학습 및 사회활동참여도를 이용하여 가설적 구조모형을 구축해서 관련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은퇴교사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기초자료 및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은퇴교사의 성공적 노후를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정책적 대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은퇴의 개념

    은퇴의 개념은 여러 가지로 정의되고 있으며, 수입과 관련해서 수입의 양적인 면보다는 기존의 수입 수준이 유지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하였다(Richardson, 2008). 은퇴는 단순히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대부분 산업사회에서 은퇴의 시점을 노년기의 시작으로 판단하지만 은퇴 후의 삶을 성공적으로 살고 싶은 은퇴자의 욕구는 높다(박상복, 2010). 노년기는 제3기 인생, 인생의 이모작, 성공적인 노화란 말로 표현되고 있듯이 새로운 추구나 도전가능성과 성공의 시기를 내포하고 있다(최재천, 2005). 이는 기존 세대가 은퇴를 영원한 휴식으로 간주하던 수동적인 태도와는 달리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노년기를 설계하고자 함을 의미한다. 특히 전문직 은퇴자들은 은퇴 후에도 지속적으로 지적탐구를 추구하는 학습욕구가 높으며, 과거에 자신이 경험한 전문분야의 역량을 은퇴 이후에도 사회활동으로 지속시키고 싶은 욕구를 갖고 있다(박상복, 2010). 이러한 역향은 개인적 자원인 동시에 사회적 중요자산이며, 사장되지 않도록 그들의 인적 자원을 사회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즉, 은퇴 후 역량 활용은 역할 상실감을 극복하고 의미있는 삶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거나 사회에 공헌함으로써 개인적으로 자아효능감과 자부심이 높아짐으로 삶의 의미와 보람을 느끼게 한다. 이에 그들이 가능한 역량이 경제활동이나 봉사활동을 통해 활용될 수 있는 사회적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일자리 및 자원봉사의 활성화는 은퇴 후 일자리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은퇴 이후 경제적 자립, 대인관계 유지 및 외로움 극복 등의 개인적 만족감 향상뿐 아니라 국가적으로 노인에 대한 사회적 부양비용의 감소, 다른 계층과 더불어 생활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곽정국, 2011). 아울러 자원봉사 사회참여를 통해 노인 개개인은 젊은 세대와의 화합뿐 아니라 노인의 심리적 고립을 해소하는 긍정적인 경험이 가능해짐으로써(Neuteruk & Price, 2011), 자원봉사에 대한 욕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여겨진다(변루나 등, 2011).

       2. 성공적 노후의 영향 요인

    노화(aging)란 연령이 증가하면서 생명체의 성질이나 기능이 쇠퇴함을 의미하며, 노화과정이란 단순히 생물학적 감퇴와 죽음의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심리적, 사회적 축면에서도 변화나 발달, 성숙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한국노년학회, 2000; Valliant & Mulamal, 2001). 일반적으로 기능 쇠퇴 노화와 대비하여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는 생산적 노화(productive aging), 잘 늙기(aging well), 긍정적 노화(positive aging), 우아하게 늙기(aging gracefully) 등으로 다양하게 명명되고 있다(전진숙, 2007). Rowe와 Kahn(1997)에 의하면 성공적 노후란 질병과 장애를 최소화하고, 높은 수준의 인지적 신체적 기능을 유지하며 활기찬 인간관계 및 생산적 활동을 통하여 삶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지함으로써 삶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다고 하였다.

    성공적 노후란 노화과정에 의해 신체적, 인지적 기능의 쇠퇴나 상실이 있더라도 노년기에도 발달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발현하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며 개인적으로 생산적이고 만족스러운 삶을 사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주용국, 2011). 성공적 노화에 의해 개인은 신체적 기능 수준이 높아지고 심리적, 사회적 적응 수준이 높아져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며(Wong, 1989), 사회에 전문 역량 활용을 통한 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주용국, 2011).

    일반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 연령이 낮을수록, 건강할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고학력자일수록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고, 경제적 능력이 높을수록, 사회활동 참여와 가족 지지가 있는 경우 및 경제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영향요인으로 보고하고 있다(강신옥, 2009). 성공적 노후에 대한 예측력을 측정한 연구에서는 연령, 교육기간, 배우자 유무, 성, 주관적 건강상태 순이라고 하였다(백지은 & 최예경, 2005). 생산적 활동 영역에 따른 연구에서는 가족활동을 제외한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이 성공적인 노후와 관련요인이라고 하였다(홍혜영, 2005). 박경희(2006)는 가족지지, 여가활동, 사회참여, 경제상태, 건강상태, 종교 순으로 성공적 노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성공적인 노후를 이룬 사람들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통해 성공적 노후를 이루기 위해 요구되는 요인들을 밝히려는 서구의 연구들은 신체적 건강상태에 대해 가장 먼저 관심을 집중하다가 점차 심리적 특성으로 그 다음은 사회적 관계 및 경제활동으로 넓혀져 가고 있다(김미혜·신경림, 2005).

    Yewoubdar, Beyene 등(2002)은 미국에 이주한 라틴계의 경우 성공적인 노후의 요건으로 신체적, 정서적, 영적, 가족 간의 통합과 좋은 인간관계를 꼽고 있다. 특히 대가족을 이루고 살면서 부모와 자녀관계에서 존경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노부모는 좋은 자녀를 갖는 것에 대한 기대의 충족여부에 따라 자신의 삶의 질을 평가하여 자녀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강하게 기대한다고 하였다. 이는 서양 문화에서는 자아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과는 상반되게 아시아 지역과 라틴 민족은 가족에 뿌리를 둔 자존감을 성공적인 노후의 요인으로 평가한다. 동서양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해보면 ‘성공적 노후’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신체와 정신 건강, 자기수용과 자율·자기 통제 등과 같은 심리적 적응 및 인지적 기능, 부부의 자녀와의 관계를 포함한 친밀관계, 사회적 관계 및 생산적 활동, 경제적 준비 및 복지 등의 다각적인 면들로 구성되어 통합적으로 여러 요인들이 균형적으로 갖추어졌을 때 성공적 노후가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김미혜·신경림, 2005).

       3. 연구내용 및 모형

    본 연구는 은퇴예정 및 은퇴교사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요인 간의 경로를 확인하고 가설을 검증하는 탐색적 구조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은퇴교사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이 설정하였다.

    은퇴교사의 성공적 노후에는 영향을 미치는 가설모형에 포함된 변수들로는 외생변수에 사회활동망과 학습참여를 두었고 내생변수에 성공적 노후를 두고 매개변수로 성공적 노후역량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표본설계

    현재 직종별 은퇴 후 성공적인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중등교육기관에서 오랜기간 근무한 경험을 토대로 교사의 은퇴 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은 방안 마련을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적정 표본 크기를 산출방식을 구조방정식 모형의 표본 크기를 계산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측정변수 당 최소한 20배의 표본 크기를 만족해야 하다는 Kline(2005)의 방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측정변수 16개를 기준으로 요구되는 320명으로 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자료의 민감성을 증가시키며 모형 검증에 필요한 이상적인 표본 크기는 200 이상을 제안하고 있다(Lee & Lim, 2009).

    연구대상자는 기관생명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IRB)을 얻은 후, 충남교육청에 등록된 초•중•고 30개교를 무작위표집방법(Randomization sampling)으로 선정하여 먼저 해당 학교장에게 공문을 통해 협조문과 연구참여 모집광고, 설명서 및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은퇴를 5년 미만 남겨두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교사 약 320명을 모집하였다.

    2014년 8월 5일부터 8월 15일까지 연구자는 선정된 해당 학교를 방문하여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대상자 316명에게 설명서와 설문지를 배부하여 서면으로 동의서를 받고 설문에 응답하도록 한 후 즉시 회수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설문지의 구성과 내용은 <표 1>과 같다.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label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측정도구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사용하며 일반적 특성, 역량개발, 학습, 사회활동망, 성공적 노후 요인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한다<표 2>.

    [<표 2>] 설문지의 구성

    label

    설문지의 구성

    역량개발, 학습, 사회활동망, 성공적 노후요인 도구는 은퇴교사에 맞게 수정한 후 3인의 교육학 및 행정학 교수와 은퇴교사 10인에게 내용타당도를 조사하였다. 내용타당도 조사결과 일부 내용의 수정을 거쳐 본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타당도를 확인하며 신뢰도는 내적일관성인 Cronbach’s α를 구하여 확인하였다.

    1) 성공적 노후 요인

    김미혜와 신경림(2005)이 개발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총 28문항이었다. 성공적 노후요인의 하위요인을 구분하기 위해 Varimax rotation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을 시행한 결과, 5개의 하위요인인 자녀성공,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동반자, 자기통제로 분류되었다.

    측정은 5점 likert 척도로 ‘1=전혀 그렇지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로 측정하여서 점수가 높을수록 성공적 노후가 높음을 의미한다. 김미혜와 신경림(2005)이 측정한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0.94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95이었다.

    2) 성공적 노후 역량요인

    성공적 노후를 위한 역량요인은 박상복(2010)이 선행연구를 근거하여 개발한 32문항을 이용하였다. 성공적 노후역량의 하위요인을 구분하기 위해 Varimax rotation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을 시행한 결과, 5개의 하위요인인 리더십, 자기계발, 창의력, 도전정신, 개인역량으로 분류되었다. 측정은 5점 likert 척도로 ‘1=매우 낮다’, ‘2=낮다’, ‘3=보통이다’, ‘4=높다’, ‘5=매우 높다’로 측정하여서 점수가 높을수록 역량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박상복의 연구에서 측정한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0.84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96이었다.

    3) 학습참여도

    학습참여도는 교사가 은퇴 이후 참여하는 교육 및 학습활동에 관한 8문항으로 김기홍과 김미숙(2005), 박태준 등(2005)의 연구를 참조하여 재구성하였다. 제도적 학습참여와 비제도적 학습참여 2개의 하위요인으로 분류하였고, 측정은 5점 likert 척도로 ‘1=전혀 그렇지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참여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0.84이었다.

    4) 사회활동망

    사회활동망은 은퇴 후 교사가 사회활동을 하는 문항으로 정병은과 이기홍(2009)의 연구에 기초하여 경제활동 및 비경제활동(종교모임, 연고모임, 자원봉사, 취미모임)으로 이원화하여 개발하였고 5점 likert 척도로 ‘1=매우 낮다’, ‘2=낮다’, ‘3=보통이다’, ‘4=높다’, ‘5=매우 높다’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활동이 활발한 것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0.72이었다.

       3.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하기 위해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version 22.0을 사용하였다. 모델적합도는 크게 절대적합지수, 증분적합지수, 간명적합지수로 분류된다. 절대적합지수(absolute fit index)는 조사자가 수집한 데이터의 공분산행렬과 이론을 바탕으로 한 연구모델의 공분산행렬이 얼마나 적합한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다른 모델과 비교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절대적합지수에는 X2(CMIN), Q(CMIN/ DF), RMR, GFI, AGFI 등이 있다. 증분적합지수(Incremental fit index)는 연구모델이 영모델(null model)보다 얼마나 잘 측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증분적합지수에는 NFI, RFI, IFI, TLI, CFI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절대 적합도지수중의 카이제곱(X2)통계량은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X2는 표본의 크기와 측정변수 수에 민감하기에 때문에 모델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X2값에만 전적으로 의존하기보다는 다른 여러 가지 적합지수를 함께 고려하여 최종적인 결론을 내려야 한다. 이에 GFI와 CFI, IFI, AGFI는 0∼1사이의 값을 갖는데 0.9가 넘으면 모형이 우수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각각 0.954, 0.817, 0.827, 0.901로 산출됨으로써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MSEA 은 0.10 이하이면 모형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는데 표에서 볼 수 있듯이 0.082으로 우수함을 볼 수 있다. 즉, 본 연구모형은 주요 적합도 지수가 대부분 기준치를 충족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사회참여망, 학습참여를 외생변수로 하고 성공적 노후역량을 매개로 한 성공적 노후 측정모형은 적합하게 설계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표 3>] 가설모형의 적합도 지수

    label

    가설모형의 적합도 지수

    타당성(Validity)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속성을 정확히 측정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체계적인 오류와 관련된 개념이다. 구성개념 타당도는 구성개념이 관측변수에 의해 얼마나 잘 측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법칙타당성 등으로 구분된다. 집중타당성은 수렴타당성이라고도 하며 요인부하량(Factor Loading), AVE(Average Variance Extracted: 평균분산추출), 개념신뢰도(Constant Reliability)로 검증할 수 있다(배병렬, 2011; 우종필, 2012). 본 연구에서는 세부 구성개념을 발견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세부 구성개념 간의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표 4>.

    [<표 4>] 전체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label

    전체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측정변수 간의 상관관계 절대값(r)이 .85 이상이면 변수 간에 매우 강한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개념의 삭제를 고려해야 한다(송태민 & 김계수. 2012). 측정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들의 상관계수 절대값은 .80이하로 나타나서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

    [<표 5>]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label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4.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였으며(P01-201404-SB-3B), 연구대상자에게 동의를 구한 후 설문지에 서면으로 동의서를 받고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Ⅳ. 분석 결과

       1.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량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의 기술통계량은 <표 6>과 같다.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여 최고점수 5점 만점에서 사회활동망(2.99점), 학습참여(4.75점), 성공적 노후역량(3.31점), 성공적 노후(3.59점)으로 나타났다.

    [<표 6>]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량

    label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량

    구조방정식모형은 다변량 정규성(Multivariate Normality)을 가정하고 있다. 다변량 정규성 검증은 왜도가 절대값 3 미만, 첨도가 절대값 10 미만이면 정규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Kline, 2005). 조사 자료에 대한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이고 자료의 정규성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송태민 & 김계수, 2012). 위의 기준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모든 문항은 왜도와 첨도의 절대값이 3.0 미만으로 정규성에 위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서 정규성이 보장되며 자료의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2. 구조모형 분석

    은퇴 교사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및 직접 효과는 공분산 행렬과 일반최소자승법(generalized least square)을 이용하여 시행하였고 간접 효과와 총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모수에 대한 추정치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것은 비표준화계수(B)와 기각률(C.R.)을 살펴보았고, 모형의 효과성 분석은 표준화된 계수(β)를 통하여 검증하였다<표 7>.

    [<표 7>] 연구모형의 변수 간 경로계수

    label

    연구모형의 변수 간 경로계수

    즉, 외생변수인 사회활동망은 내생변수인 학습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B=.389, β=.598), 성공적 노후역량(B=.245, β=.317), 성공적 노후(B=.209, β=.273)에도 정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이며 외생변수인 학습참여는 내생변수인 성공적 노후역량(B=.690, β=.580)과 성공적 노후(B=.280, β=.238)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로서 외생변수인 성공적 노후역량은 종속변수 내생변수인 성공적 노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307, β=.311).

    연구모델에 가설이 검증된 실제 경로계수를 적용한 구조방정식모델은 다음과 같다.

    위의 구조방정식은 내생변수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외생변수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즉, 학습참여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수는 사회활동망(ε1)으로 분석할 수 있다. 성공적 노후역량에는 학습참여(η1)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성공적 노후에는 성공적 노후역량(η2)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MC(Squared Multiple Correlations)는 종속변수가 독립변수에 의해서 설명되는 다중 상관계수이며, 학습참여, 성공적 노후역량, 성공적 노후에 대한 설명력은 각각 35.8%, 65.8%, 53.2%로 나타났다.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은퇴 후 교사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성공적 노후를 위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아울러 은퇴 후 교사의 삶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 및 학문정립의 토대를 강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은퇴 교사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에 대한 기술통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여 적합도를 확인한 후 요인 간의 경로를 파악하였다. 가설은 사회활동망, 학습참여도 및 성공적 노후역량이 성공적 노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정하였다.

    은퇴교사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연구가설모형을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대체적으로 권장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생변수인 사회활동망, 학습참여, 성공적 노후 역량 모두 내생변수인 성공적 노후에 직·간접 및 총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SMC)은 53.2%이었다.

    본 연구는 은퇴교사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영향요인을 알아본 최초의 연구라는데 의의가 크며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의의를 갖는다. 첫째, 노인의 건강문제와 관련하여 은퇴 후 교사의 삶의 질과 관련된 변수들의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노화이론의 근거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 둘째, 교사의 퇴직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여 고용증대효과 구축할 수 있으며, 노인보건복지서비스 제공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며, 보건복지산업에 노인건강관리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지역보건복지센터 운영사업 등의 교육프로그램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노년기 노인건강증진에서의 건강의식을 함양하여 노인건강의 중요성 재정립하며, 지역사회 복지센터에서의 교육내용 자료로 활용가능하며, 노년기 건강증진교육 프로그램 교재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은퇴교사의 사회활동망과 학습참여 기회를 높일 수 있도록 공공단체의 협력 및 제도적인 장치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취미, 동아리활동이나 자원봉사, 사회공익단체활동 등의 참여도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바, 전문직인 은퇴교사를 위한 평생학습 차원에서 지속적인 교육 제공이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진다.

    둘째, 은퇴교사의 성공적 노후 역량을 높이기 위한 실제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특히 은퇴교사의 개인별 요구 역량을 파악하여 맟춤형 교육제공를 통한 성공적 노후의 지속적인 지원체계가 이루어져야겠다.

    성공적 노후를 위해서는 역량을 높이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은퇴 교사의 학습참여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추후 연구에서는 성공적 노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유사실험 연구를 시도하여 효과 및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현실적인 개선책을 파악하여 실제적으로 확대 운영할 수 있는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강 신옥 (2009) 「노인의 생산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google
  • 2. 곽 정국 (2010) 노인일자리사업과 지역사회 자원봉사홀동이 노인의 생애주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지」] Vol.5 P.233-249 google
  • 3. 김 기찬, 이 상엽 (2012) 교사의 은퇴 후 재사회화 결정요인.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P.557-585 google
  • 4. 김 기홍, 김 미숙 (2005) 중고령층 전직지원 및 직업능력개발훈련 현황. google
  • 5. 김 미혜, 신 경림 (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Vol.25 P.35-52 google
  • 6. 김 성희 (2006) 「은퇴한 노(老)교사의 평생 학습 생애사 분석」 google
  • 7. 박 경희 (2005)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google
  • 8. 박 창제 (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지」.] Vol.60 P.257-297 google
  • 9. 박 태준, 손 유미, 최 영렬, 주 용국, 이 희수 (2005) 평생학습의 참여 실태와 수요분석. google
  • 10. 박 상복 (2010) 「전문직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요구분석: 역량, 학습, 사회활동을 중심으로-」. google
  • 11. 변 루나, 김 영숙, 헌 택수 (2011) 베이비룸 세대 은퇴 후 사회참여 지원정책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보건사회연구」] Vol.31 P.315-344 google
  • 12. 배 문조, 전 귀연 (2004)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Vol.42 P.89-102 google
  • 13. 백 은영 (2008) 은퇴 후 소득 적정성 및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사회보장연구」] Vol.24 P.27-51 google
  • 14. 백 지은, 최 혜경 (2005) 한국 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3 P.1-16 google
  • 15. 배 병렬 (2011) 「Amos 17.0 구조방정식 모델링(원리와 실제)」. google
  • 16. 송 태민, 김 계수 (2012) 「Amos 초급에서 고급까지 보건복지연구를 위한 구조방정식모형」. google
  • 17. 송 근배, 정 성화, 정 선영, 박 용덕, 권 호근, 최 연희 (2010) 우리나라 개원치과의사들의 은퇴 및 노후계획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Vol.34 P.139-150 google
  • 18. 신 남철 (2003)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연구」. google
  • 19. 안 종범, 전 승훈 (2005) 은퇴자 가구의 적정소득대체율. [「한국경제연구」] Vol.15 P.5-33 google
  • 20. 여 윤경 (2002) 목표소득대체율을 통한 은퇴소비의 추정. [「대한가정학회지」] Vol.40 P.83-97 google
  • 21. 우 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google
  • 22. 원 종옥 (2000) 「국민연금의 적정소득대체율 분석」. [보건복지포럼] Vol.45 P.32-42 google
  • 23. 이 상엽 (2011) 은퇴예정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심리적 안녕감과 은퇴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5 P.145-176 google
  • 24. 이 선형, 이 연숙 (2002) 노인 부부관계를 위한 노후 월평균 생계비 산정. [「대한가정학회지」] Vol.40 P.139-152 google
  • 25. 이 영경 (1991) 「한국노동시장의 구조와 직업안정제도의 기능에 관한 연구」. google
  • 26. 임 미자 (2006) 「간호사의 노후생활준비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google
  • 27. 전 진숙 (2007) 노화의 개념. [「생물치료정신의학 」] Vol.13 P.129-137 google
  • 28. 정 병은, 이 기홍 (2009)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Vol.29 P.953-970 google
  • 29. 조 경희 (2001) 「교사의 전문직관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연구」. google
  • 30. 주 용국 (2009) ‘노인다움’ 노화 지원을 위한 상담·교육 모형의 개발. [「상담학연구」] Vol.10 P.17-42 google
  • 31. 차 경욱, 박 미연, 김 연주 (2008) 20, 30대 임금근로자의 은퇴 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6 P.149-163 google
  • 32. 최 재천 (2005) 「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 google
  • 33. (2012) 「고령자통계」. google
  • 34. 홍 성희, 곽 인숙 (2007) 은퇴태도와 은퇴계획 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5 P.89-104 google
  • 35. 홍 혜영 (2005)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에릭슨의 자아통합 이론 적용」. google
  • 36. Astin A. W. (2004)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google
  • 37. Atchley R. C. (1989) A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The Gerontologist] Vol.29 P.183-190 google cross ref
  • 38. Coates H. (2001) Students Engagement in Campus-based and Online Education. google
  • 39. Kline R. B. (2005)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oogle
  • 40. Hu S, Kuh G. D. (2002) Dis)engaged in Educationally Purposeful Activiti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43 P.555-575 google cross ref
  • 41. Neuterul O., Price C., h. (2011) Retired Women and Volunteering. [Journal of Women & Aging] Vol.23 P.99-112 google cross ref
  • 42. Houle C. (1980) Continuing Learning in the Professions. google
  • 43. Richardson V. E. (2008) 은퇴상담[Retirement Counseling]. (이장호 역). google
  • 44. Rowe J. W., Kahn R. 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37 P.433-440 google cross ref
  • 45. Vaillant G. E, Mukamal K. (2001) Successful Ag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58 P.839-847 google cross ref
  • 46. Wong P. T. F. (1989) Personal Meaning and Successful Aging. [Canadian Psychology] Vol.30 P.516-525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연구모형
    연구모형
  • [ <표 1>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 <표 2> ]  설문지의 구성
    설문지의 구성
  • [ <표 3> ]  가설모형의 적합도 지수
    가설모형의 적합도 지수
  • [ <표 4> ]  전체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전체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5> ]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 [ <표 6> ]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량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량
  • [ <표 7> ]  연구모형의 변수 간 경로계수
    연구모형의 변수 간 경로계수
  • [ <그림 2> ]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