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Sense of Community on Fear of Crime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neighborhood-oriented policing is increasing a sense of community of local residents. Increased sense of community will reduce crime and fear of cr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on fear of crime. in addition, to confirm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ctors of the sense of community on fear of crime.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influences of sense of belonging and negative influences of sense of solidarity on specific fear of crime. The relative impact of sense of community on specific fear of crime is the infulence of the sense of belonging(β=.305) bigger then the sense of solidarity (β = -.186).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olicy that can increase the sense of solidarity should be conducted.

KEYWORD
이웃지향적 경찰활동 , 지역사회 경찰활동 , 공동체 의식 , 범죄두려움 , 대학생
  • Ⅰ. 서 론

    범죄를 예방하고 지역주민들의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찰활동 중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이 있다. 현대의 경찰활동에서는 문제 지향적 경찰활동과 깨진 창 이론의 대두로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강조되고 있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경찰과 시민과의 신뢰관계로 지역사회의 범죄와 무질서 등과 같은 지역사회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경찰활동을 말한다(장석헌, 2005: 327).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전략지향적 경찰활동,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이웃지향적 경찰활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은 경찰활동에 주민의 참여를 강조하는 경찰활동을 말한다. 경찰활동에 주민을 참여시키는 이유는 지역사회 내의 구성원들과 경찰이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고 지역사회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파악 후 문제해결책을 공동으로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김보환, 2005: 213). 즉 지역주민의 경찰활동 참여를 통해 경찰과 지역주민사이의 의사소통을 개방하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은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켜 공동체인 지역사회를 성장시키고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공동체 의식은 지역사회 및 공동체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느끼는 심리적 유대감을 말하며 지역사회 내의 많은 활동들이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여 주민들을 보다 질 높은 생활을 하도록 하는 데 있다.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키는 이유는 공동체는 단순하게 공간적 개념을 넘어, 공동체 구성원들이 서로 교류하고 협력하여 각자에게 만들어진 연합감, 유대감, 친밀성이라는 의식이 공존해야 공동체가 유지되고 성장하는 힘을 갖게되기 때문이다(윤민화, 2013: 14).

    최근 대학교 내의 성범죄가 증가하고 있고, 대학의 학과공부, 자격증, 취업 준비, 동아리 활동 등으로 대학생들은 범죄기회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대학 내 야간 조명 및 순찰활동이 충분하지 않고 늦은 시간 귀가 등으로 범죄두려움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박영주ㆍ윤우석, 2013: 160). 이러한 이유로 대학캠퍼스 내에서의 범죄두려움을 유발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나 일반인과 대학생의 범죄두려움을 비교하는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박영주ㆍ윤우석, 2013; 이세환, 2010). 하지만 대학생의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찰활동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의 원리에 맞게 공동체 의식이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는지를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중 어느 요인이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는지 상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의 의의

    범죄의 계속적인 증가로 전통적 경찰활동에 대한 한계가 인식되고 경찰의 차별적 대응으로 인한 지역사회와의 거리감이 증가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대두되었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범죄나 무질서의 원인을 제거하고 지역사회 기초를 확립하는 것을 강조하는 전략지향적 경찰활동과, 각 사건보다는 사건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을 강조하는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과 협력 등을 강조하는 경찰활동인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정의되었다. 이황우(2012: 575)는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을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강조하는 것으로 경찰과 주민 사이의 의사소통 라인을 개설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의미한다고 정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정의되었다. 이황우(2012: 575)는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을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강조하는 것으로 경찰과 주민 사이의 의사소통 라인을 개설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임창호(2013: 157)은 이웃 지향적 경찰활동을 범죄 및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경찰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지역사회와 경찰이 같이 치안활동을 하며 의사소통을 하고 지역사회의 범죄나 사회문제에 대응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Oliver(1998: 48-49)는 경찰과 지역주민사이의 의사소통 방식을 개방하고 공동체 의식을 조장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일체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학자들의 다양한 정의에서 공통점을 찾아 정리하면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은 범죄와 범죄 두려움, 사회문제 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경찰과 지역사회주민사이의 의사소통하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키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웃 지향적 경찰활동 유형에는 크게 범죄 및 무질서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역주민과의 접근을 최대한으로 높이며 순찰활동을 하는 지역사회 순찰활동, 지역사회주민과 함께 범죄나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려는 지역사회 범죄예방활동,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견을 듣기 위하여 의사소통을 개방하는 의사소통 프로그램 등이 있다. 지역사회 순찰활동의 예로는 도보순찰, 자전거순찰 등이 있으며, 지역사회 범죄예방에는 이웃감시제도, 배움터지킴이, 아동안전지킴이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 프로그램으로는 시민경찰학교와 방범간담회 등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들로 지역주민들과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고 지역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켜 범죄 및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려는 활동이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이다.

       2. 공동체 의식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을 통해 경찰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함양시키려는 공동체 의식은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공동체 의식을 구성하는 요인도 학자마다 다양하게 강조되었다. Davidson & Cotter(1986: 608)은 공동체 의식을 사람들과 주거지, 직장, 학교, 사회적ㆍ정치적ㆍ종교적 등 사회 환경 사이의 특별한 애착의 의미를 지니고 있고, 소속감이 그 핵심적 위치에 있다고 보았다. 즉 공동체 의식의 개념에 집단에 대한 애착이나 구성원이라는 의식을 강조하였다. 공동체 의식(sense of community)이라는 호칭을 사용한 McMillan & Chavis(1986: 9)는 집단에 대한 애착이나 구성원이라는 의식과 더불어 서로에게 행사하는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그는 공동체 의식을 구성원들이 느끼는 소속감, 구성원들이 서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느낌, 구성원들이 함께 하여 구성원의 욕구가 충족될 거라는 믿음, 구성원들이 같이 공유하고 또 공유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소속감과 같은 집단에 대한 애착보다 더 나아가 서로 집단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구성원들의 욕구가 충족되고 공유된 정서적 연계까지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보았다. 즉 애착과 더불어 지역사회 내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다수의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보편성을 확보한 신영선(2012)의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을 공동체 구성원의 소속감 및 연대감과 공동체 발전을 위한 구성원들의 집합의지로 정의하면서 공동체에 소속되어 있다는 구성원들의 의식과 더불어 공동체 내부에서 상호작용하는 지역주민 사이의 연대감과 이 공동체를 발전시키려는 의지를 포함시키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이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을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공동사회의 일원이라고 느낄 수 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 및 지역주민 사이의 상호작용 및 지역사회에 대한 정서적 친밀감으로 정의한다.

    이 연구에서는 신 영선(2012)의 연구를 참고하여 구성요소를 귀속성, 교류성, 애착성으로 제시하였다. 귀속성은 마을에 대한 관심과 마을 발전에 대한 기여도 등으로 측정하며, 교류성은 이웃과의 대화나 조력 정도 등으로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애착성은 마을에 대한 선호나 자부심 등으로 측정한다.

       3. 범죄두려움

    지역사회에 발생하는 범죄두려움의 증가는 지역사회 공동체를 파괴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공동체에서 지역주민들의 범죄두려움 관리는 주민들의 삶의 질을 위해 중요하다. 현대적 경찰활동에서는 범죄뿐만 아니라 범죄두려움도 경찰활동의 효과성 측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범죄두려움은 많은 연구에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먼저, 범죄두려움을 범죄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으로 보는 견해이다. Mclaughlin & Muncie(2006: 164)에 의하면 범죄두려움을 사람이 범죄피해에 희생될 것이라는 믿음에 의해 야기되는 이성적 또는 비이성적 불안 또는 공포를 말한다. 차훈진(2007: 17)에 의하면 범죄두려움은 “범죄피해의 위험을 지각함으로써 야기되는 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으로 정의하고 있다. 다음으로 범죄두려움을 범죄피해자가 될 가능성으로 보는 견해이다. Fustenberg(1971: 608)는 범죄두려움을 자신이 범죄피해자가 될 확률을 추정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죄두려움을 범죄에 대한 자극으로 인한 정서적 반응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예방적 행위를 하는 것이라는 견해이다. 즉 범죄 위험을 인지하고 그로 인한 정서적 반응과 더불어 행태적 반응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여 Ute & Wemer(2003: 602-606)는 범죄두려움을 정서적 측면의 범죄두려움인 피해 가능성에 의해 시민들을 자극시키는 감정영역, 인지적 측면의 범죄두려움인 범죄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오는 개인적 위험 상황에 대한 판단, 마지막으로 행태적 측면의 범죄두려움인 범죄에 대하여 예방적 수단을 가지거나 어떤 대상을 보호하거나 어떤 장소를 회피하거나 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범죄두려움 연구를 종합하여 범죄두려움을 범죄 피해를 당할 가능성의 인지로 나타나는 정서적ㆍ행태적 반응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4. 공동체의식과 범죄두려움과의 관계

    공동체 의식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공동사회의 일원이라고 느낄 수 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 및 지역주민 사이의 상호작용 및 지역사회에 대한 정서적 친밀감으로 구성요소를 귀속성, 교류성, 애착성으로 제시하였다. 귀속성은 마을에 대한 관심과 마을 발전에 대한 기여도 등으로 공동체 발전을 위한 의지를 측정하며, 교류성은 이웃과의 대화나 조력 정도 등으로 연대감을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애착성은 마을에 대한 선호나 자부심 등으로 공동체 구성원의 소속감을 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동체 의식과 비슷한 개념으로 유대, 결속력, 애착, 신뢰 등으로 범죄두려움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최근의 많은 연구에서도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인 지역주민간의 유대감 및 결속력, 애착 및 신뢰 등이 범죄율 및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Osgood & Anderson, 2004; Johnston, 2001). Gibson et. al.(2002: 538-539)는 강한 유대감을 갖고 있는 지역사회는 범죄경험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범죄에 대한 안전감을 느끼게 하여 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다고 하였다. 지역사회이 특징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인 고준호(2007)의 연구에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공동체 유대를 제시하였다.

    공동체 의식과 관련된 변수인 유대감, 결속력, 공동체 유대 등은 다양한 연구에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부적으로 공동체 의식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한 연구는 찾기 힘들다.

    Ⅲ. 연구의 설계

       1. 연구의 설계

    1) 연구가설 및 모형

    이 연구는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동체 의식은 대학생들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하위요인들도 범죄두려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공동체 의식을 구성하고 있는 귀속성, 교류성, 애착성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2) 연구방법 및 표본구성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의 합목적성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공동체 의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한 선행연구를 통해 변수간 관계에 대한 가설을 도출하고 가설검증을 위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 0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400부 배포하여 311부를 회수하고 이 중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여 총 256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따라서 일부 지역에 분석에 적절치 않은 빈도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지만 온오프라인으로 설문을 배표하여 회수했다는 측면에서 타당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2.0을 사용하였다.

       2. 변수의 측정

    1) 측정문항

    이 연구에서 공동체 의식은 국내ㆍ외 연구의 공동체 의식 측정항목들을 종합하여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검정단계를 거쳐 최종 15개의 측정항목을 도출한 신 영선(2012)의 척도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공동체 의식의 측정항목을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종합하여 보편성을 확보하였다. 제시한 측정항목에는 ‘마을에서의 삶’, ‘마을에 대한 관심’, 마을 발전에 대한 기여 등 구성원으로서의 생활과 관련된 항목으로 귀속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웃의 조력’, ‘이웃과의 대화 가능’, ‘이웃에 대한 선호’등과 같은 항목을 통해 이웃과의 교류성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마을에 대한 선호’, ‘마을에 대한 자부심’ 등으로 애착성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신 영선(2012)가 제시한 귀속성, 교류성, 애착성으로 공동체 의식을 구성하였다.

    종속변수인 범죄두려움은 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는 전국범죄피해조사에서 범죄두려움을 정서적, 인지적, 행태적 반응을 모두 포함하여 측정하고 있어 이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일반적 범죄 두려움으로는 밤에 혼자 집에 있을 때 두려운 정도, 밤에 혼자서 골목길을 다니기가 두려운 정도 등으로 정서적 반응을 측정하고 있으며, 나도 범죄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와 우리 동네에 범죄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은 정도 등으로 인지적 반응 측정하고 있고, 평소 현금을 많이 가지고 다니지 않는 정도, 호 신용품 소지나 문단속 여부 정도로 행태적 반응을 측정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구체적 범죄유형별 두려움에서는 절도, 폭행, 사기, 성폭행 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정도로 정서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설문문항들은 모두 ‘전혀 그렇지 않다’를 1점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편이다’를 2점, ‘보통이다’를 3점, ‘그런 편이다’를 4점, ‘매우 그렇다’를 5점으로 측정하였다. 각 문항들은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문항에 대한 동의의 정도가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2) 타당도와 신뢰도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요인별 요인적재량은 0.40 기준으로 하여 기준치에 미달되는 요인들을 제거하였다. 제거 후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label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각 요인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살펴본 결과 0.6 이상이면 비교적 신뢰도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734 이상으로 신뢰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Ⅳ. 연구의 결과

       1. 기술통계

    1)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 연구의 조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표 2>와 같다. 성별은 남성이 175명으로 68.4%, 여성은 81명으로 31.6%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의 경우 19세가 가장 많은 103명으로 40.2%였으며, 27세, 28세, 37세는 가장 적은 빈도인 1명씩으로 각 0.4%을 차지하였다. 또한 18세가 28명으로 18.2%을 차지하였다. 37세가 존재하는 이유는 전문학사를 취득하고 4년제 대학을 진학한 경우이다. 혼인여부를 살펴보면, 미혼은 253명으로 98.8%을 차지하였고 기혼의 경우 3명으로 1.2%을 차지하였다.

    [<표 2>]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label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재학학년별로 보면 1학년이 142명으로 55.5%였고, 2학년이 56명으로 21.9%였으며, 3학년은 20명으로 7.8%였다. 마지막으로 4학년의 경우 38명으로 14.8%을 나타냈다. 거주 지역은 경기가 66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이 55명, 전남 46명, 서울 38명 순이었다.

    2)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범죄두려움

    <표 3>은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범죄두려움에 대한 응답결과이다. 하위요인별로 응답결과를 제시하였다. 공동체 의식 중 애착성이 가장 높은 3.3437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교류성 3.0773, 귀속성 2.7959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지역주민과의 교류성을 느끼는 정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3>]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범죄두려움의 기술통계

    label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범죄두려움의 기술통계

    범죄두려움 중 일반적 두려움에 대한 평균이 2.6533으로 구체적 두려움 2.249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범죄두려움인 절도, 강도, 폭행, 사기, 성폭행, 손괴, 침입, 스토킹, 주민번호 부정사용 등에 대한 두려움 중 주민번호 부정사용이 2.6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절도 (2.57), 침입(2.38), 강도(2.21), 손괴(2.14), 폭행(2.12), 스토킹(2.10), 사기(2.07), 성폭행(2.02)순으로 나타났다.

       2. 가설의 검증

    <표 4>는 범죄두려움 중 일반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공동체 의식 하위변수들의 위계적 회귀모델이다. <표 4>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차한계는 모두 0.1 이상의 수치를 보여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Durbin-Watson은 1.920으로 기준값인 2에 매우 근접하고 0이나 4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 잔차들 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이 회귀모형은 적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모델 1, 2, 3의 F값과 유의확률 p값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회귀선이 모델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일반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 검정 결과

    label

    일반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 검정 결과

    <표 5>는 범죄두려움 중 구체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공동체 의식 하위변수들의 위계적 회귀모델이다. <표 5>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차한계는 모두 0.1 이상의 수치를 보여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Durbin-Watson은 2.085로 기준값인 2에 매우 근접하고 0이나 4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 잔차들 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이 회귀모형은 적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표 5>] 구체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 검정 결과

    label

    구체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 검정 결과

    또한, 모형 1은 F값이 5.152, p값이 .024이고, 모형 2는 F값이 5.663, p값이 .004이며 모델 3은 F값이 3.976, p값이 .009로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회귀선이 모델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각 모델별로 살펴보면, 모델 1에서 귀속성은 구체적 두려움의 변량을 2% 설명하고 있고, 귀속성(t=2.270, p=.024)은 구체적 두려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귀속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구체적 두려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2는 모델 1에서 교류성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구체적 두려움의 변량을 4.3% 설명하고 있고 이는 모델 1에 비해 2.3% 더 설명하고 있다. 또한 귀속성(t=3.359, p=.001)은 구체적 두려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류성(t=-2.464, p=.014)은 구체적 두려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3은 모델 2에서 추가적으로 애착성을 회귀시킨 결과이다. 모델 3은 구체적 두려움의 변량을 4.5% 설명하고 있다. 이는 모델 2에 비해 0.2% 더 설명하고 있는 결과이다. 귀속성(t=3.442, p=.001)로 구체적 두려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류성(t=-2.079, p=.039)은 구체적 두려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애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이 범죄두려움에 부(-)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연구가설 Ⅰ은 애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귀속성은 범죄두려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교류성이 구체적 두려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수들인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해 최종 모형인 모형 3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화계수인 베타(β)값의 절대치를 보고 판단하면, 귀속성(β=.305)이 구체적 두려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은 교류성(β=-.186)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력은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가설 Ⅱ도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Ⅴ. 논의 및 결론

    대학생들은 생활패턴으로 인하여 범죄기회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른 범죄두려움이 높은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위한 연구로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는 요인 중 공동체 의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공동체 의식은 경찰이 이웃지향적 경찰활동을 통해 지역주민의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의 감소를 위해 함양시키는 것으로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인 귀속성과 지역주민들 사이의 연대감을 나타내는 교류성, 마을에 대한 선호나 자부심인 애착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이 범죄두려움에 부(-)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검증 결과 애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귀속성은 범죄두려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교류성은 구체적 두려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류성의 경우 지역주민간의 유대감 및 결속력, 애착 및 신뢰 등이 범죄율 및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들(Osgood & Anderson, 2004; Johnston, 2001)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귀속성은 기존의 연구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귀속성이 높은 사람은 마을에 대한 관심이 높아 구체적인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수들인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 결과 귀속성(β=.305)이 구체적 두려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은 교류성(β=-.186)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범죄두려움 감소를 위한 웃지향적 경찰활동을 실시할 경우 공동체 의식 중 지역사회의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교류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정책을 중심으로 시행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교류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정규적인 지역사회 모임이나 활동 등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웃과 인사하기 캠페인이나 이웃에 관심 갖기 캠페인 등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 1. 고 준호 (2007) “근린에서의 범죄의 두려움에 대한 고찰: 수원 영통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Vol.42 P.243-257 google
  • 2. 김 보환 (2005) “시민경찰학교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9 P.211-255 google
  • 3. 김 연수 (2015) “CPTED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천시 남동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Vol.17 P.3-34 google
  • 4. 박 영주, 윤 우석 (2013) “대학캠퍼스 내 대학생들의 범죄두려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50 P.155-189 google
  • 5. 신 영선 (2012) “농촌마을 주민 공동체의식 연구: 공동체의식 측정항목 도출 및 형성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google
  • 6. 윤 민화 (2013) “주민조직에 참여한 빈곤여성의 공동체 의식 형성과정” google
  • 7. 이 강훈 (2009) “지역경찰공무원의 범죄 피해 및 범죄 피해 두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Vol.11 P.285-308 google
  • 8. 이 명우, 박 한호, 허 진아 (2014)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무질서 감소의 매개효과 측정” [「한국경찰학회보」] Vol.16 P.73-102 google
  • 9. 이 병문, 이 효민 (2014) “다문화 치안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부산 지역의 다문화 구성원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Vol.16 P.11-120 google
  • 10. 이 세환 (2010) “범죄두려움에 대한 집단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일반인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Vol.6 P.165-188 google
  • 11. 이 영식 (2014) “사이버 범죄에 대한 연구: 대학생들의 사회유대가 사이버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Vol.16 P.121-144 google
  • 12. 이 황우 (2012) 「경찰행정학」 google
  • 13. 임 창호 (2013) 「지역사회 경찰활동: 이론과 실제」 google
  • 14. 장 석헌 (2005) “지역사회 경찰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P.326-362 google
  • 15. 차 훈진 (2007)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을 중심으로” google
  • 16. Davidson W., Cotter P. (1986) “Measurement of sense of community within the sphere of c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6 P.608-619 google
  • 17. Fustenberg F. (1971) “Public Reaction to Crime in the Streets” [American Scholar] Vol.40 P.601-610 google
  • 18. Gibson C., Zhao J., Lovrich N.,, Gaffney M. (2002) “Social integration, individual perceptions of collective efficacy, and fear of crime in three cities” [Justice Quarterly] Vol.19 P.5357-564 google
  • 19. Johnston L. (2001) “Crime, fear and civil policing” [Urban Studies] Vol.38 P.959-976 google
  • 20. McLaughlin E., Muncie J. (2006) The Sage dictionary of Criminology google
  • 21. McMillan D. W.,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4 P.6-23 google
  • 22. Oliver W. M. (1998) Community oriented policing: A systematic approach to policing. google
  • 23. Osgood D. W., Anderson A. L. (2004) “Unstructured socializing and rates of delinquency” [Criminology] Vol.42 P.519-549 google
  • 24. Ute G., Werner G. (2003) “The Psychology of fear of crime. Conceptual & Methodological perspectives” [Th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Vol.43 P.602-606 google
  • 25. 2014 “우리나라 직장인 85%가 겪는 ‘번아웃 증후군’ 극복법은 과연...”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연구의 모형
    연구의 모형
  • [ <표 1> ]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 [ <표 2> ]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 <표 3> ]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범죄두려움의 기술통계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범죄두려움의 기술통계
  • [ <표 4> ]  일반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 검정 결과
    일반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 검정 결과
  • [ <표 5> ]  구체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 검정 결과
    구체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 검정 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