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모델링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Modeling of NLP Professional Counselor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모델링 연구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competency requested to NLP counseling expert, unlike general counseling expert, based on the importances of NLP counseling and necessity of counseling expert's competency.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capability modeling for verifying definition of NLP counseling concept, priority by NLP counseling expert's capability item and importance, priority of NLP method's utilization frequency for expert panel group and verified the validity. Expert panel group selected 11 NLP counseling experts who have old training and clinical experience as counseling experts based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NLP counseling and conducted delphi survey combined by survey and interview three times for them. As the result, first, 61 words were drawn and categorized to 9 things through the frequency drawing and categorization for the definition of NLP counseling expert's concept. Second, 16 competency of NLP counseling expert were drawn and items with high priority were discernment capability, capability to read client's inner representative structure, interests in human and knowledge capability, capability to catch client's sensitive activity keenly and capability to observe client as he/her is.

KEYWORD
상담전문가 , 역량모델링
  • Ⅰ. 서론

    현대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변화는 심각한 많은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정책 혹은 법적 규제만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연문희, 1996; 최윤경, 2003). 따라서 전문적인 접근과 해결방안으로서 상담이 점차 요구되고 있으며, 상담은 전문적일수록 효율적인 문제해결과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 영역에서 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는 상담자들의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다.

    상담은 사회를 건강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로서 다양한 사회 영역에서 고도의 지식과 기술 그리고 경험을 갖춘 전문가를 요구하고 있으며, 내담자의 권리보호 문제를 위하여 상담자의 전문지식과 기술의 질은 신중히 관리되어야 한다(김충기, 2001). 하지만 최근 우리사회에서는 상담이라는 용어가 무분별하게 사용됨으로써, 전문교육과 훈련을 받지 않고도 쉽게 상담가로서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사회인식이 생겨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는 전문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상담서비스를 받는 내담자 개개인에게 중대한 타격이 되며, 상담의 전문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결격 사유가 될 수 있다.

    상담전문가는 일반적인 심리적 영역부터 세분화된 특수 분야까지 실제 상담 활동을 통하여 질 높은 심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로써, 개인의 정서적·사회적·발달적인 측면에서 심리적 교육활동을 하고 부적응을 예방하여 심리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인간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사회 조직과 구성원의 조화에 관심을 기울이며 대인관계 능력 향상과 교육·직업적 적응을 돕기 위해 심리학 관련 이론과 방법, 절차를 사용함으로써 인간 행동을 관찰, 기술, 평가, 해석하고 부적응 행동을 수정한다(최윤미, 2003).

    기존 상담 관련 연구로 전문 상담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지적한 연구(김계현, 1992; 김정택, 도상금, 1993; 박성수, 1994; 이재창, 1996, 1998; 이형득, 1993, 1994)를 살펴보면, 상담기법과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상담이라는 전문적인 과정을 이끌어 가는 상담자에 대한 연구는 지극히 개인의 성격이나 적응 및 심리 내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상담전문가의 개념이나 역량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다.

    최윤미(2003)는 상담전문가에 대해 심리학적 이론과 연구 결과들을 실제 상담 업무 수행에 통합함으로써 내담자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우며, 스트레스나 심신의 장애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경감시키고 위기를 극복하여 개인의 잠재력이 최대한 발휘하도록 돕는다고 하였다. 또한 상담전문가는 개인의 심리 교육에 초점을 두고 문제가 발생한 후 일어나는 부적응의 해결 뿐 만 아니라 예방적 측면에서도 관심을 기울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과 부부 및 가족, 집단, 조직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진 건전한 측면과 강점에 관심을 갖고 문화적인 문제, 생활양식의 문제를 포함하여 환경과 상황이 주는 영향, 발달과 기능에 미치는 직업이나 직무 환경의 영향에 대한 관심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처럼 상담전문가는 개개인의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데에 직접적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NLP(Neuro Linguistic Programming)는 교육과 상담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높은 인기를 바탕으로 미국, 유럽, 오세아니아, 아시아 국가로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으며(Tosey & Mathison, 2010), 우리나라에는 1990년대 중반에 소개되어 2003년 NLP 상담학회 설립을 통하여 그 교육과 조직의 틀을 갖추었다(신선인, 2012). 최근에는 행복한 삶을 위한 심리학적 방법으로 NLP의 효과적인 활용을 제시함으로써, 상담분야에서 중요한 기법으로 사용되고 있다(이성엽, 2005). 특히, NLP 상담은 기업의 현장에서 경력개발과 스트레스 관리 그리고 동기부여를 통한 직무몰입 등 직원 상담기법으로 직장 내 상담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NLP는 심리상담 분야 뿐 만 아니라 교육과 기업운영, 건강, 군사 분야에 까지 여러 분야에 확대 적용되어가고 있다.

    최근 상담 관련 분야에서 상담자의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유현실, 김창대, 2011). 또한 실용적이고 학문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NLP 상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NLP의 여러 기법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상담학계에서는 NLP를 비주류로 여겨지고 있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 중 하나가 NLP 상담자의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이다. NLP 상담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한국상담학회 산하 NLP 상담학회에서는 공증된 자격인증 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립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학회 차원에서 NLP 상담전문가에 대한 저항감을 내려놓게 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질과 지도자의 질, 윤리의식의 향상을 도모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진명일 외, 2012). NLP 상담의 질이란 결국 상담을 담당하는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과 직결되는 문제이며, 실제 역량은 최근 교육학을 비롯한 여러 방면에서 전문성을 개념화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 주목 받고 있다(김희봉, 송영수, 2013; 노윤신, 리상섭; 2013, 유덕현 외, 2013). 이처럼 NLP 상담의 학문적 발전 및 이를 담당하고 있는 NLP 상담전문가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모델링 연구는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LP 상담의 중요성과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대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일반 상담전문가와 달리 NLP 상담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이며,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Ⅱ. 이론적 배경

       1. NLP의 개념과 활용분야

    NLP는 무엇이며 어떤 학문인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우선 NLP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 볼 필요가 있다. NLP는 신경언어프로그래밍(Neuro Linguistic Programming)의 약자로,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서로 다른 세 개의 단어의 첫 글자를 합성한 개념이다. 따라서 각 단어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NLP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NLP는 인간의 우수성에 대한 연구로서 신경(N: neuro), 언어(L: linguistic), 프로그래밍(P: programming)의 세 가지 개념을 가지고 있다. 신경은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고 맛보고 냄새 맡는 다섯 가지 감각의 정신적인 전달 경로라 할 수 있는 신경계를 뜻한다. 이는 우리는 오감각의 기능을 통해 외부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며, 그 의미에 따라 행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는 우리가 사용하고 특정한 단어나 문구를 통해 우리의 정신세계를 반영하는 능력을 뜻하며, 우리가 생각하는 신념이나 방식 등을 나타내는 자세나 습관과 같은 ‘조용한 언어’를 포함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 그의 내면세계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빌려온 것으로, 인간의 행동이나 사고, 감정은 습관적으로 프로그램화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 다(전경숙, 1998; Dilts, 1983).

    NLP는 1970년대 초반에 미국에서 언어학자인 John Grinder와 심리학자인 Richard Bander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들은 사람의 탁월성(excellence)에 관심을 갖고, 어떻게 남다른 성과를 내고, 어떻게 다른 사람들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가졌다. 그리하여 게슈탈트 모델 창시자인 Fritz Perls, 가족치료의 대가인 Virginia Satir, 정신과의 최면치료 대가인 Milton Erickson, 인류학자이고 의사소통 이론가이자 MRI의 지도자인 Gregory Bateson을 연구하여 NLP모델을 창시하였다(O’Connor & Seymour, 1990). 이들 모두 그들의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모델을 개발한 심리치료자들로 언어기술을 바탕으로 내담자나 환자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탁월한 변화를 이끌어내었다(Romilla & Kate, 2010; Steve & Charles, 1996).

    이처럼 NLP는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목표 달성을 위해 인간 마음의 언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 및 기법이며(Bandler, 1985), 사람의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기술로서 대단히 효과가 높기 때문에 변화와 성취를 위한 상담과 심리치료의 새로운 기법으로 인식되고 있다(O’connor & Seymour, 1990). 또한, 1983년 미국의 TIME지는 ‘NLP는 사람의 갈등을 해결하는데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논평했고, Science Digest지는 ‘모든 인간 커뮤니케이션을 종합한 가장 소중한 지식’이라고 논평했다(전경숙, 2003a).

    NLP는 개인의 부적응 혹은 문제 행동이 부정적인 외부 사건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경험의 구조를 바꾸어 주거나 긍정적인 경험과 연관이 있는 자원을 개발하여 새롭게 프로그래밍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본다. 즉 부정적인 프로그래밍의 결과로 볼 수 있는 나쁜 행동, 습관 등을 긍정적인 경험과 관련하여 새로이 프로그래밍하면 부적응과 문제행동, 병리적 심리현상 등을 극복하고 치료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김종운, 2003). 즉, NLP는 인간의 내면 속에 내재되어 있는 잠재능력의 우수성을 개발하는 접근 방법으로서 원하는 것을 보다 쉽고 빠르게 실현할 수 있는 인간 모델링의 임상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전경숙, 2003b).

    NLP는 상담과 심리치료, 교육, 훈련, 학습, 임상심리학, 최면 요법, 경영관리 분야에서 연구되었다. NLP의 기술과 이론적 틀이 경영과 관리 발달에 적용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된 연구(Molden, 2001), NLP에 대한 평가와 동향 연구(Craft, 2001; Einspruch & Forman, 1985; Tosey & Mathison, 2010)등이 있으며, 이 연구들은 현장 실무에서 NLP의 적용에 관한 것 들이다. 국내 연구물에는 심리상담 외에도 코칭, 리더십, 대체의학, 범죄 심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코칭 분야에서 NLP의 신경 논리적 단계로 본 다각적 코칭 접근에 관한 연구(길영환, 2008), 범죄 심리 분야에서 NLP 심리기법을 범죄수사에 적용한 연구(박영관, 2005)를 하였고, 리더십 분야에서 NLP 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연구(이정자, 2010), 기업 분야에서 기업 내 HRD의 관점에서 본 성인 상담과 NLP 연구(이성엽, 2005)와 NLP를 활용한 고객만족 교육 프로그램이 서비스 종사자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오윤미, 2010) 등이 있다. 이처럼 NLP가 상담심리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계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이를 통해 NLP는 실무와 이론의 연계가 강한 실용학문임을 알 수 있다.

       2. 상담전문가의 개념과 역량

    상담은 일반적으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덜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담은 일신상의 문제를 본인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조언을 해주는 일(정우일, 2010)이며,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자와 도와주려는 전문가 간에 성립된 인간관계 활동 및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김흥규, 2003). 이처럼 상담의 활동과 과정은 내담자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주거나, 정보를 제공하여 현재 겪고 있는 문제를 풀어가는 것에 대해 도움을 준다.

    현대인들은 급격한 사회구조와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인간관계 단절에서 오는 정서적 친밀감 및 진정한 자기정체감의 상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과 위기(한재희, 2006)로 인해 더욱 전문적 상담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전문직으로서의 상담자에 대한 관심이 점증하고 있고(김미리혜, 2002), 상담연구에서도 상담자의 전문성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논의되고 있다(김지연 외, 2009). 하지만 이러한 전문적 상담이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에서는 상담전문가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지 못하고 상담심리를 비롯한 사회 각 분야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와 함께 상담의 중요한 주체이며, 상담자에 대한 탐색은 상담자 전문성의 확인과 질 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부분으로써(권경인, 김창대, 2007), 상담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존 상담 연구들은 상담 효과의 요인을 상담자 요인과 내담자 요인 그리고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작용 요인으로 구분하고 있다(오현수, 2008). 또한 상담자 자체가 이론적 접근과 기법보다 더 중요하다는 결과(이재창, 1992; Corey, 2008; Kottler, 1991)를 통해, 상담효과에 중요한 변인으로써 상담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상담전문가는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의 역할이 아니라 심리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사람이 내담자를 대상으로 삶의 영역에 도움을 주는 상담 혹은 치료의 대전제를 안고 있다(최윤미, 2003).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담자 혹은 상담전문가에 대한 개념과는 크게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숙련된 전문성을 가진 상담자를 전문가 혹은 대가의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전문가는 특정 영역에서의 축적된 경험에 근거한 기술의 유창성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Skovholt, & Grier, 2005). 반면, 대가는 합의된 명확한 정의는 없으나 관련 연구에서 동료 임상가들 사이에서 ‘최고 중의 최고'라는 인정되는 상담자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권경인, 김창대, 2007; Jennings & Skovholt, 1999).

    이처럼 상담전문가는 일반적인 영역에서 세분화된 특수 분야에 이르기 까지 상담 활동을 통하여 질 높은 심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로써, 부적응을 예방하여 심리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상담 관련 이론 및 방법과 절차를 통해 인간 행동을 관찰, 기술, 평가, 해석하는 과정을 거쳐 부적응 행동을 수정한다. 이로써 상담전문가는 사회 조직과 구성원의 조화와 관심과 같은 인간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대인관계 능력 향상과 교육·직업적 적응을 돕는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상담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상담전문가가 정확히 어떤 역할을 수행하며,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된 바가 없다. 상담전문가들은 자신의 역할과 직무를 인식하고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과 직무를 수행하는지에 대해 논의된 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지난 상담 분야의 연구물은 효과적인 상담에 기여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그 중에서도 상담자 요인은 상담과정이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임이 이야기되어 왔다. 이처럼 전문적 상담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따른 상담자 요인에 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상담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의 중요성을 간과해 왔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상담자의 역할은 고전적으로 교정, 예방 그리고 교육과 발달의 세 가지 측면으로 구분되며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Magoon(1980)은 상담자의 역할로 원조제공자의 기능, 위기개입자의 기능, 훈련자의 기능, 전형적인 심리적 조력자의 기능 등을 언급하였다. Rogers(1972)는 심리적인 원조자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진실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정확한 공감적 이해의 태도 등을 중요한 역할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Dewald(1969)는 꿈, 저항, 전이 등에 대한 분석을 중시하여 통찰 치료뿐 아니라 지지치료도 상담자의 역할로 지적하였다. 이후 상담을 비롯한 정신 치료 이론들이 동양의 전통 및 사상들과의 연결 가능성에 대해 찾아보고 탐색되는 과정을 통해 상담자의 역할은 서양의 전통적 사고의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최경희, 1998). 이것은 상담자의 내담자 존재에 대한 보다 더 깊이 있는 관점이나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전환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담전문가의 역할을 확인하고 의미 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담전문가에게 필요한 능력, 즉 역량을 확인하고 이를 상담자 양성 및 재교육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김봉환, 2012). 또한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대한 규정은 실제 상담 현장에서 요구되는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식, 기술, 태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에게 맡겨진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대한 규정은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토대(유현실, 김창대, 2011; 최윤미, 2003)이며,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은 상담자의 직무, 근무환경, 태도 등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다. 이외에도 상담자의 역량에 대한 규정은 전문가로서의 정체성 정립, 상담자 교육 과정 개발활용, 상담 관련 단체에서 부여하는 전문가 자격에 대한 공인 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경험적 토대 제공 측면에서 중요하다.

    어떠한 전문적 활동이 사회 속에서 일정한 형태로 체제를 갖추어 갈 때 이 전문적 활동에 대한 공식적인 역할과 직무에 대한 분명한 규정은 전문적 활동이 사회 속에서 그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유현실, 2009). 상담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상담전문가가 수행하는 역할과 직무에 관한 논의에서 출발한다. 상담자가 어떤 환경에서 근무하면서 어떠한 역할이 기대되는지에 관한 규정이 확립될 때 이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명확해질 수 있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절차

    본 연구의 목적은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NLP의 개념과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의 검토·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였다. 이후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차례의 설문 및 면담을 혼합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총 5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내용 및 방법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의 절차 모형

    label

    연구의 절차 모형

    첫째, 자료수집 단계에서는 NLP의 개념과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모델 초안을 구성하였으며, 역량모델링의 정의 및 개발 방법을 확인하여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모델초안을 구성 및 역량모델링을 위한 방법과 절차를 확정하였다. 또한, 문헌고찰과 함께 전문가 인터뷰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전문가 인터뷰는 NLP 상담전문가 역량모델링 연구가 문헌연구 및 델파이 조사만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점과, 문헌연구를 통해 찾을 수 없었던 실질적이고 핵심적인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전문가 인터뷰는 향후 시행될 델파이 조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문가 패널이 미리 연구주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기 위함으로 1:1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2단계에서는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추출한 NLP 상담전문가 역량 초안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NLP 상담전문가 역량모델링을 위한 1차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찬가지로 2단계와 3단계에서는 각각 1차 델파이조사와 2차 델파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보완된 설문지를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델파이조사는 전문가들의 합의를 이루어 내는 유용한 의사결정 수단으로 수차례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1차 델파이조사 결과에서 전문가 패널 간 일치되는 내용을 가지고 다시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며, 델파이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전문가 패널의 답변을 통해 연구자는 자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개념과 연구목적 및 가치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델파이조사에서는 e-mail 및 직접 방문을 통해 전문가 패널 11명을 대상으로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및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대해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 그룹은 이전 델파이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의견을 조정.수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NLP 상담전문가 역량모델링 최종 완성단계에서는 타당화 단계에서 나온 수정사항을 토대로 전체 역량모델링을 수정.검토한 후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모델링을 완성하였다. 이후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NLP 상담전문가의 16개 역량 항목을 바탕으로 NLP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였다(1순위 16점, 2순위 15점, ... , 16순위 1점). 따라서 본 연구는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와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의 명칭 및 진술문 그리고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규명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 역량모델링 단계에서 전문가 인터뷰, 델파이조사,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전문가 인터뷰는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을 추출하기 위한 자료수집의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에 참여의사를 밝힌 전문가 패널 중 연구의 목적과 흐름을 이해하고, ‘한국 상담학회 전문 상담사 1급(수련 감독 포함)’이상의 자격과 NLP 공인자격인 ‘NLP Trainer’를 소지하여 NLP 상담전문가로서의 대표성을 가진 5명을 선정하여 수행하였으며, 인터뷰 참여자에 대한 정보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전문가 인터뷰 참여자

    label

    전문가 인터뷰 참여자

    본 연구에서는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모델링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하기 3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사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교환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을 받기 위해 자문 집단을 대상으로 반복적이고 통제적인 설문을 실시하는 연구 방법이며(이종성, 2001), 연구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연구내용에 대한 전문적 식견과 소양을 갖춘 전문가를 선정하는 일이다. 따라서 NLP 상담전문가 역량모델링 연구에서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로 NLP 상담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은 ‘한국상담학회 전문 상담사 1급(수련 감독 포함)’이상의 자격과 NLP 공인자격인 'NLP Master Practitioner(NLP Trainer 포함)’을 소지하여 NLP 상담전문가로서의 대표성을 가진 11명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델파이 설문 참여자에 대한 정보는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델파이 설문 참여자

    label

    델파이 설문 참여자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인터뷰와 델파이 설문을 통해 도출된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대해 교육학 박사 1인과 박사과정 수료 1인의 전문가 검토 의견을 받았다. 이는 본 연구의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 그리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하였기 때문에 연구 방법상 가지고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NLP 상담전문가 1인의 의견을 포함시킴으로써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와 역량 항목의 명칭 및 진술문 그리고 역량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하였다.

       3. 자료수집

    본 연구의 전문가 인터뷰는 문헌연구를 통한 자료수집 및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보완하고 실질적이고 핵심적인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또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문가 패널에게 연구주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기 위함으로 전문가 개별적으로 약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기에 앞서 질문 내용, 인터뷰기법, 절차에 대해 사전에 ‘전문상담사 1급’ 자격 및 ‘NLP Trainer’ 자격을 소지한 교육학 박사 1인의 자문을 거쳐 비 구조화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는 한편, 언급한 내용에 대해서는 질문을 통하여 정확한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면 NLP 상담전문가는 어떠한 역량이 필요합니까? 라는 질문에 ‘공감을 할 줄 아는 사람’ 이라고 응답하는 경우, 보다 세부설명을 도출하기 위하여 내담자와 상담 시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요청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NLP 상담전문가로서 요구되는 역량에 대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향후 계속되는 델파이 조사에서도 성실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전문가 패널에게 부탁하여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일반적으로 3~4회에 걸쳐 동일한 전문가집단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실시하며, 각 차시별 설문지는 개별 전문가의 응답으로부터 도출된 의견과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새로운 설문지로 재구성된다(이성엽, 김석구, 2012). 본 연구 또한 질문과 결과 제시의 절차를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전문가 패널의 의견이나 판단이 횟수가 거듭될수록 일정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1차와 2차 그리고 3차 델파이 조사에는 각각 11명의 전문가 패널이 참여하였으며, 각 전문가 패널에게 이메일, 전화, 방문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직접 의뢰하여 조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설문의 신뢰도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조사 참여 현황은 <표 4>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표 4>]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조사 참여 현황

    label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조사 참여 현황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전문가 패널에게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를 제시하여 이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NLP 상담전문가의 정의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와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이전 델파이 조사에서 제시된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델파이 조사에서는 패널간의 의견 일치도는 ICC 검증과 표준편차, 사분위수, 긍정응답률, 내용타당도 등을 통해 검증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표준편차와 긍정응답률 그리고 내용타당도를 활용하였다. 표준편차는 관련 선행연구(박한식, 2008; 임우섭, 2007)에 따라 0.5 이하, 긍정응답률은 관련 선행연구(김은자, 2007; 방재현, 2012; 심미옥, 2006; 이경숙, 2006)에 따라 75% 이상, 내용타당도는 관련 선행연구(김재현, 2011)에 따라 0.59 이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델파이 조사의 차시별 구성과 분석방법은 <표 5>와 같다.

    [<표 5>] 델파이 조사 구성 및 분석방법

    label

    델파이 조사 구성 및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본 연구의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는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 그리고 델파이 조사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우선,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된 상담전문가의 개념과 역할을 1차 델파이 조사지에 제시하여, 전문가 패널의 NLP 상담전문가 개념 정의에 대한 의견에 대해 빈도를 산출 및 핵심어휘 분석을 통한 범주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2차·3차 델파이 조사지에는 이전 차시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된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문을 제시한 후, 1차 델파이 조사와 동일하게 빈도 산출 및 핵심어휘 분석을 통한 범주화 작업과 전문가 패널 의견의 평균, 표준편차, 최빈값, 사분범위 등의 기초 통계값과 내용타당도 측정을 병행하여 실시하여 타당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단계별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표 6>] NLP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단계별 결과

    label

    NLP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단계별 결과

    위의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NLP 상담전문가에 개념 정의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의 내용분석 결과 총 48개의 단어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긍정, 의식, 숙련, 원하는 것, 행복, 성취, 잠재력, 성장과 변화, 도움의 9가지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의 내용분석 결과 총 65개의 단어를 추출하였으며, 범주화는 1차 델파이 조사 결과와 동일하게 9가지로 분류하였다. 또한, NLP 상담전문가 개념 정의문에 대한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기초 통계 분석한 결과는 Likert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균(4.5), 표준편차(0.5), 최빈값(4.0), 중앙값(4.5), 사분범위 1(4.0), 사분범위(5.0)으로 나탔으며, 내용타당도인 CVR 값은 1.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3차 델파이 조사의 내용분석 결과 총 61개의 단어를 추출하였으며, 범주화는 1․차 델파이 조사 결과와 동일하게 9가지로 분류하였다. NLP 상담전문가 개념 정의문에 대한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기초 통계 분석한 결과는 Likert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균(4.5), 표준편차(0.66), 최빈값(5.0), 중앙값(5.0), 사분범위1(4.25), 사분범위(5.0)으로 나탔으며, 내용타당도인 CVR 값은 0.8로 나타났다. 이상의 문헌연구, 전문가 인터뷰, 델파이 조사를 통한 빈도 분석·핵심어휘 분석·범주화 분석·기초 통계분석·내용타당도 분석을 거친 NLP 상담전문가 개념 정의는 다음 <표 7>과 같다.

    [<표 7>]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label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2. NLP상담전문가의 역량

    NLP 상담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문헌연구와 NLP 상담의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부터 기초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NLP의 개념 정의와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의 이론적 검토와 함께, NLP 상담전문가에게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한 전문가 인터뷰를 병행하여 기존 선행연구에서 밝혀내지 못한 항목들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항목은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label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도출을 위해 기초 자료 수집 단계에서 추출된 역량 항목과 이에 따른 역량 진술문을 토대로 1차 델파이 조사지를 구성하였으며, 역량 항목의 타당성에 대한 기초 통계 값과 내용 타당도를 산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주요하게 제시된 사항으로는 통계적으로 타당성이 떨어지는 역량 항목은 삭제, 역량 간의 유사성이 제기된 항목은 통합, 새로이 제기된 역량 항목은 추가, 역량 항목의 명칭 및 개념 정의의 재진술을 통하여 명확한 표현으로 수정하였다. 삭제 및 유지의 기준은 표준편차 0.5초과와 긍정응답률 90%미만, 그리고 내용타당도 0.59미만 이었으며, 수정 및 통합의 기준은 전문가 패널이 제시한 의견 중 의미가 있거나 2명 이상이 공통적으로 제기된 항목이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한 NLP 상담전문가 역량 항목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는 다음 <표 9>와 같다.

    [<표 9>]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label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위의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문가 패널의 합의 수준을 토대로 통계적으로 타당성이 떨어지는 항목 즉, 표준편차 0.5초과, 긍정응답률 90%미만, 내용타당도 0.59미만에 해당되는 19개의 역량 항목을 삭제하였으며, 유사성이 제기된 4개의 역량 항목을 2개로 통합하였다. 또한, 역량 항목의 명칭과 정의의 모호함이 있는 10개의 항목을 수정하였으며, 1개의 역량 항목을 추가하였으며, 38개의 항목은 변경 없이 유지되었다.

    2차 델파이 조사지에는 1차 델파이 조사에 응답한 전문가 패널의 종합적인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각 문항별 중앙치(Md)와 사분전간법위(Q1, Q3)을 표시하였으며, 전문가 패널 별 1차 델파이 조사 시 본인이 응답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새롭게 추가되거나 수정된 내용, 삭제되거나 통합된 내용, 변함없이 유지된 항목들에 대해 그 이유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한 NLP 상담전문가 역량 항목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는 다음 <표 10>과 같다.

    [<표 10>]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label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위의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문가 패널의 합의 수준을 토대로 통계적으로 타당성이 떨어지는 항목 즉, 표준편차 0.5초과, 긍정응답률 80%미만, 내용타당도 0.59미만에 해당되는 28개의 역량 항목을 삭제하였으며, 유사성이 제기된 12개의 역량 항목을 5개로 통합하였다. 또한, 역량 항목의 명칭과 정의의 모호함이 있는 11개의 항목을 수정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지에는 2차 델파이 조사에 응답한 전문가 패널의 종합적인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각 문항별 중앙치(Md)와 사분전간법위(Q1, Q3)을 표시하였으며, 전문가 패널 별 2차 델파이 조사 시 본인이 응답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새롭게 추가되거나 수정된 내용, 삭제되거나 통합된 내용, 변함없이 유지된 항목들에 대해 그 이유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한 NLP 상담전문가 역량 항목에 대한 3차 델파이 조사 결과는 다음 <표 11>과 같다.

    [<표 11>]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3차 델파이 조사 결과(최종)

    label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3차 델파이 조사 결과(최종)

    위의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2차 델파이 조사와 비교하여 전문가 패널의 합의 수준을 토대로 통계적으로 타당성이 떨어지는 항목 즉, 표준편차 0.5초과, 긍정응답률 80%미만, 내용타당도 0.59미만에 해당되는 역량 항목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항목 간 유사성이 제기되거나 새로이 제기된 추가 항목 또한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한 NLP 상담전문가의 16개 역량 항목을 바탕으로 NLP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한 결과 11명의 전문가 패널이 부여한 점수로서 가장 낮은 점수는 41점, 최고 점수는 138점이고 낮은 점수를 받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 항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중요도 우선순위는 다음 <표 12>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표 12>]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중요도 우선순위

    label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중요도 우선순위

    NLP 상담전문가의 16개의 역량 항목 중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으로는 통찰역량, 내적 표상구조 독해 역량, 인간에 대한 관심과 지식 역량, 내담자 활동 인식 역량, 내담자 관찰 역량으로 확인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종속모형 활용 역량, 다중 지각적 입장 활용 역량, 맵핑 아웃(마인드 해킹)역량, 동기전략 활용 역량, 시각적 접근단서(눈빛 맞추기)역량, 단기치료 전략 역량, 다문화 수용 역량은 우선순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Ⅴ. 논의 및 결론

    NLP는 대인관계 기술 및 의사소통 훈련에 있어 인기 있는 프로그램으로 발전해 왔으며 (Tosey & Mathison 2010),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을 중요하게 다루는 상담심리 분야 뿐 만 아니라 교육과 기업운영, 건강, 군사 분야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 적용되어가고 있다. 또한, 상담 관련 분야에서 상담자의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NLP 상담의 중요성과 상담자의 전문성 및 역량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NLP 상담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NLP 상담전문가 역량모델링을 실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먼저,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에 대해 논의한 후 일반 상담전문가와 달리 NLP 상담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과 중요도에 따른 역량항목 우선순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에 대해서는 'NLP 상담전문가는 인간에 대한 긍정적 이해를 기반으로, NLP 상담이론과 기법을 충분히 숙지하고, 숙련된 상담역량을 갖춘 자로서, 상담활동을 통해 내담자들의 의식변화와 성장을 도모함으로써, 내담자가 진정 원하는 것을 성취하고, 최대한 잠재력을 발휘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사람'이라고 정의하였다.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으로는 총 16개가 도출되었으며,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으로는 통찰역량, 내적 표상구조 독해 역량, 인간에 대한 관심과 지식 역량, 내담자 활동 인식 역량, 내담자 관찰 역량이다.

    본 연구 결과는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항목과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에 이르기까지 보다 심층적이고 현장 중심적인 관점에서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는 NLP 상담전문가로서 요구되는 역량 항목을 바탕으로, 향후 NLP 관련 분야 전문가의 역량을 규명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NLP상담전문가로서 역량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 할 수 있다. 셋째, NLP상담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NLP 상담전문가의 자격에 대한 기준 마련에 기본 자료를 제공한다. 넷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HRD 영역에서 외부 리더십 및 코칭강사를 선발하는데 있어 NLP상담전문가의 경우 이 모델링을 준거하여 초빙 및 선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리더들의 코칭역량 강화에 준용할 수 있다. 실제 NLP 상담은 Co-active Coaching 프로그램 등 ICF(국제코치협회)인증 코칭 프로그램에 가중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을 규명한 연가 부재한 현실에서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을 시초로 세부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을 도출이 목적이었으며,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별 행동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현재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별로 구체적인 행동지표를 찾아내고, 이러한 행동지표를 실제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성별, 학령, 연령, 경력에 따라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구명함으로써 NLP 상담전문가의 자격 체계를 개발하는 데 큰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NLP 상담전문가 역량모델링을 근거로 NLP 상담전문가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은 단시간의 교육이나 연수를 통해 개발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역량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NLP 상담학회에서는 NLP 상담전문가를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개발된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실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중심으로 구성됨에 따라 NLP 상담분야에 맞는 역량모델링 연구가 필요하다. NLP가 국내에 들어온 지 20여년 정도 되었기 때문에 표준화된 형태보다는 상담 분야에 따라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역량모델링을 바탕으로 다양한 NLP 상담분야에 맞게 차별화된 역량모델링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10여명의 NLP 상담전문가를 전문가 패널로 이루어진 것으로 현실적으로 양적 타당도 검증을 실시 할 수 있는 여건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향후 NLP 상담전문가가 확대되는 시점에서 설문조사 등을 통한 양적 분석을 통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을 보다 견고히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NLP 상담전문가들 간의 비교를 통한 객관적인 역량 모델 검증이 추가로 이루어질 경우 본 연구의 역량 모델이 보다 체계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NLP 상담전문가들은 실제 현장에서 NLP 코칭전문가로 HRD 현장에서 활동 중이었으며, 델파이조사 과정에서 NLP 코칭전문가도 같은 역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는 추후 HRD에서 상담과 코칭의 영역과 역할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 1. 권 경인, 김 창대 (2007)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 특성 분석. [상담학연구] Vol.8 P.979-1010 google
  • 2. 길 영환 (2008) NLP의 신경논리적 단계로 본 다각적 코칭. [코칭연구] Vol.1 P.5-19 google
  • 3. 김 계현 (1992) 상담교육방법으로서의 개인 슈퍼 비전모델에 관한 복수 사례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Vol.4 P.19-53 google
  • 4. 김 미리혜 (2002) 대학생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 [학생생활연구] Vol.18 P.69-82 google
  • 5. 김 봉환 (2012) 조화와 통합 지향 카운슬링을 위한 상담자 역량 탐색. [상담학연구] Vol.13 P.2697-2713 google
  • 6. 김 은자 (2007) 농촌어메니티 평가준거 개발 연구. google
  • 7. 김 재현 (2012) 전문대학 교육서비스가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google
  • 8. 김 정택, 도 상금 (1993) 상담가 교육에 대한 연구: 대학원 석사과정 상담교육의 현황과 전문상담가 양성 인턴쉽을 위한 제언. [상담과 치료] Vol.5 P.13-29 google
  • 9. 김 종운 (2003) NLP 메타모형 집단상담이 비합리적 신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Vol.4 P.69-82 google
  • 10. 김 지연, 한 나리, 이 동귀 (2009) 초심상담자와 상담전문가가 겪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Vol.10 P.769-792 google
  • 11. 김 충기 (2001)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google
  • 12. 김 홍규 (2003) 상담심리학. google
  • 13. 김 희봉, 송 영수 (2013) 국내 대기업 조직구성원의 팔로워십 역량도출 및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분석. [HRD연구] Vol.15 P.29-51 google
  • 14. 노 윤신, 리 상섭 (2013) 대학생 역량진단 도구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D 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HRD연구] Vol.15 P.273-305 google
  • 15. 박 성수 (1994) 21세기 한국사회와 카운슬링. [대학생활연구] Vol.12 P.1-12 google
  • 16. 박 영관 (2005) 범죄수사에서 NLP심리기법 적용 연구. [NLP상담연구] Vol.1 P.149-165 google
  • 17. 박 한식 (2008) 농촌관광마을 리더의 역량모델 개발. google
  • 18. 방 재현 (2012)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 개발. google
  • 19. 신 선인 (2012) 신경언어프로그래밍(NLP)의 연구동향과 상담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Vol.13 P.291-310 google
  • 20. 심 미옥 (2006) 한국 농촌지도인력 역량 모델 개발. google
  • 21. 연 문희 (1996) 성숙한 부모 유능한 교사. google
  • 22. 오 윤미 (2010) NLP를 활용한 고객만족 교육 프로그램이 서비스 종사자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google
  • 23. 오 현수 (2008) 상담전문가 발달과정에서의 좌절극복경험 분석. google
  • 24. 유 덕현, 유 기원, 김 민희, 신 준석, 김 부현, 윤 세훈 (2013) 이공계분야 국가연구개발 사업 수행대학 연구인력의 역량모델 및 교육훈련 로드맵 개발. [HRD연구] Vol.15 P.247-271 google
  • 25. 유 현실 (2009)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 google
  • 26. 유 현실, 김 창대 (2011)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Vol.12 P.241-268 google
  • 27. 이 경숙 (2006) 농업인 업무상재해 관리체제에 관한연구. google
  • 28. 이 성엽 (2005) 기업 내 HRD의 관점에서 본 성인상담과 NLP. [NLP상담연구] Vol.1 P.117-125 google
  • 29. 이 성엽, 김 석구 (2012) 평생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를 제고를 위한 중요한 순간(MOT)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Vol.18 P.203-231 google
  • 30. 이 재창 (1992) 상담자의 인성적 특성과 전문성의 발달. [교육연구논총] Vol.8 P.47-68 google
  • 31. 이 재창 (1996) 인간성 회복을 위한 상담 전문가의 역할. [한국상담학회지] Vol.7 P.1-20 google
  • 32. 이 재창 (1998) 새로운 상담자 모형. [대학생활연구] Vol.16 P.89-107 google
  • 33. 이 정자 (2010) NLP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google
  • 34. 이 종성 (2001) 델파이 방법. google
  • 35. 이 주환 (2007) 벤처기업 R&D 인력 역량모델 구축. google
  • 36. 이 형득 (1993) 한국상담의 전문화와 대중화. [상담과 지도] Vol.28 P.9-22 google
  • 37. 이 형득 (1994) 청소년 상담을 위한 상담학의 과제와 전망. [청소년 상담연구] Vol.2 P.1-18 google
  • 38. 임 우섭 (2007) 대학교수의 핵심 교수역량 모델 연구. google
  • 39. 전 경숙 (1998) 주관적 경험을 통한 인지적 인간이해 심리치료. google
  • 40. 전 경숙 (2003a) NLP Practitioner 트레이너 과정. google
  • 41. 전 경숙 (2003b) NLP 심리치료. google
  • 42. 정 우일 (2010) 위기협상에서 상담전문가의 활용방안. [한국범죄심리연구] Vol.6 P.261-281 google
  • 43. 진 명일, 이 영순, 이 연숙, 김 미선 (2012) 국내 신경언어프로그래밍(NLP)의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Vol.36 P.293-319 google
  • 44. 최 경희 (1998) 상담자역할의 재정립을 위한 동·서 심리학적 접근 : 정신역동적 상담과 보현행원품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정신고학회지] Vol.1 P.91-119 google
  • 45. 최 윤경 (2003) 한국 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 업무에 관한 연구. google
  • 46. 최 윤미 (2003) 한국 상담전문가의 역할과 직무 분석. [상담 및 심리치료] Vol.15 P.179-200 google
  • 47. 한 재희 (2006) 상담패러다임의 이론과 실제. google
  • 48. Bandler R. (1985) Using your brain for a change : Neuro-linguistic programming. google
  • 49. Corey G. (2008)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제6판. 조현춘, 조현재 공역. google
  • 50. Craft A. (2001) Neuro-linguistic programming and learning theory. [The Curriculum Journal] Vol.12 P.125-136 google cross ref
  • 51. Dewald P. A. (1969) Psychotheraphy: A priner for psychotherapist. google
  • 52. Dilts R. B. (1983) Roots of neuro-linguistic programming. google
  • 53. Einspruch E. L., Forman B. D. (1985) Observations concerning research literature on neuro-linguistic programm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2 P.589-596 google cross ref
  • 54. Jennings L., Skovholt T. M. (1999) The cognitive, emotion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ster therap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6 P.3-11 google cross ref
  • 55. Romilla R., Kate R. (2010) Neuro-linguistic programming for dummies. google
  • 56. Kottler J. A. (1991) The compleat therapist. google
  • 57. Molden D. (2001) Nnp Business masterclass. google
  • 58. O’Connor J., Seymour J. (1990) Introducing neuro-linguistic programming; The new psychology of personal excellence. google
  • 59. Rogers C. R. (1972)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김기석 역. google
  • 60. Skovholt T. M., Jennings. L. (2008) 심리치료의 거장. 유정이, 유성경, 이문희, 박정민 공역. google
  • 61. Steve A., Charles F. (1996) NLP, 무한성취의 법칙. 윤영화 옮김. google
  • 62. Tosey P., Mathison J. (2010) “Exploring inner landscapes through psycho phenomenology: The contribution of neuro-linguistic programming to innovations in researching first person experience.” qualitative research in organizations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Vol.5 P.63-82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의 절차 모형
    연구의 절차 모형
  • [ <표 2> ]  전문가 인터뷰 참여자
    전문가 인터뷰 참여자
  • [ <표 3> ]  델파이 설문 참여자
    델파이 설문 참여자
  • [ <표 4> ]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조사 참여 현황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조사 참여 현황
  • [ <표 5> ]  델파이 조사 구성 및 분석방법
    델파이 조사 구성 및 분석방법
  • [ <표 6> ]  NLP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단계별 결과
    NLP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단계별 결과
  • [ <표 7> ]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NLP 상담전문가의 개념 정의
  • [ <표 8> ]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 [ <표 9> ]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 [ <표 10> ]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 [ <표 11> ]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3차 델파이 조사 결과(최종)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에 대한 3차 델파이 조사 결과(최종)
  • [ <표 12> ]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중요도 우선순위
    NLP 상담전문가의 역량 항목 중요도 우선순위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