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수용-거부 부모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수용-거부 부모양육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62명의 대학생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1.48(SD=2.27)세였다. 본 연구에서 부모 수용-거부 질문지(PARQ), 정서표현 갈등 질문지(AEQ), 상호작용 불안척도(IAS), PANAS, 삶의 만족 척도(SWLS)와 같은 심리검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은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과는 부적 상관이, 주관적 웰빙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대로 부모의 거부적 양육은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과는 정적 상관이, 주관적 웰빙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은 주관적 웰빙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은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이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그리고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이 추가적인 설명력이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이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 정서표현 갈등 및 대인불안의 부정적 효과에 관해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고 추후연구의 방향과 임상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terpersonal anxiety,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r interpersonal anxiety between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36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verage age was 21.48 (SD=2.27).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 (PARQ),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 (IA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Inversely, parental reje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aternal acceptance accounted for the most variance i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additional accountabilitie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self-protection, interpersonal anxiety and paternal rejection were significa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ccountabilitie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self-protection as well as interpersonal anxiety partially mediat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negative effects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direction for further studies as well as the clinical meaning of this study was suggested.

KEYWORD
부모양육 , 수용 , 거부 , 정서표현 , 대인불안 , 웰빙
  • 방 법

      >  참여자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4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362명(남성 145명, 여성 21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자들의 연령은 만 18세에서 27세(M=21.48, SD=2.27)까지 분포되어 있다.

    참여자들 중에 124명(34.3%)이 자신의 종교를 기독교(개신교)라고 응답하였으며, 28명(7.7%)이 천주교, 22명(6.1%)이 불교, 6명(1.7%)이 기타 종교를 믿고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182명(50.3%)의 학생이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의 전체 가정의 경제수준과 비교할 때 자신의 가정의 경제수준이 상류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10명(2.8%), 중상류는 46명(12.7%), 중류는 218명(60.2%), 중하류는 75명(20.7%)이었고, 하류라고 보고한 경우는 13명(3.6%)이다.

    부모와의 동거를 묻는 질문에는 부모 모두와 함께 살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319명(88.1%), 아버지만 함께 산다고 응답한 경우가 9명(2.5%), 어머니만 함께 산다는 응답은 23명(6.4%), 조부모 혹은 기타 친척과 산다는 응답한 학생은 11명(3.0%)이었다. 부모와 함께 살고 있지 않은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사망이 5명(1.4%), 부모님의 직장 때문이라는 응답은 13명(3.6%), 그리고 부모님의 별거 혹은 이혼이 22명(6.1%)이었다.

      >  조사 도구

    수용-거부 부모양육. 참여자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수용적양육과거부적양육을측정하기위해 Rohner(1981)가개발한부모수용-거부양육질문지(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 PARQ)를 권순명(1993)이 수정하고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질문지는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애정과 이해 및 존중을 보이는 수용적 양육을 측정하는 15문항과 무시, 학대 및 무관심을 보이는 거부적 양육을 측정하는 15문항이 포함된다. 각 문항은‘전혀아니다(1점)’에서‘거의항상그렇다(4점)’까지 4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있다. 거부적 양육의 두 문항은 역환산하도록 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 내적일치도(Cronbach's α)는아버지의 수용적 양육이 .93, 거부적 양육은 .83,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은 .92, 거부적 양육이 .79로 나타났다.

    정서표현 갈등. 참여자의 정서표현 갈등은 King과 Emmons(1990)가 개발한 정서표현 갈등 질문지(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를 최해연과 민경환(2007)이 한국 문화에 맞게 타당화한 한국판 질문지(AEQ-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질문지는 정서표현 불능과 정서표현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반영하는 자기방어적 갈등과 인상관리나 대인관계 보호를 위해 표현행동을 통제하는 관계관여적 갈등의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21문항을 5점(‘전혀 아니다' ∼ ‘매우 그렇다')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전체 문항의 내적일치도(Cronbach's α)는 .90이었고, 자기방어적 갈등은 .88이었고 관계관여적 갈등은 .79였다.

    대인불안. 대학생의 대인불안은 Leary(1983)의 상호작용 불안척도(Interaction Anxiousness Scale; IAS)를 김남재(1995)가 번안하여 한국화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완벽하게 그렇다(5점)’까지 5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4개의 문항은 역환산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은수록 대인관계에서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총 15문항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89였다.

    부정/긍정 정서. 주관적 웰빙의 정서적 요인인 부정정서와 긍정정서는 Waton, Clark와 Tellegen(1988)이 개발한 PANAS(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를 김정호(2007b)가 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본 척도는 부정정서와 긍정정서를 각각 10문항씩으로 측정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많이 그렇다(5점)’까지 5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부정정서가 .85, 긍정정서가 .80이었다.

    삶의 만족. 주관적 웰빙의 인지적 요인인 삶의 만족은 Diener, Emmons, Larsen과 Griffin(1985)이 개발한 삶의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를 조명한과 차경호(1998)가 번역한 척도를 김정호(2007a)가 수정하고 보완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척도는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매우 반대한다(1점)’에서 ‘매우 찬성한다(7점)’까지 7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83이었다.

      >  조사 및 분석 절차

    이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심의를 거쳤으며, 인간을 대상으로 하나 민감하지 않은 부분을 설문으로 조사하기 때문에 정식 심의에 대한 면제로 심의 결과를 받았다. 참여자들로부터 설문을 하기 전에 연구의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참여하는 것에 동의를 구하였으며, 개인정보의 누출이 없을 것이며 연구 참여하는 것을 언제든지 포기할 수 있다고 알렸다. 통계분석은 IBM SPSS사의 PASW Statistics 20에 의해 실행되었다. 주요 통계분석 방법은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이었다. 매개효과는 Sobel 검증으로도 분석하였다.

    결 과

      >  부모의 수용-거부양육과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부모의 수용적 양육이나 거부적 양육과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과 상관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결과를 표 1에 제시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표 1.] 부모의 수용-거부양육과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의 간의 상관행렬(N=362)

    label

    부모의 수용-거부양육과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의 간의 상관행렬(N=362)

    먼저 부모의 수용적 양육이나 거부적 양육과 정서표현 갈등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부모의 수용적 양육은 자녀인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런 관계는 아버지(r=-.20, p<.001)와 어머니(r=-.25, p<.001)모두에게서 나타났다. 반대로 부모의 거부적 양육은 정서표현 갈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런 관계도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의 양육태도에서 나타났다. 부모의 수용적 양육이나 거부적 양육은 정서표현 갈등 중에 관계관여적 갈등과는 거의 관계가 없고 자기방어적 갈등과 상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은 관계관여적 갈등과 유의한 부적 관계가 있었으나(r=-.11, p<.05), 아버지의 수용적 양육태도와 부모 모두의 거부적 양육은 관계관여적 갈등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한편 부모의 수용적 양육이나 거부적 양육은 대인불안과도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아버지(r=-.21, p<.001)와 어머니(r=-.24, p<.001)의 수용적 양육은 자녀인 대학생의 대인불안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에 아버지(r=.19, p<.001)와 어머니(r=.21, p<.001)의 거부적 양육은 자녀의 대인불안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대인불안은 주관적 웰빙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r=-.39, p<.001. 대인불안은 삶의 만족(r=-.31, p<.001)이나 긍정정서(r=-.15, p<.01)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고 부정정서(r=.13, p<.05)와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아버지(r=.42, p<.001)와 어머니(r=.44, p<.001)의 수용적 양육은 자녀의 주관적 웰빙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아버지(r=-.33, p<.001)와 어머니(r=-.30, p<.001)의 거부적 양육은 대학생인 자녀의 주관적 웰빙과 부적 상관이 보였다. 그러나 부모의 수용적 양육과 거부적 양육은 삶의 만족이나 부정정서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고 긍정정서와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정서표현 갈등은 대인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r=.44, p<.001. 자기방어적 갈등과 관계관여적 갈등 모두 대인불안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정서표현 갈등은 주관적 웰빙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r=-.38, p<.001. 정서표현 갈등은 삶의 만족(r=-.28, p<.001)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고 부정정서(r=.26, p<.001)와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긍정정서와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r=-.02, n.s.

      >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 정서표현 갈등 및 대인불안의 설명력

    부모의 수용적 양육과 거부적 양육, 정서표현 갈등의 하위 요인과 대인불안 중 어떤 변인이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언변인이고 그 설명력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관적 웰빙을 준거변인으로 하고 부모의 수용적 양육과 거부적 양육, 정서표현 갈등의 하위 요인과 대인불안을 함께 예언변인으로 투입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표 2).

    [표 2.]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정서표현 갈등 및 대인불안의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label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정서표현 갈등 및 대인불안의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분석결과, 주관적 웰빙에 대해서는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이 가장 강력한 예언변인이었으며(β=.44, p<.001), 정서표현 갈등 중에는 자기방어적 갈등(β=-.33, p<.001), 대인불안(β=-.20, p<.001) 및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β=-.12, p<.05)이 유의한 예언변인이었다.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이 자녀인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의 변량을 19.7%를 설명하고 있었으며, 자기방어적 갈등이 추가로 9.9% 설명하였고, 대인불안이 추가로 3.0%를 설명하였으며 거기에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이 추가로 주관적 안녕을 1.1% 설명하였다.

      >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대학생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의 정서표현 갈등의 매개효과

    연구자들은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갈등이 매개효과를 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상관분석에서 정서표현 갈등 중 자기방어적 갈등이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이나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갈등이 매개효과를 내는지를 검증하였다. 참고로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은 부모의 수용적 양육에서 거부적 양육을 뺀 값이다.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A)과 주관적 웰빙(C)의 관계가 유의하고, 자기방어적 갈등(B1)과 주관적 웰빙(C)의 관계도 유의하였다. 그리고 A와 B1의 상관도 유의하였기 때문에 매개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Baron & Kenny, 1986). 매개효과는 위계적 분석으로 검증하였다(표 3).

    [표 3.]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자기방어적 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label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자기방어적 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분석결과, 자기방어적 갈등이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을 매개하여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A ⟶ C)의 설명량보다 A, B1 ⟶ C에서 A의 추가 설명량이 9.6% 줄었고 자기방어적 갈등(B1)의 추가 설명력도 유의하였다, β=-.32, p<.001. A, B1 ⟶ C에서의 대학생의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의 설명량이 줄어들었어도 유의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의 관계를 자기방어적 갈등이 부분적으로 매개한다고 할 수 있다. Sobel 검증에서도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Z=5.22, p<.001.

      >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대학생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의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대인불안의 역할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상관분석에서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A)과 주관적 웰빙(C)의 관계가 유의하고, 대인불안(B2)과 주관적 웰빙(C)의 관계도 유의하였고, A와 B2의 상관도 유의하였기 때문에 매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컸기 때문에 중재효과가 아닌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자녀인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대인불안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한 결과는 표 4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대인불안이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을 매개하여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A ⟶ C)의 설명량보다 A, B2 ⟶ C에서 A의 추가 설명량이 7.3% 줄었고 대인불안(B2)의 추가 설명력도 유의하였다, β=-.29, p<.001. A, B2 ⟶ C에서의 대학생의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의 설명량이 줄어들었어도 유의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의 관계를 대인불안이 부분적으로 매개한다고 할 수 있다. Sobel 검증에서도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Z=4.24, p<.001.

    [표 4.]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label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논 의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과 거부적 양육,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이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탐색하였고,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 서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으며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자들이 가정한 것처럼 부모양육은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부모가 수용적으로 자신을 양육했다고 지각하는 대학생일수록 주관적 웰빙 수준이 높았고, 부모가 거부적으로 양육했다고 지각하는 대학생일수록 주관적 웰빙 수준이 낮았다. 이는 부모가 자녀에게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수용적으로 양육을 하면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Pierce et al., 1996), 반대로 자녀에게 무시와 무관심을 보이며 거부적으로 양육할 경우 자녀가 성장하여 정신적 문제나 적응의 문제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Straus et al., 1980; Zanarini & Frankenburg, 1997)와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가 상관연구로 인과관계를 결론내릴 수 없다. 아무리 부모의 양육이 현재 경험하고 있는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은 물론 주관적 웰빙 상태보다 시간상 선행되는 것이지만 본 연구에서 측정한 부모양육은 성장 후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이기 때문에 다른 변인들과의 관계를 일방향적으로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본 연구의 결과가 의미있고 선행연구와 차별화될 수 있는 것은 부모의 수용적 양육이나 거부적 양육이 정신건강의 차원뿐만이 아니라 긍정심리 차원에서 주목할 만한 변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하지만 부모의 수용적 양육이나 거부적 양육은 주관적 웰빙의 인지적 차원인 삶의 만족과 관계가 있었고, 정서적 차원 중에 부정정서와 관계가 있었지만 긍정정서와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부모의 수용적 혹은 거부적 양육이 긍정심리 차원으로 중요한 변인이라고 논의하였지만, 부모의 수용적 양육이 완화시키고 거부적 양육이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부정정서를 활성화하여 주관적 웰빙에 기여하기는 해도 자녀의 성장 후 긍정정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는 듯하다. 한편 수용적 양육과 주관적 웰빙이 공유하는 변량이 거부적 양육이 공유하는 변량보다 많았기 때문에 부모의 수용이 거부보다 주관적 웰빙에 더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는 주관적 웰빙이 긍정심리적 변인이기 때문일 수 있는데, 부적응이나 정신적 문제는 부모의 수용적 양육보다 거부적 양육과 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니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정서표현 갈등도 주관적 웰빙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이 정서표현 갈등을 적게 경험할수록 삶에 만족감이 강하고 부정정서를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대학생에 비해 한국 대학생의 경우 정서표현 갈등과 웰빙 간의 관계가 약하다는 보고가 있었는데(Suh, 1994),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도 웰빙과의 관계가 학문적으로는 물론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서표현 갈등이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 변량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고, 특히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갈등은 주관적 웰빙을 그 보다 더 많이 설명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개인주의 문화가 아닌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정서표현 갈등이 개인의 웰빙과 큰 상관이 없을 수도 있으며(이승미, 오경자, 2006), 자신의 욕구는 억제하고 자기의 감정을 절제하는 문화권에서는 정서표현을 하는 것이 적응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최상진, 김태연, 2001). 하지만 현대사회를 사는 한국 대학생들의 정서표현 갈등에는 부적응적인 차원이 꽤 있는 것 같다. 정서표현의 억제가 심리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Josephs, Williams, Irwing, & Cammock, 1994),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정서표현 갈등이 긍정정서와는 상관이 없었지만 부정정서와는 상관이 있었던 것도 그런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일회성 연구로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추후 연구들에서 이 관계를 다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최해연과 민경환(2007)의 연구에서는 정서표현 갈등이 두 가지의 하위요인으로 수렴되었는데,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갈등은 자신이 정서를 표현했을 때 다른 사람으로부터 거부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하며,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갈등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고려하거나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려는 노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선 설명에 근거하면 한국문화에서 관계 관여적 정서표현 갈등은 부적응적이지 않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갈등도 상관분석에서 주관적 웰빙과 상관이 있었으나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갈등 등과 같은 다른 변인들과 공유하는 부분이 제거되면 주관적 웰빙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해연과 민경환(2007)의 연구에서도 자기방어적 갈등은 관계관여적 갈등에 비해 회피적이고 역기능적이며 심리적 부적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표현 갈등의 하위요인에 따라 개인의 주관적 웰빙과의 관계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인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웰빙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새로운 결과는 아니다.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웰빙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속적으로 불안한 감정을 가지고 있으면 긍정정서와 행복감을 경험하기 힘들 뿐 아니라 그런 상태의 삶에 만족하기 힘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대인불안은 진단명으로는 DSM-Ⅳ의 사회공포증(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이나 DSM-5의 사회불안장애(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의 증상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불안 중에 대인불안이 주관적 웰빙 수준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지적(하창순, 박주하, 2012)을 지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학생의 웰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대인불안을 중재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대인불안이 부모의 양육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있다. 부모가 자녀를 수용적으로 양육하거나 거부적으로 양육하지 않으면 성장하여 대인불안을 덜 경험할 수 있다고 나타난 것은 어린 성장기부터 대인관계에서 경험하는 불안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이미 부모로부터 부정적으로 양육을 받아 주관적 웰빙 수준이 낮아졌다면,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불안을 중재하여 부모양육의 부정적 영향의 고리를 끊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대인불안이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 그런 가정을 지지한다. 부모로부터 덜 수용적이고 더 거부적으로 양육을 받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표현 갈등 그 중에서도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갈등이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가 수용적으로 양육하지 않고 거부하며 양육하면 자녀가 성장하여 자기를 방어하기 위해 정서표현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갈등을 하여 주관적 웰빙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녀에 대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려면 자녀가 정서표현을 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중재해야 한다. 실제로 정서표현의 유능성이 다른 사람들과의 긍정적 관계를 잘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DePaulo, 1992). 앞서 부모로부터 수용적이지 않고 거부적으로 양육된 대학생의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는데, 그런 프로그램의 내용에 정서표현 능력을 계발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함을이 연구의 결과가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수용-거부양육의 중요성, 특히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의 중요성이 확인되었고, 정서표현 갈등과 대인불안이 주관적 웰빙에 대한 그것의 영향을 매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 자녀를 둔 어머니에 대한 효과적인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부모로부터 거부적 양육을 받으며 성장한 대학생에게 내면의 정서적 표현에 대한 갈등이나 대인불안을 중재하여 주관적 웰빙을 증진할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인과의 방향 외에도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한계점이 있다. 먼저 앞서 서양의 대학생들과 한국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의 영향력에 대한 차이를 논의하였는데, 본 연구의 대상자가 한국 대학생 모집단을 대표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문화적인 차이를 결론내릴 수 없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상 부모양육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갈등과 대인불안의 매개하는 관계를 각각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부모의 수용-거부양육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정서표현 갈등과 대인불안이 상호작용하며 관계하는 방식은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정도로 이해하고 추후연구에서 확인하기를 바란다. 또한 추후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검증한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는지를 분석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1. 구 재선 (2005)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토착심리학적 접근. google
  • 2. 권 석만 (2010)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욕망과 행복의 관계. [철학사상] Vol.36 P.121-152 google
  • 3. 권 순명 (1993) 지각된 양육경험과 자아정체감 및 통제귀인 간의 관계분석. google
  • 4. 김 남재 (1995) 대인불안의 측정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14 P.73-81 google
  • 5. 김 남재 (1996) 대인불안에서의 귀인 양식 그리고 우울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 Vol.4 P.9-34 google
  • 6. 김 명소, 김 혜원, 임 지영, 차 경호, 한 영석 (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8 P.415-442 google
  • 7. 김 미옥, 손 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ACT)가 대학생의 대인 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P.301-324 google
  • 8. 김 성일 (1996) 부모의 수용도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Vol.3 P.67-105 google
  • 9. 김 정호 (2007a)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2 P.325-345 google
  • 10. 김 정호 (2007b) 한국판 긍정 및 부정 정서 척도. google
  • 11. 김 정호, 유 제민, 서 경현, 임 성견, 김 선주, 김 미리혜, 공 수자, 강 태영, 이 지선, 황 정은 (2009)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Vol.15 P.187-205 google
  • 12. 박 영애, 최 영희, 박 인전 (200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Vol.5 P.161-182 google
  • 13. 박 지선, 김 인석, 현 명호, 유 재학 (2008)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P.571-581 google
  • 14. 박 희현, 김 진아, 한 귀례 (2014)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놀이치료연구] Vol.17 P.345-362 google
  • 15. 오 강섭, 허 묘연, 이 시형 (1999) 대인불안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상관관계. [신경정신의학] Vol.38 P.64-76 google
  • 16. 유 미영, 홍 혜영 (2010)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Vol.24 P.915-937 google
  • 17. 이 경순, 서 경현 (2011)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부모와의 갈등과 주관적 웰빙: 원한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6 P.595-608 google
  • 18. 이 동원, 박 옥희 (2004) 사회심리학. google
  • 19. 이 승미, 오 경자 (2006)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정서표현성이 중년 기혼 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25 P.113-128 google
  • 20. 이 주일, 황 석현, 한 정원, 민 경환 (1997) 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1 P.117-140 google
  • 21. 전 선미, 오 인수 (2011)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처리과정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Vol.12 P.1737-1752 google
  • 22. 정 윤경, 박 보은 (2010)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 양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P.111-125 google
  • 23. 정 윤주, 이 주리 (200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부모이외 애착대상의 수용-거부, 행동통제와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 Vol.14 P.947-959 google
  • 24. 정 은선, 조 한익 (2009)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P.209-227 google
  • 25. 조 명한, 차 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google
  • 26. 조 양선, 서 경현 (2013) 부모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Vol.20 P.99-122 google
  • 27. 차 경호 (2004)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Vol.11 P.321-337 google
  • 28. 최 상진, 김 태연 2001 인고에 대한 한국인의 심리: 긍정적 보상기대와 부정적 과 실상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Vol.7 P.21-38 google
  • 29. 최 해연, 민 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1 P.71-89 google
  • 30. (2013) 한국의 사회동향 2013. google
  • 31. 하 정 (1997) 정서표현성향과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 사고, 행동영역의 통합적 고찰. google
  • 32. 하 창순, 박 주하 (2012) 정서표현갈등과 대인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인간연구] Vol.1 P.173-197 google
  • 33. 황 재원, 김 계현 (2009) 대학생의 행복추구경향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Vol.10 P.57-71 google
  • 34. 황 혜정 (1997) 아동의 정서 , 행동 문제와 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Vol.11 P.331-350 google
  • 35.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google
  • 36.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google
  • 37. Baron R. M., Kenny D.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1173-1182 google cross ref
  • 38. Curran J. P. (1977) Skills training as an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heterosexual-social anxiety. [Psychological Bulletin] Vol.89 P.140-157 google cross ref
  • 39. DePaulo B. M. (1992) Nonverbal behavior and self-presentation. [Psychological Bulletin] Vol.111 P.203-244 google cross ref
  • 40. Diener E., Tov W. (2012) National accounts of well-being. In K. C. Land, A. C. Michalos, & M. J. Sirgy (Eds.), Handbook of social indicators and quality of life research P.137-156 google
  • 41.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542-575 google cross ref
  • 42.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P.71-75 google cross ref
  • 43. Diener E., Suh E., Lucas R. E.,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5 P.276-302 google cross ref
  • 44. Emons R. A., Colby P. M. (1995)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8 P.947-959 google cross ref
  • 45.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google
  • 46. Gross J. J.,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5 P.348-362 google cross ref
  • 47. Jersild. A. T. (1966) Child psychology. google
  • 48. Joiner T. E., Metalsky G. I. (1995) A prospective test of an integrative interpersonal theory of depression: A naturalistic study of college roommate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69 P.778-788 google cross ref
  • 49. Josephs S., Williams R., Irwing P., Cammock T. (1994) The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attitudes towards emotional ex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6 P.869-875 google cross ref
  • 50. Katz I. M., Campell J. D. (1994)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well-being: Nomothetic and idiographic tests of the stress-buffering hypothe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P.513-524 google cross ref
  • 51. King L. A.,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y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P.864-877 google cross ref
  • 52. Leary M. R. (1983) Social anxiousness: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7 P.66-75 google cross ref
  • 53. Mongrain M., Zuroff D. C. (1994)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negative life events: Mediators of depressive symptoms in dependent and self-critical individual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6 P.447-458 google
  • 54. Pierce G. R., Sarason B. R, Sarason I. G. (1996) Handbook of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 P.3-23 google
  • 55. Rohner R. P. (1981) Worldwide tests of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theory. [Behavior Science Research] Vol.15 P.1-21 google
  • 56. Rohner R. P. (2004) The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syndrome: Universal correlates of perceived rejec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59 P.830-840 google cross ref
  • 57. Rohner R. P. (2009) 부모의 사랑: 수용과 거부이론(김성일). google
  • 58. Rohner R. P., Nielsen C. C. (1978)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A review and annotated bibliography of research and theory (Vol.2). google
  • 59. Salovey P.,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Cognition P.185-211 google
  • 60. Straus M. A., Gelles R. J., Steinmetz S. K. (1980) Behind closed doors: Violence in the American family. google
  • 61. Suh E. (1994) Emotion norms, values, familiarity and subject well-being: A cross-cultural examination. google
  • 62. Watson D., Clark L. A.,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4 P.1063-1070 google cross ref
  • 63. Zanarini M. C., Frankenburg F. R. (1997) Pathways to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Vol.11 P.93-104 google cross ref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부모의 수용-거부양육과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의 간의 상관행렬(N=362)
    부모의 수용-거부양육과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의 간의 상관행렬(N=362)
  • [ 표 2. ]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정서표현 갈등 및 대인불안의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정서표현 갈등 및 대인불안의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 [ 표 3. ]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자기방어적 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자기방어적 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 [ 표 4. ]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모 수용-거부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