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부부의 성격에 관한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n Couples' Personalities
ABSTRACT
부부의 성격에 관한 연구동향

This study searched for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ies spanning a period of 19 years, from 1995 to 2013, in Korea. A total of 49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in Korea investigating couples' personalit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grasping how the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ies have been conducted in terms of prevention and treat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to promote happy marriages, to seek practical solutions to conflicts, and to educate about divorce prevention. Also, the study’s aim was to present base data that are needed for researchers of couples and the field of marital counseling and family coaching. The method of analysis was content analysis, which was typically conducted in literature researc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f couples' personalities in terms of prevention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the Enneagram personality theory, the communication theory and positive psychology. Second, the studies on couples' personalities in terms of treatment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the conflict theory, MBTI and Big Five Model.

KEYWORD
부부의 성격 , 부부 , 성격 , 성격이론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결혼생활을 시작하면 어느 부부나 행복하고 성공적인 결혼생활을 바란다[8,15,29,37]. 부부관계는 가장 친밀한 인간관계이면서 동시에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한 관계이므로 부부간 의견의 조화가 행복한 결혼생활을 이루어 가는데 중요한 요인이다[36]. 개인의 성격은 부부관계의 질에 강력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결혼적응 및 결혼생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양 배우자의 성격을 고려해야 한다[15,38,47]. 왜냐하면 성격이라는 것은 어떤 사람의 사고, 감정, 행동에 대한 일관성이나 연속성에 대한 표현이기 때문에 그 사람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7,34]. 이러한 성격특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나 이혼과 관련되어 있다고 하였다[19,38]. 이는 결혼문제를 다룰 때 치료자는 개인의 성격 측면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29]. 한편, 현대사회의 요청에 의해서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결혼 후 맞벌이ㆍ맞양육을 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에 따라 맞양육을 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에 따라 결혼생활 중에 더 많은 부부갈등이 생겨날 수 있으며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부부가 서로 이혼이라는 극단의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18,24]. 또한 최근 다문화가족이 급격히 증가현상을 보이고 있다. 다문화 가족의 결혼형성과정은 중매혼의 성격을 가지면서 서로를 알아가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가지지 못하고 짧은 시간에 형성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 점은 서로의 성격차이를 이해하지 못함으로써 부부불화를 야기하고 심각한 부부갈등을 증가시켰다[1,38]. 이러한 추세들은 부부의 성격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해보고 불행한 사태로까지 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런데 학계와 실제 부부생활에서 접목할 수 있는 부부의 성격에 관한 이론적 탐구는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고는 부부 성격에 관한 연구가 예방적, 치료적 측면에서 어떠한 이론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사용된 이론으로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대부분의 동향분석 연구에서 연도별, 주제별, 내용별, 대상별 흐름을 분석하는 것보다 부부의 성격에 대한 이론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예를 들어, 가족치료자들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격특성은 다양한 이론으로 설명이 되는데, 상호작용 요인의 개입이 필요한 부부에게는 특히 명확하고 단순한 이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어떤 부부에게는 매우 효과적인데 비해 다른 부부들에게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38].

    예방의 사전적 의미로는 질병이나 재해 따위가 일어나기 전에 미리 대처하여 막는 일이다. 일반적으로 문제사태의 발생예방, 그 조기발견과 조기해결을 위한 원조활동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부부성격 연구에 있어서 예방적 측면은 부부간의 문제가 생기기 전에 미리 대처하여 건강한 부부관계 나아가서는 건강한 가족이 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보다 나은 결혼생활, 보다 행복한 부부가 되기 위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51]. 부부의 성격을 서로 잘 이해한다면 부부갈등이나 의사소통의 문제로 부부싸움이나 이혼으로 가는 것을 미리 예방하고 방지할 수 있다[16,17].

    이에 반해 부부간에 문제가 이미 발생해서 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심각한 부부관계가 되어 별거, 이혼 등의 가족해체와 같은 불행한 결과로 치달을 수 있다. 치료의 사전적 의미는 병이나 상처 따위를 잘 다스려 낫게 하는 것이다. 어떤 질병, 장애, 또는 문제를 치료, 치유, 완화하기 위해 계획된 체계적 과정과 활동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부부성격 연구에 있어서 치료적 측면은 부부문제 상황을 잘 다스려서 치유하여 원래의 건강한 부부 상태로 가도록 하는 것이다. 가족을 이루는 기본 요소인 부부가 건강하여야 가족이 건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담이나 부부클리닉 분야에서 어떻게 실천을 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26]. 그러므로 부부갈등과 부부문제 해결을 위해 행해지는 부부치료, 부부상담, 가족치료, 가족상담 등의 치료적 측면에서는 어떠한 이론으로 연구되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실제적으로 부부문제를 가진 부부들에게 해결책을 제시하고 결혼생활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생활을 하고 있는 부부에게는 이혼을 예방하고 지속적인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현장에서 부부관련 문제를 돕는 전문가와 부부문제 연구자에게는 부부상담, 가족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2. 연구문제

    연구문제1. 부부의 성격에 관한 연구는 예방적 차원에서 어떠한 이론으로 이루어졌는가?

    연구문제2. 부부의 성격에 관한 연구는 치료적 차원에서 어떠한 이론으로 이루어졌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성격이론

    부부의 성격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5요인 성격이론(Big Five Model)에 근거하여 결혼만족도를 연구[1,2,4,11,12,13,15,18,19,22]하거나 또는 MBTI를 통해 부부의 갈등해결과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5,14,23,26,27,30,31,33,43,47,50]이었다. 2007년을 기점으로 최근까지 성격강점에 포커스를 둔 긍정심리학과 에니어그램(Enneagram)을 통하여 결혼만족도 및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3,9,16,17,28,32,35,40,42,48,49,51]. 그런데 본고의 연구를 위해 검색된 최초의 1995년, Hyun[10]의 연구에서는 내외통제성을 개인의 안정된 인지적 성격특성으로 규정하여 내외통제성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내외통제성은 행동의 결과에 대한 원인을 자신에게로 돌리느냐 혹은 자신의 행동과는 무관하게 운명이나 우연 그리고 외부의 힘에 돌리느냐에 따라 내적통제와 외적통제와 분류된다. 인간은 누구나 이 두 가지 성향을 가지고 있으나 대개는 어느 한쪽이 우세하여 나름대로 일관된 내적 혹은 외적 통제성을 가진다고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내적통제성향이 강한 개인이 결혼만족도가 높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다음해인 1996년에 이루어진 두 편의 연구 중 하나는 개인의 정신병리적 특성과 성격특성에 관한 자기보고식 검사인 MMPI를 통해서 입양희망 부부들의 성격적 적응 및 심리적 건강 정도를 파악하였다[6].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는 개인의 사회적 적응 및 인성특성 뿐만 아니라 상담이나 치료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정신병적 증후 또는 행동장애와 관련된 인성특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평가 하는 것이다. 애정욕구, 순박성, 냉정함 등이 일반부부보다 입양희망 부부가 높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다른 한편은 Kim[20]의 노후 성격적응성향과 노인이 지각하는 장남부부와의 갈등관계 연구였다. 성격특성의 분류를 적극적 통합성, 실패과장성, 의존적 수동성, 자기부정성, 성숙성, 방어성, 은둔성, 분노성, 자학성 등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적극적 통합성의 성향이 약할수록, 실패과장성의 성향이 강할수록 장남부부와의 갈등점수가 높았다[21]. 또한 성격특성이 부부의 결혼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모델을 통하여 이루어져 오기도 했다. 하나는 배우자 결점이론으로서 배우자의 결점이 상대배우자의 결혼 불만족도와 이혼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보완이론으로 어떤 특정한 성격이 조화를 이루어 결혼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2,4,11,18]. 이와 같은 맥락으로 부부의 성격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 대한 연구[11,12,13]와 부부간 성격 유사성이 결혼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15,22]가 이루어졌다.

    1) Enneagram 이론

    에니어그램(Enneagram)은 아홉 가지의 세계관 혹은 전략을 나타내는 성격모형이다. 에니어그램의 아홉 가지 유형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서로 다른 그들만의 방식에 대한 분명한 통찰력을 제공한다[7,34]. 성격의 의식적인 면과 감추어진 면의 상호연결성을 설명해주기 때문에 서로의 진실된 본성이 깨어 있을수록, 성격을 인간 그 자체가 아닌 일관성 있는 패턴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51].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알면 상대 배우자의 행동을 형성하는 동기, 맹점, 스트레스 상황시의 태도변화 등을 알 수 있다. 이는 행복한 부부관계가 되도록 하기 위한 쉽고도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줄 수 있다[7,9,16,17]. 그러므로 한 사람의 개인으로서 성장하고 발전해 나가고자 한다면 자신의 에니어그램 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성격의 특질이론(Trait Theory)이 인간이 소유한 특질에 관심을 두고 병리적인 부분을 예견하는 것과는 달리,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론은 각 개인의 성격유형을 좋고 나쁜 것으로 분류하지 않고 단지 다를 뿐이다[34] 라고 강조한다.

    2) 긍정심리학

    최근 인간의 병리적 치료가 아닌 예방적 면역성에 중점을 두고 심리학계에 등장한 긍정심리학은 인간의 최상의 상태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하고 있다. 긍정심리학은 개인, 아동, 부부, 가족 등이 성장하고 번창하도록 만드는 요인들을 발견하고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긍정심리학자들은 행복과 좋은 삶의 토대인 성격강점은 삶의 만족도뿐만 아니라 결혼만족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긍정적 특질을 성격강점으로 분류하여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간 관계 등 부부의 성격강점 연구가 이루어졌다[32,51].

    Lee[32]는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성격강점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개인의 성격강점뿐만 아니라 부부 수준의 성격강점을 측정하였다. Yoon[51]은 긍정심리학이 근본적으로 인간의 행복과 성장을 추구하는 인간관을 가진 과학적 이론이라고 하였다. 긍정심리학은 10여년의 짧은 역사를 가진 새로운 학문분야이지만, 행복을 비롯하여 인간의 덕성 및 성격강점을 부부 상호작용 연구에 적용하여 집중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3) MBTI

    MBTI는 일관성 있는 인간 행동의 특징을 나눌 수 있음을 강조하고 그것을 심리 유형으로 설명하였다. 인간은 누구나 감각(Sensing, S), 직관(Intuition, N), 사고(Thinking, T), 감정(Feeling, F)이라 불리는 네 가지 기본적인 정신적 기능(function) 또는 과정(process)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때 내향성(Introversion, I)과 외향성(Extraversion, E) 중 하나의 태도를 취한다.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네 가지 과정(S, N, T, F)은 서로 관련되거나 합쳐질 수 없기 때문에 구별하며, 인간의 정신 의식이 아무리 다양해도 이 네 가지 기능 중 하나에서 나온다고 가정한다. 이 성격유형 검사는 현재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며 자신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타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MBTI의 네 가지 차원이 조합을 이루면 열여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알파벳 머리글자의 조합으로 ISTJ, ISFJ, INFJ, INTJ, ISTP, ISFP, INFP, INTP, ESTP, ESFP, ENFP, ENTP, ESTJ, ESFJ, ENFJ, ENTJ 이다. 각 개인은 이 중 한가지의 성격유형으로 구분된다.

    Kong[26]은 부부의 성격 유사성에 따른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제로 부부클리닉을 방문한 부부에게 그들의 문제를 상담하면서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MBTI는 부부갈등과 부부간의 대인관계적 요인을 잘 설명해주기 때문에 부부치료, 부부상담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여러 연구가 이루어졌다[5,14,23,26,27,30,31,33,43,47,50].

    4) 성격5요인 모델(Big Five Model)

    이 모델은 결혼생활과 관련이 있는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기보고식으로 성격을 다섯 가지 차원으로 설명해준다. 즉 신경증, 개방성, 외향성, 성실성, 친화성이다[1,2,4,11,13,15,18,19,22]. 신경증(Neuroticism)은 불안, 분노, 혐오, 슬픔, 좌절과 같은 부정적 정서의 총체로서 신경증이 높은 사람은 걱정이 많고, 긴장되어 있고, 불안하고, 우울하고, 변덕이 심하고, 의기소침하고, 까다롭고, 화를 잘 내는 등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스트레스에 쉽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관계를 갈등 상황으로 만들 가능성이 높아서 결혼만족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13,18]. 개방성(Openness)은 지적능력과 이해의 폭을 말하는 것으로, 상상적이고 독창적이며 창의력이 풍부한 창조성과의 관계를 나타내며, 경험에 대한 합치된 조합을 끌어내는 특징을 가지는 성격특성요인이다. 교양(Culture), 또는 지성(Intellect) 이라고도 한다. 개방성이 높은 사람은 결혼생활에서 상상력과 호기심이 많고, 새로운 정보를 잘 받아들이며, 변화에 대한 수용도가 높고, 관습에 얽매이지 않으며 독창적이고 창의적이다. 높은 개방성은 부부 모두의 결혼만족도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19]. 외향성(Extroversion)은 사교적이고 사람들을 좋아하며 주도적이고 활동적이며 이야기하기를 좋아하는 특성이다. 그런데 이 특성은 결혼만족도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높은 외향성은 결혼생활에서 문제에 더 잘 대처하고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서 더 높은 행복감을 경험하도록 한다고 보고 있다[2,19]. 반면 남성의 경우에 이혼 예측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부부 모두 높은 외향성을 보이면 부부 모두의 결혼 불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고도 하였다[18]. 성실성(Conscientiousness)은 사회적 규칙, 규범, 원칙들을 지키려는 정도를 의미한다. 성실성이 높은 사람을 안정적이고 계획적이며 믿음직스러운 특성을 보일뿐 아니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람들이다. 부부관계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책임과 의무를 수행할 수 있는 성격특성을 가진다. 친화성(Agreeableness)은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적이고 이타적인 관심을 의미하는 것으로 온정적이며 타인을 신뢰하고 순응적이며 남을 돕고자 하는 특성이다. 이 특성은 결혼만족도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2. 부부연구와 관련된 이론

    국내에서 이루어진 부부에 관한 연구들은 행복한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불행한 부부의 결혼불만족도 차이를 설명하는 결혼만족도 측면[2,4,8,10,11,12,13,24,36,37,38,43,50]과 부부갈등이나 의사소통 등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1,5,18,19,25,27,30,31,33,39,45,46,47]. 또한 부부간의 성역할 태도 및 결혼가치관의 유사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22], 자아존중감과의 관계[14], 부부 적응도[29], 부부관계 증진 프로그램 모형개발 및 효과[23], 부부 성격과 자녀간의 의사소통[44] 등이었다.

    1) 의사소통이론

    의사소통은 인간사회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가장 기본적 요소이다. 모든 인간관계에서 의사소통은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가정에서의 부부간 의사소통이 중요한 이유는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기능적인 의사소통 과정은 부부갈등을 긍정적으로 해결하고, 상대 배우자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혼생활 만족도를 더욱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부의 의사소통 행동을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교환이론(Exchange theory)에 의하면 부부갈등이 발생하였을 때, 각 배우자는 보상보다 손실이 크면 의사표현을 하지 않고 꺼리게 된다고 하였다[37]. 이와 같이 의사소통은 역지사지, 자기노출, 대화에의 집중, 표현력 증대 등의 의사소통 질을 높여야 부부간의 개방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며 이는 곧 의사소통능력이라 할 수 있다[8]. Han과 Hur[8]는 연구가설로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라고 설정하고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부간의 개방된 의사소통은 자신의 결혼만족도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결혼만족도와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부부간 의사소통은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2) 갈등이론

    갈등이란 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상태를 말한다. 부부와 관련된 연구에서 결혼만족도 다음으로 많이 다루어진 연구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에 관한 연구였다[1,5,18,19,20,21,25,26,27,30,31,38,39,41,45,46,47]. 부부관계에서 갈등은 각 배우자에게서의 무시나 자원과 권력에 대한 불평등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며, 결혼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배우자와의 사이에서 겪는 긴장된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부부와 같이 친밀한 관계에서는 다른 인간관계에서보다 자신을 더 많이 노출하고 상호의존하기 때문에 갈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부부간 갈등은 대부분 사소한 말다툼이나 긴장상태로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큰 부부싸움으로 번지는 계기가 되며 부부결합의 안정을 해치기도 한다[47]. Lim[39]은 성격 차이로 인한 부부 갈등 해결을 위한 부부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연구를 하였다. 반복되는 부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James, M. Donovan의 5단계 대상관계 부부치료 모델을 적용하여 구조화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개발목적은 부부의 성격 특성과 연관된 대상관계 패턴에 대한 정서적 통찰과 부부 갈등을 일으키는 관계 및 행동의 변화에 있다. 이때 관계 및 행동의 변화는 자신의 성격 통찰을 토대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는 부부의 성격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국회전자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riss.kr)에서 ‘부부의 성격’을 검색어로 국내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였다. 1995년부터 2013년까지 약 19년 동안 이루어진 부부의 성격 연구동향과 관련된 국내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추출하여 보니 총 49편정도 되었고 이 49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도별 분포와 연구주제는 Table 1과 같으며, 2008년까지는 불과 한 두 편에 지나지 않았다.

    [〈Table 1〉] Sources of Dissertations and Articles on Couple's Personality by Year

    label

    Sources of Dissertations and Articles on Couple's Personality by Year

       2. 분석방법

    본 연구는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부부의 성격에 관한 연구가 예방적 차원에서는 어떠한 이론적 배경으로 이루어졌으며, 치료적 차원에서는 어떠한 이론적 배경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자료의 대표적 분석방법인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하였다. 예방적 차원의 부부성격 연구에 관련된 이론을 분석하기 위해서 예방의 정의에 기준을 두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부부갈등이나 부부문제가 일어나기 전에 미리 대처하여 막음으로써 건강한 부부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이루어진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들을 추출하였다. 부부관계증진, 부부싸움 예방, 부부의 결혼만족도, 부부관계 향상, 가족복지, 부부관계 성장, 성격강점을 주제로 연구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치료적 차원의 부부성격 연구에 관련된 이론을 분석하기 위해서 치료의 정의에 기준을 두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이미 부부간에 문제가 발생하여 그 문제를 잘 다스리고 치유하여 원래의 건강한 부부 상태로 가도록 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들을 추출하였다. 갈등대처, 부부간 성격부적응, 갈등해결, 이혼의도, 불화, 부부치료, 성격차이 상담, 갈등행동을 주제로 연구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또한 부부치료, 부부상담, 가족치료, 가족상담 등의 현장에서 부부갈등 미해결로 인한 이혼의도, 이혼가능성, 결혼부적응 및 불만족도 등의 주제로 연구되어진 자료도 문제해결 및 치료를 위한 치료적 차원의 부부성격 연구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예방적 차원의 부부성격 연구에 관련된 이론

    부부관계 증진, 부부싸움 예방, 부부의 결혼만족도, 부부관계 향상, 가족복지, 부부관계 성장, 성격강점을 주제로 연구되어진 예방적 차원의 부부성격에 관한 연구는 Enneagram 이론, 긍정심리학, 의사소통 이론을 토대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1) Enneagram 이론

    Enneagram을 통한 예방적 차원의 부부 성격에 관한 연구가 최근 들어 점차 증가하고 있다[3,9,16,17,35,40,42,48,49]. 예를 들어, Chang[3]은 에니어그램을 사용하여 세 단계의 부부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세스 1은 알고(understanding) 깨닫기(awareness), 프로세스 2는 내려놓고(releasing) 선언하기(affirming), 프로세스 3은 고백하고(confession) 일치하기(union)의 세 과정이다. 이 과정은 부부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부부간의 친밀감이 증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Oh[40]의 연구에서도 나타났는데 Enneagram 도구로 구성된 다섯 단계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은 새로운 부부관계로서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시함과 동시에 패러다임의 전환을 하게 해주어 예방적 가족복지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Kim[16,17]의 연구도 Enneagram 성격유형이 자신 및 상대배우자를 이해함으로써 행동패턴을 예측 가능하게 해주어 부부싸움 문제를 예방하는 효과를 낳았다. 이처럼 부부의 성격연구에서 Enneagram이 예방하는 역할을 한 내용은 다른 연구결과들에도 나타난다. Shin[42]의 연구에서도 Enneagram을 활용한 부부관계 향상프로그램에 참가한 부부들은 이전보다 비난, 경멸, 냉담, 방어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이 감소하고 존중, 일치, 공감 면에서 유의미하게 작용하여 부부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부부 관계의 치유와 성장을 위한 에니어그램의 활용방안 연구에서 Yoo[48,49]는 자신의 성격이 배우자의 성격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 Enneagram을 활용하여 알아보고 부부에게 변화의 모습을 제안하였다. 건강한 부부는 자신과 배우자의 정체성을 찾아 서로 win-win하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 Enneagram을 통해 자신의 성격 패턴에 대해 알고 있다는 것은 자신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고 성숙한 방향으로 행동하게 함으로써 배우자와의 좋은 관계가 유지 될 수 있다.

    2) 의사소통 이론

    부부 문제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부부간의 상호 의사소통에 따른 결혼만족도는 어떠한지에 관한 것이었다[2,4,5,8,10,12,14,15,18,22,24,30,32,33,36,37,38,43,50]. 결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의사소통 이론을 가지고 분석하였다[27,36,37,44,50]. 기능적인 의사소통 과정은 상대배우자를 깊게 이해할 수 있어서 결혼생활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예방적 역할을 한다[37]. 각자의 행동은 개인의 성격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배우자의 성격이해가 의사소통의 정확성과 용이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부부간의 좋은 관계를 높여준다[50]. Lee[28]는 에니어그램 아홉 가지 유형들이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어떤 의사소통을 하며 더 좋은 관계증진을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들이 필요한지를 설명하였다. 의사소통과 부부의 성격강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던 Lee[32]의 연구에서는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 간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중재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성격이 유사한 부부들이 유사하지 않은 부부들에 비해 의사소통이 더 원활하였고 결혼만족도가 더 높았다. Lim[36]은 부인이 요구하고 남편이 철수하는 의사소통 행동이 결혼생활의 불만족과 높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개인의 성격특성을 자율지향성, 관계지향성의 두 가지로 분류하여 검사한 후 요구, 철수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확인하였는데 관계지향성이 높은 배우자가 요구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37].

    3) 긍정심리학

    Lee[32]의 연구에서는, 결혼만족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성격강점으로는 지혜와 지식, 용기, 인간애, 정의, 절제, 초월성의 여섯 가지로 보고 자기효과와 배우자 효과를 보았다. 연구결과는 절제를 제외한 나머지 5개 성격강점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용기, 인간애, 초월성은 자기효과 또는 상대방효과가 한 개 이상 나타났다. 또한 관계 속에서 자신의 성격강점만을 내세우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 않은 면이 있었다. Kim[16,17]의 연구에서는, 부부의 유사한 성격 강점을 서로 많이 발휘하면 할수록 부부갈등을 일으켜서 부부싸움까지 진행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만족스러운 부부생활과 가정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성격강점 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성격강점도 함께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Table 2〉] Theories in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y as Prevention

    label

    Theories in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y as Prevention

       2. 치료적 차원의 부부성격 연구에 관련된 이론

    본 연구의 치료적 차원의 부부성격 연구에 관련된 이론을 분석하기 위해서 치료의 정의에 기준을 두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치료적 차원의 부부성격에 관한 연구는 갈등이론을 토대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MBTI, Big Five Model을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1) 갈등이론

    Kwon[27]과 Lee[30]는 MBTI 성격유형과 갈등해결양식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MBTI 성격유형의 비교를 통해서 갈등대처 방식을 비교한 연구[41]에서는 갈등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유형은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많았으며, 다른 것을 생각하며 잊어버리려고 노력하는 유형은 인식형이 판단형보다,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많았다. 가까운 사람과 의논한다는 유형은 감정형이 사고형보다 높았으며, 문제가 없어지거나 끝나기를 기도하고 바란다는 유형은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많았다. Yi와 Park[47]은 결혼기간별로 부부의 성격차이에 의한 결혼의 질을 비교․검토하였다. 부부의 MBTI 성격과 이들이 지각하는 결혼에서의 갈등 간의 관련성을 결혼초기 부부 집단과 그 이상 된 부부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부부간의 갈등 정도는 부인과 남편 모두 결혼기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Song[45]은 여자 배우자가 지각한 부적응적 성격(경계선적 성격, 의존적 성격, 자기애적 성격)과 남편과 자신의 갈등행동이 부부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부부적응의 하위요인(부부만족도, 부부일치도, 부부결합도, 애정표현)에 따라 살펴보았다. 여자 배우자가 지각한 경계선적 성격은 부부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애적 성격은 부부적응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하였다.

    2) MBTI

    부부의 성격 특성에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MBTI를 통해 연구 조사되었다[5,14,23,26,27,30,31,33,43,47,50]. Kong[26]은 우선 MBTI로 ‘성격 검사’를 하고, 결혼만족도 측정도구 15문항으로 ‘결혼만족도 조사’를, 결혼상태 평가도구를 가지고 ‘이혼가능성 조사’를 하였으며 60문항의 긍정적 감정 측정도구로 ‘긍정적 감정 조사’를 하고 58문항의 갈등조정방식 도구로 ‘갈등조정 방식’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낸 Kong[26]의 연구결론은 부부상담자는 성격유형의 차이가 부부관계에 미칠수 있는 영향을 이해한 후에 문제에 대한 갈등을 해결하여 이혼위기를 대처하도록 하는 중요한 중재방안이다 라고 하였다. Lee[30]는 부부의 MBTI 유형의 일치ㆍ불일치에 따른 갈등수준과 갈등해결양식을 조사하기 위해 기능(ST, SF, NT, NF)과 기질(SJ, SP, NT, NF), 태도(EJ, EP, IJ, IP), 의사소통유형(ET, EF, IT, IF)으로 각각 구분하여 점수의 차이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Kwon[27]은 부부의 성격유형과 의사소통 및 갈등해결방식의 관계 연구에서 MBTI를 이용하여 부부간의 의사소통 및 갈등해결방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MBTI의 각 지표들이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부부간 의사소통과 갈등문제 해결방식이 높아졌다. 이는 E/I 지표, S/N 지표, T/F 지표, J/P 지표에 있어서 부부의 각 선호지표가 일치할수록 의사소통과 갈등해결방식이 높을 것이라는 연구자의 가설을 입증하였으며, 남편의 외향적, 직관적, 논리적, 주도적 성격특성들과 아내의 내향적, 현실적, 감정적, 수용적 성격특성들이 부부의 의사소통 및 갈등해결방식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다. Lee[33]의 연구에서도 부부간 MBTI 유형의 일치가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와 정적인 관련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즉 유사한 부부들이 유사하지 않은 부부들에 비해 의사소통이 더 원활하였고 결혼만족도가 더 높았다. 부부간 각 지표들의 조합이 유사할수록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Shin[43]은 부부 MBTI 성격유형과 기질의 일치여부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연구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변인은 MBTI 성격유형중 E, I, S, N, T, F, J, P 변인과 MBTI 기질 중 SP, SJ, NF, NT 변인 그리고, 결혼만족도 점수였다. 부부간 성격유형의 E/I, S/N, J/P간 척도가 일치한 부부가 결혼만족도가 높았으며, 의사결정을 하는 T/F 사고 감정척도에서는 남편이 사고형(T), 부인이 감정형(F)일 때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부인이 사고형(T), 남편이 감정형(F)일 때 결혼만족도가 가장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부부 MBTI 심리경향과 행동패턴의 기질을 개념화하여 각 부부끼리의 조합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33,50].

    3) 성격5요인 모델(Big Five Model)

    초기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주로 부부갈등으로 불만족이 표출되고 이혼이 증가함에 따라 의사소통이나 부부갈등과 같은 부부간의 상호작용 과정에 역점을 두어 진행되어졌다. 결혼만족도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에서 사용된 성격특질 이론은 성격5요인 모델(Big Five Model)이다[1,2.4,11,13,15,18,19,22]. 이 모델은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상호작용 모델인 APIM(actor-partner interaction model) 분석과 함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산출하였다. 성격적 부적응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 강박성 성격은 가장 높은 결혼만족도를, 반사회성 성격과 경계선 성격은 낮은 결혼만족도를 보였다. 신경증은 결혼만족도와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APIM과 함께 분석한 결과로 개인의 성격뿐 아니라 상대방의 성격에 따라 결혼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11]. 남편의 결혼 만족도에는 아내의 개방성, 외향성, 성실성, 친화성의 성격특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남편 자신의 성격특성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내의 결혼만족도는 아내와 남편의 개방성, 외향성, 성실성, 친화성 모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13]. 이와 같이 성격5요인 모델로 연구한 대부분의 자료는 APIM분석과 함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검증하여 결혼생활에서 발생한 부부문제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모색의 결과로 얻은 이혼 방지 방안을 부부상담 현장에서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Table 3〉] Theories in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y as Treatment

    label

    Theories in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y as Treatment

    1)참고문헌의 numbering을 의미함.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부부의 성격에 관한 연구가 예방적 측면에서는 어떠한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되었는지와 치료적 측면에서는 어떠한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회전자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riss.kr)에서 ‘부부의 성격’을 검색어로 국내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였다. 1995년부터 2013년까지 약 19년 동안 이루어진 부부의 성격 연구동향과 관련된 국내 학위 논문은 29편, 학술지 논문은 20편으로 총 49편 이었으며 이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조사 분석하여 나타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예방적 차원의 부부성격에 관한 연구는 Enneagram 성격유형론, 긍정심리학, 의사소통 이론을 토대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치료적 차원의 부부성격에 관한 연구는 갈등이론, MBTI, Big Five Model을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성격진단도구로서 에니어그램은 주로 예방적 측면 연구에서 사용되었고 MBTI는 주로 부부 문제해결의 치료적 측면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에니어그램과 MBTI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는데, MBTI는 단독이 아닌 다른 척도와 함께 사용하며 연구되어졌다. 특히 갈등이론과 함께 관련된 여러 척도를 사용하였다[5,26,27,30,31,47]. 또한 성격이론으로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성격5요인 모델도 상호작용을 보기 위해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상호작용 모델인 APIM(actor-partner interaction model) 분석과 함께 연구되었다. 반면, 에니어그램은 다른 여러 도구와 함께 병행하지 않고 에니어그램 만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에니어그램이 다른 성격이론과는 달리 성격의 포괄적인 이해와 각 유형의 성장과 후퇴 방향을 제시해줌으로써 인간관계에 대한 상호작용까지도 알게 해주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오늘날과 같은 핵가족시대에는 부부단위가 전체가족 기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어떤 하위의 가족관계보다 부부관계 기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대 배우자의 성격 강점과 약점을 수용할 수 있다면 다름에 따른 의사소통도 향상시킬 수 있어서 부부갈등을 예방할 수 있다. 최근 인간을 탐구하는 심리학, 교육학, 경영학 등의 분야에서는 에니어그램 접근으로 성격을 연구하는 추이가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부부를 위한 성격연구에서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므로 에니어그램 접근의 통합적인 부부의 성격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진행된 부부의 성격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 예방적 측면과 치료적 측면의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부부와 가족에게 지속적인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기 위한 예방책은 물론 문제 상황에서의 치료책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국회전자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검색된 부부의 성격 관련 연구만을 가지고 분석했기 때문에 이외의 국내에서 연구된 모든 연구물을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것은 앞으로의 연구에서 고려해 보아야 할 점이다. 아울러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연구동향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둘째, 수집된 자료분석 결과 예방적 측면과 치료적 측면의 대부분이 양적연구방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보다 심층적 인간이해를 위한 질적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질적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의 삶 속에서 있는 그대로의 언어를 통해서 연구가 진행되므로 특히 부부성격에 관한 연구는 가능한 많은 질적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통합연구는 양적접근으로 자료수집을 하고, 연구진행에 따른 변화 과정 및 연구결과의 분석은 질적 접근으로 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최근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고의 목적에 따른 연구도 많은 통합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그런데 수집된 여러 자료를 분석하면서 연구방법이 명확하지 않고 모호한 연구들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양적이든 질적이든 통합연구이든 간에 선택했다면 그 방법론에 입각한 명확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부부의 성격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예방적 이론과 치료적 이론을 명확히 구분하여 분석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었다. 본고는 예방과 치료의 사전적 의미를 기준으로 행복한 부부, 행복한 가족을 위한 관계 강화 교육프로그램 측면과 문제를 가진 부부에게 상담이나 치료를 하는 분야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부부관계증진, 부부싸움 예방, 부부의 결혼만족도, 부부관계 향상, 가족복지, 부부관계 성장, 성격강점을 주제로 연구되어진 부부의 성격에 관한 연구는 예방적 측면 연구로 갈등대처, 부부간 성격부적응, 갈등해결, 이혼의도, 불화, 부부치료, 성격차이 상담, 갈등행동을 주제로 연구되어진 부부의 성격에 관한 연구는 치료적 측면 연구로 분류하여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 분야의 후행 연구자들은 국내외를 망라한 더 많은 자료를 토대로 예방적, 치료적 분야를 더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기준과 적합한 분석 방법으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 1. Chang J. K., Shin Y. K. (2013) Influences of personality patterns on marital adjustment by interacting with conflict resolution style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31 P.109-126 google cross ref
  • 2. Chang J. Y.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arried couples. google
  • 3. Chang L. J. (2008)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he middle adulthood couple intimacy program based on the Enneagram. google
  • 4. Cho Y. M. (2012)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improvement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google
  • 5. Chung K. S. (1998)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BTI psychological type and conflict-solving method on marital satisfaction of house wife. google
  • 6. Chung Y. S. (1996) A study o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adoption-hoping couples by MMPI. google
  • 7. Ginger L. B. (2010) Bring out the best in everyone you coach. (S. H. Lee Trans.) google
  • 8. Han J., Hur G. H. (2004) Relationship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rgumentativeness, and personality of a couple with their marriag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Vol.18 P.148-190 google
  • 9. Hong G. S. (2012) A study on children and adolescent's responses to marital quarrels according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google
  • 10. Hyun E. M. (1995) Personality Characteric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couples. [Journal of Andong University] Vol.17 P.69-80 google
  • 11. Jang J. Y., Hwang S. T. (2012) The relationships of between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arried couple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17 P.133-148 google
  • 12. Kang H. S. (2011) Effects of couple's personality, irrational belief system, & negative emotion on marital satisfaction - Based on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google
  • 13. Kang H. S., Kim Y. H. (2012) Actor and partner effect of couple's personality on marital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13 P.2861-2880 google cross ref
  • 14. Kim E. J. (2006) The relationships among spouse's psychological type,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google
  • 15. Kim H. L. (2006) The effect of similarity and understanding between marriaged couple on marital satisfaction. google
  • 16. Kim J. M. (2010) Analysis of marital quarrels by their childrenbased on enneagram personality types. [Sook-myung Journal of Child Study] Vol.23 P.1-18 google
  • 17. Kim J. M. (2011) Analysis of marital quarrels by their childrenbased on Enneagram personality types. google
  • 18. Kim K. M. (2009) Interaction of couple`s personality dimensions & conflict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divorce intention. google
  • 19. Kim K. M., Kim Y. H. (2009) Interaction of couple`s personality dimensions & conflict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4 P.327-352 google
  • 20. Kim M. H. (1996) A Study on the relation of the later personality adjustment types and the aged perception of the conflict with their married children - Focus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eldest sons and wives. google
  • 21. Kim M. H., Yoo Y, J. (1997) Focus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eldest sons and wives - A Study on the relation of the later personality adjustment types and the aged perception of the conflict with their married children.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15 P.155-171 google
  • 22. Kim M. K. (2007) Similarity and understanding between married coup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google
  • 23. Kim O. J. (2002) Modeling of marital development and effective promotion programs by using MBTI personality type test. google
  • 24. Kim S. Y. (2004) Couple relationship and personality factors predicting marital satisfaction and divorce intention over time. google
  • 25. Ko D. W. (2011) Research articles : relationships of marital discords and leisure experience: sexual difference? or personality`s difference?.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of Korea] Vol.35 P.201-222 google
  • 26. Kong S. S. (2010) Relationships between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psychological type and marital satisfaction, divorce proneness, positive affect, and conflict regulation in clinic couples. [J Korean Acad Nurs] Vol.40 P.336-348 google cross ref
  • 27. Kwon G. A. (2010) The relationships among marital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style, and the husbands' and wives' personality types. google
  • 28. Lee G. S. (2010)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Enneagram types in the Satir's theory and marital relation improvement. google
  • 29. Lee H, K. (2002) Relationship between dyadic adjustment and personality dimensions in married women. google
  • 30. Lee H. S. (2004) Marital conflicts, confilict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spouse's consistency and non-consistency of psychological types. google
  • 31. Lee H. S., Kim K. Y. (2005)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tal conflicts and conflict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 consisten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of Psychological Type] Vol.12 P.51-78 google
  • 32. Lee S. A. (2011)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pattern and couple's character strength on marital satisfaction. google
  • 33. Lee S. H. (2000) (The) relationships among spouse's similarity of psychological types and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google
  • 34. Lee S. H. (2009) Visionenneagram Basic & Plus Mannual. google
  • 35. Lee S. Y.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an Enneagram group program on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google
  • 36. Lim S. L. (1998) Marit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behaviors in couple: The affects of gender and personality traits. google
  • 37. Lim S. L., Kwon J. H. (1998) Marit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behaviors in couple: The affects of gender and personality traits.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1998 P.109-123 google
  • 38. Lim S. O., Kang S. L. (2011)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Korean husban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6 P.251-272 google
  • 39. Lim Y. C. (2006) Development of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conflict management of couples with character difference and analysis of its effect: Focused on James M. Donovan's Object Relations couples therapy model. google
  • 40. Oh J. O. (2007) Approach to family welfare of Enneagram - focused on a marital relation improvement. [The Korean Society for Enneagram] Vol.4 P.97-114 google
  • 41. Park K. R., Yi Y. S. (2005) Association among personality, conflict strategies, and marital conflict of married woma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43 P.59-70 google
  • 42. Shin Y. S.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of married couples based on Enneagram: Living in the area of Cheongyang, Chungcheongnam-Do. google
  • 43. Shin Y. W. (2012) Marriage satisfaction by agreement between couple's MBTI personality types and dispositions. google
  • 44. Sim S. H. (1999) (Th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communication types and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google
  • 45. Song D. L. (2011) Effects of married women's maladaptive-pesonality conflict-behavior on marital adjustment. google
  • 46. Song D. R., Mun J. S., Kim Y. H. (2012) Effects of married women's maladaptive-personality conflict-behavior on marital adjustment.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30 P.65-76 google cross ref
  • 47. Yi Y. S., Park K. R. (2011) The impacts of personality differenc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on marital conflict: Over the length of the marriag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0 P.731-743 google cross ref
  • 48. Yoo J. S. (2009) The study on using the Enneagram for healing and growth in couple's relationships. google
  • 49. Yoo J. S. (2009) A study on the cure & improvement of man-wife's relationship using Enneagram's program. [The Korean Society for Enneagram] Vol.6 P.65-94 google
  • 50. Yoon H. G., Lee S. H. (2000) The relationships among spouse's similarity of MBTI psychological types and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of Psychological Type] Vol.7 P.1-21 google
  • 51. Yoon Y. S., Lee J. Y., Jo J. Y., Choi J. H. (2013) The development happy-plus Enneagram coaching program. [Journal of Enneagram Studies] Vol.10 P.141-163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Sources of Dissertations and Articles on Couple's Personality by Year
    Sources of Dissertations and Articles on Couple's Personality by Year
  • [ 〈Table 2〉 ]  Theories in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y as Prevention
    Theories in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y as Prevention
  • [ 〈Table 3〉 ]  Theories in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y as Treatment
    Theories in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y as Treatment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