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Ethical Ideology and Ethical Climate on Ethical Judgment 경찰공무원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 비영리 CC BY-NC
ABSTRACT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Ethical Ideology and Ethical Climate on Ethical Judgment

라고 할 만큼 투명행정이나 윤리행정이 선택이 아닌 시대적 요구에 따른 글로벌 스탠더드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선진일류국가의 윤리적 실천적 인프라인 공정사회 구현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분야에 있어서 공정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윤리적 가치가 확립되는 것이 선행 조건이다. 특히 경찰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질서를 유지하는 것을 본령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직무의 투명성과 윤리의식은 더욱 중요시 된다. 하지만 최근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일부 경찰관들의 부정부패와 경찰 최고관리자층의 비리는 묵묵히 소임을 다하고 있는 수많은 경찰관들의 근무의욕을 저하시키고 전체 경찰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떨어뜨리게 하고 나아가 국민을 불안케 하고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윤리적 판단에 초점을 두고 첫째, 기존의 윤리적 판단 연구에서 언급되었던 윤리적 판단 변수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윤리적 판단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윤리적 판단 영향요인을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로 구분하여 경찰공무원들의 윤리적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개인의 윤리적 이념의 하위 요인으로는 ‘이상주의’, ‘상대주의’,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의 하위 변수로는 ‘원칙주의’, ‘이기주의’, ‘공리주의’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였고, 윤리적판단의 하위요인으로 ‘태만’, ‘사적이용’, ‘부정직’,‘직권남용’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였으며, 상관의 도덕적 역량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전국의 경찰공무원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상주의는 비윤리적 판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기주의와 공리주의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 중 이기주의와 공리주의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KEYWORD
Idealism , Relativism , Principle , Egotism , Benevolence , Perceived Leader Integrity , Ethical judgement
  • Ⅰ. 서 론

    21세기는 윤리의 시대(The Era of Ethics)라고 할 만큼 투명행정이나 윤리행정은 이제 선택이 아닌 시대적 요구에 따른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선진일류국가의 윤리적 실천적 인프라인 공정사회 구현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분야에 있어서 공정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윤리적 가치가 확립되는 것이 선행 조건이다.

    경찰은 국민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고 최 일선에서 법을 집행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경찰공무원의 부정부패는 다른 어떤 공무원의 그것보다도 기회가 많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쉽게 노출되고, 언론의 관심을 받아 사회 문제화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1)

    “공무원들의 윤리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직 관리자 들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의 문제는 행정윤리에 관한 중요하면서도 가장 난해한 문제들 중 하나로 볼 수 있다.2) 경찰공무원의 부정부패 및 비리가 발생하는 원인은 첫째, 윤리적 판단을 결정하는 행위주체로서의 개인의 도덕성 내지 윤리 의식수준이 낮기 때문이며 둘째, 개인에게 비윤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나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3) 경찰조직이 시민들이 기대하는 수준의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윤리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개인의 윤리적 판단은 대인관계나 집단행동과 같은 조직학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그동안 많은 국내의 학자들이 경찰윤리의 향상방안을 다양하게 제시하였으나, 주로 서술적 연구와 국가별 비교연구에 치중하여 처방성이 부족하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경험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윤리적 판단 문제에 대한 처방성을 강화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문제해결방안 도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윤리적 판단 연구에서 언급되었던 윤리적 판단 변수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윤리적 판단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윤리적 판단 영향요인을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로 구분하여 경찰공무원들의 윤리적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기존의 윤리적 판단관련 연구들이 도덕적 판단의 원인 또는 결과의 한 측면만을 다루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들 요인들 간의 통합적인 모형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1)실제로 2010년 12월에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10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 및 부패방지 시책평가 결과’의 기관별 청렴도 수준비교표에 따르면 39개 중앙 행정기관 중 경찰청의 종합청렴도는 8.30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큰 문제는 부패방지 시책평가 결과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사실이다(국민권익위원회, 2010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 및 부패방지 시책평가 결과, 국민권익위원회, 2010).  2)김호정,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이 공직자의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제39권 4호, 한국행정학회, 2005, 125면.  3)이승미, “조직구성원의 윤리적 의사결정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7면.

    Ⅱ. 이론적 배경

       1. 윤리적 판단의 개념에 대한 논의

    일반적으로 윤리란 옳고 그름을 정의하는 규칙과 원칙을 말한다. 마샬(1999)은 윤리(ethics)를 “어떤 사회 내에서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행사할 수 있도록 사람이 행하는 사회적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침”이라고 정의하였다.4) 사회적 행태에 대한 윤리적 지침은 사회구성원이 수용해야 효과가 있으므로 윤리는 사회문화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에서 윤리는 ‘도덕’(morality)과 유사한 개념이다.5) 이 연구에서는 도덕과 윤리는 사회와 문화의 영향 하에 있다는 입장에서 이들 개념을 동의어로 보기로 한다.

    한편 ‘도덕수준’이라는 용어는 콜버그(Kohlberg)의 인지적 도덕발달이론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다. 이 이론에서는 사람의 도덕수준은 6가지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고 하는데, 각 단계(수준)별로 도덕적 판단(moral judgement)이나 도덕적 사고(moral reasoning)의 기준이 다르다. 즉, 도덕적 판단의 상이한 기준이 도덕적 판단의 수준을 나타내고, 도덕적 판단의 수준이 바로 도덕수준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도덕적 판단이란 도덕적 신념을 기초로 옳고 그름에 대한 평가를 의미하는데, 이론가들은 도덕이란 옳고 그름의 판단(도덕적 판단)과 관련된 것이라고 보고 있으므로 도덕의 핵심내용은 도덕적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6)

    이 연구에서도 ‘윤리수준’을 ‘도덕수준’, ‘도덕적 판단수준’, ‘윤리적 판단(ethical judgement)수준’과 같은 의미로 보고자 한다. 실제 경험적 연구에서도 윤리수준의 조사를 위해 윤리적 판단의 수준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윤리적 판단에 대한 연구는 미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국내에서의 연구는 대부분 사조직을 대상으로 시행되어왔다. 또한 일부 공조직에서의 윤리적 판단에 대한 연구도 지방정부나 공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윤리적 판단에 대한 개념을 기초로 논의를 전개하는데 있어 행위의 주체로서 조직구성원은 중요한 요소이다. 그동안 윤리적 문제가 개인의 양심과 관련된 사적인 문제라고 간주되어 왔으나, 조직 구성원들의 비윤리적인 행동은 개인 특성적 문제라기보다는 기업 구조 및 문화와 관련된 경우가 많다.7)

    따라서 조직 내의 윤리적 판단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판단에 참여하는 구성원, 판단의 기본원칙과 목적을 제한하는 조직구조, 조직구조 안에서 특정하게 발생하는 구성원들 간의 관계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8)

       2. 윤리적 판단의 영향요인에 대한 논의

    위에서 정의한 것처럼 윤리적 판단이란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하여 윤리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판단이 윤리적인가 혹은 비윤리적인가 하는 것은 직접적 영향을 받는 이해당사자들에게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 즉, 그 개인이 속한 조직과 사회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표 1] 윤리적 판단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9)

    label

    윤리적 판단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9)

    <표 1>은 윤리적 판단의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정리한 것이고, <표 2>는 윤리적 판단의 모델에 관한 선행연구를 정리한 것이다.

    [표 2] 윤리적 판단 모형의 개요10)

    label

    윤리적 판단 모형의 개요10)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보편적으로는 윤리적 판단 영향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검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윤리적 판단이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개인의 윤리적 철학이나 이념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므로 이런 경향을 감안하여 이 연구에서는 개인적 요인으로 ‘개인의 윤리적 이념’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조직적 변수로는 동료와 최고관리자의 신념과 행동, 윤리적/비윤리적 행태에 대한 조직의 보상과 처벌, 행동강령의 존재, 조직의 풍토나 문화, 조직규모, 경쟁(외부압력) 등 광범위하게 제시되어 왔으나, 조직 내 개인의 윤리적 판단이나 행태에 관한 대부분의 경험적 연구들은 조직적 혹은 직무상황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를 조직적 요인으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3. 상관의 도덕적 역량에 대한 논의

    사회적 학습이론에 따르면, 윤리적 리더와 그들의 부하 사이의 관계는 단순한 교환관계 보다는 사회적 교환 관계로 특징 지워진다.11) 블라우(1964)는 거래적 관계와 사회적 교환관계를 구별했는데 거래적 교환은 공정한 노동에 공정한 임금과 같은 논리로 특징지워지고, 사회적 교환관계는 상호 교환의 기준이고 신뢰에 의존하게 된다.

    사회적 교환은 개인적인 의무(obligation), 감사하는 마음, 신뢰의 감정을 낳는 경향이 있다. 윤리적 리더의 부하는 그들이 신뢰받는다고 느끼고 공정하고, 주의 깊게 취급 받는다고 느끼기 때문에 그들의 리더와의 사회적 교환관계에 있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그들의 리더에 대한 의무를 넘어서는 일을 하려는 경향이 있다.12)

    상관의 윤리적 역량은 부하의 윤리성향, 즉 역할 내 행동인 윤리적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윤리적 리더는 도덕적 이성이 높기 때문에 직무 그룹 구성원의 도덕적 이성에 영향을 미치고 보다 윤리적 판단을 하게 한다.13)

    워커 등(1979)은 직속상사는 부하의 윤리적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14) 포스너와 슈미트(1982)의 조사에서는 리더의 행위는 부하의 윤리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5)

    앤드류(1989)의 연구에 따르면, 종업원들은 윤리정책을 고수하기 보다는 자신들의 상사가 행동한 그대로 하려고 하며, 상사는 어떤 행위에 대해 보상과 처벌을 명백하게 제공함으로써 무엇이 윤리적인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16) 브리프 등(2000)은 비윤리적인 행위를 이끌 수 있는 시각을 지닌 사람이 합법적 권위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 의해 행동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한다면 비윤리적인 방법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였다.17)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윤리적 리더십을 구성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상관의 도덕적 역량은 부하의 윤리적 판단과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선행연구들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설계를 하였다.

    4)Marshall, K. P., “Has Technology Introduced New Ethical Problem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19, 1999, pp.81-90.  5)김호정, 앞의 글, 126면  6)Lifton, P. D., “Individual Differences in Moral Development: The Relation of Sex, Gender, and Personality to Morality”, Journal of Personality, Vol. 53 No. 2, 1985, pp.308-310.  7)Paine, L., “Managing for Organizational Integrity”,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2 No. 2, 1994, pp.108-109.  8)고종식ㆍ이옥분, “윤리적 의사결정과 직무만족에 있어서 상사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변수 효과”, 대한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2007, 646면.  9)강은아, “연구개발 조직에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부하의 윤리성향과의 관계연구: 조직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70-72면, 재구성.  10)위의 글, 73면.  11)Blau, P. M.,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New York: Wiley, 1964), pp.12-15.  12)Dirks, K. T. & Ferrin, D. L., “Trust in leadership: Meta-analytic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7, 2002, pp.612-613.  13)Dukerich, J. M., Nichols, M. L., Elm, D. R. & Vollrath, D. A., “Moral reasoning in groups: Leaders make a difference”, Human Relations, Vol. 43, 1990, pp.474-475.  14)Walker, O, C., Gilbert, A., Churchill, Jr. & Neil, M. F., Where Do We Go from Here? Selected Conceptual and Empirical Issues Concerning the Motivation and Performance of the Industrial Sales people, in Critical Issues in Sales Management State-of-the-Art and Future Research Needs (G. Albaum and G. A. Churchillde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Oregon, Eugene, 1979), p.6.  15)Posner, B. & Schmidt, W. H., “What Kind of People Enter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 Updated Comparison of Perceptions, Stereo types and Values”,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21, 1982, pp.35-43.  16)Andrew, K. R., “Ethics in Practice”, Harvard Business Review, Sep-Oct, 1989, pp.99-104.  17)강은아, 앞의 글, 95면.

    Ⅲ. 연구의 설계

       1. 분석의 틀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공무원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 상관의 도덕적 역량, 윤리적 판단 정도를 측정해보고,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 조직에 있어서 유효한 인적자원 관리방법과 경찰공무원의 윤리적 판단을 증진시키기 위한 각종 방안을 모색해보는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그림 1>과 같이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였고, 상관의 도덕적 역량을 조절변수로, 그리고 윤리적 판단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윤리적 이념의 하위 변수로는 이상주의와 상대주의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의 하위변수로는 원칙주의, 이기주의, 공리주의를, 윤리적 판단의 하위변수로는 태만, 사적이용, 부정직, 직권남용 등을 선정하였다.

       2. 가설의 설정

    가설1.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는 윤리적 판단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는 상관의 도덕적 역량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상관의 도덕적 역량은 윤리적 판단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은 상관의 도덕적 역량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주요변수의 조작화

    1) 개인의 윤리적 이념

    같은 상황에서 같은 윤리문제에 대해서 개인 간에 근본적으로 다른 윤리적 판단을 내릴 때가 있다. 이는 다양한 성격의 차이가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개인이 활용하는 기준 즉, 철학적 관점이 다르기 때문일 수도 있다.18) 이러한 관점을 포스(Forsyth)는 개인의 ‘윤리적 가치체계’(ethical value system)라는 의미로 보고, 공식적으로는 ‘윤리적 이념’(ethical ideology)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19) 그리고“상대주의”(relativism)와 “이상주의”(idealism)의 두 가지 차원을 제시하였다. 상대주의는 개인이 “보편적 도덕원리(universal moral principles)를 거부하는 정도”이고, 이상주의는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는 도덕적 행동을 수용하는 정도”이다.20)

    선행연구에 따르면 상대주의는 도덕적 긴장(moral intensity)을 완화시키고, 윤리문제의 인식을 방해하며, 윤리와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상대주의가 강할수록 윤리적 판단수준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이상주의자는 윤리적 의사결정에서 이타주의적이고 인도주의적인 해결을 추구하며, 자신의 이익보다 타인에 대한 배려를 우선시하므로, 윤리적 판단수준이 높다고 볼 수 있다.21)

    이 연구에서는 개인의 윤리적 이념을 이상주의와 상대주의로 구분하고 개인의 이상주의가 강할수록 윤리적 판단수준이 높을 것으로 가정하고 1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

    조직 내에 속한 개인은 업무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있어 조직적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 유형은 곧 조직의 윤리적 기준이라고 할 수 있으며 원칙주의, 이기주의, 공리주의로 분류될 수 있다.22)

    원칙주의 분위기는 윤리와 관련한 조직의 정책, 절차 준수와 사회적 규정에 대한 준수를 강조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원칙주의적인 분위기는 윤리적 판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기주의적 분위기를 지닌 조직은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개인적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며, 조직구성원들의 비윤리적인 판단을 하려는 의도가 더욱 강해질 것이다. 공리주의적인 분위기는 개인의 판단이 조직 내 다른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생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공리주의는 조직 내 다른 사람의 안녕과 복지를 강조하기 때문에 윤리적 판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윔버쉬와 셰파드(1994)의 ECQ(Ethical Climate Questionnaire) 척도23)를 경찰조직에 맞게 수정하여 2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상관의 도덕적 역량

    패트릭과 퀸(2000)은 도덕적 역량(integrity capacity)을 도덕적 인식, 검토, 균형적인 판단을 나타내는 특성과 행동들의 반복되는 과정에 대한 개인적 혹은 집단적 역량이라고 정의하였다.24)

    이 연구에서는 이들의 정의에 기초하였으며, 크레이그와 구스타프슨(1998)의 인지된 상관의 도덕적 역량(Perceived Leader Integrity Scale) 문항25)을 경찰조직에 맞게 수정 후 사용하여 10가지 항목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4) 윤리적 판단

    개인의 윤리적 판단은 개인이 어떤 문제나 행태를 도덕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하므로,26) 윤리적 판단수준의 측정은 통상 조직내ㆍ외에서 발생 가능한 비윤리적 문제나 행태에 관해 복수의 문항이나 가상적 시나리오를 제시하여 그 반응을 살핀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이 사용한 비윤리적 행태에 관한 복수의 문항들을 재수정하여 태만, 사적이용, 부정직, 직권남용 등의 11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이러한 측정도구를 가지고 표본의 크기는 2012년 1월 4일부터 같은 달 20일까지 전국 경찰관서 경찰관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본조사를 위한 대상의 선정은 연구 대상인 모집단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표본을 얻기 위해서 무작위 표집(random sampling)방법을 사용하여 전국의 16개 지방경찰청에 50부를 배포하여 총 800명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서 사전에 교육을 받은 면접원이 설문의 내용을 설명한 후 응답결과를 기재하는 대인면접방식을 이용하였다. 배포된 800부의 설문지 중 687부가 회수되었으나, 회수된 자료 중 무성의한 반응을 보인 86부의 응답지는 통계처리에서 제외시켰다.

    자료분석 방법은 변수들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윤리적 이념,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와 상관의 도덕적 역량, 그리고 윤리적 판단에 대한 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했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8)김호정, 앞의 글, 130면  19)Douglas, P. C., Davidson, R. A. & Schwartz, B. 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thical Orientation on Accountants' Ethical Judgement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34, 2001, p.102.  20)Barnett, T., Bass, K., Brown, G. & Hebert, F. J., “Ethical Ideology and the Ethical Judgements of Marketing Professional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17, 1998, p.716.  21)Davis, M. A., Anderson, M. G. & Curtis, M. B., “Measuring Ethical Ideology in Business Ethics: A Critical Analysis of the Ethics Position Questionnaire”,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32, 2001, p.39.  22)Victor, B. and J. B. Cullen, “A Theory and Measure of Ethical Climate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nd Policy, Vol. 9, 1987, pp.51-71.  23)Wimbush, J. C. & Shepard J. M., “Toward an Understanding of Ethical Climate: Its Relationship to Ethical Behavior and Supervisory Influence”,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13, 1994, pp.637-647.  24)Petrick, J. & Quinn, J., “The Integrity Capacity Construct and Moral Progress in Busines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23, 2000, p.6.  25)Craig, S. B. & Gustafson, S. B., “Perceived leader integrity scale: An instrument for assessing employee perceptions of leader integrity”, Leadership Quarterly, Vol. 9 No. 2, 1998, pp.127-145.  26)Barnett, T., & Vaicys, C.,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s' Perceptions of Ethical Work Climate on Ethical Judgements and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27, 2000, p.352.

    Ⅳ. 조사결과의 분석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표 3>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특성 중 근무기관은 일선경찰서와 지구대가 83.9%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서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이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관한 분석에서 범주 간에 심한 편차를 보이는 경우에는 의미상 범주를 서로 묶어서 분석하였다.

    [표 3]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label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측정지표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표 4>는 Cronbach Alpha계수를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한 것으로, 각 변수별로 전체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표 4] 신뢰도 검증

    label

    신뢰도 검증

    측정문항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사용하였는데, <표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요인 10개를 추출하였으며, 개인의 윤리적이념 중 이상주의에서는 문항 1개,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 중 원칙주의에서는 문항 1개, 이기주의에서는 문항 2개, 그리고 공리주의에서는 문항 3개가 마지막으로 상관의 도덕적 역량에서는 문항 1개가 탈락되었다. 요인추출방법은 주성분 분석을 사용하였고 요인 적재 값이 0.4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측정문항의 타당도가 높다고 말할 수 있다.

    [표 5] 요인분석

    label

    요인분석

       3.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표 6] 상관분석

    label

    상관분석

    가설 1, 2, 3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각 변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각 변수별 상관계수가 ‘0’이다라는 영가설을 모두 기각하여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1에 대한 검증을 위해 종속변수로는 윤리적 판단의 하위변수를 통합하고, 독립변수를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향력이 있는 독립변수만으로 모형을 구축하고, 다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변수선택법 중 단계선택법(Stepwise Selection Method)을 사용하였다.

    [표 7] 개인의 윤리적 이념,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와 윤리적 판단의 회귀분석

    label

    개인의 윤리적 이념,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와 윤리적 판단의 회귀분석

    회귀분석의 결과인 <표 7>을 살펴보면, 유의수준 0.01에서 개인의 윤리적 이념 하위변수 중에서는 이상주의가,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는 하위변수 모두가 윤리적 판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정된 회귀계수 B는 이상주의가 -.290, 원칙주의가 -.272로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기주의는 .310, 공리주의는 .158로 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내는 R2는 0.192로 이상주의, 원칙주의, 이기주의, 공리주의가 윤리적 판단을 19.2%정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알 수 있는 베타계수는 이상주의가 -.254, 원칙주의가 -.212, 이기주의가 .250, 공리주의가 .160으로 나타났다.

       4.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상관의 도덕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가설 2에 대한 검증을 위해 종속변수로는 상관의 도덕적 역량으로, 독립변수를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8] 개인의 윤리적 이념,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와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회귀분석

    label

    개인의 윤리적 이념,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와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회귀분석

    회귀분석의 결과인 <표 8>을 살펴보면, 유의수준 0.01에서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의 하위변수 중, 원칙주의와 이기주의가 상관의 도덕적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정된 회귀계수 B는 원칙주의가 -.291로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기주의는 .357로 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내는 R2는 0.153으로 원칙주의와 이기주의가 상관의 도덕적 역량을 15.3%정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알 수 있는 베타계수는 원칙주의가  -.233, 이기주의가 .304로 나타났다.

       5. 상관의 도덕적 역량이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가설 3에 대한 검증을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표 9>와 같다. 유의수준 0.01에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이 윤리적 판단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정된 회귀계수 B가 .428로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내는 R2는 0.174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이 윤리적 판단을 17.4%정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알 수 있는 베타계수는 .417로 나타났다.

    [표 9] 상관의 도덕적 역량과 윤리적 판단의 회귀분석

    label

    상관의 도덕적 역량과 윤리적 판단의 회귀분석

       6. 윤리적 판단에 대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

    가설 4의 검증을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27) 3단계의 분석을 통해 첫 번째 단계에서는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을 볼 수 있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종속변수에 대한 조절변수의 영향을 볼 수 있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 R2 값의 변화량에 따라 조절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표 10] 윤리적 판단에 있어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위계적 회귀분석

    label

    윤리적 판단에 있어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위계적 회귀분석

    윤리적 판단에 대한 윤리적 이념과 윤리적 분위기의 직접적인 영향과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개인의 윤리적 이념 중 이상주의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절변수인 상관의 도덕적 역량을 투입한 결과 윤리적 판단에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주의와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상호작용 항을 투입한 결과, R2 값은 1단계가 .101, 2단계가 .259, 그리고 3단계가 .278로 증가하였으나 이상주의의 베타 값이 유의하지 않아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은 이상주의와 윤리적 판단의 관계에 있어서 정적인 조절역할을 한다고 볼 수 없기에 기각하였다.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 중 원칙주의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R2 값은 단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3단계에서 원칙주의와 상호작용 항의 베타 값이 유의하지 않아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은 원칙주의와 윤리적 판단의 관계에 있어서 정적인 조절역할을 한다고 볼 수 없기에 기각하였다.

    그리고 이기주의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1단계에서 독립변수 이기주의와 종속변수 윤리적 판단을 회귀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에서 조절변수인 상관의 도덕적 역량을 투입한 결과 윤리적 판단에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단계에서 이기주의와 상관의 도덕적 역량 상호작용 항을 투입한 결과, R2 값은 1단계가 .038, 2단계가 .180, 그리고 3단계가 .183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 항의 베타 값이 -.298로 나타나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은 이기주의와 윤리적 판단간의 관계에 있어서 부적인 조절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기에 인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공리주의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위해 위와 같은 단계로 위계적 회귀 분석을 한 결과 R2 값은 1단계가 .042, 2단계가 .190, 그리고 3단계가 .221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 항의 베타 값이 .680으로 나타나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은 공리주의와 윤리적 판단간의 관계에 있어서 정적인 조절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기에 인용하였다.

    27)위계적 회귀분석은 회귀식에 변수들을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변수를 독립변수의 상호작용 항으로 추가했을 경우의 설명력 R2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느냐의 여부를 알아보는 방법이다. 분석은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첫째 단계에서는 독립변수를 투입하고, 둘째 단계에서는 독립변수, 조절변수를 투입하며, 세 번째 단계에서는 독립변수, 조절변수, 그리고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곱한 상호작용 변수를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한다(양병화,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91면.).

    Ⅴ. 요약 및 결론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및 그 과정에서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ㆍ정리 할 수 있다.

    개인의 윤리적 이념과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상주의는 태만, 사적이용, 부정직, 직권남용 등의 비윤리적 판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기주의와 공리주의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 중 이기주의와 공리주의가 윤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윤리의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임용 시적성검사를 통해 개인의 성격과 윤리의식을 파악하여 면접 자료로 활용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재직자들에 대한 직무교육과정에 인성화 교육과정을 신설하여, 대학원 평생교육과정이나 국가 첨렴위원회 등 관련 국가기관과 연계하는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평가하여 반영하는 방안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관의 윤리의식이 부하직원들의 윤리의식과 직결됨을 인식하고 상위계급자의 윤리의식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예방적 감찰활동의 강화로 모범경찰관을 발굴하여 특진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신상필벌의 확행을 병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는 경찰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행태에 관한 학문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경찰공무원 윤리적 판단 영향요인 및 윤리적 판단 기제에 관한 후속연구를 양산하고, 경찰조직 및 인사관리의 제도상의 변화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 연구는 국외에서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를 국내에 적용하는데 있어 문화적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척도의 타당도에 한계가 있다. 또한 연구의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전체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으므로 대표성의 한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동일한 설문 응답자가 원인과 결과변수들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공통방법변량(Common Method Variance)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에는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첫째, 윤리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을 구성하는 하위차원과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둘째, 윤리적 판단을 구성하는 하위차원에 대한 연구 셋째, 상관의 도덕적 역량 및 조직문화를 매개변수로 하여 그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분석하여 윤리적판단과 관련 요인들 간의 통합적인 모형화 시도 등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2010
  • 2. 양 병화 2006
  • 3. 강 은아 2006
  • 4. 고 종식, 이 옥분 2007 [대한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 논문집]
  • 5. 김 택 200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3
  • 6. 김 호섭 2004 [한국정책학회보] Vol.13
  • 7. 김 호정 2005 [한국행정학보] Vol.39
  • 8. 이 미정 2006 [한국경찰학회보]
  • 9. 이 병종 2009 [한국 경찰학회보] Vol.11
  • 10. 이 상원 2008 [한국경찰학회보] Vol.10
  • 11. 이 상원 199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
  • 12. 이 승미 2004
  • 13. 이 종복 199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5
  • 14. 표 창원 2001 [한국경찰학회보]
  • 15. Andrew K. R. 1989 “Ethics in Practice” [Harvard Business Review] google
  • 16. Barnett T., Bass K., Brown G., Hebert F. J. 1998 “Ethical Ideology and the Ethical Judgements of Marketing Professional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7 google cross ref
  • 17. Barnett T., Vaicys C. 2000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s' Perceptions of Ethical Work Climate on Ethical Judgements and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27 google cross ref
  • 18. Beu D. S., Buckley R., Harvey M. G. 2003 “Ethical Decision-Mak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Business Ethics: A European Review] Vol.12 google
  • 19. Blau P. M.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google
  • 20. Christie P. M. J., Kwon I. G., Stoeberl P. A, Baumhart R.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Ethical Attitudes of Business Managers: India,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46 google
  • 21. Craig S. B., Gustafson S. B. 1998 “Perceived leader integrity scale: An instrument for assessing employee perceptions of leader integrity” [Leadership Quarterly] Vol.9 google cross ref
  • 22. Davis M. A., Anderson M. G., Curtis M. B. 2001 “Measuring Ethical Ideology in Business Ethics: A Critical Analysis of the Ethics Position Questionnaire”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32 google cross ref
  • 23. Dirks K. T., Ferrin D. L. 2002 “Trust in leadership: Meta-analytic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google cross ref
  • 24. Douglas P. C., Davidson R. A., Schwartz B. N. 2001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thical Orientation on Accountants' Ethical Judgement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34 google cross ref
  • 25. Dukerich J. M., Nichols M. L., Elm D. R., Vollrath D. A. 1990 “Moral reasoning in groups: Leaders make a difference” [Human Relations] Vol.43 google cross ref
  • 26. Ford R. C., Richardson W. D. 1994 “Ethical Decision Making: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34 google
  • 27. Freeman S. J. M., Giebink J. W. 1979 “Moral Judgement as A Function of Age, Sex, and Stimulus”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102 google cross ref
  • 28. Hegarty W. H., Sims H. P. 1978 “Some Determinants of Unethical Decision Behavior: An Experi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3 google cross ref
  • 29. Jones G. E., Kavanagh M. J. 1996 “An Experiment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Situational Factors on Unethical Behavioral Intention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5 google cross ref
  • 30. Jones T. M. 1991 “Ethical Decision Making by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An Issue-Contingent Mode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6 google
  • 31. Lifton P. D. 1985 “Individual Differences in Moral Development: The Relation of Sex, Gender, and Personality to Morality” [Journal of Personality] Vol.53 google cross ref
  • 32. Marshall K. P. 1999 “Has Technology Introduced New Ethical Problem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9 google cross ref
  • 33. Paine L. 1994 “Managing for Organizational Integrity” [Harvard Business Review] Vol.72 google
  • 34. Perterson D. K.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Unethical Behavior and the Dimensions of the Ethical Climate Questionnaire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41 google
  • 35. Petrick J., Quinn J. 2000 “The Integrity Capacity Construct and Moral Progress in Busines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23 google cross ref
  • 36. Posner B., Schmidt W. H. “What Kind of People Enter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 Updated Comparison of Perceptions, Stereo types and Values” [Human Resource] Vol.21 google
  • 37. Reiss M. C., Mitra K. 1998 “The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 Factors on the Acceptability of Ethical and Unethical Workplace Behavior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7 google cross ref
  • 38. Trevino L. K. 1986 “Ethical Decision Making in Organizations: A Person-Situation Interactionist Mode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1 google
  • 39. Trevino L. K., Youngblood S. A. 1990 “Bad Apples in Bad Barrels: A Causal Analysis of Ethical Decision-Making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5 google cross ref
  • 40. Victor B., Cullen J. B. 1987 “A Theory and Measure of Ethical Climate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nd Policy] Vol.9 google
  • 41. Walker O, C., Gilber A., Churchill Jr., Neil M. F. 1979 Where Do We Go from Here? Selected Conceptual and Empirical Issues Concerning the Motivation and Performance of the Industrial Sales people, in Critical Issues in Sales Management State-of-the-Art and Future Research Needs, G. Albaum and G. A. Churchilldes google
  • 42. Wimbush J. C., Shepard J. M. 1994 “Toward an Understanding of Ethical Climate: Its Relationship to Ethical Behavior and Supervisory Influence”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3 google cross ref
  • 43. Wittmer D. P. 1994 “Ethical Decision Making”, In Terry C. Cooper(ed.), Handbook of Administrative Ethics P.349-372 google
  • 44. Zey-Ferrell M., Ferrell O. C. 1982 “Role-Set Configuration and Opportunity as Predicting of Unethical Behavior in Organizations” [Human Relations] Vol.35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윤리적 판단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9)
    윤리적 판단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9)
  • [ 표 2 ]  윤리적 판단 모형의 개요10)
    윤리적 판단 모형의 개요10)
  • [ 그림 1 ]  분석모형
    분석모형
  • [ 표 3 ]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 표 4 ]  신뢰도 검증
    신뢰도 검증
  • [ 표 5 ]  요인분석
    요인분석
  • [ 표 6 ]  상관분석
    상관분석
  • [ 표 7 ]  개인의 윤리적 이념,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와 윤리적 판단의 회귀분석
    개인의 윤리적 이념,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와 윤리적 판단의 회귀분석
  • [ 표 8 ]  개인의 윤리적 이념,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와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회귀분석
    개인의 윤리적 이념, 조직의 윤리적 분위기와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회귀분석
  • [ 표 9 ]  상관의 도덕적 역량과 윤리적 판단의 회귀분석
    상관의 도덕적 역량과 윤리적 판단의 회귀분석
  • [ 표 10 ]  윤리적 판단에 있어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위계적 회귀분석
    윤리적 판단에 있어 상관의 도덕적 역량의 위계적 회귀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