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관계: 스쿠버다이버를 대상으로 Relationships between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Norm Observance Consciousness of Scuba-diver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관계: 스쿠버다이버를 대상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and transition patterns of norms observance consciousness based on the level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on norm observance consciousness of Scuba-diver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300 Scuba-divers from 9 Scuba-diving resorts and scuba-diving clubs were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a total of 275 survey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es. In the study, Cronbach's α, CFA, cluster,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18.0 and AMOS 18.0.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recreation specia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norms observance consciousness. Second, levels of norms observance consciousness were different based on the level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Finally, importance, knowledge, and physical commitment sub-factors out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orms observance consciousness however, experience sub-factor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negatively influenced.

KEYWORD
recreation specialization , norm observance consciousness , scuba , diver
  • Ⅰ. 서론

    늘어난 여가시간과 삶의 가치관의 변화로 인하여 여가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주5일제가 시행된 이후 여가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가하였으며, 여가시간을 활용한 활동도 단순·일회성 여가활동보다는 어느 정도의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전문화된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는 자연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모험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연친화적이며 적극적인 야외활동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김진성, 박병국, 2008). 그 중에서도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의 환경적 조건과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라는 색다른 매력으로 인해 해양 여가스포츠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1960년대 중반 군사적인 목적으로 국내로 도입된 스쿠버다이빙은 1970년대부터 스쿠버 장비들의 안전성과 기술의 발전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대중화가 이루어져 과거에 비해 일반인들도 비교적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여가활동이 되었다(임채현, 조대환, 2009). 스쿠버다이빙은 해양을 터전으로 하는 야외 여가스포츠 중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종목이며, 현재는 다이빙 클럽, 온라인동호회, 대학의 교양강좌 등을 통해 국민적인 해양 여가스포츠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스쿠버다이빙은 자연과의 일체감, 인간의 한계에 대한 도전과 극복 등 몰입경험 요소를 다양하게 내포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참여가 이루어지게 된다(김진성, 박병국, 2008). 이처럼 특정 여가활동에 지속적으로 참가하게 될 경우 참가자들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를 경험하게 된다. 레크리에이션 전문화(recreation speciali zation)란 특정 여가활동에 지속적으로 참가함으로써 참가자가 경험하게 되는 특정성향의 변화양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Bryan(1977)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를 일반인에서 전문가에 이르는 연속체로 정의하고 여가활동 참가 시 사용되는 장비나 기술, 활동장소의 선호양상 등으로 표출 된다고 하였다(Kuentzel, Heberlein, 1997). 이러한 변화과정 속에서 여가활동 참가자는 다양한 발단단계를 경험하게 되는데 각 단계에 따라 독특한 행동양식이나 태도, 신념 등의 변화가 나타난다(이문진, 이연주, 2010; McFarlane, 1994; Virden, Schreyer, 1988).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개념은 여가 행위나 태도를 고찰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으며(Scott, Shafer, 2001), 특히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연구는 유사한 여가활동 참가자의 선호나 경험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진형, 2005).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를 통한 이러한 변화양상은 정해진 규범을 준수하는 의식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이문진, 황선환, 2013). 실제로 김형룡, 박순문, 장은정(2004)은 친환경적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규칙준수, 스포츠맨십, 페어플레이 정신 등을 통해 자신을 조절하는 능력 배양이 배양된다고 제시하였으며, 스쿠버다이버를 대상으로 한 Brijesh, Graefe, Meyer(2005)의 연구나 모험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이광수(2005)의 연구에서도 참가하는 수준에 따라 환경의식과 정해진 규범을 준수하려는 의식이 변화하는 양상을 나타낸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이문진과 황선환(2013)의 연구에서는 스포츠 동아리활동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라 규범준수의식을 비교한 결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은 집단이 더 높은 규범준수의식을 나타난다고 제시하였다. 낚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Salz & Loomis (2005)의 연구에서는 전문화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정해진 규칙이나 규정을 위반하려는 경향이 더 강하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참가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라 참여도나 행동이 다르게 나타나고 더불어 규범준수 의식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스쿠버다이빙은 다이버 자신이 사고예방과 개인의 안전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하는 스포츠이다(PADI, 2000). 스쿠버다이빙은 일반적인 지상 스포츠 활동과 달리 수압의 환경에서 압축된 공기를 사용하기에 그에 따른 지식과 안전수칙의 숙지 및 준수가 반드시 이행되어야 한다. 특히 스쿠버다이빙 안전수칙의 불이행은 압력에 의한 신체손상, 질소에 의한 잠수병과 환경에 의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임현수, 강은석, 2011). 따라서 반드시 수중활동 전에 정확한 이론적 지식과 충실한 훈련을 받아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스쿠버다이빙 교육단체에서는 최소한의 규정으로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이수해야만 자격증을 발급해주며, 자격증이 있어야 스쿠버다이빙에 참가할 수 있다(강경순, 엄동춘, 백홍석, 2011). 이처럼 많은 위험 요소와 안전확보를 위한 다양한 규칙준수의 의무가 존재하는 스쿠버다이빙의 종목적 특성은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에서 규범준수의식으로 반영되어 나타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을 세분화 하여 규범준수의식의 차이를 규명할 필요가 있으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들이 규범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H₁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규범준수의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₂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라 규범준수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H₃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은 규범준수의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스쿠버다이빙 교육단체를 통해 발급된 기초자격(오픈워터) 이상의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스쿠버다이빙 리조트를 이용하거나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호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스쿠버다이빙에 대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의 고른 분포를 위하여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목적표집을 활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설문은 2013년 2월23일부터 4월 6일까지 총 6주 동안 실시하였다. 동해안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9곳과 전국에 있는 동호회 책임 강사들의 협조를 통해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회수된 설문지는 283부였다. 이중 응답내용이 다수 누락되거나 일정 번호로 편중되어 작성된 설문지 등 불성실하게 작성된 자료를 제외하고 총 275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275명으로 연령별 분포는 20세부터 64세의 범위로 나타났다. 40대가 가장 높은 비율(41.5%)로 나타났으며, 평균 연령은 39.1세이다. 기혼자가 199명(72.4%)으로, 미혼 76명(27.6%)에 비해 많았다. 월수입은 0원 부터 1,000만원까지 나타났으며 평균은 312만원이다. 연구 대상자들의 구체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스쿠버다이빙 참가정도는 참가기간, 참가빈도, 참가강도로 조사하였다. 참가기간은 1개월에서 18년까지 나타났으며, 연간 참가빈도는 연간 다이빙 일수로 1회에서 60회 까지 나타났다. 1일 참여시 참여시간은 1시간에서 6시간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의 구체적인 참가정도는 <표 2>와 같다.

    [표 2.] 스쿠버다이빙 참가정도

    label

    스쿠버다이빙 참가정도

       2. 조사도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료수집에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지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5문항, 스쿠버다이빙 참가정도 관련 3문항,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21문항, 규범준수의식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스쿠버다이빙 참가정도는 개방형으로 측정했으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응답형태는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했다. 조사도구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스쿠버다이버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문진, 박일혁, 황선환(2011)McIntyre & Pigram(1992)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순환모형을 토대로 개발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척도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했다. 구체적으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척도는 정보, 기술지식, 경험, 숙련도, 중요성, 중심성, 물리적열정의 7개의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요인별 각 3문항 씩 총 21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의 예로는 “나는 스쿠버다이빙 관련 대회나 행사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알고 있다(정보)”, “나는 스쿠버다이빙 기술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기술지식)”, “나는 다른 참가자들에 비해 평생 한 스쿠버다이빙 활동 횟수가 많은 편이다(경험)”, “스쿠버다이빙은 내게 많은 의미가 있다(중요성)”, “나의 삶은 스쿠버다이빙을 중심으로 되어 있다(중심성)”, “나는 다른 참가자들에 비해 스쿠버다이빙과 관련된 지출을 많이 하는 편이다(물리적열정)” 등이 있다. 기존 문항 중 “나는 ○○에서 유명한 선수에 대해 잘 알고 있다(기술지식)”는 문항은 여가학 교수 2명과 박사 3명으로 구성된 전문가집단의 전문가회의를 통해 “나는 스쿠버다이빙을 위한 좋은 장소를 잘 알고 있다”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타당도 분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는 <표 3>,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각 요인의 모든 표준적재치가 .5 이상이기 때문에 개념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각 요인의 분산추출지수가 .5 이상이기 때문에 수렴타당성이 확보되었다(김계수, 2010). 각 요인의 개념신뢰도 또한 .7 이상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의 문항내적 신뢰도는 .858-.950의 분포로 나타났으며, 적합도 지수의 경우 RMSEA=.084 값이 적합도 기준보다는 다소 높지만 χ2/df=2.921, CFI=.944, TLI=.931, NFI =.919로 적합도 기준을 충분히 충족하였다.

    [표 3.]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확인적 요인분석

    label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확인적 요인분석

    [표 4.]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label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2) 규범준수의식

    규범준수의식은 이문진, 황선환(2013)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본 연구 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전문가회의를 통해 문항의 내용을 검토하여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고, Cronbach's α를 이용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문항을 살펴보면 “나는 스쿠버다이빙 참여시 주어진 규범을 잘 따른다”, “나는 스쿠버다이빙 참여시 규범을 따르기 위해 노력한다”, “스쿠버다이빙 참여시 주변 사람들은 내가 관련된 규범을 잘 따른다고 생각한다”, “나는 어떠한 경우에도 스쿠버다이빙과 관련된 규범을 지키려고 노력한다”의 총 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답형태는 “매우 그렇다(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1점)”등이 있다.

    규범준수의식은 단일요인으로 구성되어 구인타당도 검증은 생략하였으며, 4문항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934로 나타났다.

       3. 자료의 처리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를 활용한 신뢰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한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스쿠버다이버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규범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K-평균 군집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규범준수의식에 미치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영향을 하위요인 별로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1.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규범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

    1)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 상관분석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규범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에 앞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두 변인간의 상관은 .476으로 통계적으로 1%(p<.01)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 간에 상당한 관련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5.]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 상관관계 분석

    label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 상관관계 분석

    2)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 회귀분석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규범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변인으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전체의 평균을 투입하였고, 종속변인으로는 규범준수의식을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회귀분석

    label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회귀분석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규범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설명력(R²)은 규범준수의식 총 분산의 23%를 설명하고 있으며 F값은 80.14로 유의수준 0.1%(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H₁)은 채택되었다.

       2.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의 차이

    1)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 분류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평균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이문진, 황선환, 2011)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은 상, 중, 하의 세 개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구체적인 군집분석의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군집분석

    label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군집분석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은 집단의 평균은 4.08(63명), 중간 집단의 평균은 3.10(127명), 낮은 집단의 평균은 2.12(85명)로 나타났다.

    2)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상, 중, 하)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을 비교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의 일원변량분석

    label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의 일원변량분석

    본 연구의 참가한 스쿠버다이버들의 규범준수의식 평균은 4.07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척도를 스포츠동아리 참가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이문진, 황선환(2013)의 연구에서 제시한 4.03과 거의 비슷한 수치이다.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규범준수의식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은 집단(M=4.4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간 집단(M=4.17), 낮은 집단(M=3.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0.1% (p<.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H₂)은 채택되었다.

       3. 스쿠버다이버의 전문화 하위요인이 규범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

    1)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 상관분석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하위요인(정보, 지식, 경험, 숙련도, 중요성, 중심성, 물리적열정)이 규범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에 앞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과 규범준수의식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 상관관계 분석

    label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 상관관계 분석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과 규범준수의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earson의 상관계수를 통한 분석결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 상관관계는 .334-.541의 범위로 나타났다. 하지만 독립변인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이 759-.512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2)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 회귀분석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하위요인이 규범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으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을 일괄투입(enter)하였고, 종속변인으로는 규범준수의식을 투입하였다. 상관분석에서 독립변인간의 상관이 다소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다중공선성 검토를 위해 다중공선성 검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독립변인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VIF와 공차를 확인한 결과, 모든 독립변인이 10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인 지식(β=.23), 중요성(β=.43), 물리적열정(β=.18)은 규범준수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경험(β=-.25)은 규범준수의식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에 투입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7개 하위요인은 규범준수의식을 약 34%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H₃)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표 10.]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회귀분석

    label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회귀분석

    Ⅳ. 논의

    본 연구는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27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과 비교 검토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규범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전체와 규범준수의식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규범준수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설명력의 크기도 23% 정도로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즉 지속적 스쿠버다이빙 참가를 통하여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아질 경우 규범을 준수하려는 의식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스쿠버다이버를 대상으로 한 Brijesh 등(2005)의 연구와 환경적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김형룡 등(2004)의 연구에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주어진 환경 보호의식이나 보호를 위한 규정이나 규칙을 잘 지키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보고한 연구결과를 재증명하고 있다.

    스쿠버다이빙은 특별한 환경과 위험을 수반하는 활동으로써 다양한 규칙과 규범들이 존재한다. 숙련된 다이버일 지라도 사소한 부주의에도 안전사고로 직결될 수 있으며, 자칫하면 인명손실이라는 중대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강경순 등, 2011; 임현수, 강은석, 2011). 또한 스쿠버다이빙의 특성상 수중이라는 완전히 통제된 여건과 제한된 시간 등에 의한 시간적, 공간적인 특별한 조건이 존재하고, 매번 달라지는 지상과 수중 환경을 겪어나가면서 많은 위험성에 대해 경험하고 인지하게 된다. 또한 스쿠버다이빙 활동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버디시스템을 활용한 그룹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보호자의 역할과 감시자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되며 책임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스쿠버다이빙의 특성으로 인해 활동에 참가할수록 규칙이나 규범을 지키려고 노력하게 되어 반복적 참가를 통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에서 규범준수의식이 함양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반면에 본 연구의 결과와 대조되는 결과를 제시한 연구도 존재한다. Salz & Loomis (2005)의 연구에서는 낚시제한구역이나 포획 어종의 제한에 대한 낚시 참가자의 태도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은 낚시 참가자들에게서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조적인 결과가 나타난 것은 낚시라는 활동의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낚시는 스쿠버다이빙에 비해 활동의 위험성이 낮으며, 스쿠버다이빙의 규칙이나 규범이 참가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낚시의 경우 활동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규제하기 위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페어(짝)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스쿠버다이빙에 비해 낚시의 경우 개인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인의 의식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회귀분석의 결과를 추가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을 파악하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상, 중, 하의 세 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분류된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을 기준으로 규범준수의식의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규범준수의식 또한 높게 나타났다. 즉 전문화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규범준수의식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쿠버다이빙 활동에 전문화된 스쿠버다이버일수록 제한된 시간과 달라지는 환경에 대한 규범의 미준수는 돌이킬 수 없는 크나큰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규범을 철저히 지키는 것만이 안전하고 즐거운 스쿠버다이빙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 일 것이다(구정철, 손천택, 2002). 강경순 등(2011)은 스쿠버다이버의 안전지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는데, 지도자 수준의 다이버의 경우 낮은 수준의 다이버에 비해 안전의식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이유가 자신의 안전뿐만 아니라 수강생의 안전까지 보장해야 하므로 스쿠버다이빙관련 안전사고의 예방법, 원인과 증상 및 응급치료법을 완전 숙지하는 것을 필수조건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제시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에서 높은 전문화 수준의 집단에서 규범준수의식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인 분석을 통하여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 별 규범준수의식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전문화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규범준수의식도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규범준수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과 규범준수의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하위요인 중 중요성, 지식, 물리적열정의 순으로 규범준수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의 경우 규범준수의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도 34% 정도로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정적 영향을 나타낸 지식과 중요성, 물리적열정은 스쿠버다이버를 대상으로 한 Brijesh 등(2005)의 연구나 친환경적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김형룡 등(2004)의 연구, 모험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이광수(2005)의 연구, 스포츠동아리활동에 참가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문진과 황선환(2013)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중요성 요인은 정서적 측면을 대표하는 요인으로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를 다차원적 측면으로 접근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전문화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요인으로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도 중요성이 규범준수의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정서적 측면의 물리적열정 요인이 규범준수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경순 등(2011)Bookspan(1995), Coetsee(1996)의 연구에서 스쿠버다이버의 장비구입여부가 안전의식에 영향을 준다고 제시하고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강경순 등(2011)의 연구에서 장비의 구입이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뚜렷한 목적의식에 의한 결과라고 해석하였다.

    특히 스포츠 동아리활동 참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문진과 황선환(2013)의 연구에서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 가운데 정서적 요인만이 규범준수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반면, 스쿠버다이버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과 물리적열정의 정서적 요인 이외에도 지식이라는 인지적 요인이 규범준수의식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활동참가에 있어 수중 물리학적 지식과 인체의 생리적 변화, 감압이론 등의 많은 사전지식과 안전수칙이 요구되는 스쿠버다이빙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반면에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 중 경험의 경우 규범준수의식에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전체적인 연구 결과와 대조적인 것이며, 스쿠버다이버의 안전의식에 참여빈도와 참여기간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한 강경순 등(2011)의 결과나 기존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대조되는 것이다. 하지만 낚시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Salz & Loomis (2006)의 연구에서 전문화 수준이 높은 낚시 참가자들이 전문화 되지 않은 참가자들에 비해 규범이나 규칙에 대한 지지수준이 더 낮다고 밝힌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강은석, 임현수, 강지헌, 문영제(2009)의 연구에서 경험이 많은 베터랑 다이버들이 안전감압정지 규정을 지키지 않는 안전불감증 사례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쿠버다이빙을 경력자들의 불법채집활동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국내에서는 스쿠버다이빙을 통한 채집이나 사냥활동이 불법으로 규정되어있다(김해출, 조건상, 2007). 하지만 현재 중급이상 스쿠버교육 매뉴얼에는 수중사냥에 관련된 사항이 존재하며, 실제로 많은 다이버들이 다이빙 과정에서 불법채집을 하는 경우가 있다. 스쿠버다이버들의 교육과 관련된 임현수와 강은석(2011)의 연구에서는 수백회 이상의 다이빙 경험을 가지고 있는 참가자도 장비의 컨트롤이나 안전의식에서 초급자 단계를 벗어나지 못한 경우가 있는 반면에 불과 20여회 다이빙 경험에도 프로다운 면모를 보여주는 경우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스쿠버다이빙에 있어서 단순히 참가경험이 전문화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행동적 측면을 따로 고려할 경우 부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경험요인이 규범준수의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는 전술한 여러 상황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규범준수의식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증명하였다. 하지만 레크리에이션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에 대한 연구의 결과가 아직까지 일관되지 않아 추후에도 이와 관련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의 차이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규범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규범준수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규범준수의식도 높다. 셋째,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하위요인 중 정서적 측면(중요성, 물리적열정)과 인지적 측면(지식)은 규범준수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행동적 측면(경험)의 경우 규범준수의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스쿠버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규범준수의식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규범준수를 목적으로 한 교육적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추후 연구를 통해 이론적틀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논의와 결론에 비추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스쿠버다이버를 대상으로 하여 스쿠버다이빙의 위험노출 상황 특성이 규범준수의식에 많이 작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위험노출 수준에 따른 종목의 특성을 고려한 규범준수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아직까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관계에 대해 일관된 결과가 제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두 변인의 관계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강 경순, 엄 동춘, 백 홍석 (2011) 스쿠버다이버의 안전지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P.4403-4410 google
  • 2. 강 은석, 임 현수, 강 지헌, 문 영제 (2009) 스쿠버 다이버들의 안전감압정지 불이행에 대한 원인탐색.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P.175-190 google
  • 3. 구 정철, 손 천택 (2002) 스포츠 스쿠버다이버의 심해다이빙 패턴 및 행동분석. [한국체육학회지] Vol.41 P.243-253 google
  • 4. 김 계수 (201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google
  • 5. 김 진성, 박 병국 (2008) 스쿠버다이빙 참여자의 매니아 되기 과정.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1 P.267-283 google
  • 6. 김 해출, 조 건상 (2007) 스쿠버 다이빙 동호회 활동에서 나타난 외재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Vol.46 P.153-166 google
  • 7. 김 형룡, 박 순문, 장 은정 (2004) 친환경적 여가스포츠활동과 환경의식 및 친환경적 소비행동의 관계. [한국학교체육학회지] Vol.14 P.57-67 google
  • 8. 이 광수 (2005)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전문화와 환경태도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25 P.657-664 google
  • 9. 이 문진, 박 일혁, 황 선환 (2011)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척도개발. [사회체육학회지] Vol.44 P.453-465 google
  • 10. 이 문진, 이 연주 (2010)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연구동향: 성과와 과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P.403-412 google
  • 11. 이 문진, 황 선환 (2011)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5 P.29-39 google
  • 12. 이 문진, 황 선환 (2013) 스포츠 동아리 참가 대학생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관계. [여가학연구] Vol.10 P.23-38 google
  • 13. 이 진형 (2005)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연구: 미국의 연구 동향과 국내 연구방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28 P.67-78 google
  • 14. 임 채현, 조 대환 (2009) 스킨스쿠버다이빙의 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 [해양환경안전학회] Vol.15 P.143-149 google
  • 15. 임 현수, 강 은석 (2011) 잠수장비와 수중환경에서 나타난 스쿠버 다이버들의 교육불이행.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P.211-222 google
  • 16. Bookspan J. (1995) Diving physiology in plain English. [Undersea and Hyperbaric Med ical Society] Vol.20 P.174-177 google
  • 17. Brijesh T., Graefe A. R., Meyer L. A. (2005)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of scuba diving specialization on mari ne-based environmental knowledge be havior contingency. [The Journal of En vironmental Education] Vol.22 P.53-67 google
  • 18. Bryan H. (1977) Leisure value systems and recreational specialization: The case of trout fisherm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9 P.174-187 google
  • 19. Coetsee M. (1996) Energy expenditure in diving. [South Pacific Underwater Medi cine Society Journal] Vol.26 P.174-177 google
  • 20. Kuentzel W. F., Heberlein T. A. (1997) Social status, self-development, and the process of sailing specializ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9 P.300-319 google
  • 21. McFarlane B. L. (1994) Specialization and motivations of bird watchers. [Wildlife Society Bulletin] Vol.22 P.361-370 google
  • 22. McIntyre N., Pigram J. J. (1992) Recreation specialization reexamined: The case of vehicle based campers. [Leisure Sciences] Vol.14 P.3-15 google cross ref
  • 23. (2000) Adventures in Diving(한글판). google
  • 24. Salz R. J., Loomis D. K. (2005)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anglers’ attitudes towards restricted fishing areas. [Human Dimensions of Wildlife] Vol.10 P.187-199 google cross ref
  • 25. Scott D., Shafer C. S. (2001)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 critical look at the construc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33 P.319-343 google
  • 26. Virden R., Schreyer R. (1988) Recreation specialization as an indicator of environmental preference. [Environment and Behavior] Vol.20 P.721-739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2. ]  스쿠버다이빙 참가정도
    스쿠버다이빙 참가정도
  • [ 표 3.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확인적 요인분석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확인적 요인분석
  • [ 표 4.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 [ 표 5.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 상관관계 분석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 상관관계 분석
  • [ 표 6. ]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회귀분석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회귀분석
  • [ 표 7.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군집분석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군집분석
  • [ 표 8. ]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의 일원변량분석
    전문화 수준에 따른 규범준수의식의 일원변량분석
  • [ 표 9.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 상관관계 분석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 상관관계 분석
  • [ 표 10. ]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회귀분석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회귀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