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The relations of senior leisure participation in the hot spring resorts to life satisfaction 노인의 온천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 비영리 CC BY-NC
ABSTRACT
The relations of senior leisure participation in the hot spring resorts to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노인들이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온천 이용실태와 참여동기, 생활만족도에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충청권 온천시설이용객 중에 아산시에 위치한 온양온천과 도고온천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01명을 대상으로 1 : 1 면접방식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SPSS ver.15를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들은 1주일에 2회에서 3회, 하루에 2시간 이상씩을 소비하면서 온천시설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천여가활동의 주된 참여이유는 친구와의 유대감과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노인의 온천시설이용은 여가활동에 포함시킬 수 있다는 결과와, 사회적 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온천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들의 온천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
leisure activity , social need , personal need , life satisfaction
  • Ⅰ. 서론

    2009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이미 우리나라의 인구 10명중에서 한명은 65세 이상의 노령층에 속한다. 노령화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2016년이 되면 노령인구의 비율이 유년층의 비율을 초과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인이라 함은 나이가 많아 기능이 노화된 사람으로 정의되는데(Breen, 1960),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복지법을 기준으로 하여 65세 이상의 성인을 노인으로 정하고 있으며, UN에서도 65세를 노령 인구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박차상 외. 2003).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노령 인구의 여가 생활에 대한 연구도 주요하게 진행되고 있다(조옥주, 2007). 오늘날과 같은 산업사회에서 일정한 나이가 되어 생산 활동에서 은퇴하게 되었을 때, 각 개인은 자기 자신의 정신적, 신체적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인 활동의 변화도 겪게 된다. 특히 여가시간 활용의 측면으로 볼 때, 그 변화의 양상은 뚜렷하리라고 생각한다. 개인이 여가활동이나 여가생활을 하면서 그에 대하여 느끼는 만족감은 삶의 질과 생활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Tinsely, 1980). Parker(1979)에 의하면, 여가의 개념을 노동, 식사, 수면 등의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남는 시간이라고 했다. 특히 일하지 않 는 시간을 여가 시간이라고 본다면, 은퇴를 맞이한 노인층의 대부분의 시간은 곧 여가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박미석, 2004).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시간의 사용, 소비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한 개인의 삶, 나아가서 한 계층의 생활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척도라 할 수 있겠다(Andorka, 1995).

    나이가 듦에 따라 체력이 떨어지고 쇠약해지면서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노화현상은 적당한 강도와 규칙적인 운동으로 어느 정도 늦출 수 있다고 한다(이철희, 1982). 또한 Kaplan(1960)은 노인들이 당면하게 되는 여가의 성격은 젊은이들이 추구하고 생각하는 그것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이에 대처하는 각 개인의 행동 양식도 다르다고 한다. 노인들은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정서적인 갈증과 신체적인 에너지를 회복할 수 있어 현대사회에서의 소외감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받는다. 개인에 따라서 여가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는 다르게 나타나겠지만,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경제수준, 생활수준, 가족의 형태, 배우자의 유무, 거주 지역, 건강상태 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서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은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입증되고 있다(김명자, 1982; 장상희, 1983; Knapp, 1977; Wolk & Tellen, 1976).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들의 여가활동의 특성은 성별에 따라서 선호하는 영역의 차이가 뚜렷하고, 지나치게 대중매체, 특히 TV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윤정, 2003). 다수의 노인들은 집안일이나 손자, 손녀를 돌보는 일도 여가활동이라고 간주하며, 봉사활동이나 학습활동 등은 여가활동이라고 여기지 않으며,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나항진, 2003). 이는 우리나라의 노인들의 여가활동이 단순하고, 일률적이며, 소극적이라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안수민(2004)의 여가활동 요구도 조사에서는 연령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60-74세의 노인층은 여행 등의 동적인 여가활동을 선호하고 이후의 연령대에서는 종교 활동 등의 정적인 여가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나는데, 학력이 높은 노인들의 경우가 낮은 노인들보다 적극적인 여가참여의 태도를 보였다(박미석, 2004; 홍성희, 1998).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노인들의 여가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과거에는 다소 소극적이고 정적인 여가활동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동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강인혜, 2008; 임번장, 1995). 이와 같이 노인들의 활동적인 여가의 하나인 관광활동 중에서 온천시설의 이용은 이미하나의 관광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노인들이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건강과 경제적인 이유이다. 노인들의 여가참여 활동을 제약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 재정상태, 건강상태, 고령의 순서로 나타난바가 있다(이선미, 1991). 또한 거리, 교통요인 때문에 여가활동 참여의 욕구가 제한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에 큰 비중으로 차지하며 방해요소가 되기도 한다(Kelly, 1987).

    온천시설은 별장, 스키장등과 같이 휴양형 관광의 한 형태로서 휴양적, 위락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 그 이용객수는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조일형, 1990). 특히 수도권 전철이 연결되는 지역에 위치하는 온천시설은 그 수요가 급증함에 맞추어 그에 따르는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어서 노인들이 이용함에 있어 상당히 매력적인 요소이다. 제약 요인으로 지적되는 금전적인 요인과 교통 요인에 있어서도 65세 이상의 노인의 경우는 온천시설이용의 할인 혜택을 받으며, 전철은 무임으로 이용이 가능하여 노인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다. 많은 노인들이 온천시설을 이용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로서 실제 이용자의 이용형태 등을 조사한 연구가 한정적이어서 이에 따른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타카하시(2010)의 연구에 의하면, 온천활동을 통한 웰니스(wellness)를 일본과 한국의 온천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한국인의 온천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규한(2007)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온천활동은 오랜시간 지속되어온 전통전이 여가활동의 하나이고, 이러한 맥락시에서 온천활동을 통해 건강을 얻는 노인의 온천시설이용 활동은 삷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전승범, 2006).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인간이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면, 여가 활동을 통한 여흥을 경험하기 위한 것과 사회적 관계를 유지함으로서 생활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분된다(김경식, 1996).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사회 내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살아가야 하는 존재이다. 젊은 시절 사회의 일꾼으로서 왕성한 활동을 하던 이들도 나이가 들어 은퇴를 하면 이전과 같은 사회적 관계는 변화하게 된다. 신체적, 경제적인 무력감에서 오는 소극적인 태도와 젊은이들의 눈에 보이는 또는 보이지 않는 차가운 시선들에 의해서 버림받고 소외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이민수, 남종원, 차지현, 곽동일, 1999). 또한, 핵가족화로 인하여 노인들은 주로 부부가 따로 생활하거나 독거노인의 형태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통계청, 2008). 많은 선행연구들은(Burch, 1969; Hendee, 1969; Kelly, 1977) 여가참여를 통하여 사람들의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는 과정으로 파악하였고, Crandall (1979)은 사회적인 상호관계가 여가유형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Hammer (1981)는 현대 사회에서의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는데,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것 자체로도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회적인 관계로 인해 정신적, 신체적인 악영향을 감소시켜준다고 하였다. 안수민(2004)은 종교를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인간관계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를 회복시켜 만족감, 의시소통, 친근감, 개방성, 이해성의 요소들에 기여한다고 조사한 바가 있다.

    생활만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수십 년 동안 연구되어오고 있다. 여가학의 분야에서도 여가활동 참여와 생활만족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서 연구가 행해져 왔다(Ragheb & Griffith. 1981; Kelly, Steinkamp & Kelly, 1987). Neugarten(1961)은 생활만족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노화에 있어서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일상에서의 활동에서 기쁨을 느끼며, 현재의 자신의 위치나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낙천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또한, 생활만족도(life satisfaction)는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만족감을 말하는데 삶의 질로도 표현이 되고, 생활 속에서 갖게 되는 기대와 현실에서의 충족간의 일치에서 오는 주관적인 만족감이라고 정의하였다(Omodeu & Wearing, 1990). Diener(1984)는 생활만족에 대한 개념을 여러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는데, 그 중에서 내적, 주관적인 범주에서의 정의가 행복 또는 삶의 질을 의미하는 생활만족이라고 하였다.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노인에 관련한 심리적, 신체적, 시회적인 조건 하에서 느끼게 되는 생활전반에 걸친 주관적이고 복합적인 감정이라고 정의한다(김소영, 1992). 따라서 노인들이 자신들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은 모든 여가활동 참여의 최종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다면 그것은 그들의 여가활동이 만족스럽다는 것을 의미하며 삶의 질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원형중, 1994).

    또한 노인층의 여가활동 참여에 대한 연구가 사회과학 분야와 체육학 분야에서 연구되어 오면서 이러한 참여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여가 스포츠 참여와 삶의 질에 대한 연구(이종영, 1992; 이종길, 1992),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심리적 만족감, 자아 존중감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최종환, 이규문, 김현주, 서주원, 2004). 그리고 노인의 여가를 통한 사회화의 과정과 그에 따른 생활만족에 대한 연구도 있었다(한혜원, 2005; 조만태, 김상대, 2008; 조은주, 2008). 그리고 문화적인 측면에서 노인의 여가참여를 다룬 연구도 있었다(권욱동, 2005; 조민행, 2005; 임재구, 김선희, 2006). 그러나 여가참여로서의 온천이용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온천관광도시로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김병문, 1997), 온천의 이용객 현황에 관한 연구(박영철, 1980), 온천리조트의 지리적, 지역적 측면에 관한 연구(김동희, 최미숙, 1981)등이 진행되었는데, 대부분의 연구가 개발에 따른 문제, 지리적 특성 등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온천이용객의 이용참여 특성에 대한 연구에는 잠재이용객의 온천이용특성에 대한 분석(한병선, 1990), 온천의 이용동기와 선택요인에 대한 연구(홍준표, 1998)등이 있으나, 이 또한 이용동기와 선택요인에 국한 되어있어 여가참여로서의 많은 수의 노인이 이용하고 있는 온천시설에 대한 연구로서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서울, 경기권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충청도에 위치하고 있는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활동은 여행과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활동을 결합한 활동이고, 이는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향상시키려고 하는 인간의 여가활동 참여동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천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온천시설이용 실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활동이 노인의 여가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 현실에서 증가하고 있는 노인인구가 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여가활동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 표집은 2010년 11월 초순에서 12월 초순의 한 달 여에 걸쳐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에 위치한 온양온천과 도고면 기곡리에 위치한 도고온천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남, 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집단은 대부분 전철을 이용하여 온천을 이용하는 이들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이 나이가 많은 노인층임에 따라, 조사원들을 모집하여 사전교육을 실시하였고, 조사원들은 온양온천역과 도고온천역에서 전철에서 하차하는 노인들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설문실행 방법으로 조사대상자들을 편의상 무선추출법(random sampling method) 으로 120명을 표집하였다. 설문응답자의 연령과 응답 장소를 고려하여, 설문은 조사원과 응답자 1:1의 인터뷰 형식을 통해 각 문항을 읽어주는 방식으로 설문을 작성하였다. 회수한 응답지 중에서 응답의 내용이 부실하거나 연구목적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을 제외하고 통계처리에 유효하게 사용된 응답은 101명이며,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크게 10가지로 요약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연령대로는 65-70세가 34%로 가장 많았으며, 남성이 43명(42.6%)이고, 여성은 75명(58.1%)이었다. 현재 동거상황에 대해서는 부부가 생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53.5%), 배우자의 생존 유뮤와 상관없이 응답자 전원이 결혼 경험이 있었다. 학력은 고졸(59.4%)이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종교는 기독교(39.6%)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 스스로가 생각하는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과반수이상의 응답자가 보통(64.4%)으로 답하였다. 용돈을 포함한 월수입은 80만원 미만(46.5%)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수준에 대한 질문에는 부족(38.6%), 노후에 대한 경제적인 준비에 대하여는 보통(38.6%)으로 응답하였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조사도구

    설문의 구성은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관련된 질문 10문항, 온천이용 실태에 관한 질문 5문항, 온천시설이용 이유와 관련된 질문 9문항, 그리고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질문 7문항으로 총 31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였고 <표 2>와 같다. 온천이용실태에 관한 설문은 나상문(2002)의 연구에서 사용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온천시설 이용을 여가활동과 관련시키기 위하여 Havighurst(1973)의 여가활동의 정의에 따라 여가활동 시간과 시설사용빈도, 동반자등을 묻는 질문을 포함하였다. 또한 온천시설이용 동기와 관련된 질문은 홍준표(1998)의 연구에서 소개한 여가활동에 참가하는 동기유형에 따라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온천 시설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동기유형을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로 구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노인의 온천시설이용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Diener, Emmonsons, Larsen과 Griffin(1985)이 개발한 생활만족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 SWLS)를 번안하여 사용한 이종길(1992)의 연구를 재인용하고,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표 2] 설문지의 구성

    label

    설문지의 구성

       3. 자료처리

    설문의 결과는 컴퓨터에 입력한 후, SPSS 15.0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설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는데,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즉, Cronbach's alpha와 요인분석(factor analysis)법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노인의 온천이용 실태등의 기본적인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법이 사용되었다. 노인의 온천시설이용 동기에 관한 설문의 결과는 t-검증을 통해, 평균값의 차이를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노인이 온천 시설을 이용함에 따라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생활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생활만족도와 온천시설이용 동기간의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및 논의

       1. 노인의 온천시설 이용과 여가활동

    노인들의 온천시설이용 활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48명(47.5%)의 노인이 자녀와 본인이 비용을 부담하여 온천시설을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주로 노인들이 자녀로부터 받은 용돈을 온천시설이용에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고, 이는 제반경비를 투자하여 여가에 참가하는 성인여가활동에 포함이 된다고 할 수 있다(이선미, 1991). 또한 온천시설을 사용하는 빈도에 대한 질문에서는, 48명(47.5%)이 주 2-3회 온천시설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거리에 대한 질문에서 83명 (82.2%)의 응답자가 2시간 이상의 시간을 소비하면서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aplan(1960)의 여가활동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일정한 시간을 규칙적으로 할애하는 것으로 보아,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활동이 목욕, 여흥, 건강을 고려한 개인적인 동기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일 뿐만 아니라, 사교를 목표로 하는 사회적인 활동이라고 해석 할 수 있다. 또한 장거리에 위치한 온천시설을 이용하기위해, 노인들은 지하철로 이동하면서 함께 하는동행과 친교를 나누고, 온천을 이용하는 중에도 사교활동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는 이상덕(2003)의 연구에서 여가의 개념을 시간, 활동, 상태, 제도적 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그 중에 여가활동을 휴식, 기분전환, 자기개발을 위한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노인들이 온천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투자하는 시간들은 여가활동의 요소를 충분히 충족시키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온천시설에 대한 질문에서는, 54명 (53.4%)의 응답자가 보통으로, 현재시설은 70명(69.3%)이 지인의 권유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표 3] 온천시설이용에 대한 실태

    label

    온천시설이용에 대한 실태

       2. 노인의 온천시설사용에 대한 동기 분석

    노인의 온천이용 활동에 대한 동기를 분석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의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교회전(varimax)방식으로 요인을 추출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854 이상으로 높은 계수를 나타냈다. <표 4>는 노인의 온천시설 이용 동기에 대한 요인 분석과 문항의 신뢰도 분석의 결과이다. 또한, 노인들이 온천시설을 사용하는 동기에 대한 t-검증을 통한 평균값 비교의 결과는 <표 5>와 같다. 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한 결과, 노인들은 친구와의 유대(M=3.8614, p<.001), 소속감을 유지(M=3.8614, p<.001)하기 위해 온천시설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요인분석을 통해 나타난 사회적인 동기 성향이 강하게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활동은 여흥, 목욕등과 같은 개인적인 동기 외에도, 새로운 사람과의 교제와 소속감 형성과 같은 사회성을 강하게 가진 활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의 온천 활동은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여가활동 중에 하나이고, 이를 통한 생활만족도의 향상도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표 4] 노인의 온천시설사용 동기설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label

    노인의 온천시설사용 동기설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표 5] 노인의 온천시설사용에 대한 동기 분석

    label

    노인의 온천시설사용에 대한 동기 분석

       3. 노인의 온천시설이용 활동을 통한 생활 만족도 분석

    노인의 온천시설이용 활동을 통한 생활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해 생활만족도를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고, 온천이용의 동기 분석과 마찬가지로 탐색적 요인분석의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의 결과는 <표 6>과 같다. 생활만족도 설문의 요인 분석의결과, 정서적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으로 구분되고, Cronbach's α값이 .794 이상으로 생활만족도 설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표 6]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label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표 7>은 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한 결과를 t-검증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온천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묻는 문항에서, 동년배에 비해 젊어 보인다(M=3.2574, p<.001)에 대한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인분석의 결과 사회적요인항목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회적인 관점에서의 온천이용에 따른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동기와 생활만족도를 묻는 각각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여가 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8>은 회귀분석에 투입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이고, 동기1, 시간보내기(r=195)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생활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동기2, 목욕하기 r=498; 동기3, 여흥, r=439; 동기4, 건강, r=342; 동기5, 여행, r=343; 동기6, 소모임, r=409; 동기7, 친구와의 유대, r=424; 동기8, 새로운 사람과의 교재, r=590; 동기9, 소속감 r=450).

    <표 10>은 온천 시설을 사용하는 노인들의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동기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개인적동기와 사회적동기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42%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R2=.424). 온천활동에 참가한 노인들의 개인적동기(β=.176)와 사회적동기(β=.456)중에서, 사회적동기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는 노인의 사회적 동기가 높은 경우 생활만족도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이 사교를 목적으로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이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온천시설을 사용하는 여가활동이 유의미한 활동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다.

    [표 7]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label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표 8] 노인의 온천시설이용 동기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label

    노인의 온천시설이용 동기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표 9] 온천시설이용의 동기(개인적, 사회적)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label

    온천시설이용의 동기(개인적, 사회적)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표 10]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label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2. 논의

    노인의 온천시설 이용 활동을 여가활동으로 제안한 본 연구는, 박미석(2004)의 연구에서 논의된 노인의 여가에 대한 정의를 차용하여, 온천이용 활동을 여가 활동시간의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전철을 이용해서 온천을 방문하는 경우에 2시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은 온천이용을 위해 시간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노인들이 여가시간을 보내기 위한 한 방편으로 거리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조옥주(2007)의 연구에서 노인인구의 상당수가 여가활동의 참여 동기를 시간을 보내기 위한 것으로 제안하는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의 온천시설이용 실태 조사의 결과는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활동을 여가활동의 하나로 포함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렇게 시간을 할애하는 데에는 전철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시간이 무료하게 소비되는 시간이라기보다는 동행과의 친교를 위한 시간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arson(1978)에 의하면 노인의 여가를 수단적 활동, 사회적 활동, 높은 수준의 여가활동, 낮은 수준의 여가 활동으로 구분하고 있다. 쇼핑, 요리, 가사 활동과 같이 시간을 소모하기 위한 단순한 수단으로 여가를 활용하거나, 종교, 여행, 모임참여와 같은 사회적 참여를 유발하는 여가활동, 수영, 산책, 정원 가꾸기 등의 높은 수준의 여가활동, 그리고 독서, TV 시청, 음악듣기 등의 낮은 수준의 여가활동으로 구분한다. 여러 가지 관점에서 여가활동을 정의할 수 있는데, 동적이고, 적극적인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높은 수준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여가활동의 예로 노인들의 온천시설 이용 활동을 포함 할 수 있을 것이다. 온천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신체를 움직이는 활동은 높은 수준의 여가활동으로 볼 수 있고, 종교, 여행, 모임참여와 같은 사회적인 여가활동에 도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강정숙(1991)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은 보편적으로 신체단련, 기분전환, 기술향상, 친목도모, 가족과의 유대 등을 성취하기 위해 여가활동에 참가를 하는데, 이는 개인이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다양한 동기요인을 설명해 주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노인들이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동기는 개인적인 동기 성향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동기 성향 역시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의 온천시설 이용이 여흥을 즐기고 목욕이라는 온천 고유의 개인적인 목적 이외에도 친구와의 유대관계 유지와 소규모 모임의 참여 등과 같은 사회적동기가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여가활동 보다는 사회성을 강조하는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은, 노인의 온천시설참여 활동의 동기분석결과에서도 나타났는데, 이는 박수정(1996)의 연구에서 수상스포츠 참여자를 대상 중에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적 요인에 의한 참여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와도 유사한 결과이다. 사회적동기에 의해 온천활동에 참여한다는 결과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온천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이 지하철을 이용하여 충청권에 위치한 온천을 이용하는 활동은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여가활동으로 생활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Ⅳ. 결론

    본 연구는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2시간 이상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온천 시설을 이용하는 활동이 노인의 여가활동으로 포함 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통한 생활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충청권의 온천시설 두 곳을 사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무선추출법으로 120명의 노인을 표집 하였다. 통계적 분석이 가능한 101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주제에 따라, 요인분석, 빈도분석, 평균값비교,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획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온천시설이용을 여가활동으로 포함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노인들의 온천시설이용 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미 있는 시간단위를 온천 활동을 위해 사용하고, 사회적인 관계형성을 목적으로 온천활동에 참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가활동의 정의에 부합되는 내용으로 노인의 온천시설 이용을 여가활동 중의 하나로 포함시킬 수 있었다. 둘째는 노인의 온천이용에 대한 동기를 분석하였는데, 여흥을 위한 시간, 목욕, 개인의 건강유지, 시간보내기, 여행과 같은 개인적인 동기와, 새로운 사람과의 교제, 소속감, 친구와의 유대, 소모임 참석 등과 같은 사회적인 동기로 구분하였고, 사회적인 동기인 친구와의 유대, 소속감유지를 위해 온천활동에 참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인들의 온천이용활동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노인들의 생활 만족도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인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된 생활만족도에서, 동년배보다 젊어 보인다는 사회적 요인에서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를 예측하기 위한 온천 활동의 참여 동기와 생활만족도간의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사회적 참여동기가 높은 노인들의 온천시설이용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노인인구의 여가활동을 통한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사회적인 동기와 더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노인인구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교적인 성향이나 소속감을 고취시키는 것이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하였다. 노인인구가 가지고 있는 여가에 대한 인식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들이 요구하는 사회적 관계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각과 제도적, 시설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온천시설 이용이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여가활동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연구의 포괄성에 있어서,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두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수집된 자료를 결과분석 하였기 때문에 전체 온천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인구를 대표할 수 없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설문지를 이용함에 있어서 노인들의 설문지에 대한 거부감을 극복하기 위하여 조사자들이 각 문항을 설명해 주면서 자기 기입법과 대리 기입법을 혼용하여 작성하였으나 대리 기입법의 사용이 많았다. 이로 인하여 조사방법론적인 문제로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 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노인인구의 대표성을 충족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그에 따르는 조사에 있어서는 조사 방법론적으로 보다 정밀한 시도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권 욱동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3 P.33-43
  • 2. 강 인혜 (2008)
  • 3. 강 정숙 (1991)
  • 4. 김 경식 (1996)
  • 5. 김 규한 (2007)
  • 6. 김 동희, 최 미숙 (1981)
  • 7. 김 명자 (1982) [대한가정학회지] Vol.20
  • 8. 김 병문 (1997) [한국관광학회]
  • 9. 김 소영 (1992) [가정관리연구] Vol.11
  • 10. 나 상문 (2002)
  • 11. 나 항진 (2003) [노인복지연구] Vol.22 P.35-54
  • 12. 박 미석 (2004) [대한가정학회지] Vol.42 P.119-121
  • 13. 박 수정 (1996)
  • 14. 박 영철 (1980)
  • 15. 박 차상 (2003)
  • 16. 안 수민 (2004)
  • 17. 원 형중 (1994) [한국노년학] Vol.14 P.90-104
  • 18. 이 민수, 남 종원, 차 지원, 곽 동일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P.1063-1070
  • 19. 이 상덕 (200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20 P.709-720
  • 20. 이 선미 (1991)
  • 21. 이 윤정 (2003)
  • 22. 이 종길 (1992)
  • 23. 이 종영 (1992) [한국스포츠사회학회학술세미나]
  • 24. 이 철희 (1982)
  • 25. 임 번장 (1995) [한국체육학회지] Vol.34 P.56-69
  • 26. 임 재구, 김 선희 (2006)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 학회] Vol.30 P.27-37
  • 27. 장 상희 (1983) [사회조사연구] Vol.2
  • 28. 전 승범 (2006)
  • 29. 조 만태, 김 상대 (2008)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2 P.637-649
  • 30. 조 민행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P.695-707
  • 31. 조 옥주 (2007)
  • 32. 조 은주 (2008)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4 P.733-748
  • 33. 조 일형 (1990)
  • 34. 최 종환, 이 규문, 김 현주, 서 주원 (2004) [한국체육학회지] Vol.43 P.975-983
  • 35. 한 병선 (1990)
  • 36. 한 혜원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P.713-725
  • 37. 홍 성희 (1998)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15 P.253-267
  • 38. 홍 준표 (1998)
  • 39. 타카하시 아유미 (2010)
  • 40. (2008)
  • 41. (2009)
  • 42. Andorka R. (1995) Time budget and their us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13 P.149-164 google cross ref
  • 43. Breen I. Z. (1960) Handbook of social gerontology. google
  • 44. Burch W. R. (1969) The social circles of leisure: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 P.125-147 google
  • 45. Crandall R. (1979) Social interaction, affect, and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1 P.165-181 google
  • 46.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A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542-544 google cross ref
  • 47. Hammer M. (1981) Social supports, social networks and schizophrenia. [Bulletin] Vol.7 google
  • 48. Eisdorfer C., Eisdorfer M. P., Havighurst K. J. Social role, work, leisure, and education google
  • 49. Hendee J. (1969) Rural-urban differences reflected in outdoor recreation particip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6 P.181-193 google
  • 50. Kaplan M. (1960) The uses of Leisure. Handbook of Social Gerontology. google
  • 51. Kelly J. R. (1977) Leisure socialization: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9 P.121-132 google
  • 52. Kelly J. R., Steinkamp M. W., Kelly J. R. (1987) Later life satisfaction: Does leisure contribute?. [Leisure Science] Vol.8 P.190-200 google
  • 53. Knapp M. R. J. (1977) Predicting the Dimensions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31 google
  • 54. Larson R. (1978)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 [Journal of Gerontology] Vol.33 google cross ref
  • 55. Neugarten B. L.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P.134-143 google cross ref
  • 56. Omodeu M. M., Wearing A. J. (1990) Nees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in personal project: Toward and intergrative model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P.762-769 google cross ref
  • 57. Parker S. (1979) The sociology of leisure. google
  • 58. Ragheb M. G., Griffith C. A. (1981) The contribution of leisure satisfaction to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google
  • 59. Tinsely H. A. (1980) A system of Classification Leisure Activities in Terms of the Psychological Benefits od Participation Reported by Older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Vol.40 google
  • 60. Wolk S., Tellen S. (1976) Psych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Residential Constraint. [Journal of Leisure Gerontology] Vol.5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2 ]  설문지의 구성
    설문지의 구성
  • [ 표 3 ]  온천시설이용에 대한 실태
    온천시설이용에 대한 실태
  • [ 표 4 ]  노인의 온천시설사용 동기설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노인의 온천시설사용 동기설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 [ 표 5 ]  노인의 온천시설사용에 대한 동기 분석
    노인의 온천시설사용에 대한 동기 분석
  • [ 표 6 ]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 [ 표 7 ]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 [ 표 8 ]  노인의 온천시설이용 동기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노인의 온천시설이용 동기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 [ 표 9 ]  온천시설이용의 동기(개인적, 사회적)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온천시설이용의 동기(개인적, 사회적)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 [ 표 10 ]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온천시설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