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아동의 사례관리 참여를 통한 변화경험* Change in Children through Case Management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아동의 사례관리 참여를 통한 변화경험*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ositive outcomes and changes of vulnerable children in case management. For this purpose, 30 research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case management for more than one year were selected from 5 institutions that are affiliated with World Vision. Data were collected by focus group interviews.

According to the analytic results from qualitative data, we found following changes in 6 stages. First stage involves getting case management information and meeting children’s needs. Second stage is children’s trying to participate in case management and experiencing new challenges. Third stage is centered around promoting inner growth in areas of self-confidence and awareness of self-right, and building stronger family relationship and support. Fourth stage consists of having a dream for self in the future. Fifth stage involves gathering information and making plans to make the dreams come true. And at the last stage, participants follow their plan step by step everyday to fulfill their dream.

Based on these results, case management strategies for vulnerable children that aims to keep them growing were suggested.

KEYWORD
빈곤아동 , 사례관리 , 사례관리 변화경험 , 포커스그룹 인터뷰
  • Ⅰ. 서론

    최근 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 사례관리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데, 특히 아동지원과 관련된 영역에서는 빈곤지역을 중심으로 환경적 취약성을 지닌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례관리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아동 빈곤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아동 빈곤문제는 현재까지 다른 영역에 비해 사회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한 측면이 있으나 통계청(2012) 자료에 따르면 18세 미만 아동의 빈곤율은 18-64세 근로연령층의 빈곤율인 11.6%와 거의 동일한 수준인 11.5%로 집계되어(홍순혜 외, 2013), 사회복지적 차원의 지원이 요청되고 있다.

    발달단계 상 아동기는 인성의 중요한 부분이 형성되고, 또래집단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이 발달되며, 학교생활을 통해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학습능력을 함양하는 시기로서 그 중요성이 큰 시기이다. 그러나 경제적 빈곤이나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가족문제 등으로 취약한 환경 속에서 생활하는 아동은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의 부족으로 정서적 문제, 학교 적응의 어려움, 학습 부진 및 또래집단과의 관계형성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에 노출될 위험성을 안고 성장하게 된다. 실제로 아동빈곤에 대한 연구들은 빈곤한 아동들이 빈곤하지 않은 또래 아동들과 비교할 때 신체적 건강이 취약하며, 인지적 발달 지체 및 학습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고, 학업성취도가 전반적으로 낮으며, 정서적⋅행동적 문제를 드러낼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Brooks-Gunn & Duncan, 1997; Willingham, 2012; 홍순혜 외, 2013: 186 재인용). 그러므로 빈곤 문제를 지님과 동시에 이러한 개인 및 환경적 취약성을 지닌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제공해주고, 아동 및 가족체계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례관리의 필요성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현재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 사업은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빈곤 문제를 지닌 취약아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사회적 지원체계로서 공식적인 자리매김을 해나가고 있다.

    지역사회 내에서 빈곤문제에 기인한 다양한 환경적 취약성을 지닌 아동을 지원해주는 기관으로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곳으로는 월드비전, 굿네이버스,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드림스타트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기관 산하의 지역사회복지관이나 아동 및 가족지원센터 등에서는 빈곤지역 취약계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대상자를 발굴하고, 아동과 그 가족의 다양한 욕구를 사정하며,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관들에서는 사례관리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각 기관의 이념과 가치에 기반을 둔 사례관리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천 현장에 적용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강점관점과 가족중심의 실천에 기반을 두고,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개발하고 동원하여 사례관리 대상 아동과 그 가족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는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 사례관리를 실시하는 점이 이 기관들의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월드비전, 2010; 굿네이버스⋅한국사례관리학회, 2010; 우리아이희망네트워크, 2010; 보건복지부⋅한국청소년상담원⋅드림스타트사업지원단, 2009, 보건복지부, 2011 등).

    이러한 실천현장의 노력에 힘입어 빈곤아동 대상 사례관리 서비스는 현재 아동복지 영역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과거 어느 때 보다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에 박차가 가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주어졌을 때 아동과 그 가족의 삶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사례관리를 통해 아동과 그 가족에게 어떤 긍정적인 변화가 초래되는지에 대한 관심이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천 현장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아동에 대한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천현장은 인력에 비해 많은 사례수를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 속에서 서비스 제공 자체에 사례관리자의 일차적 역할을 두고 있어, 사례관리의 결과 아동과 그 가족의 삶에 어떤 긍정적 변화가 도출되는지에 관해서는 실제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례관리를 주제로 한 최근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특정 대상이나 특정 영역에 사례관리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와 사례관리를 수행하는 실천가의 경험을 다룬 연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강점관점에 근거한 사례관리 실천 및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Sulivan & Fisher, 1994; Standard, 1999; Bjorkman⋅Hansson⋅Sandlund, 2002; 박정임, 2002; 노혜련⋅유성은, 2007; 한혜경, 2009; 노혜련⋅박화옥⋅유서구, 2011; 류승용, 2011), 정신보건분야의 ACT와 같은 특정 모델의 사례관리 적용에 관한 연구(하경희, 2010), 그리고 사례관리자를 대상으로 사례관리실천 경험에 관해 분석한 연구(정순둘⋅이선희, 2010; 최지선, 2010; 하경희, 2010; 함철호⋅이기연, 2011; 노혜련⋅박화옥⋅유서구, 2011; 남기민⋅방혜선, 2012) 등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례관리의 결과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의 삶에 어떤 긍정적 결과가 도출되는지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노인을 대상으로 사례관리의 효과성에 관해 분석한 연구가 다소 있으나(한혜경, 20009; 이기영⋅배은석⋅박해긍, 2011; 최윤정⋅원미라, 2012), 이는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몇 개의 척도를 통해 사례관리서비스를 받기 전과 후에 클라이언트가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에 관해 분석하고 있어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사례관리서비스의 과정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지, 어떤 긍정적 효과가 있는지 에 관해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사례관리를 주제로 질적연구를 수행한 연구들도 대개 사례관리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사례관리 업무를 수행하면서 느끼는 부분들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관점을 반영하여 사례관리 서비스를 받는 클라이언트가 사례관리 경험을 어떻게 이해하며, 어떤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사례관리 서비스에 대한 경험을 주제로 다룬 연구로는 빈곤 여성 가구주를 대상으로 한 연구(노혜련⋅유성은, 2007), 빈곤부모 역량강화 경험연구(허남순 외, 2012) 등이 있기는 하나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사례관리 서비스를 받는 취약계층 빈곤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관점에서 이들이 사례관리서비스를 받으며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지에 초점을 둔 연구는 더욱 찾아보기 힘든 실정인데, 이에 대한 주제를 다룬 연구로는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2011)에서 사례관리 사업의 성과를 평가한 보고서가 유일하게 발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례관리서비스를 이용하는 주체인 취약지역 빈곤아동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서비스를 받은 이후 아동과 그 가족의 삶에 어떤 변화가 초래되었는지에 관해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포커스집단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아동의 개인적 측면과 학교생활을 포함하는 사회적 및 발달적 측면, 그리고 가족적 측면에서 사례관리 서비스를 받은 이후 어떤 긍정적 변화가 있었는지에 관해 조사하여 빈곤지역 취약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의 긍정적 성과가 무엇인지에 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빈곤지역 취약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사회복지실천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사례관리의 긍정적 결과가 무엇인지를 서비스 이용주체인 아동의 관점에서 규명하여 향후 사례관리가 지향해야할 지향점이 무엇인지에 관한 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대상 국내 사례관리사업의 개념과 특성

    사례관리는 복합적, 지속적이며, 만성적인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적 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사회 내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자원체계를 동원하여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체계에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이다. Moxley & Buzas(1989)는 사례관리란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사람들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복지를 위해 공식적, 비공식적 자원과 활동의 관계망을 조직, 조정, 유지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전미사회복지사협회(NASW, 1996)에서는 서비스 전달체계의 요소들을 연결하고 조정하는 것을 통하여 개인의 보호를 위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기제로 사례관리를 정의하고 있다. 사례관리는 초기에는 중증장애인이나 정신장애인 등이 지역사회에서 생활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주기 위한 실천 방안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아동, 청소년, 장애인, 노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취약한 환경이나 복합적 욕구와 문제를 지니고 있는 클라이언트를 지속적으로 지원해주기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는 주로 빈곤지역의 취약한 가족환경을 지닌 아동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내의 복지관이나 아동 지원을 위해 설립된 센터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보다 전문화된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현장을 중심으로 더욱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동을 대상으로 이러한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의 대표적 단체나 기관들에 의해 실시되는 사례관리 서비스의 목적 및 실천원칙과 주요 서비스 내용 등에 관해 살펴보면 <표 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표 1>] 아동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기관들의 사례관리 실천원칙 및 주요 내용

    label

    아동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기관들의 사례관리 실천원칙 및 주요 내용

    이상에서 제시된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의 대표적 사례관리 사업들을 종합해볼 때 아동 대상 사례관리에서 중시하는 현재 동향은 다음과 같이 분석될 수 있다. 첫째, 사례관리의 대상은 빈곤 및 취약계층의 아동과 가족이며, 사례관리의 대상을 아동 개별체계에 국한시키지 않고 아동이 속해있는 가족체계를 사례관리의 주요 대상으로 포함시키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둘째, 사례관리의 주요 원칙 및 근거이론으로 생태체계 관점뿐만 아니라 강점관점이 함께 중시된다는 것이다. 특히 강점관점은 빈곤이나 질병문제, 보호체계의 결여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가 지니고 있는 환경적 취약성을 상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개인적 자질이나 가족의 건강한 특성, 그리고 지역사회가 구축하고 있는 지지망 등을 더 찾아내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아동 사례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사례관리에서 지역사회의 자원 활용과 자원 간의 네트워킹을 중요시한다는 것이다.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사례관리를 하고 있는 기관들에서는 기관에서 줄 수 있는 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욕구충족을 위해 타기관과 연계하거나 지역 내의 자원을 개발하는 업무를 최근 더욱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넷째, 사례관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이 포괄적이며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아동과 가족에 대한 기본적 일상생활 지원, 건강지원, 학습지원, 가족 문화활동지원 등 사례관리 서비스의 내용이 복합적이고 다양한 아동과 가족의 욕구를 포괄할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궁극적 목표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제공되는 서비스의 개별화를 중시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례관리에서 가능한 획일적 서비스나 프로그램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지양하고, 아동과 가족에게서 파악된 개별적 욕구를 충분히 사정한 후, 이러한 욕구에 기반을 둔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사례관리실천의 중요한 원칙으로 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현행 사례관리의 특징은 이상과 같이 집약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에 따라 제공되는 사례관리 서비스를 통해 취약한 환경에서 성장하는 아동과 그 가족이 어떤 긍정적 변화를 보여주는지에 대한 관심이 현장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2. 사례관리를 통한 클라이언트 변화에 관한 선행연구

    사례관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클라이언트가 어떤 긍정적 변화와 성장을 경험하는가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례관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데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이는 사례관리의 효과 및 성과개념과도 연결되는데, 사례관리에서 성과란 사례관리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례관리를 통해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 그리고 궁극적으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가 달성되었는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특히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관리에서 성과에 대한 지향은 단순히 현재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아동기’라는 발달단계가 갖는 특성에 기반을 두고,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발달적 측면에서의 아동의 신체적, 정서적 및 사회적 성장이라는 관점이 고려되는 것이 중요하다.

    사례관리는 복합적이고 만성적인 욕구를 지닌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례관리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욕구들이 어떻게 해소되고 어떠한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관심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실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례관리가 매우 활성화되어 있는 것에 비해 사례관리를 통한 변화가 어떤 영역에서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에 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 연구물은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 다시 말해, 사례관리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이 되고 있지만 이를 통해 어떤 변화가 초래되는지에 대한 관심이 연구를 통해 구체화된 예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아동에 대한 사례관리를 주제로 한 기존 연구들은 미국이나 뉴질랜드 등에서 이루어지는 아동에 대한 사례관리를 소개하거나(이주연, 2011; 김미숙, 2011), 한국의 지역사회현장에서 강점관점 통합사례관리모델을 아동과 그 가족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거나(류승용, 2011), 또는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 방안을 제안(공계순⋅서인해, 2009) 하는 등의 사례관리의 개념이나 방법적 적용에 대한 내용을 담고있는 경우가 많은 것이 아동 사례관리 연구의 현주소이다. 이들 연구들을 살펴보면,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실제 실시되고 있는 통합사례관리사업을 소개한 연구에서는 강점관점과 가족중심의 실천이 사례관리의 주요한 기반이 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아동에게 뿐만 아니라 가족전체를 대상으로 필요한 자원을 연계해주고, 가족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사례관리의 전문성이 확장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류승용, 2011). 또한 지역사회 내 저소득층이나 취약계층의 아동들이 주요 이용대상자가 되는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한 사례관리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에서는 아동 및 가족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 아동 및 가족의 욕구에 기초한 개별화,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연속적인 보호, 아동 및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 강점관점 등이 사례관리의 주요 방향으로 제시되었다(공계순⋅서인해, 2009). 이는 강점관점과 가족중심의 실천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의 핵심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가 됨을 확인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이 밖의 연구로 사례관리의 성과나 효과성을 다룬 연구에는 정신장애인이나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강점관점에 기반 한 사례관리의 성과에 관한 연구(Bjorkman⋅Hansson⋅Sandlund, 2002; 한혜경, 2009)와 학대나 방임 등 특수한 경험을 한 아동 대상의 사례관리 효과성에 관한 연구(Congdon, 2010) 등이 있다. 강점관점을 적용한 재가노인 대상의 사례관리의 효과성을 살펴본 연구에서 6개월 이상 동안 실시된 사례관리서비스는 비록 노인의 일상생활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는 유의미한 효과성이 없었지만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는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한혜경, 2009). 또한 국외연구로 정신질환과 사회적 접촉에 심각한 장애가 있는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강점모델을 적용한 사례관리와 일반 사례관리의 효과성을 비교한 연구에서 강점모델의 사례관리 서비스를 받은 집단이 일반 사례관리를 받은 집단보다 병원 입원 일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강점관점 사례관리가 정신질환이 있는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에서 더욱 효과성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Bjorkman⋅Hansson⋅Sandlund, 2002). 학대나 방임으로 인해 사례관리 서비스를 받게 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정신건강 향상을 지향하는 집중적 사례관리 서비스를 받은 아동집단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치료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더 좋은 성과를 보여주었으며, 집중적인 사례관리 서비스를 받은 결과 문제해결과 관련된 발달적 기술이 더 향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Congdon, 2010). 이 같은 연구들은 강점관점에 기반 한 사례관리와 명확한 목표를 지닌 집중적인 사례관리가 일반 사례관리에 비해 더 좋은 성과를 내는 것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한편, 소수이지만 빈곤의 문제를 지닌 일반아동 대상 사례관리를 통해 어떤 긍정적 변화나 효과 및 성과가 있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 저소득층 아동들의 건강하고 건전한 발달을 도모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여 건강, 보육 및 교육, 복지의 세 영역에서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 위스타트 사업의 성과를 평가한 연구에서 위스타트 사업에 참여해 서비스를 제공받은 아동집단이 비교집단의 아동집단에 비해 개인적 측면에서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하였으며, 심리적으로 우울 및 불안의 정도가 더 낮았고, 사회적 및 발달적 측면에서는 사회적 위축 정도가 더 낮고, 학교생활과 관련한 학습습관이 더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홍순혜 외, 2013). 이 연구에서 아동의 학습습관은 숙제를 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을 때 포기하지 않으려 노력하고, 예습과 복습을 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사례관리가 아동기 학교생활에서 중요한 긍정적 학습태도를 증진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가족적 측면에서는 이러한 아동을 양육하는 주 양육자 집단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양육스트레스와 무망감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나 아동에게 뿐만 아니라 가족차원에서도 긍정적인 사업의 성과가 나타남이 발견되었다(홍순혜 외, 2013). 그러나 이 연구에서 아동에 대한 사례관리 사업의 성과는 양적 측면으로만 측정되어 구체적으로 아동이 체감하는 긍정적 변화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는 다소 제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2011)에서는 희망센터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한 아동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이용자 측면에서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개인적 측면에서는 심리⋅정서적 안정과 변화, 적극적⋅긍정적 성격으로의 변화, 자신감⋅능력감의 향상, 아동의 힘과 자조능력의 향상 등과 같은 변화가 있었으며, 사회적 및 발달적 측면에서는 학업능력의 향상, 사회적 기술의 향상, 또래관계 향상 등의 영역에서 긍정적 변화가 있었음이 보고되었다. 구체적으로 멘토 선생님과 함께 공부하거나 공부방을 다닌 것이 학업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희망센터에 다니면서 친구들과 더 잘 어울리게 되고, 다른 사람과 교제하고 사귀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다(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2011). 또한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가족적 측면에서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분석결과 가족의사소통의 개선, 형제자매관계의 개선, 가족관계의 개선, 아동보호와 양육기능의 향상 등의 영역에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어(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2011), 사례관리의 긍정적 성과가 아동의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가족차원에서도 발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스타트 사례관리 대상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에서도 가족적 측면에서 사례관리를 통해 아동의 부모들이 희망을 가지고 자녀를 양육하게 되고, 자녀와의 관계가 개선되는 등과 같은 긍정적 변화가 부모 역량강화 경험의 한 측면으로 제시되어(허남순 외, 2012), 사례관리의 긍정적 성과가 가족차원에서도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주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례관리를 통한 빈곤아동의 개인적⋅사회적 및 가족적 측면에서의 긍정적 변화를 다룬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여 이에 관한 연구가 더욱 축적되어질 필요성이 있다.

    1)이 사업은 2006년 8월 보건복지부의 ‘희망스타트’ 사업시행 발표로 시작되었으며, 2008년 7월 ‘희망스타트’에서 ‘드림스타트’로 사업명칭을 전환함에 따라 현재 드림스타트 사업으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Ⅲ.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빈곤 문제를 지닌 취약아동이 사례관리에 참여함으로써 어떠한 성장(growing)의 변화가 있는지를 아동의 관점에서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포커스 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집단인터뷰는 주어진 주제에 대해 경험, 지식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인터뷰를 활용하는 연구방법으로, 개개인의 참여자들이 집단 안에서 자신의 관점, 인식, 경험 등을 자유로이 표현하고 토론하도록 섬세하게 디자인 된 질적 연구방법(qualitative research method)이다(Patton, 1990). 포커스 집단인터뷰의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집단 안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역동때문에 개별 인터뷰에 비해 더 깊고 풍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Thomas et al., 1995; Rabiee, 2004:655-656 재인용). 이에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포커스 집단인터뷰의 심층성과 경험적 자료의 충분성을 확보하고, 본 연구의 목적인 사례관리 경험을 통한 아동의 성장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와 요소들을 준수하였다.

       1. 연구 참여자 선정 및 포커스 집단 구성 방법과 윤리 준수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위한 참여자 선정의 가장 중요한 요건은 연구자가 집중하고 있는 주제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험, 지식, 전문성 등을 갖추고 있는가이다(Rabiee, 2004; Kruegar & Casey, 2000).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집단의 참여자 선정 기준을 월드비전 사례관리가 수행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과 복지관보다는 작은 규모이지만 지역사회 내에서 빈곤가족을 지원하는 가족지원센터인 FDC(Family Development Center)의 사례관리에 참여한 기간이 1년 이상이고, 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사례관리에 참여한 아동 및 청소년2)으로 하였다. 월드비전(2010)은 모든 아동은 풍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아동의 권리와 가치를 존중하는 이념 하에 아동과 가족의 복지 향상, 아동의 능력강화, 아동관계성의 건강한 변화, 아동과 상호작용하는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 아동을 위한 제도와 사회구조의 변화를 지향하는 것을 목적으로 아동 대상 사례관리 실천을 수행하는 대표적 기관이므로 이 기관에서 실시하는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아동을 인터뷰 참여자로 하였다.

    또한 인터뷰 참여 대상이 모두 아동, 청소년기에 있는 미성년자들이므로 모든 인터뷰 예비 대상자들과 보호자들에게 담당 사례관리자가 본 연구의 취지와 연구 질문에 대해 설명하고 이들 중 보호자의 동의가 이루어진 자들에 한하여 본 인터뷰에 참여케 함으로써 미성년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이고 보호적인 요소를 준수하고자 하였다. 포커스 집단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참여자들의 동질적인(homogeneous)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연령, 언어적 능력, 연구자의 통제능력 등을 고려한 7-12명 정도의 참여인원을 권장하며, 포커스 집단의 양(量)은 연구의 이론적 포화(theoretical saturation)를 담보할 수 있는 정도로 보통 3-5개 정도의 그룹을 구성하는 것을 요구한다Kruegar & Casey, 2000). 본 연구는 이론적 포화를 위해 월드비전이 전국적으로 사례관리를 실시하는 지역을 4개 권역(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강원권)으로 구분하고, 수도권 2개 기관을 포함한 총 5개 기관을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위한 집단을 구성하였다. 각 집단별 인터뷰 참여자는 아동의 연령과 상황을 고려하여 5-7명 정도로 구성하였으며, 5개 집단에서 총 30명의 아동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의 연령은 11세∼18세로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로 구성되었으며(초등학생 10명, 중학생 15명, 고등학생 5명),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기간은 최소 1년∼최대 7년까지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2>에 제시하였다.

    [<표 2>]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label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2. 자료수집과 분석

    포커스 집단인터뷰는 각 지역별로 2명의 연구자가 해당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진행하였으며, 기관 사례관리자의 협조를 얻어 기관별로 각각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의 인터뷰가 자유롭고, 외부로부터 방해되지 않도록 인터뷰 과정에 보호자, 사례관리자들의 관찰과 관여를 배제하였다. 인터뷰 소요 시간은 모든 포커스 집단에 동일하게 3시간을 계획하여 진행하였으며, 포커스 집단인터뷰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은 72시간 내에 모두 녹취로 풀어 연구 자료의 현장성을 높이고 진술내용의 왜곡을 최소화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모든 내용은 세분법으로 분석하여 일차적으로 진술된 경험의 의미(meaning)를 찾고, 각각의 의미를 범주화한(categorizing) 후, 각 범주를 분류하여 참여자들의 사례관리를 통한 변화 경험을 시간 흐름에 따라 구조화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내용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1차 및 2차에 걸쳐 분석된 내용을 2명의 연구자가 교차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각 범주 구성 및 경험을 구조화하는 과정에서도 이러한 교차 확인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도출된 참여자들의 경험구조가 이들의 진술내용과 그 의미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3. 연구 질문

    포커스 집단인터뷰에서 사용된 연구 질문은 사례관리서비스 참여 이후 아동 및 가족이 변화된 점이 무엇인지, 개인적 및 가족적 측면에서 가장 도움이 된 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사례관리자와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관해 아동의 구체적인 경험과 생각을 묻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 질문 내용은 <표 3>에 제시하였다.

    [<표 3>] 포커스 집단인터뷰 질문내용

    label

    포커스 집단인터뷰 질문내용

    2)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법의 규정에 근거하여 18세 이하의 사례관리서비스 이용자를 모두 아동으로 보았으며, 이에 고등학교 재학 중인 참여자들도 아동으로 간주하여 연구 참여자에 포함시켰다.

    Ⅳ. 연구 결과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집단인터뷰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는 <표 4><표 6>에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연구 질문에 따라 월드비전을 이용하게 된 계기 및 과정, 월드비전 사례관리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경험으로서 개인적 및 가족적 측면에서 도움이 된 점과 참여자가 인지한 긍정적 변화의 가장 중요한 도움 요소를 중심으로 한 사례관리 참여경험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1. 사례관리 이용과정

    아동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과정(연구질문 1)은 <표 4>와 같이 분석되었다.

    [<표 4>] 아동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과정

    label

    아동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과정

    클라이언트가 사례관리에 처음 접근하게 된 계기와 서비스 동기를 이해하는 것은 클라이언트의 자발성과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늠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바로미터이다. 참여아동들은 자신의 거주 지역에 소재한 복지관/FDC를 이용하게 된 계기를 ‘보호자의 권유’, ‘사례관리자 선생님의 방문과 권유’에 의한 것으로 진술하였다. 그 이유는 사례관리를 처음 접할 시기에 참여아동 대부분이 초등학교 저학년이어서 보호자나 어른들의 결정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렇게 어른들의 결정에 의해 사례관리에 접한 참여아동들의 경우 ‘엄마가 다니라고 해서 그냥....(아동 C-1)’, ‘선생님이 (복지관에) 나오면 재밌다고 해서 (아동 T-4)’ 등 자신이 왜 사례관리서비스를 이용해야하는 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지 못하거나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기관을 이용하는’ 정도의 동의로 시작하였다.

    한편, 참여아동들 중에는 나이가 어리긴 하지만 자신이 스스로 결정해서 복지관/FDC를 찾아온 경우도 있었다. 자신의 선택에 의해 사례관리에 참여하게 된 참여자들은 대부분 ‘심심해서(아동 S-1)’, ‘혼자 있는 게 싫어서(아동 T-2)’, ‘본인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S-4, M-2))’, ‘친한 친구랑 함께 있으려고’ 등의 이유들을 진술하였다.

       2. 아동 변화경험

    사례관리 참여를 통한 아동의 변화경험(연구질문 2)은 <표 5>와 같이 분석되었다.

    [<표 5>] 사례관리 참여를 통한 아동의 변화

    label

    사례관리 참여를 통한 아동의 변화

    자신에 대한 자신감

    복지관/FDC의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아동이 인식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소심한 성격이 활발한 성격으로 변화’한 것, ‘이전 보다 생활 전반에 자신감이 생긴 것’, ‘자신의 권리에 대해 인식을 갖게 된 것’ 등 자신의 성격이 이전보다 훨씬 활발해지고 자신감이 생긴 것이었다. 이는 아동이 단순히 내적인 문제상태에서 치료적으로 기대하는 변화를 넘어서 ‘역량’, ‘자질’적인 측면에서의 성장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이러한 내적 성장이 다음 하위범주에 제시될 행동변화 및 자신의 미래에 대한 기대감과 노력이라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험은 아동이 사례관리를 통해 이전의 위축되고 무기력한 상태에서 벗어나 활기와 자신감을 찾고, 자신의 장래 꿈을 새로 품음으로써 미래를 희망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아동의 내면에 형성되기 시작한 것을 증명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미래 꿈을 갖게 됨

    인터뷰 참여아동들은 한 결 같이 자신에게 꿈과 진로에 구체적인 목표가 생긴 것을 자랑스럽게 강조하였다. 이들은 사례관리를 통해 자신의 강점과 관심사를 인지하게 되었으며, 사례관리자와 함께 계획한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신만의 꿈’을 찾게 되었다고 진술하였다. 아동들은 ‘꿈’을 갖게 됨으로써 이들의 일상생활과 발달상에 요구되는 다양한 과업에 대해 ‘내가 왜 이것을 해야 하는지?’, ‘내가 무엇을 위해, 지금 어떠한 것을 결정하고 노력해야할 것인가?’ 등을 생각하고 계획을 갖게 되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변화와 성장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권리를 위한 행동

    아동들은 사례관리 참여과정을 통해 자기 주장성 및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 방법을 행동으로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이전에 다른 사람과 다른 의견이 있어도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거나, 자신이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것에 대해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던 반면, 자신감, 꿈을 갖게 됨으로써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의식과 고민을 하는 동시에 자신의 권리뿐 아니라 다른 아동들의 권리를 인정하고 수용적인 태도로 성장하는 면들이 나타났다.

    주어진 일에 자발적인 노력을 시작함

    참여아동들은 사례관리에 참여하면서 스스로 공부를 하고자 하는 마음, 아동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따라 하고 싶은 활동을 탐색하고 참여하고자 노력하는 등 자신에게서 많은 성장이 있었음을 진술하였다.

    특히 복지관/FDC에서 함께 공부를 하거나 축구, 캠프참여 등 각 또래들이 선호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아동들의 내적인 역량을 더욱 강화하는 선순환적인 성장뿐 아니라, 또래, 가족 등과의 사회적 관계를 돈독하게 하고, 더 넓은 사회관계로의 확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잠재력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진술되었다.

    꿈을 위한 노력

    ‘꿈’은 진로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는 중학생 이상의 아동에게서 더욱 명확하게 인식되고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 예로 아동들은 ‘이전의 무기력한 상태에서 벗어나 학교생활을 열심히 하려고 노력하게 된 것’, ‘자신의 꿈에 대해 알게 되고, 더 나아가 꿈을 이루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까지 더 구체적으로 생각하게 된 것’ 등과 같은 자신의 성장적인 변화에 대해 스스로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그 결과 일부에서는 성적이 향상되거나 자신이 관심 있는 특정분야의 기술이 향상되는 것 등과 같은 생활에서의 성과를 경험한 아동들도 있었다.

    친구 어울림에 대한 자신감

    복지관/FDC의 사례관리 참여 후 자신이 변화한 것이 무엇인지에 관한 진술에서 아동들은 ‘친구관계가 좋아졌다’, ‘애들과 친해지는 것이 자연스러워졌다’, ‘모르는 아이들에 대한 거부감, 두려움이 감소’된 것 등 또래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나 낯선 마음들을 극복하고 기존의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하는 관계 기술과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친하지 않았던 친구와도 사귀게 됨’, ‘형들과 어울리게 된 것’ 등 관계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지속적인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결과 아동기의 중요한 과업 중의 하나인 또래집단과의 관계 형성이 긍정적으로 성장한 것으로, 또한 그 과정에서 또래집단과 사회적 관계를 맺는 기술이 향상되는 사회성의 증진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가족어울림의 성장

    참여 아동들은 도움(사례관리)을 받으면서 자신뿐 아니라 가족에게서도 ‘좋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아동들이 느끼기에 가족이 이전 보다 더 화목해지고, 대화가 많아졌으며, 더 친근하게 느껴지고, 함께 하는 시간이 더 많아진 것을 주요 변화로 언급하였다. 또한 보호자가 이전 보다 다정하게 대해주고, 칭찬을 많이 해주는 등 보호자가 자신을 대하는 태도가 긍정적으로 달라졌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가족의 ‘좋은 변화’는 아동들에게도 가족에 대해 친밀한 유대감을 갖게 하고 형제를 배려하고 양보하는 마음을 갖게 하였으며 더 나아가 예전에는 자신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했던 청소, 설거지 등 가사일에 보호자를 도와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자발적으로 돕는 행동을 하는 등의 변화를 보임으로써 결과적으로 가족 내 상호 이해와 협력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사례관리에 참여한 아동들의 변화에는 중요한 두 가지 원리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는 아동의 내적 변화와 이를 통해 도미노처럼 연쇄적으로 진행되는 심리적, 행동적, 사회적 ‘성장’ 요소이다. 즉, 자신감이 새로운 참여의 기회를 활용하게 하고, 이러한 참여를 통해 가족, 또래 안에서 지속되었던 소외와 소통의 단절을 극복함과 동시에 ‘돈독한 관계’, ‘서로 이해하고 칭찬하는 관계’, ‘나도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긍정적인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와 더불어 주목할 것은 이러한 긍정적 변화들이 아동들에게 ‘꿈’으로 응집되었다는 것이다. 아동들에게 ‘꿈’은 ‘무엇을 하고 싶다’라는 욕구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라는 기대감을 갖게 함으로써 비록 빈곤이나 자신의 취약한 환경 여건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더라도 자신을 위해 주체적으로 미래를 위한 계획과 구체적인 방법을 탐색하고, 참여케 하는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3. 아동이 인식한 변화의 중요한 도움 요소들

    사례관리에 참여한 아동들이 진술한 변화의 중요한 도움 요소들(연구질문 3)은 다음의 <표 6>과 같이 분석되었다.

    [<표 6>] 사례관리의 직접적인 변화 도움 요소

    label

    사례관리의 직접적인 변화 도움 요소

    나를 절대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해주는 사례관리자 선생님

    아동들은 사례관리 참여를 지속하고 자신들의 변화에 가장 중요한 도움이 되었던 요인으로 ‘친절하고 다정한’ 사례관리자를 강조하였다. 사례관리자의 친절하고 다정함이란 ‘아동의 의견을 존중’ 해주고, ‘아동들이 필요할 때 짜증내지 않고 충분한 설명을 제공해주며’, ‘칭찬을 해주는 것’으로 아동들은 설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사례관리자의 일관되고 지지적인 태도가 아동들이 사례관리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데 긍정적인 경험으로 작용함을 깊이 인식하고 있었는데, 결과적으로 아동이 인식한 사례관리자의 태도, 반응 그리고 관계 방식이 아동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을 지속하고 성장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원동력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례관리자들의 태도는 아동들에게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않은 ‘새로운 어른의 모습’, ‘내가 따라가고픈 성숙한 모습’의 모델이 되었으며, 이러한 ‘지지적인 관계’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경험은 아동들에게도 ‘나도 저렇게 해야겠다’는 ‘따라함’을 통해 자신보다 약한 동생이나 할머니, 어머니 등 가족을 돕고, 복지관/FDC에서 적응을 어려워하는 동생들에게 따뜻한 선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흥미와 재미

    아동들의 연령 특성상 사례관리 목표 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참여의지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가 흥미와 재미인 것으로 진술되었다. 대부분 아동들은 한부모 혹은 조손가족이었으며, ‘돈이 없음’, ‘가족원들이 서로에게 지쳐있음(exhausted)’, ‘아무런 추억이 없음’, ‘심심함’에 익숙한 상황이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월드비전 사례관리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이유는 사례관리자가 아동에게 관심을 표현하고. 아동 자신과 유사한 흥미, 관심사를 가진 또래아동들과 어울리면서 여러 가지 활동들을 할 수 있는 ‘흥미’와 ‘재미’의 기회를 만들어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사례관리를 통한 아동의 변화 경험구조 통합분석

    이상과 같은 포커스 집단인터뷰 결과에 대한 분석 내용을 종합해보면 아동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에 대한 경험구조는 시간 흐름에 따라 다음의 <그림 1>과 같이 6단계의 과정적 절차로 그 특성을 분석해볼 수 있다.

    6단계로 분석된 아동의 변화 경험구조의 첫 단계는 아동과 그 가족이 복지관/FDC를 통해 사례관리에 대한 정보를 접하게 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단순히 지역주민이었거나 소외계층이었던 아동과 그 보호자가 사례관리자와의 만남을 갖게 되고, 사례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동과 그 보호자는 사례관리자와 초기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에 대한 잠재적 클라이언트가 된다.

    두 번째 단계는 아동들이 사례관리 파트너로서 사례관리자와 상호 관계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 과정에서 아동들은 대부분 부모나 보호자의 권유, 혹은 자신의 자발적인 결정으로 복지관/FDC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단계는 아동이 성장하고 역량이 강화되기 시작하는 단계로써 아동의 사례관리 참여를 통해 새로운 관계들, 새로운 자기인식 및 새로운 흥미와 재미를 경험하는 단계이다. 다시 말하면 다양한 변화들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의미 있는 경험구조로서, 이 단계에서 아동은 사례관리자와의 관계를 통해, 친절, 믿음, 신뢰, 보호, 서로 도움, 이해받음과 같은 긍정적인 경험을 축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러한 경험은 아동의 자기관리 및 학교생활 영역에서 자신의 책임을 다하려고 노력하는 모습과 새로운 친구관계로 확장되고, 복지관/FDC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문화체험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험을 하면서 이 과정을 통해 예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자신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새롭게 경험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세 번째 단계에서의 아동의 내적 성장은 다시 가족관계 전체의 변화로 이어짐으로써 아동의 사례관리를 통한 긍정적 변화 경험 및 사례관리자와의 신뢰와 지지적 경험이 가족체계로까지 확산되고 안정화되는 현상이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즉 보호자가 아동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양육태도로 변화하였으며, 가족들의 친밀감과 지지기능의 향상, 그리고 이러한 가족의 변화가 아동들에게도 명확하게 인식되고 가족 내에서 가족원들이 지속적으로 함께 상호작용하면서 아동은 천천히 네 번째 단계의 성장으로 진입하게 된다.

    네 번째 단계는 아동의 내적인 성장과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단계로서 ‘꿈을 갖게 되는 단계 ‘이다. 이 단계에서 아동은 자신의 미래의 역할과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것을 상상하고 이해하고자 할 뿐 아니라 자신의 권리, 스스로의 결정에 대한 책임성들을 경험하거나 학습하기도 하고, 자신의 꿈, 진로를 찾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고 새로운 기회에 참여하는 등 더욱 구체적인 가능성을 탐색, 참여해나가는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섯 번째 단계는 아동이 ‘주체화’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아동들은 스스로 숙제를 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들을 수행해 나가며, 사례관리자에게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인식과 의지를 전달함으로써 자기결정능력과 자신감 등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욱 성장해가는 변화를 보여 주었다. 또한 또래집단과의 관계에서도 아동은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기술과 유지하는 기술, 그리고 리더십을 발휘하는 등의 사회적 역량이 점차 증진되어 가는 것으로 진술하였는데, 이러한 변화는 아동들이 발달단계에서 충분히 경험되고 지지되어야할 또래 과업들을 달성하게 되는 중요한 성장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아동들이 자신의 꿈을 위해 하루하루 계획된 과업을 수행하고, 자신이 선택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꾸준하게 미래와 꿈을 위해 노력해 가는 현재까지의 진행단계가 바로 여섯 번째 단계이다.

    이상과 같이 여섯 단계로 구성될 수 있는 아동의 성장과정은 현행 아동 대상 사례관리체계가 중시하는 가족중심 원칙, 강점중심 원칙이 반영된 결과로서, 이는 아동들이 자신감을 증진하고, 사회적 능력을 증진하며, 자신의 잠재력과 재능을 찾고 수용하는 등의 자기 탐색적인 기회를 제공하여 아동의 내적 및 사회적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시에 아동 및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는 아동 가족의 친밀감을 증진하고,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등 가족체계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데도 긍정적 기여를 하였다.

    빈곤과 같은 아동과 보호자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환경적 한계는 아동이 내적 역량을 강화하고 자신의 미래에 대한 꿈과 비전을 가지며, 이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기 시작하는 전환점이 마련됨으로써 서서히 극복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본 연구 결과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빈곤⋅취약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해온 아동 사례관리가 아동과 그 가족의 삶에 어떤 긍정적 변화를 초래하는지에 관해 사례관리서비스를 이용하는 아동의 경험을 조명하여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서비스는 아동의 자신감, 적극성, 꿈, 또래집단과 어울리는 능력, 리더십 등과 같은 내적 및 사회적 자질을 길러주고, 가족관계에서 대화가 더 많아지고, 함께 하는 활동이 많아지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등과 같은 건강한 가족기능을 증진시켜주는 데 긍정적 기여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사례관리서비스의 긍정적 성과에는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사례관리자가 보여주는 지지와 이해, 배려와 존중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적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아동과 그 보호자가 수동적 입장에서 주어지는 서비스를 받는 것이 아니라 자기결정권을 행사하고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 사례관리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도출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이와 같은 사례관리를 통한 긍정적 변화들을 단계별로 구조화시켜 분석한 결과 사례관리의 성과는 궁극적으로 아동이 꿈을 갖게 되는 것으로 집약될 수 있었다. 이는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을 통해 경험하게 된 사례관리자와의 긍정적인 관계 경험, 또래집단과의 건강한 어울림, 비전캠프, 축구 동아리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에의 참여, 그리고 아동의 일차적 보호환경이 되는 가족단위의 문화체험 등과 같은 가족지원프로그램 등이 모두 함께 긍정적 시너지 작용을 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장 발달에 긍정적 기여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결과 아동이 자신의 미래에 대한 꿈을 품게 되고, 그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내적 및 외적 동력을 얻게 되는 성과까지도 도출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지속적으로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아동의 자신감이 증진되고 또래집단과 건강한 관계를 맺는 능력이 향상되면서 아동이 매사에 더욱 적극적이 되고 밝아지는 내⋅외적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다시 아동의 변화를 지켜보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고, 한 단계 더 나아가 아동의 가족이 더 화목해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도 나타나 아동의 변화, 부모의 변화, 그리고 가족 전체의 긍정적 변화가 모두 연쇄적이며 순환적인 연결고리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아동 사례관리의 긍정적 성과는 사회 양극화 및 빈곤의 대물림이 반복되는 한국의 현 상황에서 취약계층이나 빈곤계층의 아동이 꿈을 갖기 어렵고 건강한 성장발달을 이루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점을 고려할 때 사례관리를 통해 무기력한 상태에 있던 아동이 자신감과 스스로의 능력을 인식하게 되고 미래의 꿈을 갖게 되는 상태로 변화하게 되는 매우 의미 있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사회적 지원체계가 아동의 빈곤이나 취약한 환경과 같은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 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아동과 그 가족이 경험할 수 있는 내⋅외적 경험의 내용을 긍정적이고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갖는 것으로 변화시켜 줄 수 있다면 아동과 그 가족은 스스로가 품은 꿈을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인 노력을 시도하는 단계로 동기화될 수 있고, 이는 아동과 그 가족이 지속적으로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도록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에 대한 역량강화를 중시하는 사회복지실천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사례관리자가 아동과 맺는 긍정적 관계의 질이다. 이는 아동과 그 가족이 사례관리 서비스를 신뢰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사례관리자가 클라이언트를 대하는 태도나 클라이언트가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주는 사회복지실천가로서의 역량이 사례관리 과정을 통해 아동과 그 가족의 역량강화에 긍정적 작용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동 및 그 가족과 협력적인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이들을 지지해줄 수 있는 사례관리자의 역량이 강화되는 것이 사례관리실천에서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례관리자의 역량강화에 초점을 둔 현장기반의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은 사례관리실천을 통한 아동과 그 가족의 긍정적 변화는 클라이언트의 역량강화를 중시하는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에도 부합되는 것으로서 빈곤아동 대상 사례관리가 단기간이 아니라 일정 기간 시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기대해볼 수 있는 긍정적 성과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의 방향성에 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아동 대상의 사례관리에서 가족지지체계를 강화하는 서비스의 제공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아동은 다른 어느 대상보다 앞으로의 변화가능성이 많은 장점이 있지만, 성장과정에서 가족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측면이 가장 많은 집단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아동 대상 사례관리에서는 아동이 속한 가족환경이 건강하며, 보다 아동에게 지지적인 체계로 변화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이 좋아하는 활동 및 강점을 찾고, 이를 키워주는 강점중심의 접근이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례관리자의 시각전환이 필요한데 아무리 다양하고 심각한 문제를 지니고 있는 아동이라 하더라도 그 안에 강점이 있음을 신뢰하고 이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도우며, 이를 활용한 개입을 할 때 사례관리의 긍정적 성과도 배가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사례관리자가 아동 및 그 가족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주는 개입이 이루어져야한다. 사례관리자와의 좋은 관계는 아동이 사례관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며,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는 매개체가 되므로 사례관리의 전 과정을 통해 아동 및 그 가족과 좋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례관리자는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할 것이다. 넷째, 아무리 열악한 환경 속에 있는 클라이언트라 할지라도 그들이 지닌 내면의 꿈과 비전을 발견하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미래지향적인 개입이 아동 사례관리의 중요한 측면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즉, 빈곤과 열악한 환경으로 꿈을 갖거나 비전을 품기 어려운 아동들이 사례관리를 통해 개인적, 가족적 및 사회적 변화과정을 경험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꿈과 비전을 갖게 되는데, 아동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례관리자는 이러한 지속적 변화 과정의 협력적 동반자로서 필요한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사례관리자는 아동과 그 가족의 당면한 문제해결에만 초점을 두기 보다는 이들이 사례관리 과정을 통해 심리사회적 및 가족적 측면에서 긍정적 자질을 향상시키고, 성장하며, 미래의 꿈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데 초점을 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빈곤아동 대상 사례관리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인 사례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사례관리의 긍정적 성과는 단기적으로 나타나기 어려우며, 사례관리를 통해 아동과 그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들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때 나타날 수 있는 것이므로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에서 장기적 접근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례관리 서비스를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비교적 사례관리자와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복지관이나 센터에서 제공하는 활동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례관리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한 아동들로 연구대상이 표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아동에 적용시킬 수 없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사례관리 서비스가 사례관리자와 클라이언트 간에 형성된 좋은 관계를 바탕으로 강점을 지향하고, 아동의 심리사회적 측면을 포함하는 전인적 측면에 관심을 두고 지속적으로 제공된다면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동 사례관리의 긍정적 성과들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아동대상 사례관리에서도 발견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그러므로 빈곤아동에 대한 보다 전문화된 사례관리 실천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사례관리의 긍정적 성과가 무엇인지에 대한 후속 연구들이 다양한 실천현장을 중심으로 앞으로도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공 계순, 서 인해 2009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Vol.14 P.155-178 google
  • 2. 2010 『GN 강점기반 통합사례관리모형 및 매뉴얼』. google
  • 3. 김 미숙 2011 “뉴질랜드의 아동사례관리 고찰.” [『보건복지포럼』] Vol.10 P.96-104 google
  • 4. 남 기민, 방 혜선 2012 “사회복지사 재가노인 사례관리 실천경험.”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14 P.363-394 google
  • 5. 노 혜련, 박 화옥, 유 서구 2011 “강점관점 사례관리 실천과정을 통한 실무자의 변화.” [『사례관리연구』] Vol.2 P.67-85 google
  • 6. 노 혜련, 유 성은 2007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특성에 관한 연구: 빈곤여성가구주의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Vol.15 P.75-103 google
  • 7. 류 승용 2011 “강점관점 해결중심모델을 이용한 통합사례관리.” [『사례관리연구』] Vol.2 P.87-104 google
  • 8. 박 정임 2002 “정신장애인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P.97-136 google
  • 9. 2011 『2011년도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google
  • 10. 2009 『드림스타트 운영매뉴얼』. google
  • 11. 2010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실천지침서』. google
  • 12. 2011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지원사업 성과평가 연구』. google
  • 13. 2010 『월드비전 사례관리 실천 매뉴얼』. google
  • 14. 이 기영, 배 은석, 박 해긍 2011 “도농복합지역 재가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통합사례관리의 효과성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39 P.75-100 google
  • 15. 이 주연 2011 “미국의 아동대상 사례관리 서비스.” [『보건복지포럼』] Vol.5 P.106-115 google
  • 16. 정 순둘, 이 선희 2010 “한국 노인복지분야 사례관리실천의 현재?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50 P.7-26 google
  • 17. 최 윤정, 원 미라 2012 “게이트키퍼(Gatekeeper)를 활용한 우울군 독거노인에 대한 맞춤형 사례관리 효과?정신건강 사례관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3 P.376-385 google
  • 18. 최 지선 2010 “서비스통합전략으로서의 사례관리실천경험에 관한 연구?안산시통합서비스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12 P.57-88 google
  • 19. 2012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보도자료.” google
  • 20. 하 경희 2010 “한국에서의 ACT(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적용에 관한 사례관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Vol.41 P.107-133 google
  • 21. 한 혜경 2009 “재가노인 대상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Vol.61 P.243-263 google
  • 22. 함 철호, 이 기연 2011 “공공영역 사례관리자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38 P.161-200 google
  • 23. 허 남순, 허 소영, 고 윤순, 이 경욱 2012 “빈곤부모의 역량강화 경험 연구?위스타트 사례관리 대상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Vol.40 P.167-199 google
  • 24. 홍 순혜, 정 소연, 방 진희, 엄 경남 2013 “경기도 G시 위스타트 5년 사업 성과 평가.” [『한국아동복지학』] Vol.41 P.185-215 google
  • 25. Bjorkman T., Hansson L., Sandlund M. 2002 “Outcome of case management based on the strengths model compared to standard car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Vol.37 P.147-152 google cross ref
  • 26. Brooks-Gunn J., Duncan G. J. 1997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 [The future of Children] Vol.7 P.55-71 google cross ref
  • 27. Congdon D. 2010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fant mental health enhanced case management for dependency population.” [Journal of Evidence-Based Social Work] Vol.7 P.481-487 google cross ref
  • 28. Krueger R. A., Casey M. A. 2000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google
  • 29. Krueger R. A, Casey M. A 2010 Focus Group Methodology google
  • 30. Moxley D. P., Buzas L. 1989 “Perceptions of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elderly people” [Health and Social Work] Vol.14 P.196-203 google
  • 31. 1996 NASW Standards for Social Work Case Management. google
  • 32.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google
  • 33. Rabiee E. 2004 “Focus-group interview and data analysis.”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Vol.63 P.655-660 google cross ref
  • 34. Stanard R. P. 1999 “The effect of training in a Strength Model of case management on client outcomes in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35 P.169-179 google cross ref
  • 35. Sulivan W. P., Fisher B. J. 1994 “Intervening for success: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and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Vol.22 P.61-74 google cross ref
  • 36. Thomas L, MacMillan J, McColl E, Hale C, Bond S 1995 “Comparison of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 methodology in examining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Social Sciences in Health] Vol.1 P.206-219 google
  • 37. Willinghan D. T. 2012 “Why does family wealth affect learning?.” [American Educator.] P.33-39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아동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기관들의 사례관리 실천원칙 및 주요 내용
    아동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기관들의 사례관리 실천원칙 및 주요 내용
  • [ <표 2> ]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 [ <표 3> ]  포커스 집단인터뷰 질문내용
    포커스 집단인터뷰 질문내용
  • [ <표 4> ]  아동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과정
    아동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과정
  • [ <표 5> ]  사례관리 참여를 통한 아동의 변화
    사례관리 참여를 통한 아동의 변화
  • [ <표 6> ]  사례관리의 직접적인 변화 도움 요소
    사례관리의 직접적인 변화 도움 요소
  • [ <그림 1> ]  사례관리참여를 통한 아동들의 변화경험 구조
    사례관리참여를 통한 아동들의 변화경험 구조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