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Analysis of Venture Business Career Counseling Program Effectivenes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employment career counseling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 by analyzing whether it would bring any changes to the selected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university student who were users of A university in the city of A.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60 university student' each, and a employment career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in eight sessions, once a biweekl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employment career counseling program showed improvement in career maturity.

Second, the university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employment career counseling program expressed better career self-efficacy.

Third, the university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employment career counseling program felt less career barriers.

KEYWORD
취업진로상담 , 진로성숙 , 진로자기효능감 , 진로장벽
  •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한국교육개발원(2011)의 조사에 의하면 4년제 대학생의 취업률은 2008년에 68.9%, 2009년에 68.2%, 2010년에는 51.9%로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와 맞물려 각 대학교의 상담부서에서 실시한 대학생 실태조사에 의하면 진로문제가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 사항인 것으로 조사되었다(Cho, 2010; Chun, 2013).

    진로상담은 진로에 대한 고민의 원조방법으로 가장 빈번히 활용되고 있는데, 진로상담은 진로에 대해 개인이 갖는 주관적·객관적 이해를 통해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과 합리적 의사 결정방식 수립, 진로계획 및 준비 그리고 진로문제의 해결과 적응 등을 도와주는 단계적이고 연속적 과정이다(Park, 2013). 이러한 진로상담의 영역에서 벤처창업진로상담은 자기를 이해할 수 있고 자신의 직업적 성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취업에 대한 고민으로 힘들어 하는 대학생들에게 더욱 필요하다고 하겠다.

    오늘의 청년들은 직업과 진로의 선택에 있어서 예전에 비해 좋은 조건을 갖고 있다. 더 많은 교육의 기회와 다양한 직업의 생성으로 인한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며, 자신의 특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직업과 진로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중·고등학교에서는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기대할 수 없고, 본인의 특성과 흥미보다는 대학입학이라는 분위기에서 지내다가 아무런 준비 없이 대학생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위의 긍정적인 요인들을 활용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에서 대학에 진학한 후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 대학생들에게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진행되는 벤처창업진로상담을 진행하여 진로성숙과 진로자기효능감 향상 및 진로장벽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진로상담의 대학생 대상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그 대상이 대학재학중인 학생으로 구분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벤처분야에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는 것과 나아가 벤처라는 용어조차 생소한 사회복지학과학생들이라는 점이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진로방향과 선택에 있어서 또 다른 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긍정적 효과검증은 진로상담에 실천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1. 2 용어정의

    1.2.1 벤처창업진로상담

    내담자가 자기이해와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전문가인 상담자와의 원만한 인간관계속에서 내담자가 합리적으로 진로탐색과 진로결정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적극적인 상담의 종합적인 과정이 진로상담이다(Kim, 1976; Song, 2013). 현장에서는 진로상담, 진로지도, 진로교육 상담, 진로집단상담 등의 용어가 혼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벤처분야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벤처창업진로상담으로 지칭하겠다.

    1.2.2 진로성숙

    진로성숙을 한 개인이 속해 있는 연령단계에서 이루어야할 직업적 발달과업에 대한 준비도라고 주장한 Super는 진로성숙 이란 직업적/교육적 선택을 할 수 있는 청소년의 자율성, 개인적통제감, 장점과 단점의 현실적 비교, 높은 자존감, 훌륭한 의사결정기술, 미래를 연결하는 시간 조망 등의 긍정적 측면과 관계가 있다고 말하였다. 진로성숙은 진로성숙도, 진로태도성숙도, 진로태도 등으로 혼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진로성숙의 용어를 사용하겠다(Hong, 2011).

    1.2.3 진로자기효능감

    Hackett와 Betz가 여성의 진로발달에 대한 자기효능감 접근이라는 연구에서 지각된 진로선택의 자기효능감을 성과 관련지어 살펴봄으로써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개념이 가시화되었다.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라는 단어가 혼용되나 본 연구에서는 진로자기효능감이란 용어를 사용하겠고, ‘직업을 얻기 위해 교육훈련을 받아 그 일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정도’를 자기효능감이라고 정의하겠다(Lee, 2008).

    1.2.4 진로장벽

    진로관련 경험들을 수행해가는 과정에서 개인의 진 선택· 목표·포부·동기 등에 영향을 미치거나 역할행동을 방해할 것으로 지각되는 여러 부정적 사건이나 사태라고 정의된다(Song, 2009; Ko, 2008). 국내연구에서는 진로장애라고 표현되기도 하나 본 연구에서는 진로장벽으로 지칭하겠다.

    Ⅱ.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

       2.1 선행연구 프로그램

    벤처창업진로상담프로그램을 구성하기에 앞서서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졌던 국내 진로상담프로그램들을 살펴보았고,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1>] 선행연구 진로상담 프로그램

    label

    선행연구 진로상담 프로그램

    선행연구에서 실시되어진 프로그램들을 보면 대부분 진로관련 집단 상담프로그램으로 진로탐색과 진로결정에 관련된 연구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학생 시기가 어떤 직업을 가질 것인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 결정적 시기이며, 어떤 직업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인생이 좌우되기 때문일 것이다(Jung, 2011).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2.2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 구성

    각 회기별 프로그램은 초기단계, 개입단계, 종결 단계로 진행하였다.

    2.2.1 초기단계

    초기단계에서는 사전검사 및 친밀감 형성기로 사전검사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기전 본 연구의 변인인 진로성숙, 진로자기 효능감, 진로장벽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고, 친밀감형성을 위해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설명, 프로그램을 통한 참여자의 관계증진 및 참여욕구를 증진시키기 위한 자기 소개 및 아이스브레이킹 그리고 연구자와의 관계형성을 위한 활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2.2.2 개입단계

    개입단계는 1회기에서 7회기까지로 초기단계에서 형성된 관계를 기반으로 경험을 공유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연구대상자들이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목적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실시하였다.

    2.2.3 종결단계

    종결단계는 모든 프로그램을 마무리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나누는 단계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의 느낌을 나누고, 다른 차후 프로그램에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도한다. 또한 도입부분에서 실시했던 변인들에 대한 측정(진로성숙,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을 사후검사로 실시하였다.

       2.3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 내용

    벤처분야 취업희망 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격주 1회 총 8회기로 구성하였고 5단계로 구성하였고, 도입과 마무리의 1회기씩을 제외한 6회기는 자기탐색, 진로탐색, 취업진로선택의 3단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구성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진로관련 프로그램을 참고·수정하였다. 본 연구대상과 같은 대학생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해보았을 때 관련 프로그램의 구성은 횟수는 10회기, 1회기 당 진행시간은 90분-120분, 1회기 당 하위구성은 4-6단계로 구성되었음을 볼 수가 있었는데 이러한 선행연구의 진행을 종합하여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회기별 구성

    label

    회기별 구성

    Ⅲ. 연구결과

       3.1. 연구대상

    본 연구는 A시 소재 대학 재학생 중 벤처분야 취업을 희망하는 60명이 대상이다. 이들에게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한 후 각각 3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프로그램은 2012년 9월 1일부터 2012년 12월 15일까지, 총 8회기로 진행되었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아래와 같다. 표를 보면 연령대의 편차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20대가 많이 진학하는 대학이라는 특수상황에서 연구가 진행된 까닭이다.

    [<표 3>] 실험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실험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실험집단의 인구통계학적 구성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20대가, 3학년재학이, 사회복지 전공인 대상자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 통제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통제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통제집단의 인구통계학적 구성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과 마찬가지로 여성이, 20대가, 3학년재학이, 사회복지 전공인대상자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2. 연구설계 및 모형

    본 연구는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의 진로성숙,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표 5>와 같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3.3. 연구도구

    3.3.1 진로성숙

    진로성숙 측정을 위해 김혜주(2007), 정희영(2010), 천미숙(2011)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26문항으로 결정성, 목적성, 준비성, 독립성, 확신성의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α=.84 이었다.

    [<표 6>] 진로성숙 하위영역별 구성

    label

    진로성숙 하위영역별 구성

    3.3.2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한 도구는 Taylor와 Betz(1983)이 개발한 진로자기효능감척도(CDMSS)를 이학주(2000)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25문항으로 자기평가, 미래계획, 문제해결, 직업정보, 목표설정의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α=.91이었다.

    [<표 7>] 진로자기효능감 하위영역별 구성

    label

    진로자기효능감 하위영역별 구성

    3.3.3 진로장벽

    진로장벽 측정을 위한 도구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진로장애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Kim(2001)의 한국대학생 진로 탐색장애검사(KCBI)를 활용하였다. 총 45문항으로 대인관계어려움, 자기명확성부족, 직업정보부족, 중요타인과의 갈등, 나이문제, 신체적열등감, 흥미부족, 미래불안, 경제적 어려움 등 9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α=.83이었다.

    [<표 8>] 진로장벽 하위영역별 구성

    label

    진로장벽 하위영역별 구성

    3.3.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해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먼저 조사도구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4.1 동질성 검증

    연구의 객관적인 효과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검증을 실시하였다. 동질성검증은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프로그램개입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외생변수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동질성 검증 결과 두 집단의 동질성이 확인되었다.

    <표 9>에서 알 수 있듯이 진로성숙(2.48±.70, 3.76±.43), 진로자기효능감(2.60±.80, 2.95±.85), 진로장벽(3.60±2.43, 3.43±2.97)들을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종속변인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표 9>]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label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4.2 진로성숙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대학생들의 진로성숙을 비교하였을 때, 표에서 보는 것처럼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 진로성숙의 평균이 증가했으나, 통제집단은 진로성숙 평균이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t값 또한 3.12로 유의하게 나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어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 향상에 효과가 있는것을 알 수 있다(p<.05, t=3.12).

       4.3 진로자기효능감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대학생들의 진로자 기효능감을 비교하였을 때, 표에서 보는 것처럼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 진로자기효능감 평균이 증가했으나, 통제집단은 진로자기효능감 평균이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t값 또한 3.42로 유의하게 나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어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t=3.42).

    [<표 11>] 진로자기효능감

    label

    진로자기효능감

       4.4 진로장벽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대학생들의 진로장벽을 비교하였을 때, 표에서 보는 것처럼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 진로장벽의 평균이 감소했으나, 통제집단은 진로장벽의 평균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t값 또한 -2.56으로 유의하게 나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어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장벽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t=-2.56).

       4.5 상관분석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잠재변인들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Ⅴ. 결론

       5.1 요약

    본 연구는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천안시에 소재한 A대학 재학생 중에서 60명을 선정한 후 각각 3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한 뒤 격주 1회 총 8회기의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동질성검증, t-test 등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들보다 진로성숙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들보다 진로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들보다 진로장벽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장벽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5.2 연구의 제언

    본 연구는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몇 가지 제한점이 있어 밝힌다.

    첫째, 연구대상자가 천안지역에 국한되고 그 숫자가 많지 않아 연구결과를 전국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둘째,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검사-재검사가 포착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한 동형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셋째, 연구집단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함에 있어 진로상담프로그램의 참여여부로 단순 구분하였다. 이에 통제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진로성숙,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이 높았을 경우에 결과에 대한 설명이 어려울 수 있다.

    넷째, 취업진로상담, 진로성숙,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장벽에 대한 t-test가 진행되었는데, 각각의 요인의 대한 t-test가 병행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근거로 차후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차이분석이 아닌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분석을 시도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둘째,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검사를 통해 척도에 대한 인지가 있었음이 짐작되지만 사후 점수가 낮아짐에 대한 분석을 확인하지 못하였는데, 추후연구에서는 좀더 깊이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1. Cheon M. S. (2012) Effect Factors in Career Group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google
  • 2. Cho S. Y., Moon M. R. (2006)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Counseling Program for Nontradition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Counseling & Therapy] Vol.18 P.731-748 google
  • 3. Cho H. Y.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Career Maturity and College life of University Freshmen and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Investigative Counseling & Valuation] Vol.3 P.15-30 google
  • 4. Chun E, K. (2013) The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Job-Seeking Efficacy and Anxiety google
  • 5. Hong Y. O. (2011)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Family Structure, Perfectionism and Self-efficiency of Self Career Decision Making google
  • 6. Jang S. J. (2006) Development of Career Decision Counseling Program and its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google
  • 7. Jung B. A. (2013) The Effect of H-CIP Career Group Counseling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Job-seeking Anxiety google
  • 8. Jung O. B. (2011) Organizational culture experienced by clinical nurses google
  • 9. Jung T. U. (2004) Effect Analyses on the Employment Efficacy Promoting Programme(EEPP) for Junior College Students google
  • 10. Jung H. Y. (2010) A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Values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google
  • 11. Ko T. Y.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s Drug Abuse, Home Environment and Anxiety google
  • 12. Kim C. K. (1976) A study of opinions regarding career education from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emplo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Benton and Washington countries in Arkansas google
  • 13. Kim M. S. (2012) The Effec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Based Up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n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for College Students google
  • 14. Kim E. Y. (2001)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 Inventory google
  • 15. Kim E. H. (2009)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areer Barriers and Compromise Process by Career Role Orientation google
  • 16. Kim H. J. (2007) The Effect of Flow Experi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google
  • 17. Kwon E. K. (2013)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Career Group-counseling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or University Students google
  • 18. Lee H. J. (2000) The Effects of Career Self Efficacy in Predicting the Level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12 P.127-136 google
  • 19. Lee H. J. (2008) Impact of Image Evaluation and Image Formation on Career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google
  • 20. Park J. H. (2013) A Study on the Career Counseling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on the Basis of Shared Praxis google
  • 21. Song E. R. (2009)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google
  • 22. Song H. K. (2013) A Study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Career Counseling google
  • 23. Taylor K. M.,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2 P.63-81 google cross ref
  • 24. Yoon Y. R. (2008) A Study on Effective Career-Guidance in College Students: Focused on career subject class and career group counselling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선행연구 진로상담 프로그램
    선행연구 진로상담 프로그램
  • [ <표 2> ]  회기별 구성
    회기별 구성
  • [ <표 3> ]  실험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실험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4> ]  통제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통제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5> ]  실험설계
    실험설계
  • [ <그림 1> ]  연구모형
    연구모형
  • [ <표 6> ]  진로성숙 하위영역별 구성
    진로성숙 하위영역별 구성
  • [ <표 7> ]  진로자기효능감 하위영역별 구성
    진로자기효능감 하위영역별 구성
  • [ <표 8> ]  진로장벽 하위영역별 구성
    진로장벽 하위영역별 구성
  • [ <표 9>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 [ <표 10> ]  진로성숙
    진로성숙
  • [ <표 11> ]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자기효능감
  • [ <표 12> ]  진로장벽
    진로장벽
  • [ <표 13> ]  상관분석
    상관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