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Potential Correlations of Male Spouses’ Role Performance and Their Marital Stability in International Marriage 국제결혼 남성배우자의 역할수행과 결혼안정성의 관계
  • 비영리 CC BY-NC
ABSTRACT
Potential Correlations of Male Spouses’ Role Performance and Their Marital Stability in International Marriage

본 연구는 국제 결혼한 남성배우자의 역할수행(일상생활지지, 성생활만족, 부부간 갈등)과 결혼안정성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현재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15일부터 2011년 3월 1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247부가 회수되었고, 그중 불성실하게 기입된 설문지 27부를 제외한 220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수행 중 일상생활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결혼안정성이 높았다. 따라서 일상생활지지와 결혼만족도는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역할 수행 중 부부간 갈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결혼안정성이 높았다. 따라서 부부간 갈등과 결혼안정성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국제결혼 남성배우자의 긍정적 역할 수행은 결혼안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
International Marriage , Role Performance , Marital Stability
  • I.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2010년 보건복지부 발표에 의하면 지난 5년간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결혼은 약 3배가 증가하였고, 2009년에 결혼한 전체 남성의 8.2%는 외국인 여성과 결혼하였다(보건복지부, 2010). 결혼이민자 여성의 유입 및 증가로 인하여 한국 가정과 미래세대 및 전반적인 문화사회적 영역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국제결혼을 한 이들은 한국의 사회 구성원으로써 결혼이민자여성과 그들의 배우자인 한국인 남성에 대한 이해가 한국 사회의 안정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있다.

    하지만 국제결혼에 관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이주여성에 국한되어 있어 국제결혼을 한 남성 배우자는 외국인 배우자와의 문화적 차이와 언어소통의 갈등을 경험함과 동시에 주변의 편견과 자신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부부간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거나 주위에 알리지 못하는 이중적 부담을 안고있다.

    따라서 국제결혼에 관한 연구는 이주 여성 뿐 아니라 한국인 남편의 경우 이주여성과 결혼한 이유만으로 사회적 편견에 시달려야 하는 현실과 가족 내에서 부딪히는 갈등, 자녀의 교육문제에서 오는 갈등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결혼 한 남성배우자의 역할수행과 결혼안전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인 남성배우자의 결혼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넓게는 국제결혼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연구 가설

    가설 1. 국제결혼 남성의 역할수행은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1. 국제결혼 남성의 일상생활지지는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2. 국제결혼 남성의 성생활만족은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3. 국제결혼 남성의 부부간 갈등은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II.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재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으로 전국에 있는 결혼이민자 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참가자와 지역사회복지관의 다문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12월 12일부터 2011년 3월 12일까지였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247부가 회수되었고, 그중 불성실하게 기입된 설문지 27부를 제외한 220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2.2 연구모형

    본 연구는 국제결혼 한국 남성 배우자의 역할수행과 결혼안정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독립변인인 역할수행은 일상생활지지와 성생활만족도, 부부간 갈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통제변인으로는 연령, 학력, 결혼기간, 자녀수, 소득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2.3 조사도구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2.3.1 결혼안정성

    결혼안정성 검사는 결혼 생활 및 부부관계에 대한 개인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도구이다. 결혼만족도는 Roach(1975)가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를 개발하였고, 본래 73문항이었으나 Bowden(1977)이 48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국내에서는 유영주(1986)가 번안하였으며, 이를 이인수와 유영주(1986)가 우리나라 문화권에서도 사용하기에 적합한지에 대한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여 전체 48문항에 대한 신뢰도 계수 Cronbach’s alpha는 .95의 수치를 얻음으로써, MSS가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측정하는데 신뢰성 있는 척도라고 보고하였다. 문항구성은 긍정적인 27문항과 부정적인 21문항이다. 응답범주는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이며 5점 Likert 방식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이다.

    [표 1] 결혼안정성 구성

    label

    결혼안정성 구성

    2.3.2 역할수행

    역할수행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어진 이강호(2006)가 사용한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하위영역은 일상생활지지, 성생활만족도, 부부갈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영역 중 일상생활지지는 ‘아내와 이야기를 나눌 때 대화가 잘 통한다고 생각 한다’등 8문항으로 이루어져있고, 신뢰도는 .886이었고, 성생활만족도는 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뢰도는 .903이었다. 부부갈등은 경제적 문제, 건강문제, 자녀양육 및 교육문제, 친인척문제, 종교문제, 사소한 일상생활문제의 7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신뢰도는 .773이었다.

    [표 2] 역할수행 척도 내용

    label

    역할수행 척도 내용

       2.4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해는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과 결혼안정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의 잠재변인의 개념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III. 연구결과

       3.1. 역할수행

    국제 결혼한 한국남성배우자의 역할수행은 평균이 3.55 표준편차는 1.06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하위영역 중 일상 생활지지가 M=4.3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성생활만족도가 M=4.16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3] 역할수행

    label

    역할수행

       3.2 결혼안정성

    국제 결혼한 한국남성배우자의 결혼안정성은 평균이 3.20표준편차는 0.68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결혼안정성

    label

    결혼안정성

       3.3 역할수행과 결혼안정성의 관계

    한국인 남성 배우자의 결혼안정성과 역할수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역할수행은 일상생활지지, 성생활만족, 부부갈등의 세 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3.3.1 일상생활지지

    역할수행 요인 중 일상생활지지에 따른 결혼안정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5>와 같다.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일상생활지지와 역할수행에 따른 결혼만족도는 일상생활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았다. 따라서 일상생활지지와 결혼만족도는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상생활지지와 역할수행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없었다.

    [표 5] 일상생활지지와 결혼안정성

    label

    일상생활지지와 결혼안정성

    3.3.2 성생활만족도

    역할수행 요인 중 성생활 만족도에 따른 결혼안정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성생활만족도에 따른 결혼안정성

    label

    성생활만족도에 따른 결혼안정성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성생활만족도와 역할수행에 따른 결혼안정성은 성태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았다. 따라서 성생활만족도와 결혼안정성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생활만족도와 역할수행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없었다.

    3.3.3 부부간 갈등

    역할수행 요인 중 부부간 갈등에 따른 결혼안정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부부간 갈등에 따른 결혼안정성

    label

    부부간 갈등에 따른 결혼안정성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부부간 갈등과 역할수행에 따른 결혼안정성은 부부간 갈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았다. 따라서 부부간 갈등과 결혼안정성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부간 갈등과 역할수행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없었다.

       3.4 요인분석

    역할수행은 총 3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일상생활지지, 성생활만족도, 부부갈등이다. 역할수행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표 8>에 나타나 있다.

    [표 8] 역할수행 확인적 요인분석

    label

    역할수행 확인적 요인분석

    분석결과 역할수행의 하위 영역인 일상생활 지지, 성생활만족도, 부부갈등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55-.70사이의 값을 가지고,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3개의 영역들이 역할수행을 잘 설명한다고 할 수 있다.

    IV. 결론 및 제언

       4.1 요약

    본 연구는 국제 결혼한 남성배우자의 역할수행과 결혼안정성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고, 독립변인인 역할수행의 하위변인은 일상생활지지, 성생활만족도, 부부간갈등이 설정되었다. 현재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을 대상으로 2009년 12월 12일부터 2010년 2월 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247부가 회수되었고, 그중 불성실하게 기입된 설문지 27부를 제외한 220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수행 중 일상생활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결혼안정성이 높았다. 따라서 일상생활지지와 결혼만족도는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역할 수행 중 부부간 갈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결혼안정성이 높았다. 따라서 부부간 갈등과 결혼안정성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국제결혼 남성배우자의 긍정적 역할수행은 결혼안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2 논의

    본 연구는 국제결혼 한국 남성 배우자의 결혼안정성과 역할수행의 관계를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에 비해 소외되고 주변화 되고 있는 남성 배우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액커맨(Ackerman)은 가족의 기능을 ‘생물학적으로는 가족을 유지하는 일이며 심리적으로는 가족원간의 상호의존으로 애정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며 경제적으로는 상호협력과 협동에 의한 생활의 안정을 꾀하는 것이며, 사회문화적으로는 사회의 도덕이나 관습에 적응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인간을 둘러싼 환경 중 일차적이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가족이라고 할 때 가족과 관련된 가치관은 가장 기본적인 것이며, 가족의 가치관과 기능은 밀접한 관계를 가질 것이다.

    지금까지는 전통사회에서 유교의 가치이념에 입각한 가족가치관과 역할이 전수되어 왔으나 오늘날에는 수정된 가족가치관과 역할관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현대의 가족은 친자중심의 전통적인 가족개념에서 부부중심의 근대적 가족이념으로 변모해가고 있으며, 구분이 확실했던 부부사이의 역할에 관한 구분들도 부부들의 상황들에 맞추어 적응하고 있다(이삼식외, 2006).

    지금까지 생물학적 차이와 사회적으로 형성된 성별의 차별을 구분하지 않고 그대로 동일시하는 과정에서 여성과 남성에 대한 많은 그릇된 관념과 믿음이 형성되어 왔다. 남성과 여성은 기본적으로 생물학적 차이만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계사회의 오랜 역사를 통해 남성우위의 성차별이 사회문화적 지지를 받아 남성위주의 성차별주의는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유지되어 왔다. 특히 유교의 영향으로 가부장적 문화가 오랫동안 일반화 되어온 우리의 경우 부부사이에 있어 차별적인 성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로 다른 문화를 경험했던 국제결혼 부부는 역할에 대한 기대치와 역할관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부부의 역할수행은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으며, 일반적인 성 고정 관념은 남녀의 특성을 무시한 채 틀 속에 고정시켜 버림으로 인해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의 삶도 제한·왜곡시키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연구에 의하면 한국인 배우자는 가장 중요한 아내의 역할로 ‘집안 살림 및 내조를 잘하는 아내’, ‘아이의 어머니’, ‘며느리’로서의 역할을 중시하지만 이민자의 경우는 ‘능력 있는 사회인’으로서의 역할을 중요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남편의 역할에 대한 질문 결과는 부부 모두 동반자 역할을 중요시 하고 있었는데, 서로의 역할 특히 아내에 대한 역할 기대치가 다름을 알 수 있다(설동훈 외, 2006).

    이를 근거로 역할 관련 변인이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리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실시하여 남성 배우자의 역할수행정도가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중문화스트레스와 결혼안정성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 배우자의 결혼안정성 향상을 위한 실천 영역에서 역할수행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먼저 남성 배우자의 결혼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하위영역은 일상생활지지로 나타났다. 이는 주위사람들의 지지가 결혼 안전성을 더욱 강화시키고, 갈등을 감소시키는 영향요인이었음을 보고한 치니쯔와 브라운(Chinitz & Brown, 2001)의 연구와 일치한다.

    따라서 남성 배우자의 역할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시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데, 종교단체나 자조모임, 멘토링 등의 비공식적 네트워크와 비공식적 단체와 공식적 단체의 연계를 통한 네트워크 등이 그것이다. 특히 부부관계 내에서 해결될 수 없는 문제 해결과 대안을 위해 남성 배우자들의 자조모임 결성도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주변화 되어가는 남성배우자들의 특성상 주도적인 모임 결성이 어려울 것이므로 초창기에는 관련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자모임은 무엇보다 결혼 초기에 지지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4.3 제언

    국제 결혼한 한국인 남성배우자의 결혼안정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외국인 아내와 마찬가지로 한국인 남성 배우자들은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 복합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기 때문에 당면한 스트레스 상황에 대응하여 극복의 희망을 줄 수 있는 역할수행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결과에 의하면 남성 배우자가 역할수행이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남성배우자는 한국인에 의한 차별감과 적대감을 지각하고 있으므로 한국인에 의한 차별감과 적대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이 체계적으로 수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참고문헌
  • 1. 강 기정, 변 미희 (2009)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Vol.13 P.123-136
  • 2. 김 이선, 김 민정, 한 건수 (2007)
  • 3. (2010)
  • 4. 설 동훈 (2006)
  • 5. 설 동훈, 한 건수 (2007)
  • 6. 유 영주 (1986)
  • 7. 이 삼식 (200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8. Bowden S. R., Frazier J. (1977)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3 P.537-546 google
  • 9. Chinitz G., Brown A (2001) Religious homogamy, marital conflict and stability in same-faith and interfaith jewish marrages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Vol.40 P.723-733 google cross ref
  • 10. Roach A., Bowden S (1975)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3 P.537-546 google cross ref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연구모형
    연구모형
  • [ 표 1 ]  결혼안정성 구성
    결혼안정성 구성
  • [ 표 2 ]  역할수행 척도 내용
    역할수행 척도 내용
  • [ 표 3 ]  역할수행
    역할수행
  • [ 표 4 ]  결혼안정성
    결혼안정성
  • [ 표 5 ]  일상생활지지와 결혼안정성
    일상생활지지와 결혼안정성
  • [ 표 6 ]  성생활만족도에 따른 결혼안정성
    성생활만족도에 따른 결혼안정성
  • [ 표 7 ]  부부간 갈등에 따른 결혼안정성
    부부간 갈등에 따른 결혼안정성
  • [ 표 8 ]  역할수행 확인적 요인분석
    역할수행 확인적 요인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