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The Effects Boxing Aerobic Danc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dult Women 성인여성들의 복싱에어로빅 참여가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비영리 CC BY-NC
ABSTRACT
The Effects Boxing Aerobic Danc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dult Women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여성들의 복싱에어로빅 참여가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D시에 있는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39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과의 비교를 위하여 운동을 하지 않는 주부 35명을 통제 집단으로 정하였다. 8주간의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 전 후에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측정하였다. 표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paired t-test, 공변량 분석(ANCOVA),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한 주부들이 더 높은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여가만족의 하부요인들 또한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한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생활만족도를 나타내는 요인들로는 심리적 여가만족과 가족의 수입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KEYWORD
boxing aerobic , leisure satisfaction , life satisfaction
  • I. 서론

    그리스어인 스콜레(schole)와 라틴어인 리케레(licere)에서 유래된 여가는 오늘날 개인의 복지와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라고 인식되고 있다. 여가는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변화하고 있으며, 여가의 견해 또한 다양하다. 또한 최대한의 여가만족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이나 상황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들(김동아, 2005; 김영숙, 2003; 배소심, 이영희, 2005; 온체은, 장복석, 2004; 전형상, 2005; 천길영, 김주영, 2009; 황승희; 2002; Ponde & Santana, 2000)은 여가의 유형이나 참여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선행연구들에서는 신체활동적인 여가활동이 수동적이거나 비 신체적인 여가활동보다 여가만족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박세혁(2004)의 연구에서는 비활동적인 여가활동이 신체활동적인 여가활동보다 여가 만족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만족과 휴양적 만족에서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김동아(2005)는 생활만족은 삶에서 행복을 인지하는 정도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여가만족의 경험이 많을수록 생활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김동아, 2003; Jones, Jones, Hollenhourse, Perna, & Selin, 2000; Zabriskie & McCormick, 2003). 선행연구들 (김동아, 2005; 전형상, 장순용, 2002; 천길영, 김주영, 2009; 최윤동, 김정주, 김형돈, 2003; Ragheb & Griffith, 1982; Weissinger & Bandalos, 1995)은 여가활동에 참가하는 유형과 강도에 따라서 생활만족은 상이하게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미디어와 정보통신의 발달로 여가의 다양성이 등장하게 되었고, 자신만의 독특한 여가생활을 갈망하게 되었다. 김광득(1997)은 집단적인 여가보다는 자신만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여가를 선호하며, 동적인 여가를 피동적인 여가 보다 더 선호하다고 보고하였다.

    활동적인 여가활동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스포츠 활동이다. 지속적 스포츠 활동에 참여는 생활만족과 건강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김미향, 2004; 최윤동, 김정주, 김형돈, 2003). 스포츠 참여정도, 참여기간,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생활만족도가 달라진다고 보고하였다(이동현, 김승철, 2003). 특히 여성들의 경우 신체활동적인 여가활동이 피동적인 여가활동보다도 생활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스포츠 여가활동 종목은 매우 다양하다. 그 중 에어로빅댄스는 성인 여성들에게 잘 알려진 종목이다. 많은 연구들이 에어로빅댄스를 통해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생활만족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김미향, 2004; 김동아, 2005; 김영운, 이혁, 2010; 엄상용, 곽이섭, 김성수, 2003; 이승범, 김재운, 2007; 전유정, 이정국, 2006; 허선, 2010). 최근 복싱에어로빅이 일반인들 특히, 여성의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는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고, 언제 어디서든 혼자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인 걸로 알려져 있다. 복싱에어로빅은 복싱과 에어로빅스를 결합시킨 운동이다. 함정혜(2003), 김진표(2009), 김진표, 김주영(2009)은 복싱에어로빅 운동이 체력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체중조절, 몸매조절, 정신건강등에도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또한 복싱에어로빅 참여는 건강증진생활양식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하였다(최윤동, 김정주, 김형돈, 2003).

    최근 여가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야기된 치열한 경쟁 구조 상황에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이 경쟁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복싱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 볼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여성들이 많이 행하고 있는 복싱에어로빅 운동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비추어 볼 때 이 연구는 매우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지만 복싱에어로빅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앞선 복싱에어로빅 선행연구들(천길영, 김주영, 2009; 최윤동, 김정주, 김형돈, 2003; 최윤동, 최조연, 2005)의 횡단적 연구로는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에는 제한적 요인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이 성인여성들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복싱에어로빅 지도자들에게 합리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이론적‧실무적으로 현장에 적용시켜 복싱에어로빅을 여가활동의 수단으로 더욱 더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절차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2011년 D광역시의 스포츠센터에 개설된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한 30-40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여성들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변화를 통제집단과 비교하기 위해서, 통제집단은 D 광역시에 거주하고 어떠한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성인여성으로 구성되었다<표 4>. 실험집단(n=39)과 통제집단(n=35)의 표본추출을 위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중 목적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8주간의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한 성인여성들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을 통제집단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D광역시에 있는 스포츠센터의 복싱에어로빅복싱 프로그램에 참가한 참여자와 비 참여자들에게 실험의 내용과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실험참가 동의서를 받은 뒤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시작 전‧후 두 집단에게 검사지를 배포하였다. 검사지는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으로 설문내용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하였고,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시행될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은 <표 2>, <표 3>과 같다. 실험집단은 주5회, 8주간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운동 시간은 준비운동, 본 운동, 그리고 마무리 운동을 포함하여 총 50분으로 구성되었다<표 1, 2>.

    [표 1.]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 구성요인

    label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 구성요인

    [표 2.]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 구성내용

    label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 구성내용

       2. 조사도구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 가설을 실험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피험자들의 인구특성학적 질문, 여가만족척도와 생활만족척도가 사용되었다. 구체적인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구성요인들은 <표 3>과 같다.

    [표 3.]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구성내용

    label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구성내용

    1) 여가만족

    피험자들의 여가만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검사지는 Beard & Ragheb(1980)에 의해서 개발한 여가만족척도(Leisure Satisfaction Scale: LSS)의 번역본을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김미량, 이연주과 황선환(2010), 천길영과 김주영(2009) 그리고 김보람, 최윤정과 황향희(2011) 등에 의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여가만족척도의 하위요인은 심리적만족 4문항, 교육적만족 4문항, 사회적만족 4문항, 휴식적만족 4문항, 신체적만족 4문항, 환경적만족 4문항 등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 형식의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있다. 이 검사지의 전체 내적일치도 (Cronbach’s alpha)는 0.94로 보고되었으며(천길영, 김주영, 2009) 각 요인별 내적일치도는 0.82-0.90 로 나타나 신뢰성이 있는 설문지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내적일치도(Cronbach’s alpha)는 0.95로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는 매우 신뢰도가 높은 검사지로 나타났다.

    2) 생활만족

    생활만족도는 Diener, Emmonson, Larsen, & Griffin(1985)이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생활만족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를 Won(1989)이 번역하고 신뢰도를 검증한 검사지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이 검사지는 5문항 7 Likert scale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분명히 그렇다(7점)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지의 내적 일치도 (Cronbach’s alpha)는 0.96으로 나타났다. 이는 30-40대 중년 여성의 연구에서 생활만족 검사지(SWLS) 사용은 매우 신뢰도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3. 자료처리

    실험을 통해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싱에어로빅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모든 피험자의 인구통계학적 자료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서 분석되었다. 각 집단의 실험 전‧후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paired t-test가 사용되었다. 두 집단간의 운동 후 평균 비교를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 방법이 사용되었다. 두 집단의 사전 측정값이 공변량으로 사용되었다. 여가만족, 여가만족의 하부요인들과 생활만족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method)를 사였고, 생활만족도를 설명하기 위한 변인들의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법 중 Stepwise method를 사용하엿다.

    모든 통계 분석 방법의 실행 전 결측치 (missing data) 유형과 결측치 분석(missing data analysis)이 이루어졌다. 실험 전 두 집단에 참여한 피험자는 각 집단별로 40명이었다. 하지만 8주 후에 참여한 피험자는 각각 39명과 35명이었다. 39명과 35명의 검사지 보고에서는 결측치가 보고되지 않았다. 하지만 운동 후 테스트에 참여하지 않은 6명의 사전 검사지 결과는 쌍대응 제거 방법(pairwise deletion method)을 사용하여 제거하였고 연구 분석에 사용되지 않았다. 모든 통계방법의 유의수준은 α=.05에서 설정되었다.

    III. 결과 및 논의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는 현재 D광역시에 거주하는 30-40대 기혼여성 74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이 중 39명은 8주간의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하였고 나머지 35명은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하지 않았다. 복싱에어로빅 집단에서는 30대가 28.2%였고 40대가 71.8%였으나 비 참여 집단에서는 30대가 34.3%였고 40대가 65.7%였다. 대졸 이상의 학력은 복싱에어로빅 집단에서 69.3%, 비 참여 집단에서 42.9%였으며 고졸 이하는 각각 30.7%, 57.1%로 나타났다. 직업군에서는 자영업(41.0%)이 복싱에어로빅 집단에서 가장 높은 직업으로 나타났으며 비 참여 집단에서는 전업 주부 (42.9%)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소득별로는 복싱에어로빅 집단의 87.2%가 월 200만원 이상이라고 보고하였으며, 비 참여 집단의 68.6%가 월 200만원 이하라고 보고하였다. 복싱에어로빅 참여자(n=39)는 이전에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한 경험이 없었다. 대부분의 복싱에어로빅 참여자의 여가활동 시간은 1시간 이내(35.9%)와 2시간 이내(59.0%)이었다. 복싱 에어로빅 참여 목적은 건강증진, 스트레스 해소, 재미/호기심이 각각 23.1%로 나타났고 체중관리와 여가선용이 각각 15.4%로 나타났다.

    [표 4.]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변화

    사전 사후검사에서 복싱에어로빅 집단은 여가만족도 설문지의 평균이 2.31에서 3.09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비참여 집단은 사전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공변량 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실험처치 후의 여가만족에 대한 주효과(F=293.06, p<.001)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검사에서 복싱에어로빅 집단은 여가만족도 설문지의 평균이 2.31에서 3.09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비참여 집단은 사전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공변량 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실험처치 후의 여가만족에 대한 주효과(F=293.06, p<.001)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여가만족도의 변화

    label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여가만족도의 변화

    [표 6.]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심리적 여가만족의 변화

    label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심리적 여가만족의 변화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집단에서 심리적 여가만족 점수의 평균이 운동 전(2.31±.60)에 비해 운동 후 (3.09±.59)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비 참여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집단은 사전 측정치에서 유의한(p<.001)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두 집단의 사전 측정치 평균의 차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178.44, p<.001).

    [표 7.]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교육적 여가만족의 변화

    label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교육적 여가만족의 변화

    실험집단의 교육적 여가만족의 평균치는 실험 전(2.65±.62)에서 실험 후(3.15±.64)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비 참여 집단에서는 실험 후에 약간 낮은 평균치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사전교육적 여가만족에 대한 효과(F=47.36, p<.001)를 공병인으로 하여 사후 교육적 여가만족에 대한 주효과(F=51.27,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8>에서 보는바와 같이 복싱에어로빅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사전 사후의 사회적 여가만족의 변화는 참여집단에서 사회적 여가만족이 운동참여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7.60, p<.001), 비 참여집단에서는 평균치의 감소를 나타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 집단의 사전 검사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 검사치를 비교하는 공변량 분석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60.71, p<.001).

    [표 8.]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사회적 여가만족의 변화

    label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사회적 여가만족의 변화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집단에서는 긴장이완 점수의 평균치가 운동전(1.72±.55)에 비해 운동 후(2.31±.51)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비 참여집단의 평균치는 사전검사(1.62±.37)에 비교하여 사후검사(1.68±.38)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변량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에서는 사후 두 집단 간에는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라서 긴장이완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63.62, p<.001).

    [표 9.]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긴장이완 여가만족의 변화

    label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긴장이완 여가만족의 변화

    [10.]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여가만족의 변화

    label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여가만족의 변화

    복싱에어로빅 참여집단에서 신체적 여가만족의 평균치는 운동전 (1.81±.78)에 비해 운동 후(3.26±.72)에 현저히 높아졌다. 이에 비해 비 참여집단에서는 평균치가 운동전(1.77±.50)에서 운동 후 (1.64±.43)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두 집단의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 검사를 비교하는 공변량 분석의 결과에서는 두 집단의 신체적 여가만족은 복싱에어로빅 참여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70.81, p<.001).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전검사에서 복싱에어로빅 참여집단은 2.42±.78, 비 참여집단은 1.60±.40의 평균치를 보였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 참여집단은 3.19±.7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된 평균치를 나타내었으나 비 참여집단에서는 1.66±.40으로 유의한 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두 집단의 사전 측정치 평균의 차이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 평균치의 차이를 비교하는 공변량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는 두 집단의 미적 여가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84.17, p<.001).

    [표 11.]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미적 여가만족의 변화

    label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미적 여가만족의 변화

    복싱에어로빅 참여집단에서는 생활만족도가 사전(4.66±1.21)에서 사후(4.87±1.19)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t=2.92, p<.01) 비 참여 집단에서는 사전(2.84±1.27)에서 사후(2.79±1.27)로 근소하게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두 집단의 운동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변화 검증에서는 공변량 분석을 통한 두 집단간의 사후 생활만족도는 운동참여 유무에 따라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12.63, p<.01).

       3. 여가만족 검사지의 하부요인들과 생활만족도 요인들과의 상관관계

    <표 13>은 여가만족도의 하부요인과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가만족도의 하부요인들(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긴장이완, 신체적요인, 미적요인들은)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ρ=.76-.95, p<.001). 생활만족도와 여가만족도의 하부 요인들 사이에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ρ=.63-.73, p<.001).

       4. 생활만족도와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표 14>는 다중회귀 분석(Stepwise method)을 실시하여 생활만족도와 관련 변인들은 분석한 결과이다. 다중회귀 분석에 사용된 독립변수들은 학력, 직업, 개인소득, 가계소득, 여가시간, 운동참여여부, 여가만족도의 하부요인들(심리요인, 교육요인, 사회적요인, 긴장이완, 신체적요인, 미적요인) 이었다. 결과에 나타나 바와 같이 2가지 변인들 (심리적 여가만족, 가계소득)이 생활만족도를 나타낼 수 있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들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에 의한 생활만족도의 설명력은 모형1(R²=.615; p<.001)과 모형2(R²=.674; p<.001)이었다. 모형2에 있는 생활만족도에 관련된 독립변인들(심리요인, 가계소득)은 공선성(multicollinearity) 검증에서 분산팽창요인(VIF) 값이 10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위험이 없었다.

    [표 13.] 설문지 하부요인들의 상관관계

    label

    설문지 하부요인들의 상관관계

    IV. 논의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논의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에 대한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본 연구에서는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한 집단이 비 참여 집단에 비해서 종합적인 여가만족과 여가만족 설문지의 하부요인들(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긴장이완, 신체적, 미적)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활동적인 여가활동이 여성의 여가만족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들(김동아, 2005; 김미향, 2004; 김영숙, 2003; 배소심 & 이영희, 2005; 온채은, 장봉석, 2004; 임경희, 2003; 이지환, 2004; 장순용, 김송희, 2003; 천길영, 김주영, 2009; 황승희, 2002)의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겠다. 복싱에어로빅에 참여는 생리적 여가만족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에어로빅이 인간의 신체를 생리적으로 건강하게 유지 또는 증진 시킨다는 결과와 일치된다(이지환, 2004). 또한 댄스스포츠 참여자들의 여가만족에 대해 분석한 황승희의 연구(2002)에서는 건강과 몸매관리를 위해 참여한 집단이 생리적 만족도가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들과의 일치는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이 30-40대 중년여성들의 여가활동으로 적합하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복싱에어로빅을 통하여 능동적인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건강의 유지 및 증진을 충족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싱에어로빅의 참여가 여가만족의 하부요인 중 심리적 여가만족과 휴식적 여가만족을 높인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정자, 김명준(2004), 이지환(2004), 최성애, 박종하, 김영아, 김부일(2005), Ragheb와 Griffith(1982)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특히 이지환(2004)은 복싱에어로빅의 참여는 스트레스 해소 및 안정을 도모하고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한 참여자는 참여 전 복싱에어로빅에 대한 기대와 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가지고 참여하였으리라 사료된다. 운동프로그램의 참여는 자발성을 전제로 하고 참여행동은 내적으로 동기화되어진 활동이며 동기가 부여된 여가활동은 개인의 행복의 주요 근원이 된다고 하였다(이종길, 1992). 복싱에어로빅에 참여로 인한 신체적인 만족뿐만 아니라, 경쾌한 리듬에 맞춰 움직임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어 현대사회에서 오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심리적인 안정이 기분전환과 피로를 회복시켜 정서적 안정을 도모해 줌으로서 휴식적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싱에어로빅은 대근육을 사용하는 활발한 신체여가활동 중의 대표적인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복싱에어로빅의 참여는 신체적 심리적 효과 뿐 만 아니라 중년 여성들에게 스포츠 활동을 통하여 소속감, 친밀감, 친교 등과 같은 사회적 요인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임번장(2000)은 운동 프로그램의 참여로 사회적 여가 만족의 증가는 운동 프로그램 본연의 고유활동과는 무관하지만 운동의 부수적인 활동(예, 사교활동, 연회, 여흥) 등을 통하여 친밀한 유대감정을 제고 시킨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8주간의 복싱에어로빅의 참여로 사회적 여가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비 참여 집단과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상덕과 최천진(2003)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즉, 연령이 많은 여성 생활체육 참가자의 경우 여가로 참여하는 스포츠를 통해서 사교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작용한다는 주장이다. 김동아(2005)는 연령에 따른 에어로빅 운동 여가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는데 30~40대 여성 집단에서 20대 집단보다 더 높은 심리적 만족도와 사회적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신체적 만족도, 환경적 만족도, 그리고 교육적 만족도는 연령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할 경우 환경적인 요인들이, 예를 들면 운동시설의 청결상태, 운동 지도자의 친절함 등, 운동 프로그램의 만족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싱에어로빅 참여로 인해 환경적 여가만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정영린, 이홍구(1996)와 Ragheb와 Griffith(1982)의 연구와 일치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여가활동 유형이 환경적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천길영과 김주영(2009)의 연구에서는 상이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복싱에어로빅의 인지몰입경험은 여가만족 하위요인인 환경적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지만, 행위몰입경험은 환경적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라고 보고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참가자들이 이용한 운동 시설은 저렴한 비용으로 복싱에어로빅을 즐길 수 있는 환경적으로 급변하는 시대에 뒤 떨어지는 환경을 이용하였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이 사용한 운동 시설은 상대적으로 최신 시설이었고 잘 꾸며져 있었다. 이러한 환경적인 요인들의 차이점들이 연구의 결과가 상이하게 나오게 할 수도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운동 프로그램의 참여는 대부분 자발성을 전제로 하는 내적 동기화된 활동이고 생활만족과 행복의 주요근원이 된다(이종길, 1992). 특히 수동적인 여가활동보다 능동적인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전형상, 장순용, 2002; Ponde & Santana, 2000). 본 연구에서는 복싱에어로빅의 참여가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석인, 이성국과 김제영(2002)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12 주간의 에어로빅댄스를 실시하여 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우울 및 불안에 대한 에어로빅 댄스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운동 후 에어로빅 참여 집단은 비참여 집단에 비해서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는 높고 우울과 불안은 낮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2.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과의 관계

    본 연구에서는 생활만족도와 여가만족도(ρ=.80)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으며, 여가만족도의 하위요인 심리적만족(ρ=.78), 교육적(ρ=.76), 사회적(ρ=.74), 근육이완(ρ=.68), 신체적(ρ=.76), 미적 여가만족(ρ=.77)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은 심리적 여가만족(β=1.22)과 가계의 수입(β=.35)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이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다는 선행연구들(장순용, 김송희, 2003; Jones, Jone, Hollenhorse, Perna & Selin, 2000; Ragheb & Griffith, 1982; Zabriske & McCormick, 2003)과 일치한다. 장순용과 김송희(2003)은 생활만족과 여가만족의 하부요인들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그들의 연구에서는 상관계수가 (.26장순용과 김송희(2003)의 연구에서는 98 항목의 여가형태가 6개의 여가집단으로 나누어 졌으며 여가집단 별로 생활만족도를 측정하지 않고 6개 집단을 동시에 상관관계 분석을 하여 스포츠활동 집단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과의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생활만족을 설명하기 위한 회귀분석에서는 심리적 여가만족(β=-.10), 교육적 여가만족(β=-.17), 사회적 여가만족 (β=.23), 휴식적 여가만족(β=.29), 환경적 여가만족 β=.18)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하부요인들이었다. 하지만 생리적 여가만족은 유의한 하부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여가만족(β=1.22)이 유일한 여가만족의 하부요인이라는 본 연구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여가만족의 베타값이 다른 요인들의 베타값 보다 월등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심리적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을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을 알 수 있다(R²=.62). 이는 생활만족은 자신의 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 정도를 의미한다는 장순용과 김송희(2003)의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복싱 에어로빅 프로그램에 참여한 30-40대 여성들은 운동에 참여함으로써 신체적,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휴식적, 신체적, 미적 여가만족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며 이러한 여가만족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끼친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V. 결론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복싱에어로빅 운동이 성인 여성들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고 아래와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함으로써 여가만족이 증가하였다.

    2)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함으로써 여가만족의 하부요인들 (심리적요인, 교육적요인, 사회적요인, 긴장이완요인, 신체적요인, 미적요인)이 증가하였다.

    3)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함으로써 생활만족이 증가하였다.

    4) 생활만족과 여가만족의 하부 요인들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생활만족을 설명하기 위한 요인들로는 심리적 여가만족과 가계수입이 중요한 변인들이었다.

    30-40대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의 복싱에어로빅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복싱에어로빅 운동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운동 전/후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한 여성 집단에서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가만족의 하부요인들(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근육이완적, 신체적, 미적)도 복싱에어로빅에 참여한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처럼 복싱에어로빅 운동은 중년여성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긍정정인 영향을 주는 권장되어져야할 운동이라 사료된다. 또한, 복싱에어로빅 운동을 통하여 신체적인 기능향상 뿐만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 교육적, 근육이완적 효과까지 증대 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최초의 논문이다. 그러므로 추후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반복적인 복싱에어로빅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싱에어로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하였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여가활동과의 비교분석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김 광득 (1997)
  • 2. 김 동아 (2005)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29 P.249-260
  • 3. 김 미향 (2004) [한국체육학회지] Vol.43 P.419-427
  • 4. 김 미량, 이 연주, 황 선환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Vol.10 P.435-445
  • 5. 김 보람, 최 윤정, 황 향희 (2011)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5 P.41-53
  • 6. 김 영운, 이 혁 (201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40 P.843-852
  • 7. 김 영숙 (2003)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17 P.33-46
  • 8. 김 진표 (2009) [대한무도학회지] Vol.11 P.163-176
  • 9. 김 진표, 김 주영 (2009)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Vol.20 P.187-197
  • 10. 박 세혁 (2004)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 학회지] Vol.28 P.17-30
  • 11. 배 소심, 이 영희 (2005)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28 P.181-189
  • 12. 온 채은, 장 봉석 (2004)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27 P.135-151
  • 13. 이 동현, 김 승철 (2003) [한국스포츠심리학회] Vol.14 P.127-148
  • 14. 이 승범, 김 재운 (2007) [한국운동재활학회지] Vol.3 P.43-51
  • 15. 이 정자, 김 명준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P.219-231
  • 16. 이 종길 (1992)
  • 17. 이 지환 (2004)
  • 18. 임 경희 (200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 P.225-232
  • 19. 임 번장 (2000)
  • 20. 장 순용, 김 송희 (2003)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24 P.17-30
  • 21. 전 유정, 이 정국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P.463-471
  • 22. 전 형상 (2005)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28 P.267-283
  • 23. 전 형상, 장 순용 (2002)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22 P.241-256
  • 24. 천 길영, 김 주영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P.409-420
  • 25. 최 성애, 박 종하, 김 영아, 김 부일 (2005) [한국스포츠리서치] Vol.16 P.225-235
  • 26. 최 윤동, 김 정주, 김 형돈 (2003) [체육학논문집] Vol.31 P.49-62
  • 27. 최 윤동, 최 조연 (2005)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4 P.105-116
  • 28. 함 정혜 (2003)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Vol.7 P.1-10
  • 29. 허 선 (2010)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24 P.39-48
  • 30. 황 승희 (2002)
  • 31. Beard J. G., Raghed N.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 P.20-33 google
  • 32.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P.71-75 google cross ref
  • 33. Jones A., Jones C. D., Hollenhorst S. J., Perna F., Selin S (2000) Validating of the flow theory in an on-site whitewater kaaking setting.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32 P.247-261 google
  • 34. Ponde M. P., Santana V. S. (2000) Women, wilderness, and everyday life: A document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wildness recreation and women’s everyday liv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32 P.415-434 google
  • 35. Ragheb M. G., Griffith C. A. (1982)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8 P.248-258 google
  • 36. Weissinger E., Bandalos D. L. (1995)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cale to measure intrinsic motivation in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7 P.379-400 google
  • 37. Won J. J. (1989) The daily leisure of Korean school adolescents and its relationship to subjective well-being and leisure function. google
  • 38. Zabriskie R. B., McCormick B. P. (2003) Parent and child perspectives of family leisure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35 P.163-189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 구성요인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 구성요인
  • [ 표 2. ]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 구성내용
    복싱에어로빅 프로그램 구성내용
  • [ 표 3. ]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구성내용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구성내용
  • [ 표 4. ]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5. ]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여가만족도의 변화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여가만족도의 변화
  • [ 표 6. ]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심리적 여가만족의 변화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심리적 여가만족의 변화
  • [ 표 7. ]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교육적 여가만족의 변화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교육적 여가만족의 변화
  • [ 표 8. ]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사회적 여가만족의 변화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사회적 여가만족의 변화
  • [ 표 9. ]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긴장이완 여가만족의 변화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긴장이완 여가만족의 변화
  • [ 10. ]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여가만족의 변화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여가만족의 변화
  • [ 표 11. ]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미적 여가만족의 변화
    복싱에어로빅 참여 유무에 따른 미적 여가만족의 변화
  • [ 표 12. ]  ?
    ?
  • [ 표 13. ]  설문지 하부요인들의 상관관계
    설문지 하부요인들의 상관관계
  • [ 표 14. ]  ?
    ?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