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장애인 생활체육 탁구동호인들의 운동 참여제약에 대한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n Sport Participation Constraints of Table Tennis Club Members with Disabilitie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장애인 생활체육 탁구동호인들의 운동 참여제약에 대한 질적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ous barriers or constraints associated with sport participation among disabled people who try to overcome physical disability by doing table tennis. The participants were 110 physically disabl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16th the Korea Disabled People Table Tennis Association's Cup National Table Tennis Championship be held Ulsan in 2013. Table tennis club members answered an open question asking them for their source of constraints during table tennis exercise. In-depth unstructured interview with seven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increase internal validity. Results of inductive content analysis on 164 raw data obtained from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identified 15 sub categories, 10 general categories and intrapersonal, structural and interpersonal constraints themes. Intrapersonal constraints that is occupied most highest percentage among major themes were identified as economic constraints, physical constraints, time constraints and personal constraints. Structural constraints in second highest percentage included facility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accessibility constraints, coach constraints and institutional constraints. Finally, interpersonal constraints included interpersonal constraints, negative prejudic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general categories identified facility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followed by economic constraints, physical constraints. The data suggested that sports participation constraints was not affected by one specific cause but was affected by a multifactorial set of constraints.

KEYWORD
table tennis club members with disabilities , sport participation constraints , intrapersonal constraints , structural constraints , interpersonal constraints
  • Ⅰ. 서론

    자유재량 여가시간에 스포츠, 운동 및 레크리에이션과 같은 신체활동에 규칙적으로 참여하면 생리적, 심리적으로 의미 있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이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다시 말해서 생활체육중심의 능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고 지속한다는 것은 현대사회의 매우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으며, 개인의 안녕과 국가의 복지수준을 넘어서서 국가경제와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Duncanson, 2008). 또한 많은 연구들(김동건, 이문숙, 김상현, 2007; Buffart et al., 2010; Fragala-Pinkham, Haley, Rabin & Kharasch, 2005; Marshall, McConkey & Moore, 2003; Guthrie & Castelnuovo, 2001)이 활동적인 생활 스타일은 건강과 체력뿐만 아니라 이차적인 건강 문제에 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지지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편익들은 장애인들에게 각별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데(Beaton, 2003; Maltais & Bar-Or, 2003; Sutherland & Andersen, 2001), Blinde & Taub (1999)의 연구에 따르면 육체적 장애와 감각손상을 입은 장애인들이 스포츠와 육체적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참여한 결과 사회적 효과가 향상되었으며 삶에서의 통제의식이 높아지고 사회적 통합이 증진되었다고 보고함으로서 운동 참여가 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수단적 역할까지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체활동이나 특정 스포츠에 참여할 때는 참여를 제약하거나 방해하는 요인들이 수반되기 마련이다. 여가제약 지각은 사람들의 여가흥미를 억제하거나 만족스러운 참여를 제한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Henderson, Stalnaker & Taylor, 1988; Jackson, 1991; Jackson & Henderson, 1995; Tsai & Coleman, 1999), 사람들의 여가에서의 즐거움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가제약이 개인의 여가 선호도와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자 위계적 여가제약모형(Crawford, Jackson & Godbey, 1991)과 통합모형(Henderson & Bialeschki, 1993; Jackson, Crawford & Godbey, 1993)이 개발되었다. 위계적 여가제약 모형은 상이한 종류의 제약들이 일정한 순서대로 경험되고 타개(조정)된다는 주장을 한다. 위계모형에 따르면 가장 먼저 직면하게 될 제약은 개인의 여가 선호도를 억제하는 개인내 제약(예, 기술부족, 사회적 태도 지각, 동기, 불안 등)이다. 개인내 제약이 극복되고 나면 여가 선호도와 여가참여를 중재하는 대인간 제약(예, 동반자 부재)과 구조적 제약(예, 정보와 시설부족)에 직면하게 되고 이러한 중재 제약들이 해결되고 나면 여가 참여가 이루어진다고 보는 입장이다. 반면, 여가제약 통합모형은 여가제약 타개는 위계모형에서 제안한 순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극복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될 때, 특정 활동 참여시 겪게 되는 개인내적인 제약과의 조우 가능성은 그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망 자체를 억누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장애인들이 특정한 신체활동이나 운동에 참여할 때 겪게 되는 어려움이나 장애요인들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 제약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지각은 어떠한지, 또한 제약요인을 해소하거나 타개하려는 전략들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구명하려는 노력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과거에는 장애인들이 종종 조롱의 대상, 연민의 대상, 골칫거리, 자선부담의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많은 연구들은 장애인들에 대한 주류사회인들의 부정적인 사회적 태도가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하려고 할 때 직면하는 가장 중요한 장애물이라는 사실을 입증하였다(Bedini, 2000; Esses, Beaufoy & Philipp, 1993; Kwok & Ng, 1991). 이러한 편견과 선입견 등 부정적인 태도는 부분적으로 주류사회인들이 장애인들의 능력과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평가부족에 기인한 것일 수도 있고, 장애인과 주류 사회인들 간의 사회적 접촉과 상호작용이 부족한 것에서 파생되는 것일 수도 있다(Devine, 2004).

    이러한 사회 태도적인 장애요인들과 더불어 개인 내적, 사회적 그리고 구조적 제약들이 신체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이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들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에는 에너지 부족, 서투른 스포츠 기술, 시간 없음, 좋지 못한 건강, 비용부담, 교통(수송)제약, 시설 및 프로그램의 비가용성, 다른 여가활동 선호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Henderson, Bedini, Hecht & Schuler(1995)는 30명의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여가제약요인과 타개전략을 조사한 연구에서 에너지 부족, 시간감소, 기회와 선택 부족, 타인 의존도, 신체적·정신적 안전이 주요 제약요인이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Fu(1996)는 홍콩에 있는 장애인들의 자유시간 신체활동 참여를 제약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나태함을 들었고, 그 다음으로 시간부족, 나쁜 건강, 프로그램 부족, 시설부족의 순으로 평가하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Rimmer, Rubin & Braddock(2000)은 아프리카계 미국장애여성들의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 제약요인으로 프로그램 참여비용, 정력부족, 교통편 부족을 보고하였으며, Tsai & Fung (2005)은 청각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다른 사람들의 태도에 대한 불편한 느낌과 시설이용에 대한 정보부족이 중요한 제약조건이라고 보고하였다. 그 외 같이 참여할 친구 부재, 시간부족, 특정기술 부족이 장애인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지적하는 원인(Ferrara, Dattilo & Dattilo, 1994; Sherrill & Williams, 1996)이며 Sit, Lindner & Sherrill(2002)은 다른 비 신체 여가활동에로의 관심변경이 홍콩의 장애아동들의 신체활동 비 참여 이유 중 가장 중요한 원인임을 알아내었다. 이 외에도 여러 선행연구에서 장애인들의 신체활동을 제한하는 제약 요인으로 자원 또는 기술, 가족과 친구의지지, 신체활동 참여기회부족, 전동휠체어 의존도, 부상에 대한 두려움, 태도와 동기, 에너지 부족, 제한된 신체활동 시설 등을 보고하고 있으며 재미와 사회적 접촉은 건강과 체력증진뿐만 아니라 신체활동 참여의 촉진요인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Buffart, Westendorp, Berg-Emons, Stam & Roebroeck, 2009; Duncanson, 2008; Sit, Kerr & Wong, 2008).

    한편 국내에서도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제약에 관한 연구들(김한철, 2004; 박원임, 장미영, 1999; 이충환, 2008; 장미영, 1999; 최정규, 2005; 홍양자, 구혜봉, 2002)이 있지만 주로 외국의 선행연구를 번안, 수정한 도구를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야 몇몇 질적인 접근 방식을 이용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먼저 구교만 및 김춘종(2011)은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제약 요인을 금전적 문제, 시간부족, 피로, 편견, 대인관계문제, 접근성 문제, 시설부족, 친목활동, 정보부족, 전문지도자 부족, 동기부족, 동반자 부족, 신체적 조건, 날씨환경, 정책문제의 15개 요인으로 보고하였으며, 구교만 및 오아라(2012a, b)는 지체장애인들과 시·청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제약요인을 분석한 결과 운동참여 환경요인, 사회적 지원 환경요인, 이동환경요인, 개인적 조건요인, 신체심리 요인, 미시적 환경요인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박상수 및 김춘종(2013)은 지체장애인의 참여제약요인은 개인요인 4개(신체적 문제, 비용부담, 시간부족, 동기저하), 환경요인 5개(불편한 접근성, 전문지도자 부족, 시설 및 공간부족, 전용프로그램 부족, 부정적 편견)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이렇듯 몇 몇의 연구들을 제외하면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근본적인 참여제약 원인을 찾기 위한 연구들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제약에 대한 인식이 신체활동이 수행되는 상황에 더 관련(Jackson & Scott, 1999; Young, Ross & Barcelona, 2003)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선택한 활동에 참여하면서 느끼는 제약요인을 밝히는 것 또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요약하면 지금까지의 장애인 관련 연구들은 운동을 하지 않는 표본을 대상으로 왜 운동에 참여하지 못하는지, 그리고 장애요인을 극복하려는 전략들은 어떠한 것을 활용하는지 등을 규명하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중요한 것은 선택한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들에게도 여러 가지 사회 태도적인 장애요인들과 개인 내적, 사회적 그리고 구조적 제약들이 신체활동 참여를 제한하는데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여부를 조사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체육 종목 중 척수손상 환자와 같은 중증 장애인들의 재활종목으로 보급, 확산되기 시작한 탁구종목을 선정하여 참여하는 운동 종목이나 환경에서 어떠한 제약 요인들이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제로 탁구운동은 힘들고 지루한 운동 대신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고 신체의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신체적, 심리적, 건강문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운동이다(정영주, 박재경, 유경원, 이희경, 김미란, 김권영, 2009).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귀납적 내용분석과 심층면담 기법을 활용하여 장애인 탁구동호인들의 운동 참여를 제한하는 요인들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확인하는 데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제약 내용들과의 차이점과 유사성은 어떠한 형태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13년 울산에서 개최된 제16회 대한장애인탁구협회장배 전국장애인탁구대회에 출전한 250여명의 선수들 중 지체장애인선수 110명만을 선정하였으며, 지체장애인선수 중 엘리트 선수(실업팀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들)들은 제외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또한 자료의 내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110명 외에 7명의 장애인 동호인을 선정하여 비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자의 특성은 <표 2>와 같다.

    [표 1.] 귀납적 내용분석을 위한 연구 참여자

    label

    귀납적 내용분석을 위한 연구 참여자

    [표 2.] 심층면담 참여자

    label

    심층면담 참여자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탁구동호인들이 운동하면서 겪게 되는 세부적인 제약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개방형 질문지(open-ended questionnaire) 방법과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기법을 활용하였다. 개방형 질문지는 “귀하께서 탁구운동에 참여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이나 제약요인(장애요인, 애로사항)은 어떠한 것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주고, 위 질문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이유를 2가지만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요구하였다. 이 외에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련된 질문 7문항을 포함하였다. 두 번째로 자료의 내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실시한 심층면담은 대화형식으로 질문을 던져 면담을 시작하고 그와 관련된 다른 질문을 추가해 나가는 비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질문의 내용은 “선생님이 운동에 참여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이나 장애요인들은 무엇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상황에 따라서 응답자의 대답이 애매모호한 경우 캐어묻기(probing) 형식을 통해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자료를 얻으려고 하였으며 7차례에 걸쳐 7명에게 실시하였다. 면담 시작 전 연구의 의도와 녹취에 대한 사전 동의를 얻어 면담의 전 과정은 MP3를 이용해 녹취하였고 면담 시간은 개인에 따라 달랐지만 평균 30~40여분 가량 소요되었다.

       3. 자료수집

    개방형 질문지에 대한 자료 수집은 2013년 울산에서 개최되었던 제16회 대한장애인탁구협회장배 전국장애인탁구대회에 출전한 지체장애인 선수들 중 실업팀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들을 제외한 탁구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질문지 작성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참여자들은 참여자의 요구가 있을 때 설문 내용을 읽어주고 응답 내용을 그대로 받아 적은 후 참여자가 확인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모든 참여자들에게 질문지를 배부하기 전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응답의 자율성과 비밀보장에 대해 주지시켰다. 배포된 질문지는 작성 후 현장에서 즉시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두 번째로 자료의 내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실시한 심층면담은 평소 연구자와 친분이 있는 장애인 탁구클럽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보다 솔직하고 진솔한 응답을 얻기 위해 연구자와의 라포가 잘 형성되어있는 참여자들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의 취지와 심층면담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 의사를 파악하였으며, 그 중 연구의 뜻을 충분히 이해하고 흔쾌히 참여의사를 밝혀준 5명의 동호인들과, 개인적으로 수년간 쌓아온 친분으로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이해하고 선뜻 연구에 응해준 2명의 동호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2013년 7월 16일부터 8월 14일까지 5차례, 2014년 5월 2차례로 총 7차례에 걸쳐 지체장애인 탁구동호인 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내용은 사전에 동의를 얻어 MP3를 이용해 녹취하였고 진지하고 솔직한 답변을 얻기 위해 편안한 분위기에서 대화형식으로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면담 후 녹취된 내용은 한글 2007에 전사하였다(백혜경, 양명환, 2014).

       4. 자료분석

    본 연구는 미리 정해진 주제와 범주군을 이용하는 연역적 분석대신 참여자의 관점으로부터 원 자료를 해석가능하고 의미 있는 주제와 범주가 출현 가능하도록 귀납적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양명환 등, 2005). 질적 자료 분석은 다양한 분석기법들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의 자료 분석 절차는 전사, 개방코딩, 그리고 주제생성의 3단계(김영천, 2007)를 거쳐서 이루어졌다. 전사(transcribing)는 현장작업에서 수집하거나 기록한 자료들(개방형으로 응답한 기록내용, 녹음테이프의 내용, 현장자료들)을 후속적 분석을 위하여 깨끗하게 그리고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7명의 심층 면담자료에 대한 전사과정이 끝난 후 연구자는 저장된 자료를 출력해 본 다음 의사소통의 문제가 있을 수 있는 틀린 글자들, 띄어쓰기 등에 대한 글자편집, 그리고 원문에서 생략된 내용을 보완한 다음 전사의 과정을 마무리하였다.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개방코딩(open coding)은 수집되고 전사된 자료들을 계속 읽으면서 자료 속에 내재된 주제를 찾아내는 과정으로서 텍스트(text)가 담고 있는 메시지와 의도 그리고 의미가 무엇인가를 최초로 개념화시키는 작업이다. 이를 위하여 귀납적 내용분석에 연구 경력이 있는 전문가 3인과 함께 아래 한글에 전사된 원자료들을 수차례 정독하면서 원 자료가 갖고 있는 메시지의 의도와 의미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코딩절차는 세그멘팅(segmenting), 초기 코드발견, 심층코드 생성의 3단계로 이루어졌다. 초기코딩을 통하여 도출된 많은 코딩들 중에서 정말로 의미 있는 코딩들을 더욱 요약적으로 그리고 주제별로 묶는 코딩작업을 실시하고 연구자들은 분석된 코드들 중에서 서로 관련이 있거나 연결이 되는 코드들을 비교하고 대조하고 그 공통점을 찾는 과정을 통하여 최종주제를 생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관적인 판단과 확대 해석을 피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전문가들 간의 합의를 통하여 주제생성을 하였다.

    한편, 자료의 진실성(trustworthiness)의 관점에서 자료의 타당도 제고를 위해 전문가 협의과정을 거치는 조사자 다각적 검증(investigator triangulation)을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질문과 심층면담기법을 활용한 방법간 다각검증(triangulation between methods)을 실시하였다. 즉, 심층적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추가함으로써 분석에서 발생하는 연구자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전 과정이 녹취된 심층면담 자료는 한글 2007에 전사한 후 자료를 해석하는데 부분적으로 내용을 발췌하여 인용문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관점에서 자료를 해석하고자 하였으며, 면담자료의 경우 제보자들에 의한 연구결과를 평가하는 작업(member check)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분류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내어 내용의 중요도를 평가하는데 참고하였다.

    Ⅲ. 결과

    개방형 질문지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과 심층면담기법을 통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방형 질문지로부터 얻은 164개의 원 자료를 귀납적으로 내용 분석한 결과 15개의 세부영역과 10개의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고, 마지막 고차영역에서 개인내 제약, 구조적 제약, 대인간 제약 요인으로 3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표 3> 참조). 위계모형에 대한 고차서열 구인 접근법(high-order-construct approach of the hierarchical model)에만 의존할 경우 개인내, 대인간 및 구조적 제약 내부의 상이한 유형의 제약의 중요성과 영향력이 차단 될 수 있기 때문에 참여제약에 관한 응답내용은 일반영역에서의 응답 빈도를 중심으로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시설환경 제약이 전체 43개로 26.22%를 차지하여 가장 중요한 제약요인으로 나타났고, 경제적 제약과 신체적 제약은 각각 28개로 17.07%를 차지하였으며, 개인적 제약과 접근성 제약, 시간적 제약 순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주제영역별로 내용 분석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3.] 장애인 탁구동호인들의 참여제약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label

    장애인 탁구동호인들의 참여제약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1. 개인 내 제약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인 내 제약은 7개의 세부영역과 4개의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이 주제에 포함된 일반영역의 세부적인원 자료들을 살펴보면 ‘물품비가 비싸다’, ‘배우고 싶어도 비싼 레슨비’, ‘경제적 문제,’ 등의 응답으로 구성된 경제적 제약(17.07%), ‘신체조건상 기술연마의 한계’, ‘신체적 불편’, ‘몸이 자유자재로 움직여 절제가 안 됨’ 등의 응답으로 구성된 신체적 제약(17.07%), ‘직장과의 갈등’, ‘집안환경’, ‘가정생활의 소홀함’ 등의 응답으로 구성된 개인적 제약(8.54%), ‘시간부족’, ‘시간이 별로 없다’, ‘직장생활로 인한 운동시간 부족’ 등의 응답으로 구성된 시간적 제약(7.32%)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 내 제약으로 분석된 요인들은 심층면담을 통해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2. 구조적 제약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적 제약은 6개의 세부영역과 4개의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이 주제에 포함된 일반영역의 세부적인원 자료들을 살펴보면, ‘장소’, ‘운동할 수 있는 시설 부족’, ‘장애인 편의 시설 부족’ 등의 응답으로 구성된 시설환경 제약(26.22%), ‘이동의 제약’, ‘신체조건과 이동 시설의 미비’, ‘집에서 멀다’ 등의 응답으로 구성된 접근성 제약(8.54%), ‘지도자부족’, ‘장애인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부재’, ‘전문적으로 레슨을 해주는 코치 선생님이 없다’ 등의 응답으로 구성된 지도자 제약(4.88%), ‘생활탁구경기를 많이 했으면 좋겠다’,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의 구분을 좀 했으면 하는 바램’ 등의 응답으로 구성된 제도적 제약(1.22%)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반영역의 원 자료들은 심층면담을 통해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3. 대인간 제약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인간 제약은 2개의 세부영역과 2개의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이 주제에 포함된 일반영역의 세부적인원 자료들을 살펴보면, ‘보조자’,‘ 칠 사람이 없음’, ‘파트너 필요한데 혼자 하기 힘든 점’ 등의 응답으로 구성된 대인간 제약(7.32%),‘ 일반인 같이 생각 한다’, ‘같이 운동하니 똑같이 생각한다’, ‘탁구장의 장애인 배려심 부족’ 등의 응답으로 구성된 부정적 편견(1.83%)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 자료들은 심층면담 녹취록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전체적으로 정리해 보면, 고차 영역에서는 개인내 제약(50%), 구조적 제약(40.85%), 대인간 제약(9.15%)의 순으로 제약의 중요도가 나타났으며, 일반영역에서는 시설환경 제약(26.22%), 경제적 제약(17.07%), 신체적 제약(17.07%) 등의 순으로 참여제약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장애인들의 상당수가 왜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자신의 생활방식으로 통합하지 못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장애인들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인 장애요인과 촉진요인들을 이해하는 것은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중재전략들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불행하게도 장애인들의 신체활동 참여와 관련된 장애요인과 촉진요인들에 대한 연구문헌들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탁구활동을 통하여 개인의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자 하는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운동참여를 방해하거나 제한하는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분석결과 경제적 제약, 신체적 제약, 개인적 제약, 시간적 제약과 같은 개인내 제약 요인과 시설환경 제약, 접근성 제약, 지도자 제약, 제도적 제약과 같은 구조적인 제약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대변하는 동반자 부재와 비장애인들의 부정적 편견요인으로 구성된 대인간 제약으로 분류되었다. 제약을 개인내, 대인간, 구조적 제약으로 분류하는 것이 장애인의 운동참여 의사결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간명한 이론적 틀로서 제공되고는 있으나, 제약들을 3개의 개별적인 범주로 분류하는 것이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각된 시간제약은 다른 좌업성 여가활동과 비교하여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낮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였다면 개인내 제약일 수 있다. 순위가 낮은 이유는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관심이 없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다. 반면 진정한 시간부족은 구조적 제약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요인을 중심으로 제약의 중요성을 파악함으로써 3개의 제약 범주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제약 범주 내에서의 차이를 동시에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상이한 종류의 제약들이 일정한 순서로 경험되고 타개된다는 위계모형(Crawford, Jackson & Godbey, 1991)의 주장이 본 연구의 장애인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파악해 본 결과 운동을 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절반이상(50.00%)이 개인내 제약으로 인하여 운동참여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구조적 제약, 대인간 제약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위계적 모형의 설명은 장애인 탁구 동호인들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제약극복이 반드시 위계모형에서 제안한 계통적인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약의 타개는 상황에 따라서 다르며 여러 가지 요인들의 혼재되어 통합적으로 극복될 수 있다는 여가제약통합모형(integrated models of leisure constraints)이 설득력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3개의 제약 주제인 개인내, 대인간 및 구조적 제약범주에서의 분석만이 아니라 주제내의 일반적 범주들의 중요성을 기준으로 제약의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나타난 제약요인들은 구교만 및 김춘종(2011)의 연구와 매우 유사하며, Rimmer, Riley, Wang, Rauworth & Jurkowski(2004)의 제약범주와도 유사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들은 4군의 초점집단(장애인, 건축가, 체력/레크리에이션전문가, 도시기획자 및 공원관리자 집단)과의 면담을 통하여 피트니스와 레크리에이션 시설 접근성과 관련하여 어떠한 제약요인들이 존재하고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촉진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들의 연구에서 나타난 장애요인들은 인공환경 및 자연환경제약, 비용/경제성, 장비, 가이드라인·법규·규정, 정보 제약, 정서적/심리적 장애요인, 지식, 교육 및 훈련제약,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 장애인 정책/절차, 자원가용성(수송 및 장비)제약으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Tsai & Fung (2005)은 홍콩의 청각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제약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본 결과, 의지부족, 대인간 제약, 시설제약, 신체적 불쾌감, 다른 활동에의 우선권 양보, 사회적 태도 제약, 정보제약, 신체적 협응력 부족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비교하여 제약요인들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특기할만한 사항은 신체적 제약의 하위요인인 기술학습의 한계가 탁구 동호인들에게는 중요한 제약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하고 훈련하려는 의지와 동기제약 부분은 상당히 극복을 한 상태이지만 신체적 장애로 인한 한계 극복은 운동을 하고 있는 장애인들에게도 어쩔 수 없는 개인적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표 4.] 장애인들의 운동제약 결과 비교

    label

    장애인들의 운동제약 결과 비교

    좀 더 구체적으로 일반적 범주로 분류하여 제약요인의 중요성을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제약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구조적 제약의 하위요인인 시설환경 제약이었다. 이 결과는 장애인들의 신체활동 참여제약에 관한 선행연구(구교만, 오아라, 2012a, 2012b; 박상수, 김춘종, 2013; Ian, Elizabeth & Christopher, 1996)들과 마찬가지로 장애인들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있는 편의시설이 갖추어진 체육 시설 부족을 여전히 가장 큰 제약 요인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결과는 성인 휠체어 사용자의 위락 및 여가시설 환경상황에의 접근성을 조사한 Meyers, Anderson, Miller, Shipp & Hoening(2002)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고 있다. 그들의 연구에서는 휠체어 이용자의 상당수가 좋지 못한 날씨나 기후, 도로경계석이 트여지지 않거나 도로경계석 봉쇄, 약한 근력이나 체력, 접근 불가능한 문이나 샤워실, 주차시설 부재, 좋지 않은 이동표면, 주행로 방해, 게으름, 경사로가 없거나 너무 가파른 경사로, 휠체어 문제들 때문에 운동시설에 접근을 할 수 없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2012장애인생활체육실태조사에서도 운동을 한다면 이용하고 싶은 체육시설이 장애인 단체나 시설 23.7%, 복지관 체육시설 18.4%로 보고해 장애인 전용 체육시설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구교만 및 오아라(2012b)는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함께 운동하는 공공체육시설보다는 장애인전용 체육시설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 편의시설, 프로그램, 전문지도자, 장애인식 등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도 지도자 제약, 접근성 제약, 부정적 편견 등의 요인들이 나타나고 있어 시설환경 제약이라는 하나의 제약요인에는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구조적 제약의 하위요인 중 하나인 이동제약, 거리제약을 포함하는 접근성 제약은 일반적으로 생활하는 지역 근처에 스포츠 시설이 있을 때 더 자주 활동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부적당한 시설과 불충분한 교통편 등은 장애인의 이동에 제약요인으로 작용(Grahn & Stigsdotter, 2003; Roovers, Hermy & Gulinck, 2002)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의 NSRE(National Survey of Recreation and the Environment)에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야외활동 참여와 관련해 조사해본 결과 야외활동 참여제약은 비장애인에 비해 이동하는데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훨씬 더 자주 발생하고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물리적인 특징이나 접근성 등, 제약 조건을 더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Williarns, Vogelsong, Green & Cordell, 2004). 이는 인간은 누구나 독립생활 유지와 사회참여를 위해서 개인이 의도하는 바에 따라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목적지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과 동선을 확보할 권리가 있고 특히 장애인들에게 있어 이동은 비장애인에 비해 무엇보다 절실한 권리이며 가치를 지닌다(허창덕, 신주영, 2011). 따라서 손쉽게 이동할 수 있고 필요시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수송에 관한 문제와 같은 접근에 대한 제약요인들은 장애인들의 운동참여와 관련해 중요한 역할과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들이 운동을 시작하고, 중단하는 것과 같은 의사결정을 하는데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지도자 제약 역시 본 연구를 비롯한 선행연구(구교만, 오아라, 2012b, 박상수, 김춘종, 2013)에서도 보고되고 있는 제약 요인이다. 이는 과거에 비해 장애인 체육의 양적, 질적으로의 성장은, 동시에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들이 보다 만족한 수준의 서비스와 높은 수준의 기술수준에 도달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반영해준다. 이러한 욕구에 따라 그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장애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애인 전문지도자의 육성과 배치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장애인들은 비장애인에 비해 운동할 수 있는 시설이나 환경에 따른 제약을 많이 받고 있으며 여러 가지 더 다양한 이유로 시설환경적인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그들이 생활권 안에서 자유롭게 이용하고 운동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즉 휠체어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체육시설과 편의시설, 이동에 제약을 받지 않는 물리적인 환경, 장애에 맞는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 지도자 배치 등은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들에게도 절실한 문제이며 장애인들의 운동참여 증진을 위해서는 점진적으로 반드시 해결해 나가야할 과제라 사료된다.

    두 번째로 높은 제약요인은 개인내 제약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제약과 신체적 제약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제약은 원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신체적 중증장애’, 장애특성에 따른 신체적 제약’, 기술습득의 한계’, 신체적 불편’ 등의 응답내용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구교만 및 김춘종(2011)의 연구에서도 신체적 조건요인에 대한 원 자료에서 ‘문제행동 혹은 과잉행동 때문에’, ‘몸이 불편해서’, ‘아파서 동작이 잘 안되어서’ 등의 응답내용을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Tsai & Fung(2005)도 청각장애학생들의 참여제약 요인을 신체적 불쾌감, 신체적 협응력 부족으로 보고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구교만 및 오아라(2012a)도 청각장애인의 참여 제약요인을 소리와 관련성이 있는 운동 참여에 한계를 느끼는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이 외에도 Henderson et al. (1995)은 장애상황은 여가참여 기회와 선택 부족이라는 제약 요인으로 신체활동을 제한하며, Matthew & Kroll(2009)은 척수손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운동참여에 많은 관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신체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애물과 직면하고 있으며 부상이나 건강,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종합해 보면 장애인들이 신체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잠재된 제약요인들이 존재하고 이러한 제약요인들을 넘어서서 신체활동에 참여 한다 하더라도 참여하는 활동 안에서 신체적으로 충족되지 못하는 또 다른 제약을 느낄 뿐만 아니라 약한 체력이나 부상에 대한 두려움 등도 장애인들의 운동참여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도 몸의 마비나 약한 체력, 신체적인 불편 등을 제약요인으로 응답하고 있으며 특히 탁구운동은 고급기술로 수준이 올라갈수록 체력이나 신체적인 능력이 더 요구되어지는 운동으로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면서 고급기술을 구사하기 위해 노력은 하지만 활동 안에서 느껴지는 신체적인 한계가 그들에게는 어쩔 수 없이 존재하며 그것이 제약의 일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제적 제약, 시간적 제약은 선행연구(구교만, 오아라, 2012a, 2012b; 박상수, 김춘종, 2013; McCarville & Smale, 1993)의 시간부족, 경제문제, 비용부담 등과 일치해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으며 특히 시간부족과 같은 요인들은 본 연구를 비롯한 대부분의 많은 참여제약 연구에서도 자주 보고되고 있는 중요한 제약요인이다(부공민, 양명환, 2006). 경제적 제약 역시 많은 연구에서 중요한 제약 요인으로 자주 보고되고 있다. 소득 수준이 성별, 연령, 인종, 교육 수준보다 여가 활동 참여에 더 중요한 역할(Johnson, Bowker & Cordell, 2001; Shores, Scott & Floyd, 2007)을 하며 Alexandris & Carroll(1997)은 여가참여 수준에 따른 여가제약 분석 결과 이러한 내적제약이 스포츠의 참여와 불참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보고 하였다(Grahn & Stigsdotter, 2003). 이러한 시간, 비용제약과 관련해 구교만 및 오아라(2012b)는 이 두 가지 요인들은 서로 맞물려져 있으며 최소한의 생활비 마련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경제적 문제로 인해 운동 참여 비용을 지출하는 것은 장애인들에게 매우 어려운 것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직장생활과 경제적 활동으로 운동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과 장비, 비용부담에 대한 부담이 높은 제약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탁구용품의 대부분이 국산이 아닌 해외용품을 사용하는데다 가격 분포가 다양하긴 하지만 비교적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라켓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소모성 물품으로 지속적인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장애인들에게는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경제적, 시간적, 개인적 제약 요인 역시 어느 한 가지 요인이 독립적으로 작용 한다는 것 보다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운동에 참여하는데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제약요인들의 감소를 위해서는 개인의 조건에 맞는 시간, 비용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지원과 사회적 환경 조성, 나아가 장애인 의무 고용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대인간 제약은 일반영역의 대인적 제약, 부정적 편견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동반자 부재가 높은 제약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Ferrara et al, 1994; Sherrill & Williams, 1996)에서도 장애인들의 운동 참여환경의 하위요인을 동료부족, 동료관계, 비장애인과의 의사소통, 같이 참여할 친구부재 등으로 보고해 본 연구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탁구운동은 상대가 있어야 하는 운동이고 상대의 수준에 따라 운동의 재미와 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동반자에 대한 갈등이나 결핍이 반영된 결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미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타인의 시선이나 배려부족과 같은 제약 요인들은 미비하게 나타났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유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편견과 같은 제약 요인은 장애에 따른 개인의 심리적 영향이 사회적 낙인이나 부정적인 다른 사람들의 반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은 접촉이론으로부터 지지된다. 접촉이론(contact theory)은 소수집단의 여가참여를 위한 우호적, 비우호적 조건의 결정요인들을 이해하려는 우리들의 이해를 확장하는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고 말할 수 있다(Devine & Wilhite, 1999). 접촉이론에서 상정한 바대로, 우호적인 조건아래서 상이한 지역사회 집단들 간의 접촉과 상호작용은 서로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가능성이 높고, 결국 우정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Allport, 1954). 우호적인 조건에는 상호 혜택, 원조관계보다는 동등한 지위, 협동노력과 개인적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하는 빈번한 접촉 등이 포함된다(Tripp, French & Sherrill, 1995). 따라서 집단들 간의 접촉의 양과 질은 긍정적인 태도 발달에 중요하다. 이러한 우호적 조건의 중요성은 Wilhite, Mushett, Goldenberg & Trader(1997)의 연구에서도 입증이 되었다. 그들은 학교에서 장애인의 날을 운영함으로써 장애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변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Wilhite et al. (1997)은 이벤트 후에 학생들의 긍정적인 태도변화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아내었고, 많은 학생들이 다시는 장애인의 날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반응을 얻었다. 연구진은 이러한 실망스러운 결과가 장애학생들과 비 장애학생들 간의 빈번하고 영속적인 접촉이 부족한데서 그 원인이 있다고 보았으며, 프로그램 전에 서로 친숙해 질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라고 평가하였다. 접촉의 질, 양과 더불어 접촉맥락 또한 개인의 여가경험과 제약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Blinde & McClung(1997)은 적절하게 구조화된 통합스포츠 활동 참여는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근거 없는 믿음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주장하였다. 긍정적인 태도를 조성하는 접촉맥락의 효과성은 장애인들이 동등한 조건에서 경연을 벌일 수 있는 역량에 따라 달라지며, 내재적 즐거움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서로를 수용하는 데 필요한 상호 노력에 따라서 달라진다. 따라서 공교육 기관, 민간 교육기관뿐만 아니라 사회전체가 꾸준히 장애 이해 교육을 통해 장애인들은 원조대상이 아니라 동등한 지위를 가진 사람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그들의 불편함과 어려움을 이해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간의 소통을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써 함께 살아가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내용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내용을 종합해 보면 운동 참여제약은 특정한 한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원인이 상호작용하여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탁구활동을 통하여 개인의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자 하는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운동참여를 방해하거나 제한하는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울산에서 실시한 제16회 대한장애인탁구협회장배 전국장애인탁구대회에 출전한 선수들 중 엘리트 선수들을 제외한 지체장애인 110명을 선정하여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의 내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체장애 동호인 7명을 선정하여 비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해 분석에 활용하였다. 개방형 질문지로부터 얻은 164개의 원 자료를 귀납적 내용 분석한 결과 15개의 세부영역과 10개의 일반영역, 3개의 고차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범주별 중요도는 개인내 제약, 구조적 제약, 대인간 제약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내 제약의 하위요인으로는 경제적 제약, 신체적 제약, 개인적 제약, 시간적 제약 분류되었으며 시설환경 제약, 접근성 제약, 지도자 제약, 제도적 제약은 구조적 제약의 하위요인으로, 마지막으로 대인간 제약, 부정적 편견은 대인간 제약의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일반 영역 범주들의 중요성을 기준으로는 시설 환경제약(26.22%), 경제적 제약(17.07%), 신체적 제약(17.07%)순으로 탁구동호인들의 운동참여에 제약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미래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대상이 일정 대회에 참가한 장애인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체 장애인들에게 일반화 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을 밝힌다. 둘째, 지체장애인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추후에는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운동참여 제약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애유형에 따라 어떠한 요인들이 더 중요한 제약으로 작용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방법론적인 다양성을 추구해야 하며, 특정 시점에서의 횡단적 분석이 아니라 종단적인 연구기법을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면밀한 관찰과 기록을 통하여 도출된 풍부한 질적 자료는 양적연구의 가설 형성과 계량적 조작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장애인의 신체활동과 운동제약에 대한 지속적인 질적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특정 종목과 장애유형에 따라서 운동참여에 관여하는 장애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면, 때로는 양적연구가 놓친 정보나 왜곡된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양적연구를 수정,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약의 원인 리스트를 꾸준히 밝혀낸다면 장애인들의 신체활동 참여증진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 1. 구 교만, 김 춘종 (2011)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 제약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P.56-60 google
  • 2. 구 교만, 오 아라 (2012a) 시·청각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제약 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Vol.51 P.423-430 google
  • 3. 구 교만, 오 아라 (2012b)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참여 제약 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Vol.51 P.447-454 google
  • 4. 김 동건, 이 문숙, 김 상현 (2007) 휠체어 농구 프로그램이 척수장애인의 신체적 자아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Vol.15 P.179-199 google
  • 5. 김 영천 (2007) 질적연구방법론I. google
  • 6. 김 한철 (2004) 시각 및 청각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여가제약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Vol.15 P.1059-1070 google
  • 7. (2012) 2012 장애인생활체육 실태 조사. google
  • 8. 부 공민, 양 명환 (2006) 오름 트레킹 여가활동의 참여제약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0 P.221-239 google
  • 9. 박 상수, 김 춘종 (2013) 변화단계별 지체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 제약요인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1 P.1-15 google
  • 10. 박 원임, 장 미영 (1999)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척수장애인의 자아개념 및 여가제약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Vol.17 P.95-106 google
  • 11. 백 혜경, 양 명환 (2014) 장애인 탁구선수들의 탁구참여동기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한국체육학회지] Vol.53 P.485-498 google
  • 12. 양 명환, 김 덕진, 김 기윤, 김 소연, 부 귀현, 문 경남, 부 공민 (2005) 생활체육지도자들이 지각하는 스포츠맨십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Vol.9 P.39-56 google
  • 13. 이 충환 (2008) 시각장애인의 여가태도와 여가제약에 관한 연구. [스포츠문화·과학연구지] Vol.14 P.39-47 google
  • 14. 장 미영 (1999) 척수장애인의 자아개념과 여가제약지각. [한국체육학회지] Vol.38 P.940-949 google
  • 15. 정 영주, 박 재경, 유 경원, 이 희경, 김 미란, 김 권영 (2009) 탁구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심폐기능, 혈청지질, Catal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Vol.11 P.1-13 google
  • 16. 최 정규 (2005) 정신장애인의 스포츠 참여욕구, 참여제약과 참여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Vol.13 P.57-69 google
  • 17. 허 창덕, 신 주영 (2011)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국내 정책의 실태와 개선방향. [재활복지] Vol.15 P.1-25 google
  • 18. 홍 양자, 구 혜봉 (2002)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욕구와 참여제약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0 P.13-25 google
  • 19. Alexandris K., Carroll B. (1997) An analysis of leisure constraints based on different recreational sport participation levels: Results from a study in Greece. [Leisure Science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Vol.19 P.1-15 google cross ref
  • 20. Allport G. W. (1954) The nature of prejudice. google
  • 21. Beaton C. P. (2003) Shoulder work. [Sport-n-Spokes] Vol.29 P.34 google
  • 22. Bedini L. A. (2000) Just sit down so we can talk: Perceived stigma and community recreation pursui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apeutic Recreation Journal] Vol.34 P.55-68 google
  • 23. Blinde E. M., McClung L. R. (1997) Enhancing the physical and social self through recreational activity: Accounts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Vol.14 P.327-344 google
  • 24. Blinde E. M., Taub D. E. (1999) Personal empowerment through sport and physical fitness activity: perspectives from male college students with physical and sensory disabilities. [Journal of Sport Behavior] Vol.22 P.181-202 google
  • 25. Buffart L. M., Rita J. G., Mechelen W., Meeteren J., Slot W., Stam H. J., Roebroeck M. E. (2010) Promoting physical activity in an adolescent and a young adult with physical disabilities.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Vol.3 P.86-92 google cross ref
  • 26. Buffart L. M., Westendorp T., Berg-Emons R. J., Stam H. J., Roebroeck M. E. (2009) Perceived barriers to and facilitators of physical activity in young adults with childhood-onset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1 P.881-885 google cross ref
  • 27. Crawford D. W., Jackson E. L., Godbey G. (1991) A hierarchical model of leisure constraints. [Leisure Sciences :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Vol.13 P.309-320 google cross ref
  • 28. Devine M. A. (2004) "Being a doer" instead of a "viewer": The role of inclusive leisure contexts in determining social accept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36 P.137-159 google
  • 29. Devine M. A., Wilhite B. (1999) Theory application in therapeutic recreation practice and research. [Therapeutic Recreation Journal] Vol.33 P.29-45 google
  • 30. Duncanson M. (2008) Wrap around analysis of the affordances and constraints for gir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google
  • 31. Esses V. M., Beaufoy S. L., Philip F. H. (1993) Determinants of attitude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The 1993 annual meeting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google
  • 32. Ferrara M. S, Dattilo J., Dattilo A. M. (1994) A cross-disability analysis of programming needs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Palaestra] Vol.11 P.32-42 google
  • 33. Fragala-Pinkham M. A., Haley S. M., Rabin J., Kharasch V. S. (2005) A fitness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PHYS THER)] Vol.85 P.1182-1200 google
  • 34. Fu F. H. (1996) Attitudes towards and participation on sport san physical activity: A survey among disabled persons. google
  • 35. Grahn P., Stigsdotter U. A. (2003) Landscape planning and stres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Vol.2 P.1-18 google cross ref
  • 36. Guthrie S. R., Castelnuovo S. (2001) Disability management among women with physical impairments: The contribution of physical activity. [Sociology of Sport Journal] Vol.18 P.5-20 google
  • 37. Henderson K. A., Bedini L. A., Hecht L., Schuler R. (1995)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Leisure Studies] Vol.14 P.17-31 google cross ref
  • 38. Henderson K. A., Bialeschki M. D. (1993) Exploring an expanded model of women's leisure constraints. [Journal of Applied Recreation Research] Vol.18 P.229-252 google
  • 39. Henderson K. A., Stalnaker D., Taylor G.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barriers to recreation and gender-role personality traits for wom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0 P.69-80 google
  • 40. Ian P., Elizabeth H., Christopher A. (1996) Constraints to participation in sport and recre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study. [Australian Disability Review] Vol.2 P.38-52 google
  • 41. Jackson E. L. (1991) Special issue introduction: Leisure constraints/ constrained leisure. [Leisure Science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Vol.13 P.273-278 google cross ref
  • 42. Jackson E. L., Crawford D. W., Godbey G. (1993)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Leisure Science 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Vol.15 P.1-11 google cross ref
  • 43. Jackson E. L., Henderson K. A. (1995) Gender-based analysis of leisure constraints. [Leisure Science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Vol.17 P.31-51 google cross ref
  • 44. Jackson E. L., Scott D. (1999) Constraints to leisure. [Leisure Studies: Prospect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299-231 google
  • 45. Johnson C. Y., Bowker J. M., Cordell H. K. (2001) Outdoor recreation constraints: An examination of race, gender, and rural dwelling. [Southern Rural Sociology] Vol.17 P.111-133 google
  • 46. Kwok J. K. F., Ng M. S. S. (1991) Assessing the impact of integrated social and recreational activities on community acceptance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google
  • 47. Maltais D., Bar-Or O. (2003) Effects of repeated treadmill walks on metabolic and cardiopulmonary respons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pastic cerebral palsy. [Pediatric Exercise Science] Vol.15 P.106-107 google
  • 48. Marshall D., McConkey R., Moore G. (2003) Obesity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mpact of nurse-led health screenings an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1 P.147-153 google cross ref
  • 49. Matthew k., Kroll T. (2009) Staying physically active after spinal cord injury: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exercise participation. [BMC Public Health] Vol.9 P.168 google cross ref
  • 50. McCarville R. E., Smale B. J. A. (1993) Perceived constraints to leisure participation within five activity domains.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Vol.11 P.40-59 google
  • 51. Meyers AR., Anderson JJ., Miller DR., Shipp K., Hoenig H. (2002) Barriers, facilitators, and access for wheelchair users: substantive and methodologic lessons form a pilot study of environmental effect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5 P.1435-1446 google cross ref
  • 52. Rimmer J. H., Riley B., Wang E., Rauworth A., Jurkowski J. (2004)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barriers and facilitator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26 P.419-425 google cross ref
  • 53. Rimmer J. H., Rubin S. S., Braddock D. (2000) Barriers to exercise in african america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1 P.182-188 google cross ref
  • 54. Roovers P., Hermy M., Gulinck H. (2002) Visitor profil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in forests from a gradient of increasing urbanization in central belgium. [Landscape Urban Plan] Vol.59 P.129-145 google cross ref
  • 55. Sherrill C., Williams T. (1996) Disability and sport: Psychosocial perspectives on inclusion, integration, and participation. [Sport Science Review] Vol.5 P.42-64 google
  • 56. Shores K. A., Scott D., Floyd M. F. (2007) Constraints to outdoor recreation: A multiple hierarchy stratification perspective. [Leisure Science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Vol.29 P.227-246 google cross ref
  • 57. Sit C. H. P, Lindner K. J., Sherrill C. (2002) Sport participation of Hong Kong Chines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Vol.19 P.453-471 google
  • 58. Sit C. H. P., Kerr J. H., Wong L. T. F. (2008) Motives for and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middle-aged Chinese women.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Vol.9 P.266-283 google cross ref
  • 59. Sutherland G. M. B. A., Andersen M. B. (2001) Exercise and multiple sclerosis: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quality of life issues. [Journal of Sports Medicine & Physical Fitness] Vol.41 P.421-432 google
  • 60. Tripp A., French R., Sherrill C. (1995) Contact theory and attitudes of children in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Vol.12 P.323-332 google
  • 61. Tsai E. H., Coleman D. J. (1999) Leisure constraints of Chinese immigrants: An exploratory study. [Loisir et Societe(Society and Leisure)] Vol.22 P.241-262 google
  • 62. Tsai E., Fung L. (2005) Perceived constraints to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of student with hearing impairments. [Therapeutic Recreation Journal] Vol.39 P.192-206 google
  • 63. Wilhite B., Mushett C. A., Goldenberg L., Trader B. R. (1997) Promoting inclusive sport and leisure participation: Evaluation of the paralympics day in the schools model.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Vol.14 P.131-146 google
  • 64. Williarns R., Vogelsong H., Green G., Cordell K. (2004) Outdoor recreation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mobility disabilities: Selected results of the National Survey of Recreation and the Environment.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Vol.22 P.85-101 google
  • 65. Young S. J., Ross C. M., Barcelona R. J. (2003) Perceived constraints by college students to participation in campus recreational sports programs. [Recreational Sports Journal] Vol.27 P.47-62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귀납적 내용분석을 위한 연구 참여자
    귀납적 내용분석을 위한 연구 참여자
  • [ 표 2. ]  심층면담 참여자
    심층면담 참여자
  • [ 표 3. ]  장애인 탁구동호인들의 참여제약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장애인 탁구동호인들의 참여제약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 [ 표 4. ]  장애인들의 운동제약 결과 비교
    장애인들의 운동제약 결과 비교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