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드라마품질 척도(DRAMAQUAL) 개발 Development of Measurement Scale for Drama quality(DRAMAQUAL)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드라마품질 척도(DRAMAQUAL) 개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s of drama quality.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in the discourse of drama homepage and derived six constituent factors, quality measures of drama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e named these qualities ‘DRAMAQUAL’ that is consist of Works, Acting, Directing, Fun, Empathy and Benefits. Work, Acting, and Directing can be considered as product quality, while Fun, Empathy, and Benefits can be experience quality.

W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viewers in KBS weekend drama “Nae Ttaal Seoyong” to verify the ‘DRAMAQUAL’.

The results show that Work and Directing positively affect Fun, Empathy, and Benefits. Acting positively affects Empathy and Benefits except Fun. Fun, empathy, and Benefits positively drama Flow. Finally, drama Flow positively affects drama Satisfaction.

This study developed the drama quality which is crucial fundamentals to quantify ‘DRAMAQUAL’ through empirical study. The proper applications and usage of these newly introduced drama qualities enable to acquire the successful equation in drama.

KEYWORD
척도개발 , 드라마품질 , 생산품질 , 소비품질 , 드라마몰입 , 드라마만족
  • 1. 서론

    텔레비전 드라마는 방송수용자와 방송 산업이 가장 관심을 기울이는 영역이다. 우리나라 텔레비전 방송에서 드라마가 치지하는 비중은 전체 프로그램 편성에서 18∼20% 정도로 뉴스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국내 방송 소비자인 시청자에게 즐거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한류 형성의 핵심 축으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력뿐만 아니라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적인 문화교류의 교두보로서 문화산업의 주축을 형성하고 있다.2) 이러한 드라마의 위상과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드라마품질에 대한 가치 평가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드라마가 추구하는 가치는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찾아야 한다. 왜냐하면 드라마는 그 시대의 시대상황이나 사회문화적 관심거리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3) 이러한 드라마의 가치 평가는 드라마 소비자인 시청자의 중심으로 평가되어야 하고, 시청자의 드라마 경험에 대한 평가를 고려하지 않는 드라마 평가는 가치 평가의 의미를 상실한다. 이는 드라마의 궁극적 목적지가 시청자이기 때문이다. 결국 드라마의 가치 평가는 시청자로부터 평가를 받아야 하고, 이를 위해 드라마품질 척도를 개발하는 것은 드라마에 대한 문제 인식과 품질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성공적인 드라마 제작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드라마를 생산하는데 있어 기본적으로 필요한 요인으로는 드라마의 시나리오, 탤런트의 연기력, 드라마 연출자의 연출력 등이 있고, 드라마를 경험한 소비자의 경험적 요소로 드라마의 재미와 공감 그리고 유익함 등이 있다. 그리고 드라마를 소비한 결과로서 드라마에 대한 몰입과 드라마의 만족 등이 소비자의 태도를 통해 나타난다. 이와 같이 드라마 수용자인 시청자가 인지하는 드라마품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드라마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갖추어야 할 품질이고, 다른 하나는 드라마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품질이다. 다시 말하면, 드라마품질은 생산품질과 소비품질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송수용자인 시청자를 대상으로 드라마의 생산적인 측면을 측정하는 생산품질과 드라마의 소비적인 측면을 측정하는 소비품질로 세분하여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생산품질에는 드라마 생산과 관련된 드라마 제작의 기초가 되는 드라마 시나리오와 탤런트의 연기력 그리고 드라마 연출가의 연출력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고, 소비품질에서는 드라마 소비 경험에 대한 품질로 드라마의 재미와 공감 그리고 드라마의 유익성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정덕현은 “40%의 시청률을 기록했던 ‘해를 품은 달’과 20%의 시청률에 머물렀던 ‘뿌리 깊은 나무’의 드라마 비교를 통해 ‘해를 품은 달’의 작품성, 연기력, 연출성이 ‘뿌리 깊은 나무’에 비해 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시청률이 높게 나오는데 대해 드라마 시청률의 신뢰성에 문제를 제기하였고, 시청률과 작품의 질은 무관하며 서로 비례하지 않는다”4)고 하였다. 이와 같이 시청률과 드라마품질 간의 관계에서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지금까지 드라마 성공방정식을 추출하지 못한 이유에는 드라마품질 척도가 없기 때문이다.5)

    본 연구는 드라마품질을 측정함에 있어 객관적이고 소비자지향적인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드라마 수용자인 시청자를 대상으로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드라마품질 척도(DRAMAQUAL)의 개발 목적은 드라마 수용자인 시청자를 대상으로 드라마품질 평가하여 품질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품질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드라마 제작의 성공 지표를 도출 하는데 있다.

    2)방송문화진흥회,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FBC 2007년 연구보고서, 2007, 1∼2쪽.  3)방송문화진흥회, 위의 책, 1쪽.  4)정덕현, 「‘해품달’ 대박에 숨겨진 미스터리」, www.entermedia.co.kr, 2012.  5)권호영, 박웅진, 윤석진, 김숙, 『드라마 성공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255쪽.

    2. 척도 개발

       2.1. 척도 개발의 자료

    급속하게 변화하는 방송환경 속에서 방송의 품질 문제와 더불어 방송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드라마의 품질 문제는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드라마품질 평가는 드라마의 수용자인 시청자에게 노출되는 정도만 기록하는 시청률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되었고, 텔레비전 드라마의 품질 평가는 ‘드라마 일반 품질평가’와 ‘드라마 세부 품질 평가’로 논의 되어왔다. 드라마 일반 품질평가는 수용자가 종합적 수준에서 품질을 평가 하는 것이고, 드라마 세부 품질평가는 다양한 세부요인(재미, 감동, 유익, 주제와 소재, 표현, 리얼리티, 시나리오, 연기, 연출 등)을 구체적으로 평가하는 것 이다.6) 그러나 이와 같은 드라마품질평가는 평가의 토대가 되는 구성요인과 측정문항의 구체적인 개발로 이어지지 않았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기반의 연구모형을 도출하는 학문적 연구로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품질 측정을 위한 중요 요인을 도출하고 드라마 수용자인 시청자 기반의 측정문항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드라마품질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드라마품질은 KBS 주말연속극 ‘내 딸 서영이’의 시청자 게시판에 게시된 시청소감을 수집하여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법에 의해 구성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척도 개발의 자료로 사용한 드라마는 KBS2의 50부작 주말 연속극인 ‘내 딸 서영이’로 가족의 사랑이야기를 다룬 드라마다. 이 드라마는 48.5%(2013.02.17 기준, TNmS)의 시청률을 기록한 국민드라마로 드라마 홈페이지 시청자 게시판에 게시물이 1만건 이상이 게시(2013. 2. 4. 현재 10,506건)되어 척도 개발의 자료로써 타당성이 인정된다고 볼 수 있다[표 2-1].

    [[표 2-1]] 척도 개발 자료의 개요

    label

    척도 개발 자료의 개요

       2.2. 척도의 개발 과정

    방송환경과 시청자의 심리나 행동이 급변함에 따라 시청자 기반의 세분화된 드라마품질 척도가 있어야만 품질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Hinkin7), Churchill8)과 DeVellis9)가 제안한 척도개발 방법과는 달리, 시청자 기반의 구성 요인 도출과 구성요인과 측정 문항 간에 유기적인 결속이 가능한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시도하는 척도 개발 방법은 객관성이 인정된 시청자 기반의 2차 자료를 탐색적 연구하여 연구 대상의 구성요인 도출하고 있다. 도출된 구성요인을 가지고 문헌연구를 통해 측정항목을 도출하게 됨으로써 구성요인 간에 결속이 잘 될 뿐만 아니라, 구성요인이 연구대상을 잘 설명해주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척도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그림 2-1].

       2.3. 내용분석 방법에 의한 구성요인 도출

    내용분석은 ‘문자로 쓰여진 문서(written text)를 고도로 신뢰할 수 있는 양적 자료로 전환하는 연구기법’이다. 내용분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사방법이 ‘빈도 측정’이다.10)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내 딸 서영이’의 시청자 게시판 게시물 내용의 단어 빈도수를 조사하여 단어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를 조사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구성요인으로서 타당성을 검토한 후, 척도 개발을 위한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내 딸 서영이’ 홈페이지 게시판 시청소감을 내용 분석한 결과, 작품성 880/10,506개, 연기성 1,220/10,506개, 연출성 780/10,506개, 재미성 1,640/10,506개, 공감성 380/10,506개, 유익성 580/10,506개로 나타났다[표 2-2].

    [[표 2-2]] ‘내 딸 서영이’ 시청소감(Text) 내용분석(일부)

    label

    ‘내 딸 서영이’ 시청소감(Text) 내용분석(일부)

    표의 분석내용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품질 구성요인을 ‘작품성, 연기성, 연출성,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으로 보고, 이러한 개념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드라마품질 구성요인을 이론적으로 정립했다.

       2.4. 드라마품질 구성요인의 개념과 측정문항 개발

    2.4.1 작품성

    텔레비전 드라마는 작가가 창작한 ‘극본(劇本)’이 연출자에 의해 ‘영상(映像)’으로 구현되어 텔레비전을 통해 방송되는 영상예술이다.11) 극본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허구의 세계를 유사 체험시키기 위하여 치밀하게 계산된 설계도”12)에 해당한다. 텔레비전 드라마가 시청률 측면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소에 대한 질문에 다수의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드라마의 내용적 요인인 ‘작품의 완성도’를 꼽았다.13) 드라마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핵심적인 요소가 드라마 극본이고, 극본을 통해 작가의 인생관과 세계관을 구체화하고 시청자의 정서를 자극하여 즐거움과 감동을 선사한다.14)

    이와 같이 드라마의 작품은 드라마 제작의 기초이고, 드라마품질의 기초적인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드라마 극본은 수용자인 시청자의 욕구에 부응한 작품으로서 보통사람들의 취향에 맞은 작품이어야 하고, 드라마가 설정한 그 시대 사회현상이 반영되어 사회적 관심거리를 표출하여야 한다.15)그리고 대부분의 시청자는 드라마를 통해서 적당한 현실 감각을 가지면서 판타지를 경험하기를 바라고, 상호 이질적인 현실 감각과 판타지가 조화를 이루게 하는 것이 드라마 성공의 열쇠가 된다.16)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한 작품성은 ‘보통사람들의 취향 맞는 작품으로서 드라마가 설정한 시대의 사회현상과 관심거리를 반영하고, 현실과 이상이 조화를 이루는 정도’이다.

    2.4.2 연기성

    드라마에 출연한 배우는 예술가이면서 창조자이다. 배우는 극중 인물을 창조하면서 ‘존재’로서 진실되게 현재를 살고 있다. 연기를 통해 과거 경험으로부터 재현된 의식의 세계가 완전히 재창조 되고 있는 것이다.17) 김균형은 “배우 속에 이미 내재된 내적요소들이 텍스트 등과 같은 외적요소의 자극을 통하여 분장이나 의상이라는 개입적 요소들의 도움으로 몸과 목소리라는 자체적 요소라는 형식으로 구체화된 표현 행위”18)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우는 극중 인물을 창조하면서 ‘존재’로서 진실되게 표현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연기는 작품의 극중 인물을 작가의 의도대로 표현한 것으로 배우가 배우 자신을 떠나 주어진 시나리오 및 극본에 제시된 가상 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사실적으로 한 인물을 표현해 내는 행위를 말한다.19) 드라마 배우는 등장인물의 심리를 진실되고 개성있게 표현하여야 하고, 연기가 생동감이 있어야하며, 자연스러워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한 연기성은 ‘등장인물의 심리를 진실되고 개성 있게 표현하여야 하고, 연기가 생동감이 있어야 하며, 연기의 자연스러움 정도’이다.

    2.4.3 연출성

    드라마의 내용적 요인 외, 드라마를 성공으로 이끄는 또 다른 요인으로 연출 이야말로 드라마의 질적 수준과 성공을 담보하는 핵심적인 인적요소이다.20) 실제로 드라마의 대부분은 연출에 의해 만들어진다. 기본적으로 작품의 해석에서부터 구체화해 나가는 과정에서 배우의 캐스팅과 연기에 대한 개입, 그리고 시청각적인 모든 요소의 사용에 이르기까지 드라마 제작의 모든 부분에 연출이 관여하고 있다.21) 드라마의 연출은 전개가 잘 이어지고 반전이 흥미로워야하고, 드라마 연출의 특성인 그 시대 사회적 관심거리와 생활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생동감 있게 보여주는 것이다.22)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한 연출성은 ‘드라마의 전개가 잘 이어지고, 반전이 흥미로우며, 사회적 관심거리를 잘 보여주고, 생활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생동감 있게 보여주는 정도’이다.

    2.4.4 재미성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재미라는 점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의가 없다.23) 조형 등은 “드라마 시청동기 가운데 ‘재미’요인이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24)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이와 같이 드라마는 시의적인 소재를 다루되, 허구적 세계를 배경으로 하고, 전형적이지만 허구적인 인물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즐거움을 통하여 현실 문제를 반추해 볼 수 있는 성찰의 장을 제공할 수 있는 장르이다.25) 유세경은 “드라마 시청동기 연구에서 호기심이나 흥미로 드라마를 시청한다”26)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최혜실은 “드라마 시청자들은 현실에 불만이나 결핍을 매력적이고 이상적인 삶을 살고 있는 인물과 상황을 창조해내는 드라마에 열중하면서 의미나 감동을 찾는다”27)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한 재미성은 ‘드라마 시청을 통해 시청자가 즐거움과 흥미를 느끼고, 드라마 전개에 호기심을 가지게 되며, 드라마를 통해 감동을 느끼는 정도’이다.

    2.4.5 공감성

    TV드라마는 매체적 특성상 ‘감동’보다 ‘공감’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공감’은 작가가 작품으로 표현한 것을 통해 현실을 자각한다는 점에서 성찰을 유도한다.28) 박신영은 “드라마를 통해 타인의 삶을 구경하는 엿보기 심리를 충족하거나, 자기 위안과 대리만족을 느끼며, 등장인물과 상황에 감정이입하고 동일시함으로써 쉽게 공감하고 깊이 몰입하게 되는 것”29)이라 하였다. Lewis는 “시청자와 등장인물 간의 유사성이 감정이입 반응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드라마의 공감성은 드라마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이 나의 일처럼 느껴지거나, 등장인물이 내 처지와 동일시되고, 드라마의 이야기에 수긍이 가며, 드라마를 통해 대리만족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30)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한 공감성은 ‘드라마 시청을 통해 시청자가 드라마 속의 사건이 나의 일처럼 느껴지고, 등장인물이 내 처지와 동일시되며, 드라마 속 이야기에 수긍이 가고, 대리만족을 느끼는 정도’이다.

    2.4.6 유익성

    영국의 BBC ITV에서는 평가지수(Appreciation Index: AI)를 일주일간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유익, 재미를 동시에 평가하였다.31) 드라마품질 평가에 있어서도 드라마가 시청자에게 얼마나 유익하고 재미있었는지는 드라마 성공 지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유세경은 “드라마의 진지하고 교육적인 차원의 의존 관계를 강조하면서, 드라마가 하찮은 일상이나 재미있는 오락거리를 보여주기보다는 무언가 의미있는 교양을 제공해주기를 바라는 태도를 중요한 동기요인”32)으로 보았다. 양혜승은 “시청자들은 드라마를 통해 다른 이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기회와 자신의 삶과 견주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33)고 하였다. 이와 같이 드라마는 시청자에게 다른 사람들의 생활을 알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세상살이를 간접 경험하며, 드라마 속 사건을 통해 기분 전환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된다.34)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한 유익성은 ‘드라마 시청을 통해 시청자가 다른 사람들의 생활을 알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세상살이를 간접 경험하며, 드라마 속 사건을 통해 기분 전환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정도’이다.

    이상에서 정의한 드라마품질 구성요인의 개념화 정의와 그러한 정의와 관련한 핵심 연구를 요약하면 [표 2-3]과 같다.

    [[표 2-3]] 드라마품질 구성요인에 관한 명칭과 개념 및 측정문항 개발과 관련 연구

    label

    드라마품질 구성요인에 관한 명칭과 개념 및 측정문항 개발과 관련 연구

       2.5. 드라마품질 개념적 정의 이해도 조사

    본 연구에서 도출한 드라마품질 구성요인에 관한 명칭과 개념을 이해하는 점에서 문제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표 2-4]와 같이 2013년 3월 20일 진주시 소재 G대학교 2-3학년 학생 100명(남자 52명, 여자 48명)을 대상으로 이해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표 2-4].

    [[표 2-4]] 드라마품질 개념정의 이해도 조사

    label

    드라마품질 개념정의 이해도 조사

    설문내용은 [표 2-3]의 내용과 같이 ‘작품성: 보통사람들의 취향 맞는 작품으로서 드라마가 설정한 시대의 사회현상과 관심거리를 반영하고, 현실과 이상이 조화를 이루는 정도’의 개념이 이해되고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6개의 드라마품질 구성요인의 개념에 대하여 ‘확실히 이해된다, 대략적으로 이해된다, 이해 안된다’로 개념정의에 관한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이 100명의 응답자 가운데 6개의 구성요인 문항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이해된다’는 85% 이상의 높은 이해도를 보여주었다[표 2-5].

    [[표 2-5]] 드라마품질 개념적 정의 이해도 조사 결과

    label

    드라마품질 개념적 정의 이해도 조사 결과

    6)방송문화진흥회, 앞의 연구보고서, 2007, 4쪽.  7)Hinkin, T. R., “A Review of Scale Development Practices in The Study of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ment, 1995, pp.967-988.  8)Churchill, G. H.,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79, pp.3-6.  9)DeVellis, R. 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2nd ed., London: Sage Publications, 2003, p.5  10)주재현, 「내용분석 방법의 수행절차 및 적용 연구사례 분석」, 『정부행정』, 제3권, 2002, 29-55쪽.  11)윤석진, 「영상문학텍스트로서 노희경의 단막드라마 극본 고찰」, 『인문학연구』, 제85권, 2011, 155-186쪽.  12)김수현, 노희경, 이금주, 박찬성, 『드라마아카데미』, 펜타그램, 61쪽.  13)권호영, 박웅진, 윤석진, 김숙, 앞의 책, 2009, 233쪽.  14)윤석진, 앞의 논문, 2007.  15)권호영, 박웅진, 윤석진, 김숙, 앞의 책, 243쪽.  16)윤석진, 앞의 논문, 2007.  17)양경미, 「연기교육에 있어 대본분석의 중요성과 대본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52호, 2012, 237-254쪽.  18)김균형, 「연기에서 모방의 개념에 대하여」, 『드라마논총』, 제17호, 2001, 7-39쪽.  19)양경미, 앞의 논문, 2012.  20)권호영, 박웅진, 윤석진, 김숙, 앞의 책, 234쪽.  21)김균형, 앞의 논문, 2001.  22)권호영, 박웅진, 윤석진, 김숙, 앞의 책, 243쪽.  23)방송문화진흥회, 앞의 연구보고서, 2007, 60쪽.  24)유세경,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1호, 2004, 245-288쪽.  25)하윤금, 김용호, 「TV 드라마의 품질 향상을 위한 사례분석 연구」, 한국방송개발원, 1998, 26쪽.  26)유세경, 앞의 논문, 2004.  27)윤석진, 위의 논문, 2007.  28)윤석진, 위의 논문, 2007.  29)박신영,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자의 성향이 이용 동기, 장르 선호도 및 드라마 몰입 정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시청집단의 현실도피와 판타지 성향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 10권 제1호, 2010, 166-201쪽.  30)박신영, 위의 논문, 2010.  31)하윤금, 김용호, 앞의 책, 41쪽.  32)유세경, 앞의 논문, 2004.  33)양혜성, 「드라마의 호화로운 삶 묘사가 프로그램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언론학연구』, 제15권, 제1호, 2011, 137-164쪽.  34)방송문화진흥회, 앞의 연구보고서, 29쪽. 박상완,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용의 눈문>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제37권, 2012, 129-165쪽.

    3. 척도의 검증

       3.1. 자료 수집

    본 연구에서 개발한 드라마품질 척도를 검증하기 위해 KBS 주말연속극 ‘내 딸 서영이’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 연구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설문지에 기초하여 G대학교 경영학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측정문항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토한 후, 측정문항을 순화하는 과정을 거쳐 예비검증에서 나타난 문제점이 있는 측정문항을 순화하였다.

    본 조사는 예비조사를 통해 정제된 설문문항을 KBS 주말연속극 ‘내 딸 서영이’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표집설계에 대한 내용과 현황은 [표 3-1]과 같다.

       3.2. 검증 방법과 측정문항의 검증

    3.2.1. 척도의 검증 방법

    검증방법은 드라마품질 척도의 신뢰도 측정을 위한 크론바하 알파 테스트(Cronbach’s alpha test)와 척도의 타당성 평가를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척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의 적합도 검증은 Chi-square와 GFI, AGFI, IFI, TLI, CFI, RMSEA 등의 공분산구조방정식 적합도 지수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3.2.2.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한 측정문항 검증

    개발된 척도를 검증하기 위해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할 과정은 척도 검증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다수의 변수에 대해 정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소수의 요인들(factors)로 축약하는 것이다.35)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다른 요인으로 결속되는 측정문항을 1차적으로 제거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드라마품질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은 생산품질과 소비 품질을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드라마 수용자인 시청자는 드라마 생산품질을 통하여 드라마 소비품질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① 드라마 생산품질의 측정문항 검증

    드라마 생산품질은 작품성 6문항, 연기성 7문항, 연출성 6문항이 개발되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드라마 생산품질의 요인분석 결과, 작품성 4문항, 연기성 7문항, 연출성 6문항이 결속되었고, 작품성1과 작품성2는 연출성 요인에 결속되어 측정문항을 검토한 결과, 작품성요인과 상관성이 낮아 제거하였다.

    ② 드라마 소비품질의 측정문항 검증

    드라마 소비품질은 재미성 6문항, 공감성 5문항, 유익성 7문항이 개발되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드라마 소비품질의 요인분석 결과, 재미성 5문항, 공감성 6문항, 유익성 7문항이 결속되었고, 재미성4는 유익성 요인에 결속되어 측정문항을 검토한 결과, 재미성요인과 상관성이 낮아 제거하였다.

    드라마 생산품질과 소비품질의 측정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3-2].

    [[표 3-2]] 드라마 생산품질과 소비품질 요인분석 결과

    label

    드라마 생산품질과 소비품질 요인분석 결과

       3.3. 척도의 통계적 검증과 정제

    사회과학 연구에서 사회 심리적 속성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하고자하는 속성의 규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측정상의 오류가 개입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발생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36)척도 개발에서 측정문항의 개발은 다소 포괄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유용하지만, 측정문항의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측정 실무에서 응답자를 피곤하게 하여 반응 편의(bias)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37) 그러므로 개발된 척도의 측정 문항을 실무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측정문항의 정제가 필요하다.

    3.3.1 척도의 신뢰성 검증

    척도의 신뢰성(reliability)은 측정도구의 정확성으로, ‘반복적으로 측정 했을 때 측정값이 일치하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신뢰도 측정에는 크론바하 알파 테스트가 있다. 크론바하 알파(α)계수는 내적 일치성(internal consistency)을 측정하는 값으로 하나의 구성요인에 대한 다수의 측정문항 간의 상관정도가 높아야 내용타당성을 충족할 수 있다. 크론바하 알파 계수는 일반적으로 0.7이상이면 측정항목의 신뢰도가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한다.38) 척도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신뢰도분석에서 크론바하 알파 테스트가 있고, 확인요인분석에서 개별항목 신뢰성(χ²값 ≥ 0.5), 개념신뢰성( ≥ 0.7), 추출된 분산평균(AVE ≥ 0.5) 검사가 있다.39)

    드라마품질 척도의 신뢰도 검증 결과,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인 작품성, 연기성, 연출성,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에 대한 알파계수값이 0.824이상으로 높은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확보하여 척도의 신뢰성이 검증되었다[표 3-4].

    [[표 3-4]] 드라마품질 척도의 신뢰도 검증 결과

    label

    드라마품질 척도의 신뢰도 검증 결과

    3.3.2 척도의 정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드라마품질 측정문항을 정제하기 위해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측도(euclidean distance)에 의한 정제법을 실시하여 측정문항을 정제하였다.

    유클리디안 거리측도는 두 측정문항 간에 거리를 계산할 때 삼각형의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방법이다.40)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 가운데 작품성 요인의 측정문항을 정제하기 위해 유클리디안 거리측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③④⑤⑥이 측정문항 간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표 3-5].

    [[표 3-5]] 작품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label

    작품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 가운데 연기성 요인의 측정문항을 정제하기 위해 유클리디안 거리측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①②③⑦이 측정문항 간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표 3-6].

    [[표 3-6]] 연기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label

    연기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 가운데 연출성 요인의 측정문항을 정제하기 위해 유클리디안 거리측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①②③④⑤이 측정문항 간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표 3-7].

    [[표 3-7]] 연출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label

    연출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 가운데 재미성 요인의 측정문항을 정제하기 위해 유클리디안 거리측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①②③⑤이 측정문항 간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표 3-8].

    [[표 3-8]] 재미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label

    재미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 가운데 공감성 요인의 측정문항을 정제하기 위해 유클리디안 거리측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①②④⑤이 측정문항 간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표 3-9].

    [[표 3-9]] 공감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label

    공감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 가운데 유익성 요인의 측정문항을 정제하기 위해 유클리디안 거리측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①②③⑤이 측정문항 간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표 3-10].

    [[표 3-10]] 유익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label

    유익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유클리디안 거리측도에 의한 측정문항을 정제한 결과, [표 3-11]과 같이 측정문항이 정제되었다.

    [[표 3-11]] 척도 검증에 의해 정제된 측정문항

    label

    척도 검증에 의해 정제된 측정문항

    3.3.3. 척도의 타당성 검증

    척도의 타당성(validity)은 특정한 개념이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측정도구가 그 속성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타당성 평가방법에는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치들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요구하는 집중타당성(convergent validity) 검증과 서로 다른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치들 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요구하는 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 검증이 있다.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에서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검사할 수 있고,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에서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검사할 수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집중타당성은 개념신뢰도값이 0.7 이상이어야 하고, 판별 타당성은 상관관계 분석에서 상관관계 값이 0.9 이하이며, 상관계수가 AVE 제곱근 보다 낮으면 판별타당성이 충족 된다고 볼 수 있다[표 3-12].41)

    [[표 3-12]] 드라마품질의 확인적 요인분석

    label

    드라마품질의 확인적 요인분석

    ① 확인적 요인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측정항목이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재평가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3-12]와 같이 모든 표준화 계수는 1%에서 유의하였고, χ²(244)=494.398, CMIN/DF=2.026, GFI=0.871, AGFI=0.829, IFI=0.943, TLI=0.929, CFI=0.943, RMSEA=0.065 등으로 “적합도 지수들이 이상적인 기준치”42)를 어느 정도 충족시키고 있어 모형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모형에서 확인된 측정문항들은 각 구성개념에 대해 0.5 이상의 모수추정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각 추정치에 대한 C. R.(t값) 또한 α=0.01에서 유의한 2.58 이상으로 나타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집중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성개념에 대한 개념 신뢰도는 0.7 이상이고, AVE값은 0.5 이상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개념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43)

    ② 상관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구성요인 간의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판별 타당성을 검증하기 [표 3-13]과 같이 상관계수와 분산추출지수(AVE)를 비교해 본 결과, 모든 구성요인 간의 상관계수가 대각선으로 표시된 분산추출지수(AVE)가 각 요인의 상관계수의 제곱, 즉 상관계수 보다 크면 두 요인 사이에는 판별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44)

    [[표 3-13]] 상관관계 및 분산추출지수(AVE)

    label

    상관관계 및 분산추출지수(AVE)

    ③ 척도의 단일차원성 검증

    척도의 단일차원성은 여러개의 측정변수로 구성된 요인은 단 하나의 개념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45) 단일차원성은 구성요인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측정변수들의 표준화계수값이 0.6 이상이면 단일차원성이 확보되었고 볼 수 있다.46)

    드라마품질 척도의 단일차원성을 검증 결과,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인 작품성, 연기성, 연출성,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의 단일차원성을 평가하는 표준화 계수값이 0.6 이상을 충족하고 있으며, 모형설명력 IFI(≥0.9), CFI(≥0.9), RMSEA(≥0.8)을 충족하고 있으나, 작품성의 측정문항 가운데 ‘보통사람들의 취향에 맞는 작품이다’문항이 0.6에 약간 못 미치고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단일차원성이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표 3-12].

    35)이학식, 임지훈, 『SPSS 16.0 매뉴얼』, 법문사, 2009, 338쪽.  36)안광호·임병훈,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010, 103쪽.  37)Hair, J. F., Anderson, R. L. and Tatham, W. C.,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 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 NJ, 1998, p.668.  38)Hair, J. F., Anderson, R. L. and Tatham, W. C., op.cit., 1998, p.689.  39)김대업,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현사, 2008, 46쪽.  40)이학식, 임지훈, 앞의 책, 320쪽.  41)Hair, J. F., Anderson, R. L. and Tatham, W. C., op.cit., 1998, pp.151-152.  42)배병렬,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도서출판 청람, 2007, 251∼252쪽.  43)Sharma, S., Applied multivariate techniques, New York: Wiley, 1995, p.342.  44)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0, 168쪽.  45)Hair, J. F., Anderson, R. L. and Tatham, W. C., op.cit., p.151.  46)Hair, J. F., Anderson, R. L. and Tatham, W. C., op.cit., p.613.

    4. 척도의 실무적 검증

       4.1. 연구모형

    본 연구는 드라마품질 가운데 드라마 생산품질과 드라마 소비품질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그 다음으로 드라마 소비품질과 드라마 몰입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그리고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서도 검증하고자 한다. 한편, 드라마 생산품질과 드라마 몰입, 드라마 만족 간의 간접효과와 드라마 소비품질과 드라마 만족 간의 간접효과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드라마 생산품질이 드라마 소비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드라마 소비품질이 드라마 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드라마 몰입은 드라마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를 하고, 이를 근거로 [그림 4-1]과 같이 구조적인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4.2. 가설의 설정

    4.2.1. 드라마 생산품질과 드라마 소비품질과의 관계

    전통적으로 품질에 대한 논의는 프로그램 제작자(작가, 연출가, 편집자 등)에 의해서 정의되어 왔고, 여기에는 작가의 시나리오(극본)와 탤런트의 연기력 그리고 연출자의 연출력이 드라마 생산과정의 핵심요소이다.47) 이와 같은 생산 과정의 품질을 통해 드라마 소비자인 시청자는 수용의 품질을 경험하게 된다. 수용의 품질은 시청자가 드라마를 경험한 소비품질로 Himmelweit 등이 밝혀낸 다차원 척도 가운데 재미적인 요소와 감동적 요소 그리고 정보적(유익성) 요소 등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48)

    드라마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드라마 생산과정에서 완성도가 높은 작품을 바탕으로 드라마에 등장하는 배우들의 연기력이 등장인물의 심리를 진실 되고 개성 있게 표현하여야 한다. 그리고 드라마 연출은 드라마의 질적 수준과 성공을 담보하는 핵심적인 요인이다. 이와 같은 드라마 생산품질은 드라마 소비자인 시청자의 경험을 통해 품질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으며, 시청자 경험의 결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이 재미와 공감 그리고 유익함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드라마품질 척도를 통해 드라마 생산품질과 드라마 소비품질 간의 가설을 설정하여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드라마 생산품질의 구성요인은 작품성, 연기성, 연출이고, 소비품질의 구성요인은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이다.

    이와 같이 드라마 소비품질은 드라마 생산품질의 구성요인을 통해 형성된다는 전제하에, 다음과 같이 드라마 생산품질과 드라마 소비품질 간에 가설을 설정하였다.

    4.2.2. 드라마 소비품질과 드라마몰입과의 관계

    성공한 드라마와 실패한 드라마의 차이는 얼마나 시청자들이 그 드라마에 ‘몰입’했느냐에 달려있다고 본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재미는 시청자의 즐거움과 흥미를 발생시켜 몰입을 유도한다. 그리고 드라마의 공감성은 드라마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이 나의 일처럼 느껴지거나, 등장인물이 내 처지와 동일시되어 드라마에 몰입하게 된다. 드라마 시청을 통해 세상살이를 간접경험하고, 드라마 속 사건을 통해 기분 전환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되는 유익함이 있게 되면, 드라마에 더욱 몰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람들이 드라마에 쉽게 빠져드는 이유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장르이기 때문이다. 드라마는 이야기를 통해 타인의 삶을 구경하는 엿보기 심리를 충족하거나, 자기위안과 대리만족을 느끼며, 등장인물과 상황에 감정이입하고, 동일시함으로써 쉽게 공감하고 깊이 몰입하게 되는 것이다. 몰입은 드라마를 시청하는 동안 그 내용에 깊이 빠져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자신에 대한 생각을 잊어버리고 완전히 주의가 집중되어 즐거움을 느끼는 경험 상태이다.49)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한 드라마 몰입은 ‘드라마를 시청하는 동안, 그 내용에 깊이 빠져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자신에 대한 생각을 잊어버리고 완전히 주의가 집중되어 즐거움을 느끼는 정도’이다.

    이와 같이 드라마 몰입은 드라마 소비품질의 구성요인을 통해 형성된다는 전제하에, 다음과 같이 드라마 소비품질과 드라마 몰입 간에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드라마 소비품질과 드라마 몰입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드라마 소비품질의 구성요인인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이 드라마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4.2.3.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의 관계

    Csikszentmihalyi의 몰입경험 이론에 의하면, 여가활동 참가자의 능력이 활동 수준과 최적 상호작용을 나타낼 경우, 주관적인 몰입경험과 함께 활동에 대한 만족감 및 긍정적 정서를 수반하게 된다는 것이다. Pura(2005)와 Shabbir 등 (2007)은 몰입이 만족의 선행변수임을 확인하였다.50)

    드라마 만족은 드라마품질에 노출된 후 마음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드라마 만족은 드라마에 대한 욕구 충족 또는 기대달성 등의 주관적인 감정적 반응으로 정의된다.51) 텔레비전 시청자의 만족도는 텔레비전 시청과 관련하여 시청동기, 시청태도, 시청행위, 시청프로그램이 복합적으로 상호 관련되어 형성되지만, 그중에서도 텔레비전 시청 중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만족감은 텔레비전 시청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52)

    드라마 만족은 드라마 작품과 탤런트의 연기력, 연출자의 연출력과 드라마의 재미, 공감, 유익함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드라마의 전반적 만족과 시청에 대한 만족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 전반적인 드라마의 만족을 구체화하여 내린 드라마 만족의 정의는 ‘드라마 작품과 탤런트의 연기력, 연출자의 연출력의 정도와 드라마의 재미, 공감, 유익함의 정도이며, 드라마의 전반적 만족과 시청에 대한 만족의 정도’이다.

    황재성은 “드라마 시청에 대한 몰입이 교육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 오락적 만족도, 심미적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53)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박신영은 “몰입을 함으로써 느끼는 심리적 만족감은 내적 동기화가 이루어져 미디어 이용 행위를 반복하게 만든다”54)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 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드라마 몰입이 드라마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47)방송문화진흥회, 앞의 연구보고서, 13쪽.  48)방송문화진흥회, 위의 연구보고서, 17쪽.  49)박신영, 앞의 논문, 2010.  50)주현식, 이성호, 「컨벤션 종사원과 참가자의 관계가치가 신뢰, 몰입,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5권, 제6호, 365-379쪽.  51)심미선, 「텔레비전 시청만족과 시청행위와의 관계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000, 105-131쪽.  52)김정기, 「한국 성인의 텔레비전 시청만족도와 시청동기, 시청태도, 시청행위, 시청프로그램의 상관성 연구」, 『성곡논총』, 제27권 제3호, 1996, 371-401쪽.  박광순, 「디지털 위성 방송 시청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2호, 2004, 169-209쪽. 황하성, 박성복, 「텔레비전 시청 만족도 형성에 관한 재고찰 : 시청동기, 의사인간관계, 실재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1(5), 2007, 339-379쪽.  53)황재성, 「TV드라마의 유형과 몰입경험에 따른 시청자 만족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8~62쪽.  54)박신영, 앞의 논문, 2010.

    5. 실증 분석

       5.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은 남자가 47.6%이고, 여자가 52.4%이다. 그리고 연령대는 20~50대가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직업별로는 회사원이 비교적 높고, 월평균 소득은 전반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학력 수준은 대학졸업 이상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반시청자로는 ‘가족과 함께’ 가 68.7%에 이른다[표 5-1].

    [[표 5-1]] 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인구통계학적 특성

       5.2. 내생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5.2.1 신뢰도 분석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인 작품성, 연기성, 연출성,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은 전게한 드라마품질 척도개발에서 신뢰도 분석을 통해 척도의 신뢰성이 확보 되었고, 결과변수인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모든 구성요인에 대한 각 크론바하 알파계수가 0.945 이상으로 높은 수준의 내적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구체적으로 결과변수의 측정항목에 대한 각 알파계수값은 드라마 몰입 0.959(6개 항목), 드라마 만족 0.945(9개 항목)로 분석되었다[표 5-2].

    [[표 5-2]] 탐색적 요인분석

    label

    탐색적 요인분석

    5.2.2 타당성 분석

    본 연구의 연구모형 검증을 위한 측정항목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정에서 개념 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및 분산 추출 지수(AVE)를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항목의 기준 타당성 확보를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① 탐색적 요인분석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 사용된 변수의 타당한 개념과 개괄적인 구조를 확인 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출은 주성분분석(PCA)으로 하였고, 요인회전은 직교회전(varimax)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3-11], [표 5-2]에서와 같이 40문항이 사용되었다.

    ② 확인적 요인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구성한 설문항목이 경로분석을 실시하기에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재평가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5-3]와 같이 모든 표준화 계수는 1%에서 유의하였고, χ²(679)=1344.093, CMIN/DF=1.980, GFI=0.790, AGFI=0.747, IFI=0.927, TLI=0.915, CFI=0.926, RMSEA=0.063 등으로 “적합도 지수들이 이상적인 기준치”55)를 어느 정도 충족시키고 있어 모형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표 5-3]] 확인적 요인분석

    label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에서 확인된 측정문항들은 각 구성개념에 대해 0.5 이상의 모수추정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각 추정치에 대한 C. R.(t값) 또한 α=0.01에서 유의한 2.58 이상으로 나타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집중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성개념에 대한 개념 신뢰도는 0.7 이상이고, AVE값은 0.5 이상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개념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56)

    ③ 상관분석

    본 연구에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과 결과변수의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했다. 각 변수 간 상관성이 유의하게 나타나 기준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또한, 판별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표 5-4]와 같이 상관계수와 분산추출지수(AVE)를 비교해 본 결과, 모든 구성개념 간의 상관계수가 대각선으로 표시된 분산추출지수와 비교했을 때, 분산추출지수의 제곱근이 각 요인의 상관계수보다 높으면 두 요인 사이에는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57)

    [[표 5-4]] 상관관계 및 분산추출지수(AVE)

    label

    상관관계 및 분산추출지수(AVE)

       5.3. 연구 가설 검증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 평가와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인 드라마품질 요인과 드라마 몰입 및 드라마 만족 간의 관계를 결합하여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우도법(ML)을 통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모수를 추정하였으며, 초기연구모형에 대한 절대적합지수와 증분적합지수에 의한 평가 결과, χ²=1303.850(df=687, p=0.000), GFI=0.800, AGFI=0.761, IFI=0.932, TLI=0.922, CFI=0.932, RMSEA=0.061 등으로 나타났다. GFI와 AGFI 가 0.9이하이긴 하지만, IFI, TLI, CFI, RMSEA 적합지수가 기준치를 충족하고 있어 모형의 적합성은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모형의 적합도가 확보된 수정모형의 경로계수는 연구가설 채택여부에 있어서 더 강력한 근거가 된다. 연구가설 H1에 해당하는 드라마품질 요인 가운데 생산품질인 작품성이 공감성에 유의수준 1% 이내, 작품성이 재미성과 유익성에 5%이내에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기성은 공감성에 유의수준 1% 이내, 연기성이 유익성에 5%이내에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기성이 재미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출성은 재미성과 공감성, 유익성에 유의수준 1%이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소비품질인 재미성과 유익성은 드라마 몰입에 유의수준 1%이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감성은 드라마 몰입에 5%이내에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드라마 몰입은 드라마 만족에 유의수준 1%이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가설 H1에서 세부 가설 H1a, H1b, H1c, H1e, H1f, H1g, H1h, H1i는 채택되었고, H1d는 기각 되었다.

    연구가설 H2에서 세부 가설 H2a, H2b, H2c는 채택되었고, 연구가설 H3에 해당하는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 간에도 유의수준 1% 이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가설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연구가설 검증의 종합적인 결과는 [표 5-5]에 제시하였다.

    [[표 5-5]] 연구모형 검증의 결과

    label

    연구모형 검증의 결과

       5.3. 간접효과 분석

    드라마 생산품질이 드라마 소비품질을 통해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에 대한 간접효과, 드라마 소비품질이 드라마 몰입을 통해 드라마 만족에 대한 간접효과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의 부트스트랩(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는 [표 5-6]과 같다.

    [[표 5-6]] 간접효과 분석결과

    label

    간접효과 분석결과

    드라마 생산품질 가운데 작품성이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에 대한 간접효과는 β=-0.997, β=-1.109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연기성의 간접효과는 β=0.448, β=0.499로 유의수준을 벗어났다. 그리고 연출성의 간접효과는 β=1.974, β=2.196으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드라마 소비품질 가운데 재미성과 유익성이 드라마 만족에 대한 간접효과는 β=0.319, β=0.548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공감성의 간접효과는 β=0.161로 유의수준을 벗어났다.

    드라마 생산품질 가운데 작품성과 연출성이 드라마 소비품질을 통해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연기성은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드라마 소비품질 가운데 재미성과 유익성은 드라마 몰입을 통해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공감성은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5)배병렬, 앞의 책, 20쪽.  56)Sharma, S., op.cit., 1p.342.  57)김계수, 앞의 책, 146쪽.

    6. 결 론

       6.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본 연구는 드라마품질 척도(DRAMAQUAL)를 개발하여 척도의 작동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드라마품질이 매개변수인 ‘드라마 몰입’을 통해 결과변수인 ‘드라마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지금까지 드라마 평가는 시청률에 근거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는 드라마 수용자인 시청자를 통해 드라마 생산품질과 소비품질을 평가하는 척도를 처음으로 개발하였고, 드라마품질 평가를 위한 새로운 모형도 개발하였다. 이로써 방영되는 드라마의 품질 측정을 통해 드라마의 품질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품질 향상을 위한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성공방정식 도출이 가능한 드라마품질 척도(DRAMAQUAL)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드라마품질 척도는 드라마 홈페이지 게시판에 게시된 내용을 내용분석을 통해 구성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문헌연구를 통해 측정문항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구성요인은 ‘작품성, 연기성, 연출성,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이다. 이렇게 도출된 구성요인과 드라마 몰입, 드라마 만족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드라마품질의 척도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실무적 검증은 KBS 주말연속극 ‘내 딸 서영이’ 시청자를 조사 대상으로 총 246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목적과 연구가설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통하여 얻은 실무적 시사점을 집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드라마품질 요인 가운데 생산품질 요인으로 채택한 작품성은 소비품질 요인인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내 딸 서영이’ 드라마가 보통사람들의 취향 맞는 작품으로서 드라마가 설정한 시대의 사회현상과 관심거리를 반영하고, 현실과 이상이 조화를 이루어 시청자가 재미를 느끼고 공감하며 유익함을 느끼게 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드라마품질 요인 가운데 생산품질 요인으로 채택한 연기성은 소비품질 요인인 공감성과 유익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미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내 딸 서영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탤런트의 연기가 등장인물의 심리를 진실되고 개성 있게 표현하여 연기가 생동감이 있고, 연기가 자연스러워서 시청자가 공감하고 유익함을 느끼게 되었으나, ‘내 딸 서영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탤런트의 연기는 시청자의 재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드라마품질 요인 가운데 생산품질 요인으로 채택한 연출성은 소비품질 요인인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내 딸 서영이’ 드라마의 연출력이 시청자에게 재미를 느끼게 하고, 공감하게 하며 유익함을 느끼게 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드라마품질 요인 가운데 소비품질 요인인 재미성은 드라마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내 딸 서영이’ 드라마의 재미요인이 시청자를 드라마에 몰입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드라마품질 요인 가운데 소비품질 요인인 공감성은 드라마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내 딸 서영이’ 드라마의 공감요인이 시청자를 드라마에 몰입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드라마품질 요인 가운데 소비품질 요인인 유익성은 드라마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내 딸 서영이’ 드라마의 유익요인이 시청자를 드라마에 몰입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일곱째, 본 연구에서 드라마품질과 드라마 만족의 매개요인인 드라마 몰입 요인은 드라마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내 딸 서영이’ 드라마를 시청하는 동안 시청자가 드라마에 몰입하여 드라마에 만족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여덟째, 본 연구에서 생산품질이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 소비품질이 드라마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검토한 결과, ‘내 딸 서영이’ 드라마는 드라마 생산품질 가운데 작품성과 연출성이 드라마 소비품질을 통해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연기성은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드라마 소비품질 가운데 재미성과 유익성은 드라마 몰입을 통해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공감성은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8.5%라는 국민드라마급 시청률을 보여준 ‘내 딸 서영이’에 대한 본 연구의 평가는 ‘극본’의 작품성은 시청자에게 재미와 공감 그리고 유익함이 있었고, 드라마에 출연한 탤런트의 연기력은 시청자에게 공감과 유익함에는 영향을 주었지만, 재미를 이끌어 내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내 딸 서영이’ 드라마 의 재미와 공감 그리고 유익함이 시청자를 드라마에 몰입하게 하였고, 시청자의 드라마 몰입은 드라마 만족을 이끌어 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한편, ‘내 딸 서영이’드라마는 ‘극본’의 작품과 연출력이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연기력은 재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드라마 몰입과 드라마 만족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또한, 시청자의 재미와 유익함은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시청자와의 공감은 드라마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가지고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 딸 서영이’ 드라마는 국민 드라마로서 높은 시청률을 보여주긴 했지만, 드라마에 등장하는 탤런트의 전반적인 연기력이 시청자에게 재미와 드라마 몰입 그리고 드라마 만족을 느끼게 하는데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드라마 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있어 시청자와의 공감이 부족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내 딸 서영이’ 드라마는 드라마품질인 작품성, 연출성,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와 TNmS의 조사결과인 48.5%(2013.02.17 기준, TNmS)시청률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내 딸 서영이’ 드라마가 보다 높은 시청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탤런트의 탄탄한 연기력과 시청자가 공감하는 드라마를 만들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와 연구모형을 통해 제시된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드라마 후기 텍스트를 활용하여 드라마품질 척도 (DRAMAQUAL)를 개발하였으며, 드라마 소비자인 시청자 기반의 드라마 제작을 위한 성공 지표를 도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를 통해 드라마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하였고, 평가모형을 통해 드라마 제작과 시청자의 경험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생산품질과 드라마 몰입 간의 관계에서 소비품질은 매개 역할을 하고, 소비품질과 드라마 만족 간의 관계에서 드라마 몰입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증분석에 의하면, 드라마품질 평가에서 드라마 수용자인 시청자에 의해 드라마 경험에 대한 소비품질뿐만 아니라 드라마 제작에 관한 생산품질도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6.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이상과 같은 연구의 의미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해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드라마품질의 구성요인을 작품성, 연기성, 연출성, 재미성, 공감성, 유익성 등 6개 요인으로 한정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6개의 구성요인 각각에 대한 심도 있는 추가적인 연구와 가족드라마 외에 역사드라마, 액션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를 대상으로 척도 검증을 실시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48.5%의 시청률을 기록한 국민 드라마 ‘내 딸 서영이’를 통해 개발한 척도를 검증하였으나, 시청률이 비교적 낮은 드라마를 대상으로 척도 검증을 실시하여 척도의 작동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드라마품질 척도 가운데 생산품질요인인 작품성과 연기성 그리고 연출성은 ‘드라마 전문가 집단’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와 비교 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1. 권 호영, 박 웅진, 윤 석진, 김 숙 2009 『드라마 성공 요인 분석』 google
  • 2. 김 계수 201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google
  • 3. 김 균형 2001 ?연기에서 모방의 개념에 대하여? [『드라마논총』] google
  • 4. 김 대업 2008 『AMOS Ato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google
  • 5. 김 수현, 노 희경, 이 금주, 박 찬성 『드라마아카데미』 google
  • 6. 김 정기 1996 ?한국 성인의 텔레비전 시청만족도와 시청동기, 시청태도, 시청행위, 시청프로그램의 상관성 연구? [『성곡논총』] Vol.27 google
  • 7. 박 광순 2004 ?디지털 위성 방송 시청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Vol.18 google
  • 8. 박 노현 2009 『드라마, 시학을 만나다』 google
  • 9. 박 상완 2012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용의 눈문>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Vol.37 google
  • 10. 박 신영 2010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자의 성향이 이용 동기, 장르 선호도 및 드라마 몰입정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시청집단의 현실도피와 판타지 성향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Vol.10 google
  • 11. 2007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FBC 2007년 연구보고서 google
  • 12. 배 병렬 2007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google
  • 13. 심 미선 2000 ?텔레비전 시청만족과 시청행위와의 관계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google
  • 14. 안 광호, 임 병훈 2010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 google
  • 15. 양 경미 2012 ?연기교육에 있어 대본분석의 중요성과 대본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google
  • 16. 양 혜성 2011 ?드라마의 호화로운 삶 묘사가 프로그램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언론학연구』] Vol.15 google
  • 17. 유 세경 2004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 연구? [『한국방송학보』] Vol.18 google
  • 18. 윤 석진 2011 ?영상문학텍스트로서 노희경의 단막드라마 극본 고찰? [『인문학연구』] Vol.85 google
  • 19. 이 학식, 임 지훈 2009 『SPSS 16.0 매뉴얼』 google
  • 20. 정 덕현 2012 ?‘해품달’ 대박에 숨겨진 미스터리? google
  • 21. 주 재현 2002 ?내용분석 방법의 수행절차 및 적용 연구사례 분석? [『정부행정』] Vol.3 google
  • 22. 주 현식, 이 성호 ?컨벤션 종사원과 참가자의 관계가치가 신뢰, 몰입,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Vol.25 google
  • 23. 하 윤금, 김 용호 1998 ?TV 드라마의 품질 향상을 위한 사례분석 연구? google
  • 24. 황 재성 2011 ?TV드라마의 유형과 몰입경험에 따른 시청자 만족에 관한 연구? google
  • 25. 황 하성, 박 성복 2007 ?텔레비전 시청 만족도 형성에 관한 재고찰 : 시청동기, 의사인간관계, 실재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Vol.21 google
  • 26. Churchill G. H. 1979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6 google cross ref
  • 27. DeVellis R. F. 2003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google
  • 28. Hair J.F., Anderson R.L., Tatham W.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 google
  • 29. Hinkin T. R. 1995 “A Review of Scale Development Practices in The Study of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ment] google
  • 30. Sharma S. 1995 Applied multivariate techniques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2-1] ]  척도 개발 자료의 개요
    척도 개발 자료의 개요
  • [ [그림 2-1] ]  척도 개발 추진 모형
    척도 개발 추진 모형
  • [ [표 2-2] ]  ‘내 딸 서영이’ 시청소감(Text) 내용분석(일부)
    ‘내 딸 서영이’ 시청소감(Text) 내용분석(일부)
  • [ [표 2-3] ]  드라마품질 구성요인에 관한 명칭과 개념 및 측정문항 개발과 관련 연구
    드라마품질 구성요인에 관한 명칭과 개념 및 측정문항 개발과 관련 연구
  • [ [표 2-4] ]  드라마품질 개념정의 이해도 조사
    드라마품질 개념정의 이해도 조사
  • [ [표 2-5] ]  드라마품질 개념적 정의 이해도 조사 결과
    드라마품질 개념적 정의 이해도 조사 결과
  • [ [표 3-1] ]  표집 현황
    표집 현황
  • [ [표 3-2] ]  드라마 생산품질과 소비품질 요인분석 결과
    드라마 생산품질과 소비품질 요인분석 결과
  • [ [표 3-4] ]  드라마품질 척도의 신뢰도 검증 결과
    드라마품질 척도의 신뢰도 검증 결과
  • [ [표 3-5] ]  작품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작품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 [ [표 3-6] ]  연기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연기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 [ [표 3-7] ]  연출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연출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 [ [표 3-8] ]  재미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재미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 [ [표 3-9] ]  공감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공감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 [ [표 3-10] ]  유익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유익성요인의 측정문항 간 유클리디안 거리
  • [ [표 3-11] ]  척도 검증에 의해 정제된 측정문항
    척도 검증에 의해 정제된 측정문항
  • [ [표 3-12] ]  드라마품질의 확인적 요인분석
    드라마품질의 확인적 요인분석
  • [ [표 3-13] ]  상관관계 및 분산추출지수(AVE)
    상관관계 및 분산추출지수(AVE)
  • [ [그림 4-1] ]  연구모형
    연구모형
  • [ [표 5-1] ]  인구통계학적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5-2] ]  탐색적 요인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 [ [표 5-3] ]  확인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 [ [표 5-4] ]  상관관계 및 분산추출지수(AVE)
    상관관계 및 분산추출지수(AVE)
  • [ [표 5-5] ]  연구모형 검증의 결과
    연구모형 검증의 결과
  • [ [표 5-6] ]  간접효과 분석결과
    간접효과 분석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