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Identity, Leisure Flow and Leisure Satisfaction of Swim Club Member 수영동호인의 여가만족이 여가몰입과 여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Identity, Leisure Flow and Leisure Satisfaction of Swim Club Member

본 연구의 목적은 수영동호인들의 여가만족이 여가몰입과 여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층집단 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대구ㆍ경북지역 수영클럽에 참가하고 있는 수영동호인 255명을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과 AMOS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영동호인들의 여가만족은 여가몰입과 여가정체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 만족은 여가몰입을 통해 간접적으로 여가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
swim club member , leisure identity , leisur flow , leisure satisfaction.
  • Ⅰ. 서론

    소득수준의 증가와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라 여가활동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여가의식의 변화, 여가참여 욕구증대, 선진국 형 여가활동 추구, 자연친화적 여가참여 그리고 몸과 마음의 균형적인 발전이라는 웰빙(WellBeing)을 도모하는 사회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국민들의 스포츠 활동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증대되고, 여가시간의 상당부분을 스포츠 활동에 할애함으로써 스포츠의 대중화 및 보편화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대를 ‘여가의 시대’라 한다.

    이와 더불어 여가에 대한 욕구충족이 삶의 질 영역을 담당하게 되면서 여가활동을 통한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새로운 상황으로 전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김진욱, 2006; 김정운, 이장주, 2005; 이재형, 2003; 원형중, 김숙자, 2006). 결국 현대사회에서 행복의 전제는 의식주의 문제해결이 아닌 여가욕구에 대한 자유로운 표출과 이를 통한 만족과 귀결되고 있으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여가생활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이인환, 2008).

    이러한 시대적 풍조를 반영하듯이 1990년 이후 여가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생활체육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었는데, 대부분 생활체육 활동을 통한 여가만족, 여가몰입, 여가정체성, 생활만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여가활동에 따른 만족과 몰입에 따른 생활만족(김범, 신봉철, 2009; 김영재, 2005; 김영미, 김동건, 2007; 문태영, 2007; 박유진, 김재휘, 2002; 윤영선, 2010; 전미정, 2006)에 대한 연구와 여가 정체성과 생활만족에 대한 관계(손원일, 장진우, 김성문, 2008)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져 왔다. 이들 연구에 의하면 여가경험은 여가정체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여가몰입은 여가만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생활체육과 같은 여가활동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주요변인이 된다고 하였다(김영미, 한혜원, 2005).

    이들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여가활동 경험은 여가에 대한 만족과 불만족으로 나타나고, 여가활동의 만족감은 여가에 몰입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고, 이러한 여가몰입은 여가집단을 동일시하고 애착을 갖는 여가정체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선행연구들은 여가만족과 여가몰입의 관계 또는 여가만족과 여가정체성과의 관계만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한정적 연구형태가 이루어졌다.

    한편 Haggard & Williams(1992)는 특정한 여가활동유형에 대해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공유하는 이미지가 있으며, 개인은 자신의 이상적 자아상과 일치하는 이미지의 여가활동을 통해 자신의 이상적 자아상을 표현하고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한 주장의 근거로써 사람들이 여가활동을 통해 추구하는 여가정체성 이미지에 강한 애착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다양한 생활체육 종목과 동호인을 대상으로 여가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이들 각각의 연구결과가 동일한 여가정체성에 귀결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여가활동의 참여에 따른 여가몰입, 여가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작업의 필요성과 아울러 종목이 가지는 특성적 요소를 고려한 관계 검증작업을 요구하고 있다.

    수영은 일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것이라고 생각되어질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역사만큼이나 오래도록 대중적인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다. 체육과학연구원(2007년)의 체육백서에 따르면, 2007년 12월 기준으로 종목별 생활체육 동호인 현황에서 수영은 1,191개 클럽수와 48,448명의 회원 수가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더욱이 수영은 향후 참가해 보고 싶은 운동종목 1위(15.6%)로 조사되었고, 또 희망 운동종목의 연도별 비교조사에서도 1989년 이래 지속적으로 1순위로 꼽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수영은 대중적 관심과 참여를 희망하는 생활체육 종목이 틀림이 없으며, 이러한 결과는 수영이 여가활동으로써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여가참여를 통해 여가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는Stebbins(1992)의 주장과 여가활동의 관여수준이 높을수록 보다 강력하고 정서적으로 흥미를 끄는 애착을 형성해 결과적으로 여가 정체성을 조형한다는 Argyle(1996)의 주장을 바탕으로 했을 때 수영 참여, 만족, 몰입, 정체성 확립의 과정은 수영의 여가활동 가치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작업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기 위해선 실제 수영을 여가활동으로 경험하고 있는 동호인을 대상으로 여가요인을 제고해봄으로 이를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영동호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수영을 통해 느끼는 여가만족이 여가몰입과 여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여가활동으로 수영의 가치를 재평가함과 아울러 기존에 여가만족과 여가몰입의 관계 또는 여가만족과 여가정체성과의 관계만을 다루었던 한정적인 연구형태를 넘어 여가만족과 몰입 및 여가정체성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함으로 이들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대구ㆍ경북지역의 수영동호인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대구ㆍ경상북도 지역의 수영장 중 규모가 가장 크고 동호인들이 많이 등록되어 있는 대구광역시 시립수영장과 각 시에 운영되고 있는 시립수영장 6곳을 선정하여 확률표집 중 하나인 유층집락 무선표집법을 통해 각 60명씩 360명을 표집하였다. 분석은 누락된 65부를 제외한 255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2. 조사도구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개인적 특성 6문항, 여가만족 22문항, 여가몰입 12문항, 여가정체성 1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표 2>와 같으며, 문항설명은 다음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label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표 2] 설문지 구성내용

    label

    설문지 구성내용

    1) 여가만족

    수영동호인들의 여가만족을 측정하기 위하여 Beard와 Raghed(1980)가 개발하고, 이를 김영재(2005)가 번안한 여가만족 척도(Leisure Satisfact ion Scale: LSS)를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측정방식은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여가만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와 각 요인의 신뢰도 수준은 <표 3>과 같다.

    [표 3] 여가만족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label

    여가만족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2) 여가몰입

    여가몰입은 Scanlan, Carperter, Schmidt, Simon, Keeler 등(1993)의 척도를 참고로 정용각(1997)이 개발한 문항을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측정방식은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여가몰입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적 몰입과 행위적 몰입으로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인지적 몰입 .886, 행위적 몰입 .843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가몰입에 대한 요인 분석과 신뢰도 수준은 <표 4>와 같다.

    [표 4] 여가몰입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label

    여가몰입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표 5] 여가정체성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label

    여가정체성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3) 여가정체성

    여가정체성을 측정하기 위해 박유진(2002)이 사용한 문항을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여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여가정체성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자아존중감 .911, 동일시 .857, 정서적 애착 .799 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가정체성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수준은 <표 5>와 같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잠재변수에 대해 결정한 측정변수들이 타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전체 잠재변수를 대상으로 측정모형과 이론모형을 동시에 분석하는 확인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성개념과 변수구성의 최적상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적합도 지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살펴보면, CMIN=211.692, df=52, CMIN/df=4.071, RMR=0.19, RMSEA=0.85, GFI=.931, NFI=9.32, CFI=.931 이 도출되었다. CMIN은 표본의 크기와 측정변수의 수에 민감하여 엄격히 적용하지 않으며, 다른 지표들과 함께 적합도를 판단하여야 한다(Arbuckle & Wothe, 2000). 따라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적합도 지수가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6] 확인적 요인분석

    label

    확인적 요인분석

       3.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대구ㆍ경북지역 수영장에 직접 방문하여 수영동호인들에게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1차로 2010년 4월 26일부터 4월 30일까지 예비설문을 거친 후, 2010년 5월 10일부터 6월 5일까지 1개월간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360부의 설문지 중 이중기입을 한 경우와 조사내용이 누락된 65부를 제외한 255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그리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영동호인의 여가만족과 여가몰입 및 여가정체성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AMOS 4.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Ⅲ. 결과 및 논의

       1. 결과

    1) 변인 간의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수영동호인의 여가만족과 여가몰입 및 여가정체성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연구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여가만족, 여가몰입, 여가정체성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모든 변인에서 상관관계가 .80보다 작게 나타났기 때문에 다중공산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7]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label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표 8] 연구모형 전반적 지수

    label

    연구모형 전반적 지수

    2) 수영동호인의 여가만족, 여가몰입, 여가정체성과의 연구모형

    본 연구는 수영동호인의 여가만족과 여가몰입, 여가정체성과의 인과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연구모형 적합도 검정

    본 연구의 연구모형 적합도를 결정짓는 적합도 평가지수는 <표 8>과 같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정결과, CMIN/DF=4.071, RER= .019, GFI=.931, NFI= .932, RMSEA= .085, CFI=.931의 값을 갖는 <그림 1>과 같은 경로모형을 도출하였다. <표 8>에 따르면 7개의 적합도 판정지수 중 CMIN/df 값이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으나, 나머지 5개의 적합도 판정지수는 비교적 우수한 모형의 적합도 값이 도출되어 적합한 모형으로 검정되었다.

    (2) 가설검정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 대한 구체적인 인과적 관계는 <표 9>와 같다.

    <그림 1>과 <표 9>에 따르면, 첫째, 여가만족은 여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직접효과=.784). 둘째, 여가만족은 여가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직접효과=.365). 셋째, 여가몰입은 여가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직접효과=.643). 넷째, 여가만족은 여가정체성을 통하여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간접효과=.504).

    [표 9] 가설검정

    label

    가설검정

       2. 논의

    본 연구는 수영동호인의 여가만족이 여가몰입과 여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수영동호인의 여가만족은 여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만족은 여가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여가몰입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여가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동호인들이 수영에 참가함으로써 자신이 선택한 여가에 대해 만족감을 얻게 되고, 이러한 만족감은 여가에 더욱 몰입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여가활동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 여가만족감은 자신이 선택한 여가활동에 더욱 많은 애정을 갖게 되고(권중승, 2007),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됨으로써 개인의 여가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송은주, 임수원, 김정자, 2006). 결국 여가만족이 여가몰입을 통해 여가정체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가만족은 여가몰입과 여가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활동을 할 때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그 즐거움이 신체적, 심리적, 휴식적, 사회적, 환경적 등 어떠한 형태로든 자신의 요구를 만족시켰을 때 몰입정도의 차이를 보일 뿐 참가자들은 인지적, 행위적으로 그 활동에 몰입하게 된다. 신갑용과 문용(1999)은 심리적, 사회적, 생리적 여가만족이 여가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바 있고, 이동수와 권판근(2003)은 여가만족이 여가몰입에 매우 높은 영향력을 미치며 만족도가 높을수록 몰입도 향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광수와 김관진(2010) 역시 자신이 좋아하는 스포츠에 참가함으로써 만족감을 얻게 되고, 이에 따라 실제 생활에서도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하게 됨으로써 그 어느 활동보다 몰입의 가능성 높아져 결과적으로 인생의 만족을 추구하는데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영동호인들이 수영에 참가함으로써 자신의 여가에 대해 만족감을 얻게 되고, 이 만족감은 여가에 더욱 몰입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개인은 일정한 여가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여가와 관련된 여가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Laverie, 1995). 일반적으로 특정한 정체성이 개인의 자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면 그 정체성과 관련된 역할의 효과적인 수행은 개인의 전반적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Swann, Griffin, Predmore, & Gains, 1987). 따라서 여가정체성이 개인에게 중요할수록 개인은 여가활동에 중요한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하지만 여가활동을 하는 모든 사람들이 여가정체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선택한 여가에 참여하여 어떠한 형태로든 만족을 느낄 때 여가활동에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긍정적인 여가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더욱이 여가정체성은 개인이 애착을 가지지 않을 경우 존재할 수 없다. 여가만족을 통한 몰입은 동호인들로 하여금 수영에 대한 욕구, 정보, 관심수준을 높여 일상형 여가활동과는 다른 특정한 전문성을 얻기 위해 체계적으로 수영을 실시하도록 만들고, 이러한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자신이 선택한 활동에서 강한 정체성을 확립하려고 한다(손원일, 장진우, 김성문, 2008; Jones, 2000; Stebbins, 2001). 이는 수영에 대한 몰입이 여가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내포한다. 윤대현, 김진성(2009)은 마스터즈 수영에 참가하면서 느끼는 몰입이 수영과 자신을 동일시하고 그 행위를 존중해 주려는 태도를 형성해줌으로써 여가정체성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한광걸(2007) 역시 등산 참여자 자신이 행하고 있는 등산에 대한 선호정도와 인식, 정보, 관심수준이 높을수록 등산에 대한 지속적 참여결과로 형성되는 내면화된 역할기대인 동일시, 자아존중감, 정서적 애착을 의미하는 여가정체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즉 등산 참여자들의 몰입정도인 인지적, 행동적 몰입이 여가정체성의 동일시, 자아존중감, 정서적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윤영선(2010), 최경아(2009) 등도 스포츠활동을 통하여 얻어진 몰입은 참여자의 여가정체성을 높이고 이는 생활전반에 전이되어 생활의 만족도가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고 밝혔다. 따라서 수영동호인들의 여가만족은 수영을 여가스포츠로 인식하고 몰입하게 함으로써 참여자들이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긍정적인 여가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Ⅳ. 결론

    본 연구는 수영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여가만족이 여가몰입과 여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구, 경북지역의 수영장을 선정하여 각 수영장의 동호회 활동하고 있는 참여자 255명을 표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4.0과 AMOS 4.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수영동호인들의 여가만족은 여가몰입과 여가정체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만족은 여가몰입을 통해 간접적으로 여가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수영은 여가활동으로 각광 받는 종목으로 활동 참여를 통하여 여가만족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여가만족은 여가몰입과 여가정체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가정체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여가몰입을 통함으로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는 여가활동의 개입 → 여가활동 → 여가만족 → 여가몰입 → 여가정체성의 확립 등 일련의 사이클이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사이클은 계속적인 형태로 반복되어지며, 일련의 과정이 순차적 단계로 진행되어질 때만이 여가활동의 최적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가활동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일정 시간의 투입과 순차적 단계 진입을 위한 전략이 필요할 것이며, 이는 지속적인 여가활동과 여가전문화를 위한 거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수영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여가만족이 여가몰입과 여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조사대상자에 대한 포괄성과 심층적인 조사에 한계를 갖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심층연구는 수영이 높은 가치를 지닌 여가스포츠로써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동호인들의 여가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수행되진 못했지만 수영을 여가스포츠로 인식하게 만드는 많은 변인들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세부적인 변인에 대한 연구들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권 중승 (2007)
  • 2. 김 범, 신 봉철 (200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8 P.1295-1303
  • 3. 김 영미, 김 동건 (2007) [체육과학연구지] Vol.25 P.109-130
  • 4. 김 영미, 한 혜원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P.193-202
  • 5. 김 영재 (2005)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24 P.509-515
  • 6. 김 정운, 이 장주 (200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9 P.1-15
  • 7. 김 진욱 (2006) [노인복지연구] Vol.32 P.149-177
  • 8. 문 태영 (2007) [한국사회체육학회] Vol.30 P.895-912
  • 9. 박 유진 (2002)
  • 10. 박 유진, 김 재휘 (2002) [한국심리학회지] Vol.21 P.141-161
  • 11. 손 원일, 장 진우, 김 성문 (2008)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4 P.1629-1638
  • 12. 송 은주, 임 수원, 김 정자 (2006)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28 P.581-590
  • 13. 신 갑용, 문 용 (1999) [한국체육학회지] Vol.38 P.904-918
  • 14. 원 형중, 김 숙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P.179-192
  • 15. 윤 대현, 김 진성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P.277-287
  • 16. 윤 영선 (2010)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4 P.195-204
  • 17. 이 광수, 김 관진 (2010)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Vol.34 P.59-70
  • 18. 이 동수, 권 판근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P.227-238
  • 19. 이 인환 (2008)
  • 20. 이 재형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P.401-410
  • 21. 전 미정 (2006)
  • 22. 정 용각 (1997)
  • 23. (2007)
  • 24. 최 경아 (2009)
  • 25. 한 광걸 (2007)
  • 26. Arbuckle J. L., Wothe W. (2000) Amos 4.0 User’s Guide. google
  • 27. Argyle M.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google
  • 28. Beard J. C., Ragheb M.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2 P.20-33 google
  • 29. Haggard L. M, Williams D. R. (1992) Identity affirmation through leisure activities: leisure symbols of the self.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4 P.1-18 google
  • 30. Jones I. (2000) A mode of serious leisure identification: the case of football fandom. [Leisure Studies] Vol.19 P.283-298 google cross ref
  • 31. Laverie D. A. (1995) Theinfluences and inter ations. google
  • 32. Scanlan T. K., Carperter P. J., Schmidt G. W., Simon J. P., Keeler B. (1993) Introduc tion to the sport commitnent model.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ygy] Vol.15 P.1-15 google
  • 33. Stebbins R. A. (1992) Costs and reward in barbershop singing [Leisure Studies] Vol.11 P.123-133 google cross ref
  • 34. Stebbins R. A. (2001) Serious leisure [Society] Vol.38 P.53-58 google cross ref
  • 35. Swann W. B., Griffin J. J. Predmore, S. C., Gains B. (1987) The cognitive-affective crossfire: When self-consistency confron ts self-enhancement. [Journal of Perso 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881-889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 표 2 ]  설문지 구성내용
    설문지 구성내용
  • [ 표 3 ]  여가만족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여가만족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 [ 표 4 ]  여가몰입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여가몰입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 [ 표 5 ]  여가정체성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여가정체성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 [ 표 6 ]  확인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 [ 표 7 ]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 [ 표 8 ]  연구모형 전반적 지수
    연구모형 전반적 지수
  • [ 그림 1 ]  연구모형
    연구모형
  • [ 표 9 ]  가설검정
    가설검정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