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on Satisfaction with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Intention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ose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in this society where any systematic and practical start-up educational contents as well as experts in the start-up education are being asked for in order to meet the demand for the start-up. Not only to build up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how to make the best use of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 as in the start-up educational programs but also to understand any possibilities of that education, the study divided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into features of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contents, a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system and an ability of a mentor in charge of start-up mentoring educ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regard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start-up education and the start-up intention, the study determined them as 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then, designed a research model and formulated hypotheses. In order to verify those hypotheses,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ose who have finished the start-up educational course in JST, Incheon, which has been actively engaging in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of all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the features of the contents and the mentor's ability were observ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as the features of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system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art-up intention.

KEYWORD
창업 멘토링 , 창업교육 만족도 , 창업 의지 , 교육 컨텐츠 특성 , 교육 시스템 , 멘토 역량
  • Ⅰ. 서론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창업자 개인의 선천적인 자질도 중요하지만 체계적인 창업교육과 학습을 통해 창업자로서 반드시 갖추어야할 창업 역량을 습득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창업교육은 창업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실전 경험을 충분히 전달하는 교육이 되어야하나 현실적으로는 창업에 대한 사전 경험을 가진 창업 교육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단순한 창업정보 전달 위주 등의 이론교육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많은 창업교육 기관 및 학교에서는 창업 멘토링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창업교육 중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국내 창업교육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의 역할과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창업 멘토링 교육은 이미 많은 창업교육기관들이 사용을 하고 있는 교육 방법이지만, 각 기관별로 멘토링 기간과 멘토링 방법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창업 멘토링 교육은 성공적인 창업을 경험한 유능한 선배 멘토(mentor)가 자신의 경험과 노하우를 예비창업자(mentee)에게 전수하고, 그들이 가진 잠재력을 개발시켜 성공적인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을 말한다(Klauss, 1981).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 교육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인천 제물포 스마트타운 창업교육’(이하 ‘인천 JST 창업교육’)을 연구 모델로 하고, ‘인천 JST 창업교육’ 수료생을 대상으로 창업 멘토링 교육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창업 멘토링 교육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창업성공률을 높이는 효과적인 창업교육으로써 창업 멘토링 교육의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2.1 창업교육

    2.1.1 창업교육과 창업 멘토링

    창업교육은 예비창업자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준다. 우리나라에서 창업교육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 하에 지자체, 기관, 학교 등에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양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질적인 측면에서는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관심 주제인 멘토링 교육은 선배 창업자가 교육생들의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멘토링을 통해 사업 타당성 검토 및 창업 성공률 제고를 도와주고, 멘토와 멘티 사이에 네트워크 증진에 기여한다. 멘토링 교육은 1:1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한명의 멘토에 다수의 멘티가 팀을 이루는 팀 멘토링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팀 멘토링을 통해 팀원들 간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서로의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창업교육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지만 현장실습 인프라와 멘토 네트워크가 갖추어지지 않는 지자체 및 대학교의 창업 교육은 대부분 이론교육 중심의 창업교육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멘토링 교육을 실시한다 하더라도, 이론교육과 병행한 멘토링 교육이 아닌 이론 교육 이후 멘토링 교육을 하거나 멘토링 교육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2.2.2 창업교육의 문제점

    Choi & Yang(2012)은 해외대학의 사례연구를 통해 특히 프로세스 교육을 중심으로 알고리즘 기반의 창업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질 좋은 창업교육’을 위하여 기존의 경영이론 중심의 교육과 성공사례 중심의 옴니버스 강의가 아닌 프로세스를 통한 ‘자기주도적 창업실습훈련’이 필요하면 사업현장의 정보와 노하우를 창업자들과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창업과정에서의 죽음의 계곡을 극복하기 위하여 프로세스별로 자기주도 창업실습 교육이 가능하도록 워크시트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코치진과 선배기업가로 구성된 멘토가 필요하다고 분석하였다.

    Hwangbo and Yang(2012)은 창업교육의 문제점으로 창업교육시스템의 미흡을 지적하였다. 창업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강조되는 것은 검증된 창업교육 콘텐츠와 창업교육 강사진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창업자들을 교육시키고 훈련시킬 수 있는 양질의 교사와 교수, 코치와 교육 콘텐츠에 대한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 조사 결과를 정리해보면, 현재 국내의 창업교육의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창업교육 콘텐츠 부족과 창업 멘토와 같이 창업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또한 창업교육에서 사업계획서 작성 Skill을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닌 교육생들이 실질적으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보고 그에 대해 지원해주는 창업교육 콘텐츠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창업교육 콘텐츠와 창업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의 특징과 성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2.2 창업교육 멘토링 교육 요인

    2.2.1 교육 컨텐츠 특성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포괄적으로 사용되는 창업 멘토링의 개념을 탐색적으로 세분화 하여 두 가지로 분류 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창업 의지를 지닌 단계부터 창업 시작 단계까지 예비창업자에게 지원을 해주는 ‘창업 준비 멘토링’이다. ‘창업 준비 멘토링’은 창업 아이디어 단계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멘토링을 통해 창업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타당성 분석, 사업계획서 작성, 창업의 절차, 세무·회계·법률 등의 창업 지식, 기업가 정신 함양, 창업지원 정보 제공, 인적 네트워크 형성 등 창업 전반에 대한 준비과정을 이론적·실무적으로 멘토링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창업 초기 단계부터 창업 성공단계까지의 과정을 도와주는 ‘창업 성공 멘토링’이다. ‘창업 성공 멘토링’은 사업자등록을 하고 창업을 시작한 창업 초기 단계부터 창업의 성공 단계까지 사업의 순익 증대, 사업에 필요한 인적네트워크 연결, 재무·인사·운영·마케팅을 포함한 경영 기술, 사업 성공 노하우, 투자 유치 방법 등 성공 창업을 위한 경험적·실무적 지식을 멘토링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창업 성공 멘토링’은 창업 초기 단계부터 창업의 성공단계까지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

    본 연구는 위에서 설명한 ‘창업 준비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징의 세부항목을 탐색적으로 구분하여 창업 준비상황 점검, 교육생 간 네트워크 형성, 창업 아이템 타당성 검토, 사업계획서 작성, 개인별 맞춤형 난이도로 분류하여 측정하고자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2.2.2 창업 멘토링 교육 시스템

    Zachary(2000)는 멘토링에 대해서 준비, 협상, 활성화, 종결의 4단계를 거쳐서 멘토와 멘티의 관계가 발전한다고 주장하였다.

    첫째, 준비(preparation) 단계는 멘토링 관계가 시작되는 단계로서 멘토와 멘티의 첫 만남이 이루어지고 멘토링 파트너십에 대해서 심리적으로 준비하는 단계이다. 둘째, 협상(negotiation) 단계는 멘토링 관계가 형성되어, 멘토와 멘티가 멘토링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목표와 수행 방법을 설정하고 원만한 멘토링을 위해 준수해야 할 규칙을 정립하는 단계이다. 셋째, 활성화(enabling) 단계는 멘토와 멘티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는 단계로, 이를 통해 멘토와 멘티의 학습이 극대화 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넷째, 종결(closure) 단계는 멘토와 멘티가 초기에 설정하였던 목표에 대해서 성과평가를 하면서 서로의 노고와 성취에 대해 인정하고 칭찬하며 멘토링 관계를 종료하는 단계이다.

    또한, Richic & Genoni(1999)는 멘토와 멘티의 관계형성을 어떻게 하느냐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멘토링의 관계 구조를 1:1 멘토링, 동료 멘토링, 그룹 멘토링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 최근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e-멘토링이 활용되고 있다. 국내 창업 교육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는 창업 멘토링 교육 시스템 역시 Zachary(2000)가 주장한 4단계의 과정을 거치며, 멘토와 멘티의 비율로 인해 일대일 멘토링 보다는 그룹 멘토링 방법에 e-멘토링을 추가한 형태로 진행된다.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 교육 시스템의 세부항목을 인천 JST 창업교육의 멘토링 교육을 기반하여 탐색적으로 구분할 것이다. 이렇게 구분된 세부항목은 이론강의와 멘토링 교육 연계, 그룹 멘토링 교육, 적절한 멘토링 시간, 단계별 멘토링 교육으로 나누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2.2.3 멘토 역량

    Sosilk & Lee(2002)는 멘토링 역할 수행에 필요한 멘토의 역량으로 사회적 판단 능력(social judgement capabilities)을 주장하였으며, 사회적 판단능력은 지식(wisdom), 사회적 통찰력(social perceptiveness), 도덕적 또는 사회적 추론능력(moral and social reasoning ability) 등으로 구성되어졌다고 했다. 지식과 사회적 통찰력, 사회적 추론능력으로 구성된 사회적 판단능력은 멘티의 창업 아이디어에 대한 실현가능성과 지속가능성 등 사업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Allen & Poteet(1999)는 효과적인 멘토링을 수행하는 멘토의 특징으로 업계에 대한 폭 넓은 지식과 상식을 보유하고 전문적 기술을 가진 자이며 그 기술에는 진실한 관심, 자기 확신, 자유로운 제안허용, 합당한 목표설정, 가르치는 능력, 공정성 및 객관성, 타인 이해, 타인 존경, 합당한 목표설정, 피드백 제공, 비전과 체계 등이 포함되어 있고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로 경청 및 의사소통의 기술(listing and communication skills)을 꼽았다. 이러한 스킬 외에도 멘토링에 대한 철저한 준비, 멘티와의 원활한 관계 정립, 멘티의 수준에 맞는 멘토링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 교육의 멘토역량에 대한 선행연구조사를 토대로 멘토 역량의 세부항목을 멘토의 전문성, 멘토의 교육 스킬, 멘토의 준비성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2.3 창업교육 만족도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피교육자의 인지된 교육서비스 품질과 기대수준의 충족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나타나는 결과물이다.(Kim et al., 2013) 창업교육에서 서비스의 품질은 실무적인 창업교육 프로그램과 우수한 교육 컨텐츠, 창업교육의 전문 인력, 개개인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교육, 그리고 창업 교육환경 등이 있을 것이다.

    Astin(1993)은 교육만족도를 ‘교육 실시 후 교육경험에 대한 교육생의 주관적인 반응을 관찰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교육 만족도 조사를 위해서 교육 내용과 교육 강사, 교육 시스템 등의 요인을 교육생이 평가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창업 교육 만족도 조사를 위해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 중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 컨텐츠 특성, 교육 시스템, 멘토링 교육 멘토 역량을 요인으로 설정하였다.창업 교육이 창업성공률을 높여준다는 이유로 국내에서는 지자체, 기관, 학교 등에서 다양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지만 교육생의 만족도는 높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이유는 대한민국의 창업교육 역사가 짧아서 체계적이고 실무적인 창업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창업교육 콘텐츠, 창업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 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Park & Kim, 2009). 하지만 창업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생들의 교육 만족도 평가를 조사·분석하는 것은 교육에 대한 문제점 개선을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 교육만족도를 멘토링 교육의 흥미, 멘토 만족, 멘토링 형태, 교육환경의 측면에서 측정하였다.

       2.4 창업 의지

    창업은 오래전부터 많은 학자들에 의해 계획된 행동(planned behavior)이라는 관점에서 해석이 되어 왔으며, 이러한 계획된 행동인 창업을 예측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은 바로 창업의지(Entrepreneurial Intention)를 측정하는 것이다(Katz and Gartner, 1988).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를 검토해보면 창업교육의 만족도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쳐 창업을 증가시키는 원인 중에 하나라는 결론이 대부분이다. 창업을 위해서는 개인의 창업의사결정과 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즉 창업의지가 발생되어야 한다. 창업의지는 창업 행위의 의도적 태도를 의미하며, 창업이라는 과정의 첫 번째 단계이다. 또, 의지와 행동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창업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창업의지는 개인의 태도와 경험을 창업이라는 행동으로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이다.(Krueger & Carsrud, 1993)

    Shapero(1982)는 창업의지를 창업 이벤트모델(Entrepreneurial Event Model, EE)을 통해서 나타내었는데, 즉 실직이나 이민 등과 같은 개인의 중요한 생애 이벤트(life event)는 개인의 선택을 요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운 대안으로서 개인은 창업에 대해 고려하게 되고 이는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국에는 창업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Kim(2012)은 창업의지의 여러 가지 요인 중에서 부모의 역할모델, 개인성향 및 경력환경, 창업교육 등이 창업의지의 주요요인으로 연구 되었다고 하였다.

    Ⅲ. 실증연구 설계

       3.1 연구모형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 교육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인천 JST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창업 멘토링 교육을 이수한 교육생에 대해서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 즉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과 시스템, 그리고 멘토역량이 창업 멘토링 교육만족도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3.2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본 연구는 조사목적과 연구범위를 고려하여 인천 JST 창업 교육에서 실시하고 있는 창업 멘토링 교육을 수료한 수료생들을 표본 대상으로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을 ‘구글을 통한 온라인 조사 방법(Google docs)’과 오프라인 설문지로 설문조사 하였다. 표본에 대한 설문 조사 범위는 2011년 4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한차례씩 실시된 ‘인천 JST창업교육’ 수료생 309명 중에서 최근 2년 내에 교육을 수료한 수료생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6월 10일까지 이었으며, 모집단 170명 중에서 126명에게 설문조사 결과가 회수되었다.

    Ⅳ. 실증분석 결과

       4.1 연구대상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에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구글을 통한 온라인 조사 방법(Google docs)을 사용하여 170부가 배포되었다. 회수된 자료 126부 중 설문 응답의 내용이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기입 오류 및 이 중 기입 등 본 연구를 위한 설문 응답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25부를 제외한 총 101부가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 연구대상 일반적 특성

    label

    연구대상 일반적 특성

       4.2 측정요인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구성 요인(콘텐츠특성, 교육시스템, 멘토역량, 교육만족도, 창업의지)에 대해서는 Cronbach's α검사를 통하여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신뢰수준이 0.6 이상으로 나타났다. 창업 멘토링 교육(콘텐츠특성, 교육시스 템, 멘토역량, 교육만족도, 창업의지)에 대한 각 요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요인들의 총 분산 설명 비율은 요인 부하량이 낮은 상당수 많은 항목을 찾아 제거한 뒤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업 멘토링 교육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표 2>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5개 콘텐트측성 요인, 4개 교육 시스템 요인, 3개 멘토 역량 요인, 4개 교육만족도 요인, 4개 창업의지 요인으로 창업 멘토링의 측정 문항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유값 1이상인 요인이 5개 도출되었고, 각 요인들은 콘텐츠 특성, 교육 시스템, 멘토 역량, 교육 만족도, 창업의지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label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또한, 각각의 요인들의 신뢰도는 모두 .6이상으로 신뢰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요인1은 콘텐츠 특성 관련 요인으로 요인을 구성하는 5개 측정항목들의 내적일관성은 Cronbach's α 계수가 .831으로 높은 내적일관성으로 나타났고 요인 2는 교육 시스템 관련 요인을 구성하는 4개 측정항목들의 내적일관성은 Cronbach's α 계수가 .801로 높은 나타났으며 요인 3은 멘토 역량 관련 요인을 구성하는 3개 측정항목 들의 내적일관성은 Cronbach's α 계수 .784로 상대적으로 낮지만 만족할 만한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4는 교육 만족도 관련 요인을 구성하는 4개 측정항목들의 내적일 관성은 Cronbach's α 계수 .834 높은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요인 5는 창업의지 관련 요인을 구성하는 5개 측정 항목들의 내적일관성은 Cronbach's α 계수 .816 높은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4.3 가설 검증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멘토링 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은 아래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다. 공선성 통계량을 확인한 결과 공차는 .01 이하 VIF는 1.0 이상으로 나타나지 않아 문제가 없었고 Durbin-watwon은 1.751로 자기상관이 없고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멘토링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label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멘토링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이 창업 멘토링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t=6.274, p=.000***으로 가설[1-1]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채택되었다. 창업 멘토링 교육 시스템이 창업 멘토링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t=1.021, p=.602로 가설[1-2]은 부(-)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기각되었다. 창업 멘토링 교육 멘토 역량이 창업 멘토링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t=3.145, p=.000***으로 가설[1-3]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채택되었다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4>]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label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위의 <표 4>와 같이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이창업의 지에 미치는 영향을 t=2.135, p=.000***으로 가설[2-1]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채택되었다.

    창업 멘토링 교육 시스템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t=3.145, p=.000***으로 가설[2-2]은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채택되었다.

    창업 멘토링 교육 멘토 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t=1.001, p=.624로 가설[2-3]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기각되었다.

    V. 결론 및 시사점

       5.1 연구요약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창업 멘토링 교육이 창업 교육에 성과와 질을 향상하는 교육 콘텐츠로서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요인 중에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은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에서 세부항목으로 설정된 창업 준비상황 점검, 교육생 간 네트워크 형성, 창업 아이템 타당성 검토, 사업계획서 작성 Skill, 개인별 맞춤형 난이도의 모든 항목이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를 높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 중에 창업 멘토링 교육 시스템은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세부항목으로 설정된 이론강의와 멘토링 교육의 연계 시스템, 그룹 멘토링 교육 시스템, 단기적·집중적 멘토링 교육 시스템, 단계별 멘토링 교육 시스템이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와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 번째,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 중에 멘토 역량이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 말해 창업 멘토링 교육에서 멘토의 역량, 즉 멘토의 전문성, 멘토의 교육 스킬, 멘토의 준비성 등의 요인이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네 번째,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요인 중에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은 창업의지를 높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에서 세부항목으로 설정된 창업 준비상황 점검, 교육생 간 네트워크 형성, 창업 아이템 타당성 검토, 사업계획서 작성 Skill, 개인별 맞춤형 난이도의 모든 항목이 창업의지를 높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 번째,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 중에 창업 멘토링 교육 시스템은 창업의지를 높여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세부항목으로 설정된 이론강의와 멘토링 교육의 연계 시스템, 그룹 멘토링 교육 시스템, 단기적·집중적 멘토링 교육 시스템, 단계별 멘토링 교육 시스템이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 번째,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 중에 멘토 역량이 창업 의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 말해 창업 멘토링 교육에서 멘토의 역량, 즉 멘토의 전문성, 멘토의 교육 스킬, 멘토의 준비성 등의 요인은 창업의지에 유의미 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5.2 연구결과 및 시사점

    5.2.1 이론적 함의

    본 연구는 증가하는 창업의 수요에 따른 체계적이고 실무적인 창업 교육 콘텐츠의 필요성과 창업 교육 전문 인력의 확보가 요구 되는 현실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의 요인들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창업 교육 프로그램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만들려고 시도하고 그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 교육을 창업 아이디어 단계부터 실질적으로 창업을 시작하는 전 단계까지에서 필요한 ‘창업 준비 멘토링 교육’과 창업을 시작한 이후 성공적인 창업을 하기 위한 멘토링 교육인 ‘창업 성공 멘토링 교육’의 두 가지로 분류하고, 그 중에서 창업 교육 프로그램에서 활용하기 적합한 ‘창업 준비 멘토링 교육’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창업 준비 멘토링 교육’의 일반적인 모델로 인천 JST 창업 교육에서 실시하는 창업 멘토링 교육을 설정하여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을 분석한 결과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 창업 멘토링 교육 시스템, 창업 멘토링 교육 멘토역량의 3가지로 구분하였고, 이러한 독립 변수들이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한 결과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 중에 콘텐츠 특성과 멘토역량은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창업 멘토링 교육 시스템은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 중에 콘텐츠 특성과 시스템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창업 멘토링 교육 멘토 역량은 창업 의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2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의 3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 중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 시스템이 창업멘토링 교육 만족도에 유의미한 결과을 주지 못한다는 것은 창업 멘토링 교육에서 중요한 것이 시스템 보다는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과 멘토 역량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을 보면 창업 멘토링 교육에서는 창업의 준비상태 점검, 창업 아이템 타당성 분석, 사업계획서 작성, 교육생간의 네트워크 형성, 교육생 수준에 맞는 멘토링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창업 준비 멘토링’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는 예비창업자의 창업 아이템 타당성 분석과 사업계획서 작성이라고 할 수 있다. 창업 교육 이론강의에서는 교육생 개개인의 수준과 상황을 구분하여 창업 아이템 타당성 분석이나 사업계획서 작성을 지도해 줄 수가 없다. JST창업 멘토링 교육의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교육생이 멘토를 통해 본인에 수준과 상황에 맞게 아이템 타당성 분석과 사업계획서 작성을 지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확보가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를 높여준다는 본 연구 결과에 기인하여 본 연구는 앞으로 국내의 창업 멘토링 교육의 운영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창업 멘토링 교육에서 멘토 역량의 중요성이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창업 멘토링 교육의 멘토 역량은 전문성, 교육 Skill, 준비성 측면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준비 멘토링 교육’에서 멘토는 반드시 실무적 경험이 풍부한 성공 창업가 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창업 준비 멘토링 교육’에서 멘토는 실무적인 경험도 중요하지만 사업계획서 작성 등의 이론적 지식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또한 그룹 멘토링의 리더로써 조직을 잘 이끌어나가고 멘티의 자각과 책임의식을 유발시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게 하는 코칭리더쉽 등의 교육 스킬과 멘토링의 단계별 프로세스를 숙지하여 사전에 준비하는 준비성이 중요하다.

    현재 ‘창업 성공 멘토링 교육’에서는 성공한 선배 창업가 또는 이론적 지식이 풍부한 창업 교육 전문가로 멘토를 구성한다. 하지만 ‘창업 준비 멘토링 교육’에서는 창업의 경험과 창업의 이론적 지식, 그리고 창업 교육의 전문적 스킬을 모두 가지고 있는 멘토가 적합하다. 이는 국내의 창업대학원에서 이론적 지식과 창업 교육의 전문적 스킬을 획득하고 창업의 경험이 있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천 JST 창업교육에 참여한 멘토들 역시 중앙대학교 창업대학원 출신의 창업 경험이 있는 전문 인력으로 구성되었고, 이로 인해 멘티에게 높은 창업 멘토링 교육 만족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부족한 ‘창업 준비 멘토링 교육’의 멘토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창업대학원 등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한 창업 멘토를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세 번째,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 중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 멘토 역량이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결과를 주지 못한다는 것은 창업 멘토링 교육에서 멘토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도 창업 의지는 낮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멘토 역량이 높아 창업 멘토링 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고 하더라도 멘티는 멘토를 롤모델로 생각해서 멘토에 비해 부족한 자신의 상황을 깨닫고 창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멘토링 과정에서 창업을 포기하는 멘티들도 다수 발생되지만 이들은 자신의 준비 안 된 창업에 대해 조언해 준 멘토에게 고마움을 표현한다.

    국내의 대다수의 창업 교육 기관에서는 교육성과 지표로 수료생들의 창업률을 주요 항목으로 선정한다. 때문에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성과 달성을 위해 마치 총 쏘는 법만 알려주고 전장에 투입시키는 학도병처럼 준비 안 된 예비창업자에게 기본적인 창업 이론 교육만을 이수시키고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으로 창업을 유도한다. 이는 예비창업자가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창업률을 높일 수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중요한 창업 성공률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한다. 하지만 예비창업자에게 중요한 것은 창업의 시작이 아니라 창업의 성공이며, 창업 성공률이 높아질수록 개인 뿐 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창업 멘토링 교육은 창업률과 창업의지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멘티의 성공적인 창업과 전체 창업 성공율을 높이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 교육에 대한 요인은 콘텐츠 특성, 시스템, 멘토 역량 이외의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지 못하고 각 요인의 세부항목 역시 다양하게 조사하지 못했으며, 인천 JST 창업교육을 바탕으로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다른 교육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는 창업 멘토링 교육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를 수행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향후 창업멘토링 교육에 대한 다양한 요인분석 및 대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망된다고 하겠다.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그로 인한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해, 그리고 청년 실업 문제와 베이비부머의 퇴직으로 인해 창업 교육은 앞으로 꾸준히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올바른 창업 교육은 예비창업자를 창업 시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성공 창업의 길로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현재 국내 창업 멘토링 교육은 교육의 체계성과 멘토의 수요가 부족한 현실이며, 이를 타계하기 위해서는 창업대학원 등의 학계와 창업교육 기관, 산업체, 정부 및 지자체 간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창업 멘토링 교육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콘텐츠개발과 역량 있는 창업 멘토의 육성은 국내 창업 교육의 경쟁력 강화와 예비창업자들에게 창업의 꿈을 현실로 만들어주기 위한 필수 조건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 1. Allen T. D., Poteet M. L. (1999) Relationship Effectiveness for Mentor [Journal of Management] Vol.29 P.469-486 google cross ref
  • 2. Astin A. (1993) What Ma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google
  • 3. Choi J. I., Yang Y. S (2012) Entrepreneurhsip Education Program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7 P.125-134 google
  • 4. Hwangbo Y., Yang Y. S. (2012) The Study of foundation that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7 P.113-123 google
  • 5. Jerome Katz, Gartner W. B. (1988) Properties of Emerging Organizati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3 P.429-441 google
  • 6. Kim H.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Facror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r] Vol.7 P.263-271 google
  • 7. Kim J. S., Lee. W. J., Kim Y. T. (2013)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Vol.28 P.105-131 google
  • 8. Klauss R., Roche G. R. (1981) Formalized Mentor Relationships for Management and Development Program in Federal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11 P.489-496 google cross ref
  • 9. Krueger N. F., Carsrud A. L. (1993) Entrepreneurial intentions: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Vol.5 P.315-330 google cross ref
  • 10. Park J. W, Kim. Y. T. (2009) An Empirical Study of Effect and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22 P.959-977 google
  • 11. Ritchie A., Genoni P. (1999) Mentoring in professional association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librarians. [Health Libraries Review] Vol.16 P.216-225 google cross ref
  • 12. Shapero A. (1984) The entrepreneurial event, in C. A. Kent, in the Environment for Entrepreneurship P.21-40 google
  • 13. Sosik J. J., Lee D. L. (2002) Mentoring in Organizations: A Social Judgement Perspective for Developing Tomorrow‘s Leader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Vol.8 P.17-32 google cross ref
  • 14. Zachary L. J. (2000) “The Mentor’s Guide”, Facilitating Effective Learning Relationships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 그림1 > ]  연구모형
    연구모형
  • [ <표 1> ]  연구대상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 일반적 특성
  • [ <표 2> ]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 [ <표 3> ]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멘토링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멘토링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 <표 4> ]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