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관계 Relationship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관계

This study 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sets the study subject as people aged 65 and over who live in the metropolitan area as of 2013, and selects a sample of 472 people by using the sampling method. Validity and reliability have been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Reliability coefficien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standard value of 0.60. For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WIN 20.0 programs th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study have drew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depending on experiences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the elderly. That is, a participation group more has the evaluative and emotional support than a non-participation group. Second, a participation group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has more vitality factors than a non-participation group and has less non-vitality factors.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in death anxiety depending on experiences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the elderly. Fourth, a level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the elderly the higher intensity gives more evaluative, material, and emotional support, and the longer duration gives more emotional support. Fifth, a level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the elderly, higher intensity has more vitality factors, and the longer duration and higher intensity has less non-vitality factors. Sixth, a level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the elderly more participation has less loss of existence anxiety and more participation has less dying process anxiety. Seventh, a level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the ecderly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death anxiety, but through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t shows a relationship affecting on death anxiety.

KEYWORD
leisure sports activities , social support , depression death anxiety elderly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고령화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18년에는 14.3%, 2026년에는 20.8%에 도달하며, 2030년에는 23.1%로 급증하여 초고령 사회(super aged society)에 들어설 것으로 추정되며 2030년에는 성인 3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1). 고령화는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율 증가로 인한 전반적 평균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나타나는 사회현상을 의미하는데 인구의 고령화는 여러 가지 노인문제를 유발하고 있으며, 정부나 관계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노인이 경험하게 되는 건강, 경제, 여가 등의 노인문제들 중 전통적 가족체계의 붕괴로부터 발생되는 고독감, 소외감, 우울감과 같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자살률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노인문제는 노인이 생애주기에 관계없이 본능적으로 추구하려는 삶의 질과 노인이 불가피하게 영위해야 하는 여가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접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며(이성철, 1996), 노인의 여가활동은 삶의 질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 원인은 노인이 사회경제적 역할로부터 이탈하여 불가피성의 여가를 무료하게 영위하고 있는 현실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노인의 여가는 자유 재량적 시간이나 인지된 자유도의 개념으로서의 여가가 아닌 공식적인 역할을 부여받지 못한 채 소비해야 하는 만성적 무료함의 시간을 의미한다. 즉 사회경제적 역할 상실과 더불어 생리적·심리적 문제가 보다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노인에 있어서 여가는 노인의 현실적 욕구는 물론, 잠재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이자 도구로 인식된다. 특히 노인의 여가활동 중 여가스포츠 활동은 노인문제를 예방하고 성공적 노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활동으로 밝혀지고 있다(김경식, 2003; 이양출, 최미리, 2012; 이은석, 2010; Paffenbarger, 1986). 즉,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은 성공적 노화의 중요한 조건이 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유지 및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지지는 노인이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과정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 및 사회적 관계를 통해 획득하게 되는 자원으로서, 정서적, 정보적, 사교적, 도구적 지원 등을 의미한다. 노년기에는 은퇴이후에 타인과의 상호작용할 기회가 감소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망이 축소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자연적으로 타인으로부터 얻게 되는 사회적 지지가 감소되는 결과로 귀착 될 수밖에 없다.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은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사람들 간의 사회적 관계를 촉진시켜 주고, 이들로부터 얻게 되는 사회적 지지를 확대시켜 긍정적 감정을 갖게 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은 사회적 지지 이외에도 우울감의 감소(이은석, 2010)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데 오늘날 핵가족화로 인하여 노인은 과거에 비해 자녀나 젊은이들과 대화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노인은 혼자서 보내야 하는 시간이 많으며, 특히, 배우자가 없을 때에는 더 큰 우울감을 경험하게 된다(김형석, 신인숙, 2003; 문병일, 2007). 노인의 우울감은 사회적 고립, 약물 및 알콜에 대한 의존성증가, 생활만족 및 사기저하 등을 초래하며, 노년기 삶의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심지어 자살에 이르게 하는 원인까지 작용한다(이은석, 이선장, 2009; Coren & Hewitt, 1999; Lange, 2003). 노인의 우울증은 불안, 초조, 수면장애, 식욕 및 체중감소, 신체적 증상의 호소, 집중력과 기억력 장애 등을 먼저 호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정현애, 2008). 노인들의 80%이상은 약한 우울 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약 37%는 심각한 우울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현순, 김병석, 2007; 이연숙, 2008).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 지지 및 우울감의 관계는 체육학 분야에서 비교적 다양하게 접근되어 왔다. 김경식(2003)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이 노년기의 발생하는 무력감을 감소시키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적 지지 확대에 기여한다고 보고함으로서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 지지의 관련성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김귀봉, 김영수, 박주영(2002)은 노인들의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고독감과 우울감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함으로써 본 논제의 타당성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또한 이경선(2005)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가 사회적지지의 확대와 고독감의 감소를 통하여 사회관계망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밖에도 여러 선행연구(김설향, 1996; 윤상영, 2007; 이상구, 1998; 이연숙; 2008)들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지지 및 우울감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우울감과 고독감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외에 대부분의 노인들의 심리적 근원에는 죽음불안이 관련되어 있는데, 죽음은 삶의 일부분으로서 누구나 피할 수 없이 경험하게 되는 의식 중의 하나이다. 죽음에 관한 관심과 인식을 가져야함에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죽음을 회피하고 죽음이란 단어조차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노년기의 여가스포츠 활동은 이러한 죽음불안을 해소하는데 적절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죽음불안의 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체육학 분야에서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다만 노인의 건강상태와 죽음불안의 관계를 통해 여가스포츠 활동과의 관계를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하여 최금주(2009)는 건강한 노인이 건강하지 못한 노인보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불안이 낮다고 주장하였다. 건강정도는 노인문제 중에 중요한 하나의 문제로서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에 의해 향상 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노인이 여가스포츠 활동과 같은 능동적, 적극적 활동을 통해 건강정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은 건강문제를 포함한 여가문제, 고독감 및 소외감문제를 해소하는 데에도 중요하게 기여한다는 것이다. 여가스포츠 활동이 노인의 건강정도를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죽음불안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정은 논리적으로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여가스포츠 활동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서를 안정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 참가를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교제함으로써 우울감과 죽음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북미 선진국의 경우,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치료 레크리에이션적인 접근을 통하여 노인의 자살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Heitmann, 1984; Kelly, 1983). 즉,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을 통해 사회적 지지망을 제공함으로써 우울증상이나 자살사고 발생이 즉각적으로 치료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이은석, 2010; Aizen, 1992; Farrell & Lundegre, 1991).

    노인의 삶의 질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노년 사회학자들은 노인의 생활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성공적 노화이론을 검증하고 노인의 삶의 질적 향상에 관하여 여가스포츠와 같은 노인의 신체활동과 관련하여 꾸준히 연구하여 왔다. 또한 노인에게 있어서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도 신체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는 노인의 사회심리적인 효과를 파생시켜 궁극적으로 노인의 대인관계 형성을 통한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키고 우울감 및 죽음불안 감소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는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여가스포츠 활동, 사회적 지지, 우울감을 개별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이들 변수들을 함께 고려한 통합적인 연구모형 구축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또한 체육학 영역에서는 노인의 죽음불안관련 연구가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체육학지식체 형성에 기여함은 물론, 노인체육활성화 및 노인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구체적으로 노인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여가스포츠 활동경험인 운동참가자와 운동 비참가자에 따른 사회적 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차이를 분석한 다음,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정도인 빈도, 기간, 강도가 사회적 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여가스포츠 활동변인을 고려한 죽음불안에 관련된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3년 서울과 경기 수도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연구목적을 이해하며 설문지 참여를 수락한 노인들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5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구체적인 표본추출 과정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노인대학, 노인복지회관, 노인 요양원, 노인 체육동호인, 경로당을 토대로 하여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의 사례수를 고려하여 서울 325명 경기 175명 총 500명 중에서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와 극단치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총 472명이었다. <표 1. 참조>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label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여가스포츠 활동, 사회적 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으로 구성하였다.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 연령, 학력, 수입, 배우자 유무, 직업, 본인의 건강정도, 종교의 8문항으로 질문하였다.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는 노인들이 스포츠 및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1회 이상 참가하는 경우를 말한다. 여가스포츠 활동경험은 스포츠 및 신체활동 참가 유무로서 ‘전혀 하지 않는다(1점)에서 ‘매일 한다‘(5점)까지 6단계로 측정하였다. 참가정도는 참가 빈도, 기간, 강도 등으로 측정하였으며 참가종목은 총 21개의 항목으로 측정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에 의해 개발되고 윤상영(2007)에 의해 사용된 설문지로서 정서적 지지 10문항, 물질적 지지 10문항, 평가적 지지 5문항으로 총 2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요인분석을 통하여 총 18개의 문항으로 축소하였다. 측정단위는‘매우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Likert 척도로 구성 되었고, 우울감의 측정도구는 기백석과 이철원(1996)이 개발하고 손덕순(2005)에 의해 사용된 설문지로서 본 연구의 성격에 맞게 재구성하여 하위요인인 비활력요인과 활력요인의 총 11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척도는‘매우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단계로 측정하였다.

    죽음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Collet & Lester(1969)가 제작한 FODS(Fear of Death Scale)를 서혜경(1987)이 번안하고 이영순(2010)등에 의해 사용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죽음불안은 존재상실불안, 죽음과정의 불안, 사후결과의 불안의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나, 본연구에서는 총12개의 문항으로 축소하였다. 설문지는‘매우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단계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3.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최종적인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다음 <표 2> ,<표 3>, <표 4>와 같다.

    [표 2 .] 사회적 지지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label

    사회적 지지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표 3.] 우울감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label

    우울감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표 4.] 죽음불안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label

    죽음불안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표 2>에 의하면 사회적 지지는 모두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는데 요인 1은 평가적 지지, 요인 2는 물질적지지, 요인3은 정서적 지지로 명명하였고 설명력은 총64.9%로 신뢰도는 .847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3>에 의하면 우울감은 모두 2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는데 요인 1은 활력요인, 요인 2는 비활력요인으로 명명하였고 설명력은 총 55.1%로 나타났고 신뢰도는 .736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4>에 의하면 죽음불안은 모두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는데 요인 1은 사후결과 불안, 요인 2는 존재상실불안 요인 3은 죽음과정 불은으로 명명하였고 설명력은 총68.3%로 신뢰도는 .823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관계에 대한 설문지를 노인 여가스포츠 활동 동호회 및 노인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만65세 이상 노인 500명에게 배부한 후 자기평가기입법과 면접법으로 설문내용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응답한 설문지는 직접 회수한 후, 응답내용이 성실하지 못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SPSSWIN 20.0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여가스포츠 활동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 우울감, 죽음불안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t검정, 여가스포츠 활동정도에 따른 사회적 지지, 우울감, 죽음불안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였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의 통계기법이 사용되었다.

    Ⅲ. 연구 결과

       1.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경험과 사회적 지지

    <표 5>는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t검정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5.]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label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표 5>에 의하면,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집단(M=3.323, 3.316)은 비참가 집단(M=3.181, 3.027)보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평가적 지지, 정서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이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를 통하여 다양한 사회적 지지를 획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5%, 1%수준에서 유의하다.

       2.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 경험과 우울감

    <표 6>는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우울감의 차이에 대한 t검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6.]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우울감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label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우울감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표 6>에 의하면,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집단(M=3.312)은 비참가 집단(M=3.130)보다 우울감의 하위요인인 활력요인이 높은 반면에, 비활력요인에서는 참가집단(M=3.028)이 비참가집단(M=2.785)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각각 1%, 0.1%수준에서 차이가 있으며, 노인들이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를 통하여 노인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3.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경험과 죽음불안

    <표 7>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에 대한 t검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7.]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label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표 7>에 의하면,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집단(M=3.031)은 여가스포츠 활동 비참가집단(M=3.071)보다 사후결과불안, 존재상실불안, 죽음과정불안에서 높지만,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회귀분석에 투입된 변수간의 상관관계

    <표 8>은 회귀분석에 투입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가스포츠활동 정도, 사회적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귀분석시에는 상관계수 .70이상을 초과하는 변수가 없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해소되었다.

    [표 8.] 상관관계 분석 결과

    label

    상관관계 분석 결과

       5.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와 사회적 지지

    <표 9>는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에 따른 평가적 지지, 물질적지지, 정서적 지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9.]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label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표 9>에 의하면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인 참가강도, 참가기간, 참가빈도 가운데 참가강도(β=.113)는 평가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가강도(β=.189)는 물질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가기간(β=2,256)과 참가강도(β=3.395)는 정서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에 투입된 3개의 독립변인은 평가적 지지는 전체 변량의 5.4%, 물질적 지지는 전체변량의 6.4%, 정서적 지지는 전체변량의 8.3%를 설명해주고 있다.

       6.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와 우울감

    <표 10>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활력요인, 비활력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10.]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label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표 10>에 의하면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인 참가강도, 참가기간, 참가빈도 가운데 참가강도(β=.143)는 활력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가기간(β=-.144), 참가강도(β=-.138)는 비활력 요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에 투입된 3개의 독립변인은 활력요인은 전체 변량의 5.1%, 비활력요인은 전체변량의 7.8%를 설명하고 있다.

       7.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와 죽음불안

    <표 11>에 의하면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인 참가강도, 참가기간, 참가빈도는 사후결과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가빈도는 존재상실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가강도는 죽음과정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에 투입된 3개의 독립변인은 사후결과불안은 전체 변량의 2..1%, 존재상실불안은 전체 변량의 4.2%, 죽음과정불안은 전체 변량의 3.3%를 설명하고 있다.

    [표 11.]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label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8.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와 사회적 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인과적 관계

    <표 12>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가 사회적 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12.]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사회적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label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사회적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표 12>에 의하면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인 참가빈도, 참가강도, 참가기간과 사회적 지지, 우울감의 하위요인인 활력요인과 비활력요인 중에서 비활력요인만이 죽음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우울감의 활력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간과 강도는 우울감의 비활력요인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설명력은 사회적지지, 우울감의 활력요인과 비활력요인, 죽음불안의 전체변량의 각 8.7%, 22.8%, 8.1%, 11.7%를 나타내었다. 다음은 위의 경로분석 결과를 경로모형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1>에 의하면 여가스포츠 활동 기간과 강도는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을 통하여 죽음불안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정도와 죽음불안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1. 논의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의 차이를 분석한 후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가 사회적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신체적으로 노화되고 심리적으로 고독감과 소외감이 증가하게 되는 노년기의 노인들이 사회활동에 참여하게 되고 상호작용을 통하여 노인들이 필요한 심리적 안정과 만족과 같은 긍정적인 지원을 받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는 성공적 노화의 중요요소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노인의 여가 스포츠 활동은 노인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활동으로서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러 선행연구들에게서 보고된바 있는데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분석결과, 첫째,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노인은 비참가노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평가적지지, 정서적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노인들이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가하지 않는 노인들에 비해 여가스포츠 활동을 통해 대인관계를 맺고 더욱 많은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추론된다. 이는 여가스포츠에 참가하는 노인들이 비참가 노인들에 비해 더욱 활발한 인간관계를 통하여 개인적인 문제해결에 도움을 받고 칭찬과 격려, 용기, 사회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정보나 조언, 금전적인 도움이나 개인적인 문제해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인적자원을 비참가 노인들에 비해 보다 많이 확보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며, 참가집단이 비참가 집단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높으며 여가스포츠 활동 경험이 사회적 지지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한 이경선(2005)김경식(2003)의 연구결과와 맥락을 함께한다. 여가스포츠 활동에 규칙적으로 빈번하게 참가하게 되면 사회적 지지관계가 높아지기 때문에 노년기에는 더욱 적극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하여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관계를 강화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노인들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과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서는 노인 여가스포츠 활동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야하며 노인들의 적극적인 여가스포츠 참여는 우울감과 같은 노인의 심리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경험에 따른 우울감의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 여가스포츠 참가 노인은 비참가 노인보다 우울감의 하위요인인 활력요인이 높고 비활력 요인에서는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여가 스포츠 활동참여가 노인들의 정서순화, 스트레스 및 불안해소, 우울감 감소 및 심리적인 안정에 효과적인 수단임을 의미한다. 셋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경험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경험에 따른 죽음 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죽음이라는 요인이 여가스포츠 활동에 의해 해소될 수 있는 영역은 아님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보다는 종교나 영적인 부분에 여하는 바가 더 크므로 죽음불안의 감정을 인생의 하나의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개인 스스로가 겪고 해소해야하는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죽음불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최금주(2009)는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는 유의미한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하는 경우에 비해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인식하는 경우에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불안 전체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노인이 자신의 건강아 좋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죽음에 대한 불안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선행연구를 포함한 대다수의 연구들은 노인의 죽음불안 연구를 뒷받침해주고는 있으나 대부분여가활동의 변인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죽음불안 연구는 여러 학문분야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추세이나 현재 체육학 분야의 연구영역에서는 여가스포츠 활동과 관련된 죽음불안 연구는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앞으로 여가스포츠 활동과 관련된 죽음불안의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강도는 평가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강도와 참가기간은 정서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의 여가스포츠 활동의 강도가 높고 여가스포츠 활동 기간이 길수록 평가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강도는 활력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 중 참가강도와 참가기간은 비활력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에게 여가스포츠 활동의 참여 기회가 제공될 경우 우울감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참가정도를 고려하여 구성하고 제공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정적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보다동적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이 사회적응도, 삶의 만족도가 높고 우울감이 낮다는 손덕순(2005)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여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정도는 사후결과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 중 참가빈도는 존재상실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 중 참가강도는 죽음과정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신체기능이 약화되고, 주위사람들의 죽음을 접하게 되면서 죽음불안을 겪게 되는데 이는 정서적 긴장을 유발하며 더 나아가 노년기 삶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Lonetto와 Templer(1986)의 연구결과는 이를 부분적으로 뒷받침한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이 여가스포츠 활동에 자주 참가하게 될수록 그리고 더 활력적으로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게 될수록 노년기의 최대과제하고 할 수 있는 존재상실불안과 죽음과정불안이 감소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일곱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는 사회적 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데 여가스포츠 활동 기간과 강도는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을 통하여 죽음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와 죽음불안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이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를 통해 타인과의 사회적 지지를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하게 되고 노년기에 빈번히 발생하는 우울감을 감소시킴으로서 죽음불안을 해소하는 사회 심리적 매카니즘을 보여주고 있다. 즉, 여가스포츠 활동은 사회적 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적, 누적적 인과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은 사회적 지지의 확대와 우울감의 감소를 통하여 죽음불안 해소에 기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결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도출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경험에 따라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있다. 즉, 여가스포츠활동 참가 노인이 비참가 노인보다 평가적지지, 정서적 지지를 더 많이 받는다. 둘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경험에 따라 우울감은 차이가 있다. 즉,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보다 활력요인이 높은 반면, 비활력요인은 낮다. 셋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경험에 따라 죽음불안은 차이가 없다. 즉,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노인이 비참가노인보다 죽음불안은 낮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다. 넷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는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정도 중 참가강도가 높을수록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 정서적 지지를 많이 받고, 참가기간이 길수록 정서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정도는 우울감에 영향을 미친다.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 중 참가강도가 높을수록 활력요인이 높으며, 참가기간과 참가강도가 높을수록 비활력 요인은 낮다. 여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는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즉,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 중 참가빈도가 높을수록 존재상실불안은 낮으며 참가강도가 높을수록 죽음과정불안은 낮다. 일곱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는 사회적 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활동 기간과 강도는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을 통하여 죽음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와 죽음불안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 1. 기 백석, 이 철원 (1996)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Vol.35 P.298-307 google
  • 2. 김 경식 (2003)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무력감, 사회 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17 P.17-31 google
  • 3. 김 귀봉, 김 영수, 박 주영 (2002) 노인의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고독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6 P.177-186 google
  • 4. 김 설향 (1996) 신체활동이 고령자의 우울 및 불만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2 P.129-138 google
  • 5. 김 현순, 김 병석 (2007)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심리학회지] Vol.19 P.801-818 google
  • 6. 김 형석, 신 인숙 (2003) 여성의 신체적 여가활동참가가 사회적 문제해결력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Vol.42 P.447-455 google
  • 7. 문 병일 (2007) 노인여성의 율동적 운동참여가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Vol.18 P.167-176 google
  • 8. 박 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google
  • 9. 서 혜경 (1987) 한미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Vol.7 P.39-48 google
  • 10. 손 덕순 (2005) 노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에 관한 연구. google
  • 11. 윤 상영 (2007)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가 사회적 지지, 운동만족 및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2. 이 경선 (2005)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 google
  • 13. 이 상구 (1998)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Vol.37 P.160-174 google
  • 14. 이 성철 (1996) 노인의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google
  • 15. 이 연숙 (2008)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증의 관계. [한국스포츠 사회학회지] Vol.21 P.313-364 google
  • 16. 이 영순 (2010) 노인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google
  • 17. 이 은석 (2010) 현대사회 노인의 자살행동과 관련한 여가활동의 완충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2 P.35-54 google
  • 18. 이 은석, 이 선장 (2009) 농촌지역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신체적 여가활동의 완충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P.35-54 google
  • 19. 정 현애 (2008) 노인 우울증의 중재방안에 대한 문헌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2 P.59-67 google
  • 20. 최 금주 (2009) 노인의 영적웰빙이 자아통합과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1. 최 미리, 이 양출 (2012)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에 따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체육학회지.] Vol.51 P.75-90 google
  • 22. (2011) 고령자통계. 사회통계자료. google
  • 23. Aizen I., Driver B. (1992.) Planned behavior and leisure choic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4 P.270-224 google
  • 24. Collet L. J., Lester D. (1969) The fear of death and the fear of dying.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72 P.179-181 google cross ref
  • 25. Coren S., Hewitt P. L. (1999) Sex differences in elderly suicide rate, some predictive factors Vol.3 P.112-118 google
  • 26. Farrel P., Lundegren H. M. (1991) The process of recreation programming, theory and technique. google
  • 27. Heitmann H, M. (1984) Motive of older adults for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B. D. Mc Pherson. Sport and aging. P.199-204 google
  • 28. Lange H. R. (2003) elder suicide, a selective guide to resources. [Reference Services Review] Vol.31 P.175-184 google cross ref
  • 29. Lonetto R., Templer D. I. (1986) Death Anxiety. google
  • 30. Paffenbarger R. S., Hyde R. T., Wing A. L., Hsieh C. C. (1086) Physical activity, all cause mortality, and longevity of college alumni. [New England Journal of Leisure Sciences] Vol.7 P.47-6 google
  • 31. Kelly J. R. (1983) Leisure identities and interaction.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 표 2 . ]  사회적 지지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 [ 표 3. ]  우울감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우울감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 [ 표 4. ]  죽음불안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죽음불안 설문지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 [ 표 5. ]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 [ 표 6. ]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우울감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우울감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 [ 표 7. ]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 [ 표 8. ]  상관관계 분석 결과
    상관관계 분석 결과
  • [ 표 9. ]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 [ 표 10. ]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 [ 표 11. ]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 [ 표 12. ]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사회적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가 사회적지지, 우울감,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 [ <그림1> ]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와 사회적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에 관한 경로모형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정도와 사회적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에 관한 경로모형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