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청년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지원 요인에 관한 연구 Impact of Youth Start-Up Business Incubating System On the Start-Up Business Performance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청년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지원 요인에 관한 연구

This aims to study impact of the youth start-up business incubating system by government’s or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center on start-up business performance. This focus on Youth Start-Up Business Support Program operat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and explore practical alternatives.

In this study, young entrepreneurs are defined as those who are aged between 20 and 40, and start-up is defined as an act by such entrepreneur that establishes an organization or system that produces any goods or services selected as business idea by utilizing capital in order to create profit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ale of capital in initial stage by young entrepreneur graduating from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obtained intellectual properties before moving into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start-up activity support fund for young entrepreneur in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promotion and territorial cultivation support activities for young entrepreneur in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collaboration support among member firms for young entrepreneur in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overall satisfaction on start-up business support program for young entrepreneur in Start-Up Business Support Center an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by young entrepreneurs.

The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t provides a basic data on policy support strategies by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that facilitate young entrepreneurs to achieve start-up business goals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young entrepreneurs. In addition, the study offers an effective direction for young entrepreneurs in a way that promotes the start-up performance by young entrepreneurs, which expects to contribute to core factors of new employment opportunity creation as well as national and local economies, so that the author expects the study to play a role of raising the necessity of start-up business support for young entrepreneurs.

KEYWORD
청년창업가 , 창업보육센터 , 청년창업보육센터 , 창업성과
  • Ⅰ. 서론

    최근 각국 정부는 세계적인 경기침체를 경험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경기부양책을 시행하여 민간소비와 교역량의 부분적인 회복세를 거두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층의 고용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청년 실업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최우선 정책과제는 ‘청년 일자리 창출’이며 이를 위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청년창업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창업 지원을 일자리 창출의 대안으로 두고 있는 이유는 창업은 효과적인 고용창출의 수단 중 하나로, 초기기업의 활발한 창업활동은 신규고용창출의 핵심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창업은 산업적 관계를 개선시키고, 경쟁과 혁신을 통해 국가 경제발전에 공헌한다(Gartner, 1989).

    창업을 권장하는 풍토 속에서 창업시도가 늘어나는 만큼 창업의 실패사례로 적지 않은데, 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인 중 하나가 창업 준비부족이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창업보육 사업은 청년들의 창업 준비부족을 해결하는데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Kim, 2011).

    본 연구에서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창업보육 사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청년 창업보육센터의 지원 서비스 요인들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청년창업지원센터의 청년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상관관계 분석, 가설 검증은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SPSS 18.0K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창업공간 무상제공, 창업활동지원금 월별지급, 청년창업가 모니터링 지원(창업멘토링, 창업교육, 창업코칭), 전문분야 컨설팅 지원, 홍보 및 판로개척 지원, 입주사간 협업지원이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 창업지원 사업이 진행되는데,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공률 제고가 국가적 사안인 만큼 본 연구는 충분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청년창업을 통한 고용의 창출 및 실업률 감소의 경제적 기대치가 증대되면서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그 중요성에 따라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공공기관의 가치 실현에 논리적인 지침을 제시해 줄 것이다.

    본 연구의 차별성은 기존연구에서는 개별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던 청년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요인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는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2.1 청년창업가

    선행연구들에서 창업(創業)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Schumpeter(1934)는 창업이란 새롭고 보다 나은 일처리 방법의 창출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을 파괴하는 창조적 파괴의 힘이라고 하였다.

    Vesper(1989)는 자원, 노동, 재료 그리고 자산을 결합시켜 이전 보다 가치 있는 조직으로 변화시킴으로서 현재보다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해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Park(2004)은 그의 저서 「창업학」에서 창업은 창업자가 이익을 얻기 위하여 자본을 이용하여 사업아이디어에서 설정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조직 또는 시스템을 설립하는 행위라고 정의하였다.

    Timmons & Spinelli(2009)는 새로운 비즈니스 창업의 성공에는 기회(opportunity), 기업가(뛰어난 관리팀), 그리고 회사를 시작하고 성장시키는 데 필요한 자원(resources) 등 세 가지 요소가 매우 중요하다고 한다. 이 model을 통해 Timmons는 창업이란 창업팀, 자원, 기회인식이라는 창업요소를 통해 무에서 유를 창조해 나가는 인간의 가치 창조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들에서 본 연구의 청년창업가의 특성을 비추어 보면, 청년창업에서의 창업의 정의는 Park(2004)의 창업 정의를 적용하기로 한다.

    또한 청년창업의 청년에 대한 정의는 만20세 이상 만40대 미만의 연령대에 해당하는 사람들로 규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규정한 이유는 한국의 현실에서 볼 때, 창업 등의 경제 활동이 가능한 최소 연령이 만20세이며, 정부 등의 청년 창업지원사업의 상한연령이 만40세 미만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Moon & Hwangbo,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청년창업가는 ‘이익을 얻기 위하여 자본을 이용하여 사업아이디어에서 설정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조직 또는 시스템을 설립하는 행위를 하는 20~30대 연령대의 사람’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2.2 창업보육센터

    창업은 많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시장기능 속에서 기대만큼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국가는 다양한 유인을 제공하는 등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유인 중의 하나로 전통적으로 그 효과성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 창업보육(Business Incubation) 시스템이다(Kim et al., 2010).

    창업보육센터는 배태조직으로서 새로운 사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적절하고 통제된 조건인 각종 지원 서비스를 보유한 시설이라 정의된다(Smilor, 1987)

    1950년대 미국에서 처음 도입된 창업보육 시스템은 경제발전을 촉진하는 유용한 수단의 하나로 인식되면서 여타 국가로 널리 확산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창업보육 기능의 개념도 꾸준히 발전해왔다. 당초 창업보육 기능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즉, 창업자에게 신규기업의 보육장소를 제공하여 쇠락하는 지역경제의 재생을 도모하는 창업지원방안의 하나로 구상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의 산업기반 다변화와 고용창출을 도모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 창업보육 기능은 혁신적인 기업이나 신기술기반 기업들의 창업을 촉진시킴으로써 지역경제는 물론 국가경제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1980년대에 창업보육의 기능이 대학이나 공공 연구기관과 결합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또한 1990년대 들어와서는 산업집적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생명공학, 정보기술, 환경기술 등과 같은 분야를 중심으로 특정산업 및 기술의 집적을 위한 수단으로도 보육기능이 활용 되고 있다(OECD, 1997).

    창업보육의 주요 목적은 이처럼 꾸준히 발전해 왔으나 근본 개념은 기업발전단계상 가장 취약한 시기인 창업 전후단계의 기업에게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여 보육 이후 기업 스스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기업의 생존율과 성장률을 높이는 것이다.

    창업보육센터의 주요서비스는 입주기업들에게 필요한 물리적 설비 지원에서부터 다양한 경영 지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으로 구성되고 있다.

    Lichtenstein et al.(2004)은 성공적인 창업보육센터 요인으로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역할을 강조하고, 성공적인 지원 서비스들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면서 입주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원과 제약조건을 토대로 입주기업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Lee & Choi(2001)Yang et al.(2002), Choi & Jeong(2006)의 연구를 종합하여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공 영향 지원 서비스는 <표 1>과 같이 물리적 설비 지원 서비스, 마케팅 서비스, 인적자원-법률지원 서비스, 자금지원 서비스, 기술 및 생산관리 서비스, 네트워킹 서비스로 정리되어진다.

    [<표 1>]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공 영향 지원 서비스

    label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공 영향 지원 서비스

    창업보육센터 관련연구는 1980년 중반이후 미국 등을 중심으로 센터 운영의 필요성과 설립을 위한 자원 등 개념적 연구와 효과, 평가 등 실천적 연구로 이루어져 왔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성공요인 등 운영 효율화와 이를 위한 정책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최근에는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 등의 입주기업 성과 영향 요인에 관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보육센터의 세부 분야인 청년 창업보육 센터의 입주기업 성과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지원 서비스 등을 연구 초점으로 두었다.

       2.3 청년 창업 보육 센터

    2.3.1 서울시 청년창업지원센터

    서울특별시는 2009년부터 창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20∼30대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 공간, 시설·장비, 자금 등을 획기적으로 지원하여 서울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청년 창업1000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 청년창업센터의 구체적인 추진방향으로는 아래와 같다.

    지원대상은 기본적으로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20세~39세의 예비창업자로서 아래의 사항에 해당하는자 중에서 모집 및 선발하여 지원하며 연간 1,000팀(2013년부터는 1,200팀)을 지원한다.

    지원분야 및 업종은 <표 2>와 같다.

    [<표 2>]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지원분야 및 업종

    label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지원분야 및 업종

    이 프로젝트 수행을 위하여 서울특별시는 2009년에 118억 원, 2010년에는 192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2009년 2030 청년창업 프로젝트에 참여한 948명 중 401명(기존 창업자 포함)이 2010년 6월까지 창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창업1000프로젝트”의 창업 공간, 재정지원, 창업 모니터링 지원 관련 지원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표 3>]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지원내용

    label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지원내용

    2.3.2 울산 청년창업지원센터

    울산시는 2010년부터 우수한 창업아이템을 가지고 있으나, 여건이 어려운 청년들에게 창업을 할 수 있도록 공간과 창업 활동비, 컨설팅, 교육 등을 지원하는 ‘청년창업 프로젝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0년 9월부터 6개월 동안 체계적인 창업준비를 통해 지난 2011년 2월, 223명의 1차 예비창업자들이 수료하여 이 중 123명이 각 분야에서 성공적인 창업의 길을 걷고 있다.

    사업비는 21억2000만원이 투입되었고, 창업목표는 200개, 지원대상은 울산에 주소지를 보유한 20세 ~ 39세인 자로 우수한 아이템을 보유하고 창업의지가 강한 자, 1일 창조 기업을 희망하는 자로 창의적 아이디어, 기술, 전문 지식을 가진 자 등이다.

    분야별로는 지식창업, 기술창업, 일반창업으로 구분하여 선발하는데, 이는 앞서 기술한 서울시 청년창업1000프로젝트와 기준이 동일하다.

    울산시는 이들 청년 창업자에게 창업공간 무상제공(입주자 별 10㎡)을 비롯, 공간구축비, 임차료, 관리비, 창업아이템 개 발 및 활동비, 홍보, 마케팅, 교육, 컨설팅 등 다양한 육성 방 안을 지원한다.

    그 외 청년 창업보육센터는 충청남도의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청년 CEO 500 프로젝트’와 서울시 강남구청의 강남 청년 창업센터들이 있으며, 모집대상과 모집 분야, 지원 서비스 방법들이 서울시의 청년 창업 1000 프로젝트와 유사하다.

    2.3.3 청년 창업 사관 학교

    청년창업사관학교는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이 2011년부터 시작한 창업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기술집약형 창업아이템을 사업화하고자 하는 청년창업자(만39세 이하)를 선발하여 사업계획 수립부터 사업화까지 사관학교와 같은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성공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2010년 11월 중소기업진흥공단은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 학원에 용역을 의뢰하여 청년창업사관학교의 체계적 운영과 차별적 추진방향을 설정하게 되었다.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청년 창업사관학교는 창업교육과 코칭, 창업공간 및 개발비 보조(최고 1억원) 등이 패키지로 지원되고(One-Stop 지원), 중간평가를 통해 불성실 또는 사업수행능력이 미달되는 입교생를 중간 퇴교시키며(중간퇴교시스템), 마케팅 및 사업화 융자금 등의 후속 연계지원 등 차별화된 운영을 통해 청년층 기술창업의 사업화기간 단축과 창업 성공율을 높이고 있다.

    2011년 1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241명을 선발하였고 2회의 걸친 중간평가를 통해 29명이 퇴교 조치되어 2012년 2월에 212명이 졸업하면서 기존창업자 51명외 161개업체 창업으로 100% 창업, 특허권 등 지적재산권 368건을 출원 및 등록하고 191억원의 매출과 610명의 청년일자리를 창출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청년창업사관학교가 서울시의 청년창업1000프로젝트와 다른 점은 첫째, 기술창업자만 지원하고, 둘째, 코칭 전문가들이 상주한다는 점, 셋째, 시제품 개발 지원금을 최고 1억원까지 출연 또는 직접 융자를 해준다는 것이다.

    2012년부터는 지방에 거주하는 청년창업자를 위해 중진공 지방연수원 3곳(광주, 경산, 창원)에 공동사무공간 등 인프라를 구축하여 지원함으로써 청년 창업의 열기를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

       2.4 창업성과

    창업성과는 창업보육센터의 성과와 창업보육센터에서 창업 지원을 받은 입주기업의 성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보육센터에서 지원받은 입주기업의 성과로 한정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창업기업의 성과는 일반 기업의 경영 성과와 다르지 않다. 기업의 경영 성과를 측정하는 연구에서 사용되는 지표는 주관적 지표와 객관적 지표가 있으며, 객관적 지표는 다시 재무적 지표와 비재무적 지표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서울시 청년 창업 1000프로젝트 졸업후 2년 내외의 창업자로 아직 객관적 성과지표가 미약한 청년창업기업들이므로, 성과 지표를 주관적 성과지표를 사용하였다. 주관적 성과지표는 청년창업가가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기업의 성공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어지는 지표를 말한다.

    Ⅲ. 연구의 방법

       3.1 연구의 설계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청년 창업보육센터의 지원 서비스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설계는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도출되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성을 반영하여 설정하였다.

    이 연구 설계를 통하여 첫째,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요인들의 형태와 성격을 알아보고, 둘째,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3.2 설문지 작성

    3.2.1 설문조사 대상

    본 연구에서는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여 청년창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도출된 결과가 시사하는 정책적인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 정의하였던 청년층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만 20세 이상 39세 미만의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청년창업가들을 지원하고 있는 청년창업센터의 입주자를 설문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식창업, 기술창업, 일반창업 등 3개 창업분야로, 게임, IT, 지식콘텐츠, 디자인, 쇼핑몰, 공연기획, 유통업 등 다양한 창업업종으로 이루어진 청년창업가가 소속되어 있기 때문에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취합 할 수 있었다.

    [<표 4>] 설문측정 대상자 창업분야

    label

    설문측정 대상자 창업분야

    3.2.2 설문지의 구성

    설문지의 방식은 찬·반형, 선다형, 혼합형 질문법을 골고루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기업일반현황, 경영성과, 지원성과, 건의사항의 4개 부문으로 구성하였다. 기업일반현황에 관한 7문항, 경영성과에 관한 7문항, 지원성과에 관한 10문항, 건의 사항에 관한 3문항으로 총 27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Likert 10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3.3 자료수집 및 분석

    3.3.1 자료수집 기간과 방법

    3.3.1.1 예비조사

    예비조사는 측정도구의 적절성을 밝히고 수정 혹은 보완될 항목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2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첫째,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설문 항목을 추출한 다음 2011년 9~10월간 연구자 외에 창업지원 실무자, 창업학과 경영학을 전공한 전문가 집단의 반복적인 평가와 토의를 거쳐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항목을 선별하였다. 둘째,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 및 입주기업 대표 20명을 대상으로 예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과정에서 본 연구에 적합하지 않거나 이해하기 어렵게 여겨지는 항목은 수정하였고, 각 영역별로 더 필요하다고 요구되어지는 항목은 추가로 기입하였다.

    이와 같은 예비조사를 통하여 설문항목의 내용타당성을 확보하였고, 예비조사 결과를 참조하여 설문지를 수정, 보완함으로써 본 조사에 사용될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3.3.1.2 본 조사

    본 조사에서는 신뢰성 높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의 선정 및 조사절차를 신중하게 고려하였다. 조사목적과 연구범위를 고려하여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청년창업센터를 선별하였고, 이들 중 만 20세부터 39세 미만의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서울시 청년창업센터를 선정하여 센터의 입주자 및 졸업자로 속해 있는 청년창업가들에게 전화설문의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1년 11월 1일부터 11월 25일까지 진행되었고, 자료는 전체 데이터를 전화설문의 방법으로 수집하였으며, 전화로 신분확인을 위해 고유번호 문의 및 신분확인을 실시하여 중복응답을 방지하였다.

    설문조사는 청년창업센터 기졸업자인 1기 849명, 2기 895명을 합친 총 1,714명에게 응답요청을 하였고, 1기 중 148명, 2기 중 174명을 합친 총 322명에게 전화설문을 완료하였다.

    3.3.2 자료의 분석방법

    응답한 322명의 응답결과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Ver. 18.0을 이용하여 표본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매출이나 인력고용이 미미한 청년창업가에 대한 창업성과의 지표로 청년창업가의 만족도를 측정지표로 선정하였고, 4개항목 측정지표에 대한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 크론바하 알파(Ch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였다. 또한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가 특성과 지원서비스 요인과 창업성과, 즉 청년창업가 창업성공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창업 지원관련 변수들 중에서 창업 만족도와 선형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창업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을 하였다.

       3.4 조사결과

    3.4.1 빈도분석

    3.4.1.1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수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수는 <표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1 기(2009. 7. - 2010. 6)가 46%, 2기(2010.7. - 2011.6)가 54%이다.

    [<표 5>]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수

    label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수

    3.4.1.2 청년창업센터 창업분야

    창업분야는 <표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식창업이 48.8%, 일반창업이 28.3%, 기술창업이 23.0%이다.

    [<표 6>] 청년창업센터 창업분야

    label

    청년창업센터 창업분야

    3.4.1.3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창업한 시기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창업, 즉 사업자등록을 한 시기를 말하는 것으로, 2009년 이전이 18.6%, 2009~2010년 사이가 71.7%, 2011년 이후가 9.6%이다.

    [<표 7>]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창업한 시기

    label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창업한 시기

    3.4.1.4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의 사무실 규모(㎡)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응답 당시의 창업활동을 하는 사무실의 규모를 말하는 것으로, 사무실이 없는 졸업기업은 0으로 처리하였다.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의 사무실 규모(㎡)는 사무실이 없는 졸업기업이 32.0%, 30㎡이하가 23.9%, 33~63㎡이 24.5%, 66~92㎡이 10.9%, 99~281㎡이 8.7%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청년 창업자들의 1/3 가량은 사무실 없이 창업한 것을 나타낸다.

    [<표 8>]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의 사무실 규모(㎡)

    label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의 사무실 규모(㎡)

    3.4.1.5 창업아이템 동일 여부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설문 응답 당시의 창업아이템이 청년창업센터 입주 당시의 창업아이템과의 동일여부를 말하는 것으로, 동일한 경우가 88.2%, 동일하지 않은 경우가 11.8%이다.

    [<표 9>] 창업아이템 동일 여부

    label

    창업아이템 동일 여부

    3.4.1.6 창업시 자본규모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창업당시의 자본금 규모를 말하는 것으로, 3천 미만이 73.9%, 3천~5천이 14.0%, 5천~1억사이가 6.8%, 1억이상이 5.3%이다. 이를 통해 보면 청년 창업자들이 주로 소자본 창업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표 10>] 창업시 자본규모

    label

    창업시 자본규모

    3.4.1.7 초기 인력규모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창업당시의 회사인력규모(대표자 포함)를 말하는 것으로, 1명이 66.1%, 2명이 20.2%, 3명이 9.3%, 4명이상이 4.3%이다. 이를 통해 보면 청년창업 보육센터 창업자의 2/3가량이 1인 창업으로 창업자체가 초기 2년동 안에는 일자리 창출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말해 준다.

    [<표 11>] 초기인력규모(대표포함)

    label

    초기인력규모(대표포함)

    3.4.1.8 기존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청년창업센터에 입주하기 전 지적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는 여부를 말하는 것으로, 없는 경우가 71.4%, 1개 있는 경우가 28.6%이다.

    [<표 12>] 기존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label

    기존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3.4.1.9 창업시기 단축정도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설문 응답 당시에 본인들이 느끼는 청년창업센터에 입주함으로써 본인의 창업시기가 단축된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단축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0.3%, 3개월 단축이 22.4%, 6개월 단축이 27.6%, 6개월~1년 단축이 15.8%, 1년 이상 단축이 16.8%이며, 기타 응답(무응답 등)이 17.1%이다.

    [<표 13>] 창업시기 단축정도

    label

    창업시기 단축정도

    3.4.1.10 지원사업에 대한 만족도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설문 응답 당시에 청년창업센터로 부터 받은 지원들(사무공간 무상지원, 창업활동지원금, 교육 및 코칭지원, 전문컨설팅,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 입주사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를 말하는 것으로 구체적 만족도는 아래 표와 같다.

    [<표 14>] 사무공간 무상제공에 대한 만족도

    label

    사무공간 무상제공에 대한 만족도

    (1) 사무공간 무상제공에 대한 만족도

    사무공간 무상제공에 대한 만족도는 8점 이상자가 56.8%를 차지하였다.

    (2)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

    창업활동 지원금에 대한 만족도는 8점 이상자가 59.6%를 차지하였다.

    [<표 15>]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

    label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

    (3) 교육 및 코칭에 대한 만족도

    교육 및 코칭에 대한 만족도는 8점 이상자가 31.4%를 차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표 16>] 교육 및 코칭에 대한 만족도

    label

    교육 및 코칭에 대한 만족도

    (4) 전문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전문컨설팅에 대한 만족도는 8점 이상자가 23.9%를 차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표 17>] 전문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label

    전문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5)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8점이상자가 18.3%로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표 18>]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

    label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

    (6)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

    입주사가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8점이상자가 14.9%로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표 19>]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

    label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

    3.4.1.11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설문 응답 당시에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6.0 미만이 16.8%, 6.0이상 8.0 미만이 38.5%, 8.0 이상이 44.7%로,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청년창 업센터로부터 받은 전반적 지원에 대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앞서 각 항목별 만족도보다 상당히 높은 이유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 업가가 업종이 다양하고 그에 따라 각 지원사업별 필요정도가 다양하여 수혜받지 않은 항목에는 낮은 만족도 점수를 부여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표 20>]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label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3.4.2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공만족도 측정에 대하여 4개 항목으로 질문하였다. 항목내용은 <표 21>과 같다.

    [<표 21>] 창업성공만족도 측정을 위한 설문

    label

    창업성공만족도 측정을 위한 설문

    3.4.2.1 신뢰도 분석

    크론바하 알파(Chronbach's α) 계수를 활용한 테스트 결과, <표 22>와 같이 0.851로 0.6보다 크게 나타남에 따라 창업성 공만족도 4개 설문항목을 통한 신뢰성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22>] 신뢰도 통계량

    label

    신뢰도 통계량

    3.4.2.2 타당성 분석

    창업성공만족도 측정을 위한 4개 설문항목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eigen value 1 이상으로 측정한 결과,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됨에 따라 4개 설문항목이 측정지표로서의 타당성은 검증되었다.

    이 1개 요인을 창업성공만족도라 명명하고 각 문항의 성분 행렬과 설명된 총분산은<표 23>과 같다.

    [<표 23>] 성분행렬과 설명된 총분산

    label

    성분행렬과 설명된 총분산

    3.4.3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설문결과 상에 나타난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가 특성과 지원서비스 요인과 창업성과, 즉 청년창업가 창업성공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가 특성과 지원서비스 요인은 1)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수, 2) 창업분야, 3) 창업한 시기, 4) 사무실규모(㎡), 5) 아이템 동일여부, 6) 창업 시 자본금 규모, 7) 초기인력규모(대표포함), 8) 지적재산권 기존 보유개수, 9) 창업시기 단축정도, 10) 사무공간무상제공에 대한 만족도, 11)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 12) 교육 및 코칭에 대한 만족도, 13) 전문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14) 홍보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 15) 입주사간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 16)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이며, 창 업성과는 청년창업가들이 느끼는 창업성공만족도이다. 독립 변수 1)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수부터 16)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까지 16개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중 유의적으로 나타난 요인은 <표 24>와 같다.

    [<표 24>] 상관관계 분석

    label

    상관관계 분석

    3.4.3.1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수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의 졸업기수와 창업성공만족도와의 선형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 value=0.042 < 0.05로 유의수준 5%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창업센터 졸업 1기보다 졸업 2기의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서울시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지원사업이 1기보다는 2기에서 보다 수준 높은 청년 창업지원정책 시행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3.4.3.2 창업시 자본금 규모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의 창업시 자본금 규모와 창업성공 만족도와의 선형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 value=0.005< 0.01로 유의수준 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 중 창업시 자본금 규모가 큰 청년창업가 일수록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창업시 자본금 규모가 큰 청년창업가일수록 사업 운영상 여유가 있어 서울시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지원사업의 다양한 지원 사업을 더 많이, 더 다양하게 지원받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4.3.3 지적재산권 기존 보유개수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의 청년창업센터 입주 전 지적재산권 보유개수와 창업성공만족도와의 선형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 value =0.00003 < 0.001로 유의수준 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 중 청년창업센터 입주 전 지적재산권 보유개수가 많은 청년창업가 일수록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 한다. 그 이유는 청년창업센터 입주 전에 지적재산권을 취득할 정도로 창업의 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4.3.4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의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와 창업성공만족도와의 선형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 value=0.020 < 0.05로 유의수준 5%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 중 청년창업센터에서 매월 지급하는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즉 청년창업센터에서 매월 지급하는 창업활동 지원금의 활용도가 높은 청년창업가 일수록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청년창업센터에서 지급하는 창업활동지원금의 활용도가 높은 청년창업가 일수록 창업활동에 적극적이어서 활용도가 낮은 청년창업센터 청년창 업가에 비해 서울시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지원사업의 다양한 지원사업을 더 많이, 더 다양하게 지원받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4.3.5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의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와 창업성공만족도와의 선형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 value=0.030 < 0.05로 유의수준 5%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 중 청년창업센터에서 수시로 지원하는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즉 청년창업센터에서 수시로 실시하는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청년창업가 일수록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3.4.3.6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의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와 창업성공만족도와의 선형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 value=0.003 < 0.01로 유의수준 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 중 청년창업센터에서 수시로 지원하는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즉 청년창업센터에서 수시로 실시하는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청년창업가 일수록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청년창 업센터에서 수시로 실시하는 입주사 간 협업지원의 활용도가 높은 청년창업가 일수록 창업활동에 적극적이어서 활용도가 낮은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에 비해 서울시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지원사업의 다양한 지원사업을 더 많이, 더 다양하게 지원받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4.3.7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의 전반적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만족도와 창업성공만족도와의 선형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 value=0.000002 < 0.001로 유의수준 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 중 청년창업센터에서의 전반적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즉 청년창업센터에서의 전반적 청년창업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청년창업가일수록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3.4.4 회귀분석

    <표 27>에서 보는바와 같이 창업 지원관련 변수들 중에서 창업 만족도와 선형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기수, 사무실 규모, 창업시자본금 규모, 지적재산권 기존 보유 수,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 홍보 판로개척 만족도, 입주사간 협업지원 만족도)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창업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기수, 사무실 규모, 지적 재산권 기존 보유수, 창업 활동 지원금에 대한 만족도, 입주 사간 협업지원 만족도들이 5%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27>] 계수 및 공선성 통계량

    label

    계수 및 공선성 통계량

    이때 독립변수들이 모두 포함된 회귀 모형은 <표 26>과 같이 분산분석에 의해 유의적인 것으로(P value = 0.000) 나타났다. 또한 <표 2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R 제곱 값은 14.5%로 그 설명력은 높지 않게 나타났다.

    <표 2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차한계는 0.1 보다 매우 크고, 분산팽창요인(VIF)는 10보다 매우 작으므로 다중 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표 27>의 회귀 분석 결과에서 나타나는 시사점은 기수, 사무실규모, 지식재산권 기존 보유수(선발시 우선 선발, 가점을 높이는 방안), 창업활동 지원금과 입주사간 협업지원이 창업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년창업보육센터 기업 선발시 지식재산권 보유자를 우선 선발하여야 하며, 입주사간 협업 지원은 앞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Ⅳ. 결론

       4.1 요약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청년 창업보육센터의 창업 지원시스템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청년창업1000프로젝트의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서울시가 2009년부터 청년 창업 1000프로젝트를 시행 후 2년내 졸업자들의 창업분야는 지식창업 48.8%, 일반창업 28.3%, 기술창업 23%로 나타났다. 창업 초기 인력 규모는 창업자의 66.1%가 1인 창업기업으로 일자리 창출과는 거리가 먼 것을 나타났는데 이는 기술창업자의 비율이 23%로 머물고 지식창업과 일반창업이 77%를 차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청년창업가의 창업시 자본금 규모와 창업성공만족도와는 정(+)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 중 창업시 자본금 규모가 큰 청년창업가일수록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창업 시 자본금 규모가 큰 청년창업가 일수록 사업 운영상 여유가 있어 서울시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지원사업의 다양한 지원사업을 더 많이, 더 다양하게 지원받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년창업센터 입주 전 지적재산권 보유개수와 창업성공만족도와는 유의수준 0.1%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 중 청년창업센터 입주 전 지적재산건 보유개수가 많은 청년창업가 일수록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청년창업센터 입주 전에 지적재산권을 취득할 정도로 창업의 준비도가 높기 때문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청년창업가의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와 창업성공만족도와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창업활동지원금의 활용도가 높은 청년창업가일수록 창업성공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년창업가의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와 창업 성공만족도와는 유의수준 5%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 중 청년창업센터에서 수시로 지원하는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청년창업가 일수록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의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와 창업성공만족도는 유의수준 1% 수준에서 정(+)의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창업센터 청년창업가 중 청년창업센터에서 수시로 지원하는 입주사 간 협업 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청년창업가 일수록 창업성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1) 졸업기수 2) 사무실 규모 3) 지적재산권 기존 보유개수, 4)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 5)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 들이 청년창업기업의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 따른 시사점은 서울시 청년 창업보육센터의 목표를 일자리 창출에 둔다고 한다면 모집하는 창업가들의 창업 분야를 기술창업자에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졸업자의 66.1%가 1인 창업기업으로 구성되어 일자리 창출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둘째, 입주자 선발 시 지적재산권 보유자를 우선적으로 선발하여 창업 성과가 증대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창업자들의 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들을 통해 볼 때 사무공간 무상제공과 창업활동 지원금에 대한 만족도는 8점 이상이 60%에 가깝게 나타났으나, 교육 및 코칭, 전문컨설팅,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 입주사간 협업지원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원인을 분석하여 운영방법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지원 서비스로 나타난 창업활동 지원금 지원과 입주사간 협업지원을 선택과 집중을 통해 확대하는 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4.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의 방향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청년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업력이 짧아 청년창업기업에 대한 창업성과를 매출이나 고용실 적을 제외한 창업성공만족도로 국한하여 진행하였다는 것이다. 향후에는 이러한 청년창업기업이 달성하는 매출액 및 고용창출현황을 추적하여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창업지원 서비스에 참여했던 대상으로만 기업을 한정함으로써, 창업지원 서비스에 참여하지 않았던 기업과의 비교 분석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서비스를 마친 기업 중 일부 기업만이 설문에 참여하여서, 설문에 응하지 않은 기업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만족도 등 성과의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

    끝으로 좀 더 다양한 청년창업지원 방안이 개발되면 새로 개발된 청년창업 지원 서비스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도 향후 연구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발판이 되어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 청년창업가를 지원하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시행착오를 겪지 않고, 이러한 지원을 통해 청년창업가의 실패가 최대한 줄어드는 시대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 1. Choi J. Y., Jeong H. J. (2006) A Study on Efficient supporting Service for BI’s Tenant [Asia Pacific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13 P.167-190 google
  • 2. Gartner W. B. (1989) “Who is an entrepreneur?” Is the wrong question [Entrepreneurship Theory & Practice] Vol.13 P.47-68 google
  • 3. Kim M. S., Hwangbo Y., Kim H. (2010) A study on Influence to Business performance of Business Incubator Company via Ceo’s Characteristic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5 P.33-57 google
  • 4. Kim J. H.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Start-up Business Support Program on the Start-up Performance google
  • 5. Lee S. S., Choi J. H. (2001) A Study on the Critical Sucess Factors of Business Incubator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Vol.23 P.55-177 google
  • 6. Lichtenstein G. A., Lyons T. S., Kutzhanova N. (2004) Building Entrepreneurial Communities: the Appropriate Role of Entreprise Development Activities [Journal of the Community Development Society] Vol.35 P.5-24 google cross ref
  • 7. Moon S. Y., Hwangbo Y.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Start-up Opportunity Sources Analysis and Opportunity Search of Korean Young Entrepreneur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6 P.39-57 google
  • 8. (1997) Technology Incubators : Nurturing Small Firms google
  • 9. Park C. Y. (2004) A study on starting company google
  • 10. Schumpeter J. (1934)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google
  • 11. Smilor R. W. (1987) Managing the Incubator System: Critical Success Factors to Accelerate New Company Development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34 P.146-155 google cross ref
  • 12. Timmons J. A., Spinelli S. (2009)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google
  • 13. Vesper K. H. (1989) New Venture Strategies google
  • 14. Yang H. B., Song H. Y., Kim H. S. (2002)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Korean Business Incubator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Vol.24 P.25-52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공 영향 지원 서비스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공 영향 지원 서비스
  • [ <표 2> ]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지원분야 및 업종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지원분야 및 업종
  • [ <표 3> ]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지원내용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지원내용
  • [ <표 4> ]  설문측정 대상자 창업분야
    설문측정 대상자 창업분야
  • [ <표 5> ]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수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수
  • [ <표 6> ]  청년창업센터 창업분야
    청년창업센터 창업분야
  • [ <표 7> ]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창업한 시기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이 창업한 시기
  • [ <표 8> ]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의 사무실 규모(㎡)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의 사무실 규모(㎡)
  • [ <표 9> ]  창업아이템 동일 여부
    창업아이템 동일 여부
  • [ <표 10> ]  창업시 자본규모
    창업시 자본규모
  • [ <표 11> ]  초기인력규모(대표포함)
    초기인력규모(대표포함)
  • [ <표 12> ]  기존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기존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 [ <표 13> ]  창업시기 단축정도
    창업시기 단축정도
  • [ <표 14> ]  사무공간 무상제공에 대한 만족도
    사무공간 무상제공에 대한 만족도
  • [ <표 15> ]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
    창업활동지원금에 대한 만족도
  • [ <표 16> ]  교육 및 코칭에 대한 만족도
    교육 및 코칭에 대한 만족도
  • [ <표 17> ]  전문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전문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 [ <표 18> ]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에 대한 만족도
  • [ <표 19> ]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
    입주사 간 협업지원에 대한 만족도
  • [ <표 20> ]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청년창업지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 [ <표 21> ]  창업성공만족도 측정을 위한 설문
    창업성공만족도 측정을 위한 설문
  • [ <표 22> ]  신뢰도 통계량
    신뢰도 통계량
  • [ <표 23> ]  성분행렬과 설명된 총분산
    성분행렬과 설명된 총분산
  • [ <표 24> ]  상관관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 [ <표 25> ]  모형 요약b
    모형 요약b
  • [ <표 26> ]  분산분석b
    분산분석b
  • [ <표 27> ]  계수 및 공선성 통계량
    계수 및 공선성 통계량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