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to Life-long Education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Perception Degree to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to life-long education, the degree of education satisfaction and perception degree to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41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elderly who are 65years plus and attend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provided by well-fare center in Chunan-city, Chungchongnam-do. The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etc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1.0 ver.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to life-long education were sorted out as the action-oriented motive, goal-oriented motive and learning-oriented motive. Second, The education satisfaction was affected positively by the learning-oriented motive. Third, the action-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motive affect the perception degree to the successful aging positively. Forth, The education satisfaction degree affect the perception degree to the successful aging positively.

KEYWORD
교육참여 동기 유형 , 교육만족도 , 성공적 노화
  • Ⅰ. 서론

    노인문제는 최근 사회적 이슈 중 하나이다. 특히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급속한 고령화는 국가 차원에서는 물론 가정과 개인에게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고령화는 노인부양 등으로 사회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생산성을 저하시킨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면이 있지만, 발전적으로 받아들여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의 기회로 받아들일 필요도 있다. 성공적 노화는 고령화가 갖는 두 가지 측면 중, 질적인 변화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다. 즉 고령화로 인해 의존적이고 무기력하게 변하는 노인들을 사회에 적응토록 하고, 정보의 습득과 건강관리 등을 통해 스스로 설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성공적 노화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지자체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다. 평생교육은 국민이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단절과 불균형의 현상을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교육역량을 극대화하는 교육활동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2000년 평생교육법 시행령을 기점으로 평생교육사회의 실현을 강조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적으로 평생학습도시를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고 평생교육 확대 및 참여를 촉진하는 국가 차원의 교육 지원 사업을 통하여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민·관의 기관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들의 평생교육 참여율이 다소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선진국들에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아직 낮은 편이다. 과거의 노인 교육은 대부분 노인의 여가를 충족시키는 단순한 수단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의 노인 평생교육은 노인 교육과 취미생활을 통해 사회참여 활동과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소득 보장 및 재가복지 등 그 밖에 노인의 복지 증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이르고 있으며 노인을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존재가 아닌 성공적 노화를 통해 사회에 긍정적 일원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60세 이상 노인 중에서 노인 교육을 희망하는 비율은 81.4%로 파악되고 있으나(Han et all, 2009) 실제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비율은 약 3.5%에 불과할 뿐이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이처럼 노인교육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노인들의 평생교육참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그 원인을 살피고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즉 노인들의 평생교육 참여율을 높이는 방안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노인들의 평생 교육 참여 동기요인, 교육만족도의 정도를 알아보고 둘째, 이들 요인들과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둘째, 노인의 평생교육에 대한 교육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넷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참여 동기유형, 교육만족도, 그리고 성공적 노화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 째, 평생교육참여유형, 교육만족도, 성공적 노화 간에는 어떤 영향관계가 있는가?

    Ⅱ. 이론적 배경

    평생교육이 처음 소개되고 보급된 것은 1960년대 중반으로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자문기관인 성인교육추진국제위원회에서 그 필요성이 논의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당시 평생교육의 중심개념은 삶(life)과 (life-long) 및 교육(education)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Dave, 1973)평생교육의 통합성과 통합적 체계를 강조한 랭그랜드(Lengrand 1979)는 평생교육이란 개인의 출생에서부터 죽을 때까지 전 생애에 걸친 수직적 교육과 학교 및 사회 전체의 수평적 교육의 통합이라고 정의하였다. 융통성과 다양성을 강조한 데이브( Dave, 1973)는 개인적, 사회적 삶의 질을 계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생에 걸쳐 실시되는 모든 형태의 형식적, 비형식적 학습활동’이라고 정의함으로써 교육의 모든 유형을 포함하였다. 우리나라 평생교육법에서는 평생교육을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을 제외한 학력보완교육, 성인 문자해득교육, 직업능력 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교육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으로 규정하고 있다.

    성인교육기관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참여유형을 알아내기 위한 이론적 틀은 휼(Houle, 1961)에 의해 고안되었다. 휼(Houle, 1961)은 성인교육의 참여 동기유형을 활동지향형, 목표지향형, 학습지향형 등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활동지향형 학습자는 사회적 인관관계의 유지, 개선, 확대에 의미를 두며 학습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그들에게 성인 교육기관은 사람들이 서로 만나는 개방된 장소이며 사회적인 교환 장소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그들에게 만남의 장을 열어주기 위한 통로이며 수단이 된다. 반면에 목표 지향적 학습자는 교육을 명확하고 뚜렷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며 관심을 확인하거나 요구를 실현하기 위해 참여한다. 따라서 지식은 실제적인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간주된다. 또한 학습지향형 학습자는 지식 자체에 관심을 갖는다. 그들에게 있어서의 교육은 매우 일상적인 일 중의 하나이다. 자신에 대한 분명한 자아개념을 지니고 자신을 학습에 몰두하는 사람으로 여긴다. 다만, 이상의 서로 다른 세 집단은 서로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서로 중복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 이 이론의 특징이다.

    배성의(Bae, 1996)는 성인교육 참여정도를 결정하는 4대 변인으로 개인 배경적 변인, 가치태도 변인, 태도 변인 및 환경적 변인을 제시하였다. 개인 배경적 변인에서는 교육, 수입, 연령, 거주지역등의 요인이, 가치태도 변인에서는 지위욕구가 작용하며, 성인교육에 관한 태도변인에서는 학습지향성 및 성인교육 인식도가, 그리고 환경적 변인에서는 프로그램인지도 및 평가도 등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배경적 변인보다는 가치태도 변인과 환경적 변인이 성인교육 참여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성인교육이 교육기회의 격차를 완화시켜줄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는 것에 그 시사점이 있다.

    휼(Houle, 1961)이후에도 여러 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 동기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의 출발점 또는 기본 전제는 대부분 Houle의 세 가지 성인교육 참여 동기유형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참여동기 유형은 성인학습자의 개인적인 배경과 심리적 특성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켄월드와 메리암(Darkenwald & Merriarm, 1892)은 성별참여 동기의 유형을 비교해 본 결과 남자는 대체로 성취 지향적이며 외적 기대요청에 따른 동기와 직업과 관련된 동기 등 외재지향성이 강한 반면, 여자는 내적 만족이나 지적 호기심의 충족 등 내재지향성이 강한 것을 발견하였다.

    배성의(Bae, 1996) 연구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지적 호기심, 학습 자체에 대한 흥미, 내적 만족 등의 내재적 동기성향이 높으며 다양한 영역에 대하여 교육적 동기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고, 반면에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은 지식 그 자체에 대한 흥미보다는 실제생활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내용을 선호하므로 교육을 자아성장의 수단으로 보기보다는 실제로 자신에게 얼마나 유용한가 하는 교육의 도구 주의적 가치에 더 관심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직업기술 훈련이나 문해(文解)교육 등에 대한 동기가 강하며, 중산층 이상인 경우는 생존욕구가 이미 충족되었으므로 자아실현이나 여가선용 등의 욕구를 강하게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에 대한 노인들의 이러한 욕구를 종합해보면 노인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해야할 타당성은 충분하다 할 것이다. 다만 교육에 필요한 그들의 인지적 능력과 심리적 특성 및 교육 참여 동기유형 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성인학습자의 동기적 측면을 중시한 연구자들은 성인학습자의 동기적 특성이 교육효과를 규정짓는 중요 요인이라고 보았다. 학습동기 요인은 학습자의 적극적인 자기 주도 학습에 대한 실천 여부, 학습에 대한 노력과 함께 교육의 효과를 설명해 줄 수 있다(Kwon & Kang, 2003).

    교육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루슨(Rubenson, 1977)은 평생교육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영역으로 강사의 질, 행정 서비스의 질, 교육의 질이 개선될수록 학습자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형성된다고 하였다. 진정화(Jin, 1992)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사회교육 참여자의 기대성과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에서 만족도를 교육에 대한 기대의 정도와 참여자의 개인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교육만족도는 교육내용에 관한 만족도, 교육방법,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로 나누어 측정하였는데 세 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밝히고 있다. 이외에도 직원의 친절, 교육시설, 기관이용의 편리함 등 학습자 스스로 기관이용에 대하여 편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을 때 학습자가 만족을 느끼고,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만족요인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육내용, 프로그램의 종류, 강사의 강의내용과 강의수준 등이라고 선행연구들이 밝히고 있다.

    이처럼 노인 평생교육은 변화하는 사회에서 노인의 적응능력을 강화시키고 사회참여에 다가서는 새로운 출구가 될 수 있다. 또한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의 적응을 통해 행복감을 느끼며 긍정적 자아상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의미 있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노인 평생교육을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되고 나아가 성공적 노화의 촉진도 기대된다, 또한 교육활동을 통한 사회참여의 기회는 소외를 극복하고 우울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으로 노인의 삶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효능감을 향상시킨다(Hammond & Feinstein, 2006).

    성공적 노화는 노인도 더욱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성공적으로 노화한다는 활동이론에 힘입어 발달하였다(Mitchell, 2002). 활동이론에서는 성공적 노화의 핵심이 정신적, 신체적 적극성을 유지하려는 개인적 동기에 있다고 본다. 즉 높은 수준의 적응과 사기를 유지하며, 젊고 적극적으로 사는 것 이상으로 노인에게 유용한 행동유형은 없다는 것이다(Fry, 1992; Ryff, 1989). 특히 윌리스와 맥나마라(Willis & McNamara, 1992)는 사회적 관계망 강화는 노인에게 특정한 교육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고 하였다. 그는 노인 평생교육이 노후생활을 자립적으로 유지하고 경제적인 면을 적절하게 관리하며 사람들 간의 상호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도록 도와 간다고 하였다. 즉 교육활동에서 얻을 수 있는 사회적 교류는 노인들의 사회참여를 촉진시키고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통해 성공적 노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빠른 정보화 사회는 노인의 사회적 소외를 가속화시키고, 가족과 세대 간의 단절을 경험하게 한다. 이에 노인 평생교육은 노년기 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해결과 노후 생활에 필요한 정보, 지식을 배우며 소외를 예방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상윤과 이종수(Lee & Lee, 2002)는 노인교육을 노인의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동시에 사회화의 수단으로서 새로운 노인문화를 형성하고 건전한 여가활동을 통한 사회참여의 길을 제공하는 수단과 목적이라고 하였다.

    한편 한준상(Han, 1999)은 현재의 노인교육은 교육보다는 여가선용이라는 노인복지서비스의 일부로 보는 경향이 더 크다고 비판한다. 동일한 맥락에서 이은경과 김남줄(Lee & Kim, 2000)도 노인교육은 단순히 여가나 오락차원을 넘어서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자아탐구, 자기개발,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목적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김동배(Kim, 2008)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를 개발하였다. “자율적인 삶,’ ‘자기완성지향,’‘적극적 인생 참여,’자녀에 대한 만족,’ ‘자기수용,’ 그리고 ‘타인수용’ 등의 하위요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은희(Chun, 2011)는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를 개발하여 분석한 결과 6개의 범주로 나누고 ‘동반자적 배우자,’‘적극적 사회활동,’‘건강 및 일상생활의 효능감,’‘노화수용,’‘경제적 안정,’‘가족화합’으로 구성하였다.

    성혜영과 조희선(Sung & Cho, 2005)은 서울지역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상태와 신체적․인지적 기능, 심리적 특성, 생산적 활동, 사회관계망의 특징의 5가지 변인으로 성공적 노화의 변인을 구성하여 연구한 결과, 성별, 배우자 유무, 자녀 동거 여부, 학력, 경제력 수준에 따라 변인들에 차이를 보였으며, 노년기 생산적 활동의 중요성과 사회관계망의 지지를 강조되었다. 아울러 생산적 활동을 위해 신체적 인지적 기능 유지에 대한 능동적인 자세의 필요성을 제기되었다. 또한 강인(Kang, 2003)은 노년기, 중년기, 청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연구 결과로 정서적 안녕, 개인 성장, 자율성, 신체적 건강, 경제적 안정, 가족지향 등 7가지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서구와는 달리 가족 관계 중심적 지각을 하고 있다고 보고 하였다.

    이처럼 성공적 노화는 행복감, 복지,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건강 혹은 부정적인 영향의 감소 및 우울증 등으로 측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평생교육 참여유형과 교육만족도, 그리고 성공적 노화에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Ⅲ. 연구의 설계

       3.1 연구모형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상에서 살펴 본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그림과 같이 설계하였다

    .

       3.2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본 연구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425부 중에서 결측값이 없는 41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시 다중공선성 문제여부를 알아보기 확인하기 위해 다중공선성 지수 VIF(10미만인 경우 다중공선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봄)를 확인하였다.

       3.3 연구대상의 특성

    설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과 같다.

       3.4 설문지의 구성 및 측정

    3.4.1 평생교육참여 동기 유형

    성인학습자의 참여유형을 알아내기 위한 이론적인 틀은 (Houle, 1961)에 의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다. 홀(Houle, 1961)은 성인교육의 참여 동기유형을 활동지향형, 목표지향형, 학습지향형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에 따르면 교육 참여 동기유형 중 활동지향적 학습자는 학습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사회적 인관관계의 유지, 개선, 확대에 의미를 두는 유형이다. 예문 항으로는 ‘좋은 인간관계를 맺고 싶어서’이다. 목표지향적 학습자는 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는 유형이며, 예문 항으로는 ‘지루한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새로운 교육적 환경을 접해보고 싶어서’이다. 학습지향형 학습자는 지식자체에 관심을 가지며 예문 항으로는 ‘학습을 통해 삶의 만족을 얻기 위해서’ 등의 항목이 있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참여 동기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Houle의 이론을 바탕으로 최운실(Choi, 1986)이 「성인의 교육 참여에 관한 조사지」를 참고로 하였다.

    하위영역으로는 크게 활동지향 19문항, 목표지향 6문항, 학습지향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5점 척도중 점수가 높을수록 참여의 결정적 동기임을 의미하며 본 연구의 참여 동기유형 신뢰도는

    에 제시되어 있다.

    3.4.2 교육만족도

    평생교육 만족도는 최근영(Choi, 2009)의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만족도」에서 인용한 20문항을 12문항으로 재구성한 서명환(Seo, 2011)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는 평생교육 만족도를 4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3문항, 교수자 만족도 3문항, 학습자 지원 서비스 만족도 3문항, 교육 환경도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신뢰도는 Cronbach’ α .935이다.

    3.4.3 성공적 노화

    성공적 노화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후척도를 개발한 김동배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최종 31문항으로 ‘자율적인 삶’, ‘자기완성지향’, ‘적극적 인생 참여’, ‘자녀에 대한 만족’, 자기수용‘, 그리고 타인수용’, 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뢰도는 Cronbach’ α .96이다. 본 연구의 성공적 노화 내적신뢰도는

    와 같다.

    본 연구의 교육만족도 신뢰도는

    에 제시되어 있다.

    [〈Table 2 〉] The constituents of measuring scale and analysis results of reliability

    label

    The constituents of measuring scale and analysis results of reliability

    Ⅳ. 연구결과

       4.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동기유형과 성공적 노화의 차이

    주요 변인인 평생교육 참여 동기 유형, 성공적 노화차이의 기술통계치는 과 같다. 연구대상의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지정도가 평균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다. 이는 평생교육의 질적 향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able 3〉]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label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4.1.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유형의 차이

    연구대상들의 성별,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당면문제, 직업, 그리고 종교 즉 인구 사회적특성에 따른 교육참여동기유형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와 같이 성별과 직업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 활동지향동기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목표지향동기는 남자(M=18.84)보다 여자(M=19.94)가 높았고 학습지향동기도 남자(M=26.14)보다 여자(M=27.88)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 The differences of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according to demographic

    label

    The differences of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according to demographic

    직업에서는 활동지향동기, 목표지향동기, 그리고 학습지향동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활동지향동기에서는 가사종사자(M=55.22)보다 직업 없음(M=59.77)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목표지향동기에서도 가사종사자(M=18.62)보다 직업없음(M=20.09)가 높았고, 학습지향동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직업 없음(M=28.06)이 가사종사자(M=25.92)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사종사자보다 직업 없는 사람들이 시간적인 여유나 심적 여유가 많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론된다.

    4.1.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와 같이 성별, 연령, 직업, 그리고 종교에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서는 지원서비스만족을 제외한 프로그램 만족, 교수자 만족, 그리고 환경만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를 종합하면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높을수록 직업이 없는 경우 또 종교를 가졌을 때 교육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

    ] The difference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label

    The difference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4.1.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성별, 연령, 직업, 그리고 종교에서 전체 또는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결과는 ,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높을수록 직업이 없는 경우 또 종교를 가졌을 때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

    ] The differences of the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demographic(1)

    label

    The differences of the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demographic(1)

    [

    ] The differences of the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demographic(2)

    label

    The differences of the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demographic(2)

       4. 2 노인 평생교육 참여동기유형에 따른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의 차이

    4.2.1 참여 동기유형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

    참여 동기유형에 따라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참여 동기 각 유형의 점수를 평균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응답자의 유형을 설정하였다.

    교육 참여 동기유형별로 교육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과 같이 교육만족도 전체와 하위척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도 전체에서 학습지향유형(M=46.92)이 활동지향유형(M=41.69)과 목표지향유형(M=44.25)보다 더 높았다.

    [〈Table 8〉]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label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이러한 결과는 학습지향동기로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이 프로그램이나 교수자 등의 교육의 내용이나 질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만족도가 높고, 반대로 활동지향동기로 참여한 사람들은 교육 내용이나 질이 기대에 미치지 않는다고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대상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유형의 분포를 살펴보면, 학습지향의 빈도(n=229, 55.7%)가 목표지향(n=109, 26.3%)과 활동지향(n=76, 18.0%)보다 월등히 많은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은 학습지향 동기에서 참여하는 사람들이 과반수가 넘는다는 점이다. 이는 노인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하겠다.

    4.2.2 참여동기유형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

    참여 동기유형별로 성공적 노화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와 같이 성공적 노화 전체와 하위척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성공적 노화 전체에서 학습지향동기(M=115.77)이 활동지향동기(M=104.50)과 목표지향동기(M=107.24)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지향동기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고 실제로 인식하는 정도가 높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4.3 노인 평생교육 참여동기유형, 교육만족도,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

    4.3.1 교육 참여 동기유형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 참여 동기유형이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육만족도 전체를 종속변인, 교육 참여 동기유형의 하위척도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과 같이 학습지향동기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변량의 약 26.5% 설명, R2=265, F(3, 410)=49.181, p<.000). 이러한 결과는 학습욕구가 높고 배움을 통해 자기완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믿음이 강한 사람들이 프로그램, 교수자, 지원스비스, 그리고 교육환경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추론된다. 반면 활동지향동기와 목표지향동기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활동지향동기나 목표지향동기를 가진 사람들은 교육에 대한 기대가 자신들의 인간관계를 맺는다든가 자격증을 취득하는 등의 목표와 잘 맞지 않아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추론된다. 따라서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면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활동지향동기와 목표지향동기를 가진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Table 10〉]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labe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4.3.2. 교육 참여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성공적 노화를 종속변인, 교육 참여 동기유형의 하위척도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과 같이 활동지향동기와 학습지향동기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변량의 약 43.4% 설명, R2=434, F(3,410)=104.877, p<.000)[표Ⅳ-9]. 이러한 결과는 활동지향동기와 학습지향동기가 성공적 노화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인의 평생교육참여를 유도할 때에는 학습지향동기나 활동지향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홍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able 11〉]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labe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4.3.3. 교육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성공적 노화에 대한 교육만족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성공적 노화를 종속변수로 하고 교육만족도 하위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한 결과[표Ⅳ-10] 프로그램 만족, 교수자만족, 지원만족, 그리고 환경 만족 등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2=.364, F(3, 410)=58.527, p<.000). 이러한 결과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석한 사람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만족하는 정도에 따라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달라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평생교육을 계획하고 시행함에 있어 참여자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Table 12〉]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labe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Ⅴ.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교육 참여동기유형과 교육만족도 그리고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교육참여동기가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지향동기가 과반수이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평생교육의 내용과 질을 노인들의 학습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계획하고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대상의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의 인지도가 각기 중간 값을 약간 상회하는 값으로 나타났으며,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이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의 내용과 질을 재검토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노인 평생교육에 참가한 노인들의 교육참여동기는 성별과 직업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와 직업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남자보다는 여성이 직업이 없는 사람이 시간적으로나 심적으로 더 많은 여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추론된다.

    넷째, 노인평생교육에 참가한 노인들의 교육만족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고, 나이가 많은 경우, 직업이 없는 경우 그리고 종교가 있는 경우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참여동기유형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에서 학습지향동기가 활동지향동기와 목표지향동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평생교육을 계획할 때는 노인들의 욕구 등을 사전에 조사할 필요가 있다.

    다섯 째, 노인평생교육에 참가한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지정도도 교육만족도와 마찬가지로 여성인 경우, 나이가 많은 경우, 직업이 없는 경우, 그리고 종교가 있는 경우 인지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참여동기유형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에서는 학습지향동기가 활동지향동기와 목표지향동기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지향동기가 강한 사람들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과 인지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노인들의 학습욕구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여섯 째, 노인 평생교육참가자의 교육만족도에 대한 참여동기의 영향관계에서 학습지향동기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면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활동지향동기와 목표지향동기를 가진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일곱 번째, 교육 참여유형과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는 활동지향동기와 학습지향동기가 성공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활동지향동기와 학습지향동기가 강할수록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과 인지정도가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덟 번째, 성공적 노화인식과 교육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교육만족도의 모든 하위 변수가 성공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만족도가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노인 평생교육을 계획할 때 노인들의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사전에 강구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천안시 일부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그 결과를 확장하여 해석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향후 지역을 확대하여 지역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 1. Bae S. E. (1996) A study on the adult's participation level in adult education and their related variables in Korea google
    • 2. Choi K. Y. (2009) Corelations between adult's perception of results and satisfaction level in lifelong learning google
    • 3. Choi U S. (1986) Analysis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by the adult education program in Korea google
    • 4. Chun E. H.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uccessful aging for elderly women google
    • 5. Darkenwald G.G., Merriarm S.B. (1982) Adult education: Foundations of practice. google
    • 6. Fry. P.S. (1992) Major sociai theories of aging and their implication for counseling concepts and practice: A critical review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20 P.246-329 google cross ref
    • 7. Hammond C., Feinstein L. (2006) Are those who flourished at school healthier adults? What role for adult education? google
    • 8. Han J. S. (1999) The tasks of the legislation and vita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ED99-117) google
    • 9. Jin J. H. (1992) A study on the expectional result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google
    • 10. Kang I. (2003) A study 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Institute] Vol.20 P.95-116 google
    • 11. Kim D. B. (2008)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lderly's successful aging scal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60 P.211-231 google
    • 12. Kown S. Y., Kang M. H. (2003) A study on the phase and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Kore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ol.41 P.239-273 google
    • 13. Lee E. K., Kim N. J. (2000) A study on the elderly education to enhance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5 P.85-103 google
    • 14. Lee S. Y., Lee J. S. (2002) A study on the elderly people's education of Korea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Vol.15 P.102-123 google
    • 15. Mitchell B. A. (2002) Successful Aging : Integrating Contemporary Ideas, Research Finding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amily Relations] Vol.51 P.283 google
    • 16. Rubenson K. (1977) Participation in Recurrent Education :A research Reviews. google
    • 17. Ryff C. D. (1996) In the eye of the beholder: View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Vol.4 P.195-210 google cross ref
    • 18. Seo M. H. (2011) The effects of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program on successful aging google
    • 19. Sung H. Y., Cho H. S. (2005) A study on successful aging model : Using the compenents of Rowe and Kha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6 P.105-123 google
    • 20. Willis T. A., McNamara G. (1992) The roll of life events, family support and competence in adoloescant substance use : A test of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P.123-134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Figure 1] ]  Model for study
      Model for study
    • [ 〈Table 1〉 ]  The demographics of sample
      The demographics of sample
    • [ 〈Table 2 〉 ]  The constituents of measuring scale and analysis results of reliability
      The constituents of measuring scale and analysis results of reliability
    • [ 〈Table 3〉 ]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 [ <Table 4> ]  The differences of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according to demographic
      The differences of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according to demographic
    • [ <Table 5> ]  The difference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The difference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 [ <Table 6> ]  The differences of the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demographic(1)
      The differences of the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demographic(1)
    • [ <Table 7> ]  The differences of the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demographic(2)
      The differences of the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demographic(2)
    • [ 〈Table 8〉 ]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 [ <Table 9〉 ]  The difference of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The difference of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 [ 〈Table 10〉 ]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 [ 〈Table 11〉 ]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 [ 〈Table 12〉 ]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educational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