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 탐색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Horse-riding Leisure Education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 탐색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for horseback riding leisure education in order to resolve general social problems of school maladjusted stude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2 people including 4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nd 8 students recommended by teachers. We explored the components for horseback riding leisure education by conducting data analysis through inductive categorization. Priorities of components were given through stratified analysis by 10 people including leisure education teachers, school teachers, and horseback riding professionals. Finally, we acquired the validity of components by using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VI and CV and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the results of priorities of components for horseback riding leisure education to improv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sociality’ had the highest priority. ‘Personality’, ‘understanding’, ‘mental communion’, ‘leadership’, ‘physical communion’, ‘creativity’ and ‘eco-friendly activity’ were followed in order. Second, content validity of components for horseback riding leisure education to improv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was secu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it,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an advisory committee and it was verified.

KEYWORD
School Maladjusted Youth's , Horse-riding , Leisure Education
  • Ⅰ. 서론

    세계적으로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나날이 과격해지고 폭력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는 한국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청소년 문제가 학교 문제를 뛰어 넘어 사회 문제로 까지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부적응은 성적 및 이해력 저하 등의 학습문제, 학대 및 경제적 문제 등의 가정환경 문제, 음주, 흡연, 성 문제 등의 비행문제, 우울감, 불안감, 조기흥분 등의 행동문제, 사회성 문제,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이나 괴롭힘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임혜경 등, 2007).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은 획일적 입시위주의 교육과 잦은 교육정책의 변화로 학생들의 개별적 특성과 인성적 측면이 무시된 채 지나친 긴장상태에서 방치되어 좌절과 학교부적응을 초래하여 우울감, 무력감, 규범의 상실, 사회적 고립, 무의미한 자아감 등을 경험하게 되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기 이전에 비관적인 사고를 하게 되고 나아가 학교폭력(교육과학기술부, 2012), 학교중퇴(노진섭, 2014. 6. 18), 자살(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비행(여성가족부, 2012) 등 학생들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김용석, 2012; 정태욱, 김광회, 조미혜, 김민규, 김승환, 2012).

    이러한 학교부적응은 학교생활 영역에서 자기실현을 추구하지 못하고, 개인의 욕구가 학교 내 관계에서 수용·만족되지 못함으로써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갈등과 부적절하게 일으키는 행동을 말한다(김인선, 2009). 선행연구에 따르면 학교부적응의 발현 원인은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정지현, 손정락, 2014). 개인적 특성의 요소들로는 낮은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및 학업에 대한 동기화 부족, 대인관계 문제, 사회성 저하(변귀연, 2004)와 우울, 공상, 수줍음, 높은 불안과 긴장(황유경, 2003)의 심리·정서 상태가 있다. 또한 환경적 특성의 요소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가정환경, 학교의 다양한 환경적인 요소들이 있다. 그러나 환경적 특성에 따른 원인들을 개선·수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개인적 특성에 따른 원인인 심리·정서 요인 측면에 초점을 맞춰 대상자가 처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개인의 심리적 개선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적합할 것이다(정지현, 손정락, 2014).

    최근 이러한 청소년의 학교부적응 및 사회제반적 문제를 여가교육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미술교육 프로그램(조영숙, 김일명, 2004),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김헌성, 2011), 무용 프로그램(김나영, 2011), 이야기치료 프로그램(김혜경, 2010), 공예치료 프로그램(한근석, 2007), 집단놀이 프로그램(송영혜, 박진희, 1999), 신체활동 중심의 치료레크리에이션(양광희, 2010) 등의 다양한 매개가 전략적 중재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2011년 말산업육성법 시행으로 승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말을 이용한 여러 가지 산업적, 학술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으며 정책적인 부분에서 지원이 증대되고 있다(이채우, 이인실, 김현수, 2013). 승마산업의 발전은 국민소득의 증가와 주5일 근무제의 실현 등으로 다양한 여가활동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현시점에 대안의 한 부류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김학준, 박주영, 2012).

    특히 승마는 말과의 교감을 통한 심리적, 사회적,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 기능 향상을 다양한 대상자에게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강현욱, 2013; 홍주연, 김현희, 2014; Ward, Whalon, Rusnak, Wendell & Paschall, 2013). 특히 문제행동을 보이는 대상자에게 승마를 적용하면 자신보다 큰 동물을 다루면서 얻는 성취감과 자신감을 통해 형성되는 긍정적인 자아개념(이교석, 2010), 대동물을 통제하면서 얻게 되는 자아존중감(홍주연, 2010), 인지력 향상(윤상택, 박병훈, 2013) 등이 있다. 그리고 말은 군집성을 가진 사회적인 존재(McCormick & McCormick, 1997)이기 때문에 환경의 미묘한 변화도 예민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특성은 대상자의 행동에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대상자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Roberts, 1997). 군집생활을 하는 말의 특성상 상호작용을 하는 특성은 심리적 측면에서 장애를 가진 대상자에게 상호작용 즉 사회성 향상과 애착관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윤상택, 박병훈, 2013; 이교석, 2010). 이러한 승마의 특성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심리적 문제점을 개선시켜 문제행동의 원인제거, 학교적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효과에 힘입어 전략적 중재기법으로 승마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뇌성마비 환아(김현숙 등, 2005), 장애아동(노재철, 2006; 박주형, 신중일, 양영애, 2011) 등의 장애인 관련 연구와 우울감과 사회성(송치연, 2008), 질서, 예의범절, 사회적 기술력(서범석, 2009) 등의 정서적 변화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승마의 다양한 효과로 인한 각급 대상자별 문제 해결의 연구확장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관련 연구들은 특수체육분야에 편중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순한 청소년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아닌 새롭고 적극적인 측면에서의 학교부적응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한 취미활동이나 일회성 교육이 아닌 여가교육을 기본으로 하는 승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공교육에서의 승마여가교육 가능성을 탐색하기 전의 선행연구로써 학교부적응 학생의 사회제반 문제 해결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을 탐색한다. 둘째, 도출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산정한다. 셋째, 산정된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의 타당도를 확보한다.

    Ⅱ.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활용된 연구방법은 통합연구방법 중 질적방법 선행형을 활용하였다. 본 통합 연구방법은 오수학, 김병준(2008)에 따르면 질적방법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양적방법이 적용되는 설계이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에 따라 총 3단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전 단계의 연구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다음 단계의 연구문제를 수행할 수 있다.

    1단계에서는 학교부적응 청소년 개선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을 탐색한다. 본 단계에서는 청소년의 성공적인 학교적응, 즉 학교적응 촉진요인 중 교사와의 관계를 중요 요인으로 도출한 선행연구(이원이, 김동일, 2009; 최지은, 신용주, 2003; Brich & Ladd, 1996)에 따라 교사집단을 포함시켰다. 이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도모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집단으로써 그 의미가 있다. 2단계에서는 탐색된 구성요인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이는 연구목적에서 언급한대로 추후 개발될 승마여가교육 프로그램의 시수 및 내용의 가중치를 주기 위한 단계이다. 3단계에서는 우선순위가 산정된 구성요인의 타당도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연구참여자

    1) 1단계: 구성요인 탐색

    학교부적응 청소년 개선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 탐색을 위해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다. 학교 내 학교부적응 청소년 담당 교사 4명과 그들의 추천을 받은 학생 8명 등 총 12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얻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2-3>과 같다.

    [표 2.] 교사 집단 연구참여자

    label

    교사 집단 연구참여자

    [표 3.] 학교부적응 학생 집단 연구참여자

    label

    학교부적응 학생 집단 연구참여자

    2) 2단계: 구성요인 우선순위 산정

    2단계에서는 구성요인의 우선순위를 산정하기 위해 전문가집단을 구성하였다. 우선순위 산정을 위한 전문가는 여가교육 전문가 3명, 교사 6명, 승마 전문가 1명, 총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의 일반적인 현황은 <표 4>와 같다.

    [표 4.] 전문집단 연구참여자

    label

    전문집단 연구참여자

    3) 3단계: 구성요인 타당도 확보

    일련의 과정에서 도출된 학교부적응 청소년 개선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위원을 선정하였다. 자문위원 구성 시 두 가지 사항을 고려하였다. 첫째, 자문위원의 전문성에 관한 부분이며 둘째, 자문위원의 구성에 관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전문가 자문위원은 여가학에 근거한 승마교육에 관한 전문성과 연구를 한 경력이 있거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로 구성하였다(김민규, 박수정, 2014).

    또한 대상자 전문가와 여가교육 도구 전문가를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전문가로는 청소년 부적응에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는 학계 전문가 교수 1인과, 학교 현장에서 학교 부적응 학생을 담당하는 부서에서 업무하는 현장 전문가 교사 3인 등으로, 이들 모두 승마 경력이 최소 3년 이상인 자들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 전문가로는 작업치료 및 가족상담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OO회에서 재활 승마 교관으로 재직하고 있는 1인으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른 자문위원의 일반적 특성은 <표 5>와 같다.

       2. 자료수집

    1) 1단계: 구성요인 탐색

    본 연구단계의 자료수집은 동일한 교육을 받은 보조연구원 3인을 활용하였다. 2013년 9-10월에 연구동의를 구한 학교에 방문하여 연구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참여자와 편하게 대화할 수 있고, 학교적응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에 대해 회상하거나 진솔하게 대답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학교 측에서 배려해준 상담실에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사전에 동의를 얻어 면담내용을 녹취하였다. 추후 추가되는 질문의 경우 이메일 또는 전화통화를 통해 추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 2단계: 구성요인 우선순위 산정

    본 연구단계의 자료수집은 동일한 교육을 받은 보조연구원 3인을 활용하였다. 2014년 1-2월에 연구동의를 구한 후 e-mail과 현장방문 등을 통해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3) 3단계: 구성요인 타당도 확보

    본 연구단계의 자료수집은 동일한 교육을 받은 보조연구원 2인을 활용하였다. 2014년 3월에 연구동의를 구한 전문가 자문위원에게 e-mail과 현장방문을 통해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3. 자료분석

    1) 1단계: 구성요인 탐색

    본 연구단계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통해 얻어진 자료들을 녹음기로 녹취한 후, 이를 전사 작업을 거쳐 문자화하고 문자화된 자료가 녹취된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잘못 기록한 문자나 낱말의 오류 등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귀납적 범주분류화의 방법을 거쳐 도출하였으며, 응답된 단어의 빈도가 2회 이상인 의견의 경우에 이를 차후 분석에 반영하는 선행연구의 방법(오세숙, 신규리, 2011)을 사용하였다.

    이때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의 내적 타당도를 높이고자 삼각검증법(유정애, 2004), 연구자로 하여금 연구의 전 과정에 걸쳐 정직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문가 협의(Padgett, 1998), 전사 처리한 내용 등을 토대로 해석한 내용들이 원자료의 내용과 일치하는지를 상세하게 검토하는 원자료 체크(유정애, 2004) 등을 실시하였다(송성섭, 김민규 재인용, 2013).

    2) 2단계: 구성요인 우선순위 산정

    수집된 자료분석은 Expert Choice 11.5를 활용한 계층화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통해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계층화 분석은 집단의 가중치를 종합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집단구성이 행한 각각의 쌍대비교를 통해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조근태, 조용곤, 강현수, 2005). 귀납적 범주분석과 전문가 협의를 통한 타당도 검증은 요인 추출 및 타당화 검증만 함으로 상대적 중요도 즉 우선순위는 보여주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계층화분석을 활용하여 귀납적 범주분석으로 추출된 요인간의 우선순위를 함께 제시하였다. 계층화분석은 각 요인 별 상대적 가중치를 산정하여 일관성 비율(CR)을 통하여 수합된 응답이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있는 응답인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일관성이란 평가자가 내린 판단의 논리적인 모순을 측정하는 것으로(CR 값이 0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응답자가 완전한 일관성을 유지하며, 상대비교를 수행하였음을 의미하고, CR 값이 0.1 이상이면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재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김민규, 박수정, 2011; 조근태 등 재인용, 2005).

    3) 3단계: 구성요인 타당도 확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치(평균, 표준편차), 집중경향치(중위수, 최빈값) 등을 활용하였다. 또한 타당성 평가 4이상의 유효 퍼센트를 활용한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와 상대적인 산포도 측정으로서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인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등의 긍정률을 활용하였다(김민규, 박수정, 2014). 타당도 확보 기준 및 조사 종결의 근거로 평균 4.0 이상, CVI 80%(.800) 이상(Lynn, 1986; Hasson, Keeney & McKenna, 2000), CV .500 미만을 활용하였다(김명희 재인용, 2009; 송성섭, 김민규 재인용, 2013).

    Ⅲ. 결과

       1. 1단계: 구성요인 탐색

    본 연구에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으로 창의성, 리더십, 인성, 사회성, 이해심, 친환경활동, 신체적 교감, 정신적 교감 8가지로 유목화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창의성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상시켜야할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창의성이 도출되었다. 창의성은 새로운 관계를 지각하거나, 비범한 아이디어를 산출 또는 전통적 사고유형에서 벗어나 새로운 유형으로 사고하는 능력으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생각이나 개념을 찾아내거나 기존에 있던 생각이나 개념을 새롭게 조합하는 법을 배움으로써 학교 부적응 학생의 학습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창의성에 대해 연구참여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2) 리더십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상시켜야할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리더십이 도출되었다. 리더십은 집단의 목표나 내부구조의 유지를 위하여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집단 활동에 참여하여 이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능력으로 리더십을 길러줌으로써 상대방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법을 배워 사회성과 행동에 있어 생기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리더십에 대해 연구참여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3) 인성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상시켜야할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인성이 도출되었다. 인성은 자신만의 생활스타일로써 다른 사람들과 구분되는 지속적이고 일관된 독특한 심리 및 행동 양식이다. 올바른 인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존감을 높이고 그로 인한 음주, 흡연 등 비행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인성에 대해 연구참여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4) 사회성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상시켜야할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사회성이 도출되었다. 사회성은 한 개인의 사회 적응 정도나 대인 관계의 원만성을 말하며 사회성을 길러줌으로써 의사소통 능력 및 친화력이 개선될 수 있고, 또 가정환경 문제로 인해 생기는 부적응 문제를 타인과의 긍정적은 관계를 맺음으로써 치유할 수 있다. 사회성에 대해 연구참여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5) 이해심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상시켜야할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이해심이 도출되었다. 이해심은 타인의 사정, 형편을 잘 헤아려 주는 마음으로 이해심을 길러줌으로써 타인을 배려할 수 있으며 양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친구들과의 친화력이 좋아지고 자연스럽게 우울증 등의 행동문제도 개선될 수 있다. 이해심에 대해 연구참여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6) 친환경활동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상시켜야할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친환경활동이 도출되었다. 친환경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을 위한 봉사정신을 기를 수 있고 더 나아가 마음의 안정, 우울증 해소 등 심리적 문제로 인한 행동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친환경활동에 대해 연구참여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7) 신체적 교감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상시켜야할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신체적 교감이 도출되었다. 신체적 교감은 말 그대로 신체적은 접촉을 통해 이뤄지는 교감으로 서로의 친밀감이 강화되며 서로 의지함으로써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다. 신체적 교감에 대해 연구참여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8) 정신적 교감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상시켜야할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정신적 교감이 도출되었다. 정신적 교감은 마음이 통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할 수 있고 배려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학교 부적응 학생의 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 정신적 교감에 대해 연구참여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2. 2단계: 구성요인 우선순위 산정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 및 사회심리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요인으로는 ‘창의성’, ‘리더십’, ‘인성’, ‘사회성’, ‘이해심’, ‘친환경 활동’, ‘신체적 교감’, ‘정신적 교감’ 등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우선순위 산정을 실시한 결과는 <그림 1>과 같이, ‘사회성’(24%), ‘인성’(21.6%), ‘이해심’(19.3%), ‘정신적 교감’(12.6%), ‘리더십’(10.0%), ‘신체적 교감’(5.3%), ‘창의성’(4.1%), ‘친환경 활동’(3.1%)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 및 사회심리제반에 걸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요인으로 ‘사회성’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를 나타내었고, 일관성 비율 값은 0.02로 0.1 미만이므로 응답의 일관성에는 문제가 없었다.

       3. 3단계: 구성요인 타당도 확보

    학교 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 대영역 및, 중영역, 소영역 등으로 분류된 타당성 분석 결과는 <표 6>과 같다. 승마여가 교육 구성 요인 대영역 ‘승마여가교육과 상담’, ‘마방활동’, ‘마상활동’으로의 구분은 평균 4.40, CVI 80.0%(.800), CV .203으로 타당성이 있었다. 승마여가교육을 통해 학교 부적응 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 및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 해결을 위한 ‘승마여가교육과 상담’의 구성 요인 중영역 ‘창의성’, ‘리더십’, ‘인성’은 평균 4.00, CVI 80.0%(.800), CV .306으로 타당성이 있었다. ‘마방활동’의 구성 요인 중영역 ‘사회성’, ‘이해심’, ‘친환경 활동’은 평균 4.20, CVI 80.0%(.800), CV .199로 타당성이 있었다.‘마상활동’의 구성 요인 중영역 ‘신체적 교감’, ‘정신적 교감’은 평균 4.60, CVI 100%(1.000), CV .118로 타당성이 있었다.

    [표 6.] 승마여가교육 프로그램 대영역 분류

    label

    승마여가교육 프로그램 대영역 분류

    Ⅳ. 논의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선행연구들과 비교 검토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부적응 청소년 개선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을 추출하여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사회성’, ‘인성’, ‘이해심’, ‘정신적 교감’, ‘리더십’, ‘신체적 교감’, ‘창의성’, ‘친환경 활동’순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사회성은 박경수(1993)에 따르면 타인들과의 다양한 학습과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회화의 과정 속에서 터득되는 인간성이다(김민규, 서정은, 김용찬 재인용, 2013). 사회성 결핍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의 어려움을 유발(안상현, 허철무, 2014)하며, 사회성 향상이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을 개선시키는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결과를 지지할 수 있다.

    박혜영, 박부진(2012)는 청소년기는 타인과의 관계 중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긍정적인 관계를 맺으며 사회성을 발달시키데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하며, 긍정적인 관계 형성은 건강하고, 활발하며, 주도적이고, 안정적인 특징을 갖게 된다. 이러한 사회성이 결여되면, 학교부적응의 문제가 발생되고 차후 사회적 문제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심희옥, 2000). 따라서 공동체 내에서 성숙한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회성 발현이 매우 중요하다(김민규 등, 2013).

    둘째, 청소년 학교부적응 사항 중 학교폭력 가해자 집단의 개선을 위한 사회심리요인으로 인성함양이 필요하다고 선행연구는 말하고 있다(김정규, 2013). 학교 폭력을 포함한 청소년 비행은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학교부적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피해자는 우울증이나 심각한 정신적 위축감을 느끼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성함양을 위한 대안으로 스포츠 참여를 제시할 수 있다(문익수, 문창일, 박중길, 2006). 이를 반영하듯 중재기법으로 검도(김정규, 2013), 합기도(류지량, 신좌중, 김재원, 원주연, 2009) 등이 있으며, 신체활동(이성근, 2011) 및 뉴스포츠(권형일, 우승호, 강연정, 2014) 등으로 인성을 함양시키는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결과를 지지할 수 있다.

    셋째, 이해심은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개선시키는 요인이다(전형일, 2003). 환경교육의 일환인 동물을 활용한 정서교육은 이해심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탁월하다(백성희, 금지헌, 이용환, 2008). 동물에 대한 태도 변화는 사회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긍정적인 정서변화로 전이될 것이라 생각된다.

    넷째, 정신적 교감은 마음이 통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할 수 있고 배려할 수 있게 된다(김문환, 2013.3.9.). 또한 청소년 학교부적응 사항 중 학습부진아 집단의 개선을 위한 사회심리요인으로 정신적 교감이 필요하다고 선행연구는 말하고 있다(송정미, 2012). 특히 중재기법 대상과의 정서적 교감은 만족감, 행위의 몰입 등으로 긍정적인 정서변화를 경험하게 한다(안현균, 2010).

    다섯째, 리더십은 집단의 목표나 유지를 위하여 구성원이 활동에 참여하여 이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능력이다(유승희, 2010). 이러한 리더십은 상대방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법을 배워 사회성과 행동에 있어 생기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리더십 향상은 부적응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정숙희, 전명희, 2012). 이를 반영하듯 중재기법으로 태권도(김영갑, 2014), 양궁(박진성, 김정완, 문학식, 2013), 리듬체조(최예림, 김승철, 2013) 등의 중재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심리요인 개선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결과를 지지할 수 있다.

    여섯째, 신체적 교감은 비록 학교부적응 청소년 심층면접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아니지만, 학교적응 촉진요인 중 주요 관계 요인인 집단이자 추후 대상자의 학교적응을 도모하기 가장 효율적인 집단인 교사의 심층면접을 통해 도출되었다. 신체적 교감은 말과 친해지고 교감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성취에 대한 의지력과 자신감을 높일 수 있으며, 집중력과 적극성이 부족한 대상자는 말을 타면서 이를 해소하는 효과를 얻는다(정민교, 2014.1.14.). 이로 인해 서로의 친밀감이 강화되며 정서적인 안정으로 이어지고 서로 의지함으로써 불안감이 해소되어 부적응이 개선될 것이라 생각된다. 비록 말 같은 동물과의 신체적 교감은 아니지만 왕선영(2008)은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체적 교감을 통해 교우관계가 개선되었고, 이는 본 연구의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곱째, 창의성은 새로운 보람 있는 것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다(정범모, 2001). 유승희(2010)는 이와 같은 창의성을 현대인이 소외현상 속에서 무기력과 무력감에서 벗어나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라고 하였다. 또한 윤은선(2011)은 창의성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들보다 학교적응도가 높다고 하였고, 이는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할 수 있다.

    여덟째, 친환경활동을 통해 실천정신을 기를 수 있고 더 나아가 함께 활동을 하며 협동심과 친밀감이 증대되어 사회성 함양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손미희, 2011). 환경교육은 환경, 경제, 사회의 통합적 접근 강화와 의사결정력,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길러 문제를 통합적, 거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관목과 안목을 기를 수 있다(손미희, 박혜경, 정철, 2011). 또한 김정원과 김영숙(2006)은 친환경 체험 활동이 변화를 탐색하는 태도, 지식을 획득하는 태도, 심미적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태도, 감각경험, 자기 지시적인 탐색 등에 긍정적이라 하였다. 이는 의사결정력과 자기표현, 창의성 등에 영향을 미쳐 학교 적응에 긍정적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생각된다.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을 우선순위 산정한 결과, ‘사회성’(24%), ‘인성’(21.6%), ‘이해심’(19.3%), ‘정신적 교감’(12.6%), ‘리더십’(10.0%), ‘신체적 교감’(5.3%), ‘창의성’(4.1%), ‘친환경 활동’(3.1%)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승마여가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에서 프로그램의 시수 및 내용에 가중치를 부여할 계획이다.

    아홉째, 산정된 학교부적응 청소년 개선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 영역 구성을 위한 분석의 틀은 노용구, 박수정, 신규리, 황향희(2009)의 치료레크리레이션 내용 모델을 활용하여 대영역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전략적 중재기법인 승마를 활용한 ‘승마여가교육과 상담 영역’과 말의 거처에서 말과 함께 활동하는 ‘마방활동’, 기승하여 활동하는 ‘마상활동’ 등 3개의 대영역으로 설정하였다.

    대-중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다양한 중재기법을 활용한 실증연구를 고찰하였다. 승마여가교육과 상담 영역 중 향상시킬 요인으로 창의성(김도진, 2011; 김두련, 1998), 리더십(김명재, 2011; 유승희, 2010) 인성(김수진, 2012; 김정규, 2013)을, 마방활동 영역 중 향상시켜야 할 요인으로 사회성(박혜영, 박부진, 2013), 이해심(백성희 등, 2008; 지광현, 2001), 친환경 활동(김정원, 김영숙, 2006; 최경란, 2010), 마상활동 영역 중 향상시켜야 할 요인으로 신체적 교감(왕선영, 2008), 정신적 교감(송정미, 2012)으로 분류하였고, 이는 자문위원들에 의해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노용구 등(2009)에 따르면, 승마여가교육과 상담 영역은 통상적으로 말을 활용하여 여가의 인식능력과 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여가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꾀하여 실제 여가활동 기술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며, 이는 창의성, 리더십, 인성 함양에 영향을 미쳐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마방활동은 여가라이프 스타일 서비스로써 여가가 생활 속에서 건전한 생활양식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총체적인 여가활동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행복과 삶의 질을 추구하고 가정과 지역사회에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사회성, 친환경 활동, 이해심 향상에 영향을 미쳐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마상활동은 일종의 처방적 활동 서비스로 건강 예방 및 증진을 시킬 것이다. 이러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직접적인 기승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대상자와 치료진, 그리고 중재매개인 말과의 신체적·정신적 교감을 이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청소년 개선을 위한 승마 여가교육 구성요인을 추출하여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사회성’, ‘인성’, ‘이해심’, ‘정신적 교감’, ‘리더십’, ‘신체적 교감’, ‘창의성’, ‘친환경 활동’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정된 학교부적응 청소년 개선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자문위원에게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후속 연구자들이 관련 연구영역 확장을 시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청소년 학교문제 및 개입전략 개발 등 관련 연구들 간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연구 진보에 일조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될 프로그램은 학교현장은 물론 상담실, 관련 센터 등에서 활용 가능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학교부적응 청소년 개선을 위한 승마여가교육 구성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타당성 검증의 과정을 거쳐 실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일반인 대상으로 확장하는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강 현욱 (2013) 승마체험 적용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장애인가족의 우울과 가족기능의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1 P.499-510 google
  • 2. (2012) 제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google
  • 3. 권 형일, 우 승호, 강 연정 (2014) 단기간의 집중적인 방과 후 뉴스포츠활동이 학생들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Vol.53 P.215-226 google
  • 4. 김 나영 (2011)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저소득층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67 P.21-41 google
  • 5. 김 도진 (2011) 동화와 음악을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Vol.20 P.293-316 google
  • 6. 김 두련 (1998) 아동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무용학회] Vol.3 P.1-24 google
  • 7. 김 명재 (2011) 남자 중·고등학생의 스포츠 활동에 따른 운동몰입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google
  • 8. 김 명희 (2009)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한 방문간호 표준개발. google
  • 9. 김 문환 김천시 봉산면 인의2리 ‘가자토끼나라’농장. google
  • 10. 김 민규, 박 수정 (2011) 해외 골프 참여자의 장소 귀속감 결정요인에 관한 통합적 접근.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Vol.35 P.139-151 google
  • 11. 김 민규, 박 수정 (2014) 한국형 여가중독 개념화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8 P.1-16 google
  • 12. 김 민규, 서 정은, 김 용찬 (2013)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여가인지와 여가제약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Vol.11 P.119-136 google
  • 13. 김 수진 (2012) 유아기 음악교육이 인성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google
  • 14. 김 영갑 (2014) 태권도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분위기 및 운동몰입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6 P.73-82 google
  • 15. 김 용석 (2012) 학교 폭력 예방에 있어 여가 레크리에이션의 역할. [2012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P.77-82 google
  • 16. 김 인선 (2009)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학습동기와 자기효증감에 미치는 효과: 인간중심 미술치료를 중심으로. google
  • 17. 김 정규 (2013) 초등학생의 검도 수련이 인성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8. 김 정원, 김 영숙 (2006) 자연체험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P.435-457 google
  • 19. 김 학준, 박 주영 (2012) 국내 승마관광 활성화 방안: 개념적 접근. [관광·레저연구] Vol.24 P.379-398 google
  • 20. 김 헌성 (2011)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4 P.1-14 google
  • 21. 김 현숙, 이 강우, 황 지혜, 김 은진, 이 용택, 정 승현, 남 미숙, 이 지영 (2005) 뇌성마비 환아에서 승마의 치료적 효과.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23 P.278-283 google
  • 22. 노 용구, 박 수정, 신 규리, 황 향희 (2009) 치료레크리에이션 핸드북Ⅰ. google
  • 23. 노 재철 (2006) 장애아동의 치료승마 레크리에이션의 적용. google
  • 24. 노 진섭 학교가 싫다. google
  • 25. 류 지량, 신 좌중, 김 재원, 원 주연 (2009) 합기도 수련생들의 인성발달을 위한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대전 서구지역 초등학생들을 중심으로- 의 개발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Vol.20 P.37-46 google
  • 26. 문 익수, 문 창일, 박 중길 (2006) 스포츠 교육을 통한 인성발달. [코칭능력개발지] Vol.8 P.101-112 google
  • 27. 박 주형, 신 중일, 양 영애 (2011) 국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재활승마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고령친화적건강정책학회지.] Vol.3 P.45-51 google
  • 28. 박 진성, 김 정완, 문 한식 (2013) 양궁 지도자의 카리스마 리더십과 지도효율성 및 경기력과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P.191-204 google
  • 29. 박 혜영, 박 부진 (2013)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가족치료연구.] Vol.11 P.69-83 google
  • 30. 백 성희, 금 지헌, 이 용환 (2008) 동물 이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동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환경교육] Vol.21 P.59-65 google
  • 31. 변 귀연 (2004)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력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연구. google
  • 32. 서 범석 (2009) 발달장애아동의 승마운동프로그램 효과검증. google
  • 33. 손 미희 (2011) 친환경학교 가꾸기 프로젝트 활동이 중학생의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google
  • 34. 손 미희, 박 혜경, 정 철 (2011) 친환경학교 가꾸기 프로젝트 활동이 중학생의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환경교육] Vol.24 P.34-43 google
  • 35. 송 성섭, 김 민규 (2013)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Vol.11 P.179-196 google
  • 36. 송 영혜, 박 진희 (2000) 게임 놀이치료가 시설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Vol.4 P.103-117 google
  • 37. 송 정미 (2012) 초등영어 읽기 부진아를 위한 교감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영어영문학연구] Vol.54 P.283-308 google
  • 38. 송 치연 (2008) 재활승마프로그램이 특수아동의 우울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google
  • 39. 심 희옥 (2000)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 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Vol.21 P.19-33 google
  • 40. 안 상현, 허 철무 (2014) 신체활동 참여가 심리적 부적응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 경험 청소년 대상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7 P.621-634 google
  • 41. 안 현균 (2010) 익스트림 스포츠에서 생생한 경험의 의미. google
  • 42. 양 굉희 (2010)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적용.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4 P.195-205 google
  • 43. (2012) 청소년백서. google
  • 44. 오 세숙, 신 규리 (2011) 여가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문화연구] Vol.17 P.199-221 google
  • 45. 오 수학, 김 병준 (2008) 체육학 연구방법. google
  • 46. 왕 선영 (2008)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변화 분석. google
  • 47. 유 승희 (2010) 글로벌 리더 프로그램이 5세 유아의 인지, 창의,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 google
  • 48. 유 정애 (2004) 체육학에서의 질적연구 논문작성법. google
  • 49. 윤 상택, 박 병훈 (2013) 승마운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1 P.81-95 google
  • 50. 윤 은선 (2011) 중학생의 창의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 google
  • 51. 이 교석 (2010)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사회·정서 발달 및 대근육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google
  • 52. 이 성근 (2011) 대나무 춤을 활용한 창의, 인성 체육 수업 사례. [우리체육] Vol.8 P.34-49 google
  • 53. 이 원이, 김 동일 (2009)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대안학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적응 촉진요인. [상담학연구] Vol.10 P.2495-2519 google
  • 54. 이 채우, 이 인실, 김 현수 (2013) 승마 운동이 직장여성의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Vol.1 P.67-74 google
  • 55. 임 혜경, 김 혜리, 박 재국, 락합 준량, 김 주홍, 정 지완 (2007) 학교부적응 학생의 부적응 실태 및 지원에 관한 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P.361-377 google
  • 56. 전 형일 (2003) 해외 귀국청소년의 고등학교 적응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google
  • 57. 정 민교 재활 승마로 말과 교감?몸과 마음 ‘힐링’. google
  • 58. 정 범모 (2001) 창의력. google
  • 59. 정 숙희, 전 명희 (2012) 기독대학생들의 인터넷사용과 사회부적응과의 관계 - 공동체리더십훈련의 동료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신앙과 학문] Vol.17 P.175-200 google
  • 60. 정 지현, 손 정락 (2014) 긍정 심리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P.99-117 google
  • 61. 정 태욱, 김 광회, 조 미혜, 김 민규, 김 승환 (2012) 인천지역 학교체육시설 실태 조사 및 선진 학교체육시설 표준모형개발연구. google
  • 62. 조 근태, 조 용곤, 강 현수 (2005)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google
  • 63. 조 영숙, 김 일명 (2004)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Vol.6 P.117-135 google
  • 64. 지 광현 (2001) 태권도 교육이 아동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google
  • 65. 최 경란 (2010) 재활용품(폐품)을 이용한 친환경 미술 교수-학습 방법 연구. google
  • 66. 최 지은, 신 용주 (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Vol.41 P.245-257 google
  • 67. 최 예림, 김 승철 (2013) 리듬체조코치들의 리더십 유형과 방향이 선수만족 및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27 P.123-137 google
  • 68. (2012)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집단별 자살률 동향과 정책 제언. google
  • 69. 한 근석 (2007) 공예치료 프로그램 제안 : 학교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기초조형학연구] Vol.8 P.743-752 google
  • 70. 홍 주연 (2010) 말(馬) 심리치료 요인의 질적분석에 근거한 치료적 요인 척도 개발. google
  • 71. 홍 주연, 김 현희 (2014) 재활승마가 문제행동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Vol.18 P.105-120 google
  • 72. Birch S. H.,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35 P.61-79 google cross ref
  • 73. Hasson F., Keeney S., McKenna H. (2000) Research guideline for the Delphi survey techniqu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2 P.1008-1015 google
  • 74.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Vol.35 P.382-385 google cross ref
  • 75. McCormick A. R., McCormick M. D. (1997) Horse Sense and human Hart: What Horses can Teach Us About Trust, Bonding, Creativity and Spirituality. google
  • 76. Padgett D. K. (2001)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 (유태균 옮김) google
  • 77. Robert M. (1997) The man who listens to horse. google
  • 78. Thelen E., Smith L. (1994) A Dynamic System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Cognition and Action. google
  • 79. Ward S. C., Whalon K., Rusnak K., Wendell K., Paschall N.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Therapeutic Horseback Riding and the Social Communication and Sensory Reactions of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43 P.2190-2198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설계
    연구설계
  • [ 표 2. ]  교사 집단 연구참여자
    교사 집단 연구참여자
  • [ 표 3. ]  학교부적응 학생 집단 연구참여자
    학교부적응 학생 집단 연구참여자
  • [ 표 4. ]  전문집단 연구참여자
    전문집단 연구참여자
  • [ 표 5. ]  자문위원
    자문위원
  • [ 그림 1. ]  승마여가교육 요인 우선순위 산정
    승마여가교육 요인 우선순위 산정
  • [ 표 6. ]  승마여가교육 프로그램 대영역 분류
    승마여가교육 프로그램 대영역 분류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