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건강보험의 치석제거 급여 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ABSTRACT
건강보험의 치석제거 급여 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medical care utilization, the level of recognition,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after implementing the expande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among 608 adul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April 1st to 30th, 2014.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76.9% of the respondents know the expanded health insurance coverage, which is influenced by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The level of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s affected meaningfully by educational background. Two factors,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and dental hygienist, meaningfully affect patients’ satisfaction with scaling, and recommendation from others and Internet searching contribute to revisit.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is also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long with recommendation from others, Internet searching, scaling by a dental hygienist, and oral hygiene education before scaling. Summing up the results, patien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are high when dental hygienists provide oral hygiene instruction prior to scaling. This study suggests that dental hygienists help patients feel comfortable before treatment by building rapport with them. In addition, it is required that consistent efforts for quality improvement in scaling be sustained, that the patient’s needs be identifie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scaling, and that studies to verify relevant factors be conducted.

KEYWORD
Awareness , Health insurance , Dental scaling
  • 서 론

    사람들의 경제수준, 교육수준의 향상과 그에 따른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건강에 대한 기준이 과거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1). 특히, 구강건강은 과거 우리나라 사람들의 오복 가운데 하나로 꼽을 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2). 현재 구강질환의 상병은 감염성 질환에서 만성질환의 중심의 상병구조를 갖게 되었으며3),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구강질환으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다. 그 중 치주질환은 현재 치아상실의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질환이기도 한다. 2012년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외래 다빈도 질병 통계결과4)에 의하면 치은염 및 치주질환의 상병이 2위로 나타났으며, 3년마다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민건강 실태조사에서 해마다 평균적으로 4.6%의 치주질환자가 증가한다고 조사되었다5). Choi 등6)의 연구에서도 치아우식증 외래환자 비율은 감소하고 있으나, 치은염 및 치주질환 외래 환자의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하여 해마다 수십 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할 정도로 치주질환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 35∼44세 연령군에서 치주조직이 건강한 사람의 비율은 14%에 불과하고, 치석 부착자의 비율은 52%로 보고되었으며7), 성인 10명 중 7명이 치주질환을 앓고 있고, 특히 40대 성인 중 13%는 잇몸뼈가 파괴될 정도로 심각한 상태라고 하였다8). 치주질환은 구강 내 여러 요소들의 복합감염에 의한 치주지지조직의 손상으로 정의되며9), 다른 만성질환과 달리 생명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개인생활에 영향을 주는 만성질환이 아니며 초기 에는 동통과 자각증상이 없어 치과에 내원하였을 때는 이미 치아 주위조직의 파괴가 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치주질환의 예방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2).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일차적 요소는 치면세균막으로,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면세균막의 관리가 중요하다4). 치면세균막의 관리법으로는 환자 스스로 칫솔질을 하는 방법이나 치석제거 등이 있는데10), 치은 연하의 치면세균막은 가정에서 시행하고 있는 칫솔질만으로는 제거가 쉽지 않고 특히, 치면세균막의 저장소 역할을 하는 치석은 칫솔질만으로는 제거되지 않아 정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치석제거를 시행하여야 한다11).

    치석제거는 치질엔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치은연상 및 치은연하 치아 면으로부터 치면세균막과 치석을 제거하는 술식이다12). 현재 우리나라 치석제거의 의료보험급여는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치주소파가 필요할 정도로 치주질환이 진행된 경우, 둘째, 치석제거만으로 치주질환 치료가 가능할 경우, 셋째, 치주질환의 진행 없이 예방목적으로 시행하는 치석제거이다. 정부는 건강보험급여 후 1998년까지 치석제거 보험 급여화를 시행한 바 있다. 그러나 2001년 7월 건강보험재정이 악화되면서 치주질환으로 치료를 이행하기 위해 시행되는 전 처치의 치석제거 경우에만 인정하며13), 급여의 범위가 대폭 축소된 적이 있다. 그러나 치주질환 유병률의 증가로 2013년 7월 만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연 1회에 한해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를 시행하였다.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인 치석제거가 필요하다 생각되어 의료급여 확대하는 정책을 시행하였으나, 일반인들은 구강건강과 급여 확대에 대한 인식에 관한 자료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가 시행된 지 1년이 된 시점에서 만 20세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 치석제거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향후 치석제거 건강보험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4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를 편의표본 추출하여 선정하였다. 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여 연구대상자의 동의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설문은 자기기입식 방법의 설문지를 익명성을 유지하여 진행하였다. 총 650부를 배부하여 이 가운데 636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608부(93.5%)를 연구의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일반적 특성(7문항), 2013년도 7월 이전 치석제거 경험(1문항), 경험하지 않은 이유(1문항), 2013년 7월 이후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된 치석제거 인지 여부(1문항), 알게 된 경로(1문항), 진료기관 선택 기준(1문항), 치석제거 시술자(1문항), 치석제거 시술 소요시간(1문항), 구강보건 교육시행(6문항), 치석제거 시행 후 재이용(2문항), 만족도, 재이용, 권유(17문항)로 구성 등 총 3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하위영역으로는 환경 요인 2문항, 접근성 요인 2문항, 행정 요인 2문항, 치과위생사 요인 5문항, 치과 만족도 요인 4문항, 치과 재이용 요인 1문항, 권유 요인 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항목별 만족도는 5점 Likert 척도로, 1=매우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여 응답하도록 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만족도 17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928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3. 통계분석

    연구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IBM Co., Armonk, NY,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화의 인지여부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진료기관 선택기준, 치석제거 시술자, 치석제거 소요시간, 구강보건교육에 따른 만족도, 재이용, 권유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진료기관선택기준, 치석제거 시술자, 치석제거 소요시간, 구강보건교육의 만족도, 재이용, 권유에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는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연구 대상자는 남성이 44.1%, 여성이 55.9%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30∼39세가 28.3%, 지역은 경기지역이 67.6%, 최종학력은 대졸이 47.9%. 직업은 회사원 23.5%, 월수입에서는 100만원 미만이 25.5%로 나타났으며, 진료기관 유형에서는 치과의원이 6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1).

    [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608)

    label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608)

       2.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 인지 여부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 인지여부를 살펴보면 76.9%가 급여범위 확대에 대해 ‘알고 있다’라고 응답하였고, 최종학력과 월수입이 높을수록 치석제거의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 인지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최종학력에서는 대학원 이상의 집단에서 90.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월수입에서는 400만원 이상에서 9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연령은 50∼59세 이하에서 81.0%가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확대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Awareness of Expande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caling (n=273)

    label

    Awareness of Expande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caling (n=273)

       3.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된 치석제거를 경험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재이용, 권유에 관한 비교

    치석제거 경험에 따른 만족도, 재이용, 권유의 평균 비교는 교육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p<0.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 재이용, 권유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수준이 대학원 이상일 때, 치석제거에 대한 만족도(3.92), 재이용(4.23), 권유(4.16)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p<0.001; Table 3).

    [Table 3.]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74)

    label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74)

       4. 연구 대상자의 만족도, 재이용, 권유의 관련 요인

    치석제거를 시행한 대상자 중 치석제거에 대한 만족도, 재방문, 권유의사에 관련된 요인은 Table 4와 같다. 만족도는 평균 3.60으로 3.60 미만과 3.60 이상으로, 재방문과 권유는 중위수 4점으로 4점 미만과 4점 이상으로 구분하여 종속변수로 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치석제거 소요시간, 구강보건교육의 시기, 내용, 방법, 소요시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치석제거에 대한 만족도는 학력과 시술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대졸 미만에서 대졸 이상보다 3.71배 높았고, 시술자는 치과위생사가 시행하였을 때 치과의사가 시행할 때보다 4.1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방문에서는 치과의료기관 선택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치과의료기관 선택으로 타인에게 권유나 검색으로 치과의료기관을 선택한 경우 정기적으로 내원하였을 때보다 2.46배 높았고, 권유의사에서는 학력, 치과의료기관 선택, 시술자, 구강보건교육시기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학력에서는 대졸 미만이 대졸 이상보다 3.13배 높았고, 타인에게 권유를 받았거나 검색으로 내원하였을 때 2.60배 높았으며,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를 시행하였을 때 치과의사가 시행하였을 때보다 2.95배 높았고, 치석제거 전에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치석제거 후에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였을 때보다 2.77배 높게 나타났다(p<0.05; Table 4).

    [Table 4.] Binary Logistic Regression about related Factors of Satisfaction, Revisit, Recommendation

    label

    Binary Logistic Regression about related Factors of Satisfaction, Revisit, Recommendation

    고 찰

    치주질환은 예방과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치아 상실 문제를 야기하는 질환으로 ‘치주질환의 예방이 치아건강에 가장 중요하다’라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는 정기적인 구강검진과 올바른 구강보건교육을 비롯해 조기의 치면세균막과 치석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치석제거의 경우 치과 의료인들이 ‘치주염이 있어 치주치료가 필요하다’라는 경우에만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었는데, 의료보험정책이 바뀌면서 치과분야에서도 의료보험정책들이 확대되었다. 그 중 치주질환의 예방적인 부분인 치석제거가 보험급여범위가 확대되었고,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잇몸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 확대에 대한 인식, 보험 급여 확대된 치석제거를 시행한 환자에 대해 만족도, 재이용, 권유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볼 때 2013년 7월 이후 치석제거가 건강보험 급여 확대된 것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는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76.9%). 이는 선행연구3)보다 인지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선행연구에서는 2013년 4월에서 5월 치석제거 건강보험 확대 이전에 조사된 점과 그 대상자가 산업재해 환자에 국한되어 있기에 본 연구와는 인식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본 연구는 정책이 시행된 이후에 조사되었고, 대상자의 범위가 일부지역으로 국한되어 있지만 그 지역의 만 20세 이상에 해당되는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에 선행 연구와의 인지율과는 다를 것이라 생각된다.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화 확대 이전 구강병 예방을 위해 정부에서는 여러 가지 사업을 시행해왔다. 대표적으로 상수도 불소화 사업과 치면 열구전색 사업들이 있는데, Kim14), Kim 등15)의 연구에서는 건강보험 급여 확대된 사업의 인지율이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 또한 젊은 층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79.3%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50대에서 81.0%로 높게 나타났다. 과거에는 구강건강 정보를 젊은 층에서 많이 취득할 수 있었던 반면16,17), 다양한 정보 전달 매체의 발달로 어느 누구나 손쉽게 정보를 접할 수 있으며, 과거에는 여성들이 구강질환에 더 많은 관심이 보였지만, 현재에는 건강이라는 단어가 대두되면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 또한 건강에 관심이 증가하게 되어 건강의 한 부분인 구강질환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석제거 보험 급여 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도의 연구결과는 Kim 등18)의 연구와도 유사하게 학력과 월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보험 적용에 관한 인지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학력과 월수입이 높을수록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높고, 그로 인해 구강 보건정책 및 사업에 대한 인지율이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치석제거를 시행한 대상자 중 일반적 특성과 구강보건교육에 따른 만족도, 재이용, 권유의사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확인한 결과, 학력에서는 대졸 미만에서 만족도와 권유의사에 각각 3.71배, 3.13배로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Go 등19)의 연구결과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학력일수록 구강에 관련된 정보습득이 다양하고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료에 관한 기대가 높아지는 것과 보험급여 범위 확대로 인해 비용부담이 적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치과의료기관 선택에서는 타인에게 권유를 받거나 검색하여 내원하였을 때 정기적으로 내원하던 치과보다 재방문 2.46배와 권유 2.60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환자들이 치과에 내원한 이유가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예방진료를 하기보다 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다는 점과 치과에서는 정기적 내원환자에 대한 관리 부실로 인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으리라 생각되며, 새로운 환자를 유치할 수 있는 마케팅을 정기내원환자 관리보다는 비중을 높게 두는 경향과 지인들의 소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다. 시술자에서는 만족도, 권유요인 모두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를 할 때 4.10배, 2.95배 높게 나타났는데, Bertakis 등20)이 보고한 의료인이 환자에게 정보를 충분히 주었을 때 환자의 만족도가 올라간다는 결과와 같이 환자에게 치석제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치과위생사가 환자 구강상태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전문적인 기술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만족도와 권유의사가 높았으리라 생각되며, Lee 등21), Choi와 Choi22), Choi 등23)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예전보다는 치과위생사의 인식도 또한 높아진 것도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된다. 환자의 만족도가 높으면 환자의 권유의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 Hong24), Kim25), Han26)의 연구결과와 같이 만족도와 권유의사요인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된다. 구강 보건교육시기에서 치석제거 전에 구강보건 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2.77배 높게 나타났는데, Ju27)의 연구였던 구강 보건교육은 환자의 시간적, 환경적, 심리적으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을 때 효율성이 높을 것이라는 결과처럼 치석제거 전에 환자가 심리적으로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안정된 상황이 구강보건교육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환자와 대화하면서 공감하는 과정에서 환자와의 유대관계가 형성되어 환자에게 적극적인 동기부여가 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권유의사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2013년 7월 이후 치석제거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치석제거의 보험 급여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파악하는 것에 의의가 있지만, 연구에서 진행된 측정도구 및 표본선정에 있어 일부지역에 국한되어 표본을 일반화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고, 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로 인해 정확한 기입을 했는지 규명이 어려웠으며,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에 비교 고찰이 어려웠다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조사방법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건강보험 급여화 인식 및 요구도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 1. Han JH 2007 A study on priority-setting in expanding the dental health insurance cover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ogle
  • 2. Jun JH, Lee TY, Min HH 2011 A survey on dental patient’s awareness and periodontal care behavior in periodontal disease [J Korean Soc Dent Hyg] Vol.11 P.1017-1025 google
  • 3. Lee HS, Lee KH 2013 Recognition about national health insurance of dental scaling in industry accident injury patients [J Korean Soc Dent Hyg] Vol.13 P.561-568 google cross ref
  • 4. Health insurance review assessment service google
  • 5. Korea national oral health survey google
  • 6. Choi YK, Do SR, Park DY 2011 Patients over 20 years of research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number of outpatient change in periodontal disease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5 P.331-339 google
  • 7. 2004 Korea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ummary Seoul google
  • 8. 200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3rd survey result of depth analysis at the part of health interview and awareness P.157-163 google
  • 9. Lee JK 2012 Risk factor for periodontal diseases [J Dent] Vol.50 P.465-473 google
  • 10. Noh HJ, Park SY 2002 Cost-benefit analysis of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focusing preventive scaling) [J Health Inform Stat] Vol.27 P.50-65 google
  • 11. Cappellli DP, Mobley CC 2008 Breventation in clincal health care P.56-57 google
  • 12. Cheon SY, Won BY 2011 Affecting factors to oral scaling experience of the part worker [J Korean Soc Dent Hyg] Vol.11 P.1-11 google
  • 13. Park GK 2006 Dental scaling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4. Kim JK 2009 A study on awareness for flouride of a christian church [J Environ Sanit Eng] Vol.24 P.39-48 google
  • 15. Kim MK, Kim YH, Song JP, Lee MJ, Sung MK 2013 Perception of parents on pit & fissure sealant for preschool children and it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J Korean Soc Dent Hyg] Vol.15 P.33-44 google
  • 16. Lee HS, Chang KW, Kim YJ, You MS, Lee YS 2005 The parents’ perception concerning adjusted water fluoridation in Chollabuk-do, Korea: the knowledge and relevant variables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29 P.313-323 google
  • 17. Yang JY, Park DI 2004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water fluoridation among the residents in Jongno-gu, Seoul [J Korean Assoc Occup Dent] Vol.13 P.1-19 google
  • 18. Kim JK, Choi YS, Park YD 2009 A recognition study on sealant health insurance service of parents of an elementary students in a metropolitan a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3 P.575-584 google
  • 19. Go EK, Lee SL, Choi JH 2011 Analysis of selection criteria for a dental clinic and satisfaction [J Korean Soc Dent Hyg] Vol.13 P.1-16 google
  • 20. Bertakis KD, Roter D, Putnam SM 1991 The relationship of physician medical interview style to patient satisfaction [J Fam Pract] Vol.32 P.175-181 google
  • 21. Lee BY, Lee JY, Lim BM, Koo HJ 2011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Vol.13 P.277-286 google
  • 22. Choi SS, Choi MS 2007 An investigation for the recognition of the course of dental hygiene by specific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Gyenogju [J Dent Hyg Sci] Vol.7 P.235-241 google
  • 23. Choi EM, Song YS, Lee SH 2004 A study on dental hygienist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inhabitants in Seoul and Kyunggi-do [Kyung Bok Coll] Vol.8 P.399-414 google
  • 24. Hong HS 2005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the dental care services by dental hygienist on the patient’s satisfaction, reuse, and invitation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25. Kim JS 2003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dental care services by dental hygienist on the patient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for reuse of opportun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ogle
  • 26. Han JH 2002 The 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with dental hygienists affecting patient satisfaction and loyal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27. Ju OJ 2005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estima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of dental patients [J Dent Hyg Sci] Vol.5 P.119-124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608)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608)
  • [ Table 2. ]  Awareness of Expande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caling (n=273)
    Awareness of Expande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caling (n=273)
  • [ Table 3. ]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74)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74)
  • [ Table 4. ]  Binary Logistic Regression about related Factors of Satisfaction, Revisit, Recommendation
    Binary Logistic Regression about related Factors of Satisfaction, Revisit, Recommendation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